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70040837A - 상탑 설치를 위해 주탑에 가설되는 헤비 리프팅장치 - Google Patents

상탑 설치를 위해 주탑에 가설되는 헤비 리프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0837A
KR20170040837A KR1020150139714A KR20150139714A KR20170040837A KR 20170040837 A KR20170040837 A KR 20170040837A KR 1020150139714 A KR1020150139714 A KR 1020150139714A KR 20150139714 A KR20150139714 A KR 20150139714A KR 20170040837 A KR20170040837 A KR 201700408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wer
support member
main
main tower
lift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97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응범
정지형
김태형
이영규
Original Assignee
다올이앤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올이앤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다올이앤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397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40837A/ko
Publication of KR201700408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0837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7/00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 B66C17/06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in foundries, forges; combined with auxiliary apparatus serving particular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4Towers; Anchors ; Connection of cables to bridge parts; Saddle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상탑 설치를 위해 주탑에 가설되는 헤비 리프팅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교각 양측에 설치되고, 상부로 갈수록 상호 근접하도록 배치되는 복수개의 주탑(10); 상기 주탑(10)의 상단에 설치되는 상탑(20); 및 상기 각 주탑(10)에 연결되는 서포트부재(30A)와, 상기 서포트부재(30A)에 구비되고, 상기 상탑(20)을 승강시켜 상탑(20)을 상기 주탑(10) 상단에 설치하기 위한 리프터(30B)로 구성되는 리프팅수단(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리프팅수단의 서포트부재가 주탑의 상부를 횡방향으로 연결하여 구속 지지함으로써 상탑의 설치 시, 상탑의 무게에 의한 주탑의 좌굴현상이나, 휨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상탑 설치를 위해 주탑에 가설되는 헤비 리프팅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Description

상탑 설치를 위해 주탑에 가설되는 헤비 리프팅장치{HEAVY LIFTING DEVICE}
본 발명은 교량의 주탑에 상탑을 설치하기 위한 리프팅수단이 상호 인접한 주탑의 상부를 연결하는 서포트부재와, 서포트부재에 장착되는 리프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리프팅수단의 서포트부재가 주탑의 상부를 횡방향으로 연결하여 구속 지지함으로써 상탑의 설치 시, 상탑의 무게에 의한 주탑의 좌굴현상이나, 휨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상탑 설치를 위해 주탑에 가설되는 헤비 리프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장교나 현수교의 경우 교량의 교각에 주탑을 설치하고, 먼저 프리캐스트된 주탑을 교각에 양측에 설치한 후, 크레인으로 상탑을 인양하여 주탑 상단에 설치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상탑 설치방법은 무게가 무거운 상탑을 주탑 상단에 얹는 경우 상탑의 무게 때문에 주탑 상부에는 상탑에 의한 하중이 작용하여 주탑의 좌굴현상이나, 변형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한 쌍을 구성하는 주탑의 특정 지점에 각 주탑을 횡방향으로 연결하는 서포트부재를 설치하게 된다.
이 경우 서포트부재의 도입으로 상탑의 하중에 의한 주탑의 좌굴현상이나, 변형은 방지할 수 있으나,
상탑을 인양하기 위한 크레인과 별도로 서포트부재를 설치하여야 하므로 작업 공수가 늘어나는 문제가 있다.
