KR20170051297A - Exposure head for exposure device and projection optical system for exposure device - Google Patents
Exposure head for exposure device and projection optical system for exposure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51297A KR20170051297A KR1020160139879A KR20160139879A KR20170051297A KR 20170051297 A KR20170051297 A KR 20170051297A KR 1020160139879 A KR1020160139879 A KR 1020160139879A KR 20160139879 A KR20160139879 A KR 20160139879A KR 20170051297 A KR20170051297 A KR 2017005129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vided
- optical system
- exposure
- mirror
- patter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70—Microphotolithographic exposure; Apparatus therefor
- G03F7/70216—Mask projection systems
- G03F7/70258—Projection system adjustments, e.g. adjustments during exposure or alignment during assembly of projection system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70—Microphotolithographic exposure; Apparatus therefor
- G03F7/70383—Direct write, i.e. pattern is written directly without the use of a mask by one or multiple beam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20—Exposure; Apparatus therefor
- G03F7/213—Exposing with the same light pattern different positions of the same surface at the same time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70—Microphotolithographic exposure; Apparatus therefor
- G03F7/70058—Mask illumination systems
- G03F7/70091—Illumination settings, i.e. intensity distribution in the pupil plane or angular distribution in the field plane; On-axis or off-axis settings, e.g. annular, dipole or quadrupole settings; Partial coherence control, i.e. sigma or numerical aperture [NA]
- G03F7/70116—Off-axis setting using a programmable means, e.g. liquid crystal display [LCD], digital micromirror device [DMD] or pupil facet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70—Microphotolithographic exposure; Apparatus therefor
- G03F7/70216—Mask projection systems
- G03F7/70225—Optical aspects of catadioptric systems, i.e. comprising reflective and refractive element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70—Microphotolithographic exposure; Apparatus therefor
- G03F7/70216—Mask projection systems
- G03F7/70233—Optical aspects of catoptric systems, i.e. comprising only reflective elements, e.g. extreme ultraviolet [EUV] projection system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70—Microphotolithographic exposure; Apparatus therefor
- G03F7/70216—Mask projection systems
- G03F7/70275—Multiple projection paths, e.g. array of projection systems, microlens projection systems or tandem projection system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70—Microphotolithographic exposure; Apparatus therefor
- G03F7/70383—Direct write, i.e. pattern is written directly without the use of a mask by one or multiple beams
- G03F7/704—Scanned exposure beam, e.g. raster-, rotary- and vector scann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xposure And Positioning Against Photoresist Photosensitive Material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DMD(Digital Micro-mirror Device) 등의 광변조 소자 어레이에 의해 패턴을 직접 묘화하는 마스크리스(Maskless) 노광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노광면에 패턴 상(pattern image)을 투영하는 광학계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DMD를 갖춘 마스크리스 노광 장치에서는, 광변조 소자(셀)를 매트릭스 상(matrices shape)으로 2차원 배열시킨 광변조 소자 어레이를 제어하여 노광 동작을 실시하고, 패턴을 기판의 묘화면에 직접 형성한다. 구체적으로는, 광원으로부터 방사된 조명광이 DMD로 유도되면, 투영 대상이 되는 에리어에 형성해야 할 패턴에 따라, DMD의 각 마이크로 미러가 ON/OFF 제어된다. DMD 상에서 반사한 광은 투영 광학계에 의해 결상되어, 패턴 상이 노광면에 형성된다.In a maskless exposure apparatus equipped with a DMD, an optical modulation element array in which light modulation elements (cells) are two-dimensionally arrayed in a matrix shape is controlled to perform an exposure operation, and a pattern is formed directly on a seedling screen of a substrate . Specifically, when the illumination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is guided to the DMD, each micromirror of the DMD is ON / OFF controlled according to a pattern to be formed in an area to be a projection target. The light reflected on the DMD is imaged by the projection optical system, and a pattern image is formed on the exposure surface.
노광 장치에서는, 스루 풋(throughput) 향상을 위해, DMD에서 반사한 광(패턴 광)을 분할해, 복수의 분할 패턴 상을 투영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기판과 DMD와의 사이에서의 공역면(결상면)에 분할 광학계를 배치하고, 공역면 상에서 패턴 상을 부주사(副走査) 방향에 따라 분할한다. 공역면 상에서 분할된 패턴 상은, 주주사(主走査) 방향에 따라 소정 간격으로 늘어서는 것과 동시에, 부주사 방향에 따라 서로 떨어진 주사 밴드의 위치에 투영된다(특허 문헌 1 참조). 또한, 결상 광학계의 출사단 측에 분할 광학계를 배치해, 패턴 상을 분할하는 것도 가능하다(특허 문헌 2 참조).In the exposure apparatus, in order to improve the throughput, it is possible to divide the light (pattern light) reflected by the DMD and project a plurality of divided pattern images. For example, a splitting optical system is disposed on a conjugate plane (image plane) between the substrate and the DMD, and the pattern image is divided on the conjugate plane along the sub-scanning direction. The pattern images divided on the conjugate plane are arrang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main scanning direction and are projected to the positions of the scanning band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sub-scanning direction (see Patent Document 1). It is also possible to arrange a dividing optical system on the emitting end side of the imaging optical system to divide the pattern image (refer to Patent Document 2).
공역면 상에서 패턴 상 전체를 분할하는 경우, 복수의 평행 평면(미러)을 조입한 광학계를 배치하는 구성이 되어, 복잡한 미러 배치의 광학계가 된다. 그 때문에, 패턴 상을 다수(예를 들면, 4 분할 이상)에 분할하려고 해도, 인접하는 미러가 간섭해, 광량 로스(loss)로 이어진다. 또한, 결상 광학계의 출사단 측에서 패턴 상을 다수 분할하는 경우, 공역면에서 패턴 상을 분할하지 않기 때문에, 광속(光束)의 확산에 의한 광량 로스가 크다.In the case of dividing the entirety of the pattern image on the conjugate plane, an optical system in which a plurality of parallel planes (mirrors) are superimposed is arranged, resulting in an optical system of a complicated mirror arrangement. Therefore, even if an attempt is made to divide a pattern image into a plurality of (for example, four or more divisions), adjacent mirrors interfere with each other, leading to a light amount loss. Further, in the case where a pattern image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atterns on the side of the emission end of the imaging optical system, the pattern image is not divided on the conjugate plane, and the light amount loss due to the diffusion of the light beam (light beam) is large.
따라서, 패턴 상을 보다 많이 분할 함과 동시에, 각 분할 패턴 상을 충분한 해상도로 노광면에 형성하는 노광 장치용의 광학계가 필요하게 된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n optical system for an exposure apparatus that divides a pattern image into a larger number of parts and forms each divided pattern image on an exposure surface with sufficient resolution.
본 발명의 노광 장치용 노광 헤드는, 마스크리스 노광 장치에 적용 가능하며, 복수의 광변조 소자를 2차원 배열시킨 광변조 소자 어레이와, 상기 광변조 소자 어레이에서 반사한 광을, 피묘화체의 노광면에 결상시키는 투영 광학계를 갖추고, 상기 투영 광학계는, 제1 광학계와, 화상 분할 광학계와, 제2 광학계를 갖춘다.An exposure head for an exposur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xposure head applicable to a maskless exposure apparatus and includes a light modulation element array in which a plurality of light modulation elements are two-dimensionally arrayed, And a projection optical system for forming an image on an exposure surface, wherein the projection optical system has a first optical system, an image division optical system, and a second optical system.
제1 광학계는, 상기 광변조 소자 어레이에서 반사한 패턴 상의 광을, 제1 결상면에 결상시킨다. 화상 분할 광학계는, 분할 영역에 따라 상기 제1 결상면에 형성되는 (중간상으로서의) 패턴 상을 분할하고, 복수의 분할 패턴 상을 형성하는 복수의 미러 쌍을 갖춘다.The first optical system causes the light on the pattern reflected by the optical modulation element array to form an image on the first imaging plane. The image division optical system has a plurality of mirror pairs for dividing a pattern image (as an intermediate image) formed on the first imaging plane according to the division region and forming a plurality of division pattern images.
