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70011518A - Battery Module for Structure of Easy Insertion and Mounting of Terminal Plate - Google Patents

Battery Module for Structure of Easy Insertion and Mounting of Terminal Plat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1518A
KR20170011518A KR1020150104266A KR20150104266A KR20170011518A KR 20170011518 A KR20170011518 A KR 20170011518A KR 1020150104266 A KR1020150104266 A KR 1020150104266A KR 20150104266 A KR20150104266 A KR 20150104266A KR 20170011518 A KR20170011518 A KR 201700115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terminal plate
battery module
cell
module accord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426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66913B1 (en
Inventor
박창욱
양근주
윤석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501042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6913B1/en
Publication of KR201700115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151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69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6913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M2/105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10/0585Construction or manufacture of accumulators having only flat construction elements, i.e. flat positive electrodes, flat negative electrodes and flat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6Solid parts with flow channel passages or pipes for heat exchange
    • H01M2/30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2010/4271Battery management systems including electronic circuits, e.g. control of current or voltage to keep battery in healthy state, cell balanc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02E60/122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attery module which includes: a battery cell laminate on which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are arranged while the lateral sides of the battery cells are adjacent to each other; a pair of cell frames which are mounted on both end parts of the battery cell laminate and include terminal plate receiving units which are fixed in a right position by the insertion of terminal plates; the terminal plates which electrically connect electrode terminals of the battery cells; and a battery management system (BMS) which is mounted on one lateral side of the battery cell laminate and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plates.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save manufacturing costs and time by excluding a separate jig for arranging and welding the terminal plates.

Description

단자 플레이트의 삽입 및 장착이 용이한 구조의 전지모듈 {Battery Module for Structure of Easy Insertion and Mounting of Terminal Plate}[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module for easy insertion and mounting of terminal plates,

본 발명은 단자 플레이트의 삽입 및 장착이 용이한 구조의 전지모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module having a structure in which insertion and mounting of a terminal plate is facilitated.

최근, 충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는 와이어리스 모바일 기기의 에너지원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이차전지는, 화석 연료를 사용하는 기존의 가솔린 차량, 디젤 차량 등의 대기오염 등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전기자전거 등의 에너지원으로서도 주목받고 있다. 따라서, 이차전지를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종류는 이차전지의 장점으로 인해 매우 다양화되고 있으며, 향후에는 지금보다는 많은 분야와 제품들에 이차전지가 적용될 것으로 예상된다.BACKGROUND ART [0002] In recent years, rechargeable secondary batteries have been widely used as energy sources for wireless mobile devices. In addition, the secondary battery is attracting attention as an energy source for electric vehicles, hybrid electric vehicles, and electric bicycles, which are proposed as solutions for air pollution in existing gasoline vehicles and diesel vehicles using fossil fuels. Therefore, the types of applications using secondary batteries are diversifying due to the advantages of secondary batteries, and it is expected that secondary batteries will be applied to many fields and products in the future.

이러한 이차전지는 전극과 전해액의 구성에 따라 리튬이온 전지, 리튬이온 폴리머 전지, 리튬 폴리머 전지 등으로 분류되기도 하며, 그 중 전해액의 누액 가능성이 적으며, 제조가 용이한 리튬이온 폴리머 전지의 사용량이 늘어나고 있다.Such a secondary battery may be classified as a lithium ion battery, a lithium ion polymer battery, or a lithium polymer battery depending on the configuration of an electrode and an electrolytic solution. The amount of the lithium ion polymer battery Is growing.

일반적으로, 이차전지는 전지케이스의 형상에 따라, 전극조립체가 원통형 또는 각형의 금속 캔에 내장되어 있는 원통형 전지 및 각형 전지와, 전극조립체가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의 파우치형 케이스에 내장되어 있는 파우치형 전지로 분류된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Generally, a secondary battery includes a cylindrical battery and a prismatic battery in which an electrode assembly is embedded in a cylindrical or rectangular metal can according to the shape of a battery case, and a pouch type battery in which an electrode assembly is embedded in a pouch- .

이러한 이차전지는 전지가 장착되는 디바이스에서 소요되는 용량에 따라, 다수의 이차전지를 연결하여 전지모듈 또는 전지팩으로 구성한다. Such a secondary battery comprises a battery module or a battery pack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secondary batteries according to a capacity of a device in which the battery is mounted.

