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2724A - System for checking leakage of underground pipe - Google Patents
System for checking leakage of underground pip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32724A KR20170032724A KR1020150130466A KR20150130466A KR20170032724A KR 20170032724 A KR20170032724 A KR 20170032724A KR 1020150130466 A KR1020150130466 A KR 1020150130466A KR 20150130466 A KR20150130466 A KR 20150130466A KR 20170032724 A KR20170032724 A KR 2017003272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nsing
- sensing module
- information
- intermediate processing
- processing uni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H—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01H17/00—Measuring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3/00—Therm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ent medium insofar as such details or accessories are not special to particular types of pressure gaug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 G01N27/0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of a liquid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15/00—Tags attached to, or associated with, an object, in order to enable detection of the object
Landscapes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Biochemistr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athology (AREA)
- Geophysic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누수 검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중에 매설되는 관로를 따라 관로의 일측 또는 관로의 이음부에 설치되고 지중 환경정보에 관한 센싱정보를 생성하는 복수의 센싱모듈; 일정 구역에 분포된 상기 센싱모듈과 제 1라인에 의해 연결되어 각 센싱모듈의 고유코드 및 센싱정보를 수집하고 각 센신모듈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중간처리부; 상기 중간처리부에서 수집된 각 센싱모듈의 고유코드 및 센싱정보를 전송받아 관로의 누수 여부를 검지하고 누수 발생시 해당 관로의 위치를 파악하는 중앙서버;를 포함하여 누수 여부와 누수 발생시 해당 관로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하여 즉각적인 유지보수가 가능하며 설치가 용이하여 시공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는 센싱모듈이 적용되는 매설관로의 누수 검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leakage detect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water leakage detection system which includes a plurality of sensing modules installed at one side of a pipeline along a pipeline buried in the ground or at a joint of pipelines and generating sensing information on underground environmental information; An intermediate processing unit connected to the sensing module, which is distributed in a predetermined area, through the first line to collect the inherent code and sensing information of each sensing module and supply power to each sensing module; And a central server for receiving the inherent code and sensing information of each sensing module collected by the intermediate processing unit and detecting whether or not the duct is leaking and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duct when a leak occurs, And more particularly, to a leak detection system for a buried pipe in which a sensing module having an advantage of being able to accurately grasp and perform maintenance immediately, and being easy to install and having improved workability.
Description
본 발명은 누수 검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매설된 관로 또는 새로 매설되는 관로에 설치되어 누수 여부를 검지하고 누수 발생시 해당 지점을 파악하여 즉각적인 유지보수 등의 대응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센싱모듈이 적용되는 매설관로의 누수 검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leakage detect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water leakage detection system which is installed in a paved line or a newly installed pipeline, detects leakage, detects a point at the time of occurrence of leakag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ak detection system for a buried pipe to which a module is applied.
기후변화에 의한 강우의 편중성 증가와 인구증가 및 도시화로 인한 물 사용량 증가로 인해 수요와 공급의 불균형이 심화되는 상황에서 상수도관망의 관리는 수돗물(먹는물) 관리에 있어서 가장 기본이 되고 중요한 사항 중 하나이다.In the context of increasing unevenness of rainfall due to climate change and increasing population and water usage due to urbanization, the disparity of supply and demand is intensifying. Therefore, management of water supply network is one of the most basic and important matters in the management of tap water It is one.
일반적으로 상수도관망은 상수도시설의 약 70%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나 유지관리 미흡으로 인하여 관로의 노후화가 가속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용수를 공급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연간 누수손실량이 6.4억 ㎥(2010년 기준, 남강댐 저수량의 2.1배)이고, 지난 10년간 손실된 누수량은 75억 ㎥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In general, the water supply network accounts for about 70% of the water supply facilities, but the maintenance of the water supply network is inadequate. In Korea, the amount of water leakage during the process of supplying water is 640 million ㎥ (2.1 times that of Namkang dam in 2010), and the amount of water leaked in the last 10 years is 7.5 billion ㎥.
또한 관망의 노후화와 부적절한 공급체계에 의한 수돗물의 수질악화로 인하여 수돗물의 신뢰도는 저하되어 있는 상황이다.In addition, the reliability of tap water is deteriorating due to aging of pipe network and deterioration of water quality caused by improper supply system.
