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4767A - Engine mode system for working machine and method of contrling thereof - Google Patents
Engine mode system for working machine and method of contrling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14767A KR20170014767A KR1020150108632A KR20150108632A KR20170014767A KR 20170014767 A KR20170014767 A KR 20170014767A KR 1020150108632 A KR1020150108632 A KR 1020150108632A KR 20150108632 A KR20150108632 A KR 20150108632A KR 20170014767 A KR20170014767 A KR 2017001476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de
- engine
- work
- economy
- drive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12 basement excav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194 climb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56 comp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803 fossil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04—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46—Control of prime movers, e.g. depending on the hydraulic load of work tool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35/00—Controlling engines, dependent on conditions exterior or interior to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30—Controlling fuel injection
- F02D41/3011—Controlling fuel injection according to or using specific or several modes of combustion
- F02D41/3017—Controlling fuel injection according to or using specific or several modes of combustion characterised by the mode(s) being used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30—Controlling fuel injection
- F02D41/3011—Controlling fuel injection according to or using specific or several modes of combustion
- F02D41/3076—Controlling fuel injection according to or using specific or several modes of combustion with special conditions for selecting a mode of combustion, e.g. for starting, for diagnos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200/00—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 F02D2200/02—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the parameters being related to the engine
- F02D2200/10—Parameters related to the engine output, e.g. engine torque or engine speed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200/00—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 F02D2200/50—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said parameters being related to the vehicle or its compone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200/00—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 F02D2200/60—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said parameters being related to the driver demands or status
- F02D2200/604—Engine control mode selected by driver, e.g. to manually start particle filter regeneration or to select driving styl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250/00—Engine control related to specific problems or objectives
- F02D2250/18—Control of the engine output torque
- F02D2250/21—Control of the engine output torque during a transition between engine operation modes or st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기계의 엔진 모드 시스템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엔진이 최대 출력으로 구동되는 파워 모드, 상기 엔진이 연비 절감 출력으로 구동되는 연비 절감 모드를 포함하는 엔진 모드 선택부; 작업장치에 가해지는 작업 부하를 감지하는 제1 감지부; 작업장치의 작동을 감지하는 제2 감지부; 및 상기 연비 절감 모드로부터 수신되는 연비 절감 모드 신호에 따라 상기 기 설정된 부하값을 세팅하고, 상기 작업장치의 작업 부하가 상기 설정된 부하값 이상이고, 상기 작업장치가 작동되면, 상기 연비 절감 모드를 상기 파워 모드로 자동 전환시켜 상기 엔진이 최대 출력으로 구동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ngine mode system and a control method of a work machine, the engine mode selection unit including a power mode in which an engine is driven at a maximum output and a fuel consumption reduction mode in which the engine is driven at a fuel efficiency reduction output; A first sensing unit for sensing a workload applied to the work device; A second sensing unit for sensing operation of the work device; And setting the predetermined load value according to a fuel consumption reduction mode signal received from the fuel consumption reduction mode, and when the working load of the working devic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set load value and the working device is operated, And the engine is automatically switched to the power mode so as to be driven to the maximum output.
Description
본 발명은 작업기계의 엔진 모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ngine mode system and method of a work machine.
건설 현장이나 토목 현장 등의 작업 현장에서는 다양한 작업기계가 사용된다. 작업기계는 도로, 하천, 항만, 철도, 플랜트 등과 같은 공사별로 각각 그 특성에 적합한 기계구조 및 성능을 보유하게 된다. 즉 작업기계는 산업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작업의 다양성으로 인해, 굴삭장비, 적재장비, 운반장비, 하역장비, 다짐장비, 기초공사장비 등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휠로더, 굴삭기, 지게차, 불도저, 트럭, 롤러 등과 같이 상당히 많은 종류의 장비를 포함하는 개념이다.A variety of working machines are used at work sites such as construction sites or civil engineering sites. Work machines will have appropriate mechanical structure and performance for each type of work such as roads, rivers, harbors, railways, and plants. That is, due to the diversity of work performed in the industrial field, the working machine can be classified into excavation equipment, loading equipment, conveying equipment, loading equipment, compaction equipment, foundation equipment and the like, specifically, wheel loaders, excavators, forklifts, Trucks, rollers, and so on.
작업기계는 주행방식에 따라 무한궤도식, 타이어식으로 구분되며, 가동방식에 따라 외부의 급속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의 전원으로 가동되는 전기식과 디젤과 같은 화석연료를 사용하여 가동되는 엔진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The working machine is divided into an infinite track type and a tire type according to the driving method, and it can be divided into an engine type operated by using a fossil fuel such as an electric type and a diesel type, have.
이러한 작업기계는, 파워 모드(power mode), 스탠더드 모드(standard mode), 이코노미 모드(economy mode)로 이루어지는 엔진 모드 시스템(engine mode operating system)이 구비되어 있으며, 운전자가 엔진 모드 스위치(engine mode switch)를 조작하여 어느 하나의 엔진 모드를 세팅함으로써, 작업 종류에 따른 기계 성능(machine's performance)을 최적화할 수 있어, 연비를 절감시킬 수 있다.Such a work machine is provided with an engine mode operating system consisting of a power mode, a standard mode and an economy mode, and the engine mode switch ) To set one of the engine modes, it is possible to optimize the machine's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type of work, thereby reducing fuel consumption.
즉, 운전자는 최대 출력이 필요한 작업 시에만 파워 모드를 선택하고, 그 이외의 작업 시에는 스탠더드 모드 또는 이코노미 모드를 선택함으로써, 작업기계의 연비를 절감시킬 수 있게 한다.That is, the driver can select the power mode only at the time of the work requiring the maximum output and select the standard mode or the economy mode at the time of the other work, thereby reducing the fuel consumption of the working machine.
그런데 운전자가 스탠더드 모드 또는 이코노미 모드를 선택하여 작업하는 과정에서, 순간적으로 최대 출력이 필요한 경우가 빈번히 일어나고, 이때 작업기계의 출력 부족으로 인하여 작업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However, in the process of selecting and operating the standard mode or the economy mode by the driver, the maximum output is required momentarily, and the efficiency of the operation is deteriorated due to the lack of output of the working machine.
