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1432A - Water discharg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Water discharging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41432A KR20170041432A KR1020150140840A KR20150140840A KR20170041432A KR 20170041432 A KR20170041432 A KR 20170041432A KR 1020150140840 A KR1020150140840 A KR 1020150140840A KR 20150140840 A KR20150140840 A KR 20150140840A KR 20170041432 A KR20170041432 A KR 2017004143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sterilizing
- water discharging
- discharge
- assistan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6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5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8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4659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JEGUKCSWCFPDGT-UHFFFAOYSA-N h2o hydrate Chemical compound O.O JEGUKCSWCFPDGT-UHFFFAOYSA-N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8213 purifi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8223 sterile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1012 sanit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8400 supply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344 environmental pollu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78 irradi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719 pollutant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206 steriliz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7—Cleaning beverage-dispensing apparatu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78—Safety, warning or controlling devices
- B67D1/0887—Sanitary protection means for dispensing nozzles or taps, e.g. outlet closur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7—Cleaning beverage-dispensing apparatus
- B67D2001/075—Sanitising or sterilising the apparat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물배출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배출장치는 물공급원에 연결되는 배출공급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물공급원의 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물배출위치와 살균수에 의해서 살균되는 살균위치 사이에서 회전하는 물배출부재; 상기 물배출부재의 물배출측이 관통하여 내부에 구비되고 일측과 타측이 개방된 살균보조부재; 및 상기 살균보조부재의 개방된 타측에 연통되도록 상기 살균보조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물배출부재에 형성된 배출유로와 상기 물배출부재의 물배출측 단부를 살균한 살균수가 담기는 담지부재; 를 포함할 수 있다.Disclosed is a water discharge device.
A water dischar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otatably connected to a discharge supply pipe connected to a water supply source and rotates between a water discharging position where water of the water supply sourc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a sterilizing position to be sterilized by the sterilizing water Water discharge member; A sterilizing assistant member having a water discharge side of the water discharging member penetrating therethrough and having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pened; And a sterilizing assistant member connected to the sterilizing assistant member to communicate with the sterilizing assistant member, the sterilizing assistant member sterilizing the sterilizing water at the end of the water discharging member, . ≪ / RTI >
Description
본 발명은 물공급원에 연결되어 물공급원의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물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물배출장치에 포함되어 물공급원의 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물배출부재를 살균위치로 회전하여 살균수에 의해서 간편하게 살균할 수 있는 물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discharging device connected to a water supply source for discharging water from a water supply source to the outside, and more particularly, to a water discharging device for discharging water from a water supply source, To a water discharging device which can be easily sterilized by sterilizing water by rotating.
물배출장치는 정수기 등의 수처리장치와 같은 물공급원에 구비되어 물공급원의 물을 외부로 배출하여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장치이다.The water discharge device is provided in a water supply source such as a water treatment device such as a water purifier to discharge the water of the water supply source to the outside and supply the water to the user.
이와 같이 물배출장치는 사용자에게 최종적으로 물을 공급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물배출장치가 오염되면 사용자에게 오염되지 않은 물을 공급할 수 없게 된다. 그러나, 물배출장치는 외부로 물을 배출하기 위해서 적어도 일부가 외부에 노출되기 때문에, 외부의 오염물질에 의해서 오염될 가능성이 크다.Thus, since the water discharge device is configured to supply water to the user, water can not be supplied to the user when the water discharge device is contaminated. However, since at least a part of the water discharging device is exposed to the outside in order to discharge water to the outside,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 water discharging device is contaminated by an external pollutant.
이에 따라, 사용자에게 오염되지 않은 물을 공급하기 위해서 물배출장치를 주기적으로 살균해야만 하였다.Accordingly, the water discharging device must be periodically sterilized to supply the user with uncontaminated water.
이러한 물배출장치를 살균하기 위해서 물배출장치에 자외선을 조사하거나 물배출장치에 뜨거운 온수를 보내는 방법 이외에, 물배출장치를 살균수에 의해서 살균하는 방법이 있다.In order to sterilize the water discharging device, there is a method of sterilizing the water discharging device by sterilized water, besides a method of irradiating ultraviolet rays to the water discharging device or sending hot water to the water discharging device.
