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70025793A - Dispenser for hot and cool drink - Google Patents

Dispenser for hot and cool drin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5793A
KR20170025793A KR1020150122752A KR20150122752A KR20170025793A KR 20170025793 A KR20170025793 A KR 20170025793A KR 1020150122752 A KR1020150122752 A KR 1020150122752A KR 20150122752 A KR20150122752 A KR 20150122752A KR 20170025793 A KR20170025793 A KR 201700257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ntrol
beverage
storage tank
beverage storag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275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서경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엘.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엘.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엘.아이
Priority to KR10201501227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25793A/en
Publication of KR20170025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5793A/en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78Safety, warning or controll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03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 B67D1/0004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the beverage being stored in a container, e.g. bottle, cartridge, bag-in-box, bow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57Cool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95Heat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0Pump mechanis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온음료 공급기의 초기 급수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음료 저장용기로부터 온음료 저장탱크 및 냉음료 저장탱크가 최초로 음료를 공급받음에 있어서 온음료 저장탱크 및 냉음료 저장탱크의 내부의 공기층이 형성하고 있는 기압의 정도를 해소하여 음료의 상태 개선을 위해 마련된 밀폐형 구조의 냉온음료 공급기 상에도 원활한 급수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마련되어, 초기 급수에 대한 제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itial water supply control system for a cold / hot beverage dispenser, wherein an air layer inside a hot beverage storage tank and a cold beverage storage tank, when the beverage storage tank and the cold beverage storage tank are first supplied with beverage,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smooth water supply control even on a cold / hot beverage supply system of a closed structure provided for solving the state of beverage by eliminating the degree of atmospheric pressure that is formed, and can perform a control function for the initial water supply.

Description

냉온음료 공급기{DISPENSER FOR HOT AND COOL DRINK}DISPENSER FOR HOT AND COOL DRINK [0002]

본 발명은 냉온음료 공급기의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 system for a cold beverage dispenser.

별도의 음료 공급 라인을 통해 공급되는 음료를 정수하여 가열 및 냉각을 통해 온음료와 냉음료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정수기와 달리, 정수된 음료가 저장되어진 음료 저장용기를 이용해 이로부터 음료를 토출하여 가열 및 냉각을 통해 온음료와 냉음료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냉온음료 공급기의 경우, 음료 저장용기로부터 토출된 물이 냉온음료 공급기 내부 각각의 저장탱크로 배관을 통해 이동하기 위해서는 내부 기압에 대한 조절이 요구되어진다.Unlike a water purifier, which purifies a beverage supplied through a separate beverage supply line and generates and provides hot and cold beverages through heating and cooling, a beverage storage container in which purified beverage is stored is used to discharge a beverage In the case of a cold beverage dispenser that generates hot beverages and cold beverages through heating and cooling and provides them to a user, in order for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beverage storage container to move through the pipe to the respective storage tanks inside the hot beverage dispenser, It is required to be adjusted.

다시 말해, 최초 냉온음료 공급기에 음료 저장용기를 설치하고 이로부터 음료를 토출하는 경우, 온음료 저장탱크 및 냉음료 저장탱크의 내부의 공기층은 일정 수준의 기압을 형성하고 있고 음료 저장용기 내부의 음료가 온음료 저장탱크 및 냉음료 저장탱크의 내부로 이동함에 있어서는 이러한 내부 공기층이 형성하고 있는 기압의 해소가 연동되어진다.In other words, when the beverage storage container is installed in the first cold / hot beverage dispenser and the beverage is dispensed therefrom, the air layer inside the warm beverage storage tank and the cold beverage storage tank forms a certain level of air pressure, When moving to the inside of the hot beverage storage tank and the cold beverage storage tank, the release of the atmospheric pressure formed by the inner air layer is interlocked.

이를 위해 기존의 냉온수기의 경우 내부 배관 및 각종 장치의 연결 구조 상에 외부 환경으로 노출되어진 부분이 형성되게 되고, 이와 관련된 종래기술에 대한 선행문헌에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82023호의 "냉온수기"(이하, '종래기술'이라고 함)이 있다.For this purpose, in a conventional cold / hot water heater, a portion exposed to the external environment is formed on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internal piping and various devices. Prior art documents related to the related art include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15-0082023 entitled " (Hereinafter referred to as " prior art ").

하지만 종래기술을 비롯한 기존의 냉온음료 공급기의 경우, 음료의 저장 탱크 내부로의 이동을 위한 내부 기압차의 극복을 가능하게 하는 내부 배관 및 각종 장치의 연결 구조 상의 개방 부분은 외부로부터 냉온수기 내부로의 공기를 비롯한 이물질의 유입을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cold / hot drink dispenser including the conventional technology, the inner pipe and the open part on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various devices, which enable the overcoming of the internal air pressure difference for moving the beverage into the storage tank, There is a problem that foreign matter such as air can be introduced.

따라서 내부에 저장되어진 음료의 수질 및 각종 기능의 작동 효율성을 고려하여, 내부 배관 및 각종 장치의 연결 구조 상의 개방 부분을 없애고 밀폐형 내부 구조를 갖춘 냉온음료 공급기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밀폐형 내부 구조를 갖춘 냉온음료 공급기의 경우, 음료가 온음료 저장탱크 및 냉음료 저장탱크의 내부의 공기층이 형성하고 있는 기압의 정도를 해소하여 음료 저장용기로부터 효과적으로 음료를 공급받기 위한 초기 급수 제어시스템의 구축이 요구되어지고 있는 실정이다.Accordingly, in consideration of the water quality and the operation efficiency of the various functions stored in the interior, there has been developed a cold and hot beverage dispenser having a closed internal structure by eliminating the open portion in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internal piping and various devices. The establishment of an initial water supply control system for relieving the degree of atmospheric pressure formed by the air layer inside the beverage storage tank and the cold beverage storage tank to effectively supply the beverage from the beverage storage container It is a fact that is being demanded.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음료 저장용기로부터 온음료 저장탱크 및 냉음료 저장탱크가 최초로 음료를 공급받음에 있어서 온음료 저장탱크 및 냉음료 저장탱크의 내부의 공기층이 형성하고 있는 기압의 정도를 해소하여 음료의 상태 개선을 위해 마련된 밀폐형 구조의 냉온음료 공급기 상에도 원활한 급수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everage storage tank and a cold beverage storage tank,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echnique capable of smooth water supply control even on a cold beverage dispenser of a closed structure provided for improving the state of beverage by eliminating the degree of atmospheric pressure formed by the inner air laye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냉온음료 공급기의 초기 급수 제어시스템은, 음료 저장용기로부터 유입되는 음료를 가열하여 저장하며, 상측에 연결되어 배기 경로를 이루는 배기관부 및 상기 배기관부에 설치되는 배기용 밸브를 포함하는 온음료 저장탱크; 음료 저장용기로부터 유입되는 음료를 냉각하여 저장하는 냉음료 저장탱크; 상기 온음료 저장탱크 및 냉음료 저장탱크에 저장된 음료를 외부로 취수하기 위해 마련된 취수 코크; 상기 음료 저장용기, 온음료 저장탱크, 냉음료 저장탱크 및 취수 코크를 상호 연결하여 음료의 순환을 위한 내부 유로를 이루는 순환 배관; 상기 순환 배관를 이루는 일부 배관부에 설치되는 밸브유닛; 상기 순환 배관 중 상기 온음료 저장탱크에 연결되어지는 배관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온음료가 상기 순환 배관 내 유로를 순환하도록 가압하는 순환펌프부; 및 상기 밸브유닛 및 순환펌프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유닛은, 제어명령신호를 입력받는 명령신호 수신부; 상기 명령신호 수신부로 입력된 제어명령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온음료 저장탱크, 냉음료 저장탱크 및 순환 배관 내 공기층이 상기 배기관부를 통해 외부로 배기되도록 상기 배기용 밸브, 밸브유닛 및 순환펌프부의 작동 상태를 조절하는 제1제어부; 및 상기 명령신호 수신부로 입력된 제어명령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온음료 저장탱크, 냉음료 저장탱크 및 순환 배관 내 공기층이 상기 취수 코크를 통해 외부로 배기되도록 상기 밸브유닛 및 순환펌프부의 상태를 조절하는 제2제어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an initial water supply control system of a cold beverage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xhaust pipe unit for heating and storing a beverage introduced from a beverage storage container and connected to an upper side to form an exhaust path; A hot beverage storage tank including an exhaust valve; A cold beverage storage tank for cooling and storing the beverage introduced from the beverage storage container; A water intake cock provided for taking the beverage stored in the hot beverage storage tank and the cold beverage storage tank to the outside; A circulation pipe for interconnecting the beverage storage container, the hot beverage storage tank, the cold beverage storage tank, and the intake coke to form an internal flow path for circulation of beverage; A valve unit installed in a part of the piping constituting the circulation pipe; A circulation pump unit that pressurizes the beverage, which is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piping unit connected to the hot beverage storage tank, in the circulation pipe so as to circulate through the circulation pipe;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operations of the valve unit and the circulation pump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comprises: a command signal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 control command signal; The operation state of the exhaust valve, the valve unit, and the circulation pump unit such that the hot beverage storage tank, the cold beverage storage tank, and the air layer in the circulation pipe are exhausted to the outside based on the control command signal input to the command signal receiving unit, A first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first control unit;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state of the valve unit and the circulation pump unit so that the hot beverage storage tank, the cold beverage storage tank, and the air layer in the circulation pipe are exhausted to the outside based on the control command signal input to the command signal receiving unit, 2 control unit.

