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70016546A - 보관 온도가 서로 다른 신선화물의 동시 운반이 가능한 냉장 컨테이너 - Google Patents

보관 온도가 서로 다른 신선화물의 동시 운반이 가능한 냉장 컨테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6546A
KR20170016546A KR1020150109515A KR20150109515A KR20170016546A KR 20170016546 A KR20170016546 A KR 20170016546A KR 1020150109515 A KR1020150109515 A KR 1020150109515A KR 20150109515 A KR20150109515 A KR 20150109515A KR 20170016546 A KR20170016546 A KR 201700165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mpartments
air
cool air
compartm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9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형림
김재중
이재기
김채수
이강배
박병권
최성필
문영식
김태훈
이병하
정준우
조재희
전미진
Original Assignee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095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16546A/ko
Publication of KR201700165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6546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03Transport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20Refrigerated goods vehicles
    • F25B41/04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4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deep-frozen art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3Air curtain clos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5Mounting of control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02Sensors detecting door op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선화물의 물량에 따라 능동적으로 구분 할 수 있어 보관 온도가 서로 다른 신선화물의 동시 운반이 가능한 냉장 컨테이너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공간을 이루는 컨테이너 본체와, 화물의 보관 온도에 따라 상기 컨테이너 본체 내부를 다수 개의 격실로 분리시킬 수 있도록 컨테이너 본체 벽면을 따라 이동하며 여닫을 수 있는 격실모듈과, 각 분리된 격실별로 상태 모니터링이 가능한 적어도 2개 이상의 센서부와, 각 분리된 격실로 각기 다른 온도의 냉기를 공급하는 냉각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있다.

Description

보관 온도가 서로 다른 신선화물의 동시 운반이 가능한 냉장 컨테이너{Refrigerated container for transferring simultaneous of fresh cargo that different storage temperature}
본 발명은 냉장 컨테이너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보관 온도가 서로 다른 신선화물의 동시 이동을 위해 내부 격벽 설치 및 공간 이동이 가능한 냉장 컨테이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 컨테이너는 냉장이나 냉동을 필요로 하는 식품이나 신선도를 필요로 하는 농,수,축산물 등의 화물을 저온 상태로 저장하는 창고로 사용되거나 트럭이나 탑차 등에 장착되어 화물을 저온 상태로 운반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컨테이너의 내부 온도를 조절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는 종래의 온도조절 컨테이너에는, 컨테이너 내부로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냉각 유닛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냉각 유닛에 의해 차가워진 냉기는 상기 컨테이너 내부로 공급되어 상기 컨테이너 내부를 냉각시킨 후, 다시 상기 냉각 유닛으로 재순환하면서, 상기 컨테이너 내부에 저장된 화물을 적절한 온도로 냉각시키게 된다.
그리고 최근에는 해외 바이어가 질 좋은 국내 신선 농산물을 적은 물량으로 여러 가지 신선 농산물의 수출을 요구하고 있다.
이로 인해, 현재 신선화물의 운송을 위해 20ft, 40ft 냉장 컨테이너(Reefer Container)를 사용하고 있는데, 국내 참외, 멜론, 딸기 등 신선과일의 해외 수출 시 단일 품목으로 20ft, 40ft 냉장 컨테이너를 가득 채울 만큼의 물량이 나오지 않음에 따라, 참외, 멜론, 딸기 등을 하나의 냉장 컨테이너에 혼합하여 수출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냉장 컨테이너는 일정한 보관온도를 유지하고 있는데 반해, 참외, 멜론, 딸기 등 대부분의 과일들은 각기 보관 온도가 서로 상이한 신선과일들로서, 하나의 냉장 컨테이너에 혼합하게 되면 적재한 신선과일의 적정 보관온도를 유지할 수 없어 상품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현재 냉장 컨테이너의 경우 컨테이너 문을 열어 놓고 신선화물을 적입함에 따라, 냉장 컨테이너를 동작시킨다 하더라도 냉장 컨테이너의 냉기가 그대로 외부로 빠져나가 신선화물의 컨테이너 적입과정에서 신선화물이 상온에 노출되어 콜드체인이 깨지는 문제점이 발생되게 된다.
