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3221A - support clamp for conductor rail - Google Patents
support clamp for conductor rai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43221A KR20170043221A KR1020150142686A KR20150142686A KR20170043221A KR 20170043221 A KR20170043221 A KR 20170043221A KR 1020150142686 A KR1020150142686 A KR 1020150142686A KR 20150142686 A KR20150142686 A KR 20150142686A KR 20170043221 A KR20170043221 A KR 2017004322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igid
- support
- conductive member
- electric wire
- support bracke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M—POWER SUPPLY LINES, AND DEVICES ALONG RAIL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 B60M1/00—Power supply lines for contact with collector on vehicle
- B60M1/12—Trolley lines; Accessories therefor
- B60M1/20—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suspending trolley wires, e.g. from buildings
- B60M1/24—Clamps; Splicers; Anchor tip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M—POWER SUPPLY LINES, AND DEVICES ALONG RAIL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 B60M1/00—Power supply lines for contact with collector on vehicle
- B60M1/12—Trolley lines; Accessories therefor
- B60M1/13—Trolley wir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M—POWER SUPPLY LINES, AND DEVICES ALONG RAIL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 B60M1/00—Power supply lines for contact with collector on vehicle
- B60M1/30—Power rai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M—POWER SUPPLY LINES, AND DEVICES ALONG RAIL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 B60M5/00—Arrangements along running rails or at joints thereof for current conduction or insulation, e.g. safety devices for reducing earth curr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urrent-Collector Device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강체전차선용 지지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강체전차선과 지지브래킷 간의 전압 불균등을 해소하여 아크 발생을 방지하고, 시공상의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는 강체전차선용 지지클램프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일반적으로 전기철도는 다른 교통수단에 비하여 신속하고 정확하며 안정적인 장점으로 인해 많은 사람이 이용하고 있으며, 더욱이 최근에 고속철도가 널리 이용되면서 안전하고 편리한 대중교통수단으로서 각광을 받고 있다.In general, electric railway is used by many people because of its advantages of quick, accurate and stable compared with other transportation methods. Moreover, recently, high-speed railway is widely used, and it is attracting attention as a safe and convenient public transportation means.
고속철도의 개통과 더불어 21세기 신교통 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는 전기철도는 최근 전기철도의 고속화, 대용량화 및 운전 시간 간격의 단축으로 인해 전차선로의 성능과 신뢰도 그리고, 안전성 향상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Electric railway, which has been attracting attention as a new transportation means in the 21st century along with the opening of high-speed railway, has recently been required to improve the performance, reliability and safety of electric railway lines due to speeding up of electric railway,
여기서 전차선로는 선로를 운행하는 전동차의 집전장치와 접촉하여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차선 등의 선로와 이에 부속하는 설비를 총칭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Here, a catenary line can be defined as a line including a catenary line for supplying electric power in contact with a current collecting device of a train that runs the line, and the facilities attached thereto.
전동차의 주행 시 필요한 전력은 전차선로 및 차량의 집전장치인 팬터그라프(pantograph)를 통하여 공급받게 되는데, 전동차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차선로는 전기를 급전하는 방식에 따라 분류되고 있다.The electric power required for the traveling of the electric train is supplied through a catenary line and a pantograph which is a current collecting device of the vehicle. The electric line for supplying electricity to the electric train i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way of supplying electric power.
구체적으로, 상기 전차선로는 가공식(Overhead Catenary System)과 제3 궤조식(Third Rail System)으로 구분될 수 있고, 가공식 전차선로는 다시 강체 조가 방식과 현수 조가 방식으로 구분된다. Specifically, the catenary line can be classified into an overhead catenary system and a third rail system, and the machined catenary line is divided into a rigid constriction system and a suspension system.
여기서 현수 조가 방식은 조가선을 이용하여 전차선을 가선하는 방식으로 일반적으로 지상 구간에 적용되고 있는데, 전차선과 조가선 및 드로퍼선을 함께 가선해야 하고, 장력 조절 장치 등 주변 장치가 필요하기 때문에 소요 가선고가 높고, 복잡하여 터널 구간에 적용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In this case, the suspension system is applied to the ground section in a manner that the line is guided by using a wire line. Since the line, the wire and the dropper line must be connected together and a peripheral device such as a tension control device is required, , It is difficult to apply it to the tunnel section because of its complexity.
즉, 현수 조가 방식 전차선로를 터널 구간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터널 단면적이 대폭적으로 증가하여야 하기 때문에 건설비가 과다하게 소요되며, 또한 설치공간이 협소하므로 일상점검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That is, in order to apply the suspension bridge system to the tunnel section, the tunnel cross-sectional area must be increased so much that the construction cost is excessively increased. Also, since the installation space is narrow, daily inspection and maintenance are not easy.