도 1에는 종래의 복수의 이차전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구성한 전지모듈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ttery module in which a plurality of conventional secondary batteries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도 1을 참조하면, 전지모듈(10)은 복수의 전지셀(11)들이 측면이 상호 인접한 상태로 배열되어 있고, 전지셀(11)들의 양단에 프레임(12)들이 장착되며, 전지셀(11)들의 양단에 위치하는 전극단자들이 단자 플레이트(13)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1, the battery module 10 includes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11 arranged side by side so that the frames 12 are mounted on both ends of the battery cells 11,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terminal plate 13.

이와 같은 구조의 전지모듈을 구성하기 위해서, 먼저, 복수의 전지셀들을 프레임들에 장착하여 배열한다. 배열된 전지셀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서, 복수의 단자 플레이트들을 스팟 지그에 장착하고, 스팟 지그를 전지셀들에 장착하며, 스팟 지그에 의해 전지셀들에 접촉된 단자 플레이트들을 용접하는 공정을 수행한다. 용접이 완료되면, 전지셀들과 스팟 지그를 분리한다.In order to construct the battery module having such a structure, first,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are mounted on the frames and arranged. In order to electrically connect the arranged battery cells, a plurality of terminal plates are mounted on the spot jig, the spot jig is mounted on the battery cells, and the terminal plates contacting the battery cells are welded by the spot jig do. When welding is completed, separate the battery cells and the spot jig.

상기와 같은 전지모듈 구성 과정에서, 전지셀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단자 플레이트를 용접하는 공정은 제조 비용 및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단자 플레이트들을 배열하여 전지셀들에 접촉하기 위한 부재로서 스팟 지그를 추가로 준비해야 하므로 제조 비용이 증가하고, 복수의 단자 플레이트들을 작업자가 각각 스팟 지그에 장착해야 하므로 제조 시간이 증가하게 된다.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battery module, the process of welding the terminal plate to electrically connect the battery cells requires a lot of manufacturing cost and time. That is, since the spot jig must be additionally prepared as a member for contacting the battery cells by arranging the terminal plates, the manufacturing cost is increased and the manufacturing time is increased because a plurality of terminal plates must be mounted on the spot jig by each worker .

따라서,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전지모듈이 매우 필요한 실정이다. Therefore, a battery module capable of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very necessary.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the technical problems required from the past.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용량/고출력의 전지모듈을 구성하기 위하여 복수의 전지셀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공정을 개선하여 제조 비용 및 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전지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Specifical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attery module capable of reducing a manufacturing cost and a time by improving a process of electrically connecting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in order to configure a high capacity / high output battery module.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지모듈은,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복수의 전지셀들이 측면이 상호 인접한 상태로 배열되어 있는 전지셀 적층체;A battery cell stack comprising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arranged side by side adjacent to each other;

상기 전지셀 적층체의 양측 단부들에 장착되고, 하기 단자 플레이트들이 삽입되어 정위치 고정되는 단자 플레이트 수납부를 포함하는 한 쌍의 셀 프레임들;A pair of cell frames mounted on both side ends of the battery cell stack body and including a terminal plate receiving portion into which the following terminal plates are inserted and fixed in position;

상기 전지셀들의 전극단자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단자 플레이트들; 및Terminal plates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electrode terminals of the battery cells; And

상기 전지셀 적층체의 일 측면에 장착되어 있고, 단자 플레이트들에 연결되어 있는 BMS(Battery Management System);A BMS (Battery Management System) mounted on one side of the battery cell stack body and connected to the terminal plates;

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다.As shown in FIG.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전지모듈은, 한 쌍의 셀 프레임에 단자 플레이트들이 삽입되어 정위치 고정되는 단자 플레이트 수납부를 포함함으로써, 복수의 전지셀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공정에서 단자 플레이트들을 배열 및 용접하기 위한 별도의 지그를 배제할 수 있으므로, 제조 비용을 및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Therefore, the battery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terminal plate accommodating portion in which the terminal plates are inserted and fixed in the pair of cell frames, so that the terminal plates are arranged and welded in the process of electrically connecting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It is possible to eliminate manufacturing cost and time.

