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0989A - Relay connection terminal assembly - Google Patents
Relay connection terminal assembl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20989A KR20170020989A KR1020150115184A KR20150115184A KR20170020989A KR 20170020989 A KR20170020989 A KR 20170020989A KR 1020150115184 A KR1020150115184 A KR 1020150115184A KR 20150115184 A KR20150115184 A KR 20150115184A KR 20170020989 A KR20170020989 A KR 2017002098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rminal
- move
- fix
- terminals
- slid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712 assembly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429 assembly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6651 mood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0169 heat gen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4—Terminal arrangemen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02—Bases; Casings; Covers
- H01H50/04—Mounting complete relay or separate parts of relay on a base or inside a case
- H01H50/047—Details concerning mounting a relay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1/00—Electromagnetic relays
- H01H51/02—Non-polarised relays
- H01H51/04—Non-polarised relays with single armature; with single set of ganged armatures
- H01H51/06—Armature is movable between two limit positions of rest and is moved in one direction due to energisation of an electromagnet and after the electromagnet is de-energised is returned by energy stored during the movement in the first direction, e.g. by using a spring, by using a permanent magnet, by gravity
- H01H51/065—Relays having a pair of normally open contacts rigidly fixed to a magnetic core movable along the axis of a solenoid, e.g. relays for starting automobi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릴레이 접점 단자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성은 릴레이 바디(7)에 지지되어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된 적어도 두 개의 픽스 터미널(10); 상기 픽스 터미널(10) 각각에 마주하도록 배치된 적어도 두 개의 무브 터미널(20); 상기 무브 터미널(20)을 상기 픽스 터미널(10)에 접촉시키거나 접촉해제되도록 작동시키는 무브 슬라이드(30);를 포함하며, 상기 무브 슬라이드(30)는 상기 릴레이 바디(7)에 좌우로 전후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액츄에이터(6)에는 상기 무브 슬라이드(30)가 연결되고, 상기 무브 슬라이드(30)에 상기 무브 터미널(20)들이 연결되어, 상기 액츄에이터(6)의 작동에 의해 상기 무브 슬라이드(30)가 전후진 작동되면, 상기 무브 터미널(20)들이 상기 픽스 터미널(10)에 접촉되거나 상기 픽스 터미널(10)에서 떨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lay contact terminal assembly, which comprises at least two fix terminals (10) supported at a relay body (7) and disposed at positions facing each other; At least two move terminals (20) arranged to face each of said fix terminals (10); And a move slide 30 for operating the move terminal 20 to contact or release contact with the fix terminal 10 while the move slide 30 is moved forward and backward Wherein the actuator 6 is connected to the move slide 30 and the move terminals 20 are connected to the move slide 30 so that the moveable slide 30 is moved by the actuator 6, When the movable terminal 30 is operated forward and backward, the move terminals 20 contact the fix terminal 10 or fall away from the fix terminal 10.
Description
본 발명은 릴레이 접점 단자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릴레이 내부의 단자가 제대로 떨어지지 못하여 대기 전력 차단이 제대로 되지 못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릴레이 접점 단자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lay contact terminal assembly, and more particularly, to a new relay contact terminal assembly capable of preventing the terminal inside the relay from falling off properly,
일반적으로, 배전반 등의 내부에는 릴레이 소켓이 구비되고, 릴레이 소켓에는 기계설비의 각 주요 부분의 특성에 맞는 릴레이(스위치)를 접속하게 된다. 즉, 릴레이는 릴레이(relay)는 전압, 전류, 전력, 주파수등의 전기신호를 비롯하여 온도, 빛 등 여러 가지 입력신호에 따라서 전기 회로를 열거나 닫거나 하는 스위칭(switching) 역할을 하는 회로소자로서, 반도체 장비와 같은 각종 기계 장치 등에 연결되어 스위치 기능을 하게 된다. 이때, 릴레이로는 입력 신호에 따라 접점을 물리적으로 개폐하여 회로를 단속하는 전자 릴레이와 같은 접점 릴레이 등이 있는데, 상기 접점 릴레이의 경우 입력신호가 있을 경우 복수개의 접점들이 교번적으로 접촉(콘택트)되거나 비접촉되면서 스위칭 온오프(ON/OFF)하게 된다.In general, a relay socket is provided in an interior of an electric distribution panel or the like, and a relay (switch) is connected to a relay socket in accordanc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each main part of the mechanical equipment. That is, a relay is a circuit element that functions as switching for opening and closing an electric circuit in accordance with various input signals such as temperature, light, electric signals such as voltage, current, power, frequency, A semiconductor device, and the like. In this case, the relay includes a contact relay such as an electronic relay that physically opens and closes a contact according to an input signal to intermittently control the circuit. In the case of the contact relay, a plurality of contacts are alternately contacted (contact) (ON / OFF) while switching on or off.
한편, 릴레이는 상기와 같이 각종 기계 장치 등에 연결되어 스위치 역할을 하는데, 기계 장치 등의 가동이 되지 않는 경우와 같이 대기 전력을 공급할 필요가 없을 때에는 대기 전력을 차단할 필요가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종래에 대기 전력을 차단하기 위한 접점 구조(단자 접점 구조)를 취하게 된다. 다시 말해, 기계 장치 등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릴레이 내부의 접점 단자에 가동 단자가 교번적으로 접촉되거나 접촉 해제되면서 릴레이를 스위칭 온오프시킴으로써 전력을 기계 장치 등에 공급하고 대기 전력을 차단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relays are connected to various mechanical devices as described above and serve as switches. When there is no need to supply the standby power as in the case where the mechanical devices are not operated, the standby power needs to be cut off. And a contact structure (terminal contact structure) for blocking standby power is taken. In other words, by switching on / off the relay while the movable terminal is alternately contacted or disconnected to the contact terminal inside the relay to supply power to the mechanical device or the like, power is supplied to the mechanical device and the standby power is cut off.
그런데, 기존에는 가동 단자가 접점 단자에 접촉(콘택트)된 상태에서 열발생 등에 의하여 가동 단자가 접점 단자에서 제대로 떨어지지 못하게 되므로, 대기 전력을 차단하는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art, when the movable terminal is contacted (contacted) with the contact terminal, the movable terminal is not properly detached from the contact terminal due to heat generation and the like.
또한, 기존에는 이처럼 가동 단자가 접점 단자에서 제대로 떨어지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여 릴레이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도 있다. 가동 단자가 접점 단자에 자주 들러붙어서 떨어지지 않는 현상(용착되는 현상)이 발생된다는 것은 릴레이의 수명이 다했다는 것을 의미하며, 기존에는 이러한 가동 단자와 접촉 단자의 용착으로 인하여 릴레이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를 가지고 있는 것이다.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ovable terminal frequently fails to fall off from the contact terminal frequently so that the life of the relay is shortened. The fact that the movable terminal is often attached to the contact terminal and does not fall off (welding phenomenon) means that the relay has reached the end of its life. In the past, the life of the relay is shortened due to the welding of the movable terminal and the contact terminal .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릴레이 내부의 접점 단자에 가동 단자가 들러 붙어서 제대로 접점 단자에서 가동 단자가 떨어지지 못하는 경우를 방지하므로, 대기 전력 차단 기능 등에 있어서 제대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새로운 릴레이 접점 단자 어셈블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eloped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lay apparatus and a relay apparatus which prevent the movable terminal from sticking to the contact terminal inside the rela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new relay contact terminal assembly capable of performing a function properly in the case of a relay contact terminal assembly.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릴레이 바디에 지지되어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된 적어도 두 개의 픽스 터미널; 상기 픽스 터미널 각각에 마주하도록 배치된 적어도 두 개의 무브 터미널; 상기 무브 터미널을 상기 픽스 터미널에 접촉시키거나 접촉해제되도록 작동시키는 무브 슬라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접점 단자 어셈블리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elay terminal comprising: at least two fix terminals supported at a relay body and disposed at positions facing each other; At least two move terminals disposed to face each of the fix terminals; And a move slide for moving the move terminal to contact or release the fix terminal.
