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4541A - Air washer - Google Patents
Air wash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44541A KR20170044541A KR1020150144359A KR20150144359A KR20170044541A KR 20170044541 A KR20170044541 A KR 20170044541A KR 1020150144359 A KR1020150144359 A KR 1020150144359A KR 20150144359 A KR20150144359 A KR 20150144359A KR 20170044541 A KR20170044541 A KR 2017004454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lter
- humidifying
- water
- air
- uni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9
- 239000003623 enhancer Substances 0.000 claims 1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5389 magnetism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696 magne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1000238876 Acar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purification, e.g. by filtering; by sterilisation; by ozonis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 F24F3/1603—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 F24F2003/1617—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가습필터유닛을 수조에 안정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가습공기 청정기를 개시한다. 개시된 가습공기 청정기는 물이 저장되는 수조와, 수조에 구비되어 물을 흡수하는 가습필터유닛과, 가습필터유닛을 지지하도록 수조와 가습필터유닛 사이에 구비되어 가습필터유닛의 유동을 방지하는 필터고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humidifying air cleaner that can stably fix a humidifying filter unit to a water tank. The humidifying air cleaner includes a water tank for storing water, a humidifying filter unit provided in the water tank for absorbing water, a filter disposed between the water tank and the humidifying filter unit to support the humidifying filter unit, And is provided with a door.
Description
본 발명은 가습공기 청정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습필터유닛을 수조에 안정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가습공기 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공기청정가습기는 공기 청정(정화) 기능과 가습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것으로서, 흔히 '에어 워셔(Air washer)' 또는 '습식 공기정화기'라고도 부른다.Air cleaners Humidifiers are used to perform both air purifying and humidifying functions, and are often referred to as 'air washer' or 'wet air purifier'.
이러한 공기청정가습기는 수조에 약간 잠겨 회전하는 디스크 조립체에 송풍팬을 통해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불어넣으면, 흡입된 공기가 디스크 사이를 통과하면서 공기 중의 미세먼지, 황사, 박테리아, 곰팡이, 진드기, 꽃가루 등이 디스크 표면에 형성되는 수막에 포획된 다음 수조 안의 물 속으로 탈락하여 침전되도록 하는 한편, 디스크 조립체의 표면에 묻은 물은 송풍에 의해 자연 증발시켜 가습을 수행하는 기기이다.Such an air clean humidifier is slightly immersed in a water tank and sucks indoor air through a blowing fan to a rotating disk assembly so that the air sucked through the disk passes through the disks and collects fine dust, dust, bacteria, mold, mites, Is captured by a water film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disk and then falls into the water in the water tank to be settled, while the water on the surface of the disk assembly is evaporated by blowing air to perform humidification.
기존의 공기청정가습기는 복수의 디스크를 축방향으로 연결하여 전체 모양이 원 기둥 형태를 이루는 디스크 조립체와, 이 디스크 조립체의 상부에 송풍팬을 배치한 형태를 가진다.The conventional air cleaning humidifier has a disk assembly in which a plurality of disks are axially connected to form a circular columnar shape, and a blowing fan is disposed on the disk assembly.
이와 같은 공기청정가습기는 송풍팬이 회전함에 따라 케이스의 흡입그릴을 통해 공기가 흡입되고,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가 디스크 조립체의 디스크 사이를 통과하면서 공기중의 이물질이 디스크 조립체의 표면에 묻어있는 수막에 포획되어 수조에 고인 물에 침전된다. 그리고 이물질이 제거되는 청정공기는 디스크 조립체의 표면으로부터 증발하는 공기와 함께 케이스의 토출그릴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In such an air clean humidifier, air is sucked through the suction grille of the case as the blow fan rotates, and air sucked into the inside passes through the disks of the disk assembly, And precipitated in water, which is then pooled in a water bath. The clean air from which the foreign matter is remove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grille of the case together with air evaporating from the surface of the disk assembly.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공기청정가습기는 대부분 디스크를 이용하는 타입으로 필터를 이용한 가습공기 청정기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air cleaning humidifier as described above, it is required to develop a humidifying air purifier using a filter which is mostly a disk type.
