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1538A - Antiroll-Bar Assembly for Railway Vehicles - Google Patents
Antiroll-Bar Assembly for Railway Vehicle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21538A KR20170021538A KR1020150116041A KR20150116041A KR20170021538A KR 20170021538 A KR20170021538 A KR 20170021538A KR 1020150116041 A KR1020150116041 A KR 1020150116041A KR 20150116041 A KR20150116041 A KR 20150116041A KR 20170021538 A KR20170021538 A KR 2017002153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r
- rod
- lever arm
- roll bar
- fasten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F—RAIL VEHICLE SUSPENSIONS, e.g. UNDERFRAMES, BOGIES OR ARRANGEMENTS OF WHEEL AXLES; RAIL VEHICLES FOR USE ON TRACKS OF DIFFERENT WIDTH; PREVENTING DERAILING OF RAIL VEHICLES; WHEEL GUARDS, OBSTRUCTION REMOVERS OR THE LIKE FOR RAIL VEHICLES
- B61F5/00—Constructional details of bogies; Connections between bogies and vehicle underframes; Arrangements or devices for adjusting or allowing self-adjustment of wheel axles or bogies when rounding curves
- B61F5/02—Arrangements permitting limited transverse relative movements between vehicle underframe or bolster and bogie; Connections between underframes and bogies
- B61F5/22—Guiding of the vehicle underframes with respect to the bogies
- B61F5/24—Means for damping or minimising the canting, skewing, pitching, or plunging movements of the under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ring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도차량의 주행 중 발생되는 롤링 현상을 감소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철도차량용 안티롤바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립 구조의 변경을 통해 사용목적이나 적용 대상에 따라 안티롤바의 강성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안티롤바의 허용 강성에 대한 오차범위에 근접하도록 강성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철도차량용 안티롤바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안티롤바와, 상기 안티롤바의 양측 가장자리 부분에 결합되는 한 쌍의 레버암 및 상기 레버암과 차체의 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한 쌍의 로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철도차량용 안티롤바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레버암에 연결 설치되는 로드의 체결위치를 조절하여 안티롤바와 레버암과 로드의 체결부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nti-roll bar assembly for a railway car used for the purpose of reducing a rolling phenomenon occurring during running of a railway vehicle, And the stiffness can be controlled so as to be close to an error range with respect to the allowable stiffness of the antilock bar.
An antilock bar assembly for a railway car comprising an anti-roll bar, a pair of lever arms coupled to both side edges of the anti-roll bar, and a pair of rods connected between the lever arm and the vehicle body Wherein the rod is connected to the lever arm so as to adjust a fastening position of the rod so as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anchor bar and the lever arm and the fastening portion of the rod.
Description
본 발명은 철도차량의 주행 중 발생되는 롤링 현상을 감소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철도차량용 안티롤바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립 구조의 변경을 통해 사용목적이나 적용 대상에 따라 안티롤바의 강성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안티롤바의 허용 강성에 대한 오차범위에 근접하도록 강성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철도차량용 안티롤바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nti-roll bar assembly for a railway car used for the purpose of reducing a rolling phenomenon occurring during running of a railway vehicle, And the stiffness can be controlled so as to be close to an error range with respect to the allowable stiffness of the antilock bar.
일반적으로, 철도차량용 안티롤바(antiroll-bar) 어셈블리는 철도차량의 차체와 대차프레임의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차량의 주행시 발생되는 롤링 현상을 억제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Generally, an antiroll-bar assembly for a railway vehicle is installed between a vehicle body of a railway vehicle and a truck frame to prevent a rolling phenomenon occurring when the vehicle is running.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안티롤바 어셈블리는 대차의 양측 사이드프레임 사이에 연결 설치되고 스프링 강으로 이루어지는 봉 형상의 안티롤바와, 안티롤바의 양측 가장자리 부분에 고정 설치되는 한 쌍의 레버암과, 상기 레버암과 철도차량의 차체 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한 쌍의 로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철도차량의 주행 중 롤링 현상이 발생하게 되면 롤링 현상에 의한 하중이 로드와 레버암을 통해 안티롤바에 전달되어 안티롤바에 회전력이 인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In more detail, the anti-roll bar assembly includes a bar-shaped anti-roll bar which is connected between both side frames of the carriage and is made of spring steel, a pair of lever arms fixed to both side edges of the anti- And a pair of rods connected between the lever arm and the vehicle body of the railway vehicle. When a rolling phenomenon occurs while the railway vehicle is running, a load due to the rolling phenomenon is transmitted to the anti-roll bar through the rod and the lever arm. So that a rotational force is applied to the anti-roll bar.
이러한 안티롤바 어셈블리는 특히 철도차량이 곡선 구간(선회구간)을 주행하는 경우에 주된 역할을 하게 되는데, 철도차량이 곡선 구간을 주행하는 경우 차체는 원심력에 의해 바깥쪽으로 밀리게 되고, 그에 따라 차체의 무게중심이 바깥쪽으로 이동한 것과 마찬가지의 효과가 발생되어 차체가 외측으로 기울어지는 롤링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Such an anti-roll bar assembly plays a major role, in particular, when a railway vehicle travels in a curved section (turning section). When the railway vehicle runs in a curved section, the vehicle body is pushed outward by centrifugal force, An effect similar to that of moving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vehicle body outward is generated, and a rolling phenomenon occurs in which the vehicle body tilts to the outside.
