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7050A - A condenser - Google Patents
A condens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47050A KR20170047050A KR1020150147448A KR20150147448A KR20170047050A KR 20170047050 A KR20170047050 A KR 20170047050A KR 1020150147448 A KR1020150147448 A KR 1020150147448A KR 20150147448 A KR20150147448 A KR 20150147448A KR 20170047050 A KR20170047050 A KR 2017004705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frigerant
- case
- gas
- space
- condens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39000003507 refrigera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5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0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7791 liquid phas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781 super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833 conden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494 cond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826 cool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92 gaseous ph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34 vapor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16 vapor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4—Condens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3/00—Arrangements for separating or purifying gases or liquids; Arrangements for vaporising the residuum of liquid refrigerant, e.g. by hea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3/00—Arrangements for separating or purifying gases or liquids; Arrangements for vaporising the residuum of liquid refrigerant, e.g. by heat
- F25B43/003—Filt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2—Header boxes; End plates
- F28F9/04—Arrangements for sealing elements into header boxes or end plat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2—Header boxes; End plates
- F28F9/04—Arrangements for sealing elements into header boxes or end plates
- F28F9/16—Arrangements for sealing elements into header boxes or end plates by permanent joints, e.g. by rolling
- F28F9/18—Arrangements for sealing elements into header boxes or end plates by permanent joints, e.g. by rolling by weld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30/00—Sealing mea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75/00—Fastening; Joining
- F28F2275/04—Fastening; Joining by braz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응축기(1000)는 차량 폭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나란하게 구비되며 내부에 차량 높이방향으로의 냉매 이동을 차단하는 배플(101)이 구비되는 한 쌍의 헤더탱크(100); 상기 헤더탱크(100)에 형성되어 냉매가 유입되는 입구부(210) 및 배출되는 출구부(220); 상기 한 쌍의 헤더탱크(100)에 양단이 고정되어 냉매 유로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튜브(300); 상기 튜브(300) 사이에 개재되는 핀(400); 및 상기 헤더탱크(100) 일측에 구비되어 기상 냉매와 액상 냉매를 분리하는 기액분리기(500)를 포함하는 응축기(1000)에 있어서, 상기 응축기(1000)의 기액분리기(500)는, 차량 높이방향으로 일측 또는 양측이 개방되며, 외주면에 제1연결관(610)을 통해 냉매가 유입되는 제1연통공(511), 내부의 액상 냉매가 제2연결관(620)을 통해 배출되는 제2연통공(512), 및 차량 높이방향으로 상기 제2연통공(512)의 하측 내주면을 따라 오목한 안착홈(513)이 형성된 케이스(510); 상기 케이스(510) 내부를 차량 높이방향으로 하측의 제1공간부(510a)와 상측의 제2공간부(510b)로 구분하며, 상기 케이스(510) 내부를 따라 억지끼움되어 상기 안착홈(513)에 고정되는 격판(520); 상기 격판(520) 하측의 제1공간부(510a)로 연장되어 액상 냉매를 상기 제2공간부(510b)로 이송하는 파이프(530); 및 상기 제1공간부(510a)에 구비되는 건조재(540)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격판(520)은 상기 케이스(510)와 함께 일체로 브레이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응축기(1000)는 누설 가능성을 현저히 줄일 수 있으며 액상 냉매를 정확히 분리할 수 있는 기액분리기(500)가 형성된 장점이 있다.The condenser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ir of header tanks 100, which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and include a baffle 101 for blocking refrigerant movement in the vehicle height direction; An inlet 210 formed at the header tank 100 and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flows and an outlet 220 discharged; A plurality of tubes (300) having both ends fixed to the pair of header tanks (100) to form refrigerant channels; A pin (400) interposed between the tubes (300); And a gas-liquid separator (500) provided at one side of the header tank (100) for separating the gaseous refrigerant and the liquid refrigerant, wherein the gas-liquid separator (500) of the condenser (1000) A first communication hole 511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flows in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rough the first connection pipe 610, a second communication hole 511 through which the liquid refrigerant in the inner space is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connection pipe 620, A case 510 having a cavity 512 and recessed grooves 513 concaved along the lower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512 in the vehicle height direction; The inside of the case 510 is divided into a first space part 510a on the lower side and a second space part 510b on the upper side in the vehicle height direction, A diaphragm 520 fixed to the base plate 520; A pipe 530 extending to the first space portion 510a under the partition 520 to transfer the liquid refrigerant to the second space portion 510b; And a drying material 540 provided in the first space part 510a. At this time, the diaphragm 520 is integrally brazed together with the case 510. Accordingly, the condenser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 in that the possibility of leakage can be remarkably reduced and the gas-liquid separator 500 capable of accurately separating the liquid-phase refrigerant is form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응축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격판이 케이스 내부에 억지끼움되어 일체로 조립됨에 따라 누설 가능성을 현저히 줄일 수 있으며 액상 냉매를 정확히 분리할 수 있는 기액분리기가 형성된 응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denser, and more particularly, to provide a condenser having a gas-liquid separator capable of significantly reducing the possibility of leakage as the diaphragm is forcedly inserted into the case and assembled integrally, thereby accurately separating the liquid refrigerant.
