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70045079A - 수족관 청결유지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 - Google Patents

수족관 청결유지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5079A
KR20170045079A KR1020150153280A KR20150153280A KR20170045079A KR 20170045079 A KR20170045079 A KR 20170045079A KR 1020150153280 A KR1020150153280 A KR 1020150153280A KR 20150153280 A KR20150153280 A KR 20150153280A KR 20170045079 A KR20170045079 A KR 201700450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aquarium
water quality
information
controll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32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03609B1 (ko
Inventor
이용복
Original Assignee
이용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복 filed Critical 이용복
Publication of KR201700450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50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36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360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B01D23/1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02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 B01D24/1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the filtering material being held in a closed contain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8Control or steering system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subclass C02F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inorganic sorb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3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coal, charred products, or inorganic mixtures containing them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2Temper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0Liquid flow rat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족관의 청결유지와 경제적인 관리를 위한 것으로, 특히 특정장소에 밀집되어지는 횟집에서 사용되는 수족관을 수족관에 있는 어종에 따라 또는 크기와 마릿수에 따라 각각 관리가 가능토록 하는 것이고. 이러한 관리를 중앙집중식으로 가능토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수족관 청결유지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A maintenance and management system of aquarium}
본 발명은 수족관의 청결유지와 경제적인 관리를 위한 것으로, 특히 특정장소에 밀집되어지는 횟집에서 사용되는 수족관을 어종에 따라 또는 크기와 마릿수에 따라 각기 따로 관리가 가능토록 하는 것이고. 이러한 관리를 중앙집중식으로 가능토록 한 것이다. 더불어 수족관의 추가 확장이나 축소 변경이 용이하면서 서로 다른 수질상태로 수족관을 관리할 수 있는 것이다.
현재 서울을 비롯하여 지방의 곳곳에서 영업하고 있는 횟집에서는 활어의 제공을 위하여 주로 수족관을 사용하게 되는데 특히 광어(12~13℃)와 우럭(9~11℃) 또는 도미(14~16℃)의 생존을 위한 적정온도가 서로 달라 수족관을 여러 개 설치하여야 하고, 특히 상기와 같은 활어류와 소라나 가리비 등의 패류 및 낙지나 해삼 멍개 등의 연체류의 생존온도도 서로 달라 이러한 것들의 싱싱한 상태의 유지를 위하여는 다수개의 수족관이 필요하게 되는 것이고, 이러한 수족관들중에서 특히 활어 수족관에서는 활어들이 내뿜는 분비물과 토해내는 불순물들로 인하여 거품이 발생되어 이러한 거품을 수시로 걷어내지 않을 경우에는 시각적으로 비위생적이기 때문에 수족관을 운영하는 횟집에서는 경제적으로 또는 관리를 위하여 많은 노력이 요구된다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수족관들은 차광막이 설치되어 자외선을 차단하여야 하고, 수족관내에서의 적정 마릿수의 보관(물 1톤당 활어 20~30㎏내외)이 필요하며 이러한 수족관의 물은 7일마다 1회 이상 교환되어야 하고, 수족관 내부의 청소는 수족관의 물을 교환할 때마다 이루어져야 하고, 수족관에 사용되는 플라스틱의 배수관(202)들은 그 내부에 축적되는 노폐물을 3개월마다 1회 이상 제거하여야 하며, 수족관의 물을 순환토록 하면서 슬러지 등을 여과하는 여과조의 청소는 2주마다 1회 이상 하여야 하고, 여과조 내에서 사용되는 여과솜이나 여과스폰지 등은 2개월마다 가능하면 새것으로 교환되어야 하는 것이다.
이러한 것들은 횟집 수족관의 관리요령에 의하여 규정되어 있는데, 횟집에서 이러한 것들을 기억하면서 일일히 지킨다는 것이 불가능하고 특히 거품의 제거를 위하여 20~30분의 간격마다 거품을 걷어내야 하는 불편함으로 급기야는 관상용 거품제거제인 소포제의 일종인 디포머(difoamer)를 분무기를 이용하여 분무토록 하여 녹여버리게 되는 것이다.
또한 수족관의 청소를 일정기간내에 반복적으로 하지 못하게 되면서 수족관의 내벽에 발생되는 이끼제거를 위하여 농약성분인 시마진(Simazine) 또는 디우론(Diuron)을 사용하여 이끼를 제거하고 있는데 이로 인하여 수족관의 물이 맑아지고 이끼가 기지 않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럴 경우에는 사용된 농약성분이 활어 몸속에 흡수되어버리게 되면서 이를 섭취하게 되는 소비자들의 건강에 나쁜 영향을 미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수족관에 물이 대략 1톤 가량되고, 이러한 물을 교환할 경우에는 수족관의 물을 방류해서는 않됨에도 물을 운반하는 물차들이 중량을 줄이기 위하여 그냥 땅이나 하천으로 방류하게 되는 데 이럴 경우에 고농도의 해수가 땅이나 하천으로 유입되면서 농토를 변화시키게 되면서 생태계가 무너질 수도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수족관의 물을 여과토록 하거나 또는 살균토록 하는 것들이 많이 제안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것들은 횟집에서 개별적으로 설치하게 됨으로 많은 비용이 소요됨으로 결국 횟집의 회 가격이 상승하게 된다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여과나 살균을 위한 장치가 일정시간이 경과되면서 또는 잦은 고장에 의하여 수선이 늦어질 경우에 이러한 수선과정에 영업을 할 수 없다라는 문제점 등이 발생되는 것이다.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04966호 (등록일자:2000.06.19)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0898180호 (등록일자:10-089189)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횟집들이 특정장소에 모여 있는 회센타나 수산시장 등에서 사용되는 수족관의 물을 중앙집중식으로 관리토록 함으로서 수족관의 관리나 운영을 용이토록 한 것이다.
더불어 본 발명은 중앙집중식으로 관리할 때 계절에 따라 잡히는 어류도 서로 다를 뿐만 아니라 해당 어종을 관리하는 환경도 서로 다르게 되면서, 수족관을 새로이 추가 확장하거나 혹은 축소 변경할지라도 이의 물상태 뿐만 아니라 이의 환경도 각각 컨트롤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복수 개의 수족관이 설치되어 있는 관리센터;
저장하고 있는 물을 각각의 수족관으로 공급하기 위한 저수시설;
각각의 수족관으로부터 배출된 물을 여과하여 정수된 물을 확보하고, 이를 외부로 배출하거나 혹은 상기 저수시설로 보내어 재사용토록 하는 여과시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기 저수시설은 관리센터(200)로 깨끗한 물을 공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주공급관이 설치되고, 상기 주공급관에는 하나 이상의 공급펌프(101)가 설치되며, 상기 주공급관에는 각각의 수족관으로 펌핑된 물을 공급하기 위한 분기관(103)과, 상기 분기관(103)의 유입구를 개방시켜 수족관 안쪽으로 펌핑된 물을 채워주기 위한 개폐밸브가 설치되고,
상기 수족관에는 외부로 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수관(202)이 설치되고, 상기 배수관(202)에는 여과시설(300)으로 물을 내보내기 위한 주배출관(204)이 설치되어 있고, 각각의 배수관(202)에는 드레인장치(203))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여과시설(300)에는 하나 이상의 연결관(302)이 저수시설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연결관(302)에는 여과된 물을 상기 저수시설로 보내어 저장토록 하기 위한 저수펌프(301)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여과시설(300) 또는 저수시설에는 둘 이상의 외부배관(303)이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깨끗한 물을 공급받거나 혹은 여과된 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각각의 수족관에 담겨지는 물을 순환시켜 재사용하거나 혹은 수처리공정을 거쳐 방류되도록 함으로써 전체 수족관의 청결을 유지하면서 경제적인 수질관리가 가능한 수족관 관리시스템를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본 발명은 각각의 수족관에, 감지수단을 통해 해당 수족관이 수질정보를 확보하고, 이를 토대로 구동수단을 컨트롤하여 해당 수족관의 수질이 설정된 범위 안쪽에 있도록 제어하는 서브컨트롤러(20)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여과시설(300)을 컨트롤하여 각각의 수족관이 배출한 물을 여과하고, 상기 저수시설이 저장하고 있는 물의 수위가 설정된 범위 이하일 경우에는 저수펌프(301)를 구동시켜 여과시설(300)이 보내온 물을 저장하고, 이를 각각의 수족으로 공급하는 한편, 상기 저수시설이 저장하고 있는 물의 수위가 설정된 범위를 이상일 경우에는 상기 여과시설(300)이 여과한 물을 외부배관(303)을 통해 배출하도록 제어하는 메인컨트롤러(10)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서브컨트롤러(20)가 보내온 수질정보를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설정된 범위를 벗어났을 경우에는 해당 수족관의 수질이 설정된 범위 안쪽에 있도록 지시하는 지시명령을 생성하고, 상기 지시명령을 해당 수족관의 서브컨트롤러(20)와 메인컨트롤러(10)로 전송하는 수질관리서버(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회센타나 수산시장 등에 분산 설치되어 있는 수족관을 중앙에서 집중관리함으로써 동일한 조건의 수족관 관리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고, 수족관의 크기에 따라서 또는 수족관에 담겨지는 활어나 패류 또는 연체류에 따라서 각각 관리가 가능하게 되고 사용되는 해수는 정수처리하거나 또는 버려질 경우에도 수처리하여 버려지게 됨으로 환경보호에 탁월하며. 각각의 수족관을 사용하는 업체 측에서는 저렴한 비용으로 위생적인 관리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수질을 중앙집중식으로 관리할 때, 어종에 따라 계절별로 새로운 수족관의 개수를 추가 확장하거나 혹은 축소 변경할 수 있고 이의 환경도 용이하게 컨트롤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관리시스템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관리시스템의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관리시스템의 블럭도.
