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70050872A - 키토산과 식물추출물을 이용한 천연식품보존용 조성물과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키토산과 식물추출물을 이용한 천연식품보존용 조성물과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0872A
KR20170050872A KR1020150152915A KR20150152915A KR20170050872A KR 20170050872 A KR20170050872 A KR 20170050872A KR 1020150152915 A KR1020150152915 A KR 1020150152915A KR 20150152915 A KR20150152915 A KR 20150152915A KR 20170050872 A KR20170050872 A KR 201700508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ecular weight
microemulsion
chitosan
low molecular
composi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29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공수
Original Assignee
김공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공수 filed Critical 김공수
Priority to KR10201501529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50872A/ko
Publication of KR201700508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0872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23L3/3562
    • A23L3/3472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9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ood processing or handling, e.g. food conserva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otan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Food Preservation Except Freezing, Refrigeration, And Dr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분자량 키토산 및 식물추출물을 이용한 천연식품보존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저분자량 키토산용액에 식물성 정유 및 항균성 식물추출물을 유화시켜 마이크로에멀젼을 형성시키고, 이를 이용하여 천연식품보존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조되는 천연식품보존용 조성물은 식물성 정유와 항균성 식물추출물이 저분자량 키토산용액과 마이크로에멀젼을 형성하고 있어서 항균활성을 크게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항균력이 오랜기간 지속되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서 제조되는 천연식품보존용 조성물은 각종 식재료 및 식품의 변질과 부패방지에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각종 채소, 과일 등으로 조리되는 각종 음료류, 발효주류, 제과류, 생선 및 육가공품류, 수산식품의 변질을 방지하고, 생선건조, 양어 및 가축사료 등에 광범위하게 이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키토산과 식물추출물을 이용한 천연식품보존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Preparation Method of the Composit for use Preservation of Natural Food using Chitosan and Extract of Plant}
본 발명은 키토산 및 식물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천연식품보존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저분자량 키토산용액에 식물성 정유 및 식물추출물을 유화시켜 마이크로에멀젼을 형성시킨 후, 식물추출물에 분산.안정화시키는 방법으로 인체에 무해, 무독한 천연식품보존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저분자량 키토산과 식물성 정유 및 식물추출물을 유화시켜 제조되는 천연식품보존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키토산은 현재 알려진 여러가지 천연물계 항균제 중 효능과 안정성이 확인된 천연식품첨가물로서, 분자량별로 물성과 기능성이 다르기 때문에 그 용도가 매우 다양하다.
또한, 키토산은 생분해성 천연다당류로서 분자량 크기에 따라 농업, 식품, 화장품분야에서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분자량이 비교적 낮은 저분자량 키토산을 이용한 화장품, 식품보존료, 세정제, 보습제 등이 많이 상용화되고 있다.
저분자량 키토산 및 키토산올리고당에 관한 특허기술, 일본특개소 63-120701호에서는 키토산을 아염소산나트륨 및 과산화수소 수용액 중에서 분해하여 분자량이 5천~5만 단위의 다분산성 저분자량 키토산의 제조방법을 공지하고 있으며, 일본특허 특원평 2-214664호에서는 키토사나제(Chitosanaze)를 사용한 효소분해법으로 키토산올리고당의 제조방법을 공지하고 있다.
상기 특허기술에서 이용되고 있는 키토산분 해방법으로 제조되는 저분자량 키토산 및 키토산올리고당은 분자량분포가 넓고, 다분산성이기 때문에 항균성이 비교적 약한 것이 단점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 있는 광분해법에 의한 키토산 분해방법에서는 광촉매가 분해속도를 촉진시켜 자외선의 조사시간에 따라 분해율이 증대되고, 자외선의 조사시간을 적당히 조정함으로써 분자량조절이 가능하며, 순도가 100%인 저분자량 키토산을 고효율로 제조되는 특징이 있다.
식물의 꽃, 잎, 줄기, 껍질, 뿌리, 열매 및 종자 등 선택된 1종이상의 부위로부터 항균활성이 있는 식물성 정유를 포함하는 항균성 식물추출물을 추출하여 얻을 수 있다.
