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70046361A - 작업기계용 유성기어 변속장치 - Google Patents

작업기계용 유성기어 변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6361A
KR20170046361A KR1020150146591A KR20150146591A KR20170046361A KR 20170046361 A KR20170046361 A KR 20170046361A KR 1020150146591 A KR1020150146591 A KR 1020150146591A KR 20150146591 A KR20150146591 A KR 20150146591A KR 20170046361 A KR20170046361 A KR 201700463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planetary gear
working machine
double pinion
planetar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6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수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465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46361A/ko
Publication of KR201700463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6361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04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gearing
    • B60K17/043Transmission unit disposed in on near the vehicle wheel, or between the differential gear unit and the wheel
    • B60K17/046Transmission unit disposed in on near the vehicle wheel, or between the differential gear unit and the wheel with planetary gearing having orbital mo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02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clutc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22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main drive shafting, e.g. cardan shaft
    • B60K17/24Arrangements of mountings for shaf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 F16H3/4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using gears having orbital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 Of Transmis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기계용 유성기어 변속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작업기계의 엔진의 동력을 전달하는 입력축에 형성되며, 전후진을 구현하는 더블피니언 유성기어 장치; 상기 더블피니언 유성기어 장치에 의해 회전하는 인풋기어; 상기 더블피니언 유성기어 장치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1 및 제2 클러치; 및 상기 작업기계의 액슬로 동력을 전달하는 출력축에 형성되며, 상기 인풋기어와 치합되는 아웃풋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작업기계용 유성기어 변속장치{Planet Gear Transmission Apparatus for Working Machine}
본 발명은 작업기계용 유성기어 변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작업기계는 산업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작업의 다양성으로 인해, 굴삭장비, 적재장비, 운반장비, 하역장비, 다짐장비, 기초공사장비 등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지게차, 불도저, 굴삭기 등과 같이 상당히 많은 종류의 장비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일반적으로 작업기계인 지게차는 조작레버를 이용하여 작업장치를 구동시켜 비교적 고중량의 하물(荷物)을 들어올리고 내리거나 혹은 이 하물을 제한된 작업 환경에서 원하는 위치로 운반하기 위한 장비이다.
이러한 지게차는 엔진지게차와 전동지게차로 구분되는데, 엔진지게차는 주로 아웃도어(outdoor) 영역에서 널리 이용되는 한편 전동지게차는 매연이나 소음이 적어 인도어(indoor) 영역에서 흔히 사용된다.
또한, 지게차는 마스트 조립체가 차체에 고정되어 있는 표준 지게차와, 마스트 조립체가 리치 래그를 따라 차체에 대해 전후로 움직이도록 하는 리치 타입(reach type) 지게차로 분류되는데, 표준타입 지게차는 일반적으로 엔진식과 전동식으로 구분되고, 엔진식은 엔진을 탑재하고 있으며, 전동식 및 리치 타입 지게차는 전기모터와 이것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탑재한 이른바 전동식 지게차이다.
이러한 지게차의 동력전달장치는 엔진, 변속장치, 액슬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변속장치는 엔진에서 발생하는 동력을 속도에 따라 필요한 회전력으로 바꾸어 액슬로 전달하며, 주행, 동력인출장치(PTO), 전후진 절환을 담당하고, 액슬은 방향 전환을 담당한다.
또한, 지게차는 소형, 중형, 대형에 따라 주행변속단수가 다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1.5 ~ 3.3톤급 소형 지게차의 경우 1단이고, 3.5 ~ 4.5톤급 소형 지게차의 경우 2단이고, 5 ~ 8톤급 중형 지게차의 경우 3단이고, 11~ 25톤급 대형 지게차의 경우 3단일 수 있다.
