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7616A - Apparatus and method for assisting drive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assisting driv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17616A KR20170017616A KR1020150111796A KR20150111796A KR20170017616A KR 20170017616 A KR20170017616 A KR 20170017616A KR 1020150111796 A KR1020150111796 A KR 1020150111796A KR 20150111796 A KR20150111796 A KR 20150111796A KR 20170017616 A KR20170017616 A KR 2017001761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river
- signal
- warning
- state
- measur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02—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60W2040/0818—Inactivity or incapacity of driver
- B60W2040/0827—Inactivity or incapacity of driver due to sleepines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60W2040/0872—Driver physiolog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2/00—Responses or measures related to driver conditions
- B60Y2302/03—Actuating a signal or alarm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운전 보조 장치는 운전자의 머리 움직임과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가 측정한 상기 운전자의 머리 움직임과 생체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운전자가 졸음 상태나 전방 미주시 상태인지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운전자가 졸음 상태나 전방 미주시 상태라고 판단되면, 상기 운전자에게 경고를 알리는 경고 신호를 생성하는 경고 신호부 를 포함하고, 상기 경고 신호를 전달 받아 출력하는 알림부나 설정된 통신 장치와 상호 통신하고, 상기 경고 신호부로부터 상기 경고 신호를 전달받아 설정된 통신 장치에 송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riv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nsor unit for measuring a driver's head motion and a living body signal, and a controller for determining whether the driver is in a drowsy state or a frontal state using a head motion and a biological signal of the driver measured by the sensor unit And a warning signal unit for generating a warning signal informing the driver of a warning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river is in a drowsy state or a forward unexpected state, And a communication unit that receives the warning signal from the warning signal unit and transmits the warning signal to the established communication device.
Description
본 발명은 운전 보조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운전자가 졸음 상태이거나 전방을 주시하지 않는 상태일 때 경고를 알리는 운전 보조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iving assistance apparatus and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driving assistance apparatus and method for notifying a warning when the driver is in a drowsy state or is not looking forward.
최근 차량의 졸음운전으로 인한 사고가 급증함에 따라 운전자의 졸음을 방지하는 기술들이 등장하고 있다.BACKGROUND ART [0002] Recently, as accidents due to drowsiness of a vehicle have been rapidly increased, techniques for preventing a driver from drowning have appeared.
또한, 스마트폰의 사용이 급증함에 따라 운전 중 스마트폰 사용으로 전방을 주시하지 않아서 생기는 사고도 있다.In addition, as the use of smart phones surges, there are accidents caused by not observing the front side through the use of smartphone during driving.
하지만, 기존의 운전자 졸음 방지를 위한 기술들은 카메라를 이용하는 것으로 영상처리를 위한 복잡한 알고리즘이 필요하고, 어두운 상황에서는 인식이 안될 위험이 있다.However, the existing technologies for preventing sleepiness of drivers require a complicated algorithm for image processing by using a camera, and there is a risk of not being recognized in a dark situation.
따라서 간단한 알고리즘을 이용하고, 주변환경에 무관하게 졸음이나 전방 미주시를 감지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Therefore, it is necessary to use a simple algorithm to detect drowsiness or anterior oblique irrespective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복잡한 영상처리가 아닌 간단한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상대적으로 간단한 구조를 가지고 제작이 용이한 운전자의 졸음이나 전방 미주시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운전 보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riving assistance device which can detect a drowsy state or a frontal state of a driver, which is relatively easy to construct using a simple algorithm rather than a complicated image processing.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어두운 환경에서도 운전자의 졸음이나 전방 미주시를 감지할 수 있는 운전 보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river assistance device capable of detecting the driver's sleepiness or frontal ambience even in a dark environment.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운전 보조 장치는 운전자의 머리 움직임과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가 측정한 상기 운전자의 머리 움직임과 생체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운전자가 졸음 상태나 전방 미주시 상태인지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운전자가 졸음 상태나 전방 미주시 상태라고 판단되면, 상기 운전자에게 경고를 알리는 경고 신호를 생성하는 경고 신호부를 포함하고, 상기 경고 신호를 전달받아 출력하는 알림부나 설정된 통신 장치와 상호 통신하고, 상기 경고 신호부로부터 상기 경고 신호를 전달받아 설정된 통신 장치에 송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riving assist system including a sensor unit for measuring a head movement of a driver and a living body signal, a head motion of the driver measured by the sensor unit and a living body signal, And a warning signal unit for generating an alarm signal informing the driver of a warning if the driver is determined to be in a drowsy state or a frontal state, And a communication unit for mutually communicating with the set communication unit and receiving the warning signal from the warning signal unit and transmitting the warning signal to the established communication device.
본 발명에 따른 운전 보조 방법은 운전자의 머리 움직임과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측정 단계, 측정된 상기 운전자의 머리 움직임과 생체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운전자가 졸음 상태나 전방 미주시 상태인지 판단하는 판단 단계, 상기 운전자가 졸음 상태나 전방 미주시 상태라고 판단되면, 판단된 상태에 대응하여 상기 운전자에게 경고를 알리는 경고 신호를 생성하는 경고 신호 생성 단계 및 상기 경고 신호를 출력하는 알림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 driving assis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easuring step of measuring head movement and a biological signal of a driver, a determining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driver is in a drowsy state or a frontal state using the measured head movement of a driver and a biological signal, An alarm signal generating step of generating an alarm signal informing the driver of the warning in response to the determined stat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river is in a drowsy state or a frontal state, and an informing step of outputting the warning signal.