상기 제3 궤조식은 급전용 레일을 노면 상 또는 측면에 설치하여 전력을 공급하는 방식으로, 터널과 같이 협소한 공간상에 설치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나, 급전용 레일이 지면에 배치되는 특성상 감전의 위험이 커 일부 특수한 구간에만 적용되고 있다.The third railway type is advantageous in that it can be installed on a narrow space such as a tunnel by installing a power supply rail on the road surface or a side surface to supply electric power. However, since the power supply rail is disposed on the ground, It is dangerous and only applies to some special sections.
한편, 상기 강체 조가 방식은 전차선을 강체에 일체화시켜 브래킷과 같은 별도의 구조물을 이용해 설치하는 것으로, 조가선이 요구되지 않고, 별도의 장력 유지 장치가 필요치 않으므로 터널 등 공간이 협소하여 설치가 어려운 구간에 적용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bove-mentioned rigid-body hitching system is constructed by integrating a catenary cable into a rigid body and installing it by using a separate structure such as a bracket. Thus, no tightening is required and a separate tension maintaining device is not necessary. .
실제로 강체전차선의 높이는 강체와 전차선을 포함한 높이가 약 90 내지 120mm 정도이며, 저전압(DC 750V 또는 1500V)에서 지지물 및 전기적 이격을 고려한 전차선의 집전 접촉과 터널 상부 천장 사이의 소요 높이는 약 500mm 정도에 불과하다.In fact, the height of a rigid body line is about 90 to 120mm including a rigid body and a catenary line, and the total height of the contact between the collecting contact of the catenary line and the tunnel upper ceiling considering the support and electrical separation at low voltage (DC 750V or 1500V) Do.
따라서, 강체식 전차선로는 설치 소요공간이 작으므로 신설 터널에서 건설비용을 대폭 경감할 수 있으며, 터널 내부에서의 유지보수 작업에 있어서도 매우 유리한 장점이 있다.Therefore, since the installation space of the rigid catenary line is small, it is possible to greatly reduce the construction cost in the new tunnel, and it is also advantageous in the maintenance work in the tunnel.
강체전차선은 Rigid Bar 를 줄여 R-Bar 라고 표현하는데, 이중 단면의 형상이 T 자와 유사한 형태의 강체전차선은 특별히 T-Bar 라고 불리우고 있다. 상기 R-Bar가 T-Bar에 비하여 시공성, 집전 성능이 우수하여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국내에서는 DC 구간에는 T-Bar 를 적용하고, AC 구간에는 R-Bar 를 적용하고 있다.The rigid catenary is called the R-Bar by reducing the rigid bar. The rigid catenary with a cross-sectional shape similar to that of the T-bar is called a T-Bar. Although the R-Bar is superior to the T-Bar in terms of workability and current collecting performance, it is widely used. In Korea, T-bar is applied to the DC section and R-bar is applied to the AC section.
상기 강체전차선은 전동차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도체의 역할을 해야하기 때문에 가벼운 알루미늄 합금 재질을 주로 적용하고 있으며, 주변 온도 변화에 따라 팽창과 수축이 발생하므로 이러한 팽창과 수축을 허용하면서 연결 지지되어야 한다.Since the rigid electric wire must serve as a conductor capable of supplying electric power to the electric vehicle, it is mainly applied to a light aluminum alloy material, and expansion and contraction occur due to changes in ambient temperature. .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강체전차선은 일정 간격으로 구비되는 브래킷 등의 구조물에 의해 지지되는데, 브래킷과 강체전차선간의 전압 불균등으로 인해 아크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강체전차선과 브래킷을 균압선으로 연결하여 전압을 균등하게 유지시키는 것이 필요하다.As described above, the rigid electric wire is supported by a structure such as a bracket provided at regular intervals. In order to prevent an arc from occurring due to a voltage unevenness between the bracket and the rigid electric wire, it is necessary to prevent the rigid wire and the bracket from being equalized It is necessary to connect and maintain the voltage uniformly.
그런데 강체전차선이 주변 온도 변화에 따라 팽창과 수축하면서 길이가 변화하게 되면 연결부위가 벌어질 수 있기 때문에 균압선의 길이를 여유있게 확보하여야 하지만, 너무 길어져서 하부로 늘어지게 되면 지나가는 열차의 팬터그라프나 열차 몸체에 걸리거나 간섭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무한정 길게 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However, if the length of the rigid catenary line is expanded and contracted due to the ambient temperature change, the connection area may be enlarg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ecure the length of the equalization line, but when it is too long, There is a problem that it can not be made indefinitely because it may get caught or interfere with the body of the train.
그리고 균압선 길이가 짧은 경우에는 강체전차선의 신축에 따라 균압선이 강체전차선의 신축을 방해하는 멈춤쇠 역할을 하게 되며, 신축이 과도하게 이루어지는 경우 균압선이 끊어지거나 파손될 수 있다. If the length of the equalization line is short, the equalization line acts as a detent which interferes with the elongation and contraction of the rigid body line as the elongation and contraction of the rigid catenary line occurs. If the extension or contraction is excessive, the equalization line may be broken or broken.