특허등록 제10-1118526호(2012.02.14)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안출된 것으로,
리프팅수단의 서포트부재가 주탑의 상부를 횡방향으로 연결하여 구속 지지함으로써 상탑의 설치 시, 상탑의 무게에 의한 주탑의 좌굴현상이나, 휨 변형을 방지하고자 하는 것을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리프팅수단의 리프터를 지지하는 서포트부재가 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상탑의 설치작업 시, 안전성과 구조적인 안정성을 확보하고자 하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워킹 플랫폼과 교각을 연결하는 반력지지용 케이블을 도입하여 워킹 플랫폼 일측에서 인양되는 상탑의 하중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는 워킹 플랫폼의 변형이나 전도를 방지하고자 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탑 설치를 위해 주탑에 가설되는 헤비 리프팅장치는 교각 양측에 설치되고, 상부로 갈수록 상호 근접하도록 배치되는 복수개의 주탑(10); 상기 주탑(10)의 상단에 설치되는 상탑(20); 및 상기 각 주탑(10)에 연결되는 서포트부재(30A)와, 상기 서포트부재(30A)에 구비되고, 상기 상탑(20)을 승강시켜 상탑(20)을 상기 주탑(10) 상단에 설치하기 위한 리프터(30B)로 구성되는 리프팅수단(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리프팅수단(30)의 서포트부재(30A)는 상기 각 주탑(10)에 관통 결합되는 결합부(31)와, 상기 결합부(31)에 장착되고, 상기 각 주탑(10)의 상부를 횡방향으로 연결하여 구속하는 제1 지지부(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결합부(31)는 상기 각 주탑(10)을 관통하고, 양단부가 각 주탑(10)의 외측부로 노출되는 강성봉(32)과, 상기 강성봉(32)의 양단부에 장착되고, 상기 제1 지지부(34)가 고정 설치되는 고정브래킷(3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서포트부재(30A)는 상기 제1 지지부(34)의 양측부를 가로질러 배치되는 제2 지지부(3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서포트부재(30A)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리프터(30B)의 이동을 위한 이송수단(4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리프팅수단의 서포트부재(30A)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리프터(30B) 및 상기 이송수단(40)이 설치되는 워킹 플랫폼(50) (working platform)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상탑(20)의 인양 시, 상기 워킹 플랫폼(50)과 상기 교각(1)을 연결하는 반력지지용 케이블(6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탑 설치를 위해 주탑에 가설되는 헤비 리프팅장치는 상탑의 설치 시, 상탑의 하중으로 인한 좌굴현상이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주탑에 설치되는 리프팅수단이 충분한 강성이 확보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상탑의 설치작업 시, 안전성과 구조적인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탑의 설치 시, 주탑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지지부재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 작업공수를 줄일 수 있고, 이에 의하여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워킹 플랫폼과 교각을 연결하는 반력지지용 케이블을 도입하여 워킹 플랫폼 일측에서 인양되는 상탑의 하중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는 워킹 플랫폼의 변형이나 전도를 방지함으로써 상탑의 인양 작업 시, 부재의 손상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안정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상탑 설치를 위해 주탑에 가설되는 헤비 리프팅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및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헤비 리프팅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헤비 리프팅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동작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상탑 인양 시 워킹 플랫폼의 전도 방지를 위한 반력지지용 케이블이 도입된 헤비 리프팅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및 측면도,
도 5는 종래의 헤비 리프팅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및 측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상탑 설치를 위해 주탑에 가설되는 헤비 리프팅장치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헤비 리프팅장치는
교량의 설치를 위한 교각(1) 상부에 상호 대응하도록 배치되는 복수개의 주탑(10)과, 상기 주탑(10)의 상단에 설치되는 상탑(20)과, 상기 주탑(10)에 장착되어 상기 상탑(20)을 승강시켜 상기 주탑(10) 상단에 설치하기 위한 리프팅수단(30)으로 구성된다.
우선 교량 중에서 사장교나, 현수교의 경우에는 교량을 지지하기 위한 케이블을 설치하기 위해 교각(1)에 주탑(10)을 세우고, 주탑(10)과 교량의 바닥판을 케이블로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물론 사장교나, 현수교의 경우 케이블은 작동원리상 구조적인 차이가 있으나, 교량의 장지간화를 구현하기 위해 도입된다.
특히 케이블을 설치하기 위한 주탑(10)은 교각 양측에 설치되어 교량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복수개로 배치되고, 상부로 갈수록 상호 근접하는 형태로 경사지게 설치된다.
이렇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주탑(10) 상단에는 상탑(20)을 설치하게 되는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교각(1)에 설치되는 설치탑(100)과, 설치탑(100) 상부에 상탑(20)을 인양하기 위한 리프팅장치(200)를 설치하고,
리프팅장치(200)로 상탑(20)을 승강시켜 주탑(10)에 설치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상탑 설치방법은 무게가 무거운 상탑을 주탑 상단에 얹는 경우 상탑의 무게 때문에 주탑 상부에는 상탑에 의한 하중이 작용하여 좌굴현상이나, 변형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주탑의 특정 지점에 각 주탑을 횡방향으로 연결하는 서포트부재를 설치하게 된다.
