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5829A - Digital device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the same - Google Patents
Digital device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45829A KR20170045829A KR1020150145793A KR20150145793A KR20170045829A KR 20170045829 A KR20170045829 A KR 20170045829A KR 1020150145793 A KR1020150145793 A KR 1020150145793A KR 20150145793 A KR20150145793 A KR 20150145793A KR 20170045829 A KR20170045829 A KR 2017004582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ata
- log
- personalization
- digital
- us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1—Learning process for intelligent management,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1—Learning process for intelligent management,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2—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13—Monitoring of end-user related data
- H04N21/44222—Analytics of user selections, e.g. selection of programs or purchase activit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6—Learning process for intelligent management,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서는 디지털 디바이스 및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데이터 처리 방법을 개시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디바이스는, 디지털 디바이스에 있어서, 메모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제어 커맨드를 수신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부, 및 로그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로그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서버로부터 로그 데이터 분석 결과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어 커맨드에 대응하여 상기 저장된 로그 데이터 분석 결과 데이터에 기초하여 유저를 식별하고 식별된 유저에 따른 개인화 로그 UI를 상기 애플리케이션 화면상에 오버레이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개인화 로그 UI에 대한 제어 커맨드에 따라 데이터를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 digital device and a method for processing data in the digital device are disclosed herein. Here, the digit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igital device including: a display unit that executes a memory and an application to display on a screen; a user interface unit that receives a control command; The control unit controls to transmit the collected log data to the server, receives the log data analysis result data from the server and stores the received data in the memory, identifies the user based on the stored log data analysis result data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command, And a controller for overlaying and displaying a personalization log UI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d user on the application screen and processing the data according to a control command for the displayed personalization log UI.
Description
본 발명은 디지털 디바이스(digital device)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저 클러스터링(clustering)을 이용한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개인화 데이터(Personalized or Customized data) 처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gital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personalized or customized data processing in the digital device using user clustering.
PC(Personal Computer), TV(Television)와 같은 고정 디바이스(standing device)에 이어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 PC(Tablet PC),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등과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mobile device)의 발전이 눈부시다. 종래 고정 디바이스와 모바일 디바이스는 서로 고유의 영역을 구축하며 개별적으로 발전해 왔으나, 최근 디지털 컨버전스(digital convergence)의 붐에 따라 그 경계가 모호해지고 있다.A mobile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a tablet PC, a wearable device and the like, in addition to a standing device such as a personal computer (PC) or a television (TV) Let this snow. Conventionally, fixed devices and mobile devices have been developed individually by building their own domains, but their boundaries have become obscure due to the recent boom of digital convergence.
종래 개인화 추천 방식은 로그(log)를 분석하여 그에 기초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 로그는 주로 디바이스 단위로 생성된다. 다만, 디바이스 단위로 로그 데이터를 수집하는 경우, 디바이스 유저가 한 명이 아니라 복수 명이면, 유저 각각에 대한 개인화에 오류가 발생하거나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Conventionally, the personalization recommendation method is based on analyzing a log, which is mainly generated on a per-device basis. However, in the case of collecting log data on a device-by-device basis, there is a problem in that an error occurs in personalization for each user if the device user is not one but a plurality of users.
예를 들어, 부모와 아이들 즉, 가족 구성원들이 공동으로 이용하는 홈 내 디지털 TV에 대하여 로그 데이터를 분석하면, 상기 가족 구성원들 각각의 취향이 뒤섞이게 된다. 이 경우 가족 구성원 개인이 아닌 가족 단위로 로그 분석하여 전체 취향을 필터링(filtering)할 수 있다. 그러나 그 경우 일부 가족 구성원은 상대적으로 자신의 취향이 제대로 반영되지 않아 개인화에 대한 감동요소가 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가족 단위로 로그 분석을 하게 되면, 상대적으로 디지털 TV를 많이 시청하는 일부 가족 구성원의 취향이 다른 가족 구성원의 취향에 비하여 강하게 반영되어 역시 문제점이 있다. For example, analyzing log data for a home digital TV shared by parents and children, that is, family members, mixes the tastes of each of the family members.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filter the entire taste by logarithmically analyzing a family member rather than a family member. In this case, however, some family members may be less sensitive to their personal preferences than others. In addition, when the log analysis is performed on a family basis as described above, the taste of some family members who watch relatively digital TV is strongly reflected in comparison with the taste of other family members.
한편, 특정 유저에 대한 로그 데이터 수집 및 분석을 위해서는 상기 유저가 로그-인(log-in)을 하거나 카메라 센서(camera sensor)나 지문 인식 센서(fingerprint recognition sensor) 등 하드웨어적인 구성 추가가 필요한데, 이 경우 로그-인 과정 자체가 상당히 유저에게 불편할 뿐만 아니라 상기 로그-인 과정을 유저에게 강제하는 문제점이 있고, 후자와 같이 하드웨어적인 구성을 추가하면 디바이스 단가가 상승하는 원인이 되어 문제점이 있다.Meanwhile, in order to collect and analyze log data for a specific user, the user needs to log-in or add a hardware configuration such as a camera sensor or a fingerprint recognition senso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log-in process itself is inconvenient to the user, and the log-in process is forced to the user. If the hardware configuration is added as in the latter case, the device cost increases.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와 같은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디지털 디바이스 및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데이터 처리 방법을 개시한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 digital device and a method for processing data in the digital device are disclosed to solve the above inconvenience.
본 발명은, 유저의 로그-인이나 센서 등 하드웨어적인 구성 추가 없이 로그 데이터 기반의 개인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일 과제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personalizing a log data base without adding a hardware configuration such as a log-in or a sensor of a user.
본 발명은, 개인화에 따른 컨텐트 이용 편의를 위한 다양한 UI/UX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과제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ariety of UI / UX for convenience of content use due to personalization.
본 발명은, 상기 개인화를 통해 유저의 디바이스 이용 만족도를 개선하는 것을 또 다른 과제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user's device usage satisfaction through the personalization.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s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which are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
본 명세서에서는 디지털 디바이스 및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데이터 처리 방법에 대한 다양한 실시 예(들)을 개시한다.Disclosed herein are various embodiments (s) of a digital device and a method of processing data in the digital device.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디바이스의 데이터 처리 방법은,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로그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로그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로그 데이터 분석 결과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제어 커맨드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어 커맨드에 대응하여 상기 저장된 로그 데이터 분석 결과 데이터에 기초하여 유저를 식별하고 식별된 유저에 따라 필터링된 데이터가 포함된 개인화 로그 UI를 상기 애플리케이션 화면상에 오버레이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개인화 로그 UI에 대한 제어 커맨드에 따라 데이터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 data processing method of a digit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executing an application and displaying it on a screen, collecting log data, transmitting the collected log data to a server, Receiving and storing data analysis result data, receiving a control command, identifying a user based on the stored log data analysis result data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command, and performing personalization including filtered data according to the identified user Displaying the log UI overlaid on the application screen, and processing the data according to a control command for the displayed personalization log UI.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디바이스는, 디지털 디바이스에 있어서, 메모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제어 커맨드를 수신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부, 및 로그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로그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서버로부터 로그 데이터 분석 결과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어 커맨드에 대응하여 상기 저장된 로그 데이터 분석 결과 데이터에 기초하여 유저를 식별하고 식별된 유저에 따라 필터링된 데이터를 포함한 개인화 로그 UI를 상기 애플리케이션 화면상에 오버레이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개인화 로그 UI에 대한 제어 커맨드에 따라 데이터를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 digit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igital device including: a display unit that executes a memory and an application to display on a screen; a user interface unit that receives a control command; Wherein the controller is configured to control to transmit log data to a server and to receive log data analysis result data from the server and to store the log data in the memory and to identify the user based on the stored log data analysis result data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command, And a controller for overlaying and displaying the personalization log UI including data filtered according to the user on the application screen and processing the data according to a control command for the displayed personalization log UI.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기술적 해결 수단은 이상에서 언급한 해결 수단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해결 수단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solutions obtain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solutions, and other solutions not mentioned are clearly describe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It can be understood.
본 발명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s follows.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유저의 로그-인이나 센서 등 하드웨어적인 구성 추가 없이 로그 데이터 기반의 개인화 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of providing a log data base personalization method without adding a hardware configuration such as a log-in or a sensor of a user.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개인화에 따른 컨텐트 이용 편의를 위한 다양한 UI/UX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of providing various UI / UX for convenience of content use due to personalization.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개인화를 통해 유저의 디바이스 이용 만족도를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the user's device usage satisfaction through the personalization.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btain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TV의 구성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TV의 구성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구성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구성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디바이스 제어를 위한 제어 수단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디지털 TV 제어 방법에 관한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시스템에서 로그 데이터 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8의 서비스 서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로그 데이터 분석 과정에 대한 순서도를 도시한 도면;
도 11 내지 13은 본 발명과 관련된 데이터 포맷을 도시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구성한 2차 가공 데이터를 도시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개인화 서비스 제공 시나리오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및
도 16 내지 18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화 로그 UI의 다양한 실시 예들과 그에 관한 서비스 시나리오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1 schematically illustrates a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a digital TV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of a digital TV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onfiguration block diagram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llustrates control means for digital device contr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igital TV control method in a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of processing log data in a servi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diagram illustrating operations of the service server of FIG. 8; FIG.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log data analysis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11-13 illustrate data formats associated with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diagram showing secondary machining data construc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15 is a view for explaining a personalization service providing scenario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And
16 to 18 are diagrams for explaining various embodiments of the personalization log UI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service scenarios related thereto.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디바이스(digital device) 및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데이터 처리 방법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설명한다.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s) of a digital device and a data processing method in the digit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부" 등은 단지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을 고려하여 부여되는 것으로서, 필요에 따라 양자는 혼용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로 기술한 경우에도 그것이 순서를 의미하기보다는 해당 용어의 설명 편의를 위한 것일 뿐, 그러한 용어나 서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도,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따른 기능을 고려하여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다만,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나, 이에 대해서는 관련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술할 것이다. 따라서, 해당 용어를 단지 그 명칭이 아니라 그가 가진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기술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 둔다. 한편, 본 명세서 또는/및 도면에 기술된 내용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 예로서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를 통해 결정되어야 한다.The suffix "module "," part ", and the like for component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given only for ease of specification, and both may be used as needed. Also, even when described in ordinal numbers such as " 1st ", "2nd ", and the like, it is not limited to such terms or ordinal numbers. In addition, although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have been selected from the general terms that are widely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y are not limited to the intentions or customs of the artisan skilled in the art, It can be different. However, in certain cases, some terms are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which will be described in the related description section. Accordingly,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term is to be interpreted based not only on its name but on its practical meaning as well as on the contents described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It is to be noted that the cont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 or drawing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디지털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컨텐트(content)를 수신, 처리, 출력 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수행하는 모든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는 방송국(broadcasting station) 등 서버(server), 외부 입력(external input) 등을 통해 상기 컨텐트나 상기 컨텐트에 관한 정보를 스트리밍(streaming) 또는 다운로드(download) 받을 수 있다.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는, 유/무선 네트워크(wire/wireless network)를 통하여 상기 서버 등과 상기 컨텐트를 포함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는, 고정형 디바이스(standing device)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mobile device or handheld device)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고정형 디바이스로는 네트워크 TV(Network TV), HBBTV(Hybrid Broadcast Broadband TV), 스마트 TV(Smart TV), IPTV(Internet Protocol TV), PC(Personal Comput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 PC(Tablet PC), 노트북(Notebook),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navigation), 슬레이트 PC(Slate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smart 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도 2와 3은 고정형 디바이스의 하나인 디지털 TV(Digital TV)를, 도 4와 5는 각각 모바일 디바이스의 하나로 이동 단말기와 웨어러블 디바이스(예를 들어, 스마트워치)를 디지털 디바이스의 일 예로 도시하였으며, 해당 부분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디지털 디바이스가 고정형 디바이스인 경우에는, 단지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만을 구비한 사이니지(Signage) 형태일 수도 있고, 다른 구성 예를 들어, 셋톱박스(Set-Top Box, STB) 등과 함께 세트(SET)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As used herein, a " digital device " includes all devices that perform at least one of, for example, receiving, processing, outputting, The digital device may stream or download information about the content or the content through a server such as a broadcasting station or an external input. The digital device can transmit / receive data including the content and the server through a wire / wireless network. The digital device may be either a standing device or a mobile device (handheld device). The fixed device may include a network TV, an HBBTV, a smart TV, an IPTV, a PC, and the like. The mobile device may be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smart phone, a tablet PC, a notebook,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a navigation, A slate PC, an Ultrabook, a wearable device (e.g., a smart watch, a glass glass, a head mounted display (HMD), etc.) . 2 and 3 are digital TVs, one of the fixed devices, and FIGS. 4 and 5 show mobile terminals and wearable devices (for example, smart watches) as one example of a digital device. An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corresponding section. In the case where the digital device is a fixed type device, the digital device may be in the form of a sign including only a display panel, or may be set in another configuration, for example, a set-top box (STB) (SET).