이에 따라, 차량의 외측에 설치된 현가장치에 가해지는 하중이 증가되고, 내측에 설치된 현가장치에 가해지는 하중은 감소되어 외측 현가장치에 구비된 스프링의 변형은 커지게 되고, 내측 현가장치에 설치된 스프링의 변형은 작아지게 된다.As a result, the load applied to the suspension disposed outside the vehicle is increased, the load applied to the suspension disposed inside is reduced, and the deformation of the spring provided on the outer suspension becomes large, And the deformation of the tapered portion becomes smaller.
이때, 외측 사이드프레임에 연결 설치된 안티롤바의 일측 단부는 지면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움직이려 하게 되고, 내측 사이드프레임에 연결 설치된 안티롤바의 타측 단부는 지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움직이려 하게 되므로, 안티롤바가 비틀리게 되면서 토션바 스프링의 역할을 하게 된다.At this time, one end of the anti-roll bar connected to the outer side frame tries to move toward the ground, and the other end of the anti-roll bar connected to the inner side frame tends to move away from the ground. It becomes a torsion bar spring as it twists.
따라서, 상기 안티롤바의 작용에 의해 외측 현가장치와 내측 현가장치에 구비된 스프링의 변형량이 작아지게 되고, 그에 따라 차체의 롤링 현상이 줄어들게 되어 주행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the deformation amount of the spring provided on the outer suspension and the inner suspension can be reduced by the action of the anti-roll bar, and the rolling phenomenon of the vehicle body can be reduced.
이와 같은, 철도차량용 안티롤바 어셈블리의 일실시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26299호에는 철도차량용 안티롤바 장치가 게재되어 있는데, 그 주요 기술적 구성은 대차 프레임에 구비된 트랜솜 파이프의 내부를 관통하여 그 양단부가 상기 대차 프레임의 양측의 설치홀을 통해 돌출되게 설치되는 안티롤바; 상기 설치홀의 외측부에 각각 고정되는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어 안티롤바의 외주면을 압착 지지하는 압착부재; 상기 안티롤바의 양단부에 각각 고정 설치되는 한 쌍의 암부; 일단과 타단이 각각 상기 암부와 상기 철도차량 몸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철도차량 몸체가 기울어짐에 따른 하중을 상기 암부에 전달하는 한 쌍의 로드부; 및 상기 암부를 상기 안티롤바 측으로 가압하는 가압 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한 쌍의 암부는, 그 중 하나 또는 전부가 상기 안티롤바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안티롤바의 단부는 끝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그 외주면이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안티롤바의 단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암부에 구비된 고정홀은 그 내주면이 상기 안티롤바의 단부의 외주면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며, 상기 안티롤바가 상기 가압고정부에 의해 상기 고정홀에 압입 고정되도록 구성된 것에 그 특징이 있다.An example of such an anti-roll bar assembly for a railway car is Korean Patent No. 10-1126299, which discloses an anti-roll bar apparatus for a railway vehicle. The main technical structure of the anti-roll bar assembly is a transom pipe An antilock bar which is installed so that its both ends protrude through installation holes on both sides of the bogie frame; A pressing member provided inside the housing fixed to the outer side of the mounting hole to press-suppor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nilol bar; A pair of arm portions fixed to both ends of the antilock bar; A pair of rod portions rotatably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arm portion and the railway car body to transmit a load to the arm portion when the railway car body tilts; And one or both of the pair of arms are detachably fixed to the anilol bar, and the end of the anilol bar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ar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ing hole of the arm portion is form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nd portion of the anti-tyrolean bar,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ing hole, And the tyrol bar is press-fitted into the fixing hole by the pressure fixing portion.
상기 종래기술은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대차 프레임의 하부에 구비된 집전장치, 제동장치 등과 간섭을 일으키지 않으면서도 별도의 앤드빔이나 브래킷이 필요 없이 대차 프레임에 안전하고 신속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한 것에 그 특징이 있으나, 구조적으로 복잡하고 안티롤바의 강성 조절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structure can securely and quickly be installed on the bogie frame without requiring any separate end beam or bracket without causing interference with the current collectors, braking apparatuses and the like provided below the bogie frame However, it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structurally complicated and it is impossible to control the rigidity of the anti-roll bar.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안티롤바는 토션바 스프링과 같은 역할을 하게 되므로, 롤링 현상의 감소 및 주행안정성의 향상을 위해 안티롤바의 강성이 안티롤바 어셈블리의 설계시 가장 중요한 고려요소가 되어야 하는데, 상기 종래기술을 포함한 종래의 안티롤바 어셈블리는 안티롤바의 강성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 전혀 포함되어 있지 않으므로 안티롤바 어셈블리의 사용 수명이 떨어지게 될 뿐만 아니라, 안티롤바의 강성이 허용되는 오차범위를 벗어나게 되는 경우 완성된 안티롤바 어셈블리의 재활용이 어렵게 되는 등의 문제점을 갖게 되는 것이다.That is,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anti-roll bar acts like the torsion bar spring, the rigidity of the anti-roll bar is the most important consideration in designing the anti-roll bar assembly in order to reduce the rolling phenomenon and improve the running stability 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anilor bar assembly including the conventional art does not include any structure for changing the rigidity of the anilol bar, the service life of the anilol bar assembly is reduced, It is difficult to recycle the completed antilock bar assembly if the stiffness deviates from an allowable tolerance rang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안티롤바 어셈블리의 조립구조 변경을 통해 안티롤바의 강성을 허용강성의 오차범위 내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철도차량용 안티롤바 어셈블리를 제공함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art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ailway bar assembly capable of adjusting the rigidity of an anti- And to provide an automobile anti-roll bar assembly.