항균성이 있는 식물성 정유 중에서는 카놀라(Canola), 로즈제라늄(rose geranium), 타임 (thyme), 타임화이트(Thyme white). 타임레드(Thyme red), 클로브버드(clove bud), 피마자(castor), 님오일(Neem oil) 등이 비교적 항균활성이 큰 것으로 보고되어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식물추출물 중에서는 자몽종자, 계피, 겨자, 산초, 울금, 살구씨, 포도씨, 동백씨, 아마씨, 솔잎, 은행잎, 감잎, 녹차잎, 대나무잎, 쇠비름, 소리쟁이, 자리공, 산초나무, 주목나무, 측백나무 등이 항균력 및 살균력이 강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키토산을 효소분해방법으로 제조한 분자량이 비교적 작은 수용성 키토산올리고당을 이용한 천연항균제, 식품보존용 천연식품첨가물에 관하여는 일본 특개평 8-23891호, 일본 특개평11-28062호에서 식품보존료의 제조방법과 그의 식품보존성에 관하여 공지된 이래 많은 특허기술들이 개발된 바 있다.
대한민국특허 10-1428683호에서는 키토산올리고당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품보존료에 관하여 공지하고 있으며, 대한민국특허 10-0799270호에서는 산초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천연항균조성물의 제조방법과 그의 항균활성에 관하여 공지하고 있다.
상기 특허기술에서는 키토산올리고당에 식물추출물을 단순 혼합한 식품보존용 조성물로서 항균활성과 식품보존효과의 지속성이 약한 것이 결점이다.
최근에는 대한민국특허 10-1324309호에서 생약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균활성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대한민국특허 10-10078699호에서 식품보존성을 갖는 수용성 감초추출물의 제조방법, 대한민국특허 10-0465831호에서 과채류의 저장성을 향상시키는 식물유래의 천연항균제 및 그 제조방법 등을 공지하고 있다.
상기 특허기술에서는 식물추출물을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단순 혼합시킨 조성물로서, 각종 유해세균, 곰팡이균 및 병원성균의 발생과 증식억제효과가 제한적이고, 식품보존효과 면에서 지속성의 한계점을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키토산의 항균작용을 식품보존용 식품첨가물로 응용하는 경우에 보통 100~1,000ppm 정도를 첨가하면 보존효과를 나타내게 되며, 첨가량이 증가할 수록 보존효과도 증대된다. 그러나 첨가량이 너무 많아지면 키토산의 독특한 쓴맛과 냄새 때문에 식품의 맛과 냄새를 변질시킬 수 있으며, 식품의 맛에 악영향을 주게된다.
상기 키토산을 이용한 천연식품보존료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항균력과 동시에 살균력을 상승시키고, 오랜기간 지속시킬 수 있는 특수 제제화기술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상기 천연식품보존료에 관한 종래기술이 안고 있는 여러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항균활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항균활성을 오랜기간 지속시킬 수 있는 새로운 천연식품보존용 조성물의 개발이 시급히 해결해야 할 기술적 과제이다.
최근, 학교 급식제도가 확대 실시되면서 부터 단체 식중독 사태가 자주 발생되고 있으며, 식품에 사용되고 있는 합성 식품첨가물들을 과다 섭취할 경우 건강을 해치고 생명을 크게 위협받기도 한다.
이에따라 합성 식품첨가물에 대한 법적규제 및 사용제한이 엄격해짐에 따라 천연식품첨가물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아지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식재료 및 식품의 변질과 부패를 방지하고,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항균성 식물추출물을 이용하여 천연항균활성 마이크로에멀젼을 제조하고, 이를 이용한 인체에 무해, 무독한 천연식품보존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저분자량 키토산용액에 식물성 정유 및 식물추출물을 천연유화제를 사용하여 유화시켜 마이크로에멀젼을 형성시킴으로서 항균활성을 크게 향상시키고, 오랜기간 항균활성을 지속시킬 수 있는 천연식품보존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제조되는 천연식품보존용 조성물은 저분자량 키토산용액에 식물성 정유 및 항균성 식물추출물을 유화시켜 마이크로에멀젼을 형성시켜서 식물추출물에 분산.안정화 시킴으로써 항균활성이 크게 향상되고, 장기간 지속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제조되는 천연식품보존용 조성물은 식재료 및 식품의 부패 및 식중독방지, 식품의 선도유지, 식품보존기간을 연장시키는데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각종 채소, 과일, 등으로 조리되는 각종 음료류, 발효주류, 제과류, 생선 및 육가공품류, 수산식품의 변질을 방지하고, 생선건조, 양어 및 가축사료 등에 광범위하게 이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천연식품보존용 조성물의 항균효과 및 항곰팡이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천연식품보존용 조성물의 제조공정도이다.