이 경우 서포트부재의 도입으로 상탑의 하중에 의한 주탑의 좌굴현상이나, 변형은 방지할 수 있으나,
상탑을 인양하기 위한 리프팅장치와 별도로 서포트부재를 설치하여야 하므로 작업 공수가 늘어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탑(10)에 설치되는 리프팅수단(30)을 도입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일거에 해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리프팅수단(30)은
상기 각 주탑(10)에 연결되는 서포트부재(30A)와, 상기 서포트부재(30A)에 구비되고, 상기 상탑(20)을 승강시켜 상기 주탑(10) 상단에 설치하기 위한 리프터(30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우선 상기 리프팅수단(30)의 서포트부재(30A)는 상기 각 주탑(10)에 연결되는 결합부(31)와, 상기 결합부(31)에 장착되어 상기 각 주탑(10)을 횡방향으로 연결하여 구속하는 제1 지지부(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결합부(31)는 상기 각 주탑(10)에 상부에 형성된 다수의 삽입공(11)에 관통하여 결합되는 다수의 강성봉(32)이 구비되고, 상기 강성봉(32)들의 양단은 각 주탑(1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노출된다.
그리고 도 3a 및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강성봉(32)들의 노출단부(32a)에는 고정브래킷(33)이 장착되는데,
상기 고정브래킷(33)은 상기 강성봉(32)들의 노출단부(32a)에 대응하도록 다수의 체결공(미도시)이 형성되어 삽입된다.
이 경우 상기 강성봉(32)들의 노출단부(32a)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체결공(미도시)에 노출단부(32a)를 삽입한 후, 체결너트(N)를 노출단부(32a)에 체결하여 각 주탑(10)에 강성봉(32)과 고정브래킷(33)을 고정 설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지지부(34)는 상기 고정브래킷(33)의 상단에 연결되어 각 주탑(10)의 횡방향으로 배치되는데,
상기 제1 지지부(34)는 ‘H’빔 또는 ‘I’빔 등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지지부(34)의 하부플랜지에는 다수의 결합공(미도시)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브래킷(33)의 상부에는 상기 제1 지지부(34)의 결합공들에 상응하도록 대응결합공(미도시)들이 형성되어 각 결합공들에 체결볼트(B)를 관통 삽입한 후, 체결너트를 체결하여 고정브래킷(33)에 제1 지지부(34)를 고정시키게 된다.
아울러 상기 제1 지지부(34)와 고정브래킷(33)간의 결합은 용접에 의한 접합방식으로도 가능하나,
상탑(20)을 주탑(10)에 설치한 후, 리프팅장치는 해체되어야 하므로 해체작업의 편의성을 위하여 볼트체결방식을 도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 지지부(34)는 상기 각 주탑(10)의 상부를 횡방향으로 연결됨으로써 무게가 무거운 상탑(20)이 각 주탑(10)의 상단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 제1 지지부(34)가 각 주탑(10)을 구속하여 지지함으로써 각 주탑(10)의 좌굴현상이나, 휨 변형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 지지부(34)를 도입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리프팅장치의 설치 이외에, 별도의 서포트부재(30A)를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됨으로써 작업 공수를 줄여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지지부(34) 상부에는 제2 지지부(35)가 설치되는데,
상기 제2 지지부(35)는 상기 제1 지지부(34) 양측에 교차하는 형태로 설치되는 하부지지부(35a)와, 상기 하부지지부(35a)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지지부(35b)로 구성되고,
또한 상기 상부지지부(35b)의 상부에는 상단지지부(35c)가 설치된다.
상기 상부지지부(35b)와 상기 상단지지부(35c) 사이에는 잭서포트(35d)가 설치되어 상기 상단지지부(35c)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잭서포트(35d)에 의하여 상기 서포트부재(30A)의 상부에 설치되는 리프터(30B)의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지지부(35a)와 상부지지부(35b)는 트러스 구조나, 벤트 구조를 도입하여 제2 지지부(35)의 강성을 보강하고, 리프트부재의 설치 작업과, 해체 작업이 용이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리프터(30B)는 상기 서포트부재(30A)의 상부에 배치되는데,
이 경우 상기 제2 지지부(35)의 상단지지부(35c) 상부에는 상기 리프터(30B)의 이동을 위한 이송수단(40)이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우선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상단지지부(35c) 상부에 교차하는 형태로 설치되는 제1 가이드레일(41)과,
상기 제1 가이드레일(41)에 교차하는 형태로 배치되어 이송 가능하고, 상기 리프터(30B)의 이송을 위한 제2 가이드레일(4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 가이드레일(42)의 하부에는 제1 가이드(43)가 설치되고,
상기 제2 가이드레일(42)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상기 제1 가이드레일(41) 상부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제2 가이드레일(42)의 측면부에 연결되는 유압잭(45)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리프터(30B) 하부에는 상호 인접한 리프터(30B)들을 연결하고, 상기 리프터(30B)의 제2 가이드레일(42)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제2 가이드(44)가 구비된다.