도 4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여과조와 저수조를 컨트롤하는 메인컨트롤러(10)의 블럭도.
도 5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각각의 수족관을 컨트롤하는 서브컨트롤러(20)의 블럭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메인컨트롤러(10)와 서브컨트롤러(20)를 관리하는 수질관리서버(30)의 모습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질관리서버(30)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다른 관리시스템의 순서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다른 관리시스템의 순서도.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은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수족관과 여과시설과 저수시설의 모습을 간략하게 보여주는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어패류를 비롯하여 낙지나 멍게 등의 해산물들을 종류에 따라 분리 보관하는 다수개의 수족관이 설치되어 있는 관리센터(200)와, 각각의 수족관으로 저장하고 있는 물을 공급하기 위한 저수시설(100)과, 각각의 수족관으로부터 배출된 물을 여과하여 정수된 물을 확보하고, 이를 외부로 배출하거나 혹은 상기 저수시설(100)로 보내어 저장토록 하는 여과시설(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저수시설(100)은 여과시설(300)을 통해 필터링된 깨끗한 물을 저장하고 있고, 때에 따라서는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저장하고 있을 수 있으며, 실시 예에 따라서는 복수 개의 저수탱크와 혼합탱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각각의 수족관이 필요로 하는 물의 온도나 염도 등을 조절한 후 각각의 수족관으로 공급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저수시설(100)은 관리센터(200)로 깨끗한 물을 공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주공급관(102)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주공급관(102)을 통해 관리센터(200) 쪽으로 물을 펌핑하여 내보내기 위한 하나 이상의 공급펌프(101)가 설치되어 있는다. 참고로 상기 주공급관(102)에는 각각의 수족관으로 펌핑된 물을 공급하기 위한 분기관(103)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분기관(103)에는 유입구를 개방시켜 수족관 내측으로 펌핑된 물을 채워주기 위한 개폐밸브가 설치되어 있다.
이때 수족관(20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수족관마다 서브컨트롤러(2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서브컨트롤러에 의해 물의 온도나 염도 혹은 탁도를 체크하여 얼마나 되는지 수질정보를 표출하여 주며, 실시 예에 따라서는 해당 수족관 내측에 수용되어 있는 어패류와 해산물의 종류와 물의 교체 시기 또는 언제 모든 물을 방류하여 청소하였는지 관리상태를 디스플레이하여 준다.
더불어 상기 수족관(201)은 서브컨트롤러(20)에 의해 물의 상태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컨트롤되고, 설정된 범위 이하로 수위가 낮아지거나 혹은 탁도가 높아지는 등이 일이 발생하게 되면 밸브를 컨트롤하여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거나 혹은 반대로 수용하고 있는 물을 배출하기도 한다.
더불어 상기 수족관(201)에는, 실시 예에 따라 카메라가 설치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카메라를 통해 수족관 내측에 존재하는 어패류나 해산물의 상태 또는 수질 상태를 원거리에 위치한 수질관리서버(30)로 전송하여 시각적으로 모니터링되어 지면서, 전체 수족관의 수질상태가 원거리에 위치한 수질관리서버(30)에 의해 관리되어 지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수족관(201)에는 더러워진 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수관(202)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배수관(202)은 주배출관(204)과 연결되어 여과시설(300)로 보내어 지게 된다. 이때 각각의 배수관(202)에는 주배출관(204)으로 더러워진 물을 드레인시키기 위한 드레인장치(203))가 설치되어 진다.
이때 여과시설(300)은 집수된 물 여과하여 재사용하거나 혹은 외부로 방류한다. 참고로, 상기 여과시설(300)은 활어들이 내뿜는 분비물이나 불순물을 모래층을 이용하여 1차로 여과하고, 상기 모래층에서 1차로 여과된 상태에서 각종 균이나 유기물의 흡착을 위한 활성탄층을 통과시켜 정수토록 한다. 이때 활성탄은 일정한 블럭의 형태로 사출성형하여 하나의 하우징에서 처리토록 함으로서 다량의 해수를 처리가능 하도록 하고 활성탄의 수명도 장시간 유지가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여과시설(300)은 복 수개의 여과탱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일부 여과탱크에서는 살균장치를 설치하여 여과된 물속에 잔존할지도 모르는 비브리오균이나 살모네나균 등의 세균을 제거하는 과정을 거칠 수도 있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는 오존 발생기 및 자외선 장치 등을 설치하여 해수 속에 잔존하는 미생물들을 제거할 수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광촉매 표면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강력한 산화력을 지닌 OH 라디칼(Radical)을 발생시켜 인체에 무해하면서 99% 이상의 살균 처리 능력을 확보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여과시설(300)은, 하나 이상의 연결관(302)이 저수시설(100)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연결관(302)을 통해 필터링된 물을 저수시설(100)로 내보내 저장토록 하기 위한 저수펌프(301)가 설치되어 있으며, 실시 예에 따라서는 외부로 물을 방류하기 위한 외부배관(303) 혹은 반대로 외부로부터 부족한 물을 공급받기 위한 외부배관(303)이 설치되어 있다.
참고로,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전체 수족관과 여과시설(300)과 저수시설(100)을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간략하게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관리시스템은, 저수시설(100)과 여과시설(300)을 컨트롤하기 위한 메인컨트롤러(10)와, 각각의 수족관은 개별적으로 설치되어 해당 수족관의 수질을 조정하기 위한 서브컨트롤러(20)와, 상기 메인컨트롤러(10) 및 서브컨트롤러(20)와 연결되어 보고받은 정보를 토대로 전체 수족관의 수질상태 및 관리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수질관리서버(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참고로, 서브컨트롤러(20)는 할당된 해당 수족관의 수질 상태를 체크하여 수질관리서버(30)로 보고하고, 수질의 상태가 불량하게 되면 해당 수족관의 구동수단을 동작시켜 설정된 범위 안쪽에 놓이도록 컨트롤한다. 간단하게 예를 들면 서브컨트롤러(20)가 감지수단을 통해 해당 수족관의 수질상태를 확인하고, 불량하다는 사실을 확인하게 되면, 드레인장치(203))를 구동시켜 외부로 더러운 물을 배출하고, 저수시설(100)로부터 깨끗한 물을 공급받아, 해당 수족관의 수질 상태가 설정된 범위 안쪽에 놓이도록 하는 것이다.