종래 산분해 및 효소분해법에 의해 제조되는 저분자량 키토산 및 키토산올리고당은 분자량조절이 어렵고, 다분산성이며 분자량별로 분리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상기 키토산 분해방법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광분해법을 이용하여 저분자량 키토산을 제조할 수 있으며, 그 제조방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저분자량 키토산을 0.5~1중량% 유기산용액에 용해시킨 0.5~5중량% 키토산용액에 이산화티타늄(TIO2)을 광촉매로 사용하여 자외선 조사에 의한 광분해법으로 분자량이 균일한 분산성 저분자량 키토산을 제조할 수 있다.
광분해법에 의한 저분자량 키토산의 제조공정에서는 광촉매가 분해속도를 촉진시켜 자외선의 조사시간에 따라 분해율이 증가됨에 따라 분자량이 단계적으로 저하된다.
본 발명에서는 고분자량의 키토산을 유기산용액에 녹인 1~5중량% 키토산용액을 광분해법으로 분해하여 분자량이 10,000~100,000범위의 저분자량의 키토산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에서 제조한 저분자량 키토산을 유기산에 녹인 용액에 식물성 정유 및 식물추출물을 유화장치를 사용하여 균일하게 유화시키고, 묽은 알긴산용액을 첨가하여 에멀젼을 안정화시키는 방법으로 마이크로에멀젼 제조방법을 제공하고 있다.
키토산을 이용한 식품보존료에 대한 종래기술, 더욱 상세하게는 키토산 단독으로 식품에 첨가할 경우에 키토산 고유의 쓴맛으로 인해 맛과 냄새를 변질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저분자량 키토산과 식물성 정유 및 식물추출물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천연식품보존용 조성물의 항균력과 살균력을 상승시키고, 오래동안 지속시키기 위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채종유, 박하유, 레몬유, 피마자유, 동백유 등의 식물성 정유 중에서 1종이상, 계피, 겨자, 산초, 울금 등의 항균성 식물추출물 1종이상을 선택하여 일정비율로 혼합하고, 친환경 유화제를 사용하여 유화시켜 1차 마이크로에멀젼(W/O)을 제조한다.
상기 1차 마이크로에멀젼(W/O)에 저분자량 키토산용액을 가하고, 다중 유화방법으로 유화시켜 2차 마이크로에멀젼(W/O/W)을 제조한다
상기 마이크로에멀젼(W/O/W)에 인산나트륨 완충용액을 사용하여 pH 3.5~5.0로 조정하고, 미량의 묽은 알긴산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하여 에멀젼을 안정화시킨다.
상기 저분자량 키토산용액을 조제하는 데는 초산, 구연산, 젓산, 주석산, 아스코빈산, 소르빈산 등의 유기산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식용 초산 및 구연산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친환경 유화제로는 펠라고닉산, 폴리에틸렌 솔비탄 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아민, 에톡시레이티드캐스틸오일, 올레일알코올, 솔비탄모노올레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올레일알코올, 솔비탄모노올레이트를 선택하여 식물성 정유 및 식물추출물의 혼합용액 100중량부에 대해서 5~15중량부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식품 조리용으로 이용할 천연식품보존용 조성물을 제조함에 있어서는 상기 2차 마이크로에멀젼(W/O/W)을 현미, 마늘, 양파, 생강 발효식초 또는 매실, 포도, 살구, 사과, 복숭아, 자두, 앵두, 오미자, 오디 등의 과실 발효식초에 분산.안정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식재료의 선도유지용으로는 상기 2차 마이크로에멀젼(W/O/W)을 솔잎, 은행잎, 감잎, 녹차잎, 쇠비름, 소리쟁이, 산초나무 등의 식물추출물에 분산.안정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식물추출물은 제조공정은 일반적인 식물추출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며, 예를들면 압착법, 침출법, 흡착법 및 용제추출법을 이용할 수 있다. 추출용매가 물인 경우에는 열수추출법, 추출용매가 유기산인 경우에는 침출법, 그리고 추출용매가 휘발성 용매인 경우에는 용제추출법을 이용할 수 있다.