등록특허공보 제10-1286565호 (등록일자 : 2013.07.10)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신선화물의 물량에 따라 능동적으로 구분 할 수 있어 보관 온도가 서로 다른 신선화물의 동시 운반이 가능한 냉장 컨테이너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냉장 컨테이너의 냉기를 컨테이너 문 쪽으로 유도하여 냉장 컨테이너 문을 열었을 경우 에어커튼을 형성하도록 하여 신선화물의 냉장 컨테이너 적입 시 냉장 컨테이너 내부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 될 수 있도록 하는 냉장 컨테이너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보관 온도가 서로 다른 신선화물의 동시 운반이 가능한 냉장 컨테이너의 특징은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공간을 이루는 컨테이너 본체와, 화물의 보관 온도에 따라 상기 컨테이너 본체 내부를 다수 개의 격실로 분리시킬 수 있도록 컨테이너 본체 벽면을 따라 이동하며 여닫을 수 있는 격실모듈과, 각 분리된 격실별로 상태 모니터링이 가능한 적어도 2개 이상의 센서부와, 각 분리된 격실로 각기 다른 온도의 냉기를 공급하는 냉각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냉각모듈에서 공급되는 냉기를 컨테이너 문의 주변으로 이동시켜 컨테이너 문이 열릴 때 상기 이동된 냉기로 에어커튼을 형성하는 냉기 차단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냉기 차단부는 컨테이너 문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개폐 감지부와, 상기 개폐 감지부를 통해 컨테이너 문이 개방(open)된 것으로 감지되면 냉기를 입구로 배출시켜 에어커튼을 형성하고, 문이 폐쇄(close)된 것으로 감지되면 냉기의 배출을 차단시키는 냉기 방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격실모듈은 분리된 격실과 격실 사이를 서로 차단하기 위한 패널(panel) 판으로 이루어진 차단막과, 상기 차단막이 착탈 가능한 홈을 포함하고 격벽에 밀착되는 위치에서 홈에 끼워진 차단막이 기울어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부와, 자력 또는 연결수단을 통해 적어도 2개 이상의 지지부를 격벽과 격벽 사이에서 서로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와, 상기 지지대의 끝단에 고정되어 냉기의 이동 통로를 차단하여 각각 분리된 격실 간의 냉기가 혼합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풍 방지부와, 상기 힌지부의 일측에 부착되어 센서부에서 측정된 분리된 격실 내부온도와 미리 설정된 설정온도의 비교결과를 기반으로 분리된 격실 간의 개폐 여부를 조절하는 격실 개폐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지부는 격벽의 평행한 방향으로 밀착된 상태에서 앞과 뒤로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이동 레일(rail)을 구성하여 분리된 격실의 크기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격실 개폐 제어부는 힌지부를 통해 서로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지지부들 중 선택적으로 개방하여 분리된 격실 간의 개폐 여부를 조절하거나, 6-웨이 밸브(6-way valve)를 구성하여 격실 간의 냉기 통로를 개방 및 폐쇄시켜 분리된 격실 간의 냉기 흐름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센서부는 온도, 습도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냉각모듈은 냉기를 생성하여 팬을 통해 냉기를 발생시키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냉각기와, 상기 냉각기에서 발생된 냉기를 분리된 격실 중 적어도 한 곳으로 전달하기 위한 통로를 갖는 적어도 2개 이상의 공기 통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냉각기는 냉각기의 위치 또는 냉기가 나오는 방향을 격실의 상부에서 하부 중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냉기가 나오는 방향의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컨테이너 본체의 바닥면은 일정 두께 및 너비를 가지고 서로 일정간격 반복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의 바 형태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과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어 상부로 올라가는 아치형 곡선이 일측 또는 서로 대칭구조로 양측에 형성되어 컨테이너 하부의 냉기 흐름을 상부로 상승시키는 공기 부양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보관 온도가 서로 다른 신선화물의 동시 운반이 가능한 냉장 컨테이너는 적은양의 다양한 국내 신선농산물을 하나의 컨테이너를 이용하여 각각 최적의 보관 온도에서 한 번에 해외로 수출할 수 있어 운송비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에어커튼 기능을 통해 신선화물 적입 시 외부공기와의 접촉을 차단하는 등 신선농산물 운반 시 신선도 유지를 위해 반드시 지켜져야 하는 콜드체인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관 온도가 서로 다른 신선화물의 동시 운반이 가능한 냉장 컨테이너의 구조를 나타낸 구성도