복수의 미러 쌍의 배치는 분할 영역에 따르고 있다. 예를 들면 분할 영역은, 광변조 소자 어레이의 수광면 상에서 규정된다. 제2 광학계는, 화상 분할 광학계에 의해 형성된 복수의 분할 패턴 상의 광을, 노광면에 결상시킨다.The arrangement of the plurality of mirror pairs depends on the divided area. For example, the divided area is defined on the light receiving surface of the light modulation element array. The second optical system causes the light on a plurality of divided patterns formed by the image dividing optical system to form an image on the exposure surface.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미러 쌍 각각은, 제1 결상면과 교차하도록 배치되는 분할 미러와, 상기 분할 미러와 평행이며 상기 분할 미러로부터의 광을 상기 제2 광학계로 유도하는 가이드 미러를 가진다. 화상 분할 광학계는, 분할 미러에 의해 제1 결상면 근방에서 패턴 상을 분할한다. 즉, 조정 가능한 초점 심도의 범위에서 허용되는 패턴 해상도를 얻을 수 있는 제1 결상면 수직 방향에 따른 제1 결상면 부근의 광축 방향에 따른 레인지(range)에서, 패턴 상을 분할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plurality of mirror pairs has a split mirror disposed so as to intersect with the first imaging plane, and a guide mirror that is parallel to the split mirror and guides the light from the split mirror to the second optical system. The image division optical system divides the pattern image near the first imaging plane by the division mirror. That is, the pattern image is divided at a range along the optical axis direction in the vicinity of the first imaging plane along the first imaging plane vertical direction in which an allowable pattern resolution in a range of adjustable depth of focus can be obtained.
그리고, 복수의 분할 패턴 상이 주주사 방향 및 부주사 방향에 따라 서로 떨어져 투영되도록, 복수의 분할 미러가 제1 결상면에 대해 각각 소정의 각도로 경사져 있다. 여기서, 「제1 결상면에 대해 경사져 있다」란, 분할 미러의 반사면 법선 방향이, 제1 결상면의 법선 방향에 대해 경사져 있는 것을 나타낸다.The plurality of divided mirrors are each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first imaging plane so that the plurality of divided patterns are projected away from each other in the main scanning direction and the sub scanning direction. Here, "tilted relative to the first imaging plane" means that the normal direction of the reflection plane of the split mirror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normal direction of the first imaging plane.
이 경우, 반사면의 각 변을 제1 결상면에 정사영(正射影)했을 때에 규정되는 투영선은, 주주사 방향, 부주사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에 대해 경사지거나, 혹은 주주사 방향, 부주사 방향 모두에 평행해지는 경우 양쪽 모두에 포함된다. 예를 들면, 반사면이 구형상(矩形狀)이면, 반사면의 각 변의 투영선은 주주사 방향 및 부주사 방향에 대해 평행해지거나, 혹은 모두에 경사지는 상태가 된다.In this case, the projection line defined when orthogonal projection of each side of the reflection surface to the first imaging plane is inclined relative to at least one of the main scanning direction and the sub-scanning direction, or both the main scanning direction and the sub- And is included in both cases. For example, when the reflecting surface is rectangular, the projection lines of the respective sides of the reflecting surface become parallel to the main scanning direction and the sub scanning direction, or are inclined to both.
주주사 방향, 부주사 방향에 따라 서로 떨어져 분할 패턴 상을 투영 함으로써, 복수의 주사 밴드 각각에 패턴 상을 투영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1회로 주사 가능한 에리어가 분할 패턴 상의 수만큼 확대되어, 스루 풋이 향상된다.It is possible to project the pattern image onto each of the plurality of scan bands by projecting the divided pattern image apart from each other according to the main scanning direction and the sub scanning direction and the area which can be scanned one time is enlarged by the number of divided pattern images, do.
복수의 분할 미러의 배치에 대해서는, 복수의 분할 패턴 상이 노광면에서 링 상(ring shape)으로 투영되도록, 각각 경사지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링 상의 투영이란, 종래와 같이 비스듬히 일렬 방향에 따라 분할 패턴 상을 투영하는 것이 아니라, 그 한편으로 랜덤한 투영도 아니고, 복수의 분할 패턴 상을 추적했을 때의 궤적이 대략 고리(輪)의 형상(원, 타원 어느 것도 무방하고, 고무밴드와 같이 형상이 무너져 있어도 무방하다)이 되는 상(像)의 패턴 배치에 의해 특징 지워지는 투영을 의미한다. 이 경우, 분할 패턴 상의 길이 방향의 선이 되는 라인이 부주사 방향에 따라 늘어서도록 투영하는 것이 좋다.With respect to the arrangement of the plurality of divided mirrors, it is possible to make each of the divided pattern images be inclined so as to be projected from the exposure surface to the ring shape. Here, the projection on the ring is not a projection of a divided pattern image in an oblique direction in a row as in the conventional case, but a projection on a ring is not a random projection on the one hand, Means a projection that is characterized by a pattern arrangement of an image that has a shape (a circle, an ellipse, and the shape may collapse like a rubber band).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o project the line that is the lin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divided pattern so as to be aligned in the sub-scanning direction.
예를 들면, 노광면 투영 중심에 따라 규정되는 4개의 상한(象限) 내 각각에 적어도 1개의 분할 패턴이 노광면에 투영하도록, 복수의 분할 미러가 각각의 각도로 경사져 있다. 여기서, 노광면 투영 중심이란, 패턴 상의 중심에 위치하는 광선이 화상 분할 광학계에 의해 분할(반사)되지 않고 피묘화체(기판(W))의 노광면에 도달했다고 가정할 때의 가상의 점을 나타낸다. 또한, 광변조 소자 어레이가 결상 광학계의 광학 중심에 위치 맞춤 되고 있는 경우, 결상 광학계의 광축과 노광면과의 교차하는 점을 투영 중심이라고 간주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lurality of divided mirrors are inclined at respective angles such that at least one divided pattern is projected onto the exposure surface in each of four upper quadrants defined along the center of the projection surface of the exposure surface. Here, the projection plane center of projection means a virtual point when it is assumed that a light ray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pattern reaches the exposure surface of the object to be imaged (substrate W) without being divided (reflected) by the image- . Further, when the optical modulation element array is aligned with the optical center of the imaging optical system, a point at which the optical axis of the imaging optical system intersects the exposure surface can be regarded as the projection center.
가능한 한 인접한 분할 패턴 상의 거리를 두기 위해, 예를 들면, 중심측에 위치하는 중심측 분할 미러는, 노광면 투영 중심으로부터의 거리가 주주사 방향보다 부주사 방향에 따라 떨어진 위치에 분할 패턴 상이 투영되도록, 경사지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좋다. 또한, 중심측 분할 미러와 인접하는 분할 미러가, 노광면 투영 중심으로부터의 거리가 부주사 방향보다 주주사 방향에 따라 떨어진 위치에 분할 패턴 상이 투영되도록, 경사지는 구성으로 해도 무방하다.In order to keep the distance on the adjacent divided patterns as far as possible, for example, the center-side split mirror located at the center side is designed so that the divided pattern image is projected at a position apart from the center of the exposure surface projection center in the sub- , And a slope is preferable. The divisional mirror adjacent to the center-side divided mirror may be inclined so that the divided pattern image is projected at a position where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exposure surface projection is distant from the sub-scanning direction in the main-scan direction.
묘화 데이터의 타이밍 조정 등을 고려하면, 복수의 분할 미러는, 패턴 상의 일방의 절반의 영역에 따른 분할 패턴 상과, 타방의 절반의 영역에 따른 분할 패턴 상이 노광면 투영 중심에 관해 점대칭적 관계가 되도록, 각각 경사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Considering the timing adjustment of the drawing data and the like, the plurality of divided mirrors are arranged such that the divided pattern image according to one half region of the pattern and the divided pattern image corresponding to the other half region have a point symmetrical relationship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exposure surface projec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y are each inclined.
각 분할 패턴 상의 선명함의 불균일을 방지하는 것을 고려하면, 복수의 가이드 미러는, 상기 복수의 분할 미러로부터 노광면까지의 각각의 광로 길이가 동일해지도록, 배치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좋다.It is preferable to arrange the plurality of guide mirrors such that the respective optical path lengths from the plurality of divided mirrors to the exposure surface become equal in consideration of preventing unevenness of sharpness on each divided pattern.