아울러, 가스 및 유류 공급의 목적으로 설치된 관망에 대해서도 누출의 관리는 그 손실량을 줄일 목적뿐 아니라 대형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서라도 필수적이다.In addition, the management of leaks is essential for the network to be installed for the purpose of gas and oil supply, not only to reduce the loss but also to prevent major accidents.
이러한 누수를 검지하기 위해 종래에 다양한 기술이 제시되는 바, 특히 상수도관의 경우를 살펴보면,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07-0005234호의 누수 센서가 제시된 바 있으나 이는 화학약품의 성분을 표시할 수 있는 필름을 관로 등에 감아서 화학약품의 누수를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써, 이러한 방식의 경우 광범위한 상수도관망에 적용시키기에는 설치 비용 및 공사 기간이 과도하게 소요되게 되고, 아울러 누수 지점에 대한 정밀한 검지가 어려운 문제점이 남게 된다.In order to detect such leakage, a variety of techniques have been proposed in the past.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water pipe, a leakage sensor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07-0005234 has been proposed. However, Is installed to detect the leakage of the chemical by winding it on a pipe or the like. In this case, the installation cost and the construction period are excessively required to be applied to a wide range of waterworks pipe network, and it is difficult to precisely detect the leakage point This will remain.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대규모의 관망에서 누수 발생시 누수지점을 즉각적으로 검지할 수 있어 관망에서 손실되는 누수량을 절감시킴과 아울러 설치가 용이하여 시공성이 우수한 센싱모듈이 적용되는 매설관로의 누수 검지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함이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t least partially solve the problems in the conventional technology.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ater-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eak detection system for a buried pipe to which an excellent sensing module is applied.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센싱모듈이 적용되는 매설관로의 누수 검지 시스템은 지중에 매설되는 관로를 따라 관로의 일측 또는 관로의 이음부에 설치되고 지중 환경정보에 관한 센싱정보를 생성하는 복수의 센싱모듈; 일정 구역에 분포된 상기 센싱모듈과 제 1라인에 의해 연결되어 각 센싱모듈의 고유코드 및 센싱정보를 수집하고 각 센싱모듈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중간처리부; 상기 중간처리부에서 수집된 각 센싱모듈의 고유코드 및 센싱정보를 전송받아 관로의 누수 여부를 검지하고 누수 발생시 해당 관로의 위치를 파악하는 중앙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 leakage detection system of a buried pipe to which a sensing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s installed at a joint of a pipe or a pipe along a pipe buried in the ground, and generates sensing information about underground environmental information A plurality of sensing modules; An intermediate processing unit connected to the sensing module, which is distributed in a predetermined area, through the first line, collects unique code and sensing information of each sensing module, and supplies power to each sensing module; And a central server for receiving the inherent code and sensing information of each sensing module collected by the intermediate processing unit to detect whether the duct is leaking or not and to locate the duct when a leak is generated.
일례로써, 상기 센싱모듈은 온도센서, 습도센서, 압력센서, 진동센서 중 하나 이상이 적용되는 센싱부; 각 센싱모듈마다 고유코드를 부여받아 저장하고 상기 센싱부를 통해 생성된 센싱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제 1라인을 통해 상기 중간처리부로 전달하는 데이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For example, the sensing module may include a sensing unit to which at least one of a temperature sensor, a humidity sensor, a pressure sensor, and a vibration sensor is applied; And a data unit for receiving and storing a unique code for each sensing module, collecting sensing information generated through the sensing unit, and transmitting the collected sensing information to the intermediate processing unit via the first line
다른 예로써, 상기 센싱모듈은 온도센서, 습도센서, 압력센서, 진동센서 중 하나 이상이 적용되는 센싱부; 복수의 센싱모듈마다 고유코드를 부여하여 저장되고 상기 센싱부를 통해 생성된 센싱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제 1라인을 통해 상기 중간처리부로 전달하는 데이터부; 상기 센싱모듈이 설치된 관로의 위치정보 및 관로정보가 저장되고 지상의 판독기와 전파를 통해 통신하는 RFID태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As another example, the sensing module may include a sensing unit to which at least one of a temperature sensor, a humidity sensor, a pressure sensor, and a vibration sensor is applied; A data unit which stores a unique code assigned to each of a plurality of sensing modules, collects sensing information generated through the sensing unit, and transmits the collected sensing information to the intermediate processing unit via the first line; And an RFID tag that stores positional information and channel information of a channel in which the sensing module is installed and communicates with a reader on the ground through a radio wave.