계피, 겨자, 산초, 울금 등은 건조하여 분말상태로 분쇄하고, 물,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 아세톤, 발효식초 등과 같은 수용성 유기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으며, 식품용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상기 유기용매 대신에 주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피, 겨자, 산초, 울금, 솔잎, 은행잎, 감잎, 녹차잎 등은 건조한 시료 20g을 분쇄하여 주정 100 내지 200ml를 사용하여 50~70℃에서 6~72시간 환류추출방법으로 추출할 수 있으며, 조추출물을 여과한 다음, 여과액을 회전감압증발기(Rotary evaporator)를 이용하여 용매를 회수하고, 농축액을 얻을 수 있다.
산초나무, 주목나무, 측백나무, 소태나무 등의 잎과 줄기를 잘게 절단한 시료 100g을 주정과 식용초산 혼합용액(1 : 1v/v) 0.5 내지 2L에 3개월이상 침적시켜서 침출법으로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추출용매로 사용한 주정 대신에 에탄올, 식용초산, 식용 구연산을 사용할 수 있으며, 추출조건은 용매, 온도 및 시간을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상기에서 명시한 범위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항균활성 마이크로에멀젼을 이용한 천연식품보존료는 곡물, 야채, 과일 등으로 조리되는 각종 식품, 음료류, 발효주류, 제과류, 육가공품류, 수산식품류의 변질을 방지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한 천연식품보존료는 저분자량 키토산용액에 식물성 정유 및 항균성 식물추출물을 유화시켜 마이크로에멀젼을 형성시켜서 식물추출물에 분산.안정화시킴으로써 항균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식물추출물 100중량부에 대해서 마이크로에멀젼 1 내지 30중량부를 분산시킬 수 있으며, 대상 식재료 및 식품에 따라 혼합비율을 적합하게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천연식품보존용 조성물은 키토산의 독특한 쓴맛과 냄새를 제거하고, 항균활성이 오랜기간 지속시키기 때문에 각종 식재료 및 식품의 보존, 가공분야에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의 천연식품보존용 조성물의 사용량은 식품의 종류, 성상에 따라 식품의 건조물에 대하여 0.01~10중량% 범위에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식품 첨가용으로는 일반적으로 0.05~1중량% 범위가 적당하다.
본 발명의 천연식품보존용 조성물의 사용방법은 음료류, 발효주류 등의 액상 조리식품에는 식품보존제 원액을 첨가하고 흔들어 주고, 고체상 조리식품에는 희석용액을 골고루 분사해 준다.
두부, 생선, 육류등과 같은 고체상 식재료, 야채류, 과일류는 희석용액에 침적한 후, 흐르는 물에 씻어 조리하고, 제과류는 밀가루를 천연식품보존용 조성물을 첨가한 물로 반죽하여 굽는다.
육가공 및 수산물가공장에서 고기류 및 생선류를 건조하기 전에 고기류 및 생선류를 희석용액에 담근 후, 꺼내서 수시로 희석용액을 분사해 주면서 건조하면 세균과 곰팡이 증식을 억제하여 변색, 변질 및 부패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광분해법에 의한 저분자량 키토산의 제조
키토산 1Kg을 0.5%식용 초산용액 20L에 용해시킨 5%키토산용액에 이산화티타늄(TiO2) 1g을 첨가하고, 교반해주면서 파장 340nm의 자외선을 72시간동안 조사하여 광분해법으로 저분자량 키토산(평균분자량: 10,000, 탈아세틸화도: 90~95%) 을 제조하였다.