참고로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브컨트롤러(20)의 구성들을 간략하게 보여주는 블럭도로써,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각각의 수족관마다 서브컨트롤러(20)가 설치되고, 상기 서브컨트롤러(20)의 주변에 설치되어 있는 감지수단과 연결되어 있게 된다. 이때 감지수단은 수족관 내측에 설치되어 물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수위감지센서를 비롯하여 물의 온도를 감지하 온도감지센서와 연결되어 있는다. 참고로 상기 감지수단은 수족관 내측에 설치되어 물의 염도를 감지하기 위한 염도감지센서와, 해당 수족관에 살고 있는 어패류의 분비물들에 의해 얼마나 수질이 오염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는 탁도감지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서브컨트롤러(20)와 연결되어 있는다.
그리고 이러한 서브컨트롤러(20)는 감지수단을 통해 확인된 정보를 토대로 수족관의 수질을 일정하게 컨트롤하여 주기 위한 구동수단과 연결되어 있게 된다. 이때의 구동수단은 유입구 또는 유출구를 오픈하여 주거나 혹은 닫아주기 위한 개폐밸브와, 배출구 밖으로 오수를 배출하기 위한 드레인장치(203)) 등이 있을 수 있다. 더불어 구동수단은 실시 예에 따라 물의 온도를 유지시켜 주기 위한 히터기와, 산소공급기 및 수족관을 청소할 때 벽면에 잔존하는 미생물을 제거하기 위한 자외선 살균기 등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서브컨트롤러(20)는 실시 예에 따라 카메라모듈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서브컨트롤러(20)는 감지수단을 통해 확보한 수질정보를 관리서버(30)에 보고하고, 대응하는 지시명령을 전송받아 구동수단을 동작시켜 물관리를 하면서 수질을 개선시킬 수도 있지만, 실시 예에 따라 서브컨트롤러(20) 단독으로 해당 수족관의 수질이 설정된 범위 안쪽에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이러한 서브컨트롤러(20)는 외측에 버튼부와, 디스플레이부가 형성되어 있고, 내측에는 전송부와, 수질제어부와, 수질감지부와, 신호처리부와, 지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일측과 타측에는 구동수단 및 감지수단이 인터페이스에 연결되어 있는다.
참고로 디스플레이부는 물의 온도, 염도, 탁도 등을 포함하는 수질정보를 비롯하여, 언제 수족관을 청소하였는지 혹은 물을 교체한 시기 등을 포함하는 수족관의 상태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출하여 준다.
또한 수질감지부는 인터페이스에 연결되어 있는 각각의 수위감지센서 또는 탁도감지센서 또는 온도감지센서 또는 염도감지센서를 통해 아날로그 정보를 확보하고, 이를 수질제어부가 인식할 수 있는 형태의 디지털 정보로 변환한다.
또한, 수질제어부는 수질감지부를 통해 보고받은 디지털 정보를 토대로 해당 수족관의 수위와, 온도, 염도, 탁도 등을 확인한다. 이때 수질정보와 함께 수족관의 상태정보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출토록 컨트롤한다. 그리고 상기 수질제어부는 확인된 온도와, 염도와, 수위와, 탁도가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게 되면 전송부를 컨트롤하여 확인된 정보를 지정된 수질관리서버(30)로 전송하도록 지시하고, 대응하는 지시명령을 받도록 한다. 이때 수질제어부는 실시 예에 따라 설정된 범위값을 로드하여 해당 수족관의 수질이 설정된 범위를 벗어났을 경우에만 수질관리서버(30)로 보고하고 지시명령을 받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전송부는 수질관리서버(30)와 유선으로 직접 연결되어 해당 서브 컨트롤러가 확보한 정보를 내보내거나 받을 수 있지만,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b/g/n 또는 IEEE 802.16e 표준을 기반으로 하는 와이파이 모듈(WiFi Module) 또는 와이맥스 모듈(WiMAX Module)이거나 혹은 저젼력의 블루투스 모듈들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슬립상태에 있다가 상기 수질제어부의해 활성화되면서 정보를 주고받을 수도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전송부가 수질관리서버(30)로부터 지시명령을 받게 되면 수질제어부로 인가한다.
참고로 지시부는 지시명령을 토대로 수질제어부에 의해 구동수단인 밸브나 히터 혹은 산소발생기나 자외선살균기 등을 드라이빙시켜 해당 수족관의 수질을 개선토록 한다.
이때 지시부는 수족관의 물을 전부 또는 레벨단위로 방류하고, 저수시설(100)의 물을 받아들이면서 해당 수족관의 수질을 개선할 수도 있지만, 산소공급기나 소금 등을 투입하여 혹은 살균기 등을 구동시켜 수질을 조정하여, 설정된 범위 안쪽에 있도록 함으로써 수질을 개선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신호처리부는 카메라모듈을 컨트롤하여 H.323 프로토콜에 따라 실시간으로 촬영된 영상정보를 확보하여 상기 전송부를 통해 형성된 채널로 전송한다.
또한, 버튼부는 개폐벨브 또는 드레인을 온/오프 구동시켜 물을 배출하도록 하거나 혹은 공급받기 위한 지시버튼과, 히터/냉각기를 구동시켜 수온을 높이거나 낮추기 위한 버튼과, 산소를 공급하기 위한 버튼과, 수족관의 살균기를 구동시키기 위한 버튼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서브컨트롤러(20)는 실시 예에 따라 수질정보저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때의 수질정보저장부는 해당 수족관의 온도나 염도 혹은 탁도 등을 비롯하여 설정된 범위값 등을 저장하고 있을 수 있고, 상기 수질제어부가 호출 때 저장되어 있는 범위값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서브 컨트롤러를 각각의 수족관에 설치하기만 하면 어떠한 종류의 어패류를 수용하더라도 수질상태가 관리서버(30)로 보고되면서, 용이하게 새로운 수족관을 추가 확장하거나 혹은 반대로 축소 변경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더불어 설정된 범위값을 서로 달리하면서 각각의 수족관을 어종에 따라 서로 다른 수질로 관리할 수 있는 것이다.
참고로,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인컨트롤러(10)의 구성을 간략하게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여 설명하면, 상기 메인컨트롤러(10)는 저수시설(100)과, 여과시설(300)을 컨트롤하여, 각각의 수족관으로 필요한 물을 공급하는 한편 더러워진 물을 처리한다.
이때의 메인컨트롤러(10)는 각각의 수족관이 배출한 물을 필터링하는 여과장치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여과장치를 통해 걸려진 물 중에 잔존하는 비브리오균이나 살모네나균을 제거하기 위한 살균장치와 연결되어 있다. 더불어 상기 메인컨트롤러(10)는 한 쌍의 외부배관(303)에 설치되어 있는 개폐밸브(304) 및 유량계와 연결되어 있어, 외부로부터 얼마나 많은 물을 공급받았는지와, 반대로 상기 여과시설(300)이 필터링한 물을 얼마나 버렸는지 확인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메인컨트롤러(10)는 저수시설(100)과 여과시설(300) 사이의 연결관(302)에 설치되어 있는 저수펌프(301)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저수시설(100)에 저장되어 있는 물의 양이 얼마인지 확인할 수 있는 수위감지센서와, 저장되어 있는 물의 온도를 확인할 수 있는 온도감지센서와 연결되어, 히터 혹은 냉각기를 구동시켜 저장된 물의 온도를 설정된 범위 안쪽에 있도록 관리하는 한편, 저장된 물의 양이 적을 경우에는 여과시설(300)을 통해 필터링된 물 또는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저장한다. 또한, 메인컨트롤러(10)는 저장된 물의 염도를 확인할 수 있는 염도감지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저장된 물의 염도가 기준치 이하거나 이상일 경우에는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염도를 높이거나 혹은 낮춰 설정된 범위 안쪽에 있도록 관리한다.
그리고 이러한 메인컨트롤러(10)는 유량제어부와, 유량정보저장부와, 디스플레이브와, 구동부와, 유량정보전송부와, 유량감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참고로, 유량감지부는 센서들을 통해 아날로그 정보를 확보하고, 이를 유량제어부가 인식할 수 있는 형태의 디지털 정보로 변환한다. 인터페이스에 수위감지센서가 연결되어 저수탱크에 얼마나 많은 양의 물이 차있는지 감지하고, 이를 유량제어부에 보고한다. 더불어 상기 인터페이스에 온도감지센서가 연결되어 있을 경우에는 저수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물의 온도를 감지하고, 이를 유량제어부에 보고한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에 염도감지센서가 연결되어 있을 경우에는 저수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해수의 염도를 확인하고, 이를 유량제어부에 보고한다. 또한, 유량감지부는 인터페이스에 유량계와 연결되어 있을 경우 외부배관(303)을 통해 유입된 해수 또는 민물의 양을 확인하고, 유량제어부에 보고한다.