여기서, 상기 순환 배관은,음료 저장용기의 일측을 관통하여 내부에 저장된 음료가 토출될 수 있도록 일단에 니들 구조가 형성된 니들 배관, 상기 니들 배관의 타단으로부터 양측으로 분기된 제1분기배관 및 제2분기배관으로 이루어진 3방향 배관부; 상기 제1분기배관과 상기 온음료 저장탱크를 연결하는 제1배관부; 및 상기 제1배관부 일측과 상기 냉음료 저장탱크를 연결하는 제2배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제어부 또는 제2제어부는 상기 온음료 저장탱크, 냉음료 저장탱크 및 순환 배관 내 공기층을 외부로 배기시켜 음료 저장용기로부터 상기 니들 배관 내부로 토출되어진 음료가 상기 제1배관부 및 상기 제2배관부를 통해 상기 온음료 저장탱크 및 냉음료 저장탱크로 유입되도록 한다.Here, the circulation pipe includes a needle pipe having a needle structure formed at one end thereof so that beverage can be discharged through one side of the beverage storage container, a first branch pipe branched to both sides from the other end of the needle pipe, A three-way piping section comprising a branch piping; A first pipe portion connecting the first branch pipe and the hot beverage storage tank; And a second piping part connecting one side of the first piping part and the cold beverage storage tank, wherein the first control part or the second control part controls the hot beverage storage tank, the cold beverage storage tank, and the air layer in the circulation pipe So that the beverage discharged from the beverage storage container into the needle pipe is introduced into the hot beverage storage tank and the cold beverage storage tank through the first pipe portion and the second pipe portion.

아울러, 상기 순환 배관은, 상기 제2분기배관과 상기 온음료 저장탱크를 연결하는 제3배관부; 상기 제3배관부 일측과 상기 냉음료 저장탱크를 연결하는 제4배관부; 상기 온음료 저장탱크와 상기 취수 코크를 연결하는 제5배관부; 및 상기 제4배관부의 일측과 상기 취수 코크를 연결하는 제6배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밸브유닛은, 상기 제3배관부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1밸브부; 상기 제4배관부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2밸브부; 상기 제5배관부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3밸브부; 및 상기 제6배관부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4밸브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순환펌브부는 상기 제1배관부에 설치된다. In addition, the circulation pipe may include: a third pipe portion connecting the second branch pipe and the hot beverage storage tank; A fourth piping section connecting one side of the third piping section and the cold beverage storage tank; A fifth pipe connecting the hot beverage storage tank and the water intake cock; And a sixth piping part connecting one side of the fourth piping part and the intake cock, wherein the valve unit comprises: a first valve part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third piping part; A second valve unit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fourth piping unit; A third valve unit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fifth piping unit; And a fourth valve unit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sixth piping unit, wherein the circulation pump unit is installed in the first piping unit.

여기서, 상기 제1제어부는, 상기 배기용 밸브를 소정의 시간동안 개방시키는 제1제어부분; 및 상기 제1밸브부 및 제2밸브부를 소정의 시간동안 개방시킴과 동시에 상기 순환펌프부를 소정의 시간동안 작동시키는 제1동작을 수행 후, 상기 배기용 밸브를 소정의 시간동안 개방시키는 제2동작을 수행하는 제2제어부분;을 포함한다.Here, the first control section may include: a first control section for opening the exhaust valve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a second operation for opening the exhaust valve for a predetermined time after performing the first operation of opening the first valve portion and the second valve portion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operating the circulation pump portion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a second control section for performing the second control section.

아울러, 상기 제1제어부는 상기 명령신호 수신부로 입력된 제어명령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제1제어부분을 통해 선 제어를 수행하고, 상기 제1제어부분에 대한 선 제어 완료 시점으로부터 소정의 시간의 경과 후 상기 제2제어부분을 통해 제어를 수행한다.The first control unit performs line control through the first control unit on the basis of the control command signal input to the command signal receiving unit and controls the passage of a predetermined time from the completion time of the line control for the first control unit And then performs control through the second control portion.

또한,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제4밸브부를 소정의 시간동안 개방시키는 제3제어부분; 및 상기 제2밸브부 및 제4밸브부를 소정의 시간동안 개방시키는 제4제어부분;을 포함한다.The second control unit may include: a third control unit for opening the fourth valve unit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a fourth control portion for opening the second valve portion and the fourth valve portion for a predetermined time.

여기서,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명령신호 수신부로 입력된 제어명령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제3제어부분을 통해 선 제어를 수행하고, 상기 제3제어부분에 대한 선 제어 완료 시점으로부터 소정의 시간의 경과 후 상기 제4제어부분을 통해 제어를 수행한다.Here, the second control unit may perform line control through the third control unit based on the control command signal input to the command signal receiving unit, and may control the passage of a predetermined time from the completion of the line control for the third control unit And then performs control through the fourth control section.

그리고 냉온음료 공급기의 초기 급수 제어시스템은, 상기 3방향 배관부를 승강시키기 위한 니들승강장치; 상기 온음료 저장탱크 내 음료를 가열하여 온음료를 생성하는 가열모듈; 및 상기 냉음료 저장탱크 내 음료를 냉각하여 냉음료를 생성하는 냉각모듈;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니들승강장치의 작동상태를 제어하는 니들 제어부; 및 상기 가열모듈 및 냉각모듈의 전원 인가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명령신호 수신부는 상기 니들 승강장치의 동작에 대한 각종 제어 명령신호를 입력받으며, 상기 니들 제어부는 상기 명령신호 수신부를 통해 상기 3방향 배관부에 대한 하강 명령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니들 승강장치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3방향 배관부를 하강 이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제1제어부 및 제2제어부의 동작을 비활성화시킨다.The initial water supply control system of the cold / hot beverage dispenser includes a needle elevating device for elevating the three-way pipe portion; A heating module for heating the beverage in the hot beverage storage tank to produce a hot beverage; And a cooling module for cooling the beverage in the cold beverage storage tank to produce a cold beverage, wherein the control unit comprises: a needl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needle lift apparatus; And a sensing unit for sensing a power application state of the heating module and the cooling module, wherein the command signal receiving unit receives various control command signals for operation of the needle lifting device, and the needle control unit receives the command signal, Direction piping unit, the operation of the needle lift device is controlled to move the three-way pipe unit downward, and at the same time, the operations of the first control unit and the second control unit are deactivated.

여기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가열모듈 및 냉각모듈의 전원 인가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가열모듈 및 냉각모듈 중 적어도 하나에 전원이 인가되어짐이 감지될 경우, 상기 제1제어부 및 제2제어부의 제어동작을 비활성화시킨다.Here, the sensing unit senses the power application state of the heating module and the cooling module, and when the power is applied to at least one of the heating module and the cooling module, the control unit performs a control operation of the first control unit and the second control unit Deactivated.

한편, 상기 감지부는 실시예에 따라 상기 가열모듈의 전원 인가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가열모듈에 전원이 인가되어짐이 감지될 경우, 상기 명령신호 수신부로 제어명령신호가 미입력된 상태에서도 상기 제1제어부 및 제2제어부의 제어동작을 활성화시킨다.In the meantime, the sensing unit detects the power application state of the heating modu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nd when the power is applied to the heating module, even if the control command signal is not inputted to the command signal receiving unit, And the control operation of the second control unit.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음료의 수질 및 이동 상태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공기층의 내부 배관구조 및 저장탱크 내부로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해 밀폐형 패쇄구조를 갖춘 냉온음료 공기에 음료 저장용기를 연결시켜 음료를 공급받음에 있어서, 저장탱크 내부의 기압에 대한 극복을 통해 원활한 급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냉온음료 공급기의 초기 급수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First, in order to prevent the inflow of the internal piping structure of the air layer and the inflow into the storage tank, which can affect the water quality and the movement state of the beverage, a beverage container is connected to the cold and hot beverage air having a closed- Therefore, the initial water supply state of the cold / hot drink dispenser can be controlled so that the water supply can be smoothly achieved by overcoming the air pressure inside the storage tank.

