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4896A - 무봉제 양면형 티셔츠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무봉제양면형 티셔츠 - Google Patents
무봉제 양면형 티셔츠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무봉제양면형 티셔츠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44896A KR20170044896A KR1020150144570A KR20150144570A KR20170044896A KR 20170044896 A KR20170044896 A KR 20170044896A KR 1020150144570 A KR1020150144570 A KR 1020150144570A KR 20150144570 A KR20150144570 A KR 20150144570A KR 20170044896 A KR20170044896 A KR 2017004489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im
- lining
- attaching
- piece
- sid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38000009958 sew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4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0000000295 complement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0945 fill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01000004624 Dermat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390 scarr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44 surfac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243 sweat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604 ultrason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43/00—Other methods, machines or appliances
- A41H43/04—Joining garment parts or blanks by gluing or welding ; Gluing presse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2—Jacket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4—Vests, jerseys, sweaters or the like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42/00—Multi-step production lines for making clot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무봉제 양면형 티셔츠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무봉제 양면형 티셔츠에서, 겉감과 안감이 각각 준비되면, 준비된 안감을 소정의 조각으로 절개한다. 절개된 안감 조각들을 겉감의 지정된 위치에 붙이기 이전에 안감 조각들을 서로 붙이는 작업이 이루어진다. 안감 조각들은 고체성 양면 본드와 울트라 소닉 웰딩 장치에 의해서 접착됨으로써, 봉제선이 발생하지 않는다. 다음, 안감 조립체를 겉감과 마주하도록 붙인다. 안감 조립체를 겉감에 붙이는 과정은 상기한 안감 조각들을 붙이는 과정과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따라서, 오버로크가 제거된 무봉제 양면형 티셔츠를 완성할 수 있다.
겉감, 안감 조각, 무봉제
겉감, 안감 조각, 무봉제
Description
본 발명은 무봉제 양면형 티셔츠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무봉제 양면형 티셔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오버로크(overlock)가 제거되어 피부 쓸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무봉제 양면형 티셔츠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무봉제 양면형 티셔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티셔츠는 사람의 상체 전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전면커버부, 사람의 상체 후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후면커버부 및 사람의 팔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팔커버부로 이루어진다.
전면커버부, 후면커버부 및 팔커버부와 서로 조립됨으로서 하나의 티셔츠가 완성된다. 종래에는 상기한 전면커버부, 후면커버부 및 팔커버부를 조립하는데 있어서, 인접하는 두 개의 원단을 오버랩시킨 후 원단을 박음질한 후 올이 풀리지 않도록 미싱으로 감싸는 오버로크 방식을 적용하였다.