또한, 본 발명은 단순한 구성으로 안티롤바의 강성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티롤바 어셈블리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불량률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철도차량용 안티롤바 어셈블리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nti-roll bar assembly for a railway car which can improve the durability of the anti-roll bar assembly and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defect rate by adjusting the stiffness of the anti- There is a purpose.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안티롤바와, 상기 안티롤바의 양측 가장자리 부분에 결합되는 한 쌍의 레버암 및 상기 레버암과 차체의 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한 쌍의 로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철도차량용 안티롤바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레버암에 연결 설치되는 로드의 체결위치를 조절하여 안티롤바와 레버암과 로드의 체결부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antilock bar assembly for a railway car comprising an anti-roll bar, a pair of lever arms coupled to both side edges of the anti-roll bar, and a pair of rods connected between the lever arm and the vehicle body,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anchor bar and the lever arm and the coupling portion of the rod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fastening position of the rod connected to the lever arm.
이때, 상기 레버암의 단부에는 로드가 체결되는 체결공이 레버암의 길이 방향으로 길이가 긴 장공의 형태로 형성되어 로드의 체결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a fastening hole for fastening the rod to the end of the lever arm is formed in the shape of a long hole having a long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ever arm, so that the fastening position of the rod can be adjusted.
또한, 외형이 상기 체결공의 형상에 대응되고, 내측에는 로드의 피벗축에 형성된 관통홀의 형상에 대응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체결공의 내측에 삽입되는 스페이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spacer inserted in the inside of the fastening hole, the external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fastening hole and the through hol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pivot shaft of the rod.
그리고, 상기 안티롤바의 외측에 결합되어 결합된 부분에서의 안티롤바의 비틀림을 제한하는 비틀림방지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torsion bar that restricts twisting of the antilore bar at a portion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antilol bar and coupled thereto.
여기서, 상기 비틀림방지구는 안티롤바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하여 서로 결합되고, 일측이 개구된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부커버 및 하부커버와, 상기 상부커버 및 하부커버의 내측에 삽입 설치되어 안티롤바의 비틀림을 제한하는 제1 및 제2부시와, 상기 상부커버 및 하부커버의 일측에 결합되어 제1 및 제2부시의 이탈을 방지하는 덮개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orsion bar may include an upper cover and a lower cover which are coupled to each other so as to surround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anti-roll bar and have one side opened, and an anti-torsion bar inserted in the inside of the upper cover and the lower cover, And a lid member coupled to one side of the upper cover and the lower cover to prevent the first and second bushes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irst and second bushes.
또한, 상기 제1 및 제2부시는 일측이 두꺼운 쐐기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조임용 나사에 의해 덮개부재에 결합되어 조임용 나사를 회전시킴에 따라 안티롤바를 가압하여 안티롤바의 비틀림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bushes may have a thick wedge shape on one side, and may be coupled to the lid member by a screw for tightening to rotate the screw for tightening, thereby pressing the anti-roll bar to restrict twisting of the anti- .
그리고, 상기 덮개부재의 가장자리 부분에는 단턱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커버 및 하부커버는 단턱부의 내측으로 삽입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step portion is formed at an edge portion of the lid member, and the upper cover and the lower cover are inserted and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step portion.
한편, 상기 비틀림방지구는 서로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하여 안티롤바의 중앙부 외측면을 감싸도록 고정 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부재와, 상기 안티롤바의 길이 방향으로 고정부재의 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다수 개의 비틀림방지편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orsion bar may include a pair of fixing members fixedly installed to surround the central portion of the anti-torsion bar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 plurality of fixing members And a torsion prevention piece.
이때, 상기 고정부재의 외측면에는 다수 개의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비틀림방지편은 결합홈의 내측으로 삽입 결합되도록 하여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a plurality of coupling grooves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xing member, and the twist preventing pieces are inserted into and detached from the coupling groove.