구체적으로, 상기 전지셀은 원통형 전지셀일 수 있다. 원통형 전지셀은 양극 시트, 음극 시트 및 상기 양극 시트와 음극 시트 사이에 개재된 분리막 시트를 권취하여 형성된 젤리-롤형 전극조립체가 원통형의 금속 캔에 전해액과 함께 수납되고, 상기 원통형 캔의 상단에 캡 어셈블리가 장착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다.Specifically, the battery cell may be a cylindrical battery cell.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includes a positive electrode sheet, a negative electrode sheet, and a jelly-roll type electrode assembly formed by winding a separator sheet sandwiched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sheet and the negative electrode sheet. The jelly-roll type electrode assembly is accommodated in a cylindrical metal can together with an electrolyte. The structure may be constructed with the assembly mounted.

또한, 상기 전지셀 적층체는 세로 방향 크기 대비 가로 방향 크기가 상대적으로 큰 구조로 적층 및 배열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세로 방향은 지면으로부터의 높이 방향을 의미하고, 상기 가로 방향은 상기 전지셀의 전극단자 형성 방향에 직교되는 방향을 의미한다.In addition, the battery cell stack body may be stacked and arranged in a structure having a relatively large siz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relative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eans a height direction from the ground and the lateral direction means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electrode terminal forming direction of the battery cell.

반대로, 상기 전지셀 적층체는 가로 방향 크기 대비 세로 방향 크기가 상대적으로 큰 구조로 적층 및 배열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같은 전지셀 적층체의 구조에 따라 상기 전지셀들의 전극단자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단자 플레이트의 형상이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Conversely, the battery cell stack body may be stacked and arranged in a structure having a relatively large siz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s compared with the siz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he shape of the terminal plate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electrode terminals of the battery cells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battery cell stack.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단자 플레이트 수납부는 전극단자들이 대면하는 셀 프레임 상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단자 플레이트가 상기 단자 플레이트 수납부에 장착되면, 단자 플레이트와 전지셀들의 전극단자들은 바로 접촉할 수 있으므로, 이어지는 용접 공정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plate receiving portion may be formed on the cell frame on which the electrode terminals face. Accordingly, when the terminal plate is mounted on the terminal plate accommodating portion, the terminal plate and the electrode terminals of the battery cells can be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the subsequent welding process can be performed quickly.

상기 단자 플레이트 수납부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단자 플레이트 수납부는 단자 플레이트를 지면에 대해 상부로부터 삽입할 수 있도록 상단 개방 구조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다. 그에 따라, 작업자가 단자 플레이트를 위에서 아래로 이동시키는 간단한 작업만으로도, 단자 플레이트를 단자 플레이트 수납부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In the specific example of the terminal plate housing portion, the terminal plate housing portion may have a top opening structure so that the terminal plate can be inserted into the housing from above with respect to the ground. Accordingly, the terminal plate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terminal plate accommodating portion by a simple operation in which the operator moves the terminal plate from top to bottom.

구체적으로, 상기 단자 플레이트 수납부는 상단이 개방된 상태로 단자 플레이트의 두께에 대응하는 슬릿(slit) 형상으로 셀 프레임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슬릿 형상은 단자 플레이트에 대응하는 두께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단자 플레이트가 단자 플레이트 수납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별도의 유동 공간을 형성하지 않으며, 그에 따라 단자 플레이트가 흔들리지 않게 고정되어 용접 공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접촉 불량 문제를 완화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terminal plate receiving portion may be formed in the cell frame in a slit shape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terminal plate in a state that the top end thereof is opened. Since the slit shape has a thickness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plate, a separate space is not formed in a state where the terminal plate is mounted on the terminal plate accommodating portion, so that the terminal plate is fixed so as not to be shaken, The problem of poor contact can be alleviated.

상기 셀 프레임의 하나의 예에서, 상기 전극단자에 대한 용접을 위해 단자 플레이트의 일면의 적어도 일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단자 플레이트 수납부의 형상에 대응하는 용접용 개구가 셀 프레임의 외면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In one example of the cell frame, a welding opening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terminal plate accommodating portion is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cell frame so that at least a part of one surface of the terminal plate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for welding to the electrode terminal. As shown in FIG.

상기 용접용 개구의 하나의 실시예로서, 상기 용접용 개구는 단자 플레이트의 외주 형상에 대응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welding opening, the welding opening may have a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hape of the terminal plate.

