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70032426A - 장치 장착 시스템 - Google Patents

장치 장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2426A
KR20170032426A KR1020177004452A KR20177004452A KR20170032426A KR 20170032426 A KR20170032426 A KR 20170032426A KR 1020177004452 A KR1020177004452 A KR 1020177004452A KR 20177004452 A KR20177004452 A KR 20177004452A KR 20170032426 A KR20170032426 A KR 201700324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
track
defibrillator
quick
mount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4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티모씨 파울 슈뢰더
제임스 씨. 웨스트
로버트 씨. 친
피터 스몰란
미첼 베큘라
레디슬라브 터렉
Original Assignee
페르노-와싱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페르노-와싱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페르노-와싱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700324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2426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6Securing of load
    • B60P7/08Securing to the vehicle floor or sides
    • B60P7/0807Attachment points
    • B60P7/0815Attachment rails or trell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41Allowing quick release of the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2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 F16M11/1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with ball-joi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007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 F16M11/2035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in more than one direction
    • F16M11/2078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in more than one direction with ball-joi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 F16M13/02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reposition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2/00Accommodation for nursing, e.g. in hospitals, not covered by groups A61G1/00 - A61G11/00, e.g. trolleys for transport of medicaments or food; Prescription lists
    • A61G12/002Supply appliances, e.g. columns for gas, fluid, electricity supply
    • A61G12/005Supply appliances, e.g. columns for gas, fluid, electricity supply mounted on the wal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3/00Ambulance aspects of vehicles; Vehicle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transpor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r their personal conveyances, e.g. for facilitating access of, or for loading, wheelchai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 B60Y2200/116Ambul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Machine Tool Units (AREA)
  • Bearings For Parts Moving Linearly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 Snaps, Bayonet Connections, Set Pins, And Snap Ring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Hooks, Suction Cups, And Attachment By Adhesive Means (AREA)
  • Paper (AREA)
  • Manipulator (AREA)
  • Input Circuits Of Receivers And Coupling Of Receivers And Audio Equipment (AREA)
  • Roof Covering Using Slabs Or Stiff Sheets (AREA)
  • Toys (AREA)

Abstract

장치 장착 시스템은 표면 또는 구조체에 연결되는 테이퍼진 에지(3611, 3612)를 갖는 신속 마운트 트랙(11)을 포함한다. 신속 마운트 트랙은 뒷받침 플레이트(15), 신속 마운트 트랙에 연결된 마운트(50) 상에 작용되는 어떠한 힘도 직접적으로 상기 신속 마운트 트랙을 통해서 하나 이상의 장착 지점에 전달되도록 위치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장착 지점을 포함한다. 신속 마운트 트랙은 또한 신속 마운트 트랙과 표면 사이에 시일을 생성하고 유지하는 동일 평면 장착 표면(3610)을 포함하고, 그리고 체이스(3605)는 상기 동일 평면 장착 표면에 의해서 정의되고 상기 신속 마운트 트랙에 배치된다. 뒷받침 플레이트의 복수의 다이아몬드 윤곽 타겟 영역(13) 및 복수의 반 다이아몬드 윤곽 영역은 마운트를 신속 마운트 트랙에 연결하는 것을 돕는다.

Description

장치 장착 시스템{EQUIPMENT MOUNTING SYSTEM}
관련출원의 교차 참조
이 출원은 미국 가출원 번호 62/026,515 (2014년 7월 18일 출원 및 "Equipment Mounting System"의 타이틀)의 이익을 청구한다. 이 출원은 미국 가출원 61/763,045 (2013년 2월 11일 출원 그리고 “Equipment Mounting System”의 타이틀); PCT 출원 번호 US 2014/015,897(2014년 2월 11일 출원, 그리고 “Equipment Mounting System”의 타이틀); 대리인 다켓(attorney docket) 번호 FER 0534 IA에 대한 출원(2014년 8월 8일 출원, 그리고 “Equipment Mounting System”의 타이틀); 및 대리인 다켓 번호 FER 0533 WO에 대한 PCT 출원(2014년 8월 8일 출원, 그리고 “A Crash-Ready, Portable, Compartmentalization Device”의 타이틀)에 관련된다.
본 명세서는 전체적으로 구조체에 다양한 구성의 장치를 장착하기 위한 장치 장착 시스템에 관한 것이고, 그리고 좀 더 구체적으로, 차량에 그리고 구조체 상에 장치를 장착하기 위한 트랙 장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벽과 같은 구조체 상에 장치 및 디바이스를 장착하는 것은 이러한 장치 및 디바이스를 고정하기 위한 이 구조체 상의 제조자의 장착 위치에 의존적이다. 이것은, 시간 소비적이고 노동력 집약적일 수도 있는 이 특정 위치에 장착할 각각의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 대한 개별적인 조정을 요구할 수도 있다. 또한, 만약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이동되는 것이 요구되면, 새로운 장소에 장치 또는 디바이스를 재-장착하기 위해서 시간 및 노력의 양이 증가된다. 장치 및 디바이스를 개별적으로 변경하는 노력의 양은 모바일 적용에 대해서 증가된다.
따라서, 구조적 적용을 위해서 벽 상에 또는 모바일 적용을 위한 차량 주위 및 곳곳에서 장치 또는 디바이스를 용이하게 재배치하고 고정하는 대안적인 접근법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장치 장착 시스템은 표면 또는 구조체에 연결되는 테이퍼진 에지를 갖는 신속 마운트 트랙을 포함한다. 신속 마운트 트랙은 뒷받침 플레이트, 신속 마운트 트랙에 연결된 마운트 상에 작용되는 어떠한 힘도 직접적으로 사기 신속 마운트 트랙을 통해서 하나 이상의 장착 지점에 전달되도록 위치되는 하나 이상의 장착 지점을 포함한다. 신속 마운트 트랙은 또한 신속 마운트 트랙과 표면 사이에 시일을 생성하고 유지하는 동일 평면 장착 표면을 포함하고, 그리고 체이스는 상기 동일 평면 장착 표면에 의해서 정의되고 상기 신속 마운트 트랙에 배치된다. 뒷받침 플레이트의 복수의 다이아몬드 윤곽 타겟 영역 및 복수의 반 다이아몬드 윤곽 영역은 마운트를 신속 마운트 트랙에 연결하는 것을 돕는다.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형태에 의해서 제공되는 이 특징 및 추가적인 특징은 도면과 함께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비추어 더욱 충분히 이해될 것이다.
도면에서 제공되는 실시형태는 본질적으로 도해적이고, 그리고 청구항에 의해서 정의되는 주제를 한정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도해적인 실시형태의 다음 상세한 설명은, 다음 도면과 함께 읽혀질 때 이해될 수 있으며, 도면에서 같은 구조체는 같은 참조 부호로 표시되고, 여기서:
도 1은 여기서 도시되고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른 트랙의 등각도를 도시하고;
도 2는 여기서 도시되고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른 트랙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3은 여기서 도시되고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른 마운트의 후방 등각도를 도시하고;
도 4는 여기서 도시되고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른 장착 플레이트 및 트랙의 연관된(in-phase) 구성을 도시하고;
도 5는 여기서 도시되고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른 장착 플레이트 및 트랙의 비연관된(out-of-phase) 구성을 도시하고;
도 6은 여기서 도시되고 설명되는 다른 실시형태에 전방 표면을 도시하는 전방 등각도를 도시하고;
도 7은 여기서 도시되고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른 릴리스 메커니즘의 내측 동작을 도시하고;
도 8은 여기서 도시되고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른 마운트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하고;
도 9는 여기서 도시되고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른 장치 인터페이스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고;
도 10a 및 도 10b는 여기서 도시되고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른 범용 어댑터를 도시하고;
도 10c는 여기서 도시되고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른 장치 인터페이스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하고;
도 11은 여기서 도시되고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른 자체 정렬 장착 시스템의 웨지 마운트를 도시하고;
도 12는 여기서 도시되고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른 웨지 마운트의 제1 칼라를 도시하고;
도 13은 여기서 도시되고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른 웨지 마운트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14는 여기서 도시되고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른 웨지 인터페이스의 정면도를 도시하고;
도 15는 여기서 도시되고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른 웨지 인터페이스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도 16a는 여기서 도시되고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른 웨지 인터페이스의 등각도를 도시하고;
도 16b는 여기서 도시되고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른 보울이 제거된 웨지 인터페이스의 저면도를 도시하고;
도 17은 여기서 도시되고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른 사용 위치에서의 폴딩 트레이를 도시하고;
도 18은 여기서 도시되고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른 사용 위치에서의 폴딩 트레이의 다른 동각도를 도시하고;
도 19는 여기서 도시되고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른 스위블 마운트의 등각도를 도시하고;
도 20은 여기서 도시되고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른 스위블 마운트의 다른 등각도를 도시하고;
도 21은 여기서 도시되고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른 사용 위치에서의 오버헤드 IV 후크를 도시하고;
도 22는 여기서 도시되고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른 저장 위치에서의 오버헤드 IV 후크를 도시하고;
도 23a 및 도 23b는 여기서 도시되고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른 IV 백 Velcro® 랩을 도시하고;
도 24는 여기서 도시되고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른 장치 트랙 마운트를 도시하고;
도 25는 여기서 도시되고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른 유지 후크를 도시하고;
도 26은 여기서 도시되고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른 IV 백 마운트를 도시하고;
도 27은 여기서 도시되고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른 복수의 타겟 개방 영역 및 비-타겟 개방 영역을 갖는 트랙을 도시하고;
도 28a 및 도 28b는 여기서 도시되고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른 신속 릴리스 트랙을 도시하고;
도 29는 여기서 설명되고 도시되는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른 복수의 락(lock) 홀을 갖는 트랙을 도시하고;
도 30은 여기서 설명되고 도시되는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른 중앙 슬롯을 갖지 않는 트랙을 도시하고;
도 31은 여기서 도시되고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른 트랙을 포함하는 벽 조립체를 도시하고;
도 32는 여기서 도시되고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른 서로 연쇄되는 복수의 벽 조립체를 도시하고;
도 33은 여기서 도시되고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른 벽 상에서 사용을 위한 캐비넷을 도시하고;
도 34는 여기서 도시되고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른 캐비넷의 후방측부를 도시하고;
도 35는 여기서 도시되고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른 벽에 장착되는 캐비넷을 도시하고;
도 36은 여기서 도시되고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른 비이클 캡(vehicle cab)을 도시하고;
도 37은 여기서 설명되고 도시되는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른 중앙 축선 둘레로 회전되는 잠금 핀 릴리스(release)를 갖는 웨지(wedge) 마운트를 도시하고;
도 38은 여기서 도시되고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른 범용 어댑터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하고;
도 39a 및 도 39b는 여기서 도시되고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른 신속 릴리스 클립을 도시하고;
도 40은 여기서 도시되고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른 트랙 클립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도 41은 여기서 도시되고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른 트랙 클립의 등각도이고;
도 42는 여기서 도시되고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른 트랙 클립의 평면도이고;
도 43은 여기서 도시되고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른 인게이지(engage) 위치에 있는 트랙 클립의 좌측 단면도이고;
도 44는 여기서 도시되고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른 인게이지해제(disengaged) 위치에 있는 트랙 클립의 좌측 단면도이고;
도 45는 여기서 도시되고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른 트랙 클립의 좌측 등각도이고;
도 45b는 여기서 도시되고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른 트랙에 연결되는 트랙 클립의 등각도이고;
도 46은 여기서 도시되고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른 벽 캐비넷의 등각도이고;
도 47은 여기서 도시되고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른 벽 캐비넷의 하나 이상의 디바이더를 도시하고;
도 48은 여기서 도시되고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른 디바이더 조립체의 우측 전방 등각도이고;
도 49는 여기서 도시되고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른 디바이더 조립체의 우측 하방 등각도이고;
도 50은 여기서 도시되고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른 저장 위치에서 디바이더 조립체를 도시하고;
도 51은 여기서 도시되고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른 락 핀을 도시하고;
도 52는 여기서 도시되고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른 벽 캐비넷 마운트의 등각도이고;
도 53은 여기서 도시되고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른 캐비넷 마운트의 단면 등각도이고;
도 54는 여기서 도시되고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른 캐비넷 마운트의 등각 단면도이고;
도 55는 여기서 도시되고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른 벽 캐비넷의 단면도이고;
도 56은 여기서 도시되고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른 트랙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하고;
도 57은 여기서 도시되고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른 트랙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도 58은 여기서 도시되고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른 트랙 키의 등각도이고;
도 59는 여기서 설명되고 도시되는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른 트랙 키에 의해서 단부-대-단부 연결되는 2개의 트랙의 등각도이고;
도 60은 여기서 설명되고 도시되는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른 단부-대-단부 연결되는 2개의 트랙의 전면도이고;
도 61은 여기서 도시되고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른 웨지 마운트의 다른 실시형태의 평면도이고;
도 62는 여기서 도시되고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른 랩탑 마운트의 전면도이고;
도 63은 여기서 도시되고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른 랩탑 마운트의 측면도이고;
도 64는 여기서 도시되고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른 랩탑 마운트의 후방 등각도이고;
도 65는 여기서 도시되고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른 랩탑 마운트의 전방 등각도이고;
도 66은 여기서 도시되고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른 트레이 마운트의 전면도이고;
도 67은 여기서 도시되고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른 트레이 마운트의 등각도이고;
도 68은 여기서 도시되고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른 산소 탱크 마운트의 전면도이고;
도 69는 여기서 도시되고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른 산소 탱크 마운트의 등각도이고;
도 70은 여기서 도시되고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른 산소 탱크 마운트의 후면도이고;
도 71은 여기서 도시되고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른 산소 탱크 마운트의 다른 실시형태의 전면도이고;
도 72는 여기서 도시되고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른 제세동기 마운트의 등각도이고;
도 73은 여기서 도시되고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른 제세동기 마운트의 다른 등각도이고;
도 74는 여기서 도시되고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른 죠 클램프의 등각도이고;
도 75는 여기서 도시되고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른 죠 클램프의 측면도이고;
도 76은 여기서 도시되고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른 압축 제세동기 마운트의 등각도이고;
도 77은 여기서 도시되고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른 압축 제세동기 마운트의 다른 등각도이고;
도 78은 여기서 도시되고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른 압축 제세동기 마운트의 다른 등각도이고;
도 79는 여기서 도시되고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른 제세동기 래치의 등각도이고;
도 80은 여기서 도시되고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른 트랙에 연결되는 제세동기 마운트의 측면도이고;
도 81은 여기서 도시되고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른 제세동기 액세서리 트레이의 좌측 등각도이고;
도 82는 여기서 도시되고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른 제세동기 액세서리 트레이의 우측 등각도이고;
도 83은 여기서 설명되고 도시되는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른 하나 이상의 액세서리 파우치 및 제세동기 액세서리 트레이의 분해도이고;
도 84는 트랙의 전면도이고, 후면도가 도 83의 거울 이미지이고;
도 85는 트랙의 우측 측면도이고, 좌측면도가 도 85의 거울 이미지이고;
도 86은 트랙의 평면도이고;
도 87은 트랙의 저면도이고;
도 88은 트랙의 전방, 좌측, 등각도이고;
도 89는 트랙의 상방, 좌측, 등각도이고;
도 90은 트랙의 상방, 우측, 등각도이고; 그리고
도 91은 개방 키홀 슬롯 구멍의 평면도이다.
다음 텍스트는 본 개시의 많은 상이한 실시형태의 전반적인 설명을 제공한다. 설명은 단지 도해적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고, 그리고 모든 가능한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것은, 불가능하지 않다면, 비실용적이기 때문에, 모든 가능한 실시형태를 설명하지 않고, 그리고 여기서 설명되는 임의의 특징부, 특성, 구성요소, 조성, 성분, 제품, 단계 또는 방법이 삭제되거나, 또는 여기서 설명되는 임의의 다른 특징부, 특성, 구성요소, 조성, 성분, 제품, 단계 또는 방법과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결합되거나, 또는 치환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다양한 대안적인 실시형태가, 또한 첨구항의 범위 내에 해당될 수도 있는 본 특허의 출원일 이후에 개발되는 기술 또는 현재의 기술을 사용하여 실시될 수도 있다.
이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장치 장착 시스템 또는 유사한 트랙 시스템에서 사용을 위한 트랙(10)의 일 실시형태가 도해된다. 복수의 트랙이 사용될 수 있으나, 동일한 장치 장착 시스템의 복수의 트랙이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한 특징부를 가질 수도 있으므로 단지 하나의 트랙(10)이 설명될 것이다. 또한, 트랙(10)의 사이즈, 형상 및/또는 구성이 트랙(10)에 장착될 장치 및 장착을 위한 표면의 사이즈에 따라서 변할 수 있다. 트랙(10)은 세장형 직각사각형 형상(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형상) 을 가질 수도 있는 뒷받침 플레이트(15) 및 뒷받침 플레이트(15)를 따라서 임의의 길이로 연장되는 3개의 슬롯을 포함한다. 3개의 슬롯은 제1 외측 슬롯(20), 중앙 슬롯(25), 및 제2 외측 슬롯(30) 일 수도 있다. 슬롯은 뒷받침 플레이트(15)의 길이 또는 실질적으로 길이를 따라서 연장되는 T-형상의 구멍으로서 도 2에서 가장 잘 보여진다. 3개의 슬롯은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하다. 각각의 슬롯(20, 25 및 30)은 넥다운(necked-down) 영역(40)에 인접한 일련의 개방 영역(35)을 가질 수도 있다. 어떤 실시형태에서, 개방 영역(35)은, 이들이 뒷받침 플레이트(15)의 길이를 따른 폭방향 행으로 정렬되고 등거리로 이격되도록 대칭적이다. 예를 들어, 제1 외측 슬롯(20)의 2개의 개방 영역(35) 및 제2 외측 슬롯(30)의 2 개의 개방 영역(35)은 약 127 밀리-미터(mm)(15 인치) 이격될 수도 있다. 127 mm 간격은 슬롯(제1 외측 슬롯(20) 또는 제2 외측 슬롯(30))에서 임의의 개수의 개방 영역(35)에 걸칠 수도 있다. 신축가능한 간격을 도해하기 위해서, 모든 3번째 개방 영역은 127mm 이격될 수도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모든 4번째 개방 영역은 127 mm 이격될 수도 있다. 127 mm 간격은 단지 예시 목적을 위한 것이고, 그리고 개방 영역(35)의 임의의 원하는 간격이 사용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슬롯(20, 25 및 30) 중 하나 이상의 개방 영역(35)은 모두 등간격이 아닐 수도 있고, 그리고/또는 나머지 슬롯의 나머지 확대된 개방 영역과 행으로 정렬되지 않을 수도 있다.
트랙(10)은 하나 이상의 장착 홀(55a, 55b, 55c, 및 55d)을 포함할 수도 있다. 장착 홀(55a, 55b, 55c, 및 55d)은 체결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트랙(10)을 표면에 고정시키기 위해서 사용될 수도 있다. 체결 디바이스는, 스크류, 버튼, 스냅 버튼, 볼트, 리벳, 못, 코터 핀(cotter pin), 접착제, 벨크로(후크 및 루프 파스너), 용접, 에폭시, 또는, 2개 이상의 목적물을 기계적으로 서로 연결하거나 부착하는 임의의 유사한 디바이스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3은 마운트(50)의 후방 등각도이다. 마운트(50)는 많은 상이한 형상 및 사이즈를 취할 수도 있고 그리고 도면에서 도시되고 아래에서 설명된다. 마운트(50)는 장치와 트랙 사이의 인터페이스이다. 마운트는 마운트에 부착된 장치 또는 디바이스의 중량을 지지하도록 마운트에 부착된 임의의 개수의 장착 스터드(140)를 가질 수도 있다. 더 많은 장착 스터드가 마운트(50)의 지지 용량을 증가시키도록 부착될 수도 있다. 마운트(50)는 마운트(50)의 중량을 감소시키도록 구멍을 포함할 수도 있다. 마운트(50)는 또한 포함할 수도 있다
마운트(50)는 장착 플레이트(135), 후방 표면(165), 전방 표면(195), 및 4개의 장착 스터드(140a, 140b, 140c, 및 140d)를 갖는다. 후방 표면(165)은 전방 표면(195)으로부터 마운트(50)의 반대 측 상에 있다. 마운트(40)는 트랙(10) 또는 고정된 위치 플레이트에 제거가능하게 연결되고, 그리고/또는 부착되도록 동작가능하다. 각각의 장착 스터드(140a, 140b, 140c, 및 140d)는 각각의 스템 부분(145a, 145b, 145c, 및 145d) 및 각각의 확대된 헤드 부분(150a, 150b, 150c, 및 150d)을 포함한다. 잠금 핀(155)은, 도 1의 트랙(10), 그리고 좀 더 구체적으로 고정된 위치 플레이트 상의 대응하는 잠금 핀 구멍, 도 9에서 찾아지는 바와 같은 잠금 핀 구멍(981) 또는 트랙(10)의 중심 슬롯(25)의 하나의 개방 영역(35)과 인게이지되기 위해서 연장된 잠김 위치를 향해서 외측으로 (예를 들어, 스프링, 탄성 재료, 또는 다른 바이어싱 수단에 의해서) 바이어스될 수도 있다. 잠금 핀(155)이 단지 중심 슬롯(25)과 인게이지되는 것에 대안적으로, 잠금 핀(155)은 제1 외측 슬롯(20), 제2 외측 슬롯(25), 또는 양자와 인게이지되도록 장착 플레이트(135) 상에 위치될 수도 있다. 잠금 핀(155)은, 도 7의 릴리스 메커니즘(190)에 동작적으로 연결되는 우측 잠금 핀 릴리스 레버(160b) 또는 좌측 잠금 핀 릴리스 레버(160a)를 개별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하여 후퇴될 수도 있다. 잠금 핀 릴리스 잠금 핀 레버 (160a 및/또는 160b) 양자가 트랙(10)으로부터 마운트(50)의 해제를 아직 여전히 허여하고 다른 장치 또는 디바이스로 인한 방해를 회피하기 위한 임의의 방향으로 배향될 수도 있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어떤 실시형태에서, 2개 이상의 릴리스 레버가 트랙(10)으로부터 마운트(50)를 해제하기 위해서 작동될 필요가 있을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는, 잠금 핀 릴리스 잠금 핀 릴리스 레버(160a 또는 160b) 중 하나가 사고로 작동될 때 장착 플레이트(135)의 원하지 않는 운동을 방지함으로써 추가적인 안전성을 제공할 수도 있다. 전방 표면(195)은 여기에 부착되는 임의의 디바이스 및/또는 장치를 가질 수도 있다.
마운트(50)는, 도 9의 잠금 핀 구멍(981) 또는 개방 영역(35) 중 어느 하나와 인게이지되는 잠금 핀(155), 또는 마찰 결합(friction fit), 또는 억지 끼워 만춤(interference fit)을 사용하여 고정된 위치 플레이트(미도시) 또는 트랙(10) 중 어느 하나에 부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장착 스터드(140)는 고정된 위치 플레이트에 마운트(50)를 부착하도록 고정 위치 플레이트의 키 홀 슬롯(미도시)의 넥 다운 부분의 저부에 지지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잠금 핀(155)은 마운트(50)와 트랙(10) 또는 고정된 위치 플레이트 사이의 억지끼워 맞춤을 위해 고정된 위치 플레이트 또는 트랙(10)에 대하여 바이어스 힘을 작용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잠금 핀(155)은,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잠금 핀 구멍(981) 또는 개방 영역(35)과 인게이지됨으로써 고정된 위치 플레이트 또는 트랙(10) 중 어느 하나에 대한 관계에서 마운트(50)를 고정시키기 위해서 사용될 수도 있다. 트랙(10) 및/또는 고정된 위치 플레이트는 마운트(50)를 고정하는 비-제한적 실시예라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트랙(10) 및 장착 플레이트(135)는 장착 플레이트(135)를 트랙(10)에 잠그기 위해 사용되는 연관된 구성을 도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장착 플레이트(135)의 장착 스터드(1155a, 1155b, 1155c 및 1155d)의 확대된 헤드 부분(1515a, 1515b, 1515c 및 1515d)이 슬롯(1610 및 1620)의 확대된 헤드 개구(1800a, 1800b, 1800c 및 1800d) 내에 삽입될 때, 잠금 핀(1500)은 넥-다운 부분(1825a)과의 정렬 때문에 슬롯(1615)에 들어가는 것이 방지된다. 어떤 실시형태에서, 슬롯(1610 및 1620)에 확대된 헤드 부분(1515a, 1515b, 1515c 및 1515d)을 배치하는 것은 잠금 핀(1500)이 외측으로 바이어스되고 연장된 위치로부터 후퇴되도록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트랙(10) 및 장착 플레이트(135)는 비연관된 구성을 도해한다. 장착 스터드(1155a, 1155b, 1155c 및 1155d)의 스템 부분(1510)(미도시)은 넥 다운 부분(1825)을 통해서 슬라이드되도록 치수지어지는 한편 확대된 헤드 부분(1515a, 1515b, 1515c 및 1515d)은 슬롯(1610 및 1620)에 남아 있다. 화살표(1100) 방향으로 하측으로(또는 상측으로) 장착 플레이트(135)의 운동은 슬롯(1610 및 1620)의 넥-다운 영역(1825b, 1825c, 1825d 및 1825e)과 확대된 헤드 부분(1515a, 1515b, 1515c 및 1515d)을 정렬시키고, 그리고 슬롯(1615)의 확대된 헤드 개구(1800e)와 잠금 핀(1500)을 정렬시킨다. 잠금 핀(1500)의 폭은 확대된 헤드 개구(1800e)에 인접한 넥-다운 영역(1825f 및 1825g)을 통한 상측 통로(1110) 및 하측 통로(1115)보다 더 클 수도 있으며, 이는 일단 잠금 핀(1500)이 확대된 개구(1800e)를 통해서 슬롯(1615) 안으로 이동되면 장착 플레이트(135)의 추가적인 운동을 방지한다. 잠금 핀(1500)이 연장된 위치를 향해서 바이어스되는 실시형태에서, 잠금 핀(1500)은 일단 잠금 핀(1500)이 확대된 헤드 개구(1800e)와 정렬되면 자동적으로 연장된 위치 안으로 스냅될 수도 있다. 작업자는 상술된 잠금 핀 해제(1160/1175) 중 어느 하나를 동작시킴으로써 슬롯(1615)의 외부로 잠금 핀(1500)을 후퇴시키고, 그리고 다시 상이한 높이로 트랙(10)을 따라서 장착 플레이트(135)를 이동시킬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4개의 장착 스터드(1155a, 1155b, 1155c, 및 1155d) 및 하나의 잠금 핀(1500)을 사용하여 장착 플레이트(135)가 트랙(10)에 고정되는 것을 도해하나, 임의의 다른 개수의 스터드 및 잠금 핀이 대안적으로 채용될 수도 있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러한 실시형태는 장착 플레이트(135)와 트랙(10) 사이의 더 많은 접촉 지점을 제공함으로써 증가된 하중 하에서 고정된 연결을 허여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장착 플레이트(135)는 장착 플레이트(135)에 대해서 고르게 분포된 8개의 스터드(1155)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형태에서, 임의의 다른 개수의 스터드(1155)가 트랙(10)과의 해제가능한 연결을 허여하는 장착 플레이트(125) 상에 배치될 수도 있다. 확대된 헤드 부분(1515)은 슬롯(1610, 1615, 1620)의 넥 다운 영역(1630) 뒤에 캡쳐되게끔 슬롯(1610, 1615, 및 1620)의 개방 영역(1625)를 통해서 수용되도록 치수지워지는 한편, 스템 부분(1510)은 슬롯(610, 115, 1620)의 넥-다운 영역(1630)에 의해서 이동되도록 치수지워진다.