그러나, 오버로크는 실로 여러겹 감싸서 원단이 풀리지 않도록 하는 방식이므로, 티셔츠를 착용하였을 때 사람의 피부와의 마찰로 인해서 피부에 쓸림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신체에 밀착되는 티셔츠 또는 운동복의 용도로 사용되어 땀에 의해서 피부와 밀착되는 티셔츠의 경우, 상기한 오버로크는 피부염 또는 상처를 유발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박음질 또는 오버로크를 이용하여 전면커버부, 후면커버부 및 팔커버부를 조립하면, 티셔츠 내부에 봉제선이 생기게 된다. 이와 같이 봉제선이 생성된 티셔츠는 양면 티셔츠에 적용하기가 매우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오버로크를 제거하여 피부 쓸림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무봉제 양면형 티셔츠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티셔츠 착용자가 기호에 맞도록 뒤집어 입을 수 있는 무봉제 양면형 티셔츠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한 제조 방법을 이용하여 완성된 무봉제 양면형 티셔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무봉제 양면형 티셔츠 제조 방법에 따르면, 제 1 안감 조각의 테두리에 고체성 양면 본드를 부착하는 제1단계; 제 2 안감 조각의 테두리와, 상기 고체성 양면 본드가 부착된 제 1 안감 조각의 테두리가 서로 마주하도록 정렬시키는 제2단계; 정렬된 상기 고체성 양면 본드가 부착된 제 1 안감 조각의 테두리와 상기 제 2 안감 조각의 테두리를 울트라 소닉 웰딩 장치로 동시에 절개시킴으로써 상기 제 1 안감 조각과 상기 제 2 안감 조각으로 구성되는 무봉제 안감 조립체를 만드는 제3단계; 및 상기 안감 조립체와 겉감을 무봉제 부착시킴으로써 전면커버부를 만드는 제4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제1단계는, 제 1 안감 조각의 테두리를 고체성 양면 본드의 일부 영역에 부착하는 단계이고, 상기 제2단계는, 제 2 안감 조각의 테두리를 상기 고체성 양면 본드의 남은 영역에 부착하고, 상기 제 1 안감 조각과 상기 제 2 안감 조각이 서로 마주하도록 정렬시키는 단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단계는, 제 1 안감 조각의 테두리를 고체성 양면 본드의 전 영역에 부착하는 단계이고, 상기 제2단계는, 상기 고체성 양면 본드가 부착된 제 1 안감 조각의 테두리와 제 2 안감 조각의 테두리를 마주하도록 정렬시키는 단계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제3단계는, 정렬된 상기 제 1 안감 조각의 테두리와 상기 제 2 안감 조각의 테두리를 동시에 절개함에 있어서, 상기 제 1 안감 조각의 테두리에 부착된 고체성 양면 본드의 일부가 절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단계는, 상기 안감 조립체의 테두리와 상기 겉감의 테두리 중 적어도 하나의 테두리에 고체성 양면 본드를 부착시키는 제 4-1 단계; 상기 안감 조립체의 테두리와 상기 겉감의 테두리가 서로 마주하도록 정렬시키는 제 4-2 단계; 및 상기 4-2 단계에서 정렬된 상기 안감 조립체의 테두리와 상기 겉감의 테두리를 울트라 소닉 웰딩 장치로 동시에 절개하되, 상기 4-1 단계에서 부착되는 고체성 양면 본드의 일부가 절개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안감 조립체의 테두리와 상기 겉감의 테두리를 부착시키는 제 4-3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4단계는, 상기 제3단계의 수행결과 절개되지 않고 남은 고체형 양면 본드가 남아있는 안감 조각의 테두리 부분에, 가압 및 가열을 하여 상기 겉감에 부착시키는 제4-4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무봉제 양면형 티셔츠 제조 방법에 따르면, 제 1 안감 조각의 테두리에 고체성 양면 본드를 부착하는 제1단계; 제 2 안감 조각의 테두리와, 상기 고체성 양면 본드가 부착된 제 1 안감 조각의 테두리가 서로 마주하도록 정렬시키는 제2단계; 정렬된 상기 고체성 양면 본드가 부착된 제 1 안감 조각의 테두리와 상기 제 2 안감 조각의 테두리를 울트라 소닉 웰딩 장치로 동시에 절개시킴으로써 상기 제 1 안감 조각과 상기 제 2 안감 조각으로 구성되는 무봉제 안감 조립체를 만드는 제3단계; 및 상기 안감 조립체의 테두리와 겉감의 테두리를 부착시킴으로써 후면커버부를 만드는 제4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무봉제 양면형 티셔츠 제조 방법에 따르면, 상체 전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항에 따라서 전면커버부를 준비하는 제1단계; 상체 후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8항에 따라서 후면커버부를 준비하는 제2단계; 상기 전면커버부의 테두리와 상기 후면커버부의 테두리 중 적어도 하나의 테두리 부분에 고체성 양면 본드를 부착시키는 제3단계; 상기 전면커버부의 테두리와 상기 후면커버부의 테두리가 서로 마주하도록 정렬시키는 제4단계; 상기 제4단계에서 정렬된 상기 전면커버부의 테두리와 상기 후면커버부의 테두리를 울트라 소닉 웰딩 장치로 동시에 절개하되, 상기 제3단계에서 부착된 고체성 양면 본드의 일부가 절개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전면커버부의 테두리와 상기 후면커버부의 테두리를 부착시키는 제5단계; 및 상기 전면커버부와 상기 후면커버부의 접착 부분에 보완재를 부착시키는 단계로서, 상기 보완재를 상기 울트라 소닉 웰딩 장치에 의해 절개되는 면의 반대측면에 부착하는 제6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6단계는, 상기 보완재에 고체성 양면 본드를 부착하는 단계; 및 상기 고체성 양면 본드가 부착된 보완재를 상기 울트라 소닉 웰딩 장치에 의해 절개되는 면의 반대측면에 부착하고 가압 및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완재는, 상기 보완재가 부착되는 부분의 재질과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무봉제 양면형 티셔츠에 따르면, 절개된 제1안감 조각들이 상호부착되어 형성된 제1안감 조립체와, 상기 제1안감 조립체에 무봉제 부착되는 제1겉감으로 구성되고, 사람의 상체 전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전면커버부; 및 절개된 제2안감 조각들이 상호부착되어 형성된 제2안감 조립체와, 상기 제2안감 조립체에 무봉제 부착된 제2겉감으로 구성되고, 사람의 상체 후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후면커버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전면커버부와 상기 후면커버부는 무봉제 부착된 것이다.