한편,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39349호(공개일:2015년04월10일)에는 "에어 워셔 및 그 에어 워셔의 디스크 청소 방법"가 개시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5-0039349 (published on Apr. 10, 2015) discloses "a method of cleaning an air washer and its air washer disk. &Quo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물을 흡수하는 가습필터유닛을 이용하여 공기를 효과적으로 가습 및 정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습필터유닛을 수조에 안정되게 고정할 수 있는 가습공기 청정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need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umidifying air purifier capable of effectively humidifying and purifying air by using a humidifying filter unit for absorbing water, The purpose is to provid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가습공기 청정기는, 물이 저장되는 수조와, 상기 수조에 구비되어 물을 흡수하는 가습필터유닛과, 상기 가습필터유닛을 지지하도록 상기 수조와 상기 가습필터유닛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가습필터유닛의 유동을 방지하는 필터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humidifying air cleaner comprising: a water tank for storing water; a humidifying filter unit provided in the water tank for absorbing water; And a filter fixing unit provided between the humidifying filter units to prevent the humidification filter unit from flowing.
또한, 상기 가습필터유닛은, 상기 수조에 탈착되며 물을 흡수하는 필터부재와, 상기 필터고정부를 통해 상기 수조에 고정되며, 상기 필터부재가 굴곡지게 결합되어 상기 필터부재의 공기 접촉면적을 증가시키는 필터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umidifying filter unit may further include a filter member which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water tank and absorbs water, a filter member fixed to the water tank through the filter fixing unit, and the filter member is bent so as to increase the air contact area of the filter member And a filter frame for causing the image to be displayed.
또한, 상기 필터프레임은, 상기 필터부재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하부프레임과, 상기 필터부재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상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필터부재의 가습면적을 증가시키는 가습향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lter frame may further include a lower frame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filter member, an upper frame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filter member, and at least one of the lower frame and the upper frame, And a humidifying enhancement unit for increasing the area.
또한, 상기 필터고정부는, 상기 가습필터유닛과 상기 필터고정부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지지돌부와, 상기 지지돌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가습필터유닛과 상기 필터고정부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는 지지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filter fixing unit may include a supporting protrusion provided on one of the humidifying filter unit and the filter fixing unit and a supporting groove unit provided on the other of the humidifying filter unit and the filter fixing unit so that the supporting protrusion is inserted .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습공기 청정기는 종래기술과는 달리 물을 흡수하는 가습필터유닛을 이용하여 공기를 효과적으로 가습 및 정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습필터유닛을 수조에 안정되게 고정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As described above, the humidifying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ectively humidify and purify air using a humidifying filter unit that absorbs water, unlike the prior art,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습공기 청정기에 의하면, 공기와 접촉되는 가습필터유닛의 공기 접촉면적을 증가시켜 가습량 및 가습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Further, according to the humidifying