둘째, 상이한 제어 방식으로 온음료 저장탱크 내부 및 주변의 공기층을 배기시키는 제1제어부분 및 제2부분을 통해 효과적인 배기 및 초기 급수에 대한 제어가 이루어 질 수 있다.Second, control of effective exhaust and initial water supply can be achieved through the first control part and the second part that exhaust the air layer inside and around the warm beverage storage tank with different control methods.

셋째, 상이한 제어 방식으로 냉음료 저장탱크 내부 및 주변의 공기층을 배기시키는 제3제어부분 및 제4부분을 통해 효과적인 배기 및 초기 급수에 대한 제어가 이루어 질 수 있다.Thirdly, effective control of exhaust and initial water supply can be achieved through the third control part and the fourth part that exhaust the air layer inside and around the cold beverage storage tank with different control methods.

넷째, 3방향 배관부의 승강 상태 및 가열모듈과 냉각모듈의 전원 인가 상태에 따라 제1제어부 및 제2제어부의 제어 상태에 대한 활성화 여부가 달라짐에 따라효율적인 배기 및 초기 급수에 대한 제어가 이루어 질 수 있으며, 무조건적인 초기 급수 제어에 의해 사용자 또는 냉온음료 공급기 자체에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들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Fourth, according to the activation state of the control states of the first control unit and the second control unit depending on the lifting state of the three-way piping unit and the power application state of the heating module and the cooling module, efficient exhaust and initial water supply can be controlled And the problems that may occur in the user or the cold drink dispenser itself can be prevented in advance by the unconditional initial water supply control.

다섯째, 실시예에 따라 가열모듈의 전원 인가 상태를 감지하여 제1제어부 및 제2제어부가 초기 급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초기 급수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기 위해 명령신호를 입력해야하는 시기를 사용자가 놓치더라도 원할한 급수가 이루어질 수 있다.Fifth, the first controller and the second controller can perform the initial water supply control by sensing the power application state of the heating modu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o that the timing for inputting the command signal to control the initial water supply is determined by the user Even if you miss it, you can make a series.

도1은 본 발명의 냉온음료 공급기의 초기 급수 제어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2 및 도3는 본 발명의 냉온음료 공급기의 초기 급수 제어시스템 내 제1제어부의 작동에 따른 배관 내 공기층의 배기 형태를 도시한 블록도 및 개념도이다.
도4 및 도5는 본 발명의 냉온음료 공급기의 초기 급수 제어시스템 내 제2제어부의 작동에 따른 배관 내 공기층의 배기 형태를 도시한 블록도 및 개념도이다.
도6는 본 발명의 냉온음료 공급기의 초기 급수 제어시스템 내 3방향 배관부의 하강에 따른 제어부 활성화 제어 형태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냉온음료 공급기 제어시스템 내 가열모듈 또는 냉각모듈로의 전원 인가에 따른 제어부 활성화 제어 형태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냉온음료 공급기 제어시스템 내 가열모듈의 전원 인가에 따른 제어부 활성화 제어 형태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initial water supply control system of a cold / hot beverage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and FIG. 3 are a block diagram and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 exhaust mode of an air layer in the piping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first control unit in the initial water supply control system of the cold / hot beverage suppl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are a block diagram and a conceptual view showing an exhaust mode of an air layer in the piping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econd control unit in the initial water supply control system of the cold / hot beverage supply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form of activation of a controller according to the descent of the three-way piping in the initial water supply control system of the cold / hot beverage supply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form of activation of a controller according to application of power to a heating module or a cooling module in the cold beverage supply contro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form of activation of a controller according to the power supply of the heating module in the cold beverage supply contro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된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the technical parts already known will be omitted or compressed for the sake of brevity.

<냉온음료 공급기의 초기 급수 제어시스템의 구성 및 제어 형태에 관한 설명><Description of Configuration and Control Form of Initial Water Supply Control System of Cold and Hot Drink Feeder>

도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냉온음료 공급기의 초기 급수 제어시스템은 온음료 저장탱크(100); 냉음료 저장탱크(200); 취수 코크(300); 순환 배관(400); 밸브유닛(500); 순환펌프부(600); 및 제어유닛(700);를 포함한다.1, an initial water supply control system of the cold beverage dispens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t beverage storage tank 100; A cold beverage storage tank (200); A water intake cock (300); Circulating piping 400; A valve unit (500); A circulation pump unit 600; And a control unit (700).

본 발명의 냉온음료 공급기 제어시스템은 음료 저장용기(10)로부터 토출되어져 공급되는 음료를 이용해 냉음료 및 온음료를 마련하고, 이와 같이 마련된 냉음료 또는 온음료가 이용자의 출수밸브 개방에 의해서 취수 코크(300)를 통해 취수되어질 수 있도록 한다.The cold beverage dispenser contro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cold beverage and a hot beverage are prepared by using a beverage dispensed from a beverage storage container (10), and the cold beverage or hot beverage thus prepared is supplied to the take- (300).

온음료 저장탱크(100)는 음료 저장용기(10)로부터 토출되어지는 음료를 공급받은 뒤, 내부 또는 일측에 마련된 가열모듈(130)을 통해 공급된 음료를 가열시켜 온음료를 생성하고 이를 저장하는 공간이다.The beverage storage tank 100 receives a beverage discharged from the beverage storage container 10 and generates a beverage by heating the beverage supplied through the heating module 130 provided inside or one side of the beverage storage tank 100, Space.

여기서, 히터와 같은 장치로 마련되는 가열모듈(130)은 냉온음료 공급기의 전원 인가에 의해 연동되어져 작동되는 것이 아니라, 별도의 전원 인가 스위치를 구비하여, 냉온음료 공급기의 전원 인가 후 별도의 전원 인가 스위치가 켜짐에 따라 전원을 인가 받아 가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마련됨이 바람직하다.Here, the heating module 130, which is provided by a device such as a heater, is not operated by being powered by the power supply of the cold / hot beverage dispenser but is operated by a separate power switch, It is preferable that the switch is turned on to be able to perform a heating function by receiving power.

또한, 온음료 저장탱크(100)의 일측에는 온음료 저장탱크(120)의 내부로 유입되어졌거나 가열모듈을 이용해 공급된 음료를 가열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수증기 및 공기층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기관부(110) 및 공기층의 배출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솔레노이드 밸브 타입의 배기용 밸브부(115)가 형성되어 진다.In addition, one side of the hot beverage storage tank 100 is provided with an exhaust pipe portion for introducing water vapor and air generated in the process of heating the beverage supplied into the hot beverage storage tank 120 or using the heating module, (110) and an exhaust valve portion (115) of a solenoid valve type for controlling the exhaust flow of the air layer are formed.

또한, 온음료 저장탱크(100)의 일측에는 인위적인 배수를 통해 온음료가 외부로 배출되어질 수 있도록 배수경로를 형성하는 제1배수관부(120) 및 제1배수관부(120)의 개폐를 통해 온음료의 배수 여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1배수용 밸브부(125)가 형성된다.In addition, a first water pipe part 120 and a first water pipe part 120, which form a water drain path so that the beverage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artificial drainage, A first drainage valve portion 125 for controlling the drainage of the beverage is formed.

냉음료 저장탱크(200)는 음료 저장용기(10)로부터 토출되어지는 음료를 공급받은 뒤, 내부 또는 일측에 마련된 냉각모듈(220)을 통해 공급된 음료를 냉각시켜 냉음료를 생성하고 이를 저장하는 공간이다.The cold beverage storage tank 200 receives a beverage discharged from the beverage storage container 10 and then generates a cold beverage by cooling the beverage supplied through the cooling module 220 provided inside or one side of the beverage storage tank 200, Space.

여기서, 냉매를 이용해 냉음료 저장탱크(200) 내부에 저장되어진 음료와의 열교환을 수행하여 냉각 기능을 일으키는 냉각모듈(220)은 냉온음료 공급기의 전원 인가에 의해 연동되어져 작동되는 것이 아니라, 별도의 전원 인가 스위치를 구비하여, 냉온음료 공급기의 전원 인가 후 별도의 전원 인가 스위치가 켜짐에 따라 전원을 인가 받아 냉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압축기를 가동시킴이 바람직하다.Here, the cooling module 220 that performs the heat exchange with the beverage stored in the cold beverage storage tank 200 using the coolant to perform the cooling function is not operated by interlocking with the power supply of the cold beverage dispenser, It is preferable that the compressor is operated so that the cooling function can be performed by receiving power after the power supply of the cold / hot beverage dispenser is turned on after the power supply switch is turned on.