또한, 균압선이 강체전차선 신축의 장애 요인으로 작용하므로 강체전차선을 지지하고 있는 브래킷의 지지클램프에 응력이 가해져 지지 구조 전체의 내구성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equalizing line acts as an obstacle to the elongation of the rigid body line, stress may be applied to the support clamp of the bracket supporting the rigid body line, thereby causing a problem of lowering the durability of the entire supporting structure.
더 나아가 강체전차선의 각 지지 개소마다 균압선을 연결하여야 하므로 시공상에 어려움과 함께 생산성 저하 및 비용 증가를 야기시키게 된다.Further, since the uniform pressure lines must be connected to the respective supporting points of the rigid body electric cable, it is difficult to implement and the productivity is lowered and the cost is increased.
따라서, 강체전차선과 지지브래킷 간의 전압 불균등을 해소하여 아크 발생을 방지하고, 시공상의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는 지지브래킷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support bracket that can solve the voltage unevenness between the rigid body line and the support bracket to prevent arc generation and ensure ease of installa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강체전차선과 지지브래킷 간의 전압 불균등을 해소하여 아크 발생을 방지하고자 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solve the voltage unevenness between the solid body line and the support bracket to prevent arcing.
또한 강체전차선 지지 구조의 내구성 저하 요인을 제거하여 구조물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확보하고자 한다.Also, it is aimed to secure the stability and reliability of the structure by eliminating the durability deterioration factor of the rigid body support structure.
또한 강체전차선 시공에 있어 편의성을 확보하고, 생산성을 증가시키고자 한다.In addition, it is aimed at securing convenience in the construction of rigid electric wire and increasing productivity.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몸체; 일측은 상기 몸체에 연결되고, 타측은 지지브래킷에 연결되는 주축; 상기 몸체 양 측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강체전차선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 구비되며, 상기 강체전차선과 지지브래킷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강체전차선과 지지브래킷의 전압을 균등하게 유지시키는 도전성 부재;를 포함하는 강체전차선용 지지클램프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ain shaft connected to the body on one side and to a support bracket on the other side; A support portion detachably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body and slidably supporting the rigid electric wire; And a conductive member provided on the support portion and electrically connecting the rigid electric wire and the support bracket to uniformly maintain the voltage of the rigid wire and the support bracket.
상기 지지부는 상기 강체전차선이 안착되어 지지되는 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support portion may include a groove portion on which the rigid electric wire is seated and supported.
상기 도전성 부재는 미끄럼베어링 또는 플라스틱 습동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conductive member may be made of a sliding bearing or a plastic sliding part.
상기 도전성 부재의 재질은 폴리옥시메틸렌(PolyOXYmethylene, POM)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conductive member may be made of polyoxymethylene (POM).
상기 도전성 부재의 표면저항은 10^11Ω 이하일 수 있다.The surface resistance of the conductive member may be 10 < 11 >
상기 도전성부재는 마찰계수가 0.35 이하일 수 있다.The conductive member may have a coefficient of friction of 0.35 or less.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지지브래킷에 연결되어 강체전차선을 지지하는 지지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지지브래킷에 연결되는 주축; 상기 주축과 결합 또는 일체화되어 상기 강체전차선을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구비되며, 상기 강체전차선과 지지브래킷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강체전차선과 지지브래킷의 전압을 균등하게 유지시키는 도전성부재;를 포함하는 강체전차선용 지지클램프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upport clamp connected to a support bracket for supporting a rigid electric wire, the support clamp comprising: a main shaft connected to the support bracket; A supporting portion coupled to or integrated with the main shaft to support the rigid electric wire; And a conductive member provided on the support portion and electrically connecting the rigid electric wire and the support bracket to uniformly maintain the voltage of the rigid wire and the support bracket.
상기 도전성 부재의 표면저항은 10^11Ω 이하일 수 있다.The surface resistance of the conductive member may be 10 < 11 >
상기 도전성부재는 마찰계수가 0.35 이하일 수 있다.The conductive member may have a coefficient of friction of 0.35 or les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강체전차선과 지지브래킷 간의 전압 불균등을 해소하여 아크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arc generation by eliminating voltage unevenness between a rigid body line and a support bracket.
또한 강체전차선 지지 구조의 내구성 저하 요인을 제거하여 구조물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stability and reliability of the structure by eliminating the durability deterioration factor of the rigid body support structure.