이때, 상기 센싱부, 데이터부 및 RFID태그는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중간처리부로부터 상기 제 1라인을 통해 각각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In this case, the sensing unit, the data unit, and the RFID tag are integrally coupled to receive power from the intermediate processing unit through the first line.
또한, 상기 RFID태그는 상기 센싱부 및 데이터부의 상측에 이격 배치되되, 상기 RFID태그는 지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유지되는 것이 특징이다.Further, the RFID tag is spaced apart from the sensing unit and the data unit, and the RFID tag is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아울러, 상기 RFID태그는 상기 중간처리부와 제 2라인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In addition, the RFID tag is configured to receive power from the intermediate processing unit and the second lin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센싱모듈이 적용되는 매설관로의 누수 검지 시스템은 센싱부, 데이터부 및 RFID태그가 하나의 모듈로 구성되는 센싱모듈로부터 생성된 센싱정보 및 관로정보를 통해 누수 여부와 누수 발생시 해당 관로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하여 즉각적인 유지보수가 가능하며 설치가 용이하여 시공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leakage detection system of the buried pipe to which the sensing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he leakage information can be obtained through the sensing information and the pipe information generated from the sensing module, the data module, and the sensing module,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grasp the position of the pipeline in the event of leakage, and to perform maintenance immediatel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누수 검지 시스템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센싱모듈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센싱모듈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누수 검지 시스템에 도 3의 센싱모듈이 적용된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누수 검지 시스템에 도 3의 센싱모듈이 적용된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누수 검지 시스템에 도 3의 센싱모듈이 적용된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누수 검지 시스템에 디지털유량계가 적용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water leakage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sensing module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shows another embodiment of a sensing module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sensing module of FIG. 3 is applied to the leakage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in which the sensing module of FIG. 3 is applied to the leakage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in which the sensing module of FIG. 3 is applied to the leakage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digital flow meter is applied to a water leakage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to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basis that the inventor can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a term in order to best explain his invention It should be constru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누수 검지 시스템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센싱모듈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센싱모듈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누수 검지 시스템에 도 3의 센싱모듈이 적용된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누수 검지 시스템에 도 3의 센싱모듈이 적용된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누수 검지 시스템에 도 3의 센싱모듈이 적용된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leakage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sensing module which is a constitu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sensing module of FIG. 3 is applied to the leakage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in which the sensing module of FIG. 3 is applied to the leakage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in which the sensing module of FIG. 3 is applied to the leakage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센싱모듈이 적용되는 매설관로의 누수 검지 시스템은 기매설된 관로 또는 새로 매설되는 관로에 용이하게 설치 가능한 것으로, 관로 주변의 누수 여부를 검지하여 누수 발생시 해당 지점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어 누수가 발생된 관로에 대한 즉각적인 유지보수 등의 대응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The leak detection system of a buried pipe to which the sensing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can be easily installed in a buried pipe or a newly buried pipe, and it can detect the leakage around the pipe, Such as the maintenance of the pipeline in which the gas is generated.