또한, 냉음료 저장탱크(200)의 일측에는 인위적인 배수를 통해 냉음료가 외부로 배출되어질 수 있도록 배수경로를 형성하는 제2배수관부(210) 및 제2배수관부(210)의 개폐를 통해 온음료의 배수 여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2배수용 밸브부(215)가 형성된다.The second water pipe part 210 and the second water pipe part 210 form a drainage path so that the cold beverage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artificially discharged water through one side of the cold beverage storage tank 200, And a second drain valve portion 215 for controlling whether the beverage is drained or not is formed.

취수 코크(300)는 온음료 저장탱크(100) 및 냉음료 저장탱크(200)에 저장된 음료를 사용자의 취수밸브 개방 신호 입력에 따라 취수밸브가 개방되어질 시 외부로 취수하기 위해 마련된 구성이다.The intake cock 300 is configured to take the beverage stored in the hot beverage storage tank 100 and the cold beverage storage tank 200 to the outside when the intake valve is opened in response to a user's intake valve opening signal input.

이러한 각각의 구성(100, 200, 300)은 각종 배관부들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지고, 이와 같은 배관부들은 음료의 순환을 위한 내부 유로를 형성하여 순환 배관(400)을 이룬다.Each of the components 100, 200, and 300 is interconnected by various piping portions, and the piping portions form an internal flow path for circulating the beverage, thereby forming a circulation pipe 400.

여기서, 순환 배관(400)을 이루는 각종 배관부들 중 일부에는 배관부 내 음료의 이동을 개폐하여 흐름의 조절 기능을 가진 밸브부가 설치되고, 이러한 냉온음료 공급기 제어시스템 내 순환 배관(400)에 설치되어진 각종 밸브부는 전체 밸브유닛(500)을 이룬다.In some of the various piping parts constituting the circulation pipe 400, a valve part having a flow control function is provided by opening and closing the movement of the beverage in the piping part, and a valve part provided in the circulation pipe 400 The various valve portions constitute the entire valve unit 500.

이러한 순환 배관(400) 및 밸브유닛(500)의 구성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The construction of the circulation pipe 400 and the valve unit 5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우선, 순환 배관(400)은 3방향 배관부(410), 제1배관부(420), 제2배관부(430), 제3배관부(440), 제4배관부(450), 제5배관부(460) 및 제6배관부(470)를 포함하여 음료의 순환을 위한 내부 배관 구조를 형성한다.The circulation pipe 400 includes a three-way pipe part 410, a first pipe part 420, a second pipe part 430, a third pipe part 440, a fourth pipe part 450, A piping section 460 and a sixth piping section 470 to form an internal piping structure for circulation of beverage.

3방향 배관부(410)는 음료 저장용기(10)의 일측을 관통할 수 있도록 일단에 내부 음료의 토출구를 마련하기 위한 첨단(尖端)형태의 니들 구조가 형성되고, 내부에 저장된 음료가 관통되어져 내부로 이동한 배관 내부로 유입되어 토출될 수 있도록 다수의 유입구멍이 형성된 니들 배관(411)이 1방향을 이루고, 니들 배관(411)의 타단으로부터 양측으로 분기된 제1분기배관(412) 및 제2분기배관(413)이 2방향 및 3방향을 이루어 T자형 배관구조를 갖추고 있다.The three-way piping unit 410 is formed with a needle-like needle structure for providing a discharge opening of the beverage at one end so as to pass through one side of the beverage storage container 10, A first branch pipe 412 having a plurality of inlet holes formed therein so as to be able to flow into the inside of the pipeline moved to the inside and having one direction and branching from the other end of the needle pipe 411 to both sides, The second branch pipe 413 has a T-shaped pipe structure in two directions and three directions.

여기서, 니들 배관(411)을 통해 음료 저장용기(10)로부터 토출되어진 음료는 제1분기배관(412)을 통해 온음료 저장탱크(100) 또는 냉음료 저장탱크(200)로 이동되어진다. Here, the beverage discharged from the beverage storage container 10 through the needle pipe 411 is transferred to the hot beverage storage tank 100 or the cold beverage storage tank 200 through the first branch pipe 412.

또한, 3방향 배관부(410)는 별도의 니들 승강장치(800)에 결합되거나 수용되어져 동작을 제어받게 되는데, 니들 승강장치(800)에 의해 승강되어지는 3방향 배관부(410)의 상태에 따라 음료 저장용기(10)로부터의 음료 토출 여부가 결정되어진다.The three-way piping unit 410 is coupled to or accommodated in a separate needle elevating apparatus 800 to control operation of the three-way piping unit 410. In the state of the three-way piping unit 410 that is raised and lowered by the needle elevating apparatus 800 Accordingly, whether or not to dispense the beverage from the beverage storage container 10 is determined.

다시 말해, 니들 승강장치(800)는 3방향 배관부(410)를 상승 이동시켜 니들 배관(411)이 음료 저장용기(10)의 일측을 관통하여 음료의 토출이 이루어지도록하고, 음료 저장용기(10)의 사용이 완료되고 나면 니들 승강장치(800)는 3방향 배관부(410)를 하강 이동시켜 외부로 노출되어지지 않도록 한다.In other words, the needle lifting device 800 moves the three-way piping portion 410 upward to cause the needle piping 411 to pass through one side of the beverage storage container 10 to discharge the beverage, 10 is completed, the needle lifting device 800 moves downward the three-way pipe portion 410 so as not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제1배관부(420)는 제1분기배관(412)과 온음료 저장탱크(100)를 연결하여 니들 배관(411)을 통해 음료 저장용기(10)로부터 토출되어지는 음료가 온음료 저장탱크(100) 내부로 급수되기 위한 급수경로를 형성한다.The first piping unit 420 connects the first branch piping 412 and the hot beverage storage tank 100 so that the beverage discharged from the beverage storage vessel 10 through the needle piping 411 is discharged to the hot beverage storage tank 100 of the water supply system.

여기서, 제1배관부(420)는 3방향 배관부(410)의 승강 운동에 의해 제1분기배관(412)의 위상 변화에 대응하여 지속적인 음료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성 재질의 구조적 변형이 용이한 연결부재를 통해 제1분기배관(412)과 연결되어 진다.Here, the first piping unit 420 can be easily structurally deformed so that the beverage can be continuously moved in accordance with the phase change of the first branch piping 412 due to the upward / downward movement of the three-way piping unit 410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branch pipe 412 through the connecting member.

또한, 제1배관부(420)의 일측에는 순환펌프부(600)가 설치되어지는데, 이와 같은 순환펌프부(600)는 온음료 저장탱크(100) 내부에 저장되어진 온음료가 순환 배관(400) 내 각종 배관부를 통해 형성된 유로를 순환하도록 가압하는 장치이다.The circulation pump unit 600 is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first piping unit 420 so that the hot beverage stored in the hot drink storage tank 100 is circulated through the circulation pipe 400 ) To circulate the flow path formed through the various piping portions.

다시 말해, 순환펌프부(600)는 온음료 저장탱크(100) 내부에 가열되어진 온음료를 이용하여 순환 배관(400)의 살균 순환 기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음료의 이동을 가압을 통해 유발하는 구성이다.In other words, the circulation pump unit 600 is configured to pressurize the movement of the beverage so that the sterilization circulation function of the circulation pipe 400 can be performed by using the hot beverage heated in the hot beverage storage tank 100 .

제2배관부(430)는 제1배관부(420)의 일측으로부터 분기되어져 냉음료 저장탱크(200)에 연결되어지는 배관부로써, 니들 배관(411)을 통해 음료 저장용기(10)로부터 토출되어지는 음료가 냉음료 저장탱크(200) 내부로 급수되기 위한 급수경로를 형성한다. The second piping unit 430 is a piping unit branched from one side of the first piping unit 420 and connected to the cold beverage storage tank 200. The second piping unit 430 discharges the beverage from the beverage storage vessel 10 through the needle piping 411 Thereby forming a water supply path for supplying the beverage to the inside of the cold storage tank 200.

제3배관부(440)는 제2분기배관(413)와 온음료 저장탱크(100)를 연결하여 음료의 순환 경로의 일부를 구성하는 배관부로써, 좀 더 구체적으로는 앞 서 설명한 제1배수관부(120)가 제3배관부(440) 일측으로부터 분기되어져 형성됨이 바람직하다.The third piping unit 440 is a piping unit that forms a part of the circulation path of the beverage by connecting the second branch piping 413 and the hot beverage storage tank 100. More specifically, It is preferable that the portion 120 is formed by being branched from one side of the third pipe portion 440.

여기서, 제3배관부(440)의 일측에는 솔레노이드 밸브 타입의 제1밸브부(510)가 설치되어져 제3배관부(440) 내부를 지나는 음료의 이동을 제어하게 된다.Here, a solenoid valve type first valve unit 510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third piping unit 440 to control the movement of the beverage passing through the third piping unit 440.