이런 경험을 한 운전자는 스탠더드 모드 또는 이코노미 모드로서 작업 가능한 환경에서도 대부분 파워 모드를 선택하여 작업을 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엔진 모드 시스템을 이용한 연비 절감 목적을 효율적으로 성취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어, 이를 해결하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The driver who has such experience has to work mostly by choosing the power mode even in an environment that can operate as a standard mode or an economy mode.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urpose of fuel economy reduction using the engine mode system can not be efficiently achieved. Research is underway.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탠더드 모드 또는 이코노미 모드를 선택하여 작업하는 과정에서, 순간적으로 최대 출력이 필요한 경우가 발생하더라도 출력 부족으로 인한 작업 효율 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작업기계의 엔진 모드 시스템 및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selecting a standard mode or an economy mode, And to provide an engine mode system and a control method of a work machine that can prevent a reduction in work efficiency.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작업기계의 엔진 모드 시스템은, 엔진이 최대 출력으로 구동되는 파워 모드, 상기 엔진이 연비 절감 출력으로 구동되는 연비 절감 모드를 포함하는 엔진 모드 선택부; 작업장치에 가해지는 작업 부하를 감지하는 제1 감지부; 작업장치의 작동을 감지하는 제2 감지부; 및 상기 연비 절감 모드로부터 수신되는 연비 절감 모드 신호에 따라 상기 기 설정된 부하값을 세팅하고, 상기 작업장치의 작업 부하가 상기 설정된 부하값 이상이고, 상기 작업장치가 작동되면, 상기 연비 절감 모드를 상기 파워 모드로 자동 전환시켜 상기 엔진이 최대 출력으로 구동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engine mode system of a working machin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ngine mode selection unit including a power mode in which an engine is driven at a maximum output and a fuel consumption reduction mode in which the engine is driven with a fuel consumption reduction output; A first sensing unit for sensing a workload applied to the work device; A second sensing unit for sensing operation of the work device; And setting the predetermined load value according to a fuel consumption reduction mode signal received from the fuel consumption reduction mode, and when the working load of the working devic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set load value and the working device is operated, And the engine is automatically switched to the power mode so as to be driven to the maximum output.
구체적으로, 제어부는, 자동 전환된 상기 파워 모드에 의해 상기 작업장치에서 작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상기 작업장치의 작업 부하에 상관없이, 상기 작업장치가 작동되지 않으면, 자동 전환된 상기 파워 모드를 상기 연비 절감 모드로 자동 복귀시켜 상기 엔진이 연비 절감 출력으로 구동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work device is not operated regardless of the work load of the work device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work in the work device by the power mode that has been automatically switched, And automatically returning to the fuel economy mode so that the engine is driven to the fuel economy reduction output.
구체적으로, 상기 연비 절감 모드는, 상기 엔진이 기본 출력으로 구동되는 스탠더드 모드; 및 상기 엔진이 최소 출력으로 구동되는 이코노미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uel economy reduction mode includes a standard mode in which the engine is driven as a primary output; And an economy mode in which the engine is driven to a minimum output.
구체적으로, 상기 기 설정된 부하값은, 상기 연비 절감 모드가 상기 스탠더드 모드일 경우, 상기 스탠더드 모드에서 상기 작업장치가 최적화된 성능으로 작업할 수 있는 최대 부하값이고, 상기 연비 절감 모드가 상기 이코노미 모드일 경우, 상기 이코노미 모드에서 상기 작업장치가 최적화된 성능으로 작업할 수 있는 최대 부하값일 수 있다.Specifically, the predetermined load value is a maximum load value in which the working device can work with optimized performance in the standard mode when the fuel consumption reduction mode is the standard mode, , It may be the maximum load value that the working device can work with optimized performance in the economy mode.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감지부는, 상기 작업장치 붐 실린더, 버킷 실린더 각각에 설치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rst sensing unit may be installed in each of the work device boom cylinder and the bucket cylinder.
구체적으로, 상기 제2 감지부는, 상기 작업장치의 붐, 버킷 각각에 설치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econd sensing unit may be installed in each of the boom and the bucket of the working apparatus.
구체적으로, 상기 제2 감지부는, 운전실에 구비되는 작업장치 조작레버에 설치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econd sensing unit may be installed on a working device operation lever provided in a cab.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작업기계의 엔진 모드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제어부가, 파워 모드, 스탠더드 모드, 이코노미 모드 중에서 선택되는 상기 스탠더드 모드 또는 상기 이코노미 모드로부터 엔진 모드 신호를 제공받고, 상기 엔진 모드 신호에 따라서 기 설정된 부하값을 세팅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제1 감지부에 의해 감지되는 작업장치의 작업 부하가 상기 기 설정된 부하값 이상이고, 제2 감지부에 의해 상기 작업장치의 작동이 감지되는 것이 확인되면, 최초 선택된 상기 스탠더드 모드 또는 상기 이코노미 모드를 상기 파워 모드로 자동 전환시켜 엔진이 최대 출력으로 구동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자동 전환된 상기 파워 모드를 최초 선택된 상기 스탠더드 모드 또는 상기 이코노미 모드로 자동 복귀시켜 상기 엔진이 기본 출력 또는 최소 출력으로 구동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control method of an engine mode system of a working machin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unit receives an engine mode signal from the standard mode or the economy mode selected from among a power mode, a standard mode, and an economy mode, Setting a predetermined load value according to a signal; If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work load of the work device sensed by the first sensing uni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preset load value and that the operation of the work device is sensed by the second sensing unit, Automatically switching the economy mode to the power mode so as to drive the engine to a maximum output; And the control unit automatically returning the automatically switched power mode to the first selected standard mode or the economy mode, and controlling the engine to be driven to a basic output or a minimum output.
구체적으로, 상기 기 설정된 부하값은, 상기 스탠더드 모드가 선택될 경우, 상기 스탠더드 모드에서 상기 작업장치가 최적화된 성능으로 작업할 수 있는 최대 부하값일 수 있다.Specifically, the predetermined load value may be a maximum load value in which, when the standard mode is selected, the working device can work with the optimized performance in the standard mode.