열교환기는 온도차가 있는 두 환경 사이에서 한쪽의 열을 흡수하여 다른 쪽으로 열을 방출시키는 장치로서, 실내의 열을 흡수하여 외부로 방출할 경우에는 냉방 시스템으로서, 외부의 열을 흡수하여 실내로 방출할 경우에는 난방 시스템으로서 작용하게 된다. 기본적으로 열교환기는 주변으로부터 열을 흡수하는 증발기, 열교환매체를 압축하는 압축기, 주변으로 열을 방출하는 응축기, 열교환매체를 팽창시키는 팽창밸브로 구성된다. A heat exchanger is a device that absorbs heat from one side to the other and dissipates heat to the other side. It is a cooling system that absorbs heat from the room and emits it to the outside. It will act as a heating system. Basically, the heat exchanger is composed of an evaporator for absorbing heat from the surroundings, a compressor for compressing the heat exchange medium, a condenser for releasing heat to the surroundings, and an expansion valve for expanding the heat exchange medium.
냉각장치에서는, 액체 상태의 열교환매체가 주변에서 기화열만큼의 열량을 흡수하여 기화되는 증발기에 의해 실제 냉각 작용이 일어나게 된다. 상기 증발기로부터 압축기로 유입되는 기체 상태의 열교환매체는 압축기에서 고온 및 고압으로 압축되고, 상기 압축된 기체 상태의 열교환매체가 응축기를 통과하면서 액화되는 과정에서 주변으로 액화열이 방출되며, 상기 액화된 열교환매체가 다시 팽창밸브를 통과하여 저온 및 저압의 습포화 증기 상태가 된 후 다시 증발기로 유입되어 기화하게 되어 사이클을 이루게 된다.In the cooling apparatus, an actual cooling action is caused by an evaporator in which a liquid heat exchange medium absorbs heat as much as the heat of vaporization in the vicinity and is vaporized. Wherein the gaseous heat exchange medium flowing into the compressor from the evaporator is compressed at a high temperature and a high pressure in the compressor, and the liquefied heat is discharged to the periphery in the process of liquefaction while the compressed gaseous heat exchange medium passes through the condenser, The medium again passes through the expansion valve to become a low-temperature and low-pressure humidified vapor state, and then flows into the evaporator again to be vaporized to form a cycle.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응축기에서는 고온ㆍ고압의 기체 상태인 냉매가 유입되어 열교환에 의해 액화열을 방출하면서 액체 상태로 응축된 후 배출되며, 종래의 응축기를 도 1 및 도 2에 도시하였다.As described above, in the condenser, refrigerant in a gaseous state at a high temperature and a high pressure flows into the condenser, and is condensed into a liquid state and discharged after being discharged by heat exchange. The conventional condenser is shown in FIG. 1 and FIG.
상기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응축기는 일정거리 이격되어 나란하게 형성되는 제 1 헤더탱크(10) 및 제 2 헤더탱크(20); 상기 제 2 헤더탱크(20)에 구비되어 냉매가 유입 또는 배출되도록 하는 입구파이프(40) 및 출구파이프(50); 상기 제 1 헤더탱크(10) 및 제 2 헤더탱크(20) 내부에 구비되어 냉매의 유동을 조절하는 배플(30); 상기 제 1 헤더탱크(10)와 제 2 헤더탱크(20)에 양 단이 고정되어 냉매 유로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튜브(60); 상기 튜브(60) 사이에 적층되는 복수개의 핀(70); 및 상기 제 1 헤더탱크(10)의 일측에 구비되며 기상 냉매와 액상 냉매를 분리하는 기액분리기(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기액분리기(80)에서 액상 냉매만을 포집하여 과냉각(Sub cooling)을 유도하도록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The condenser shown in FIGS. 1 and 2 includes a
상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응축기의 내부 흐름을 살펴보면, 압축기에 의해 고온ㆍ고압으로 압축된 기상 냉매는 제 1 헤더탱크의 입구파이프로 유입되며 내부에 구비된 배플에 의해 제 2 헤더탱크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응축기 내부에서는 이미 응축이 일어나게 되므로 기상과 액상이 혼합되어 있는 상태가 되므로 대체적으로 기상 냉매는 상부로 액상 냉매는 하부로 이동된다.1 and 2, the gaseous refrigerant compressed by the compressor at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flows into the inlet pipe of the first header tank, and the gaseous refrigerant introduced into the second header Moved to the tank. At this time, since condensation occurs in the condenser, the gaseous phase and the liquid phase are mixed, so that the gaseous refrigerant is moved to the upper side and the liquid refrigerant is moved to the lower side.