또한, 3방향 배관부(410)의 승강 운동에 의해 제1분기배관(412)의 위상 변화에 대응하여 지속적인 음료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성 재질의 구조적 변형이 용이한 연결부재를 통해 제1분기배관(412)과 연결되어 진다.The first branched pipe 412 is connected to the first branched pipe 412 through a connecting member which is easily deformed by the structural material of the flexible material so that the beverage can be continuously moved in accordance with the phase change of the first branched pipe 412 by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movement of the three- (412).

제4배관부(450)는 제3배관부(440)의 일측과 냉음료 저장탱크(200)를 연결하여 음료의 순환 경로의 일부를 구성하는 배관부로써, 좀 더 구체적으로는 추후 설명되어질 냉음료의 취수 경로를 형성하는 제6배관부(470)가 제4배관부(450) 일측으로부터 분기되어져 형성됨이 바람직하다.The fourth piping unit 450 is a piping unit that connects one side of the third piping unit 440 and the cold beverage storage tank 200 to constitute a part of the circulation path of the beverage. More specifically, It is preferable that a sixth pipe portion 470 forming a water intake path is formed by being branched from one side of the fourth pipe portion 450.

여기서, 제4배관부(450)의 일측에는 솔레노이드 밸브 타입의 제2밸브부(520)가 설치되어져 제4배관부(450) 내부를 지나는 음료의 이동을 제어하게 된다.Here, a solenoid valve type second valve unit 520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fourth pipe 450 to control the movement of the beverage passing through the fourth pipe 450.

제5배관부(460)는 온음료 저장탱크(100)와 취수 코크(300)를 연결하여 온음료의 취수경로를 형성하는 배관부로써, 일측에는 솔레노이드 밸브 타입의 제3밸브부(530)가 설치되어진다.The fifth pipe portion 460 is a piping portion that connects the hot beverage storage tank 100 and the intake cock 300 to form a take-in path for hot beverages, and a solenoid valve type third valve portion 530 Is installed.

제6배관부(470)는 제4배관부(450) 일측으로부터 분기되어 취수 코크(300)에 연결됨으로써, 냉음료의 취수경로를 형성하고, 일측에는 솔레노이드 밸브 타입의 제4밸브부(540)가 설치되어진다.The sixth pipe portion 470 is branched from one side of the fourth pipe portion 450 and connected to the water intake cock 300 to form a water intake path for the cold beverage and has a solenoid valve type fourth valve portion 540 on one side, Respectively.

그리고 이러한 온음료 저장탱크(100), 냉음료 저장탱크(200), 취수 코크(300) 및 순환배관(400)을 이동하는 음료의 순환을 제어하기 위해 본 발명의 냉온음료 공급기 제어시스템은 제어유닛(700)을 더 포함한다.In order to control the circulation of beverages moving in the hot beverage storage tank 100, the cold beverage storage tank 200, the intake cock 300 and the circulation pipe 400, (700).

제어유닛(700)은 밸브유닛(500) 내 각종 밸브부, 배기용 밸브(125), 제1배수용 밸브(115) 및 제2배수용 밸브(215)의 개폐여부를 조절하고, 순환펌프부(600)의 작동여부를 제어하여 입력되는 명령신호에 따른 음료의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The control unit 700 controls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various valve portions in the valve unit 500, the exhaust valve 125, the first drain valve 115 and the second drain valve 215, Thereby controlling whether or not the beverage can be moved according to the command signal.

이를 위해 제어유닛(700)은 명령신호 수신부(710), 제1제어부(720), 제2제어부(730), 니들제어부(740) 및 감지부(750)를 포함한다. The control unit 700 includes a command signal receiving unit 710, a first control unit 720, a second control unit 730, a needle control unit 740, and a sensing unit 750.

명령신호 수신부(710)는 명령신호를 입력받는 구성으로써, 냉온음료 공급기 외부에 마련되어진 각종 입력 버튼의 조작을 통해 관리자 혹은 사용자가 특정 기능에 대한 명령신호를 입력하였을 때 이에 대한 제어의 시작을 알리는 명령신호가 수신되어진다.The command signal receiving unit 710 receives a command signal and notifies the start of the control when an administrator or a user inputs a command signal for a specific function through the operation of various input buttons provided outside the cold / A command signal is received.

여기서, 명령신호 수신부(710)를 통해 입력되는 제어명령신호는 아래 설명되어질 제1제어부(720) 및 제2제어부(730)의 제어기능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신호로써, 관리자 혹은 사용자가 최초로 음료 저장용기를 냉온음료 공급기에 연결시킨 뒤 초기 급수를 진행하기 위해 설정되어진 초기 급수 기능 수행을 위한 버튼을 조작할 경우 발생하는 신호이다.Here, the control command signal input through the command signal receiving unit 710 is a signal for activating the control functions of the first control unit 720 and the second control unit 730,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Is connected to the cold / hot beverage dispenser, and the button for performing the initial water supply function set to advance the initial water supply is operated.

제1제어부(720)는 온음료 저장탱크(100) 내부 및 순환 배관(400)을 이루는 각종 배관부 내부에 위치한 공기층이 배기관부(110)를 통해 외부로 배기되어지도록 밸브유닛(500) 내 각종 밸브부 및 배기용 밸브(115)의 개폐 및 순환펌프부(600)의 작동 상태를 제어하는 구성으로, 공기층의 배기관부(110)를 통한 배기는 제1제어부(720) 내 제1제어부분(721) 및 제2제어부분(722)을 통해 상이한 방식으로 이루진다.The first control unit 72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valve unit 500 so that the air layer disposed inside the hot beverage storage tank 100 and the various piping units constituting the circulation pipe 400 is exhaus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exhaust pipe unit 110 The exhaust of the air layer through the exhaust pipe portion 110 is controlled by the first control portion 720 in the first control portion 720. The first control portion 720 controls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valve portion and the exhaust valve 115 and the operation of the circulation pump portion 600, 721 and the second control portion 722 in a different manner.

여기서, 제1제어부분(721)은 도2 및 도3(점선)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용 밸브(115)를 소정의 시간동안 개방시켜 온음료 저장탱크(100) 내부에 있던 공기층이 배기관부(110)를 통해 배출되어지고, 음료 저장용기(10)로부터 토출되어진 음료가 공기층이 배기되어 발생하는 온음료 저장탱크(100) 내부 기압차이 만큼 더 원활하게 온음료 저장탱크(100)로 이동하여 온음료 저장탱크(100)의 초기 급수가 이루어지도록 한다.2 and 3 (dotted line), the first control portion 721 opens the exhaust valve 115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so that the air layer inside the beverage storage tank 100 is exhausted to the exhaust pipe portion The beverage discharged from the beverage storage container 10 is discharged to the warm beverage storage tank 100 more smoothly by the difference i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hot beverage storage tank 100 generated by exhausting the air layer So that the initial water supply of the hot drink storage tank 100 is performed.

또한, 제2제어부분(722)은 도2 및 도3(실선)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밸브부(510) 및 제2밸브부(520)를 소정의 시간동안 개방시킴과 동시에 순환펌프부(600)를 소정의 시간동안 작동시키는 제1동작을 수행하고, 이 후 일정 시간 경과 후 배기용 밸브(115)를 소정의 시간동안 개방시키는 제2동작을 수행하여 순환 배관(400) 내부로부터 온음료 저장탱크(100)로 유입되어진 공기층이 배기관부(110)를 통해 배출되어지고, 음료 저장용기(10)로부터 토출되어진 음료가 공기층이 배기되어 발생하는 순환 배관(400) 내부 및 온음료 저장탱크(100) 내부 기압차이 만큼 더 원활하게 온음료 저장탱크(100)로 이동하여 온음료 저장탱크(100)의 초기 급수가 이루어지도록 한다.2 and 3 (solid line), the second control portion 722 opens the first valve portion 510 and the second valve portion 520 for a predetermined time, A second operation is performed to open the exhaust valve 115 for a predetermined time after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after the first operation for operating the exhaust pipe 600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beverage tank 100 is discharged through the exhaust pipe 110 and the beverage discharged from the beverage storage container 10 is discharged through the circulation pipe 400 and the hot beverage storage tank 400, The beverage storage tank 100 is moved more smoothly by the difference i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beverage storage tank 100 so that the initial water supply of the beverage storage tank 100 is performed.

아울러, 제1제어부(720)는 명령신호 수신부(710)로부터 제어명령신호가 입력되어지고 나면 제1제어부분(721)을 통해 초기 급수에 대한 제어를 선 수행하고, 앞 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제어부분(721)을 통한 제어가 완료된 시점으로부터 소정의 시간 경과가 있은 후 제2제어부분(722)을 통해 초기 급수에 대한 제어를 후 수행한다.When the control command signal is inputted from the command signal receiving unit 710, the first control unit 720 performs the control for the initial feed water through the first control unit 721. As described above, After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from the point of time when the control through the control part 721 is completed, control is performed on the initial water supply through the second control part 722.