구체적으로, 상기 용접용 개구는 단자 플레이트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단자 플레이트의 외주를 감싸는 연장 고정부가 단자 플레이트의 내측 단부를 따라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Specifically, the welding opening may be formed along the inner end of the terminal plate so as to sur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terminal plate so as to prevent the terminal plate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terminal plate.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용접용 개구의 내주 폭은 대응 부위에서 단자 플레이트의 외주 폭보다 연장 고정부의 크기만큼 상대적으로 작을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단자 플레이트는 상기 셀 프레임으로부터 이탈되지 않으며, 용접 공정 간 단자 플레이트가 정위치하여 전지셀과 단자 플레이트 간의 접촉 불량 문제를 완화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inner circumferential width of the welding opening may be relatively small by the size of the protruding portion that is longer than the circumferential width of the terminal plate at the corresponding portion. Accordingly, the terminal plate is not separated from the cell frame, and the terminal plate between the welding processes is properly positioned, thereby alleviating the problem of poor contact between the battery cell and the terminal plate.

상기 연장 고정부는 용접용 개구의 내주 폭을 기준으로 1% 내지 30% 크기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다. The extended portion may have a size ranging from 1% to 30% bas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width of the welding opening.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셀 프레임들은, 전지셀 적층체의 일측 단부가 장착되는 제 1 셀 프레임과, 타측 단부가 장착되는 제 2 셀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고, 상기 제 1 셀 프레임과 제 2 셀 프레임은 체결부재에 의해 상호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셀 프레임과 제 2 셀 프레임의 모서리에는 체결구들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상기 체결구들에 체결 부재가 삽입되어 제 1 셀 프레임과 제 2 셀 프레임이 결합되는 구조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ell frames may be composed of a first cell frame on which one end of the battery cell stack is mounted and a second cell frame on which the other end is mounted, And the second cell frame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by a fastening member. Specifically, fasteners may be formed at the corners of the first cell frame and the second cell frame, and fastening members may be inserted into the fasteners so that the first cell frame and the second cell frame are coupled to each other .

상기 제 1 셀 프레임과 제 2 셀 프레임 각각은 전지셀들의 일측 단부 및 타측 단부 각각에 대응하는 형상의 수납부가 내측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상기 전지셀들의 전극단자가 노출되기 위한 개구들이 외면에 천공되어 있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지셀들은 원통형 전지셀 일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상기 수납부의 형상은 원기둥 형상으로 홈이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개구들은 상기 전지셀의 전극단자의 형상에 대응하여 원형으로 천공되어 있을 수 있다.Each of the first cell frame and the second cell frame may be formed with a storage portion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battery cells, and openings for exposing the electrode terminals of the battery cells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It can be perforated. Specifically, the battery cells may be a cylindrical battery cell, and the shape of the receiving part may be a cylindrical shape having grooves. The openings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electrode terminal of the battery cell.

또한, 상기 제 1 셀 프레임 및 제 2 셀 프레임 각각의 수납부들 사이에는 냉매가 유동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관통로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상기 단자 플레이트에는 상기 셀 프레임들의 관통로에 대응하는 형상의 관통구가 천공되어 있을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관통로 및 관통구는 상호 연통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일면의 단자 플레이트의 관통구로부터 유입된 냉매가 제 1 셀 프레임의 관통로 및 제 2 셀 프레임의 관통구를 통과하여 타면의 단자 플레이트의 관통구로 배출되어 전지셀들을 냉각하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냉매의 유입 및 배출 방향은 반대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In addition, one or more through-passages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can flow may be formed between the receiving portions of the first cell frame and the second cell frame, and the terminal plate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Perforations may be perforated. Accordingly, the through-holes and the through-holes ma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the coolant introduced from the through-holes of the one terminal plate may pass through the through-holes of the first cell frame and the second cell frame, And the battery cells may be cooled. The flow direction of the refrigerant may be reversed.

상기 단자 플레이트들은, 단자 플레이트 삽입부에 장착된 상태로, 전지셀들의 전극단자들에 접속되어 있을 수 있다.The terminal plates may be connected to the electrode terminals of the battery cells while being mounted on the terminal plate inserting portion.