이를 위해서, 물배출장치의 살균시에 살균수 공급원으로부터 물배출장치에 살균수를 공급하여 물배출장치로부터 살균수가 배출되도록 하였다. 그리고, 물배출장치로부터 배출된 살균수가 별도의 용기에 담기도록 하여 물배출장치의 단부가 별도의 용기에 담긴 살균수에 잠기도록 하여 물배출장치의 단부를 살균수에 의해서 살균하였다.To this end, during sterilization of the water discharge device, sterile water is supplied to the water discharge device from the sterile water supply source so that the sterile water is discharged from the water discharge device. Then, the sterilized water discharged from the water discharge device was placed in a separate container so that the end of the water discharge device was immersed in the sterilized water contained in the separate container, and the end of the water discharge device was sterilized by sterilizing water.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물배출장치의 살균시에 별도의 용기를 준비하여 물배출장치로부터 배출된 살균수가 담기도록 해야만 하기 때문에, 간편하게 물배출장치를 살균하지 못하고 번거로웠다.However, this method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not easy to sterilize the water discharging device because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separate container at the time of sterilizing the water discharging device to contain sterilized water discharged from the water discharging devic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realized by recognizing at least any one of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needs or problems.
본 발명의 목적의 일 측면은 물배출장치에 포함되어 물공급원의 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물배출부재를 살균수에 의해서 간편하게 살균하도록 하는 것이다.One aspect of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terilize a water discharging member included in a water discharging device, in which water of a water supply sourc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by sterilizing water.
본 발명의 목적의 다른 측면은 물배출부재로부터 배출되는 살균수가 담기는 별도의 용기를 준비하지 않아도 물배출부재를 살균수에 의해서 간편하게 살균하도록 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terilize the water discharging member easily by the sterilizing water without preparing a separate container containing the sterilizing water discharged from the water discharging member.
본 발명의 목적의 다른 측면은 물배출부재를 물배출위치와 살균위치 사이에서 회전되도록 하여, 살균위치에서 물배출부재가 살균수에 의해서 살균되도록 하는 것이다.Another aspect of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llow the water discharge member to be rotated between the water discharge position and the sanitizing position so that the water discharge member at the sanitizing position is sterilized by the sanitizing water.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실시 형태와 관련된 물배출장치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A water discharg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for realizing at least one of the above-mentioned problems may include the following features.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물배출장치는 물공급원에 연결되는 배출공급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물공급원의 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물배출위치와 살균수에 의해서 살균되는 살균위치 사이에서 회전하는 물배출부재; 물배출부재의 물배출측이 관통하여 내부에 구비되고 일측과 타측이 개방된 살균보조부재; 및 살균보조부재의 개방된 타측에 연통되도록 살균보조부재에 연결되며 물배출부재에 형성된 배출유로와 물배출부재의 물배출측 단부를 살균한 살균수가 담기는 담지부재; 를 포함할 수 있다.A water dischar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ater discharging device connected to a water discharging source and rotatably connected to a water discharging pipe connected to a water supply source and rotated between a water discharge position where water of the water sourc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a sterilizing position to be sterilized by the sterilizing water Water discharge member; A sterilizing assistant member having a water discharge side of the water discharging member penetrating therethrough and having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pened; And a sterilizing assistant member connected to the other opened side of the sterilizing assisting member, the sterilizing assistant member including sterilizing water sterilizing the end of the water discharging member and the discharge channel formed in the water discharging member; . ≪ / RTI >
이 경우, 상기 물배출부재의 배출유로와 물배출측 단부는 살균수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된 살균수에 의해서 살균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discharge passage and the water discharge side end of the water discharging member can be sterilized by the sterilizing water supplied from the sterilizing water supply source.
또한, 상기 물배출부재의 살균위치에서 물배출부재에 공급된 살균수가 배출유로를 유동하여 외부로 배출된 후 담지부재에 담기어, 물배출부재의 배출유로와 물배출측 단부가 살균될 수 있다.In addition, sterilizing water supplied to the water discharging member at the sterilizing position of the water discharging member flows through the discharging passag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then is contained in the carrying member, so that the discharging flow path and the water discharging side end of the water discharging member can be sterilized .
그리고, 상기 물배출부재와 살균보조부재는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water discharging member and the sterilizing assistant member may be integrally formed.