한편, 상기 유/무선 네트워크는, 전술한 서버와 디지털 디바이스 사이의 연결(connecting) 또는 페어링(pairing), 데이터 커뮤니케이션(data communication) 등을 위한 모든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며, 표준(Standard)에 의해 현재 지원되거나 향후 지원될 네트워크도 포함한다. 한편, 상기 유/무선 네트워크는 데이터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통신 프로토콜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유/무선 네트워크는 예컨대, USB(Universal Serial Bus), CVBS(Composite Video Banking Sync), 컴포넌트(Component), S-비디오(아날로그), DVI(Digital Visual Interface),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RGB, D-SUB와 같은 유선 연결(wire connection)을 위한 네트워크와 그를 위한 통신 규격 내지 프로토콜과, 블루투스(Bluetooth), WLAN(Wireless LAN)(Wi-Fi), Wi-Fi 다이렉트(direct),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LTE/LTE-A(Long Term Evolution/LTE-Advanced) 등과 같은 무선 연결을 위한 네트워크와 그를 위한 통신 규격 내지 프로토콜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The wired / wireless network includes all the hardware and / or software for connecting or pairing the server and the digital device, data communication, and the like, Network that is currently supported or will be supported in the future. Meanwhile, the wired / wireless network may support one or more communication protocols for data communication. Such a wired / wireless network includes, for example, a universal serial bus (USB), a composite video banking sync (CVBS), a component, an S-video (analog), a digital visual interface (DVI) (WLAN), Wi-Fi direct, RFID, and the like for a wire connection such as an RGB, a D-SUB, and a communication standard or protocol therefor,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ZigBee, DLNA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 (Wireless broadband),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a long term evolution (LTE-A), or the like, and a communication standard or protocol for the wireless connection.
한편, 디지털 디바이스는, 범용 OS(Operating System), 웹OS(Web OS)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범용 OS 커널(OS kernel), 리눅스 커널(Linux kernel) 등에 다양한 서비스나 애플리케이션을 추가(adding), 삭제(deleting), 수정(amending), 업데이트(updating) 등 처리가 가능하며, 그를 통해 더욱 유저 친화적인(user-friendly)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digital device can use a general-purpose operating system (OS), a web OS (OS), or the like, and can add various services or applications to a general-purpose OS kernel, a Linux kernel, Deleting, amending, updating, and the like, thereby providing a more user-friendly environmen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서비스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서버(105)와 디지털 TV(11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디지털 TV(110)는, 이동 단말기(120)나 웨어러블 디바이스(130)로 대체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서비스 시스템은, 상기 서버(105)와 디지털 TV(110) 외에 추가로 이동 단말기(120)나 웨어러블 디바이스(130)를 더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디지털 TV(110)는, 전용 리모컨(115)과 같은 제어 수단에 의해 그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service system may be basically implemented including a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디바이스는, 디지털 디바이스에 있어서, 메모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제어 커맨드를 수신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부, 및 로그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로그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서버로부터 로그 데이터 분석 결과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어 커맨드에 대응하여 상기 저장된 로그 데이터 분석 결과 데이터에 기초하여 유저를 식별하고 식별된 유저에 따른 개인화 로그 UI를 상기 애플리케이션 화면상에 오버레이(overlay)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개인화 로그 UI에 대한 제어 커맨드에 따라 데이터를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 digit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igital device including: a display unit that executes a memory and an application to display on a screen; a user interface unit that receives a control command; Wherein the controller is configured to control to transmit log data to a server and to receive log data analysis result data from the server and to store the log data in the memory and to identify the user based on the stored log data analysis result data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command,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display of the personalized log UI according to a control command on the displayed personalization log UI by overlaying and displaying the personalized log UI on the application scree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TV의 구성 블록도이다. 2 is a block diagram of a digital TV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디지털 TV(20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network interface)(201), TCP/IP 매니저(TCP/IP manager)(202), 서비스 전달 매니저(service delivery manager)(203), SI 디코더(204), 역다중화부(demuxer or demultiplexer)(205), 오디오 디코더(audio decoder)(206), 비디오 디코더(video decoder)(207), 디스플레이부(display A/V and OSD module)(208), 서비스 제어 매니저(service control manager)(209), 서비스 디스커버리 매니저(service discovery manager)(210), SI&메타데이터 데이터베이스(SI&metadata DB)(211), 메타데이터 매니저(metadata manager)(212), 서비스 매니저(213), UI(User Interface) 매니저(214)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The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01)는, 네트워크망을 통하여 IP 패킷(들)(Internet Protocol (IP) packet(s)) 또는 IP 데이터그램(들)(IP datagram(s))(이하 ‘IP 패킷(들)’이라 한다)을 서버(105)로부터 수신하거나 상기 서버(105)로 송신한다. 일 예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01)는 네트워크망을 통해 서비스 프로바이더(service provider) 로부터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컨텐트 등을 수신할 수 있다.The
TCP/IP 매니저(202)는, 디지털 TV(200)로 수신되는 IP 패킷들과 디지털 TV(200)가 전송하는 IP 패킷들에 대하여 즉, 소스(source)와 목적지(destination) 사이의 패킷 전달(packet delivery)에 관여한다. 상기 TCP/IP 매니저(202)는 수신된 패킷(들)을 적절한 프로토콜에 대응하도록 분류하고, 서비스 전달 매니저(205), 서비스 디스커버리 매니저(210), 서비스 제어 매니저(209), 메타데이터 매니저(212) 등으로 상기 분류된 패킷(들)을 출력한다.The TCP /
서비스 전달 매니저(203)는, 수신되는 서비스 데이터의 제어를 담당한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전달 매니저(203)는 실시간 스트리밍(real-time streaming) 데이터를 제어하는 경우에는 RTP/RTCP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실시간 스트리밍 데이터를 RTP를 사용하여 전송하는 경우, 서비스 전달 매니저(203)는 상기 수신된 데이터 패킷을 RTP에 따라 파싱(parsing)하여 역다중화부(205)로 전송하거나 서비스 매니저(213)의 제어에 따라 SI&메타데이터 데이터베이스(211)에 저장한다. 그리고 서비스 전달 매니저(203)는 RTCP를 이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수신 정보를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측에 피드백(feedback)한다.The
역다중화부(205)는, 수신된 패킷을 오디오, 비디오, SI(System Information) 데이터 등으로 역다중화하여 각각 오디오/비디오 디코더(206/207), SI 디코더(204)에 전송한다.The
SI 디코더(204)는, 역다중화된 SI 데이터 즉, PSI(Program Specific Information), PSIP(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 DVB-SI(Digital Video Broadcasting-Service Information), DTMB/CMMB(Digital Television Terrestrial Multimedia Broadcasting/Coding Mobile Multimedia Broadcasting) 등의 서비스 정보를 디코딩한다. 또한, SI 디코더(204)는, 디코딩된 서비스 정보들을 SI&메타데이터 데이터베이스(211)에 저장할 수 있다. 저장된 서비스 정보는 예를 들어, 유저의 요청 등에 의해 해당 구성에 의해 독출되어 이용될 수 있다. The
오디오/비디오 디코더(206/207)는, 역다중화된 각 오디오 데이터와 비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한다. 이렇게 디코딩된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는 디스플레이부(208)를 통하여 유저에게 제공된다.The audio /
애플리케이션 매니저는 예를 들어, UI 매니저(214)와 서비스 매니저(213)를 포함하며, 디지털 TV(200)의 제어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애플리케이션 매니저는, 디지털 TV(200)의 전반적인 상태를 관리하고 유저 인터페이스(UI)를 제공하며, 다른 매니저를 관리할 수 있다.The application manager includes, for example, a
UI 매니저(214)는, 유저를 위한 GUI(Graphic User Interface)/UI를 OSD(On Screen Display) 등을 이용하여 제공하며, 유저로부터 키 입력을 받아 상기 입력에 따른 디바이스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UI 매니저(214)는 유저로부터 채널 선택에 관한 키 입력을 받으면 상기 키 입력 신호를 서비스 매니저(213)에 전송한다.The
서비스 매니저(213)는, 서비스 전달 매니저(203), 서비스 디스커버리 매니저(210), 서비스 제어 매니저(209), 메타데이터 매니저(212) 등 서비스와 연관된 매니저를 제어한다. 또한, 서비스 매니저(213)는, 채널 맵(channel map)을 생성하고 UI 매니저(214)로부터 수신한 키 입력에 따라 상기 생성된 채널 맵을 이용하여 채널을 선택 등을 제어한다. 상기 서비스 매니저(213)는 SI 디코더(204)로부터 서비스 정보를 전송받아 선택된 채널의 오디오/비디오 PID(Packet Identifier)를 역다중화부(205)에 설정한다. 이렇게 설정되는 PID는 상술한 역다중화 과정에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역다중화부(205)는 상기 PID를 이용하여 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및 SI 데이터를 필터링(PID or section filtering) 한다.The
서비스 디스커버리 매니저(210)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프로바이더를 선택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서비스 매니저(213)로부터 채널 선택에 관한 신호를 수신하면, 서비스 디스커버리 매니저(210)는 상기 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찾는다.The
서비스 제어 매니저(209)는, 서비스의 선택과 제어를 담당한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어 매니저(209)는 유저가 기존의 방송 방식과 같은 생방송(live broadcasting) 서비스를 선택하는 경우 IGMP 또는 RTSP 등을 사용하고, VOD(Video on Demand)와 같은 서비스를 선택하는 경우에는 RTSP를 사용하여 서비스의 선택, 제어를 수행한다. 상기 RTSP 프로토콜은 실시간 스트리밍에 대해 트릭 모드(trick mode)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어 매니저(209)는 IMS(IP Multimedia Subsystem),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를 이용하여 IMS 게이트웨이(250)를 통하는 세션을 초기화하고 관리할 수 있다. 상기 프로토콜들은 일 실시 예이며, 구현 예에 따라 다른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도 있다.The
메타데이터 매니저(212)는, 서비스와 연관된 메타데이터를 관리하고 상기 메타데이터를 SI&메타데이터 데이터베이스(211)에 저장한다.The
SI&메타데이터 데이터베이스(211)는, SI 디코더(204)가 디코딩한 서비스 정보, 메타데이터 매니저(212)가 관리하는 메타데이터 및 서비스 디스커버리 매니저(210)가 제공하는 서비스 프로바이더를 선택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SI&메타데이터 데이터베이스(211)는 시스템에 대한 세트-업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SI&메타데이터 데이터베이스(211)는,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RAM: NVRAM) 또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The SI &
한편, IMS 게이트웨이(250)는, IMS 기반의 IPTV 서비스에 접근하기 위해 필요한 기능들을 모아 놓은 게이트웨이이다.Meanwhile, the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TV의 구성 블록도이다. 3 is a block diagram of a digital TV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를 참조하면, 디지털 TV는, 방송 수신부(305),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316), 저장부(318), 유저입력 인터페이스부(320), 제어부(325), 디스플레이부(330), 오디오 출력부(335), 전원 공급부(340) 및 촬영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방송 수신부(305)는, 적어도 하나의 튜너(310), 복조부(31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14)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경우에 따라, 상기 방송 수신부(305)는 튜너(310)와 복조부(312)는 구비하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14)는 포함하지 않을 수 있으며 그 반대의 경우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방송 수신부(305)는 도시되진 않았으나, 다중화부(multiplexer)를 구비하여 상기 튜너(310)를 거쳐 복조부(312)에서 복조된 신호와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14)를 거쳐 수신된 신호를 다중화할 수도 있다. 그 밖에 상기 방송 수신부(305)는 역시 도시되진 않았으나, 역다중화부를 구비하여 상기 다중화된 신호를 역다중화하거나 상기 복조된 신호 또는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14)를 거친 신호를 역다중화할 수 있다.3A, the digital TV includes a
튜너(310)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 신호 중 유저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저장된 모든 채널을 튜닝하여 RF 방송 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튜너(310)는, 수신된 RF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Intermediate Frequency; IF) 신호 혹은 베이스밴드(baseband) 신호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수신된 RF 방송 신호가 디지털 방송 신호이면 디지털 IF 신호(DIF)로 변환하고, 아날로그 방송 신호이면 아날로그 베이스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로 변환한다. 즉, 튜너(310)는 디지털 방송 신호 또는 아날로그 방송 신호를 모두 처리할 수 있다. 튜너(310)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는 제어부(325)로 직접 입력될 수 있다. 또한, 튜너(310)는, 싱글 캐리어(single carrier) 또는 멀티플 캐리어(multiple carrier)의 RF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튜너(310)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방송 신호 중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저장된 모든 방송 채널의 RF 방송 신호를 순차로 튜닝 및 수신하여 이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신호(DIF: Digital Intermediate Frequency or baseband signal)로 변환할 수 있다.The
복조부(312)는, 튜너(310)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하고, 채널 복호화 등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복조부(312)는 트렐리스 디코더(Trellis Decoder), 디인터리버(De-interleaver), 리드 솔로먼 디코더(Reed-Solomon Decoder) 등을 구비하거나 컨벌루션 디코더(convolution decoder), 디인터리버 및 리드-솔로먼 디코더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복조부(312)는, 복조 및 채널 복호화를 수행한 후 스트림 신호(TS)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스트림 신호는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신호일 수 있다. 일 예로, 스트림 신호는 MPEG-2 규격의 영상 신호, 돌비(Dolby) AC-3 규격의 음성 신호 등이 다중화된 MPEG-2 TS(Transport Stream)일 수 있다. 복조부(312)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는 제어부(325)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325)는 역다중화, 영상/음성 신호 처리 등을 제어하고, 디스플레이부(330)를 통해 영상을, 오디오 출력부(335)를 통해 음성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The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316)는, 디지털 TV와 다양한 외부 디바이스 사이의 인터페이싱 환경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316)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316)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ray), 게임 디바이스, 카메라, 캠코더(Camcorder), 컴퓨터(노트북), 태블릿 PC, 스마트폰, 블루투스 디바이스, 클라우드(Cloud) 등과 같은 외부 디바이스 등과 유/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다.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316)는 연결된 외부 디바이스를 통하여 입력되는 이미지, 영상, 음성 등 데이터를 포함한 신호를 디지털 TV의 제어부(325)로 전달한다. 제어부(325)는 처리된 이미지, 영상, 음성 등을 데이터 신호를 연결된 외부 디바이스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316)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external
A/V 입/출력부는, 외부 디바이스의 영상 및 음성 신호를 디지털 TV로 입력할 수 있도록, USB 단자, CVBS 단자, 컴포넌트 단자, S-비디오 단자(아날로그), DVI 단자, HDMI 단자, RGB 단자, D-SUB 단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A / V I / O section is equipped with a USB terminal, CVBS terminal, component terminal, S-video terminal (analog), DVI terminal, HDMI terminal, RGB terminal, D-SUB terminal, and the like.