도 2 는 도 1에서 격실 개폐 제어부를 통해 6가지의 냉기 흐름을 나타낸 도면
도 3 은 도 1에서 컨테이너 본체의 바닥면 구조를 상세히 나타낸 구성도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성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보관 온도가 서로 다른 신선화물의 동시 운반이 가능한 냉장 컨테이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관 온도가 서로 다른 신선화물의 동시 운반이 가능한 냉장 컨테이너의 구조를 나타낸 구성도로서, 도 1(a)는 평면도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1(b)는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1(a)(b)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공간을 이루는 컨테이너 본체(100)와, 화물의 보관 온도에 따라 상기 컨테이너 본체(100) 내부를 다수 개의 격실로 분리시킬 수 있도록 컨테이너 본체(100) 벽면을 따라 이동하며 여닫을 수 있는 적어도 2개 이상의 격실모듈(200)과, 각 분리된 격실별로 상태 모니터링이 가능한 적어도 2개 이상의 센서부(300)와, 각 분리된 격실로 각기 다른 온도의 냉기를 공급하는 냉각모듈(400)로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냉각모듈(400)에서 공급되는 냉기를 컨테이너 문의 주변으로 이동시켜 컨테이너 문이 열릴 때 상기 이동된 냉기로 에어커튼을 형성하는 냉기 차단부(500)를 추가로 구성한다.
상기 격실모듈(200)은 분리된 격실과 격실 사이를 서로 차단하기 위한 패널(panel) 판으로 이루어진 차단막(210)과, 상기 차단막(210)이 착탈 가능한 홈을 포함하고 격벽에 밀착되는 위치에서 홈에 끼워진 차단막(210)이 기울어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부(220)와, 자력 또는 연결수단(연결고리)을 통해 적어도 2개 이상의 지지부(220)를 격벽과 격벽 사이에서 서로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230)와, 상기 지지대(220)의 끝단에 고정되어 냉기의 이동 통로를 차단하여 각각 분리된 격실 간의 냉기가 혼합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풍 방지부(240)와, 상기 힌지부(230)의 일측에 부착되어 센서부(300)에서 측정된 분리된 격실 내부온도와 미리 설정된 설정온도의 비교결과를 기반으로 분리된 격실 간의 개폐 여부를 조절하는 격실 개폐 제어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지지부(220)는 격벽의 평행한 방향으로 밀착된 상태에서 앞과 뒤로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이동 레일(rail)을 구성하여 분리된 격실의 크기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여러 가지 신선농작물의 양에 따라 냉장 컨테이너 내부 격실의 크기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참고로 상기 이동 레일은 통상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구슬, 바퀴 및 슬라이드 방식 레일로 구성되며, 이는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힌지부(230)를 통해 연결되는 지지부(220)의 개수에 따라 냉장 컨테이너 내부를 2중, 3중 분할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격실 개폐 제어부(250)를 통해 분리된 격실 간의 개폐 여부를 조절하는 이유는 분리된 격실 내부온도가 내외부의 영향으로 인해 설정온도보다 높아지거나 낮아지게 되면, 해당 격실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각모듈(400)의 구동을 높일 수도 있으나, 그때마다 냉각모듈(400)의 구동을 조절하는 것은 전력의 낭비를 가져오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전력의 낭비를 최소화하기 위해 해당 격실보다 낮은 보관온도를 갖는 다른 격실과의 접촉을 통해 해당 격실의 내부온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에 따라, 분리된 격실 간의 냉기 흐름 방향은 도 2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6가지의 냉기 흐름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격실 개폐 제어부(250)는 다음 2가지 방식으로 제어하게 된다.