고정된 위치 플레이트는 도 1의 트랙(10)에 대안적이다. 도 3의 마운트(50)는 고정된 위치 플레이트에 탈착자능하게 연결될 수도 있다. 고정된 위치 플레이트는 표면에 고정된 위치 플레이트를 고정시키기 위한 임의의 적합한 장착 구조체 또는 체결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도해적인 실시형태에서, 고정된 위치 플레이트는 고정된 위치 플레이트를 표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4개의 장착 홀을 포함한다. 또한, 고정된 위치 플레이트는 키홀 슬롯의 형태인 슬롯을 포함하며, 각각의 슬롯이 확대된 헤드 개구 및 넥-다운 부분을 갖는다. 키홀 슬롯의 확대된 헤드 개구는 이를 통해서 장착 스터드의 확대된 헤드 부분을 수용하도록 배열되고, 그리고 넥-다운 부분은 그 안에서 스템 부분이 슬라이딩되는 것을 허여하도록 치수지워지며, 확대된 헤드 부분은 넥-다운 부분 내에 캡쳐된다. 확대된 헤드 부분의 캡쳐는 제1 외측 슬롯, 또는 중앙 슬롯, 또는 제2 외측 슬롯의 넥 다운 부분과 장착 스터드 사이의 억지 끼워맞춤에 의해서 달성될 수도 있다. 잠금 핀이 잠금 핀 구멍과 정렬될 때 잠금 핀을 수용하도록 치수지워지는 잠금 핀 구멍이 제공될 수도 있다. 키홀 슬롯 및 잠금 핀 구멍은 마운트의 장착 스터드의 거울 이미지와 같이 위치된다.
도 6은 마운트(50)의 다른 실시형태의 전방 표면(195)를 도시하는 전방 등각도이다. 장착 플레이트(135)는 위에서 열거된 체결 디바이스 중 어느 하나에 의해서 장치(미도시)에 장착 플레이트(135)를 부착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장치 장착 홀(170a, 170b, 170c, 및 170d)을 갖는다. 비록 도 6은 단지 4개의 장치 장착 홀(170a, 170b, 170c, 및 170d)을 도시하나, 임의의 양의 장치 장착 홀(170)이 임의의 구성으로, 장착되는 장치 또는 디바이스를 수용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도 있다. 스터드 너트(185a, 185b, 185c, 및 185d)는 장착 플레이트(135)에 장착 스터드(140a, 140b, 140c, 및 140d)를 고정시키기 위해서 사용된다. 스터드 너트(185a, 185b, 185c, 및 185d)는 임의의 고정 디바이스일 수도 있고 너트에 한정되지 않는다. 릴리스 메커니즘(190)은 장착 플레이트(135)에 고정되고, 그리고 잠금 핀 해제(160a 및/또는 160b) 중 하나 또는 양자가 작동될 때 잠금 핀(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되는 잠금 핀(155))을 안으로 당기거나 또는 외부로 푸시하는 기어링(gearing)을 내부에 갖는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릴리스 메커니즘(190)은 스프링의 바이어스에 대항하여 잠금 핀(155)을 작동시키는 기어링을 포함할 수도 있다. 릴리스 메커니즘(190)이 어떻게 동작하는지의 일 실시예가 도 7에서 찾아질 수도 있다. 장치는 장착 플레이트(135)의 전방 표면(195)에 고정된다.
도 7은 릴리스 메커니즘(190)의 내측 동작부의 일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잠금 핀(155)은 연장된 위치에서 도시되고 그리고 트랙(100)의 잠금 핀 구멍(60) 안으로 연장된다. 트랙(10)은 도 28a에 도시된 실시형태일 수도 있다. 릴리스 메커니즘(190)은 하우징(175) 내에 고정될 수도 있다. 스프링(720)은 연장된 위치로 잠금 핀(155)를 연장시키도록 바이어스 힘을 제공한다. 잠금 핀(1555)은 잠금 핀(155)의 중앙을 통해서 배치되는 리프트 핀(725)을 포함할 수도 있다. 리프트 핀(725)은, 잠금 핀(155)이 하우징(715) 내에서 틸팅되거나 잼밍되지 않으면서 잠금 핀(155)을 이동시키기 위한 기계적 중립 밸런스 포인트를 제공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잠금 핀 해제(160)는 연장된 위치로부터 후퇴된 위치로 잠금 핀(155)을 전이하는 스프링(720)의 바이어스 힘에 대항하여 그리고 잠금 핀(155) 상에 힘을 작용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도 있다. 후퇴된 위치는 잠금 핀(155)의 원위 단부(710)가 장착 플레이트(135)의 후방 표면(165)과 동일 평면이 되는 곳이다. 잠금 핀 해제(160)는, 잠금 핀 해제(160)가 잠금 핀(155)을 향해서 전이될 때, 상방 힘이 리프트 핀(725)에 작용되어 잠금 핀(155)을 후퇴시키는 램프 섹션(730)을 가질 수도 있다. 달리 말하면, 잠금 핀 해제(160)가 작동될 때, 잠금 핀(155)은 후퇴된 위치로 전이된다. 잠금 핀 해제(160)는 작동 후 잠긴 위치로 잠금 핀 해제(160)를 복귀시키는 바이어스 힘을 제공하는 복귀 스프링(735)를 포함할 수도 있다. 잠긴 위치는, 마운트(50)가 잠금 핀 구멍(60)과 인게이지되면서 잠금 핀(155)을 통해서 위치로 잠기는 잠금 핀 해제(160)의 위치이다.
도 7은 또한 제1 외측 슬롯(20) 및 제2 외측 슬롯(30)과 장착 스터드(140)(즉, 140a 및 140b)의 인게이지먼트를 도해한다.
전반적으로 도 8을 참조하면, 마운트(50)는, 더욱 상세히 아래에서 설명되고, 장착 플레이트(135)의 전방 표면에 연결되는 어댑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어댑터는 장치의 장치 인터페이스와 해제가능하게 연결된다. 어댑터는, 장치의 부피(bulk) 및/또는 중량이 마운트(50)의 고정을 어렵게 하지 않으면서 사용자가 마운트(50)를 트랙에 고정시키는 것을 허여한다. 달리 말하면, 마운트(50)는 장치에 직접적으로 장착될 수도 있고, 그리고 트랙(10)과 마운트(50)의 결합은 장치의 사이즈, 형상, 중량 또는 다른 인자에 의해서 복잡해질 수도 있다. 어댑터는 마운트(50)에 고정된다. 후술되는 장치 인터페이스는 어댑터에 장치를 고정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도 8은 마운트(50)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이 도해적인 실시형태에서, 어댑터는 장착 플레이트(135)에 부착된 제2 장착 플레이트(225)이다. 이 실시형태는 어댑터 (아래에서 설명됨), 또는 다른 장치가 트랙(10)에 장착되는 것을 허여한다. 장착 플레이트(135)는 트랙(10)에 마운트(50)를 고정하기 위해서 요구되는 임의의 개수의 장착 스터드(140)를 가질 수도 있다. 만약 마운트(50)가 무거운 하중을 고정하는 것이 요구된다면, 추가적인 장착 스터드(140)가 마운트(50)의 하중 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더해질 수도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 장착 플레이트(135)는 장착 플레이트(135)에 3개의 장착 스터드(140a, 140b, 및 140c)를 고정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3개의 스터드 너트(185a, 185b, 및 185c)를 갖는다. 3개의 장착 스터드(140a, 140b, 및 140c)는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삼각형의 구성으로 될 수도 있다. 장착 스터드(185b 및 185c)는 수평 축선(H)을 따라서 놓여있고, 장착 스터드(185a)는 수직 축선(V)을 따라서 놓여 있다. 중간지점(M)은 수평 축선(H)을 따른 지점이고, 장착 스터드(185b 및 185c) 사이에서 등거리이다. 수직 축선은 중간지점(M)을 통과한다. 장착 스터드(185a)는, 장착 스터드(185b 및 185c)가 트랙(10)의 제1 외측 슬롯(20)과 제2 외측 슬롯(30)의 개방 영역(35) 각각과 인게이지될 때 중앙 슬롯(25)의 개방 영역(35)과 인게이지되도록 위치된다. 릴리스 메커니즘(190)과 관련된 잠금 핀은 중앙 슬롯(25)의 개방 영역(35)과 또한 인게이지될 수도 있다. 스터드 너트(185a, 185b 및 185c)는 임의의 고정 디바이스일 수도 있고 너트에 한정되지 않는다. 릴리스 메커니즘(190)은 장착 플레이트(135)에 고정되고, 그리고 잠금 핀 릴리스 중 하나 또는 양자(160a 또는 160b)가 작동될 때 잠금 핀(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되는 잠금 핀(155))을 안으로 당기거나 또는 외부로 푸시하는 기어링을 내부에 갖는다. 제2 장착 플레이트(225)는 장치 장착 홀(170)(미도시) 안으로 나사 체결되는 패스너(230)를 사용하여 장착 플레이트(135)의 전방 표면(195)에 고정된다. 패스너(230)의 사용은 제2 장착 플레이트(225)를 장착 플레이트(135)에 부착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는 비-제한적인 일 타입의 하드웨어, 이 경우에 스크류인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패스너의 다른 도해적인 실시예는, 그러나 한정되 체결 디바이스에 한정되지 않고, 그리고 다른 체결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제2 장착 플레이트(225)는 장착 장치, 디바이스, 어댑터, 및/또는 다른 아이템을 위해서 이를 통해서 배치되는 2개의 키홀(220)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형태는, 제2 장착 플레이트(225)가 제1 표면(240) 및 제2 표면(245)을 가질 수도 있고, 제1 표면(240)은 제2 표면(245)에 반대이다. 제2 릴리스 메커니즘(미도시)은 제2 표면(245)에 연결된다. 제2 릴리스 메커니즘은 동작 및 구성에서 도 7의 릴리스 메커니즘과 동일하다. 제2 릴리스 메커니즘은 연장된 위치에서 제1 표면(240)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고 제2 장착 플레이트(225)를 통해서 배치되는 제2 장착 핀(미도시)을 포함한다. 연장된 위치에 제2 잠금 핀(215)을 바이어스하는 제2 잠금 바이어스 스프링(미도시), 및 제2 잠금 핀(215)에 동작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잠금 핀 릴리스(즉, 210a 및 210b) 그리고 작동될 때, 후퇴 위치로 제2 장착 플레이트(225)를 향해서 제2 잠금 핀(215)를 후퇴시키고, 그리고 릴리스될 때, 제2 잠금 바이어스 스프링이 연장된 위치에 제2 잠금 핀(215)을 바이어스하도록 허여한다.
도 9는 상술된 어댑터(즉, 제2 장착 플레이트(225))와 연결되기 위해서 사용되는 장치 인터페이스(172)의 일 실시예를 도해한다. 연결 플레이트(980)는 장치 인터페이스(172)를 위해서 지지 구조체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장치 장착 구멍(170a, 170b, 170c, 및 170d)은 장치 인터페이스(172)에 장치를 고정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도 있다. 비록 4개의 장착 구멍이 도시되나, 임의의 개수의 장착 구멍이 장치 인터페이스(172)에 장치를 적합하게 고정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도 있다. 연결 플레이트는 또한 연결 플레이트를 통해서 배치되는 잠금 핀 구멍(981) 및 장착 플레이트의 후방 표면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장착 스터드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장착 스터드 각각은 연결 표면(982)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스템 부분 및 각각의 스템 부분의 원위 단부에 배치되는 확대된 헤드 부분을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장착 스터드(140a 및 140b)는 제2 장착 플레이트(225)에 연결 플레이트(980)를 고정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키홀 슬롯(즉, 도 8의 220) 각각과 슬라이딩가능하게 연결된다. 잠김 위치에 있을 때, 제2 잠금 핀(215)은 잠금 핀 구멍(981)과 인게이지되어 연결 플레이트(980)와 제2 장착 플레이트(225) 사이의 상대적인 운동을 제한한다.
장치 인터페이스(172)의 다를 실시형태에서, 연결 플레이트(980)는 복수의 썸 스크류(thumb screw)(미도시) 뿐만 아니라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2개의 장착 스터드(140a 및 140b) 및 잠금 핀 구멍(981)을 포함할 수도 있다. 썸 스크류는 별도의 장착 하드웨어, 즉 볼트 스크류 등에 대한 필요 없이 장치(미도시)를 용이하게 부착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도 있다. 썸 스크류는 장착될 장치에 의해서 요구되는 바와 같은 임의의 구성일 수도 있고 사용될 수도 있다.
장치 인터페이스(172)의 다른 실시형태에서, 장치 인터페이스(172)는 2개의 타입의 어댑터 사이의 인터페이스로서 기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결 플레이트(980)는 제1 측에 하나 이상의 장착 스터드(140) 및 제2 측에 잠금 핀 구멍(981) 및 보울 어댑터(아래에 설명됨)를 가질 수도 있다.
장치 인터페이스(172)의 다른 실시형태는 표면 마운트(미도시)이다. 표면 마운트는 마운트(50)를 통해서 직접적으로 또는 상술된 어댑터를 통해서 트랙(10)에 고정될 수도 있다. 표면 마운트는 4개의 패스너(230)를 통해서 마운트(50)에 고정된다. 표면 마운트는, 잠금 핀 릴리스가 동작될 때 트랙으로부터 표면 마운트를 제거하는 것을 돕는 핸들을 갖는다. 핸들(265)은 또한 IV 백을 걸거나, 코드를 둘레에 감거나, 또는 추가적인 장치를 장착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도 있다. 복수의 홀은 전체 유닛의 중량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그리고 코드 및 다른 디바이스를 복수의 홀을 통해서 경로지워줌으로써 조직화하고 고정하기 위해서 표면 마운트의 바디 안으로 들릴링될 수도 있다. 이 비-제한적 실시형태에서, 복수의 홀은 바디의 구조를 약화시키기 않으면서 중량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위치에 배치되고 치수 지워진다. 저장 격실은 표면 마운트에 장착되는 장치의 전원 코드를 유지하도록 포함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만약 표면 마운트가 마운트에 직접적으로 장착되면, 표면 마운트는 장치 인터페이스로서 기능하지 않고, 그리고 장치를 고정하도록 표면 마운트의 바디에 장착된 어댑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장치는 텅 및 그루브(tongue and groove) 인터페이스와 같은 장치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장치, 표면 마운트, 및 마운트는 하나의 유닛으로서 동작할 수도 있다. 마운트 패스너는 마운트를 표면 마운트에 부착한다.
장치 인터페이스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시퀄 이클립스(sequal eclipse) 마운트가 시퀄 이클립스 장치(미도시)를 장착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도 있다. 중량 감소 홀은 중량 및 재료를 절약하기 위해서 시퀄 이클립스 마운트를 통해서 위치된다. 제한 탭 및 제한 암은 시퀄 이클립스 장치가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고 시퀄 이클립스 장치를 시퀄 이클립스 마운트에 고정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한 쌍의 개별 타이 다운(tie down) 마운트는 시퀄 이클립스 마운트에 시퀄 이클립스 장치를 캡쳐하기 위해 타이 다운에 연결된다. 타이 다운 마운트 중 하나는 타이 다운 마운트를 시퀄 이클립스 장치 위로 올리는 타이 다운 마스트에 부착될 수도 있다. 액세스 윈도우를 갖는 코드 홀더는 시퀄 이클립스 장치가 지탱되는 데크 아래에 위치된다. 시퀄 이클립스 장치로부터의 코드는 카드 홀더에 저장되고 그리고 액세스 윈도우를 통해서 접근가능하다. 시퀄 이클립스 패스너는 도시되고 시퀄 이클립스 마운트에 시퀄 이클립스를 고정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예를 들어, 6개의 시퀄 이클립스 패스너가 사용될 수도 있으나 이들은 6개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만약 시퀄 이클립스 마운트가 직접적으로 마운트에 장착되면, 시퀄 이클립스 마운트는 장치 인터페이스로서 기능하지 않는다. 장치, 시퀄 이클립스 마운트, 및 마운트는 하나의 유닛으로서 동작할 수도 있다. 마운트 패스너는 시퀄 이클립스 마운트에 마운트를 부착한다.
장치 인터페이스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장치 홀더가 마운트/트랙에 장착되지 않은 휴대가능한 장치를 유지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휴대용 초음파 머신, 온도계, 계산기 등이 장치 홀더에 의해서 위치에 유지될 수도 있다. 장치 홀더는 2개의 유지 탭, 2개의 측벽, 및 바닥을 갖는 바디를 포함한다. 바닥 및 측벽은 장치 홀더에 장칙를 유지한다. 홀은 중량 절감을 용이하게 하고 코드 또는 다른 디바이스의 바디를 통한 이동을 허여하기 위해서 바닥 중앙에 위치된다. 2개의 유지 탭은 장치의 임의의 상측 측방향 운동을 제한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만약 장치 홀더가 직접적으로 마운트에 장착되면, 장치 홀더는 장치 인터페이스로서 기능하지 않는다. 장치, 장치 홀더 및 마운트는 하나의 유닛으로서 동작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마운트 패스터는 마운트에 대한 필요 없이 트랙에 직접적으로 장치 홀더를 부착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도 있다. 이 기술의 실시예는 도 22에서 찾아질 수도 있다. 당김 핀은 스프링 및 오프셋 프레임에 의해서 유지 위치에 바이어스 된다. 당김 핀은, 장치 홀더가 트랙에 또는 고정된 위치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것을 허여하도록 장착 스터드의 형상을 닮을 수도 있는 헤드를 갖는다. 오프셋 프레임은 헤드가 트랙과 인게이지될 때 헤드 상에 스프링에 의해서 작용되는 압력에 반작용하는 압력 표면을 제공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도 있다. 오프셋 프레임은 트랙으로부터 오프셋을 제공하여 압력이 장치 홀더의 바디에 직접적으로 작용되지 않는다.
이제 장착 스터드에 집중하면, 다른 실시형태는 단일 트랙 스터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단일 트랙 스터드는 구조체 또는 차량에 장착된 도 1의 트랙(10)에 장치를 장착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단일 트랙 스터드는 마운트 헤드, 유지 칼라, 및 칼라를 포함한다. 마운트 헤드는 원형 형상이며 나사산 바디가 그 중심으로부터 연장된다. 유지 칼라 및 마찰 칼라는 나사산 바디 상에서 회전된다. 칼라는 칼라 결합 표면을 갖는다. 마운트 헤드는 마운트 헤드 결합 표면을 갖는다. 마운트 헤드가 트랙(10) 안으로 삽입될 때, 칼라는 칼라 결합 표면 및 마운트 헤드 결합 표면이 트랙(10)에 압력을 가하여 트랙(10) 상에서 이동하는 것으로부터 단일 트랙 스터드를 고정하는 것을 허여하도록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도 있다.
단일 트랙 스터드는 다양한 구성의 단일 트랙 스터드를 장치 상에서 가능하게 하는 다기능 스터드이다. 이 구성에 대한 유일한 한정은 단일 트랙 스터드 위치가 트랙(10) 상의 슬롯(즉, 20, 25, 30) 및 개방 영역(35)과 정렬되어야 하는 점이다. 단일 트랙 스터드가 장치에 고정될 때, 유지 칼라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어 장치에 대해서 압력을 가하여 나사선 바디가 사용 중에 장치 외부로 회전되지 않는 점을 보장하도록 한다. 단일 트랙 스터드는 트랙(10)에 대해서 압력을 가하기 위해서 필요한 바이어스 힘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0a 및 도 10b는 범용 어댑터(90)로서 어댑터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리시버 그루브(2015)는 범용 어댑터(990)가 리시버 그루브(2015)에 대응하는 도 10c의 텅(2026)을 갖는 다른 아이템 또는 장치와 슬라이스어블(sliceable) 연결되는 것을 허여할 수도 있다. 리시버 그루브(2015)는 복수의 가이드(992a 및 992b)에 의해서 경계지워진다. 복수의 가이드(992a 및 992b)는 텅(2026)과 정합되게 연결되고 텅 및 그루브 커플러와 유사한다. 리시버 장치 록(2010)은 텅(2026)을 범용 어댑터(990)에 고정한다. 리시버 장치 릴리스(2025)는, 화살표(2004)에 의해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작동될 때, 장치 또는 텅(2026)이 범용 어댑터(990)로부터 슬라이드가능하게 연결해제되는 것을 리시버 장치 락(2010)이 허여하는 것을 불가능하게 한다. 리시버 잠금 핀(2020)은 관련된 트랙(10)과 인게이지되기 위해 연장된 락 위치, 좀 더 구체적으로 트랙(10) 상의 대응하는 잠금 핀 구멍(60)을 향해서 외측으로 (예를 들어 스프링, 탄성 재료, 또는 다른 바이어스 수단에 의해서) 바이어스될 수도 있다. 리시버 잠금 핀(2020)은 리시버 마운트 릴리스(2000)를 사용하여 리트랙트될 수도 있다. 복수의 리시버 스터드(2025)는 범용 어댑터(990)의 일 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복수의 리시버 스터드(2025)는 도 7의 장착 스터드와 유사하게 동작될 수도 있어 범용 어댑터(990)를 트랙(10), 고정된 위치 플레이트(130), 또는 유사한 장착 표면에 고정시킬 수도 있다. 리시버 마운트 릴리스(2000)는 아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스너버(snubber) 기능을 작동시킨다. 스너버 기능은 화살표(2002)를 따라서 동작된다.
도 10은 장치 인터페이스(172)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장치 장착 구멍(170a, 170b, 170c, 및 170d)은 장치 인터페이스(172)에 장치를 고정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도 있다. 텅(2026)은 도 10의 리시버 그루브(2015)와 해제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도 11은 자체 정렬 장착 시스템의 웨지(wedge) 마운트(47)를 도시한다. 웨지 마운트는 장착 플레이트(135), 후방 표면(165), 전방 표면(195), 및 4개의 장착 스터드(140a, 140b, 140c, 및 140d)(미도시)를 포함한다. 후방 표면(165)은 전방 표면(195)으로부터 마운트(50)의 반대 측 상에 있다. 제1 칼라(53)는 보울 구멍(54) 및 후방 표면에 연결된다. 캡쳐 플레이트(56)는 제1 칼라(53)에 연결되고, 그리고 부분적으로 보울 구멍(54)을 덮는 키홀 슬롯 구멍(57)을 포함한다. 키홀 슬롯 구멍(57)은 좁은 단부(75) 및 넓은 단부(70)를 갖는다. 보울 구멍(54) 및 키홀 슬롯 구멍(57)은 랜딩(landing) 영역(58) 및 캡쳐(capture) 영역(59)을 정의한다. 랜딩 영역(58)은 키홀 슬롯 구멍(57) 및 보울 구멍(54)이 약 동일한 사이즈인 곳으로 정의되고, 캡쳐 영역(59)은 키홀 슬롯 구멍(57)이 보울 구멍(54)보다 더 작은 곳으로서 정의된다. 웨지 릴리스(61)는 제1 칼라(53)에 연결되고, 웨지 바이어스 스프링(102)(도 13)은 제1 칼라(53)와 웨지 릴리스(61) 사이에 연결되어 잠김 위치에 웨지 릴리스(61)를 바이어스한다. 적어도 하나의 장착 스터드(즉, 140a, 140b, 140c, 및 140d)는 전방 표면(915)에 연결되며, 각각의 장착 스터드는 후방 표면(168)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스템 부분 및 스템 부분의 원위 단부에 배치되는 확대된 헤드 부분을 포함한다. 잠금 핀 릴리스(160)는 마운트(50)에 연결되고, 그리고, 도 7을 참조하면, 장착 플레이트(135)를 통해서 배치되고 연장된 위치에서 후방 표면(165)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잠금 핀(155)을 포함한다. 스프링(720)은 연장된 위치에 잠금 핀(160)을 바이어스하고, 잠금 핀(160)에 동작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잠금 핀 릴리스(160)는 작동될 때, 잠금 핀(160)을 후퇴 위치에 장착 플레이트(135) 안으로 후퇴시키고, 그리고 릴리스될 때, 스프링(720)이 연장된 위치에 잠금 핀(160)을 바이어스하는 것을 허여한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하나 이상의 체결 디바이스(62a, 62b, 62c, 및 62d)는 장착 플레이트(135)에 캡쳐 플레이트(56) 및 제1 칼라(43)를 고정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도 있다. 체결 디바이스(62a, 62b, 62c, 및 62d)는 또한 장착 플레이트(135)에 잠금 핀 릴리스(160) 및 관련된 부품을 고정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도 있다. 비록 4개의 체결 디바이스(62a, 62b, 62c, 및 62d)가 도시되나, 더 많거나 또는 더 적은 개수의 체결 디바이스가 사용될 수도 있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마운트(50)는, 중량 감소 및 또한 트랙(10)의 슬롯(20, 25 및 30)과 하나 이상의 장착 스터드(140)의 결합을 관찰하는 것에 도움을 주는 "X" 형상이다. 웨지 마운트(47)는 제2 장착 플레이트(225)와 관련된 구조체 대신에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어댑터로서 장착될 수도 있다.