상기 배플에 의해 형성된 유로를 따라 각각 상부 및 하부 영역을 거쳐 기액분리기의 하측에 포집된 냉매는 대부분 액상인 냉매가 모이게 되며, 다시 상기 액상 냉매가 과냉 영역을 통과하면서 과냉각이 발생함에 의해 냉매의 엔탈피를 더욱 낮출 수 있어 냉각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The liquid refrigerant collect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gas-liquid separator through the upper and lower regions along the flow path formed by the baffle collects most of the liquid refrigerant. The liquid refrigerant passes through the subcooled region and a supercooling angle is generated. So that the cooling efficiency can be increased.
상기 도 3은 응축기의 P-h선도를 나타낸 도면으로, 상기 도 3의 (a)는 과냉 영역이 형성되지 않은 응축기의 P-h선도를 나타내며, 상기 도 3의 (b)는 상기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응축기의 P-h선도를 나타내었다. 상기 도 3을 통해 확인한 바와 같이, 종래의 응축기는 과냉각이 발생함에 의해 냉매의 엔탈피를 더욱 낮출 수 있어 전에 비하여 냉각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과냉 영역의 내부 냉매의 온도는 공기측 온도 및 풍량에 직접적인 영행을 받게된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응축기 전측 하부에 인터쿨러가 구비되는 경우가 많아 과냉영역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가 높아지고 풍량이 저하되어 과냉도를 낮추는 원인이 될 수 있다. 이는 전체 에어컨 냉방 성능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3 is a ph diagram of the condenser. FIG. 3 (a) shows a Ph diagram of the condenser in which the supercooled region is not formed, and FIG. 3 (b) The ph diagram of the condenser as shown above is shown. As shown in FIG. 3, the conventional condenser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further reduce the enthalpy of the refrigerant due to the occurrence of the supercooling, thereby increasing the cooling efficiency. However, the temperature of the internal refrigerant in the supercooled region is directly affected by the air temperature and the air flow rate. However, in many cases, an intercooler is generally provided in the lower part of the front side of the condenser,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air flowing into the supercooled area is increased and the air volume is lowered, which may cause the supercooling to be lowered. This causes deterioration of the overall air conditioner cooling performance.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격판이 케이스 내부에 억지끼움되어 일체로 조립됨에 따라 누설 가능성을 현저히 줄일 수 있으며 액상 냉매를 정확히 분리할 수 있는 기액분리기가 형성된 응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gas-liquid separator for a gas-liquid separator, which is capable of remarkably reducing the possibility of leakage, And a condenser in which a separator is formed.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과냉영역이 상측에 형성되어 별도의 열교환기에 의해 외기의 온도가 높아져 열교환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전체 냉방효율을 높일 수 있는 응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denser which can prevent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from being lowered due to a supercooled region being formed on the upper side to increase the temperature of the outside air by a separate heat exchanger, thereby improving the overall cooling efficiency.
또, 본 발명의 목적은 케이스, 격판, 파이프 및 건조재를 포함하는 기액분리기를 이용하여 상부 과냉영역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으며,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건조재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고, 제조성을 보다 높일 수 있는 응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forming an upper supercooled region by using a gas-liquid separator including a case, a diaphragm, a pipe and a drying material, And to provide a condenser which can further increase the composition.
본 발명의 응축기는 차량 폭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나란하게 구비되며 내부에 차량 높이방향으로의 냉매 이동을 차단하는 배플이 구비되는 한 쌍의 헤더탱크; 상기 헤더탱크에 형성되어 냉매가 유입되는 입구부 및 배출되는 출구부; 상기 한 쌍의 헤더탱크에 양단이 고정되어 냉매 유로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튜브; 상기 튜브 사이에 개재되는 핀; 및 상기 헤더탱크 일측에 구비되어 기상 냉매와 액상 냉매를 분리하는 기액분리기를 포함하는 응축기에 있어서, 상기 응축기의 기액분리기는, 차량 높이방향으로 일측 또는 양측이 개방되며, 외주면에 제1연결관을 통해 냉매가 유입되는 제1연통공, 내부의 액상 냉매가 제2연결관을 통해 배출되는 제2연통공, 및 차량 높이방향으로 상기 제2연통공의 하측 내주면을 따라 오목한 안착홈이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를 차량 높이방향으로 하측의 제1공간부와 상측의 제2공간부로 구분하며, 상기 케이스 내부를 따라 억지끼움되어 상기 안착홈에 고정되는 격판; 상기 격판 하측의 제1공간부로 연장되어 액상 냉매를 상기 제2공간부로 이송하는 파이프; 및 상기 제1공간부에 구비되는 건조재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격판은 상기 케이스와 함께 일체로 브레이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응축기는 누설 가능성을 현저히 줄일 수 있으며 액상 냉매를 정확히 분리할 수 있는 기액분리기가 형성된 장점이 있다.The cond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air of header tanks, which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and are provided with baffles for blocking refrigerant movement in a vehicle height direction; An inlet portion formed in the header tank and into which refrigerant flows and an outlet portion discharged; A plurality of tubes having opposite ends fixed to the pair of header tanks to form refrigerant channels; A pin interposed between the tubes; And a gas-liquid separator provided at one side of the header tank for separating the gaseous refrigerant and the liquid-phase refrigerant, wherein the gas-liquid separator of the condenser is opened at one side or both sides in the vehicle height direction, A second communication hole through which the liquid refrigerant in the interior is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connection pipe, and a mounting groove recessed along the lower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in the vehicle height direction; A diaphragm which divides the case inside into a first space part on the lower side in the vehicle height direction and a second space part on the upper side and is fixedly secured to the seating groove along the inside of the case; A pipe extending to the first space portion on the lower side of the diaphragm to transfer the liquid refrigerant to the second space portion; And a drying material provided in the first space portion. In this case, the diaphragm is integrally brazed together with the case. Accordingly, the condens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 in that the possibility of leakage can be remarkably reduced and a gas-liquid separator capable of accurately separating the liquid-phase refrigerant is formed.