패턴 상을 가능한 한 선명히 하는 것을 고려하면, 복수의 분할 미러가, 제1 결상면에 대해, 상기 투영 광학계의 초점 심도에 따른 각도로 경사져 있는 것이 좋다. 즉, 허용되는 패턴 상의 선명함에 따른 초점 심도의 범위 내에 반사면이 들어가는 경사 각도로 하면 좋다. 예를 들면, 복수의 분할 미러가, 제1 결상면에 대해 45°이하로 경사지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30°이하, 15°이하로 경사지게 하는 것이 좋다.Considering that the pattern image is as clear as possible, it is preferable that the plurality of split mirrors be inclined at an angle corresponding to the depth of focus of the projection optical system with respect to the first imaging plane. That is, the inclination angle may be set such that the reflective surface is within the range of the depth of focus according to the clearness on the permissible pattern. For example, the plurality of divided mirrors may be configured to be inclined at 45 degrees or less with respect to the first imaging plane, and more preferably, be inclined at 30 degrees or less and 15 degrees or less.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서의 노광 장치용 투영 광학계는, 복수의 광변조 소자를 2차원 배열시킨 광변조 소자 어레이에서 반사한 광을, 제1 결상면에 결상시키는 제1 결상 광학계와, 분할 영역에 따라 상기 제1 결상면에 형성되는 패턴 상을 제1 결상면 근방에서 적어도 4개로 분할 함으로써, 적어도 4개의 분할 패턴 상을 형성하는 화상 분할 광학계와, 적어도 4개의 분할 패턴 상의 광을 상기 노광면에 결상시키는 제2 결상 광학계를 갖추고, 상기 화상 분할 광학계가, 복수의 분할 패턴 상이 주주사 방향 및 부주사 방향에 따라 서로 떨어져 투영되도록, 적어도 4개의 분할 패턴 상을 형성한다.A projection optical system for an exposure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imaging optical system for imaging light reflected by an optical modulation element array in which a plurality of optical modulation elements are arranged two-dimensionally on a first imaging plane, An image forming optical system for forming at least four divided pattern images by dividing a pattern image formed on the first imaging plane into at least four regions near the first imaging plane by irradiating light on at least four divided patterns onto the exposure surface And the image dividing optical system forms at least four divided pattern images so that a plurality of divided pattern images are projected away from each other in accordance with the main scanning direction and the sub scanning direction.
본 발명에 의하면, 패턴 상의 선명함을 유지하면서, 스루 풋 향상을 실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hroughput can be improved while maintaining the clarity of the pattern.
도 1은 본 실시 형태인 노광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노광 헤드의 내부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DMD에서의 패턴 상의 분할 영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기판의 노광면에 투영되는 6개의 분할 패턴 상의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중심측 분할 영역에 따른 미러 쌍의 배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중간 분할 영역에 따른 미러 쌍의 배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외측 분할 영역에 따른 미러 쌍의 배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분할 미러의 공역면에 대한 배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분할 미러의 배치 각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3개의 분할 미러 및 가이드 미러의 배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3개의 분할 미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가이드 미러의 배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묘화 장치에 설치된 묘화 제어부의 블록도이다.
도 14는 홀수로 분할할 때의 DMD에서의 분할 영역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posur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2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n exposure head.
3 is a view showing a divided area on a pattern in the DMD.
4 is a view showing positions of six divided patterns projected on an exposure surface of a substrate.
Fig. 5 is a diagram showing the arrangement of mirror pairs according to the center-side divided area. Fig.
6 is a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of mirror pairs according to the intermediate divided area.
FIG. 7 is a diagram showing the arrangement of mirror pairs according to the outer divided region. FIG.
8 is a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of the split mirror with respect to the conjugate plane.
9 is a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angle of the split mirror.
10 is a diagram showing the arrangement relationship of three split mirrors and guide mirrors.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ree divided mirrors.
12 is a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of the guide mirror.
13 is a block diagram of a rendering control unit provided in the rendering apparatus.
14 is a diagram showing a divided area in the DMD when dividing into odd numbers.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해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실시 형태인 노광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posur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노광 장치(10)는, 포토레지스트(photo-resist) 등의 감광 재료를 도포한(혹은 붙인) 기판(W)에 패턴 광을 직접 조사하는 마스크리스 노광 장치이며, 게이트 상(gate shape) 구조체(12), 기대(14)를 갖춘다. 기대(14)에는, 묘화 테이블(18)을 지지하는 X-Y 스테이지 기구(56)가 탑재되어 묘화 테이블(18) 상에 기판(W)이 설치된다.The
게이트 상 구조체(12)에는 광원(20a, 20b)이 구비되고, 또한, 패턴 형성용의 노광 헤드(201, 202)가 기판(W)의 상방에 나란히 배설되어 있다. 노광 헤드(201)는, DMD(Digital Micro-mirror Device), 투영 광학계(여기에서는 도시하지 않음)를 갖추고, 광원(20a)으로부터 방사되는 광에 근거해 패턴 상을 기판(W)에 투영한다. 노광 헤드(202)도 같은 구성이며, 광원(20b)의 광에 의해 패턴 상을 투영한다.
구형상의 기판(W)은, 예를 들면 프린트 기판, 드라이 필름, 유리 기판 등의 전자 회로용 기판이며, 프리베이크(pre-bake) 처리, 감광 재료의 도포/붙이기 처리 등이 실시된 블랭크(blanks) 상태로 묘화 테이블(18)에 탑재된다. 기판(W)(묘화 테이블(18))에는, 서로 직교하는 X-Y-Z 좌표계가 규정되어 있고, 묘화 테이블(18)은 X, Y방향에 따라 이동 가능하고, 게다가 Z축 주위로 회전 가능하다. 여기에서는, X방향을 주주사 방향, Y방향을 부주사 방향으로 규정한다.The rectangular substrate W is an electronic circuit substrate such as a printed substrate, a dry film, or a glass substrate. The substrate W is a blanks subjected to a pre-bake process, a photosensitive material application / ) In the drawing table 18 as shown in Fig. The X-Y-Z coordinate system orthogonal to each other is defined in the substrate W (the drawing table 18). The drawing table 18 is movable along the X and Y directions, and further rotatable about the Z axis. Here, the X direction is defined as the main scanning direction and the Y direction is defined as the sub-scanning direction.
노광 장치(10)는, 노광 동작을 제어하는 묘화 제어부(여기에서는 도시하지 않음)를 갖춘다. 묘화 제어부에는, 여기에 도시하지 않은 모니터, 키보드 등이 접속되어 있고, 오퍼레이터의 조작에 따라 묘화 처리에 관한 셋팅이 수행된다. 돌출부(31)에 설치된 CCD 센서(19)는, 기판(W)의 변형 상태를 검출하고, 얼라이먼트가 조정된 후에 노광 동작이 수행된다.The
도 2는, 노광 헤드(201)의 내부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노광 헤드(202)도 같은 내부 구성으로 되어 있다.Fig. 2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exposure head 20 1 . The exposure head 20 2 also has the same internal structure.
도 1에 나타내는 광원(20a, 20b)로부터 방사된 조명광은, 조명 광학계(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DMD(22)로 유도된다. DMD(22)는, 수㎛~수십㎛의 미소(微小) 구형상 마이크로 미러를 매트릭스 상으로 2차원 배열시킨 광변조 디바이스이며, 예를 들면, 1024×768의 마이크로 미러에 의해 구성된다.The illumination light emitted from the
DMD(22)에서는, 메모리 셀에 격납되는 제어 신호(노광 데이터)에 근거해, 각 마이크로 미러가 각각 선택적으로 ON/OFF 제어된다. ON 상태의 마이크로 미러에서 반사한 광은 투영해야 하는 패턴에 따른 광속이며, 미러(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투영 광학계(24)로 유도된다.In the
투영 광학계(24)는, DMD(22)로부터의 광을 기판(W)의 노광면에 결상시키는 광학계로서, 제1 결상 광학계(25), 제2 결상 광학계(26), 그리고 화상 분할 광학계(30)를 갖춘다. 제1 결상 광학계(25)는, DMD(22)로부터의 패턴에 따른 광을 초점 위치에 있는 결상면(제1 결상면)에 결상시키는 것과 동시에, 패턴 상 전체를 소정 배율로 확대한다.The projection
화상 분할 광학계(30)는, 제1 결상 광학계(25)의 결상면에 형성되는 패턴 상을 6분할하고, 6개의 부분적 패턴 상(이하, 분할 패턴 상이라고 한다)을 형성한다. 화상 분할 광학계(30)에 의해 형성된 6개의 분할 패턴 상은, 제2 결상 광학계(26)에 의해 기판(W)의 노광면에 형성된다.The image dividing optical system 30 divides the pattern image formed on the image forming surface of the first imaging
상(像) 형성에 관해 말하면, 화상 분할 광학계(30)는 제2 결상 광학계(26)에 조입된 광학계로 간주할 수 있고, 제2 결상 광학계(26)의 전측(前側) 초점 위치에 있는 결상면은 제1 결상 광학계(25)의 결상면(초점 위치)에 일치하고, 또한, 후측 초점 위치에 있는 결상면은, 기판(W)의 노광면과 일치한다. 이하에서는, 제1 결상 광학계(25)의 결상면을 공역면이라고도 한다.With respect to image formation, the image-splitting optical system 30 can be regarded as an optical system inserted into the second imaging
기판(W)이 주주사 방향(X)에 따라 이동 함에 따라, DMD(22)에 의한 투영 에리어(노광 에리어)는 기판(W)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한다. 투영 에리어의 위치에 따른 패턴 광을 조사하도록 노광 동작이 정해진 노광 피치에 따라 실행된다. 이에 따라, 패턴이 주주사 방향에 따라 형성된다.The projection area (exposure area) by the
다른 노광 헤드(202)도 마찬가지이며, 래스터 주사를 하면서 노광 동작이 수행되어, 기판 전체에 패턴이 형성된다. 묘화 처리가 종료하면, 현상 처리, 에칭 또는 도금, 레지스트 박리 처리 등이 실시되어, 패턴이 형성된 기판이 제조된다.The same is true of the other exposure heads 20 2 , and an exposure operation is performed while raster scanning, whereby a pattern is formed over the entire substrate. Upon completion of the drawing process, development processing, etching or plating, resist stripping, and the like are performed to produce a substrate having a pattern formed thereon.