상기 무브 슬라이드는 상기 릴레이 바디에 좌우로 전후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액츄에이터에는 상기 무브 슬라이드가 연결되고, 상기 무브 슬라이드에 상기 무브 터미널들이 연결되어, 상기 액츄에이터의 작동에 의해 상기 무브 슬라이드가 전후진 작동되면, 상기 무브 터미널들이 상기 픽스 터미널에 접촉되거나 상기 픽스 터미널에서 떨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movable slide is coupled to the relay body such that the movable slide can be moved back and forth in a lateral direction, the actuator is connected to the movable slide, and the movable terminals are connected to the movable slide, And when operated, the move terminals are configured to contact the fix terminal or to be detached from the fix terminal.
상기 무브 슬라이드에는 터미널 결합홀이 구비되고, 상기 터미널 결합홀은 양쪽 사이드 폭이 서로 다른 제1터미널 결합홀과 제2터미널 결합홀을 포함하며, 상기 무브 터미널은 제1무브 터미널편과 제2무브 터미널편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1무브 터미널편은 상기 무브 슬라이드의 상기 제1터미널 결합홀에 끼워지고 상기 제2무브 터미널편은 상기 무브 슬라이드의 상기 제2터미널 결합홀에 끼워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move slide is provided with a terminal engaging hole, wherein the terminal engaging hole includes a first terminal engaging hole and a second terminal engaging hole having opposite side widths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move terminal including a first move- Wherein the first move terminal piece is fitted in the first terminal engagement hole of the move slide and the second move terminal piece is configured to fit in the second terminal engagement hole of the move slide .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릴레이 바디에 힌지부를 매개로 결합되어 상기 힌지부를 기준으로 시소 운동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액츄에이터의 상면은 회동 연결부를 매개로 상기 무브 슬라이드의 저면에 연결되어, 상기 액츄에이터가 상기 힌지부를 기준으로 시소 회동함에 따라 상기 무브 슬라이드가 상기 회동 연결부를 기준으로 상기 릴레이 바디의 양쪽 측단부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actuator is configured to perform a seesaw motion with reference to the hinge unit by being coupled to the relay body via a hinge por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actuator being connected to a bottom surface of the move slide through a pivotal connection portion, And the movable slide is reciprocally movable in the direction of both ends of the relay body with respect to the pivotal connection portion.
상기 회동 연결부는 상기 액츄에이터의 상면으로 돌출된 회동 지지핀과, 상기 회동 지지핀에 구비된 단면 원형의 회동 전달편과, 상기 회동 전달편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무브 슬라이드의 저면에 구비된 회동 기준홈(6c)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otation transmitting unit includes a rotation support pin protruding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actuator, a rotation transferring piece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and provided on the rotation support pin, And a
상기 무브 슬라이드는 양쪽 측단부에 상하면의 두께가 더 작은 무브 터미널 연결패널을 구비하며, 상기 무브 터미널 연결패널에 상기 제1터미널 결합홀과 상기 제2터미널 결합홀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ove-slide includes a move-terminal connection panel having a smaller thickness on both sides, and the move-terminal connection panel includes the first terminal-engaging hole and the second terminal-engaging hole.
상기 제1무브 터미널편과 상기 제2무브 터미널편은 적어도 두 개의 절개선에 의해 분할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한 쌍의 무브 터미널에서 어느 하나의 무브 터미널의 제1무브 터미널편이 어느 하나의 픽스 터미널에 붙어 있을 때에 상기 한 쌍의 제1무브 터미널편은 상기 픽스 터미널에서 떨어지는 방향으로 벤딩되어 다른 무브 터미널은 다른 픽스 터미널에서 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first move-terminal piece and the second move-terminal piece are configured to be divided by at least two incisions, wherein the first move-terminal piece of one of the move-in terminals in the pair of move-in terminals is connected to one of the fix- The pair of first move terminal pieces are bent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fix terminal so that the other move terminals can be separated from the other fix terminal.
상기 한 쌍의 절개선의 하단부에는 각각 원주형 절개선이 더 구비되며, 상기 한 쌍의 원주형 절개선이 상기 무브 터미널의 상하 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lower ends of the pair of incisions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circumferential incisions, and the pair of circumferential incisions may b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center line of the movable terminal.
본 발명에서는 두 개의 무브 터미널 중에서 어느 하나의 무브 터미널이 어느 하나의 픽스 터미널에서 떨어지지 않는다 하더라도 다른 무브 터미널은 다른 픽스 터미널에서 떨어지게 되므로, 상기 무브 터미널과 픽스 터미널에 연결된 전류 회로가 차단되면서 상기 기계 장치 등의 설비에 대기 전력을 차단하게 된다. 대기 전력의 차단을 확실하게 하므로 작업시의 안전성을 높이는데 상당히 기여를 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one of the two move terminals does not fall from one of the fix terminals, the other move terminal is disconnected from the other fix terminal, so that the current circuit connected to the move terminal and the fix terminal is blocked, The standby power is cut off.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interruption of the standby power, thereby contributing to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enhancement of safety at the time of operation.
물론, 본 발명은 상기의 효과 이외에 여러 가지 효과가 있으나 상기와 같은 효과는 본 발명의 주요 효과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Of course, the present invention has various effects in addition to the above effects, but the above-described effects are considered to be the main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릴레이 접점 단자 어셈블리를 구비한 릴레이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릴레이 바디를 제외한 다른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릴레이 접점 단자 어셈블리의 주요부인 무브 슬라이드의 분해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도 4의 A 방향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릴레이 접점 단자 어셈블리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도 6의 B 방향 사시도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릴레이 접점 단자 어셈블리의 구성과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릴레이 접점 단자 어셈블리를 구비한 릴레이의 외관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릴레이 접점 단자 어셈블리의 주요부인 무브 슬라이드의 분해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릴레이 접점 단자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14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릴레이 접점 단자 어셈블리의 구성과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1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 relay having a relay contact terminal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configuration except for the relay body shown in Fig. 1. Fig.
Fig. 3 is a front view of Fig. 2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ploded state of a movable slide which is a main part of a relay contact terminal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in the direction A in Fig. 4,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relay contact terminal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perspective view in the direction B in Fig.