또한, 상기 살균보조부재에는 물배출부재로부터 배출된 살균수가 소정 시간 머물면서 물배출부재의 물배출측 단부를 살균할 수 있도록 구획벽이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erilizing assistant member may be provided with a partition wall for sterilizing the water discharge side end of the water discharging member while the sterilizing water discharged from the water discharging member stays for a predetermined time.
그리고, 상기 구획벽에는 살균수가 담지부재로 유동할 수 있도록 연통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The partition wall may be formed with a communication hole for allowing sterilizing water to flow through the supporting member.
또한, 상기 물배출부재의 물배출측 단부는 살균보조부재의 일측 단부로부터 소정 거리 떨어져서 살균보조부재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The water discharge side end of the water discharging member may be located inside the sterilizing assistant member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one end of the sterilizing assistant member.
그리고, 상기 물배출부재에는 배출공급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The water discharging member may be formed with a connecting portion rotatably connected to the discharge pipe.
또한, 상기 연결부에는 자석이 구비되며 배출공급관에는 상기 자석을 감지하는 센서가 구비되어 물배출부재의 회전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 magnet may be provided at the connection portion, and a sensor for sensing the magnet may be installed at the discharge supply pipe to sense the rotational position of the water discharge member.
그리고, 상기 센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물배출부재의 회전위치에 따라 배출공급관에 물 또는 살균수를 공급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controlle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nsor and supplying water or sterilized water to the discharge pipe according to a rotational position of the water discharge member; As shown in FIG.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물배출장치에 포함되어 물공급원의 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물배출부재가 물배출위치와 살균위치 사이에서 회전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discharging member included in the water discharging device and discharging the water of the water supplying source to the outside can be rotated between the water discharging position and the sterilizing position.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물배출부재의 살균위치에서, 물배출부재에 공급되어 물배출부재로부터 배출되는 살균수에 의해서 물배출부재가 간편하게 살균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the sterilizing position of the water discharging member, the water discharging member can be easily sterilized by sterilizing water supplied to the water discharging member and discharged from the water discharging member.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물배출부재로부터 배출되는 살균수가 담기는 별도의 용기를 준비하지 않아도 물배출부재가 살균수에 의해서 간편하게 살균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discharging member can be easily sterilized by the sterilizing water without preparing a separate container containing the sterilizing water discharged from the water discharging member.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물배출장치의 일실시예의 사시도로서 정수기 등의 수처리장치의 전면커버에 설치된 것을 나타낸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물배출장치의 일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3은 도1의 A-A'선에 따른 확대단면도이다.
도4와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물배출장치의 일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내는 확대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a water discharg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provided on a front cover of a water treatment apparatus such as a water purifier.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water dischar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4 and 5 are enlarged sectional views showing the operation of an embodiment of the water dischar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물배출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In order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 water discharg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will be described on the basis of embodiments best suited to understand the technic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with other embodiments. Therefore, it is intend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overs the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is invention provided they come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In order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to be described below, in the reference numeral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among the constituent elements which perform the same function in each embodiment, the related constituent elements are indicated by the same or an extension line number.
이하, 도1 내지 도5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물배출장치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water discharg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FIG.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물배출장치의 일실시예의 사시도로서 정수기 등의 수처리장치의 전면커버에 설치된 것을 나타내고,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물배출장치의 일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며, 도3은 도1의 A-A'선에 따른 확대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a water discharg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provided on a front cover of a water treatment apparatus such as a water purifier,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water discharg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 is an enlarged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또한, 도4와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물배출장치의 일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내는 확대단면도이다.4 and 5 are enlarged sectional views showing the operation of an embodiment of the water dis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물배출장치(100)의 일실시예는 물배출부재(200), 살균보조부재(300) 및, 담지부재(400)를 포함할 수 있다.