첫 번째는 힌지부(230)를 통해 서로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지지부(220)들 중 선택적으로 개방하여 분리된 격실 간의 개폐 여부를 조절하는 방법이고, 두 번째는 6-웨이 밸브(6-way valve)를 구성하여 격실 간의 냉기 통로를 개방 및 폐쇄시켜 분리된 격실 간의 냉기 흐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어한다.
상기 센서부(300)는 온도, 습도 센서로 구성되어, 분리된 격실의 내부 온도 또는 습도를 감지하여 격실 개폐 제어부(250)로 전달한다.
상기 냉각모듈(400)은 냉기를 생성하여 팬을 통해 냉기를 발생시키는 냉각기(400a)(400b)(400c)와, 상기 냉각기에서 발생된 냉기를 분리된 격실 중 적어도 한 곳으로 전달하기 위한 통로를 갖는 공기 통로부(410a)(410b)(410c)로 구성된다.
이때, 냉각기(400a)(400b)(400c)가 컨테이너 본체(100)의 가장 안쪽에 위치되어 있다. 따라서 컨테이너 본체(100)의 바깥쪽(컨테이너 문쪽)에 위치하는 분리된 격실은 컨테이너 본체(100)의 내부에서 격실까지 냉기가 이동되기 위한 공기 통로(410a)(410c)가 반드시 필요하지만, 컨테이너 본체(100)의 가장 안쪽에 위치되어 분리된 격실은 냉각기(400b)에서 냉기를 전달하기 위한 별도의 공기 통로부(410b) 없이 격실 내부로 바로 전달할 수도 있다.
그리고 공기 통로부(410b)가 포함되지 않는 냉각기(400b)의 경우는 냉각기(400b)의 위치 또는 냉기가 나오는 방향을 격실의 상부에서 하부 중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냉기가 나오는 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는 격실에 보관되는 신선화물의 수량이나 종류에 따라 냉기가 나오는 위치를 상부/중부/하부로 조절함으로써, 신선화물로 전달되는 냉기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냉기 차단부(500)는 컨테이너 문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개폐 감지부(501)와, 상기 개폐 감지부(501)를 통해 컨테이너 문이 개방(open)된 것으로 감지되면 냉기를 입구로 배출시켜 에어커튼을 형성하고, 문이 폐쇄(close)된 것으로 감지되면 냉기의 배출을 차단시키는 냉기 방출부(502)로 구성된다.