8 to 10 are front views showing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state of a relay contact terminal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 relay having a relay contact terminal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ploded state of a movable slide, which is a main part of a relay contact terminal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lay contact terminal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to 16 are front views showing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state of the relay contact terminal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ore readily understood by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intended to distinguish the constituent elements from other constituent elements, and the terms do not limit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nstituent elements. For example, if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connected "," coupled "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릴레이 접점 단자 어셈블리는 릴레이에 구비된다. 릴레이는 기계 장치 등에 연결되어 전원을 기계 장치에 인가하거나 차단되도록 스위칭 온오프 작동되는데, 본 발명의 릴레이 접점 단자 어셈블리가 릴레이의 스위칭 온오프를 담당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릴레이 접점 단자 어셈블리는 릴레이 바디(7)에 지지되어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된 적어도 두 개의 픽스 터미널(10)과, 이 픽스 터미널(10) 각각에 마주하도록 배치된 적어도 두 개의 무브 터미널(20)과, 이 무브 터미널(20)을 픽스 터미널(10)에 접촉시키거나 접촉해제되도록 작동시키는 무드 슬라이드를 포함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a relay contact terminal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a relay. The relay is connected to a mechanical device or the like so as to be switched on or off so as to apply or cut off power to the mechanical device. The relay contact terminal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sponsible for switching on and off of the relay. The relay contact terminal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two
상기 릴레이 바디(7)는 상면과 저면 사이의 높이가 전후 좌우 측면 사이의 폭보다 더 작은 사각 박스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릴레이 바디(7)의 저면에는 바텀판(8)이 결합되어 있다. 릴레이 바디(7)의 내부에는 공간부가 구비된다. 상기 릴레이 바디(7)의 상면에는 돌출부홀(7H)이 구비되어 후술할 무브 슬라이드(30)의 측면에 구비된 돌출부(30P)가 릴리에 바디(7)의 돌출부홀(7H) 위로 나와 있다.The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경우, 상기 릴레이 바디(7)를 기준으로 코일 보빈(2), 보빈 브릿지(3), 요크(4), 액츄에이터(6), 픽스 터미널(10), 무브 터미널(20) 및 액츄에이터(30)가 옆으로 눕혀져서 배치되고, 픽스 터미널(10)의 접속핀(P)과 무브 터미널(20)의 접속핀(P) 및 코일 터미널(5)은 바텀판(8)의 아래로 돌출된 구조를 취하고 있다.The
상기 픽스 터미널(10)은 바텀판(8)에 결합된다. 픽스 터미널(10)은 바텀판(8)에서 상하 방향으로 세워져 배치된다. 두 개의 픽스 터미널(10)이 서로 나란하게 배열된다. 픽스 터미널(10)은 릴레이 바디(7)에 내장된다. 또한, 픽스 터미널(10)의 접속핀(P)은 바텀판(8)의 바깥으로 노출되어 있다. 픽스 터미널(10)의 측면으로 접속핀(P)이 돌출되어 바텀판(8)의 바깥으로 노출된 구조를 취하고 있다. 픽스 터미널(10)의 서로 마주하는 면에는 통전성 콘택트(CT)가 구비된다.The fix terminal (10) is coupled to the bottom plate (8). The
상기 릴레이 바디(7)의 내부에는 전자석 어셈블리가 구비된다. 전자석 어셈블리는 코일 보빈(2), 요크(4), 코일 터미널(5) 및 액츄에이터(6)를 포함한다.The
상기 코일 보빈(2)은 코어의 주위에 코일이 감겨져 있는 것으로, 코일 보빈(2)의 양단부에는 보빈 브릿지(3)가 구비된다. 보빈 브릿지(3)는 금속 등의 통전성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보빈 브릿지(3)는 릴레이 바디(7)의 바텀판(8)에 아래쪽 측단부가 고정된다. 코일 보빈(2)의 양단부에 구비된 한 쌍의 보빈 브릿지(3)가 바텀판(8)에서 옆으로 눕혀진 상태에서 세워져 있다.The
상기 코일 보빈(2)의 양단부에 배치된 보빈 브릿지(3)에는 요크(4)가 구비된다. 요크(4)는 측방 요크부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크로스 요크부를 구비한다. 한 쌍의 요크(4)가 한 쌍의 보빈 브릿지(3)에 각각 지지되어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데, 각 요크(4)의 크로스 요크부는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바텀판(8)의 상면에서 볼 때에 코일 보빈(2) 양단부의 각 보빈 브릿지(3)는 수평 방향으로 눕혀진 상태로 배치되고, 각 요크(4)의 측방 요크부도 수평 방향으로 눕혀진 상태로 배치되며, 각 요크(4)의 크로스 요크부는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즉, 상기 코일 보빈(2)과 보빈 브릿지(3)가 릴레이 바디(7)의 내부에 옆으로 눕혀진 상태로 내장된 구조를 취한다.The
상기 코일 보빈(2)의 양단부에 배치된 보빈 브릿지(3)에는 코일 터미널(5)이 지지된다. 코일 터미널(5)은 일부가 릴레이 바디(7)의 바텀판(8)에서 바깥으로 노출되어 있다. 코일 보빈(2)은 릴리이 바디(7) 내부에 눕혀져서 배치되고, 상기 코일 터미널(5)은 코일 보빈(2)의 아래쪽 측단부에서 나와서 바텀판(8)의 바깥으로 돌출된 구조이다. 상기 코일 터미널(5)은 코일 보빈(2)의 코일에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A coil terminal (5) is supported on a bobbin bridge (3)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coil bobbin (2). A portion of the
상기 액츄에이터(6)는 릴레이 바디(7)에 힌지부를 매개로 결합된다. 상기 바텀판(8)의 일측에서 볼 때에 액츄에이터(6)가 수평 방향으로 눕혀진 상태로 배치되는데, 액츄에이터(6)의 양단부 사이의 중심부가 힌지부를 매개로 상기 릴레이 바디(7)에 결합된다. 액츄에이터(6)가 힌지부를 기준으로 시소 운동하도록 구성된다. 액츄에이터(6)에는 자석이 구비된다.The actuator (6) is coupled to the relay body (7) via a hinge part. The