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센싱모듈이 적용되는 매설관로의 누수 검지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싱모듈(100), 중간처리부(200) 및 중앙서버(30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As shown in FIG. 1, the leakage detection system of a buried pipe to which the sensing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ncludes a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센싱모듈(100)은 지중에 매설되는 관로(1)를 따라 다수 개가 설치되는 것으로, 관로(1)의 일측, 관로(1) 내부 또는 관로(1)의 이음부 등에 설치되어 관로(1) 주변의 온도, 습도 등을 측정하거나 또는 관로(1) 내부에 흐르는 유체의 압력, 관로(1)에 발생하는 진동 등을 측정하도록 구성된다.As shown in the figure, a plurality of
상기 중간처리부(200)는 일정 구역에 분포된 다수의 센싱모듈(100)과 제 1라인(10)에 의해 연결되는 것으로 센싱모듈(100)로부터 생성된 각종 센싱정보를 수집하도록 구성된다.The
이때, 관리자는 상기 중간처리부(200) 또는 이하의 중앙서버(300)를 통해 각 센싱모듈(100) 마다 고유코드를 부여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이는 일례로 관로(1)를 따라 설치되는 센싱모듈(100)을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센싱모듈(100-1), 제 2센싱모듈(100-2), ... 제 n센싱모듈(100-n) 등으로 구분할 수 있게 되어 관로(1)의 누수 발생시 상기 고유코드를 통해 해당 관로(1)의 위치 추적이 가능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administrator may be configured to assign a unique code to each
또한, 상기 중간처리부(200)는 상기 제 1라인(10)을 통해 각 센싱모듈(100)로 전원을 공급시키게 되며, 아울러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라인(10)을 통해 각 센싱모듈(100)에서 생성된 센싱정보가 상기 중간처리부(200)에 전달 되도록 구성된다.The
상기 중앙서버(300)는 상기 중간처리부(200)에서 수집된 각 센싱모듈(100)의 고유코드값과 센싱정보값을 전달받아 관로(1)의 누수 여부 및 누수 위치를 검지하게 되는데, 이는 일례로 지중의 관로(1)를 따라 설치되는 센싱모듈(100)의 온도 및 습도 값이 일정하다가 특정 센싱모듈(100)의 온도 및 습도값에 변화가 발생할 경우, 즉 이웃하는 센싱모듈(100)과 비교하여 온도가 낮거나 습도가 높을 경우 해당 관로(1)에서 누수가 발생 됨을 검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
이렇게 누수가 검지될 경우 중앙서버(300)에서는 해당 센싱모듈(100)의 고유코드를 통해 관로(1)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게 되므로 즉각적인 유지보수가 가능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leak is detected, the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센싱모듈(100)에 대한 다양한 실시 예들을 살펴본다.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먼저, 도 2를 참조하여 센싱모듈(100)의 제 1실시 예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First, the first embodiment of the
본 실시 예에 따른 센싱모듈(1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센싱부(110) 및 데이터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상기 센싱부(110)는 온도센서, 습도센서, 압력센서 및 진동센서 중 하나 이상이 적용되는 것으로, 이때, 온도센서 및 습도센서의 경우에는 함께 적용시킴이 바람직한 바, 이는 특정 관로(1)에 누수가 발생할 경우 토양 온도의 저하 및 습도의 증가값을 토대로 상기 중앙서버(300)에서는 보다 정확하게 관로(1)의 누수가 발생됨을 판단할 수 있게 되는데, 만약 온도센서 또는 습도센서 중 하나만 적용된다면 누수가 아닌 다른 이유에 의해 토양의 온도가 낮아질 경우 관로(1)의 누수로 오판할 수도 있는 바, 이를 보완하기 위해 온도 및 습도 센싱값을 함께 비교함으로써 온도가 저하되더라도 습도값의 변화가 없을 경우 누수가 발생되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게 되므로 보다 정확한 누수 검지가 가능할 수 있게 된다.It is preferable that the
또한, 센싱모듈(100)이 관로(1)를 따라 분포되는 바, 우천 등에 의해 일정영역의 온도 및 습도값이 변할 경우에도 주변 센싱모듈(100)의 센싱정보 변화량과 비교하여 이를 누수의 발생으로 오인하지 않을 수 있게 된다.Also, when the
한편, 상기 센싱부(110)에 압력센서가 적용되는 경우, 압력센서는 관로(1) 내측에 설치되며 관로(1) 내부에서 유체의 흐름 시 일 구간의 압력과 타 구간의 압력 차이를 통해 중앙 서버에서는 해당 관로(1)의 누수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When a pressure sensor is applied to the
아울러, 상기 센싱부(110)에 진동센서가 적용되는 경우, 진동센서는 관로(1)의 일측 외면에 부착될 수 있으며, 진동센서로는 압전소자가 적용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vibration sensor is applied to the
상기 압전소자는 관로(1) 내에서 흐르는 유체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신호를 전기적 신호인 센싱정보로 변환하도록 구성된다.The piezoelectric element is configured to convert a vibration signal generated by a fluid flowing in the conduit (1) into an electrical signal sensing information.