주행변속단수가 1단인 소형 지게차는 전후진 기어비가 1:1인 변속장치를 사용하고 있는데, 입력축에 전진입력기어와 후진입력기어가 구비되고, 출력축에 전진출력기어와 후진출력기어가 구비되며, 이외에도 후진 시에 동력 전달을 위한 아이들러축에 아이들러기어가 구비되는 변속장치를 적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기존의 변속장치는 3축으로 구성되어 부품수가 많고 길이와 중량이 무거워져, 지게차의 원가를 절감할 수 없으며, 전장이 길어질 수밖에 없어 제품 경쟁력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어, 트랜스미션의 부품수를 최소화하고, 크기를 소형화하면서 연료 효율을 향상시키려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2002-0013364호 (공개일: 2002년 02월 20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부품수를 최소화하면서 소형화를 이룰 수 있고, 연료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작업기계용 유성기어 변속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작업기계용 유성기어 변속장치는, 작업기계의 엔진의 동력을 전달하는 입력축에 형성되며, 전후진을 구현하는 더블피니언 유성기어 장치; 상기 더블피니언 유성기어 장치에 의해 회전하는 인풋기어; 상기 더블피니언 유성기어 장치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1 및 제2 클러치; 및 상기 작업기계의 액슬로 동력을 전달하는 출력축에 형성되며, 상기 인풋기어와 치합되는 아웃풋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더블피니언 유성기어 장치는, 상기 엔진의 동력을 전달하는 상기 입력축에 형성되는 선기어; 상기 선기어와 치합되어 자전 또는 상기 선기어의 원주방향을 따라 공전하는 복수 개의 내측 유성기어; 상기 내측 유성기어에 치합되어 자전 또는 상기 선기어의 원주방향을 따라 공전하는 복수 개의 외측 유성기어; 상기 내측 및 외측 유성기어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캐리어; 및 상기 외측 유성기어와 치합되어 회전하는 링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더블피니언 유성기어 장치는, 전후진 기어비 1:1을 구현하도록 상기 내측 및 외측 유성기어가 더블피니언 구조로서 1세트를 이루며, 상기 1세트의 더블피니언 구조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3개의 세트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클러치는, 제1 리턴 스프링과 유압에 의해 작동되며, 상기 링기어와 기어 케이스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클러치는, 제2 리턴 스프링과 유압에 의해 작동되며, 상기 입력축과 상기 캐리어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클러치는, 제2 리턴 스프링과 유압에 의해 작동되며, 상기 캐리어와 상기 링기어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작업기계의 파킹 모드 시에는, 상기 제1 및 제2 리턴 스프링 각각에 압유가 채워져 상기 제1 및 제2 클러치 각각을 밀어주어, 상기 제1 및 제2 클러치 각각이 체결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동력전달이 상기 입력축에서 상기 출력축으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작업기계의 전진 모드 시에는, 상기 제1 리턴 스프링에 채워진 압유가 빠져 상기 제1 클러치가 분리된 상태를 유지하고, 체결된 상태로 유지된 상기 제2 클러치에 의해 상기 더블피니언 유성기어 장치 전체가 상기 입력축과 일체가 되어 회전함으로써, 동력전달이 상기 입력축과 일체화된 상기 더블피니언 유성기어 장치, 상기 인풋기어, 상기 아웃풋기어, 상기 출력축의 순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작업기계의 후진 모드 시에는, 상기 제2 리턴 스프링에 채워진 압유가 빠져 상기 제2 클러치가 분리된 상태를 유지하고, 체결된 상태로 유지된 상기 제1 클러치에 의해 상기 링기어가 고정됨으로써, 동력전달이 상기 입력축, 상기 선기어, 상기 내측 유성기어, 상기 외측 유성기어, 상기 캐리어, 상기 인풋기어, 상기 아웃풋기어, 상기 출력축의 순으로 이루어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작업기계는, 전후진 기어비가 1:1이고, 주행변속단수가 1단인 소형 지게차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작업기계용 유성기어 변속장치는, 전후진 기어비 1:1을 유지하도록 더블피니언 유성기어구조를 입력축에 구비하고, 하나의 출력기어를 출력축에 구비함으로써, 기존의 3축 구조 대비 축 구조를 2축 구조로 단순화시킬 수 있어, 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전장 측면에서도 소형화를 이룰 수 있고, 연료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업기계용 유성기어 변속장치가 적용된 작업기계의 동력전달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기계용 유성기어 변속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기계용 유성기어 변속장치의 입력축과 출력축에 구비되는 기어구조를 나타낸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기계용 유성기어 변속장치의 더블피니언 유성기어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작업기계용 유성기어 변속장치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업기계용 유성기어 변속장치가 적용된 작업기계의 동력전달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기계용 유성기어 변속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기계용 유성기어 변속장치의 입력축과 출력축에 구비되는 기어구조를 나타낸 일부 절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기계용 유성기어 변속장치의 더블피니언 유성기어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작업기계용 유성기어 변속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업기계용 유성기어 변속장치(100)는, 작업기계(1)의 동력전달장치(10)에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작업기계(1)는 지게차, 불도저, 굴삭기 등이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작업기계용 유성기어 변속장치(100)는, 소형 작업기계에 적합할 수 있으며, 전후진 기어비가 1:1이고, 주행변속단수가 1단인 소형 지게차의 동력전달장치(10)에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동력전달장치(10)는, 엔진(11), 유성기어 변속장치(100), 액슬(12)로 구성될 수 있다.