ai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umidification amount and the humidifying effect can be improved by increasing the air contact area of the humidifying filter unit in contact with the ai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 청정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 청정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조와 가습필터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조와 가습필터유닛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필터유닛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위감지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위감지부를 도시한 도 8의 결합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C-C선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humidifying air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humidifying air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water tub and a humidifying filte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water tub and a humidifying filte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humidifying filte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water level sens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n assembled sectional view of FIG. 8 illustrating a level sens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CC of Fig.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습공기 청정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a humidifying air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es of the lines and the siz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addition,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 청정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 청정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humidifying air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1, and FIG. to be.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조와 가습필터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조와 가습필터유닛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필터유닛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5의 B-B선 단면도이다.5 is a disassembl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water tank and a humidifying filte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water tank and a humidifying filte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humidifying filte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또한,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위감지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위감지부를 도시한 도 8의 결합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C-C선 단면도이다.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water level sens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n assembled cross-sectional view of FIG. 8 showing a water level sens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 청정기는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가습시킨 후, 토출시키도록 수조(100)와, 가습필터유닛(200)과, 본체(300)와, 수위감지부(400)를 포함한다. 이러한 가습공기 청정기는 수조(100)를 통해 유입되는 외부공기를 가습필터유닛(200)을 이용하여 가습시킨 후, 본체(300)에서 토출시키게 된다.1 to 3, a humidifying air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수조(100)는 상면이 개방되며, 내부에 가습을 위한 물이 저장된다. 또한, 수조(100)는 물이 저장되는 물저장부(110)와,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부(120)를 포함하며, 공기유입부(120)에 본체(300)가 탈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수조(100)는 물저장부(110)와 공기유입부(120)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물저장부(110)는 가습필터유닛(200)이 용이하게 안착되도록 상면이 개방된 원통형상을 가지며, 공기유입부(120)의 내측에 위치한다. 또한, 물저장부(110)는 공기유입부(120)보다 높게 형성되며, 일측에 수위감지부(400)가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물저장부(110)가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도시되어 있지만, 원형은 물론 다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공기유입부(120)는 물저장부(110)와 일체로 형성되도록 물저장부(110)의 하단에서 상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공기유입부(120)는 물저장부(110)의 하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아크(Arc) 형태의 아크부(121)와, 아크부(121) 상단에 형성되는 단턱부(123)와, 아크부(121)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공기흡입구(125)를 구비한다.The