한편, 상기 제1안감조립체는, 제 1-1 안감 조각의 테두리에 고체성 양면 본드를 부착하는 제1-1단계; 제 1-2 안감 조각의 테두리와, 상기 고체성 양면 본드가 부착된 제 1-1 안감 조각의 테두리가 서로 마주하도록 정렬시키는 제1-2단계; 및 정렬된 상기 고체성 양면 본드가 부착된 제 1-1 안감 조각의 테두리와 상기 제 1-2 안감 조각의 테두리를 울트라 소닉 웰딩 장치로 동시에 절개시킴으로써 상기 제 1-1 안감 조각과 상기 제 1-2 안감 조각으로 구성되는 무봉제 안감 조립체를 만드는 제1-3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따라서 무봉제 부착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1단계는, 제 1-1 안감 조각의 테두리를 고체성 양면 본드의 일부 영역에 부착하는 단계이고, 상기 제1-2단계는, 제 1-2 안감 조각의 테두리를 상기 고체성 양면 본드의 남은 영역에 부착하고, 상기 제 1-1 안감 조각과 상기 제 1-2 안감 조각이 서로 마주하도록 대응시키는 단계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1단계는, 제 1-1 안감 조각의 테두리를 상기 고체성 양면 본드의 전 영역에 부착하는 단계이고, 상기 제1-2단계는, 상기 고체성 양면 본드가 부착된 제 1-1 안감 조각의 테두리와 상기 제 1-2 안감 조각의 테두리를 마주하도록 정렬시키는 단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면커버부와 상기 후면커버부간의 무봉제 부착은, 상기 전면커버부의 테두리와 상기 후면커버부의 테두리 중 적어도 하나의 테두리 부분에 고체성 양면 본드를 부착시키는 제1-4단계; 상기 전면커버부의 테두리와 상기 후면커버부의 테두리가 서로 마주하도록 정렬시키는 제1-5단계; 상기 정렬단계에서 정렬된 상기 전면커버부의 테두리와 상기 후면커버부의 테두리를 울트라 소닉 웰딩 장치로 동시에 절개하되, 상기 제1-4단계에서 부착된 고체성 양면 본드의 일부가 절개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전면커버부와 상기 후면커버부를 무봉제 부착시키는 제1-6단계; 및 상기 전면커버부와 상기 후면커버부의 접착 부분에 보완재를 부착시키는 단계로서, 상기 보완재를 상기 울트라 소닉 웰딩 장치에 의해 절개되는 면의 반대측면에 부착하는 제1-7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에 따라서 무봉제 부착된 것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안감 조립체와 상기 제1겉감간의 무봉제 부착은, 상기 제1안감 조립체의 테두리와 상기 제1겉감의 테두리 중 적어도 하나의 테두리에 고체성 양면 본드를 부착시키는 제1-8단계; 상기 제1안감 조립체의 테두리와 상기 제1겉감의 테두리가 서로 마주하도록 정렬시키는 제1-9단계; 및 상기 제1-9단계에서 정렬된 상기 제1안감 조립체의 테두리와 상기 제1겉감의 테두리를 울트라 소닉 웰딩 장치로 동시에 절개하되, 상기 제1-8단계에서 부착되는 고체성 양면 본드의 일부가 절개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1안감 조립체와 상기 제1겉감을 부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따라서 무봉제 부착된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무봉제 양면형 티셔츠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무봉제 양면형 티셔츠에 따르면, 안감을 소정의 조각으로 절개하고, 절개된 안감 조각들을 고체성 양면 본드와 울트라 소닉 웰딩 장치에 의해서 접착시킨 후 겉감의 지정된 위치에 부착시킨다.
따라서, 안감 조각들을 붙이는 과정 및 안감과 겉감을 서로 붙이는 과정에서 봉제선이 발생되지 않고, 그 결과 봉제선에 의한 피부 쓸름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봉제선이 제거됨으로써 양면 티셔츠에 적용하기가 용이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르면, 안감과 겉감을 결합하여 전면커버부, 후면커버부, 또는 팔 커버부를 제작할 수 있으므로, 티셔츠 착용자의 기호에 맞도록 뒤집어 집는 것이 가능하다. 이렇게 뒤집어 입더라도 무봉제 부착된 것이므로 미감에 나쁜 영향을 주지 않는다
도 1a 내지 도 1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봉제 양면형 티셔츠의 제조 과정을 나타낸 평면도들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a 내지 도 1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봉제 양면형 티셔츠의 제조 과정을 나타낸 평면도들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무봉제 양면형 티셔츠를 만들기 위해서는 먼저 사람의 상체 후면을 커버하기 위하여 사람의 상체 후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후면커버부(50), 사람의 상체 전면을 커버하기 위하여 사람의 상체 전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전면커버부(60) 및 사람의 팔을 커버하기 위한 한 쌍의 팔 커버부(70)가 구비된다.
후면커버부(50)와 전면커버부(60)를 형성하는데 있어서, 서로 동일한 방법이 적용되므로, 이하에서는 후면커버부(50)를 일 예로 들어서 본 발명에 따른 무봉제 양면형 티셔츠 제조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커버부(50)의 형상대로 재단된 겉감(51)과 안감(52)이 준비된다. 여기서, 준비된 안감(52)은 소정 개수의 조각(52a, 52b, 52c, 52d)으로 절개된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안감(52)은 4 조각으로 절개된다.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준비된 안감(52)이 겉감(51)의 내면에 부착되기 이전에, 절개된 안감 조각들(52a, 52b, 52c, 52d)을 서로 붙이는 작업이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제1 내지 제4 안감 조각(52a, 52b, 52c, 52d) 중 중앙에 위치하는 제1 안감 조각(52b)의 테두리 부분에 고체성 양면 본드(52e)가 위치된다. 여기서, 고체성 양면 본드(52e)는 예를 들면 1cm의 폭(w1)을 가질 수 있다. 이후, 제1 안감 조각(52b)은 고체성 양면 본드(52e)에 의해서 인접하는 제2 내지 제4 안감 조각(52a, 52c, 52d)과 서로 마주하도록 정렬된다.