One embodiment of the
물배출부재(200)는 물공급원에 연결되는 배출공급관(P)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물배출부재(200)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공급원의 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물배출위치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살균수에 의해서 살균되는 살균위치 사이에서 회전할 수 있다.The
물배출부재(200)의 회전은 사용자에 의해서 수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물배출부재(200)에 연결되는 회전구동수단(도시되지 않음)에 의해서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The rotation of the
배출공급관(P)이 연결되는 물공급원은, 예컨대 수처리장치(도시되지 않음)에 포함되며 물을 여과하는 정수필터를 포함하는 여과부(도시되지 않음)나, 여과부에서 여과된 물, 즉 정수를 저장하는 정수탱크(도시되지 않음)일 수 있다.The water supply source to which the discharge pipe P is connected includes a filtering part (not shown) including a water filter included in, for example, a water treatment device (not shown) for filtering water, (Not shown) for storing the purified water.
그러나, 물공급원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배출공급관(P)이 연결되어 배출공급관(P)에 물을 공급할 수 있는 것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However, the water supply sourc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ny known means may be used as long as the discharge pipe P can be connected to supply the discharge pipe P with water.
배출공급관(P)은 밸브유닛(UV)에 구비될 수 있다. 밸브유닛(UV)에는 물공급원에 연결관(T)에 의해서 연결되며 배출공급관(P)에 연결되는 개폐밸브(V)가 구비될 수 있다.The discharge supply pipe (P) may be provided in the valve unit (UV). The valve unit UV may be provided with an opening / closing valve V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source by a connection pipe T and connected to the discharge supply pipe P.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유닛(UV)에는 3개의 개폐밸브(V)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3개의 개폐밸브(V)는 서로 다른 물공급원에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한 개폐밸브(V)는 전술한 바와 같이 여과부나 정수탱크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다른 개폐밸브(V)는 여과부나 정수탱크에 연결되어 물을 냉각하여 냉수를 만드는 냉수탱크(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또 다른 개폐밸브(V)는 여과부나 정수탱크에 연결되어 물을 가열하여 온수를 만드는 온수탱크에 연결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valve unit UV may be provided with three on-off valves V. Then, the three on-off valves V may be connected to different water sources. For example, the one opening / closing valve V may be connected to the filtration unit or the purified water tank as described above. Further, another on-off valve V may be connected to the cold water tank (not shown) connected to the filtration unit or the purified water tank to cool the water to make cold water. Further, another on-off valve V may be connected to the hot water tank, which is connected to the filtration unit or the purified water tank and heats the water to make hot water.
이에 의해서, 물배출부재(200)의 물배출위치에서, 한 개폐밸브(V)가 열리면 배출공급관(P)에 정수가 공급되어 물배출부재(200)로부터 정수가 배출될 수 있다. 또한, 다른 개폐밸브(V)가 열리면 배출공급관(P)에 냉수가 공급되어 물배출부재(200)로부터 냉수가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또 다른 개폐밸브(V)가 열리면 배출공급관(P)에 온수가 공급되어 물배출부재(200)로부터 온수가 배출될 수 있다.Accordingly, when one opening and closing valve (V) is opened at the water discharge position of the water discharge member (200), purified water can be supplied to the discharge pipe (P) to discharge the water from the water discharge member (200). In addition, when another on-off valve V is opened, cold water may be supplied to the discharge pipe P, and the cold water may be discharged from the
그러나, 밸브유닛(UV)에 구비되는 개폐밸브(V)의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어떠한 개수라도 가능하다. 또한, 개폐밸브(V)에 연결되는 물공급원의 종류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어떠한 물공급원이라도 연결될 수 있다.However, the number of open / close valves V provided in the valve unit UV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ny number can be used. The kind of the water supply source connected to the opening and closing valve (V)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ny water supply source can be connected.
전술한 바와 같이 밸브유닛(UV)에 구비되며 물공급원에 연결되는 개폐밸브(V) 중 어느 하나 또는 밸브유닛(UV)에 구비되나 물공급원에 연결되지 않는 개폐밸브(V)는 살균수 공급원(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ny one of the opening / closing valves (V) provided in the valve unit (UV) and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source or the opening / closing valve (V) provided in the valve unit (UV) but not connected to the water source, Not shown).
