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7287A - 전구형 벌브 - Google Patents
전구형 벌브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27287A KR20170027287A KR1020160108813A KR20160108813A KR20170027287A KR 20170027287 A KR20170027287 A KR 20170027287A KR 1020160108813 A KR1020160108813 A KR 1020160108813A KR 20160108813 A KR20160108813 A KR 20160108813A KR 20170027287 A KR20170027287 A KR 2017002728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ulb
- light source
- light
- power supply
- transmitting por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9000012212 insulato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696 magne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191 radiation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29910001285 shape-memory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034 dec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7525 heat dissip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247 coating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92 diffus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74 electromagnetic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855 radi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80 transparen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21K9/23—Retrofit light sources for lighting devices with a single fitting for each light source, e.g. for substitution of incandescent lamps with bayonet or threaded fittings
- F21K9/232—Retrofit light sources for lighting devices with a single fitting for each light source, e.g. for substitution of incandescent lamps with bayonet or threaded fittings specially adapted for generating an essentially omnidirectional light distribution, e.g. with a glass bulb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05—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using magne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01—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the light sources being semiconductors devices, e.g. LEDs
- F21V19/003—Fastening of light source holders, e.g. of circuit boards or substrates holding light sourc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70—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 F21V29/74—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with fins or blad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70—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 F21V29/74—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with fins or blades
- F21V29/77—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with fins or blades with essentially identical diverging planar fins or blades, e.g. with fan-like or star-like cross-sec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70—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 F21V29/74—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with fins or blades
- F21V29/77—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with fins or blades with essentially identical diverging planar fins or blades, e.g. with fan-like or star-like cross-section
- F21V29/777—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with fins or blades with essentially identical diverging planar fins or blades, e.g. with fan-like or star-like cross-section the planes containing the fins or blades having directions perpendicular to the light emitting axi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00—Globes; Bowls; Cover glasses
- F21V3/02—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 H05B37/0218—
-
- H05B37/0272—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05B47/11—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by determining the brightness or colour temperature of ambient light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H05B47/19—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via wireless transmiss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5/00—Planar light sources
- F21Y2105/10—Planar light sources comprising a two-dimensional array of point-like light-generating eleme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개시는 광원; 광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그리고, 광원과 전원 공급부 사이에 구비되는 광투과부;를 포함하는 전구형 벌브(Electric Bulb)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구형 벌브(Electric Bulb)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조명을 구현하여 인테리어적 장식효과를 구현할 수 있는 전구형 벌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이디를 이용한 조명등은 적은 전력으로 고휘도의 조도 효과를 발휘하므로, 장식등 또는 실내 조명등과 같이 여러 용도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벌브(Bulb) 타입의 전구에도 엘이디를 적용시키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또한, 조명 기구를 단순히 조명용으로만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조명 기구를 이용하여 인테리어적 장식 효과를 얻고자 하는 노력이 지속되고 있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76789호 (2014.06.23, 발명의 명칭 : 모듈형 조명장치) 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조명을 구현할 수 있어 인테리어적인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전구형 벌브 및 이를 구비하는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장착이 용이하며, 교체가 용이한 전구형 벌브 및 이를 구비하는 조명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여기서는, 본 개시의 전체적인 요약(Summary)이 제공되며, 이것이 본 개시의 외연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된다(This section provides a general summary of the disclosure and is not a comprehensive disclosure of its full scope or all of its features).