또, 상기 케이스는 상기 안착홈에 인접하여 차량 높이방향으로 상기 격판의 이동을 차단하도록 내측으로 돌출되는 격판고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case is characterized in that a diaphragm fixing portion is formed adjacent to the seat groove and protruding inwardly to block movement of the diaphragm in a vehicle height direction.
아울러, 상기 기액분리기는 상기 케이스의 제1공간부 또는 제2공간부에 필터부가 더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필터부는 원통형태로 차량 높이방향으로 상기 제1연통공 또는 제2연통공이 형성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gas-liquid separator may further include a filter unit in the first space portion or the second space portion of the case, and the filter unit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in which the first communication hole or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is formed Is provided.
또한, 상기 기액분리기는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일측을 폐쇄하는 캡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캡부는 외주면의 일정 영역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실링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한다.The gas-liquid separator may include a cap portion that closes an opened side of the case, and the cap portion may have a certain region of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formed in a concave shape and further include a sealing portion.
한편, 상기 기액분리기는, 상기 필터부가 상기 제1공간부에 구비되는 경우, 상기 캡부는 상기 케이스의 제1공간부가 형성된 측을 폐쇄하고, 상기 케이스의 내주면에 상기 필터부의 일측을 지지하도록 내측으로 돌출되는 필터고정부가 형성되며 상기 필터부의 타측이 상기 캡부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where the filter portion is provided in the first space portion, the cap portion closes the side of the case where the first space portion is formed, and the gas- And the other side of the filter unit is supported by the cap unit.
또, 상기 기액분리기는, 상기 필터부가 상기 제2공간부에 구비되는 경우, 상기 캡부는 상기 케이스의 제2공간부가 형성된 측을 폐쇄하고, 상기 필터부의 양측이 상기 격판과 캡부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the filter portion is provided in the second space portion, the cap portion closes the side of the case where the second space portion is formed, and both sides of the filter portion are supported by the partition plate and the cap portion .
아울러, 상기 기액분리기는 상기 건조재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격판 하측에 갈고리 형태이거나, 상상기 건조재와 상기 파이프를 함께 감싸 묶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gas-liquid separator includes a fixing member for fixing the drying material. At this time, the fixing member may be in the form of a hook on the lower side of the diaphragm, or may be formed by wrapping the imaginary dry material and the pipe together.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응축기는 격판이 케이스 내부에 억지끼움되어 일체로 조립됨에 따라 누설 가능성을 현저히 줄일 수 있으며 액상 냉매를 정확히 분리할 수 있는 기액분리기를 포함한다. Accordingly, the condens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gas-liquid separator capable of remarkably reducing the possibility of leakage as the diaphragm is forcedly inserted into the case and assembled integrally, and capable of accurately separating the liquid-phase refrigerant.
또한, 본 발명의 응축기는 과냉영역이 상측에 형성되어 별도의 열교환기에 의해 외기의 온도가 높아져 열교환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전체 냉방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condens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 in that the supercooled region is formed on the upper side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outside air is increased by a separate heat exchanger to prevent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from being lowered, thereby improving the overall cooling efficiency.
또, 본 발명의 응축기는 케이스, 격판, 파이프 및 건조재를 포함하는 기액분리기를 이용하여 상부 과냉영역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으며,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건조재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고, 제조성을 보다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condens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form an upper supercooled region by using a gas-liquid separator including a case, a diaphragm, a pipe and a drying material, and can reliably fix the drying material using the fixing memb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omposition can be further increased.
도 1은 종래의 응축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상기 도 1에 도시한 응축기의 냉매 흐름도.
도 3은 상기 도 1에 도시한 응축기의 P-h 선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응축기의 사시도 및 부분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응축기의 기액분리기 일부 제조 공정을 설명한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응축기의 기액분리기 제조 공정을 설명하는 단계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응축기의 다른 부분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응축기의 냉매 흐름 개략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condenser;
FIG. 2 is a refrigerant flow chart of the condenser shown in FIG. 1; FIG.
FIG. 3 is a ph diagram of the condenser shown in FIG. 1; FIG.