본 발명에 따르면, 단순한 구성에 의해 안티롤바 어셈블리의 조립구조를 변경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티롤바의 강성을 허용강성의 오차범위 내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뛰어난 효과를 갖는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assembling structure of the antilock bar assembly by a simple structure, so that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rigidity of the antilock bar within an error range of the allowable stiffness.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안티롤바의 강성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티롤바 어셈블리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불량률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추가로 갖는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igidity of the anilor bar can be adjusted, thereby improving the durability of the anti-roll bar assembly and significantly reducing the defect rat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안티롤바의 강성 조정을 통해 철도차량의 곡선 주로 주행시 발생되는 롤링 현상의 감소 효과 및 그에 따른 주행 안정성과 승차감 향상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을 추가로 갖는다.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driving stability and the ride comfort improvement effect by reducing the rolling phenomenon occurring in the curved main road of the railway vehicle through the adjustment of the rigidity of the anti-roll ba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용 안티롤바 어셈블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분리 사시도.
도 3의 (a),(b)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 중 레버암과 로드의 결합 부분을 세부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A-A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용 안티롤바 어셈블리 중 안티롤바의 강성(롤 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6의 (a),(b)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 중 비틀림방지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 분리 사시도 및 정면도.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anti-roll bar assembly for a railway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ure 1;
FIG. 3 (a) and FIG. 3 (b) are views showing in detail the joint portion between the lever arm and the ro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4 is an AA sectional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5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n element that affects the stiffness (roll stiffness) of the anilor bar among the anti-roll bar assemblies for a railway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a) and 6 (b) are partial exploded perspective views and front views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torsion sp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용 안티롤바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an anti-roll bar assembly for a railway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용 안티롤바 어셈블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의 (a),(b)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 중 레버암과 로드의 결합 부분을 세부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A-A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용 안티롤바 어셈블리 중 안티롤바의 강성(롤 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의 (a),(b)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 중 비틀림방지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 분리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nti-roll bar assembly for a railway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 and FIGS. 3 (a)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1, and Fig. 5 is a view showing the rigidity of the Anilol bar among the roll bar assemblies for a railway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A and 6B are partial perspective view and front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본 발명은 조립 구조의 변경을 통해 사용목적이나 적용 대상에 따라 안티롤바의 강성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안티롤바의 허용 강성에 대한 오차범위에 근접하도록 강성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철도차량용 안티롤바 어셈블리(10)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게 안티롤바(100), 레버암(200) 및 로드(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nti-roll bar for a railway vehicle which can control the stiffness of an anti-roll bar according to a purpose of use or application through modification of an assembling structure, and adjust rigidity so as to approach an error range with respect to the allowable stiffness of the anti-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ilol bar assembly (10), and its configuration is largely made up of an anti-roll bar (100), a lever arm (200) and a rod (300) as shown in Fig.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안티롤바(100)는 스프링 강을 재질로 하는 봉 형상으로 이루어져 철도차량의 양측 대차프레임의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철도차량이 곡선구간(선회구간) 등을 주행하는 경우 토션바 스프링의 역할을 함으로써 차량에 작용하는 롤링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More specifically, the
다음, 상기 레버암(200)은 안티롤바(100)의 양측 가장자리 부분에 고정 설치되어 로드(300)에 의해 전달되는 철도차량의 하중을 안티롤바(10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고, 상기 로드(300)는 레버암(200)과 철도차량의 차체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철도차량의 주행 중 롤링 현상이 발생하게 되면 롤링 현상에 의한 하중을 레버암(200)을 통해 안티롤바(100)에 전달함으로써 안티롤바(100)에 회전력이 인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Next, the
상기와 같은 안티롤바(100), 레버암(200) 및 로드(300)의 구성은 기존 철도차량에도 적용되어 사용되는 것이므로 보다 세부적인 구성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configuration of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된 철도차량용 안티롤바 어셈블리(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철도차량이 곡선 구간을 주행하는 경우 차체에 발생되는 롤링 현상을 억제함으로써 주행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사용되는데, 이때 상기 안티롤바(100)가 토션바 스프링의 역할을 하게 되므로 롤링 현상의 억제를 위해서는 안티롤바(100)의 롤 강성(이하, '강성'이라 한다.)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하겠다.As described above, the
즉, 안티롤바(100)의 강성이 강해질수록 곡선 구간에서의 롤링 현상은 억제되지만, 철도차량이 직선구간을 주행하는 경우에는 안티롤바(100)의 강성이 강할수록 현가장치의 기능이 억제되어 승차감이 떨어질 우려가 있으므로 안티롤바(100)의 강성을 적절히 조절하여 곡선 구간에서의 롤링 현상을 억제하면서도 직선 구간에서의 승차감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at is, as the rigidity of the
안티롤바(100)를 토션바 스프링으로 가정할 경우, 도 5에 도시된 내용을 바탕으로 하여 안티롤바(100)의 강성을 구하는 식을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Assuming that the
... (1) ... (One)
(이때, R: 안티롤바의 롤 강성, d: 안티롤바의 직경, 2l: 안티롤바의 비틀림이 작용하는 유효길이, 2L: 레버암 사이의 거리, a: 레버암 길이, 즉 안티롤바의 중심과 레버암과 로드의 체결부 사이의 거리, m: 레버암과 안티롤바 단부 사이의 거리, G: 안티롤바의 횡탄성계수, E: 안티롤바의 종탄성계수)D is the diameter of the anilyl bar, 2l is the effective length at which twisting of the antilore bar acts, 2L is the distance between the lever arms, and a is the lever arm length, that is, M is the distance between the lever arm and the end of the antilube bar, G is the transverse elastic modulus of the antilore bar, and E is the longitudinal elastic modulus of the antilore bar.