본 발명에 따른 운전 보조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The driving assist device and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영상처리보다 상대적으로 간단한 알고리즘으로 동일한 졸음 및 전방 미주시 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First,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same drowsiness and anterior obliquity prevention effect with a relatively simple algorithm than the image processing.
둘째, 주변이 어두운 환경이나 운전자가 착용한 안경 등 때문에 영상처리가 용이하지 않은 환경에서도 운전자의 졸음 및 전방 미주시 감지할 수 있다.Second, even in an environment in which the image processing is not easy due to the dark surroundings or glasses worn by the driver, the driver can be perceived to be drowsy and forward.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운전 보조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운전 보조 방법을 이용하여 운전자의 전방 미주시 상태에 대해 경고하기까지의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운전 보조 방법을 이용하여 운전자의 졸음 상태에 대해 경고하기까지의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운전 보조 장치가 전방 미주시 상태를 판단하기 위해 운전자의 시선 방향을 산출하는 것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운전 보조 장치가 졸음 상태를 판단하기 위해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것을 나타낸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driv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up to warning of a driver's frontward state using a driving assistanc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warning the driver about the drowsiness state using the driving assistanc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shows that the driver's assista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lculates the gaze direction of the driver in order to determine the state of the front end.
FIG. 5 shows that the driv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easures a living body signal to determine a drowsy state.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from and elucidat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after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fully disclose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운전 보조 장치 및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driving assistance apparatus and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운전 보조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driv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운전 보조 장치는 운전자의 머리 움직임과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센서부(100), 센서부(100)가 측정한 상기 운전자의 머리 움직임과 생체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운전자가 졸음 상태나 전방 미주시 상태인지 판단하는 판단부(200) 및 상기 운전자가 졸음 상태나 전방 미주시 상태라고 판단되면, 상기 운전자에게 경고를 알리는 경고 신호를 생성하는 경고 신호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경고 신호를 전달 받아 출력하는 알림부(400)나 설정된 통신 장치와 상호 통신하고, 상기 경고 신호부(300)로부터 상기 경고 신호를 전달받아 설정된 통신 장치에 송신하는 통신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riv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센서부(100)는, 상기 운전자의 머리 움직임을 측정하는 자이로 센서(110) 및 가속도 센서(120) 중 적어도 하나 및 상기 운전자의 눈동자 위치를 나타내는 생체신호인 안전도(EOG, electrooculogram)를 측정하는 안전도 센서(1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판단부(200)는, 상기 운전자의 머리 움직임과 안전도를 이용하여 상기 운전자의 시선 방향을 산출하고, 상기 운전자의 시선 방향이 설정시간 이상 전방 외 방향이라면 상기 운전자가 전방 미주시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The
상기 경고 신호는 상기 운전자에게 전방 미주시에 대한 경고를 알리는 신호일 수 있다.The warning signal may be a signal informing the driver of a warning about a frontal approach.
안전도는 안구의 움직임에 의해 발생하는 각막 및 망막의 전위 신호를 말한다.Safety refers to the potential signal of the cornea and retina caused by the movement of the eyeball.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운전 보조 장치가 전방 미주시 상태를 판단하기 위해 운전자의 시선 방향을 산출하는 것을 나타낸다.4 shows that the driver's assista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lculates the gaze direction of the driver in order to determine the state of the front end.
운전자의 머리 움직임은 자이로 센서(110) 및 가속도 센서(120)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운전자의 눈동자 위치는 눈동자가 움직일 때 발생하는 안전도를 측정하여 파악한다. The head movement of the driver is measured using at least one of the gyro sensor 110 and the acceleration sensor 120. The driver's eye position measures the degree of safety that occurs when the pupil moves.
최근 운전 중 스마트폰 사용 등으로 인하여 운전자가 전방을 주시하지 않아서 발생하는 사고가 잦기 때문에 이러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This is to prevent such accidents because frequent accidents occur because the driver does not watch ahead due to the use of smartphone during the recent driving.
다만, 운전자가 운전 중 필요에 의해 전방을 주시하지 않는 경우가 있으므로, 운전자가 설정시간 동안 전방을 주시하지 않는 것인지 파악하는 것이다. 이로 인해 운전자가 잠시 백미러를 보거나 주변 환경을 파악하기 위해 두리번거리는 경우에는 운전자가 전방 미주시 상태라고 판단하지 않는다. 상기 설정시간은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However, there is a case in which the driver does not watch the front due to necessity during driving, and therefor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driver does not look forward for the set time. Therefore, the driver does not judge that the driver is in the frontal state when he / she walks around to see the rearview mirror or the surrounding environment for a while. The setting time can be arbitrarily set by the user.