식물추출물의 제조(1)
건조한 계피 50g을 분쇄하여 70%에탄올 500ml에 넣고, 환류추출장치를 사용하여 40~65℃에서 12시간동안 교반해주면서 가열추출한 후 여과하고, 여과액을 회전감압증발기(Rotary evaporator)를 이용하여 전체용량의 1/2~1/3정도로 농축하였으며, 농축액을 냉동보관하였다.
상기 계피 대신에 울금 50g을 시료로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울금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식물추출물의 제조(2)
건조한 솔잎을 물로 깨끗이 씻고, 그늘에서 말린 시료 500g을 10%식용 초산용액(1 : 1v/v) 5L에 넣고, 실온에서 가끔 저어주면서 1개월 이상 침적시켜서 추출한 후, 여과하여 솔잎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천연식품보존용 조성물의 제조
1단계: 물 100g에 채종유 10중량부, 계피추출물 5중량부 및 울금추출물 5중량부를 가하고, 폴리에틸렌 솔비탄 지방산에스테르 5중량부를 첨가한 다음, 유화장치를 사용하여 교반속도 5,000rpm로 유화시켜 1차 마이크로에멀젼(W/O)을 제조하였다.
2단계: 상기 1차 마이크로에멀젼(W/O) 50중량부에 2.5%저분자량 키토산 용액(평균분자량: 10,000, 탈아세틸화도: 90-95%) 50중량부를 가하고, 솔비탄모노올레이트 5중량부를 첨가한 다음, 유화장치를 사용하여 교반속도 5,000rpm으로 유화시켜서 마이크로에멀젼(W/O/W)을 제조하였다.
상기 마이크로에멀젼(W/O/W)에 인산나트륨 완충용액을 사용하여 pH 4.5로 조정한 후, 미량의 묽은 알긴산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하여 에멀젼을 안정화시켰다.
3단계: 식품 조리용은 상기 마이크로에멀젼 10중량부를 매실식초 90중량부에 분산.안정화시켰다.
4단계: 식재료의 선도유지, 양어 및 가축사료의 내성균주 억제용, 생선건조장, 양어장 등 사업장에서 각종 세균 및 곰팡이 발생과 증식억제용은 상기 마이크로에멀젼 10중량부를 솔잎추출물 90중량부에 분산.안정화시켰다.
실험예 1: 키토산의 분자량측정
키토산의 분자량은 TSK겔 컬럼이 장착된 검출기(Viscotek corp., U.S.A)를 사용하여 겔크로마토그래프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분석시료 100마이크로리터를 주입하고, 0.8mm/min.의 유속으로 용출하였으며, 분해시간 변화에 따라 키토산의 분자량을 측정한 결과는 [도 2]에 나타내었다.
상기 분석시료는 0.3M초산용액에 용해시켜 0.3%용액을 조제하였다. 시료용액은 인산나트륨 완충용액을 사용하여 pH 4.5로 조정하고 0.45마이크로필터로 여과하였으며, pH 4.5로 조정한 초산용액을 대조구로 하였다.
Figure pat00001
[도 1]에서와 같이, 자외선 조사시간 12시간 까지는 키토산의 분자량이 급격히 저하되었으며, 그 이후에는 분자량감소율이 완만하였으며, 자외선을 72시간 조사하였을 경우에는 분자량이 1만단위 이하로 저하되었다
상기 광분해법으로 제조되는 저분자량 키토산은 순도와 수율이 100%이고, 분자량이 균일하며, 자외선 조사시간에 따라 분자량을 마음대로 조절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실험예 2: 항균성시험
실시예 4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한 천연식품보존용 조성물 시료를 LB액체배지 (trypton 1%, yeast extract 0.5%, NaCL1%)에 0.025%, 0.05%씩 첨가하고, 피검주 Escherichia. coli (ATCC 25922), Staphylococcus. aureus (ATCC 5923) 등의 세균, Bacillus Substilis (KCTC 1021), Pseudomonas (ATCC 15442) aeruginosa 등의 식물성병원균과 Penicillium citrinium(ATCC 10121) Chaetomium globosum (ATCC 6205) 등의 식물성 곰팡이균액(피검균수: 104~105CFU/ml)을 pH 3.6 또는 pH 6으로 조정하여 균주를 접종하고, 30℃에서 24시간 진탕배양하였다.