상기 (1)식으로부터 안티롤바(100)의 강성은 안티롤바(100)의 직경(d), 안티롤바(100)의 비틀림이 작용하는 유효길이(2l), 레버암(200) 사이의 거리(2L), 안티롤바(100)의 중심과 레버암(200)과 로드(300)의 체결부 사이의 거리(a, 이하 '레버암 길이'라 한다) 및 레버암(200)과 안티롤바(100) 단부 사이의 거리(m)에 따라 달라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이 중 레버암 길이(a)를 조절함으로써 안티롤바(100)의 강성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igidity of the
즉, 상기 (1)식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안티롤바(100)의 강성이 레버암 길이의 제곱에 반비례하므로, 레버암 길이 즉, 안티롤바(100)의 중심과 레버암(200)과 로드(300)의 체결부 사이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안티롤바(100)의 강성을 조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at is, since the rigidity of the
상기와 같은 레버암(200) 길이의 조절은 레버암(200)과 로드(300)의 체결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를 위해 레버암(200)의 단부에 형성되는 체결공(220)은 레버암(200)의 길이 방향으로 길이가 긴 형태의 장공 형상으로 형성된다.The length of the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3의 (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버암(200)의 단부에는 로드(300)의 일측 단부가 수용되는 수용홈(210)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210)의 외측 단부에는 로드(300)가 체결되는 체결공(220)이 레버암(200)의 길이 방향으로 길이가 긴 장공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3 (a) and 3 (b), a receiving
또한, 상기 레버암(200)의 수용홈(210) 내측으로 수용되는 로드(300)의 일측 단부에는 로드(300)와 레버암(200)을 연결시켜주는 관절 역할을 하는 너클(310)이 구비되고, 상기 너클(310)의 양측으로는 체결수단에 의해 레버암(200)의 체결공(220)에 체결되는 관통홀(322)이 형성된 피벗축(320)이 돌출되어 있다.A
즉, 레버암(200)에 형성된 체결공(220)과, 로드(300)의 피벗축(320)에 형성된 관통홀(322)이 서로 맞닿도록 한 상태에서 볼트, 너트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레버암(200)과 로드(300)를 체결하게 되는데, 체결공(220)의 형상을 레버암(20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함으로써 로드(300)의 체결 위치를 레버암(200)의 길이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That is, the
이때, 상기 체결공(220)의 내측에는 스페이서(230)가 삽입 설치될 수 있는데, 상기 스페이서(230)는 레버암(200)과 로드(300) 사이의 체결부가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At this time, a
즉, 철도차량의 주행 중 로드(300)와 레버암(200) 사이의 체결부에 하중이 걸리는 경우 장공 형상으로 형성된 체결공(220)의 형상으로 인해 로드(300)와 레버암(200) 사이의 체결이 헐거워지거나 체결부에서 마찰에 의한 소음 및 마모가 발생될 우려가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체결공(220)의 형상과 동일한 외형을 갖는 스페이서(230)를 체결공(220)의 내측으로 삽입시킨 상태에서 레버암(200)과 로드(300)를 결합시키도록 구성된 것이다.That is, when a load is applied to the fastening portion between the
이때, 상기 스페이서(230)에는 로드(300)의 피벗축(320)에 형성된 관통홀(322)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 관통공(232), 즉 레버암(200)과 로드(300)의 체결을 위한 체결수단이 삽입되는 관통공(232)이 형성되는데, 상기 스페이서(230)에 형성되는 관통공(232)의 위치에 따라 로드(300)의 체결위치가 달라지게 되므로 레버암(200)과 로드(300)의 체결시 관통공(232)의 위치가 서로 다른 다양한 스페이서(230)가 준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through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용 안티롤바 어셈블리(10)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1)식에서의 안티롤바(100)의 비틀림이 작용하는 유효길이(2l)의 조절을 통해 안티롤바(100)의 강성을 조정할 수도 있는데, 이를 위해 안티롤바(100)의 외측면에는 안티롤바(100)의 비틀림을 제한하는 비틀림방지구(400)가 결합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즉, 상기 (1)식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안티롤바(100)의 강성이 안티롤바(100)의 비틀림이 작용하는 유효길이(2l)와 반비례하게 되므로 안티롤바(100)의 외측에 결합되는 비틀림방지구(400)를 통해 안티롤바(100)의 비틀림 발생 구간을 조절함으로써 안티롤바(100)의 강성을 조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at is, as shown in Equation (1), since the rigidity of the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비틀림방지구(400)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커버(410) 및 하부커버(420), 제1 및 제2부시(440,450), 덮개부재(4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상부커버(410) 및 하부커버(420)는 각각 안티롤바(100)의 상부와 하부를 커버하도록 하여 안티롤바(100)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결합되는 것이다.4, the
이때, 상기 상부커버(410)와 하부커버(420)는 일측이 개구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측에 공간부(412,422)가 형성되어 안쪽으로 후술할 제1 및 제2부시(440,450)가 삽입 설치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볼트, 너트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At this time, the
다음, 상기 제1 및 제2부시(440,450)는 상부커버(410)와 하부커버(420)의 내측에 각각 삽입 설치되어 안티롤바(100)의 외측면을 가압함으로써 안티롤바(100)의 비틀림을 제한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고, 상기 덮개부재(430)는 안티롤바(100)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하여 상부커버(410)와 하부커버(420)의 일측에 결합됨으로써 제1 및 제2부시(440,450)의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The first and