도 12는 웨지 마운트(47)의 제1 칼라(53)를 도해한다. 웨지 릴리스(61)는 결합 표면(66)의 표면 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사용되는 블레이드(64)를 갖는다. 이 증가 면적은 캡쳐 플레이트(56) 아래에 그리고 보울 구멍(54) 내에 웨지 인터페이스(72) (도 14)를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준다. 웨지 릴리스(61)는 피벗 지점(67) 둘레로 피벗된다. 도 11을 다시 참조하면, 웨지 릴리스(61)는 잠김해제 위치와 잠김 위치 사이에서 웨지 릴리스(61)를 작동시키는 것을 돕는 핸들(68)을 갖는다. 보울 구멍(54)은, 웨지 인터페이스(72)가 보울 구멍(54) 내에 위치될 때 웨지 인터페이스를 중앙에 위치시키기 위해서 사용되는 복수의 가이드 벽(63)을 갖는다. 가이드 벽(63)은 보울 구멍(54)을 둘러싸고, 그리고 웨지 인터페이스(72)의 중앙 위치를 용이하게 하는 임의의 경사부일 수도 있다.
도 13은 웨지 마운트(47)의 단면을 도시하며, 여기서 단면이 트랙(10)의 도 1의 중앙 슬롯(25)의 중앙 바로 아래에서 취해진다. 웨지 인터페이스(72)는 웨지 마운트(47)에 장착된 상태로 도시되며 웨지 릴리스(61)가 잠김 위치에 있다. 웨지 릴리스(61)는 웨지 바이어스 스프링(102)에 의해서 잠김 위치 안으로 바이어스 된다. 블레이드(64)는 웨지 인터페이스(72)의 장치 플레이트(74)에 결합 텅(76)을 인게이지한다. 피벗 지점(67)은 핀(71)이 받침 지점으로 사용되는 상태로 도시된다. 핸들(68)은 화살표(T)를 따라서 상측 방향으로 작동되어 감김 위치로부터 잠김해제 위치로 웨지 릴리스(61)를 작동시킬 수도 있다. 잠김해제 위치에서, 그리고 도 12를 참조하면, 블레이트는 보울 구멍(54)의 바닥 표면(69)와 동일 평면을 이룬다. 도 12와 도 13을 비교하면, 캡쳐 플레이트(56)는 웨지 릴리스(61)의 피벗 지점(67)을 위한 보호 커버를 제공한다. 장착 홀(55a 및 55b)는 트랙(10)의 중앙 슬롯(25)에 도시되며, 잠금 핀 구멍(60a 및 60b)과 교대한다. 웨지 인터페이스(72)는 장치 플레이트(74)에 하나 이상의 체결 구멍( 73a, 73b, 및 73c)을 가질 수도 있다.
도 13 및 도 7을 참조하면, 도 13은 도 7에 수직하게 도시된다. 잠금 핀(155)은 도 13에서 후퇴 위치에 있는 상태로 도시되나, 잠금 핀(155)은 도 7에서 연장된 위치에 있는 상태로 도시된다.
도 14는 웨지 인터페이스(72)의 전방 도를 도시한다. 웨지 인터페이스(72)는 장치 플레이트(74), 보울(77), 복수의 캡쳐 가이드(78a 및 78b) 및 웨지(79)를 포함할 수도 있다. 장치 플레이트(74)는 장치(미도시)에 웨지 인터페이스(72)를 고정하기 위한 장착 지점을 제공한다. 장착 플레이트(74)는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쳐 플레이트(56)의 키홀 슬롯 구멍(57)을 캡쳐하도록 2개의 장벽(barrier) 중 하나를 제공한다. 나머지 장벽은 복수의 캡쳐 가이드(78a 및 78b)이다. 장치 플레이트(74)와 복수의 캡쳐 가이드(78a 및 78b) 사이의 캡쳐 공간(82)은 웨지 인터페이스(72)가 캡쳐 플레이트(56)와 슬라이딩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허여하고 웨지 인터페이스(72)와 캡쳐 플레이트(56) 사이의 많은 지나친 모션을 허여하지 않는 공차를 갖는다. 웨지(79)는 장치 플레이트(74)와 복수의 캡쳐 가이드(78a 및 78b) 사이에 위치되고 이들을 서로 연결한다. 웨지(79)는 웨지 인터페이스(72) 및 웨지 마운트(47)의 회전적 정렬을 돕고, 그리고 키홀 슬롯 구멍(57)과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도입(lead-in) 표면(83)을 갖는다. 달리 말하면, 도입 표면(83)은 도입 표면(83)이 키홀 슬롯 구멍(57)의 캡쳐 영역(59)을 들어갈 수도 있는 웨지 인터페이스(72)의 유일한 부분인 점을 보장함으로써 웨지 마운트(47)와 웨지 인터페이스(72)를 회전적으로 정렬시키도록 구성된다. 웨지(79)는 또한 제1 경사 표면(84) 및 제2 경사 표면(85)를 포함한다. 제1 경사 표면(84) 및 제2 경사 표면(85)은 서로 반대이고 그리고 도입 표면(83)에 연결된다.
도 15는 웨지 인터페이스(72)의 측면도이다. 결합 트로프(trough; 76)는 보울(77) 상의 노치로서 도시된다. 출구 표면(87)은 보울(77)의 슬로프의 동일 각도를 따르는 슬로프를 갖는다. 슬로프는 보울(77)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랜딩 영역(58)에서 웨지 인터페이스(72)를 중앙 위치시키는 것을 허여한다.
벽에 장치를 고정고하는 방법은 의료 디바이스(미도시)를 웨지 인터페이스(72)에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웨지 인터페이스(72)는 장치 플레이트(74), 복수의 캡쳐 가이드(78a 및 78b)를 갖는 보울(77), 및 장치 플레이트(74)와 보울(77) 사이에 연결되는 웨지(79)를 포함할 수도 있다. 트랙(10), 미니트랙(12) 또는 신속 마운트 트랙(11)은 벽(미도시) 또는 다른 표면 또는 구조체에 연결될 수도 있다. 트랙(10 또는 11)에 대한 웨지 마운트(47)의 장착은, 하나 이상의 다이아몬드 윤곽의 타겟 영역(13) 과 웨지 마운트(47) 상의 하나 이상의 마운트 스터드(140a, 140b, 140c, 및 140d)를 정렬함으로써 그리고 잠금 핀(155)이 잠금 핀 구멍(60)과 결합되는 잠김 위치에 웨지 마운트(47)를 슬라이딩가능하게 연결함으로써 행해질 수도 있다. 후방 표면(165) 및 전방 표면(195)을 갖는 웨지 마운트(47). 웨지 마운트(47)는 전방 표면(195)에 연결되는 제1 칼라(53)를 포함하고, 그리고 보울 구멍(54)을 포함하고, 제1 칼라(53)에 연결되는 캡쳐 플레이트(56)는 보울 구멍(54)을 부분적으로 덮는 좁은 단부(75) 및 넓은 단부(70)을 갖는 키홀 슬롯 구멍(57)을 포함하고, 키홀 슬롯 구멍(57)의 넓은 단부(70) 및 대응하는 보울 구멍(54)은 랜딩 영역(58)을 정의하고, 그리고 키홀 슬롯 구멍(57)의 좁은 단부(75) 및 대응하는 보울 구멍(54)은 캡쳐 영역(59)을 정의한다. 웨지 릴리스(61)는 제1 칼라(53)에 연결된다. 웨지 바이어스 스프링(102)은 제1 칼라(53)와 웨지 릴리스(61) 사이에 연결되어 잠김 위치에 웨지 릴리스(61)를 바이어스한다. 적어도 하나의 장착 스터드(140a, 140b, 140c, 및 140d)는 후방 표면(165)에 연결되며, 각각의 장착 스터드(140a, 140b, 140c, 및 140d)는 후방 표면(165)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스템 부분 및 스템 부분의 원위 단부에 배치되는 확대된 헤드 부분을 포함할 수도 있다. 웨지 인터페이스(72)를 웨지 마운트(47)에 정렬하는 것은 보울(77)을 키홀 슬롯 구멍(57)의 넓은 단부(70)를 통해서 랜딩 영역(58) 안으로 그리고 보울 구멍(54) 안으로 가압하고, 그리고 웨지 인터페이스(72)를 웨지 마운트(47)와의 정렬로 가압하는 보울(77)의 복수의 경사진 측면과 보울 구멍(54)의 복수의 가이드 벽(63)이 결합되는 것을 허여함으로써 달성된다. 웨지 마운트(47)와 장치 플레이트(74)의 연결은, 캡쳐 플레이트(56)가 장치 플레이트(74)와 복수의 캡쳐 가이드(78) 사이에 고정될 때까지 키홀 슬롯 구멍(57)의 좁은 단부(75)의 캡쳐 영역(59) 안으로 장치 플레이트(74)의 웨지(79)를 슬라이딩가능하게 이동시킴으로써 달성된다. 웨지 마운트(47) 안으로 웨지 인터페이스(72)를 잠그는 것은 웨지 바이어스 스프링(102)이 잠김 위치에 웨지 릴리스(61)를 바이어스함으로써 달성된다. 웨지 마운트(47)로부터 웨지 인터페이스(72)의 잠금해제는 잠김해제 위치 안으로 웨지 릴리스(61)를 작동시킴으로써, 그리고 캡쳐 플레이트(56)가 키홀 슬롯 구멍(57)의 넓은 단부(70)에 있을 때까지 키홀 슬롯 구멍(57)의 좁은 단부(75) 외측으로 웨지 인터페이스(72)의 웨지(79)를 슬라이딩가능하게 이동시킴으로써 웨지 마운트(47)로부터 웨지 인터페이스(72)를 연결해제함으로써 달성된다. 마운트(47)로부터 웨지 인터페이스(72) 및 따라서 장치를 제거하는 것은 보울 구멍(54)로부터 보울(77)을 당김으로써 달성된다. 보울(77) 및 랜딩 영역(58)의 정렬의 비젼(vision)이 요구되지않는 다는 점이 주의된다. 보울(77)의 경사진 표면 또는 측부는 웨지 인터페이스(72)가 자신 및 장치를 랜딩 영역(58)에서 중앙에 위치시키는 것을 허여한다. 캡쳐 플레이트(56)는 또한, 보울(77)을 랜딩 영역(58) 안으로 더욱 안내하는 키홀 슬롯 구멍(57)을 둘러싸는 경사진 표면의 세트를 갖는다.
도 16a는 웨지 인터페이스(72)의 등각도를 도시한다. 하나 이상의 체결 구멍(73a, 73b 및 73c)은 상술된 체결 디바이스가 웨지 인터페이스(72)를 장치에 고정하는 것을 허여하는 테이퍼 또는 렛지(89)를 가질 수도 있다.
도 16b는 보울(77)이 제거된 상태의 웨지 인터페이스(72)의 저면도를 도시한다. 제1 경사 표면(84) 및 제2 경사 표면(85)은, 수직 축선(V)를 따라서 이동함에 따라 웨지(79)의 두께가 증가하거나 또는 감소하도록 제공된다. 웨지(79)의 형상은 도 1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캡쳐 영역(59)의 키홀 슬롯 구멍(57)의 형상과 대략 매칭될 수도 있다. 따라서, 웨지(79)가 캡쳐 영역(59) 안으로 삽입될 때, 제1 경사 표면(84) 또는 제2 경사 표면(85) 중 어느 하나는 먼저 키홀 슬롯 구멍(57)과 접촉할 것이고, 그리고 키홀 슬롯 구멍(57)의 좁은 단부(75)와 웨지(79)를 정렬하도록 웨지 인터페이스(72)를 회전시키는 모멘텀을 제공한다. 웨지 인터페이스(72)가 안착되고 그리고 웨지 릴리스(61)가 잠김 위치에 있을 때, 제1 경사 표면(84) 및 제2 경사 표면(85)은 키홀 슬롯 구멍(57)의 좁은단부(75)의 양 측부를 접촉한다. 접촉 표면(81)은 보울 구멍(54)의 바닥(69)을 접촉할 것이다. 출구 표면(87)은 도입 표면(83)보다 더 넓고, 그리고 키홀 슬롯 구멍(57)의 좁은 단부(75)보다 더 넓다.
도 17 및 도 18은 폴딩 트레이(355)의 등각도이다. 폴딩 트레이(355)는 장착 플레이트(135)에 평행한 저장 위치와 장착 플레이트(135)에 수직인 사용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수도 있는 트레이(340)를 포함한다. 트레이(340)는 예를 들어 랩탑 컴퓨터와 같은 아이템 또는 장치를 유지, 고정 그리고/또는 지지할 수도 있다. 사용 위치에 있을 때, 트레이(340)는 사용자가 장치를 사용할 수도 있도록 장치를 위치시킬 수도 있다. 저장 위치에 있을 때, 트레이(340)는 장치 및 트레이 자체가 장착 플레이트(135)와 평행하고 그리고 따라서 더욱 컴팩트한 위치에 있게끔 배향되도록 위치된다.
도 17 및 도 18은 사용 위치에 있는 폴딩 트레이(355)를 묘사한다. 상측 암(305) 및 하측 암(310) 세트는 힌지(300)의 세트를 통해서 상측 지지부(345) 및 하측 지지부(350)에 연결된다. 상측 암(305) 및 하측 암(310)은 힌지(300) 세트를 통해서 트레이(340)에 연결되고 그리고 저장 위치 및 사용 위치 양자에서 트레이(340)를 지지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좌측 및 우측 슬롯(325)은 트레이(340)의 상측 부분(360)에 부착되고, 그리고 한 쌍의 캠(330) 및 한 쌍의 비-스키드(non-skid) 패드(320)와 함께 사용되어 장치(370)를 고정한다. 한 쌍의 비-스키드 패드(320)는 한 쌍의 비-스키드 패드(320)과 슬롯(325) 사이의 마찰 결합을 통해서 장치(370)를 위치에 유지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도 있다. 한 쌍의 비-스키드 패드(320)는 폴딩 트레이(355)를 통해서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하는 것을 허여하는 동적 탄성률을 갖는다. 한 세트의 락 탭(315)은 상측 암(305) 및 하측 암(310)이 저장 위치로부터 사용 위치로 그리고 반대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가이드 요소(335)는 트레이(340)의 하측 부분(365)에 부착된다. 이 비-제하적 실시형태에서, 가이드 요소(335)는 코드 또는 다른 아이템의 삽입을 허여하는 개방 슬롯(336)을 갖는 장방형 부품이다. 상측 지지부(345) 및 하측 지지부(350)은 4개의 패스터(230)을 통해서 마운트(50)의 장착 플레이트(135)에 고정된다. 이 비-제한적 실시형태에서, 패스너(230)는 장착 플레이트(135)에 폴딩 트레이(355)를 고정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볼트이다. 상측 지지부(345) 및 하측 지지부(350) 각각은 상이한 조절 홀(308)에 힌지(300)를 이동시킴으로써 장착 플레이트(135)에 수직으로부터 트레이(340)의 상이한 각도를 허여하도록 조절될 수도 있다.
장착 플레이트(135)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장착 스터드 및 잠금 핀(155) 뿐만 아니라 다양한 부착되는 장치 인터페이스를 가질 수도 있다. 도 18에서, 웨지 인터페이스(72)는 도 1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웨지 마운트(47)와 해제가능하게 연결되기 위해서 장착 플레이트(135)에 연결된 상태에서 도시된다.
도 19 및 도 20은 스위블 마운트(420)의 등각도이다. 스위블 마운트(420)는 스위블 바디(405) 및 스위블 프레임(410)을 포함한다. 스위블 프레임(410)은 마운트(50)의 장착 플레이트(135)에 부착된다. 스위블 프레임(410)은 종방향 축선을 따라서 종방향으로 정렬되는 2개의 힌지, 즉 상측 힌지(380) 및 하측 힌지(385)를 통해서 스위블 바디(405)에 연결된다. 상측 힌지(380) 및 하측 힌지(385)는 스위블 바디(405)가 종방향 축선 둘레로 스위블 프레임(410)에서 360도까지 회전되는 것을 허여할 수도 있다. 스위블 바디(405)는 락 바디(415)를 통해서 회전되는 것으로부터 잠길 수도 있다. 락 바디(415)는 마찰 락이고 그리고 락 핸들(390)이 회전될 때 하측 힌지(385)에 마찰을 적용하는 나사선 로드(미도시)를 포함한다. 마찰이 하측 힌지(385)에 적용될 때, 스위블 바디(405)는 스위블 프레임(410)에 대해서 각도 위치로 위치에 유지되며, 스위블 바디(405)가 종방향 축선 둘레로 임의의 각도 위치에서 잠기도록 할 수 있다. 4개의 스위블 장착 홀(400)은 스위블 바디(405)에 위치된다. 스위블 장착 홀(400)은 여기서 제공되는 것과 같은 임의의 체결 디바이스(430)을 통해서 스위블 바디(405)에 장치(425)를 고정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도 21은 사용 위치에 있는 오버헤드 IV 훅(650)을 도시한다. 오버헤드 IV 훅(650)은 2개의 IV 훅(655)을 갖는다. 이들은 잠금 힌지(665)를 통해서 중앙 샤프트(670)에 연결된다. 잠금 힌지는 도 21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저장 위치 또는 사용 위치 중 어느 하나에서 2개의 IV 훅(655)을 잠글 수 있다. 잠금 힌지는 오버헤드 IV 훅(650)의 현재 위치를 유지하는 마찰을 발생시키도록 힌지 내에서 억지 끼워맞춤에 의해서 또는 힌지의 회전 요소에서 오목자국 안으로 바이어스 되는 볼 베어링에 의해서 잠긴다. 릴리스 스프링(660), 칼라(615), 및 중앙 샤프트(670)은 수직 축선(V)을 따라서 공통-축선방향으로 정렬된다. 릴리스 스프링(660)은 칼라(615)와 잠금 힌지(665) 사이에서 바이어스된다. 중앙 샤프트(670)는 마운트 헤드(620)에 연결된다. 오버헤드 IV 훅(650)은 트랙(예를 들어 트랙(10), 도 1)에 대해서 가압되고 그리고 트랙 상의 장착 홀(예를 들어, 장착 홀(55), 도1) 중 하나와 정렬된다. 오버헤드 IV 훅(650)이 트랙에 대해서 가압될 때, 칼라(615)는 릴리스 스프링(600)을 압축하고, 장착 헤드(620)는 장착 홀 안으로 돌출되고, 그리고 오버헤드 IV 훅(650)은 넥 다운 부분(미도시) 안으로 아래로 슬라이드되고 해제된다. 칼라 결합 표면(625) 및 장착 헤드 결합 표면(630)은 트랙을 크램프하고 그리고 오버헤드 IV 훅(650)을 위치에 고정한다.
도 22는 저장 위치에 있는 오버헤드 IV 훅(650)을 도시하고, 예를 들어, IV 훅(655)은 장착 플레이트(미도시)에 평행한 위치 안으로 회전된다. 잠금 힌지(665)는 사용 위치(도 21)로 이동될 때까지 저장 위치를 유지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IV 훅(655)은 유틸리티 훅(utility hook), 타이 다운 링(tie down ring), 클리트(cleat), 아일릿(eyelet), 또는 훅 및 루프 패스너일 수도 있다.
도 23a 및 도 23b는 벨트 마운트(680) 및 벨트(685)를 갖는 IV 백 Velcro® 랩(wrap)을 도시한다. 벨트(685)는 벨트 마운트(680)에 벨트(685)를 부착하도록 2개의 루프 홀(800)을 통해서 끼워진다. 벨트 마운트(680)는 벨트 마운트(680)를 통해서 배치되는 샤프트 구멍, 적어도 하나의 벨트 루프 구멍(683), 및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한 복수의 압력 암(686)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2 마운트 헤드(620)는 제2 샤프트(682)의 원위 단부에 연결된다. 탭 헤드(621)는 제2 샤프트(682)의 근위 단부에 연결되고, 제2 샤프트(682)는 샤프트 구멍을 통해서 위치된다. 제2 바이어스 스프링(622)은 헤드(621)와 벨트 마운트(680) 사이에 연결되고, 제2 바이어스 스프링(622)은 제2 마운트 헤드(620)를 벨트 마운트(680)에 대항하여 바이어스 한다. 벨트(685)는 적어도 하나의 벨트 루프 구멍(683)을 통해서 연결되고 그리고 IV 백(미도시)을 고정하기 위해서 사용되며, 제2 바이어스 스프링(622)은, 복수의 압력 암(686)을 지나서 제2 마운트 헤드(620)를 연장시키고 그리고 IV 백 Velcro® 랩이 트랙(10) 상의 슬롯(20, 25, 및/또는 30)과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허여할 벨트 마운트(680)를 향해서 탭 헤드(621)를 작동시킴으로써 압축된다.
벨트(685)는 가죽, 로프(천연 또는 합성), 플라스틱 제품, 예를 들어 폴리머, 비닐 또는 고무, 및 금속 제품, 예를 들어 얇은 알루미늄 밴드를 포함하는 임의의 타입의 유연한 재료로부터 만들어질 수 있다. 벨트(685)는 자신 위로 루프되고 고정 스트립(690)을 사용하여 고정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고정 스트립(690)은 훅 및 루프(예를 들어, Velcro®)일 수도 있고 그리고 또한 버튼, 스냅 등과 같은 다른 타입의 패스너일 수 있다. IV 백 Velcro® 랩(675)은 도 21 및 도 22에서 찾아지는 오버헤드 IV 훅과 함께 또는 없이 사용된다. IV 백 Velcro® 랩은 IV 백(미도시)을 느슨하게 매달리는 것으로부터 고정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오버헤드 IV 훅(650)은 도 1로부터의 트랙(10), 도 38의 미니트랙(12), 또는 도 28a로부터의 신속 마운트 트랙(11), IV 백 Velcro® 랩(675), 및 오버헤드 IV 훅(650)을 포함하는 키트의 부품일 수도 있다.
도 24는 트랙 측부(1701) 및 장치 측부(1702)를 갖는 레일(1720), 레일(1720)에 연결되는 복수의 마운트 스터드(140a 및 140b)를 포함하는 장치 트랙 마운트(1700)을 도시한다. 복수의 장착 스터드(140a 및 140b) 중 개별적으로 하나는 트랙 사이드(1701)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스템 부분 및 각각의 스템 부분의 원위 단부에 배치되는 확대된 헤드 부분을 포함할 수도 있다. 장치 측부(1702)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나사선 로드(1701a 및 1710b), 잠금 핀(155)은 레일(1720)을 통해서 배치되고 연장된 위치에 트랙 측부(1701)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다. 락 바이어스 스프링(미도시)은 연장된 위치에 잠금 핀(155)를 바이어스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제어 노브(1715)는 장치 측부(1702)에 연결되고 그리고 잠금 핀(155)에 동작적으로 연결되고 그리고 작동될 때 잠금 핀(155)을 레일(1720) 안으로 후퇴시키고, 그리고 해제될 때 락 바이어스 스프링이 잠금 핀(155)을 연장된 위치에 바이어스하는 것을 허여한다.
장치 트랙 마운트(1700)는 장치 장착 시스템에 다양한 장치를 고정하기 위해서 다양한 장치 상에서 사용될 수도 있는 범용 마운트이다. 장치 트랙 마운트(1700)는 도 1의 트랙(10)의 제1 외측 슬롯(20) 및 제2 외측 슬롯(30), 도 38의 미니트랙(12), 또는 도 28a의 신속 마운트 트랙(11)과 인게이지되도록 레일(1720) 상에 위치되는 2개의 장착 스터드(140a 및 140b)를 갖는다. 대안적으로 각각의 장착 스터드(140a 및 140b)는 균일하게 이격되어 장치 트랙 마운트(1700)가 트랙(10), 미니트랙(12) 또는 신속 마운트 트랙(11) 상에 수직으로 또는 수평으로 고정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스터드(1720)는 나사선이 형성된다. 부착 지점(1725)은 장치(미도시)의 부착이 디바이스를 체결함으로써 달성되는 레일(1720)의 영역이다. 이 실시형태에서, 스터드(1710)는 장치가 너트에 의해서 단일 트랙 마운트(700)에 고정되는 것을 허여하는 나사선 스터드이다.
도 25는 유지 훅(760) 및 장치 트랙 마운트(1700)을 도시한다. 지지 플레이트(750)는 스크류(755a 및 755b)에 의해서 장치 트랙 마운트(1700)에 부착된다. IV 백(미도시) 또는 재료의 스트랜드를 캡쳐하거나 또는 지지하는 유지 훅(760) 훅(770) 및 크레이들(755) 단지 백의 핸들 또는 로프. 유지 클립(765)은 IV 백이 유지 훅(760)으로부터 슬립되지 않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서 사용되고 그리고 훅(770)의 베이스(771)에 힌지식으로 연결된다. 유지 훅(760)은 유지 클립(765) 아래에 그리고 크레이들(775) 안에서 맞추고 그리고 유지 훅(760) 위로 미끄러지도록 맞는 사이즈의 루프로 어떠한 아이템도 매달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이중 마운트 플레이트(미도시)가 장치 트랙 마운트(1700)의 나사선 로드(1710a 및 1710b)에 연결될 수도 있다. 이중 마운트 플레이트는 2개 이상의 유지 훅(760)을 옆으로 나란히 위치시키는 플레이트 재료일 수도 있다. 이것은 하나 이상의 아이템이 걸리는 것을 허여하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하나의 무거운 아이템이 양 훅을 통해서 재료 가닥을 끼움으로써 걸리는 것을 허여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태스크 라이트 또는 램프 조립체가 장치 트랙 마운트(1700)에 고정되고 그리고 닫힌 영역에서 조명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태스크 라이트는 태스크 라이트 또는 램프 조립체의 유연한 넥 안으로 삽입되는 포스트(미도시) 및 클램프를 통해서 램프 조립체 마운트에 부착된다. 램프 조립체 마운트는 나사선 로드(1710a 및 1710b) 상에 2개의 너트의 사용을 통해서 장치 트랙 마운트에 부착된다. 태스크 라이트 실시형태는 라이트에 한정되지 않는다. 유연한 넥은 예를 들어 확대경, 플래시라이트, 거울, 반사기, 또는 다른 도구를 유지하는 클립 또는 크로(claw)와 같은, 라이트 이외의 다른 도구의 부착을 허어할 수도 있다.