이에 따라, 물배출부재(200)의 살균위치에서, 살균수 공급원에 연결된 개폐밸브(V)가 열리면, 배출공급관(P)에 살균수가 공급되어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배출부재(200)가 살균수에 의해서 살균될 수 있다.5, when the opening / closing valve V connected to the sterilizing water supply source is opened at the sterilizing position of the
살균수 공급원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살균제를 물에 용해하여 살균수를 만들거나 물을 전기분해하여 살균수를 만드는 등 주지의 어떠한 살균수 공급원이라도 가능하다.The sterilizing water supply sourc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ny known sterilizing water supply source such as sterilizing water by dissolving the sterilizing agent in water or sterilizing water by electrolyzing water is possible.
전술한 개폐밸브(V)는 후술할 제어부(도시되지 않음)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에 의해서 개폐될 수 있다.The above-mentioned on-off valve V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 control unit (not shown) to be described later and may be opened or closed by a control unit.
물배출부재(200)에는 일측은 외부에 연통되고 타측은 배출공급관(P)에 연통되는 배출유로(210)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물배출부재(200)의 물배출위치에서, 배출공급관(P)에 공급된 물공급원의 물은 물배출부재(200)의 배출유로(210)를 유동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물배출부재(200)의 살균위치에서 배출공급관(P)에 공급된 살균수 공급원의 살균수는 물배출부재(200)의 배출유로(210)를 유동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따라 물배출부재(200)의 배출유로(210)와 물배출부재(200)의 물배출측 단부가 살균수에 의해서 살균될 수 있다.The
물배출부재(200)에는 배출공급관(P)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220)가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22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배출부재(200)에서 방사상으로 소정 거리 연장된 형상, 예컨대 디스크형상일 수 있다. 그러나, 연결부(220)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배출공급관(P)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다.The
예컨대, 배출공급관(P)의 일부가 물배출부재(200)의 연결부(220)에 삽입되고, 물배출부재(200)의 연결부(220)와 연결부(220)에 대응되도록 배출공급관(P)에 형성된 부분이 연결보조부재(CR)에 의해서 덮이는 것에 의해서, 물배출부재(200)가 배출공급관(P)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A part of the discharge pipe P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ng
그러나, 물배출부재(200)가 배출공급관(P)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면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However,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물배출부재(200)의 연결부(220)에는 자석(M)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배출공급관(P)에는 자석(M)을 감지하는 센서(S)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물배출부재(200)의 회전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즉, 물배출부재(200)가 물배출위치에 있는지 살균위치에 있는지 감지할 수 있다.A magnet M may be provided at the
예컨대, 물배출부재(200)의 물배출위치에서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S)가 자석(M)을 감지할 수 없고, 살균위치에서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S)가 자석(M)을 감지할 수 있다.For example, at the water discharge position of the
그러나, 이와는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며, 센서(S)에 의해서 자석(M)을 감지하여 물배출부재(200)의 회전위치를 감지하는 방법은 주지의 어떠한 방법이라도 가능하다.However, the opposite case is also possible, and any known method of detecting the magnet M by the sensor S and sensing the rotational position of the
센서(S)는 후술할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센서(S)에 의해서 감지된 물배출부재(200)의 회전위치에 따라, 전술한 개폐밸브(V)를 개폐하여 물배출부재(200)에 물공급원의 물을 공급하거나 살균수 공급원의 살균수를 공급할 수 있다.The sensor S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 control unit to be described later. According to the rotation position of the
즉, 물배출부재(200)의 회전위치가 물배출위치인 것이 센서(S)에 의해서 감지되면, 제어부는 물공급원에 연결된 개폐밸브(V)를 개방하여 배출공급관(P)에 물공급원의 물을 공급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sensor S senses that the rotation position of the
또한, 물배출부재(200)의 회전위치가 살균위치인 것이 센서(S)에 의해서 감지되면, 제어부는 살균수 공급원에 연결된 개폐밸브(V)를 개방하여 배출공급관(P)에 살균수 공급원의 살균수를 공급할 수 있다.When the sensor S senses that the rotation position of the
물배출부재(200)는, 예컨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ㄱ'자 형상일 수 있다. 그러나, 물배출부재(200)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다.The
물배출부재(200)는 도1과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보조부재(IS)에 의해서 정수기 등의 수처리장치의 전면커버(FC)에 설치될 수 있다.