아울러, 도 3(a)의 평면도 및 도 3(b)의 단면도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컨테이너 본체(100)의 바닥면은 일정 두께 및 너비를 가지고 서로 일정간격 반복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의 바 형태의 프레임(600)과, 상기 프레임(600)과 프레임(600) 사이에 배치되어 상부로 올라가는 아치형 곡선이 서로 대칭구조로 형성되어 컨테이너 하부의 냉기 흐름을 상부로 상승시키는 공기 부양부(70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공기 부양부(700)는 아치형 곡선이 서로 대칭구조로 양측으로 구성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아치형 곡선이 일측으로만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공간을 이루는 컨테이너 본체와,
    화물의 보관 온도에 따라 상기 컨테이너 본체 내부를 다수 개의 격실로 분리시킬 수 있도록 컨테이너 본체 벽면을 따라 이동하며 여닫을 수 있는 격실모듈과,
    각 분리된 격실별로 상태 모니터링이 가능한 적어도 2개 이상의 센서부와,
    각 분리된 격실로 각기 다른 온도의 냉기를 공급하는 냉각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 온도가 서로 다른 신선화물의 동시 운반이 가능한 냉장 컨테이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모듈에서 공급되는 냉기를 컨테이너 문의 주변으로 이동시켜 컨테이너 문이 열릴 때 상기 이동된 냉기로 에어커튼을 형성하는 냉기 차단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 온도가 서로 다른 신선화물의 동시 운반이 가능한 냉장 컨테이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 차단부는
    컨테이너 문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개폐 감지부와,
    상기 개폐 감지부를 통해 컨테이너 문이 개방(open)된 것으로 감지되면 냉기를 입구로 배출시켜 에어커튼을 형성하고, 문이 폐쇄(close)된 것으로 감지되면 냉기의 배출을 차단시키는 냉기 방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 온도가 서로 다른 신선화물의 동시 운반이 가능한 냉장 컨테이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격실모듈은
    분리된 격실과 격실 사이를 서로 차단하기 위한 패널(panel) 판으로 이루어진 차단막과,
    상기 차단막이 착탈 가능한 홈을 포함하고 격벽에 밀착되는 위치에서 홈에 끼워진 차단막이 기울어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부와,
    자력 또는 연결수단을 통해 적어도 2개 이상의 지지부를 격벽과 격벽 사이에서 서로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와,
    상기 지지대의 끝단에 고정되어 냉기의 이동 통로를 차단하여 각각 분리된 격실 간의 냉기가 혼합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풍 방지부와,
    상기 힌지부의 일측에 부착되어 센서부에서 측정된 분리된 격실 내부온도와 미리 설정된 설정온도의 비교결과를 기반으로 분리된 격실 간의 개폐 여부를 조절하는 격실 개폐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 온도가 서로 다른 신선화물의 동시 운반이 가능한 냉장 컨테이너.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격벽의 평행한 방향으로 밀착된 상태에서 앞과 뒤로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이동 레일(rail)을 구성하여 분리된 격실의 크기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 온도가 서로 다른 신선화물의 동시 운반이 가능한 냉장 컨테이너.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격실 개폐 제어부는 힌지부를 통해 서로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지지부들 중 선택적으로 개방하여 분리된 격실 간의 개폐 여부를 조절하거나,
    6-웨이 밸브(6-way valve)를 구성하여 격실 간의 냉기 통로를 개방 및 폐쇄시켜 분리된 격실 간의 냉기 흐름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 온도가 서로 다른 신선화물의 동시 운반이 가능한 냉장 컨테이너.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온도, 습도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 온도가 서로 다른 신선화물의 동시 운반이 가능한 냉장 컨테이너.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모듈은
    냉기를 생성하여 팬을 통해 냉기를 발생시키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냉각기와,
    상기 냉각기에서 발생된 냉기를 분리된 격실 중 적어도 한 곳으로 전달하기 위한 통로를 갖는 적어도 2개 이상의 공기 통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 온도가 서로 다른 신선화물의 동시 운반이 가능한 냉장 컨테이너.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기는 냉각기의 위치 또는 냉기가 나오는 방향을 격실의 상부에서 하부 중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냉기가 나오는 방향의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 온도가 서로 다른 신선화물의 동시 운반이 가능한 냉장 컨테이너.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 본체의 바닥면은
    일정 두께 및 너비를 가지고 서로 일정간격 반복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의 바 형태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과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어 상부로 올라가는 아치형 곡선이 일측 또는 서로 대칭구조로 양측에 형성되어 컨테이너 하부의 냉기 흐름을 상부로 상승시키는 공기 부양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 온도가 서로 다른 신선화물의 동시 운반이 가능한 냉장 컨테이너.