구체적으로, 상기 기 설정된 부하값은, 상기 이코노미 모드가 선택될 경우, 상기 이코노미 모드에서 상기 작업장치가 최적화된 성능으로 작업할 수 있는 최대 부하값일 수 있다.Specifically, the predetermined load value may be a maximum load value at which the working device can work with optimized performance in the economy mode when the economy mode is selected.
본 발명에 따른 작업기계의 엔진 모드 시스템 및 제어방법은, 스탠더드 모드 또는 이코노미 모드를 선택하여 작업장치로 작업하는 과정에서, 최대 출력이 필요한 작업이 감지되는 경우 최초 선택된 스탠더드 모드 또는 이코노미 모드가 파워 모드로 자동 전환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엔진의 출력 부족으로 인한 작업 효율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The engine mode system and the control method of a work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characterized in that when a work requiring a maximum output is detected in the course of working with a work device by selecting a standard mode or an economy mode, So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a reduction in work efficiency due to a lack of output of the engin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작업기계의 엔진 모드 시스템 및 제어방법은, 자동 전환된 파워 모드에 의해 작업장치로 작업하는 과정에서, 최대 출력이 필요없는 작업이 감지되는 경우 자동 전환된 파워 모드가 최초 선택된 스탠더드 모드 또는 이코노미 모드로 복귀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연비를 효율적으로 절감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engine mode system and the control method of a work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course of working with a work device by an automatically switched power mode, when an operation requiring no maximum output is detected, By restricting to the standard mode or the economy mode,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reduce fuel consum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기계의 엔진 모드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기계의 엔진 모드 시스템에 의해 관리되는 작업기계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기계의 엔진 모드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ngine mode system of a work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working machine managed by an engine mode system of a work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n engine mode system of a work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objects, particular advantages and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FIG.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reference numerals are added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rawings, and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assigned the same number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기계의 엔진 모드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기계의 엔진 모드 시스템에 의해 관리되는 작업기계의 사시도이다.FIG.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ngine mode system of a work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work machine managed by an engine mode system of a work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기계의 엔진 모드 시스템(100)을 설명하기 이전에, 도 2를 먼저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기계의 엔진 모드 시스템(100)이 적용되는 작업기계(200)를 설명하도록 한다.Prior to describing the
도 2를 참조하면, 작업기계(200)는, 휠로더 등일 수 있다. 물론 작업기계(200)는 휠로더가 아닌 굴삭기, 지게차, 불도저, 트럭, 롤러 등과 같은 다양한 장비일 수 있지만, 이하에서는 작업기계(200)가 휠로더인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예시에 불과한 것임을 밝힌다.2, the
작업기계(200)는 작업장치(210), 주행장치(220), 몸체(230)를 포함한다.The
작업장치(210)는 작업을 구현한다. 이때 작업은 자재를 들어올리거나 지반을 다지는 등의 다양한 작업을 의미할 수 있다. 작업장치(210)는 붐(211), 버킷(21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붐(211)은 몸체(230)에 마련되며, 붐(211)의 움직임은 유압으로 작동하는 붐 실린더(2111)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붐 실린더(2111)는 몸체(230)와 붐(211)의 양측을 각각 연결하도록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버킷(212)은 자재를 들어올린다. 버킷(212)은 바구니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내부에 자재를 담을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The
버킷(212)은 유압으로 작동하는 버킷 실린더(2112)에 의해 자재를 담아 안정적으로 들어올리거나, 또는 자재를 바닥, 덤프 트럭 등으로 쏟아지도록 할 수 있다.The
물론 작업장치(210)에서의 버킷(212)은, 브레이커(breaker) 등으로 교체될 수 있다. 즉 작업장치(210)는 상기로 한정되지 않고 작업의 종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Of course, the
주행장치(220)는 복수의 바퀴(221)를 포함하며 작업기계(200)의 이동을 구현한다. 작업기계(200)가 휠로더인 경우 2개의 차축과 4개의 바퀴(221)를 갖는 주행장치(220)를 통해 이동할 수 있다.The
몸체(230)는 운전실(240)과 엔진룸(2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운전실(240)은 작업기계(200)의 운전자가 탑승하여 앉을 수 있는 운전석(241)이 마련될 수 있고, 운전석(241)의 전방에는 작업기계(200)의 작업이나 주행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핸들(242)이나 각종 레버(243), 브레이크 페달(244)을 비롯하여, 가속 페달(도시하지 않음), 클러스터(도시하지 않음) 등이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The operator's