상기 단자 플레이트들은 적어도 둘 이상의 상기 전지셀들을 직렬, 또는 직렬 및 병렬로 연결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다.The terminal plates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t least two battery cells are connected in series or in series and in parallel.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단자 플레이트는,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전지셀들의 전극단자에 접촉되고 장방형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는 단자 연결부; 및A terminal connection portion contacting the electrode terminals of the battery cells and having a rectangular shape; And

상기 단자 연결부의 일변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고, 셀 프레임의 상단에서 BMS 방향으로 수직 절곡된 상태로 BMS에 연결되는 BMS 연결부;A BMS connection part formed to extend from one side of the terminal connection part and connected to the BMS in a state of being vertically bent in a BMS direction from an upper end of the cell frame;

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다.Lt; / RTI >

상기 단자 연결부는 전지셀들의 연결 구조에 따라 그 형상이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구체적으로, 병렬로 연결된 전지셀들의 수가 증가할수록 상기 단자 플레이트의 전극단자들과의 접촉면적은 확장될 수 있다.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shape of the terminal connection portion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battery cells. Specifically, as the number of battery cells connected in parallel increases, the contact area with the electrode terminals of the terminal plate can be enlarged.

또한, 상기 셀 프레임의 상단에는, BMS 연결부의 절곡을 가이드 하고 고정할 수 있도록, BMS 연결부에 대응하는 형상의 만입홈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따라, 전지모듈 제조 과정에서 단자 플레이트를 BMS에 연결하는 공정 중 발생할 수 있는 유동에 의한 공정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작업자가 용이하게 단자 플레이트를 절곡하고 BMS에 연결할 수 있다.In addition, a depressed groove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BMS connection portion may be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cell frame so as to guide and fix the bending of the BMS connection portion. According to this structure, it is possible to prevent a process failure due to the flow that may occur during the process of connecting the terminal plate to the BMS in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battery module, and the operator can easily bend the terminal plate and connect to the BMS have.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전지모듈을 포함하는 구조의 전지팩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battery pack having a structure including the battery module.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전지팩을 전원으로 포함하는 디바이스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device including the battery pack as a power source.

상기 디바이스는 전기 자전거,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또는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및 전력저장장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The device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 electric bicycle, an electric vehicle, a hybrid electric vehicle, or a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and a power storage device.

이러한 디바이스의 구조 및 제작 방법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The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such a device are well known in the art, so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erei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지모듈은, 한 쌍의 셀 프레임에 단자 플레이트들이 삽입되어 정위치 고정되는 단자 플레이트 수납부를 포함함으로써, 복수의 전지셀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공정에서 단자 플레이트들을 배열 및 용접하기 위한 별도의 지그를 배제할 수 있으므로, 제조 비용을 및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battery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terminal plate receiving portion in which the terminal plates are inserted and fixed in the pair of cell frames, so that in the process of electrically connecting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A separate jig for arranging and welding can be excluded, thereby reducing manufacturing cost and time.

도 1은 종래의 복수의 이차전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구성한 전지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지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전지모듈의 셀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전지모듈에서 단자 플레이트가 장착되기 전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A" 부위의 단자 플레이트 삽입부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2의 전지모듈의 단자 플레이트 삽입부의 전면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2의 전지모듈의 단자 플레이트의 확대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ttery module in which a plurality of conventional secondary batteries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cell frame of the battery module of FIG. 2;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attery module of FIG. 2 before the terminal plate is mounted;
5 is an enlarged view of the terminal plate inserting portion of the "A" portion of Fig. 4;
6 is an enlarged front view of the terminal plate inserting portion of the battery module of Fig. 2;
7 is an enlarged view of a terminal plate of the battery module of Fig. 2;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이는 본 발명의 더욱 용이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지모듈의 사시도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도 2의 셀 프레임의 사시도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cell frame of FIG.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전지모듈(100)은 전지셀 적층체(110), 제 1 셀 프레임(120), 제 2 셀 프레임(130), 단자 플레이트(140) 및 BMS(도시하지 않음)들로 이루어져 있다.2 and 3, the battery module 100 includes a battery cell stack 110, a first cell frame 120, a second cell frame 130, a terminal plate 140, and a BMS (not shown) ).

전지셀 적층체(110)는 원통형의 전지셀(111)들이 측면이 상호 인접한 상태로 배열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전지셀 적층체(110)는 세로 방향 크기 대비 가로 방향 크기가 상대적으로 큰 구조로 적층 및 배열되어 있다. BMS는 전지셀 적층체(110)의 상면 또는 일 측면에 장착될 수 있다.The battery cell stack body 110 has a structure in which cylindrical battery cells 111 are arranged in a state where their side surfaces are adjacent to each other. The battery cell stack body 110 is stacked and arranged in a structure having a relatively large siz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size. The BMS may be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r one side of the battery cell stack body 110.