센서부(100)는 상기 운전자의 눈 깜박임을 나타내는 근전도(EMG, electromyography)를 측정하는 근전도 센서(140)를 포함할 수 있다.The
판단부(200)는 상기 운전자의 근전도를 이용하여 상기 운전자의 눈 감은 시간을 측정하고, 일정 시간 동안 상기 운전자의 눈 감은 시간을 합산한 값인 제1 시간값을 산출하고, 상기 제1 시간값이 제1 설정값 이상이면 상기 운전자가 졸음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The
운전자가 졸음 상태라면 평소보다 눈을 감는 시간이 많아질 것이므로, 이를 이용하여 졸음을 측정한다. 다만, 졸음 외 다른 원인으로 잠시 눈을 감는 경우가 있을 수 있으므로 일정 시간 동안 누적된 눈 감은 시간을 측정하여 졸음 상태 판단의 정확도를 향상 시킬 수 있다.If the driver is in a drowsy state, it will take more time to close his / her eyes than usual. However, since there may be a case where the eyes are closed temporarily for other reasons than drowsiness,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accuracy of the drowsiness judgment by measuring the cumulative eye closing tim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판단부(200)는, 상기 운전자의 근전도를 이용하여 상기 운전자의 눈 감은 상태가 지속되는 시간 값인 제2 시간값을 산출하고, 상기 제2 시간값이 제2 설정값 이상이면 상기 운전자가 졸음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The
졸음운전의 경우 짧은 시간 동안에 사고로 있어 질 수 있기 때문에 즉각적인 판단이 필요할 수 있다. 이러한 즉각적인 판단은 운전자가 눈을 지속적으로 감는 시간을 측정하여 수행한다. 즉, 운전자의 졸음 정도가 심각한 경우 눈을 지속적으로 감는 시간이 상대적으로 더욱 길어질 것이므로, 이를 이용하여 즉각적인 졸음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2 설정값은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으나, 졸음 운전의 즉각적인 판단을 위해서는 제2 설정값을 제1 설정값보다 크게 설정해야 한다.Drowsy driving can be an accident in a short period of time, so immediate judgment may be required. This immediate judgment is performed by measuring the time that the driver continuously winds the eyes. That is, when the driver's drowsiness is serious, the time to continuously wind the eyes will be relatively longer, so that the drowsiness state can be determined instantaneously. The first and second set values may be arbitrarily set by the user, but the second set value must be set to be larger than the first set value in order to promptly determine the drowsy operation.
상기 경고 신호는 상기 운전자에게 졸음에 대한 경고를 알리는 신호일 수 있다. 운전자에게 경고를 알리는 것은 청각적으로 음성 메시지나 경고음이 출력되거나, 촉각적으로 진동이 출력되거나, 시각적으로 문자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되거나 특정 발광소자가 발광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경고 알림은 운전자에게 졸음 운전에 대한 경고를 알릴 수 있으면 족하고, 다른 한정을 두지 않는다.The warning signal may be a signal informing the driver of a warning of drowsiness. Notifying the driver of a warning may be an audible voice message or a warning sound, a tactile vibration output, a visual display of a text message, or a specific light emitting device emitting light. The alert notification may be sufficient to notify the driver of a warning of drowsy driving, and does not set any other limitation.
근전도는 근육움직임에 의한 근육 내 전기적 변화를 말한다. 사람이 눈을 깜박이는 경우 귀 근육이 움직이게 되므로, 귀 근육의 근전도를 측정하면 운전자가 눈을 감는 것인지 확인할 수 있다. 이 밖에 눈의 깜박임을 감지할 수 있는 근육의 근전도를 측정하는 방법도 가능할 것이다. EMG refers to electrical changes in the muscles caused by muscle movements. If a person flickers his or her ear, the ear muscles will move, so if the EMG of the ear muscles is measured, it can be confirmed whether the driver closes his or her eyes.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measure the electromyogram of the muscles that can detect the flicker of the eyes.
본 발명에 따른 운전 보조 장치는 상기 생체신호 측정을 위한 알고리즘을 포함한 소프트웨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판단부(200)는 상기 생체신호의 잡음을 제거하는 아날로그 필터, 신호 증폭기 및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100)가 측정한 운전자의 신체에서 발생하는 EMG와 EOG가 포함된 생체신호는 아날로그 필터를 통해 잡음이 제거되고, 신호 증폭기를 통해 증폭되어 증폭과정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회로로 전송된다. 잡음이 제거되고 증폭된 생체신호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회로를 통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고, 소프트웨어에 의해 전처리, 특징 추출 과정 및 패턴 검출 과정을 거친다. 운전자의 생체신호에서 검출된 패턴으로 상기 운전자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The driv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software including an algorithm for measuring the bio-signal. The
졸음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알고리즘 중 하나의 예를 설명한다.One example of an algorithm for determining the drowsy state will be described.
운전자의 눈 깜박임을 측정하여 일정 시간 동안 누적된 눈을 감은 시간(PERCLOS, Percentage Closure of Eyes)을 산출한다. PERCLOS를 산출하는 수식은 다음과 같다.The blinking of the driver's eye is measured, and PERCLOS (Percentage Closure of Eyes) is calculated. The formula for calculating PERCLOS is as follows.