제2제어부(730)는 냉음료 저장탱크(200) 내부 및 순환배관(400)을 이루는 각종 배관부 내부에 위치한 공기층이 취수 코크(300)를 통해 외부로 배기되어지도록 밸브유닛(500) 내 각종 밸브부의 개폐 및 순환펌프부(600)의 작동 상태를 제어하는 구성으로, 공기층의 취수 코크(300)를 통한 배기는 제2제어부(730) 내 제3제어부분(731) 및 제2제어부분(732)을 통해 상이한 방식으로 이루진다.The second control unit 730 controls the various types of valve unit 500 so that the air layer located inside the cold beverage storage tank 200 and the various piping units constituting the circulation pipe 400 is exhaus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intake cock 300. [ The exhaust through the intake cock 300 of the air layer is controlled by the third control portion 731 and the second control portion 731 in the second control portion 730, 732 in a different manner.

여기서, 제3제어부분(731)은 도4 및 도5(실선)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밸브부(540)를 소정의 시간동안 개방시켜 냉음료 저장탱크(200) 내부에 있던 공기층이 취수 코크(300)를 통해 배출되어지고, 음료 저장용기(10)로부터 토출되어진 음료가 공기층이 배기되어 발생하는 냉음료 저장탱크(200) 내부 기압차이 만큼 더 원활하게 냉음료 저장탱크(200)로 이동하여 냉음료 저장탱크(200)의 초기 급수가 이루어지도록 한다.4 and 5 (solid line), the third control part 731 opens the fourth valve part 540 for a predetermined time, so that the air layer inside the cold beverage storage tank 200 is drawn The beverage discharged from the beverage storage container 10 is discharged to the cold beverage storage tank 200 more smoothly by the difference i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cold beverage storage tank 200 generated by exhausting the air layer from the beverage storage container 10 So that the cold water storage tank 200 is supplied with the initial water.

또한, 제4제어부분(732)은 도4 및 도5(점선)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제어밸브(530) 및 제4밸브부(540)를 소정의 시간동안 개방시켜 순환 배관(400), 특히 제3배관부(440) 및 제4배관부(450) 내부 및 이를 통해 냉음료 저장탱크(200) 내부로 유입된 공기층이 취수 코크(300)를 통해 배출되어지고, 음료 저장용기(10)로부터 토출되어진 음료가 공기층이 배기되어 발생하는 냉음료 저장탱크(200) 내부 기압차이 만큼 더 원활하게 냉음료 저장탱크(200)로 이동하여 냉음료 저장탱크(200)의 초기 급수가 이루어지도록 한다.The fourth control portion 732 also opens the third control valve 530 and the fourth valve portion 540 for a predetermined time period as shown in Figs. 4 and 5 (dotted line) In particular the third piping section 440 and the fourth piping section 450 and through which the air layer introduced into the cold beverage storage tank 200 is discharged through the intake cock 300, Is moved to the cold beverage storage tank 200 more smoothly by a difference i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cold beverage storage tank 200 generated by exhausting the air layer so that the cold beverage storage tank 200 is supplied with the initial water .

여기서, 제4제어부분(732)은 제3제어밸브(530) 및 제4밸브부(540)를 동일 시간동안 개방시켜 줌이 바람직하고, 제4제어부분(732)을 통한 제3제어밸브(530) 및 제4밸브부(540)의 개방 시간은 제3제어부분(731)을 통한 제3제어밸브(530)의 개방 시간에 비해 짧게 설정되어 짐이 바람직하다.Here, the fourth control portion 732 preferably opens the third control valve 530 and the fourth valve portion 540 for the same time, and the third control portion 732 through the fourth control portion 732 530 and the fourth valve portion 540 is set to be shorter than the opening time of the third control valve 530 through the third control portion 731. [

아울러, 제2제어부(730)는 명령신호 수신부(710)로부터 제어명령신호가 입력되어지고 나면 제3제어부분(731)을 통해 초기 급수에 대한 제어를 선 수행하고, 앞 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3제어부분(731)을 통한 제어가 완료된 시점으로부터 소정의 시간 경과가 있은 후 제4제어부분(732)을 통해 초기 급수에 대한 제어를 후 수행한다.When the control command signal is input from the command signal receiving unit 710, the second control unit 730 performs the control for the initial feed water through the third control unit 731, and as described above, After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from the time when the control through the control part 731 is completed, the control is performed through the fourth control part 732 after the control for the initial water supply.

즉, 제1제어부(720) 또는 제2제어부(730)는 온음료 저장탱크(100) 및 냉음료 저장탱크(200) 내부에 일정 수준의 기압을 형성하여 음료 저장용기(10)로부터 토출된 음료가 급수되어지는 과정을 저해하고 있음에 따라, 내부 공기층의 배기를 유발시켜 음료 저장용기(10)로부터 토출된 음료의 온음료 저장탱크(100) 및 냉음료 저장탱크(200) 내부로의 유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That is, the first control unit 720 or the second control unit 730 forms a certain level of air pressure in the warm beverage storage tank 100 and the cold beverage storage tank 200, The inflow of the beverage discharged from the beverage storage container 10 into the warm beverage storage tank 100 and the cold beverage storage tank 200 is prevented To be smooth.

니들 제어부(740)는 니들 승강장치(800)의 작동상태를 제어하여 3방향 배관부(410)의 승강을 연동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써, 명령신호 수신부(730)를 통해 입력되는 니들 승강장치(800)의 동작에 대한 각종 명령신호를 기반으로 제어를 수행한다. The needle control unit 740 controls the operating state of the needle elevating apparatus 800 to interlock the elevating and lowering of the three-way piping unit 410. The needle control unit 740 controls the needle elevating apparatus 800, which is input through the command signal receiving unit 730, Lt; RTI ID = 0.0 &gt; commands. &Lt; / RTI &gt;

또한, 이와 동시에 니들 제어부(740)는 제1제어부(720) 및 제2제어부(730)의 기능에 대한 활성화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At the same time, the needle control unit 74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functions of the first control unit 720 and the second control unit 730 are activated.

예를 들어,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명령신호 수신부(730)를 통해 3방향 배관부(410)에 대한 하강 명령신호가 입력되면 니들 승강장치(800)의 동작을 제어하여 3방향 배관부(410)를 하강 이동시킴과 동시에 제1제어부(720) 및 제2제어부(730)의 동작을 비활성화시켜 제1제어부(720) 및 제2제어부(730)를 통한 초기 급수의 제어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한다.6, when a downward command signal for the three-way piping unit 410 is inputted through the command signal receiving unit 730, the operation of the needle elevating apparatus 800 is controlled so that the three-way piping unit 410 and moves the first control unit 720 and the second control unit 730 inactive to prevent the initial water supply from being controlled through the first control unit 720 and the second control unit 730 .

따라서, 제1제어부(720) 및 제2제어부(730)는 니들 승강장치(800)를 통해 3방향 배관부(410)가 하강되어져 있을 경우에는 명령신호 수신부(730)를 통해 제어명령신호가 입력되어지더라도 초기 급수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지 아니하고, 니들 승강장치(800)를 통해 3방향 배관부(410)가 상승되어져 있을 경우, 즉 음료 저장용기(10)와 냉온음료 공급기가 연결되어 음료의 토출이 가능한 경우에만 작동되어 지는 것을 전제하게 된다.When the three-way piping unit 410 is lowered through the needle elevating device 800, the first control unit 720 and the second control unit 730 input a control command signal through the command signal receiving unit 730 When the three-way piping unit 410 is lifted through the needle elevating apparatus 800, that is, when the beverage storage vessel 10 is connected to the cold beverage dispenser 10, It is assumed that it is operated only when discharge is possible.

이는 제1제어부(720) 및 제2제어부(730)을 통한 정체된 음료의 순환 기능의 무조건적인 기능 수행을 방지하여 정말 필요한 순간에만 기능이 동작되어지도록 가동 효율성을 확보하고 무조건적인 기능 수행에 따른 사용자의 위험요소를 사전에 방지하기 위함이다.This prevents the unconditioned function of the circulation function of the stagnant beverage through the first control unit 720 and the second control unit 730 to ensure the operation efficiency so that the function is operated only at a necessary instant, This is to prevent the risk of the user in advance.

감지부(750)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서 설명한 가열모듈(130) 및 냉각모듈(220)의 전원 인가 상태 즉, 가열모듈(130) 및 냉각모듈(220)의 가동 여부를 판단하여, 둘 중 하나라도 가동되어지고 있음이 판단되어지면 제1제어부(720) 및 제2제어부(730)의 동작을 비활성화시켜 제1제어부(720) 및 제2제어부(730)를 통한 초기 급수의 제어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한다.The sensing unit 750 determines whether the power supply state of the heating module 130 and the cooling module 220 described above, that is, whether the heating module 130 and the cooling module 220 are in oper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control units 720 and 730 is in operation, the control of the initial water supply through the first control unit 720 and the second control unit 730 is performed by deactivating the operations of the first control unit 720 and the second control unit 730 .