유성기어 변속장치(100)는, 입력축(101)에 의해 엔진(11)과 연결되고, 출력축(102)에 의해 액슬(12)과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유성기어 변속장치(100)는, 엔진(11)에서 발생하는 동력을 속도에 따라 필요한 회전력으로 바꾸어 액슬(12)로 전달하며, 주행, 동력인출장치(PTO), 전후진 절환을 담당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기계용 유성기어 변속장치(100)는, 더블피니언 유성기어 장치(110), 인풋기어(120), 제1 클러치(130), 제2 클러치(140), 아웃풋기어(150)를 포함한다. 유성기어 변속장치(100)는, 골격과 외관을 형성하는 기어 케이스(103)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더블피니언 유성기어 장치(110)는, 기어 케이스(103) 내부에 설치되어, 작업기계(1)의 엔진(11)의 동력을 전달하는 입력축(101)에 형성될 수 있으며, 후술할 인풋기어(120)를 회전시켜 후술할 아웃풋기어(150)가 형성되는 출력축(102)을 통해 액슬(12)에 동력을 전달하여 전후진을 구현할 수 있도록, 선기어(111), 내측 유성기어(112), 외측 유성기어(113), 캐리어(114), 링기어(11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더블피니언 유성기어 장치(110)는, 후술할 제1 및 제2 클러치(140)에 의해 전후진을 위한 회전 상태가 제어될 수 있다.
선기어(111)는, 엔진(11)의 동력을 전달하는 입력축(101)에 형성될 수 있으며, 후술할 내측 유성기어(112)와 치합될 수 있다.
내측 유성기어(112)는, 선기어(111)와 치합되어 자전 또는 선기어(111)의 원주방향을 따라 공전할 수 있다. 이러한 내측 유성기어(112)는, 후술할 외측 유성기어(113)와 치합되어 더블피니언 구조로 1세트를 이룰 수 있으며, 복수 개가 일정 간격으로 구비될 수 있다.
외측 유성기어(113)는, 내측 유성기어(112)에 치합되어 자전 또는 선기어(111)의 원주방향을 따라 내측 유성기어(112)와 함께 공전할 수 있다. 이러한 외측 유성기어(113)는, 내측 유성기어(112)와 치합되어 더블피니언 구조로 1세트를 이룰 수 있으며, 내측 유성기어(112)와 동일한 개수로 복수 개가 일정 간격으로 구비될 수 있다.
캐리어(114)는, 내측 유성기어(112) 및 외측 유성기어(113)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링기어(115)는, 외측 유성기어(113)와 치합되어 회전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으로 이뤄지는 더블피니언 유성기어 장치(110)는, 전후진 기어비 1:1을 구현할 수 있도록, 내측 및 외측 유성기어(112, 113)가 더블피니언 구조로서 1세트를 이루되, 1세트의 더블피니언 구조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3개의 세트로 구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인풋기어(120)는, 더블피니언 유성기어 장치(110)에 의해 회전할 수 있도록, 캐리어(114)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인풋기어(120)는, 작업기계(1)의 파킹 모드 시와 같이, 후술할 제1 및 제2 클러치(130, 140)가 체결된 상태일 때, 회전하지 않는다.
또한, 인풋기어(120)는, 작업기계(1)의 전진 모드 시와 같이, 후술할 제1 클러치(130)가 분리된 상태이고, 후술할 제2 클러치(140)가 체결된 상태일 때, 입력축(101)의 회전과 동일 방향으로 회전한다.
또한, 인풋기어(120)는, 작업기계(1)의 후진 모드 시와 같이, 후술할 제1 클러치(130)가 체결된 상태이고, 후술할 제2 클러치(140)가 분리된 상태일 때, 입력축(101)의 회전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제1 클러치(130)는, 제1 리턴 스프링(131)과 유압에 의해 작동될 수 있으며, 링기어(115)와 기어 케이스(103)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클러치(130)는, 작업기계(1)의 파킹 모드, 전진 모드, 후진 모드에 따라 더블피니언 유성기어 장치(110)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는데,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제2 클러치(140)는, 제2 리턴 스프링(141)과 유압에 의해 작동될 수 있으며, 체결되었을 때 더블피니언 유성기어 장치(110) 전체가 입력축(101)과 일체가 되어 회전할 수 있도록,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축(101)과 캐리어(114) 사이에 설치될 수 있고,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114)와 링기어(115)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클러치(140)는, 작업기계(1)의 파킹 모드, 전진 모드, 후진 모드에 따라 더블피니언 유성기어 장치(110)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는데,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아웃풋기어(150)는, 작업기계(1)의 액슬(12)로 동력을 전달하는 출력축(102)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인풋기어(120)와 치합될 수 있다.
