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70011918A - 야외 난방용 보일러 장치 - Google Patents

야외 난방용 보일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1918A
KR20170011918A KR1020150105397A KR20150105397A KR20170011918A KR 20170011918 A KR20170011918 A KR 20170011918A KR 1020150105397 A KR1020150105397 A KR 1020150105397A KR 20150105397 A KR20150105397 A KR 20150105397A KR 20170011918 A KR20170011918 A KR 201700119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ignition
discharge electrode
switching
switching uni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5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42877B1 (ko
Inventor
윤한준
Original Assignee
윤한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한준 filed Critical 윤한준
Priority to KR10201501053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2877B1/ko
Publication of KR201700119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19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28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287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06Portable or mobile, e.g. collap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QIGNITION; EXTINGUISHING-DEVICES
    • F23Q7/00Incandescent ignition; Igniters using electrically-produced heat, e.g. lighters for cigarettes; Electrically-heated glowing plugs
    • F23Q7/14Portable igniters
    • F23Q7/16Portable igniters with built-in batter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8Water-storage hea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09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water hea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0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Regulation And Control Of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야외 난방용 보일러 장치에 있어서, 특히 가스 점화 및 난방수의 순환을 통해 적은 면적의 난방을 도모하도록 구성하되, 바람이나 습기 등의 외부 환경에 의해서 난방용 가스 불이 꺼질때에 자동으로 가스불을 재점화시켜 점화상태를 지속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외 난방용 보일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공간부를 갖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하부에 배치되어, 가스의 연소를 통해 화기를 생성하는 버너부(20); 및 본체(10)에 연결되어 버너부(20)에서 생성된 화기와의 열교환을 통해 회수된 난방수를 매트리스에 제공하는 순환관(30)과; 상기 순환과의 일단에 설치되는 순환펌프(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버너부(20)는, 가스 공급용 스위칭 수단(21)과; 가스 공급용 스위칭 수단(21)에 장착되어 가스불을 자동으로 재점화 시키기 위한 가스불 재점화 스위칭 수단(22)과; 상기 가스불 재점화 스위칭 수단(22)에 연결되어 가스불 재점화를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가스불 재점화 회로부(23)가 설치되어 이루어짐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야외 난방용 보일러 장치{A Boiler System}
본 발명은 야외 난방용 보일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스 점화 및 난방수의 순환을 통해 적은 면적의 난방을 도모하도록 구성하되, 바람이나 습기 등의 외부 환경에 의해서 난방용 가스 불이 꺼질때에 자동으로 가스불을 재점화시켜 점화상태를 지속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외 난방용 보일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일러 장치는, 가스나 기름을 이용한 히터 등을 이용하여 이로부터 얻어지는 열원으로 난방수를 가열하고, 이 가열된 난방수를 순환관을 따라 순환시켜 난방을 도모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이러한 보일러 장치는 주로 주택이나 각종 건물 등지에 설치되어 난방을 도모하게 된다.
한편, 최근 주 5일제 근무가 확산됨에 따라 현대인들은 캠핑 등을 통해 레저활동을 즐기고 있으며, 이에 따라 야외에서도 간편하게 난방을 할 수 있는 장치의 보급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주택이나 각종 건물의 난방을 위한 보일러는 부피나 중량이 무거워 휴대가 불가능하고, 또 일단 설치가 완료되면 이동시키는 것은 사실상 어렵다.
이에 따라, 당 분야에서는 간편한 휴대와 설치를 통해 야외에서 간편하게 설치하여 난방을 할 수 있는 휴대용 보일러 장치의 보급이 요구되고 있었고, 이러한 요구에 의해 종래에도 야외의 난방을 간편하게 도모할 수 있는 휴대용 보일러 장치들이 개발 및 보급된 바 있다.
그러나, 종래 휴대용 보일러 장치들은 안정된 열효율을 갖지 못한 관계로 용량이 한정된 일회용 가스의 휴대 및 잦은 교체가 요구되었고, 이에 따라 장시간의 난방에 따른 일회용 가스의 잦은 교체로 사용에 따른 번거로움과 불편함이 지적되고 있다.