그러면,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접힌 상태(안감 조각들이 서로 마주하도록 정렬된 상태)에서 제1 내지 제4 안감 조각(52a, 52b, 52c, 52d)이 서로 부착된다. 이후, 실링용 울트라 소닉 웰딩 장치(이하, #34#울트라 소닉 웰딩 장치#34#라고 함)를 이용하여 서로 마주한 상기 제1 내지 제4 안감 조각들(52a, 52b, 52c, 52d)의 접착 부분을 소정 폭으로 동시에 절개한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접착 부분은 0.5cm의 폭(w2)으로 절개된다. 따라서, 절개된 후에도 고체성 양면 본드(52e)의 절반 정도가 제1 내지 제4 안감 조각들(52a, 52b, 52c, 52d) 사이에 잔류하게 된다.
한편, 실링용 울트라 소닉 웰딩 장치(ULTRASONIC WELDING MACHINE)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천을 절단하면서 실링하는 장치이다. 예를 들면, 붙이고자 하는 2개의 천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에 고체형 본드를 부착하고, 2개의 천이 서로 마주하도록 정렬하고, 고체형 본드가 부착된 부분을 울트라 소닉 웰딩 장치로 절단하게 되면, 천의 절단선 부분은 고체형 본드에 의해 단단하게 부착되게 된다.
이러한 울트라 소닉 웰딩 장치를 이용하여 서로 정렬되어 있는 제1 내지 제4 안감 조각들(52a, 52b, 52c, 52d)을 절개하면, 절개선 부분에서 제1 내지 제4 안감 조각들(52a, 52b, 52c, 52d)의 테두리 부분에서 올이 풀리지 않도록 마감될 수 있다. 이후, 이렇에 서로 부착된 제1 내지 제4 안감조각들(52a, 52b, 52c, 52d)을, 겉감(51)의 내면에 부착시킬 때, 잔류하는 고체성 양면 본드(52e)에 압력과 열을 가하면, 고체성 양면 본드(52e)가 액체화되면서, 제1 내지 제4 안감 조각들(52a, 52b, 52c, 52d)은 겉감의 내면에 견고하게 접착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감 조각들의 접착 과정을 나타낸 평면도들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제1 내지 제4 안감 조각들(52a, 52b, 52c, 52d)이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면, 제1 내지 제4 안감 조각들(52a, 52b, 52c, 52d)이 서로 인접한 부분에 고체성 양면 본드(52f)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고체성 양면 본드(52f)는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안감 조각들의 테두리 부분에 오버랩되도록 형성된다. 즉, 고체성 양면 본드(52f)는 제1 폭(w3)으로 제공되고, 각각의 안감 조각의 테두리 부분과 제1 폭(w3)의 절반에 대응하는 폭으로 오버랩된다. 이후, 제1 내지 제4 안감 조각(52a, 52b, 52c, 52d)들을 도 2a에 도시된 방향으로 접으면,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제1 내지 제4 안감 조각(52a, 52b, 52c, 52d)들이 서로 마주보는 상태로 정렬된다.
이후, 울트라 소닉 웰딩 장치를 이용하여 서로 마주한 상기 제1 내지 제4 안감 조각들(52a, 52b, 52c, 52d)의 접착 부분을 소정 폭으로 절개한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접착 부분은 제1 폭(w3)에 절반에 대응하는 제2 폭(w3/2)을 갖고, 울트라 소닉 웰딩 장치는 상기 제2 폭(w3/2)의 절반에 대응하는 제3 폭(w4)으로 접착 부분을 절개한다. 마찬가지로, 절개된 후에도 고체성 양면 본드(52f)의 절반 정도가 제1 내지 제4 안감 조각들(52a, 52b, 52c, 52d) 사이에 잔류하게 된다.
상기한 울트라 소닉 웰딩 장치를 이용하여 서로 부착되어 있는 제1 내지 제4 안감 조각들(52a, 52b, 52c, 52d)을 절개하면, 절개선 부분에서 제1 내지 제4 안감 조각들(52a, 52b, 52c, 52d)의 테두리 부분에서 올이 풀리지 않도록 마감될 수 있다. 이후, 이렇게 서로 부착된 제1 내지 제4 안감조각들(52a, 52b, 52c, 52d)을 겉감(51)의 내면에 부착시킬 때, 잔류하는 고체성 양면 본드(52f)에 압력과 열을 가하면, 고체성 양면 본드(52f)가 액체화되면서, 제1 내지 제4 안감 조각들(52a, 52b, 52c, 52d)은 겉감의 내면에 견고하게 접착된다.
