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4209A - 수용성 식이섬유를 이용한 고추장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고추장 - Google Patents
수용성 식이섬유를 이용한 고추장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고추장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24209A KR20170024209A KR1020150118927A KR20150118927A KR20170024209A KR 20170024209 A KR20170024209 A KR 20170024209A KR 1020150118927 A KR1020150118927 A KR 1020150118927A KR 20150118927 A KR20150118927 A KR 20150118927A KR 20170024209 A KR20170024209 A KR 2017002420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dietary fiber
- meju
- soluble dietary
- mix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23L11/20—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8—Oligosaccharide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50—Polysaccharides, gums
- A23V2250/51—Polysaccharide
- A23V2250/5114—Dextrins, maltodextrins
Landscapes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상기 메주가 침지된 소금물에 수용성 식이섬유를 혼합하여 숙성시키는 수용성 식이섬유 혼합 및 메주 숙성 단계(S320);
상기 수용성 식이섬유 혼합 및 메주 숙성 단계(S320)에서 숙성된 메주를 분리한 후 건조하여 분말화하는 숙성된 메주 분리 및 분말화 단계(S330);
상기 숙성된 메주 분리 및 분말화 단계(S330)에서 분말화된 메주와 고추가루를 혼합한 후 숙성시켜 고추장을 제조하는 메주 분말 및 고추가루 혼합 단계(S340);및 고추장 숙성단계;(S350)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성 식이섬유 혼합 및 메주 숙성 단계(S320)에서 수용성 식이섬유는 수용성 식이섬유 재료와 증점 다당류를 혼합하여 제조되되,
상기 수용성 식이섬유 재료는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 또는 폴리덱스트로스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되며, 50질량% 이상의 식이섬유를 함유하고, 20℃의 물 100㎖에 20g 이상 용해되며, 20℃에서 5질량% 수용액의 점도가 20mPas 미만의 점도를 나타내는 난소화성 당류이고,
상기 증점 다당류는 20℃에서 5질량% 수용액의 점도가 20mPas 이상의 점도를 나타내는 다당류로, 알긴산염, 알긴산 프로필렌글리콜에스테르, 카라기난, 구아검, 전분 또는 전분 유도체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되어 고추장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성 식이섬유를 이용한 고추장의 제조방법이다.
상기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혈당치 상승 억제, 정장 작용, 지질 대사 개선 등의 생리 효과를 발현하거나 발암물질을 체외로 배출하여 고지혈증, 당뇨병, 대장암 등 성인병 예방에 우수한 효과를 발휘하는 수용성 식이섬유를 이용하여 고추장을 제조함으로써, 고추장에 대한 소비자의 기호성을 증진할 수 있으며 외관 및 냄새, 풍미를 개선할 수 있고, 웰빙 시대를 맞이하여 건강 지향적인 소비자의 수요에 부응하여 소비자의 취향과 기호에 맞게 즐길 수 있으며, 젊은 세대에게 친숙하게 다가갈 수 있다.
Description
점수 | 평가 기준 |
9 | 매우 좋음 |
7 | 좋음 |
5 | 보통 |
3 | 나쁨 |
1 | 매우 나쁨 |
구분 | 맛 | 향 | 외관 | 종합적 선호도 |
실시예 | 8.3 | 8.0 | 8.0 | 8.2 |
비교예 | 5.5 | 5.4 | 5.3 | 5.4 |
Claims (3)
- 메주를 준비하여 일정한 염도의 소금물에 침지하는 메주 준비 및 침지 단계(S310);
상기 메주가 침지된 소금물에 수용성 식이섬유를 혼합하여 숙성시키는 수용성 식이섬유 혼합 및 메주 숙성 단계(S320);
상기 수용성 식이섬유 혼합 및 메주 숙성 단계(S320)에서 숙성된 메주를 분리한 후 건조하여 분말화하는 숙성된 메주 분리 및 분말화 단계(S330);
상기 숙성된 메주 분리 및 분말화 단계(S330)에서 분말화된 메주와 고추가루를 메주 분말 및 고추가루 혼합 단계(S340):및 상기 메주 분말 및 고춧가루 혼합 단계 후 고추장을 숙성하는 숙성단계(S350);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성 식이섬유 혼합 및 메주 숙성 단계(S320)에서 수용성 식이섬유는 수용성 식이섬유 재료와 증점 다당류를 혼합하여 제조되되,
상기 수용성 식이섬유 재료는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 또는 폴리덱스트로스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되며, 50질량% 이상의 식이섬유를 함유하고, 20℃의 물 100㎖에 20g 이상 용해되며, 20℃에서 5질량% 수용액의 점도가 20mPas 미만의 점도를 나타내는 난소화성 당류이고,
상기 증점 다당류는 20℃에서 5질량% 수용액의 점도가 20mPas 이상의 점도를 나타내는 다당류로, 알긴산염, 알긴산 프로필렌글리콜에스테르, 카라기난, 구아검, 전분 또는 전분 유도체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되어 고추장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성 식이섬유를 이용한 고추장의 제조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주 분말 및 고추가루 혼합 단계(S340)는 분말화된 메주 및 고추가루를 6:4 내지 4:6의 중량비로 혼합하고, 상기 분말화된 메주 및 고추가루 전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수용성 식이섬유 2 내지 5 중량부를 더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성 식이섬유를 이용한 고추장의 제조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고추장 숙성단계(S350)는 고추장을 15~25℃에서 3~5일 동안 숙성시키는 제1숙성단계와,
상기 제1숙성단계를 거친 고추장을 0~2℃에서 5~7개월 동안 숙성시켜 제조하는 제2숙성단계를 거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성 식이섬유를 이용한 고추장의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18927A KR101728153B1 (ko) | 2015-08-24 | 2015-08-24 | 수용성 식이섬유를 이용한 고추장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고추장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18927A KR101728153B1 (ko) | 2015-08-24 | 2015-08-24 | 수용성 식이섬유를 이용한 고추장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고추장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24209A true KR20170024209A (ko) | 2017-03-07 |