PERCLOS 값이 특정 임계값을 넘었을 경우에 졸음으로 판단되기 때문에 눈을 감는 즉시 졸음상태가 되는 것은 아니며, 실제 졸음 판단을 하는데 매우 유용하다. 눈을 깜박일 때 눈을 감는 시간은 보통 최소 75ms에서 최대 400ms까지인데, 눈을 감는 시간이 400ms 이상이면 졸음으로, 800ms 이상이면 수면 상태로 정의할 수 있다. If the PERCLOS value exceeds a certain threshold value, it is judged to be drowsy, so it does not become drowsy immediately after closing the eyes, and it is very useful for actually drowsiness judgment. The time to close the eyes when blinking is usually from a minimum of 75ms to a maximum of 400ms. A sleeping time of 400ms or more can be defined as a sleeping time, and a sleeping time of 800ms or more can be defined as a sleeping time.
PERCLOS를 산출하기 위한 일정 시간은 최근 20초 정도로 설정할 수 있고, PERCLOS 값이 30%이상이 되었을 때 졸음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The predetermined time for calculating the PERCLOS can be set to about 20 seconds in the past, and when the PERCLOS value reaches 30% or more, it can be judged as a drowsy state.
PERCLOS 값과 별개로 즉각적인 판단을 위해 지속적으로 800ms 이상 눈을 감고 있으면, 졸음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Separately from the PERCLOS value, if you keep your eyes closed for more than 800 ms, you can be in a drowsy state.
센서부(100)는, 상기 운전자의 체온을 측정하는 온도 센서 및 상기 운전자의 심박수를 측정하는 심박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판단부(200)는, 상기 제1 시간값이 제1 설정값 이상이거나 상기 제2 시간값이 제2 설정값 이상이고, 상기 운전자의 체온과 심박수가 설정 범위내이면 상기 운전자가 졸음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이는 운전자가 졸음 상태인지를 더욱 정확하게 판단하기 위한 것이다. 사람이 졸음 상태일 때 체온과 심박수가 평소와 달라지는 점을 감안하여 이를 졸음 판단에 적용하는 것이다.The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운전 보조 장치가 졸음 상태를 판단하기 위해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것을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운전자의 졸음 상태를 판단할 때 운전자의 눈 깜박임, 심박수 및 체온을 측정할 수 있다. 이밖에 사람의 졸음 상태를 판단할 수 있는 지표를 추가한다면 졸음 판단의 정확도가 향상될 것이다.5 shows that the driv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easures a living body signal to determine a drowsy state. Referring to FIG. 5, when the driver is determined to be drowsy, the blinking of the driver's eyes, the heart rate, and the body temperature can be measured. In addition, the addition of an indicator to determine the drowsiness of a person will improve the accuracy of drowsiness judgment.
본 발명에 따른 운전 보조 장치는 상기 경고 신호를 전달 받아 출력하는 알림부(400); 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경고 신호는 운전자의 졸음이나 전방 미주시에 대하여 경고하는 음성 메시지, 경고음 및 진동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신호일 수 있다.The driv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즉, 운전자가 졸음 상태이거나 전방 미주시 상태라고 판단되면, 알림부(400)에서 이에 대해서 경고하는 음성 메시지가 출력될 수 도 있고, 진동이나 경고음이 출력될 수도 있다. 알림부(400)에 디스플레이 수단이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시각적인 자극을 이용하여 운전자에게 경고를 알릴 수도 있을 것이다. 알림부(400)와 상기 경고 신호는 운전자에게 경고를 알릴 수 있으면 족하고, 다른 한정을 두지 않는다.That is,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river is in a drowsy state or a forward unexpected state, the
본 발명에 따른 운전 보조 장치는 설정된 통신 장치와 상호 통신하고, 상기 경고 신호부(300)로부터 상기 경고 신호를 전달받아 설정된 통신 장치에 송신하는 통신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정된 통신 장치는 운전자의 스마트폰일 수 있고, 차량에 내장된 통신 장치 일 수도 있다. 통신부(500)를 통해서 차량에 설치된 내비게이션과 통신을 할 수도 있고, 상기 내비게이션으로부터 길 안내 음성 신호를 전달 받아 알림부(400)로 출력할 수도 있다. The driv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이 밖에 다른 이동 단말기와 음성 통화나 문자 메시지 송수신을 수행할 수 도 있을 것이다. 즉, 통신부(500)를 이용하여 다른 통신장치와 연계하여 운전 중에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요소들이 존재하며, 상기 요소로는 운전보조 장치를 착용한 운전자가 차량 문을 열고 시동을 걸 수 있는 스마트 키 기능, 긴급상황에서의 블랙박스 제어 기능, 운전에 도움되는 도로상황을 메시지로 제공하는 안내 기능 등이 있을 수 있다.In addition, a voice communication or a text message transmission / reception with another mobile terminal may be performed. That is, there are elements that can be assisted during operation in cooperation with other communication apparatuses using the
본 발명에 따른 운전 보조 장치는 내장된 자이로 센서(110)를 이용하여 운전자의 자세를 측정할 수 있고, 운전하기에 적합한 자세를 잡을 수 있도록 하는 자세 교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운전 보조 장치는 반드시 운전할 때가 아니라도 설정된 통신 장치와의 통신을 통해 도보 통행 중 길 안내를 할 수도 있다.The driv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measure the posture of the driver by using the built-in gyro sensor 110 and can perform a posture correcting function that allows the posture to be suitable for driving. The driv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not always be in operation but may also guide the user during walking while communicating with the established communication device.