균배양액을 LB한천 평판배지에 고르게 펼쳐놓고, 37C에서 48시간 배양한 후, 집락수(CFU)를 세고, 최소성장억제농도(MIC, %)값 및 균감소율(%)을 [도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실시예 3에서 항균활성 마이크로에멀젼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천연식품보존용 조성물의 항균성을 시험하여 저분자량 키토산(평균분자량: 10,000, 탈아세틸화도: 90~95%)용액과 비교하였다.
Figure pat00002
[도 1] 천연식품보존용 조성물의 항균효과 및 항곰팡이효과
본 발명에서 제조한 천연식품보존용 조성물의 항균활성을 비교한 바는 도 1에서와 같이, pH 3.6 및 6.0에서 S. aureus에 대한 최소성장억제농도는 각각 0.02%, 0.025%이었으며, E. coli에 대해서는 0.025%, 0.035%이었다.
산성용액에서 알카리성 용액에 비하여 항균활성이 강하였으며, S. aureus에 비하여 E. coli에 대한 최소성장억제농도가 약간 높게 나타내었다.
한편, 병원성세균 S. aureusE. coli 의 경우에는 100%의 균감소율을 나타내었고, 병원성곰팡이균 B. subtilis, P. aeruginosa 경우에는 100%, P. citrimium, C. globosum 경우에는 각각 85~90%이상의 균감소율을 나타내었다.
실험예 2: 식품보존효과 관능시험
시판 두부를 칼로 재단해서 시편(크기: 5 x 7cm, 두께: 2cm)을 만들어 본 발명에서 제조한 천연식품보존용 조성물 0.05%, 0.1%용액을 각각 고르게 분사한 후, 투명 비닐덮개로 덮고 실온에서 보관하면서 외관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10개의 시험표본에 대한 평가점수가 1점이 될 때까지 걸리는 일수의 평균 값으로부터 유효보존일수를 구하여 식품보존효과를 시험한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0점: 전혀 변화가 없다.
1점: 변색, 연화, 곰팡이 반점이 1개 발생
2점: 변색, 연화, 곰팡이 반점이 2개 발생
3점: 변색, 연화, 곰팡이 반점이 1/2정도 펼쳐짐
비교예 2
두부 시편에 본 발명품인 천연식품보존용 조성물을 넣지 않고, 시험예 2의 식품보존효과 관능시험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험하여 식품보존효과를 검사한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3
본 발명품인 천연식품보존용 조성물의 두부에 대한 식품보존효과를 시험한 결과, 시료 0.05%, 0.1%를 분사하였을 때, 각각 6.3일, 13.1일의 보존기간 연장효과를 나타내었다.