위에서 예를 든 두 가지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을 통해서 제1 내지 제4 안감 조각들(52a, 52b, 52c, 52d)을 결합하면 하나의 안감 조립체(53)가 완성될 수 있다. 안감 조립체(53)는 티셔츠를 뒤집어 입을 때를 고려하여 재질과 디자인을 고려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감 조립체(53)는 겉감의 재질과 다를 수도 있고 디자인도 다르게 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추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완성된 티셔츠는 착용자의 기호에 따라 옷을 뒤집어 입을 수 있게 된다.
완성된 안감 조립체(53)는 겉감(51)의 내면에 부착된다. 안감 조립체(53)를 겉감(51)에 내면에 부착하여 후면 커버부(50)를 완성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안감 조립체(53)가 겉감(51)의 내면에 부착되는 공정은 두 가지가 있으며, 이 두 가지 공정은 상호간에 선후가 없으며 어느 쪽을 먼저 하더라고 관계없다.
그 중 하나의 공정은, 안감 조각들끼리 부착된 부분을 겉감(51)에 부착하는 과정으로서, 안감 조립체(53)를 겉감(51)의 내면에 대응시키고, 안감 조각끼리 부착된 부분들에 열과 압력을 가한다. 그러면, 안감조각끼리 부착된 부분들에 남아있는 고체 양면 본드(52e, 또는 52f)가 액체화되어서 안감 조립체와 겉감(51)을 서로 부착시킨다.
나머지 하나의 공정은, 안감 조립체(53)의 테두리와 겉감(51)의 테두리를 부착하는 과정이다. 이 과정은, 상술한 도 1c 내지 도 1d를 참조하여 설명한 부착 방식과, 도 2a 내지 도 2b를 참조하여 설명한 부착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과 동일한 과정을 사용할 수 있다.
두 번째 공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겉감(51)의 내면 테두리 부분에는 고체성 양면 본드(51a)가 부착된다. 이후, 겉감(51)과 안감 조립체(53)가 서로 마주하도록 정렬시킨 후 고체성 양면 본드(51a)로 안감 조립체(53)를 겉감(51)에 부착시킨다.
도 1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감 조립체(53)와 겉감(51)이 결합된 상태에서 울트라 소닉 웰딩 장치를 이용하여 안감 조립체(53)와 겉감(51)의 접착 부분을 소정 폭만큼 절개하면, 상기와 같이 절개선 부분에서 안감 조립체(53)와 겉감(51)이 서로 접착된다.
한편, 서로 부착된 안감 조각들(52a, 52b, 52c, 52d)을 절개할 때와 마찬가지로 상기한 접착 부분은 0.5cm의 폭(w2)으로 절개될 수 있다. 따라서, 절개된 부분에서 안감 조립체(53)와 겉감(51)의 올이 풀리지 않도록 마감될 수 있다.
이렇게 절개과정을 마침으로써 후면커버부(50)가 완성되는 데, 이렇게 완성된 후면커버부(50)의 테두리에는 고체성 양면 본드(51a)가 0.5cm의 폭만큼 잔류한다. 이후, 후면커버부(50)를 전면커버부(60)나 팔커버부(70)에 부착시킬 때, 울트라 소닉 웰딩 장치에 의해서 절개되지 않고 잔류된 고체성 양면 본드(51a)에 열과 압력을 가하면 후면 커버부(503)는 전면커버부(60)나 팔커버부(70)에 부착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서 후면커버부(50)가 완성되고, 이와 동일한 과정을 통해서 나머지 전면커버부(60) 및 팔커버부(70)가 완성된다. 이렇게 형성된 후면커버부(50), 전면커버부(60) 및 팔커버부(70)를 무봉제 조립하면 무봉제 양면형 티셔츠가 완성된다.
이후,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여 후면커버부(50), 전면커버부(60) 및 팔커버부(70)의 조립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봉제 양면형 티셔츠의 제조 과정을 나타낸 평면도들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후면커버부(50)와 전면커버부(60)에는 고체성 양면 본드(55)가 잔류하고 있다. 이 고체성 양면 본드(55)는 각각 후면커버부(50)와 전면커버부(60)를 만들 때 생긴 것으로서, 울트라 소닉 웰딩 장치로 절개하고 남은 부분이다. 본 예에서, 후면커버부(50)와 전면커버부(60)가 고체성 양면 본드(55)를 통해서 서로 접착된다.
이후, 도 3b를 참조하면, 후면커버부(50)와 전면커버부(60)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울트라 소닉 웰딩 장치를 이용하여 후면커버부(50)와 전면커버부(60)의 접착 부분을 소정의 폭만큼 절개하면, 절개된 부분을 따라서 후면커버부(50)와 전면커버부(60)가 다시 한번 접착되면서, 올이 풀리지 않도록 마감될 수 있다.