또한, 유량정보전송부는 유량제어부의 지시에 유량감지부를 통해 확보된 유량정보를 지정된 수질관리서버(30)로 전송하고, 상기 수질관리서버(30)로부터 지시명령을 받아 유량제어부에 보고한다. 이때의 유량정보전송부는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b/g/n 또는 IEEE 802.16e 표준을 기반으로 하는 와이파이 모듈(WiFi Module) 또는 와이맥스 모듈(WiMAX Module)이거나 혹은 저젼력의 블루투스 모듈들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때에 따라서는 슬립상태에 있다가 상기 유량제어부에 의해 활성화되면서 자동으로 전환되면서 유량정보를 전송한다.
또한, 유량제어부는 유량감지부를 통해 보고받은 사실을 바탕으로 구동부를컨트롤하여 저장된 물을 관리하는 한편, 수족관으로 필요한 물을 공급하여 준다.
참고로 상기 유량제어부는 평상시 유량감지부를 통해 확인된 사실을 바탕으로 저장된 물의 양이 부족할 경우 이를 수질관리서버(30)로 보고하고, 이에 대응하여 여과시설(300)을 통해 부족한 물을 보충하라는 지시명령을 전송받는다, 또한, 상기 유량제어부는 실시 예에 따라 유량감지부를 통해 저장된 물의 온도가 설정된 범위를 벗어났다는 사실을 확인하였을 경우에는 이를 수질관리서버(30)에 보고하고, 이에 대응하여 온도를 낮추거나 혹은 온도를 높이라는 지시명령을 전송받아 저장된 물의 수질이 설정된 범위 안쪽에 있도록 관리한다. 또한, 상기 유량제어부는 유량감지부를 통해 저수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유량의 염도가 설정된 범위를 벗어났다는 사실을 확인하였을 때에는 이를 수질관리서버(30)에 보고하고, 이에 대응하는 지시명령을 받아 외부로부터 해수 또는 민물을 공급받아 저장된 물의 염도가 설정된 범위 안쪽에 있도록 관리한다
그리고 이러한 유량제어부는 외부배관(303)에 설치되어 있는 유량계의 값을 확인하고, 설정된 기간동안 외부로부터 유입된 물의 양 또는 외부로 방류된 물의 양을 카운트하여 수질관리서버(30)로 보고한다.
또한, 유량정보저장부는 유량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실시 예에 따라서는 보고되는 지시명령을 저장하고 있을 수도 있다. 즉, 상기 유량제어부가 유량정보에 대응하는 지시명령을 유량정보저장부에 로드하여 수질관리서버(30)의 지시 없이 단독으로 여과시설(300)과 저수시설(100)을 관리할 수 있도록 구축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유량제어부의 지시를 받아 인터페이스에 연결되어 있는 장치를 드라이빙시켜 주는 것으로,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인터페이스에 여과장치가 연결되어 있을 경우, 상기 여과장치를 구동시켜 필터링된 물을 확보하도록 한다. 더불어 상기 구동부는 인터페이스에 살균장치가 연결되어 있으면, 물속에 잔존하는 미생물들을 살균토록 한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밸브와 연결되어 있을 경우에는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저수탱크에 모자란 민물이나 해수를 채워주고, 염도를 낮추거나 보충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실시 예에 따라 저수시설(100)에 물이 과충전되게 되면 필터링된 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도 있ㄴ는 것이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히터기 또는 냉각기와 연결되어 있으면, 저수탱크 내에 저장되어 있는 물의 온도를 높이거나 낮출수도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공급펌프(101)와 연결되어 있으면, 공급펌프(101)를 컨트롤하여 저수탱크 속에 저장되어 있는 물을 펌핑시켜 주공급관(102)으로 보내어 각각의 수족관을 채워줄 수 있는 것이다.
참고로, 도 6은 수질관리서버(30)의 구성을 간략하게 보여주는 블럭도로써, 이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수질관리서버(30)는 각각의 수족관 상태를 서브컨트롤러(20)를 통해 보고받아 각 수족관의 물 상태를 모니터링한다. 이때 수질관리서버(30)는 물의 상태가 불량할 경우 메인컨트롤러(10)를 컨트롤하여 해당 수족관으로 저수시설(100)이 저장하고 있는 물을 공급하여 준다. 또한, 상기 수질관리서버(30)는 실시 예에 따라서는 해당 수족관의 물의 상태가 설정된 범위 안쪽에 있도록 컨트롤한다.
그리고 이러한 수질관리서버(30)는 유량정보 및 수질정보 DB와, 수질정보획득모듈과, 유량정보획득모듈과, 수족관관리모듈과, 표시모듈과, 유량제어모듈과, 수질제어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모듈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한다.
참고로, 유량정보 및 수질정보 DB는 서브컨트롤러(20)와 메인컨트롤러(10)에서 보내온 수질정보와 유량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고, 특히 각각의 수족관의 설정된 범위값들을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있다. 더불어 수질정보가 설정된 범위 값을 벗어난 정도에 따라 설정된 범위값 안쪽에 있도록 도출하기 위한 결과값 들을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있다.
참고로 하기 표1과 표2는 각각의 수족관에서 활동하고 있는 생물들의 종류와 설정된 범위값들을 보여주는 것이다.
분류 활어류 ?류
No 품목 온도(적정온도) 품목 온도(적정온도)
01 광어 09-18(12-13℃) 소라고동 06-14(08-11℃)
02 우럭 08-12(09-11℃) 가리비 06-14(07-10℃)
03 농어 12-18(14-15℃) 개조개 06-14(08-10℃)
04 도미 13-18(14-16℃) 동죽 06-14(08-10℃)
05 줄돔 12-18(14-15℃) 말조개 06-14(08-10℃)
06 감성돔 12-18(14-15℃) 명주 06-14(08-10℃)
07 놀래미 07-16(10-13℃) 민들조개 06-14(08-10℃)
08 강도다리 09-16(12-13℃) 바지락 06-16(08-10℃)
09 능성어 12-18(14-15℃) 백고동 04-10(04-05℃)
10 도다리 09-16(12-13℃) 백모시 06-14(08-10℃)
11 쥐치 09-18(10-13℃) 비단조개 06-14(08-10℃)
12 점서어 09-18(12-13℃) 삐뚤이 06-14(08-10℃)
13 참가자미 09-16(10-13℃) 살조개 06-14(08-10℃)
14 기름치 10-20(12-14℃) 상합 06-14(08-10℃)
15 돗돔 12-18(14-15℃) 소라고동 06-14(08-10℃)
16 범돔 12-18(14-15℃) 웅피 06-14(08-10℃)
17 자리돔 12-18(14-15℃) 월남고동 06-14(08-10℃)
18 찰광어 09-16(12-13℃) 키조개 06-18(14℃)
19 이시가리 09-16(12-13℃) 홍조개 06-14(08-10℃)
20 달강어 09-16(10-12℃) 흑모시 06-14(08-10℃)
21 전어 홍합 06-14(08-10℃)
22 간재미 09-16(12-13℃) qn로사 06-14(10-13℃)
23 숭어 06-13(08-10℃) 돌조개 06-14(08-10℃)
24 동아 06-13(08-12℃) 우렁이 06-14(08-10℃)
25 삼세기 09-16(12-13℃) 삐죽이 06-14(08-10℃)
26 게싱아 09-16(12-13℃) 우럭조개 06-14(08-10℃)
27 참조개 06-14(08-10℃)
28 떡조개 06-14(08-10℃)
분류 전복류 장어류
No 품목 온도(적정온도) 품목 온도(적정온도)
01 전복 10-20(12-14℃) 꼼장어 05-14(10℃)
02 오분자기 10-20(12-14℃) 민물장어 05-25(12-18℃)
붕장어 05-20(09-12℃)
갯장어 05-20(09-12℃)
분류 연체류
No 품목 온도(적정온도) 새우류
01 낙지 04-16(10-12℃) 품목 온도(적정온도)
02 피문어 04-14(09-10℃) 꽃새우 02-12(04-06℃)
03 돌문어 06-18(10-13℃) 닭새우 02-12(04-06℃)
04 개불 08-20(13-15℃) 대하 10-25(18-20℃)
05 성게 06-16(11℃)
06 홍해삼 04-18(10-12℃)
07 해삼 04-20(10-12℃) 계류
08 멍게 02-20(10-13℃) 품목 온도(적정온도)
09 비단멍게 06-26(10-13℃) 킹크랩 02-10(04-07℃)
10 돌멍게 04-18(10-13℃) 랍스타 02-10(04-07℃)
11 주꾸미 05-14(09-10℃) 대게 02-10(04-07℃)
12 산오징어 06-18(09-12℃) 털게 02-10(04-07℃)
13 갑오징어 06-18(09-12℃) 꽃게 02-10(04-10℃)
참고로 수질정보획득모듈는 서브컨트롤러(20)들이 보내온 정보를 분석하여 수질정보를 확보하고, 이때 확보한 수질정보를 수족관관리모듈에 보고한다.