또한 강체전차선 시공에 있어 편의성을 확보하고, 생산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ecure convenience in the construction of a rigid electric wire and increase the productivit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체전차선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플레이트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체전차선이 연결 플레이트에 의해 접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이음장치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브래킷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체전차선이 전동차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클램프의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클램프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클램프의 정면도
도 10은 도 9의 A-A' 단면도
도 11은 도 9의 B-B' 단면도1 is a sectional view of a rigid electric wi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ing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rigid electric wire is bonded by a connecting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xpansion joi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top view of a support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rigid electric wire is connected to a railway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upport clamp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support c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front view of a support c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9
11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but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Rather,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are provided so that the disclosure can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체전차선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플레이트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체전차선이 연결 플레이트에 의해 접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이음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브래킷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체전차선이 전동차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ion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rigid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xpansion joi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plan view of a support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that a rigid electric wire is connected to a railroad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체전차선(50)이 설치되는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to 6, a structure in which a rigid
상기 강체전차선(50)은 전동차(1) 상부에 설치된 팬터그라프(2)와 전기접촉을 통해 전류를 공급하는 전차선(54)과 상기 전차선(54)과 결합되는 강체(52)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강체전차선(50)에 의해 이송된 전류는 전동차(1) 상부에 설치된 팬터그라프(2)를 통해 전동차 운행을 위해 공급되며, 레일(60)이 귀선으로 활용된다.The
일반적으로 강체전차선(50)은 12m를 단위 유닛으로 하여 연결 설치되며, 일정 간격 마다 구비되는 지지브래킷(300)과 지지클램프(200)에 의해 전동차(1)의 팬터그라프(2)가 닿는 높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강체(52)는 상부 양측에 돌출부(52a)를 구비하며, 상기 돌출부(52a)를 지지클램프(200)가 지지하게 된다.Generally, a
상기 각 단위 유닛을 이루는 강체전차선(50)은 연결 플레이트(70)에 의해 서로 연결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이웃하는 강체전차선(50)과 상기 연결 플레이트(70)를 덧댄 상태에서 볼트홀(56, 72)에 볼트(74)를 체결함으로써 강체전차선(50)을 연결할 수 있다.The rigid
상기 연결 플레이트(70) 적용 개수나 형태는 강체전차선(50)의 설계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The number and shape of the
상기 강체전차선(50)의 중앙지지점에는 전동차(1)가 지나가면서 강체전차선(50)이 밀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흐름방지장치(미도시)가 설치되며, 이웃하는 강체전차선(50) 사이에는 강체전차선(50)의 신축 시 변형으로 인한 길이 변화를 흡수하고 팬터그라프(2)와의 전기적 접촉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신축이음장치(100)가 설치된다.A flow prevention device (not shown) is installed at a central point of the rigid
이러한 신축이음장치(100)의 구조를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상기 강체전차선(50)의 각 단부에는 상기 접속블록(110)이 고정 설치된다. 상기 접속블록(110)은 상기 강체전차선(50) 단부의 폭 방향 양측에 2개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이웃하는 강체전차선(50)의 단부에도 그에 대응되도록 폭 방향 양측에 2개가 설치될 수 있다. The structure of the expansion
상기 접속블록(110)은 용접 또는 볼트체결 등에 의해 상기 강체전차선(50)에 고정결합되는데, 이때, 상기 접속블록(110)은 상기 강체전차선(50)에 접촉되어 전기적 연결을 유지하게 된다.The
그리고, 상기 접속블록(110)에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연결바(120)가 삽입관통된다. 상기 연결바(120)의 일단은 일측의 접속블록(110)에 삽입되고, 타단은 해당 접속블록(110)과 이웃하는 타측의 접속블록(110)에 삽입된다.At least one