다음,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커버부(50)와 전면커버부(60)의 접착부분에 보완재(57)를 부착시킨다. 보완재(57)는 울트라 소닉으로 절개한 반대측면에 부착된다. 한편, 보완재(57)에는 고체형 양면 본드가 붙어있어서 보완재(57)를 울트라 소닉으로 절개한 반대측면에 대고 가압 및 가열하면, 보완재(57)를 통해서 후면커버부(50)와 전면커버부(60)가 완전하게 접착된다. 본 발명의 일 예로, 보안재(57)는 디자인의 일부로서의 기능할 수 있도록 후면커버부(50) 및 전면커버부(60)와 동일한 재질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신축성을 가진 재질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서 후면커버부(50)와 전면커버부(60)가 결합되면, 팔커버부(70, 도 1a에 도시됨)를 결합된 후면커버부(50)와 전면커버부(60)에 부착시키는 과정이 상기와 동일한 방식으로 진행된다. 따라서, 무봉제 양면형 티셔츠가 완성될 수 있다.
이러한 무봉제 양면형 티셔츠는 본드 접착 방식과 울트라 소닉 웰딩 장치에 의해 제조되므로, 오버로크가 형성되지 않고, 그 결과 피부 쓸름 현상으로 인한 피부염 또는 상처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무봉제 양면형 티셔츠는 피부 쓸림이 발생하지 않아 장시간 운동하는 운동선수들을 위한 운동복으로 매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오버로크가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무봉제 양면형 티셔츠는 양면으로 착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도 1a 내지 도 3c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후면커버부(50) 및 전면커버부(60) 각각이 겉감과 안감으로 이루어진 경우를 도시하였다. 그러나, 후면커버부(50) 및 전면커버부(60) 각각은 겉과 안이 서로 다른 재질로 이루어진 하나의 천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후면커버부(50) 및 전면커버부(60)가 하나의 천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도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서 후면커버부(50) 및 전면커버부(60)가 결합됨으로써 무봉제 양면형 티셔츠가 완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안감 조립체(53)를 제조하는 실시예들에서는, 고체형 양면 본드를 도 1c처럼 어느 한쪽의 안감 조각에만 붙이는 방법이나, 도 2a 처럼 고체형 양면 본드의 1/2에 하나의 안감 조각을 위치시키고, 나머지 1/2에는 붙이고자하는 안감 조각을 위치시키는 방법을 채택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원 발명은 그러한 예들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안감 조각 A와 안감 조각 B를 서로 부착시킬 때, 고체형 양면 본드의 1/3은 안감 조각 A를 위치시키고, 나머지 2/3는 안감 조각 B를 위치시킬 수도 있다. 즉, 고체형 양면 본드의 특정 위치에 본원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후면커버부(50)
전면커버부(60)
전면커버부(60)
Claims (16)
- 제 1 안감 조각의 테두리에 고체성 양면 본드를 부착하는 제1단계;제 2 안감 조각의 테두리와, 상기 고체성 양면 본드가 부착된 제 1 안감 조각의 테두리가 서로 마주하도록 정렬시키는 제2단계;정렬된 상기 고체성 양면 본드가 부착된 제 1 안감 조각의 테두리와 상기 제 2 안감 조각의 테두리를 울트라 소닉 웰딩 장치로 동시에 절개시킴으로써 상기 제 1 안감 조각과 상기 제 2 안감 조각으로 구성되는 무봉제 안감 조립체를 만드는 제3단계; 및상기 안감 조립체와 겉감을 무봉제 부착시킴으로써 전면커버부를 만드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봉제 양면형 티셔츠 제조 방법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1단계는, 제 1 안감 조각의 테두리를 고체성 양면 본드의 일부 영역에 부착하는 단계이고,상기 제2단계는, 제 2 안감 조각의 테두리를 상기 고체성 양면 본드의 남은 영역에 부착하고, 상기 제 1 안감 조각과 상기 제 2 안감 조각이 서로 마주하도록 정렬시키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봉제 양면형 티셔츠 제조 방법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1단계는, 제 1 안감 조각의 테두리를 고체성 양면 본드의 전 영역에 부착하는 단계이고,상기 제2단계는, 상기 고체성 양면 본드가 부착된 제 1 안감 조각의 테두리와 제 2 안감 조각의 테두리를 마주하도록 정렬시키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봉제 양면형 티셔츠 제조 방법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1단계는, 제 1 안감 조각의 테두리를 고체성 양면 본드의 전 영역에 부착하는 단계이고,상기 제2단계는, 상기 고체성 양면 본드가 부착된 제 1 안감 조각의 테두리와 제 2 안감 조각의 테두리를 마주하도록 정렬시키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봉제 양면형 티셔츠 제조 방법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는,상기 안감 조립체의 테두리와 상기 겉감의 테두리 중 적어도 하나의 테두리에 고체성 양면 본드를 부착시키는 제 4-1 단계;상기 안감 조립체의 테두리와 상기 겉감의 테두리가 서로 마주하도록 정렬시키는 제 4-2 단계; 및상기 4-2 단계에서 정렬된 상기 안감 조립체의 테두리와 상기 겉감의 테두리를 울트라 소닉 웰딩 장치로 동시에 절개하되, 상기 4-1 단계에서 부착되는 고체성 양면 본드의 일부가 절개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안감 조립체의 테두리와 상기 겉감의 테두리를 부착시키는 제 4-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봉제 양면형 티셔츠 제조 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는,상기 제3단계의 수행결과 절개되지 않고 남은 고체형 양면 본드가 남아있는 안감 조각의 테두리 부분에, 가압 및 가열을 하여 상기 겉감에 부착시키는 제4-4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봉제 양면형 티셔츠 제조 방법