엔진룸(250)은 작업장치(210) 및 주행장치(220)에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엔진(251)이 구비될 수 있다.The
이하에서는 일정한 작업 현장에서 상기와 같이 설명한 작업기계(200)가 작업을 수행할 때, 연비를 효율적으로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엔진 모드 시스템(10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기계의 엔진 모드 시스템(100)은, 엔진 모드 선택부(110), 제1 감지부(120), 제2 감지부(130), 제어부(140)를 포함한다.1, an
엔진 모드 선택부(110)는 운전실(240)에 마련될 수 있으며, 운전자가 엔진(251)의 출력을 선택하여 작업 종류 또는 작업 환경에 따른 기계 성능을 최적화시킬 수 있도록 하며, 엔진 모드 신호를 후술할 제어부(140)에 제공할 수 있다.The engine
엔진 모드 선택부(110)는 파워 모드(111), 스탠더드 모드(112), 이코노미 모드(11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스탠더드 모드(112), 이코노미 모드(113)는 연비 절감 모드라 통칭할 수 있다. 또한, 연비 절감 모드라고 통칭할 경우, 하기에 사용되는 용어 중에서, 기본 출력, 최소 출력은 연비 절감 출력으로 통칭할 수 있고, 스탠더드 모드 신호, 이코노미 모드 신호는 연비 절감 모드 신호로 통칭될 수 있다.The engine
파워 모드(111)는 작업 종류 또는 작업 환경이 어렵고 거칠 때, 예를 들어, 하드 디깅(hard digging) 작업과 같이 작업 부하가 큰 작업을 작업장치(210)에서 수행할 때, 운전자가 엔진(251)이 최대 출력으로 구동되도록 선택할 수 있다. 운전자가 파워 모드(111)를 선택하면 후술할 제어부(140)에서 파워 모드 신호에 따라 엔진(251)이 최대 출력으로 구동되도록 한다.The
파워 모드(111) 상태에서는 작업장치(210)가 최대 출력이 필요하지 않는 작업을 하는 동안에도 엔진(251)이 최대 출력으로 구동되기 때문에 연비가 불필요하게 많이 소요된다.In the
상기한 파워 모드(111)는 운전자에 의해 선택 또는 해제되어 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후술할 제어부(140)에 의해서 자동으로 선택 또는 해제되어 질 수 있다.The
구체적으로, 운전자가 후술할 스탠더드 모드(112) 또는 후술할 이코노미 모드(113)를 선택하여 작업장치(210)로 작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후술할 제1 및 제2 감지부(120, 130)에 의해 최대 출력이 필요한 작업조건이 감지될 때, 최초 선택된 후술할 스탠더드 모드(112) 또는 후술할 이코노미 모드(113)가 후술할 제어부(140)에 의해 파워 모드(111)로 자동 전환되어, 엔진(251)이 최대 출력으로 구동되도록 한다. 이 경우, 파워 모드(111)는 자동 선택된 상태라 할 수 있고, 후술할 스탠더드 모드(112) 또는 후술할 이코노미 모드(113)는 자동 해제된 상태라 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driver selects the
또한, 자동 전환된 파워 모드(111)에 의해 작업장치(210)에서 작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후술할 제1 및 제2 감지부(120, 130)에 의해 최대 출력이 필요없는 작업조건이 감지될 때, 자동 전환된 파워 모드(111)가 최초 선택된 후술할 스탠더드 모드(112) 또는 후술할 이코노미 모드(113)로 후술할 제어부(140)에 의해 자동 복귀되어, 엔진(251)이 기본 출력 또는 연비 절감 출력으로 구동되도록 한다. 이 경우, 파워 모드(111)는 자동 해제된 상태라 할 수 있고, 후술할 스탠더드 모드(112) 또는 후술할 이코노미 모드(113)는 최초 상태로 자동 복귀된 상태라 할 수 있다.In the course of the operation of the
스탠더드 모드(112)는 작업 종류 또는 작업 환경이 보통일 때, 예를 들어, 제너럴 디깅(general digging) 작업과 같이 작업 부하가 일반적인 작업을 작업장치(210)에서 수행할 때, 운전자가 엔진(251)이 기본 출력으로 구동되도록 선택할 수 있다. 운전자가 스탠더드 모드(112)를 선택하면 후술할 제어부(140)에서 스탠더드 모드 신호에 따라 엔진(251)이 기본 출력으로 구동되도록 한다.The
스탠더드 모드(112) 상태에서는 엔진(251)이 기본 출력으로 구동되기 때문에 최대 출력 대비 연비가 절감될 수 있다.In the
상기한 스탠더드 모드(112)는 운전자에 의해 선택 또는 해제되어 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후술할 제어부(140)에 의해서 자동으로 해제 또는 복귀되어 질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구체적으로, 운전자가 스탠더드 모드(112)를 선택하여 작업장치(210)로 작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후술할 제1 및 제2 감지부(120, 130)에 의해 최대 출력이 필요한 작업조건이 감지될 때, 스탠더드 모드(112)가 파워 모드(111)로 후술할 제어부(140)에 의해 자동 전환되어, 엔진(251)이 최대 출력으로 구동되도록 한다. 이 경우, 스탠더드 모드(112)는 자동 해제된 상태라 할 수 있고, 파워 모드(111)는 자동 선택된 상태라 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driver selects the
또한, 자동 전환된 파워 모드(111)에 의해 작업장치(210)에서 작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후술할 제1 및 제2 감지부(120, 130)에 의해 최대 출력이 필요없는 작업이 감지될 때, 자동 전환된 파워 모드(111)가 최초 선택된 스탠더드 모드(112)로 후술할 제어부(140)에 의해 자동 복귀되어, 엔진(251)이 기본 출력으로 구동되도록 한다. 이 경우, 스탠더드 모드(112)는 최초 상태로 자동 복귀된 상태라 할 수 있고, 파워 모드(111)는 자동 해제된 상태라 할 수 있다.In the course of the operation of the
이코노미 모드(113)는 작업 종류 또는 작업 환경이 양호할 때, 예를 들어, 제너럴 로딩(general loading) 작업과 같이 작업 부하가 작은 작업을 작업장치(210)에서 수행할 때, 운전자가 엔진(251)이 최소 출력으로 구동되도록 선택할 수 있다. 운전자가 이코노미 모드(113)를 선택하면 후술할 제어부(140)에서 이코노미 모드 신호에 따라 엔진(251)이 최소 출력으로 구동되도록 한다.The
이코노미 모드(113) 상태에서는 엔진(251)이 최소 출력으로 구동되기 때문에 연비가 최대한 절감될 수 있다.In the
상기한 이코노미 모드(113)는 운전자에 의해 선택 또는 해제되어 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후술할 제어부(140)에 의해서 자동으로 해제 또는 복귀되어 질 수 있다.The
구체적으로, 운전자가 이코노미 모드(113)를 선택하여 작업장치(210)로 작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후술할 제1 및 제2 감지부(120, 130)에 의해 최대 출력이 필요한 작업조건이 감지될 때, 이코노미 모드(113)가 파워 모드(111)로 후술할 제어부(140)에 의해 자동 전환되어, 엔진(251)이 최대 출력으로 구동되도록 한다. 이 경우, 이코노미 모드(113)는 자동 해제된 상태라 할 수 있고, 파워 모드(111)는 자동 선택된 상태라 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when the driver selects the
또한, 자동 전환된 파워 모드(111)에 의해 작업장치(210)에서 작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후술할 제1 및 제2 감지부(120, 130)에 의해 최대 출력이 필요없는 작업이 감지될 때, 자동 전환된 파워 모드(111)가 최초 선택된 이코노미 모드(113)로 후술할 제어부(140)에 의해 자동 복귀되어, 엔진(251)이 최소 출력으로 구동되도록 한다. 이 경우, 이코노미 모드(113)는 최초 상태로 자동 복귀된 상태라 할 수 있고, 파워 모드(111)는 자동 해제된 상태라 할 수 있다.In the course of the operation of the