이와 같이 이웃하는 접속블록(110)에 연결바(120)의 일단과 타단이 각각 삽입관통되어 연결됨으로써, 서로 이웃하는 접속블록(110)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그로 인해 분리된 2개의 강체전차선(50)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상기 서로 이웃하는 접속블록(110)을 연결하는 연결바(120)는 3개씩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강체전차선(50)의 폭 방향 다른 측에 고정된 접속블록(110)을 연결하는 3개의 연결바(120)까지 합하여 모두 6개의 연결바(120)가 분리된 강체전차선(50)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설치되는 상기 연결바(120)의 갯수는 필요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Three connection bars 120 may be provided to connect the neighboring connection blocks 110. Three connection bars 120 connecting the connection blocks 110 fixed to the oth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rigid- And the
상기 연결바(120)는 전기전도성이 좋은 금속성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구리로 된 구리바가 상기 연결바(120)로 사용될 수 있다.The
그리고, 상기 접속블록(110)은 삽입관통된 상기 연결바(120)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강체전차선(50)의 신장과 수축 시, 상기 강체전차선(50)에 고정 설치된 상기 접속블록(110)은 상기 연결바(120)를 따라 이동하게 되며 이때, 상기 접속블록(110)이 상기 연결바(120)의 어느 위치에 있든지 강체전차선(50)간의 전기적 연결은 계속 유지될 수 있다.The
상기 연결바(120) 중앙에는 상기 강체전차선(50)의 신장 시, 상기 이웃하는 접속블록(110)이 서로 접촉하여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센터스톱퍼(122)가 구비될 수 있다.A
상기 센터스톱퍼(122)는 상기 연결바(120)에 의해 관통된 상태로 연결바(120) 중앙에 고정되며, 상기 센터스톱퍼(122)는 연결바(120)의 중앙을 표시하는 마커로서도 기능한다.The
따라서, 일반적으로 서로 이웃하는 강체전차선(50)의 신축량이 동일한 경우 상기 센터스톱퍼(122)를 중심으로 연결바(120) 양측의 접속블록(110)은 서로 대칭되는 거리에 위치하게 된다.Therefore, when the adjacent
그리고, 상기 연결바(120) 단부에는 복수의 연결바(120)들을 등전위로 유지시키고, 상기 강체전차선(50)의 축소 시, 상기 접속블록(110)이 연결바(12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단부스톱퍼(124)가 구비될 수 있다.A plurality of connection bars 120 are maintained at an equal potential at the ends of the connection bars 120 and the connection blocks 110 are prevented from separating from the connection bars 120 when the rigid-
상기 단부스톱퍼(124)는 연결바(120) 단부에 내측으로 형성된 볼트탭(미도시)과 상기 단부스톱퍼(124)에 형성된 볼트홀(미도시)을 일치시켜 놓은 상태에서 볼트체결함으로써 연결바(120) 단부에 고정될 수 있다.The
한편, 상기 강체전차선(50) 사이에는 황동 재질의 접촉날(154)이 개재되어 중간에 단절된 전차선(52) 대신 기계적 연속성을 유지하게 되며, 상기 강체전차선(50)이 단절된 부분에서는 상기 접촉날(154)이 전차선(52) 대신 전동차(1)의 팬터그라프(2)에 접촉하게 된다.A
상기 접촉날(154)은 2개가 일측 강체전차선(50)에 삽입 고정되고, 다른 2개가 타측 강체전차선에 삽입 고정되며, 서로 다른 측에 삽입된 접촉날(154)이 번갈아 겹치도록 교번 설치된다.Two of the
이와 같이 구성된 신축이음장치(100)는 상기 강체전차선(50)의 축소 시, 서로 이웃하는 강체전차선(50)은 서로 멀어지게 되고, 상기 강체전차선(50)에 고정설치된 접속블록(110)은 상기 연결바(120)를 따라 이동하게 되는데, 서로 이웃하는 접속블록(110)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In the expansion
반대로, 상기 강체전차선(50)의 신장 시, 서로 이웃하는 강체전차선(50)은 서로 가까워지게 되며, 서로 이웃하는 접속블록(110)은 상기 연결바(120)를 따라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On the contrary, when the rigid
이와 같이 강체전차선(50)이 신장과 수축을 반복하더라도 분리된 양쪽의 강체전차선(50)은 신축이음장치를 구성하는 접속블록(110) 및 연결바(120)에 의해 계속하여 전기적, 기계적 연속성을 유지할 수 있다.Even if the rigid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체전차선(50)을 지지하는 지지브래킷(300)은 크게 고정부재(310), 장간애자(320) 및, 앵글부재(330)로 구성될 수 있다.5, the
이러한 지지브래킷(300)은 지상 구간 또는 터널 구간에 설치된 서포트(10)에 설치되어 강체전차선(50)을 지지하는 것으로, 강체전차선(50)이 설치되는 주위여건과 토목공사 시 발생된 오차에 따라 강체전차선(50)의 수평변위와 수직변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여기서 상기 서포트(10)는 상기 지지브래킷(300)을 소정의 높이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지상 구간이나 터널 구간에 설치되는 구조물로서, H-빔을 지상 구간이나 터널 구간에 설치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7에는 상기 서포트(10)가 터널 구간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는데 상기 고정부재(310)는 하나의 고정판(311)과, 두 개의 고정봉(312)들로 구성되어 있다.The
상기 고정판(311)은 서포트(10)의 일면에 밀착되는 평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그 네 모서리 부분에는 상기 고정봉(312)이 관통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The fixing
상기 각각의 고정봉(312)은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양단이 고정판(311)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된 후 너트에 의해 체결됨으로써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Each of the fixing
따라서 고정판(311)을 서포트(10)의 일면에 배치하고, 상기 서포트(10)의 일면에 대향하는 서포트(10)의 타면에서 고정봉(312)의 양단이 고정판(311)의 구멍에 삽입되도록 고정봉(312)을 위치시킨 다음, 고정판(311)을 관통한 고정봉(312)의 양단에 너트를 체결함으로써 고정부재(310)를 서포트(10)에 고정시킬 수 있다.The fixing
상기 고정부재(310)의 고정판(311)에는 장간애자(320)의 상면과 저면에 대면하며 관통홀이 구비된 두개의 돌출편(311a)들이 형성되고, 상기 장간애자(120)의 일단에 수직방향으로 관통하는 또 다른 관통홀이 형성된다.Two
그리고 상기 돌출편(311a)의 관통홀과 장간애자(320)의 관통홀이 일치되도록 고정부재(110)와 장간애자(120)가 배치된 상태에서 관통홀을 관통하도록 힌지핀(318)를 끼움으로써 장간애자(32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The fixing