또한, 유량정보획득모듈은 메인컨트롤러(10)가 보내온 정보를 분석하여 유량정보를 획보하고, 이때 확보한 유량정보를 수족관괸리모듈에 보고한다.
또한, 수족관관리모듈은 획득한 유량정보와 수질정보를 토대로 수족관의 수질상태가 설정된 범위값을 벗어났을 경우, 유량정보 및 수질정보 DB로부터 결과값을 로드하여 지시명령을 생성한다.
이때, 상기 수족관관리모듈은 수질정보뿐만 아니라, 밸브의 개폐여부 및 해당 수족관으로 투입된 물의 양과 청소한 날짜 등을 카운트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컨트롤한다. 더불어 상기 수족관관리모듈은 유량정보를 토대로 저수시설(100)과 여과시설(300)의 가동여부와, 외부로부터 공급된 물의 양 및 저수시설(100)이 저장하고 있는 물의 양 등을 카운트할 뿐만 아니라 각각의 수족관으로 공급된 물의 양과 배출된 물의 양을 카운트하거나, 혹은 상기 메인컨트롤러(10)로부터 카운트된 유량정보를 전송받아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표출하도록 컨트롤한다.
참고로,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모니터링되고 있는 화면을 보여주는 것으로, 이때 디스플레이장치는 표시모듈을 통해 각 수족관의 온도, 염도, 탁도, 어종 등의 정보를 표시하는 상태창을 각각의 수족관별로 디스플레이하여 준다. 더불어 상기 표시모듈은 서브컨트롤러(20)에 연결되어 있는 카메라를 통해 해당 수족관에서 생존하고 있는 어패류 및 해산물 등의 모습 및 수족관의 상태를 영상창을 통해 표출하여 준다.
이때 표출되는 영상창은 실시간 정보받아 상태창과 같이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지만, 관리자가 상태창을 확인하고 요청이 있을 때에만 영상정보를 받아 표출하여 줄도 있다.
또한, 수질제어모듈은 상기 수족관관리모듈이 생성한 지시명령을 해당 수족관으로 전송하여, 서브컨트롤러(20)가 수족관의 물이 설정된 범위 안쪽에서 있도록 지시하고, 때에 따라서는 수족관의 외벽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청소토록 지시하거나 혹은 수위에 따라 물을 공급받도록 하거나 혹은 물을 배출토록 하도록 지시함으로써 수질을 관리한다.
또한, 유량제어모듈은 상기 수족관관리모듈이 생성한 지시명령을 메인컨트롤러(10)로 전송하여 여과장치 또는 살균장치를 구동토록 지시하거나 혹은 여과된 물을 저수탱크에 채워주거나 혹은 여과된 물을 외부로 버리도록 지시하고, 때에 따라서는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저수탱크의 염도를 높이거나 혹은 낮추도록 지시함으로써 설정된 범위 안쪽 있도록 유량을 관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정장소에 밀집되어있는 횟집의 수족관을 한곳으로 모아 관리센터(200)를 구축하고, 이러한 관리센터(200)의 수족관과 연결되어 있는 저수시설(100)과 여과시설(300)을 형성하여, 각각의 수족관의 수질을 집중관라함으로써, 수족관의 수질을 청결하게 유지하면서 경제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더불어 수족관에 서브컨트롤러(20)만 설치하기만 하면 추가 확장이 용이하고 서로 다른 수질상태로 각각의 수족관을 관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각각의 수족관에 설치되어 있는 서브컨트롤러(20)가 단독으로 운행되면서 수질을 관리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각각의 수족관에 설치되어 있는 서브컨트롤러(20)가 감지수단을 통해 해당 수족관의 수질정보를 주기적으로 확보한다.
그리고 이때 서브컨트롤러(20)가 수질정보를 확보하게 되면, 수질정보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범위 값을 로드하여 해당 수족관의 수질이 설정된 범위값 안쪽에 있는지 혹은 밖에 있는지 확인한다.
이때 상기 서브컨트롤러(20)가 해당 수족관의 수질이 설정된 범위를 벗어났다는 사실을 확인하게 되면, 해당 수족관의 수질이 불량한 것으로 인식하고, 상기 서브컨트롤러(20)는 수질정보저장부에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있는 결과값을 로드하여 지시명령을 생성한다.
그리고 상기 서브컨트롤러(20)는 지시명령을 토대로 구동수단을 구동시켜 해당 수족관의 수질상태를 설정된 범위값 안쪽에 있도록 개선하여 주는 것이다.
참고로 상기 서브컨트롤러(20)가 구동수단을 구동시켜 해당 수족관의 수질상태를 개선할 때에는
상기 서브컨트롤러(20)가 드레인장치(203))를 구동시켜 여과시설(300)로 해당 수족관의 물 일부 또는 전부를 배출하고, 감지수단을 통해 해당 수족관의 수위를 확인한다.
이때 해당 수족관의 수위가 설정된 레벨이하로 내려가게 되면, 상기 서브컨트롤러(20)는 저수시설(100)이 저장하고 있는 물을 공급받아 수족관을 채워주면서, 해당 수족관의 수질이 설정된 범위 안쪽에 놓이도록 하는 과정을 거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수질관리서버(30)를 통해 서브컨트롤러(20)와 메인컨트롤러(10)를 컨트롤하면서 수질 및 유량을 관리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은 각각의 수족관에 설치되어 있는 서브컨트롤러(20)가 주기적으로 수족관의 수질 상태를 감시하는 단계와,
상기 서브컨트롤러(20)가 감지수단을 통해 수족관의 수질이 설정된 범위를 벗어났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서브컨트롤러(20)는 수족관의 수질이 설정된 범위를 벗어났을 경우 해당 수족관의 수질이 불량한 것으로 인식하고 구동수단을 구동시켜 드레인을 통해 여과시설(300)르로 배수하는 단계와,
상기 서브컨트롤러(20)는 감지수단단을 통해 수족관의 수위를 확인하고 저수시설(100)이 저장하고 있는 물을 공급받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참고로, 상기 서브컨트롤러(20)가 감지수단을 통해 수족관의 수질이 불량한 것으로 인식하게 되면, 상기 서브컨트롤러(20)는 수질관리서버(30)로 해당 수족관의 수질정보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서브컨트롤러(20)는 수질관리서버(30)로부터 지시명령을 전송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서브컨트롤러(20)는 수질관리서버(30)가 전송한 지시명령을 토대로 구동수단을 동작시켜 주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구동수단은 여과시설(300)로 물을 배출하고 동시에 저수시설(100)로부터 공급된 물에 의해 수족관의 염도나 탁도 혹은 온도 등이 설정된 범위 안쪽에 있도록 한다.
