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70016982A - Ultra-thin keyboard switch - Google Patents

Ultra-thin keyboard switc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6982A
KR20170016982A KR1020177001071A KR20177001071A KR20170016982A KR 20170016982 A KR20170016982 A KR 20170016982A KR 1020177001071 A KR1020177001071 A KR 1020177001071A KR 20177001071 A KR20177001071 A KR 20177001071A KR 20170016982 A KR20170016982 A KR 201700169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vot connection
movable contact
contact piece
piece
base bod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107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870587B1 (en
Inventor
푸시 우
Original Assignee
동관 카이후아 일렉트로닉스 코.,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관 카이후아 일렉트로닉스 코., 엘티디. filed Critical 동관 카이후아 일렉트로닉스 코.,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1700169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698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05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0587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01H13/705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 mounting or arrangement of operating parts, e.g. push-buttons or ke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01H13/705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 mounting or arrangement of operating parts, e.g. push-buttons or keys
    • H01H13/7065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 mounting or arrangement of operating parts, e.g. push-buttons or key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sm between keys and layered keyboards
    • H01H13/7073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 mounting or arrangement of operating parts, e.g. push-buttons or key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sm between keys and layered keyboards characterised by springs, e.g. Euler springs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박형 키보드 스위치에 대해 공개하였는 바, 이는 베이스 바디, 고정 접편, 지지편, 가동 접편, 하틀, 상틀 및 키캡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접편과 지지편은 베이스 바디에 별도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고정 접편에는 제 1 용접 다리와 고정 접점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지지편에는 제 2 용접 다리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용접 다리와 제 1 용접 다리는 모두 베이스 바디 밖으로 뻗어지고; 상기 가동 접편의 일단은 지지편과 접촉을 유지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가동 접편의 타단에는 가동 접점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가동 접점은 고정 접점의 상방에 위치하고; 상틀과 하틀을 이용하여 서로 교차시켜 중첩가능하게 피봇 연결되고, 상틀과 하틀을 결합하여 X형 구조를 이루어 가동 접편이 움직이도록 하여, 기존의 가이드 컬럼을 이용하는 형식을 대체하여, 제품의 두께가 전반적으로 슬림해지도록 하고, 손가락이 키캡의 어떠한 위치에 작용하여도, 상틀과 하틀은 모두 연동되어 가동 접편을 움직이도록 함으로써, 안정되게 아래로 눌리게 되어, 고정 접편과 가동 접편이 도통 연결되어 더욱 민첩해져서 제품 사용이 더욱 편리해진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n ultra-thin keyboard switch comprising a base body, a fixed contact piece, a support piece, a movable contact piece, a heart, a saucer and a keycap; Wherein the fixed contact piece and the supporting piece are separately provided in the base body, the fixed contact piece is provided with a first welding leg and a fixed contact, the supporting piece is provided with a second welding leg, All of the first weld legs extend out of the base body; One end of the movable contact piece is held in contact with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upporting piece, and the movable contact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movable contact piece, the movable contact is positioned above the fixed contact; The movable contact piece is moved in the X-shaped structure by connecting the upper frame and the huttle so that the movable contact piece is moved so that the existing guide column is used instead of the conventional type, So that even when the finger acts on any position of the keycap, the stomach and the hartle ar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to move the movable contact piece, so that the fixed contact piece and the movable contact piece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e product becomes more convenient to use.

Description

초박형 키보드 스위치{ULTRA-THIN KEYBOARD SWITCH} [0001] ULTRA-THIN KEYBOARD SWITCH [0002]

본 발명은 키보드 스위치 분야의 기술에 관한것으로, 특히 초박형 키보드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ology of a keyboard switch, and more particularly to an ultra-thin keyboard switch.

키보드 스위치는 이름 그대로 키보드에 응용되거나 설치된 스위치로서, 이러한 스위치의 주요 구조에는 베이스, 상부 커버, 고정 접편, 가동 접편, 버튼을 포함하되, 상기 상부 커버와 베이스는 둘러쌓여 수용 캐비티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 접편, 가동 접편과 버튼은 상기 수용 캐비티에 설치되며, 상기 버튼의 일단은 수용 캐비티 밖으로 노출되며, 버튼을 누름 조작하는 것을 통하여, 버튼으로 하여금 아래 위로 움직이게 하는 바, 나아가 버튼이 가동 접편에 작용하는 것을 통하여, 가동 접편이 고정 접편과 접촉 연결 또는 이탈 분리되게 한다.The keyboard switch includes a base, an upper cover, a fixed contact piece, a movable contact piece, and a button, wherein the upper cover and the base are enclosed to form a receiving cavity, The stationary contact piece, the movable contact piece and the button are installed in the receiving cavity. One end of the button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accommodation cavity, and the button is moved upward and downward by pushing the button. The movable contact piece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or separated from the fixed contact piece.

상기 기존의 키보드 스위치 구조는, 비록 사용자에게 고정 접편과 가동 접편 사이의 연결을 차단하거나 또는 도통시키는 효과를 제공시킬수 있어, 확실히 진보성이 있지만, 실제 사용시 오히려 자체 구조와 사용 성능에서 여전히 많은 부족점이 존재하고 있다는 것이 발견되어, 기존의 키보드 스위치는 실제 응용에서, 가장 좋은 사용효과와 작동효능을 달성하지 못하게 되는 바, 그 결점을 종합하면 하기와 같다.The conventional keyboard switch structure can provide the user with the effect of blocking or continu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fixed contact piece and the movable contact piece, which is certainly progressive, but there are still many deficiencies in the self structure and the use performance in actual use The conventional keyboard switch does not achieve the best use effect and the operation efficiency in practical application, and the drawbacks are as follows.

기존의 키보드 스위치의 버튼은 가이드 컬럼 형식이므로, 제품 전반의 두께가 두꺼워 지도록 하고, 버튼은 키캡의 밑부분 중심에 장착되는 바, 손가락이 키캡의 일측 가장자리에만 작용되었을 때, 버튼은 안정되게 눌리지 않아, 나아가 고정 접편과 가동 접편의 도통 또한 이룰 수 없게 되어, 사용상에서 비교적 불편하다.Since the button of the conventional keyboard switch is a guide column type, the thickness of the entire product is increased, and the button is mounted at the center of the bottom of the keycap. When the finger is applied to only one edge of the keycap, , And furthermore, conduction between the fixed contact piece and the movable contact piece can not be achieved, which is relatively inconvenient in use.

이를 감안하여, 본 발명은 선행기술에 존재하는 결점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바, 기존의 키보드 스위치의 두께가 두껍고 사용이 불편한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초박형 키보드 스위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drawback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ultra-thin keyboard switch capable of effectively solving the problem of a conventional keyboard switch having a large thickness and inconvenient us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와 같은 기술방안을 사용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following technical solutions.