한편, 상기 장간애자(320)는 서포트(10)로부터 연장되게 설치되어 전차선(54)을 따라 흐르는 고압의 전기가 서포트(10)를 비롯한 기타 구조물들로 전달되지 않게 절연함과 더불어 강체전차선(50)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장간애자(320)는 그 일단이 고정부재(31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나머지 타단은 외팔보 형태로 연장된다.The
그리고, 상기 앵글부재(330)는 일단이 상기 장간애자(320)에 고정되고, 나머지 타단이 장간애자(32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되며, 길이 방향으로 길게 절개된 형상을 갖는 다수개의 위치조절용 홀(331)들이 구비되어 있다.One end of the
여기서, 상기 위치조절용 홀(331)은 앵글부재(330)를 수직하게 관통하며, 상호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위치조절용 홀(331)을 통해 강체전차선(50)을 지지하는 지지클램프(200)가 지지브래킷(300)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지지클램프(200)의 구체적인 실시예는 후술하기로 한다.The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클램프(200)의 홀딩 플레이트(240)를 원하는 위치의 위치조절용 홀(331)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볼트(242)와 너트(244)를 통해 체결하면 상기 지지클램프(200)가 앵글부재(330)에 고정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when the holding
한편, 상기 앵글부재(330)의 타단에는 유지 및 보수 시 고전압의 전기로부터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접지봉연결구(350)가 설치된다. 상기 접지봉연결구(350)는 'ㄷ'자 형상으로 절곡된 봉으로서, 그 양단이 앵글부재(330)에 고정된다. 따라서 앵글부재(330)와 접지봉연결구(350)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미도시된 접지봉을 위치시킴으로써 접지하게 된다.Meanwhile, the other end of the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장간애자(320)가 상기 고정부재(3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경우를 제시하였지만, 필요에 따라 상기 장간애자(320)를 고정부재(310)에 용접에 의해 접합시켜 고정형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Although the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클램프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클램프의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클램프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A-A'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9의 B-B' 단면도이다.FIG.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upport c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support c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front view of a support c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1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9, and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of FIG.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체전차선용 지지클램프(200)는 강체전차선(50)을 지지하는 지지클램프(200)는 몸체(210)와, 일측은 상기 몸체(210)에 연결되고, 타측은 지지브래킷(300, 도 5 및 도 6 참조)에 연결되는 주축(220) 및, 상기 몸체(210) 양 측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강체전차선(50)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2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7 to 11, a
상기 몸체(210)는 강체전차선(50)의 재질과 동일한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며, 소정의 너비를 갖는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몸체(210) 중앙부에는 상기 주축(220)이 고정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주축(220) 일측에는 홀딩 플레이트(240)가 구비되며, 상기 홀딩 플레이트(240) 상에 결합되는 볼트(242)와 너트(244)를 통해 지지클램프(200)가 상기 지지브래킷(300)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The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지지부(230)는 상기 강체전차선(50)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이루어지지만, 필요에 따라 상기 강체전차선(50)을 고정된 상태로 지지할 수 있는 지지부(230)로 선택적으로 교체하여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230)는 몸체(210)와 마찬가지로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구체적으로,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지지부(230)는 상기 몸체(210) 양 측부에 각각 2 개가 결합될 수 있으며, 이때 다수의 고정볼트(212)와 와셔(214)에 의해 볼트결합된다. 상기 지지부(230)는 상기 고정볼트(212)를 해체함으로써 상기 몸체(210)로부터 다시 분리할 수 있다.7, two
상기 지지부(230)는 본 실시예에서처럼 몸체(210)와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한 형태뿐만 아니라, 상기 몸체(210)와 주축(220)과 지지부(230)가 일체로 이루어지도록 변형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supporting
한편, 상기 지지부(230)는 홈부(232)를 구비하는데, 상기 홈부(232) 내부에는 상기 강체전차선(50)의 돌출부(52a)와 맞닿아 슬라이딩 가능하고, 상기 강체전차선(50)과 지지브래킷(30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강체전차선(50)과 지지브래킷(300)의 전압을 균등하게 유지시키는 도전성 부재(234)가 구비될 수 있다.The
상기 도전성 부재(234)는 기본적으로 강체전차선(50)의 온도변화에 따른 수축 또는 신장 시, 강체전차선(50)이 원활하게 움직이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예를 들어, 상기 강체전차선(50)과 맞닿아 슬라이딩이 가능한 플라스틱 재질의 습동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이때 상기 도전성 부재(234)는 지지클램프(200)를 통해 강체전차선(50)과 지지브래킷(300)을 전기적으로 연결함으로써 강체전차선(50)과 지지브래킷(300)에 걸리는 전압을 균등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The