본 발명에 따른 운전 보조 방법은 운전자의 머리 움직임과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측정 단계, 측정된 상기 운전자의 머리 움직임과 생체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운전자가 졸음 상태나 전방 미주시 상태인지 판단하는 판단 단계, 상기 운전자가 졸음 상태나 전방 미주시 상태라고 판단되면, 판단된 상태에 대응하여 상기 운전자에게 경고를 알리는 경고 신호를 생성하는 경고 신호 생성 단계 및 상기 경고 신호를 출력하는 알림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 driving assis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easuring step of measuring head movement and a biological signal of a driver, a determining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driver is in a drowsy state or a frontal state using the measured head movement of a driver and a biological signal, An alarm signal generating step of generating an alarm signal informing the driver of the warning in response to the determined stat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river is in a drowsy state or a frontal state, and an informing step of outputting the warning signal.
상기 측정 단계에서, 상기 운전자의 머리 움직임 및 상기 운전자의 눈동자 위치를 나타내는 생체신호인 안전도(EOG, electrooculogram)를 측정할 수 있다. In the measuring step, the degree of safety (EOG, electrooculogram), which is a biological signal indicating the driver's head motion and the pupil position of the driver, can be measured.
상기 판단 단계에서, 상기 운전자의 머리 움직임 및 안전도를 이용하여 상기 운전자의 시선 방향을 산출하고, 상기 운전자의 시선 방향이 설정시간 이상 전방 외 방향이라면 상기 운전자가 전방 미주시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In the determining step, the driver's gaze direction may be calculated using the driver's head motion and safety, and the driver may determine that the driver is in a forward-facing state if the gaze direction of the driver is outward beyond the set time.
상기 측정 단계에서, 상기 운전자의 눈 깜박임을 나타내는 근전도(EMG, electromyography)를 측정할 수 있다.In the measuring step, an electromyography (EMG) indicating the blinking of the driver can be measured.
상기 판단 단계에서, 상기 근전도를 이용하여 상기 운전자의 눈 감은 시간을 측정하고, 일정 시간 동안 상기 운전자의 눈 감은 시간을 합산한 값인 제1 시간값을 산출하고, 상기 제1 시간값이 제1 설정값 이상이면 상기 운전자가 졸음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Wherein the first time value is a value obtained by summing up the eye closing time of the driver for a predetermined time by measuring the eyelash time of the driver using the electromyogram in the determining step, It is determined that the driver is in a drowsy state.
상기 판단 단계에서, 상기 근전도를 이용하여 상기 운전자의 눈 감은 상태가 지속되는 시간 값인 제2 시간값을 산출하고, 상기 제2 시간값이 제2 설정값 이상이면 상기 운전자가 졸음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Wherein the driver is determined to be in a drowsy state if the second time valu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second set value, and wherein the second time value is a time value during which the driver's eyes closed state is maintained using the electromyogram have.
상기 측정 단계에서 상기 운전자의 체온 및 심박수를 더 측정할 수 있다.In the measuring step, the body temperature and the heart rate of the driver can be further measured.
상기 판단 단계에서, 상기 제1 시간값이 제1 설정값 이상이거나 제2 시간값이 제2 설정값 이상이고, 상기 운전자의 체온 및 심박수가 설정 범위내이면 상기 운전자가 졸음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st time valu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first set value, the second time valu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second set value, and the body temperature and heart rate of the driver are within the set range, the driver may determine that the driver is in a drowsy state .
본 발명에 따른 운전 보조 방법은 상기 경고 신호를 설정된 통신 장치에 송신하는 통신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 단계를 통해서 차량 통신 장치로 상기 경고 신호를 전송하여 차량의 스피커나 진동시트를 이용하여 운전자에게 경고를 알릴 수도 있다. The driving assistanc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a communication step of transmitting the warning signal to the set communication device. The warning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vehicle communication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step to inform the driver of the warning by using the speaker or the vibration sheet of the vehicle.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운전 보조 방법을 이용하여 운전자의 전방 미주시 상태에 대해 경고하기까지의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FIG.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up to warning of a driver's frontward state using a driving assistanc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운전자의 머리 움직임 및 안전도를 측정한다(S110).The head movement and safety of the driver are measured (S110).
상기 측정된 운전자의 머리 움직임 및 안전도를 이용하여 상기 운전자의 시선 방향을 산출한다(S120).The gaze direction of the driver is calculated using the measured head movement and safety of the driver (S120).
산출된 상기 운전자의 시선 방향이 전방인지 판단한다(S130).And determines whether the calculated gaze direction of the driver is forward (S130).