초박형 키보드 스위치는, 베이스 바디, 고정 접편, 지지편, 이동 접촉 편,하틀,상틀, 및 키캡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접편과 지지편은 베이스 바디에 서로 분리 설치되어 있고, 상기 고정 접편에는 제 1 용접 다리와 고정 접점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지지편에는 제 2 용접 다리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용접 다리와 제 1 용접 다리는 베이스 바디 밖으로 뻗어져 있고; 상기 가동 접편의 일단은 지지편과 접촉을 유지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가동 접편의 타단에는 가동 접점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가동 접점은 고정 접점의 상방에 위치하고; 상기 상틀과 하틀은 서로 교차되어 중첩가능하게 피봇 연결되고, 상틀의 하단과 하틀의 하단은 각각 베이스 바디의 양단과 피봇 연결되고, 상틀의 상단과 하틀의 상단은 각각 키캡의 밑부분 양단과 피봇 연결되고, 상틀과 하틀은 X형 구조를 이루어 가동 접편이 움직이도록 하여, 상틀과 하틀이 중첩 상태일 경우, 상기 가동 접점은 고정 접점과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가동 접편은 가동 접편의 리셋을 추동하여 가동 접점이 고정 접점에서 이탈되도록 하는 탄성재에 설치된다.The ultrathin keyboard switch includes a base body, a fixed contact piece, a supporting piece, a moving contact piece, a heart, a saucer, and a keycap; Wherein the fixed contact piece and the support piece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a base body, the fixed contact piece is provided with a first welding leg and a fixed contact, the supporting piece is provided with a second welding leg, And the first weld leg extending out of the base body; One end of the movable contact piece is held in contact with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upporting piece, and the movable contact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movable contact piece, the movable contact is positioned above the fixed contact; The lower end of the upper frame and the lower end of the hub are pivotally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base body. The upper end of the upper frame and the upper end of the hub are pivotally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lower portion of the keycap, The movable terminal is in contact with the fixed contact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and when the movable terminal is in the overlapped state, the movable contact contacts the movable contact to reset the movable contact And is installed in an elastic member that moves so that the movable contact is separated from the fixed contact.

바람직한 방안으로서, 상기 하틀과 상틀은 모두 U형을 나타내며, 상기 하틀은 제 1 가로대와 두 제 1 연결봉을 포함하되, 상기 제 1 가로대의 양단은 밖으로 연장되어 제 1 피봇 연결축을 갖는 바, 제 1 피봇 연결축은 키캡과 피봇 연결되고, 상기 두 제 1 연결봉은 서로 평행되어 각각 제 1 가로대의 양단과 일체로 성형되어 연결되며, 두 제 1 연결봉의 말단 내측은 연장되어 제 2 피봇 연결축을 갖는 바, 제 2 피봇 연결축은 베이스 바디와 피봇 연결되고; 상기 상틀은 제 2 가로대와 두 제 2 연결봉을 포함하되, 상기 제 2 가로대의 양단은 밖으로 연장되어 제 3 피봇 연결축을 갖는 바, 제 3 피봇 연결축은 키캡과 피봇 연결되고, 상기 두 제 2 연결봉은 서로 평행되어 각각 제 2 가로대의 양단과 일체로 성형되어 연결되며, 두 제 2 연결봉의 말단 내측은 연장되어 제4 피봇 연결축을 갖는 바, 제4 피봇 연결축은 베이스 바디와 피봇 연결되며, 또한, 두 제 2 연결봉은 각각 대응되게 두 제 1 연결봉의 내측에 위치되고, 두 제 2 연결봉의 중부는 각각 대응되게 두 제 1 연결봉의 중부와 피봇 연결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Hartle and the Sottle are both U-shaped, the Hartle including a first crossbar and two first connecting rods, both ends of the first crossbar extending outwardly to have a first pivotal connecting shaft, The pivot connection shaft is pivotally connected to the key cap. The two first connection rods are parallel to each other and are integrally molded and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first crossbar. The ends of the two first connection rods extend to have a second pivot connection shaft. The second pivot connection axis is pivotally connected to the base body; Wherein the top frame includes a second crossbar and two second connecting rods, both ends of the second crossbar extending outwardly to have a third pivot connection axis, the third pivot connection axis being pivotally connected to the keycap, And the fourth pivot connection shaft is pivotally connected to the base body, and the second pivot connection shaft is pivotally connected to the first pivot connection shaft and the second pivot connection shaft, The second connecting rods are correspondingly positioned inside the first connecting rods and the middle portions of the two second connecting rods are correspondingly pivotally connected to the center portions of the two first connecting rods.

바람직한 방안으로서, 상기 제 1 연결봉의 말단 표면에는 제 1 삽입홈이 오목하게 설치되어 있고, 제 1 연결봉의 전단 내측에는 제 2 삽입홈이 오목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중첩 상태에서, 제 2 연결봉의 전반 부분은 제 1 삽입홈에 삽입되고 제 2 연결봉의 후반 부분은 제 2삽입홈에 삽입된다.Preferably, the first insertion groove is recessed in the distal end surface of the first connecting rod, the second insertion groove is recessed inside the front end of the first connecting rod, and in the overlapped state,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on groove and the rear portion of the second connecting rod is inserted into the second insertion groove.

바람직한 방안으로서, 상기 제 2 연결봉의 중부 외측은 밖으로 연장되어 제 6 피봇 연결축을 갖고 , 이와 대응되게 상기 제 1 연결봉에 피봇 연결홀을 설치하며, 상기 제 6 피봇 연결축은 피봇 연결홀에 삽입되어 피봇 연결된다.Preferably, the middle outer side of the second connecting rod extends outward to have a sixth pivot connecting shaft, and correspondingly to the first connecting rod, a pivot connecting hole is provided, and the sixth pivot connecting shaft is inserted into the pivot connecting hole, .

바람직한 방안으로서, 상기 베이스 바디에는 제 1 피봇 연결홈과 제 2 피봇 연결홈이 오목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 2 피봇 연결축과 제 4 피봇 연결축은 각각 대응되게 제 1 피봇 연결홈과 제 2 피봇 연결홈에 삽입되며, 또한 상기 베이스 바디에는 상부 커버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상부 커버는 제 2 피봇 연결축과 제 4 피봇 연결축을 각각 대응되게 제 1 피봇 연결홈과 제 2 피봇 연결홈에 위치 제한시키며, 상기 가동 접편은 상부 커버의 하방에 위치된다.Preferably, the base body is provided with a first pivot connection groove and a second pivot connection recess concavely, and the second pivot connection shaft and the fourth pivot connection shaft respectively correspond to the first pivot connection groove and the second pivot connection groove, Wherein the base cover is provided with an upper cover and the upper cover positions the second pivot connection shaft and the fourth pivot connection shaft in correspondence with the first pivot connection groove and the second pivot connection groove, , The movable contact piece is positioned below the upper cover.