이하에서, 제1 클러치(130) 및 제2 클러치(140)가 작업기계(1)의 파킹 모드, 전진 모드, 후진 모드에 따라 더블피니언 유성기어 장치(110)의 회전을 제어함에 의해 작업기계(1)의 파킹, 전진, 후진을 구현하는 것을 설명하기로 한다.
작업기계(1)의 파킹 모드 시에는, 제1 및 제2 리턴 스프링(141) 각각에 압유가 채워져 제1 및 제2 클러치(130, 140) 각각을 밀어주어, 제1 및 제2 클러치(130, 140) 각각이 체결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동력전달이 입력축(101)에서 출력축(102)으로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이때, 인풋기어(120)는, 회전하지 않게 되어 작업기계(1)의 파킹이 구현될 수 있다.
작업기계(1)의 파킹 모드로부터 전진 모드로 변속하게 되면, 제1 리턴 스프링(131)에 채워진 압유가 빠져 제1 클러치(130)가 분리된 상태를 유지하고, 체결된 상태로 유지된 제2 클러치(140)에 의해 더블피니언 유성기어 장치(110) 전체가 입력축(101)과 일체가 되어 회전함으로써, 동력전달이 입력축(101)과 일체화된 더블피니언 유성기어 장치(110), 인풋기어(120), 아웃풋기어(150), 출력축(102)의 순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인풋기어(120)는, 입력축(101)의 회전과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작업기계(1)의 전진이 구현될 수 있다.
작업기계(1)의 파킹 모드로부터 후진 모드로 변속하게 되면, 제2 리턴 스프링(141)에 채워진 압유가 빠져 제2 클러치(140)가 분리된 상태를 유지하고, 체결된 상태로 유지된 제1 클러치(130)에 의해 링기어(115)가 고정됨으로써, 동력전달이 입력축(101), 선기어(111), 내측 유성기어(112), 외측 유성기어(113), 캐리어(114), 인풋기어(120), 아웃풋기어(150), 출력축(102)의 순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인풋기어(120)는, 입력축(101)의 회전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작업기계(1)의 후진이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전후진 기어비 1:1을 유지하도록 더블피니언 유성기어구조를 입력축에 구비하고, 하나의 출력기어를 출력축에 구비함으로써, 기존의 3축 구조 대비 축 구조를 2축 구조로 단순화시킬 수 있어, 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전장 측면에서도 소형화를 이룰 수 있고, 연료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 예의 본질적인 기술내용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실시예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조합 또는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로부터 용이하게 도출 가능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기술내용들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작업기계 10: 동력전달장치
11: 엔진 12: 액슬
100: 유성기어 변속장치 101: 입력축
102: 출력축 103: 기어 케이스
110: 더블피니언 유성기어 장치 111: 선기어
112: 내측 유성기어 113: 외측 유성기어
114: 캐리어 115: 링기어
120: 인풋기어 130: 제1 클러치
131: 제1 리턴 스프링 140: 제2 클러치
141: 제2 리턴 스프링 150: 아웃풋기어

Claims (10)

  1. 작업기계의 엔진의 동력을 전달하는 입력축에 형성되며, 전후진을 구현하는 더블피니언 유성기어 장치;
    상기 더블피니언 유성기어 장치에 의해 회전하는 인풋기어;
    상기 더블피니언 유성기어 장치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1 및 제2 클러치; 및
    상기 작업기계의 액슬로 동력을 전달하는 출력축에 형성되며, 상기 인풋기어와 치합되는 아웃풋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기계용 유성기어 변속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더블피니언 유성기어 장치는,
    상기 엔진의 동력을 전달하는 상기 입력축에 형성되는 선기어;
    상기 선기어와 치합되어 자전 또는 상기 선기어의 원주방향을 따라 공전하는 복수 개의 내측 유성기어;
    상기 내측 유성기어에 치합되어 자전 또는 상기 선기어의 원주방향을 따라 공전하는 복수 개의 외측 유성기어;
    상기 내측 및 외측 유성기어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캐리어; 및
    상기 외측 유성기어와 치합되어 회전하는 링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기계용 유성기어 변속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더블피니언 유성기어 장치는,
    전후진 기어비 1:1을 구현하도록 상기 내측 및 외측 유성기어가 더블피니언 구조로서 1세트를 이루며, 상기 1세트의 더블피니언 구조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3개의 세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기계용 유성기어 변속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클러치는,
    제1 리턴 스프링과 유압에 의해 작동되며, 상기 링기어와 기어 케이스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기계용 유성기어 변속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클러치는,
    제2 리턴 스프링과 유압에 의해 작동되며, 상기 입력축과 상기 캐리어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기계용 유성기어 변속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클러치는,