4 and 5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cond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manufacturing a part of a gas-liquid separator of a cond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manufacturing a gas-liquid separator of a cond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portion of a cond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chematic view of a refrigerant flow of a cond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특징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응축기(1000)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condenser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haracteristic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응축기(1000)의 사시도 및 부분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응축기(1000)의 기액분리기(500) 일부 제조 공정을 설명한 개략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응축기(1000)의 기액분리기(500) 제조 공정을 설명하는 단계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응축기(1000)의 다른 부분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응축기(1000)의 냉매 흐름 개략도이다. 4 and 5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denser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manufacturing a part of the gas-
본 발명의 응축기(1000)는 헤더탱크(100), 입구부(210) 및 출구부(220), 튜브(300), 핀(400) 및 기액분리기(500)를 포함한다. The condenser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기 헤더탱크(100)는 한 쌍이 차량 폭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나란하게 구비되며 내부에는 차량 높이방향으로의 냉매 이동을 차단하는 배플(101)이 구비된다. 이 때, 상기 헤더탱크(100)는 헤더 및 탱크의 결합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또, 상기 헤더탱크(100)는 내부로 냉매가 유입되는 입구부(210) 및 배출되는 출구부(220)가 구비된다.The
상기 튜브(300)는 차량 높이방향으로 복수개가 나란하게 상기 한 쌍의 헤더탱크(100)에 고정되어 냉매 유로를 형성하며, 상기 튜브(300) 사이에는 핀(400)이 개재된다. 또한, 상기 튜브(300)는 차량 높이방향으로 상측의 일정 영역이 냉매를 응축하고, 하측의 나머지 영역이 냉매를 과냉각한다. 즉, 본 발명의 응축기(1000)는 냉매를 응축하는 응축영역(A1)이 차량 높이방향으로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기액분리기(500)를 통해 분리된 액상 냉매를 과냉각하는 과냉영역(A3)이 차량 높이방향으로 상측에 위치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응축기(1000)는 과냉영역(A3)이 상측에 형성되어 별도의 열교환기에 의해 외기의 온도가 높아져 열교환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전체 냉방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응축기(1000)는 응축기(1000) 전측 하부에 인터쿨러가 구비되는 경우 과냉영역(A3)으로 유입되는 외기가 인터쿨러를 통과하면서 온도가 증가되고 풍량이 저하되어 과냉도가 낮아짐에 따른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상기 기액분리기(500)는 상기 헤더탱크(100) 일측에 구비되어 기상 냉매와 액상 냉매를 분리하여 액상 냉매만을 과냉영역(A3)으로 배출한다. 더욱 상세하게, 상기 기액분리기(500)는 케이스(510), 격판(520), 파이프(530) 및 건조재(540)를 포함한다.The gas-
상기 케이스(510)는 상기 기액분리기(500)를 형성하는 기본 구성으로, 차량 높이방향으로 일측 또는 양측이 개방되며, 외주면에 제1연결관(610)을 통해 헤더탱크(100)와 연결되어 냉매가 유입되는 제1연통공(511) 및 제2연결관(620)을 통해 헤더탱크(100)와 연결되어 내부의 액상 냉매가 배출되는 제2연통공(51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510)는 상기 제2연통공(512)의 차량 높이방향으로 하측에 내주면을 따라 오목한 안착홈(513)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홈(513)은 상기 제1연통공(511)과 연통되는 제1공간부(510a)와 상기 제2연통공(512)과 연통되는 제2공간부(510b)로 구분하는 격판(520)이 안착되도록 오목한 홈으로, 차량 높이방향으로 상기 제2연통공(512)의 하측에 인접하게 형성된다. The
상기 격판(520)은 상기 케이스(510) 내부를 차량 높이방향으로 하측의 제1공간부(510a)와 상측의 제2공간부(510b)로 구분하는 부분으로, 상기 케이스(510)의 내주면을 따라 억지끼움되어 상기 안착홈(513)에 고정된다. The
상기 파이프(530)는 상기 격판(520) 하측으로부터 상기 제1공간부(510a)로 연장되며, 제1공간부(510a)의 액상 냉매를 상기 제2공간부(510b)로 이송한다. 이 때, 상기 격판(520) 및 파이프(530)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조립 공수를 줄일 수 있고 제조가 더욱 용이하다.The
또한, 상기 도 6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격판(520)은 상기 케이스(510)의 내경(d1)보다 약간 넓은 직경(d2)를 갖는 부재로서, 상기 도 6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억지끼움도구(T)를 이용하여 상기 케이스(510) 내주면을 따라 삽입되며, 상기 도 6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안착홈(513)에 안착된다. 이 때, 상기 격판(520)은 상기 케이스(510)의 안착홈(513)에 안착되고 상기 케이스(510)와 함께 일체로 브레이징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응축기(1000)는 격판(520)에 의해 케이스(510) 내부의 제1공간부(510a)와 제2공간부(510b)를 확실히 구분할 수 있어 액상 냉매만이 상기 파이프(530)를 따라 이송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m 안정적으로 기상 냉매와 액상 냉매를 분리할 수 있고, 과냉각 성능을 보다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6 (a), the