제1 감지부(120)는 작업장치(210)가 작업을 수행할 때, 작업장치(210)에 가해지는 작업 부하를 감지하고, 감지된 제1 감지신호를 실시간으로 후술할 제어부(140)에 제공할 수 있다.The
구체적으로, 제1 감지부(120)는 붐(211), 버킷(2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가해지는 작업 부하를 감지하여 제1 감지신호를 후술할 제어부(140)에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붐 실린더(2111), 버킷 실린더(2112) 각각에 설치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제2 감지부(130)는 작업장치(210)가 작업을 수행할 때, 작업장치(210)의 작동을 감지하고, 감지된 제2 감지신호를 실시간으로 후술할 제어부(140)에 제공할 수 있다.The
구체적으로, 제2 감지부(130)는 작업장치(210)의 붐(211), 버킷(2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작동하고 있는지를 감지하여 제2 감지신호를 후술할 제어부(140)에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붐(211), 버킷(212) 각각에 설치되거나, 운전실(240)에 구비되는 작업장치 조작레버(243)에 설치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제어부(140)는 엔진 모드 선택부(110)로부터 수신된 엔진 모드 신호에 따라서 기 설정된 부하값을 세팅하고, 제1 및 제2 감지부(130)로부터 수신된 제1 및 제2 감지신호에 의해 산출되는 제1 및 제2 감지신호값을 기 설정된 부하값과 비교하여, 엔진(251)의 출력 증감을 제어할 수 있다.The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운전자가 엔진 모드 선택부(110)의 파워 모드(111)를 선택하면, 파워 모드 신호에 따라 엔진(251)이 최대 출력으로 구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40)는 기 설정된 제1 부하값을 세팅하지 않는다.Specifically, when the driver selects the
또한, 제어부(140)는 운전자가 엔진 모드 선택부(110)의 스탠더드 모드(112)를 선택하면, 스탠더드 모드 신호에 따라 엔진(251)이 기본 출력으로 구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40)는 스탠더드 모드 신호에 따라서 기 설정된 제1 부하값을 세팅한다.When the driver selects the
제어부(140)에 저장되는 기 설정된 제1 부하값은 스탠더드 모드(112)에서 작업장치(210)가 최적화된 성능으로 작업할 수 있는 최대 부하값일 수 있다. 이러한 제1 부하값은 제1 감지부(120)로부터 제공되는 제1 감지신호에 의해 제어부(140)에서 부하값으로 산출되는 제1 감지신호값이 어느 수준에 있는지를 판단하는 기준값으로 작용할 수 있다. 즉, 제1 부하값과 제1 감지신호값은 최초 선택된 스탠더드 모드(112)를 파워 모드(111)로 자동 전환할지, 또는 자동 전환된 파워 모드(111)를 최초 선택된 스탠더드 모드(112)로 복귀시킬지를 제어부(140)에서 판단할 수 있는 제1 조건이 될 수 있다.The predetermined first load value stored in the
또한, 제어부(140)는 운전자가 엔진 모드 선택부(110)의 이코노미 모드(113)를 선택하면, 이코노미 모드 신호에 따라 엔진(251)이 최소 출력으로 구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40)는 이코노미 모드 신호에 따라서 기 설정된 제2 부하값을 세팅한다.Also, when the driver selects the
제어부(140)에 저장되는 기 설정된 제2 부하값은 이코노미 모드(113)에서 작업장치(210)가 최적화된 성능으로 작업할 수 있는 최대 부하값일 수 있다. 이러한 제2 부하값은 제1 감지부(120)로부터 제공되는 제1 감지신호에 의해 제어부(140)에서 부하값으로 산출되는 제1 감지신호값이 어느 수준에 있는지를 판단하는 기준값으로 작용할 수 있다. 즉, 제2 부하값과 제1 감지신호값은 최초 선택된 이코노미 모드(113)를 파워 모드(111)로 자동 전환할지, 또는 자동 전환된 파워 모드(111)를 최초 선택된 이코노미 모드(113)로 복귀시킬지를 제어부(140)에서 판단할 수 있는 제2 조건이 될 수 있다.The predetermined second load value stored in the
또한, 제어부(140)는 작업장치(210)가 작업을 수행할 때, 작업장치(210)에 가해지는 작업 부하를 감지하는 제1 감지부(120)에서 감지된 제1 감지신호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아 부하값으로 산출하고, 부하값으로 산출된 제1 감지신호값을 기 설정된 제1 부하값(운전자가 스탠더드 모드를 선택했을 경우) 또는 기 설정된 제2 부하값(운전자가 이코노미 모드를 선택했을 경우)과 실시간으로 비교할 수 있다.The
제1 감지신호값은, 전술한 바와 같이, 기 설정된 제1 또는 제2 부하값과 비교되어 최초 선택된 스탠더드 모드(112) 또는 이코노미 모드(113)를 파워 모드(111)로 자동 전환할지, 또는 자동 전환된 파워 모드(111)를 최초 선택된 스탠더드 모드(112) 또는 이코노미 모드(113)로 복귀시킬지를 제어부(140)에서 판단할 수 있는 제1 또는 제2 조건이 될 수 있다.The first sensed signal value is compared with a predetermined first or second load value to automatically switch the initially selected
또한, 제어부(140)는 작업장치(210)가 작업을 수행할 때, 작업장치(210)의 작동을 감지하는 제2 감지부(130)에서 감지된 제2 감지신호를 실시간으로 제공받고, 작업장치(210)가 작동하고 있거나 작업장치 조작레버(243)가 조작될 경우 제2 감지신호값을 생성시킬 수 있다.The
제2 감지신호값은 최초 선택된 스탠더드 모드(112) 또는 이코노미 모드(113)를 파워 모드(111)로 자동 전환할지, 또는 자동 전환된 파워 모드(111)를 최초 선택된 스탠더드 모드(112) 또는 이코노미 모드(113)로 복귀시킬지를 제어부(140)에서 판단할 수 있는 제3 조건이 될 수 있다.The second sensed signal value is used to determine whether the initially selected
상기한 바와 같이, 제어부(140)는 제1 조건과 제3 조건의 조합 또는 제2 조건과 제3 조건의 조합에 따라 엔진(251)의 출력 증감을 제어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구체적으로, 운전자가 스탠더드 모드(112)를 선택하여 작업장치(210)로 작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제어부(140)는 제1 감지부(120)에 의한 제1 감지신호값이 기 설정된 제1 부하값 이상이고, 제2 감지부(130)에 의한 제2 감지신호값이 생성된 것으로 판단되면(제1 조건과 제3 조건이 충족되었다고 판단되면), 최초 선택된 스탠더드 모드(112)를 파워 모드(111)로 자동 전환시켜 엔진(251)이 최대 출력으로 구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스탠더드 모드(112)는 자동 해제된 상태라 할 수 있고, 파워 모드(111)는 자동 선택된 상태라 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driver selects the
이후, 자동 전환된 파워 모드(111)에 의해 작업장치(210)에서 작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제어부(140)는 제1 감지부(120)에 의한 제1 감지신호값이 기 설정된 제1 부하값 이상 또는 이하에 상관없이, 제2 감지부(130)에 의한 제2 감지신호값이 생성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제1 조건 및 제3 조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충족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자동 전환된 파워 모드(111)를 최초 선택된 스탠더드 모드(112)로 자동 복귀시켜 엔진(251)이 기본 출력으로 구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스탠더드 모드(112)는 최초 상태로 자동 복귀된 상태라 할 수 있고, 파워 모드(111)는 자동 해제된 상태라 할 수 있다.The