이러한 공기유입부(120)는 아크부(121)에 공기흡입구(125)가 형성되므로, 외부의 공기가 수조(100)의 하측에서 상측방향으로 흡입된다. 또한, 공기유입부(120)는 단턱부(123)에 본체(300)가 안정되게 결합된다.Since the
본체(300)는 가습필터유닛(200)을 커버하도록 공기유입부(120)의 단턱부(123)에 탈착되며, 가습필터유닛(200)을 통과하여 가습되는 가습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310)를 구비한다. 토출구(310)는 본체(300)의 상면에 형성된다.The
또한, 본체(110)는, 공기유입부(120)를 통해 강제 흡입되는 외부공기가 가습필터유닛(200)을 통과하여 토출구(310)를 통해 배출되도록 흡입팬어셈블리(320)와, 슈라우드부재(330)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체(300)는 슈라우드부재(330)가 가습필터유닛(200)의 상단에 접촉되고, 슈라우드부재(330)의 상부에 흡입팬어셈블리(320)가 구비된다.The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필터유닛(200)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3 to 7, the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가습필터유닛(200)은 수조(100)의 물저장부(110)에 탈착되며, 공기흡입구(125)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통과하면서 가습되도록 수조의 물을 흡수하게 된다. 이러한, 가습필터유닛(200)은 공기의 가습량이 증가되도록 필터부재(210)와, 필터부재(210)를 고정하는 필터프레임(220)을 포함한다.3 to 7, the
필터부재(210)는 공기가 통과하도록 물저장부(110)의 물을 흡수하며, 필터프레임(220)에 굴곡지게 결합된다. 이를 통해 필터부재(210)는 공기가 접촉하는 면적이 증가되어 내부를 통과하는 공기의 가습량을 증가시킨다. 또한, 필터부재(210)는 내부를 통과하는 공기의 가습량이 더욱 증가하도록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된다.The
본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재(210)는 물을 원활하게 흡수하도록 섬유, 펄프 등 재질에 의해 제작될 수 있으며, 가습필터유닛(200)을 수조(100)에서 분리하지 않고 물 보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내면에 만수위를 표시하는 눈금이 형성된다.The
필터프레임(220)은 필터부재(210)의 형상을 안정되게 유지시킴은 물론 필터부재(210)를 통과하는 공기의 접촉면적이 증가하도록 필터부재(210)를 굴곡지게 지지한다. 이를 위하여 필터프레임(220)은 필터부재(210)의 하단부와 결합되는 하부프레임(221)과, 필터부재(210)의 상단부와 결합되는 상부프레임(223)과, 필터부재(210)가 굴곡지게 결합되는 가습향상부(225)를 포함한다. 이때, 가습향상부(225)는 하부프레임(221)과 상부프레임(223) 사이에 구비되어 필터부재(210)가 결합된다.The
하부프레임(221)은 단면이 "ㄴ"형상을 가지도록 링 형태로 형성되며, 가습필터유닛(200)이 수조(100)에 장착되면 하면이 수조(100)의 바닥면에 접촉하게 된다.When the
상부프레임(223)은 단면이 "ㄱ"형상을 가지도록 링 형태로 형성되며, 가습향상부(225)에 결합되는 고정돌기를 구비한다.The
가습향상부(225)는 필터부재(210)가 굴곡지게 결합되도록 필터부재(210)의 내면과 외면을 지지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가습향상부(225)는 하부프레임(221)에 구비되어 필터부재(210)의 내면을 지지하는 복수의 제1지지리브(225a)와, 상부프레임(223)에 구비되어 필터부재(210)의 외면을 지지하는 복수의 제2지지리브(225b)를 포함한다. 또한, 가습향상부(225)는 제1지지리브(225a)를 보강하기 위한 제1보강링(225c)과, 제2지지리브(225b)를 보강하기 위한 제2보강링(225d)을 더 포함한다.The
제1지지리브(225a)는 하부프레임(221)의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기립되게 형성되며, 상단부에 제1보강링(225c)이 일체로 형성된다. 제1보강링(225c)은 상부프레임(223)의 고정돌기가 삽입되는 장착홈을 구비한다.The first supporting
제2지지리브(225b)는 제1지지리브(225a)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부프레임(223)의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형성되며, 하단부에 제2보강링(225d)이 일체로 형성된다. 이때, 제2보강링(225d)은 제1보강링(225c)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제2지지리브(225b)는 내면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로 인하여, 제2지지리브(225b)를 필터부재(210)에 보다 용이하게 결할 수 있다.The second supporting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가습필터유닛(200)은 수조(100)에 장착된 상태에서 유동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필터고정부(230)를 통해 수조(100)에 안정되게 결합된다.The