상기 전자석 어셈블리는 릴레이 소켓의 전원 단자편에 터미널 단자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는데, 상기 릴레이 소켓의 전원 단자편을 통해 전자석 어셈블리의 코일 보빈(2)에 전류를 일방향으로 흘려주면 액츄에이터(6)가 중심부의 힌지부를 기준으로 한쪽 방향(좌측) 방향으로 회동하고, 전자석 어셈블리의 코일 보빈(2)이 반대로 전류를 흘려주면 자석의 극성 바뀌어서 액츄에이터(6)가 중심부의 힌지부를 기준으로 반대 방향(우측 방향)으로 회동된다. 이때, 전자석 어셈블리는 전류의 차단이 되어도 액츄에이터(6)의 자석이 한쪽 요크(4)나 다른 요크(4)에 붙어 있는 상태로 유지된다.The electromagnet assembly is connected to a power terminal of the relay socket in such a manner that a terminal terminal is energizable. When a current flows in one direction to the
상기한 전자석 어셈블리는 국내공개특허 특1986-0009456호에서와 같이 공지의 전자석 릴레이에 통상적으로 채용되는 것이지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상기 전자석 어셈블리를 설명한 것임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above-described electromagnet assemblies are conventionally employed in known electromagnet relays as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No. 1986-0009456,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lectromagnet assemblies are described below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상기 픽스 터미널(10) 각각에 마주하도록 배치된 적어도 두 개의 무브 터미널(20)이 구비된다. 픽스 터미널(10)은 릴레이를 구성하는 바텀판(8)의 좌우 양쪽에 나란하도록 두 개가 구비되므로, 무브 터미널(20)도 두 개가 구비된다. 무브 터미널(20)은 릴레이의 바텀판(8)에 결합된다. 무브 터미널(20)은 바텀판(8)에 수평 방향으로 눕혀진 상태로 배치된다. 두 개의 픽스 터미널(10)에 각각 두 개의 무브 터미널(20)이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텀판(8)을 상면에서 볼 때에 좌측에서 우측으로 픽스 터미널(10), 무브 터미널(20), 픽스 터미널(10), 무브 터미널(20) 순서로 구비된다. 두 개의 무브 터미널(20)의 접속핀(P)도 바텀판(8)의 바깥으로 노출되어 있다. 무브 터미널(20)의 각 접속핀(P)은 무브 터미널(20)의 아래쪽 측단부에서 연장되어 바텀판(8)의 바깥으로 나와있는 구조이다. 무브 터미널(20)은 픽스 터미널(10)과 마주하는 면에 통전성 콘택트(CT)가 구비된다. 픽스 터미널(10)의 통전성 콘택트(CT)와 무브 터미널(20)의 통전성 콘택트(CT)가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된다.At least two
상기 액츄에이터(6)의 상면은 회동 연결부를 매개로 후술할 무브 슬라이드(30)의 저면에 연결되어, 상기 액츄에이터(6)가 힌지부를 기준으로 시소 회동함에 따라 무브 슬라이드(30)가 회동 연결부를 기준으로 릴레이 바디(7)의 양쪽 측단부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An upper surface of the
구체적으로, 상기 회동 연결부는 액츄에이터(6)의 상면으로 돌출된 회동 지지핀(6a)과, 이 회동 지지핀(6a)에 구비된 단면 원형의 회동 전달편(6b)과, 이 회동 전달편(6b)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무브 슬라이드(30)의 저면에 구비된 회동 기준홈(6c)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액츄에이터(6)가 중심부의 힌지부를 기준으로 좌우 양쪽으로 시소식으로 회동함에 따라 상기 회동 지지핀(6a)과 회동 전달편(6b)이 액츄에이터(6)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좌우로 회동하므로, 상기 릴레이 바디(7)의 좌우 방향으로 무브 슬라이드(30)가 이동하게 된다. 무브 슬라이드(30)는 가이드 레일과 같은 무브 슬라이드 가이더를 매개로 릴레이 바디(7)에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상기 액츄에이터(6)가 힌지부를 기준으로 시소식 회동이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무브 슬라이드(30)가 릴레이 바디(7)의 좌우 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게 된다.Specifically, the pivotal connection portion includes a
상기 액츄에이터(6)의 작동에 의해 무브 슬라이드(30)가 릴레이 바디(7)의 좌우 방향을 따라 전후진 작동되면, 상기 무브 터미널(20)들이 픽스 터미널(10)에 접촉되거나 픽스 터미널(10)에서 떨어지도록 구성된다. 무브 터미널(20)에 구비된 통전성 콘택트(CT)가 픽스 터미널(10)에 구비된 통전선 콘택트(CT)에 접촉되거나 떨어지도록 구성된다.When the move slides 30 are moved back and forth along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상기 무브 슬라이드(30)에는 터미널 결합홀이 구비되고, 터미널 결합홀은 양쪽 사이드 폭이 서로 다른 제1터미널 결합홀(32a)과 제2터미널 결합홀(32b)을 포함하며, 상기 무브 터미널(20)은 제1무브 터미널편(20a)과 제2무브 터미널편(20b)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무브 터미널편(20a)은 무브 슬라이드(30)의 제1터미널 결합홀(32a)에 끼워지고 상기 제2무브 터미널편(20b)은 무브 슬라이드(30)의 제2터미널 결합홀(32b)에 끼워지도록 구성된다.The move slide (30) is provided with a terminal engaging hole, and the terminal engaging hole includes a first terminal engaging hole (32a) and a second terminal engaging hole (32b) having different side widths, Is configured to include a first
구체적으로, 상기 무브 슬라이드(30)는 가운데의 제1터미널 결합홀(32a)의 전후단에 하나씩 두 개의 제2터미널 결합홀(32b)이 구비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무브 터미널(20)은 가운데의 제1무브 터미널편(20a)의 전후단에 하나씩 두 개의 제2무브 터미널편(20b)이 구비되어, 상기 제1무브 터미널편(20a)은 제1터미널 결합홀(32a)에 끼워지고, 상기 제2무브 터미널편(20b)은 제2터미널 결합홀(32b)에 끼워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터미널 결합홀(32a)의 양쪽 사이드 사이의 폭은 제2터미널 결합홀(32b)의 양쪽 사이드 사이의 폭에 비하여 더 크게 구성된다.Specifically, the
또한, 무브 터미널(20)은 탄성 재질의 금속으로 구성되어, 상기 무브 슬라이드(30)에 의해 무브 터미널(20)이 벤딩된 상태에서 원위치로 복귀하기 위한 탄성력을 보유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무브 터미널편(20a)과 제2무브 터미널편(20b)은 적어도 두 개의 절개선(22)에 의해 분할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한 쌍의 무브 터미널(20)에서 어느 하나의 무브 터미널(20)의 제1무브 터미널편(20a)이 어느 하나의 픽스 터미널(10)에 붙어 있을 때에 상기 한 쌍의 제1무브 터미널편(20a)은 픽스 터미널(10)에서 떨어지는 방향으로 벤딩되어 다른 무브 터미널(20)이 다른 픽스 터미널(10)에서 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또한, 상기 무브 터미널(20)은 한 쌍의 절개선(22)의 하단부에는 각각 원주형 절개선(24)이 더 구비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한 쌍의 원주형 절개선(24)이 상기 무브 터미널(20)의 상하 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배치된다.