무선 통신부는, 다른 디지털 디바이스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디지털 TV는 예를 들어, 블루투스, RFID, 적외선 통신(IrDA), UWB, 지그비, DLNA 등의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다른 디지털 디바이스와 네트워크 연결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can perform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nother digital device. The digital TV can be networked with other digital devices according to communication protocols such as Bluetooth, RFID, infrared communication (IrDA), UWB, ZigBee, DLNA, and the like.
또한,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316)는, 셋톱-박스(STB)와 상술한 각종 단자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접속되어, 셋톱-박스(STB)와 입력/출력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316)는, 인접하는 외부 디바이스 내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application list)을 수신하여, 제어부(325) 또는 저장부(318)로 전달할 수 있다.Also, the external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14)는, 디지털 TV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14)는, 유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예를 들어, 이더넷(Ethernet) 단자 등을 구비할 수 있으며, 무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예를 들어, WLAN, Wibro, Wimax, HSDPA 통신 규격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14)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유저 또는 다른 디지털 디바이스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특히, 디지털 TV에 미리 등록된 다른 유저 또는 다른 디지털 디바이스 중 선택된 유저 또는 선택된 디지털 디바이스에, 상기 디지털 TV에 저장된 일부의 컨텐트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14)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해당 서버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그 외, 컨텐트 프로바이더(content provider) 또는 네트워크 프로바이더(network provider)가 제공하는 컨텐트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트 프로바이더 또는 네트워크 프로바이더로부터 제공되는 영화(Movie), 광고(Commercials), 게임(Game), VOD, 방송 신호 등의 컨텐트 및 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펌웨어(firmware)의 업데이트 정보 및 업데이트 파일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인터넷 또는 컨텐트 프로바이더 또는 네트워크 프로바이더에게 데이터들을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14)는, 네트워크를 통해 공개(open)된 애플리케이션들 중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수신할 수 있다.The
저장부(318)는, 제어부(325)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program)을 저장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318)는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316)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14)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저장부(318)는,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방송 채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318)는,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316)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14)로부터 입력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318)는, 후술하여 설명하는 다양한 플랫폼(platform)을 저장할 수도 있다. 저장부(318)는 예를 들어,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롬(EEPROM 등)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TV는, 저장부(318) 내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트 파일(동영상 파일, 정지영상 파일, 음악 파일, 문서 파일, 애플리케이션 파일 등)을 재생하여 유저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3a는 저장부(318)가 제어부(325)와 별도로 구비된 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저장부(318)는 제어부(325) 내에 포함될 수도 있다.The
유저 입력 인터페이스부(320)는, 유저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325)로 전달하거나 제어부(325)의 신호를 유저에게 전달한다. 예를 들어, 유저 입력 인터페이스부(320)는, RF 통신 방식,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원격제어 디바이스(345)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제어부(325)의 제어 신호를 원격제어 디바이스(345)로 송신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유저 입력 인터페이스부(320)는, 전원 키, 채널 키, 볼륨 키, 설정치 등의 로컬 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325)에 전달할 수 있다. 유저 입력 인터페이스부(320)는, 유저의 제스처(gesture)를 센싱(sensing)하는 센싱부(미도시)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325)에 전달하거나, 제어부(325)의 신호를 센싱부(미도시)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센싱부(미도시)는, 터치 센서, 음성 센서, 위치 센서, 동작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user
제어부(325)는, 튜너(310), 복조부(312) 또는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316)를 통하여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된 신호들을 처리하여, 영상 또는 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325)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부(33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25)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316)를 통하여 외부 출력 디바이스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325)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335)로 오디오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25)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316)를 통하여 외부 출력 디바이스로 입력될 수 있다. 도 3a에서는 도시되진 않았으나, 제어부(325)는 역다중화부, 영상 처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25)는, 디지털 TV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25)는, 튜너(310)를 제어하여, 유저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을 튜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25)는, 유저 입력 인터페이스부(320)를 통하여 입력된 유저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디지털 TV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유저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디지털 TV 내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25)는, 유저 입력 인터페이스부(320)를 통하여 수신한 소정 채널 선택 명령에 따라 선택한 채널의 신호가 입력되도록 튜너(310)를 제어한다. 그리고 선택한 채널의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처리한다. 제어부(325)는, 유저가 선택한 채널 정보 등이 처리한 영상 또는 음성신호와 함께 디스플레이부(330) 또는 오디오 출력부(335)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다른 예로, 제어부(325)는, 유저 입력 인터페이스부(320)를 통하여 수신한 외부 디바이스 영상 재생 명령에 따라,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316)를 통하여 입력되는 외부 디바이스, 예를 들어, 카메라 또는 캠코더로부터의, 영상 신호 또는 음성 신호가 디스플레이부(330) 또는 오디오 출력부(335)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어부(325)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33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튜너(310)를 통해 입력되는 방송 영상, 또는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316)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입력 영상,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또는 저장부(318)에 저장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33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33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325)는, 컨텐트를 재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의 컨텐트는, 디지털 TV 내에 저장된 컨텐트, 또는 수신된 방송 컨텐트,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외부 입력 컨텐트일 수 있다. 컨텐트는, 방송 영상, 외부 입력 영상, 오디오 파일, 정지 영상, 접속된 웹 화면, 및 문서 파일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325)는, 애플리케이션 보기 항목에 진입하는 경우, 디지털 TV 내 또는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다운로드 가능한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25)는, 다양한 유저 인터페이스와 더불어,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다운로드 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설치 및 구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유저의 선택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에 관련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부(330)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한편,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디지털 TV는, 채널 신호 또는 외부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썸네일 이미지를 생성하는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가 더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는, 복조부(312)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TS) 또는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316)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 등을 입력받아, 입력되는 스트림 신호로부터 영상을 추출하여 썸네일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썸네일 영상은 그대로 또는 부호화되어 제어부(325)로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생성된 썸네일 영상은 스트림 형태로 부호화되어 제어부(325)로 입력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325)는 입력된 썸네일 영상을 이용하여 복수의 썸네일 영상을 구비하는 썸네일 리스트를 디스플레이부(330)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썸네일 리스트 내의 썸네일 영상들은 차례로 또는 동시에 업데이트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저는 복수의 방송 채널의 내용을 간편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figure, the digital TV may further include a channel browsing processing unit for generating a channel signal or a thumbnail image corresponding to an external input signal. The channel browsing processing unit receives a stream signal TS output from the
디스플레이부(330)는, 제어부(325)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또는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316)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각각 R, G, 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디스플레이부(330)는 PDP(Plasma Display Panel),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등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33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출력 디바이스 이외에 입력 디바이스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오디오 출력부(335)는, 제어부(325)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 예를 들어, 스테레오 신호, 3.1 채널 신호 또는 5.1 채널 신호를 입력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음성 출력부(335)는 다양한 형태의 스피커로 구현될 수 있다.The
한편, 유저의 제스처를 감지하기 위해, 상술한 바와 같이, 터치 센서, 음성 센서, 위치 센서, 동작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센싱부(미도시)가 디지털 TV에 더 구비될 수 있다. 센싱부(미도시)에서 감지된 신호는 유저입력 인터페이스부(320)를 통해 제어부(325)로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유저를 촬영하는 촬영부(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촬영부(미도시)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는 제어부(325)에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325)는, 촬영부(미도시)로부터 촬영된 영상, 또는 센싱부(미도시)로부터의 감지된 신호를 각각 또는 조합하여 유저의 제스처를 감지할 수도 있다. In order to detect the user's gesture, a sensing unit (not shown) having at least one of a touch sensor, a voice sensor, a position sensor, and an operation sensor may be further included in the digital TV, as described above. The signal sensed by the sensing unit (not shown) may be transmitted to the
전원 공급부(340)는, 디지털 TV 전반에 걸쳐 해당 전원을 공급한다. 특히,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 SoC)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제어부(325)와, 영상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부(380), 및 오디오 출력을 위한 오디오 출력부(335)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원 공급부(340)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컨버터(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380)가 다수의 백라이트 램프(backlight lamp)를 구비하는 액정 패널로서 구현되는 경우, 휘도 가변 또는 디밍(dimming) 구동을 위해, PWM(Pulse Width Modulation) 동작 가능한 인버터(inverter)(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The
원격제어 디바이스(345)는, 유저 입력을 유저입력 인터페이스부(320)로 송신한다. 이를 위해, 원격제어 디바이스(345)는, 블루투스, RF 통신, 적외선(IR) 통신, UWB, 지그비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 디바이스(345)는, 유저입력 인터페이스부(320)에서 출력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 등을 수신하여, 이를 원격제어 디바이스(345)에서 표시하거나 음성 또는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The
그 밖에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TV는 도시된 구성 중 필요에 따라 일부 구성을 생략하거나 반대로 도시되진 않은 구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디지털 TV는 상술한 바와 달리, 튜너와 복조부를 구비하지 않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또는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를 통해서 컨텐트를 수신하여 재생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digital TV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onfiguration which is not shown or which is not reversed, as needed, among the configurations shown. On the other hand, the digital TV does not have a tuner and a demodulator but may receive and reproduce the content through the network interface unit or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도 3b를 참조하면, 제어부의 일 예는, 역다중화부(350), 영상 처리부, OSD 생성부(366), 믹서(mixer)(370),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FRC: Frame Rate Converter)(380), 및 포맷터(formatter)(390)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외 상기 제어부는 도시되진 않았으나 음성 처리부와 데이터 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3B, an example of the control unit includes a
역다중화부(350)는,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한다. 예를 들어, 역다중화부(350)는 입력되는 MPEG-2 TS 영상, 음성 및 데이터 신호로 역다중화할 수 있다. 여기서, 역다중화부(350)에 입력되는 스트림 신호는, 튜너 또는 복조부 또는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에서 출력되는 스트림 신호일 수 있다.The
영상 처리부는,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의 영상 처리를 수행한다. 이를 위해, 영상 처리부는, 영상 디코더(362) 및 스케일러(364)를 구비할 수 있다. 영상 디코더(362)는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를 복호하며, 스케일러(364)는 복호된 영상 신호의 해상도를 디스플레이부에서 출력 가능하도록 스케일링(scaling)한다. 영상 디코더(362)는 다양한 규격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디코더(362)는 영상 신호가 MPEG-2 규격으로 부호화된 경우에는 MPEG-2 디코더의 기능을 수행하고, 영상 신호가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방식 또는 H.264 규격으로 부호화된 경우에는 H.264 디코더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영상 처리부에서 복호된 영상 신호는, 믹서(370)로 입력된다.The image processing unit performs image processing of the demultiplexed video signal. To this end, the image processing unit may include a
OSD 생성부(366)는, 유저 입력에 따라 또는 자체적으로 OSD 데이터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OSD 생성부(366)는 유저입력 인터페이스부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에 각종 데이터를 그래픽(Graphic)이나 텍스트(Text) 형태로 표시하기 위한 데이터를 생성한다. 생성되는 OSD 데이터는, 디지털 TV의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 다양한 메뉴 화면, 위젯(widget), 아이콘(icon), 시청률 정보(viewing rate information)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한다. OSD 생성부(366)는, 방송 영상의 자막 또는 EPG(Electronic Program Guide)에 기반한 방송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데이터를 생성할 수도 있다.The
믹서(370)는, OSD 생성부(366)에서 생성된 OSD 데이터와 영상 처리부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를 믹싱(mixing)하여 포맷터(390)로 제공한다. 복호된 영상 신호와 OSD 데이터가 믹싱됨으로 인하여, 방송 영상 또는 외부 입력 영상 상에 OSD가 오버레이(overlay) 되어 표시된다.The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FRC)(380)는, 입력되는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frame rate)를 변환한다. 예를 들어,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80)는 입력되는 60Hz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디스플레이부의 출력 주파수에 따라 예를 들어, 120Hz 또는 240Hz의 프레임 레이트를 가지도록 변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프레임 레이트를 변환하는 방법에는 다양한 방법이 존재할 수 있다. 일 예로,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80)는 프레임 레이트를 60Hz에서 120Hz로 변환하는 경우,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 사이에 동일한 제1 프레임을 삽입하거나,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으로부터 예측된 제3 프레임을 삽입함으로써 변환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80)는 프레임 레이트를 60Hz에서 240Hz로 변환하는 경우, 기존 프레임 사이에 동일한 프레임 또는 예측된 프레임을 3개 더 삽입하여 변환할 수 있다. 한편, 별도의 프레임 변환을 수행하지 않는 경우에는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80)를 바이패스(bypass) 할 수도 있다.A frame rate converter (FRC) 380 converts a frame rate of an input image. For example, the frame
포맷터(390)는, 입력되는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80)의 출력을 디스플레이부의 출력 포맷에 맞게 변경한다. 예를 들어, 포맷터(390)는 R, G, B 데이터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이러한 R, G, B 데이터 신호는, 낮은 전압 차분 신호(LVDS: 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 또는 mini-LVDS로 출력될 수 있다. 또한, 포맷터(390)는 입력되는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80)의 출력이 3D 영상 신호인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의 출력 포맷에 맞게 3D 형태로 구성하여 출력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3D 서비스를 지원할 수도 있다.The
한편, 제어부 내 음성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의 음성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음성 처리부(미도시)는 다양한 오디오 포맷을 처리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일 예로, 음성 신호가 MPEG-2, MPEG-4, AAC, HE-AAC, AC-3, BSAC 등의 포맷으로 부호화된 경우에도 이에 대응되는 디코더를 구비하여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 내 음성 처리부(미도시)는, 베이스(Base), 트레블(Treble), 음량 조절 등을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 내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의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처리부는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가 부호화된 경우에도 이를 복호할 수 있다. 여기서,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로는, 각 채널에서 방영되는 방송 프로그램의 시작시각, 종료시각 등의 방송 정보가 포함된 EPG 정보일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voice processing unit (not shown) in the control unit can perform the voice processing of the demultiplexed voice signal. Such a voice processing unit (not shown) may support processing various audio formats. For example, even when a voice signal is coded in a format such as MPEG-2, MPEG-4, AAC, HE-AAC, AC-3, or BSAC, a corresponding decoder can be provided. In addition, the voice processing unit (not shown) in the control unit can process the base, the treble, the volume control, and the like. A data processing unit (not shown) in the control unit can perform data processing of the demultiplexed data signal. For example, the data processing unit can decode the demultiplexed data signal even when it is coded. Here, the encoded data signal may be EPG information including broadcast information such as a start time and an end time of a broadcast program broadcasted on each channel.