또한, 운전자가 이코노미 모드(113)를 선택하여 작업장치(210)로 작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제어부(140)는 제1 감지부(120)에 의한 제1 감지신호값이 기 설정된 제2 부하값 이상이고, 제2 감지부(130)에 의한 제2 감지신호값이 생성된 것으로 판단되면(제2 조건과 제3 조건이 충족되었다고 판단되면), 최초 선택된 이코노미 모드(113)를 파워 모드(111)로 자동 전환시켜 엔진(251)이 최대 출력으로 구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이코노미 모드(113)는 자동 해제된 상태라 할 수 있고, 파워 모드(111)는 자동 선택된 상태라 할 수 있다.When the driver selects the
이후, 자동 전환된 파워 모드(111)에 의해 작업장치(210)에서 작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제어부(140)는 제1 감지부(120)에 의한 제1 감지신호값이 기 설정된 제2 부하값 이상 또는 이하에 상관없이, 제2 감지부(130)에 의한 제2 감지신호값이 생성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제2 조건 및 제3 조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충족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자동 전환된 파워 모드(111)를 최초 선택된 이코노미 모드(113)로 자동 복귀시켜 엔진(251)이 최소 출력으로 구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이코노미 모드(113)는 최초 상태로 자동 복귀된 상태라 할 수 있고, 파워 모드(111)는 자동 해제된 상태라 할 수 있다.The
이하,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기계(200)의 엔진 모드 시스템(100)의 제어방법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method of controlling th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기계의 엔진 모드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n engine mode system of a work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기계(200)의 엔진 모드 시스템(100)의 제어방법은, 제어부(140)가, 파워 모드(111), 스탠더드 모드(112), 이코노미 모드(113) 중에서 선택되는 스탠더드 모드(112) 또는 이코노미 모드(113)로부터 엔진 모드 신호를 제공받고, 엔진 모드 신호에 따라서 기 설정된 부하값을 세팅하는 단계(S310), 제어부(140)가, 제1 감지부(120)에 의해 감지되는 작업장치(210)의 작업 부하가 기 설정된 부하값 이상이고, 제2 감지부(130)에 의해 작업장치(210)의 작동이 감지되는 것이 확인되면, 최초 선택된 스탠더드 모드(112) 또는 이코노미 모드(113)를 파워 모드(111)로 자동 전환시켜 엔진(251)이 최대 출력으로 구동되도록 제어하는 단계(S320), 및 제어부(140)가, 자동 전환된 파워 모드(111)를 최초 선택된 스탠더드 모드(112) 또는 이코노미 모드(113)로 자동 복귀시켜 엔진(251)이 기본 출력 또는 최소 출력으로 구동되도록 제어하는 단계(S330)를 포함할 수 있다.3, the control method of the
단계 S310에서는, 제어부(140)가, 파워 모드(111), 스탠더드 모드(112), 이코노미 모드(113) 중에서 선택되는 스탠더드 모드(112) 또는 이코노미 모드(113)로부터 엔진 모드 신호를 제공받고, 엔진 모드 신호에 따라서 기 설정된 부하값을 세팅한다.In step S310, the
상기에서, 기 설정된 부하값은, 스탠더드 모드(112)가 선택될 경우, 스탠더드 모드에서 작업장치(210)가 최적화된 성능으로 작업할 수 있는 최대 부하값일 수 있다.In the above, the predetermined load value may be the maximum load value at which the working
또한, 기 설정된 부하값은, 이코노미 모드(113)가 선택될 경우, 이코노미 모드에서 작업장치(210)가 최적화된 성능으로 작업할 수 있는 최대 부하값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determined load value may be the maximum load value in which the working
단계 S320에서는, 제어부(140)가, 제1 감지부(120)에 의해 감지되는 작업장치(210)의 작업 부하가 기 설정된 부하값 이상이고, 제2 감지부(130)에 의해 작업장치(210)의 작동이 감지되는 것이 확인되면, 최초 선택된 스탠더드 모드(112) 또는 이코노미 모드(113)를 파워 모드(111)로 자동 전환시켜 엔진(251)이 최대 출력으로 구동되도록 제어한다.In step S320, the
상기에서, 제1 감지부(120)에 의해 감지되는 작업 부하는 작업장치(210)의 붐(211), 버킷(2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가해지는 작업 부하일 수 있다.The workload sensed by the
제어부(140)가 단계 S320을 수행함에 의해, 스탠더드 모드(112) 또는 이코노미 모드(113)는 자동 해제된 상태가 되고, 파워 모드(111)는 자동 선택된 상태가 된다.The
단계 S330에서는, 제어부(140)가, 자동 전환된 파워 모드(111)를 최초 선택된 스탠더드 모드(112) 또는 이코노미 모드(113)로 자동 복귀시켜 엔진(251)이 기본 출력 또는 최소 출력으로 구동되도록 제어한다.In step S330, the
제어부(140)가 단계 S320을 수행함에 의해, 스탠더드 모드(112) 또는 이코노미 모드(113)는 최초 상태로 자동 복귀된 상태가 되고, 파워 모드(111)는 자동 해제된 상태가 된다.The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스탠더드 모드(112) 또는 이코노미 모드(113)를 선택하여 작업장치(210)로 작업하는 과정에서, 최대 출력이 필요한 작업이 감지되는 경우 최초 선택된 스탠더드 모드(112) 또는 이코노미 모드(113)가 파워 모드(111)로 자동 전환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엔진(251)의 출력 부족으로 인한 작업 안전사고 발생 및 작업 효율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In this way,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hen a work requiring a maximum output is detected in a process of selecting the
또한, 본 실시예는, 자동 전환된 파워 모드(111)에 의해 작업장치(210)로 작업하는 과정에서, 최대 출력이 필요없는 작업이 감지되는 경우 자동 전환된 파워 모드(111)가 최초 선택된 스탠더드 모드(112) 또는 이코노미 모드(113)로 복귀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연비를 효율적으로 절감시킬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when a work requiring no maximum output is detected in the process of working with th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 예의 본질적인 기술내용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실시예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조합 또는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로부터 용이하게 도출 가능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기술내용들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ombination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technical contents related to the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that can be easily derived from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100: 엔진 모드 시스템