상기 운전자의 시선 방향이 전방이라고 판단되면, 계속해서 상기 운전자의 머리 움직임 및 안전도를 측정하여 상기 운전자의 시선 방향을 산출하고,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irection of the driver's gaze is forward, the gaze direction of the driver is calculated by measuring the driver's head motion and safety,
상기 운전자의 시선 방향이 전방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상기 운전자의 시선 방향이 전방이 아닌 상태로 설정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판단한다(S140).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river's gaze direction is not the front direction,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driver's gaze direction is not forward (S140).
상기 운전자의 시선 방향이 전방이 아닌 상태로 설정 시간이 경과하였다고 판단되면, 상기 운전자가 전방 미주시 상태라고 판단하고, 경고 신호를 출력한다(S150).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et time has passed since the driver's line of sight is not forward, the driver determines that the driver is in a frontward state and outputs a warning signal (S150).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운전 보조 방법을 이용하여 운전자의 졸음 상태에 대해 경고하기까지의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FIG.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warning the driver of a sleepiness state using the driving assistanc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운전자의 근전도를 측정한다(S210).The electromyogram of the driver is measured (S210).
상기 측정된 운전자의 근전도를 이용하여 상기 운전자의 눈 감은 시간을 산출한다(S220).The eye wear time of the driver is calculated using the measured electromyogram of the driver (S220).
일정 시간 동안 상기 운전자가 눈 감은 시간을 합산한 값인 제1 시간값이 제1 설정값 이상이거나, 상기 운전자의 눈 감은 상태가 지속되는 시간 값인 제2 시간값이 제2 설정값 이상인지 판단한다(S230).Whether the first time value, which is a value obtained by summing up the eyes of the driver for a predetermined tim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first set value, or whether the second time value, which is the time value during which the driver's eyes are kept closed,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econd set value S230).
상기 제1 시간값이 제1 설정값 이상이거나, 상기 제2 시간값이 제2 설정값 이상이면, 상기 운전자가 졸음 상태라고 판단하고, 경고 신호를 출력한다(S240).If the first time valu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first set value or the second time valu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second set value, the driver determines that the driver is in a drowsy state and outputs a warning signal at step S240.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센서부 100
자이로 센서 110
가속도 센서 120
안전도 센서 130
근전도 센서 140
판단부 200
경고 신호부 300
알림부 400
통신부 500The
Gyro sensor 110
Acceleration sensor 120
Safety sensor 130
EMG sensor 140
The
The
The
The
Claims (13)
상기 센서부가 측정한 상기 운전자의 머리 움직임과 생체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운전자가 졸음 상태나 전방 미주시 상태인지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운전자가 졸음 상태나 전방 미주시 상태라고 판단되면, 상기 운전자에게 경고를 알리는 경고 신호를 생성하는 경고 신호부; 를 포함하는 운전 보조 장치.A sensor unit for measuring a head movement of a driver and a biological signal;
A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driver is in a drowsy state or a forward-anticipated state using the head movement and the biological signal of the driver measured by the sensor unit; And
An alarm signal unit for generating a warning signal informing the driver of a warning if the driver is determined to be in a drowsy state or a frontal state; The driving assist device comprising:
상기 센서부는,
상기 운전자의 머리 움직임을 측정하는 자이로 센서 및 가속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 및 상기 운전자의 눈동자 위치를 나타내는 생체신호인 안전도(EOG, electrooculogram)를 측정하는 안전도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운전자의 머리 움직임과 안전도를 이용하여 상기 운전자의 시선 방향을 산출하고, 상기 운전자의 시선 방향이 설정시간 이상 전방 외 방향이라면 상기 운전자가 전방 미주시 상태라고 판단하고,
상기 경고 신호는 상기 운전자에게 전방 미주시에 대한 경고를 알리는 신호인 운전 보조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nsor unit includes:
(EOG, electrooculogram) indicating a position of at least one of a gyro sensor and an acceleration sensor for measuring the head movement of the driver and a pupil position of the driver,
Wherein,
The driver's head direction and the degree of safety are used to calculate the gaze direction of the driver and if the gaze direction of the driver is ahead of the predetermined time or longer,
Wherein the warning signal is a signal informing the driver of a warning about a frontal accident.
상기 센서부는,
상기 운전자의 눈 깜박임을 나타내는 근전도(EMG, electromyography)를 측정하는 근전도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운전자의 근전도를 이용하여 상기 운전자의 눈 감은 시간을 측정하고, 일정 시간 동안 상기 운전자의 눈 감은 시간을 합산한 값인 제1 시간값을 산출하고, 상기 제1 시간값이 제1 설정값 이상이면 상기 운전자가 졸음 상태라고 판단하고,
상기 경고 신호는 상기 운전자에게 졸음에 대한 경고를 알리는 신호인 운전 보조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nsor unit includes:
And an electromyography sensor for measuring electromyography (EMG) indicating blinking of the driver's eyes,
Wherein,
Calculating a first time value which is a value obtained by summing up the driver's eye closing time for a predetermined time by measuring the driver's eye closing time using the electromyogram of the driver and if the first time valu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first set value Determines that the driver is in a drowsy state,
Wherein the warning signal is a signal informing the driver of a warning of drowsiness.