바람직한 방안으로서, 상기 키캡의 밑부분에는 제 3 피봇 연결홈과 제 4 피봇 연결홈이 설치되고, 상기 제 1 피봇 연결축과 제 3 피봇 연결축은 각각 대응되게 제 3 피봇 연결홈과 제 4 피봇 연결홈에 걸림되어 피봇 연결된다.Preferably, a third pivot connection groove and a fourth pivot connection groove are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key cap, and the first pivot connection shaft and the third pivot connection shaft correspond to the third pivot connection groove and the fourth pivot connection groove, respectively, It is pivotally connected to the groove.

바람직한 방안으로서, 상기 탄성재는 텐션 스프링으로서, 상기 텐션 스프링의 일단은 상틀에 걸림되고, 텐션 스프링의 타단은 가동 접편에 걸림된다.Preferably, the elastic member is a tension spring, wherein one end of the tension spring is engaged with the upper frame, and the other end of the tension spring is engaged with the movable contact piece.

바람직한 방안으로서, 상기 탄성재는 탄성편으로서, 일체로 성형되어 가동 접편에 설치되고, 상기 가동 접편은 하틀과 장착 연결된다.As a preferred method, the elastic material is formed as an elastic piece, integrally molded and provided on the movable contact piece, and the movable contact piece is connected to and connected to the heart.

바람직한 방안으로서, 상기 베이스 바디는 X형 구조에 삽입된다.As a preferred method, the base body is inserted into the X-shaped structure.

바람직한 방안으로서, 상기 베이스 바디는 X형 구조의 하방에 위치한다.As a preferred method, the base body is located below the X-shaped structure.

본 발명은 선행기술에 비해 뚜렷한 장점과 유리한 효과가 있는 바, 구체적으로, 상기 기술방안으로부터 알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clear advantages and advantageous effects over the prior art, and it can be seen from the technical solution in detail.

상틀과 하틀을 이용하여 이를 서로 교차시켜 중첩가능하게 피봇 연결되고, 상틀과 하틀을 결합하여 X형 구조를 이루어 가동 접편이 움직이도록 하여, 또한, 손가락이 키캡의 어떠한 위치에 작용하여도, 상틀과 하틀은 모두 연동되어 가동 접편을 움직이도록 함으로써, 안정되게 아래로 눌리게 되어, 고정 접편과 가동 접편이 도통 연결되어 더욱 민첩해져서 제품 사용이 더욱 편리해진다.Shaped structure so that the movable contact piece is moved so that the movable contact piece is moved in the X-shaped structure by engaging the upper frame and the harttle, and even when the finger acts on any position of the keycap, So that the movable contact piece and the movable contact piece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use of the product becomes more convenient.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바람직한 실시예의 조립 입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바람직한 실시예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바람직한 실시예의 다른 각도의 분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바람직한 실시예의 또 다른 각도의 분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바람직한 실시예의 부분적 조립도이다.
도 6은 도 5 중의 상틀과 하틀을 펼친 상태의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바람직한 실시예의 사용상태 모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바람직한 실시예 중의 상틀과 하틀의 확대 모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1 바람직한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바람직한 실시예의 부분적 조립 입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바람직한 실시예의 부분적 조립 입체도이다.
1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view of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view of another angle of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view of another angle of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artial assembly view of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schematic diagram of a state in which a supermarket and a heart are opened in Fig. 5. Fig.
Fig. 7 is a usage state diagram of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8 is an enlarged schematic view of a top frame and a heart of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artially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artially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a thir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는 본 발명의 제 1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체적인 구조를 도시하고 있는 바, PCB 기판(10), 베이스 바디(20), 고정 접편(30), 지지편(40), 가동 접편(50), 하틀(60), 상틀(70) 및 키캡(80)을 포함한다.1 to 9, this is a specific structure of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CB substrate 10, the base body 20, the fixed contact piece 30, the supporting piece 40 A movable contact piece 50, a heart 60, a top frame 70, and a key cap 80. [

상기 PCB 기판(10)에는 LED 램프(11)가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 바디(20)는 PCB 기판(10)에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 바디(20)에는 하나의 갭(21)이 설치되고, 상기 LED 램프(11)는 상기 갭(21)내에 위치된다.An LED lamp 11 is installed on the PCB substrate 10 and the base body 20 is installed on the PCB substrate 10 and one gap 21 is provided on the base body 20, The LED lamp 11 is positioned within the gap 21.

상기 고정 접편(30)과 지지편(40)은 베이스 바디(20)에 서로 분리 설치되고, 상기 가동 접편(30)에는 제 1 용접 다리(31)와 고정 접점이(32)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지지편(40)에는 제 2 용접 다리(41)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용접 다리(41)와 제 1 용접 다리(31)는 모두 베이스 바디(20) 밖으로 뻗어져 PCB 기판(10)과 용접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The fixed contact piece 30 and the supporting piece 4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the base body 20. The movable contact piece 30 is provided with a first welding leg 31 and a fixed contact point 32, The second welding legs 41 and the first welding legs 31 are extended out of the base body 20 to be separated from the PCB substrate 10, And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상기 가동 접편(50)의 일단과 지지편(40)은 접촉을 유지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가동 접편(50)의 타단에는 가동 접점(51)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가동 접점(51)은 고정 접점(32)의 상방에 위치된다.One end of the movable contact piece 50 and the supporting piece 4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while being held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movable contact piece 51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movable contact piece 50. The movable contact 51 is fixed And is located above the contact point 32.

상기 상틀(70)과 하틀(60)은 서로 교차되어 중첩가능하게 피봇 연결되고, 상틀(70)의 하단과 하틀(60)의 하단은 각각 베이스 바디(20)의 양단에 피봇 연결되며, 상틀(70)의 상단과 하틀(60)의 상단은 각각 키캡(80)의 밑부분 양단에 피봇 연결되고, 상틀(70)과 하틀(60)은 X형 구조를 이루어 가동 접편(50)이 움직이도록 하여, 상틀(70)과 하틀(60)이 중첩 상태에 놓였을 때, 상기 가동 접점(51)은 고정 접점(32)과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가동 접편50)은 가동 접편(50)의 리셋을 추동하여 가동 접점(51)이 고정 접점(32)에서 이탈되도록 하는 탄성재(90)에 설치된다. The lower end of the upper leg 70 and the lower end of the upper leg 60 are pivotally connected to the opposite ends of the base body 20, 70 and the upper end of the hatch 60 are pivotally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lower portion of the key cap 80 so that the upper leg 70 and the hut 60 form an X-shaped structure to move the movable contact piece 50 The movable contact 51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xed contact 32 while the movable contact 50 is in contact with the fixed contact 32 of the movable contact 50, And is mounted on an elastic member 90 for moving the movable contact 51 away from the stationary contact 32 in accordance with a reset.