KR101728153B1 KR101728153B1 (ko) | 2017-04-20 |
Family
ID=58411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18927A Active KR101728153B1 (ko) | 2015-08-24 | 2015-08-24 | 수용성 식이섬유를 이용한 고추장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고추장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28153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137796A (ko) * | 2017-06-19 | 2018-12-28 | 농업회사법인 안동제비원전통식품(주) | 곤약 함유 고추장의 제조방법 |
KR20190007879A (ko) * | 2017-07-14 | 2019-01-23 | 샘표식품 주식회사 | 장류 식품의 물성 개선을 위한 래디쉬-화이버 조성물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07157B1 (ko) | 2004-10-26 | 2006-08-02 | 진효상 | 고추장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고추장 |
KR20110034932A (ko) | 2009-09-29 | 2011-04-06 | 대상 주식회사 | 2 단계의 발효 및 숙성 단계를 포함하는 고추장의 제조방법 |
KR101480307B1 (ko) | 2014-09-16 | 2015-01-08 | 박미숙 | 대추, 보리 고추장 제조방법 및 그 대추, 보리 고추장 |
-
2015
- 2015-08-24 KR KR1020150118927A patent/KR101728153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07157B1 (ko) | 2004-10-26 | 2006-08-02 | 진효상 | 고추장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고추장 |
KR20110034932A (ko) | 2009-09-29 | 2011-04-06 | 대상 주식회사 | 2 단계의 발효 및 숙성 단계를 포함하는 고추장의 제조방법 |
KR101480307B1 (ko) | 2014-09-16 | 2015-01-08 | 박미숙 | 대추, 보리 고추장 제조방법 및 그 대추, 보리 고추장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137796A (ko) * | 2017-06-19 | 2018-12-28 | 농업회사법인 안동제비원전통식품(주) | 곤약 함유 고추장의 제조방법 |
KR20190007879A (ko) * | 2017-07-14 | 2019-01-23 | 샘표식품 주식회사 | 장류 식품의 물성 개선을 위한 래디쉬-화이버 조성물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28153B1 (ko) | 2017-04-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Nasar‐Abbas et al. | Carob kibble: A bioactive‐rich food ingredient | |
Guillon et al. | Carbohydrate fractions of legumes: uses in human nutrition and potential for health | |
EP2081446B1 (en) | Improved thickener composition for food products | |
KR101770255B1 (ko) | 기능성 식이섬유를 함유한 단무지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기능성 식이섬유를 함유한 단무지 | |
KR101728154B1 (ko) | 수용성 식이섬유를 이용한 간장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간장 | |
CN104544433A (zh) | 青稞纤维谷物饮料的制备方法 | |
KR101728153B1 (ko) | 수용성 식이섬유를 이용한 고추장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고추장 | |
KR20150053524A (ko) | 돼지감자와 당조고추를 이용한 소면 및 그의 제조방법 | |
JP4255106B2 (ja) | 米液化物及びその製造方法 | |
JP7164102B2 (ja) | 食物繊維補給食品 | |
KR101996535B1 (ko) | 소화 저항성 곡물 분말 및 그 제조방법 | |
JP7462280B2 (ja) | 組成物 | |
KR101938614B1 (ko) | 마를 함유하는 조청 및 이를 제조하는 장치 및 방법 | |
KR101288363B1 (ko) | 식이섬유와 함초를 함유하는 기능성 오색 즉석 컵 떡볶이 및 그 제조방법 | |
KR20190078716A (ko) | 요리조청 및 그 제조방법 | |
KR101498592B1 (ko) | 폴리덱스트로스를 함유한 물엿 조미료의 제조방법 | |
KR101473342B1 (ko) | 반건조묵의 제조방법 | |
JP2008099681A (ja) | 食物繊維及び/又はデキストリン含有組成物の不快味をマスキングする方法 | |
JP5202453B2 (ja) | 卵加工品の製造方法 | |
KR101808385B1 (ko) | 홍삼미숫가루 및 그 제조방법 | |
KR102563397B1 (ko) | 당 알코올을 포함하는 과립 조성물인 스노우파우더 및 이의 제조방법 | |
JP5340528B2 (ja) | 内臓における脂質の低減剤 | |
KR20180092205A (ko) | 분말벌꿀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 |
KR101728151B1 (ko) | 수용성 식이섬유를 이용한 된장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된장 | |
Igoe | Part I ingredients dictionar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82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105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4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04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41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5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41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40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41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