상기 제2 가이드(44)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상기 제2 가이드레일(42) 상부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제2 가이드(44)의 측면부에 연결되는 유압잭(45)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리프터(30B)에 장착되는 상탑(20)을 주탑(10) 상단으로 인양하여 설치하기 위해 상기 이송수단(40)에 의하여 상탑(20)을 설치위치로 조절하여 상탑(20)의 설치작업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리프터(30B)는 상기 이송수단(40)의 제2 가이드(44) 상부에 한 쌍으로 구성되고, 한 쌍의 리프터(30B)가 전후 방향으로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각 리프터(30B)에는 케이블(36)이 장착되고, 복수개의 리프터(30B)의 케이블(36) 하단에는 상탑(20)에 장착 고정되는 인양러그(37)(lug)가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상탑(20)의 전후면에 상하방향으로 배열되어 사장교나 현수교에 설치되는 강성 케이블이 장착되는데,
상탑(20)의 인양 시, 상기 고정러그(21)에 상기 인양러그(37)를 고정시키게 된다.
그리고 복수개의 리프터(30B)의 케이블(36)에 구비된 인양러그(37)들은 턴버클(38)로 연결되어 각 인양러그(37)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어 상탑(20)의 설치작업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서포트부재(30A)의 제1 지지부(34), 상기 제1 가이드레일(41), 상기 제2 가이드레일(42) 중 일부 또는 모두에는 워킹 플랫폼(50)(working platform)이 구비되어 상탑(20)의 설치 작업 시, 작업자가 워킹 플랫폼(50)에서 상탑(20)의 설치 작업을 컨트롤하거나, 상탑(20)의 인양작업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3의 도시를 기준으로 본 발명에 따른 리프팅장치에 의하여 상탑(20)을 인양하고, 상탑(20)을 주탑(10)에 설치하기 위한 동작 상태를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터(30B)의 케이블(36)을 인출하여 리프터(30B)의 인양러그(37)와 상탑(20)의 고정러그(21)를 결합하게 되고, 이때 턴버클(38)을 이용하여 인양러그(37)의 간격을 조절함과 동시에, 인양러그(37)와 고정러그(21)의 구속력을 증대시킨다.
다음으로 리프터(30B)를 이용하여 케이블(36)을 인입시켜 상탑(20)을 들어올리게 되는데,
이 경우 상기 상탑(20)은 주탑(10)의 일측부에 배치되어 상탑(20)의 인양작업이 방해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a의 도시와 같이 상탑(20)이 주탑(10)에 상단 일측에 설치위치로 배치되면,
도 3b의 도시와 같이 상기 이송수단(40)을 이용하여 리프터(30B)와 상탑(20)을 동시에 주탑(10)의 상단으로 이송하여 상탑(20)을 주탑(10)의 상단에 얹어 설치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가 워킹 플랫폼(50)에서 리프터(30B)의 인양러그(37)와 상탑(20)의 고정러그(21)를 해체한 후, 이송수단(50)에 의하여 리프터(30B)를 원위치시킨 후,
리프팅장치를 해체함으로써 주탑 상단에 상탑의 설치작업이 종료된다.
한편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바와 같이 상탑(20)을 인양하여 주탑(10)에 설치하는 작업 시, 주탑(10)은 교각(1) 중심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상탑(20)은 리프팅 작업이 월할하도록 주탑(10)의 일측에 배치되고, 따라서 워킹 플랫폼(50)에 장착된 리프터(30B)는 워킹 플랫폼(50) 일측에 배치되며, 이때 리프터(30B)에 연결된 케이블(36)은 상탑(20)에 장착된다.