The
살균보조부재(300)에는 물배출부재(200)의 물배출측이 관통하여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물배출부재(200)의 회전에 의해서 살균보조부재(300)도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살균보조부재(300)의 일측과 타측은 개방될 수 있다.The sterilizing
예컨대, 살균보조부재(300)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와 하부가 개방될 수 있다. 또한, 물배출부재(200)의 물배출측이 살균보조부재(300)의 측부를 관통하여 살균부조부재(300)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sterilizing
이에 따라,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물배출부재(200)의 물배출위치에서, 물배출부재(200)의 배출유로(210)를 유동한 물은 물배출부재(200)로부터 배출되어, 살균보조부재(300)의 개방된 하부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Accordingly, at the water discharge position of the
또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물배출부재(200)의 살균위치에서, 물배출부재(200)의 배출유로(210)를 유동한 살균수는, 물배출부재(200)로부터 배출되고 살균보조부재(300)에 소정 시간 머물면서, 물배출부재(200)의 물배출측 단부를 살균하고 담지부재(400)로 유동하여 담지부재(400)에 담길 수 있다.5, the sterilizing water flowing in the
그러나, 물배출부재(200)의 물배출측이 관통되는 살균보조부재(300)의 부분과, 개방되는 살균보조부재(300)의 부분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살균보조부재(300)의 어떠한 부분이라도 가능하다.However, the portion of the sterilizing
살균보조부재(300)에는 구획벽(310)이 구비될 수 있다. 구획벽(311)에 의해서 살균보조부재(300)의 내부공간이 구획될 수 있다. 또한, 구획벽(311)에는 연통구멍(31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물배출부재(200)의 물배출측 단부는 살균보조부재(300)의 일측 단부로부터 소정 거리(D) 떨어져서 살균보조부재(300)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The sterilizing
이에 따라, 물배출부재(200)의 살균위치에서 물배출부재(200)로부터 배출된 살균수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살균보조부재(300)의 일측 단부와 구획벽(310) 사이의 공간에 소정 시간 머무를 수 있다. 그리고, 살균보조부재(300)의 일측 단부와 구획벽(310) 사이의 공간에 소정 시간 머무른 살균수는 연통구멍(311)을 통해 담지부재(400)로 유동하여 담지부재(400)에 담길 수 있다.5, the sterilizing water discharged from the
이에 의해서, 물배출부재(200)의 물배출측 단부를 살균수에 의해서 살균할 수 있다.Thereby, the water discharge side end of the
물배출부재(200)의 물배출측 단부가 살균보조부재(300)의 일측 단부로부터 떨어진 소정 거리(D)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물배출부재(200)의 살균위치에서 물배출부재(200)의 물배출측 단부가 살균수에 의해서 살균될 수 있는 거리라면 어떠한 거리라도 가능하다.The predetermined distance D between the water discharge side end of the
살균보조부재(300)는 물배출부재(200)와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살균보조부재(300)는 합성수지의 사출성형에 의해서 물배출부재(200)와 일체로 일루어질 수 있다.The sterilizing
그러나, 살균보조부재(300)와 물배출부재(200)가 일체로 이루어지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일체로 이루어진다면 어떠한 방법이라도 가능하며, 살균보조부재(300)는 물배출부재(200)와 일체로 이루어지지 않고 별도로 이루어져서 물배출부재(200)에 연결될 수도 있다.
However, the method in which the sterilizing
담지부재(400)는 살균보조부재(300)의 개방된 타측, 예컨대 물배출부재(200)의 물배출위치에서 살균보조부재(300)의 개방된 상부에 연통되도록 살균보조부재(300)에 연결될 수 있다.The supporting
이에 의해서, 물배출부재(200)의 회전에 의해서 살균보조부재(300)가 회전하면, 담지부재(400)도 회전될 수 있다.Thus, when the sterilizing
담지부재(400)에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구멍(H)이 형성되고 살균보조부재(300)에는 끼움돌기(PR)이 형성되어, 담지부재(400)의 회전에 의해서 담지부재(400)의 끼움구멍(HJ)에 살균보조부재(300)의 끼움돌기(PR)가 끼워져서, 담지부재(400)가 살균보조부재(300)의 개방된 타측에 연결될 수 있다.The insertion hole H is formed in the supporting
그러나, 담지부재(400)가 살균보조부재(300)에 연결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나사결합에 의해서 연결되는 등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However,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supporting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배출부재(200)의 물배출위치에서 담지부재(400)는 물배출부재(200)의 위에 위치할 수 있다. 그러나, 물배출부재(200)의 살균위치에서 담지부재(400)는 물배출부재(200)의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4, at the water discharge position of the
그리고, 물배출부재(200)의 살균위치에서 물배출부재(200)의 배출유로(210)와 물배출측 단부를 살균한 살균수는 살균보조부재(300)의 구획벽(310)의 연통구멍(311)을 통해 담지부재(400)로 유동하여 담지부재(400)에 담길 수 있다.The sterilizing water sterilizing the
이에 의해서, 물배출부재(200)로부터 배출되는 살균수가 담기는 별도의 용기를 준비하지 않아도 물배출부재(200)가 살균수에 의해서 간편하게 살균될 수 있다.Thereby, the
담지부재(400)에 담지된 살균수의 양이 소정 수위에 이르면, 사용자는 담지부재(400)를 살균보조부재(300)로부터 분리하여 담지부재(400)에 담긴 살균수를 버릴 수 있다.