여기에서는 기판(W)의 이동 방향을 주주사 방향에 일치시키고 있지만, 기판(W)을 주주사 방향(X)에 대해 미소 경사진 상태에서 묘화 테이블(18)에 배치해도 무방하다. 이 경우, 묘화 테이블(18)이 주주사 방향(X)에 따라 이동할 때, 노광 에리어는 기판(W)의 길이 방향(X방향)에 대해 경사진 상태에서 상대 이동한다.Although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ubstrate W is in this case coincided with the main scanning direction, the substrate W may be arranged in the drawing table 18 in a slightly inclined state with respect to the main scanning direction X. In this case, when the drawing table 18 moves in the main scanning direction X, the exposure area moves relative to the substrate W in a tilted state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X direction).
노광 방식으로서는, 스텝&리피트 방식 혹은 연속 이동 방식에 의한 다중 노광 방식이 적용 가능하다. 스텝&리피트 방식에서는, 묘화 테이블(18)은 간헐적으로 X방향에 따라 이동하고, 그에 맞춰 각 마이크로 미러가 ON/OFF 제어된다. 한편, 연속 이동 방식에서는, 묘화 테이블(18)이 연속적으로 이동하면서 노광 피치에 따라 각 마이크로 미러가 ON/OFF 제어된다. 여기에서는, 연속 이동 방식이 적용되고 있다.As the exposure method, a multiple exposure method using a step-and-repeat method or a continuous transfer method is applicable. In the step-and-repeat method, the drawing table 18 is intermittently moved along the X direction, and each micromirror is ON / OFF controlled accordingly. On the other hand, in the continuous moving mode, each micromirror is ON / OFF controlled in accordance with the exposure pitch while the drawing table 18 is continuously moved. Here, the continuous movement system is applied.
다음으로, 도 3~12를 이용해, 패턴 상의 분할 및 투영 위치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패턴 상을 분할하지 않을 때(분할 광학계를 갖추지 않을 때)의 노광 에리어의 중심점, 즉 DMD의 중심 위치의 투영점을, X-Y-Z 좌표계의 원점으로 정해 설명한다.Next, with reference to Figs. 3 to 12, the division on the pattern image and the projection position will be describ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center point of the exposure area when the pattern image is not divided (when the division optical system is not provided), that is, the projection point of the center position of the DMD is defined as the origin of the X-Y-Z coordinate system.
도 3은, DMD에서의 패턴 상의 분할 영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기판의 노광면에 투영되는 6개의 분할 패턴 상의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view showing a divided area on a pattern in the DMD. 4 is a view showing positions of six divided patterns projected on an exposure surface of a substrate.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DMD(22)의 반사면에는, 주주사 방향에 따른 횡방향으로 등분할된 부분 영역(DM1~DM6)(이하, 분할 영역이라고 한다)이 정해진다. DMD(22) 전체에 의해 형성되는 패턴 상의 광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 분할 광학계(30)에 의해 부분 영역(DM1~DM6) 마다 서로 다른 위치로 투영된다. 투영된 분할 패턴 상(DA1~DA6)은, 각각 분할 영역(DM1~DM6)의 패턴 광에 의해 형성된다.As shown in Fig. 3, partial regions DM1 to DM6 (hereinafter, referred to as divided regions) equally divided in the lateral direction in accordance with the main scanning direction are defined on the reflective surface of the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6개의 분할 패턴 상(DA1~DA6)은, 주주사 방향(X)에 따라 서로 소정 간격 떨어져 투영되고, 또한, 부주사 방향(Y)에 따라 겹치지 않게 떨어져 있고, 서로 인접하는 주사 밴드(SB1~SB6)의 위치에 맞춰 투영된다. 즉, 만일 주주사 방향(X)에 관해 분할 패턴 상(DA1~DA6)을 같은 위치에 늘어놓으면, 부주사 방향(Y)에 관해 이어진 1개의 상이 된다.As shown in Fig. 4, the six divided pattern images DA1 to DA6 are project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part from one another in the main scanning direction X, are not overlapped with each other in the sub-scanning direction Y, And is projected in accordance with the positions of the scanning bands SB1 to SB6. That is, if the divided pattern images DA1 to DA6 are arranged at the same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main scanning direction X, one image is formed with respect to the sub-scanning direction Y. [
이 때의 부주사 방향(Y)에 따른 패턴 상의 정렬 순서는, 위로부터 분할 패턴 상(DA1, DA6, DA2, DA5, DA3, DA4)의 순서로 늘어선다. 즉, DMD(22)의 중심측에 위치하는 분할 영역(DM1, DM4)에 따른 분할 패턴 상(DA1, DA4)이 부주사 방향(Y)에 따라 원점에서 먼 위치에 투영되고, 그 옆의 분할 영역(DM2, DM5)의 분할 패턴 상(DA2, DA5)이, 분할 패턴 상(DA1, DA4)과 각각 같은 상한 내에서 부주사 방향(Y)에 따라 원점에서 보다 가까운 위치에 투영된다.The arrangement order on the pattern in the sub-scanning direction Y at this time is arranged in the order of the divided pattern images DA1, DA6, DA2, DA5, DA3, DA4 from above. That is, the divided pattern images DA1 and DA4 along the divided regions DM1 and DM4 located on the center side of the
한편, 분할 영역(DM3, DM6)의 분할 패턴 상(DA3, DA6)은, 분할 패턴 상(DA1, DA4), 분할 패턴 상(DA2, DA5)과는 다른 상한 내에 투영되고, 분할 패턴 상(DA2, DA4), 분할 패턴 상(DA1, DA5)의 중간 부근의 위치에 각각 투영된다.On the other hand, the divided pattern images DA3 and DA6 of the divided areas DM3 and DM6 are projected in an upper limit different from the divided pattern images DA1 and DA4 and the divided pattern images DA2 and DA5, , DA4, and the divided pattern images DA1 and DA5, respectively.
그 결과, 분할 패턴 상(DA1~DA6)의 투영 위치는, 부주사 방향(Y)에 관해 점대칭인 투영 위치 관계를 가진다. 즉, 분할 패턴 상(DA1, DA4), 분할 패턴 상(DA2, DA5), 분할 패턴 상(DA3, DA6)은, 원점에 관해 대칭인 위치 관계에 있다. 또한, DMD(22)의 오른쪽 절반의 부분 영역(DM1~DM3), 왼쪽 절반의 부분 영역(DM4~DM6)의 사이에 교대로 분할 패턴 상을 부주사 방향에 따라 투영하고 있으므로, 분할 패턴 상(DA1~DA3), 분할 패턴 상(DA4~DA6)은, 서로 보완하는 상보적인 관계에 있다.As a result, the projection positions of the divided pattern images DA1 to DA6 have a projection positional relationship in point symmetry with respect to the sub-scanning direction Y. [ That is, the divided pattern images DA1 and DA4, the divided pattern images DA2 and DA5, and the divided pattern images DA3 and DA6 are in a positional relationship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origin. Further, since the divided pattern image is alternately projected in the sub-scanning direction between the partial areas DM1 to DM3 on the right half of the
한편, 각 분할 패턴 상의 원점으로부터의 거리(투영 중심 위치까지의 거리)(XL)는 일치하지 않는다. 여기서 말하는 투영 중심이란, DMD(22)에 의한 패턴 상의 중심에 위치하는 광선이 화상 분할 광학계에 의해 분할(반사)되지 않고 피묘화체(기판 W)의 노광면에 도달했다고 가정할 때의 가상의 점이다. 또한, DMD(22)가 투영 광학계(24)의 광학 중심에 위치 맞춤 되고 있는 경우, 제1 결상 광학계(25), 제2 결상 광학계(26)의 광축과 노광면과의 교차하는 점을 투영 중심이라고 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istance (distance from the origin to the projection center position) XL on each divided pattern does not coincide. The projection center referred to here is a virtual center in the case where it is assumed that a light beam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pattern by the
이와 같이, 화상 분할 광학계(30)는, 분할 패턴 상(DA1~DA6)을, 종래와 같은 비스듬히 일렬 방향이 아니라, 모든 상한 내에 분포하도록 대체로 링 상으로 투영시킨다. 여기서 링 상에는, 원형 만이 아니라, 비원형의 고리나 다각형의 의미를 포함한다. 분할 패턴 상(DA1~DA6)은 이러한 도형 윤곽에 따라 배치되지만, 분할 패턴 상(DA1~DA6)의 방향은 링 접선 방향에 얽매이지 않고, 소정의 각도로 배치된다. 또한, 분할 패턴 상의 배치가 링을 상기시킬 필요는 없으며, 예를 들면 분할 패턴 상이 4개였다고 해도, 링 상으로 간주한다.In this way, the image division optical system 30 projects the divided pattern images DA1 to DA6 in a ring shape so as to be distributed in all the upper limits, not in a row direction, as in the conventional case. Here, the ring includes not only a circle but also a non-circular ring or polygon. The divided pattern images DA1 to DA6 are arranged along the contour of the figure but the divided pattern images DA1 to DA6 are not bound to the ring tangent direction and are arranged at a predetermined angle. Further, it is not necessary to arrange the divided patterns on the divided patterns, for example, even if the divided pattern images have four divided patterns, they are regarded as ring-shaped.