또, 상기 케이스(510)는 차량 높이방향으로 상기 안착홈(513)에 인접하여 상기 격판(520)의 이동을 차단하도록 내측으로 돌출되는 격판고정부(514)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 5 및 도 6에서, 상기 격판(520)이 상측에서 하측방향으로 억지끼움됨에 따라, 상기 격판고정부(514)는 상기 안착홈(513)의 하측에 상기 케이스(510)의 내주면을 따라 돌출되는 형태를 나타내었으나, 본 발명의 응축기(1000)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 반대로 격판(520)이 삽입될 수도 있고, 이 경우, 상기 격판고정부(514)는 상기 안착홈(513)의 상측에 위치된다. The
아울러, 상기 기액분리기(500)는 상기 케이스(510)의 제1공간부(510a) 또는 제2공간부(510b)에 필터부(56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필터부(560)는 냉매 내부에 이물질이 포함되어 발생되어 배관을 따라 이동되면서 발생될 수 있는 밸브 막힘 등의 내구성을 저해할 수 있는 문제를 미연에 방지한다. 특히, 상기 필터부(560)는 원통형태로, 차량 높이방향으로 상기 제1연통공(511) 또는 제2연통공(512)이 형성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gas-
상기 케이스(510)의 개방된 일측은 캡부(570)에 의해 폐쇄될 수 있는데, 상기 캡부(570)는 내부 냉매가 유출되지 않도록 외주면의 일정 영역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그 오목한 영역에 실링부(571)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기액분리기(500)는 상기 캡부(570)에 의해 상기 필터부(560)를 지지할 수 있다. The opened side of the
먼저, 상기 필터부(560)가 제1공간부(510a)에 구비되는 경우, 상기 캡부(570)는 상기 케이스(510)의 제1공간부(510a)가 형성된 측(도 5에서 하측)을 폐쇄하며, 상기 케이스(510) 내주면에는 상기 필터부(560)의 일측을 지지하도록 내측으로 돌출되는 필터고정부(515)가 형성된다. 즉, 상기 필터부(560)의 양측이 상기 캡부(570) 및 필터고정부(515)에 의해 지지된다. 이 때, 상기 필터부(560)는 차량 높이방향으로 상기 제1연통공(511)이 형성된 위치에 구비되므로, 상기 필터고정부(515)는 상기 제1연통공(511)의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캡부(570)의 상면은 상기 제1연통공(511)의 하측에 위치된다. When the
또한, 상기 필터부(560)가 제2공간부(510b)에 구비되는 경우, 상기 캡부(570)는 상기 케이스(510)의 제2공간부(510b)가 형성된 측(도 8에서 상측)을 폐쇄하며, 상기 필터부(560)의 양측이 상기 격판(520) 및 캡부(570)에 의해 지지된다. 이 때, 상기 필터부(560)는 차량 높이방향으로 상기 제2연통공(512)이 형성된 위치에 구비되므로, 상기 필터부(560)의 하측이 격판(520)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필터부(560)의 상측이 캡부(570)에 의해 지지된다. When the
상기 건조재(540)는 상기 케이스(510) 내부의 제1공간부(510a)에 구비된다.The drying
상기 도 7을 참조로, 본 발명의 응축기(1000)는 기액분리기(500)를 제조하는 공정예를 설명하면, 상기 격판(520)을 케이스(510) 내부에 억지끼움하고, 케이스(510), 격판(520) 및 파이프(530)를 일체로 브레이징 한 후, 필터부(560)(및 건조재(540))를 조립하고 캡부(570)를 고정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the condenser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n example of a process for manufacturing the gas-
본 발명의 응축기(1000)는 상기 건조재(540)를 고정하는 고정부재(550)가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도 5에 도시한 고정부재(550)는 상기 격판(520) 하측에 일체로 형성된 갈고리 형태인 예를 나타내었고, 상기 도 8에 도시한 고정부재(550)는 상기 건조재(540)와 파이프(530)를 함께 감싸 묶는 형태를 나타나내었다. The condenser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xing
본 발명의 응축기(1000)는 상기 입구부(210)를 통해 유입된 냉매가 일부 튜브(300)를 통과하면서 응축되는 응축영역(A1); 상기 제1연결관(610)을 통해 유입된 냉매 중 기상 냉매 및 액상 냉매를 분리하여 상기 파이프(550) 및 필터부(530)를 통과하여 상기 제2연결관(620)을 통해 배출하는 기액분리영역(A2); 나머지 튜브(300)를 통과하면서 과냉각되는 과냉영역(A3)을 거쳐 출구부(220)를 통해 배출된다. 이 때, 상기 헤더탱크(100) 내부의 배플(101)의 개수 및 위치, 상기 입구부 및 출구부(220)의 위치 등은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한 형태를 포함하여 더욱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The condenser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densing region A1 where the refrigerant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portion 210 is condensed while passing through the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응축기(1000)는 과냉영역(A3)이 상측에 형성되어 열교환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위와 같은 기액분리기(500)를 이용하여 상부 과냉영역(A3)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으고, 고정부재(570)를 이용하여 건조재(560)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고, 제조성을 보다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ly, in the condenser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ercooled region A3 is formed on the upper side to increase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and the upper subcooled region A3 can be easily formed using the gas-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00 : 응축기
100 : 헤더탱크
101 : 배플
210 : 입구부
220 : 출구부
300 : 튜브
400 : 핀
500 : 기액분리기
510 : 케이스
510a : 제1공간부
510b : 제2공간부
511 : 제1연통공
512 : 제2연통공
513 : 안착홈
514 : 격판고정부
515 : 필터고정부
520 : 격판
530 : 파이프
540 : 건조재
550 : 고정부재
560 : 필터부
570 : 캡부
571 : 실링부
610 : 제1연결관
620 : 제2연결관
A1 : 응축영역
A2 : 기액분리영역
A3 : 과냉각영역
T : 억지끼움도구1000: condenser
100: header tank 101: baffle
210: inlet part 220: outlet part
300: tube
400: pin