이 상태에서 상탑(20)을 승강시키게 되면 워킹 플랫폼(50)의 일측에 상탑(20)의 하중이 인가되어 워킹 플랫폼(50)이 변형되거나, 또는 전도될 위험이 있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탑(20)의 인양 시, 워킹 플랫폼(50) 타측과 교각(1)을 연결하는 반력지지용 케이블(60)을 도입하여 워킹 플랫폼(50)의 변형이나 전도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반력지지용 케이블(60)은 상탑(20) 인양 전에 설치하고, 이때 적정한 장력을 도입하게 되면 상탑(20) 인양 시에는 반력지지용 케이블(60)의 장력은 증가하게 되나, 워킹 플랫폼(50)의 변형이나 전도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B : 체결볼트 N : 체결너트
1 : 교각
10 : 주탑
11 : 삽입공
20 : 상탑
21 : 고정러그
30 : 리프팅수단
30A : 서포트부재 30B : 리프터
31 : 결합부 32 : 강성봉
32a : 노출단부 33 : 고정브래킷
34 : 제1 지지부 35 : 제2 지지부
35a : 하부지지부 35b : 상부지지부
35c : 상단지지부 35d : 잭서포트
36 : 케이블 37 : 인양러그
38 : 턴버클
40 : 이송수단
41 : 제1 가이드레일 42 : 제2 가이드레일
43 : 제1 가이드 44 : 제2 가이드
45 : 유압잭
50 : 워킹 플랫폼
60 : 반력지지용 케이블
100 : 설치탑
200 : 리프팅장치

Claims (7)

  1. 교각 양측에 설치되고, 상부로 갈수록 상호 근접하도록 배치되는 복수개의 주탑(10);
    상기 주탑(10)의 상단에 설치되는 상탑(20); 및
    상기 각 주탑(10)에 연결되는 서포트부재(30A)와,
    상기 서포트부재(30A)에 구비되고, 상기 상탑(20)을 승강시켜 상탑(20)을 상기 주탑(10) 상단에 설치하기 위한 리프터(30B)로 구성되는 리프팅수단(3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상탑 설치를 위해 주탑에 가설되는 헤비 리프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수단(30)의 서포트부재(30A)는
    상기 각 주탑(10)에 관통 결합되는 결합부(31)와,
    상기 결합부(31)에 장착되고, 상기 각 주탑(10)의 상부를 횡방향으로 연결하여 구속하는 제1 지지부(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탑 설치를 위해 주탑에 가설되는 헤비 리프팅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31)는
    상기 각 주탑(10)을 관통하고, 양단부가 각 주탑(10)의 외측부로 노출되는 강성봉(32)과,
    상기 강성봉(32)의 양단부에 장착되고, 상기 제1 지지부(34)가 고정 설치되는 고정브래킷(3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탑 설치를 위해 주탑에 가설되는 헤비 리프팅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부재(30A)는
    상기 제1 지지부(34)의 양측부를 가로질러 배치되는 제2 지지부(3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탑 설치를 위해 주탑에 가설되는 헤비 리프팅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부재(30A)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리프터(30B)의 이동을 위한 이송수단(4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탑 설치를 위해 주탑에 가설되는 헤비 리프팅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수단의 서포트부재(30A)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리프터(30B) 및 상기 이송수단(40)이 설치되는 워킹 플랫폼(50) (working platform)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탑 설치를 위해 주탑에 가설되는 헤비 리프팅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탑(20)의 인양 시, 상기 워킹 플랫폼(50)과 상기 교각(1)을 연결하는 반력지지용 케이블(6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탑 설치를 위해 주탑에 가설되는 헤비 리프팅장치.