이는 도시된 바는 없으나 관로(1)에는 복수의 센싱모듈(100)이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고 각 설치지점별로 관로(1) 내부에 흐르는 유체의 진동신호인 센싱정보를 측정하게 되는데, 이렇게 누수 검지를 위해 진동신호를 측정하는 이유를 살펴보면, 관로(1)에 유체가 흐를 경우 압력에 의해 일정 주파수 대역의 진동신호가 발생하게 되고, 즉 관로(1)에 유체가 흐르지 않을 경우 진동신호는 발생하지 않고, 유체가 흐르게 되면 흐르는 양에 따라 진동신호의 크기가 변화되므로, 만약, 관로(1)에 균열이 일어나 누수가 발생하게 되면 누수 지점을 통과하기 전과, 누수 지점을 통과한 후에 흐르는 유체의 양에 차이가 발생하여 진동신호 역시 변화가 생기게 된다.Although not shown, a plurality of
따라서, 관로(1)의 진동신호를 상시 측정할 경우 관로(1)의 누수 여부를 검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when the vibration signal of the
이러한 압전소자로는 피에조 압전기(Piezo Electric), 피에조 세라믹(Piezo Ceramic), 피에조 수정(Piezo Quartz)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압전소자들은 정확도가 높고, 비교적 저가이기 때문에, 넓은 지역의 관로망에 복수로 설치하여도 설치비용에 부담이 없도록 할 수 있다.Piezoelectric, Piezo ceramic, Piezo quartz, etc. can be used as these piezoelectric elements. Since these piezoelectric elements are high in accuracy and relatively low in cos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nstallation cost from being burdensome even if a plurality of units are installed.
이어서, 상기 데이터부(120)는 각 센싱모듈(100)마다 부여된 고유코드를 저장하고, 또한 상기 센싱부(110)를 통해 생성된 다양한 센싱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제 1라인(10)을 통해 상기 중간처리부(200)로 전달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중앙서버(300)에서는 각 센싱모듈(100)마다 부여된 고유코드를 토대로 각 센싱모듈(100) 마다의 센싱정보를 구분하여 분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n, the
이때, 관리자는 각 센싱모듈(100)마다의 고유코드를 중앙서버(300) 또는 중간처리부(200)에 구비된 입력장치(미도시)를 통해 부여할 수 있게 되며, 관망의 증가 또는 감소 시, 해당 센싱모듈(100)에 부여된 고유코드에 대한 재부여 등 자유로운 편집이 가능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manager can assign a unique code for each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센싱모듈(100)의 제 2실시 예에 대해 살펴본다.Hereinafter, a second embodiment of the
본 실시 예에 따른 센싱모듈(100)은 상기 제 1실시 예에서와 같이 센싱부(110) 및 데이터부(120)를 포함하고 아울러 RFID태그(130)가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상기 RFID태그(130)는 상기 센싱모듈(100)이 설치된 관로(1)의 위치정보 및 관로정보가 저장되고 지상의 판독기(30)와 전파를 통해 통신하도록 구성된다.The
여기서 관로정보라 함은 관로(1) 마다의 매설 날짜, 매설 기관, 매설 깊이, 매설 위치, 매설 방향, 재질, 직경, 생산 정보 등의 고유정보를 뜻하는 것으로 상기 관로정보를 토대로 추후에 관로(1) 수리 및 교체 작업시 보다 신속한 작업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Here, the pipeline information refers to unique information such as a date of burial, a burial engine, a burial depth, a burial position, a burial direction, a material, a diameter, and production information for each pipeline (1). Based on the pipeline information, 1) It is possible to provide faster operation information during repair and replacement work.