When the amount of the sterilizing water carried on the supporting
본 발명에 따른 물배출장치의 일실시예에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전술한 밸브유닛(UV)의 개폐밸브(V)와 배출공급관(P)의 센서(S)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An embodiment of the water discharg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The control unit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above-described valve (UV) opening / closing valve (V) and the sensor (S) of the discharge pipe (P).
그리고, 제어부는 전술한 바와 같이 센서(S)에 의해서 감지된 물배출부재(200)의 회전위치에 따라, 개폐밸브(V)를 개방하여 배출공급관(P)에 물공급원의 물을 공급하거나, 살균수 공급원의 살균수를 공급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open the on-off valve V to supply water to the discharge pipe P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al position of the
제어부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개폐밸브(V)와 배출공급관(P)의 센서(S)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물배출부재(200)의 회전위치에 따라 배출공급관(P)에 물공급원의 물 또는 살균수 공급원의 살균수를 공급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uni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nsor S of the opening and closing valve V and the discharge supply pipe P so that a water supply source It is possible to provide any known configuration as long as it is capable of supplying the sterilized water of the water or sterilization water supply source.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물배출장치를 사용하면, 물배출장치에 포함되어 물공급원의 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물배출부재가 물배출위치와 살균위치 사이에서 회전될 수 있으며, 물배출부재의 살균위치에서, 물배출부재에 공급되어 물배출부재로부터 배출되는 살균수에 의해서 물배출부재가 간편하게 살균될 수 있고, 물배출부재로부터 배출되는 살균수가 담기는 별도의 용기를 준비하지 않아도 물배출부재가 살균수에 의해서 간편하게 살균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water dis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the water discharging member included in the water discharging device and discharging the water of the water supplying source to the outside can be rotated between the water discharging position and the sterilizing position, The water discharging member can be easily sterilized by the sterilizing water that is supplied to the water discharging member and discharged from the water discharging member at the sterilizing position of the water discharging member and the water discharging member The member can be easily sterilized by the sterilizing water.