한편, 상술한 디지털 TV는 본 발명에 따른 예시로서,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디지털 TV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화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디바이스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한편, 디지털 TV는, 디바이스 내에 저장된 영상 또는 입력되는 영상의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영상신호 처리 디바이스일 수 있다. 영상신호 처리 디바이스의 다른 예로는, 도 3a에서 도시된 디스플레이부(330)와 오디오 출력부(335)가 제외된 셋톱-박스(STB), 상술한 DVD 플레이어, 블루-레이 플레이어, 게임 디바이스, 컴퓨터 등이 더 예시될 수 있다.Meanwhile, the above-described digital TV is an examp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each component can be integrated, added, or omitted according to specifications of a digital TV actually implemented. That is, if necessary, two or more components may be combined into one component, or one component may be divided into two or more components. In addition, the functions performed in each block are intended to illustrat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pecific operations and devices thereof do not limit the scope of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other hand, the digital TV may be a video signal processing device that performs signal processing of an image stored in the device or an input image. Other examples of the video signal processing device include a set-top box (STB) excluding the
도 4는 본 발명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구성 블록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400)는, 무선 통신부(410), A/V(Audio/Video) 입력부(420), 유저 입력부(430), 센싱부(440), 출력부(450), 메모리(460), 인터페이스부(470), 제어부(480), 전원 공급부(4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4, the
무선 통신부(410)는, 이동 단말기(4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와, 이동 단말기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410)는 방송 수신 모듈(411), 이동통신 모듈(412), 무선 인터넷 모듈(413), 근거리 통신 모듈(414), 위치정보 모듈(4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방송 수신 모듈(4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과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하며,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프로바이더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4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방송 관련 정보는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400)에서 EPG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을 생성하고 출력하기 위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411)은 예를 들어, ATSC, DVB-T(Digital Video Broadcasting-Terrestrial), DVB-S(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방송수신 모듈(4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수신 모듈(411)을 통해 수신되는 방송 신호와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460)에 저장될 수 있다.The
이동통신 모듈(4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무선 신호는, 음성 신호, 화상 통화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무선인터넷 모듈(4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포함하여, 이동 단말기(4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 Wibro, Wimax, HSDPA 등이 이용될 수 있다. The
근거리통신 모듈(4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 RFID, 적외선 통신(IrDA), UWB, ZigBee, RS-232, RS-385 등이 이용될 수 있다.The short-
위치정보 모듈(415)은, 이동 단말기(400)의 위치 정보 획득을 위한 모듈로서,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을 예로 할 수 있다.The
A/V 입력부(420)는, 오디오 또는/및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421)와 마이크(4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421)는, 화상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획득되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451)에 표시될 수 있다.The A /
카메라(4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4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4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4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The image frame processed by the
마이크(422)는, 통화 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4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4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The
유저 입력부(430)는, 유저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유저 입력부(4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jog wheel), 조그 스위치(jog switch)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user input unit 430 generates input data for the user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The user input unit 430 may include a key pad, a dome switch, a touch pad (static pressure / static electricity), a jog wheel, a jog switch, and the like.
센싱부(440)는, 이동 단말기(4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400)의 위치, 유저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400)의 현재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4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400)가 이동되거나 기울어진 경우 이동 단말기의 위치 내지 기울기 등을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4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470)의 외부 디바이스 결합 여부 등도 센싱할 수도 있다. 한편, 센싱부(440)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을 포함한 근접 센서(341)를 포함할 수 있다.The
출력부(4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451), 음향 출력 모듈(452), 알람부(453), 및 햅틱 모듈(4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디스플레이부(451)는, 이동 단말기(4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 또는 GUI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4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The
디스플레이부(451)는, LCD, TFT-LCD(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3차원 디스플레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4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유저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4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body)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Some of these displays may be transparent or light transmissive so that they can be seen through. This can be referred to as a transparent display, and a typical example of the transparent display is TOLED (Transparent OLED) and the like. The rear structure of the
이동 단말기(4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451)가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4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There may be two or
디스플레이부(4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451)는 출력 디바이스 이외에 입력 디바이스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The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4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4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touch sensor may be configured to convert a change in a pressure applied to a specific portion of the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4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480)는 디스플레이부(4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If there is a touch input to the touch sensor, the corresponding signal (s) is sent to the touch controller. The touch controller processes the signal (s) and transmits the corresponding data to the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44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A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Examples of the proximity sensor include a transmission type photoelectric sensor, a direct reflection type photoelectric sensor, a mirror reflection type photoelectric sensor, a high frequency oscillation type proximity sensor, a capacitive proximity sensor, a magnetic proximity sensor, and an infrared proximity sensor. And to detect the proximity of the pointer by the change of the electric field along the proximity of the pointer when the touch screen is electrostatic. In this case, the touch screen (touch sensor) may be classified as a proximity sensor.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act of recognizing that the pointer is positioned on the touch screen while the pointer is not in contact with the touch screen is referred to as "proximity touch & The act of actually touching the pointer on the screen is called "contact touch. &Quot; The position where the pointer is proximately touched on the touch screen means a position where the pointer is vertically corresponding to the touch screen when the pointer is touched.
상기 근접 센서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The proximity sensor detects a proximity touch and a proximity touch pattern (e.g., a proximity touch distance, a proximity touch direction, a proximity touch speed, a proximity touch time, a proximity touch position, a proximity touch movement state, and the lik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proximity touch operation and the proximity touch pattern may be output on the touch screen.
음향출력모듈(452)은, 호신호 수신, 통화 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4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4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452)은 이동 단말기(4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4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부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알람부(453)는, 이동 단말기(4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4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451)나 음성 출력 모듈(4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그들(451,452)은 알람부(453)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The
햅틱 모듈(haptic module)(454)은, 유저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4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4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4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4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저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454)은, 이동 단말기(4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The
메모리(460)는, 제어부(4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 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46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 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The
메모리(4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400)는 인터넷(internet) 상에서 상기 메모리(4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The
인터페이스부(470)는, 이동 단말기(4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 디바이스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470)는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4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4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디바이스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470)에 포함될 수 있다. The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4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유저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유저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디바이스(이하 '식별 디바이스')는, 스마트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디바이스는 포트를 통하여 이동 단말기(400)와 연결될 수 있다. The identification module is a chip for storing various information for authenticating the use right of the
인터페이스부(470)는, 이동 단말기(4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 단말기(4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유저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이동 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When the
제어부(4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4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480)는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480)는, 멀티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4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481)은, 제어부(4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4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어부(480)는, 터치-스크린상에서 이루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pattern recognition) 처리를 행할 수 있다. The
전원 공급부(490)는, 제어부(4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The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디바이스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The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in a recording medium readable by a computer or similar device using, for example, software, hard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 예는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unit)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 경우,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이 제어부(4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According to a hardware implementation,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a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DSP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May be implemented using at least one of a processor, a controller, micro-controllers, microprocessors, and an electrical unit for performing other functions. In some cases, the implementations described herein Examples may be implemented by the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 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 진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software code)가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460)에 저장되고, 제어부(4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According to a software implementation, embodiments such as the procedures and function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with separate software modules. Each of the software modules may perform one or more of the functions and operations described herein. Software code may be implemented in a software application written in a suitable programming language. Here, the software code is stored in the
한편, 유저가 주로 손에 쥐고 사용하는 차원을 넘어서, 신체에 착용할 수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본 명세서에서 디지털 디바이스 또는 외부 디바이스로 동작 또는 기능할 수 있다. 이러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에는 스마트워치,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HMD 등이 있다. On the other hand, a wearable device that can be worn on the body beyond the dimension that the user mainly grasps and uses can operate or function as a digital device or an external device in this specification. These wearable devices include smart watch, smart glass, and HMD.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다른 디바이스와 데이터를 상호 교환(또는 연동)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414)은, 이동 단말기(400) 주변에 통신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감지(또는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480)는 감지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이동 단말기(400)와 통신하도록 인증된 디바이스인 경우, 이동 단말기(4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근거리 통신 모듈(414)을 통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유저는 이동 단말기(4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하여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400)에 전화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전화 통화를 수행하거나, 이동 단말기(400)에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wearable device can mutually exchange (or interlock) data with another device. The short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구성 블록도이다.5 is a configuration block diagram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 즉, 스마트워치(500)는 디스플레이부(551)를 구비하는 본체(501) 및 본체(501)에 연결되어 손목에 착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밴드(502)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스마트워치(500)는 도 4의 이동 단말기(400)의 특징 또는 그와 유사한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5, a watch-type mobile terminal, that is, a
본체(501)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는 각종 전자부품들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마련하는 제1 케이스(501a) 및 제2 케이스(501b)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하나의 케이스가 상기 내부 공간을 마련하도록 구성되어 유니 바디의 이동 단말기(500)가 구현될 수도 있다.The
스마트워치(500)는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본체(501)에는 상기 무선 통신을 위한 안테나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안테나는 케이스를 이용하여 그 성능을 확장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전성 재질을 포함하는 케이스가 안테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그라운드 영역 또는 방사 영역을 확장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본체(501)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551)가 배치되어 정보를 출력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551)에는 터치센서가 구비되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551)의 윈도우(551a)는 제1 케이스(501a)에 장착되어 제1 케이스(501a)와 함께 단말기 바디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A
본체(501)에는 음향 출력부(552), 카메라(521), 마이크로폰(522), 유저 입력부(523)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551)가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되는 경우, 유저 입력부(523)로 기능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체(501)에 별도의 키가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The
밴드(502)는 손목에 착용되어 손목을 감싸도록 이루어지며, 착용이 용이하도록 플렉시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한 예로서, 밴드(502)는 가죽, 고무, 실리콘, 합성수지 재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밴드(502)는 본체(501)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유저가 취향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밴드로 교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The
한편, 밴드(502)는 안테나의 성능을 확장시키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밴드에는 안테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그라운드 영역을 확장시키는 그라운드 확장부(미도시)가 내장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밴드(502)에는 파스너(fastener; 502a)가 구비될 수 있다. 파스너(502a)는 버클(buckle), 스냅핏(snap-fit)이 가능한 후크(hook) 구조, 또는 벨크로(velcro; 상표명) 등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신축성이 있는 구간 또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파스너(502a)가 버클 형태로 구현된 예를 제시하고 있다.The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디바이스 제어를 위한 제어 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다.6 is a diagram illustrating control means for digital device contr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디지털 디바이스(600)를 제어하기 위해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600) 상에 구비된 프론트 패널(front panel)(미도시)이나 제어 수단(입력 수단)이 이용된다.A front panel (not shown) or a control means (input means) provided on the
한편, 제어 수단은 유, 무선 통신 가능한 유저 인터페이스 디바이스(UID; User Interface Device)로써, 주로 디지털 디바이스(600)의 제어 목적으로 구현된 리모컨(610), 키보드(630), 포인팅 디바이스(620), 터치패드(touch-pad) 등이 포함되나,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600)에 연결된 외부 입력 전용의 제어 수단 역시 포함될 수 있다. 그 밖에, 디지털 디바이스(600) 제어 목적이 아니나 모드 전환 등을 통해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600)를 제어하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 이동 단말기 등도 제어 수단에 포함된다. The control means includes a
입력 수단은, 블루투스, RFID, 적외선 통신(IrDA), UWB, 지그비, DLNA, RS 등의 통신 프로토콜을 필요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채용하여 디지털 디바이스와 통신 가능하다.The input means can communicate with the digital device by employing at least one communication protocol such as Bluetooth, RFID, infrared communication (IrDA), UWB, ZigBee, DLNA, RS, etc. as needed.