또한 상기 판독기(30)는 상기 RFID태그(130)의 상측에 배치되어 RFID태그(130)로부터 해당 관로(1)의 위치정보 및 관로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판독기(30)가 중앙서버(300)와 통신하도록 구성하여 RFID태그(130)로부터 수신된 관로(1)의 위치정보 및 관로정보는 상기 중앙서버(300)에 전달하도록 구성된다.The
상기와 같은 구성에 기해 상기 중앙서버(300)에서는 센싱부(110)의 센싱정보와 RFID태그(130)의 관로정보 및 관로(1) 위치정보를 통해 누수 발생시 해당 관로(1)의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검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본 실시 예에 따른 센싱모듈(100)은 상기 센싱부(110), 데이터부(120) 및 RFID태그(130)가 하나의 모듈로서 일체 구성됨이 특징인 것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라인(10)을 통해 데이터부(120)에서 수집된 센싱정보 및 고유코드가 상기 중간처리부(200)로 전송되게 되며, 아울러 상기 제 1라인(10)을 통해 상기 센싱부(110) 및 RFID태그(130)에 전력이 공급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
이하, 본 실시 예에 따른 센싱모듈(100)이 적용된 예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example in which the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센싱모듈(100)은 센싱부(110), 데이터부(120) 및 RFID태그(130)가 일체로 구성되는 하나의 모듈 개념으로써 제 1라인(10)을 통해 상호 간에 통신 및 전원 공급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상기 중앙서버(300)에서는 중간처리부(200)를 통해 센싱정보를 전달받고 판독기(30)를 통해 상기 센싱정보와 매칭되는 관로(1)의 위치정보 및 관로정보를 전달받아 관로(1)의 누수 여부를 검지하고 누수 발생시 해당 관로(1)를 즉각적으로 판별하여 신속한 유지보수가 가능할 수 있게 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한편, 도 5에서는 상기 RFID태그(130)가 상기 센싱부(110) 및 데이터부(120)의 상측에 이격 배치되는 예를 나타낸 것으로, 이는 지중에 매설되는 관로(1)이 지형 및 지반환경 등에 따라 지면으로부터 그 깊이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는 바, 전파를 통해 지상의 판독기(30)와의 원활한 통신을 위해 비교적 지상에 가까운 지중에 RFID태그(130)가 지면으로부터 일정 간격이 유지되도록 매설 되도록 하여 지중에 매설된 RFID태그(130)로부터 정보 수신이 원활할 수 있게 된다.5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이때, 상기 센싱부(110) 및 데이터부(120)는 상기 중간처리부(200)와 제 1라인(10)으로 연결되어 데이터부(120)와 중간처리부(200) 간의 통신 및 센싱부(110) 및 데이터부(120)로의 전력 공급이 수행될 수 있게 되며, 상기 RFID태그(1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간처리부(200)와 제 2라인(20)으로 연결되어 RFID태그(130)에 전력이 상시 공급되도록 구성시킴이 바람직하다.The
상기 실시 예에 의하면 RFID태그(130)에 상시 전원공급이 가능하여 RFID태그(130)의 배터리 교환 등이 불필요하여 반영구적인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since it is possible to supply power to the
한편, 도 6에서는 상기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RFID태그(130)가 상기 센싱부(110) 및 데이터부(120)의 상측에 이격배치되되, 지상의 판독기(30)에서 관로정보를 요청할 경우 RFID태그(130)는 저장된 관로정보를 판독기(30)에 전달하도록 구성된다.6, the
이러한 본 실시 예에 따른 RFID태그(130)는 다양한 시공환경에 있어서 설치가 용이한 장점이 있게 되나, 지중에서 압력 및 충격 등으로부터 파손되지 않도록 별도의 보호케이스(미도시)에 의해 감싸지도록 구성시킴이 바람직하다.The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센싱모듈이 적용되는 매설관로의 누수 검지 시스템에 유량계(400)가 더 적용되는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example in which the
상기 유량계(4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간처리부(200)에 연결되는 것으로, 여기서 중간처리부(200)는 일정 구역마다 하나씩 배치되어 일정 구역 내의 센싱모듈(100)에서 수집된 센싱정보 및 고유코드를 중앙서버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바, 상기와 마찬가지로 유량계(400)는 일정 구역 내 관로에 설치되어 일정 구역을 통과하는 관로 내 유량의 합을 측정한 유량값을 수집하고 수집된 유량값은 중간처리부(200)를 거쳐 중앙서버(300)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여기서 유량계(400)는 관로 내 유량을 측정하는 다양한 방식의 유량계가 적용 가능한 것으로, 본 실시 예에서는 아나로그 방식과 디지털 방식의 유량계가 모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Here, the
상기와 같은 구성에 기해, 관로로 연결되는 일정 구역과 또 다른 일정 구역 간 유량값을 비교하여 상호 간 유량값의 차이가 발생할 경우 1차적으로 해당 구역의 누수 발생을 의심할 수 있게 되므로, 이후 1차적 의심 구역 내에 센싱모듈(100)을 통해 전술하였던 실시 예에 의한 정밀 누수 확인 작업을 진행토록 하여 보다 효율적인 누수 검지 시스템을 운용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when a flow rate value is compared between a certain area connected to a pipeline and another predetermined area, it is possible to suspect the occurrence of a leak in the corresponding area when there is a difference in flow value between them. A more accurate leak detection system can be operated by allowing the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right.