The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릴레이 접점 단자 어셈블리는 기계 장치와 같이 전력에 의해 작동하는 설비에 대기 전력을 끊어주기 위한 것인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릴레이 접점 단자 어셈블리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relay contact terminal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is for cutting off standby power to a facility operated by electric power such as a mechanical device. In the relay contact terminal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도 8은 본 발명의 릴레이 접점 단자 어셈블리에서 주요부인 픽스 터미널(10)과 무브 터미널(20)들이 공간적으로 이격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준다. 도 8에서는 픽스 터미널(10)과 무브 터미널(20)들이 접촉되어 있지 않아서 기계 장치 등의 설비에 대기 전력을 끊어준 상태이다. 액츄에이터(6)는 중심부의 힌지부를 기준으로 우측 단부가 좌측 단부보다 더 내려가도록 회동되어 있다.8 shows a state in which the
도 8의 상태에서 상기한 바와 같이 전자석 어셈블리에 전류를 인가하여 한쪽 방향으로 흐르게 하면, 상기 전자석의 극성이 바뀌면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6)가 힌지부를 기준으로 반대 방향으로 회동하여 좌측 단부가 우측 단부보다 더 낮아지도록 회동하면서 상기 무브 슬라이드(30)를 좌측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상기 두 개의 무브 터미널(20)들이 두 개의 픽스 터미널(10)들에 각각 접촉된다. 도 9의 상태는 기계 장치 등의 설비에 대기 전력을 인가하는 상태이다.8, when the electric current is applied to the electromagnet assembly so as to flow in one direction, the polarity of the electromagnet is changed and the
도 9의 상태에서 전자석 어셈블리에 전류를 인가하여 다른 쪽 방향(반대 방향)으로 흐르게 하면 전자석의 극성이 도 8에서의 극성과 반대 방향으로 되므로, 상기 액츄에이터(6)의 우측 단부가 좌측 단부보다 더 내려가도록 다시 반대 방향으로 회동되고, 이에 따라 상기 무브 슬라이더가 다시 반대 방향(즉, 도 8에서 도시된 방향과 반대되는 우측 방향)이로 이동하므로, 상기 무브 슬라이더가 두 개의 무브 터미널(20)을 당겨서 두 개의 픽스 터미널(10)에서 떨어지도록 한다.When the electric current is applied to the electromagnet assembly in the state of FIG. 9 to flow in the other direction (opposite direction), the polarity of the electromagnet is opposite to the polarity in FIG. 8, so that the right end of the
이때, 본 발명에서는 릴레이 내부의 단자가 제대로 떨어지지 못하여 대기 전력 차단이 제대로 되지 못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는 데에서 기존과 차별화되는 특성이 있다. 도 10에서와 같이, 두 개의 무브 터미널(20) 중에서 어느 하나의 무브 터미널(20)이 어느 하나의 픽스 터미널(10)에서 떨어지지 않는다 하더라도 다른 무브 터미널(20)은 다른 픽스 터미널(10)에서 떨어지게 되므로, 상기 무브 터미널(20)과 픽스 터미널(10)에 연결된 전류 회로가 차단되면서 상기 기계 장치 등의 설비에 대기 전력을 차단하게 된다. 두 개의 무브 터미널(20) 중에서 어느 하나의 무브 터미널(20)만 픽스 터미널(10)에서 떨어지면 전류 회로가 차단되는데, 본 발명은 이러한 안전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 두 개의 픽스 터미널(10)은 기계 장치 등의 구동 회로와 직렬 전기 회로로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두 개의 픽스 터미널(10) 중에서 어느 하나의 픽스 터미널(10)에 어느 하나의 무브 터미널(20)이 붙어 있다 하더라도 다른 픽스 터미널(10)에서는 다른 무브 터미널(20)이 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릴레이 내부의 단자가 제대로 떨어지지 못하여 대기 전력이 제대로 차단되지 못하는 경우가 미연에 방지된다.In this case,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iated from the conventional art in that the terminal inside the relay can not be properly dropped and the stand-by power cut-off can not be prevented. 10, even if one of the two
상기 무브 슬라이드(30)는 가운데의 제1터미널 결합홀(32a)의 전후단에 하나씩 두 개의 제2터미널 결합홀(32b)이 구비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무브 터미널(20)은 가운데의 제1무브 터미널편(20a)의 전후단에 하나씩 두 개의 제2무브 터미널편(20b)이 구비되어, 상기 제1무브 터미널편(20a)은 제1터미널 결합홀(32a)에 끼워지고, 상기 제2무브 터미널편(20b)은 제2터미널 결합홀(32b)에 끼워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터미널 결합홀(32a)의 양쪽 사이드 사이의 폭은 제2터미널 결합홀(32b)의 양쪽 사이드 사이의 폭에 비하여 더 크게 구성된다.The move slides 30 are configured to have two second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브 슬라이드(30)가 두 개의 무브 터미널(20)을 당겨주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한쪽 무브 터미널(20)의 제1무브 터미널편(20a)이 한쪽 픽스 터미널(10)에 용착되어 있다 하더라도 한쪽 무브 터미널(20)의 두 개의 제2무브 터미널편(20b)은 제1무브 터미널편(20a)과는 독립적으로 당겨질 수 있고, 이로 인하여 반대편의 다른 무브 터미널(20)이 한쪽 픽스 터미널(10)에 용착되어 있는 한쪽의 무비 터미널에 의해 당겨지는 동작에 방해를 받는 경우가 없기 때문에, 상기 다른 쪽의 무브 터미널(20)은 확실하게 다른 쪽의 픽스 터미널(10)에서 떨어지면서 대기 전력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5, when the
또한, 본 발명에서는 무브 터미널(20)의 제1무브 터미널편(20a)과 제2무브 터미널편(20b)을 형성하는 두 개의 절개선(22) 하단부에 한 쌍의 원주형 절개선(24)이 상기 무브 터미널(20)의 상하 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배치되어 있어서, 상기 원주형 절개선(24)에 의해 한 쌍의 제1무브 터미널편(20a)이 무브 터미널(20)을 픽스 터미널(10)에서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더 원활하게 당겨지게 되므로, 상기 두 개의 무브 터미널(20)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브 터미널(20)이 픽스 터미널(10)에서 접촉 해제되는 상태로 보다 확실하게 전환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원주형 절개선(24)은 무브 터미널(20)을 픽스 터미널(10)에서 떨어뜨려 기계 장치 등의 설비에 대기 전력을 차단하는 기능을 보다 확실하게 하는 것이라 할 수 있겠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pair of circumferential cut-
또한, 본 발명에서는 무브 터미널(20) 자체가 탄성 금속 재질로 구성되어 있어서, 상기 무브 터미널(20)을 픽스 터미널(10)에서 당겨진 상태일 때에 무브 터미널(20)이 픽스 터미널(10)에 용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픽스 터미널(10)의 자체 탄성 복원력에 의해 무브 터미널(20)에서 픽스 터미널(10)에 용착되어 있는 부분(주로, 제1무브 터미널편(20a) 부분)을 당겨주는 힘이 작용하게 되므로, 무브 터미널(20)을 픽스 터미널(10)에서 떨어뜨리는 작용을 하는데 있어서 보다 보탬이 될 수 있다. 한쪽 무브 터미널(20)의 제1무브 터미널편(20a)이 픽스 터미널(10)에 용착되어 있다 하더라도 다른 두 개의 제2무브 터미널편(20b)은 당겨지게 되는데, 상기 제2무브 터미널편(20b)이 제1무브 터미널편(20a)도 당겨서 떨어뜨리려는 탄성 복원력을 작용시키게 되므로, 픽스 터미널(10)에 용착되어 있는 무브 터미널(20)을 떨어뜨리려는 기능에 있어서 보다 도움이 되는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한편, 도 11 내지 도 16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릴레이 접점 단자 어셈블리를 구비한 릴레이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릴레이 접점 단자 어셈블리는 릴레이 바디(7)에 지지되어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된 적어도 두 개의 픽스 터미널(10)과, 이 픽스 터미널(10) 각각에 마주하도록 배치된 적어도 두 개의 무브 터미널(20)과, 이 무브 터미널(20)을 픽스 터미널(10)에 접촉시키거나 접촉해제되도록 작동시키는 무드 슬라이드(30)를 포함한다.11 to 16 show a relay having a relay contact terminal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lay contact terminal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two