링 상 투영을 실현시키는 화상 분할 광학계(30)는, DMD(22)의 분할 영역(DM1~DM6)에 따라 6개의 미러 쌍을 갖추고, 각 미러 쌍은 평행 평면의 조(組)로서 구성된다. 이하, 미러 쌍에 대해 설명한다.The image division optical system 30 for realizing the ring image projection has six mirror pairs according to the divided regions DM1 to DM6 of the
도 5는, 분할 영역(DM1)에 따른 미러 쌍의 배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분할 영역(DM2)에 따른 미러 쌍의 배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분할 영역(DM3)에 따른 미러 쌍의 배치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5 is a diagram showing the arrangement of mirror pairs according to the divided area DM1. 6 is a diagram showing the arrangement of mirror pairs according to the divided area DM2. 7 is a diagram showing the arrangement of mirror pairs according to the divided area DM3.
도 5~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미러 쌍(32, 34, 36)은, 분할 영역(DM1, DM2, DM3)으로부터의 반사광을, 각각 분할 패턴 상(DA1, DA2, DA3)의 투영 위치(도 4 참조)로 유도하는 미러이며, 구형상의 분할 미러(32A, 34A, 36A)와 구형상 가이드 미러(32B, 34B, 36B)로 구성된다. 다만, 도 5~7에 도시한 각 미러의 사이즈는, 여기서는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DMD(22)의 각 분할 영역에 맞춘 사이즈로 그려져 있다.As shown in Figs. 5 to 7, the mirror pairs 32, 34, and 36 are arranged so that the reflected light from the divided areas DM1, DM2, and DM3 is projected onto the projection positions (degrees) of the divided pattern images DA1, DA2, 4), and is composed of spherical split mirrors 32A, 34A, 36A and spherical guide mirrors 32B, 34B, 36B. The sizes of the mirrors shown in Figs. 5 to 7 are drawn to fit the respective divided areas of the
분할 미러(32A)는, 그 반사면 전체가 공역면(CS)과 평행하지 않고, 공역면(CS)과 교차한다. 즉, 그 법선 방향이 공역면(CS)의 법선 방향과 평행이 아니라, 경사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공역면(CS)에 대해 수직인 Z축 방향에 따라 공역면(CS)으로부터의 거리는, 분할 미러(32A)의 장소에 따라 다르다.The
또한, 분할 미러(32A)의 구형상인 반사면은, 경사 주주사 방향(X), 부주사 방향(Y) 및 각각 소정의 각도로 경사져 있다. 즉, 분할 미러 반사면 각 변을 공역면(CS)에 투영했을 때에 규정되는 투영선은, X축, Y축에 대해 각각 평행이 아니라, 경사져 있다. 여기에서는, 이러한 분할 미러(32A)의 공역면(CS)에 대한 배치를 「공역면(CS) 근방에서의 경사 배치」라고 한다.Further, the spherical reflecting surface of the
주주사 방향(X), 부주사 방향(Y) 및 Z축에 대한 경사 각도는, 도 4에 나타내는 분할 패턴 상(DA1)의 투영 위치에 따라 정해진다. 도 4에서는, 분할 미러(32A), 가이드 미러(32B)에 의해, 2.5 주사 밴드의 거리만큼 분할 패턴 상(DA1)을 부주사 방향(Y)으로 쉬프트 시키고 있다.The inclination angles with respect to the main scanning direction X, the sub scanning direction Y and the Z axis ar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projection positions of the divided pattern image DA1 shown in Fig. In Fig. 4, the divided
주주사 방향(X)보다 부주사 방향(Y)에 관해 원점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분할 패턴 상(DA1)를 투영시키는 것으로부터, X축에 대한 경사 각도가 Y축에 대한 경사 각도보다 크다. 또한, 그 반사면의 법선 방향은 +Y방향, +X방향을 향하고 있다. 분할 미러(32A)와 평행 평면의 관계에 있는 가이드 미러(32B)는, 분할 미러(32A)로부터의 광을 제2 광학계(26)로 유도한다.The incl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X-axis is larger than the incl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Y-axis, since the divided pattern image DA1 is projected at a position away from the origin about the sub-scanning direction Y with respect to the main-scanning direction X. The normal direction of the reflection surface is directed to the + Y direction and the + X direction. The
도 6에 도시한 미러 쌍(34)의 분할 미러(34A)도, 공역면(CS)과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주주사 방향(X), 부주사 방향(Y)에 대해 각각 다른 각도로 경사져 있다. 부주사 방향(Y)보다 주주사 방향(X)에 관해 원점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분할 패턴 상(DA2)을 투영시키므로, Y축에 대한 경사 각도가 X축에 대한 경사 각도보다 크다. 또한, 분할 미러(32A)에 반사한 광과 간섭하지 않도록, 그 반사면의 법선 방향이 분할 미러(32A)에 보다 크고 +X측을 향하도록 경사져 있다. 도 6에서는, 분할 미러(34A), 가이드 미러(34B)에 의해, 0.5 주사 밴드분 만큼 부주사 방향(Y)으로 쉬프트 시키고 있다.The
게다가, 도 7에 도시한 미러 쌍(36)의 분할 미러(36A)도, 공역면(CS)과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주주사 방향(X), 부주사 방향(Y)에 대해 각각 다른 각도로 경사져 있다. 여기에서는, 분할 패턴 상(DA1)을 제4 상한에 투영시키기 위해, 그 반사면의 법선 방향은 -X, -Y방향을 향하고 있다. 도 7에서는, 분할 미러(36A), 가이드 미러(36A)에 의해, 1.5 주사 밴드분 만큼 부주사 방향(Y)의 마이너스 방향으로 쉬프트 시키고 있다.The
도 8은, 분할 미러(36A)의 공역면(CS)에 대한 배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분할 미러(36A)의 배치 각도를 나타낸 도면이다.8 is a diagram showing the arrangement of the
분할 미러(36A)는, 그 중심이 공역면(CS) 상에 위치하도록 경사져 있고, 공역면(CS)과 교차하는 라인(36AC)을 사이에 두고 공역면(CS)으로부터 상측(-Z방향)의 영역과 하측의 영역(+Z방향)으로 나누어진다. 분할 미러(36A)의 변(邊)(이하, 분할 변이라고 한다)(36AL)의 공역면(CS)에 대한 경사 각도는, 인설(隣設)하는 분할 미러(34A)(도 6 참조)의 분할 변의 경사 각도와는 상이하고, X축 방향에서 보면 서로의 변은 교차한다. 분할 미러(36A), 가이드 미러(36B)에 의해 투영 패턴 상(DA3)이 원점으로부터 +X방향, -Y방향으로 이동하고 있는 것으로부터 분명한 것처럼, 교차 라인(36AC)은 주주사 방향(X), 부주사 방향(Y)에 대해 경사져 있다.The upper side from the dividing mirrors (36A) has its center is a conjugated surface (CS), and inclined so as to be positioned on, the conjugated surfaces (CS) conjugate surface (CS) across the line (36A C) intersecting the (-Z direction ) And the lower region (+ Z direction). The incl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conjugate plane CS of the side of the divided
도 9에 도시한 분할 미러(36A)의 공역면(CS)에 대한 경사 각도(α)는, 가능한 한 미러 양 선(36AE)이 공역면(CS)으로부터 떨어지지 않는 각도로 정해진다. 예를 들면, 30°이하, 15°이하로 정해진다. 경사 각도(α)를 미소 각도로 하는 것에 의해, 인접하는 분할 미러와의 간섭을 피할 수 있다. 다른 분할 미러(32A, 34A)도, 똑같이 정해진다.The inclination angle alpha with respect to the conjugate plane CS of the
또한, 투영 광학계(24)의 초점 심도는, 분할 패턴 상이 각각 합초(合焦) 범위에 들어가는 초점 심도이다. 각 분할 미러의 공역면(CS)에 대한 경사 각도는, 분할 패턴 상에 요구되는 선명함을 유지하기 위한 초점 심도의 범위 내에 들어가도록 정해진다. 초점 심도의 범위는, 요구되는 패턴의 해상도, 투영 광학계(24)의 광학 특성 등에 따른다. 예를 들면, 분할 미러(36)의 경사 각도는, 적어도 45°, 30°, 혹은 15°이하로 정하면 좋다.The depth of focus of the projection
도 10은, 3개의 분할 미러 및 가이드 미러의 배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3개의 분할 미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2는, 가이드 미러의 배치를 나타낸 도면이다.10 is a diagram showing the arrangement relationship of three split mirrors and guide mirrors.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ree divided mirrors. 12 is a diagram showing the arrangement of the guide mirrors.