필터고정부(230)는 가습필터유닛(200)이 물저장부(110)에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가습필터유닛(200)과 물저장부(110) 사이에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필터고정부(230)는 물저장부(110)의 바닥에 구비되는 지지돌부(231)와, 지지돌부(231)가 삽입되도록 가습필터유닛(200)의 하부프레임(221)에 구비되는 지지홈부(233)를 포함한다. 또한, 필터고정부(230)는 가습필터유닛(200)의 회전은 물론 유동이 완전하게 방지되도록 적어도 2개 이상 대응되게 구비되며, 지지홈부(233)이 하부프레임(221)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The filter fixing part 230 is provided between the
이와 같이, 필터고정부(230)는 수조(100)에 설치되는 가습필터유닛(200)의 양측 하면을 안정되게 고정하므로, 가습필터유닛(200)이 물고정부()에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filter fixing unit 230 stably secures both sides of the
도 3, 도 4,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 청정기는 수조(100)의 수위를 감지도록 수조(100)에 수위감지부(400)가 구비된다. 수위감지부(400)는 수조(100)의 수위 변화에 따라 가변되는 자성을 통해 수조(100)의 수위를 감지하게 된다.Referring to FIGS. 3, 4, and 8 to 10, the humidifying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water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수위감지부(400)는 수조(100)의 수위 가변에 따라 위치가 가변되는 부유체(410)와, 부유체(410)를 커버하도록 수조(100)에 구비되는 부유체 설치부(420)와, 부유체(410)의 가변을 감지하는 부유체 감지부(430)를 포함한다.The water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수위감지부(400)는 부유체(410)의 위치변화를 안정되게 가이드하는 부유체 가이드부(440)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water
부유체(410)는 부유체 설치부(420)에 삽입되는 부유부재(411)와, 부유부재(411)의 상측에 위치하는 자성부재(413)와, 부유부재(411)와 자성부재(413)를 연결하는 연결바(415)를 구비한다. 이러한, 부유체(410)는 수조(100)의 수위가 설정수위(저수위) 이상에서는 자성부재(413)가 항상 부유체 감지부(430)와 근접된 상태에서 자성을 인가하고, 수조(100)의 수위가 설정수위 미만으로 점차 감소하면 하강하여 자성부재(413)가 부유체 감지부(430)에서 점차 이격되면서 부유체 감지부(430)로 인가되는 자성이 약화된다.The float 410 includes a floating
부유부재(411)는 부유체 가이드부(440)에 가이드되도록 부유체 설치부(420)에 삽입되며, 수조의 수위 가변에 따라 부유체 설치부(420)에서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The floating
자성부재(413)는 연결바(415)를 통해 부유부재(411)와 일체로 형성되며, 부유부재(411)와 함께 승강되면서 부유체 감지부(430)에 선택적으로 자성을 인가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자성부재(413)는 자성체에 의해 제작될 수도 있고, 상면에 별도의 자성체가 결합될 수도 있다.The
연결바(415)는 하단부가 부유부재(411)에 결합되고 상단부가 자성부재(413)에 결합된다. 이러한 연결바(415)를 통해 부유체(410)의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음은 물론 부유체(410)가 저수위 구간에서만 이동가능하도록 부유체 설치부(420)에 삽입된다.The
부유체 감지부(430)는 자성부재(413)의 자성을 감지하며, 자성부재(413)의 하강에 따라 자성의 인가가 약화되면 물보충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또한, 부유체 감지부(430)는 자성부재(413)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부유체 설치부(420)에 구비될 수 있다. The
부유체 설치부(420)는 내부로 수조(100)의 물이 유입되도록 물저장부(110)의 일측에 구비되며, 수조(100)의 물이 출렁거림에 따라 부유체(410)가 급격하게 유동하는 것을 최소시킨다. 더하여, 부유체 설치부(420)는 내부의 청소는 물론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이루어어진다.The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부유체 설치부(420)는 물저장부(110)의 일측에 형성되는 부유체 케이스(421)와, 부유체(410)의 이탈을 방지하는 지지캡(423)과, 지지캡(423)의 용이한 탈착을 위한 캡탈착부(425)를 포함한다. 또한, 부유체 설치부(420)는 수조(100)의 물이 원활하게 유입 및 배출시키기 위한 공기배출부(427)를 더 포함한다.To this end, the
부유체 케이스(421)는 상단부를 통해 부유체(410)를 용이하게 삽입 또는 분리할 수 있도록 상단부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개구부가 지지캡(423)에 의해 밀폐된다. 또한, 부유체(410)는 물저장부(110)의 수위 변화에 따라 내부로 물이 원활하게 유입 및 배출되도록 하단에 물유입구(421a)가 형성된다. 즉, 부유체 케이스(421)는 물유입구(421a)를 통해 수조(100)의 물저장부(110)와 연통된다.The
본 실시예에 따른 부유체 케이스(421)는 물저장부(110)의 내측으로 노출되는 내면에 만수위를 표시하는 표시눈금이 형성된다.The
지지캡(423)은 부유체 케이스(421)의 개구부를 밀폐하도록 부유체 케이스(421)에 결합되어 부유체(410)의 자성부재(413)를 지지한다. 또한, 지지캡(423)은 자성부재(413)의 이동을 원활하게 가이드하도록 내면에 가이드리브(423a)가 돌출 형성된다.The
이러한, 지지캡(423)은 자성부재(413)의 자성을 감지하는 부유체 감지부(430)가 결합되며, 캡탈착부(425)를 통해 부유체 케이스(421)와 용이하게 탈착된다.The
캡탈착부(425)는 부유체 케이스(421)의 상단에서 돌출 형성되는 걸림훅(425a)과, 걸림훅(425a)이 걸리도록 지지캡(423)의 내면에 형성되는 걸림홈부(425b)와, 지지캡(423)을 지지 및 가이드하도록 부유체 케이스(421)의 상단에 구비되는 캡가이드리브(425c)를 포함한다.The cap
걸림훅(425a)은 걸림홈부(425b)에 원환하게 탈착되도록 걸림돌기가 반원형태로 형성된다.The latching
걸림홈부(425b)는 걸림훅(425a)과 대응하도록 지지캡(423)의 내면에 이격되게 복수개 형성된다.A plurality of the