110: 엔진 모드 선택부
111: 파워 모드
112: 스탠더드 모드
113: 이코노미 모드
120: 제1 감지부
130: 제2 감지부
140: 제어부
200: 작업기계
210: 작업장치
211: 붐
2111: 붐 실린더
212: 버켓
2112: 버켓 실린더
220: 주행 장치
221: 바퀴
230: 몸체
240: 운전실
241: 운전석
242: 핸들
243: 레버
244: 브레이크 페달
250: 엔진룸
251: 엔진100: engine mode system 110: engine mode selection unit
111: Power mode 112: Standard mode
113: Economy mode 120: First sensing unit
130: second sensing unit 140:
200: work machine 210: work machine
211: Boom 2111: Boom cylinder
212: bucket 2112: bucket cylinder
220: Travel device 221: Wheel
230: body 240: cab
241: driver's seat 242: handle
243: lever 244: brake pedal
250: engine room 251: engine
Claims (10)
작업장치에 가해지는 작업 부하를 감지하는 제1 감지부;
작업장치의 작동을 감지하는 제2 감지부; 및
상기 연비 절감 모드로부터 수신되는 연비 절감 모드 신호에 따라 상기 기 설정된 부하값을 세팅하고, 상기 작업장치의 작업 부하가 상기 설정된 부하값 이상이고, 상기 작업장치가 작동되면, 상기 연비 절감 모드를 상기 파워 모드로 자동 전환시켜 상기 엔진이 최대 출력으로 구동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기계의 엔진 모드 시스템.An engine mode selection unit including a power mode in which the engine is driven at a maximum output and a fuel consumption reduction mode in which the engine is driven at a fuel consumption reduction output;
A first sensing unit for sensing a workload applied to the work device;
A second sensing unit for sensing operation of the work device; And
Setting the predetermined load value according to a fuel consumption reduction mode signal received from the fuel consumption reduction mode, and when the working load of the working devic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set load value and the working device is operated, Mode so that the engine is driven at a maximum output.
자동 전환된 상기 파워 모드에 의해 상기 작업장치에서 작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상기 작업장치의 작업 부하에 상관없이, 상기 작업장치가 작동되지 않으면, 자동 전환된 상기 파워 모드를 상기 연비 절감 모드로 자동 복귀시켜 상기 엔진이 연비 절감 출력으로 구동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작업기계의 엔진 모드 시스템.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work device is not operated regardless of the work load of the work device in the course of the operation of the work device by the automatically switched power mode, the automatically switched power mode is automatically switched to the fuel efficiency reduction mode And returning the engine to the fuel economy reducing output so that the engine is driven to the fuel economy reducing output.
상기 엔진이 기본 출력으로 구동되는 스탠더드 모드; 및
상기 엔진이 최소 출력으로 구동되는 이코노미 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기계의 엔진 모드 시스템.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A standard mode in which the engine is driven as a primary output; And
And an economy mode in which the engine is driven at a minimum output.
상기 연비 절감 모드가 상기 스탠더드 모드일 경우, 상기 스탠더드 모드에서 상기 작업장치가 최적화된 성능으로 작업할 수 있는 최대 부하값이고,
상기 연비 절감 모드가 상기 이코노미 모드일 경우, 상기 이코노미 모드에서 상기 작업장치가 최적화된 성능으로 작업할 수 있는 최대 부하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기계의 엔진 모드 시스템.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when the fuel consumption reduction mode is the standard mode, the maximum load value that the working device can work with the optimized performance in the standard mode,
Wherein when the fuel economy reduction mode is the economy mode, the operation device is a maximum load value capable of operating with the optimized performance in the economy mode.
상기 작업장치 붐 실린더, 버킷 실린더 각각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기계의 엔진 모드 시스템.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sensing unit comprises:
Wherein the work machine boom cylinder, the bucket cylinder, and the work machine boom cylinder, respectively.
상기 작업장치의 붐, 버킷 각각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기계의 엔진 모드 시스템.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second sensing unit comprises:
Wherein the boom and the bucket of the working machine are installed in the boom and the bucket, respectively.
운전실에 구비되는 작업장치 조작레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기계의 엔진 모드 시스템.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second sensing unit comprises:
Wherein the work machine is provided with a work device operation lever provided in a cab.