상술한 것처럼, 분할 패턴 상(DA1, DA2, DA3)은, 일조(一組)의 평행 평면으로 구성되는 미러 쌍(32A, 32B)(32), 미러 쌍(34A, 34B)(34), 미러 쌍(36A, 36B)(36)에 의해 도 10에 나타내는 위치에 투영된다. 분할 미러(32A, 34A, 36A), 및 가이드 미러(32B, 34B, 36B)의 사이즈는, DMD(22)의 각 분할 영역에 따른 공역면(CS) 상에서의 투영 영역보다 크다.As described above, the divided pattern images DA1, DA2, and DA3 include mirror pairs 32A, 32B, and 32, a pair of
특히, 가이드 미러(32B, 34B, 36B)는, 분할 미러(32A, 34A, 36A)가 결상면인 공역면(CS)에 대해 경사져 있으므로, 분할 패턴 상의 광속의 확산을 고려한 사이즈로 정해져 있다. 또한, 도 5~7, 10에는, 분할 패턴 상(DA1~DA3)의 광속의 확대 범위(LM)를 나타내고 있다.Particularly, the guide mirrors 32B, 34B, and 36B are determined to have a size considering the diffusion of the light flux on the divided pattern because the split mirrors 32A, 34A, and 36A ar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conjugate plane CS as the image plane. Figs. 5 to 7 and 10 show the enlargement range LM of the luminous flux of the divided pattern images DA1 to DA3.
또한, 가이드 미러(32B, 34B, 36B)는, -Z방향에 따른 임의의 X-Y평면으로부터의 거리(미러 중심 위치까지의 거리)가 동일해지도록 배치되고 있다. 도 12에서는, 각 가이드 미러로부터 공역면(CS)까지의 거리 Z0가 동일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분할 미러(32A, 34A, 36A)로부터 분할 패턴 상(DA1~DA3)이 투영되는 노광면까지의 광로 길이가 모두 같아지도록, 가이드 미러(32B)가 배치되고 있다.The guide mirrors 32B, 34B, and 36B are arranged so that the distance from an arbitrary X-Y plane along the -Z direction (distance from the mirror center position) is the same. In Fig. 12, it is shown that the distance Z0 from each guide mirror to the conjugate plane CS is the same. A
DMD(22)의 분할 영역(DM4~DM6)에 맞춰 배치되는 3개의 미러 쌍(도시하지 않음)도, 같은 배치가 되고, 6개의 분할 미러가 서로 이웃하면서, 각각 주주사 방향(X), 부주사 방향(Y)에 따라 다른 각도로 경사져 있다. 분할 영역(DM4, DM5, DM6)에 따른 분할 미러의 경사 각도는, 각각, 분할 미러(32A, 34A, 36A)에 대칭적인 각도이며, 주주사 방향(X), 부주사 방향(Y)의 정부(正負)가 역(逆)이 된다. 또한, 6개의 분할 미러로부터 분할 패턴 상(DA1~DA6)까지의 광로 길이는, 모두 동일하다.Three mirror pairs (not shown) arranged in alignment with the divided areas DM4 to DM6 of the
도 13은, 묘화 장치에 설치된 묘화 제어부의 블록도이다.13 is a block diagram of a rendering control unit provided in the rendering apparatus.
묘화 제어부(50)는, 외부의 워크스테이션(도시하지 않음)과 접속되어, 모니터(50B), 키보드(50C)가 접속되는 노광 제어부(52)를 갖춘다. 노광 제어부(52)는, 노광 동작 처리를 제어하고, 노광 데이터 생성부(76), 타이밍 컨트롤 회로(73), 묘화 테이블 제어 회로(53), 광원 제어부(61) 등의 회로에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노광 동작 처리를 제어하는 프로그램은, 노광 제어부(52) 내의 ROM(도시하지 않음)에 격납되고 있다.The
워크스테이션(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노광 제어부(52)에 입력되는 패턴 데이터는, 묘화 패턴의 위치 정보(윤곽 위치 정보)를 가지는 벡터 데이터(CAD/CAM 데이터)로서, X-Y좌표계에 근거한 위치 좌표 데이터로서 나타내진다.The pattern data input from the work station (not shown) to the
제1~ 제6 래스터 데이터 생성부(721~726)는, 벡터 데이터를 변환하고, 각각, 주사 밴드(SB1, SB2, SB3)에 묘화해야 하는 패턴의 래스터 데이터를 순차 생성한다. 생성된 래스터 데이터는, 각각 제1~ 제6 버퍼 메모리(741~746)에 일시적으로 격납된다.The first to sixth raster data generation units 72 1 to 72 6 convert vector data and sequentially generate raster data of patterns to be drawn on the
각 버퍼 메모리에 일시적으로 격납되는 래스터 데이터는, 노광 피치에 맞춰 출력된다. 즉, 노광 피치분 만큼 부분 투영 에리어가 이동하여 다음의 노광 동작을 실행 가능해졌을 때, 래스터 데이터 출력이 수행된다. 제1~ 제6 래스터 데이터 생성부(721~726)에서의 래스터 데이터의 출력 제어는, 노광 제어부(52)에 설치된 어드레스 제어 회로(도시하지 않음)에서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근거해 수행된다.The raster data temporarily stored in each buffer memory is outputted in accordance with the exposure pitch. That is, when the partial projection area moves by the exposure pitch and the next exposure operation becomes possible, raster data output is performed. The output control of the raster data in the first to sixth raster data generators 72 1 to 72 6 is performed based on the control signal outputted from the address control circuit (not shown) provided in the
래스터 데이터가 노광 데이터 생성부(76)에 보내지면, 노광 데이터 생성부(76)에서는, 분할 패턴 상(DA1~DA6)의 각 투영 에리어의 위치에 따른 래스터 데이터가 통합되어, DMD(22)의 각 마이크로 미러를 ON/OFF 제어하는 신호가, DMD(22) 전체에 대한 하나의 노광 데이터로서 생성된다. DMD(22)에서는, 노광 데이터 생성부(76)로부터 출력되는 노광 데이터에 근거해, 마이크로 미러가 ON/OFF 제어된다.When the raster data is sent to the exposure
타이밍 컨트롤 회로(73)는, 버퍼 메모리(741~746), 노광 데이터 생성부(76) 등에 대해, 타이밍 조정을 위해 클록 펄스 신호를 동기 신호로서 출력한다. 또한, CCD 센서(19)로부터 출력되는 화상 신호에 근거해, 화상 처리부(62)는 기판(W)에 형성된 얼라이먼트 마크의 위치를 검출한다.The
묘화 테이블 제어 회로(53)는, 구동 회로(54)를 통해 모터(도시하지 않음)를 갖춘 X-Y 스테이지 기구(56)를 제어하고, 이에 따라 묘화 테이블(18)의 이동 속도, 기판 이송 방향 등이 제어된다. 위치 검출 센서(55)는, 묘화 테이블(18)의 위치, 즉 부분 패턴 상(DA1~DA6)의 투영 위치에 대해, 묘화 테이블(18)에 대한 상대적 위치를 검출한다.The drawing
노광 헤드(202)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래스터 데이터 변환 처리, DMD 구동 처리 등에 관한 회로(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고, 같은 노광 동작 처리가 수행된다.Similarly to the exposure head 20 2 , a circuit (not shown) relating to raster data conversion processing, DMD driving processing, and the like is provided, and the same exposure operation processing is performed.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각각 분할 미러와 가이드 미러로 구성된 평행 평면의 조인 6개의 미러 쌍을 갖춘 화상 분할 광학계(30)가, DMD(22)로부터의 패턴 상을 DMD(22)의 분할 영역(DM1~DM6)에 따라 6분할하고, 6개의 분할 패턴 상(DA1~DA6)을 주주사 방향(X), 부주사 방향(Y)에 따라 서로 떨어지도록 투영 위치를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스루 풋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image dividing optical system 30 having six mirror pairs of the parallel planes composed of the split mirror and the guide mirror divides the pattern image from the
평행 평면 관계에 있는 미러 쌍을 복수 배치하는 것에 의해 패턴 상을 분할 함으로써, 간이(簡易)한 광학계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4개 혹은 그 이상의 수만큼 패턴 상을 분할할 수 있다. 특히, 중심측의 분할 패턴 상을 부주사 방향에 관해 가장 떨어진 위치에 투영시키기 때문에, 분할 패턴 상의 거리 간격을 넓힐 수 있다.It is possible to construct a simple optical system by dividing the pattern image by arranging a plurality of pairs of mirrors in a parallel planar relationship, and it is possible to divide the pattern image by four or more. Particularly, since the divided pattern image on the center side is projected at the farthest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sub-scanning direction, the distance interval on the divided pattern can be widened.