캡가이드리브(425c)는 부유체 케이스(421)에 결합된 지지캡(423)의 유동을 방지시키도록 부유체 케이스(421)이 상단에서 돌출 형성되어 지지캡(423)의 내면에 접촉한다.The
공기배출부(427)는 부유체 케이스(421)의 물유입구(421a)를 통해 수조(100)의 물이 유입됨에 따라 부유체 케이스(421)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지지캡(423)에 홀 형태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공기배출부(427)에 의해 부유체 케이스(421)의 내부가 외부와 연통되므로, 수조(100)의 수위 변화에 따라 부유체 케이스(421)의 내부로 물이 원활하게 유입 또는 배출된다.The
본 실시예에서는 공기배출부(427)가 지지캡(423)에 형성되는 것을 예을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공기배출부(427)가 형성되는 위치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Although the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부유체 가이드부(440)는 부유체 케이스(421)의 내면 하측에 형성되는 가이드홈부(441)와, 가이드홈부(441)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도록 부유부재(411)의 외면에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돌부(443)를 포함한다. 이러한, 부유체 가이드부(440)를 통해 부유체(410)의 승강이 정확하고 원활하게 진행된다.The auxiliary
이하, 상기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 청정기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operation and effects of the humidifying air purifi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 청정기는 흡입팬어셈블리(320)의 송풍팬이 회전하면 외부의 공기가 공기흡입구(125)를 흡입되고, 필터부재(210)를 통과하면서 가습되어 본체(300)의 토출구(310)로 토출된다.The humidifying air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figured such that when the blowing fan of the
이때, 필터부재(210)가 필터프레임(220)에 굴곡을 가지면서 경사지게 결합되므로, 공기의 접촉면적이 증가하여 공기의 가습성능이 향상된다.At this time, since the
또한, 지속적인 가습에 따라 수조(100)의 물이 점차감소하여 설정수위 미만으로 감소하면 부유체(410)가 하강하면서 자성부재(413)가 부유체 감지부(430)에서 점진적으로 멀어지게 된다. 그러면, 부유체 감지부(430)로 인가되는 자성이 약화되어 부유체 감지부(430)가 물보충신호를 발생한다. 이처럼, 자성의 세기를 통해 수조(100)의 저수위를 감지하므로, 수위감지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작동을 줄일 수 있다.When the water in the
더하여, 수조(100)의 수위 변화에 따라 수조(100)의 물이 유입 또는 배출되는 부유체 케이스(421)의 내부가 공기배출부(427)를 통해 외부로 연통되므로, 수조(100)의 수위 변화에 따라 부유체 케이스(421)의 수위도 정확하게 유지된다. In addition, since the inside of the fluidic
또한, 수조(100)에 장착되는 가습필터유닛(200)이 필터고정부(230)를 통해 수조(100)에 안정되게 지지되므로, 가습필터유닛(200)이 수조(100)에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 will understand.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100 : 수조
110 : 물저장부
120 : 공기유입부
200 : 가습필터유닛
210 : 필터부재
220 : 필터프레임
221 : 하부프레임
223 : 상부프레임
225 : 가습향상부
230 : 필터고정부
231 : 지지돌부
233 : 지지홈부
300 : 본체
310 : 토출구
320 : 흡입팬어셈블리
330 : 슈라우드부재
400 : 수위감지부
410 : 부유체
411 : 부유부재
413 : 자성부재
415 : 연결바
420 : 부유체 설치부
421 : 부유체 케이스
423 : 지지캡
425 : 캡탈착부
427 : 공기배출부
440 : 부유체가이드부100: water tank 110: water storage part
120: air inlet part 200: humidifying filter unit
210: filter member 220: filter frame
221: lower frame 223: upper frame
225: Humidification improving section 230: Filter fixing section
231: Supporting protrusion 233: Supporting groove
300: main body 310: discharge port
320: Suction fan assembly 330: Shroud member
400: water level sensing part 410: float
411: Floating member 413: Magnetic member
415: connecting bar 420: float mounting part
421: Adhering fluid case 423: Support cap
425: cap detachment part 427: air discharge part
440: float guide portion
Claims (4)
상기 수조에 구비되어 물을 흡수하는 가습필터유닛; 및
상기 가습필터유닛을 지지하도록 상기 수조와 상기 가습필터유닛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가습필터유닛의 유동을 방지하는 필터고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공기 청정기.A water tank in which water is stored;
A humidifying filter unit provided in the water tank to absorb water; And
A filter fixing unit provided between the water tub and the humidifying filter unit to support the humidifying filter unit to prevent the humidification filter unit from flowing;
And a humidifying air purifier for humidifying air.