참고로 여과시설(300)과 저수시설(100)은 메인컨트롤러(10)를 통해 상기 수족관이 배수한 물을 받아들여 여과장치를 통해 정수하는 단계와,
상기 메인컨트롤러(10)는 살균장치를 구동시켜 정수된 물속에 잔존하는 미생물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메인컨트롤러(10)는 저수시설(100)의 수위를 확인하고 해당 저수시설(100)의 수위가 설정된 범위 이상일 경우에는 한 쌍의 외부배관(303)의 일측 외부배관(303)의 밸브를 개폐하여 여과시설(300)을 통해 처리된 깨끗한 물을 외부로 배출하고,
상기 저수시설(100)의 수위가 설정된 범위 이하일 경우에는 한 쌍의 외부배관(303)의 타측 외부배관(303)의 밸브를 개폐하여 외부로부터 끼끗한 물을 공급받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메인컨트롤러(10)는 저수펌프(301)를 구동시켜 여과시설(300)의 물을 저수탱크 안쪽으로 물을 펌핑시켜 채우도록 컨트롤한다.
그리고 상기 메인컨트롤러(10)는 저장된 물을 확인하고 설정된 범위 안쪽에 있도록 모니터링하고,각각의 수족관으로 공급한다.
이때 메인컨트롤러(10)는 저수탱크 안쪽으로 유입된 물과 외부로 배출된 물의 양 혹은 외부로부터 유입된 물의 유량정보를 설정된 기간동안 카운트하여 디스플레이하여 주고, 이때 디스플레이된 유량정보를 수질관리서버(30)로 보고한다.
상기 메인컨트롤러(10)는 수질관리서버(30)로부터 지시명령을 전송받아 저수탱크 안쪽에 존재하는 물이 설정된 범위 안쪽에 있도록 컨트롤하거나, 혹은 수족관으로 저장된 물을 공급하도록 지시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때 수질관리서버(30)는 각각의 수족관에 설치되어 있는 서브컨트롤러(20)가 주기적으로 보내온 수질정보를 통해 전체 수족관의 수질을 모니터링한다.
이때 수질관리서버(30)는 서브컨트롤러(20)가 주기적으로 보내온 수질정보를 토대로 모니터링할 수도 있지만, 수질관리서버(30)가 식별정보를 토대로 특정 서브컨트롤러(20)에게 수질정보를 요청하고 이를 받아들여 해당 수족관의 상태를 개별적으로 모니터링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수질관리서버(30)는 전송받은 수질정보를 토대로 해당 수족관의 수질상태가 설정된 범위 밖으로 벗어나게 되면, 설정된 범위 안쪽에 있도록 하는 지시명령을 생성하고, 이때 생성된 지시명령을 서브컨트롤러(20) 또는 메인컨트롤러(10)로 전송하여 지정된 동작을 취하도록 한다.
즉, 서브컨트롤러(20)가 물을 배수하게 되면 , 메인컨트롤러(10)는 버려진 물을 집수하여 여과하고, 더불어 해당 수족관의 수위가 일정수위이하로 낮아지게 되면 상기 서브컨트롤러(20)는 개폐밸브를 구동시켜 저수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물을 공급받으며, 이때 상기 저장탱크 안쪽에 저장되어 있는 물이 설정된 범위 이하로 내려가게 되면 여과시설(300)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저수탱크 안쪽에 채워넣어 주도록 컨트롤하여 주는 것이다.
따라서 각각의 수족관에 서브컨트롤러(20)를 설치하고, 저수시설(100) 및 여과시설(300)에 메인컨트롤러(10)를 설치하여 수질관리서버(30)에 의해 상기 서브컨트롤러(20)와 메인컨트롤러(10)가 관리되어지면서 수족관의 수질 상태가 설정된 범위 안쪽에 있도록 관리해 줌으로써, 각각의 수족관을 깨끗하게 유지하여 주면서 경제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더욱이 관리센터(200) 안쪽에 새로운 수족관을 설치하고 해당 수족관에 서브컨트롤러(20)를 설치하기만 하면 해당 수족관의 수질을 모니터링할 수 있으므로, 용이하게 수족관을 추가 확장하거나 혹은 축소변경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0:메인컨트롤러 11:구동부
12:디스플레이부 13:유량정보저장부
14:유량제어부 15:유량감지부
16:유량정보전송부 17:유량제어버튼부
20:서브컨트롤러 21:지시부
22:디스플레이부 23:신호처리부
24:카메라모듈 25:수질정보저장부
26:수질제어부 27:버튼부
28:수질감지부 29:전송부
30:관리서버 31:수질정보획득모듈
32:유량정보획득모듈 33:수족관관리모듈
34:표시모듈 35:수질정보DB
36:유량정보DB 37:유량제어모듈
38:수질제어모듈 100:저수시설
301:저수펌프 102:주공급관
103:분기관 104:개폐벨브
200:관리센터 201:수족관
202:배출관 203:드레인장치
204:주배출관 300:여과시설
301:저수펌프 302:연결관
303:외부배관 304:밸브

Claims (21)

  1. 복수 개의 수족관이 설치되어 있는 관리센터(200);
    저장하고 있는 물을 각각의 수족관으로 공급하기 위한 저수시설(100);
    각각의 수족관으로부터 배출된 물을 여과하여 정수된 물을 확보하고, 이를 외부로 배출하거나 혹은 상기 저수시설(100)로 보내어 재사용토록 하는 여과시설(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기 저수시설(100)은 관리센터(200)로 저장된 물을 공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주공급관(102)이 설치되고, 상기 주공급관(102)에는 하나 이상의 공급펌프(101)가 설치되며, 상기 주공급관(102)에는 각각의 수족관으로 펌핑된 물을 공급하기 위한 분기관(103)과, 상기 분기관(103)의 유입구를 개방시켜 수족관 안쪽으로 물을 채워주기 위한 개폐밸브가 설치되고,
    상기 수족관에는 외부로 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수관(202)이 설치되며, 상기 배수관(202)에는 여과시설(300)으로 물을 내보내기 위한 주배출관(204)이 설치되어 있고, 각각의 배수관(202)에는 드레인장치(203))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여과시설(300)에는 하나 이상의 연결관(302)이 저수시설(100)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연결관(302)에는 여과된 물을 상기 저수시설(100)으로 보내어 저장하도록 하는 저수펌프(301)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여과시설(300) 또는 저수시설(100)에는 외부배관(303)이 설치되어,
    각각의 수족관으로 공급되는 물을 순환시켜 재사용하거나 혹은 여과공정을 거쳐 방류함으로써 전체 수족관의 청결을 유지하면서 용이하게 관리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 청결유지 관리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수족관에는 물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감지수단과, 물의 상태를 개선하기 위한 구동수단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감지수단과 구동수단 사이에는 감지수단을 통해 확보한 수질정보를 바탕으로 구동수단을 컨트롤하여 해당 수족관의 수질이 설정된 범위 안쪽에 있도록 제어하는 서브컨트롤러(20)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 청결유지 관리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컨트롤러(20)는, 수질상태 및 수족관의 관리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출하여 주는 디스플레이부;
    설정된 범위 값 또는 개폐밸브 또는 드레인장치(203))를 동작시키기 위한 버튼부;
    상기 감지수단을 통해 수질정보를 확보하는 수질감지부;
    수질정보 및 설정된 범위 값을 저장하고 있는 수질정보저장부;
    상기 수질감지부를 컨트롤하여 주기적으로 수질정보와 수족관이 관리상태를 확인하고, 이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출하는 한편, 확보된 수질정보가 수질정보저장부로부터 로드된 설정된 범위를 벗어났을 경우에는 이에 대응하는 지시명령을 생성하는 수질제어부;
    상기 수질제어부의 지시명령을 토대로 구동수단을 드라이빙시켜 해당 수족관의 수질이 설정된 범위 안쪽에 있도록 하는 지시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 청결유지 관리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여과시설(300) 또는 저수시설(100)에는 상기 저수시설(100)이 저장하고 있는 물의 수위가 설정된 범위 이하일 경우, 저수펌프(301)를 구동시켜 상기 여과시설(300)이 필터링한 물을 저수시설(100)에 저장하도록 컨트롤하고 이를 각각의 수족관으로 공급하는 한편,
    상기 저수시설(100)이 저장하고 있는 물의 수위가 설정된 범위를 이상일 경우에는 대기모드에 있거나, 여과시설(300)이 필터링한 물을 외부배관(303)을 통해 방류하도록 컨트롤하는 메인컨트롤러(10)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 청결유지 관리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각각의 서브컨트롤러(20)로부터 보고받은 수질정보를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각각의 수족관의 수질상태를 모니터링하는 한편,
    특정 수족관의 수질이 설정된 범위를 벗어났을 경우에는 해당 수족관의 수질이 설정된 범위 안쪽에 있도록 지시하는 지시명령을 생성하고, 상기 지시명령을 해당 수족관의 서브컨트롤러(20)와 메인컨트롤러(10)로 전송하여,
    저수시설(100)이 저장하고 있는 물을 해당 수족관으로 공급하여 수질이 설정된 범위 안쪽에 있도록 하는 수질관리서버(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 청결유지 관리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컨트롤러(20)는 수질상태 및 수족관의 관리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출하여 주는 디스플레이부;
    설정된 범위 값 또는 개폐밸브 또는 드레인장치(203))의 구동을 지시하는 버튼부;
    감지수단을 통해 해당 수족관의 수질정보를 확보하는 수질감지부;,
    상기 수질감지부를 컨트롤하여 주기적으로 수질정보와 수족관이 관리상태를 확인하고, 이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출하는 한편, 전송부를 컨트롤하여 해당 수족관의 상태를 보고하는 수질제어부;