따라서 전압이 불균일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아크 발생을 억제함으로써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고 기존의 균압선을 대체하여 간단한 구조로 강체전차선(50)과 지지브래킷(300) 간의 전압 균등을 구현할 수 있으므로 시공상의 편의를 확보할 수 있다.Therefore, safety incidents can be prevented by suppressing the occurrence of arc which may occur when the voltage is not uniform, and it is possible to implement the voltage equalization between the rigid
상기 도전성 부재(234)는 전압을 균일하게 유지하는 역할뿐만 아니라 강체전차선(50)의 신축 시 강체전차선(50)이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하면서 일정 높이에서 지지해야 하므로 습동 기능도 수행해야 한다.The
그러므로 상기 도전성 부재(234)는 전술한 바와 같이 카본 및 도전성 물질을 내포한 도전성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통전 가능한 미끄럼베어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상기 도전성 플라스틱이나 미끄럼베어링으로 이루어진 도전성 부재(234)는 마찰 저항이 적기 때문에 상기 강체전차선(50) 신축 시 돌출부(52a)가 맞닿은 상태에서 매끄럽게 움직일 수 있게 해준다. 여기서, 상기 도전성 부재(234)는 강체전차선(50) 돌출부(52a)의 저면과 측면을 감싸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Since the
상기 도전성 부재(234)의 구체적인 재질은 예를 들어폴리옥시메틸렌(Polyoxymethylene, POM)으로 도전성과 습동성을 원활하게 구현할 수 있도록 상기 도전성 부재(234)의 표면저항은 10^11Ω 이하로 이루어지고, 마찰계수는 0.35 이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A specific material of the
이와 같이 구성된 지지부(230)는 상기 몸체(210) 양 측부에 결합되며, 강체전차선(50)을 슬라이딩 가능한 상태에서 지지하게 된다.The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강체전차선용 지지클램프는 강체전차선과 지지브래킷 간의 전압 불균등을 해소하여 아크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강체전차선 지지 구조의 내구성 저하 요인을 제거하여 구조물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강체전차선 시공에 있어 편의성을 확보하고, 생산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The support clamp for a rigid wire c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prevent arc generation by eliminating the voltage unevenness between the rigid wire and the support bracket and secure the stability and reliability of the structure by eliminating the durability deterioration factor of the rigid wire support structure. And it is possible to secure convenience in construction of a rigid electric wire and increase productivity.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You can do it.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modified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y basically include elements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50 : 강체전차선
100 : 신축이음장치
200 : 지지클램프
300 : 지지브래킷50: Rigid body line 100: Expansion joint
200: Support clamp 300: Support bracket
Claims (9)
일측은 상기 몸체에 연결되고, 타측은 지지브래킷에 연결되는 주축;
상기 몸체 양 측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강체전차선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 구비되며, 상기 강체전차선과 지지브래킷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강체전차선과 지지브래킷의 전압을 균등하게 유지시키는 도전성 부재;를 포함하는 강체전차선용 지지클램프.Body;
A main shaft connected to the body on one side and to a support bracket on the other side;
A support portion detachably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body and slidably supporting the rigid electric wire; And
And a conductive member provided on the support portion and electrically connecting the rigid electric wire and the support bracket to uniformly maintain the voltage of the rigid wire and the support bracket.
상기 지지부는 상기 강체전차선이 안착되어 지지되는 홈부를 포함하는 강체전차선용 지지클램프.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upport portion includes a groove portion in which the rigid electric wire is seated and supported.
상기 도전성 부재는 미끄럼베어링 또는 플라스틱 습동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체전차선용 지지클램프.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ductive member comprises a sliding bearing or a plastic sliding portion.
상기 도전성 부재의 재질은 폴리옥시메틸렌(Polyoxymethylene, POM)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체전차선용 지지클램프.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ductive member is made of polyoxymethylene (POM).
상기 도전성 부재의 표면저항은 10^11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체전차선용 지지클램프.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the conductive member has a surface resistance of 10 11 Ω or less.
상기 도전성부재는 마찰계수가 0.3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체전차선용 지지클램프.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the conductive member has a coefficient of friction of 0.35 or less.