500: gas-liquid separator
510: Case
510a:
511: first communication hole
512: second communication hole
513: seat groove
514: diaphragm fixing portion 515: filter fixing portion
520: diaphragm
530: pipe
540: Drying material
550: Fixing member
560:
570: cap part 571: sealing part
610: first connector
620: second connector
A1: Condensation zone
A2: gas-liquid separation area
A3: supercooled region
T: Compensating tool
Claims (12)
상기 응축기(1000)의 기액분리기(500)는,
차량 높이방향으로 일측 또는 양측이 개방되며, 외주면에 제1연결관(610)을 통해 냉매가 유입되는 제1연통공(511), 내부의 액상 냉매가 제2연결관(620)을 통해 배출되는 제2연통공(512), 및 차량 높이방향으로 상기 제2연통공(512)의 하측 내주면을 따라 오목한 안착홈(513)이 형성된 케이스(510);
상기 케이스(510) 내부를 차량 높이방향으로 하측의 제1공간부(510a)와 상측의 제2공간부(510b)로 구분하며, 상기 케이스(510) 내부를 따라 억지끼움되어 상기 안착홈(513)에 고정되는 격판(520);
상기 격판(520) 하측의 제1공간부(510a)로 연장되어 액상 냉매를 상기 제2공간부(510b)로 이송하는 파이프(530); 및
상기 제1공간부(510a)에 구비되는 건조재(5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기.
A pair of header tanks 100 provided in parallel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vehicle width direction and having a baffle 101 for blocking the movement of refrigerant in a vehicle height direction; An inlet 210 formed at the header tank 100 and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flows and an outlet 220 discharged; A plurality of tubes (300) having both ends fixed to the pair of header tanks (100) to form refrigerant channels; A pin (400) interposed between the tubes (300); And a gas-liquid separator (500) disposed at one side of the header tank (100) for separating the gaseous refrigerant and the liquid refrigerant, the condenser (1000)
The gas-liquid separator (500) of the condenser (1000)
A first communication hole 511 in which one side or both sides are opened in the vehicle height direction and in which the refrigerant flows in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rough the first connection pipe 610 and a second communication hole 511 in which the liquid refrigerant in the interior is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connection pipe 620 A case 510 having a second communication hole 512 and a recessed groove 513 formed along the lower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512 in the vehicle height direction;
The inside of the case 510 is divided into a first space part 510a on the lower side and a second space part 510b on the upper side in the vehicle height direction, A diaphragm 520 fixed to the base plate 520;
A pipe 530 extending to the first space portion 510a under the partition 520 to transfer the liquid refrigerant to the second space portion 510b; And
And a drying material (540) provided in the first space (510a).
상기 격판(520)은 상기 케이스(510)와 함께 일체로 브레이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aphragm (520) is brazed together with the case (510).
상기 케이스(510)는 상기 안착홈(513)에 인접하여 차량 높이방향으로 상기 격판(520)의 이동을 차단하도록 내측으로 돌출되는 격판고정부(51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ase (510) is formed with a diaphragm fixing portion (514) which protrudes inward to block the movement of the partition plate (520) in the vehicle height direction, adjacent to the mounting recess (513).
상기 기액분리기(500)는 상기 케이스(510)의 제1공간부(510a) 또는 제2공간부(510b)에 필터부(56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기.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gas-liquid separator (500) further comprises a filter unit (560) in the first space (510a) or the second space (510b) of the case (510).
상기 필터부(560)는 원통형태로 차량 높이방향으로 상기 제1연통공(511) 또는 제2연통공(512)이 형성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기.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filter unit (560) is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at a position where the first communication hole (511) or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512) is formed in the vehicle height direction.
상기 기액분리기(500)는 상기 케이스(510)의 개방된 일측을 폐쇄하는 캡부(5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기.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gas-liquid separator (500) includes a cap portion (570) for closing an open side of the case (510).