- 제 1 안감 조각의 테두리에 고체성 양면 본드를 부착하는 제1단계;제 2 안감 조각의 테두리와, 상기 고체성 양면 본드가 부착된 제 1 안감 조각의 테두리가 서로 마주하도록 정렬시키는 제2단계;정렬된 상기 고체성 양면 본드가 부착된 제 1 안감 조각의 테두리와 상기 제 2 안감 조각의 테두리를 울트라 소닉 웰딩 장치로 동시에 절개시킴으로써 상기 제 1 안감 조각과 상기 제 2 안감 조각으로 구성되는 무봉제 안감 조립체를 만드는 제3단계; 및상기 안감 조립체의 테두리와 겉감의 테두리를 부착시킴으로써 후면커버부를 만드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봉제 양면형 티셔츠 제조 방법.
- 상체 전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항에 따라서 전면커버부를 준비하는 제1단계;상체 후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8항에 따라서 후면커버부를 준비하는 제2단계;상기 전면커버부의 테두리와 상기 후면커버부의 테두리 중 적어도 하나의 테두리 부분에 고체성 양면 본드를 부착시키는 제3단계;상기 전면커버부의 테두리와 상기 후면커버부의 테두리가 서로 마주하도록 정렬시키는 제4단계;상기 제4단계에서 정렬된 상기 전면커버부의 테두리와 상기 후면커버부의 테두리를 울트라 소닉 웰딩 장치로 동시에 절개하되, 상기 제3단계에서 부착된 고체성 양면 본드의 일부가 절개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전면커버부의 테두리와 상기 후면커버부의 테두리를 부착시키는 제5단계; 및상기 전면커버부와 상기 후면커버부의 접착 부분에 보완재를 부착시키는 단계로서, 상기 보완재를 상기 울트라 소닉 웰딩 장치에 의해 절개되는 면의 반대측면에 부착하는 제6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봉제 양면형 티셔츠 제조 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6단계는,상기 보완재에 고체성 양면 본드를 부착하는 단계; 및상기 고체성 양면 본드가 부착된 보완재를 상기 울트라 소닉 웰딩 장치에 의해 절개되는 면의 반대측면에 부착하고 가압 및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봉제 양면형 티셔츠 제조 방법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완재는, 상기 보완재가 부착되는 부분의 재질과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봉제 양면형 티셔츠 제조 방법
- 절개된 제1안감 조각들이 상호부착되어 형성된 제1안감 조립체와, 상기 제1안감 조립체에 무봉제 부착되는 제1겉감으로 구성되고, 사람의 상체 전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전면커버부; 및절개된 제2안감 조각들이 상호부착되어 형성된 제2안감 조립체와, 상기 제2안감 조립체에 무봉제 부착된 제2겉감으로 구성되고, 사람의 상체 후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후면커버부; 를 포함하며,상기 전면커버부와 상기 후면커버부는 무봉제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봉제 양면형 티셔츠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안감조립체는,제 1-1 안감 조각의 테두리에 고체성 양면 본드를 부착하는 제1-1단계;제 1-2 안감 조각의 테두리와, 상기 고체성 양면 본드가 부착된 제 1-1 안감 조각의 테두리가 서로 마주하도록 정렬시키는 제1-2단계; 및정렬된 상기 고체성 양면 본드가 부착된 제 1-1 안감 조각의 테두리와 상기 제 1-2 안감 조각의 테두리를 울트라 소닉 웰딩 장치로 동시에 절개시킴으로써 상기 제 1-1 안감 조각과 상기 제 1-2 안감 조각으로 구성되는 무봉제 안감 조립체를 만드는 제1-3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따라서 무봉제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봉제 양면형 티셔츠
- 제12항에 있어서,상기 제1-1단계는, 제 1-1 안감 조각의 테두리를 고체성 양면 본드의 일부 영역에 부착하는 단계이고,상기 제1-2단계는, 제 1-2 안감 조각의 테두리를 상기 고체성 양면 본드의 남은 영역에 부착하고, 상기 제 1-1 안감 조각과 상기 제 1-2 안감 조각이 서로 마주하도록 대응시키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봉제 양면형 티셔츠
- 제12항에 있어서,상기 제1-1단계는, 제 1-1 안감 조각의 테두리를 상기 고체성 양면 본드의 전 영역에 부착하는 단계이고,상기 제1-2단계는, 상기 고체성 양면 본드가 부착된 제 1-1 안감 조각의 테두리와 상기 제 1-2 안감 조각의 테두리를 마주하도록 정렬시키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봉제 양면형 티셔츠