본 개시에 따른 일 태양에 의하면(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광원; 광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그리고, 광원과 전원 공급부 사이에 구비되는 광투과부;를 포함하는 전구형 벌브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구형 벌브 및 이를 구비하는 조명장치는 전구형 벌브만으로도 간접조명을 구현할 수 있으며, 별도의 확산판 없이도 다양한 조명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발광부와 지지체가 인접하게 배치되어 방열효과를 높일 수 있고, 지지체가 외부로 직접적으로 노출될 수도 있으므로 방열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광원이 구비되는 발광부의 교체가 용이하여 다양한 조명을 구현할 수 있어 인테리어적인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발광부에 무선으로 전원공급이 가능하므로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광원의 조도를 조절할 수 있는 연동조절부가 구비되어 광원의 열에 의해 은은하게 온(ON) 되는 조명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무선통신부가 구비되어 인근의 단말기로부터 조명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어 광원의 온, 오프, 광원의 밝기 및 색온도 등을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구형 벌브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구형 벌브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구형 벌브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구형 벌브의 직접조명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구형 벌브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구형 벌브의 직접조명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전구형 벌브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전구형 벌브의 무선통신 동작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전구형 벌브를 구비하는 조명장치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구형 벌브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구형 벌브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구형 벌브의 직접조명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구형 벌브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구형 벌브의 직접조명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전구형 벌브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전구형 벌브의 무선통신 동작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전구형 벌브를 구비하는 조명장치를 보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구형 벌브 및 이를 구비하는 조명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구형 벌브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구형 벌브의 단면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구형 벌브(100)는 발광부(110), 전원 공급부(120), 지지체(130) 및 광투과부(14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구형 벌브는 형광등 벌브나, par30 램프 또는 mr16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발광부(110), 전원 공급부(120), 지지체(130) 및 광투과부(140)는 전구형 벌브(Electric Bubl)의 형태에 맞추어 그 구조가 변경될 수 있다.
발광부(110)에는 기판(112)에 복수개의 광원(114)이 실장될 수 있다. 기판(112)은 광원(114)이 장착되는 부분으로, 광원(114)을 기구적으로 지지하며, 기판(112)에는 광원(114)을 구동하기 위한 각종 회로 패턴 및 전자 부품들이 구비될 수 있다. 광원(114)은 전기 에너지를 빛 에너지로 변환하여 빛을 발생시키는 장치로서, 예를 들어 LED(Light Emitting Diode) 또는 OLED(Organic Emitting Diod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광원(114)을 구동하기 위한 부품이 전원 공급구(120)에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기판(112)은 메탈 PCB, COB, 연성회로기판 등의 형태일 수 있다, 광원(114)에 직접 전선을 통해 전원을 공급하는 경우 기판(112)이 생략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20)는 발광부(110)의 일측에 배치된다. 전원 공급부(120)는 구조물(예를 들어, 건물 실내의 벽, 바닥, 천장, 건물 외벽, 가구, 전시대, 테이블, 장식장, 패널 등) 또는 전선의 단부에 마련되는 모듈식 연결부(예를 들어, 리셉터클(Receptacle) 등)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발광부(110)에 전원을 공급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모듈식 연결부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리셉터클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전원 공급부가 플러그 형태나 핀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전원 공급부(120)의 외주면에는 전원 공급부(120)가 리셉터클과 나사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나사산(122)이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전원 공급부(120)와 발광부(110)는 제1전극전원연결부(124)와 제2전극전원연결부(126)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제1,2전극전원연결부(124,126)는 투명한 재질, 예를 들어 ITO를 이용한 투명전극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지지체(130)는 구조적으로 발광부(110)를 지지하며, 바람직하게는 발광부(110)의 타측에 배치되어 발광부(110)에 발생되는 열을 방열할 수 있도록 히트싱크로 기능한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체(130)는 발광부(110)에 밀착되어 열교환되고, 외부공기와의 접촉면적을 넓게 하기 위한 요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체(130)는 열교환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재질로 구성된다. 일 실시예로서, 지지체(130)의 일측은 발광부(110)에 접촉되고, 타측은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지지체(130)가 외부로 직접 노출될 경우 방열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지지체(130)의 외측에는 지지체(130)의 방열 효과를 더 높일 수 있는 방열촉진부 등이 더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부(110)가 지지체(130) 내에 안착되도록 배치함으로써, 지지체(130)를 광원(114)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지향각을 조절하는 반사컵으로 활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지지체(130)의 일 단에 광투과부(140)가 결합되며, 광원(114)은 일 단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다. 발광부(110)에서 방열이 크게 문제되지 않는 경우에, 지지체(130)는 단순히 지지체로 기능할 수 있고, 이 때 방열이 우수하지 않은 물질과 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생략될 수도 있다.