도 11 내지 도 16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경우, 릴레이 바디(7)를 기준으로 코일 보빈(2), 보빈 브릿지(3), 요크(4), 액츄에이터(6), 픽스 터미널(10), 무브 터미널(20) 및 액츄에이터(30)가 세워진 상태로 배치되고, 픽스 터미널(10)의 접속핀(P)과 무브 터미널(20)의 접속핀(P) 및 코일 터미널(5)은 바텀판(8)의 아래로 돌출된 구조를 취하고 있다. 코일 보빈(2), 보빈 브릿지(3), 요크(4), 액츄에이터(6), 픽스 터미널(10), 무브 터미널(20) 및 액츄에이터(30)가 세워진 상태로 배치된 것이 상기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차이가 있으나 도 11 내지 도 16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과 작동은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시예와 동일하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도 11 내지 도 16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과 작동에 대하여 설명하는 것임을 이해해아 할 것이다.11 to 16, the
상기 릴레이 바디(7)의 저면에는 바텀판(8)이 결합되어 있다. 릴레이 바디(7)의 내부에는 공간부가 구비된다. 상기 릴레이 바디(7)의 상면에는 돌출부홀(7H)이 구비되어 후술할 무브 슬라이드(30)의 상면에 구비된 돌출부(30P)가 릴리에 바디(7)의 돌출부홀(7H) 위로 나와 있다.A
상기 픽스 터미널(10)은 바텀판(8)에 결합되어 바텀판(8)에서 상하 방향으로 세워져 배치된다. 두 개의 픽스 터미널(10)이 서로 나란하게 배열된다. 픽스 터미널(10)은 릴레이 바디(7)에 내장된다. 또한, 픽스 터미널(10)의 접속핀(P)은 바텀판(8)의 바깥으로 노출되어 있다. 픽스 터미널(10)의 서로 마주하는 면에는 통전성 콘택트(CT)가 구비된다.The
상기 릴레이 바디(7)의 내부에는 전자석 어셈블리가 구비된다. 전자석 어셈블리는 코일 보빈(2), 요크(4), 코일 터미널(5) 및 액츄에이터(6)를 포함한다.The
상기 코일 보빈(2)은 코어의 주위에 코일이 감겨져 있는 것으로, 코일 보빈(2)의 양단부에는 보빈 브릿지(3)가 구비된다. 보빈 브릿지(3)는 금속 등의 통전성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보빈 브릿지(3)는 릴레이의 바텀판(8)에 하단부가 고정된다. 코일 보빈(2)의 양단부에 구비된 한 쌍의 보빈 브릿지(3)가 바텀판(8)에서 상하 방향으로 세워져 있다.The
상기 코일 보빈(2) 양단부의 보빈 브릿지(3)에는 요크(4)가 구비된다. 요크(4)는 상하 요크부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수평 요크부를 구비한다. 한 쌍의 요크(4)가 한 쌍의 보빈 브릿지(3)에 각각 지지되어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데, 각 요크(4)의 수평 요크부는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바텀판(8)의 정면에서 볼 때에 코일 보빈(2) 양단부의 각 보빈 브릿지(3)는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고, 각 요크(4)의 상하 요크부도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며, 각 요크(4)의 수평 요크부는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The
상기 코일 보빈(2) 양단부의 보빈 브릿지(3)에 지지된 코일 터미널(5)은 일부가 릴레이의 바텀판(8)에서 바깥으로 노출되어 있다. 코일 터미널(5)은 코일 보빈(2)의 코일에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The
상기 액츄에이터(6)는 릴레이 바디(7)에 힌지부를 매개로 결합된다. 상기 바텀판(8)의 정면에서 볼 때에 액츄에이터(6)가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데, 액츄에이터(6)의 양단부 사이의 중심부가 힌지부를 매개로 상기 릴레이 바디(7)에 결합된다. 액츄에이터(6)가 힌지부를 기준으로 시소 운동하도록 구성된다. 액츄에이터(6)에는 자석이 구비된다.The actuator (6) is coupled to the relay body (7) via a hinge part. The
상기 전자석 어셈블리는 릴레이 소켓의 전원 단자편에 터미널 단자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는데, 상기 릴레이 소켓의 전원 단자편을 통해 전자석 어셈블리의 코일 보빈(2)에 전류를 일방향으로 흘려주면 액츄에이터(6)가 중심부의 힌지부를 기준으로 한쪽 방향(좌측) 방향으로 회동하고, 전자석 어셈블리의 코일 보빈(2)이 반대로 전류를 흘려주면 자석의 극성 바뀌어서 액츄에이터(6)가 중심부의 힌지부를 기준으로 반대 방향(우측 방향)으로 회동된다. 이때, 전자석 어셈블리는 전류의 차단이 되어도 액츄에이터(6)의 자석이 한쪽 요크(4)나 다른 요크(4)에 붙어 있는 상태로 유지된다.The electromagnet assembly is connected to a power terminal of the relay socket in such a manner that a terminal terminal is energizable. When a current flows in one direction to th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인 전자석 어셈블리도 국내공개특허 특1986-0009456호에서와 같이 공지의 전자석 릴레이에 통상적으로 채용되는 것이지만, 설명의 편의상 상기 전자석 어셈블리를 설명한 것임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lectromagnet assembly, which is a constitution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commonly employed in publicly known electromagnet relays such as those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986-0009456, but the electromagnet assemblies have been describ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상기 픽스 터미널(10) 각각에 마주하도록 배치된 적어도 두 개의 무브 터미널(20)이 구비된다. 픽스 터미널(10)은 릴레이를 구성하는 바텀판(8)의 좌우 양쪽에 나란하도록 두 개가 구비되므로, 무브 터미널(20)도 두 개가 구비된다. 무브 터미널(20)은 릴레이의 바텀판(8)에 결합되어 바텀판(8)에서 상하 방향으로 세워져 배치된다. 두 개의 픽스 터미널(10)에 각각 두 개의 무브 터미널(20)이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도 14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텀판(8)을 정면에서 볼 때에 좌측에서 우측으로 픽스 터미널(10), 무브 터미널(20), 픽스 터미널(10), 무브 터미널(20) 순서로 구비된다. 두 개의 무브 터미널(20)의 접속핀(P)도 바텀판(8)의 바깥으로 노출되어 있다. 무브 터미널(20)은 픽스 터미널(10)과 마주하는 면에 통전성 콘택트(CT)가 구비된다. 픽스 터미널(10)의 통전성 콘택트(CT)와 무브 터미널(20)의 통전성 콘택트(CT)가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된다.At least two
상기 액츄에이터(6)의 상면은 회동 연결부를 매개로 무브 슬라이드(30)의 저면에 연결되어, 상기 액츄에이터(6)가 힌지부를 기준으로 시소 회동함에 따라 무브 슬라이드(30)가 회동 연결부를 기준으로 릴레이 바디(7)의 양쪽 측단부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액츄에이터(6)의 시소 회동에 따라 무브 슬라이드(30)가 회동 연결부를 기준으로 릴레이 바디(7)의 좌우 양쪽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구성은 상기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upper surface of the
상기 액츄에이터(6)의 작동에 의해 무브 슬라이드(30)가 릴레이 바디(7)의 좌우 방향을 따라 전후진 작동되면, 상기 무브 터미널(20)들이 픽스 터미널(10)에 접촉되거나 픽스 터미널(10)에서 떨어지도록 구성된다. 무브 터미널(20)에 구비된 통전성 콘택트(CT)가 픽스 터미널(10)에 구비된 통전선 콘택트(CT)에 접촉되거나 떨어지도록 구성된다.When the move slides 30 are moved back and forth along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상기 무브 슬라이드(30)에는 터미널 결합홀이 구비되고, 터미널 결합홀은 양쪽 사이드 폭이 서로 다른 제1터미널 결합홀(32a)과 제2터미널 결합홀(32b)을 포함하며, 상기 무브 터미널(20)은 제1무브 터미널편(20a)과 제2무브 터미널편(20b)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무브 터미널편(20a)은 무브 슬라이드(30)의 제1터미널 결합홀(32a)에 끼워지고 상기 제2무브 터미널편(20b)은 무브 슬라이드(30)의 제2터미널 결합홀(32b)에 끼워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무브 슬라이드(30)와 무브 터미널(20)의 결합 구조도 상기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구조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설명 역시 생략하기로 한다.