이때, 상기 덮개부재(430)가 결합되는 상부커버(410)와 하부커버(420)의 측면과, 덮개부재(430)에는 다수의 체결공이 형성되어 볼트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덮개부재(430)가 상부커버(410) 및 하부커버(420)와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are formed in the side surfaces of the
또한, 상기 상부커버(410)와 하부커버(420)의 내측에 형성된 공간부(412,422)는 덮개부재(430)가 결합되는 쪽이 넓고 안쪽으로 들어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진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부시(440,450)는 상기 공간부(412,422)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하여 일측이 두꺼운 쐐기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 및 제2부시(440,450)의 일측에는 조임용 나사에 의해 덮개부재(430)와 체결되는 나사공이 형성되어 있다.The
즉, 상부커버(410)와 하부커버(420)의 내측으로 제1 및 제2부시(440,450)를 삽입한 후 덮개부재(430)를 상부커버(410)와 하부커버(420)의 일측면에 체결 고정시킨 상태에서 덮개부재(430)에 형성된 체결공 및 제1 및 제2부시(440,450)에 형성된 나사공을 통해 조임용 나사를 결합하여 회전시키면, 조임용 나사의 회전에 의해 제1 및 제2부시(440,450)가 테이퍼진 형상의 공간부(412,422)를 따라 안쪽으로 밀려 들어가면서 쐐기작용에 의해 안티롤바(100)의 외측면을 가압하게 되어 안티롤바(100)의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at is, after inserting the first and
이때, 상기 덮개부재(430)의 가장자리 부분에는 단턱부(432)가 형성되어, 상기 상부커버(410)와 하부커버(420)의 외측면이 단턱부(432)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제1 및 제2부시(440,450)의 이동에 의한 상부커버(410)와 하부커버(420)의 형상 변화를 억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At this time, a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안티롤바(100)의 비틀림을 억제하여 안티롤바(100)의 강성과 관련되는 안티롤바(100)의 비틀림이 작용하는 유효길이(2l)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비틀림방지구(400)의 다른 실시예로 도 6의 (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쌍의 고정부재(470)와 비틀림방지편(480)이 사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the twisting of the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고정부재(470)는 용접, 접합 등의 방법에 의해 안티롤바의 중앙부 외측면에 결합되어 후술할 비틀림방지편(480)이 안티롤바(100)에 고정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는 것으로, 한 쌍의 고정부재(470)가 서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된다.More specifically, the fixing
다음, 상기 비틀림방지편(480)은 안티롤바(100)의 길이 방향으로 위치되도록 하여 서로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설치된 한 쌍의 고정부재(470)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서로 일정 간격을 이루도록 하여 다수 개의 비틀림방지편(480)이 설치됨으로써 안티롤바(100)의 비틀림을 억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이때, 상기 고정부재(470)의 외측면에는 다수 개의 결합홈(472)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472)의 내측으로 비틀림방지편(480)이 삽입 설치될 수 있도록 하여 안티롤바(100)에 결합되는 비틀림방지편(480)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a plurality of
즉, 상기 결합홈(472)의 양측 단부 상부에 볼트 등의 체결수단이 관통되는 관통홀(474a)이 형성된 체결편(474)을 형성시키고, 상기 결합홈(472)의 내측으로 삽입 결합되는 비틀림방지편(482)에도 체결수단이 관통되는 관통홀(482)을 체결편(474)의 관통홀(474a)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하여, 비틀림방지편(480)을 결합홈(472)의 내측으로 삽입시킨 상태에서 체결수단을 통해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비틀림방지편(480)의 착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이다.That is, a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고정부재(470)에 체결 고정되는 비틀림방지편(480)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게 되어 비틀림방지구(400)에 의한 안티롤바(100)의 비틀림 제한 정도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The number of the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용 안티롤바 어셈블리(10)에 의하면, 단순한 구성에 의해 안티롤바 어셈블리의 조립구조를 변경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티롤바(100)의 강성을 허용강성의 오차범위 내로 조정할 수 있고, 안티롤바(100)의 강성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티롤바 어셈블리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불량률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으며, 안티롤바(100)의 강성 조정을 통해 철도차량의 곡선 주로 주행시 발생되는 롤링 현상의 감소 효과 및 그에 따른 주행 안정성 향상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등의 다양한 장점을 갖는 것이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assembling structure of the anti-roll bar assembly by a simple structure, so that the stiffness of the
전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for illustrative purpose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adily appreciate that many modifications are possible in the exemplary embodiments without materially departing from the novel teachings and advantages of this invention.