상기 센서부는,
상기 운전자의 눈 깜박임을 나타내는 근전도(EMG, electromyography)를 측정하는 근전도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운전자의 근전도를 이용하여 상기 운전자의 눈 감은 상태가 지속되는 시간 값인 제2 시간값을 산출하고, 상기 제2 시간값이 제2 설정값 이상이면 상기 운전자가 졸음 상태라고 판단하고,
상기 경고 신호는 상기 운전자에게 졸음에 대한 경고를 알리는 신호인 운전 보조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nsor unit includes:
And an electromyography sensor for measuring electromyography (EMG) indicating blinking of the driver's eyes,
Wherein,
Calculating a second time value that is a time value in which the driver's eyes closed state is maintained using the electromyogram of the driver and determining that the driver is in a drowsy state if the second time valu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second set value,
Wherein the warning signal is a signal informing the driver of a warning of drowsiness.
상기 센서부는,
상기 운전자의 체온을 측정하는 온도 센서 및 상기 운전자의 심박수를 측정하는 심박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제1 시간값이 제1 설정값 이상이거나 상기 제2 시간값이 제2 설정값 이상이고, 상기 운전자의 체온과 심박수가 설정 범위내이면 상기 운전자가 졸음 상태라고 판단하는 운전 보조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4,
The sensor unit includes:
Further comprising: a temperature sensor for measuring a body temperature of the driver; and a heart rate sensor for measuring a heart rate of the driver,
Wherein,
Wherein the driver is determined to be in a drowsy state if the first time valu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first set value or the second time valu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second set value and the body temperature and heart rate of the driver are within a set range.
상기 경고 신호를 전달 받아 출력하는 알림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경고 신호는,
운전자의 졸음이나 전방 미주시에 대하여 경고하는 음성 메시지, 경고음 및 진동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신호인 운전 보조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notification unit for receiving and outputting the warning signal; Further comprising:
The warning signal may include:
Wherein the driving assist signal is a signal including at least one of a voice message, a warning sound, and a vibration to warn the driver of drowsiness or a frontal accident.
설정된 통신 장치와 상호 통신하고, 상기 경고 신호부로부터 상기 경고 신호를 전달받아 설정된 통신 장치에 송신하는 통신부; 를 더 포함하는 운전 보조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communication unit for mutually communicating with the established communication apparatus, receiving the warning signal from the warning signal unit, and transmitting the warning signal to the established communication apparatus; Further comprising:
측정된 상기 운전자의 머리 움직임과 생체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운전자가 졸음 상태나 전방 미주시 상태인지 판단하는 판단 단계;
상기 운전자가 졸음 상태나 전방 미주시 상태라고 판단되면, 판단된 상태에 대응하여 상기 운전자에게 경고를 알리는 경고 신호를 생성하는 경고 신호 생성 단계; 및
상기 경고 신호를 출력하는 알림 단계; 를 포함하는 운전 보조 방법.A measurement step of measuring a driver's head motion and a biological signal;
Determining whether the driver is in a drowsy state or a forward-anticipated state using the measured head movement and the biological signal of the driver;
An alarm signal generating step of generating an alarm signal informing the driver of a warning in response to the determined stat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river is in a drowsy state or a frontal state; And
A warning step of outputting the warning signal; The driving assist system comprising:
상기 측정 단계에서,
상기 운전자의 머리 움직임 및 상기 운전자의 눈동자 위치를 나타내는 생체신호인 안전도(EOG, electrooculogram)를 측정하고,
상기 판단 단계에서,
상기 운전자의 머리 움직임 및 안전도를 이용하여 상기 운전자의 시선 방향을 산출하고, 상기 운전자의 시선 방향이 설정시간 이상 전방 외 방향이라면 상기 운전자가 전방 미주시 상태라고 판단하는 운전 보조 방법.9. The method of claim 8,
In the measuring step,
(EOG, electrooculogram), which is a biological signal indicating the head movement of the driver and the pupil position of the driver,
In the determination step,
Calculating a driver's gaze direction based on the head movement and the degree of safety of the driver, and determining that the driver is in a front-end state if the driver's gaze direction is ahead of a predetermined time or longer.
상기 측정 단계에서,
상기 운전자의 눈 깜박임을 나타내는 근전도(EMG, electromyography)를 측정하고,
상기 판단 단계에서,
상기 근전도를 이용하여 상기 운전자의 눈 감은 시간을 측정하고, 일정 시간 동안 상기 운전자의 눈 감은 시간을 합산한 값인 제1 시간값을 산출하고, 상기 제1 시간값이 제1 설정값 이상이면 상기 운전자가 졸음 상태라고 판단하는 운전 보조 방법.9. The method of claim 8,
In the measuring step,
An electromyography (EMG) indicating the blinking of the driver's eyes is measured,
In the determination step,
Calculating a first time value which is a value obtained by summing up the eyes of the driver during a predetermined time and calculating a first time value when the first time valu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first set value, The driver is determined to be in a drowsy state.