특히, 상기 휴대용 보일러 장치들은 안전상 반드시 개방된 야외에 설치되어야 하나, 비가 오면 흡기구나 배기구를 통해 빗물이 유입되고, 이 빗물이 버너부에 도달하여 연소를 저해하는 문제점이 발생되어서, 안정성을 해지고, 또 이는 안전상 바람직하지 아니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등록특허 제 10-1191276호에는 휴대용 보일러 장치가 제안되어 있는바, 상부에 배기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부에 배치되어, 가스의 연소를 통해 화기를 생성하는 버너부; 및 상기 본체에 수용되어 버너부에서 생성된 화기와의 열교환을 통해 회수된 난방수를 가열하는 열교환관을 포함하여 구성된 휴대용 보일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부에 흡기구가 형성된 단열 케이스 내에 수용되어 단열 케이스의 내벽과 본체의 외벽 사이에는 이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단열 케이스에 수용된 본체의 하부 측벽에는 이격공간과 본체를 상호 연통시키는 하나 이상의 흡기공이 형성되어, 상기 단열 케이스의 흡기구를 통해 이격공간으로 유입된 공기에 의해 본체의 단열상태가 확보되고, 상기 이격공간으로 유입된 공기는 본체의 외벽으로 방출되는 열기에 의해 예열되면서 흡기공을 통해 본체 내로 유입되도록 구성한 것이 특징이다.
그러나, 상기의 장치는 매우 복잡한 구조를 갖기 때문에 가격이 매우 비싸질 수 밖에 없는 문제가 있었다.
즉, 종래의 휴대용 보일러 장치는 전용 장치로 새롭게 제작해야 하기 때문에 제작비가 상승할 수 밖에 없으며, 아울러, 불이 꺼질 때에는 재점화를 시켜야 하는바, 야간에 갑자기 불이 꺼질 경우 이를 확인하기가 곤란하고 또한 재점화가 어려워 재대로된 난방을 실현시키기가 어려운 것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코자 하는 것으로, 통상의 가스레인지에 보일러를 설치하고, 상기 보일러를 가열하는 불꽃이 꺼질 때에는 자동으로 불꽃을 재점화시킬 수 있도록하여 야외에서 난방수를 갖는 보일러를 적용시 별도로 불꺼짐 방지를 위한 조치를 취하지 않아도 되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은 물을 공급할 수 있는 공간부를 갖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하부에 배치되어, 가스의 연소를 통해 화기를 생성하는 버너부(20); 및 본체(10)에 연결되어 버너부(20)에서 생성된 화기와의 열교환을 통해 회수된 난방수를 매트리스에 제공하는 순환관(30)과; 상기 순환과의 일단에 설치되는 순환펌프(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버너부(20)는, 가스 공급용 스위칭 수단(21)과; 가스 공급용 스위칭 수단(21)에 장착되어 가스불을 자동으로 재점화 시키기 위한 가스불 재점화 스위칭 수단(22)과; 상기 가스불 재점화 스위칭 수단(22)에 연결되어 가스불 재점화를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가스불 재점화 회로부(23)가 설치되어 이루어짐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가스불 재점화 스위칭 수단은 캠 형태로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가스불 재점화 회로부(23)는, 12볼트 리듐전지, 차량용 축전지 또는 일반용 전지를 다수개 직렬 연결하여 필요한 전압을 공급하기 위해 설치되는 직류 전원부(101)와; 상기 직류 전원부에 일단이 연결되고, 가스불 재점화 스위칭 수단이 회전될때 스위칭되어 온이 되는 가스불 재점화 스위치(102)와; 상기 가스불 재점화 스위치가 온 되면 전기가 공급되어 승압된 교류 전류를 출력하는 발진 트랜스(103)와; 상기 발진 트랜스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전기적 공급에 의해서 온 되는 방전 전극 점화용 스위칭부(108)와; 상기 방전 전극 점화용 스위칭부의 출력단에 설치되며 고압을 발생시키는 고압 트랜스(107)와; 상기 고압 트랜스에 의해서 공급되는 고압의 전원이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고압 방전 갭(113a, 113b)과; 상기 고압 방전 갭에 의해서 제공된 전원을 이용하여 방전이 이루어지면서 연료를 점화시켜 가스 불꽃이 타오르도록 유도하는 방전 전극(114)과; 상기 방전 전극과 베이스단이 연결되고 에미터단 및 콜렉터단이 발진 트랜스 및 방전 전극 점화용 스위칭부에 연결되며, 연료가 연소되면 열전자에 의해서 폐회로를 형성하면서 스위칭되어 방전 전극 점화용 스위칭부로 향하는 전원을 차단시켜 방전 전극이 점화되는 것을 차단하고, 외부 바람이나 습기에 의해서 불꽃이 꺼지면 열전자의 소멸로 인하여 폐회로가 깨지면서 스위칭이 오프되고 이에 따라 방전 전극 저화용 스위칭부로 향하는 전원을 온 시켜 방전 전극이 점화되도록 유도하는 기능을 하는 방전 전극 오프용 스위칭부(118)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통상의 가스레인지에 보일러를 설치하고, 상기 보일러를 가열하는 불꽃이 꺼질 때에는 자동으로 불꽃을 재점화시킬 수 있도록하여 야외에서 난방수를 갖는 보일러를 적용시 별도로 불꺼짐 방지를 위한 조치를 취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난방용 보일러 장치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난방용 보일러 장치의 스위칭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난방용 보일러 장치의 회로 구성 블록도.