리모컨(610)은, 디지털 디바이스(600) 제어를 위해 필요한 다양한 키 버튼들이 구비된 통상의 입력 수단을 말한다.The
포인팅 디바이스(620)는, 자이로 센서(Gyro Sensor) 등을 탑재하여 유저의 움직임, 압력, 회전 등에 기초하여 디지털 디바이스(600)의 화면상에 대응되는 포인터(pointer)를 구현하여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600)에 소정 제어 명령을 전달한다. 이러한 포인팅 디바이스(620)는, 매직 리모컨, 매직 컨트롤러 등 다양한 이름으로 명명될 수 있다.The
키보드(630)는, 디지털 디바이스(600)가 종래 방송만을 제공하던 것을 넘어 지능형 통합 디지털 디바이스로서 웹 브라우저, 애플리케이션, SNS(Social Networking Service)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함에 따라 종래 리모컨(610)만으로는 제어가 쉽지 않아 이를 보완하여 PC의 키보드와 유사하게 구현하여 텍스트 등의 입력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구현되었다.Since the
한편, 리모컨(610), 포인팅 디바이스(620), 키보드(630) 등 제어수단은, 필요에 따라 터치패드를 구비함으로써 텍스트 입력, 포인터 이동, 사진 내지 동영상의 확대/축소 등 더욱 편리하고 다양한 제어 목적에 이용할 수 있다. The control means such as the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라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데이터 처리 방법에 관한 다양한 실시 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various embodiments (s) of a method of processing data in a digital devic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명세서에서는 특히, 본 발명에 따라 유저의 로그-인(log-in)이나 센서(sensor) 등 하드웨어적인 구성 추가 없이 로그 데이터(Log data) 기반의 개인화 방법(Personalized or Customized method)을 제공할 수 있으며, 개인화에 따른 컨텐트/애플리케이션(Content item/Application) 이용 편의를 위한 다양한 UI/UX를 제공에 관한 다양한 실시 예들을 개시한다.In this specification, in particul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ersonalized method (personalized or customized method) based on log data without adding a hardware configuration such as a log-in or a sensor of a user And various embodiments related to providing various UI / UX for convenience of content / application according to personalization are disclosed.
본 발명과 관련하여, 본 명세서에서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디바이스들에 대한 로그 데이터를 분석(analyzing)하여, 유저 클러스터링(user clustering)을 수행하고, 상기 수행된 유저 클러스터링에 기초하여 디지털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개시한다. In the contex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and system for analyzing log data for one or more devices, performing user clustering, and controlling a digital device based on the performed user clustering Embodiments are disclosed.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유저 클러스터링을 미리 정의하고, 상기 정의된 유저 클러스터링에 기초하여 디지털 디바이스 동작 제어를 위해 개인화를 수행한다. 이때, 상기 유저 클러스터링에 기초한 개인화는 예를 들어, 유저의 선택에 따라 수동 필터링(manual filtering) 방식과 상기 유저의 선택과 무관하게 디바이스 이용 패턴(use pattern) 등에 기초한 자동 필터링(auto filitering) 방식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edefine user clustering and perform personalization for digital device operation control based on the defined user clustering. In this case, the personalization based on the user clustering may be performed by, for example, an automatic filtering method based on a manual filtering method and a device use pattern regardless of the user's selection ≪ / RTI >
이하에서는 편의상 하나의 디지털 디바이스에 대하여 유저 클러스터링 방법을 정의하고, 그에 기초하여 필터링하여 개인화한 후에 상기 개인화에 기초하여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을 일 실시 예로 하여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은 복수의 디바이스들을 포함한 홈 시스템(home system), 오피스 시스템(office system) 등에도 동일 또는 유사한 방식으로 적용 가능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편의상 디지털 디바이스는 디지털 TV를 예로 하여 설명하나, 이는 일 실시 예일 뿐, 이동 단말기 등에 동일 또는 유사한 방식으로 적용 가능함은 자명하다.Hereinafter, a method for defining a user clustering method for one digital device, filtering and personalizing the digital clustering method, and then controlling the device based on the personalization will be described as an embodiment.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applicable to a home system including a plurality of devices, an office system, and the like in the same or similar manner. In this specification, for the sake of convenience, a digital device is described as an example of a digital TV, but this is merely an embodiment, and it is obvious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mobile terminal or the like in the same or similar manner.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디바이스의 데이터 처리 방법은,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로그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로그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로그 데이터 분석 결과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제어 커맨드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어 커맨드에 대응하여 상기 저장된 로그 데이터 분석 결과 데이터에 기초하여 유저를 식별하고 식별된 유저에 따른 개인화 로그 UI를 상기 애플리케이션 화면상에 오버레이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개인화 로그 UI에 대한 제어 커맨드에 따라 데이터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 data processing method of a digit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executing an application and displaying it on a screen, collecting log data, transmitting the collected log data to a server, Receiving and storing data analysis result data, receiving a control command, identifying a user based on the stored log data analysis result data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command, and displaying a personalization log UI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d user on the application screen Displaying the overlay on the personalization log UI, and processing the data according to a control command for the displayed personalization log UI.
상기 방법은, 식별된 유저에 대응되는 미리 정의된 개인화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미리 정의된 개인화 아이콘은, 상기 로그 데이터 분석 결과 데이터에 기초하여 특정 유저가 아닌 소정 특징을 가진 유저로 분류될 수 있다.The method further comprises displaying a predefined personalization icon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d user, wherein the predefined personalization icon includes a predetermined feature that is not a specific user based on the log data analysis result data It can be classified as an existing user.
상기에서, 로그 데이터 분석 결과 데이터는, 디바이스 식별자, 채널명, 프로그램명, 시청 시작 시각, 시청 기간 및 장르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팩터로 이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The log data analysis result data may be generated using at least one of a device identifier, a channel name, a program name, a viewing start time, a viewing period, and genre data as a factor.
상기 방법은,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개인화 아이콘 액세스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개인화 아이콘 액세스 신호에 따라 추천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개인화 아이콘 변경, 개인화 서비스 설정 및 변경 및 개인화 서비스 종료 중 어느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receiving the displayed personalized icon access signal, performing one of the recommended application list, personalized icon change, personalized service setting and change, and personalization service termination according to the received personalized icon access signal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상기에서, 개인화 로그 UI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추천 애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상기 필터링된 데이터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추천 애플리케이션 리스트는, 입력되는 제어 커맨드에 따라 랩 어라운드 또는 스크롤될 수 있다.In the above, the personalization log UI may include one or more recommended application lists as the filtered data. Also, in the above, the list of one or more recommended applications may be wrapped around or scrolled according to the input control command.
상기 방법은,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추천 애플리케이션 리스트로부터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애플리케이션 선택 신호에 따라 채널 스위칭, PIP 윈도우 디스플레이, 및 시청 예약/녹화 예약 서브 항목 디스플레이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method comprising: receiving one application item selection signal from the one or more recommended application lists; and selecting one of the channel switching, PIP window display, and viewing reservation /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디지털 TV 제어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igital TV control method in a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서비스 시스템은, 디지털 TV(720)와 서비스 서버(7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디지털 TV(720)는, 유저에 의해 제어 커맨드를 수신하고 그에 따라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유저의 제어 커맨드는 리모컨, 이동 단말기 등을 통한 터치, 키 버튼, 음성, 제스처, 아이-트랙킹, 지문 인식 등 입력 각각 또는 그 조합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편의상, 유저의 제어 커맨드는 이동 단말기(710)상에 실행되는 TV 애플리케이션의 키 버튼 선택에 따라 이루어지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이동 단말기(710)는 서비스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다.The service system includes a
도 7을 참조하면, 디지털 TV(720)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유저들에 의한 로그 데이터를 수집하여(S702) 서비스 서버(730)로 전송한다(S704). 여기서, 상기 로그 데이터는 후술하는 도 11과 같이 수집되고 전송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로그 데이터는 시간 기준으로 수집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그 데이터 전송은 주기 또는 비주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자와 같이, 상기 로그 데이터 전송이 주기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미리 정해진 시각 또는 시간 단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디지털 TV(720)와 서비스 서버(730) 상의 네트워크 트래픽(network traffic)이나 로그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주기가 변경될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 7, the
상기 서비스 서버(730)는 전송된 로그 데이터를 분석한다(S706). 상기 분석은 해당 디바이스의 로그 데이터만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는, 상기 분석은 상기 서비스 서버(730)에 속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디지털 디바이스들로부터 수신된 로그 데이터를 참조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서비스 서버(730)는 로그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를 디지털 TV(720)로 리턴(return) 한다(S708). 상기 리턴은 디지털 TV(720)의 요청에 의해 또는 서비스 서버(730) 자체 판단에 따라 다양한 기준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The
디지털 TV(720)는 서비스 서버(730)로부터 리턴되는 로그 데이터 분석 결과를 메모리에 저장한다(S710).The
상술한 S702 내지 S710 단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계는, 디지털 TV(720)의 전원이 턴-온(turn on)되고 턴-오프(turn off)되는 동안에 계속하여 수행되고, 업데이트될 수 있다.At least one of steps S702 to S710 described above may be continuously performed and updated while the power of the
이하 편의상 디지털 TV(720)는 전원이 턴-온되었고, 화면상에 제1 애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이라고 가정하고 설명한다. 한편,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은 TV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웹 애플리케이션 등 상기 디지털 TV(720)에서 실행 가능한 모든 애플리케이션이 해당할 수 있으나, 편의상 이하에서는 TV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For convenience, the
이동 단말기(710)로부터 제1 제어 커맨드가 수신되면(S712), 디지털 TV(720)는 상기 수신된 제1 제어 커맨드를 파싱(parsing)한다. 디지털 TV(720)는 상기 파싱 결과에 기초하여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먼저 상기 제1 제어 커맨드를 전송한 유저를 식별한다(S714). 여기서, 상기 유저를 식별하는 방법은 상기 서비스 서버(730)로부터 리턴된 로그 데이터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고, 그 이외에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고 여기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유저 식별 과정은, 상기 서비스 서버(730)로부터 리턴된 로그 데이터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별도로 유저 식별 단계가 필수적으로 수행될 필요는 없다.When the first control command is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710 (S712), the
디지털 TV(720)는 식별된 유저에 기초하여 제1 로그 UI를 디스플레이한다(S716). 예컨대, 상기 제1 제어 커맨드가 채널 변경을 위한 요청이면, 디지털 TV(720)는 상기 채널 변경 요청에 기초하여 채널 리스트를 상기 식별된 유저에 기초하여 미리 생성된 제1 로그 UI를 통해 제공한다. 상기 제1 로그 UI를 통해 제공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채널들은 예컨대, 상기 서비스 서버(730)로부터 리턴된 로그 데이터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The
이동 단말기(710)로부터 제2 제어 커맨드가 수신되면(S818), 디지털 TV(720)는 상기 수신된 제2 제어 커맨드를 파싱하고 제2 로그 UI를 디스플레이한다(S720).If the second control command is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710 (S818), the
또한, 디지털 TV(720)는 이동 단말기(710)로부터 제3 제어 커맨드가 수신되면(S722), 상기 제3 제어 커맨드를 파싱하고, 그에 기초하여 동작을 수행한다(S724).When the third control command is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710 (S722), the
상기에서 제2 제어 커맨드에 따른 디지털 TV(720)의 동작은 편의상 기술한 것으로, 반드시 수행될 필요는 없다.The operation of the
정리하면, 디지털 TV(720) 로그 데이터를 수집하고 저장하며 유저의 커맨드에 기초하여 시간 정보, 유저 식별 정보 등에 기초하여 상기 유저의 커맨드에 따른 로그 UI를 제공하고, 그 선택에 따라 수동 또는 자동으로 특정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In summary, the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시스템에서 로그 데이터 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8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of processing log data in the servi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특히, 상기 서비스 시스템 내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디지털 TV들(810, 820)과 서비스 서버(730) 사이의 데이터 커뮤니케이션을 설명한다.FIG. 8 particularly illustrates data communication between one or more
편의상 도 8에서는 복수의 디지털 TV 즉, 제1 디지털 TV(810)와 제2 디지털 TV(820)를 예로 하였다. 그리고 상기 서비스 서버(730)는 크롤러/제어부(Crowler/Controller)(832), 데이터베이스(DB: database)(834), 로그 분석 엔진(Log analysis engine)(836)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예로 하였다.For convenience, a plurality of digital TVs, that is, a first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상기 디지털 TV들(810, 820)과 서비스 서버(730) 사이의 데이터 커뮤니케이션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data communication between the
제1 디지털 TV(810)는 로그 데이터를 서비스 서버 내 크롤러/제어부(832)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전송되는 로그 데이터는 주기/비주기로 전송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디지털 TV는 이벤트가 발생할 때마다 그에 관한 로그 데이터를 미리 정한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크롤러/제어부(832)로 전송할 수 있다. The first
크롤러/제어부(832)는 수신되는 제1 디지털 TV(810)의 로그 데이터를 파싱하고, 데이터베이스(DB)(834)로 전달한다. 여기서, 상기 크롤러/제어부(832)는 파싱된 로그 데이터를 분류할 수 있다. 상기 분류는 그룹 단위, 디바이스 단위, 이벤트 단위, 시간 단위 등 각각 또는 그 조합에 대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그룹 단위라 함은 특정 기준에 따라 그룹핑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디지털 디바이스들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그룹핑의 기준으로 디지털 디바이스의 타입 내지 종류, 네트워크, 임의 설정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일 예로, 동일한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홈 내 복수 개의 디지털 TV들은 하나의 그룹에 속할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 단위라 함은 고유의 디바이스를 의미할 수도 있고, 동일한 타입 내지 종류의 디바이스들을 의미할 수도 있다. 예컨대, 홈 네트워크에 속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디지털 TV들만 하나의 디바이스 단위가 될 수 있고, 홈 네트워크에 속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이동 단말기들만 하나의 디바이스 단위가 될 수도 있다. 상기 크롤러/제어부(832)는 상기 분류에 따라 구분된 로그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베이스(DB)(834)에 구분하여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crawler /
로그 분석 엔진(836)은 데이터베이스(DB)(834)에 저장되는 로그 데이터를 분석한다. 이때, 상기 로그 분석 엔진(836)은 상기 크롤러/제어부(832)의 제어에 따라 분류된 로그 데이터 단위로 분석할 수 있다. 이렇게 분석된 로그 데이터는 크롤러/제어부(832)로 직접 전달되어, 해당 디지털 TV로 바로 리턴될 수도 있고, 데이터베이스(DB)(834)에 별도 저장될 수도 있다.The
크롤러/제어부(832)는 데이터베이스(DB)(834)에 저장된 로그 데이터 분석 결과를 독출하여 제1 디지털 TV(810)로 리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턴은, 상기 제1 디지털 TV(810)의 요청에 따라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제1 디지털 TV(810)는 경우에 따라 서비스 서버(730)로 제어 커맨드를 전송하고, 그 결과 즉, 데이터를 리턴 받을 수도 있다.The crawler /
제2 디지털 TV(820) 역시 상술한 제1 디지털 TV(810)와 동일하게 서비스 서버(730)와 데이터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The second
로그 분석 엔진(836)은 제1 디지털 TV(810)의 로그 데이터 분석 시에 상기 제2 디지털 TV(820)로부터 수신된 로그 데이터를 참조할 수 있다.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즉, 상기 로그 분석 엔진(836)은 제2 디지털 TV(820)의 로그 데이터 분석 시에 상기 제1 디지털 TV(810)로부터 수신한 로그 데이터 또는 분석된 로그 데이터를 참조할 수 있다. 그 밖에, 상기 제1 디지털 TV(810)와 제2 디지털 TV(820)가 관련성이 있는 경우 예를 들어, 동일한 그룹 단위나 동일한 디바이스 단위로 분류된 경우에만 상기 로그 데이터 참조가 수행될 수도 있다.The
제1 디지털 TV(810)와 제2 디지털 TV(820)의 서비스 서버(730)로의 로그 데이터 전송 및 리턴은 동시에 이루어질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Transmission and return of log data to the
도 9는 도 8의 로그 데이터 상세 처리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특히, 도 9는 로그 데이터 상세 처리 과정을 도시하고 설명한다.FIG. 9 is a diagram showing a detailed log data process in FIG. In particular, FIG. 9 illustrates and describes the log data detail processing process.