발광부(110)의 일측에는 발광부(110)와 전구형 벌브의 길이방향(전원공급부(120)에서 지지체(130)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격되게 광투과부(140)가 구비된다. 광투과부(140)는 발광부(110)와 전원 공급부(120) 사이에 구비되어 발광부(110)를 보호하고, 광원(114)에서 조사되는 광을 투과시킬 수 있다. 즉, 광투과부(140)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광원(114)에서 조사되는 광은 광투과부(140)를 통해 외부로 투과, 굴절, 확산되거나, 광투과부(140)에 의해 반사될 수도 있다.
광원(114)은 전원 공급부(120)와 마주하는 방향으로 배치되고, 광원(114)에서 조사되는 빛은 광투과부(140)를 통해 외부로 발광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전구형 벌브는 간접조명을 구현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20)와 발광부(110)는 제1,2전극전원연결부(124,126)에 의해 연결되어 외부전원으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으며, 발광부(110)의 이면에는 지지체(130)가 구비되어 광원(114)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열시킬 수 있고, 발광부(110)는 광투과부(140) 내부에 수용되어 보호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구형 벌브(100)는 직접조명 또는 간접조명을 선택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이는 발광부(110)와 지지체(130)의 위치를 변경시킴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즉, 광투과부(140)와 지지체(130)가 지지체(130)의 일 단 측에 구비된 힌지부(147)에 의해 힌지연결되어 힌지부(147)를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어 지지체(130)가 전원 공급부(120) 측으로 배치되고, 발광부(110)가 하부로 배치되어 원하는 위치를 직접 조명할 수도 있다. 이때, 전원을 연결하는 제1,2전극전원연결부(124,126)는 전원공급이 원활하게 되도록 다소 길게 형성되거나, 길이가 늘어나도록 연성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구형 벌브(100)가 발광부(110)와, 전원 공급부(120)와, 지지체(130) 및 광투과부(140)를 포함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발광부(110)와, 전원 공급부(120) 및 광투과부(140)만을 구비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구형 벌브를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제1실시예와 구성 및 작용이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로 인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구형 벌브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구형 벌브의 직접조명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구형 벌브(100)는 전원 공급부(120)에서 발광부(110)와 지지체(130)가 착탈 가능한 구조를 지닌다. 이는 발광부(110)와 지지체(130)의 교체가 용이하여 유지보수는 물론, 발광부(110)와 지지체(130)를 유닛화하여 교체에 의한 다양한 조명을 구현할 수 있다.
광투과부(140)에 구비되는 제1결합부(150) 및 발광부(110)와 지지체(1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제2결합부(152)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제2결합부(152)는 광원(114)이 전원 공급부(120) 측으로 발광하게 배치되도록 제1결합부(150)에 결합되는 제1결합부재(154) 및 지지체(130)가 전원 공급부(120) 측으로 배치되도록 제1결합부(150)에 결합되는 제2결합부재(156)를 포함한다.
제1결합부재(154)와 제2결합부재(156)는 자력에 의해 결합된다. 보다 자세하게 제1결합부(150)와 제2결합부(15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자성체이고, 다른 하나는 자성체에 부착되는 물질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2결합부(150,152)는 자력에 의해 착탈 가능하도록 상호 대응되는 자성체 및 자성체가 부착될 수 있는 금속으로 구성된다. 예를 들면, 제1결합부(150)를 금속으로 구성하고, 제2결합부(152)는 자성체로 구성하여 자력에 의해 발광부(110)와 지지체(130)를 광투과부(140)로부터 탈부착할 수 있다. 또한, 제1결합부(150) 및 제2결합부(152)는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자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2결합부(150,152)를 분리하여 뒤집은 다음 제1,2결합부(150,152)를 다시 부착시켜 사용할 경우 전구형 벌브(100)를 직접조명으로 활용할 수 있다.