Claims (7)

  1. (1) 광분해법으로 저분자량 키토산을 제조하는 단계;
    (2) 항균성 식물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3) 저분자량 키토산을 식용 초산 또는 구연산용액에 용해시키는 단계;
    (4) 식물성 정유에 식물추출물(1)을 유화시켜 1차 마이크로에멀젼(W/O)을 형성시키는 단계;
    (5) 상기 1차 마이크로에멀젼(W/O)을 저분자량 키토산용액에 유화시켜 2차 마이크로에멀젼(W/O/W)을 형성시키는 단계;
    (5) 2차 마이크로에멀젼(W/O/W)을 식물추출물(2)에 분산시켜 분산.안정화시키는 단계; 로 이루어지는 천연식품보존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키토산을 유기산에 녹인 1~5%키토산용액에 이산화티타늄(TiO2)를 첨가하고, 파장 340nm의 자외선을 조사하는 분해공정에서 분해시간에 따라 키토산의 분자량을 만에서 수십만의 범위내에서 마음대로 조절할 수 있으며, 순도와 수율이 100%인 광분해법에 의한 저분자량 키토산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채종유, 박하유, 계피유, 동백유, 포도씨유, 아마씨유 등의 식물성 정유 중에서 1종을 사용하고, 계피, 산초, 겨자, 울금 등의 식물추출물 1종이상을 친환경 유화제를 사용하여 1차유화시키는 마이크로에멀젼(W/O)의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광분해법으로 제조되는 저분자량 키토산(평균분자량: 5,000~100,000, 아세틸화도: 85~95%)을 식용초산 0.5%용액에 용해시켜 2.5%저분자량 키토산용액을 마이크로에멀젼(W/O)에 가하고, 친환경 유화제를 사용하여 2차유화시켜서 다중유화법으로 마이크로에멀젼(W/O/W)을 제조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에멀젼 제조공정에서 친수성 및 친유성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해서 올레일알코올, 솔비탄모노올레이트 등의 친환경 유화제 5~15중량부를 첨가하여 유화시켜서 마이크로에멀젼을 제조하고, 인산나트륨 완충용액을 사용하여 pH를 3.5~5로 조정하고, 미량의 묽은 알긴산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하여 에멀젼을 안정화시키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에멀젼(W/O/W)을 현미, 마늘, 양파, 생강 발효식초 또는 매실, 포도, 살구, 사과, 복숭아, 자두, 앵두, 오미자, 오디 등의 과실발효식초에 분산.안정화시키는 식품조리용 천연식품보존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에멀젼(W/O/W)을 솔잎, 은행잎, 감잎, 녹차잎, 감국, 구절초 중에서 1종이상의 식물추출물에 분산.안정화시키는 각종 식재료의 부패방지, 선도유지 및 보존용 천연식품보존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150152915A 2015-11-02 2015-11-02 키토산과 식물추출물을 이용한 천연식품보존용 조성물과 제조방법 Ceased KR201700508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2915A KR20170050872A (ko) 2015-11-02 2015-11-02 키토산과 식물추출물을 이용한 천연식품보존용 조성물과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2915A KR20170050872A (ko) 2015-11-02 2015-11-02 키토산과 식물추출물을 이용한 천연식품보존용 조성물과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0872A true KR20170050872A (ko) 2017-05-11

Family

ID=58741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2915A Ceased KR20170050872A (ko) 2015-11-02 2015-11-02 키토산과 식물추출물을 이용한 천연식품보존용 조성물과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50872A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73287A (zh) * 2017-09-14 2017-11-24 陇南市朝华茶叶有限公司 一种龙井茶叶长效保鲜剂及其制备方法
CN108077829A (zh) * 2018-01-10 2018-05-29 山东青果食品有限公司 一种基于减少蔬菜养分损失的加工方法
KR20190108225A (ko) * 2018-03-13 2019-09-24 (주) 비에스티 섭취 성분에 기초하는 화장료 천연방부제 조성물
KR20220090726A (ko) * 2020-12-23 2022-06-30 이재완 세탁 내구성이 우수한 항균 섬유 가공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상기 항균 섬유 가공조성물로 가공처리된 항균원단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항균원단
CN115671058A (zh) * 2022-11-01 2023-02-03 广州博硕美医药科技有限公司 一种圈型冻干粉及其制备方法
CN115843860A (zh) * 2022-10-27 2023-03-28 内江师范学院 一种用于冷吃兔保鲜的保鲜剂、制备方法和保鲜方法
CN117204475A (zh) * 2023-03-08 2023-12-12 北方民族大学 基于香芹酚与壳聚糖复合处理的枸杞果实采后保鲜方法
CN118930938A (zh) * 2024-10-14 2024-11-12 成都大学 防雾高阻隔食品保鲜膜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9157844A (zh) * 2024-11-18 2024-12-20 成都天下草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包含植物提取物的壳聚糖-海藻酸钠复合物的制备方法
EP4349320A4 (en) * 2021-06-03 2025-06-04 Kolmar Korea Co., Ltd. Multilayer emulsion cosmetic composition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73287A (zh) * 2017-09-14 2017-11-24 陇南市朝华茶叶有限公司 一种龙井茶叶长效保鲜剂及其制备方法
CN108077829A (zh) * 2018-01-10 2018-05-29 山东青果食品有限公司 一种基于减少蔬菜养分损失的加工方法
KR20190108225A (ko) * 2018-03-13 2019-09-24 (주) 비에스티 섭취 성분에 기초하는 화장료 천연방부제 조성물
KR20220090726A (ko) * 2020-12-23 2022-06-30 이재완 세탁 내구성이 우수한 항균 섬유 가공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상기 항균 섬유 가공조성물로 가공처리된 항균원단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항균원단
EP4349320A4 (en) * 2021-06-03 2025-06-04 Kolmar Korea Co., Ltd. Multilayer emulsion cosmetic composition