도 26은 마스트(805)의 상단에 유지 훅(760)을 갖는 IV 백 마운트(780)를 도시한다. 마스트(805)는 도 23으로부터의 IV 백 Velcro® 랩(675)의 벨트 마운트(680)에 부착될 수도 있다. 마스트는 단일 트랙 마운트(700)에 부착될 수도 있다. IV 백(미도시)은 유지 훅(760)으로부터 걸리고 그리고 2개의 루프 홀(800) 에 끼워지는 벨트(685) 및 고정 스트립(690)을 통해서 마스트(805)에 대항하여 고정된다.
도 27은 복수의 타겟 개방 영역(900) 및 비-타겟 개방 영역(902)을 갖는 트랙(10)을 도시한다. 제1 외측 슬롯(20) 및 제2 외측 슬롯(30)은 도 3의 장착 스터드(140) 또는 예를 들어 도 21의 제2 마운트 헤드(620)와 같은 유사한 스터드를 수용하는 타겟 개방 영역(900)을 포함할 수도 있다. 어떤 실시형태에서, 타겟 개방 영역(900)은 부착된 장치를 갖는 마운트(500)가 도 1의 개방 영역(35)과 장착 스터드(140)의 시야 정렬의 라인을 위한 필요 없이 트랙(10)과 슬라이딩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허여한다. 타겟 개방 영역(900)은 비-타겟 개방 영역(902)보다 직경 및/또는 사이즈에서 더 크며, 이는 트랙(10)에 대한 마운트(50)의 배향에서 더 많은 가변성을 허여하고 그리고 또한 트랙(10)과 마운트(50) 사이의 정확한 결합을 가능하게 한다. 대안적인 실시형태에서(미도시), 트랙(10)은 비-타겟 개방 영역(902)을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것은 슬롯(20 및 30)을 따라서 단지 어떤 개수의 타겟 개방 영역(900) 및 어떤 개수의 타겟 개방 영역(900) 사이에 계속되는 넥 다운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의 예시는 도 28a 및 도 28b에서 찾아진다.
도 28a 및 도 28b는 신속 마운트 트랙(11)을 도시한다. 신속 마운트 트랙(11)은 중앙 슬롯(25), 제1 외측 슬롯(20), 및 제2 외측 슬롯(30)을 갖는 뒷받침 플레이트(15)를 포함한다. 제1 외측 슬롯(20) 및 제2 외측 슬롯(30)은 도 3의 t-형상 스터드 또는 장착 스터드(140)가 제1 외측 슬롯(20) 및 제2 외측 슬롯(30)과 뒷받침 플레이트(15)에 어떤 각도로 인게이지되는 것을 허여하는 복수의 다이아몬드 윤곽 타겟 영역(13)을 포함한다. 중앙 슬롯(25)은 뒷받침 플레이트(15)에 복수의 잠금 핀 구멍(60) (예를 들어, 60a 및 60b)을 갖는다. 잠금 핀 구멍(60)은 복수의 다이아몬드 윤곽 타겟 영역(13)과의 수평 정렬되어 있다. 복수의 다이아몬드 윤곽 타겟 영역(13)은 도 3의 마운트(50)가, 마운트(50)를 보고 도 1의 트랙(10)의 개방 영역(35)에 정렬하는 것의 불능으로 부터 올 수도 있는 정렬불량의 정도로 신속 마운트 트랙(11)에 장착되는 것을 허여한다. 마운트(50)는 신속 마운트 트랙(11)에 대한 관계에서 약간 회전될 수도 있고, 그리고 또한 장착 스터드(140)는 복수의 다이아몬드 윤곽 타겟 영역(13)과 인게이지될 것이다. 장착 스터드(140)가 복수의 다이아몬드 윤곽 타겟 영역(13)으로 삽입될 때, 마운트(50)는 신속 마운트 트랙(11)과 평행하게 정렬된다. 달리 말하면, 복수의 다이아몬드 윤곽 타겟 영역(13)은 마운트(50)의 약간의 회전을 허여하고 그리고 또한 제1 외측 슬롯(20) 및 제2 외측 슬롯(30)의 성공적인 결합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복수의 다이아몬드 윤곽 타겟 영역(13)은 마운트(50)가 뒷받침 플레이트(15)에 어떤 각도로 신속 마운트 트랙(11) 안으로 삽입되는 것을 허여할 것이다. 달리 말하면, 사용자는, 장착 스터드(140c 및 140d)가 제2 외측 슬롯(30)과 인게이되도록 마운트(50)를 좌우로 움직이거나 정렬하기 전에 먼저 제1 외측 슬롯(20) 안으로 장착 스터드(104a 및 140b)를 삽입할 수도 있다. 이 기능은 사용자가 제2 사용자의 도움에 대한 필요로 무겁거나 또는 부피가 큰 장치를 장착하는 것을 허여하고 그리고 뒷받침 플레이트(15)에 대한 관계에서 마운트(50)의 어떤 정렬불량(회전 및 각도 양자)을 허여한다. 뒷받침 플레이트(15)는 또한 체결 디바이스(3939)(도 80)가 표면, 벽 또는 구조체에 신속 마운트 트랙(11)을 고정하는 것을 허여하는 복수의 장착 위치부(17)를 가질 수도 있다.
도 29는 복수의 락 홀(905)을 갖는 트랙(10)을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중앙 슬롯(25)은 복수의 락 홀(905)로 대체될 수도 있어 도 3의 잠금 핀(155)이 트랙(10)에 대해 마운트(50)를 고정하도록 개별 락 홀(905)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허여할 수도 있다. 어떤 실시형태에서, 제1 외측 슬롯(20) 및 제2 외측 슬롯(30)은 도 2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복수의 타겟 개방 영역(900)을 가질 수도 있으나, 이들이 요구되지 않거나 또는 도 28a 및 도 28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복수의 다이아몬드 윤곽 타겟 영역(13)을 가질 수도 있다.
도 30은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중앙 슬롯(25)이 없는 트랙(10)을 도시한다. 제1 외측 슬롯(20) 및 제2 외측 슬롯(30)은 복수의 타겟 개방 영역(900)을 가질 수도 있으나, 이들이 도 27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요구되지 않거나 또는 도 28a 및 도 28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복수의 다이아몬드 윤곽 타겟 영역(13)을 가질 수도 있다. 편평한 표면(910)은 도 7의 잠금 핀(155)이 바이어스 힘을 편평한 표면에 가하여 장착 스터드(140)와 제1 외측 슬롯(20)과 제2 외측 슬롯(30)의 넥-다운 영역(40) 사이에 억지 끼워맞춤을 생성하는 것을 허여한다. 바이어스 힘은 트랙(10)으로부터 마운트(50)를 분리하는 힘을 가한다. 슬롯(20, 25 및 30)에 대항하여 가압하는 장착 스터드(140)의 억지 끼워맞춤 또는 마찰 결합은 부품이 서로 가압된 후에 마찰에 의해서 2개의 부품을 체결하는 체결 디바이스이다. 또한, 도 37에서 아래에 설명되는 스너버(snuuber) 기능이 또한 도 30의 트랙(10)에 마운트(50)를 고정하는 필요한 힘을 제공할 수도 있다.
도 31은 도 28의 신속 마운트 트랙(11) 또는 도 38의 미니 트랙(12), 도 1의 트랙(10)을 포함하는 벽 조립체(2050)를 도시한다. 트랙(10)은 복수의 탭(2070a 및 2070b)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복수의 탭(2070a 및 2070b)이 트랙(10)의 긴 치수를 따라서 도시되나, 복수의 탭(2070a 및 2070b)이 또한 트랙(10)의 짧은 치수에 연속될 수도 있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복수의 탭(2070a 및 2070b)은 벽 커버링(2055)를 지지할 수도 있고 벽 커버링(2055)을 뒷받침 플레이트(15)의 페이스 표면(2078)과 동일 평면으로 유지할 수도 있다. 벽 커버링(2055)은 임의의 재료로 만들어질 수도 있고 용접, 접착제, 또는 상술된 체결 디바이스를 통해서 복수의 탭(2070a 및 2070b)에 체결될 수도 있다. 외측 벽 커버링(2060)은 임의의 재료로 만들어질 수도 있고 용접, 접착제, 또는 상술된 체결 디바이스를 통해서 지지 구조체(2080)에 체결될 수도 있다. 지지 구조체(2080)는 뒷받침 플레이트(15)에 연결되고 그리고 뒷받침 플레이트(15), 벽 커버링(2055), 및 외측 벽 커버링(2060)을 지지하는 강도 및 강성을 제공한다. 지지 구조체(2080)은 또한 더 큰 벽 조립체(2050)의 프레임의 부분일 수도 있다. 제1 외측 채널(2071), 중앙 채널(2072), 및 제2 외측 채널(2073)은 지지 구조체(2080)의 부분일 수도 있고 그리고 전기 배선, 배관, 및 벽 조립체(2050)에 의해서 제공될 수도 있는 다른 서비스를 위한 도관을 제공할 수도 있다.
페이스 표면(2078) 및 후방 표면을 갖는 뒷받침 플레이트(15), 페이스 표면은 후방 표면의 반대이다. 뒷받침 플레이트(15)는 복수의 개방 영역 및 복수의 개방 영역을 연결하는 복수의 넥 다운 영역을 갖는 제1 외측 슬롯(20), 복수의 개방 영역 및 복수의 개방 영역을 연결하는 복수의 넥 다운 영역을 갖는 제2 외측 슬롯(30), 및 뒷받침 플레이트에 복수의 잠금 핀 구멍을 갖는 중앙 슬롯(25)을 포함하고, 잠금 핀 구멍은 제1 외측 슬롯(20) 및 제2 외측 슬롯(25)의 복수의 개방 영역과 수평 정렬된다. 뒷받침 플레이트(15)는 또한 뒷받침 플레이트(15)의 페이스 표면(2078)과 동일 평면으로 제1 벽 커버링(2055)을 지지하는 뒷받침 플레이트(15)의 제1 외측 가장자리를 따른 제1 트립 탭(2070a), 및 뒷받침 플레이트(15)의 페이스 표면(2078)과 동일 평면으로 도 32의 제2 벽 커버링(2055b)을 지지하는 뒷받침 플레이트(15)제2 외측 가장자리를 따른 제2 트림 탭(2070b)을 포함한다. 벽 조립체(2050)에 대한 지지를 제공하도록 뒷받침 플레이트(15)의 후방 표면에 연결되는 지지 구조체(2080), 여기서 벽 조립체(2050)는 제1 벽 커버링(2055), 제2 벽 커버링, 및 외측 벽 커버링(2060)을 지지하기 위한 구조체를 포함한다.
도 32는 벽(2040)을 도시한다. 트랙(10a, 10b, 10c, 10d, 및 10e)은 벽(2040)에 장착되는 장치의 타입 및 개수에 따라서 요구되는 임의의 간격으로 벽(2040)을 따라서 이격될 수도 있다. 벽은 서로 연쇄된 복수의 벽 조립체(2050)를 포함한다. 벽 커버링(2055a, 2055b, 2055c, 2055d, 2055e, and 2044f)은 트랙(10a, 10b, 10c, 10d, 및 10e)을 서로 연결하였다. 벽 커버링(2055a, 2055b, 2055c, 2055d, 2055e, 및 2044f)이 트랙(10a, 10b, 10c, 10d, 및 10e)을 위해서 구조적 지지를 제공할 수도 있고, 이들이 구조적 지지부(2080a, 2080b, 2080c, 2080d, 및 2080e)와 같이 벽(2040)의 지지부에 대해서 기초를 제공하는 것이 요구되지 않는다는 점이 주의되어야 한다.
도 33은 도 32의 벽(2040) 상의 사용을 위한 캐비넷(2100)을 도시한다. 캐비넷(2100)은 벽(2040)을 따라서 아이템을 저장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도 있다.
도 34는 캐비넷(2100)의 후방측부(2105)를 도시한다. 복수의 키홀(2108a, 2108b, 2108c, 및 2108d)이 도 9와 관련하여 상술된 바와 같이 단일 트랙 스터드와 인게이지되기 위해서 사용될 수도 있다. 단일 트랙 스터드는, 캐비넷(2100)의 후방측부(2105) 상의 복수의 키홀(2108a, 2108b, 2108c, 및 2108d)과 인게이지되는 위치이기만 하다면 도 32의 트랙(10a, 10b, 10c, 10d, 및 10e)을 따라서 어느 곳이든 위치될 수도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도 3의 마운트(50), 도 8의 어댑터, 또는 도 11의 웨지 마운트(47)는 트랙(10)에 대한 도 36의 케이스(2110) 또는 캐비넷(2100)을 고정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도 있다.
도 35는 도 32의 벽(2040)에 장착된 캐비넷(2100)을 도시한다. 이 실시형태에서, 트랙(10a 및 10b)은 단일 트랙 스터드 등이 도 3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캐비넷(2100)의 후방측부(2105) 상의 복수의 키홀(2108a, 2108b, 2108c, 및 2108d)과 인게이지되는 것을 허여한다. 벽 커버링(2055a, 2055b, 및 2055c)은 벽(2040) 및 캐비넷(2100)을 위한 동일 평면 표면을 제공한다.
도 36은 비이클 캡(vehicle cab)(2200)을 도시한다. 이 실시형태에서, 지지 구조체(2080)는 비이클 캡(2200)을 위한 골조를 제공한다. 크로스 부재(2081)는 지지 구조체(2080) 사이에 더해져 비이클 캡(2200)에 추가적인 강성 및 강도를 더한다. 지지 구조체는 도 3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트랙(10)에 연결되고 그리고 벽 커버링(2055)은 각각의 트랙(10) 사이의 거리를 가로질러 비이클 캡(2200)을 위한 동일 평면 내측 표면을 제공한다. 캐비넷(2100)은 케이스(2110)뿐만 아니라 트랙(10)에 부착된 상태로 도시된다. 케이스는 또한 후방측부 상에 복수의 키홀을 포함할 수도 있고, 캐비넷(2100)과 유사한 방식으로 트랙에 장착될 수도 있다.
비이클 캡(2200) 그러나 임의의 벽으로 된 인클로져가 도 31의 벽 조립체(2050)를 포함할 수도 있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트랙(10)이 비이클 캡(2200)에 수직으로 도시되나 이들은 또한 수평으로 이어질 수도 있고 그리고 지지 구조체(2080) 대신에 크로스 부재(2081)를 사용할 수도 있다. 외측 벽 커버링(2060)은 또한 비이클 캡(2200)을 덮기 위해서 사용될 수도 있다.
도 3, 도 10b, 도 11 및 도 37을 참조하면, 일 실시형태에서, 잠금 핀 릴리스(160a 및 160b) 및 웨지 릴리스(61)는 스너버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스너버 기능은 잠금 핀 릴리스(160a 및 160b) 및 웨지 릴리스(61)가 마운트(50)와 트랙(10) 사이의 임의의 슬랙(slack)을 흡수하는 것을 허여한다. 트랙에 대한 마운트(50)의 장착 및 트랙으로부터의 장착해제의 용이성을 위해서, 장착 스터드(140)와 슬롯(20, 25 및 30) 사이의 공차는 장착 스터드(140)와 슬롯(20, 25 및 30) 사이의 운동을 허여하도록 느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장착될 때, 마운트(50)는 트랙(10), 미니트랙(12) 또는 신속 마운트 트랙(11) 상에서 래틀(rattle)되거나 또는 흔들릴 수도 있다. 스너버 기능은 마운트(50)와 트랙(10) 사이에 압력을 가하기 위해서 리시버 잠금 핀(2020)(도 10b)을 사용하거나 또는 마운트(50)와 트랙(10) 사이의 느슨한 공차를 흡수하도록 장착 플레이트(135) 안으로 장착 스터드(140)를 후퇴시킨다.
이제 도 37을 참조하면, 웨지 마운트(47)가 도시되며, 잠금 핀 릴리스(160a 및 160b)(160)가 단일 유닛이고 중심 축선 둘레로 회전된다. 잠금 핀 릴리스(160)는 잠김 위치(133)와 잠금해제 위치(131)를 갖는다. 잠금해제 위치(131)에서, 잠금 핀 릴리스(160)는 상술된 바와 같이 트랙(10)으로부터 마운트(50)를 릴리스하도록 트랙(10)으로부터 멀리 또는 향해서 작동되게끔 자유롭다. 잠김 위치(133)에서, 스탑(stop)(128)은 잠금 핀 릴리스(160)의 향하는 또는 멀어지는 운동을 방지한다. 잠금 핀 릴리스(160)가 잠금해제 위치(131)로부터 잠김 위치(133)로 작동(회전)될 때, 캠(미도시)은 플런져(미도시)를 트랙(10)을 향해서 가압하여 마운트(50)와 트랙(10) 사이의 느슨한 공차를 흡수하거나 또는 스너버 기능에서 상술된 바와 같이 장착 플레이트(135) 안으로 장착 스터드를 후퇴시킨다.
또한, 다른 실시형태에서, 블레이드(64)는 결합 표면(66)뿐만 아니라 도 12의 블레이드(64)와 상이한 형상을 갖는다. 도 37의 결합 표면(66) 및 블레이드(64)의 더 좁은 형상은 웨지 릴리스(61)가 파괴 없이 더 큰 쇽 로드를 흡수할 수 있게하고 더 좁은 웨지 인터페이스(미도시)에 일치될 수 있게 한다.
도 38은 도 10a 및 도 10b의 범용 어댑터(990)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복수의 키홀 슬롯 구멍(2012a, 2012b, 및 2012c)은 장치 마운트(172)를 수용하도록 도시되며, 장치 마운트(172)의 상이한 실시형태가 상술된다. 리시버 장치 릴리스(2005)는 복수의 키홀 슬롯 구멍(2012a, 2012b, 및 2012c)의 각각의 공동 내 한 세트의 릴리스 핀(미도시)을 통해서 범용 어댑터(990)로부터 장치 마운트(172)를 해제한다. 패들 래치(paddle latch)(2011)는 미니트랙(12)으로부터 범용 어댑터(990)를 해제하도록 풀-아웃(pull-out) 핀(2013)을 작동시킨다. 풀-아웃 핀(2013)은 도 3의 잠금 핀(155)에 유사하게 동작한다.
미니트랙(12)은 도 1의 트랙(10)의 다른 실시형태이다. 미니트랙(12)은 더 작은 하중이 표면, 벽 또는 구조체에 장착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39a 및 도 39b는 신속 릴리스 클립(3000)을 도시한다. 신속 릴리스 클립(3000)은 아일릿 구멍(3003)을 갖는 아일릿 구조체(3005)를 갖는다. 아일릿 구멍(3003)은 재료 가닥이 신속 릴리스 클립(3000), 래치, 클립, 로프 또는 유사한 재료, 카라비너 또는 신속 릴리스 클립(3000)과 연결되는 것으로부터 걸리도록 허여한다. 풋 구조체(3008)는 도 3의 2개의 장착 스터드의 풋프린트를, 만약 이들이 도 1의 트랙(10)의 인접한 개방 영역(35)에 배치된다면, 모방한다. 클립 핀(3025)은 풋 구조체(3008)를 향해서 바이어스되고, 그리고 잠금 핀(155)을 모방한다. 핸들(3020)은 클립 핀(3025)이 트랙(10)으로부터 신속 릴리스 클립(3000)을 해제하도록 풋 구조체(3008)로부터 멀어지도록 당겨질 수 있게 한다. 복수의 인덴트(indent)(3015a 및 3015b)는 클립 핀(3025)이 2개의 넥-다운 영역(40) 사이에 신속 릴리스 클립(3000)을 잠그는 것을 허여한다. 달리 말하면, 신속 릴리스 클립(3000)이 비연관된 위치(도 5 참조)에 있을 때, 인접한 넥-다운 영역(40)은 복수의 인덴트(3015a 및 3015b)를 차지한다. 클립 핀(3025)은 핸들의 양 측부(3020a 및 3020b)뿐만 아니라 클립 핀의 양 측부(3025a 및 3025b)를 포함하고 그리고 이들은 모두 일체로서 함께 이동된다.
신속 릴리스 클립(3000)이 연관된 구성으로 트랙(10) 안에 삽입될 때(도 1), 클립 핀(3025)은 트랙(10)의 페이스 표면에 접촉되고 그리고 개방 영역(35)을 차지하지 않는다. 신속 릴리스 클립(3000)은 비연관된 구성으로 슬라이딩되고 그리고 클립 핀(3025)은 개방 영역(35) 안으로 연장되도록 바이어스되고, 따라서 트랙(10)에 신속 릴리스 클립(3000)을 잠근다.
적용을 통해서 사용될 때 장착 스터드(140)는 상이한 장착 구성이 모든 실시형태 사이에서 사용되는 것을 허여하게끔 텅(180)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트랙(10)(도 1)의 사이즈 및 배향 및 모듈 플레이트(105)는 적용에 따라서 변할 수도 있다. 장착 스터드(140) 또는 트랙 슬롯(20, 25, 30)의 개수는 또한 적용 및 하중의 고려에 따라서 변할 수도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트랙(10), 고정된 위치 플레이트(130), 마운트(50)를 포함하는 여기서 개시되는 모든 실시형태는 알루미늄, 스틸, 고무, 캐스팅, 또는 유사한 재료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장치 장착 시스템이 장치 장착 시스템의 복수의 구성요소가 상호교체가능할 수도 있다는 점때문에, 조립 시간, 복잡성,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모듈식 일 수도 있다는 점이 또한 이해될 것이다. 장치 장착 시스템에서 이러한 모듈성은 어떤 경우에 결과를 향상시킬 수도 있는, 특정 상황에 대한 더욱 신속하고 유연한 응답을 허여할 수도 있다. 장치 장착 시스템 구성은 다양한 상이한 비이클 및/또는 다른 장치 상에서 사용을 허여하고, 따라서 상호교환성 및 유연성의 이익을 제공한다. 여기서 설명되는 트랙 시스템의 다른 이익은, 장치 장착 시스템이 촉각 감지만(즉, 느끼는 것만)에 의해서 채용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거의 없거나 없는 가시성으로 하나 이상의 장치를 장착하고, 제거하고 그리고/또는 재구성하는 것을 트랙 시스템이 허여하는 점이다.
도 1의 트랙(10), 도 38의 미니트랙(12), 또는 도 28a 및 도 56의 신속 마운트 트랙(11)이 상이한 사이즈 및 상이한 구성의 장착 스터드를 수용하도록 치수조절이 가능할 수도 있다는 점이 또한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표준 사이즈는 25.4 mm (1 인지) 중심 상의 19.05mm (3/4 인치) 홀(도 1의 개방 영역(35))일 수도 있다. 트랙(10), 미니트랙(12) 또는 신속 마운트 트랙(11)은 50.8mm (2 인치) 중심 상의 38.1 mm (1.5”) 홀로 증가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트랙(10), 미니트랙(12) 또는 신속 마운트 트랙(11)은 도 38의 미민트랙(12)에 대응할 수도 있는 12.7mm (1/2 인치) 중심 상의 9.5mm (3/8 인치) 홀로 감소될 수도 있다.
어떤 실시형태에서, 인쇄되거나 페인트칠 된 표시 및/또는 촉각 표시(예를 들어 위치 인디케이터) 는 장치 장착 시스템과 함께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위치 인디케이터는 트랙(10) 상에 편평하게 또는 나란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어떤 실시형태에서, 마커는 트랙(10) 상에 배치될 수도 있어 거의 없거나 없는 가시성을 가지고 안테나 마운트의 신속한 조절을 허여한다. 표시는 트랙(10) 상에 또는 비이클 상에 위치될 수도 있다.
장치 장착 시스템은 충분한 강도의 임의의 다른 재료로 만들어 질 수 있다. 이것은 하나의 재료 또는 캐스팅에 의해서 만들어질 수도 있다. 장착 플레이트 상의 스터드 및 트랙 상의 개구는 시스템의 제조에서 사용되는 장치 및 재료에 의해서 요구되는 원하는 장착 강도에 도달되기 위한 필요에 따라 증가되거나 감소될 수 있다.
이 시스템이 비이클 또는 다른 장치에 장치를 장착하기 위해서 공구를 요구하지 않는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상술된 바와 같이, 사용 및 장착의 용이성은 낮시간 또는 밤시간 작업에서 장치의 장착을 허여할 수도 있다. 장치 장착 시스템은 신속 릴리스가 어두울 때 찾아질 수 있고 장치가 거의 없는 내지 전무(little-to-zero)의 라이트 조건 하에서 이동되거나 제거될수 있도록 구성된다. 장치 장착 시스템은 또한 트랙 시스템으로서 알려질 수도 있다.
이제 도 40 내지 도 45를 참조하면, 트랙 클립(3400)의 실시형태가 도시된다. 트랙 클립(3400)은 트랙에 탈착가능하게 연결되고 그리고 또는 트랙과 인게이지되도록 동작가능하다(즉, 트랙 클립(3400)의 개시를 통해서 사용될 때, "트랙"은 도 1, 도 2 및 도 27 내지 도 31의 트랙(10), 도 38에 도시되는 미니트랙(12), 또는 도 28a 및 도 56에 도시되는 신속 장착 트랙(11)을 포함한다). 따라서, 어떤 실시형태에서 트랙 클립(3400)은 여기서(예를 들어 도 45a 및 도 45b) 도시되고 설명되는 도해적인 트랙의 제1 외측 슬롯(20), 중앙 슬롯(25), 및/또는 제2 외측 슬롯(30) 중 임의의 하나 이상에 탈착가능하게 여결되고 그리고 또는 인게이지되도록 구성된다.