구체적으로 말하면,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하틀(60)과 상틀(70)은 모두 U형을 나타내며, 상기 하틀(60)은 제 1 가로대(61)와 두 제 1 연결봉(62)을 포함하되, 상기 제 1 가로대(61)의 양단은 모두 밖으로 연장되어 제 1 피봇 연결축(63)을 갖고, 제 1 피봇 연결축(63)은 키캡(80)과 피봇 연결되고, 상기 두 제 1 연결봉(62)은 서로 평행되어 각각 제 1 가로대(61)의 양단과 일체로 성형되어 연결되며, 두 제 1 연결봉(62)의 말단 내측은 모두 연장되어 제 2 피봇 연결축(64)을 갖고, 제 2 피봇 연결축(64)은 베이스 바디(20)와 피봇 연결되며; 상기 상틀(70)은 제 2 가로대(71)와 두 제 2 연결봉(72)을 포함하되, 상기 제 2 가로대(71)의 양단은 모두 밖으로 연장되어 제 3 피봇 연결축(73)을 갖고, 제 3 피봇 연결축(73)은 키캡(80)과 피봇 연결되고, 상기 두 제 2 연결봉(72)은 서로 평행되어 각각 제 2 가로대(71)의 양단과 일체로 성형되어 연결되며, 두 제 2 연결봉(72)의 말단 내측은 모두 연장되어 제 4 피봇 연결축(74)을 갖고, 제 4 피봇 연결축(74)은 베이스 바디(20)와 피봇 연결되며, 또한, 두 제 2 연결봉(72)은 각각 대응되게 두 제 1 연결봉(62)의 내측에 위치되고, 두 제 2 연결봉(72)의 중부는 각각 대응되게 두 제 1 연결봉(62)의 중부와 피봇 연결되며,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연결봉(72)의 중부 외측은 밖으로 연장되어 제 6 피봇 연결축(75)을 갖고, 이와 대응되게 상기 제 1 연결봉(62)에 피봇 연결홀(65)을 설치하고, 상기 제 6 피봇 연결축(75)은 피봇 연결홀(65)에 삽입되어 피봇 연결된다.Specifically, in this embodiment, the hub 60 and the hub 70 both represent a U-shape, and the hub 60 includes a first bar 61 and two first connecting rods 62, Both ends of the first arm 61 extend outwardly and have a first pivot connection shaft 63. The first pivot connection shaft 63 is pivotally connected to the key cap 80 and the two first connection rods 62 Are integrally formed and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first crossbar 61. The inside ends of the two first connection rods 62 are all extended to have a second pivot connection shaft 64, The connecting shaft 64 is pivotally connected to the base body 20; The upper arm 70 includes a second arm 71 and two second connecting rods 72. Both ends of the second arm 71 extend outward to have a third pivot connection shaft 73, The three second pivot connecting shafts 73 are pivotally connected to the key caps 80. The two second connecting rods 72 are parallel to each other and formed integrally with both ends of the second cross bar 71, The second pivotal connection shaft 74 is pivotally connected to the base body 20 and the two second connection rods 72 are pivotally connected to the base body 20. [ And the middle portions of the two second connecting rods 72 are pivotally connected to the middle portions of the two first connecting rods 62 respectively in correspondence with each oth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cond connecting rod 72 extends outward to have a sixth pivot connecting shaft 75 and a pivot connecting hole 65 is provided in the first connecting rod 62 correspondingly , The sixth pivot connection shaft 75 is inserted into the pivot connection hole 65 is pivotally connected.

상기 제 1 연결봉(62)의 말단 표면에는 제 1 삽입홈(601)이 오목하게 설치되고, 제 1 연결봉(62)의 전단 내측에는 제 2 삽입홈(602)이 오목하게 설치되며, 중첩 상태에서, 제 2 연결봉(72)의 전반 부분은 제 1 삽입홈(601)에 삽입되고, 제 2 연결봉(72)의 후반 부분은 제 2삽입홈(602)에 삽입되어 제품으로 하여금 더욱 슬림해지도록 한다.The first insertion groove 601 is recessed in the distal end surface of the first connecting rod 62. The second insertion groove 602 is recessed inside the front end of the first connecting rod 62, , The front half portion of the second connecting rod 72 is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on groove 601 and the rear half portion of the second connecting rod 72 is inserted into the second insertion groove 602 to make the product slimmer .

상기 베이스 바디(20)에는 오목 캐비티(22), 두 제 1 피봇 연결홈(23)과 두 제 2 피봇 연결홈(24)이 오목하게 설치되고, 상기 두 제 1 피봇 연결홈(23)과 두 제 2 피봇 연결홈(24)은 베이스 바디(20) 표면의 네개 모서리에 분포되어 있고, 전술한 제 2 피봇 연결축(64)과 제 4 피봇 연결축(74)은 각각 대응되게 제 1 피봇 연결홈(23)과 제 2 피봇 연결홈(24)에 삽입되고, 또한 상기 베이스 바디(20)에 상부 커버(10')가 설치되고, 상기 상부 커버(10')는 제 2 피봇 연결축(64)과 제4 피봇 연결축(74)을 각각 대응되게 제 1 피봇 연결홈(23)과 제 2 피봇 연결홈(24)에 위치 제한시키고, 상기 가동 접편(50)은 오목 캐비티(22)에 삽입되어 상부 커버(10')의 하방에 위치된다. 상기 상부 커버(10')의 두개의 마주하는 측판에는 모두 잠금홀(11')이 설치되고, 이와 대응되게 상기 베이스 바디(20)에는 잠금부(25)가 설치되고, 상기 잠금부(25)와 잠금홀(11')은 서로 잠금 연결되어, 상부 커버(10')를 베이스 바디(20)에 설치시키고, 또한 상기 지지편(40)의 최상단에는 위치 결정부(42)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 커버(10')에는 위치 결정홀(12')이 설치되며, 상기 위치 결정부(42)는 위치 결정홀(12')에 삽입되어 위치 결정되고, 상기 상부 커버(10')의 두 측판에는 핀(13')이 연장되고, 상기 핀(13')은 PCB 판(10)에 삽입되어 용접 고정시킨다.The base body 20 is provided with a concave cavity 22, two first pivot connection grooves 23 and two second pivot connection grooves 24 in a concave manner and the two first pivot connection grooves 23 and two The second pivot connection groove 24 is distributed at four corners of the surface of the base body 20 and the second pivot connection shaft 64 and the fourth pivot connection shaft 74 described above correspond to each other at a first pivot connection The upper cover 10 'is inserted into the groove 23 and the second pivot connection groove 24 and the base body 20 is provided with the upper cover 10' And the movable contact piece 50 is inserted into the recessed cavity 22 so as to correspond to the first pivot connection groove 23 and the second pivot connection groove 24, And is positioned below the upper cover 10 '. Locking holes 25 are provided in the base body 20 correspondingly to the lock holes 11 'in the two opposite side plates of the upper cover 10' And the lock hole 11 'are mutually locked and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upper cover 10' is installed on the base body 20 and the positioning part 42 is provided on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piece 40, The upper cover 10 'is provided with a positioning hole 12' and the positioning portion 42 is inserted and positioned in the positioning hole 12 '. The upper cover 10' The pin 13 'is extended and the pin 13' is inserted into the PCB plate 10 and welded.