상기 지지브래킷에 연결되는 주축;
상기 주축과 결합 또는 일체화되어 상기 강체전차선을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구비되며, 상기 강체전차선과 지지브래킷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강체전차선과 지지브래킷의 전압을 균등하게 유지시키는 도전성부재;를 포함하는 강체전차선용 지지클램프.A support clamp connected to a support bracket for supporting a rigid electric wire,
A main shaft connected to the support bracket;
A supporting portion coupled to or integrated with the main shaft to support the rigid electric wire;
And a conductive member provided on the support portion and electrically connecting the rigid electric wire and the support bracket to uniformly maintain the voltage of the rigid wire and the support bracket.
상기 도전성 부재의 표면저항은 10^11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체전차선용 지지클램프.In the seventh aspect,
Wherein the conductive member has a surface resistance of 10 11 Ω or less.
상기 도전성부재는 마찰계수가 0.3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체전차선용 지지클램프.
9.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or 8,
Wherein the conductive member has a coefficient of friction of 0.35 or les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42686A KR101746285B1 (en) | 2015-10-13 | 2015-10-13 | support clamp for conductor rai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42686A KR101746285B1 (en) | 2015-10-13 | 2015-10-13 | support clamp for conductor rail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43221A true KR20170043221A (en) | 2017-04-21 |
KR101746285B1 KR101746285B1 (en) | 2017-06-12 |
Family
ID=58705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42686A Active KR101746285B1 (en) | 2015-10-13 | 2015-10-13 | support clamp for conductor rai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46285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01023U (en) * | 2018-11-13 | 2020-05-21 |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 Support Clamp For Conductor Rail |
KR20220000294U (en) * | 2020-07-24 | 2022-02-04 |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 Support Clamp For Conductor Rail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76386B1 (en) | 2021-09-03 | 2022-03-21 | (주)신우디엔시 | Support Clamp for Rigid Bar |
KR102434390B1 (en) | 2021-09-17 | 2022-08-22 | 이기환 | Railway Pantograph Contact Wire Connector |
KR102579541B1 (en) | 2022-10-21 | 2023-09-19 | 주식회사 청우디엔시 | Rigid Bar Clamp Structure for Vibration Absorption |
KR102579545B1 (en) | 2022-10-21 | 2023-09-19 | (주)신우디엔시 | Bracket Structure for Rigid Power Rail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3515645A (en) | 2009-12-23 | 2013-05-09 | プロテラ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Charging station for electric vehicles |
KR200472837Y1 (en) | 2012-01-30 | 2014-05-27 | (주)케이콘 | An Appartus for connecting trolley wire |
CN102785590B (en) * | 2012-08-28 | 2015-01-28 | 浙江旺隆轨道交通设备有限公司 | Bolt-free busbar elastic wire clamp |
-
2015
- 2015-10-13 KR KR1020150142686A patent/KR101746285B1/en active Active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01023U (en) * | 2018-11-13 | 2020-05-21 |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 Support Clamp For Conductor Rail |
KR20220000294U (en) * | 2020-07-24 | 2022-02-04 |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 Support Clamp For Conductor Rail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46285B1 (en) | 2017-06-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46285B1 (en) | support clamp for conductor rail | |
US10946757B2 (en) | Contact apparatus and charging contact unit, and method for electrically connecting a vehicle to a charging station | |
KR20140110324A (en) | support clamp and rigid bar support system including the same | |
EP3260326B1 (en) | Temperature compensation device for rigid overhead catenary | |
US8556189B2 (en) | Conductive rail joint | |
KR101902361B1 (en) | Section insulator for rigid trolley line | |
KR101910230B1 (en) | connecting structure of rigid bar | |
EP3476649B1 (en) | Section insulator for an overhead contact line | |
KR101925149B1 (en) | expansion joint | |
US9845025B2 (en) | Rigid T-rail conductor system | |
KR20170043437A (en) | Expansion joint | |
KR101900512B1 (en) | rigid bar support system | |
KR101494996B1 (en) | Expansion connection arrangement for adjoining power rails of an overhead line system for electric locomotives | |
KR20170058766A (en) | double-tension rigid bar and connecting structure of the same | |
US4187934A (en) | Section insulator for catenary systems | |
CN102438855A (en) | Overhead line system | |
US6206156B1 (en) | Section insulator for conductor rails | |
KR20170039432A (en) | rigid bar | |
KR101415134B1 (en) | Section insulator for dc same phase | |
KR102293167B1 (en) | Arrangement for connecting busbar elements of a railway catenary system | |
DK2613962T3 (en) | Stretch separation device for a busbar conduit system | |
KR20170045849A (en) | reversely inclined rigid bar | |
KR20220147943A (en) | Catenary feeding division system | |
KR20190021824A (en) | Connecting apparauts of rigid bar and rigid bar system having the same | |
Gabbott | Catenary and pantograph design and interfa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013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6111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5101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6111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1013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2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7033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6121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7033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022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7053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7050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033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7022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6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06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7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60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60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60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51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