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루는 기술적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각각의 시스템 기능구성에 이미 구비되어 있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시스템 기능구성은 가능한 생략하고, 본 발명을 위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기능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
만약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에 도시하지 않고 생략된 기능구성 중에서 종래에 이미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의 기능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상기와 같이 생략된 구성요소와 본 발명을 위해 추가된 구성요소 사이의 관계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예는 본 발명의 핵심적인 기술적 특징을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용어를 적절하게 변형하여 사용할 것이나, 이에 의해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난방용 보일러 장치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난방용 보일러 장치의 스위칭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난방용 보일러 장치의 회로 구성 블록도로서,
본 발명은 물을 공급할 수 있는 공간부를 갖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하부에 배치되어, 가스의 연소를 통해 화기를 생성하는 버너부(20); 및 본체(10)에 연결되어 버너부(20)에서 생성된 화기와의 열교환을 통해 회수된 난방수를 매트리스(60)에 제공하는 순환관(30)과; 상기 순환과의 일단에 설치되는 순환펌프(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아울러, 순환펌프(40)는 콘트롤러(50)의 제어에 의해 난방수를 강제 순환시키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콘트롤러(50)에 순환관(30)을 따라 순환하는 난방수의 온도를 계측하는 온도센서를 마련하고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콘트롤러(50)는 난방수의 온도에 따라 순환펌프(40)를 통한 난방수의 강제 순환량을 제어하므로, 순환펌프(40)가 불필요하게 구동하여 배터리의 소모량이 과다하게 증대되는 현상이 억제하고 있다.
본 발명은 버너부(20)의 가스 공급용 스위칭 수단(21)에 가스불 재점화 스위칭 수단(22)을 더 장착하여 구성하고, 상기 가스불 재점화 스위칭 수단(22)에는 가스불 재점화를 위한 가스불 재점화 회로부(23)가 접점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가스불 재점화 회로부(23)의 끝단은 연료 출력단에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은 가스 공급용 스위칭 수단(21)을 작동시킬때 가스불 재점화 스위칭 수단(22)이 동시에 작동되며, 이에 따라 초기 가스불을 점화시키고, 이후 가스불이 외부의 바람이나 습기의 요인에 의해서 꺼지게 되면 가스불 재점화 스위칭 수단(22)에 연동된 가스불 재점화 회로부(23)가 작동하여 연료를 재점화시켜 가스불이 꺼지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가스 공급용 스위칭 수단(21)에는 가스불 재점화 스위칭 수단(22)은 캠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체적으로 타원형태로 이루어지되, 중심축이 가운데에서 약간 빗겨나 결합되며, 이에 따라 가스불 재점화 스위칭 수단(22)은 캠 운동을 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즉, 가스 공급용 스위칭 수단(21)을 회전시키게 되면 가스불 재점화 스위칭 수단(22)이 동시에 회전하면서 가스불 재점화 회로부(23)를 온 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가스불 재점화 회로부(23)의 출력단에 연결된 방전 전극이 점화되면서 연료를 점화시키게 된다. 방전 전극에 의해서 연료가 점화되면 방전 전극에 제공되는 전원이 오프되어 더이상 방전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그리고, 이때 가스불 재점화 스위칭 수단(22)이 스위칭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가스불 재점화 회로부(23)는 계속 작동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외부 바람이나 습기의 요인에 의해서 가스불이 꺼지게 되면 가스불 재점화 회로부(23)가 자동으로 작동하여 다시 방전 전극을 점화시켜 연료를 점화시키게 되어 가스불이 계속적으로 유지된다.