그리고, 중심측의 분할 미러에 인접하는 중간 위치의 분할 미러에 대해서는, 주주사 방향에 대해 가장 떨어진 위치에 분할 패턴 상을 투영하고, 인접 분할 미러 사이에서의 분할 패턴 상의 투영 위치 거리 간격을 길게 한다. 이에 따라, 인접하는 미러 사이에서의 간섭을 피할 수 있다. 특히, 패턴 상의 우측 절반, 좌측 절반의 분할 패턴 상을 부주사 방향에 따라 교대로 늘어놓는 것에 의해, 보다 큰 투영 위치의 거리 간격을 취할 수 있다. 또한, 인접하는 미러 사이에서의 광의 간섭이 없도록 분할 미러의 경사 각도를 억제 함으로써, 광량 로스를 억제해 필요한 해상도를 얻을 수 있다.Then, for the divided mirror at the intermediate position adjacent to the center-side divided mirror, the divided pattern image is projected at the position most distant from the main-scan direction, and the projection position distance interval on the divided pattern between the adjacent divided mirrors is lengthened. Thus, interference between adjacent mirrors can be avoided. In particular, by arranging the divided pattern images on the right half and the left half of the pattern alternately along the sub-scan direction, a distance interval of a larger projection position can be obtained. In addition, by suppressing the tilting angle of the split mirror so that there is no interference of light between adjacent mirrors, the loss of light amount can be suppressed and necessary resolution can be obtained.
게다가, 분할 패턴 상(DA1~DA6)의 투영 위치가, 그 중심에 관해 점대칭적인 위치 관계에 있고, 패턴 상의 좌측 절반, 우측 절반의 분할 패턴 상이 상보적인 위치 관계에 있으므로, 묘화 처리에서의 묘화 타이밍의 조정 등을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분할 패턴 상(DA1~DA)을 링 상으로 배치함과 동시에, 분할 패턴 상(DA1~DA6)이 투영되는 노광면까지의 전 광로 길이가 동일해지도록 분할 미러 쌍(각 가이드 미러)을 배치 함으로써, 각 분할 패턴 상의 선명함이 균일해진다.In addition, since the projection positions of the divided pattern images DA1 to DA6 are in point-symmetrical positional relationship with respect to the center thereof and the left half and the right half of the divided pattern image in the right half are in a complementary positional relationship, Can be easily set. Then, the divided pattern images DA1 to DA are arranged in a ring shape, and the divided mirror pairs (each guide mirror) is arranged so that the total optical path length to the exposure surface on which the divided pattern images DA1 to DA6 are projected becomes the same The clearness on each divided pattern becomes uniform.
패턴 상의 분할 수는 임의이며, 임의의 짝수로 분할할 수 있다. 이 경우, 분할 수에 맞춰 미러 쌍을 배치하면 좋다. 또한, 패턴 상을 홀수로 분할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number of divisions on the pattern is arbitrary, and can be divided into any even number. In this case, the mirror pair may be arranged in accordance with the number of divisions. It is also possible to divide the pattern image into odd numbers.
도 14는, 홀수로 분할할 때의 DMD에서의 분할 영역을 나타낸 도면이다. DMD(22')의 반사면을 5등분 함에 따라 정해지는 5개의 분할 영역(DM1~DM5)에 맞춰 5개의 미러 쌍이 배치된다. 분할 미러의 경사 각도에 대해서는, 짝수의 분할 시와 마찬가지로 정해진다.Fig. 14 is a diagram showing a divided area in the DMD when dividing into odd numbers. Fig. Five mirror pairs are arranged in accordance with five divided areas DM1 to DM5 determined by dividing the reflecting surface of the
본 실시 형태에서는, 분할 패턴 상은 투영 중심으로부터 X, Y방향 각각 떨어지도록 분할 미러의 경사 각도가 설정되어 있지만, 예를 들면 중지측(中止側) 분할 미러(32A)의 변을 정사영(正射影) 했을 때의 투영선이 X방향, Y방향에 따라 평행해지도록 경사지게 해도 무방하다.In this embodiment, the tilt angle of the split mirror is set such that the divided pattern image is spaced apart from the center of the projection in the X and Y directions. However, for example, the side of the stop side split
10: 묘화 장치(노광 장치)
22: DMD(광변조 소자 어레이)
24: 투영 광학계
25: 제1 결상 광학계(제1 광학계)
26: 제2 결상 광학계(제2 광학계)
30: 화상 분할 광학계
32, 34, 36: 미러 쌍
32A, 34A, 36A 분할 미러
32B, 34B, 36B 가이드 미러10: Drawing device (exposure device)
22: DMD (Optical Modulator Array)
24: projection optical system
25: First imaging optical system (first optical system)
26: Second imaging optical system (second optical system)
30: Image division optical system
32, 34, 36: mirror pair
32A, 34A, 36A split mirror
32B, 34B, 36B guide mirrors
Claims (10)
상기 광변조 소자 어레이에서 반사한 광을, 피묘화체의 노광면에 결상시키는 투영 광학계를 갖추고,
상기 투영 광학계가,
상기 광변조 소자 어레이로부터의 패턴 상의 광을, 제1 결상면에 결상시키는 제1 광학계와,
분할 영역에 따라 상기 제1 결상면에 형성되는 패턴 상을 분할해, 복수의 분할 패턴 상을 형성하는 복수의 미러 쌍을 가지는 화상 분할 광학계와,
상기 복수의 분할 패턴 상의 광을 상기 노광면에 결상시키는 제2 광학계를 가지고,
상기 복수의 미러 쌍 각각이, 제1 결상면과 교차하도록 배치되는 분할 미러와, 상기 분할 미러와 평행이며 상기 분할 미러로부터의 광을 상기 제2 광학계로 유도하는 가이드 미러를 가지고,
복수의 분할 미러가, 복수의 분할 패턴 상이 주주사 방향 및 부주사 방향에 따라 서로 떨어져 투영되도록, 제1 결상면에 대해 각각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광 장치용 노광 헤드.An optical modulator array in which a plurality of optical modulators are two-dimensionally arrayed,
And a projection optical system for imaging the light reflected by the optical modulation element array onto an exposure surface of the imaging element,
Wherein the projection optical system includes:
A first optical system for forming light on a pattern from the optical modulation element array on a first imaging plane,
An image division optical system having a plurality of mirror pairs for dividing a pattern image formed on the first imaging plane according to a division region and forming a plurality of division pattern images;
And a second optical system for forming light on the plurality of divided patterns on the exposure surface,
Each of the plurality of mirror pairs includes a split mirror disposed so as to intersect the first imaging plane and a guide mirror that is parallel to the split mirror and guides the light from the split mirror to the second optical system,
Wherein the plurality of split mirrors are inclined relative to the first imaging plane so that a plurality of divided pattern images are projected away from each other in the main scanning direction and the sub scanning direction.
상기 복수의 분할 미러가, 복수의 분할 패턴 상이 노광면에서 링 상으로 투영되도록, 각각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광 장치용 노광 헤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lurality of divided mirrors are each inclined so that a plurality of divided pattern images are projected from the exposure surface to the ring surface.
상기 복수의 분할 미러가, 노광면 투영 중심에 따라 규정되는 4개의 상한 내 각각에 적어도 1개의 분할 패턴이 노광면에 투영하도록, 각각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광 장치용 노광 헤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each of the plurality of divided mirrors is inclined such that at least one divided pattern is projected on the exposure surface in each of four upper limits defined along the center of the projection surface of the exposure surface.
중심측에 위치하는 중심측 분할 미러가, 노광면 투영 중심으로부터의 거리가 주주사 방향보다 부주사 방향에 따라 떨어진 위치에 분할 패턴 상이 투영되도록,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광 장치용 노광 헤드.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center-side split mirror located at the center side is inclined such that the divided pattern image is projected at a position where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exposure surface projection is more distant from the main scanning direction in the sub-scan direction.