다시 도 40 내지 도 45b를 참조하면, 트랙 클립(3400)은 종방향 축선(3495)를 갖는 베이스(3405), 베이스(3405)로부터 베이스 종방향 축선에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롯 플랜지(3425), 베이스(3405)에 탈착가능하게 연결되는 커플러(3410), 종방향 축선(3495)에 횡방향인 캐리어 축선(3440)을 따라서 베이스(3405)로부터 연장되는 가이드(3497), 캐리어(3420)가 인게이지 위치와 인게이지해제 위치 사이에서 베이스(3405)에 대해서 이동되도록 가이드(3497) 둘레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캐리어(3420), 가이드(3497) 둘레로 배치되는 스프링, 및 베이스(3405) 내에서 그리고 이를 통해서 배치되는 구멍을 통해서 연장되고 캐리어(3420)에 연결되는 스너버 패드(3470)을 포함할 수도 있다. 트랙 클립(3400)의 구성요소는, 금속, 플라스틱, 복합재료 등을 포함하여, 다양한 동일한 재료, 상이한 재료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
베이스(3405)는 도 4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베이스 폭(3444) 및 도 45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커플러 페이스(3408)를 포함할 수도 있다. 베이스 폭(3444)은 베이스(3405)가 트랙의 슬롯(예를 들어 제1 외측 슬롯(20), 중앙 슬롯(25), 또는 제2 외측 슬롯(30) 중 하나)과 슬라이딩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허여하기에 충분하나, 그러나 또한 슬롯 내에서 베이스(3405)의 측방향 운동의 양을 최소화하고 그리고 다시 트랙에 관련하여 트랙 클립(3400)의 측방향 운동의 양을 최소화한다. 어떤 실시형태에서, 베이스(3405)는 반-래틀(anti-rattle) 코팅으로 커버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일 실시형태에서, 반-래틀 코팅은, 트랙 클립(3400)이 트랙에 연결될 때, 트랙 클립(3400)과 트랙 사이의 억지끼워맞춤을 생성하는 유연한 코팅일 수도 있다. 유연한 코팅은, 예를 들어 플라스틱 코팅, 고무 코팅, 직물 코팅, 왁스 코팅, 폼 코팅, 탄성 코팅, 이들의 임의의 조합 등일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반-래틀 코팅은 하드 표면일 수도 있다. 하드 표면은, 트랙에 관련하여 트랙 클립(3400)의 온동을 구속하면서 억지 끼워맞춤이 트랙 클립(3400)과 트랙 사이에 생성되도록 트랙 클립(3400)이 트랙에 연결될 때 마모될 수도 있다. 하드 표면은, 예를 들어, 플라스틱 표면, 세라믹 코팅 등일 수도 있다. 슬롯 플랜지(3425)는 트랙의 넥-다운 영역(40)과 슬라이딩가능하게 연결되기 위해서 그리고 더욱 상세히 후술되는 바와 같이 트랙에 트랙 클립(3400)을 고정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도 있다.
상술되는 바와 같이, 슬롯 플랜지(3425)는 베이스 종방향 축선(3495)에 횡방향으로 베이스 폭(3444)으로부터 연장될 수도 있다. 슬롯 플랜지(3425)는 예를 들어, 몰딩, 캐스팅, 기계가공, 또는 다른 유사한 방법과 같은 형성 기술을 사용하여 베이스(3405)의 일체형 구성요소로서 형성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슬롯 플랜지(3425)는 임의의 개수의 체결 디바이스, 용접, 마찰 결합 연결, 이들의 임의의 조합 등을 사용하여 베이스(3425)에 고정적으로 또는 탈착가능하게 연결되는 별개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슬롯 플랜지(3425)는 베이스(3425)의 일 단부에 배치되고 캐리어(3420)로부터 이격된다. 그러나, 슬롯 플랜지가 트랙 클립(3400) 상의 다양한 위치에 배치되고 그리고 임의의 형상, 디자인, 및/또는 사이즈를 갖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는 점이 이해된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커플러(3410)는, 커플러(3410)가 커플러 페이스(3408)로부터 연장되도록 하나 이상의 체결 디바이스(3465)를 사용하여 베이스(3405)에 탈착가능하게 연결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커플러(3410)은 용접, 마찰 결합, 및 다른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베이스(34050)에 고정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커플러(3410)가 몰딩, 캐스팅, 또는 기계가공 기술을 통해서 베이스(3405)의 일체적 부분으로서 형성될 수도 있다는 점이 이해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커플러(3410)는 도시되는 바와 같이 u-형상 링일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커플러(3410)은 발광 다이오드(LED)와 같은 라이트일 수도 있다. 유연한 넥은 라이트와 커플러 페이스(3408) 사이에 연결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커플러(3410)은 훅, 페그, 클래스프, 래치 등일 수도 있다.
가이드(3497)는, 이 실시형태에서, 캐리어 축선(3440)을 따라서 베이스(3405)로부터 연장되고 그리고 베이스(3405)로부터 이격된 원위 단부 및 근위 단부를 포함하는 포스트이다. 가이드 플랜지(3457)는 원위 단부에 배치된다. 레버리지 특징부(3415)는 가이드 플랜지(3457)에 고정적으로 또는 탈착가능하게 연결된다. 레버리지 특징부(3415)는, 선택적으로 사용자가 캐리어(3420)로부터 레버리지 특징부(3415)를 촉각적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캐리어(3420) 위로 연장될 수도 있다. 레버리지 특징부(3415)는 또한 선택적으로, 사용자가 캐리어(3420) 또는 트랙 클립의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레버리지 특징부(3415)를 촉각적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촉각 또는 파지 특징부 또는 리지(ridge)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레버리지 특징부(3415)는 탄성중합체, 고무, 도는 유사한 재료로부터 제조될 수도 있다. 어떤 실시형태에서, 가이드가 레버리지 특징부(3415) 또는 촉각 특징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점이 이해된다.
캐리어(3420)는 캐리어 바디(3449), 캐리어 바디(3449) 내에 배치되는 제1 캐리어 보어(3421), 제1 캐리어 보어(3421)에 연결되고 또한 캐리어 바디 내에 배치되는 제2 캐리어 보어(3422), 제2 캐리어 보어 내에 배치되는 보어 스탑(3423), 및 제1 캐리어 보어(3421) 안으로 연장되어 스프링(3434)과 인게이지되는 스프링 리테이너(3458)를 포함할 수도 있다. 베이스(3405)에 근위인 캐리어 바디(3449)의 단부에서, 캐리어 바디(3449)는, 캐리어가, 예를 들어 도 41, 도 43 및 도 45b에 도시되는 인게이지 위치로 이동될 때 베이스(3405)의 일 부분이 안으로 삽입되는 것을 허여하기에 충분하게 넓은 폭을 갖는 바디 채널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41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캐리어 바디(3449)는, 캐리어가, 예를 들어 도 41, 도 43 및 도 45b에 도시되는 인게이지 위치로 이동될 때 베이스(3405)의 일 부분이 안으로 삽입되는 것을 허여하기에 충분하게 넓은 폭을 갖는 제2 채널(3461)을 형성하도록 이격되고 캐리어 축선(3440)을 따라서 캐리어 바디(349)로부터 연장되는 제1 연장부(3455) 및 제2 연장부(3460)을 포함한다. 이 실시형태에서, 제1 및 제2 연장부는 부분적으로 형상이 원통형이고, 그리고 캐리어 바디(3449) 및 개방 영역의 직경 및/또는 폭보다 작으나 트랙의 넥 다운 영역(예를 들어, 넥 다운 영역(40))의 폭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다. 제1 및 제2 연장부(3455 및 3460)는, 트랙 클립(3400)이 인게이지 위치에 있을 때, 트랙 클립(3400)이 트랙의 슬롯을 따라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트랙의 개방 영역(예를 들어, 개방 영역(35))과 인게이지되고 안으로 삽입되도록 동작가능하다. 제1 및 제2 연장부(3455 및 3460)은 각각 캐리어 바디(3449)의 폭 또는 직경보다 작은 폭 또는 직경을 갖기 때문에, 캐리어 바디(3449)는 도 4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캐리어 축선으로부터 그리고 제1 및 제2 연장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바닥 표면(3447)을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3434)은 가이드(3497) 위로 슬라이딩되고 그리고 다음으로 캐리어(3420)가 스프링 및 가이드 위로 슬라이딩되어 스프링 및 가이드가 제1 및 제2 보어(3421 및 3422) 각각의 내에 배치된다. 가이드 위 그리고 캐리어 내 위치에 있을 때, 스프링은 가이드 플랜지(3457)과 접촉되고 인게이지되는 일 단부 및 스프링 리테이너(3458)와 인게이지되고 접촉되는 반대 단부를 갖는다. 도면에서 도시되는 실시형태에서, 스프링(3434)은 캐리어(3405)를 베이스(3405)를 향해서 캐리어 축선(3440)를 따라서 바이어스한다.
캐리어(3420)는 또한 캐리어 축선(3440)에 횡방향으로 캐리어로부터 연장되는 제2 보어(3422)에 인접한 캐리어(3420)의 단부에 배치되는 제1 립(3445), 제1 립에 반대 방향이고 그리고 캐리어 축선(3440)에 횡방향으로 캐리어로부터 연장되는 제2 보어(3422)에 인접한 캐리어(3420)의 단부에 배치되는 제2 립(3450), 및 베이스 종방향 축선(3495)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그리고 캐리어 축선(3440)에 횡방향으로 캐리어로부터 연장되는 제2 보어(3422)에 인접한 캐리어(3420)의 단부에 배치되는 중앙 플랜지(3430)를 포함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캐리어(3420)는 캐리어 축선(3440)을 따라서 캐리어(3420)의 길이의 일 부분 또는 전부를 따라서 이어지는 중앙 가이드(3480)을 포함할 수도 있다.
비록 스프링(3434) 및 캐리어(3420)가 가이드(3497)를 완전히 둘러싸는 것으로 도시되나, 다른 구성이 트랙 클립을 위해서 사용될 수도 있다는 점이 이해된다. 이러한 일 실시예에서, 가이드는 베이스(3405)로부터 연장되는 빔, 가이드의 일 측부를 따라서 이어지는 선형 스프링, 및 가이드가 삽입되는 채널 및 스프링과 인게이지되는 스프링 리테이너를 갖는 캐리어를 포함할 수도 있다. 가이드는 스프링의 힘으로 그리고 대항하여 캐리어의 채널을 따라서 그리고 내에서 슬라딩되도록 동작가능하다.
트랙 클립(3400)의 동작이 아래에 설명될 것이다. 도 44 및 도 45a는 인게이지해제 위치의 트랙 클립(3400)을 도시하고, 그리고 도 40, 도 41, 도 43 및 도 45b는 인게이지 위치, 또는 달리 말하면, 정상적으로-바이어스된 또는 레스트 위치에 있는 트랙 클립(3400)을 도시한다. 예를 들어, 도 40, 도 42 및 도 43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제1 및 제2 립(3445 및 3450) 아래에 2개의 핑거를 각각 그리고 레버리지 특징부(3415) 위로 엄지를 배치함으로써 전이 힘을 캐리어(3420)에 가하고, 그리고 따라서 예를 들어, 도 4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인게이지 위치로부터 인게이지해제 위치로 스프링(3434)의 스프링 힘에 대항하여 그리고 베이스(3405)로부터 멀어지도록 캐리어 축선(3440)을 따라서 캐리어(3420)를 이동시킬 수도 있다. 캐리어(3420)가 인게이지 위치로부터 인게이지해제 위치로 이동될 때, 캐리어(3420)는 또한 스너버 패드(3470)를 도 4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스너버 패드의 원위 단부가 베이스(3405)의 바닥 표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위치로부터 도 4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스너버 패드(3470)의 원위 단부가 베이스(3405)의 구멍 내에 있는 위치로 이동시킨다.
트랙 클립(3400)이 이 인게이지해제 위치에 있을 때, 사용자는 다음으로 슬롯 플랜지(3425)를 개방 영역(예를 들어, 개방 영역(30)) 안으로 그리고 베이스(3405)를 트랙의 슬롯 안으로 삽입시키고 그리고 다음으로, 슬롯 플랜지(3425)가 넥 다운 영역(예를 들어, 넥 다운 영역(40)) 과(예를 들어, 아래에) 정렬될 때까지 그리고 제1 및 제2 연장부(3455 및 3460) 각각이 트랙 개방 영역 각각과 정렬될 때까지 슬롯 내에서 트랙 클립(3400)을 슬라이딩 시킬 수 있다. 이 지점에서, 사용자는 제1 및 제2 립(3445 및 3450) 각각, 그리고 레버리지 특징부(3415)로부터 손가락 및 엄지를 제거함으로써 전이 힘을 해제할 수도 있다. 전이 힘의 릴리스 시에, 스프링(3434)은, 제1 및 제2 연장부(3455 및 3460) 각각이 정렬된 개방 영역 안으로 삽입되고 그리고 이와 인게이지되도록 캐리어 축선을 따라서 반대 방향으로(즉, 베이스(3405)를 향해서) 캐리어(3420)를 바이어스할 것이다. 이 실시형태에서 제1 및 제2 연장부는 실질적으로 트랙의 개방 영역의 형상과 일치되는 형상 및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형상을 갖도록 도시된다. 그러나, 제1 및 제2 연장부는 다양한 형상, 사이즈 및 구성을 가질 수도 있고, 그리고 이러한 형상, 사이즈 및 구성은 개방 영역의 형상, 사이즈 및 구성과 실질적으로 일치될 필요가 없고 심지어 동일할 필요도 없다는 점이 이해된다. 도해된 형상은 직각사각형, 원형, 다이아몬드, 삼각형 등을 포함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실시형태에서, 제1 및 제2 연장부는 슬롯 및/또는 트랙에 상대적인 측방향 및/또는 종방향 운동을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제거하는 것을 돕도록 개방 영역과 억지 끼워맞춤을 가질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스프링(3434)의 스프링 힘은 캐리어(3420)를 이동시킬 때, 스너버 패드의 원위 단부가 베이스(3405)로부터 슬롯 안으로 연장되고 트랙의 슬롯의 바닥 표면과 인게이지되도록 베이스를 향해서 스너버 패드(3470)를 또한 이동시킬 것이다. 또한, 도 45b에도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하측 표면(3447)은 트랙의 페이스 표면(2078)과 인게이지된다. 슬롯 플랜지(3425)에 반대로 트랙에 대항하여 스너버 패드(3470) 및/또는 하측 표면(3447)를 통해서 스프링 힘에 의해 작용되는 힘은 슬롯 및/또는 트랙에 상대적인 측방향 및/또는 종방향 움직임을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제거하는 것을 돕는다. 스너버 패드(3470)는, 트랙 클립(3400)이 인게이지 위치의 트랙에 연결되는 동안 트랙 클립(3400)이 트랙에 관련하여 래틀 및/또는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일단 트랙과 인게이지되고 이에 연결되면, 트랙 클립(34)은 다양한 물체, 디바이스, 및/또는 장치가 이러한 물체, 디바이스 및/또는 장치를 커플러(3410)에 부착시키거나 연결시킴을 통해서 트랙에 탈착가능하게 부착되고 그리고/또느 연결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물체, 디바이스, 및/또는 장치는 예를 들어, 라이트, 클립 보드, IV 백, 훅으로부터 걸릴 수도 있는 임의의 물체(예를 들어, 지갑, 랩탑 백 등) 등과 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트랙 클립(3400)은 단일 손 동작이 트랙으로부터 또는 트랙에 트랙 클립(3400)을 연결하거나 또는 연결해제하는 것을 허여할 수도 있다.
트랙 클립(3400)의 어떤 실시형태에서, 트랙 클립(3400)은 충돌-예비될 수도 있다. 전반적으로 사용될 때, "충돌-예비"는 디바이스, 장치, 마운트, 트랙, 체결 디바이스, 또는 구조체 상에 작용되는 힘이 앞-뒤 방향으로 약 15G(즉, 중력의 단위 또는 중력가속도) 및 측방향으로 약 17G를 초과하는 후에도 디바이스, 마운트, 트랙, 체결 디바이스, 또는 구조체가 관성력, 임팩트, 비이클 충돌, 또는 갑작스런 비이클 거동을 견디고 기능성을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는 점을 의미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디바이스, 장치, 마운트, 트랙, 체결 디바이스, 또는 구조체 상에 작용되는 힘은 전-후 방향으로 약 22G (즉, 중력 단위 또는 중력가속도) 및 측방향으로 약 26 G를 초과할 수도 있다.
이제 도 46을 참조하면, 벽 캐비넷(3100)의 등각도가 도시된다. 벽 캐비넷(3100)은, 예를 들어 비이클, 헬리콥터, 비행기, 이동 주택, 전지형 비이클(ATV) 등과 같은 모바일 물체와 함께 사용될 수도 있다. 벽 캐비넷(3100)은 비이클, 헬리콥터, 비행기, 이동 주택, 전지형 비이클(ATV) 등의 인테리어에 제거가능하게 연결될 수도 있고, 또는 벽 캐비넷(3100)은 비이클, 헬리콥터, 비행기, 이동 주택, 전지형 비이클(ATV) 등의 외장에 제거가능하게 연결될 수도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벽 캐비넷(3100)은 비이클, 헬리콥터, 비행기, 이동 주택, 전지형 비이클(ATV) 등으로부터 제거되고, 비이클, 헬리콥터, 비행기, 이동 주택, 전지형 비이클(ATV) 등의 외부에서 사용을 위해 지표, 테이블 등 위헤 위치될 수도 있다. 벽 캐비넷(3100)은 또한 구조체, 빌딩 등과 같은 고정식 물체 내에 또는 상에서 사용될 수도 있다. 벽 캐비넷(3100)은 충돌-예비될 수도 있다.
벽 캐비넷(3100)은 상부 벽(3155), 제1 측부 벽(3165), 제2 측부 벽(3160), 후방 벽(3505), 및 바닥 벽(3130)에 의해서 정의되는 부분 인클로져일 수도 있다. 도어(3140)는 벽 캐비넷(3100)의 내측에 저장 체적(3122)을 둘러싸도록 그리고 벽 캐비넷(3100) 외부의 외측 체적(3121)으로부터 저장 체적(3122)을 분리하도록 부분 인클로져에 연결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발광 다이오드(LED) 라이트(미도시)는 저장 체적(3122) 및/또는 외부 체적(3121)을 하나 이상의 색으로 조명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LED 라이트는, 도어(3140)가 개방 위치로 전이될 때 도어 스위치에 의해서 작동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LED 라이트는 저장 체적(3122) 내에 위치되고 부분 인클로져에 연결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LED 라이트는 하나 이상의 디바이더(3206)(도 47) 사이의 서브-공간을 조명하도록 저장 체척 내에 위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흰색 라이트 LED는 흰색을 방출할 수도 있고 그리고 낮시간 동작 동안에 사용될 수도 있고 그리고 붉은 라이트 LED는 붉은 색을 방출할 수도 있고 그리고 저-라이트 동작 동안에 사용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흰색 라이트 LED는 흰색을 방출할 수도 있고 그리고 낮시간 동작 동안에 사용될 수도 있고 그리고 초록 라이트 LED는 초록 색을 방출할 수도 있고 그리고 저-라이트 동작 동안에 사용될 수도 있다. 모든 실시형태에서, 시계 회로 및/또는 포토셀은 언제 하나 이상의 LED 라이트로부터 방출되는 특정 색 라이트가 사용되어야 하는지를 결정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도 있다. 외측 스위치(미도시)는 도어 스위치와 독립적으로 LED 라이트를 가능하게/불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도 있다. 전원(미도시)은 하나 이상의 LED 라이트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도 있다. 전원은 하나 이상의 배터리, AC/DC 어댑터, 또는 비이클 전기 시스템일 수도 있다.
제2 측부 벽(3160)은 벽 캐비넷(3100)의 부분 인클로져의 최우측 한계일 수도 있다. 제1 측부 벽(3165)은 벽 캐비넷(3100)의 부분 인클로져의 최좌측 한계일 수도 있다. 제1 측부 벽(3165) 및 제2 측부 벽(3160)은 제1 몰딩(3175) 및 제2 몰딩 (3170) 각각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몰딩(3175) 및 제2 몰딩(3170)은 신축성있는 그리고/또는 유연한 재료로부터 구성될 수도 있고, 그리고 제1 측부 벽(3165) 및 제2 측부 벽(3160)의 코너와의 임팩트 힘을 흡수하거나 임의의 접촉을 부드럽게 하는 영역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제1 몰딩(3175) 및 제2 몰딩(3170)은 또한 벽 캐비넷(3100)을 파지하는 그립 구조체를 제공할 수도 있고 그리고 사용자가 벽 캐비넷(3100)을 위치시키고 이것을 이동식 또는 고정식 물체에 고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도 46을 참조하면, 도어(3140)는 벽 캐비넷(3100)의 부분 인클로져의 최전방 한계를 정의할 수도 있고 그리고 부분 인클로져의 개구를 덮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어(3140)은 부분 인클로져에 힌지식으로 연결될 수도 있고 그리고 폐쇄 위치 및 개방 위치를 갖는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도어(3140)는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의 다른 위치, 즉 하나 이상의 부분 위치를 가질 수도 있다. 리클로져(reclosure)(3120)는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도어를 전이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도 있다. 폐쇄 위치에서, 도어(3140)는 외부 체적(3121)으로부터 저장 체적(3122)을 구획할 수도 있다. 저장 체적 내 임의의 물체는, 도어(3140)가 폐쇄된 위치에 있는 동안에 저장 체적 내에 수용될 수도 있다. 개방 위치에서, 도어(3140)는 부분 인클로져의 개구를 통해서 외부 체적(3121)으로부터 저장 체적(3122)에 대한 접근을 허여할 수도 있다. 락(3127)은 도어(3140)에 연결될 수도 있고 그리고 저장 체적(3122) 안으로 용이한 접근을 허여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락(3125)은 충돌-예비될 수도 있다. 락(3127)은 도어(3140)가 폐쇄된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전이하는 것을 방지하고 그리고 저장 체적 내에 물체를 또한 고정할 수도 있다. 락의 실시예는 SouthCO® 래치, 모델 번호 M1-플러시 투 풀 래치(Flush to pull latch)이다. 도어(3140)는 또한 하나 이상의 창(3180)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창(3180)은, 도어(3140)이 폐쇄된 위치에 있을 때 저장 체적(3122) 내의 물체가 외부 체적(3121)으로부터 보일 수 있도록 허여할 수도 있다. 도어(3140)는 또한 핸들(미도시)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핸들은 사용자가 도어(3140)를 폐쇄된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그리고 반대로 전이시키는 것을 허여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도 있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핸들은 사용자가 락을 잠김 위치로부터 잠김해제 위치로 작동시키거나 또는 전이시키는 것을 허여하는 래치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도 있다. 락은 락에 기계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락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락을 잠김 위치와 잠김해제 위치 사이에서 전이시키는 버튼 또는 레버일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도어(3140)는 미르텍 레진(mirteq resin)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미르텍 레진은 경화되었을 때 투명할 수도 있고, 그리고 도어(3140) 및 하나 이상의 창(3180) 양자를 포함할 수도 있다. 프레임(3488)은 도어(3140)에 부착되어 도어(3140) 및 장식품에 대한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 표면을 제공할 수도 있다.
도 47은 벽 캐비넷(3100)의 저장 체적(3122)을 위한 하나 이상의 디바이더(3206)를 도시한다. 하나 이상의 디바이더(3206)는 벽 캐비넷(3100) 내에서 사용될 수도 있는 내측 디바이더의 단지 일 실시형태이다. 대안적인 실시형태는 도 48 내지 도 51을 참조하여 여기 아래에서 설명된다. 복수의 리지(3261)는 상측 벽(3135)에 연결되거나 위에 배치될 수도 있다. 복수의 리지(3261)는 상측 벽(3135)을 따라서 연장되고 그리고 제1 측벽(3165) 및 제2 측벽(3160)에 실질적으로 평행할 수도 있다. 복수의 채널(3262)은 바닥 벽(3130)에 연결되거나 내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복수의 채널(3262)은 유지 립(3190)으로부터 후측 벽(3105)까지 바닥 벽(3130)을 따라서 연장될 수도 있고 그리고 제1 측벽(3165) 및 제2 측벽(3160)에 실질적으로 평행할 수도 있다. 각각의 디바이더(3206)는 각각의 채널(3262)과 그리고 적어도 2개의 리지(3261) 사이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달리 말하면, 각각의 디바이더(3206)는 바닥 벽(3130)의 채널(3262)과 상측 벽(3135) 사이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연결될 수도 있다. 상측 벽(3135)을 따른 적어도 2개의 리지(3261)는 디바이더(3206)를 상측 벽(3135) 및 바닥 벽(3130)에 실질적으로 수직되도록 안내하고 정렬시키기 위해서 사용될 수도 있다. 각각의 디바이더(3206)는 각각의 디바이더(3206)가 다른 채널(3126)로 이동되어 저장 체적(3122)을 각각의 디바이더(3206) 사이에 서브-공간으로 파스(parse)하도록 각각의 채널(3126)에 제거가능하게 연결될 수도 있다. 각각의 디바이더(3206)는 신축성 있는 레진 재료로 구성될 수도 있다.
바닥 벽(3130)은 부분 인클로져의 하측 한계를 정의할 수도 있고 그리고 도어(3140)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 물체가 저장 체적(3122)으로부터 외부 체적(3121) 안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유지 립(3190)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48은 디바이더 조립체(3200)의 다른 실시형태의 우측 전방 등각도를 도시한다. 도 49는 디바이더 조립체(3200)의 우측 하방 등각도를 도시한다. 도 48 및 도 49를 참조하면, 디바이더 조립체(3200)는 지지 구조체(3210)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디바이더(3205)를 포함할 수도 있다. 각각의 디바이더(3205)는 스페이서(3215)에 의해서 분리되고 지지 구조체(3210)에 힌지식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디바이더(3205) 및 스페이서(3215)는 저장 체적(3122) 내에 각각의 디바이더(3205)를 위치시키도록 지지 구조체 축선(3220)과 평행하게 또는 이를 따라서 이동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디바이더(3205)는 사용자가 저장 체적(3122) 내에 상이한 사이즈 및/또는 비-균일한 물체를 수용하는 것을 허여할 수도 있다.