즉,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결합부(150)에 제2결합부(152) 중 제1결합부재(154)가 부착된 상태는 광원(114)이 전원 공급부(120)와 마주한 상태이므로 간접조명이 가능하고,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결합부(150)와 제1결합부재(154)를 분리하고 뒤집은 후 제1결합부(150)에 제2결합부재(156)를 부착시키면 광원(114)이 외부로 노출되어 직접조명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전원 공급부(120)에는 무선전원공급부(162)가 구비되고, 발광부(110)에는 무선전원수신부(164)가 구비되어 상호 무선으로 전원공급이 가능하다. 무선방식에 의한 에너지 전달 방식은 전자기 유도 이외에 공진 및 단파장 무선 주파수를 이용한 원거리 송신 기술 등이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구형 벌브를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제1,2실시예와 구성 및 작용이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로 인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구형 벌브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구형 벌브의 직접조명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전원 공급부(120)로부터 발광부(110)가 착탈 가능함과 동시에 전원연결이 가능한 구조를 지닌다.
광투과부(140)의 양측 단부에는 제1결합부(150)가 각각 구비된다. 전원 공급부(120)의 제1전극전원연결부(124)는 일측 제1결합부(150)에 연결되고, 제2전극전원연결부(126)는 타측 제1결합부(15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제1결합부(150)는 자석 또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전극전원연결부(124) 및 발광부(110)는 제1도체(172)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전극전원연결부(126) 및 발광부(110)는 제2도체(174)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즉, 제1도체(172)는 발광부(1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제1결합부(150)와 전기적으로 접촉되고, 제2도체(174)는 발광부(110)의 타측에 구비되어 제1결합부(150)와 전기적으로 접촉된다. 그리고, 제1도체(172)와 제2도체(174) 사이에는 절연부(175)가 구비된다. 이때, 제1결합부(150)와 제1,2도체(172,174)의 접촉부위에는 자성이 도포되어 있어 자력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2도체(172,174)는 제2결합부로도 기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2도체(172,174)와 절연부(175)가 지지체를 구성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광투과부(140)와 발광부(110)의 착탈은 물론, 전원 공급부(120)와 발광부(110)의 전기적 연결이 동시에 가능하다. 제1,2전극전원연결부(124,12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결합부(150)가 제1,2도체(172,174)에 의해 결합되고, 전원은 제1,2도체(172,174)를 통해 발광부(110)에 공급될 수 있다.
제1,2도체(172,174)는 바타입으로 형성되어 하부로 연장되므로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114)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뒤집어, 제1,2도체(172,174)의 하부 또한 제1결합부(150)에 부착될 수 있어 직접 조명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제1도체 및 제2도체는 자석(Magnet)의 원리를 이용해 전원을 공급하는 방식으로 기존의 와이어 결속 혹은 커넥터 전원 연결방식과 비교할 때, 탈부착 및 시공이 용이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1결합부(150)를 통해 제1,2전극전원연결부(124)와 발광부(110)가 전기적으로 연결하였으나, 제1결합부(150)가 생략되고 제1,2전극전원연결부(124)와 발광부(110)가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전구형 벌브를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제1,2실시예와 구성 및 작용이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로 인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전구형 벌브의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구형 벌브(100)는 적어도 일부분이 발광부(110)와 전원 공급부(120) 사이에 배치되어 광원(114)의 열에 연동되어 광원(114)의 조도를 조절하는 연동조절부(200)를 더 포함한다.
연동조절부(200)는 광투과부(140)의 외측에 구비되며, 광원(114)의 열에 연동되어 형태가 변하는 형상기억합금을 포함한다. 형상기억합금은 광원(114)의 점등 여부에 따라 제1형태 및 제2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가 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최초 광투과부(140)의 전면을 커버하는 형태(1형태)로 있다가, 전원인가로 인한 광원(114)의 점등시 광원(114)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점차적으로 줄어드는 형태(제2형태)가 될 수 있다. 또한, 광원(114)이 점멸되면 열이 식게 되므로 형상기억합금이 다시 최초 형태(1형태)로 되돌아갈 수 있다. 따라서, 광원(114)의 점등에 의해 조명이 은은하게 온(ON)되도록 제어되는 조명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연동조절부(200)가 광투과부(140)의 외형을 따라 늘어나고 줄어드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연동조절부(200)가 복수 개로 이루어져 꽃잎처럼 펼쳐지고 오므라지는 형태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전구형 벌브를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제1,2실시예와 구성 및 작용이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로 인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전구형 벌브의 무선통신 동작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구형 벌브(100)는 무선통신부(30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무선통신부(300)는 비콘(Beacon)일 수 있다. 무선통신부(300)는 휴대 단말기(400)와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통신부(300)는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지그비(Zigbee),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UWB(Ultra Wide Band)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무선통신부(300)는 휴대 단말기(400)로부터 전구형 벌브(100)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전구형 벌브(100)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는 디밍 신호 및 DMX(Digital Multiplex)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여기서, 휴대 단말기(400)는 전구형 벌브(100)를 제어하기 위한 리모컨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휴대 단말기(400)는 전구형 벌브(100)를 제어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모바일 컴퓨팅 장치(예를 들어, 스마트폰, 테블릿, 웨어러블 기기, 노트북 등)일 수 있다. 전구형 벌브(100)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전송하는 단말기(400)는 휴대 가능한 단말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구형 벌브를 갖는 조명장치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구형 벌브를 구비하는 조명장치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는 전구형 벌브(100) 및 전구형 벌브(1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510)를 포함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구형 벌브(100)의 자세한 설명은 상술한 것으로 대신한다.