상기 중심측 분할 미러와 인접하는 분할 미러가, 노광면 투영 중심으로부터의 거리가 부주사 방향보다 주주사 방향에 따라 떨어진 위치에 분할 패턴 상이 투영되도록,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광 장치용 노광 헤드.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divisional mirror adjacent to the center-side split mirror is inclined so that the divided pattern image is projected at a position where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exposure surface projection center is away from the sub-scan direction in the main-scan direction.
상기 복수의 분할 미러가, 패턴 상의 일방의 절반의 영역에 따른 분할 패턴 상과, 타방의 절반의 영역에 따른 분할 패턴 상이 노광면 투영 중심에 관해 점대칭적 관계가 되도록, 각각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광 장치용 노광 헤드.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plurality of divided mirrors are each inclined such that a divided pattern image according to one half region of the pattern and a divided pattern image corresponding to the other half region have a point symmetrical relationship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projection surface of the exposure surface An exposure head for an exposure apparatus.
상기 복수의 가이드 미러가, 상기 복수의 분할 미러로부터 노광면까지의 각각의 광로 길이가 동일해지도록, 제1 결상면 수직 방향에 따라 그 중심이 같은 위치에 배치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광 장치용 노광 헤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plurality of guide mirrors are disposed at the same center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first imaging plane so that the respective optical path lengths from the plurality of divided mirrors to the exposure plane become equal to each other Exposure head.
상기 복수의 분할 미러가, 제1 결상면에 대해, 상기 투영 광학계의 초점 심도에 따른 각도로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광 장치용 노광 헤드.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plurality of split mirrors are inclined at an angle in accordance with the depth of focus of the projection optical system with respect to the first imaging plane.
분할 영역에 따라 상기 제1 결상면에 형성되는 패턴 상을 제1 결상면 근방에서 적어도 4개로 분할 함으로써, 적어도 4개의 분할 패턴 상을 형성하는 화상 분할 광학계와,
적어도 4개의 분할 패턴 상의 광을 상기 노광면에 결상시키는 제2 결상 광학계를 갖추고,
상기 화상 분할 광학계가, 복수의 분할 패턴 상이 주주사 방향 및 부주사 방향에 따라 서로 떨어져 투영되도록, 적어도 4개의 분할 패턴 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광 장치용 투영 광학계.A first imaging optical system for forming light on a pattern from a light modulation element array in which a plurality of optical modulation elements are two-dimensionally arrayed on a first imaging plane,
An image division optical system for forming at least four divided pattern images by dividing a pattern image formed on the first imaging plane according to a divided area into at least four near the first imaging plane,
And a second imaging optical system for forming light on at least four divided patterns on the exposure surface,
Wherein the image forming optical system forms at least four divided pattern images so that a plurality of divided pattern images are projected away from each other in accordance with the main scanning direction and the sub scanning dire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5212606A JP6590638B2 (en) | 2015-10-29 | 2015-10-29 | Exposure head for exposure apparatus and projection optical system for exposure apparatus |
JPJP-P-2015-212606 | 2015-10-29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51297A true KR20170051297A (en) | 2017-05-11 |
KR102439363B1 KR102439363B1 (en) | 2022-09-02 |
Family
ID=58713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39879A Active KR102439363B1 (en) | 2015-10-29 | 2016-10-26 | Exposure head for exposure apparatus and projection optical system for exposure apparatus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1) | JP6590638B2 (en) |
KR (1) | KR102439363B1 (en) |
CN (1) | CN106873311B (en) |
TW (1) | TWI707159B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9079029A (en) | 2017-10-24 | 2019-05-23 | キヤノン株式会社 | Exposure equip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article |
WO2019082727A1 (en) * | 2017-10-24 | 2019-05-02 | キヤノン株式会社 | Exposure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rticles |
CN108312505A (en) * | 2018-02-05 | 2018-07-24 | 中山新诺科技股份有限公司 | A kind of the 3D molding machines and method of DMD scanning imageries |
JP7169480B1 (en) * | 2022-06-24 | 2022-11-10 | 株式会社オーク製作所 | Exposure head for exposure equipment and exposure equipment |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255593A (en) * | 2000-03-08 | 2001-09-21 | Konica Corp | Digital recording material printer |
JP2003218026A (en) * | 2001-12-28 | 2003-07-31 | Asml Netherlands Bv | Lithographic apparatus and device manufacturing method |
KR20060049398A (en) * | 2004-06-17 | 2006-05-18 | 후지 샤신 필름 가부시기가이샤 | Writing device and drawing method |
WO2007100087A1 (en) * | 2006-03-03 | 2007-09-07 | Nikon Corporation | Exposure apparatus and device manufacturing method |
JP2007304517A (en) * | 2006-05-15 | 2007-11-22 | Shinko Electric Ind Co Ltd | Exposure method and device for direct drawing system |
JP2012527006A (en) * | 2009-05-12 | 2012-11-01 | オルボテック リミテッド | Optical imaging system |
JP2012247711A (en) | 2011-05-30 | 2012-12-13 | Orc Manufacturing Co Ltd | Exposure device |
JP2014092707A (en) | 2012-11-05 | 2014-05-19 | Orc Manufacturing Co Ltd | Exposure apparatus |
-
2015
- 2015-10-29 JP JP2015212606A patent/JP6590638B2/en active Active
-
2016
- 2016-10-14 TW TW105133179A patent/TWI707159B/en active
- 2016-10-26 KR KR1020160139879A patent/KR102439363B1/en active Active
- 2016-10-28 CN CN201610971760.6A patent/CN106873311B/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255593A (en) * | 2000-03-08 | 2001-09-21 | Konica Corp | Digital recording material printer |
JP2003218026A (en) * | 2001-12-28 | 2003-07-31 | Asml Netherlands Bv | Lithographic apparatus and device manufacturing method |
KR20060049398A (en) * | 2004-06-17 | 2006-05-18 | 후지 샤신 필름 가부시기가이샤 | Writing device and drawing method |
WO2007100087A1 (en) * | 2006-03-03 | 2007-09-07 | Nikon Corporation | Exposure apparatus and device manufacturing method |
JP2007304517A (en) * | 2006-05-15 | 2007-11-22 | Shinko Electric Ind Co Ltd | Exposure method and device for direct drawing system |
JP2012527006A (en) * | 2009-05-12 | 2012-11-01 | オルボテック リミテッド | Optical imaging system |
JP2012247711A (en) | 2011-05-30 | 2012-12-13 | Orc Manufacturing Co Ltd | Exposure device |
JP2014092707A (en) | 2012-11-05 | 2014-05-19 | Orc Manufacturing Co Ltd | Exposure apparatu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39363B1 (en) | 2022-09-02 |
JP2017083676A (en) | 2017-05-18 |
TW201719231A (en) | 2017-06-01 |
JP6590638B2 (en) | 2019-10-16 |
CN106873311A (en) | 2017-06-20 |
CN106873311B (en) | 2020-09-04 |
TWI707159B (en) | 2020-10-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201178B2 (en) | Image recording device | |
KR100524002B1 (en) | Pattern writing apparatus and pattern writing method | |
JP4320694B2 (en) | Multiple exposure drawing apparatus and multiple exposure drawing method | |
KR102439363B1 (en) | Exposure head for exposure apparatus and projection optical system for exposure apparatus | |
US20120026272A1 (en) | Optical imaging system | |
CN110456612A (en) | A kind of high efficiency projecting etching imaging system and exposure method | |
JP2008003504A (en) | Drawing system | |
JP4390189B2 (en) | Pattern drawing device | |
US7248333B2 (en) | Apparatus with light-modulating unit for forming pattern | |
KR102415432B1 (en) | Exposure device and exposure method | |
JP2008070785A (en) | Exposure apparatus | |
JP5357617B2 (en) | Exposure equipment | |
JP7169480B1 (en) | Exposure head for exposure equipment and exposure equipment | |
JP5360379B2 (en) | Projection optical system, exposure apparatus, and device manufacturing method | |
JP2009145494A (en) | Focus position detection method and drawing apparatus | |
KR101854521B1 (en) | System for exposure using DMD | |
KR102775050B1 (en) | Exposure device and exposure method | |
JP4801931B2 (en) | Drawing device | |
JP6633925B2 (en) | Exposure apparatus and exposure method | |
JP2024134878A (en) | Exposure Equipment | |
JP2008070677A (en) | Exposure apparatus | |
JP2007292993A (en) | Projecting apparatus | |
KR20080025303A (en) | Exposure equipment | |
JP2021124548A (en) | Pattern exposure device and pattern exposure method | |
KR20240143740A (en) | Exposure head for exposure device, exposure device, and exposure meth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026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081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6102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12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71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8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08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