The move slide (30) is provided with a terminal engaging hole, and the terminal engaging hole includes a first terminal engaging hole (32a) and a second terminal engaging hole (32b) having different side widths, Is configured to include a first
상기한 구조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릴레이 접점 단자 어셈블리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작동은 전술한 본 발명의 일시예의 작동과 동일하지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재차 설명하는 것임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The operation of the relay contact terminal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will now be described. The operation of the 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ame as the operation of the temporary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bu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given agai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릴레이 접점 단자 어셈블리에서 주요부인 픽스 터미널(10)과 무브 터미널(20)들이 공간적으로 이격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준다. 도 14에서는 픽스 터미널(10)과 무브 터미널(20)들이 접촉되어 있지 않아서 기계 장치 등의 설비에 대기 전력을 끊어준 상태이다. 액츄에이터(6)는 중심부의 힌지부를 기준으로 우측 단부가 좌측 단부보다 더 내려가도록 회동되어 있다.FIG. 14 shows a state in which the
도 14의 상태에서 상기한 바와 같이 전자석 어셈블리에 전류를 인가하여 한쪽 방향으로 흐르게 하면, 상기 전자석의 극성이 바뀌면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6)가 힌지부를 기준으로 반대 방향으로 회동하여 좌측 단부가 우측 단부보다 더 낮아지도록 회동하면서 상기 무브 슬라이드(30)를 좌측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상기 두 개의 무브 터미널(20)들이 두 개의 픽스 터미널(10)들에 각각 접촉된다. 도 15의 상태는 기계 장치 등의 설비에 대기 전력을 인가하는 상태이다.14, when the electric current is applied to the electromagnet assembly so as to flow in one direction, the polarity of the electromagnet is changed and the
도 15의 상태에서 전자석 어셈블리에 전류를 인가하여 다른 쪽 방향(반대 방향)으로 흐르게 하면 전자석의 극성이 도 15에서의 극성과 반대 방향으로 되므로, 상기 액츄에이터(6)의 우측 단부가 좌측 단부보다 더 내려가도록 다시 반대 방향으로 회동되고, 이에 따라 상기 무브 슬라이더가 다시 반대 방향(즉, 도 15에서 도시된 방향과 반대되는 우측 방향)이로 이동하므로, 상기 무브 슬라이더가 두 개의 무브 터미널(20)을 당겨서 두 개의 픽스 터미널(10)에서 떨어지도록 한다.When the electric current is applied to the electromagnet assembly in the state of FIG. 15 to flow in the other direction (opposite direction), the polarity of the electromagnet becomes opposite to the polarity in FIG. 15, so that the right end of the actuator 6 (I.e., the rightward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shown in Fig. 15), so that the move slider pulls the two
이때, 본 발명에서는 릴레이 내부의 단자가 제대로 떨어지지 못하여 대기 전력 차단이 제대로 되지 못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는 데에서 기존과 차별화되는 특성이 있다. 도 16에서와 같이, 두 개의 무브 터미널(20) 중에서 어느 하나의 무브 터미널(20)이 어느 하나의 픽스 터미널(10)에서 떨어지지 않는다 하더라도 다른 무브 터미널(20)은 다른 픽스 터미널(10)에서 떨어지게 되므로, 상기 무브 터미널(20)과 픽스 터미널(10)에 연결된 전류 회로가 차단되면서 상기 기계 장치 등의 설비에 대기 전력을 차단하게 된다. 상기 두 개의 픽스 터미널(10)은 기계 장치 등의 구동 회로와 직렬 전기 회로로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두 개의 픽스 터미널(10) 중에서 어느 하나의 픽스 터미널(10)에 어느 하나의 무브 터미널(20)이 붙어 있다 하더라도 다른 픽스 터미널(10)에서는 다른 무브 터미널(20)이 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릴레이 내부의 단자가 제대로 떨어지지 못하여 대기 전력이 제대로 차단되지 못하는 경우가 미연에 방지되는 것이다.In this case,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iated from the conventional art in that the terminal inside the relay can not be properly dropped and the stand-by power cut-off can not be prevented. 16, even if one of the two
상기 무브 슬라이드(30)는 가운데의 제1터미널 결합홀(32a)의 전후단에 하나씩 두 개의 제2터미널 결합홀(32b)이 구비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무브 터미널(20)은 가운데의 제1무브 터미널편(20a)의 전후단에 하나씩 두 개의 제2무브 터미널편(20b)이 구비되어, 상기 제1무브 터미널편(20a)은 제1터미널 결합홀(32a)에 끼워지고, 상기 제2무브 터미널편(20b)은 제2터미널 결합홀(32b)에 끼워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터미널 결합홀(32a)의 양쪽 사이드 사이의 폭은 제2터미널 결합홀(32b)의 양쪽 사이드 사이의 폭에 비하여 더 크게 구성된다.The move slides 30 are configured to have two second
따라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브 슬라이드(30)가 두 개의 무브 터미널(20)을 당겨주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한쪽 무브 터미널(20)의 제1무브 터미널편(20a)이 한쪽 픽스 터미널(10)에 용착되어 있다 하더라도 한쪽 무브 터미널(20)의 두 개의 제2무브 터미널편(20b)은 제1무브 터미널편(20a)과는 독립적으로 당겨질 수 있고, 이로 인하여 반대편의 다른 무브 터미널(20)이 한쪽 픽스 터미널(10)에 용착되어 있는 한쪽의 무비 터미널에 의해 당겨지는 동작에 방해를 받는 경우가 없기 때문에, 상기 다른 쪽의 무브 터미널(20)은 확실하게 다른 쪽의 픽스 터미널(10)에서 떨어지면서 대기 전력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16, when the
상기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효과는 전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효과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도 생략하기로 한다.
The effects of the above-described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refore duplicate explana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The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scope and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specific embodiments, 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you have, you will understand.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fully underst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are to be considere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10. 픽스 터미널
20. 무브 터미널
20a. 제1무브 터미널편
20b. 제2무브 터미널편
22. 절개선
24. 원주형 절개선
30. 무브 슬라이드
32. 터미널 결합홀
32a. 제1터미널 결합홀
32b. 제2터미널 결합홀10.
20a. The first move-
22.
30. Move
32a. First
Claims (6)
상기 픽스 터미널(10) 각각에 마주하도록 배치된 적어도 두 개의 무브 터미널(20);
상기 무브 터미널(20)을 상기 픽스 터미널(10)에 접촉시키거나 접촉해제되도록 작동시키는 무브 슬라이드(3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접점 단자 어셈블리.
At least two fix terminals (10) supported on the relay body (7) and disposed at positions facing each other;
At least two move terminals (20) arranged to face each of said fix terminals (10);
And a move slide (30) for actuating the move terminal (20) to contact or release the fix terminal (10).