    상기 수질제어부의 지시에 따라 지정된 수질관리서버(30)로 수질정보를 전송하고 대응하는 지시명령을 전송받는 전송부;
    전송받은 지시명령을 토대로 구동수단을 드라이빙시켜 해당 수족관의 수질 상태가 설정된 범위 안쪽에 있도록 하는 지시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 청결유지 관리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컨트롤러(20)는 수족관의 온도나 염도 혹은 탁도를 비롯하여 설정된 범위 값을 저장하고 있는 수질정보저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수질제어부가 수질감지부를 통해 수질정보를 확보하였을 때,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설정된 범위 값을 로드하여 해당 수족관의 수질정보가 설정된 범위 안쪽에 있는지 확인하고,
    설정된 범위를 벗어났을 경우에는 상기 전송부를 컨트롤하여 해당 수족관의 수질정보를 수질관리서버(30)로 전송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 청결유지 관리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컨트롤러(20)는 수족관의 수질상태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모듈이 내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 청결유지 관리시스템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컨트롤러(20)의 감지수단은, 수족관 주변에 설치되어 물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수위감지센서와, 물의 염도를 감지하기 위한 염도감지센서와, 수질의 오염도를 측정하기 위한 탁도감지센서와, 물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감지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 청결유지 관리시스템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컨트롤러(20)의 구동수단은, 유입구 또는 유출구를 오픈하여 주거나 혹은 닫아주기 위한 개폐밸브와, 배출구 밖으로 수족관의 물을 배출하기 위한 드레인장치(203))와, 물의 온도를 승/하강시키기 위한 히터 또는 냉각기와, 여과 및 부족한 산소를 채워주기 위한 산소공급기와, 수족관 벽면에 잔존하는 미생물을 제거하기 위한 자외선 살균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 청결유지 관리시스템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컨트롤러(10)는 저수탱크 안쪽에 저장되어 있는 유량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출하여 주는 디스플레이부;
    설정된 범위 값을 변경하고 저수펌프(301) 또는 살균장치 또는 여과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한 버튼부;
    저수시설(100) 또는 여과시설(300)에 설치되어 있는 센서와 유량계를 통해 저장된 물 또는 유입된 물 또는 유출된 물 또는 여과된 물의 유량정보를 확보하는 유량정보감지부;
    상기 유량정보감지부를 통해 확보된 유량정보를 지정된 수질관리서버(30)로 전송하고 대응하는 지시명령을 전송받는 유량정보전송부;
    상기 유량정보감지부를 통해 확보된 유량정보를 바탕으로 구동부를 컨트롤하여 저장하고 있는 물을 관리하는 한편, 수질관리서버(30)로부터 지시명령을 전송받아 특정 수족관으로 물을 공급하는 유량제어부;
    유량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유량정보저장부;
    상기 유량제어부의 지시를 받아 여과장치 또는 살균장치 또는 밸브 또는 저수펌프(301) 또는 공급펌프(101)를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 청결유지 관리시스템
  12. 제5항에 있어서,
    관리서버(30)는 서브컨트롤러(20)와 메인컨트롤러(10)에서 보내온 수질정보와 유량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있으며, 각각의 수족관의 설정된 범위 값들을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있는 유량정보 및 수질정보 DB;
    각각의 서브컨트롤러(20)들이 보내온 정보를 분석하여 수질정보를 획득하고, 이때 획득한 수질정보를 수족관관리모듈에 보고하는 수질정보획득모듈;
    메인컨트롤러(10)가 보내온 정보를 분석하여 유량정보를 확보하고, 이때 확보한 유량정보를 수족관 괸리모듈로 보고하는 유량정보획득모듈;
    획득한 유량정보와 수질정보를 토대로 표시모듈을 컨트롤하여 각 수족관의 수질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한편, 각각의 수족관의 수질상태가 설정된 범위 값을 벗어났을 경우에는 대응하는 지시명령을 생성하는 수족관관리모듈;
    상기 수족관관리모듈을 통해 각 수족관의 온도, 염도, 탁도, 어종 등의 정보를 표시하는 상태창과, 영상창을 통해 카메라모듈이 촬영된 해당 수족관의 모습을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모듈;
    상기 수족관관리모듈이 생성한 지시명령을 해당 수족관의 서브컨트롤러(20)로 전송하여 수족관의 수질이 설정된 범위 안쪽에서 있도록 지시하는 수질제어모듈;
    상기 수족관관리모듈이 생성한 지시명령을 메인컨트롤러(10)로 전송하여 여과장치 또는 살균장치를 구동토록 지시하거나 혹은 여과된 물을 저수탱크에 채워주도록 지시하거나 혹은 여과된 물을 외부로 버리도록 지시하거나 혹은 저장된 물의 수질이 설정된 범위 안쪽에 있도록 지시하는 유량제어모듈;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 청결유지 관리시스템
  13. 각각의 수족관에 설치되어 있는 서브컨트롤러(20)가 감지수단을 통해 해당 수족관의 수질정보를 주기적으로 확보하는 단계;
    상기 서브컨트롤러(20)는 수질정보를 확보하게 되면 수질정보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설정된 범위값을 로드하여 해당 수족관의 수질이 설정된 범위를 벗어났는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서브컨트롤러(20)는 수족관의 수질이 설정된 범위를 벗어났을 경우 해당 수족관의 수질이 불량한 것으로 인식하는 단계와, 상기 서브컨트롤러(20)는 구동수단을 구동시켜 해당 수족관의 수질상태를 개선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 청결유지 관리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컨트롤러(20)가 구동수단을 구동시켜 해당 수족관의 수질상태를 개선하는 단계는,
    상기 서브컨트롤러(20)가 드레인장치(203))를 구동시켜 여과시설(300)로 해당 수족관의 물 일부 또는 전부를 배출시키는 단계와, 상기 서브컨트롤러(20)는 감지수단을 통해 수족관의 수위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서브컨트롤러(20)는 저수시설(100)이 저장하고 있는 물을 공급받아 채워주면서 해당 수족관의 수질이 설정된 범위 안쪽에 놓이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 청결유지 관리방법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컨트롤러(20)는 수질관리서버(30)로 수질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 청결유지 관리방법
  16. 각각의 수족관에 설치되어 있는 서브컨트롤러(20)가 감지수단을 통해 해당 수족관의 수질정보를 주기적으로 확보하는 단계;
    상기 서브컨트롤러(20)는 수질정보를 확보하게 되면 전송부를 통해 지정된 수질관리서버(30)로 수질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브컨트롤러(20)는 수질관리서버(30)로부터 지시명령을 전송받는 단계;
    상기 서브컨트롤러(20)는 지시명령에 따라 구동수단을 동작시켜 해당 수족관의 수질이 설정된 범위 안쪽에 있도록 컨트롤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 청결유지 관리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컨트롤러(20)가 지정된 수질관리서버(30)로 수질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서브컨트롤러(20)가 해당 수족관의 수질이 설정된 범위를 벗어났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서브컨트롤러(20)는 수족관의 수질이 설정된 범위를 벗어났을 경우 해당 수족관의 수질이 불량한 것으로 인식하는 단계와, 상기 서브컨트롤러(20)가 수질정보를 보고하고 대응하는 지시명령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 청결유지 관리방법
  18. 제14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각각의 수족관의 물이 여과시설(300)로 배출되게 되면, 메인컨트롤러(10)는 여과장치를 구동시켜 각각의 수족관이 배수한 물을 필터링하는 단계와,
    상기 메인컨트롤러(10)는 살균장치를 구동시켜 정수된 물속에 잔존하는 미생물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 청결유지 관리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컨트롤러(10)는 저수시설(100)의 수위가 설정된 범위 이하일 경우에는 저수펌프(301)를 구동시켜 여과시설(300)이 확보하고 있는 물을 저수시설(100)로 펌핑시켜 저장하도록 지시하거나,
    혹은 상기 메인컨트롤러(10)가 저수시설(100)의 수위를 확인하고 설정된 범위 이상일 경우에는 여과시설(300)이 확보하고 있는 물을 외부배관(303)을 통해 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 청결유지 관리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컨트롤러(10)는 저수시설(100)로 유입된 물의 양과, 외부로 배출된 물의 양, 외부로부터 저수시설(100)로 유입된 물의 양을 설정된 기간 동안 카운트하는 단계와,