이는 온음료 저장탱크(100) 내부로의 초기 급수가 이루어지기 전, 즉 내부에 음료가 공급되어지기 전에 가열모듈(130)이 선 가동되어 장치의 오류 및 상태 훼손의 문제와 더불어 사용자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함이다.This is because the heating module 130 is operated before the initial supply of water to the inside of the hot beverage storage tank 100, that is, before the beverage is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hot beverage storage tank 100, In order to ensure that.

실시예에 따라서는 감지부(750)가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모듈(130)의 전원 인가 상태를 감지하여, 가열모듈(130)에 전원이 인가되어짐이 감지될 경우, 명령신호 수신부(710)로 제어명령신호가 미입력된 상태에서도 제1제어부(720) 및 제2제어부(730)의 제어동작을 활성화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8, when the sensing unit 750 senses that the power is applied to the heating module 130 by sensing the power application state of the heating module 130 as shown in FIG. 8, 710 to activate the control operations of the first control unit 720 and the second control unit 730 even when the control command signal is not inputted.

다시 말해, 음료 저장용기(10)가 연결되어져 음료의 토출이 가능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초기 급수에 대한 제어를 위해 해당 버튼을 눌러 초기 급수를 위한 배기과정이 수행되어 온음료 저장탱크(100) 및 냉음료 저장탱크(200)내부에 음료가 채워진 뒤, 음료의 가열 및 냉각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하나, 이러한 과정을 놓치고 가열모듈(130)을 작동시켰을 시, 감지부(750)는 이러한 상태를 인지하고 명령신호 수신부(710)를 통해 제어명령신호가 입력되지 않더라도 강제적인 초기 급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1제어부(720) 및 제2제어부(730)를 활성화시킨다.In other words, when the beverage storage container 10 is connected and the beverage can be discharged, the user presses the corresponding button to control the initial supply of water, When the beverage is filled in the beverage storage tank 200, the beverage is heated and cooled. When the heating module 130 is operated after the process is missed, the sensing unit 750 recognizes the state of the drink, The first control unit 720 and the second control unit 730 are activated so that even if the control command signal is not inputted through the signal receiving unit 710, the forced initial supply of water can be performed.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호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limit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protection is to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thereof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온음료 저장탱크
110 : 배기관부 115 : 배기용 밸브부
120 : 제1배수관부 125 : 제1배수용 밸브
130 : 가열모듈
200 : 냉음료 저장탱크
210 : 제2배수관부 215 : 제2배수용 밸브부
220 : 냉각모듈
300 : 취수 코크
400 : 순환 배관
410 : 3방향 배관부 420 : 제1배관부 430 : 제2배관부
440 : 제3배관부 450 : 제4배관부 460 : 제5배관부
470 : 제6배관부
500 : 밸브유닛
510 : 제1밸브부 520 : 제2밸브부
530 : 제3밸브부 540 : 제4밸브부
600 : 순환 펌프부
700 : 제어유닛
710 : 명령신호 수신부
720 : 제1제어부
721 : 제1제어부분 722 : 제2제어부분
730 : 제2제어부
731 : 제3제어부분 732 : 제4제어부분
740 : 니들 제어부
750 : 감지부
800 : 니들 승강장치
10 : 음료 저장용기
100: Hot beverage storage tank
110: Exhaust pipe section 115: Exhaust valve section
120: first drain pipe section 125: first drainage valve
130: Heating module
200: Cold beverage storage tank
210: second drain pipe section 215: second drainage valve section
220: Cooling module
300: intake coke
400: Circulating piping
410: three-way piping part 420: first piping part 430: second piping part
440: third piping part 450: fourth piping part 460: fifth piping part
470: sixth pipe section
500: Valve unit
510: first valve portion 520: second valve portion
530: third valve portion 540: fourth valve portion
600: Circulation pump section
700: control unit
710: Command signal receiving section
720:
721: first control portion 722: second control portion
730:
731: third control part 732: fourth control part
740: Needle control part
750:
800: Needle lifting device
10: Beverage storage container

Claims (10)