도면에서 미설명부호 200은 가스 연료 제공부이고, 210은 가스 연료 조절부이며, 220은 가스 공급 노즐이다. 이때 가스 공급용 스위칭 수단(21)을 회전시키게 되면 가스 연료 조절부가 작동하여 가스 공급 노즐을 통해 공급되는 연료가 조절되어 방전 전극쪽으로 향하는 가스량이 조절되어 불꽃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에서 가스 공급용 스위치를 회전시켜 가스 공급량을 조절하는 개념은 이미 널리 알려진 사항이므로 더이상의 설명은 생략토록한다.
본 발명은 상기 가스 공급용 스위치에 가스불 재점화 스위칭 수단이 결합되어 있어서 가스 공급용 스위치를 가동시키면 동시에 가스불 재점화 스위칭 수단이 회전하면서 가스불 재점화 회로부를 스위칭 시키는 것이 주요한 특징이다.
즉, 본 발명은 가스 공급용 스위치를 작동시키게 되면 가스불 재점화 스위칭 수단이 회전되면서 가스불 재점화 회로부를 기계적으로 터치하여 작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적용되는 가스불 재점화 회로부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가스불 재점화 회로부는 직류 전원부(101)와, 가스불 재점화 스위치(102)와, 발진 트랜스(103)와, 방전 전극 점화용 스위칭부(108)와, 고압 트랜스(107)와, 고압 방전 갭(113a, 113b)과, 방전 전극(114)과, 방전 전극 오프용 스위칭부(118)로 이루어진다.
상기 직류 전원부(101)는 12볼트 리듐전지, 차량용 축전지 또는 일반용 전지를 다수개 직렬 연결하여 필요한 전압을 공급하기 위해 설치된다.
상기 가스불 재점화 스위치(102)는 직류 전원부에 일단이 연결되고, 가스불 재점화 스위칭 수단이 회전될때 스위칭되어 온이 된다.
상기 발진 트랜스(103)는 가스불 재점화 스위치가 온 되면 전기가 공급되어 승압된 교류 전류를 출력한다.
상기 방전 전극 점화용 스위칭부(108)는 발진 트랜스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전기적 공급에 의해서 온 된다.
상기 고압 트랜스(107)는 방전 전극 점화용 스위칭부의 출력단에 설치되며 고압을 발생시킨다.
상기 고압 방전 갭(113a, 113b)은 고압 트랜스에 의해서 공급되는 고압의 전원이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방전 전극(114)은 고압 방전 갭에 의해서 제공된 전원을 이용하여 방전이 이루어지면서 연료를 점화시켜 가스 불꽃이 타오르도록 유도한다.
상기 방전 전극 오프용 스위칭부(118)는 방전 전극과 베이스단이 연결되고 에미터단 및 콜렉터단이 발진 트랜스 및 방전 전극 점화용 스위칭부에 연결되며, 연료가 연소되면 열전자에 의해서 폐회로를 형성하면서 스위칭되어 방전 전극 점화용 스위칭부로 향하는 전원을 차단시켜 방전 전극이 점화되는 것을 차단하고, 외부 바람이나 습기에 의해서 불꽃이 꺼지면 열전자의 소멸로 인하여 폐회로가 깨지면서 스위칭이 오프되고 이에 따라 방전 전극 저화용 스위칭부로 향하는 전원을 온 시켜 방전 전극이 점화되도록 유도하는 기능을 한다.
이하에서 가스불 재점화 회로부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가스불 재점화 스위치(102)가 온 되면 직류 전원(101)이 연결되어 발진 트랜스(103)에 전원이 인가되고, 발진 트랜스(103)의 2차측에 높은 전압이 인가된다.
2차측에 유기된 전원은 정류다이오드(106)를 통해 반파의 직류 전원이 되고, 이 반파 직류전원은 콘덴서(121)의 충방전 작용으로 인하여 보다 안정된 직류 전원이 된다.
이 직류 전원은 고압 트랜스(107)의 1차 코일을 거쳐 사이리스터(방전 전극 스위칭부, 108)의 애노드단에 인가되고, 한편 이 직류 전원은 저항을 통해 콘덴서(110)에 충전작용을 하게 된다. 상승된 전압은 다이악(111)을 통과하면서 방전 전극 스위칭부(108)를 트리거하여 에노드단과 케소드단이 스위칭되어 고압 트랜스(107)의 동작이 이루어지도록하고, 이에 따라 고압 트랜스(107)의 2차 코일에 고압 전압이 유기되며, 이 유기된 고압 전압은 방전갭(113a, 113b) 사이에 2차 방전을 일으키고 방전 전극(114) 사이에 불꽃 방전을 일으킨다.