상기와 같이 설명된 물배출장치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The water discharging device described above can be applied to a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in a limited manner, but the embodiments may be constructed by selectively combining all or a part of the embodiments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
100 : 물배출장치 200 : 물배출부재
210 : 배출유로 220 : 연결부
300 : 살균보조부재 310 : 구획벽
311 : 연통구멍 400 : 담지부재
P : 배출공급관 CR : 연결보조부재
UV : 밸브유닛 V : 개폐밸브
T : 연결관 S : 센서
FC : 전면덮개 IS : 설치보조부재
H : 끼움구멍 PR : 끼움돌기100: Water discharging device 200: Water discharging member
210: exhaust passage 220:
300: sterilizing assistant member 310: partition wall
311: communication hole 400: supporting member
P: discharge pipe CR: connection auxiliary member
UV: valve unit V: opening / closing valve
T: Connector S: Sensor
FC: Front cover IS: Installation assistance member
H: Insertion hole PR: Insert projection
Claims (10)
상기 물배출부재의 물배출측이 관통하여 내부에 구비되고 일측과 타측이 개방된 살균보조부재; 및
상기 살균보조부재의 개방된 타측에 연통되도록 상기 살균보조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물배출부재에 형성된 배출유로와 상기 물배출부재의 물배출측 단부를 살균한 살균수가 담기는 담지부재;
를 포함하는 물배출장치.A water discharge member rotatably connected to a discharge supply pipe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source and rotated between a water discharge position where water of the water supply sourc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a sterilization position to be sterilized by the sterilization water;
A sterilizing assistant member having a water discharge side of the water discharging member penetrating therethrough and having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pened; And
A supporting member connected to the sterilizing assistant to communicate with the other opened side of the sterilizing assisting member and containing sterilizing water sterilizing the discharge passage formed in the water discharging member and the water discharge side of the water discharging member;
.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40840A KR102401191B1 (en) | 2015-10-07 | 2015-10-07 | Water discharging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40840A KR102401191B1 (en) | 2015-10-07 | 2015-10-07 | Water discharging apparatu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41432A true KR20170041432A (en) | 2017-04-17 |
KR102401191B1 KR102401191B1 (en) | 2022-05-25 |
Family
ID=58702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40840A Active KR102401191B1 (en) | 2015-10-07 | 2015-10-07 | Water discharging apparatu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01191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30846A (en) * | 2018-09-13 | 2020-03-23 | 코웨이 주식회사 | Guide apparatus for discharging water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175597A (en) * | 1995-12-22 | 1997-07-08 | Toyo Seikan Kaisha Ltd | Filling valve washer for liquid filling machine |
JP2819189B2 (en) * | 1990-08-03 | 1998-10-30 | 東洋食品機械株式会社 | Liquid filling nozzle |
JP2010500169A (en) * | 2006-08-16 | 2010-01-07 | カーハーエス・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 Container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
-
2015
- 2015-10-07 KR KR1020150140840A patent/KR102401191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819189B2 (en) * | 1990-08-03 | 1998-10-30 | 東洋食品機械株式会社 | Liquid filling nozzle |
JPH09175597A (en) * | 1995-12-22 | 1997-07-08 | Toyo Seikan Kaisha Ltd | Filling valve washer for liquid filling machine |
JP2010500169A (en) * | 2006-08-16 | 2010-01-07 | カーハーエス・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 Container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30846A (en) * | 2018-09-13 | 2020-03-23 | 코웨이 주식회사 | Guide apparatus for discharging wat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01191B1 (en) | 2022-05-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7477962B (en) | Refrigerator with external water purifying filter box | |
KR102639274B1 (en) | a water purifier of self management type | |
US20060127289A1 (en) | Method and device for deactivating items and for maintaining such items in a deactivated state | |
KR960704808A (en) | Water Disinfection System (BOTTLE WATER DISINFECTION SYSTEM) | |
KR102656807B1 (en) | Water purifier | |
US9242195B2 (en) | Water filter with features for reduced spilling | |
US6872306B2 (en) | Multifunctional pure water maker | |
KR102401191B1 (en) | Water discharging apparatus | |
CN107847831B (en) | Photocatalytic-sterilizing water purifier | |
KR101602233B1 (en) | A water purifier with sterilization | |
US20050025671A1 (en) | Method and device for deactivating items and for maintaining such items in a deactivated state | |
KR102496078B1 (en) | Water Bottle Cap With Filter | |
KR101825089B1 (en) | Portable water purifier | |
KR102085414B1 (en) | Cock sterilization apparatus for water purifier and cock sterilization method using the same | |
KR101367448B1 (en) | Stopper holder dispenser integrated device with a check valve feature | |
KR101198652B1 (en) | Purifier apparatus equipped with self-sterilizing and Sterilization Method having the same | |
KR102361034B1 (en) | Water supply device for air washer | |
KR20190000115A (en) | Non powered portable simple water purification device | |
KR101803674B1 (en) | Water purifier sterilization apparatus | |
KR20170121463A (en) | Water discharging structure | |
KR101907736B1 (en) | Water purifier sterilization apparatus | |
KR101373057B1 (en) | Supplies for disinfection of water treatment apparatus | |
KR102631556B1 (en) | Water storage tank | |
JP2002022275A (en) | Hot water supply system | |
KR101849086B1 (en) | Water delivery tank and water treatment apparatus having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007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100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5100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222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5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05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