전원공급부(510)는 전구형 벌브(100)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서, 전구형 벌브(100)의 전원 공급부(120)가 나사 결합되는 리셉터클로 구성된다.
전원공급부(510)의 외측에는 반사판부(520)가 구비된다. 반사판부(520)는 발광부(110)의 상부에 구비되고, 내부가 상부로 만곡된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반사판부(520)의 내면에는 광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미러코팅층이 형성될 수도 있다.
전구형 벌브(100)와 전원공급부(510) 사이에는 전원공급부(510)와, 전구형 벌브(100)의 거리를 가변시키는 길이가변부(530)가 더 구비된다. 길이가변부(530)는 다단의 중공관(532)으로 형성되어 길이가 가변되고, 고정부재(534)에 의해 고정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일단은 전원공급부(5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은 전원 공급부(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로 인해 전구형 벌브(100)의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다.
*이하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1) 광원; 광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그리고, 광원과 전원 공급부 사이에 구비되는 광투과부;를 포함하는 전구형 벌브.
(2) 광원이 구비되는 기판;을 포함하는 전구형 벌브.
(3) 광원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출하는 지지체;를 포함하는 전구형 벌브.
(4) 광원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출하는 지지체;를 포함하고, 광원은 광투과부로터 이격되도록 지지체 내에 구비되는 전구형 벌브.
(5) 광원에서 발생되는 광의 조사 방향을 변경할 수 있도록 광원이 광투과부에 대해 결합되는 전구형 벌브.
(6) 광원은 힌지결합에 의해 광투과부에 대해 움직일 수 있는 전구형 벌브.
(7) 광원은 자력에 의해 광투과부와 결합되는 전구형 벌브.
(8) 광원은 광원에서 발생되는 광의 조사 방향을 변경할 수 있도록 자력을 이용하여 광투과부에 대해 결합되는 전구형 벌브.
(9) 광원은 광투과부로부터 전구형 벌브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는 전구형 벌브. 광원이 광투과부로부터 이격되는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전구형 벌브의 지향각을 변경할 수 있게 된다. 다른 한편으로, 광원을 전구형 벌브 외부로 보이지 않게 구성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10) 전원 공급부로부터 광원으로 전원이 무선으로 공급되는 전구형 벌브.
(11) 광원 측에, 광원에서 발생되는 광의 조사 방향을 변경에 관계없이 무선으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무선전원수신부;를 포함하는 전구형 벌브.
(12) 전원 공급부로부터 광원으로 전원이 와이어링(wiring)을 통해 공급되는 전구형 벌브. 와이어링은 전선으로 형성되거나, 광투과부(140)에 인쇄될 수 도 있다.
(13) 와이어링이 전원 공급부로부터 광원까지 이어져 있는 전구형 벌브.
(14) 와이어링이 전원 공급부로부터 광투과부까지 형성되어 있는 전구형 벌브.
(15) 광투과부에 구비되며, 광원에서 발생하는 열에 연동하여 조도를 조절하는 연동조절부;를 포함하는 전구형 벌브.
(16) 광원은 지지체가 형성하는 반사컵 내에 배치되는 전구형 벌브.