상기 측정 단계에서,
상기 운전자의 눈 깜박임을 나타내는 근전도(EMG, electromyography)를 측정하고,
상기 판단 단계에서,
상기 근전도를 이용하여 상기 운전자의 눈 감은 상태가 지속되는 시간 값인 제2 시간값을 산출하고, 상기 제2 시간값이 제2 설정값 이상이면 상기 운전자가 졸음 상태라고 판단하는 운전 보조 방법.9. The method of claim 8,
In the measuring step,
An electromyography (EMG) indicating the blinking of the driver's eyes is measured,
In the determination step,
Calculating a second time value that is a time value for maintaining the driver's eyes closed state using the electromyogram; and determining that the driver is in a drowsy state if the second time valu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second set value.
상기 측정 단계에서 상기 운전자의 체온 및 심박수를 더 측정하고,
상기 판단 단계에서,
상기 제1 시간값이 제1 설정값 이상이거나 제2 시간값이 제2 설정값 이상이고, 상기 운전자의 체온 및 심박수가 설정 범위내이면 상기 운전자가 졸음 상태라고 판단하는 운전 보조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0 or 11,
In the measuring step, the body temperature and heart rate of the driver are further measured,
In the determination step,
Wherein the driver is determined to be in a drowsy state if the first time valu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first set value, the second time valu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second set value, and the body temperature and heart rate of the driver are within a set range.
상기 경고 신호를 설정된 통신 장치에 송신하는 통신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운전 보조 방법.9. The method of claim 8,
A communication step of transmitting the warning signal to the set communication device; Further comprising the steps of: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11796A KR20170017616A (en) | 2015-08-07 | 2015-08-07 | Apparatus and method for assisting driv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11796A KR20170017616A (en) | 2015-08-07 | 2015-08-07 | Apparatus and method for assisting driv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17616A true KR20170017616A (en) | 2017-02-15 |
Family
ID=58112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11796A Ceased KR20170017616A (en) | 2015-08-07 | 2015-08-07 | Apparatus and method for assisting driv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70017616A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677981A (en) * | 2021-01-08 | 2021-04-20 | 浙江三一装备有限公司 | Intelligent auxiliary method and device for safe driving of working machine |
KR20210097394A (en) * | 2020-01-30 | 2021-08-09 |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 Interface device utilizing human head movement in the vehicle |
KR20220048350A (en) * | 2020-10-12 | 2022-04-19 | 홍진기 |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virtual lecture space |
KR20230090392A (en) * | 2021-12-14 | 2023-06-22 | 재단법인 구미전자정보기술원 | System for monitoring status of driver's sleepiness |
-
2015
- 2015-08-07 KR KR1020150111796A patent/KR20170017616A/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97394A (en) * | 2020-01-30 | 2021-08-09 |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 Interface device utilizing human head movement in the vehicle |
KR20220048350A (en) * | 2020-10-12 | 2022-04-19 | 홍진기 |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virtual lecture space |
CN112677981A (en) * | 2021-01-08 | 2021-04-20 | 浙江三一装备有限公司 | Intelligent auxiliary method and device for safe driving of working machine |
CN112677981B (en) * | 2021-01-08 | 2022-06-07 | 浙江三一装备有限公司 | Intelligent auxiliary method and device for safe driving of working machine |
KR20230090392A (en) * | 2021-12-14 | 2023-06-22 | 재단법인 구미전자정보기술원 | System for monitoring status of driver's sleepines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3132739B1 (en) | Enhancing vehicle system control | |
JP5255063B2 (en) | Sleepiness sign detection device | |
Leng et al. | Wearable driver drowsiness detection system based on biomedical and motion sensors | |
JP4727688B2 (en) | Awakening level estimation device | |
KR20190061726A (en) | System and method for adjusting drivingcontrol of vehicle | |
JP4497081B2 (en) | Human condition detection device | |
US20150251661A1 (en) | Method for permitting a performance-enhancing nap in a motor vehicle | |
KR20170017616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assisting drive | |
CN106530621A (en) | Safe driving method and apparatus based on smart wearable equipment | |
JP2019086813A5 (en) | ||
JP2015113109A (en) | Method for determining driver's carelessness and determination device therefor | |
KR20130108778A (en) | Safety driving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 based on ssvep | |
JP2023093454A (en) | Abnormality detection device | |
KR101988426B1 (en) | Wrist type electricshock apparatus for preventing sleepiness | |
CN115966056A (en) | A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for early warning of personal safety in vehicles | |
KR101416522B1 (en) | prevention method of drowsy driving and system thereof | |
JP2016146978A (en) | Sleepiness detection device | |
KR102037739B1 (en) | Monitoring system for stroke during driving | |
KR101961990B1 (en) | emergency situation determination method using glasses with measuring module | |
KR101708872B1 (en) | Anti drowsy driving system | |
US9820687B2 (en) | Method for determining drowsiness | |
KR102021932B1 (en) | Driver sleepiness detection method | |
JP7704008B2 (en) | Driver state determination method and device | |
DE202018100012U1 (en) | Fatigue monitoring device for drivers | |
KR20180112295A (en) | System for real-time determining driving condition of a driver based on bio-signa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807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MND | Amendment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080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5080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5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1122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1052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21122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1072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0080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601 |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4S01D Patent event date: 2022021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22012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21122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21072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X06013S01I Patent event date: 2021052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200803 |
|
X601 |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