도 9는, 로그 데이터 처리 과정은, 크게 학습 영역(training area)과 서빙 영역(serving area)으로 구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학습 영역과 서빙 영역 모두 서비스 서버에서 담당할 수도 있고, 상기 학습 영역은 서비스 서버에서 서빙 영역은 디지털 TV에서 담당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학습 영역은 데이터베이스(DB)와 로그 분석 엔진을 포함하여 구현되고, 상기 서빙 영역은 메모리와 개인화 로직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학습 영역과 서빙 영역 중 적어도 하나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9, the log data processing process can be divided into a training area and a serving area. Here, both the learning area and the serving area may be handled by the service server, and the learning area may be handled by the digital TV and the serving area by the service server. For example, the learning area may be implemented including a database (DB) and a log analysis engine, and the serving area may be implemented including memory and personalization logic. At least one of the learning area and the serving area may be implemented by hardware or software.
먼저, 학습 영역에 대해 설명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데이터베이스(DB)(910-1)는 디바이스 유저의 시청 로그, 서비스 클릭 로그 등 다양한 로그 데이터를 분류하여 저장한다. First, the learning area will be described. As described above, the database (DB) 910-1 classifies and stores various log data such as a viewing log of a device user, a service click log, and the like.
로그 분석 엔진(920)은 데이터베이스(DB)(910-1)에 저장된 로그 데이터를 분석한다. 이를 데이터 학습(data training)이라 할 수 있다. 로그 분석 엔진(920)은 상기 데이터 학습 결과 즉, 로그 데이터 분석 결과를 다시 데이터베이스(DB)(910-2)에 저장한다. 이를 업데이트라고 할 수 있다.The
로그 분석 엔진(920)은, 상술한 시청 로그, 서비스 클릭 로그 등 로 로그 데이터(raw log data)를 분석하여, 선호 장르 통계, 시간별 특성 등 트레인드 데이터(trained data)를 생성한다. 상기 로 로그 데이터로부터 트레인드 데이터 생성 과정이 상술한 데이터 학습 과정으로 볼 수 있다. 그 밖에, 상기 로그 분석 엔진(920)은, 데이터를 매트릭스(matrix) 형태로 변환하여 고효율의 병렬 연산이 가능하며, 스코어(score) 연산 로직을 이용할 수 있다.The
다음으로, 서빙 영역에 대해 설명하면, 메모리(930)는 상기 학습 영역의 데이터베이스(DB)(910-2)에서 업데이트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업데이트한다. 상기 메모리(930)는 반드시 데이터베이스(DB)(910-2)의 분류에 따라 수신되는 업데이트 데이터를 저장할 필요는 없고 임의의 방식으로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도 9를 참조하면, 메모리(930)는 유저 특징, 아이템 특징 등으로 분류하여 저장한다.Next, the serving area will be described. The
개인화 로직 처리부(940)는 메모리(930)로부터 원하는 데이터를 독출하여 개인화 데이터, 개인화 데이터 처리 UI 등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로 전송한다. 이를 위해 개인화 로직 처리부(940)는 로그 스코어, 개인 선호 장르, 시청률, 채널 인기도 등의 항목에 대한 처리 로직을 포함할 수 있다.The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로그 데이터 분석 과정에 대한 순서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 내지 13은 본 발명과 관련된 데이터 포맷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log data analysis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11 to 13 illustrate data format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 10의 로그 데이터 분석 과정은 편의상 서비스 서버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또한, 상기 로그 데이터는 TV 애플리케이션과 채널 시청, 변경 등에 관한 로그를 예로 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ocess of analyzing the log data of FIG. 10 will be described for the sake of convenience in the service server. In addition, the log data will be described by taking as an example a log relating to TV application, channel viewing, change, and the like.
서비스 서버는 도 11과 같은 시청 정보 로그 데이터를 수집/수신한 후(S1002), 수신된 시청 정보 로그 데이터로부터 기초 데이터를 파싱한다(S1004). 여기서, 상기 파싱되는 기초 데이터는 예컨대, 집코드(zipcode)와 같은 일반 데이터, 채널 넘버, 채널명과 같은 채널 정보, 시청 시간과 같은 시청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service server collects / receives the audience information log data as shown in FIG. 11 (S1002), and parses the base data from the received audience information log data (S1004). Here, the parsed basic data may include general data such as a zip code, channel information such as a channel number, channel information such as a channel name, viewing information such as a viewing time, and the like.
서비스 서버는 상기 파싱한 기초 데이터에 기초하여 수신한 시청 정보 로그 데이터를 가공하여 1차 가공 데이터를 생성한 후(S1006), 상기 생성된 1차 가공 데이터에 기초하여 2차 가공 데이터를 생성한다(S1008). 상기 1차 가공 데이터는 유저 기준으로 시청 정보를 정리하고, 동일 시청 정보를 하나의 레코드(record)로 표현하는 과정을 통해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2차 가공 데이터는 시청 시간과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채널, 프로그램 정보 등을 추가하여 도 12와 같이 생성될 수 있다.The service server processes the received audience information log data based on the parsed basic data to generate primary processed data (S1006), and generates secondary processed data based on the generated primary processed data ( S1008). The primary processing data may be generated by organizing the audience information on a user basis and representing the same audience information as a single record. In addition, the secondary processed data can be generated as shown in FIG. 12 by adding a channel, program information, and the like based on the viewing time and channel information.
서비스 서버는 상기 생성된 2차 가공 데이터를 도 13과 같이 시각화한다(S1010). 여기서, 상기 시각화는 예컨대, 직관적인 분석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세 분석을 위한 팩터들을 도출하고, 유저별 이용 패턴 등의 리뷰(review)를 더욱 쉽게 하기 위함이다. 다만, 이러한 시각화는 반드시 필수적인 과정은 아니다.The service server visualizes the generated secondary processing data as shown in FIG. 13 (S1010). Here, the visualization is intended to make intuitive analysis possible, for example, to derive factors for detailed analysis and to make it easier to review usage patterns for each user. However, this visualization is not necessarily an essential process.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구성한 2차 가공 데이터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14 is a diagram showing secondary machining data construc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는 전술한 바와 같이, 서비스 서버에서 생성되는 2차 가공 데이터로서, 최종적으로 디지털 TV로 리턴되는 로그 분석 결과 데이터의 하나일 수 있다.14 is a second processed data generated at the service server, and may be one of the log analysis result data that is finally returned to the digital TV, as described above.
도 14를 참조하면, 2차 가공 데이터는 디바이스 ID, 채널명, 프로그램명, 시청 시작시각, 시청기간, 장르 레벨 등의 기준으로 구성되었다.Referring to Fig. 14, the secondary processed data is constituted of criteria such as a device ID, a channel name, a program name, a viewing start time, a viewing period, and a genre level.
상기에서, 디바이스 ID는 해당 디지털 TV를 식별하는 식별자로서, 각 디지털 TV에 대하여 예컨대, 공장에서 제조 당시에 부여되는 고유한 데이터이다. 한편, 상기 디바이스 ID는 전술한 바와 같이, 그룹 ID 등으로 치환 또는 함께 제공될 수 있다.In the above, the device ID is an identifier for identifying the digital TV, and is unique data assigned to each digital TV, for example, at the time of manufacture at the factory. On the other hand, the device ID may be replaced or provided together with a group ID or the like as described above.
상기에서, 시청기간은 편의상 분(minutes) 단위로 기재하나, 이에 한정되는 되는 것은 아니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viewing period is described in units of minutes for convenienc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에서 장르 레벨은 예를 들어, 장르 레벨 1과 장르 레벨 2로 구분하고 있는데 이는 편의상 구분한 것으로 하나의 장르 레벨만 이용될 수도 있고 반대로 더욱 많은 장르 레벨이 이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4에서 장르 레벨 1(예를 들어, 교육)은 장르 레벨 2(예를 들어, 중등 교육)에 비하여 더욱 상위의 장르 개념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genre level is divided into a
더불어, 서비스 서버는 도 14에 도시된 2차 가공 데이터에 추가로 시간 정보 기준으로 유저 개인화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데이터를 더 부가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작업이 상술한 도 14의 2차 가공 데이터에 기반하여 디지털 TV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ervice server can further add data that can help user personalization based on time information in addition to the secondary processing data shown in Fig. Alternatively, the above operation may be performed on the digital TV based on the secondary processing data of Fig. 14 described above.