KR1020150109515A 2015-08-03 2015-08-03 보관 온도가 서로 다른 신선화물의 동시 운반이 가능한 냉장 컨테이너 Ceased KR201700165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9515A KR20170016546A (ko) 2015-08-03 2015-08-03 보관 온도가 서로 다른 신선화물의 동시 운반이 가능한 냉장 컨테이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9515A KR20170016546A (ko) 2015-08-03 2015-08-03 보관 온도가 서로 다른 신선화물의 동시 운반이 가능한 냉장 컨테이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6546A true KR20170016546A (ko) 2017-02-14

Family

ID=58121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9515A Ceased KR20170016546A (ko) 2015-08-03 2015-08-03 보관 온도가 서로 다른 신선화물의 동시 운반이 가능한 냉장 컨테이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16546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15293A (zh) * 2018-11-28 2019-03-26 合肥森隆专用汽车有限公司 一种分类存储式节能冷藏车
BE1027191B1 (nl) * 2019-04-16 2020-11-17 Crelem Bakeries Nv Transport van bakkerijproducten
CN115556657A (zh) * 2022-09-29 2023-01-03 广东精益专用汽车有限公司 一种智能冷藏车和冷藏车监控系统
CN116494858A (zh) * 2023-05-25 2023-07-28 盐城发特集团公司 一种智能化鲜活水产品冷藏运输车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6565B1 (ko) 2011-12-27 2013-07-22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발효식품용 냉장컨테이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6565B1 (ko) 2011-12-27 2013-07-22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발효식품용 냉장컨테이너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15293A (zh) * 2018-11-28 2019-03-26 合肥森隆专用汽车有限公司 一种分类存储式节能冷藏车
BE1027191B1 (nl) * 2019-04-16 2020-11-17 Crelem Bakeries Nv Transport van bakkerijproducten
CN115556657A (zh) * 2022-09-29 2023-01-03 广东精益专用汽车有限公司 一种智能冷藏车和冷藏车监控系统
CN115556657B (zh) * 2022-09-29 2023-11-03 广东精益专用汽车有限公司 一种智能冷藏车和冷藏车监控系统
CN116494858A (zh) * 2023-05-25 2023-07-28 盐城发特集团公司 一种智能化鲜活水产品冷藏运输车
CN116494858B (zh) * 2023-05-25 2024-03-01 盐城发特集团公司 一种智能化鲜活水产品冷藏运输车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502431B (zh) 一种温度分区的冷链仓库及货物存储方法
KR102319521B1 (ko) 냉각고
KR101556801B1 (ko) 온도 제어 저장 유닛
KR20170016546A (ko) 보관 온도가 서로 다른 신선화물의 동시 운반이 가능한 냉장 컨테이너
KR101866990B1 (ko) 실제 화물 적재부 온도를 기준으로 설정온도 유지가 가능한 컨테이너 및 그 동작 방법
CN207487218U (zh) 冰箱
KR100986920B1 (ko) 냉동탑차의 냉장장치
CN212921062U (zh) 冷链物流用运输卡车温度控制装置
KR20100097928A (ko) 냉장고의 제어 방법
KR100490820B1 (ko) 냉각 저장고
JP4231826B2 (ja) 冷凍コンテナ
JP4297849B2 (ja) 冷凍コンテナ
JP2004245469A (ja) 冷凍車
US20120325455A1 (en) In transit refrigeration heat transfer apparatus
WO2006019021A1 (ja) 冷凍コンテナおよび冷凍コンテナの保冷運転制御装置
JP2008185241A (ja) 多室式保冷車
KR102706477B1 (ko) 온도조절기능을 구비한 아이스 박스
US20240167750A1 (en) Temperature adjustment apparatus and storage
JP2004003710A (ja) 冷蔵庫
KR101775274B1 (ko) 절전형 저온저장고
EP4137764A1 (en) A racking system for storage rooms, storage rooms with said racking system and a method for assuring uniform temperature in said storage room
US20240167751A1 (en) Storage
CN212566425U (zh) 一种箱体低温控制系统
KR100942801B1 (ko) 축냉 팩 대차
JPH0754788Y2 (ja) 花卉類等の冷凍輸送用荷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80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7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3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7090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7032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6071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