아울러, 상기 키캡(80)의 밑부분에는 제 3 피봇 연결홈(81)과 제 4 피봇 연결홈(82)이 설치되고, 상기 제 1 피봇 연결축(63)과 제 3 피봇 연결축(73)은 각각 대응되게 제 3 피봇 연결홈(81)과 제 4 피봇 연결홈(82)에 걸림되어 피봇 연결된다.A third pivot connection groove 81 and a fourth pivot connection groove 82 are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key cap 80. The first pivot connection shaft 63 and the third pivot connection shaft 73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re pivotally connected to the third pivot connection groove 81 and the fourth pivot connection groove 82, respectively.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재(90)는 텐션 스프링으로서, 상기 텐션 스프링은 상부 커버(10')를 노출시키고, 상기 텐션 스프링의 양단은 각각 제 1 후크부(91)와 제 2 후크부(92)가 구비되며, 상기 상틀(70)의 제 2 가로대(71)에는 제 1 걸림홀(701)이 설치되고, 상기 제 1 후크부(91)는 제 1 걸림홀(701)에 걸림되고, 상기 가동 접편(50)에는 제 2 걸림홀(52)이 설치되고, 상기 제 2 후크부(92)는 제 2 걸림홀(52)에 걸림된다.The elastic member 90 is a tension spring which exposes the upper cover 10 'and both ends of the tension spring are connected to the first hook portion 91 and the second hook portion A first hooking hole 701 is formed on the second crossbar 71 of the upper frame 70 and the first hooking portion 91 is hooked on the first hooking hole 701, The movable contact piece 50 is provided with a second engagement hole 52 and the second hook portion 92 is engaged with the second engagement hole 52.

이밖에, 상기 베이스 바디(20)는 전술한 X형 구조 내에 삽입되어, 본 제품의 체적이 더욱 작아지도록 한다.In addition, the base body 20 is inserted into the above-described X-shaped structure so that the volume of the product is further reduced.

조립할 때, 고정 접편(30)과 지지편(40)을 각각 위로부터 아래로 베이스 바디(20)의 대응되는 위치에 삽입하고, 이어서, 가동 접편(50)을 오목 캐비티(22)에 위치시키고, 가동 접편(50)이 지지편(40)에 당접되어 접촉을 유지하도록 한 뒤, 상틀(70)과 하틀(60)이 서로 교차되게 피봇 연결되고, 제 2 피봇 연결축(64)과 제 4 피봇 연결축(74)이 각각 대응되게 제 1 피봇 연결홈(23)과 제 2 피봇 연결홈(24)에 삽입되고, 이어서, 텐션 스프링의 제 1 후크부(91)는 제 1 걸림홀(701)에 걸림되고, 텐션 스프링의 제 2 후크부(92)는 제 2 걸림홀(52)에 걸림된 후, 상부 커버(10')는 위로부터 아래로 베이스 바디(20)에 장착시키고, 이어서, 키캡(80)을 조립하여, 제 1 피봇 연결축(63)과 제 3 피봇 연결축(73)을 각각 대응되게 제 3 피봇 연결홈(81)과 제 4 피봇 연결홈(82)에 걸림되게 하여 피봇 연결하면 된다.The fixed contact piece 30 and the supporting piece 40 are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corresponding positions of the base body 20 from top to bottom and then the movable contact piece 50 is placed in the concave cavity 22, The movable contact piece 5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upport piece 40 to keep the contact and then the upper frame 70 and the second frame 60 are pivotally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second pivot connection shaft 64 and the fourth pivot The first hook portion 91 of the tension spring is inserted into the first pivot connection groove 23 and the second pivot connection groove 24 in the first pivot connection groove 24 and the first pivot connection groove 24, The second hook portion 92 of the tension spring is hooked on the second hooking hole 52 and then the upper cover 10 'is mounted on the base body 20 from top to bottom, The first pivot connection shaft 63 and the third pivot connection shaft 73 are engaged with the third pivot connection groove 81 and the fourth pivot connection groove 82 so as to correspond to each other, Connect It is necessary.

사용시, 키캡(80)을 누를 때, 상기 상틀(70)과 하틀(60)이 아래로 움직이며 중첩되는 동시에, 상기 탄성재(90)를 잡아당겨, 상기 가동 접편(50)이 아래로 움직이게 되어, 가동 접점(51)이 고정 접점(32)과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며; 키캡(80)을 풀 때, 탄성재(90)가 변형된 것이 회복되고, 탄성재(90)의 작용하에, 상틀(70)과 하틀(60)은 위로 펼치어, 키캡(80)은 위로 리셋되는 동시에, 가동 접편(50)도 위로 리셋되어, 가동 접점(51)으로 하여금 고정 접점(32)에서 이탈되게 한다.When the keycap 80 is pressed, the upper frame 70 and the hub 60 are moved downward to overlap with each other. At the same time, the elastic member 90 is pulled to move the movable contact piece 50 downward , So that the movable contact 51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xed contact 32; When the keycap 80 is loosened, the deformation of the elastic material 90 is restored and under the action of the elastic material 90, the staple 70 and the hub 60 spread out upward, At the same time, the movable contact piece 50 is also reset to cause the movable contact 51 to be disengaged from the fixed contact point 32.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는 본 발명의 제 2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체적인 구조를 도시하였는 바, 본 실시예의 구체적인 구조는 전술한 제 1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체적인 구조와 기본적으로 같으며, 다른 부분은 하기와 같다.As shown in FIG. 10, this shows a specific structure of the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pecific structure of this embodiment is basically the same as the specific structure of the above-mentioned first preferred embodiment, same.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재(90)는 탄성편으로서, 이는 일체로 성형되어 가동 접편(50)에 설치되고, 상기 가동 접편(50)은 하틀(60)과 장착 연결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elastic material 90 is an elastic piece, which is integrally molded and provided on the movable contact piece 50, and the movable contact piece 50 is mounted on and connected to the heart 60.

본 실시예의 조립 과정과 사용 방법은 전술한 제 1 바람직한 실시예와 같기에, 여기서 본 실시예의 조립과정과 사용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서술하지 않는다.The assembling process and the use method of the present embodiment are the same as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described above, and therefore, the assembling process and the use method of the present embodiment are not described in detail.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는 본 발명의 제 3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체적인 구조를 도시하는 바, 본 실시예의 구체적인 구조는 전술한 제 1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체적인 구조와 기본적으로 같으며, 다른 부분은 하기와 같다.As shown in FIG. 11, this shows a concrete structure of a thir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pecific structure of this embodiment is basically the same as the specific structure of the aforementioned first preferred embodiment, same.