KR1020150139714A 2015-10-05 2015-10-05 상탑 설치를 위해 주탑에 가설되는 헤비 리프팅장치 Ceased KR201700408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9714A KR20170040837A (ko) 2015-10-05 2015-10-05 상탑 설치를 위해 주탑에 가설되는 헤비 리프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9714A KR20170040837A (ko) 2015-10-05 2015-10-05 상탑 설치를 위해 주탑에 가설되는 헤비 리프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0837A true KR20170040837A (ko) 2017-04-14

Family

ID=58579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9714A Ceased KR20170040837A (ko) 2015-10-05 2015-10-05 상탑 설치를 위해 주탑에 가설되는 헤비 리프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40837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98089A (zh) * 2018-08-21 2018-12-28 中国十七冶集团有限公司 一种悬索桥塔塔顶主索鞍吊装装置及施工方法
CN112942109A (zh) * 2021-01-14 2021-06-11 中铁七局集团武汉工程有限公司 独塔自锚式悬索桥主索鞍安装方法
CN113322816A (zh) * 2021-05-23 2021-08-31 中铁九桥工程有限公司 一种关于多接口梁塔匹配精度控制方法及装置
CN113668406A (zh) * 2021-09-26 2021-11-19 河南国基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市政施工预制桥墩架设装置及其架设方法
CN113684758A (zh) * 2021-09-07 2021-11-23 中国铁建大桥工程局集团有限公司 一种自锚式悬索桥施工辅助装置
CN116853963A (zh) * 2023-05-31 2023-10-10 中铁二局集团有限公司 一种斜拉桥主梁的吊装装置及吊装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8526B1 (ko) 2011-09-08 2012-03-12 주식회사 한진중공업 강재 주탑 가설공법 및 리프팅 프레임 철거공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8526B1 (ko) 2011-09-08 2012-03-12 주식회사 한진중공업 강재 주탑 가설공법 및 리프팅 프레임 철거공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98089A (zh) * 2018-08-21 2018-12-28 中国十七冶集团有限公司 一种悬索桥塔塔顶主索鞍吊装装置及施工方法
CN112942109A (zh) * 2021-01-14 2021-06-11 中铁七局集团武汉工程有限公司 独塔自锚式悬索桥主索鞍安装方法
CN113322816A (zh) * 2021-05-23 2021-08-31 中铁九桥工程有限公司 一种关于多接口梁塔匹配精度控制方法及装置
CN113322816B (zh) * 2021-05-23 2022-07-15 中铁九桥工程有限公司 一种关于多接口梁塔匹配精度控制方法及装置
CN113684758A (zh) * 2021-09-07 2021-11-23 中国铁建大桥工程局集团有限公司 一种自锚式悬索桥施工辅助装置
CN113684758B (zh) * 2021-09-07 2023-12-05 中国铁建大桥工程局集团有限公司 一种自锚式悬索桥施工辅助装置
CN113668406A (zh) * 2021-09-26 2021-11-19 河南国基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市政施工预制桥墩架设装置及其架设方法
CN116853963A (zh) * 2023-05-31 2023-10-10 中铁二局集团有限公司 一种斜拉桥主梁的吊装装置及吊装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40837A (ko) 상탑 설치를 위해 주탑에 가설되는 헤비 리프팅장치
CN111038940B (zh) 一种轨道式用于吊装运输的牵引系统
CN104695752B (zh) 快速抢修塔系统及其架设方法
JP2009287312A (ja) 橋梁の架設装置
CN104831632B (zh) 一种桥梁索塔上横梁与下横梁施工方法
CN204626411U (zh) 一种桩基钢筋笼安装装置
CN104863374A (zh) 大跨度钢结构滑移机构及其滑移方法
CN209780193U (zh) 一种悬吊式脚手架
KR100627102B1 (ko) 리프팅트레블러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세그먼트교량상부시공방법
CN114232488A (zh) 一种大跨径斜拉桥主梁架设方法
CN212532065U (zh) 一种可不同高差场地使用的门式起重机
CN210316477U (zh) 附着式提升脚手架垂直度调整装置
CN110316662B (zh) 一种大跨度门式起重机安装施工方法
CN112681144B (zh) 钢索塔的自爬式安装方法
CN111364764A (zh) 一种滑移爬行器防倾覆体系及其施工方法
CN214362906U (zh) 钢索塔的自爬式安装系统
CN211645930U (zh) 隧道仰拱施工栈桥
CN212101770U (zh) 一种便于快速安拆的用于幕墙单元板块吊装的双轨道装置
JP2023078610A (ja) 鉄塔の腹材交換用仮補強部材及び腹材交換方法
CN112554074A (zh) 钢索塔的自爬式安装系统
KR101251051B1 (ko) 철골 빔 설치용 안전난간대
KR20210000005A (ko) 철로용 리프트 작업대
CN207244453U (zh) 一种悬索桥轻型锚碇门架装置
CN111776957B (zh) 一种支腿高度可调的门式起重机及其施工方法
CN220201147U (zh) 一种装配式构件转运吊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00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2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709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6120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709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042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4S01D

Patent event date: 2018010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11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7092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042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X06013S01I

Patent event date: 20161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