제 1 셀 프레임(120) 및 제 2 셀 프레임(130)은 전지셀 적층체(110)의 양단에 각각 장착되며, 체결부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The first cell frame 120 and the second cell frame 130 are respectively mounted on both ends of the battery cell stack 110 and can be coupled to each other by a fastening member (not shown).

제 1 셀 프레임(120)과 제 2 셀 프레임(130) 각각은 전지셀(111)들의 일측 단부 및 타측 단부 각각에 대응하는 원기둥 형상의 수납부(121)가 내측에 형성되어 있고, 전지셀(111)들의 전극단자가 노출되기 위한 개구(122)들이 원형으로 외면에 천공되어 있다.Each of the first cell frame 120 and the second cell frame 130 is formed with a columnar storage portion 121 on the inner side corresponding to one end portion and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battery cells 111, Openings 122 through which the electrode terminals of the electrodes 111 are exposed are circularly perforated on the outer surface.

또한, 상기 제 1 셀 프레임(120) 및 제 2 셀 프레임(130)의 각각의 수납부들(121) 사이에는 냉매가 유동할 수 있는 관통로(124)가 형성되어 있고, 단자 플레이트(140)에는 관통로(124)에 대응하는 형상의 관통구(149)가 형성되어 있다. A through hole 124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can flow is formed between the respective receiving portions 121 of the first cell frame 120 and the second cell frame 130, A through hole 149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 124 is formed.

관통로(124) 및 관통구(149)는 상호 연통되어 있으며, 전면 단자 플레이트(140)의 관통구(149)로부터 유입된 냉매가 제 1 셀 프레임(120)의 관통로(124) 및 제 2 셀 프레임(130)의 관통로를 통과하고 후면 단자 플레이트(140)의 관통구(149)로 배출되어 전지셀(111)들을 냉각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The through holes 149 and the through holes 149 are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so that the refrigerant introduced from the through holes 149 of the front terminal plate 140 flows through the through holes 124 of the first cell frame 120 and the second And the battery cells 111 are cooled by passing through the through passages of the cell frame 130 and discharged to the through holes 149 of the rear terminal plate 140.

단자 플레이트들(140)은, 단자 플레이트 삽입부(150)에 장착된 상태로, 전지셀(111)들의 전극단자들에 접속되어 있다.The terminal plates 140 are connected to the electrode terminals of the battery cells 111 in a state of being mounted on the terminal plate inserting portion 150.

도 4에는 도 2의 전지모듈에서 단자 플레이트가 장착되기 전 상태의 사시도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도 4의 "A" 부위의 단자 플레이트 삽입부의 확대도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Fig. 4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before the terminal plate is mounted in the battery module of Fig. 2, and Fig. 5 schematically shows an enlarged view of the terminal plate inserting portion of the "A" .

도 4 및 도 5를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제 1 셀 프레임(120) 및 제 2 셀 프레임(130)의 상부에는 단자 플레이트(140)들이 삽입되어 정위치 고정되는 단자 플레이트 수납부(150)가 형성되어 있다. 단자 플레이트 수납부(150)는 전지셀(111)의 전극단자들이 대면하는 부위에 형성되어 있다.Referring to FIGS. 4 and 5 together with FIG. 1, a terminal plate accommodating portion 150 is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cell frame 120 and the second cell frame 130 by inserting the terminal plates 140, Respectively. The terminal plate housing portion 150 is formed at a portion where the electrode terminals of the battery cell 111 face each other.

또한, 단자 플레이트 수납부(150)는 단자 플레이트(140)를 상부로부터 삽입할 수 있도록 상단 개방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단자 플레이트(140)의 두께에 대응하는 슬릿(slit) 형상으로 제 1 셀 프레임(120) 및 제 2 셀 프레임(130)에 형성되어 있다.The terminal plate housing part 150 has a top opening structure for inserting the terminal plate 140 from the top and has a slit shape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terminal plate 140, 120 and the second cell frame 130, respectively.

도 6에는 도 2의 전지모듈의 단자 플레이트 삽입부의 전면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 Fig. 6 is an enlarged front view of the terminal plate inserting portion of the battery module of Fig.

도 6을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전지셀(111)의 전극단자(112)에 대한 용접을 위해 단자 플레이트(140)의 일면의 적어도 일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단자 플레이트 수납부(150)의 형상에 대응하는 용접용 개구(123)가 제 1 셀 프레임(120) 및 제 2 셀 프레임(130)의 외면에 형성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6 together with FIG. 1, a terminal plate accommodating portion 150 (see FIG. 1) is formed so that at least a part of one surface of the terminal plate 140 is exposed to the outside for welding the electrode terminal 112 of the battery cell 111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s of the first cell frame 120 and the second cell frame 130. As shown in Fig.