1 : 관로
10 : 제 1라인
20 : 제 2라인
30 : 판독기
100 : 센싱모듈
200 : 중간처리부
300 : 중앙서버
400 : 유량계1: Pipeline 10:
20: second line 30: reader
100: sensing module 200: intermediate processor
300: central server 400: flow meter
Claims (7)
일정 구역에 분포된 상기 센싱모듈과 제 1라인에 의해 연결되어 각 센싱모듈의 고유코드 및 센싱정보를 수집하고 각 센싱모듈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중간처리부;
상기 중간처리부에서 수집된 각 센싱모듈의 고유코드 및 센싱정보를 전송받아 관로의 누수 여부를 검지하고 누수 발생시 해당 관로의 위치를 파악하는 중앙서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싱모듈이 적용되는 매설관로의 누수 검지 시스템.
A plurality of sensing modules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pipeline along the pipeline buried in the ground or at a joint part of the pipeline to generate sensing information on the underground environmental information;
An intermediate processing unit connected to the sensing module, which is distributed in a predetermined area, through the first line, collects unique code and sensing information of each sensing module, and supplies power to each sensing module;
A central server for receiving a unique code and sensing information of each sensing module collected by the intermediate processing unit to detect whether the pipeline is leaking, and to locate the pipeline when a leak occurs;
And a sensing module for sensing the leakage of the buried channel to which the sensing module is applied.
상기 센싱모듈은
온도센서, 습도센서, 압력센서, 진동센서 중 하나 이상이 적용되는 센싱부;
각 센싱모듈마다 고유코드를 부여받아 저장하고 상기 센싱부를 통해 생성된 센싱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제 1라인을 통해 상기 중간처리부로 전달하는 데이터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싱모듈이 적용되는 매설관로의 누수 검지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nsing module
A sensing unit to which at least one of a temperature sensor, a humidity sensor, a pressure sensor, and a vibration sensor is applied;
A data unit for receiving and storing a unique code for each sensing module, collecting sensing information generated through the sensing unit, and transmitting the collected sensing information to the intermediate processing unit via the first line;
And a sensing module for sensing the leakage of the buried channel to which the sensing module is applied.
상기 센싱모듈은
온도센서, 습도센서, 압력센서, 진동센서 중 하나 이상이 적용되는 센싱부;
복수의 센싱모듈마다 고유코드를 부여하여 저장되고 상기 센싱부를 통해 생성된 센싱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제 1라인을 통해 상기 중간처리부로 전달하는 데이터부;
상기 센싱모듈이 설치된 관로의 위치정보 및 관로정보가 저장되고 지상의 판독기와 통신하는 RFID태그;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싱모듈이 적용되는 매설관로의 누수 검지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nsing module
A sensing unit to which at least one of a temperature sensor, a humidity sensor, a pressure sensor, and a vibration sensor is applied;
A data unit which stores a unique code assigned to each of a plurality of sensing modules, collects sensing information generated through the sensing unit, and transmits the collected sensing information to the intermediate processing unit via the first line;
An RFID tag for storing positional information and channel information of a channel provided with the sensing module and communicating with a reader on the ground;
And a sensing module for sensing the leakage of the buried channel to which the sensing module is applied.
상기 센싱부, 데이터부 및 RFID태그는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중간처리부로부터 상기 제 1라인을 통해 각각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싱모듈이 적용되는 매설관로의 누수 검지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ensing unit, the data unit, and the RFID tag are integrally coupled to receive power from the intermediate processing unit through the first line.
상기 RFID태그는 상기 센싱부 및 데이터부의 상측에 이격 배치되되, 상기 RFID태그는 지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싱모듈이 적용되는 매설관로의 누수 검지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RFID tag is spaced apart from the sensing unit and the data unit, wherein the RFID tag is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surface.
상기 RFID태그는 상기 중간처리부와 제 2라인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싱모듈이 적용되는 매설관로의 누수 검지 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RFID tag is configured to receive power through the intermediate processing unit and the second line.