도 50은 저장 위치에 있는 디바이더 조립체(3200)를 도시한다. 각각의 디바이더(3205)는지지 구조체(3210)에 힌지식으로 연결된다. 만약 큰 물체가 저장 체적(3122) 내에 배치되면, 각각의 디바이더(3205) 또는 양자는 저장 체적(3122)에 큰 물체를 수용하도록 저장 위치로 전이될 수도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그리고 도 48 내지 도 50을 참조하면, 디바이더 조립체(3200)는 또한 하나 이상의 락 핀 조립체(3225)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락 핀(3225a)은 후퇴된 위치에서 도시되고 그리고 제2 락 핀(3225b)은 연장된 위치에서 도시된다. 이제 도 51을 참조하면, 각각의 락 핀 조립체(3225)는 락 하우징(3230), 락 핸들(3235), 및 락 핀(3240)을 포함할 수도 있다. 락 핸들(3235)는 락 핀(3240)에 연결될 수도 있고 그리고 락 핀(3240)을 연장된 위치로부터 후퇴된 위치로 전이시키기 위해서 사용될 수도 있다. L-형상 채널(3245)은 락 핸들(3235)를 연장된 위치와 후퇴된 위치 사이에서 가이드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도 있다. L-형상 채널(3245)는 또한 L-형상 채널(3245)의 상측 부분(3250)에 후퇴된 위치에 락 핸들(3235)을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락 하우징(3230)에 내측인 락 스프링(미도시)은 락 하우징(3230)과 락 핀(3240) 사이에 캡쳐될 수도 있고 그리고 락 핀(3240)을 락 축선(3255)을 따라서 연장된 위치에 바이어스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락 핀(3240)은 도 46의 바닥 벽(3130)의 복수의 구멍과 슬라이딩가능하게 연결될 수도 있다.
도 52는 캐비넷 마운트(3500)의 등각도이다. 캐비넷 플레이트(3505)는 하나 이상의 체결 디바이스(62)를 통해서 마운트(50)에 연결된다. 캐비넷 플레이트(3505)는 한정이 아니고 단지 도해적 목적을 위해서 마운트(50)의 도시의 용이성을 위해서 투명한 것으로 도 52에 도시되었다. 비록 캐비넷 플레이트(3505)는 투명하도록 제작될 수도 있으나, 이 실시형태에서 캐비넷 플레이트(3505)는 스틸로 제작되고 따라서 투명하지 않다. 도 53 및 도 5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캐비넷 플레이트(3505) 및 마운트(50)는 벽 캐비넷(3100)의 후방 벽(3105)을 캡쳐할 수도 있다(도 46). 캐비넷 플레이트(3505)는 저장 체적(3122)(도 46) 내에 위치될 수도 있고 그리고 마운트(50)는 외부 체적(3121)(도 46)에 위치될 수도 있다. 턴 노브(3510)는 트랙에 마운트(50)를 락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도 있다(즉, 캐비넷 마운트(3500)의 개시를 통해서 사용될 때, "트랙"은 도 1, 도 2 및 도 27 내지 도 31의 트랙(10), 도 38에 도시되는 미니트랙(12), 또는 도 28a 및 도 56에 도시되는 신속 장착 트랙(11)을 포함한다). 마운트(50)는 벽 캐비넷(3100)을 트랙을 고정하도록 상술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스터드(140)를 가질 수도 있다.
도 53은 캐비넷 마운트(3500)의 단면 도이다. 하나 이상의 체결 디바이스(62)는 캐비넷 플레이트(3505), 벽 캐비넷(3100)의 후방 벽(3105)(도 46), 및 마운트(50)를 함께 연결할 수도 있다. 턴 노브(3510)은 마운트(50)의 나사선 칼라(3525)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턴 노브(3510)는 잠금 핀(3515), 유지 클립(3530), 및 핀 스프링(3520)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핀 스프링(3520)은 턴 노브(3510)와 잠금 핀(3515) 사이에서 노브 채널(3535)에 캡쳐될 수도 있다. 유지 클립(3530)은 핀 스프링(3520)의 바이어스 힘 하에서 잠금 핀(3515)에 대한 최대 이동량(즉, 잠금 핀(3515)이 연장된 위치에서 마운트(50)를 넘어서 연장되는 최대 한계)을 정의한다.
도 54는 캐비넷 마운트(3500)의 등각 단면 도이다. 마운트(50)의 나사선 칼라(3525)는 마운트(50)에 나사선식으로 연결된 턴 노브(3510)가 없는 상태로 도시된다. 마운트(50)는 트랙과 인게이지된 상태로 도시된다. 인게이지될 때, 나사선 칼라 구멍(3540)은 트랙의 잠금 핀 구멍(60)(도 56)과 정렬된다.
도 55는 캐비넷 마운트(3500)에 연결된 도 47로부터의 벽 캐비넷(3100)의 단면 등각도이다. 벽 캐비넷(3100)은 마운트(50)가 상술된 바와 같이 트랙과 인게이지되도록 올려지고 위치될 수도 있다. 벽 캐비넷(3100)이 트랙 상의 위치 안으로 슬라이딩될 때(즉, 나사선 칼라 구멍(3540)이 트랙의 잠금 핀 구멍(60)(도 56)과 정렬된다), 트랙은 벽 캐비넷(3100)의 전체 중량 및 그 내용물을 지지한다. 턴 노브(3510)는 저장 체적(3122)을 통해서 나사선 칼라 구멍(3540) 안으로 삽입될 수도 있다(도 46). 턴 노브(3510)는, 잠금 핀(3515)가 트랙의 잠금 핀 구멍(60) 안으로 삽입될 때까지 회전될 수도 있다. 잠금 핀 구멍과 잠금 핀(3515)의 연결은 트랙에 관련하여 벽 캐비넷(3100) 사이의 측방향 운동을 구속하여 벽 캐비넷이 충돌-예비된다. 핀 스프링(3520)은 상술된 스너버 기능을 제공하고 그리고 잠금 핀(3515)을 트랙에 대항하여 바이어스하여 마운트(50)(그리고 벽 캐비넷(3100))와 트랙 사이의 어떠한 움직임도 감쇠하고 그리고/또는 제거한다.
도 56 및 도 57은 도 28a 및 도 28b에 도시되는 신속 마운트 트랙(11)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신속 마운트 트랙(11)은 표면(3615)에 연결되는 테이퍼진 에지를 포함할 수도 있다. 표면(3615)은 비이클 벽, 비이클 구조체, 빌딩 벽, 빌딩 구조체, 또는 다른 프레임 또는 신속 마운트 트랙(11) 및 신속 마운트 트랙(11)에 연결된 장치의 중량을 견디기 위해서 사용될 수도 있는 지지 부재를 포함할 수도 있다. 표면(3615)는 구조체 또는 이동 물체와 같이 아래에 더욱 정의된다.
신속 마운트 트랙(11)의 뒷받침 플레이트(15)는 하나 이상의 장착 지점(3600), 체이스(chase)(3605), 잠금 핀 구멍(60), 제1 슬롯(20), 제2 슬롯(30), 및 동일 평면 장착 표면(3610)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장착 지점(3600)은 신속 장착 트랙(11)이 표면 또는 구조체에 고정되는 위치일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장착 지점(3600)은, 여기서 개시되는 마운트(50)(예를 들어, 도 3)의 다양한 실시형태가 신속 마운트 트랙(11)에 연결될 때, 장착 스터드가 하나 이상의 장착 지점(3600)의 상측 위로 직접적으로 위치되도록 제1 외측 슬롯(20) 및 제2 외측 슬롯(30) 내에 위치될 수도 있다. 마운트(50)를 직접적으로 하나 이상의 지점(3600) 위에 잠금으로써, 마운트(50) 상에 작용되는 임의의 힘이 하나 이상의 체결 디바이스(3939)를 통해서 직접적으로 표면 또는 구조체 안으로 그리고 직접적으로 하나 이상의 장착 지점(3600)에 전달된다. 달리 말하면, 마운트(50) 및 마운트에 연결되는 장치 상에 작용되는 임의의 힘의 모멘트 암은 표면 또는 구조체로 지향되고 전달된다. 도 60은 장착 스터드가 하나 이상의 장착 지점(3600) 위로 위치되는 상태로 마운트(50)를 도시한다. 마운트(50)에 작용되는 임의의 힘의 모멘트 암에서 감소는 테이퍼진 에지를 갖는 신속 마운트 트랙(11)이 파손 없이 견딜 수도 있고 그리고 출돌-예비될 수도 있는 힘의 양을 증가시킨다.
다시 도 56 및 도 57을 참조하면, 뒷받침 플레이트(15)는 제1 플레이트 에지(3611) 및 제2 플레이트 에지(3612)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플레이트 에지(3611), 제2 플레이트 에지(3612), 복수의 잠금 핀 구멍(60), 제1 외측 슬롯(20), 및 제2 외측 슬롯(30)은 모두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하고 그리고 뒷받침 플레이트(15)의 길이(L)에 이어진다. 제1 플레이트 에지(3611) 및 제2 플레이트 에지(3612)는 뒷받침 플레이트(15)의 길이(L)를 따라서 뒷받침 플레이트(15)의 최외측 부분을 정의한다. 신속 마운트 트랙(11)은 도 6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신속 마운트 트랙(11)이 단부-대-단부로 연결되는 것을 허여하도록 신속 마운트 트랙(11)의 공통 에지(3651)을 따라서 복수의 반(half) 영역(3652) 및 반 구멍(3653)을 가질 수도 있다.
도 57을 참조하면, 신속 마운트 트랙(11)이 표면(3615)에 연결될 때, 동일 평면 장착 표면(3610)은 신속 마운트 트랙(11)과 표면(3615) 사이의 시일을 생성하고 유지할 수도 있다. 제1 플레이트 에지(3611) 및 제2 플레이트 에지(3612)는 동일 평면 장착 표면(3610)과 결합되도록 테이퍼질 수도 있다. 동일 평면 장착 표면(3610)은 제1 플레이트 에지(3611) 및 제2 플레이트 에지(3612)를 따라서 정의되는 평면의 표면일 수도 있다. 이것은 표면(3615)이 청소되는 상황에서 유리할 수도 있고, 그리고 표면이 청소될 수 없는 신속 마운트 트랙(11) 뒤에 오염물, 생물학적 재료 등이 들어가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체이스(3605)는 뒷받침 플레이트(15)에 배치될 수도 있고 그리고 동일 평면 장착 표면(3610) 및 뒷받침 플레이트(15)에 의해서 정의될 수도 있다. 체이스(3605)는 와이어, 케이블, 공압 호스 등이 신속 마운트 트랙(11)의 길이에 이어지고 신속 마운트 트랙(11)이 노출될 수도 있는 어떠한 위험으로부터 보호되는 것을 허여할 수도 있다.
도 58은 트랙 키(3630)의 등각도이다. 트랙 키(3630)는 2개의 트랙을 서로 연결하여 표면 또는 구조체 상의 트랙의 스팬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사용될 수도 있다(즉, 트랙 키(3600)의 개시를 통해서 사용될 때, "트랙"은 도 1, 도 2 및 도 27 내지 도 31의 트랙(10), 도 38에 도시되는 미니트랙(12), 또는 도 28a 및 도 56에 도시되는 신속 장착 트랙(11)을 포함한다). 트랙 키(3630)는 트랙 내에 키 구멍(3640)과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된다. 하나 이상의 체결 디바이스(62)는 2개의 트랙이 분리되지 않도록 트랙 키(3630)에 트랙을 연결시킬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체결 디바이스(62)는, 이들이 트랙 후방 표면(3635)과 동일 평면이도록 트랙 후방 표면(3635)를 통해서 트랙 키(3630)에 연결될 수도 있다. 어떤 실시형태에서, 하나 이상의 체결 디바이스(62)는 도 57의 체이스(3605)에 연결될 수도 있다.
도 59는 트랙 키(3630)에 의해서 단부-대-단부 연결되는 2개의 트랙의 등각도이다. 트랙 키(3630)는 억지 끼워맞춤을 통해서 트랙 내에 키 구멍(3640)과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된다. 키 구멍(3640)과 억지 끼워맞춤은 양 트랙 사이의 최소 운동을 허여할 수도 있고 충돌-예비될 수도 있다.
도 60은 트랙 키(3630)로 단부-대-단부 연결된 2개의 트랙의 전방도이다. 각각의 트랙은 트랙의 공통 에지(3651)를 따라서 복수의 반 영역(3652) 및 반 구멍(3653)을 가질 수도 있다. 공통의 에지(3651)는 제1 플레이트 에지(3611) 및 제2 플레이트 에지(3612)에 실질적으로 수직일 수도 있다. 2개의 트랙이 결합될 때, 각각의 반 영역(3652)은 개방 영역(35)(예를 들어 도 1) 또는 반 다이아몬드 윤곽 타겟 영역(13)(도 28a)을 정의할 수도 있다. 보호 단부-캡(3645)은 각각의 트랙의 각각의 외측 단부(3650)에 결합될 수도 있다. 보호 단부 캡(3645)은 하드 플라스틱 또는 소프트 고무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보호 단부-캡(3645)은 트랙의 날카로운 에지를 덮기 위해서 그리고 트랙의 각각의 외측 단부(3650)을 시일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도 있다. 보호 단부-캡(3645)은 또한 청소의 용이성을 허여하고 그리고 오염물, 생물학적 물질 등이 신속 마운트 트랙(11)의 구조체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허여한다.
도 61은 도 37에 도시되는 웨지 마운트(47)의 다른 실시형태이다. 웨지 마운트(47)는 도 14에 도시되는 웨지 인터페이스(72) 상에 잡아당기는 자기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는 하나 이상의 자기 영역(3670)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자기 영역(3670)은, 웨지 인터페이스(72)가 웨지 마운트(47)에 대한 근접 거리 내에 있을 때 웨지 인터페이스(72) 상에 잡아당기는 자기력을 작용함으로써 웨지 인터페이스(72)에 연결된 아이템 또는 디바이스를 장착하는 사용자를 도울 수도 있다. 이것은 또한 웨지 마운트(47)와 웨지 인터페이스(72)를 결합하기 위해 보울 구멍(54)(도 11)을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없는 사용자를 도울 수도 있다.
도 62는 랩탑 마운트(3700)의 전방도이다. 랩탑 마운트(3700)는 플랫폼(3705), 관절형 볼 조인트(3710), 랩탑 락(3715), 및 복수의 포스트(3720)을 포함할 수도 있다. 관절형 볼 조인트(3710)은 제1 볼(3725), 제2 볼(3730), 및 압축 클램프(3735)를 포함할 수도 있다. 관절형 볼 조인트(3710)는 웨지 마운트(47)에 플랫폼(3705)을 연결할 수도 있다(도 11 및 도 37). 제2 볼(3730)은 웨지 마운트(47)에 연결되나, 랩탑 마운트(3700)가 트랙에 랩탑 마운트(3700)를 제거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해서 여기서 설명되는 어떠한 마운트에 연결될 수도 있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즉, 랩탑 마운트(3700)의 개시를 통해서 사용될 때, "트랙"은 도 1, 도 2 및 도 27 내지 도 31의 트랙(10), 도 38에 도시되는 미니트랙(12), 또는 도 28a 및 도 56에 도시되는 신속 장착 트랙(11)을 포함한다). 제1 볼(3725)은 플랫폼(3705)에 연결될 수도 있다. 압축 클램프(3735)는, 랩탑 마운트(3700)가 원하는 위치에 있을 때 트랙에 관련하여 플랫폼의 운동을 제한하거나 또는 구속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도 있다. 관절형 볼 조인트(3710)는 랩탑 마운트(3700)의 운동의 전 범위를 허여할 수 있다. 압축 클램프(3735)는 제2 단부(3731)에 제2 볼(3730)을 그리고 제1 단부(3726)에 제1 볼(3725)를 캡쳐하기 위해서 제1 클램프(3755)와 제2 클램프(3756) 사이에 압축력을 제공하는 볼트(3745)(도63) 및 윙 너트(3750)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볼(3725) 및 제2 볼(3730)은 제1 클램프(3755)와 제2 클램프(3756) 사이에 연결될 수도 있다. 관형 볼 조인트(3710)의 실시예는 Ram Mounting Systems, Inc.의 홀더 및 어댑터 구성요소이다. 랩탑 락(3715)은 랩탑(3740)을 플랫폼(3705)에 고정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도 있다. 랩탑 마운트(3700)는 충돌-예비될 수도 있다.
일단 랩탑 마운트(3700)가 트랙에 제거가능하게 연결되면, 관정형 볼 조인트(3710)는 윙 너트(3750)에 의해서 느슨해질 수도 있고 랩탑 마운트(3700)는 사용을 위해서 적합한 위치에 있을 때까지 거동될 수도 있다. 윙 너트(3750)는 다음으로 플랫폼(3705)이 위치에 락되거나 움직임으로부터 고정되도록 조여질 수도 있다. 관절형 볼 조인트(3710)는 플랫폼(3705)이 제1 볼 조인트(3725)(도 62) 둘레로 360도 회전되고 그리고 트랙에 의해서 정의되는 평면에 관련하여 반구 표면을 따라서 굴절되는 것을 허여한다. 관절형 볼 조인트(3710)은 충돌-예비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관절형 볼 조인트(3710)는 충돌-예비에 의해서 정의되는 바와 같이 플랫폼(3705)의 운동을 구속할 수도 있고 그리고 , 만약 관절형 볼 조인트(3710)에 작용되는 힘이 충돌-예비 규격을 위한 이 힘을 넘고 그리고 여전히 파손 없이 그 기능을 유지한다면, 운동을 허여할 수도 있다. 이것은, 랩탑 마운트(3700)가 고정된 물체로서 남아 있지 않았기 때문에 비이클 내부의 물체가 충돌-예비 등급보다 더 큰 중력가속도에서 랩탑 마운트(3700)에 충격을 가하고 최소 파손 또는 트라우마를 겪게 할 수도 있다.
도 63은 랩탑 마운트(3700)의 측면도이다. 제2 볼(3730)은 웨지 마운트(47)에 연결될 수도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관절형 볼 조인트(3710)는 도 14 내지 도 16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웨지 인터페이스(72)에 연결될 수도 있고, 그리고 웨지 인터페이스(72)는 웨지 마운트(47)와 제거가능하게 연결될 수도 있다. 랩탑 락(3715)은 락 액츄에이터(3765)에 연결되는 패들(3760)을 포함할 수도 있다. 락 액츄에이터는 복수의 래치(3770)를 락 위치로 회전시키고 그리고 복수의 래치(3770)를 잠김 위치와 릴리스 위치 사이에서 전이시킨다. 잠김 위치에서, 랩탑(3740)은 플랫폼(3705)에 고정된다. 릴리스 위치에서, 랩탑(3740)은 플랫폼(3705)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도 64는 랩탑 마운트(3700)의 후방 등각도이다. 도 62 내지 도 64를 참조하면, 랩탑 락(3715)은 랩탑(3740)이 복수의 블록(3775) 사이의 플랫폼(3705) 상으로 더 낮아지도록 개방 위치에 있을 수도 있다. 복수의 블록(3775) 및 복수의 포스트(3720)는 랩탑(3740)을 플랫폼(3705) 상에서 주위로 슬라이딩되는 것으로부터 고정시킬 수도 있다. 일단 랩탑(3740)이 플랫폼(3705) 상에 있으면, 랩탑 락(3715) 상의 패들(3760)은 복수의 래치(3770)가 릴리스 위치로부터 잠김 위치로 전이하도록 작동된다. 도 64는 잠김 위치에 있는 랩탑 락(3715)을 도시한다.
도 65는 랩탑 마운트(3700)의 전방 등각도이다. 이 실시형태에서, 랩탑 마운트(3700)는 x-마운트(48)에 연결된다. x-마운트(48)는 도 3에 도시되는 마운트(50)와 동일하게 동작될 수도 있다. 랩탑 락(3715)은 이 실시형태에서 한 세트의 썸 스크류(3780)로 구성된다. 이 실시형태의 랩탑 마운트(3700)는 또한 충돌-예비될 수도 있다. 비록 도 62 내지 도 64가 구성되고 랩탑을 유지하는 상태로 랩탑 마운트(3700)를 도시하나, 랩탑 마운트(3700)가 예를 들어, iPad® 등과 같은 전자 노트패드를 유지하고 그리고/또는 이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는 점이 이해된다.
도 66은 트레이 마운트(3800)의 전방도이다. 트레이 마운트(3800)는 트레이 트랙(3805), (도 62 내지 도 65에서 도시되고 그리고 랩탑 마운트(3700)와 관련하여 상술된) 관절형 볼 조인트(3710), 및 회전 포스트(3810)을 포함할 수도 있다. 트레이 트랙(3805)은 관절형 볼 조인트(3710)에 연결된다. 압축 클램프(3735)(도 62)는 트랙과 관련하여 트레이 랙(3805)의 움직임을 억제하거나 고정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도 있다(즉, 트레이 마운트(3800)의 개시를 통해서 사용될 때, "트랙"은 도 1, 도 2 및 도 27 내지 도 31의 트랙(10), 도 38에 도시되는 미니트랙(12), 또는 도 28a 및 도 56에 도시되는 신속 장착 트랙(11)을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관절형 볼 조인트(3710)는 상술된 바와 같이 마운트(50)에 연결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트레이 마운트(3800)는 웨지 마운트(47)에 연결될 수도 있다. 도해적인 실시형태에서, 관절형 볼 조인트(3710)는 도 14 내지 도 16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웨지 인터페이스(72)에 연결될 수도 있고, 그리고 웨지 인터페이스(72)는 웨지 마운트(47)와 제거가능하게 연결될 수도 있다. 트레이 마운트(3800)가 여기서 설명되는 임의의 마운트에 연결될 수도 있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트레이 마운트(3800)는 충돌-예비될 수도 있다.
도 67은 트랙, 구체적으로 도 5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신속 마운트 트랙(11)에 연결되는 트레이 마운트(3800)의 등각도이다. 도 64 및 도 67을 참조하면, 도 64의 랩탑 마운트(3700) 및 도 67의 트레이 마운트(3800)는 랩탑 마운트(3700)에 관련하여 상술된 바와 같이 관절형 볼 조인트(3710)를 통해서 조절가능할 수도 있다.
도 66 및 도 67을 참조하면, 트레이 랙(3805)은 트레이(3815)를 캡쳐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트레이 랙(3805)은 트레이(3815)와 슬라이딩가능하게 연결되고 이를 트레이 랙(3805)에 캡쳐하는 복수의 캡쳐 립(3806)을 포함할 수도 있다. 회전 포스트(3810)는 유지되는 위치에서 도시되고, 트레이(3815)는 트레이 랙(3805)과 회전 포스트(3810)의 조합에 의해서 캡쳐된다. 만약 회전 포스트(3810)가 180도 회전되면, 트레이(3815)는 트레이 랙(3805) 외부로 슬라이?壅? 수도 있다.
도 68은 산소 탱크 마운트(3850)의 전방도이다. 산소 탱크 마운트(3850)는 프레임(3855), 하나 이상의 보틀(bottle) 유지 클램프(3860), 프레임 핸들(3865), 매니폴드(3866), 및 하나 이상의 트랙 릴리스(3870)을 포함할 수도 있다. 프레임(3855)은 하나 이상의 산소 탱크(3875)를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프레임 핸들(3865)은 프레임(3855)에 연결될 수도 있고 그리고 사용자가 산소 탱크 마운트(3850)를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거나 산소 탱크 마운트(3850)를 트랙에 장착하기 위해 산소 탱크 마운트를 거동하는 것을 허여할 수도 있다(즉, 산소 탱크 마운트(3850)의 개시를 통해서 사용될 때, "트랙"은 도 1, 도 2 및 도 27 내지 도 31의 트랙(10), 도 38에 도시되는 미니트랙(12), 또는 도 28a 및 도 56에 도시되는 신속 장착 트랙(11)을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보틀 유지 클램프(3860)는 프레임(3855)에 연결될 수도 있고 그리고 각각의 산소 탱크(3875)가 각각의 보틀 유지 클램프(3860)에 제거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허여하는 신속 릴리스(3880)을 포함할 수도 있다. 각각의 보틀 유지 클램프(3860)는 각각의 산소 탱크(3875)를 프레임(3855)에 고정하기 위해 각각의 산소 탱크(3875)의 넥 칼라(3872)를 캡쳐할 수도 있다.
슬리브 벽(3859)의 슬리브 높이(H)는 하나 이상의 산소 탱크(3875)의 하측 반을 고정할 수도 있다. 슬리브 높이(H)는 각각의 산소 탱크(3875)의 중량에 의존될 수도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프레임 핸들(3865)은 프레임(3855)에 제거가능하게 연결될 수도 있다. 프레임 핸들(3865)이 제거된 후에 각각의 산소 탱크(3875)가 프레임(3855)으로부터 제거될 수도 있기 때문에 슬리브 높이(H)는 이 실시형태에서 더 클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프레임 핸들(3865)은 프레임(3855)에 고정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슬리브 높이(H)는 각각의 산소 탱크(3875)가 프레임(3855) 안으로 삽입되고 이로부터 제거되도록 기울려지는 것이 허여되게끔 낮추어질 수도 있다.
탱크 축선(3868)은 하나 이상의 보틀 유지 클램프(3860)의 수평 정렬을 정의할 수도 있다. 탱크 장착 축선(3869)은 복수의 장착 스터드(140)(도 3)의 중앙 축선을 정의할 수도 있고 그리고 도 70에 더욱 상세히 도시된다. 거리(D)는 산소 탱크 마운트(3850)에 대한 무게 중심이 탱크 마운트 축선(3869)을 따라서 있도록 변경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페이서는 하나 이상의 산소 탱크(3875) 아래에 배치될 수도 있어 무게 중심을 탱크 마운트 축선(3869)을 향해서 더욱 올릴 수도 있다. 이 실시예에서, 이 산소 탱크를 위한 보틀 유지 클램프(3860)는 또한 올려질 수도 있고 그리고 탱크 축선(3868)을 따라서 놓이지 않을 수도 있다. 이것은 산소 탱크 마운트(3850)에 작용되는 어떠한 힘이 직접적으로 트랙에 이송되고 충돌-예비되는 것을 허여할 수도 있다.