CN115843860A (zh) * 2022-10-27 2023-03-28 内江师范学院 一种用于冷吃兔保鲜的保鲜剂、制备方法和保鲜方法
CN115671058A (zh) * 2022-11-01 2023-02-03 广州博硕美医药科技有限公司 一种圈型冻干粉及其制备方法
CN117204475A (zh) * 2023-03-08 2023-12-12 北方民族大学 基于香芹酚与壳聚糖复合处理的枸杞果实采后保鲜方法
CN118930938A (zh) * 2024-10-14 2024-11-12 成都大学 防雾高阻隔食品保鲜膜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9157844A (zh) * 2024-11-18 2024-12-20 成都天下草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包含植物提取物的壳聚糖-海藻酸钠复合物的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50872A (ko) 키토산과 식물추출물을 이용한 천연식품보존용 조성물과 제조방법
Pandey et al. A comprehensive review on the application of essential oils as bioactive compounds in Nano-emulsion based edible coatings of fruits and vegetables
DE102014007937B4 (de) Ein Zubereitungsverfahren eines Konservierungsmittels mit dem Nelken/Zimt-Verbundextrakt und Konservierung für Soßenprodukte
DE60216944T3 (de) Mikrobizide formulierung, die essentielle öle oder deren derivate enthält
CN101073435B (zh) 天然植物型食品防腐剂
Solgi et al. Application of essential oils and their biological effects on extending the shelf-life and quality of horticultural crops.
CN106343010A (zh) 一种含有植物精油的蔬菜保鲜剂及应用
Cox et al. Antioxidant potential and antimicrobial efficacy of seaweed (Himanthalia elongata) extract in model food systems
EP0991318B1 (de) Additiv zur haltbarkeitsverbesserung und/oder stabilisierung von mikrobiell verderblichen produkten
EP1096865B1 (de) Antimikrobielle zusammensetzung
US11925194B2 (en) Antimicrobially active mixtures
Islam et al. Study of antimicrobial, antioxidant and cytotoxicity properties of selected plant extracts for food preservative applications
KR101868127B1 (ko) 측백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소독제 제조방법
CN109169725A (zh) 一种复合抗菌剂的制备方法及应用
CN105105279A (zh) 一种食品防霉杀菌剂
CN112889913B (zh) eurycolactone F在食品保鲜中的应用
CN117159414A (zh) 一种具有防腐抗菌功效的复方精油及应用
KR20040092144A (ko) 소회향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제 조성물
Champa et al. A systematic review on plant-based edible coatings for quality improvement and extended postharvest life of fresh fruits and vegetables
KR102560979B1 (ko) 카피르라임 및 님트리를 혼합 추출한 ky항균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보존제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식품보존제.
KR101880672B1 (ko) 아마씨박 추출물을 포함하는 신선편이 채소 세척용 세척수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신선편이 채소의 미생물 저감화 방법
KR102563381B1 (ko) 장미꽃 추출물 및 동백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신선편이 과일 제조용 침지액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신선편이 과일
DE19831306A1 (de) Additiv zur Haltbarkeitsverbesserung und/oder Stabilisierung von mikrobiell verderblichen Produkten
Press Effect of duckweed meal on the rate of mold infestation in stored pelleted fish feed
KR20050063182A (ko) 식품용 천연항균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10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3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709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7031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709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051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12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PX0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4S01D

Patent event date: 2018103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040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022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X06013S01I

Patent event date: 2017120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10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7092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051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X06013S01I

Patent event date: 20170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