본 발명은 철도차량의 주행 중 발생되는 롤링 현상을 감소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철도차량용 안티롤바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립 구조의 변경을 통해 사용목적이나 적용 대상에 따라 안티롤바의 강성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안티롤바의 허용 강성에 대한 오차범위에 근접하도록 강성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철도차량용 안티롤바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nti-roll bar assembly for a railway car used for the purpose of reducing a rolling phenomenon occurring during running of a railway vehicle, And the stiffness can be controlled so as to be close to an error range with respect to the allowable stiffness of the antilock bar.
10 : 안티롤바 어셈블리
100 : 안티롤바
200 : 레버암
210 : 수용홈
220 : 체결공
230 : 스페이서
232 : 관통공
300 : 로드
310 : 너클
320 : 피벗축
322 : 관통홀
400 : 비틀림방지구
410 : 상부커버
412, 422 : 공간부
420 : 하부커버
430 : 덮개부재
432 : 단턱부
440 : 제1부시
450 : 제2부시
460 : 조임용 나사
470 : 고정부재
472 : 결합홈
474 : 체결편
474a, 482 : 체결홀
480 : 비틀림방지편10: Anilol bar assembly 100: Anilol bar
200: lever arm 210: receiving groove
220: fastening hole 230: spacer
232: through hole 300: rod
310: knuckle 320: pivot axis
322: Through hole 400: Torsion room
410:
420: lower cover 430: cover member
432: step portion 440: first bush
450: second bushing 460: screw for fastening
470: fixing member 472: engaging groove
474:
480:
Claims (9)
상기 레버암에 연결 설치되는 로드의 체결위치를 조절하여 안티롤바와 레버암과 로드의 체결부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안티롤바 어셈블리.
An antilock bar assembly for a railway car comprising an anti-roll bar, a pair of lever arms coupled to both side edges of the anti-roll bar, and a pair of rods connected between the lever arm and the vehicle body,
And the rod is connected to the lever arm so as to adjust a fastening position of the rod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fastening part of the rod and the lever arm can be adjusted.
상기 레버암의 단부에는 로드가 체결되는 체결공이 레버암의 길이 방향으로 길이가 긴 장공의 형태로 형성되어 로드의 체결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안티롤바 어셈블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astening hole for fastening the rod to the end portion of the lever arm is formed in the shape of a slot having a long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ever arm to adjust the fastening position of the rod.
외형이 상기 체결공의 형상에 대응되고, 내측에는 로드의 피벗축에 형성된 관통홀의 형상에 대응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체결공의 내측에 삽입되는 스페이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안티롤바 어셈블리.
3. The method of claim 2,
And a spacer inserted in the inside of the fastening hole, the external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fastening hole and the through hol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pivot shaft of the rod on the inner side thereof. assembly.
상기 안티롤바의 외측에 결합되어 결합된 부분에서의 안티롤바의 비틀림을 제한하는 비틀림방지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안티롤바 어셈블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n anti-torsion bar for restricting the torsion of the anti-torsion bar at a portion coupled to the outer side of the anti-torsion bar.
상기 비틀림방지구는 안티롤바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하여 서로 결합되고, 일측이 개구된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부커버 및 하부커버와, 상기 상부커버 및 하부커버의 내측에 삽입 설치되어 안티롤바의 비틀림을 제한하는 제1 및 제2부시와, 상기 상부커버 및 하부커버의 일측에 결합되어 제1 및 제2부시의 이탈을 방지하는 덮개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안티롤바 어셈블리.
5. The method of claim 4,
The twist preventing member includes an upper cover and a lower cover which are coupled to each other so as to surround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anti-roll bar and have one side opened, and a twist-preventing member inserted into the upper and lower covers to twist the anti- And a lid member coupled to one side of the upper cover and the lower cover to prevent the first and second bushes from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상기 제1 및 제2부시는 일측이 두꺼운 쐐기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조임용 나사에 의해 덮개부재에 결합되어 조임용 나사를 회전시킴에 따라 안티롤바를 가압하여 안티롤바의 비틀림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안티롤바 어셈블리.
6. The method of claim 5,
The first and second bushes are formed in a thick wedge shape on one side and are coupled to the lid member by a screw for tightening to rotate the screw for tightening to pressurize the antilol bar to restrict twisting of the antilol bar Anchor bar assembly for a railroad car.
상기 덮개부재의 가장자리 부분에는 단턱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커버 및 하부커버는 단턱부의 내측으로 삽입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안티롤바 어셈블리.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stepped portion is formed at an edge portion of the lid member, and the upper cover and the lower cover are inserted and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step portion.
상기 비틀림방지구는 서로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하여 안티롤바의 중앙부 외측면을 감싸도록 고정 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부재와,
상기 안티롤바의 길이 방향으로 고정부재의 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다수 개의 비틀림방지편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안티롤바 어셈블리.