이 불꽃 방전은 방전 전극(114)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버너의 노즐을 통해 분출되고 있는 가스에 점화작용으르 하게 된다. 이렇게 가스 노즐의 가스에 점화가 되면 연소 불꽃에 의해 방전 전극 양단에 열전자에 의해서 유기 전압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 유기 전압은 방전 전극 오프용 스위칭부(118)의 베이스단을 활성화시키면서 방전 전극 오프용 스위칭부(118)의 에미터단 및 콜렉터단에 폐회로를 유도하여 방전 전극 점화용 스위칭부로 향하는 전원을 오프시키게 된다.
즉, 저항(119)과 콘덴서(110) 사이의 전압이 다이오드(120)를 통해 방전 전극 오프용 스위칭부(118)의 에미터 단자 및 콜렉터 단자 사이로 흘러 바이패스되며 이 바이패스에 의한 저항(109)과 콘덴서(110) 사이의 전압이 낮아지게 되고, 이렇게 저항(109)과 콘덴서(110) 사이의 전압이 낮아지게 되면 방전 전극 점화용 스위칭부(108)로 향하는 트리거 신호를 멈추게 되어 에노드단과 케스단이 오프되면서 고압 트랜스(107)의 1차 코일 및 2차 코일에 전류가 흐르지 않아 방전 전극 사이의 불꽃 방전을 멈추게 된다.
만약 외부 영향으로 가스 노즐에서의 연소작용이 멈추게 되면 방전 전극(114)의 양단에는 열전자에 의해서 흐르전 전류의 흐름이 없어지게 되고, 이렇게 됨으로서 방전 전극 오프용 스위칭부(118)의 에미터단과 베이스단 사이에 흐르는 바이어스 전압이 사라져서 방전 전극 오프용 스위칭부(118)가 오프된다.
상기 방전 전극 오프용 스위칭부(118)가 오프되면서 다이오드(120)를 통한 저항(109)과 콘덴서(110) 사이의 바이패스 전압이 없어지고 이 전압은 콘덴서(110)에 충전된다.
이 충전된 전압이 다이악(111)의 브레이크 오버 현상을 이르키게 되고 다이악에서 트리거 신호를 방전 전극 점화용 스위칭부(108)에 보내므로서 다시 불꽃 방전을 시작하게 된다.
10: 본체
20: 버너부
30: 순환관
40: 순환펌프
50: 콘트롤러

Claims (3)

  1. 물을 공급할 수 있는 공간부를 갖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하부에 배치되어, 가스의 연소를 통해 화기를 생성하는 버너부(20); 및 본체(10)에 연결되어 버너부(20)에서 생성된 화기와의 열교환을 통해 회수된 난방수를 매트리스에 제공하는 순환관(30)과; 상기 순환과의 일단에 설치되는 순환펌프(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버너부(20)는,
    가스 공급용 스위칭 수단(21)과; 가스 공급용 스위칭 수단(21)에 장착되어 가스불을 자동으로 재점화 시키기 위한 가스불 재점화 스위칭 수단(22)과; 상기 가스불 재점화 스위칭 수단(22)에 연결되어 가스불 재점화를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가스불 재점화 회로부(23)가 설치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야외 난방용 보일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불 재점화 스위칭 수단은 캠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외 난방용 보일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불 재점화 회로부(23)는,
    12볼트 리듐전지, 차량용 축전지 또는 일반용 전지를 다수개 직렬 연결하여 필요한 전압을 공급하기 위해 설치되는 직류 전원부(101)와;
    상기 직류 전원부에 일단이 연결되고, 가스불 재점화 스위칭 수단이 회전될때 스위칭되어 온이 되는 가스불 재점화 스위치(102)와;
    상기 가스불 재점화 스위치가 온 되면 전기가 공급되어 승압된 교류 전류를 출력하는 발진 트랜스(103)와;
    상기 발진 트랜스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전기적 공급에 의해서 온 되는 방전 전극 점화용 스위칭부(108)와;
    상기 방전 전극 점화용 스위칭부의 출력단에 설치되며 고압을 발생시키는 고압 트랜스(107)와;
    상기 고압 트랜스에 의해서 공급되는 고압의 전원이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고압 방전 갭(113a, 113b)과;
    상기 고압 방전 갭에 의해서 제공된 전원을 이용하여 방전이 이루어지면서 연료를 점화시켜 가스 불꽃이 타오르도록 유도하는 방전 전극(114)과;
    상기 방전 전극과 베이스단이 연결되고 에미터단 및 콜렉터단이 발진 트랜스 및 방전 전극 점화용 스위칭부에 연결되며, 연료가 연소되면 열전자에 의해서 폐회로를 형성하면서 스위칭되어 방전 전극 점화용 스위칭부로 향하는 전원을 차단시켜 방전 전극이 점화되는 것을 차단하고, 외부 바람이나 습기에 의해서 불꽃이 꺼지면 열전자의 소멸로 인하여 폐회로가 깨지면서 스위칭이 오프되고 이에 따라 방전 전극 저화용 스위칭부로 향하는 전원을 온 시켜 방전 전극이 점화되도록 유도하는 기능을 하는 방전 전극 오프용 스위칭부(118)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야외 난방용 보일러 장치.