상기 베이스 바디(20)는 X형 구조의 하방에 위치되고, 상기 상틀(70)과 하틀(60)은 모두 상부 커버(10') 밖으로 뻗어진다.The base body 20 is positioned below the X-shaped structure, and both the upper frame 70 and the hub 60 extend out of the upper cover 10 '.

본 실시예의 조립 과정과 사용 방법은 모두 상기 제 1 바람직한 실시예와 기본상 같기에, 여기서 본 실시예의 조립과정과 사용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서술하지 않는다.The assembling process and the use method of the present embodiment are basically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and the assembling process and the use method of the present embodiment are not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의 설계 중점은 하기와 같다. 상틀과 하틀을 이용하여 서로 교차시켜 중첩가능하게 피봇 연결되고, 상틀과 하틀을 결합하여 X형 구조를 이루어 가동 접편이 움직이도록 하여, 기존의 가이드 컬럼을 이용하는 형식을 대체하여, 제품의 두께가 전반적으로 슬림해지도록 하고, 또한, 손가락이 키캡의 어떠한 위치에 작용하여도, 상틀과 하틀은 모두 연동되어 가동 접편을 움직이도록 함으로써, 안정되게 아래로 눌리게 되어, 고정 접편과 가동 접편이 도통 연결되어 더욱 민첩해져서 제품 사용이 더욱 편리해진다. The design emphasi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The movable contact piece is moved in the X-shaped structure by connecting the upper frame and the huttle so that the movable contact piece is moved so that the existing guide column is used instead of the conventional type, Even when the finger is applied to any position of the keycap, the upper frame and the jacket ar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to move the movable contact piece, so that the stationary contact piece and the movable contact piece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It becomes more agile and makes the use of the product more convenient.

상술한 바와 같이,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대해 어떠한 제한도 하지 않으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이라면 실질상으로 상기 실시예에 대해 진행한 어떠한 수정, 등가적 변화와 수식은, 모두 여전히 본 발명의 기술방안 범위 내에 속할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is i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y technical modificatio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actically applied to any modifications, The formulas are all sti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PCB 기판, 11: LED 램프,
20: 베이스 바디, 21: 갭,
22: 오목 캐비티, 23: 제 1 피봇 연결홈,
24: 제 2 피봇 연결홈, 25: 잠금부,
30: 고정 접편, 31: 제 1 용접 다리,
32: 고정 접점, 40: 지지편,
41: 제 2 용접 다리, 42: 위치 결정부,
50: 가동 접편, 51: 가동 접점,
52: 제 2 걸림홀, 60: 하틀,
61: 제 1 가로대, 62: 제 1 연결봉,
63: 제 1 피봇 연결축, 64: 제 2 피봇 연결축,
65: 피봇 연결홀, 601: 제 1 삽입홈,
602: 제 2 삽입홈, 70: 상틀,
71: 제 2 가로대, 72: 제 2 연결봉,
73: 제 3 피봇 연결축, 74: 제 4 피봇 연결축,
75: 제 6 피봇 연결축, 701: 제 1 걸림홀,
80: 키캡, 81: 제 3 피봇 연결홈,
82: 제 4 피봇 연결홈, 90: 탄성재,
91: 제 1 후크부, 92: 제 2 후크부,
10′: 상부 커버, 11′: 잠금홀,
12′: 위치결정홀, 13′: 핀.
10: PCB board, 11: LED lamp,
20: base body, 21: gap,
22: concave cavity, 23: first pivot connection groove,
24: second pivot connection groove, 25: locking portion,
30: fixed contact piece, 31: first welding leg,
32: fixed contact, 40: supporting piece,
41: second welding leg, 42: positioning portion,
50: movable contact piece, 51: movable contact,
52: second engaging hole, 60: Hartley,
61: first arm, 62: first connecting rod,
63: first pivot connecting shaft, 64: second pivot connecting shaft,
65: pivot connection hole, 601: first insertion groove,
602: second insertion groove, 70: upper frame,
71: second arm, 72: second connecting rod,
73: third pivot connecting shaft, 74: fourth pivot connecting shaft,
75: sixth pivot connecting axis, 701: first latching hole,
80: key cap, 81: third pivot connection groove,
82: fourth pivot connection groove, 90: elastic material,
91: first hook portion, 92: second hook portion,
10 ': upper cover, 11': lock hole,
12 ': positioning hole, 13': pin.

Claims (10)