    제2 리턴 스프링과 유압에 의해 작동되며, 상기 캐리어와 상기 링기어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기계용 유성기어 변속장치.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기계의 파킹 모드 시에는,
    상기 제1 및 제2 리턴 스프링 각각에 압유가 채워져 상기 제1 및 제2 클러치 각각을 밀어주어, 상기 제1 및 제2 클러치 각각이 체결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동력전달이 상기 입력축에서 상기 출력축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기계용 유성기어 변속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기계의 전진 모드 시에는,
    상기 제1 리턴 스프링에 채워진 압유가 빠져 상기 제1 클러치가 분리된 상태를 유지하고, 체결된 상태로 유지된 상기 제2 클러치에 의해 상기 더블피니언 유성기어 장치 전체가 상기 입력축과 일체가 되어 회전함으로써, 동력전달이 상기 입력축과 일체화된 상기 더블피니언 유성기어 장치, 상기 인풋기어, 상기 아웃풋기어, 상기 출력축의 순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기계용 유성기어 변속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기계의 후진 모드 시에는,
    상기 제2 리턴 스프링에 채워진 압유가 빠져 상기 제2 클러치가 분리된 상태를 유지하고, 체결된 상태로 유지된 상기 제1 클러치에 의해 상기 링기어가 고정됨으로써, 동력전달이 상기 입력축, 상기 선기어, 상기 내측 유성기어, 상기 외측 유성기어, 상기 캐리어, 상기 인풋기어, 상기 아웃풋기어, 상기 출력축의 순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기계용 유성기어 변속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기계는,
    전후진 기어비가 1:1이고, 주행변속단수가 1단인 소형 지게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기계용 유성기어 변속장치.
KR1020150146591A 2015-10-21 2015-10-21 작업기계용 유성기어 변속장치 Ceased KR201700463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6591A KR20170046361A (ko) 2015-10-21 2015-10-21 작업기계용 유성기어 변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6591A KR20170046361A (ko) 2015-10-21 2015-10-21 작업기계용 유성기어 변속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6361A true KR20170046361A (ko) 2017-05-02

Family

ID=58742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6591A Ceased KR20170046361A (ko) 2015-10-21 2015-10-21 작업기계용 유성기어 변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4636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80533B2 (en) Multi-speed transmission
US5525115A (en) Mechanical transmission for drive wheels, especially for mobile work machines
US9488263B2 (en) Modular arrangement for hydromechanical transmission
EP1945475B1 (en) Triple-axle- drive variable transmission for heavy machinery
US5743142A (en) Multi-ratio power-shiftable reversing gear
US9377103B2 (en) Transfer case sprocket idler gear actuation
CN107355518B (zh) 液压驱动轮式挖掘机的变速器
CN101960160A (zh) 自动变速器
US8562470B2 (en) Dual-drive electric machine installed with epicycle gear type clutch
EP3366948B1 (en) A variator-assisted transmission and method of operating
KR20150100742A (ko) 연속 가변 변속기 및 연속 가변 변속기를 포함하는 작업 기계
CN102317652A (zh) 动力传递装置
KR100503612B1 (ko) 중장비용 변속기
JPH10169730A (ja) 自動変速機
CN102317653B (zh) 动力传递装置
JP4434203B2 (ja) 車輌用自動変速機
CN103328855B (zh) 自动变速器
CN110657204A (zh) 变速器、动力驱动系统及车辆
US10024429B2 (en) Automatic transmission
JP2007085517A (ja) 変速伝動装置
US6878087B2 (en) Speed change mechanism of automatic transmission
KR20170046361A (ko) 작업기계용 유성기어 변속장치
US11047460B2 (en) Continuously variable power-split transmission
EP3438502B1 (en) Dual-drive electric machine having controllable epicycle gear set
KR101216945B1 (ko) 건설장비 산업차량의 구동장치용 유성기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02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7061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070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5102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5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8073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8051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