5. The method of claim 4,
A pair of fixing members fixedly installed to surround the outer side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anti-roll bar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 plurality of anti-twist pieces connected between the fixing member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nti-tyrolean bar.
상기 고정부재의 외측면에는 다수 개의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비틀림방지편은 결합홈의 내측으로 삽입 결합되도록 하여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안티롤바 어셈블리.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a plurality of engaging grooves are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fixing member, and the anti-twisted piece is configured to be removably inserted into the engaging groov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16041A KR101720275B1 (en) | 2015-08-18 | 2015-08-18 | Antiroll-Bar Assembly for Railway Vehicle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16041A KR101720275B1 (en) | 2015-08-18 | 2015-08-18 | Antiroll-Bar Assembly for Railway Vehicle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21538A true KR20170021538A (en) | 2017-02-28 |
KR101720275B1 KR101720275B1 (en) | 2017-03-28 |
Family
ID=58495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16041A Active KR101720275B1 (en) | 2015-08-18 | 2015-08-18 | Antiroll-Bar Assembly for Railway Vehicle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20275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137821A (en) * | 2017-06-19 | 2018-12-28 | 남학기 | Antiroll-bar assembly for railway vehicle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16832B1 (en) | 2018-11-19 | 2020-06-09 | 현대로템 주식회사 | Lever arm disassembly jig for railway car anti-roll bar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321515A (en) * | 2001-04-25 | 2002-11-05 | Yamaha Motor Co Ltd | Stabilizer device for automotive suspension |
KR20090064728A (en) * | 2007-12-17 | 2009-06-22 |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 Stabilizer Bar Bush |
WO2010056187A1 (en) * | 2008-11-17 | 2010-05-20 | Scania Cv Ab (Publ) | Anti-roll bar and spacing means |
KR20110010899A (en) * | 2009-07-27 | 2011-02-08 | 현대로템 주식회사 | Anti-roll bar device for rolling stock |
KR101126299B1 (en) | 2009-12-17 | 2012-03-19 | 현대로템 주식회사 | Anti-roll bar apparatus for railway vehicle |
-
2015
- 2015-08-18 KR KR1020150116041A patent/KR101720275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321515A (en) * | 2001-04-25 | 2002-11-05 | Yamaha Motor Co Ltd | Stabilizer device for automotive suspension |
KR20090064728A (en) * | 2007-12-17 | 2009-06-22 |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 Stabilizer Bar Bush |
WO2010056187A1 (en) * | 2008-11-17 | 2010-05-20 | Scania Cv Ab (Publ) | Anti-roll bar and spacing means |
KR20110010899A (en) * | 2009-07-27 | 2011-02-08 | 현대로템 주식회사 | Anti-roll bar device for rolling stock |
KR101126299B1 (en) | 2009-12-17 | 2012-03-19 | 현대로템 주식회사 | Anti-roll bar apparatus for railway vehicle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137821A (en) * | 2017-06-19 | 2018-12-28 | 남학기 | Antiroll-bar assembly for railway vehicle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20275B1 (en) | 2017-03-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520515B2 (en) | Steer axle suspension | |
CN110475681B (en) | Automobile rear suspension structure | |
US4203615A (en) | Automotive vehicle suspension | |
KR101720275B1 (en) | Antiroll-Bar Assembly for Railway Vehicles | |
EP0114790A2 (en) | Rear suspension for motor vehicles | |
US7188850B2 (en) | Beam axle suspension with diagonal link | |
EP3297860B1 (en) | Link assembly for longitudinal arm vehicle suspension | |
DE602005002921T2 (en) | axle suspension | |
CN113263882A (en) | Anti-roll bar structure of FSAE racing car double-cross-arm suspension | |
JP4025420B2 (en) | Suspension rod | |
KR101491181B1 (en) | Bushing structure for vehicles | |
KR100580515B1 (en) | Rear suspension of car | |
KR20100038994A (en) | Stabilizer bar mounting unit for vehicle | |
JP2008149789A (en) | Connecting means | |
DE102011112387A1 (en) | Transverse stabilizer for stabilizing body of three-wheeled electrically operated motor vehicle, has torsion bar supported on support structure component of body along vehicle transverse direction in occurrence of lateral forces | |
US8342487B2 (en) | Anti-roll leaf spring suspension | |
KR100456896B1 (en) | Trailing arm bush of rear suspension | |
KR100422552B1 (en) | rear suspension structure of car | |
JPH0719953Y2 (en) | Vehicle suspension system | |
KR100503328B1 (en) | structure of mediating spring constant of torsion bar for car suspension | |
KR100535112B1 (en) | front suspension of truck | |
KR100811918B1 (en) | Connection structure of mounting bushing and body for coupled torsion beam axle suspension | |
KR100831495B1 (en) | Structure of stabilizer bar for automobile | |
JPS6036967B2 (en) | car suspension | |
JP3714042B2 (en) | Trailing leaf suspens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81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9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30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3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03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5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2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40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41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