상기 중간처리부에는 하나 이상의 유량계가 연결되되,
상기 유량계는
일정 구역 내의 관로에 하나 이상 설치되며, 관로 내 흐르는 유량의 합을 측정한 유량값을 상기 중간처리부로 전달하고,
상기 중간처리부에서는 측정된 유량값을 상기 중앙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중앙서버에서는 상기 중간처리부 마다의 유량값을 비교하여 일정 구역 내에 누수 여부를 파악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싱모듈이 적용되는 매설관로의 누수 검지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ne or more flow meters are connected to the intermediate processing unit,
The flow meter
One or more flow rate values, which are measured at the sum of the flow rates in the pipeline, are transmitted to the intermediate processing section,
The intermediate processing unit transmits the measured flow rate value to the central server,
Wherein the central server is configured to compare the flow rate value of each intermediate processing unit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leak is within a predetermined area.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30466A KR101759200B1 (en) | 2015-09-15 | 2015-09-15 | System for checking leakage of underground pip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30466A KR101759200B1 (en) | 2015-09-15 | 2015-09-15 | System for checking leakage of underground pip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32724A true KR20170032724A (en) | 2017-03-23 |
KR101759200B1 KR101759200B1 (en) | 2017-07-18 |
Family
ID=58496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30466A Active KR101759200B1 (en) | 2015-09-15 | 2015-09-15 | System for checking leakage of underground pip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59200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35511B1 (en) | 2021-12-22 | 2023-05-26 |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 Integrity evalu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bonding materials for high temperature |
CN119515112A (en) * | 2025-01-16 | 2025-02-25 | 中冶建筑研究总院有限公司 | Real-time monitoring and early warning method for leakage state of long-line type public facilities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065717A (en) | 2022-11-07 | 2024-05-14 | 주식회사 정이노베이션 | Apparatus for detecting water leakage of buried pipeline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70005234A (en) | 2005-07-05 | 2007-01-10 | 삼성전자주식회사 | Leak Sensors and Leak Detection Systems |
-
2015
- 2015-09-15 KR KR1020150130466A patent/KR101759200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70005234A (en) | 2005-07-05 | 2007-01-10 | 삼성전자주식회사 | Leak Sensors and Leak Detection Systems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35511B1 (en) | 2021-12-22 | 2023-05-26 |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 Integrity evalu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bonding materials for high temperature |
CN119515112A (en) * | 2025-01-16 | 2025-02-25 | 中冶建筑研究总院有限公司 | Real-time monitoring and early warning method for leakage state of long-line type public facilitie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59200B1 (en) | 2017-07-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96675B1 (en) | System for checking leakage of underground pipe | |
KR101899112B1 (en) | Real-time leak detection system for ICT-based water distribution | |
KR101803453B1 (en) | System for checking leakage of underground | |
US8072340B2 (en) | Water leakage monitoring system | |
JP4314038B2 (en) | Method for estimating anomalous locations in fluid transport pipe networks | |
KR101759201B1 (en) | Sensing module for checking leakage of underground pipe | |
KR102293302B1 (en) | An apparatus for detecting leakage and a system thereof | |
KR101535286B1 (en) | System for checking leakage of water pipe | |
Ismail et al. | Water pipeline monitoring system using vibration sensor | |
WO2012068037A2 (en) | System for monitoring structural assets | |
KR20230086144A (en) | System for monitoring leakage piping of underground and buried pipe | |
KR101759200B1 (en) | System for checking leakage of underground pipe | |
KR20200073563A (en) | Water leak detecting system of water pipe network | |
KR101185368B1 (en) | Leak detection apparatus | |
KR101762614B1 (en) | Monitoring Equipment for water supply pipe | |
KR20220061559A (en) | Support device for watching leakage water supply and sewerage facilities | |
KR20160085116A (en) | Apparatus for checking leakage of water pipe | |
KR101173637B1 (en) | A leak measuring method and system for hermetic pipeline | |
KR20020045430A (en) | Water leakout detection and monitoring system | |
CN114110443A (en) | Intelligent detection method for singular point characteristics of fluid transmission pipeline | |
CN107621293A (en) | Underground high-precision gas ultrasonic flow rate measurement apparatus and measuring method | |
CN115234847B (en) | Methods for locating leaks in water supply networks | |
AU2012202785A1 (en) | Monitoring hydrocarbon fluid flow | |
KR101449989B1 (en) | Detection apparatus for leakage of tap water pipe and processing method for detection leakage sign of tap water pipe | |
JP2005331242A (en) | How to measure the amount of subsidence on the roa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91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1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53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7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07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71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4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5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8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61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