도 69는 산소 탱크 마운트(3850)의 등각도이다. 매니폴드(3866)는 프레임(3855)에 연결될 수도 있다. 튜브 네트워크(3851)(도 71)는 하나 이상의 산소 탱크(3875) 각각을 매니폴드(3866)에 유체적으로 연결할 수도 있다. 매니폴드(3866)는 압력 리듀서(reducer)(미도시), 압력 게이지(미도시) 및 하나 이상의 포트(3867)를 포함할 수도 있어 다른 의학적 디바이스(미도시)가 유체적으로 매니폴드와 연결되고 그리고 하나 이상의 산소 탱크(3875) 내 산소에 대한 접근을 갖는 것을 허여할 수도 있다.
도 70은 산소 탱크 마운트(3850)의 후방도이다. 프레임(3855)은 프레임(3855)의 후방 표면(3871) 및 후방 표면(3871) 상에 배열되는 복수의 장착 스터드(140)(도 3)을 포함하여 산소 탱크 마운트(3850)가 트랙에 제거가능하게 연결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트랙 릴리스(3870)는 프레임(3855)에 연결될 수도 있고 그리고 잠김 위치 안으로 바이어스될 수도 있어, 산소 탱크 마운트(3850)가 트랙에 연결되고 위치로 슬라이딩될 때, 하나 이상의 트랙 릴리스(3870)가 잠금 핀을 트랙의 잠금 핀 구멍(60)(도 56) 안으로 바이어스 한다. 하나 이상의 트랙 릴리스(3870)는, 당겨질 수도 있어 잠금 핀을 잠금 핀 구멍 외부로 당기고 산소 탱크 마운트(3850)을 트랙으로부터 해제하는 릴리스 핸들(3885)(도 68)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71은 산소 탱크 마운트(3850)의 다른 실시형태의 전방도이다. 도 68 내지 도 70과 도 71 사이의 차이는 여기서 강조될 것이다. 다시 도 71을 참조하면, 이 실시형태에서 프레임 핸들(3865)은 후방 프레임 벽(3852)에 연결될 수도 있다. 이것은, 도 68 내지 도 70에 도시되는 실시형태와 비교될 때 후방 프레임 벽(3852)이 더 짧은 높이(S)를 갖는 것을 허여하고, 그리고 각각의 산소 탱크(3875)가 산소 탱크(3875)를 기울이지 않고 프레임(3855)으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허여할 수도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 매니폴드(3866)는 프레임(3855)의 내측 측부(3853)에 연결될 수도 있다. 매니폴드(3866)의 이 위치는 산소 탱크 마운트(3850)에 대한 외측의 위험으로부터 매니폴드(3866) 및 튜브 네트워크의 증가된 보호를 제공할 수도 있고 그리고 충돌 이벤트 동안에 매니폴드(3866)의 생존성을 증가시킬 수도 있다.
도 72는 제세동기 마운트(3900)의 등각도이다. 제세동기 마운트(3900)는 c-프레임(3905), 베이스(3910), 및 죠 클램프(3915)를 포함할 수도 있다. c-프레임(3905)은 베이스(3910), 죠 클램프(3915) 및 마운트에 연결될 수도 있다. c-프레임(3905)은 c-프레임을 강화하는 구조적 브레이싱(3962)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세동기 마운트(3900)는 충돌-예비될 수도 있다. 여기서 설명되는 임의의 마운트가 트랙에 제세동기 마운트(3900)를 연결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도 있고(즉, 제세동기 마운트(3900) 및 압축 제세동기 마운트(3901)(도 76)의 개시를 통해서 사용될 때, "트랙"은 도 1, 도 2 및 도 27 내지 도 31의 트랙(10), 도 38에 도시되는 미니트랙(12), 또는 도 28a 및 도 56에 도시되는 신속 장착 트랙(11)을 포함한다) 그리고 마운트(50)(도 3) 및 웨지 인터페이스(72)(도 14)와 웨지 마운트(47)(도 11)의 조합을 포함할 수도 있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베이스(3910)는 c-프레임(3905)의 바닥 단부(3911)에 연결될 수도 있고, 그리고 하나 이상의 유지 블록(3920) 및 유지 립(3914)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유지 블록(3920)은 제세동기(3925)(도 73)와 슬라이딩가능하게 연결되고 이를 베이스(3910)에 고정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도 있다. 유지 립(3914)은 측방향 운동으로부터 제세동기(3925)를 억제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도 있고 그리고 제세동기(3925)를 제세동기 마운트(3900)에 후술되는 바와 같이 위치시킬 때 가이드로서 기능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유지 블록(3920)은 제세동기(3925)의 바닥의 임의의 공동을 채우도록 형상지워질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유지 블록은 전후 및 측방향 운동으로부터 제세동기(3925)를 고정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73은 제세동기(3925)가 제세동기 마운트(3900)에 의해서 캡쳐된 상태의 제세동기 마운트(3900)의 다른 등각도이다. 죠 클램프(3915)는 c-프레임(3905)의 상측 단부(3912)에 연결될 수도 있다. 죠 클램프(3915)는 제세동기(3925)의 핸들(3930)을 유지하고 캡쳐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제세동기 마운트(3900)의 기능은 아래에서 더욱 상세히 논의된다. 제세동기 마운트(3900)는 충돌-예비될 수도 있다.
도 74는 개방 위치에 있는 죠 클램프(3915)의 등각도이다. 죠 클램프(3915)는 상측 죠(3916), 하측 죠(3917) 및 릴리스 버튼(3945)를 포함할 수도 있다. 릴리스 버튼(3945)은 상측 죠(3916) 및 하측 죠(3917)가 서로에 대한 관계에서 이동되는 것을 허여한다. 죠 클램프(3915)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제세동기(3925)는 제세동기 마운트(3900)로부터 제거가능할 수도 있다. 하측 죠(3917)가 c-프레임(3905)의 상측 단부(3912)의 연장부일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하측 죠(3917)는 상측 죠(3916)에 힌지식으로 연결되고 상측 죠(3916)에 관련하여 이동될 수도 있다. 죠 클램프(3915)는 충돌-예비될 수도 있다.
도 75는 죠 클램프(3915)의 측면도이다. j-래치(3935)는 상측 죠(3916)에 연결될 수도 있고 그리고 램프식(ramped) 페이스(3947)을 포함할 수도 있다. 스프링(미도시)은 도시되는 바와 같이 래치 위치에 j-래치(3935)를 바이어스 한다. 래치 위치 및 래치해제 위치는 j-래치(3935) 및 죠 클램프(3915)에 균등하게 적용가능할 수도 있다. 상측 죠(3916)에 연결된 릴리스 버튼(3945)(도 74)은 래치 위치와 래치해제 위치 사이에서 죠 클램프(3915)를 전이한다. 램프식 페이스(3947)은 죠 클램프(3915)가 폐쇄될 때 바(3940)와 슬라이딩가능하게 연결될 수도 있다. 램프식 페이스(3947)는 릴리스 버튼(3945)의 작동 없이 죠 클램프(3915)가 래치해제 위치로부터 래치 위치로 전이되는 것을 허여한다. 래치 위치에서, j-래치(3935)는 바(3940)를 래치 위치에 죠 클램프(3915)를 고정할 수도 있고 그리고 바를 캡쳐할 수도 있다. 스프링은 래치 위치에 j-래치(3935)를 바이어스하고 유지할 수도 있어 도 73의 제세동기(3925)를 고정할 수도 있다. 릴리스 버튼(3945)(도 71 및 도 72)는 래치 위치로부터 래치해제 위치로 j-래치(3935)를 전이시키도록 그리고 죠 클램프(3915)가 개방되고 제세동기(3925)를 해제하는 것을 허여하도록 가압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제세동기(3925)의 전방 립을 유지 립(3914) 안으로 배치하고 제세동기를 하나 이상의 유지 블록(3920) 상에 전후 또는 좌우로 흔듦으로써 제세동기 마운트(3900)에 제세동기(3925)를 연결할 수도 있다. 제세동기(3925)가 베이스(3910) 상에 놓이면, 제세동기(3925)의 핸들(3930)은 죠 클램프(3915) 내에 놓이는 위치에 있을 것이다. 죠 클램프(3915)는 다음으로, j-래치(3935)가 바(3940)를 캡쳐하고 유지할 때까지 상측 죠(3916)를 하측 죠(3917) 쪽으로 전이함으로써 래치 위치로 전이될 수도 있다. 래치 위치에 있으면, 제세동기 마운트(3900)는 제세동기(3925)가 충돌-예비되도록 제세동기(3925)를 고정한다.
도 76은 압축 제세동기 마운트(3901)의 등각도이다. 압축 제세동기 마운트(3901)은 도 72에 도시되는 제세동기 마운트(3900)와 동일한 구조를 갖고 이와 같이 기능할 수도 있다. 압축 제세동기 마운트(3901) 실시형태에서, 죠 클램프(3915)는 제세동기 래치(3955)로 교체될 수도 있다. 제세동기 래치(3955)는 c-프레임(3905)의 상측 단부(3912)에 연결될 수도 있다. 제세동기 래치(3955)는 죠 클램프(3915)(도 74)와 기능에 있어 유사하나 이것은 하측 죠(3917)를 결여할 수도 있다. 재세동기 래치(3955)는 액츄에이터 핸들(3960) 및 디바이스 인터페이스(3961)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세동기 래치(3955)는 충돌-예비될 수도 있다.
압축 제세동기 마운트(3901)는 c-프레임(3905), 베이스(3910), 및 제세동기 래치(3955)를 포함할 수도 있다. c-프레임(3905)은 베이스(3910), 제세동기 래치(3955) 및 마운트에 연결될 수도 있다. c-프레임(3905)은 또한 c-프레임을 강화하고 압축 제세동기 마운트(3901)를 충돌-예비하게 하는 구조적 브레이싱(3962)을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설명되는 임의의 마운트는 트랙에 압축 제세동기 마운트(3901)을 연결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도 있고 그리고 웨지 마운트(47)(도 11) 및 웨지 인터페이스(72)(도 14)의 조합 및 마운트(50)(도 3)를 포함할 수도 있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베이스(3910)는 c-프레임(3905)의 바닥 단부(3911)에 연결될 수도 있고, 그리고 하나 이상의 유지 블록(3920) 및 유지 립(3914)을 포함할 수도 있다. 유지 립(3914)은 측방향 운동으로부터 제세동기(3925)를 억제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도 있고 그리고 제세동기(3925)를 제세동기 마운트(3900)에 위치시킬 때 가이드로서 기능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유지 블록(3920)은 제세동기(3925)의 바닥의 임의의 공동을 채우도록 형상지워질 수도 있다.
디바이스 인터페이스(3961)는, 디바이스 인터페이스(3961)가 제세동기(3925)에 억지 끼워맞춤을 통해서 균일한 힘을 작용하고 그리고 제세동기 래치(3955)와 베이스(3910) 사이에 제세동기(3925)를 고정하도록 제세동기 표면(3961)에 윤곽지워질 수 있다. 어떤 실시형태에서, 제세동기 중재부(미도시)가 제세동기(3925)에 디바이스 인터페이스(3961)을 연결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도 있다. 제세동기 중재부의 실시예는 발포체 패드, 고무 패드, 가스켓, 안티-스키드 재료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세동기 중재부는 디바이스 인터페이스(3961)와 제세동기(3925) 사이의 억지 끼워맞춤의 힘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사용될 수도 있다.
도 77은 압축 제세동기 마운트(3901)의 다른 등각도이다. 이 실시형태에서, 하나 이상의 유지 블록(3920)은 상이한 제세동기(3925)에 일치하는 상이한 형상으로 도시된다. 하나 이상의 유지 블록(3920)은 제세동기(3925)(도 73)와 슬라이딩가능하게 연결되고 이를 베이스(3910)에 고정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도 있다. 제세동기 래치(3955)는 폐쇄된 위치에서 도시된다. 중량 절약 구멍(3921)은 c-플레임(3905) 및 압축 제세동기 마운트(3901)의 구조적 강도를 감소시킴 없이 압축 제세동기 마운트(3901)의 전체 중량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베이스(3910) 및 구조적 브레이싱(3962) 내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 78은 제세동기 래치(3955)가 개방 위치에서 도시되는 압축 제세동기 마운트(3901)의 다른 등각도이다. 한 쌍의 램(3965)은, 제세동기 래치(3955)가 폐쇄된 위치에 있을 때 베이스 락(3970)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될 수도 있다. 제세동기 래치(3955)의 동작은 아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79는 제세동기 래치(3955)의 등각도이다. 도 77 및 도 78을 참조하면, 제세동기 래치(3955)는 액츄에이터 핸들(3960)에 의해서 폐쇄된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동작된다. 액츄에이터 핸들(3960)은 베이스 락(3970)과 슬라이딩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램(3965)에 연결된다. 하나 이상의 바이어스 스프링은 잠김 위치 안으로 액츄에이터 핸들(3960) 및 한 쌍의 램(3965) 상에 바이어스 힘을 작용한다. 제세동기 래치(3955)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 한 쌍의 램(3965)은 베이스 락(3970)과 슬라이딩가능하게 연결되지 않을 수도 있다. 제세동기 래치(3955)가 폐쇄 위치로 전이될 때, 한 쌍의 램(3965)은 베이스 락(3970)과 정렬될 수도 있고 잠김 위치로 제세동기 래치(3955)를 락할 수도 있다. 액츄에이터 핸들(3960)은 잠김 위치로부터 잠김해제 위치로 제세동기 래치(3955)를 전이하는 하나 이상의 바이어스 스프링의 바이어스 힘에 대항하여 작동될 수도 있다. 액츄에이터 핸들(3960)의 전이는 베이스 락(3970) 외부로 한 쌍의 램(3965)을 당길 수도 있어, 제세동기 래치(3955)가 개방 위치로 전이되는 것을 허여한다.
폐쇄된 위치에서, 제세동기 래치(3955)의 핸들 구멍(3928)은 도 76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세동기(3925)의 핸들(3930)을 캡쳐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스페이서 바(3929)는 한 쌍의 램(3965)에 액츄에이터 핸들(3960)을 연결할 수도 있다. 이것은 제세동기 래치(3955)가 상이한 제세동기(3925)의 상이한 사이즈의 핸들(3930)을 수용하도록 허여할 수도 있다. 액츄에이터 구멍(3927)은 제세동기 래치(3955) 내에 배치될 수도 있고 그리고 액츄에이터 핸들(3960)의 작동 스트로크(T)를 정의할 수도 있다. 액츄에이터 핸들(3960)의 작동 스트로크(T)는 한 쌍의 램(3965)이 베이스 락(3970)과 슬라이딩가능하게 연결되는 깊이(미도시)와 관련될 수도 있다. 어떤 실시형태에서, 한 쌍의 램(3965)이 베이스 락(3970)과 슬라이딩가능하게 연결되는 이 깊이는 제세동기 래치(3955)를 충돌-예비로서 정의할 수도 있다.
도 80은 신속 마운트 트랙(11)에 연결되게 도시되는 제세동기 마운트(3900)의 측면도이다. 도 28a 및 도 5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신속 마운트 트랙(11)이 도 38에 도시되는 미니트랙(12) 또는 도 1, 도 2, 및 도 27 내지 도 31의 트랙(10)으로 교체될 수도 있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설명되는 임의의 마운트는 트랙에 제세동기 마운트(3900)를 연결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도 있고 그리고 웨지 마운트(47)(도 11)와 웨지 인터페이스(72)(도 14)의 조합 및 웨지 마운트(47)(도 11)를 포함할 수도 있다는 점이 또한 이해되어야 한다. 이 도면은 신속 마운트 트랙(11)에 임의의 상술된 장치 및 마운트를 연결하는 일 실시예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세동기 마운트(3900)가 도시되나, 도 52에 도시되는 캐비넷 마운트(3500), 도 68에 도시되는 산소 탱크 마운트(3850), 또는 도 62에 도시되는 랩탑 마운트(3700)가 사용될 수도 있다.
다시 도 80을 참조하면, 신속 마운트 트랙(11)은 표면(3615)에 연결될 수 있다(도 56). 릴리스 메커니즘(190)(도 7)은, 사용자가 이 경우에 제세동기 마운트(3900)로부터 간섭 없이 릴리스 메커니즘(190)을 작동하고 릴리스 메커니즘(190)을 시각적으로 획득할 수도 있도록 상측 장치 축선(3964) 위에 위치될 수도 있다.
신속 마운트 트랙(11) 및 웨지 마운트(47)는 충돌-예비되도록 구성된다. 이들은 제세동기 마운트 상에 작용되는 힘에 의한 수직, 수평, 전후 및 측방향으로의 운동을 저항할 수도 있다. 마운트 스터드(140a, 140b, 140c, 및 140d)(도 3)는 도 5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직접적으로 하나 이상의 체결 디바이스(3939)위에 위치될 수도 있다. 신속 마운트 트랙(11)은 도 80에서 수직 배향으로 도시된다.
도 81은 제세동기 액세서리 트레이(3320)의 좌측 등각도이다. 제세동기 액세서리 트레이(3320)는 베이스 트레이(3325), 제1 측부 트레이(3330), 및 제2 측부 트레이(3355)를 포함할 수도 있다. 베이스 트레이(3325)는 제세동기 마운트(3900)(도 72) 또는 압축 제세동기 마운트(3901)(도 76) 중 어느 하나의 베이스(3910)와 연결될 수도 있다. 베이스(3910)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체결 디바이스 구멍(3941)은 베이스(3910)에 베이스 트레이(3325)를 고정하기 위해서 상술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체결 디바이스에 의해서 사용될 수도 있다. 제1 측부 트레이(3330) 및 제2 측부 트레이(3335)는 제세동기 액세서리 트레이(3320)에 하나 이상의 액세서리 파우치(3345)(도 81)를 고정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도 있다. 제1 측부 트레이(3330) 및 제2 측부 트레이(3335)는 유연한 플라스틱, 금속, 복합물, 강성 플라스틱, 고무 등의 재료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82는 제세동기 액세서리 트레이(3320)의 우측 등각도이다. 제세동기 액세서리 트레이(3320)은 제세동기(3925) 및 하나 이상의 액세서리 파우치(3345)를 수용하도록 치수지워질 수도 있다. 각각의 액세서리 파우치(3345)는 제세동기(3925)를 위한 넓은 범위의 액세서리를 수용하는 치수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한 쌍의 쇽 패들(shock paddle), 전도 겔 등은 하나 이상의 액세서리 파우치(3345)에 저장될 수도 있다. 액세서리 파우치의 사용은 제세동기(3925)를 위한 액세서리에 한정되지 않고 그리고 , 다른 메디칼 디바이스 및 액세서리, 메디칼 보급품, 전자 디바이스 및 펜 및 페이퍼를 포함하는 기록 디바이스, 전원(예를 들어, 배터리 및 A/C 어댑터) 등을 위해서 사용될 수도 있다. 연장 코드(3350)는 제세동기(3925)에 메디컬 액세서리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도 있다. 연장 코드(3350)는 메디컬 액세서리가 제세동기(3925)와 연결되는 편리한 위치를 제공하도록 제세동기 액세서리 트레이(3320) 상에 위치될 수도 있다. 연장 코드(3350)는 제2 측부 트레이(3335)에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되나, 연장 코드(3350)가 베이스 트레이(3325), 제1 측부 트레이(3330), 또는 심지어 제세동기 마운트(3900) 또는 압축 제세동기 마운트(3901)에 연결될 수도 있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연장 코드(3350)은 사용자에 의한 접근의 용이성 또는 제세동기(3925)의 구성을 허여하는 임의의 위치에 연결될 수도 있다. 둘 이상의 코드(3350)가 제세동기 액세서리 트레이(3320), 제세동기 마운트(3900) 또는 압축 제세동기 마운트(3901)에 연결될 수도 있다는 점이 또한 이해되어야 한다.
도 83은 하나 이상의 액세서리 파우치(3345) 및 제세동기 액세서리 트레이의 분해도이다. 베이스 트레이(3325)는 제세동기(3925)와 연결되고 그리고 제세동기(3925)를 유지하거나 고정하고 그리고 충돌-예비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베이스 트레이(3325)는 도 72에 도시되는 하나 이상의 유지 블록(3920)을 또한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제1 측부 트레이(3330) 및 제2 측부 트레이(3335)는 하나 이상의 액세서리 파우치(3345) 없이 제세동기(3925)에 일치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제1 측부 트레이(3330) 및 제2 측부 트레이(3335)는 하나 이상의 액세서리 파우치(3345)의 형상과 일치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액세서리 파우치(3345)의 외측 에지(3360)는 제1 측부 트레이(3330) 및 제2 측부 트레이(3335)와 슬라이딩가능하게 연결되도록 라운딩될 수도 있다. 외측 에지(3360)는 특정 액세서리가 액세서리 파우치(3345) 내에 위치되는 것을 허여하도록 정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것은 다음으로 제1 측부 트레이(3330) 및 제2 측부 트레이(335)가 정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요구된다. 폐쇄 메커니즘(3355)은 액세서리 파우치(3345) 내에 액세서리를 완전히 둘러싸도록 각각의 액세서리 파우치(3345)에 연결될 수도 있다.
도 84는 도 56과 관련하여 상술된 바와 같이 테이퍼진 에지를 갖는 신속 마운트 트랙(11)의 전방도이다. 신속 마운트 트랙(11)의 후방도는 도 84의 거울 이미지이다.
도 85는 도 56과 관련하여 상술된 바와 같이 테이퍼진 에지를 갖는 신속 마운트 트랙(11)의 우측 측면도이다. 신속 마운트 트랙(11)의 좌측 측면도는 도 85의 거울 이미지이다.
도 86은 도 56과 관련하여 상술된 바와 같이 테이퍼진 에지를 갖는 신속 마운트 트랙(11)의 평면도이다.
도 87은 도 56과 관련하여 상술된 바와 같이 테이퍼진 에지를 갖는 신속 마운트 트랙(11)의 저면도이다.
도 88은 도 56과 관련하여 상술된 바와 같이 테이퍼진 에지를 갖는 신속 마운트 트랙(11)의 전방, 좌측, 등각도이다.
도 89는 도 56과 관련하여 상술된 바와 같이 테이퍼진 에지를 갖는 신속 마운트 트랙(11)의 평면, 좌측, 등각도이다.
도 90은 도 56과 관련하여 상술된 바와 같이 테이퍼진 에지를 갖는 신속 마운트 트랙(11)의 평면, 우측, 등각도이다.
도 91은 개방 캡쳐 플레이트(8856)의 개방 키홀 슬롯 구멍(57)의 평면도이다. 개방 키홀 슬롯 구멍(8857)은 개방 넓은 단부(8870) 및 개방 좁은 단부(8875)를 포함할 수도 있다. 개방 캡쳐 플레이트(8856)은 개방 넓은 단부(8870)의 개방 단부 구조체를 제외하고 도 11의 갭쳐 플레이트(56)와 같은 기능을 한다. 도 91과 도 11을 비교하면, 개방 넓은 단부(8870)는, 도 11의 넓은 영역(70)의 폐쇄된 구조체와 비교할 때 개방 단부 구조체이다. 개방 넓은 단부(8857)은 도 14의 웨지 인터페이스(72)가 도 11의 웨지 마운트(47)와 슬라이딩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허여한다. 개방 넓은 단부(8857)는 웨지 인터페이스(72)와 웨지 마운트(47) 사이에 정렬불량의 더 큰 공차를 허여하고, 그리고 또한 웨지 마운트(47)와 웨지 인터페이스(72)의 적합한 결합을 제공한다. 개방 캡쳐 플레이트(8857)는 캡쳐 플레이트(57)를 위한 직접적인 대체일 수도 있다.
개시의 전체에 걸쳐서, 도 1에 도시되는 트랙(10), 도 38에 도시되는 미니트랙(12), 또는 도 28a 및 도 56에 도시되는 신속 마운트 트랙(11)이 상호교환가능하게 사용될 수도 있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마운트(50) 또는 장치가 트랙(10)에 연결되는 것이 논의되는 곳에서, 트랙(10)은 미니트랙(12) 또는 신속 마운트 트랙(11)에 의해서 대체될 수도 있다. 장착 구성은 상이한 타입의 트랙(10, 11 또는 12) 사이에 연결을 가능하게 하도록 변경되는 것이 필요할 수도 있으나, 장착 구성의 다기능 및 가변성이 이 개시에 의해서 가시화되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개시는 이 상호교환가능성이 존재하는 영역을 강조하나(즉, "트랙"은 트랙(10), 신속 장착 트랙(11) 또는 미니트랙(12)을 의미할 수도 있다) 이 강조는 강조가 존재하지 않는 개시의 다른 부분에서 상호교환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다.
전체에 걸쳐서 마운트(50)가 웨지 인터페이스(72)(예를 들어, 도 14), 임의의 개수의 장착 스터드(140)(예를 들어, 도 3), 장착 인터페이스(172)(예를 들어, 도 9), 웨지 마운트(47)(예를 들어, 도 11), 캐비넷 마운트(3500)(도 52), 또는 장치 트랙 마운트(1700)(예를 들어, 도 24)와 상호교환가능할 수도 있다는 점이 또한 이해되어야 한다. 장착 구성의 다기능 및 가변성은 이 개시에 의해서 가시화된다. 개시는 이 상호교환가능성이 존재할 수도 있는 영역을 강조하나(즉, 마운트는 마운트(50) 또는 웨지 인터페이스(72)일 수도 있다) 이 강조는 강조가 존재하지 않는 개시의 다른 부분에서 상호교환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다.
장치 장착 시스템은 위에서 설명되고 수반된 도면에서 도시된다. 장치 장착 시스템은 다양한 트랙과 다양한 마운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 장칙 장착 시스템은 구조체 또는 이동 물체에 제거가능하게 연결될 수도 있다. 이동 물체는 응급 운반 비이클, 헬리콥터, 비행기, 이동 주택, 전지형 비이클(ATV) 등과 같은 비이클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응급 운반 비이클은 앰뷸런스, 메디컬 헬리콥터, 메디컬 비행기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술되는 다양한 마운트는 각각의 타입의 마운트에 대한 구조체 또는 비이클의 변경 필요성 없이 이 상이한 구조체 및/또는 비이클 사이에서 이동될 수도 있다. 장치 장착 시스템은 다양한 마운트 중 하나에 연결되는 장치가 운영 또는 사용 중 용이성을 위해서 비이클로부터 제거되고 구조체 안으로 옮겨지고 구조체에 장착되는 것을 허여할 수도 있다. 장치는 비이클 내측에서 사용되지 않을 때 비이클의 외측 부분에 연결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세동기 마운트에 연결된 제세동기는 앰뷸런스로부터 병원으로 이동되고 환자의 침대에 의한 벽 상의 트랙에 장착되어 제세동기가 환자에 대해 사용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환자에 유체적으로 연결되는 IV 백은 환자가 메디컬 헬리콥터로부터 병원의 응급실로 이송될 때 환자와 함께 이동될 수도 있다. 메디컬 인원은 트랙으로부터 IV 백에 연결된 마운트를 제거하고, IV 백을 환자와 함께 이동하고, 그리고 응급실 천장 또는 벽 상의 트랙에 마운트를 재연결할 수도 있다. 장치 장착 시스템은 장치 장착 시스템을 사용할 때 넓은 범위의 선택적 구성이 제공되는 것을 허여한다.