상기 무브 슬라이드(30)는 상기 릴레이 바디(7)에 좌우로 전후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액츄에이터(6)에는 상기 무브 슬라이드(30)가 연결되고, 상기 무브 슬라이드(30)에 상기 무브 터미널(20)들이 연결되어, 상기 액츄에이터(6)의 작동에 의해 상기 무브 슬라이드(30)가 전후진 작동되면, 상기 무브 터미널(20)들이 상기 픽스 터미널(10)에 접촉되거나 상기 픽스 터미널(10)에서 떨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접점 단자 어셈블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ove slide 30 is coupled to the relay body 7 such that the moveable slide 30 is connected to the actuator 6 and the move terminal 30 is connected to the move slide 30, The movable terminal 20 is connected to the fix terminal 10 or the fix terminal 10 is connected to the fix terminal 10 when the move slide 30 is operated forward and backward by the operation of the actuator 6, The relay contact terminal assembly comprising:
상기 무브 슬라이드(30)에는 터미널 결합홀이 구비되고, 상기 터미널 결합홀은 양쪽 사이드 폭이 서로 다른 제1터미널 결합홀(32a)과 제2터미널 결합홀(32b)을 포함하며, 상기 무브 터미널(20)은 제1무브 터미널편(20a)과 제2무브 터미널편(20b)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1무브 터미널편(20a)은 상기 무브 슬라이드(30)의 상기 제1터미널 결합홀(32a)에 끼워지고 상기 제2무브 터미널편(20b)은 상기 무브 슬라이드(30)의 상기 제2터미널 결합홀(32b)에 끼워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접점 단자 어셈블리.
3. The method of claim 2,
The move slide (30) is provided with a terminal engaging hole, and the terminal engaging hole includes a first terminal engaging hole (32a) and a second terminal engaging hole (32b) having opposite side widths, 20 are configured to include a first moveable terminal piece 20a and a second moveable terminal piece 20b so that the first moveable terminal piece 20a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terminal engagement hole And the second move terminal piece (20b) is fitted in the second terminal engagement hole (32b) of the move slide (30).
상기 무브 슬라이드(30)는 양쪽 측단부에 상하면의 두께가 더 작은 무브 터미널 연결편(32)을 구비하며, 상기 무브 터미널 연결편(32)에 상기 제1터미널 결합홀(32a)과 상기 제2터미널 결합홀(32b)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접점 단자 어셈블리.
The method of claim 3,
The move slide 30 includes a move terminal connection piece 32 having a smaller thickness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at both sides of the slide terminal 30. The move terminal slide 32 includes a first terminal connection hole 32a, And a hole (32b).
상기 제1무브 터미널편(20a)과 상기 제2무브 터미널편(20b)은 적어도 두 개의 절개선(22)에 의해 분할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한 쌍의 무브 터미널(20)에서 어느 하나의 무브 터미널(20)의 제1무브 터미널편(20a)이 어느 하나의 픽스 터미널(10)에 붙어 있을 때에 상기 한 쌍의 제1무브 터미널편(20a)은 상기 픽스 터미널(10)에서 떨어지는 방향으로 벤딩되어 다른 무브 터미널(20)은 다른 픽스 터미널(10)에서 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접점 단자 어셈블리.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first move terminal piece 20a and the second move terminal piece 20b are configured to be divided by at least two cutouts 22 so that any one of the move terminals 20a, When the first move terminal piece 20a of the first movable terminal 20 is attached to one of the fix terminals 10, the pair of first move terminal pieces 20a are bent in the direction of falling from the fix terminal 10 And the other move terminal (20) is configured to be able to fall from the other fix terminal (10).
상기 한 쌍의 절개선(22)의 하단부에는 각각 원주형 절개선(24)이 더 구비되며, 상기 한 쌍의 원주형 절개선(24)이 상기 무브 터미널(20)의 상하 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접점 단자 어셈블리.6. The method of claim 5,
The pair of cut-outs 22 is further provided with a columnar cut-away 24 at the lower end thereof, and the pair of columnar cut-outs 24 are formed on the basis of the vertical center line of the move- Wherein the relay contact terminal assembly is symmetrically dispose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15184A KR101727145B1 (en) | 2015-08-17 | 2015-08-17 | Relay connection terminal assembl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15184A KR101727145B1 (en) | 2015-08-17 | 2015-08-17 | Relay connection terminal assembly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20989A true KR20170020989A (en) | 2017-02-27 |
KR101727145B1 KR101727145B1 (en) | 2017-04-26 |
Family
ID=58315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15184A Active KR101727145B1 (en) | 2015-08-17 | 2015-08-17 | Relay connection terminal assembly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27145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360771A (en) * | 2018-11-23 | 2019-02-19 | 厦门宏发电力电器有限公司 | A kind of multichannel magnetic latching relay and its assembly method |
CN118942963A (en) * | 2024-07-19 | 2024-11-12 | 惠州市新思睿电子科技有限公司 | Relay capable of preventing terminal bending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860009456A (en) | 1985-05-20 | 1986-12-23 | 마쯔시다 덴꼬 가부시끼 가이샤 | Electromagnet relay |
KR940001205A (en) | 1992-06-15 | 1994-01-11 | 미요시 도시오 | Electromagnet relay |
KR19980063967A (en) | 1996-12-12 | 1998-10-07 | 쯔지 하루오 | Transmission circuit using strip line in three dimensions |
KR200182308Y1 (en) | 1999-12-09 | 2000-05-15 | 윤여관 | Relay fixed device of relay socket |
-
2015
- 2015-08-17 KR KR1020150115184A patent/KR101727145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860009456A (en) | 1985-05-20 | 1986-12-23 | 마쯔시다 덴꼬 가부시끼 가이샤 | Electromagnet relay |
KR940001205A (en) | 1992-06-15 | 1994-01-11 | 미요시 도시오 | Electromagnet relay |
KR19980063967A (en) | 1996-12-12 | 1998-10-07 | 쯔지 하루오 | Transmission circuit using strip line in three dimensions |
KR200182308Y1 (en) | 1999-12-09 | 2000-05-15 | 윤여관 | Relay fixed device of relay socket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360771A (en) * | 2018-11-23 | 2019-02-19 | 厦门宏发电力电器有限公司 | A kind of multichannel magnetic latching relay and its assembly method |
CN118942963A (en) * | 2024-07-19 | 2024-11-12 | 惠州市新思睿电子科技有限公司 | Relay capable of preventing terminal bending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27145B1 (en) | 2017-04-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193464B2 (en) | Micro switch | |
US9741518B2 (en) | Latch relay | |
US5638038A (en) | Switch including breaker | |
JP6744339B2 (en) | High voltage DC relay | |
JP7076633B2 (en) | DC relay | |
EP4000085B1 (en) | Relay | |
KR20010043645A (en) | Contact mechanism for electronic overload | |
KR102606007B1 (en) | Direct Current Relay | |
CN114078667B (en) | A new type of maintenance type leakage protector | |
JPS6334178Y2 (en) | ||
KR101727145B1 (en) | Relay connection terminal assembly | |
US20150303015A1 (en) | Electromagnetic relay | |
JP6956828B2 (en) | Latching relay with manual actuator | |
US6084488A (en) | Compact high current relay | |
KR20010043637A (en) | Contact mechanism for electronic overload relays | |
KR100874838B1 (en) | Manual control device of circuit breaker and load breaker | |
US20200203104A1 (en) | Electromagnetic relay | |
KR20180085586A (en) | Direct Current Relay | |
CN108389757B (en) | Auxiliary relay of electromagnetic contactor | |
US3311716A (en) | Snap-action sequential multi-circuit switch | |
US3253095A (en) | Electromagnetic relays | |
KR101247122B1 (en) | electromagnetic contactor | |
JP7561981B2 (en) | Latch assembly and electromagnetic contactor including same | |
CN205645722U (en) | Miniature circuit breaker's electromagnetic system | |
KR101545894B1 (en) | Magnetic contac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81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8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33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4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04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3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4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41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41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20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31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