예를 들어, 도 14를 참조하면, 2015년 7월 1일 오후 4시 20분부터 5분 동안 중등 교육에 관한 채널 및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였고, 동일 날짜에 오후 6시 33분부터 8시 53분까지 오락/연예에 대한 채널(들) 및 방송 프로그램(들)을 시청한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중등 교육에 관한 채널 및 방송 프로그램은 예컨대, 가족 구성원 중에서 중학생 나이대의 시청자가 보았을 확률이 매우 높다. 또한, 오락/연예 장르 역시, 가족 구성원 중에서 상대적으로 젊은 층이 시청하였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반면에, 상기 교육 방송과 오락/연예 방송 사이에 드라마는 상대적으로 채널 변경 등을 고려할 때, 가족 구성원 중 여성 특히, 청소년 이상의 여성이 시청하였을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개인화에 필요한 데이터를 재분석할 수 있고, 이를 개인화에 반영할 수 있다. 이러한 분석 등은 추후 유저의 선택 등에 따라 계속하여 업데이트되고 가중치를 부여하여 더욱 개인화 데이터의 추정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상기 개인화 데이터 추정 과정에서, 특정 장르에 더 나아가 더욱 상세 장르 예를 들어, 스포츠 장르에도 축구, 야구 등과 같이 선호도를 구분하도록 추정할 수 있으며, 이에 추가로 시간대별로 선호 채널의 가중치를 다르게 부여할 수도 있다. 예컨대, 저녁 6시부터 9시 사이에는 스포츠 장르 중 야구에 더욱 선호 채널 가중치를 부여하고, 저녁 9시 이후에는 스포츠 장르 중 축구에 더욱 선호 채널 가중치를 부여하여 상기 개인화 추정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단순히 빈번하게 보는 채널 외에도 채널 간 연관성 등을 팩터로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영화나 특별 편성 방송과 같이, 시리즈물이 아닌 일회성 프로그램의 경우에도 그 속성을 팩터로 이용하여 개인화 추정에 이용함으로써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그 밖에, 유저 뿐만 아니라 동일 시간대에 동일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실시간 인기도나 시청률 등을 참조하여 개인화 추정 정확성과 함께 추천도 가능하다.For example, referring to FIG. 14, a channel and a broadcast program on secondary education were watched for 5 minutes from 4:20 pm on July 1, 2015, and on the same day at 6:33 pm to 8:53 pm (S) and the broadcast program (s) for entertainment / entertainment up to the present time. Here, the channel and the broadcasting program related to the secondary education are very likely to be viewed by a viewer of a middle school age among family members, for example. Also, the entertainment / entertainment genre is very likely to be watched by relatively younger members of the family members. On the other hand, it can be inferred that the drama between the above education broadcasting and entertainment / entertainment broadcasting is highly likely to be watched by women among the family members, especially the women above the youth, when the channel change is relatively taken into consideration. In this way, data necessary for personalization can be reanalyzed and reflected in personalization. Such analysis can be continuously updated and weighted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and the like, and the accuracy of estimation of the personalized data can be further improved. Meanwhile, in the personalization data estimating process, it is possible to further estimate a preference degree such as soccer, baseball, etc. to a specific genre and further to a detailed genre, for example, a sports genre. In addition, You may. For example, the favorite channel weight is given to the baseball among the sports genres between 6:00 pm and 9:00 pm, and after 9:00 pm, the preference channel weight is further given to the soccer among the sports genres, thereby improving the accuracy of the personalization estimation. Further, in addition to a channel that is frequently viewed, a correlation between channels may be used as a factor. Also, in the case of a one-time program rather than a series, such as a movie or a special program broadcast, the attribute can be used as a factor and used for personalization estimation to improve accuracy.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commend recommendation along with personalization estimation accuracy with reference to real-time popularity, audience rating, and the like not only for the user but also for viewing the same program at the same time.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개인화 서비스 제공 시나리오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FIG. 1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ersonalization service provision scenario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개인화 서비스 제공 시나리오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때, 상기 개인화 서비스는 편의상 전술한 바와 같이, 방송 프로그램을 예로 한다.Referring to FIG. 15, a personalization service providing scenario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At this time, the personalization service is, for convenience, a broadcast program as described above.
서비스 서버(1510)는 추천된 방송 프로그램과 상기 방송 프로그램에 관한 서비스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서비스 서버(1510)는 상기 저장된 방송 프로그램과 서비스 정보 웹 기반으로 서비스할 수 있다. 상기 웹 기반 서비스를 위하여, 시청 이력 및 유저를 식별하고, 식별된 유저에 대하여 추천할 방송 프로그램을 상기 저장된 방송 프로그램으로부터 선별한다. 서비스 서버(1510)는 이렇게 선별된 추천 프로그램이 적합한지 다시 한 번 검토하여 이동 단말기(1520) 또는 디지털 TV로 전송한다.The
상기에서, 서비스 서버(1510)가 추천 방송 프로그램 리스트를 이동 단말기(1520)로 전송할 수 있는데 이는 디지털 TV와의 네트워크 사정이나 설정에 따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520)는 서비스 서버(1510)로부터 전송된 추천 방송 프로그램 리스트가 수신되면, TV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실행된 TV 애플리케이션에서 특정 방송 프로그램을 선택하면, 디지털 TV가 전원 턴-온과 함께 해당 방송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 이때, 이동 단말기(1520)는 상기 서비스 서버(1510)로부터 수신한 추천 방송 프로그램 리스트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In the above, the
디지털 TV는 추천 방송 프로그램 리스트(1530)를 화면상에 출력하거나 상기 추천 방송 프로그램 리스트(1530)로부터 선택된 방송 프로그램 또는 이동 단말기(1520)의 TV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선택된 방송 프로그램을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한다.The digital TV displays a recommended
한편, 서비스 서버(1510)에서 디지털 TV로 직접 추천 방송 프로그램 리스트를 제공하는 경우에는 URL 주소만 전송할 수 있으며, 디지털 TV는 상기 수신한 URL 주소를 접속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1510)에서 제공하는 추천 방송 프로그램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그 밖에, 상술한 서비스 서버(1510)는 방송국, 방송 서버, 기타 애플리케이션 서버 등으로 대체 또는 함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도 16 내지 18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화 로그 UI의 다양한 실시 예들과 그에 관한 서비스 시나리오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16 to 18 are diagrams for explaining various embodiments of the personalization log UI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service scenarios related thereto.
이하에서, 개인화 로그 UI는 리모컨, 이동 단말기 등 디지털 TV의 입력 수단이나 상기 디지털 TV 등에 구비된 카메라 센서, 음성 인식 센서 등에 의해 호출되고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입력 수단 등에 의할 경우에도, 터치, 키 버튼 선택, 음성, 제스처, 아이-트랙킹 등 각각 또는 그 조합에 의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고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개인화 로그 UI는 디지털 TV의 화면상에 제공되는 개인화 아이콘 선택에 따라 제공되는 것을 일 예로 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ersonalization log UI may be called and displayed by input means of a digital TV such as a remote controller, a mobile terminal, a camera sensor, a voice recognition sensor, and the like provided in the digital TV.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input means or the like, touch, key button selection, voice, gesture, eye-tracking or the like can be used. Hereinafter, for the sake of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or the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personalization log UI will be described according to a personalization icon selection provided on a screen of a digital TV.
도 16은 개인화 서비스 진입 및 식별을 위한 개인화 아이콘을 예시한 것이다. 상기 개인화 아이콘은 시스템에 따라 구현하기 나름이나 편의상 본 발명에서는 청소년 남자, 청소년 여자, 성인 남자, 성인 여자, 노인 남자, 노인 여자 총 6개로 분류하였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특별히 로그-인을 하거나 카메라 센서나 이동 단말기 등을 통해 정확하게 유저를 식별하지 못하더라도 이전 로그 데이터 기반으로 해당 유저를 식별 추정하고, 추정된 유저에 대한 개인화 서비스를 수행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에는 동일한 카테고리에 속하는 유저 예컨대, 성인 여자가 복수 명이라도 유연하게 개인화 서비스를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개인화 아이콘은 상술한 바와 달리, 남자/여자, 성인/청소년, 가족/비가족 등과 같이 그 설정에 따라 또는 자동으로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다. Figure 16 illustrates a personalization icon for personalization service entry and identification. The personalization icons are implemented according to the system, but for the sake of simplicity, the present invention is divided into six groups, namely, adolescents, adolescents, adult men, adult men, and elder men. In this way, even if the user can not accurately identify the user through the log-in or camera sensor or mobile terminal, the present invention identifies the user based on the previous log data and performs the personalization service on the estimated user .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re are a plurality of users belonging to the same category, for example, adult women, the personalization service can be flexibly performed. Meanwhile, unlike the above, the personalization icon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setting or automatically such as a man / woman, an adult / a teen, a family / a non-family, or the like.
도 16a를 참조하면, 디지털 TV는 특정 애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전체 화면으로 제공하고, 소정 영역에서는 웹OS 플랫폼 기반의 메뉴 런처(menu launcher)를 제공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개인화 아이콘들(1620)은 화면 상단 우측 영역 상에 제공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영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제공되는 개인화 아이콘들(1620)은 특정 키 버튼 등뿐만 아니라 상기 제공된 메뉴 런처 상의 제공되는 개인화 메뉴 항목(1610) 선택에 따라 이루어질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16A, a digital TV provides a specific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as a full screen and a menu launcher based on a web OS platform in a predetermined area. In the contex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a에서는 설명을 위해 6개의 개인화 아이콘들이 모두 디스플레이되었으나, 식별된 유저가 있는 경우에는 그에 따른 개인화 아이콘만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한편, 후자는, 특정 유저에 해당하는 개인화 아이콘을 액세스하면, 다른 개인화 아이콘 선택, 해당 아이콘 설정 변경 등을 할 수도 있다. 또는, 특정 개인화 아이콘이 선택되면, 도 17 내지 18과 같은 개인화 로그 UI가 제공될 수 있다.In FIG. 16A, six personalization icons are all displayed for the sake of explanation, but if there is an identified user, only the corresponding personalization icon may be display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latter accesses a personalization icon corresponding to a specific user, it is possible to select another personalization icon, change the icon setting, and the like. Alternatively, if a specific personalization icon is selected, the personalization log UI shown in FIGS. 17 to 18 may be provided.
도 16b는, 도 16a와 달리, 화면 중앙에 개인화 아이콘들이 제공되고, 상기 제공되는 개인화 아이콘들 중 선택된 개인화 아이콘에 따라 디지털 TV 화면이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설정에 따라, 각 개인화 아이콘에 따라 메뉴 모양, 메뉴 사이즈, 해상도, 오디오 등 설정, 화면 구성 등이 각각 상이할 수 있다.16B, unlike FIG. 16A, personalization icons are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screen, and a digital TV screen may be provided according to a personalization icon selected from the provided personalization icons. At this time, depending on the setting, a menu shape, a menu size, a resolution, an audio setting, a screen configuration, and the like may be different according to each personalization icon.
도 16a나 16b와 같이, 제공된 개인화 아이콘들 중 특정 개인화 아이콘을 선택한 경우, 디지털 TV는 즉시 상기 선택된 개인화 아이콘에 맵핑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반면, 상기 선택된 개인화 아이콘이 예를 들어, 미리 분석된 로그 데이터 상의 개인화 아이콘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이를 검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시각을 기준으로 미리 분석된 로그 데이터 상의 유저는 청소년 남자인데, 상기 개인화 아이콘이 성인 남성이 선택된 경우에는 추천 애플리케이션 중에 성인 인증이 요구되거나 청소년 시청 불가 등급의 애플리케이션이 존재할 수 있는바, 이와 같은 경우에는 검증 절차를 거친다. 이러한 검증은 비밀 번호, 패턴 인식, 음성 대조, 카메라 센서를 통해 획득한 이미지 대조, 미리 등록된 부모의 이동 단말기상에 메시지 전송 및 허가 등 다양한 방식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16A or 16B, when a specific personalization icon is selected from the provided personalization icons, the digital TV can immediately execute the application mapped to the selected personalization icon and provide a screen. On the other hand, if the selected personalization icon does not match the personalization icon on the previously analyzed log data, for example, it can be verified. For example, if the user on the log data analyzed in advance based on the current time is a juvenile man, if the juvenile icon is selected as an adult male, there may be an application requiring adult authentication or a juvenile-viewing disabled application among the recommended applications , And in such a case, it undergoes a verification procedure. Such verification can be accomplished in various ways such as password, pattern recognition, voice contrast, image matching obtained through a camera sensor, message transmission and authorization on a pre-registered parent mobile terminal.
한편, 각 개인화 아이콘에 대하여 상술하는 추천 애플리케이션뿐만 아니라 시청 가능 시간(예를 들어, 1시간 시청 가능), 특정 채널 접근 불가, 아이콘 선택시 메시지 전송 등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그 밖에, 각 개인화 아이콘에 대하여 해상도, 밝기, 음성 조절 범위 등 설정 사항도 다르게 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not only the above-mentioned recommended application but also the message transmission time can be set differently for each personalization icon, for example, a viewable time (for example, one hour can be viewed), a specific channel access impossible, In addition, the settings for each personalized icon, such as resolution, brightness, and voice control range, can be set differently.
도 17은 도 16과 달리, 개인화 로그 UI를 제공하는 시나리오이다. 17 is a scenario for providing a personalization log UI, unlike FIG.