상기 수조에 탈착되며 물을 흡수하는 필터부재; 및
상기 필터고정부를 통해 상기 수조에 고정되며, 상기 필터부재가 굴곡지게 결합되어 상기 필터부재의 공기 접촉면적을 증가시키는 필터프레임;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공기 청정기.The humidifying filter unit according to claim 1,
A filter member desorbed in the water tank and absorbing water; And
A filter frame fixed to the water tank through the filter fixing portion and coupled with the filter member so as to bend so as to increase an air contact area of the filter member;
Wherein the humidifying air cleaner comprises:
상기 필터부재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하부프레임;
상기 필터부재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상부프레임; 및
상기 하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필터부재의 가습면적을 증가시키는 가습향상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공기 청정기.The filter according to claim 1 or 2,
A lower frame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filter member;
An upper frame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filter member; And
A humidification enhancer provided in at least one of the lower frame and the upper frame to increase a humidifying area of the filter member;
Wherein the humidifying air cleaner comprises:
상기 가습필터유닛과 상기 필터고정부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지지돌부; 및
상기 지지돌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가습필터유닛과 상기 필터고정부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는 지지홈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공기 청정기.The filter according to claim 1,
A supporting protrusion provided on one of the humidifying filter unit and the filter fixing unit; And
A support groove portion provided on the other one of the humidification filter unit and the filter fixing unit so that the supporting protrusion is inserted;
And a humidifying air purifier for humidifying ai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44359A KR20170044541A (en) | 2015-10-15 | 2015-10-15 | Air wash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44359A KR20170044541A (en) | 2015-10-15 | 2015-10-15 | Air wash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44541A true KR20170044541A (en) | 2017-04-25 |
Family
ID=58703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44359A Ceased KR20170044541A (en) | 2015-10-15 | 2015-10-15 | Air wash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70044541A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12565A (en) * | 2020-07-23 | 2022-02-0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Air Cleaner |
-
2015
- 2015-10-15 KR KR1020150144359A patent/KR20170044541A/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12565A (en) * | 2020-07-23 | 2022-02-0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Air Cleane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770955B1 (en) | Apparatus for humidity and air cleaning | |
KR102457136B1 (en) |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 |
KR20170009044A (en) | dehumidifier | |
KR20160149871A (en) | Evaporative humidifier | |
KR20170051248A (en) |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 |
KR20170044543A (en) | Air washer | |
JP7508886B2 (en) | Dehumidifier | |
KR20170044542A (en) | Air washer | |
KR20170029990A (en) | Air washer | |
JP7001886B2 (en) | Humidifier | |
KR20170044544A (en) | Air washer | |
KR102541779B1 (en) | Air washer | |
KR20170044541A (en) | Air washer | |
KR20170044540A (en) | Air washer | |
KR20160051257A (en) | Method for water supply control of air washer | |
JP6052242B2 (en) | humidifier | |
KR20170105220A (en) | Air washer | |
KR102429292B1 (en) | Air washer | |
KR20170044554A (en) | Air washer | |
KR20170024474A (en) | Air washer | |
KR20170044557A (en) | Air washer | |
JP2021055862A (en) | Humidifier | |
JP6342294B2 (en) | Mist generator | |
JP7442034B2 (en) | humidifier | |
CN211623699U (en) | Water kettle assembly of air conditioner draining pump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015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092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5101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10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4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2070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20426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2I Patent event date: 2021102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