상기 제어부가, 제1 감지부에 의해 감지되는 작업장치의 작업 부하가 상기 기 설정된 부하값 이상이고, 제2 감지부에 의해 상기 작업장치의 작동이 감지되는 것이 확인되면, 최초 선택된 상기 스탠더드 모드 또는 상기 이코노미 모드를 상기 파워 모드로 자동 전환시켜 엔진이 최대 출력으로 구동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자동 전환된 상기 파워 모드를 최초 선택된 상기 스탠더드 모드 또는 상기 이코노미 모드로 자동 복귀시켜 상기 엔진이 기본 출력 또는 최소 출력으로 구동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기계의 엔진 모드 시스템의 제어방법.Receiving a engine mode signal from the standard mode or the economy mode selected from a power mode, a standard mode, and an economy mode, and setting a predetermined load value according to the engine mode signal;
If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work load of the work device sensed by the first sensing uni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preset load value and that the operation of the work device is sensed by the second sensing unit, Automatically switching the economy mode to the power mode so as to drive the engine to a maximum output; And
Wherein the control unit automatically returns the automatically switched power mode to the first selected standard mode or the economy mode and controls the engine to be driven to a basic output or a minimum output. Method of controlling the system.
상기 스탠더드 모드가 선택될 경우, 상기 스탠더드 모드에서 상기 작업장치가 최적화된 성능으로 작업할 수 있는 최대 부하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기계의 엔진 모드 시스템의 제어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when the standard mode is selected, the working mode device is a maximum load value capable of working with optimized performance in the standard mode.
상기 이코노미 모드가 선택될 경우, 상기 이코노미 모드에서 상기 작업장치가 최적화된 성능으로 작업할 수 있는 최대 부하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기계의 엔진 모드 시스템의 제어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when the economy mode is selected, the operation mode is a maximum load value in which the work device can work with optimized performance in the economy mod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08632A KR20170014767A (en) | 2015-07-31 | 2015-07-31 | Engine mode system for working machine and method of contrling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08632A KR20170014767A (en) | 2015-07-31 | 2015-07-31 | Engine mode system for working machine and method of contrling thereof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14767A true KR20170014767A (en) | 2017-02-08 |
Family
ID=58154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08632A Ceased KR20170014767A (en) | 2015-07-31 | 2015-07-31 | Engine mode system for working machine and method of contrling thereof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70014767A (en)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069023A (en) * | 2008-12-16 | 2010-06-24 |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 Auto controlling system for heavy machinery |
JP2010163995A (en) * | 2009-01-16 | 2010-07-29 | Hitachi Constr Mach Co Ltd | Engine rotating speed control device for working machine |
KR20110037048A (en) | 2009-10-05 | 2011-04-13 |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 Device and method for compensating boom link speed of wheel loader |
JP2011127473A (en) * | 2009-12-16 | 2011-06-30 | Iseki & Co Ltd | Engine control device for work vehicle |
JP2015094070A (en) * | 2013-11-08 | 2015-05-18 | 日立建機株式会社 | Wheel loader |
-
2015
- 2015-07-31 KR KR1020150108632A patent/KR20170014767A/en not_active Ceased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069023A (en) * | 2008-12-16 | 2010-06-24 |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 Auto controlling system for heavy machinery |
JP2010163995A (en) * | 2009-01-16 | 2010-07-29 | Hitachi Constr Mach Co Ltd | Engine rotating speed control device for working machine |
KR20110037048A (en) | 2009-10-05 | 2011-04-13 |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 Device and method for compensating boom link speed of wheel loader |
JP2011127473A (en) * | 2009-12-16 | 2011-06-30 | Iseki & Co Ltd | Engine control device for work vehicle |
JP2015094070A (en) * | 2013-11-08 | 2015-05-18 | 日立建機株式会社 | Wheel loade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50002303A1 (en) | System to display remaining payload weight for a truck | |
JP5048068B2 (en) | Work vehicle and hydraulic control method for work vehicle | |
JP5192605B1 (en) | Wheel loader | |
WO2015083753A1 (en) | Utility vehicle | |
WO2009116249A1 (en) | Working vehicle, control device for working vehicle, and operating-oil amount control method for working vehicle | |
WO2014054326A1 (en) | Hydraulic circuit for construction machine | |
EP2901025B1 (en) | Twin priority valve | |
KR101491942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cut-off of heavy construction equipment | |
EP3719217B1 (en) | A control method for actuating a return-to-dig movement of an implement, such as a bucket, in a work vehicle, a corresponding control system and a work vehicle comprising such control system | |
KR102187738B1 (en) | Rim-pull Control System for Construction Equipment and Method of Controlling Rim-pull using the Same | |
KR102439750B1 (en) | Construction equipment with safety system | |
JPH11210514A (en) | Prime mover control device for construction machine | |
KR20170014767A (en) | Engine mode system for working machine and method of contrling thereof | |
KR102244044B1 (en) | Rim-pull Control System for Construction Equipment and Method of Controlling Rim-pull using the Same | |
JP2010112019A (en) | Working vehicle | |
WO2021182297A1 (en) |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ransport vehicle | |
KR101882528B1 (en) | Floating System of Boom in Construction Equipment | |
KR20140061004A (en) | A control method for backhoe loader | |
KR20210146151A (en) | Rim-pull Control System for Construction Equipment and Method of Controlling Rim-pull using the Same | |
JP2011245909A (en) | Outrigger control device | |
KR20170046356A (en) | A Hydraulic Control Device for Construction Equipment | |
EP3719218B1 (en) | A control method for actuating a movement inversion of at least one of a boom and an implement in a work vehicle, a corresponding control system and a work vehicle comprising such control system | |
KR20140061019A (en) | A control method for backhoe loader | |
EP3719220B1 (en) | A control method of actuating a movement of at least one of a boom and an implement connected to the boom in a work vehicle powered by a motor, a corresponding control system and a work vehicle comprising such control system | |
EP3719219B1 (en) | A control method for actuating a combined movement of a boom and an implement in a work vehicle, a corresponding control system and a work vehicle comprising such control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73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7061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101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5073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3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8053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8030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