상기 캡부(570)는 외주면의 일정 영역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실링부(571)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Characterized in that the cap part (570) is formed with a certain area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is further provided with a sealing part (571).
상기 기액분리기(500)는,
상기 필터부(560)가 상기 제1공간부(510a)에 구비되는 경우,
상기 캡부(570)는 상기 케이스(510)의 제1공간부(510a)가 형성된 측을 폐쇄하고,
상기 케이스(510)의 내주면에 상기 필터부(560)의 일측을 지지하도록 내측으로 돌출되는 필터고정부(515)가 형성되며 상기 필터부(560)의 타측이 상기 캡부(570)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gas-liquid separator (500)
When the filter unit 560 is provided in the first space part 510a,
The cap portion 570 closes the side where the first space portion 510a of the case 510 is formed,
A filter fixing portion 515 protruding inwardly to support one side of the filter portion 560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se 510 and the other side of the filter portion 560 is supported by the cap portion 570 Lt; / RTI >
상기 기액분리기(500)는,
상기 필터부(560)가 상기 제2공간부(510b)에 구비되는 경우,
상기 캡부(570)는 상기 케이스(510)의 제2공간부(510b)가 형성된 측을 폐쇄하고,
상기 필터부(560)의 양측이 상기 격판(520)과 캡부(570)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gas-liquid separator (500)
When the filter portion 560 is provided in the second space portion 510b,
The cap portion 570 closes the side where the second space portion 510b of the case 510 is formed,
Wherein both sides of the filter unit (560) are supported by the partition plate (520) and the cap unit (570).
상기 기액분리기(500)는 상기 건조재(540)를 고정하는 고정부재(5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gas-liquid separator (500) comprises a fixing member (550) for fixing the drying material (540).
상기 고정부재(550)는 상기 격판(520) 하측에 갈고리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기.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fixing member (550) is in the shape of a hook below the partition plate (520).
상기 고정부재(550)는 상기 건조재(540)와 상기 파이프(530)를 함께 감싸 묶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기.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fixing member (550) is formed by wrapping the drying material (540) and the pipe (530) togeth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47448A KR20170047050A (en) | 2015-10-22 | 2015-10-22 | A condens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47448A KR20170047050A (en) | 2015-10-22 | 2015-10-22 | A condens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47050A true KR20170047050A (en) | 2017-05-04 |
Family
ID=58743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47448A Withdrawn KR20170047050A (en) | 2015-10-22 | 2015-10-22 | A condens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70047050A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9062204A1 (en) * | 2017-09-30 | 2019-04-04 | 杭州三花家电热管理系统有限公司 | Heat exchanger and heat-exchange system having same |
WO2019146930A1 (en) * | 2018-01-29 | 2019-08-01 |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 Heat exchanger |
US20210381781A1 (en) * | 2020-06-04 | 2021-12-09 | Hanon Systems | Integrated connector and heat exchanger including the same |
-
2015
- 2015-10-22 KR KR1020150147448A patent/KR20170047050A/en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9062204A1 (en) * | 2017-09-30 | 2019-04-04 | 杭州三花家电热管理系统有限公司 | Heat exchanger and heat-exchange system having same |
WO2019146930A1 (en) * | 2018-01-29 | 2019-08-01 |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 Heat exchanger |
US20210381781A1 (en) * | 2020-06-04 | 2021-12-09 | Hanon Systems | Integrated connector and heat exchanger including the same |
US11604037B2 (en) * | 2020-06-04 | 2023-03-14 | Hanon Systems | Integrated connector and heat exchanger including the sam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109821B2 (en) | Condenser for vehicle | |
US20140102682A1 (en) | Condenser for vehicle | |
US10935288B2 (en) | Condenser | |
US20110253353A1 (en) | Condenser | |
US20110146332A1 (en) | Accumulator of air conditioner | |
JP6905895B2 (en) | Capacitor | |
WO2010082535A1 (en) | Heat exchanger | |
KR20170047050A (en) | A condenser | |
JP4032548B2 (en) | Receiver integrated refrigerant condenser | |
KR101280622B1 (en) | Condenser | |
KR20130143343A (en) | Condenser | |
KR102011278B1 (en) | Condenser | |
JP5622411B2 (en) | Capacitor | |
KR20170108273A (en) | Receiver drier and condenser having the same | |
KR20090110647A (en) | Internal heat exchanger with accumulator of carbon dioxide refrigerant air conditioning unit | |
KR101771152B1 (en) | Condenser | |
KR20090045473A (en) | Condenser | |
KR101870776B1 (en) | Condenser | |
KR20110132679A (en) | Condenser | |
JP3764904B2 (en) | Refrigerating cycle and method for determining receiver volume of refrigeration cycle | |
KR102140223B1 (en) | A condenser | |
KR20170037188A (en) | A condenser | |
KR101771145B1 (en) | Condenser | |
JP2018036041A (en) | Capacitor | |
KR101773014B1 (en) | Condens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022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