    상기 메인컨트로러는 유량정보를 수질관리서버(30)로 보고하는 단계와,
    상기 메인컨트롤러(10)는 수질관리서버(30)의 지시명령을 전송받는 단계와,
    상기 메인컨트롤러(10)는 저수시설(100)이 저장하고 있는 물의 상태가 설정된 범위 안쪽에 있도록 컨트롤하는 단계와,
    상기 메인컨트롤러(10)는 공급펌프(101)를 구동시켜 주공급관(102) 및 분기관(103)을 통해 각각의 수족관을 저장된 물을 공급하도록 지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 청결유지 관리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수질관리서버(30)는 각각의 수족관에 설치되어 있는 서브컨트롤러(20)로부터 주기적으로 수질정보를 보고받는 단계와,
    상기 수질관리서버(30)는 메인컨트롤러(10)로부터 주기적으로 유량정보를 보고받는 단게와,
    상기 수질관리서버(30)는 확보된 유량정보와 수질정보를 분석하고, 각각의 수족관 또는 서브컨트롤러(20) 별로 수질상태를 디스플레이하여 모니터링 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수질관리서버(30)는 지시명령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수질관리서버(30)는 지시명령을 서브컨트롤러(20)와 메인컨트롤러(10)로 전송하여 지정된 동작을 취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 청결유지 관리방법
KR1020150153280A 2015-10-16 2015-11-02 수족관 청결유지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 Active KR1018036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5012 2015-10-16
KR20150145012 2015-10-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5079A true KR20170045079A (ko) 2017-04-26
KR101803609B1 KR101803609B1 (ko) 2017-12-28

Family

ID=58705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3280A Active KR101803609B1 (ko) 2015-10-16 2015-11-02 수족관 청결유지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3609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15578A (zh) * 2017-09-30 2017-12-26 宁波琅华泰阁海洋科技有限公司 一种水产运输管理系统
KR20190005003A (ko) * 2017-07-05 2019-01-15 오흥일 수족관 관리 자동화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91639B1 (ko) * 2018-12-26 2019-06-20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센서 기반의 지능형 관상용 수조 자동 환수 장치
KR20200063370A (ko) * 2018-11-23 2020-06-05 박영현 사물 인터넷을 활용한 수조 자동환수 장치
WO2021071035A1 (ko) * 2019-10-08 2021-04-15 퀀텀매트릭스 주식회사 심자외선 uvc led 유수살균유닛을 적용한 살균시스템
KR102354259B1 (ko) * 2021-07-13 2022-01-21 (주)한국해양기술 육상수조식 양식장용 해수 공급 시스템
US20220079125A1 (en) * 2020-09-16 2022-03-17 Lishao Wang Holding Tank Monitoring System Based On Wireless Sensor Network And Monitoring Method
KR102502693B1 (ko) 2022-01-11 2023-02-22 류동우 스마트 수족관 환경제어시스템
CN117356519A (zh) * 2023-11-10 2024-01-09 广东智源信达工程有限公司 一种大型海鲜池集中降温控制系统
KR102775605B1 (ko) * 2024-06-27 2025-03-05 주식회사 오큐피 품질 관리 및 위생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4583B1 (ko) * 2004-12-03 2006-12-06 주식회사 로보피아 양어장 용수정화시스템과 그 것을 이용한 수질관리시스템및 원격관리시스템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5003A (ko) * 2017-07-05 2019-01-15 오흥일 수족관 관리 자동화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7515578A (zh) * 2017-09-30 2017-12-26 宁波琅华泰阁海洋科技有限公司 一种水产运输管理系统
CN107515578B (zh) * 2017-09-30 2024-04-09 宁波琅华泰阁海洋科技有限公司 一种水产运输管理系统
KR20200063370A (ko) * 2018-11-23 2020-06-05 박영현 사물 인터넷을 활용한 수조 자동환수 장치
KR101991639B1 (ko) * 2018-12-26 2019-06-20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센서 기반의 지능형 관상용 수조 자동 환수 장치
WO2021071035A1 (ko) * 2019-10-08 2021-04-15 퀀텀매트릭스 주식회사 심자외선 uvc led 유수살균유닛을 적용한 살균시스템
US20220079125A1 (en) * 2020-09-16 2022-03-17 Lishao Wang Holding Tank Monitoring System Based On Wireless Sensor Network And Monitoring Method
US12239109B2 (en) * 2020-09-16 2025-03-04 Lishao Wang Holding tank monitoring system based on wireless sensor network and monitoring method
KR102354259B1 (ko) * 2021-07-13 2022-01-21 (주)한국해양기술 육상수조식 양식장용 해수 공급 시스템
KR102502693B1 (ko) 2022-01-11 2023-02-22 류동우 스마트 수족관 환경제어시스템
CN117356519A (zh) * 2023-11-10 2024-01-09 广东智源信达工程有限公司 一种大型海鲜池集中降温控制系统
CN117356519B (zh) * 2023-11-10 2024-06-11 广东智源信达工程有限公司 一种大型海鲜池集中降温控制系统
KR102775605B1 (ko) * 2024-06-27 2025-03-05 주식회사 오큐피 품질 관리 및 위생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3609B1 (ko) 2017-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3609B1 (ko) 수족관 청결유지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
KR100906732B1 (ko) 어패류의 보관 및 양식할 수 있는 수조탱크
US20070163966A1 (en) Food processing effluent refurbishing system and method
KR101259698B1 (ko) 물놀이형 수경(水鏡)시설의 수처리 시스템
BR122021007990B1 (pt) Sistema para manter qualidade de água
KR100654583B1 (ko) 양어장 용수정화시스템과 그 것을 이용한 수질관리시스템및 원격관리시스템
KR101437218B1 (ko) 선박의 빗물 재활용 시스템
KR101068556B1 (ko) 수족관용 정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족관
CN203884470U (zh) 一种可净化水体的水产养殖循环系统
CN107651785A (zh) 一种用于海鲜暂养的循环水净化还原设备
CN111270729A (zh) 一种农村安全供水净化系统
CN106577461B (zh) 鳗鱼养殖池池底净化系统
RU2460286C1 (ru) Установка замкнутого водообеспечения для воспроизводства и выращивания гидробионтов
West 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 (HACCP) concept: application to bivalve shellfish purification systems
CN210382176U (zh) 一种清洁便捷的猪舍
CN106806910B (zh) 一种卧式双效营养液消毒装置
JPH08214726A (ja) 魚介類飼育用水槽装置
CN110642309A (zh) 基于物联网智能管理的景观水处理方法
CN206728925U (zh) 一种带有自动清洗功能过滤器的养殖装置
CN103098747A (zh) 一种淡水鱼食用前饲养净化处理的装置
CN204569597U (zh) 一种高效杀菌装置及具有该装置的泳池水处理循环系统
CN214990878U (zh) 一种鲟鱼养殖用水的高效过滤净化系统
KR102073043B1 (ko) 벽체 보호판을 부착한 컨테이너 형상의 취수 여과 저장 시스템
Nayar et al. Purification of farm grown oysters
TWM543545U (zh) 多重混養自動監控系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10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4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10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11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11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9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90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91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92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22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