베이스 바디, 고정 접편, 지지편, 가동 접편, 하틀, 상틀 및 키캡을 포함하되; 상기 고정 접편과 지지편은 베이스 바디에 서로 분리 설치되어 있고, 상기 고정 접편에는 제 1 용접 다리와 고정 접점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지지편에는 제 2 용접 다리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용접 다리와 제 1 용접 다리는 베이스 바디 밖으로 뻗어져 있고; 상기 가동 접편의 일단은 지지편과 접촉을 유지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가동 접편의 타단에는 가동 접점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가동 접점은 고정 접점의 상방에 위치하고; 상기 상틀과 하틀은 서로 교차되어 중첩가능하게 피봇 연결되고, 상틀의 하단과 하틀의 하단은 각각 베이스 바디의 양단과 피봇 연결되고, 상틀의 상단과 하틀의 상단은 각각 키캡의 밑부분 양단과 피봇 연결되고, 상틀과 하틀은 X형 구조를 이루어 가동 접편이 움직이도록 하여, 상틀과 하틀이 중첩 상태일 경우, 상기 가동 접점은 고정 접점과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가동 접편은 가동 접편의 리셋을 추동하여 가동 접점이 고정 접점에서 이탈되도록 하는 탄성재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박형 키보드 스위치.
A base body, a fixed contact piece, a support piece, a movable contact piece, a heart, a saucer, and a keycap; Wherein the fixed contact piece and the support piece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a base body, the fixed contact piece is provided with a first welding leg and a fixed contact, the supporting piece is provided with a second welding leg, And the first weld leg extending out of the base body; One end of the movable contact piece is held in contact with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upporting piece, and the movable contact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movable contact piece, the movable contact is positioned above the fixed contact; The lower end of the upper frame and the lower end of the hub are pivotally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base body. The upper end of the upper frame and the upper end of the hub are pivotally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lower portion of the keycap, The movable terminal is in contact with the fixed contact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and when the movable terminal is in the overlapped state, the movable contact contacts the movable contact to reset the movable contact And the movable contact is moved to the fixed contact so that the movable contact is released from the fixed contac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틀과 상틀은 U형을 나타내며, 상기 하틀은 제 1 가로대와 두 제 1 연결봉을 포함하되, 상기 제 1 가로대의 양단은 밖으로 연장되어 제 1 피봇 연결축을 갖는 바, 제 1 피봇 연결축은 키캡과 피봇 연결되고, 상기 두 제 1 연결봉은 서로 평행되어 각각 제 1 가로대의 양단과 일체로 성형되어 연결되며, 두 제 1 연결봉의 말단 내측은 연장되어 제 2 피봇 연결축을 갖는 바, 제 2 피봇 연결축은 베이스 바디와 피봇 연결되고; 상기 상틀은 제 2 가로대와 두 제 2 연결봉을 포함하되, 상기 제 2 가로대의 양단은 밖으로 연장되어 제 3 피봇 연결축을 갖는 바, 제 3 피봇 연결축은 키캡과 피봇 연결되고, 상기 두 제 2 연결봉은 서로 평행되어 각각 제 2 가로대의 양단과 일체로 성형되어 연결되며, 두 제 2 연결봉의 말단 내측은 연장되어 제4 피봇 연결축을 갖는 바, 제4 피봇 연결축은 베이스 바디와 피봇 연결되며, 또한, 두 제 2 연결봉은 각각 대응되게 두 제 1 연결봉의 내측에 위치되고, 두 제 2 연결봉의 중부는 각각 대응되게 두 제 1 연결봉의 중부와 피봇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박형 키보드 스위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ub and the couch have a U-shape, the hub has a first crossbar and two first connecting rods, both ends of the first crossbar extending outwardly to have a first pivot connection axis, The two first connection rods being parallel to each other and integrally formed with both ends of the first crossbar, the inside ends of the two first connection rods extending to have a second pivot connection shaft, and the second pivot connection shaft Pivotally connected to the base body; Wherein the top frame includes a second crossbar and two second connecting rods, both ends of the second crossbar extending outwardly to have a third pivot connection axis, the third pivot connection axis being pivotally connected to the keycap, And the fourth pivot connection shaft is pivotally connected to the base body, and the second pivot connection shaft is pivotally connected to the first pivot connection shaft and the second pivot connection shaft, Wherein the second connecting rods are correspondingly positioned inside the first connecting rods and the middle portions of the two second connecting rods are correspondingly pivotally connected to the center portions of the two first connecting rods.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봉의 말단 표면에는 제 1 삽입홈이 오목하게 설치되어 있고, 제 1 연결봉의 전단(前端) 내측에는 제 2 삽입홈이 오목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중첩 상태에서, 제 2 연결봉의 전반 부분(前半部分)은 제 1 삽입홈에 삽입되고, 제 2 연결봉의 후반 부분은 제 2삽입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박형 키보드 스위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a first insertion groove is recessed in a distal end surface of the first connecting rod, a second insertion groove is recessed inside a front end of the first connecting rod, and in a superimposed state, (Front half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on groove, and the rear portion of the second connecting rod is inserted into the second insertion groov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연결봉의 중부 외측은 밖으로 연장되어 제 6 피봇 연결축을 갖고 , 이와 대응되게 상기 제 1 연결봉에 피봇 연결홀을 설치하며, 상기 제 6 피봇 연결축은 피봇 연결홀에 삽입되어 피봇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박형 키보드 스위치.
3. The method of claim 2,
And the sixth connecting rod is extended outward to have a sixth pivot connecting shaft and correspondingly to the first connecting rod, a pivot connecting hole is provided, and the sixth pivot connecting shaft is inserted into the pivot connecting hole to be pivotally connected Ultra thin keyboard switch.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바디에는 제 1 피봇 연결홈과 제 2 피봇 연결홈이 오목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 2 피봇 연결축과 제 4 피봇 연결축은 각각 대응되게 제 1 피봇 연결홈과 제 2 피봇 연결홈에 삽입되며, 또한 상기 베이스 바디에는 상부 커버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상부 커버는 제 2 피봇 연결축과 제 4 피봇 연결축을 각각 대응되게 제 1 피봇 연결홈과 제 2 피봇 연결홈에 위치 제한시키며, 상기 가동 접편은 상부 커버의 하방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박형 키보드 스위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first pivot connection groove and the second pivot connection groove are recessed in the base body, and the second pivot connection shaft and the fourth pivot connection shaft are inserted into the first pivot connection groove and the second pivot connection groove, Wherein the base body is provided with an upper cover and the upper cover positions the second pivot connection shaft and the fourth pivot connection shaft in correspondence with the first pivot connection groove and the second pivot connection groove, Is positioned below the upper cove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키캡의 밑부분에는 제 3 피봇 연결홈과 제 4 피봇 연결홈이 설치되고, 상기 제 1 피봇 연결축과 제 3 피봇 연결축은 각각 대응되게 제 3 피봇 연결홈과 제 4 피봇 연결홈에 걸림되어 피봇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박형 키보드 스위치.
3. The method of claim 2,
A third pivot connection groove and a fourth pivot connection groove are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key cap, and the first pivot connection shaft and the third pivot connection shaft are engaged with the third pivot connection groove and the fourth pivot connection groove, Wherein the pivot connection is pivotally connect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재는 텐션 스프링으로서, 상기 텐션 스프링의 일단은 상틀에 걸림되고, 텐션 스프링의 타단은 가동 접편에 걸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박형 키보드 스위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lastic member is a tension spring, one end of the tension spring is engaged with the upper frame, and the other end of the tension spring is engaged with the movable contact pie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재는 탄성편으로서, 일체로 성형되어 가동 접편에 설치되고, 상기 가동 접편은 하틀과 장착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박형 키보드 스위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elastic material is an elastic piece, which is integrally molded and provided on the movable contact piece, and the movable contact piece is connected to the heart to be connect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바디는 X형 구조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박형 키보드 스위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ase body is inserted into the X-shaped structur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바디는 X형 구조의 하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박형 키보드 스위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Wherein the base body is located below the X-shaped structure.









KR1020177001071A 2014-07-08 2015-01-21 Ultra-thin keyboard switch Active KR101870587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410322216 2014-07-08
CN201410322216.X 2014-07-08
PCT/CN2015/071178 WO2016004755A1 (en) 2014-07-08 2015-01-21 Ultra-thin keyboard switch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6982A true KR20170016982A (en) 2017-02-14
KR101870587B1 KR101870587B1 (en) 2018-06-22