용어 "실질적으로" 및 "약"은, 임의의 양적인 비교, 값, 측정치, 또는 다른 표현에 포함될 수도 있는 내재하는 불확실성 정도를 표현하기 위해서 여기서 사용될 수도 있다는 점이 주의된다. 이 용어는 또한, 논의되는 주제의 기본 기능의 변화로 귀결되지 않으면서 양적인 표현이 언급된 기준으로부터 변화될 수도 있는 정도를 표현하기 위해서 여기서 사용된다.
어떤 용어는 단지 편의를 위해서 개시에 사용되고 한정적이지 않다. 단어 "좌측", "우측", "전방", "후방", "상측" 및 "하측"은 참조되는 도면에서 방향을 지정한다. 용어는 위에서 주의된 단어뿐만 아니라 이들의 파생어 및 유사한 중요성을 갖는 단어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형태가 여기서 도해되고 설명되었으나, 다양한 다른 변경 또는 수정이 청구된 주제의 범위 및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만들어질 수도 있다. 또한, 청구된 주제의 다양한 양태가 여기서 설명되었으나, 이러한 양태가 조합으로 사용될 필요는 없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항은 청구된 주제의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을 커버한다는 것이 의도된다.

Claims (15)

  1. 장치 장착 시스템에 있어서,
    표면 또는 구조체에 연결되는 테이퍼진 에지를 갖는 신속 마운트 트랙으로서,
    제1 플레이트 에지, 제2 플레이트 에지, 복수의 잠금 핀 구멍, 제1 외측 슬롯, 및 제2 외측 슬롯을 갖는 뒷받침 플레이트로서, 상기 제1 플레이트 에지, 상기 제2 플레이트 에지, 상기 복수의 잠금 핀 구멍, 상기 제1 외측 슬롯, 및 상기 제2 외측 슬롯이 모두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하고 그리고 상기 뒷받침 플레이트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1 플레이트 에지는 테이퍼지고, 상기 제2 플레이트 에지는 테이퍼지고, 그리고 상기 제1 플레이트 에지 및 상기 제2 플레이트 에지는 상기 뒷받침 플레이트의 길이를 따라서 상기 뒷받침 플레이트의 최외측 부분을 정의하는, 상기 뒷받침 플레이트;
    상기 신속 마운트 트랙에 연결되는 마운트 상에 작용되는 임의의 힘이 직접적으로 상기 신속 마운트 트랙을 통해서 하나 이상의 장착 지점에 전달되도록 상기 제1 외측 슬롯 및 상기 제2 외측 슬롯 내에 위치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장착 지점;
    상기 제1 플레이트 에지와 상기 제2 플레이트 에지를 따라서 정의되고 상기 신속 마운트 트랙과 상기 표면 사이에 시일을 생성하고 유지하는 동일 평면 장착 표면;
    상기 동일 평면 장착 표면에 의해서 정의되고 상기 신속 마운트 트랙에 배치되는 체이스(chase);
    상기 제1 외측 슬롯 및 상기 제2 외측 슬롯에 이격되고 상기 복수의 잠금 핀 구멍과 수평 정렬되는 복수의 다이아몬드 윤곽 타겟 영역; 및
    공통 에지를 따른 복수의 반(half) 다이아몬드 윤곽 영역으로서, 상기 공통 에지는 상기 제1 플레이트 에지 및 상기 제2 플레이트 에지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상기 복수의 반 다이아몬드 윤곽 영역을 포함하는, 상기 신속 마운트 트랙을 포함하는, 장치 장착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표면 또는 구조체는 이동 물체인, 장치 장착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이동 물체는 응급 운반 비이클(vehicle)인, 장치 장착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응급 운반 비이클은 앰뷸런스 또는 헬리콥터인, 장치 장착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신속 마운트 트랙에 제거가능하게 연결되는 트랙 클립을 더 포함하며, 상기 트랙 클립은,
    베이스로서, 상기 베이스가 상기 신속 마운트 트랙에 관련하여 상기 트랙 크립의 운동의 최소화하고 그리고 상기 신속 마운트 트랙의 슬롯과 슬라이딩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허여하도록 베이스 폭 및 슬롯 결합 플랜지를 갖는, 상기 베이스;
    커플러 페이스를 따라서 상기 베이스에 연결되는 커플러로서, 상기 커플러 페이스가 상기 베이스 상의 상기 슬롯 결합 플랜지로부터 반대인, 상기 커플러;
    캐리어 축선을 따라서 상기 베이스에 연결되는 레버리지(leverage) 특징부로서, 상기 캐리어 축선은 상기 커플러 페이스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상기 레버리지 특징부; 및
    상기 신속 마운트 트랙 상의 개방 영역과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되는 개방 영역 결합 인터페이스를 갖고 제1 연장부 및 제2 연장부를 포함하는 캐리어로서, 상기 제1 연장부는 상기 캐리어 상에서 상기 제2 연장부에 반대이고, 상기 캐리어는 상기 캐리어 축선을 따라서 상기 레버리지 특징부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연결되고 그리고 스프링에 의해서 인게이지 위치에 바이어스되는, 상기 캐리어를 포함하는, 장치 장착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는 상기 캐리어에 연결되는 제1 립 및 제2 립을 더 포함하고, 전이 힘은, 상기 캐리어가 상기 인게이지 위치로부터 인게이지해제 위치 사이에서 전이되도록 상기 제1 립 및 상기 제2 립에 가해지고, 상기 인게이지 위치는 상기 트랙 클립을 상기 신속 마운트 트랙에 고정하고, 그리고 상기 인게이지해제 위치는 상기 신속 마운트 트랙으로부터 상기 트랙 클립을 릴리스하는, 장치 장착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는 상기 캐리어에 연결되는 스너버 패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너버 패드는 상기 트랙 클립이 상기 인게이지해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베이스 안으로 후퇴되고, 그리고 상기 스너버 패드는 상기 트랙 클립이 상기 인게이지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베이스의 베이스 표면을 넘어서 연장되고, 상기 스너버 패드는 상기 트랙 클립이 상기 신속 마운트 트랙에 관련하여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상기 트랙 클립은 상기 인게이지 위치에서 상기 신속 마운트 트랙에 연결되는, 장치 장착 시스템.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커플러는 훅, 페그(peg), 클래스프(clasp), 래치(latch), 라이트(light), 또는 u-형상 링이고, 그리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트랙 클립과 상기 신속 마운트 트랙 사이에 억지 끼워맞춤을 생성하는 반-래틀 코팅(anti-rattle coating)으로 덮여있는, 장치 장착 시스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신속 마운트 트랙에 제거가능하게 연결되는 벽 캐비넷을 더 포함하며, 상기 벽 캐비넷은,
    저장 체적을 둘러싸는 부분 인클로져로서, 상기 부분 인클로져의 최후방 한계를 정의하는 후방 벽을 포함하는, 상기 부분 인클로져;
    상기 부분 인클로져의 최전방 한계를 정의하는 도어로서, 상기 부분 인클로져에 이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저장 체적으로부터 외부 체적을 구획하는 폐쇄 위치 및 상기 외부 체적으로부터 상기 저장 체적에 대한 접근을 허여하는 개방 위치를 갖고, 그리고 상기 도어가 상기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저장 체적에 있는 물체가 상기 외부 체적으로부터 보여지는 것을 허여하는 창을 포함하는, 상기 도어; 및
    상기 신속 마운트 트랙에 상기 벽 캐비넷을 고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부분 인클로져에 연결되는 캐비넷 마운트로서,
    상기 저장 체적 내 캐비넷 플레이트,
    상기 외부 체적 내 마운트 위치로서, 하나 이상의 체결 디바이스 및 나사선 칼라를 포함하며, 상기 후방 벽은 상기 캐비넷 플레이트와 상기 마운트 사이에 캡쳐되는, 상기 마운트 위치, 및
    잠금 핀에 대항하여 바이어스되는 핀 스프링을 포함하는 턴 노브(turn knobb)로서, 상기 캐비넷 마운트가 상기 신속 마운트 트랙과 연결될 때, 상기 잠금 핀이 상기 신속 마운트 트랙의 잠금 핀 구멍과 연결될 때까지 상기 턴 노브가 상기 나사선 칼라 안으로 삽입되고 회전되도록 상기 나사선 칼라와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그리고 상기 핀 스프링은 상기 신속 마운트 트랙과 상기 벽 캐비넷 사이의 어떠한 움직임도 감쇠하는, 상기 턴 노브를 포함하는, 상기 캐비넷 마운트를 포함하는, 장치 장착 시스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벽 캐비넷은,
    상기 부분 인클로져 및 도어 스위치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발광 다이오드(LED)로서, 낮은-라이트 동작 동안에 붉은 색으로 그리고 낮시간의 동작 동안에 흰색으로 상기 저장 체적을 조명하고, 그리고 상기 도어 스위치는 상기 도어가 상기 개방 위치로 전이될 때 상기 하나 이상의 LED 라이트를 작동시키는, 상기 하나 이상의 LED;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부분 인클로져는,
    상기 부분 인클로져의 하측 연장부를 정의하고, 그리고 상기 도어가 상기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물체가 상기 저장 체적으로부터 상기 외부 체적으로 슬라이딩되는 것을 억제하도록 구성되는 유지 립을 포함하는 바닥 벽,
    상기 부분 인클로져의 제1 측벽에 연결되는 제1 몰딩으로서, 상기 벽 캐비넷과 충격의 힘을 흡수하도록 구성되고, 그리고 상기 벽 캐비넷이 상기 신속 마운트 트랙 상에 위치되고 파지되는 것을 허여하는 구조체를 더 포함하는, 상기 제1 몰딩, 및
    상기 부분 인클로져의 제2 측벽에 연결되는 제2 몰딩으로서, 상기 벽 캐비넷과 충격의 힘을 흡수하도록 구성되고, 그리고 상기 벽 캐비넷이 상기 신속 마운트 트랙 상에 위치되고 파지되는 것을 허여하는 파지 구조체를 더 포함하는, 상기 제2 몰딩을 포함하는, 장치 장착 시스템.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신속 마운트 트랙에 제거가능하게 연결되는 랩탑 마운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랩탑 마운트는,
    플랫폼;
    상기 플랫폼의 운동의 전체 범위를 허여하는 관절식 볼 조인트로서, 제1 볼, 제2 볼 및 압축 클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압축 클램프는 상기 압축 클램프의 제1 단부에 상기 제1 볼을 캡쳐하고, 그리고 제2 단부에 상기 제2 볼을 캡쳐하고, 그리고 상기 신속 마운트 트랙에 관련하여 상기 플랫폼의 운동을 억제하거나 구속하기 위해서 사용되고, 그리고 상기 제1 볼은 상기 플랫폼에 연결되는, 상기 관절식 볼 조인트;
    잠김 위치와 릴리스 위치 사이에서 상기 랩탑 마운트를 전이하는 랩탑 락(laptop lock)으로서, 상기 잠김 위치는 상기 플랫폼에 랩탑을 고정하고 그리고 상기 릴리스 위치는 상기 플랫폼으로부터 상기 랩탑이 제거될 수 있도록 하는, 상기 랩탑 락;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마운트는 상기 제2 볼에 연결되고 상기 신속 마운트 트랙에 상기 랩탑 마운트를 제거가능하게 구성되는, 장치 장착 시스템.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신속 마운트 트랙에 제거가능하게 연결되는 트레이 마운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트레이 마운트는,
    트레이 랙;
    상기 트레이 랙의 운동의 전체 범위를 허여하는 관절식 볼 조인트로서, 제1 볼, 제2 볼 및 압축 클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압축 클램프는 상기 압축 클램프의 제1 단부에 상기 제1 볼을 캡쳐하고, 그리고 제2 단부에 상기 제2 볼을 캡쳐하고, 그리고 상기 신속 마운트 트랙에 관련하여 상기 트레이 랙의 운동을 억제하거나 구속하기 위해서 사용되고, 그리고 상기 제1 볼은 상기 트레이 랙에 연결되는, 상기 관절식 볼 조인트;
    하나 이상의 회전 포스트가 유지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트레이 랙에 트레이를 캡쳐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회전 포스트;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마운트는 상기 관절식 볼 조인트에 연결되고 상기 신속 마운트 트랙에 상기 트레이 마운트를 제거가능하게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장착 시스템.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신속 마운트 트랙에 제거가능하게 연결되는 산소 탱크 마운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산소 탱크 마운트는,
    하나 이상의 산소 탱크를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프레임;
    상기 산소 탱크 마운트를 위치들 사이에서 이동하기 위해서 사용되고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는 프레임 핸들;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유지 클램프로서, 각각의 유지 클램프는 산소 탱크가 상기 유지 클램프에 제거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허여하는 신속 릴리스를 갖는, 상기 하나 이상의 유지 클램프;
    튜브 네트워크에 의해서 각각의 산소 탱크에 유체 연결되고(fluidly connected) 하나 이상의 메디컬 디바이스와 유체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매니폴드;
    상기 프레임의 후방 표면에 연결되고 상기 신속 마운트 트랙에 상기 산소 탱크 마운트를 제거가능하게 연결하도록 상기 후방 표면에 배열되는 복수의 장착 스터드; 및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고 릴리스 핸들 및 잠김 위치에 바이어스되는 하나 이상의 잠금 핀을 갖는 하나 이상의 트랙 릴리스로서, 각각의 잠금 핀은 상기 신속 마운트 트랙의 잠금 핀 구멍과 슬라이딩가능하게 연결되고, 그리고 상기 릴리스 핸들은 상기 신속 마운트 트랙으로부터 상기 산소 탱크 마운트를 릴리스하게끔 상기 잠금 핀 구멍으로부터 잠금 핀을 당기도록 구성되는, 상기 하나 이상의 트랙 릴리스를 포함하는, 장치 장착 시스템.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신속 마운트 트랙에 제거가능하게 연결되는 제세동기 마운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세동기 마운트는,
    상측 단부와 하측 단부를 갖는 c-프레임;
    상기 c-프레임의 상기 하측 단부에 연결되고 그리고 하나 이상의 유지 블록 및 유지 립을 갖는 베이스로서, 각각의 유지 블록은 제세동기와 슬라이딩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세동기를 상기 베이스에 고정하기 위해서 사용되고, 그리고 상기 유지 립은 측방향 운동으로부터 상기 제세동기를 억제하기 위해서 사용되고, 그리고 상기 제세동기 마운트에 상기 제세동기를 배치할 때 가이드로서 역할을 하는, 상기 베이스;
    상기 상측 단부에 연결되고 그리고 상기 제세동기의 핸들을 캡쳐하고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죠 클램프(jaw clamp)로서, 상측 죠, 하측 죠, 릴리스 버튼, 바, 및 j-래치를 포함하며, 상기 바는 상기 하측 죠에 연결되고 그리고 상기 릴리스 버튼 및 상기 j-래치는 상기 상측 죠에 연결되고, 상기 j-래치는 래치 위치에 상기 바를 캡쳐하고 유지하도록 구성되고, 그리고 상기 릴리스 버튼은 래치해제 위치에서 상기 바를 릴리스하게끔 상기 j-래치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상기 죠 클램프;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마운트는 상기 c-프레임에 연결되고 그리고 상기 신속 마운트 트랙에 상기 제세동기 마운트를 제거가능하게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장착 시스템.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신속 마운트 트랙에 제거가능하게 연결되는 압축 제세동기 마운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압축 제세동기 마운트는,
    상기 압축 제세동기 마운트를 강화시키고 충돌-예비로 만드는 구조적 브레이싱(bracing)을 갖는 c-프레임;
    상기 c-프레임의 하측 단부에 연결되고 그리고 하나 이상의 유지 블록 및 유지 립을 갖는 베이스로서, 각각의 유지 블록은 제세동기와 슬라이딩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세동기를 상기 베이스에 고정하기 위해서 사용되고, 그리고 상기 유지 립은 측방향 운동으로부터 상기 제세동기를 억제하기 위해서 사용되고, 그리고 제세동기 마운트에 상기 제세동기를 배치할 때 가이드로서 역할을 하는, 상기 베이스;
    상측 단부에 연결되고 그리고 액츄에이터 핸들 및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제세동기 래치로서, 상기 액츄에이터 핸들은 잠김 위치와 잠김해제 위치 사이에서 상기 제세동기 래치를 전이하고, 그리고 상기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는 제세동기 표면에 윤곽이 형성되어 상기 디바이스 인터페이스가 균일한 힘을 상기 제세동기에 작용하고 그리고 상기 제세동기 래치와 상기 베이스 사이의 상기 제세동기를 고정하는, 상기 제세동기 래치;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마운트는 상기 c-프레임에 연결되고 그리고 상기 신속 마운트 트랙에 상기 압축 제세동기 마운트를 제거가능하게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장착 시스템.
KR1020177004452A 2014-07-18 2014-08-08 장치 장착 시스템 Withdrawn KR2017003242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462026515P 2014-07-18 2014-07-18
US62/026,515 2014-07-18
PCT/US2014/050392 WO2016010568A1 (en) 2014-07-18 2014-08-08 Equipment mounting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2426A true KR20170032426A (ko) 2017-03-22

Family

ID=51358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4452A Withdrawn KR20170032426A (ko) 2014-07-18 2014-08-08 장치 장착 시스템

Country Status (19)

Country Link
EP (3) EP3169296B1 (ko)
JP (3) JP6462869B2 (ko)
KR (1) KR20170032426A (ko)
CN (1) CN106536277A (ko)
AU (2) AU2014400785B2 (ko)
BR (1) BR112017000974A2 (ko)
CA (2) CA3068238C (ko)
CO (1) CO2017000400A2 (ko)
DK (1) DK3169296T3 (ko)
ES (3) ES2807776T3 (ko)
HK (1) HK1231446A1 (ko)
IL (1) IL249932A0 (ko)
MX (1) MX2017000720A (ko)
NZ (1) NZ728051A (ko)
PL (1) PL3169296T3 (ko)
PT (1) PT3169296T (ko)
SG (1) SG11201700064QA (ko)
TR (1) TR201819948T4 (ko)
WO (1) WO201601056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64809A1 (en) * 2022-09-23 2024-03-28 Amf-Bruns Gmbh & Co. Kg L-track fitting including safety lock visual pi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71977B2 (en) * 2016-05-19 2024-01-16 Csa Medical, Inc. Catheter extension control
DE102017110003A1 (de) * 2017-05-09 2018-11-15 MCS medical concept solutions GmbH Befestigungsvorrichtung zur Befestigung eines Thoraxkompressionssystems
GB201707922D0 (en) 2017-05-17 2017-06-28 Ocado Innovation Ltd Modular storage systems and methods
CN109383401B (zh) * 2017-08-11 2020-11-06 比亚迪股份有限公司 车载显示屏及汽车
JP6910262B2 (ja) * 2017-09-26 2021-07-28 三菱電機株式会社 センサユニットおよび計測車両
CN108591204B (zh) * 2018-01-26 2023-10-24 歌尔科技有限公司 一种便拆机构及头戴式智能设备
CN109089396B (zh) * 2018-10-25 2023-08-29 海鹰企业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电子机箱用盖板快速锁紧装置
US11821457B2 (en) * 2018-12-18 2023-11-21 Valeda Company Rapid-release anchor and fitting
CN110339006B (zh) * 2019-06-20 2021-01-12 党冬梅 一种便于拆分医用棉签型医疗护理推车
JP7179694B2 (ja) * 2019-07-08 2022-11-29 愛三工業株式会社 タンク内部材への取付部材の取付構造
WO2022101927A1 (en) * 2020-11-10 2022-05-19 Soni Dinanath Discrete power device assembly (fixture)
CN112569051B (zh) * 2020-12-10 2022-04-05 南京英德利汽车有限公司 一种全隔离多功能重症监护型救护车
CN112477890B (zh) * 2020-12-25 2023-04-14 铜陵铁科轨道装备股份有限公司 一种便于维护的km70气动底开门系统
CN113147609A (zh) * 2021-04-20 2021-07-23 深圳市安保科技有限公司 挂板结构和医护车辆
CN114228607B (zh) * 2021-12-14 2023-05-05 成都陵川特种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连接装置
CN114802382B (zh) * 2022-04-28 2023-02-10 深圳诺博医疗科技有限公司 推车
CN119482270A (zh) * 2025-01-16 2025-02-18 浙江科明电子有限公司 一种易于拆装的自复过欠压保护器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91490A (en) * 1955-02-28 1959-06-23 Aeroquip Corp Cargo rail tie-down
US3605637A (en) * 1970-09-02 1971-09-20 Ancra Corp Anchor fitting for securing loads to a retainer track
US4256424A (en) * 1979-08-20 1981-03-17 Ancra Corporation Rattle-proof anchor fitting for securing loads to a retainer track
JPS60918Y2 (ja) * 1979-08-31 1985-01-11 株式会社島津製作所 トレイスタンド
US4530483A (en) * 1982-09-30 1985-07-23 Ancra Corporation Side guide for cargo loading system
US4602756A (en) * 1984-11-26 1986-07-29 Chatfield Alan M Instrument fastening system
US4853555A (en) * 1988-04-21 1989-08-01 The Boeing Company Electrical power transfer system for aircraft passenger entertainment system
US5564579A (en) * 1994-08-03 1996-10-15 Screen Print Industries, Inc. Apparatus for constructing a gondola canopy
CA2178224C (en) * 1996-06-07 2000-10-31 Robert B. Karrer Modular cargo anchoring and protection system for pickup trucks
AUPP058297A0 (en) * 1997-11-27 1997-12-18 Skilled Equipment Manufacturing Pty Limited Emergency vehicle system
US6945414B1 (en) * 2002-10-18 2005-09-20 Products Of Tomorrow, Inc. Wall panel and system
US7472458B2 (en) * 2003-06-13 2009-01-06 Innovative Office Products, Inc. Tilter apparatus for electronic device having bias assembly
US7028351B1 (en) * 2004-12-30 2006-04-18 Calzark Modular patient support system
JP2007020656A (ja) * 2005-07-12 2007-02-01 Okamura Corp 医療関連業務サポート用什器
FR2890376B1 (fr) * 2005-09-07 2009-01-23 Comm Materiel Aeronautiquesicm Dispositf de montage d'un siege sur un rail de montage
GB2466801A (en) * 2009-01-07 2010-07-14 Unwin C N Ltd Anchorage system for fixing articles to vehicle floor rail
EP2614804B1 (en) * 2009-07-10 2015-09-16 Ferno-Washington, Inc. Litter support systems for medical care units
US8636154B2 (en) * 2010-07-12 2014-01-28 Ferno-Washington, Inc. Litter support systems for medical care units and methods of their use
WO2012059979A1 (ja) * 2010-11-02 2012-05-10 パイオニア株式会社 端末保持装置
CN202137839U (zh) * 2011-05-31 2012-02-08 湖南康达建筑装饰材料有限责任公司 石膏板多功能型串联式自动生产线
TWM427348U (en) * 2011-09-30 2012-04-21 Ratchet King Co Ltd Freight fastening buckle with positioning function
KR101326041B1 (ko) * 2012-08-20 2013-11-07 (주)에이스 힌지텍 걸이용 패널 및 이를 이용한 걸이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64809A1 (en) * 2022-09-23 2024-03-28 Amf-Bruns Gmbh & Co. Kg L-track fitting including safety lock visual pi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20202886B2 (en) 2021-07-08
AU2020202886A1 (en) 2020-05-21
CN106536277A (zh) 2017-03-22
EP3718824B1 (en) 2023-01-25
SG11201700064QA (en) 2017-02-27
DK3169296T3 (en) 2019-01-21
EP3431067A1 (en) 2019-01-23
CA2954621C (en) 2020-03-24
IL249932A0 (en) 2017-03-30
WO2016010568A1 (en) 2016-01-21
AU2014400785B2 (en) 2020-01-30
ES2703798T3 (es) 2019-03-12
CA3068238A1 (en) 2016-01-21
PT3169296T (pt) 2019-01-11
TR201819948T4 (tr) 2019-02-21
NZ728051A (en) 2020-05-29
HK1231446A1 (zh) 2017-12-22
PL3169296T3 (pl) 2019-04-30
JP2017523366A (ja) 2017-08-17
CA2954621A1 (en) 2016-01-21
ES2940265T3 (es) 2023-05-04
CO2017000400A2 (es) 2017-03-31
EP3431067B1 (en) 2020-04-29
JP6462869B2 (ja) 2019-01-30
JP6619077B2 (ja) 2019-12-11
MX2017000720A (es) 2017-04-27
ES2807776T3 (es) 2021-02-24
JP6918901B2 (ja) 2021-08-11
AU2014400785A1 (en) 2017-02-02
EP3169296B1 (en) 2018-10-03
EP3718824A1 (en) 2020-10-07
CA3068238C (en) 2021-06-15
BR112017000974A2 (pt) 2018-01-16
JP2020051622A (ja) 2020-04-02
EP3169296A1 (en) 2017-05-24
JP2019108984A (ja) 2019-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32426A (ko) 장치 장착 시스템
US11066004B2 (en) Equipment mounting system
US10307313B2 (en) Equipment mounting system
EP3354246B1 (en) Equipment mount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217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073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C1202 Submission of document of withdrawal before decision of registration

Comment text: [Withdrawal of Procedure relating to Patent, etc.] Withdrawal (Abandonment)

Patent event code: PC12021R01D

Patent event date: 20200402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