음료 저장용기로부터 유입되는 음료를 가열하여 저장하며, 상측에 연결되어 배기 경로를 이루는 배기관부 및 상기 배기관부에 설치되는 배기용 밸브를 포함하는 온음료 저장탱크;
음료 저장용기로부터 유입되는 음료를 냉각하여 저장하는 냉음료 저장탱크;
상기 온음료 저장탱크 및 냉음료 저장탱크에 저장된 음료를 외부로 취수하기 위해 마련된 취수 코크;
상기 음료 저장용기, 온음료 저장탱크, 냉음료 저장탱크 및 취수 코크를 상호 연결하여 음료의 순환을 위한 내부 유로를 이루는 순환 배관;
상기 순환 배관를 이루는 일부 배관부에 설치되는 밸브유닛;
상기 순환 배관 중 상기 온음료 저장탱크에 연결되어지는 배관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온음료가 상기 순환 배관 내 유로를 순환하도록 가압하는 순환펌프부; 및
상기 밸브유닛 및 순환펌프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유닛은,
제어명령신호를 입력받는 명령신호 수신부;
상기 명령신호 수신부로 입력된 제어명령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온음료 저장탱크, 냉음료 저장탱크 및 순환 배관 내 공기층이 상기 배기관부를 통해 외부로 배기되도록 상기 배기용 밸브, 밸브유닛 및 순환펌프부의 작동 상태를 조절하는 제1제어부; 및
상기 명령신호 수신부로 입력된 제어명령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온음료 저장탱크, 냉음료 저장탱크 및 순환 배관 내 공기층이 상기 취수 코크를 통해 외부로 배기되도록 상기 밸브유닛 및 순환펌프부의 상태를 조절하는 제2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음료 공급기의 초기 급수 제어시스템.
A hot beverage storage tank for heating and storing a beverage to be introduced from a beverage storage container, and an exhaust pipe connected to the upper side to form an exhaust path and an exhaust valve installed in the exhaust pipe;
A cold beverage storage tank for cooling and storing the beverage introduced from the beverage storage container;
A water intake cock provided for taking the beverage stored in the hot beverage storage tank and the cold beverage storage tank to the outside;
A circulation pipe for interconnecting the beverage storage container, the hot beverage storage tank, the cold beverage storage tank, and the intake coke to form an internal flow path for circulation of beverage;
A valve unit installed in a part of the piping constituting the circulation pipe;
A circulation pump unit that pressurizes the beverage, which is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piping unit connected to the hot beverage storage tank, in the circulation pipe so as to circulate through the circulation pipe; And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operations of the valve unit and the circulation pump unit,
The control unit includes:
A command signal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 control command signal;
The operation state of the exhaust valve, the valve unit, and the circulation pump unit such that the hot beverage storage tank, the cold beverage storage tank, and the air layer in the circulation pipe are exhausted to the outside based on the control command signal input to the command signal receiving unit, A first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first control unit;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state of the valve unit and the circulation pump unit so that the hot beverage storage tank, the cold beverage storage tank, and the air layer in the circulation pipe are exhausted to the outside based on the control command signal input to the command signal receiving unit, 2 &lt; / RTI &gt; control unit
An initial water supply control system of a cold beverage dispens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 배관은,
음료 저장용기의 일측을 관통하여 내부에 저장된 음료가 토출될 수 있도록 일단에 니들 구조가 형성된 니들 배관, 상기 니들 배관의 타단으로부터 양측으로 분기된 제1분기배관 및 제2분기배관으로 이루어진 3방향 배관부;
상기 제1분기배관과 상기 온음료 저장탱크를 연결하는 제1배관부; 및
상기 제1배관부 일측과 상기 냉음료 저장탱크를 연결하는 제2배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제어부 또는 제2제어부는 상기 온음료 저장탱크, 냉음료 저장탱크 및 순환 배관 내 공기층을 외부로 배기시켜 음료 저장용기로부터 상기 니들 배관 내부로 토출되어진 음료가 상기 제1배관부 및 상기 제2배관부를 통해 상기 온음료 저장탱크 및 냉음료 저장탱크로 유입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음료 공급기의 초기 급수 제어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irculation piping includes:
A three-way pipe consisting of a needle pipe having a needle structure formed at one end thereof so that beverage can be discharged through one side of the beverage storage container, and a first branch pipe branched to both sides from the other end of the needle pipe, part;
A first pipe portion connecting the first branch pipe and the hot beverage storage tank; And
And a second piping part connecting one side of the first piping part and the cold beverage storage tank,
Wherein the first control unit or the second control unit exhausts the warm beverage storage tank, the cold beverage storage tank, and the air layer in the circulation pipe to the outside to discharge the beverage from the beverage storage container into the needle pipe, The beverage storage tank and the cold beverage storage tank.
An initial water supply control system of a cold beverage dispens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 배관은,
상기 제2분기배관과 상기 온음료 저장탱크를 연결하는 제3배관부;
상기 제3배관부 일측과 상기 냉음료 저장탱크를 연결하는 제4배관부;
상기 온음료 저장탱크와 상기 취수 코크를 연결하는 제5배관부; 및
상기 제4배관부의 일측과 상기 취수 코크를 연결하는 제6배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밸브유닛은,
상기 제3배관부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1밸브부;
상기 제4배관부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2밸브부;
상기 제5배관부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3밸브부; 및
상기 제6배관부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4밸브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순환펌프부는 상기 제1배관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음료 공급기의 초기 급수 제어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circulation piping includes:
A third pipe connecting the second branch pipe and the hot beverage storage tank;
A fourth piping section connecting one side of the third piping section and the cold beverage storage tank;
A fifth pipe connecting the hot beverage storage tank and the water intake cock; And
And a sixth piping part connecting one side of the fourth piping part to the water intake cock,
The valve unit includes:
A first valve unit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third piping unit;
A second valve unit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fourth piping unit;
A third valve unit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fifth piping unit; And
And a fourth valve unit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sixth piping unit,
And the circulation pump unit is installed in the first piping unit
An initial water supply control system of a cold beverage dispens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어부는,
상기 배기용 밸브를 소정의 시간동안 개방시키는 제1제어부분; 및
상기 제1밸브부 및 제2밸브부를 소정의 시간동안 개방시킴과 동시에 상기 순환펌프부를 소정의 시간동안 작동시키는 제1동작을 수행 후, 상기 배기용 밸브를 소정의 시간동안 개방시키는 제2동작을 수행하는 제2제어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음료 공급기의 초기 급수 제어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first control unit includes:
A first control portion for opening the exhaust valve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A second operation for opening the exhaust valve for a predetermined time after performing the first operation of opening the first valve portion and the second valve portion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operating the circulation pump portion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a second control part for performing
An initial water supply control system of a cold beverage dispense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어부는 상기 명령신호 수신부로 입력된 제어명령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제1제어부분을 통해 선 제어를 수행하고, 상기 제1제어부분에 대한 선 제어 완료 시점으로부터 소정의 시간의 경과 후 상기 제2제어부분을 통해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음료 공급기의 초기 급수 제어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first control unit performs line control through the first control unit based on a control command signal input to the command signal receiving unit and outputs the control signal to the first control unit after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from the completion of line control for the first control unit And performs control through the second control part
An initial water supply control system of a cold beverage dispens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제4밸브부를 소정의 시간동안 개방시키는 제3제어부분; 및
상기 제2밸브부 및 제4밸브부를 소정의 시간동안 개방시키는 제4제어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음료 공급기의 초기 급수 제어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econd control unit comprises:
A third control portion for opening the fourth valve portion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And a fourth control portion for opening the second valve portion and the fourth valve portion for a predetermined time period
An initial water supply control system of a cold beverage dispense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명령신호 수신부로 입력된 제어명령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제3제어부분을 통해 선 제어를 수행하고, 상기 제3제어부분에 대한 선 제어 완료 시점으로부터 소정의 시간의 경과 후 상기 제4제어부분을 통해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음료 공급기의 초기 급수 제어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second control unit performs line control through the third control unit based on the control command signal input to the command signal receiving unit, and after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from the completion of line control for the third control unit, And performs control through the fourth control section
An initial water supply control system of a cold beverage dispenser.
제3항에 있어서,
냉온음료 공급기의 초기 급수 제어시스템은,
상기 3방향 배관부를 승강시키기 위한 니들승강장치;
상기 온음료 저장탱크 내 음료를 가열하여 온음료를 생성하는 가열모듈; 및
상기 냉음료 저장탱크 내 음료를 냉각하여 냉음료를 생성하는 냉각모듈;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니들승강장치의 작동상태를 제어하는 니들 제어부; 및
상기 가열모듈 및 냉각모듈의 전원 인가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명령신호 수신부는 상기 니들 승강장치의 동작에 대한 각종 제어 명령신호를 입력받으며,
상기 니들 제어부는 상기 명령신호 수신부를 통해 상기 3방향 배관부에 대한 하강 명령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니들 승강장치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3방향 배관부를 하강 이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제1제어부 및 제2제어부의 동작을 비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음료 공급기의 초기 급수 제어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The initial water supply control system of the cold /
A needle elevating device for elevating and lowering the three-way pipe portion;
A heating module for heating the beverage in the hot beverage storage tank to produce a hot beverage; And
And a cooling module for cooling the beverage in the cold beverage storage tank to produce a cold beverage,
The control unit includes:
A needle control part for controll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needle lift device; And
And a sensing unit for sensing a power application state of the heating module and the cooling module,
The command signal receiving unit receives various control command signals for the operation of the needle lift device,
Wherein the needle control uni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needle lifting device to move the three-way pipe unit in a downward direction when a downward command signal for the three-way pipe unit is inputted through the command signal receiving unit,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ration is deactivated
An initial water supply control system of a cold beverage dispense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가열모듈 및 냉각모듈의 전원 인가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가열모듈 및 냉각모듈 중 적어도 하나에 전원이 인가되어짐이 감지될 경우, 상기 제1제어부 및 제2제어부의 제어동작을 비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음료 공급기의 초기 급수 제어시스템.
9. The method of claim 8,
The sensing unit senses a power application state of the heating module and the cooling module and deactivates the control operations of the first control unit and the second control unit when power is applied to at least one of the heating module and the cooling module Characterized by
An initial water supply control system of a cold beverage dispense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가열모듈의 전원 인가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가열모듈에 전원이 인가되어짐이 감지될 경우, 상기 명령신호 수신부로 제어명령신호가 미입력된 상태에서도 상기 제1제어부 및 제2제어부의 제어동작을 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음료 공급기의 초기 급수 제어시스템.
9. The method of claim 8,
The sensing unit senses a power application state of the heating module, and when the power is applied to the heating module, even if the control command signal is not inputted to the command signal receiving unit,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first and second control units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ration is activated
An initial water supply control system of a cold beverage dispenser.
KR1020150122752A 2015-08-31 2015-08-31 Dispenser for hot and cool drink Ceased KR2017002579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2752A KR20170025793A (en) 2015-08-31 2015-08-31 Dispenser for hot and cool drin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2752A KR20170025793A (en) 2015-08-31 2015-08-31 Dispenser for hot and cool drin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5793A true KR20170025793A (en) 2017-03-08

Family

ID=58403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2752A Ceased KR20170025793A (en) 2015-08-31 2015-08-31 Dispenser for hot and cool drin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25793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90050A1 (en) * 2018-03-27 2019-10-03 김창재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various beverages
CN111432695A (en) * 2018-02-16 2020-07-17 富士电机株式会社 Beverage supply devic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32695A (en) * 2018-02-16 2020-07-17 富士电机株式会社 Beverage supply device
CN111432695B (en) * 2018-02-16 2022-04-29 富士电机株式会社 Beverage supply device
WO2019190050A1 (en) * 2018-03-27 2019-10-03 김창재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various beverag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56596B2 (en) Tap liquid savings in a liquid distribution system
KR20170025793A (en) Dispenser for hot and cool drink
JP5268152B2 (en) Hot water storage water heater
JP2008164247A (en) Hot water storage water heater
JP6229887B2 (en) Sterilizer
JP5153444B2 (en) Heat pump hot water supply system
JP2010078178A (en) Hot water supply device
JP2016095044A (en) Vacuum cooling device
JP2016191494A (en) Thermal equipment
JP4374389B2 (en) Electric water heater
JP2009002599A (en) Heat pump type water heater
KR101636894B1 (en) Control system of dispenser for hot and cool drink
JP2013217575A (en) Heat pump water heater
JP2012017906A (en) Storage type hot water supply system
KR101763330B1 (en) Air in pipe eliminating system of dispenser for hot and cool drink
JP5361981B2 (en) Hot water storage water heater
CN207247348U (en) A kind of high-power integrated hot water supply system based on commercialization
JP2017194219A (en) Storage water heater
KR101763331B1 (en) Controlling system of dispenser for hot and cool drink
JP2011185519A (en) Hot water storage type water heater
JP5168384B2 (en) Heat pump water heater
JP3843876B2 (en) Hot water storage hot water floor heating system
JP2005315505A (en) Electric water heater with reheating function, and method of controlling temperature of water in bathtub
JP2016001074A (en) Hot water storage type water heater
JP2010078166A (en) Storage type water hea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83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1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6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709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7061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6112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