Family

ID=52319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1071A Active KR101870587B1 (en) 2014-07-08 2015-01-21 Ultra-thin keyboard switch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870587B1 (en)
CN (2) CN104299827B (en)
WO (1) WO2016004755A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1556U (en) * 2016-10-27 2019-06-24 동관 카이후아 일렉트로닉스 코., 엘티디. Thin mechanical keyboard switch
KR20220001307U (en) * 2020-11-30 2022-06-08 동관 카이후아 일렉트로닉스 코., 엘티디. Keyboard switch having pressure balancing effec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99829B (en) * 2014-09-28 2016-08-24 东莞市凯华电子有限公司 Noiseless keyboard switch
CN106486300B (en) * 2015-08-27 2019-03-05 东莞市凯华电子有限公司 Keyboard switch with X frame structure
CN205508686U (en) * 2015-10-23 2016-08-24 东莞市凯华电子有限公司 Noiseless key switch
CN205645574U (en) * 2016-01-13 2016-10-12 东莞市凯华电子有限公司 Keyboard switch
CN106373816B (en) * 2016-06-01 2018-08-28 东莞市凯华电子有限公司 Ultrathin mechanical keyboard switch
CN207116248U (en) * 2016-08-04 2018-03-16 东莞市凯华电子有限公司 A thin keyboard switch
CN107017870B (en) * 2016-11-17 2018-08-28 东莞市凯华电子有限公司 A kind of slim photoelectric mechanical formula keyboard switch
CN108206112B (en) * 2016-12-16 2021-04-20 华为机器有限公司 A key assembly, keyboard and mobile terminal
CN107017103A (en) * 2017-05-02 2017-08-04 苏州华之杰电讯股份有限公司 A kind of microswitch
WO2019052377A1 (en) * 2017-09-15 2019-03-21 陈�峰 Key device having thin-type scissor support
WO2019086152A1 (en) * 2017-10-30 2019-05-09 Cherry Gmbh Key module for a keyboard, and keyboard
CN107680861B (en) * 2017-11-21 2019-03-19 广东虹勤通讯技术有限公司 Key and keyboard with same
DE102018102609A1 (en) * 2018-02-06 2019-08-08 Cherry Gmbh Key module for a keyboard and keyboard
CN108428583B (en) * 2018-03-27 2024-04-30 东莞市铭冠电子科技有限公司 Key switch with scissors foot structure
CN110767475B (en) * 2018-07-27 2021-11-23 群光电子(苏州)有限公司 Keyboard device
CN110828219B (en) * 2018-08-10 2022-02-25 群光电子(苏州)有限公司 Keyboard with a keyboard body
CN110137016B (en) * 2019-05-13 2024-06-14 深圳市晶泰电子有限公司 High balance key and keyboard
TWI699796B (en) 2019-06-25 2020-07-21 達方電子股份有限公司 Key switch
CN110379661B (en) * 2019-06-28 2022-04-15 苏州达方电子有限公司 button
CN215731435U (en) * 2020-12-29 2022-02-01 东莞市凯华电子有限公司 Driving block driving type conduction sounding mechanism applied to keyboard switch
US11923159B2 (en) 2021-12-16 2024-03-05 Darfon Electronics Corp. Keyswitch structure and keycap support mechanism thereof
TWI802498B (en) 2021-12-16 2023-05-11 達方電子股份有限公司 Keyswitch structur and lift mechanism thereof
US11978598B2 (en) 2021-12-16 2024-05-07 Darfon Electronics Corp. Keyswitch structure and lift mechanism thereof
US12080492B2 (en) 2021-12-16 2024-09-03 Darfon Electronics Corp. Keyswitch structure and lift mechanism thereof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5595U (en) * 2003-01-29 2003-08-08 新巨企業股▲ふん▼有限公司 Switch device
JP2004039653A (en) * 2003-10-30 2004-02-05 Brother Ind Ltd Key switch device
JP2005302018A (en) * 2004-04-06 2005-10-27 Dafang Electronic Co Ltd Keyboard with up key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80217U (en) * 1990-11-01 1991-07-03 嵇魁 Light contact plain mechanical power switch
CN2261075Y (en) * 1996-01-11 1997-08-27 西安机床电器厂 Push-button switch
JP2001195948A (en) * 2000-01-07 2001-07-19 Brother Ind Ltd Key switch device, keyboard provided with key switch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provided with keyboard
TW484152B (en) * 2000-01-07 2002-04-21 Brother Ind Ltd Key switch device, keyboard having key board and electronic equipment having key board
JP2002109989A (en) * 2000-09-27 2002-04-12 Oki Joho Systems:Kk Push button switch
US7656268B2 (en) * 2005-07-02 2010-02-02 Tsung-Mou Yu Safety switch
CN2884487Y (en) * 2005-12-31 2007-03-28 英业达股份有限公司 A key device for touch panel of notebook computer
JP2009009385A (en) * 2007-06-28 2009-01-15 Toshiba Corp Keyboard and electronic equipment
CN201142290Y (en) * 2007-11-20 2008-10-29 张家港华峰电接插元件有限公司 Water proof switch
CN202839402U (en) * 2012-11-12 2013-03-27 创乐电子实业(惠州)有限公司 Novel waterproof button switch
CN103839714A (en) * 2012-11-22 2014-06-04 致伸科技股份有限公司 Scissor connection elements and key structures with scissor connection elements
CN204130406U (en) * 2014-07-08 2015-01-28 东莞市凯华电子有限公司 Ultra-thin keyboard switches with a smooth depres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5595U (en) * 2003-01-29 2003-08-08 新巨企業股▲ふん▼有限公司 Switch device
JP2004039653A (en) * 2003-10-30 2004-02-05 Brother Ind Ltd Key switch device
JP2005302018A (en) * 2004-04-06 2005-10-27 Dafang Electronic Co Ltd Keyboard with up key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1556U (en) * 2016-10-27 2019-06-24 동관 카이후아 일렉트로닉스 코., 엘티디. Thin mechanical keyboard switch
KR20220001307U (en) * 2020-11-30 2022-06-08 동관 카이후아 일렉트로닉스 코., 엘티디. Keyboard switch having pressure balancing effec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04755A1 (en) 2016-01-14
CN104299828A (en) 2015-01-21
CN104299827B (en) 2017-02-15
CN104299828B (en) 2017-10-03
KR101870587B1 (en) 2018-06-22
CN104299827A (en) 2015-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0587B1 (en) Ultra-thin keyboard switch
WO2016107547A1 (en) Switch with good hand feeling
TWI396216B (en) Flat key structure
WO2016107545A1 (en) Keyboard switch
WO2016138803A1 (en) Thin notebook computer mechanical keyboard
CN204130407U (en) Ultra-Slim Keyboard Switches
TWM542224U (en) Keyboard switch having X-frame structure
JP5738915B2 (en) Wheelbarrow
US10410803B2 (en) Silent key switch
CN204130408U (en) Silent Keyboard Switch
CN108346527B (en) Scissor support frame and press-key structure
CN104299829B (en) Noiseless keyboard switch
TWM507075U (en) Battery connector
CN204067140U (en) Anti-short plug-in LED keypad switch
US9362062B1 (en) Ultra-thin keyboard switch
CN209343970U (en) A kind of push switch self-locking structure
WO2017032219A1 (en) Keyboard switch of x-frame structure
CN203119202U (en) A plug pluggable with one hand
CN201984996U (en) Key structure and keyboard
JP3195855U (en) Ultra-thin keyboard switch
CN205582778U (en) Push-button switch
TWM497845U (en) Ultra-thin keyboard switch
CN201355587Y (en) switch
KR200461085Y1 (en) Rocker switch
KR20110021420A (en) swit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113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1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3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6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6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6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81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