(17) 광투과부에 제1결합부가 구비되며, 지지체에 제2결합부가 구비되고, 제1결합부 및 제2결합부를 통해 전원 공급부와 광원이 통전되는 전구형 벌브.
(18) 지지체는 광원과 전기적으로 연통하는 제1,2도체 및 제1,2도체 사이에서 이들을 전기적으로 절연하는 절연체를 포함하는 전구형 벌브.
(19) 광투과부에 제1결합부가 구비되며, 지지체에 제2결합부가 구비되고,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가 자력에 의해 결합되는 전구형 벌브.
(20) 광원에서 발생되는 광의 조사 방향을 변경할 수 있도록 광원이 광투과부에 대해 결합되며, 전구형 벌브는 광투과부와 지지체가 결합되는 지점을 통해 전원 공급부와 광원이 통전되도록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를 구비하는 전구형 벌브.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구형 벌브 및 이를 구비하는 조명장치에 의하면, 광원이 구비되는 발광부의 교체가 용이하여 직접조명, 간접조명 변경이 가능하고, 또 다른 발광부를 장착할 수 있어 다양한 조명으로 변경할 수 있어 인테리어적인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고, 발광부에 무선으로 전원공급이 가능하므로 편의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본 발명은 무선통신부가 구비되어 인근의 단말기로부터 조명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어 광원의 온,오프, 광원의 밝기 및 색온도 등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전구형 벌브
110: 발광부
120: 전원 공급부 130: 지지체
140: 광투과부
120: 전원 공급부 130: 지지체
140: 광투과부
Claims (20)
- 광원;
광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그리고,
광원과 전원 공급부 사이에 구비되는 광투과부;를 포함하는 전구형 벌브. - 청구항 1에 있어서,
광원이 구비되는 기판;을 포함하는 전구형 벌브. - 청구항 1에 있어서,
광원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출하는 지지체;를 포함하는 전구형 벌브. - 청구항 1에 있어서,
광원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출하는 지지체;를 포함하고,
광원은 광투과부로터 이격되도록 지지체 내에 구비되는 전구형 벌브. - 청구항 1에 있어서,
광원에서 발생되는 광의 조사 방향을 변경할 수 있도록 광원이 광투과부에 대해 결합되는 전구형 벌브. - 청구항 5에 있어서,
광원은 힌지결합에 의해 광투과부에 대해 움직일 수 있는 전구형 벌브. - 청구항 1에 있어서,
광원은 자력에 의해 광투과부와 결합되는 전구형 벌브. - 청구항 1에 있어서,
광원은 광원에서 발생되는 광의 조사 방향을 변경할 수 있도록 자력을 이용하여 광투과부에 대해 결합되는 전구형 벌브. - 청구항 1에 있어서,
광원은 광투과부로부터 전구형 벌브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는 전구형 벌브. - 청구항 1에 있어서,
전원 공급부로부터 광원으로 전원이 무선으로 공급되는 전구형 벌브. - 청구항 5에 있어서,
광원 측에, 광원에서 발생되는 광의 조사 방향의 변경에 관계없이 무선으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무선전원수신부;를 포함하는 전구형 벌브. - 청구항 1에 있어서,
전원 공급부로부터 광원으로 전원이 와이어링(wiring)을 통해 공급되는 전구형 벌브. - 청구항 12에 있어서,
와이어링이 전원 공급부로부터 광원까지 이어져 있는 전구형 벌브. - 청구항 12에 있어서,
와이어링이 전원 공급부로부터 광투과부까지 형성되어 있는 전구형 벌브. - 청구항 1에 있어서,
광투과부에 구비되며, 광원에서 발생하는 열에 연동하여 조도를 조절하는 연동조절부;를 포함하는 전구형 벌브. - 청구항 4에 있어서,
광원은 지지체가 형성하는 반사컵 내에 배치되는 전구형 벌브. - 청구항 1에 있어서,
광투과부에 제1결합부가 구비되며,
지지체에 제2결합부가 구비되고,
제1결합부 및 제2결합부를 통해 전원 공급부와 광원이 통전되는 전구형 벌브. - 청구항 1에 있어서,
지지체는 광원과 전기적으로 연통하는 제1,2도체 및 제1,2도체 사이에서 이들을 전기적으로 절연하는 절연체를 포함하는 전구형 벌브. - 청구항 1에 있어서,
광투과부에 제1결합부가 구비되며,
지지체에 제2결합부가 구비되고,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가 자력에 의해 결합되는 전구형 벌브. - 청구항 1에 있어서,
광원에서 발생되는 광의 조사 방향을 변경할 수 있도록 광원이 광투과부에 대해 결합되며,
전구형 벌브는 광투과부와 지지체가 결합되는 지점을 통해 전원 공급부와 광원이 통전되도록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를 구비하는 전구형 벌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20783 | 2015-08-27 | ||