KR1020150105397A 2015-07-24 2015-07-24 야외 난방용 보일러 장치 Active KR1017428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5397A KR101742877B1 (ko) 2015-07-24 2015-07-24 야외 난방용 보일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5397A KR101742877B1 (ko) 2015-07-24 2015-07-24 야외 난방용 보일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1918A true KR20170011918A (ko) 2017-02-02
KR101742877B1 KR101742877B1 (ko) 2017-06-01

Family

ID=58151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5397A Active KR101742877B1 (ko) 2015-07-24 2015-07-24 야외 난방용 보일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287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2000B1 (ko) * 2020-04-28 2021-02-03 이도훈 스마트팜에 적용되는 발전시스템
KR102212001B1 (ko) * 2020-04-28 2021-02-03 이도훈 생초 및 동애등에 재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1190B1 (ko) 2020-03-05 2021-11-25 황재성 캠핑용 난방 시스템
KR102154957B1 (ko) * 2020-04-28 2020-09-10 이도훈 태양열과 풍력 하이브리드 발전 장치를 포함하는 스마트팜 시스템
KR102193910B1 (ko) * 2020-08-05 2020-12-23 조창희 다기능 도로환경 인지 시스템
KR102429991B1 (ko) 2022-04-08 2022-08-04 강희찬 캠핑용 난방 시스템
KR102589416B1 (ko) 2023-05-02 2023-10-16 황재성 열효율 개선형 난방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6595Y1 (ko) 1996-12-16 2000-04-15 정몽규 내연기관의 회전형 점화장치
JP2001004131A (ja) * 1999-06-23 2001-01-12 Paloma Ind Ltd コック式点滅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2000B1 (ko) * 2020-04-28 2021-02-03 이도훈 스마트팜에 적용되는 발전시스템
KR102212001B1 (ko) * 2020-04-28 2021-02-03 이도훈 생초 및 동애등에 재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2877B1 (ko) 2017-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2877B1 (ko) 야외 난방용 보일러 장치
US20200072500A1 (en) Forced air heater including multiple on-board sources of electric energy
JP2008249197A (ja) ガス機器
CN112054718A (zh) 一种温差发电的灶具电源系统及其充电管理方法
CN108309781A (zh) 一种艾灸贴自动点燃装置
CN205425007U (zh) 燃气点火器
HK1224002A1 (zh) 燃氣器具
CN109162853A (zh) 一种双放电模式等离子体点火器
RU2731081C1 (ru) Способ факельного сжигания топливовоздушной смеси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еализации способа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электроионизационного воспламенителя
CN109253017A (zh) 一种具有双进气口结构的等离子体点火器工作方法
CN109209724A (zh) 一种具有双进气及双阳极结构的等离子体点火器
CN109253019A (zh) 一种具有渐扩接地电极出口结构的等离子体点火器使用方法
US4968245A (en) Constant and instantaneous kerosene vaporizing burner
TWM585881U (zh) 燃氣爐具安全熄火裝置
CN2160829Y (zh) 自动复燃电子点火器
JP2017166755A (ja) 燃焼装置
CN109340017A (zh) 一种具有助燃与点火双工作模式的等离子体助燃激励器
CN219063537U (zh) 一种液化石油气猛火炉
JP2024003361A (ja) 燃焼機
CN109253016A (zh) 一种具有空心通气阳极的双放电模式等离子体点火器
RU2779675C1 (ru) Способ факельного сжигания топливовоздушной смеси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еализации способа
CN106016354A (zh) 一种燃烧炉点火系统
CN203869085U (zh) 一种电子点火器
CN201209881Y (zh) 高能点火装置
FI72594C (fi) Likstroemsdriven styranordning foer en gasbraenna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72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9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7033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6092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7033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6112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0519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7042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033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6112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5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5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5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5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52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52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