도 17을 참조하면, 디지털 TV의 화면상에 채널 브라우저(1710)가 제공되는데, 상기 제공되는 채널 브라우저는 채널 넘버, 채널명, 채널 로그, 재생 바, 개인화 아이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개인화 아이콘(1720)이 선택되면, 도 17a 또는 1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천 애플리케이션 리스트(1730, 1740)가 화면 내 소정 영역에 제공된다.Referring to FIG. 17, a
도 18은 개인화 로그 UI의 다른 실시 예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디지털 TV는 전체 화면을 통하여 소정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한다.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제공되는 화면상의 일 영역에는 해당 시간의 해당 채널 및 방송 프로그램에 대응되는 식별된 유저에 대한 개인화 아이콘(1810)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화면상의 다른 영역에는 개인화 로그 UI(1820)가 제공된다.18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personalization log UI. Referring to FIG. 18, a digital TV provides a predetermined application through a full screen. In one area of the screen on which the application is provided, a
상기에서, 개인화 로그 UI(1820)는, 상기 개인화 아이콘(1810)의 선택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개인화 로그 UI(1820)는, 입력되는 제어 커맨드에 따라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어 커맨드는 예를 들어, 채널 변경 요청을 들 수 있다. 예컨대, 유저가 현재 채널이 아닌 다른 채널을 시청하고자 하는 경우에, 리모컨의 채널 업/다운 버튼을 선택하면, 상기 선택에 따른 제어 커맨드가 디지털 TV로 전송된다. 디지털 TV는 상기 제어 커맨드를 파싱하고, 식별된 유저의 채널 스위칭 또는 채널 서핑 편의를 위하여, 추천 채널 리스트에 관한 개인화 로그 UI(1820)를 도 18과 같이, 제공한다.In the above, the
상기 개인화 로그 UI(1820)에는 현재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 속성에 기초하여 관련 애플리케이션 리스트가 제공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방송 프로그램인 경우에는, 식별된 유저에 대한 추천 채널 및 프로그램들 리스트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제공되는 개인화 로그 UI(1820)는 추천 리스트 상에 현재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과 동일 속성 예를 들어,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방송 프로그램이면, 방송 프로그램만 추천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The
상기 개인화 로그 UI(1820)는 도 18에서는 예컨대, 6개의 채널 및 프로그램을 제공하는데, 유저의 선택에 따라 랩 어라운드(Wrap around) 방식 또는 스크롤(scroll) 가능한 형태로 추가 채널 및 프로그램 리스트를 더 제공할 수 있다.18, the
또한, 상기 개인화 로그 UI(1820)로부터 선택된 항목에 해당하는 채널 및 방송 프로그램으로 바로 채널 전환(애플리케이션 전환)이 된다. 또는, 상기 선택된 항목의 채널은 PIP(Picture in Picture), PBP(Picture by Picture) 형태로 미리보기(preview)를 제공하고 최종적으로 유저의 선택에 따를 수 있다.In addition, channel switching (application switching) is directly performed to the channel and the broadcasting program corresponding to the item selected from the
그 밖에, 상기 개인화 로그 UI(1820)에 제공되는 각 항목의 채널 및 프로그램은 현재 제공 중인 애플리케이션일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전자의 항목이 선택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즉시 채널 스위칭 또는 PIP 등을 제공한다. 후자의 항목이 선택되면, 서브 항목(미도시)을 제공하여 시청 예약, 즉시 녹화, 예약 녹화, 다운로드 등 기능 선택이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hannel and program of each item provided in the
따라서,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유저의 로그-인이나 센서 등 하드웨어적인 구성 추가 없이 로그 데이터 기반의 개인화 방법을 제공할 수 있으며, 개인화에 따른 컨텐트 이용 편의를 위한 다양한 UI/UX를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개인화를 통해 유저의 디바이스 이용 만족도를 개선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ethod of personalizing log data based on a user without adding a hardware configuration such as a log-in or a sensor, and various UI / UX And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user's device usage satisfaction through the personalization.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및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데이터 처리 방법은 상기 설명된 실시 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The digital device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data processing method in the digital device can be applied to a configuration or a method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in a limited manner, Some of which may be selectively combined.
한편,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디지털 디바이스의 동작방법은 디지털 디바이스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Random Access Memory),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 등이 있으며,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웨이브(carrier-wave)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Meanwhile, the operation method of the digital device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can be implemented as a code readable by a processor in a recording medium readable by a processor included in the digital device. The processo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devic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the processor is stored. Examples of the recording medium on which the processor can read are ROM, random access memory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ata storage device and the like, and carrier- ). ≪ / RTI > In addition, the processo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distributed over network-connected computer systems so that code readable by the processor in a distributed fashion can be stored and executed.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실시 예일 뿐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실시가 가능한 다양한 내용도 청구범위에 따른 권리범위에 속한다. 또한, 그러한 변형실시들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Of the right. Further, such modifications are not to be understood individually from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20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202: TCP/IP 매니저
203: 서비스 전달 매니저
204: SI 디코더
205: 역다중화부
206: 오디오 디코더
207: 비디오 디코더
208: 디스플레이부
209: 서비스 제어 매니저
210: 서비스 디스커버리 매니저
211: SI&메타데이터 데이터베이스
212: 메타데이터 매니저
213: 서비스 매니저
214: UI 매니저201: network interface unit 202: TCP / IP manager
203: service delivery manager 204: SI decoder
205
207: Video decoder 208:
209: Service Control Manager 210: Service Discovery Manager
211: SI & Metadata Database 212: Metadata Manager
213: service manager 214: UI manager
Claims (14)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로그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로그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로그 데이터 분석 결과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제어 커맨드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어 커맨드에 대응하여 상기 저장된 로그 데이터 분석 결과 데이터에 기초하여 유저를 식별하고 식별된 유저에 따라 필터링된 데이터가 포함된 개인화 로그 UI를 상기 애플리케이션 화면상에 오버레이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개인화 로그 UI에 대한 제어 커맨드에 따라 데이터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데이터 처리 방법.A method of processing data in a digital device,
Executing the application and displaying it on the screen;
Collecting log data;
Transmitting the collected log data to a server;
Receiving log data analysis result data from the server and storing the log data analysis result data;
Receiving a control command;
Identifying a user based on the stored log data analysis result data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command and overlaying and displaying a personalization log UI including data filtered according to the identified user on the application screen; And
And processing the data in accordance with a control command for the displayed personalization log UI.
상기 식별된 유저에 대응되는 미리 정의된 개인화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미리 정의된 개인화 아이콘은, 상기 로그 데이터 분석 결과 데이터에 기초하여 특정 유저가 아닌 소정 특징을 가진 유저로 분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데이터 처리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displaying a predefined personalization icon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d user,
Wherein the predefined personalization icon is classified as a user having a predetermined characteristic that is not a specific user based on the log data analysis result data.
상기 로그 데이터 분석 결과 데이터는,
디바이스 식별자, 채널명, 프로그램명, 시청 시작 시각, 시청 기간 및 장르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팩터로 이용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데이터 처리 방법.3. The method of claim 2,
The log data analysis result data includes:
A program identifier, a device identifier, a channel name, a program name, a viewing start time, a viewing period, and genre data as a factor.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개인화 아이콘 액세스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개인화 아이콘 액세스 신호에 따라 추천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개인화 아이콘 변경, 개인화 서비스 설정 및 변경 및 개인화 서비스 종료 중 어느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데이터 처리 방법.3. The method of claim 2,
Receiving the displayed personalized icon access signal; An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performing any one of a recommended application list, a personalization icon change, personalization service setting and change, and personalization service termination according to the received personalized icon access signal. .
상기 개인화 로그 UI는,
상기 필터링된 데이터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추천 애플리케이션 리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데이터 처리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ersonalization log UI includes:
And wherein the filtered data includes one or more recommended applications list.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추천 애플리케이션 리스트는,
입력되는 제어 커맨드에 따라 랩 어라운드 또는 스크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데이터 처리 방법.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one or more recommended applications list comprises:
Wherein the data is wraparound or scrolled according to an input control command.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추천 애플리케이션 리스트로부터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 선택 신호에 따라 채널 스위칭, PIP 윈도우 디스플레이, 및 시청 예약/녹화 예약 서브 항목 디스플레이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데이터 처리 방법.6. The method of claim 5,
Receiving an application item selection signal from the one or more recommended application lists; And
Further comprising: performing one of a channel switching, a PIP window display, and a viewing reservation / recording reservation sub-item display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selection signal.
메모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제어 커맨드를 수신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부; 및
로그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로그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서버로부터 로그 데이터 분석 결과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어 커맨드에 대응하여 상기 저장된 로그 데이터 분석 결과 데이터에 기초하여 유저를 식별하고 식별된 유저에 따라 필터링된 데이터가 포함된 개인화 로그 UI를 상기 애플리케이션 화면상에 오버레이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개인화 로그 UI에 대한 제어 커맨드에 따라 데이터를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디바이스.In a digital device,
Memory;
A display unit for executing the application and displaying the application on the screen;
A user interface unit for receiving a control command; And
Wherein the controller is configured to collect log data and transmit the collected log data to a server and to receive log data analysis result data from the server and store the log data in the memory, Controls to display a personalization log UI including data filtered according to the identified user on the application screen by displaying the data on the basis of the data and processes the data according to a control command for the displayed personalization log UI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igital device.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식별된 유저에 대응되는 미리 정의된 개인화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상기 미리 정의된 개인화 아이콘은, 상기 로그 데이터 분석 결과 데이터에 기초하여 특정 유저가 아닌 소정 특징을 가진 유저로 분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디바이스.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to display a predefined personalized icon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d user,
Wherein the predefined personalization icon is classified as a user having a predetermined characteristic that is not a specific user based on the log data analysis result data.
상기 로그 데이터 분석 결과 데이터는,
디바이스 식별자, 채널명, 프로그램명, 시청 시작 시각, 시청 기간 및 장르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팩터로 이용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디바이스.10. The method of claim 9,
The log data analysis result data includes:
A program identifier, a device identifier, a channel name, a program name, a viewing start time, a viewing period, and genre data as a factor.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개인화 아이콘 액세스 신호를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개인화 아이콘 액세스 신호에 따라 추천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개인화 아이콘 변경, 개인화 서비스 설정 및 변경 및 개인화 서비스 종료 중 어느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디바이스.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A personalization icon setting, a personalization service setting and change, and a personalization service termination according to the received personalization icon access signal, when the personalization icon access signal to be displayed is received through the user interface uni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igital device.
상기 제어부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추천 애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상기 필터링된 데이터로 상기 개인화 로그 UI에 포함되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디바이스.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And to display one or more recommended application lists in the personalization log UI with the filtered data to be displayed.
상기 제어부는,
입력되는 제어 커맨드에 따라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추천 애플리케이션 리스트가 랩 어라운드 또는 스크롤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디바이스.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And controls to wrap or scroll the list of one or more recommended applications according to an input control command.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추천 애플리케이션 리스트로부터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 선택 신호를 수신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 선택 신호에 따라 채널 스위칭, PIP 윈도우 디스플레이, 및 시청 예약/녹화 예약 서브 항목 디스플레이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디바이스.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A PIP window display, and a viewing reservation / recording reservation sub-item display in accordance with the application selection signal when receiving one application item selection signal from the one or more recommended application list through the user interface unit In response to the control signal.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45793A KR20170045829A (en) | 2015-10-20 | 2015-10-20 | Digital device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45793A KR20170045829A (en) | 2015-10-20 | 2015-10-20 | Digital device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the sam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45829A true KR20170045829A (en) | 2017-04-28 |
Family
ID=58701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45793A Withdrawn KR20170045829A (en) | 2015-10-20 | 2015-10-20 | Digital device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70045829A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9093696A1 (en) * | 2017-11-10 | 2019-05-16 | 삼성전자(주) | Server, terminal apparatus,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WO2021080038A1 (en) * | 2019-10-24 | 2021-04-2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Display device |
US11882332B2 (en) | 2018-10-02 | 2024-01-23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Display device and server for communicating with display device |
-
2015
- 2015-10-20 KR KR1020150145793A patent/KR20170045829A/en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9093696A1 (en) * | 2017-11-10 | 2019-05-16 | 삼성전자(주) | Server, terminal apparatus,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US11601725B2 (en) | 2017-11-10 | 2023-03-07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Server, terminal apparatus,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US11882332B2 (en) | 2018-10-02 | 2024-01-23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Display device and server for communicating with display device |
WO2021080038A1 (en) * | 2019-10-24 | 2021-04-2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Display device |
US11936944B2 (en) | 2019-10-24 | 2024-03-19 | Lg Electronics Inc. | Display devic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949955B2 (en) | Digital device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in said digital device | |
KR102063075B1 (en) | Service system, digital device and method of processing a service thereof | |
CN107018434B (en) | System including digital device and external device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thereof | |
KR102423493B1 (en) | Digital device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the same | |
US10324595B2 (en) | Digital device configured to connect with plurality of operation devices and method of displaying second user interface associated with second operation device in response to dragging of first user interface associated with first operation device in the same | |
KR101873763B1 (en) | Digital device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the same | |
KR102348957B1 (en) | Digit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KR20170045829A (en) | Digital device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the same | |
KR102040608B1 (en) | Digital device and method of processing a signal thereof | |
KR20170017606A (en) | Digital device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the same | |
KR101843537B1 (en) | Method for connecting to wireless receiving apparatus i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apparatus thereof | |
KR102423492B1 (en) | Digital device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the same | |
KR20160023419A (en) |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processing vod service thereof | |
KR20160035381A (en) | Image device and control method tehreof | |
KR20140098597A (en) | Digital device and method of processing a signal thereof | |
KR20170022122A (en) | Digital device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the same | |
KR20170031898A (en) |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KR102431976B1 (en) | Digital device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the same | |
KR20170018562A (en) | Digital device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the same | |
KR20170023519A (en) | Digital device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the same | |
KR20150061328A (en) | Digital device and method of processing a service thereof | |
KR101772457B1 (en) |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by display screen and display apparatus thereof | |
KR20160072518A (en) | Display device for color modification protection using a camera, and method thereof | |
KR20170042097A (en) | Digital device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the same | |
KR20140100123A (en) | Service system, digital device and method of processing a service thereof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02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