- 제11항에 있어서,상기 전면커버부와 상기 후면커버부간의 무봉제 부착은,상기 전면커버부의 테두리와 상기 후면커버부의 테두리 중 적어도 하나의 테두리 부분에 고체성 양면 본드를 부착시키는 제1-4단계;상기 전면커버부의 테두리와 상기 후면커버부의 테두리가 서로 마주하도록 정렬시키는 제1-5단계;상기 정렬단계에서 정렬된 상기 전면커버부의 테두리와 상기 후면커버부의 테두리를 울트라 소닉 웰딩 장치로 동시에 절개하되, 상기 제1-4단계에서 부착된 고체성 양면 본드의 일부가 절개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전면커버부와 상기 후면커버부를 무봉제 부착시키는 제1-6단계; 및상기 전면커버부와 상기 후면커버부의 접착 부분에 보완재를 부착시키는 단계로서, 상기 보완재를 상기 울트라 소닉 웰딩 장치에 의해 절개되는 면의 반대측면에 부착하는 제1-7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에 따라서 무봉제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봉제 양면형 티셔츠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안감 조립체와 상기 제1겉감간의 무봉제 부착은,상기 제1안감 조립체의 테두리와 상기 제1겉감의 테두리 중 적어도 하나의 테두리에 고체성 양면 본드를 부착시키는 제1-8단계;상기 제1안감 조립체의 테두리와 상기 제1겉감의 테두리가 서로 마주하도록 정렬시키는 제1-9단계; 및상기 제1-9단계에서 정렬된 상기 제1안감 조립체의 테두리와 상기 제1겉감의 테두리를 울트라 소닉 웰딩 장치로 동시에 절개하되, 상기 제1-8단계에서 부착되는 고체성 양면 본드의 일부가 절개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1안감 조립체와 상기 제1겉감을 부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따라서 무봉제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형 티셔츠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44570A KR20170044896A (ko) | 2015-10-16 | 2015-10-16 | 무봉제 양면형 티셔츠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무봉제양면형 티셔츠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44570A KR20170044896A (ko) | 2015-10-16 | 2015-10-16 | 무봉제 양면형 티셔츠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무봉제양면형 티셔츠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44896A true KR20170044896A (ko) | 2017-04-26 |
Family
ID=58704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44570A Withdrawn KR20170044896A (ko) | 2015-10-16 | 2015-10-16 | 무봉제 양면형 티셔츠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무봉제양면형 티셔츠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70044896A (ko) |
-
2015
- 2015-10-16 KR KR1020150144570A patent/KR20170044896A/ko not_active Withdraw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854022B2 (en) | Garments having seamless edge bands and processes for making same | |
US9101179B2 (en) | Smooth shoe uppers and methods for producing them | |
US8257141B2 (en) | Ultrasonic cut and bonded elastic material and brassiere including same | |
TW200911154A (en) | Undergarment, for example a pair of panties, especially for women | |
US8888555B2 (en) | Method for joining fabric panels and manufacturing brassieres | |
KR101382623B1 (ko) | 속옷 제조방법 | |
US11419372B2 (en) | Clothing back buckle, bra connector and bra | |
JP3131863U (ja) | ハーフトップ | |
TW200908899A (en) | Brassiere | |
EP1593361B1 (en) | Ear-Muff | |
US9149080B2 (en) | Method of attaching a fastening means pad to a sidewing for a brassiere, a sidewing and fastening means pad for a brassiere, and a brassiere comprising the sidewing and fastening means pad | |
US8114498B2 (en) | Bonded elastic | |
JP3136098U (ja) | ショーツ | |
JP3133255U (ja) | ブラジャー | |
TWI462703B (zh) | 用以連接織物片及製造胸罩的方法 | |
KR100916700B1 (ko) | 무봉제 양면형 티셔츠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무봉제양면형 티셔츠 | |
KR20170044896A (ko) | 무봉제 양면형 티셔츠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무봉제양면형 티셔츠 | |
JP2005113286A (ja) | 接着方式によるテープ及びこれを使用した製品 | |
KR101746164B1 (ko) | 접착 형성되는 다층 의류부속 | |
JP3131864U (ja) | 無縫製ショーツ | |
JP2022148930A (ja) | フットカバーおよび製造方法 | |
TWI272070B (en) | Method of making seamless hat | |
TWI295559B (ko) | ||
JP3124719U6 (ja) | ブラジャー | |
JP3124719U (ja) | ブラジャ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016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