KR20150120783 | 2015-08-27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27287A true KR20170027287A (ko) | 2017-03-09 |
Family
ID=58100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08813A Withdrawn KR20170027287A (ko) | 2015-08-27 | 2016-08-26 | 전구형 벌브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20170027287A (ko) |
WO (1) | WO2017034366A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85836Y1 (ko) * | 2017-06-20 | 2018-03-02 | (주)미래솔라엘이디 | 자석 부착형 조명등 |
KR20180109333A (ko) * | 2017-03-27 | 2018-10-08 | 김범식 | 채널간판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126951A (ko) * | 2008-06-05 | 2009-12-09 | 주식회사 루미시스 | 엘이디 조명장치 |
US8653723B2 (en) * | 2009-02-17 | 2014-02-18 | Cao Group, Inc. | LED light bulbs for space lighting |
KR101758188B1 (ko) * | 2009-06-10 | 2017-07-14 | 렌슬러 폴리테크닉 인스티튜트 | 고체 상태 광원 전구 |
KR101157633B1 (ko) * | 2010-10-05 | 2012-06-18 | 주식회사 필룩스 | 조명등기구 |
JP5816847B2 (ja) * | 2011-05-23 | 2015-11-18 |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 電球形ランプ及び照明装置 |
-
2016
- 2016-08-26 KR KR1020160108813A patent/KR20170027287A/ko not_active Withdrawn
- 2016-08-26 WO PCT/KR2016/009504 patent/WO2017034366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109333A (ko) * | 2017-03-27 | 2018-10-08 | 김범식 | 채널간판 |
KR200485836Y1 (ko) * | 2017-06-20 | 2018-03-02 | (주)미래솔라엘이디 | 자석 부착형 조명등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7034366A1 (ko) | 2017-03-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3215783B1 (en) | Solid-state lamps with electronically adjustable light beam distribution | |
US9374854B2 (en) | Lighting techniques utilizing solid-state lamps with electronically adjustable light beam distribution | |
US9464772B2 (en) | Ambient directional combination light fixture | |
US9404646B2 (en) | Lighting system with angled LED arrays | |
US20150153037A1 (en) | Combination led lamp and speakerphone assembly | |
CN103797641B (zh) | 具有射频天线的照明设备 | |
WO2018052737A1 (en) | Solid state lighting device with electronically adjustable light beam distribution | |
US11959598B2 (en) | Ceiling illumination | |
JP6731501B2 (ja) | 無線通信アンテナを有する固体照明デバイス | |
JP2010282841A (ja) | 照明装置 | |
JP6484886B2 (ja) | 照明器具 | |
JP2013200949A (ja) | 照明装置および照明器具 | |
KR101179570B1 (ko) | Led 조명장치 | |
KR20170027287A (ko) | 전구형 벌브 | |
US20130058083A1 (en) | Lighting apparatus | |
KR101347718B1 (ko) | 색온도, 색상 및 밝기 조절이 가능한 조명 시스템 | |
KR101617293B1 (ko) | 조명기기 | |
JP2012009315A (ja) | Led照明灯及びこれを内蔵した照明器具 | |
KR101882938B1 (ko) | 조명장치 및 조명모듈 | |
CN204993994U (zh) | 照明器具 | |
JP2015181124A (ja) | 照明装置 | |
JP5463431B2 (ja) | 照明装置 | |
JP2018022702A (ja) | 照明装置 | |
JP2024056555A (ja) | 照明装置及び無線給電システム | |
KR100935991B1 (ko) | Led 패키지를 이용한 조명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826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