용접용 개구(123)는 단자 플레이트의 외주 형상에 대응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용접용 개구(123)는 단자 플레이트(14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단자 플레이트(140)의 외주를 감싸는 연장 고정부(125)가 단자 플레이트(140)의 내측 단부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The welding opening 123 has a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hape of the terminal plate. The welding opening 123 is formed along the inner end of the terminal plate 140 so as to sur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terminal plate 140 so as to prevent the terminal plate 140 from being separated.

용접용 개구(123)의 내주 폭(T1)은 대응 부위에서 단자 플레이트(140)의 외주 폭(T2)보다 연장 고정부(125)의 크기만큼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연장 고정부(125)는 용접용 개구(123)의 내주 폭(T1)을 기준으로 1%의 크기로 이루어져 있다.The inner circumferential width T1 of the welding opening 123 is formed to be relatively small by the size of the fixing portion 125 extending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width T2 of the terminal plate 140 at the corresponding portion. Specifically, the extended portion 125 has a size of 1% based on the inner peripheral width T1 of the opening 123 for welding.

도 7에는 도 2의 전지모듈의 단자 플레이트의 확대도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Fig. 7 schematically shows an enlarged view of the terminal plate of the battery module of Fig.

도 7을 도 2및 도3과 함께 참조하면, 단자 플레이트(140)는 단자 연결부(141)와 BMS 연결부(142)로 이루어져 있다. 단자 연결부(141)는 전지셀(111)들의 전극단자에 접촉되고, 장방형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고, BMS 연결부(142)는 단자 연결부(141)의 상변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고, 셀 프레임(120, 130)들의 상단에서 전지셀 적층체(110)의 상단에 위치할 수 있는 BMS 방향으로 수직 절곡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Referring to FIG. 7 together with FIG. 2 and FIG. 3, the terminal plate 140 includes a terminal connection part 141 and a BMS connection part 142. The terminal connection portion 141 is in contact with the electrode terminals of the battery cells 111 and has a rectangular shape. The BMS connection portion 142 extends from the upper side of the terminal connection portion 141, Which is located at the upper end of the battery cell stack body 110 at the upper end of the battery cell stack body 110. As shown in FIG.

셀 프레임(120, 130)들의 상단에는, BMS 연결부(142)의 절곡을 가이드 하고 고정할 수 있도록, BMS 연결부(142)에 대응하는 형상의 만입홈(129, 139)들이 형성되어 있다.The upper ends of the cell frames 120 and 130 are formed with indentation grooves 129 and 139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BMS connection portion 142 so as to guide and fix the bending of the BMS connection portion 142.

단자 연결부(141)의 전지셀(111)들의 전극단자에 대응하는 각각의 부위에는, 단자 연결부(141)와 전극단자들의 솔더링 또는 용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슬릿(143)들이 형성되어 있다.Slots 143 for facilitating soldering or welding of the terminal connection portion 141 and the electrode terminals are formed at respective portions corresponding to the electrode terminals of the battery cells 111 of the terminal connection portion 141.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dditions and substitu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and spirit of the invention as disclosed in the accompanying claims.

Claims (22)

복수의 전지셀들이 측면이 상호 인접한 상태로 배열되어 있는 전지셀 적층체;
상기 전지셀 적층체의 양측 단부들에 장착되고, 하기 단자 플레이트들이 삽입되어 정위치 고정되는 단자 플레이트 수납부를 포함하는 한 쌍의 셀 프레임들;
상기 전지셀들의 전극단자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단자 플레이트들; 및
상기 전지셀 적층체의 일 측면에 장착되어 있고, 단자 플레이트들에 연결되어 있는 BMS(Battery Management System);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A battery cell stack comprising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arranged side by side adjacent to each other;
A pair of cell frames mounted on both side ends of the battery cell stack body and including a terminal plate receiving portion into which the following terminal plates are inserted and fixed in position;
Terminal plates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electrode terminals of the battery cells; And
A BMS (Battery Management System) mounted on one side of the battery cell stack body and connected to the terminal plates;
The battery module compris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셀은 원통형 전지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The battery modul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attery cell is a cylindrical battery cel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셀 적층체는 세로 방향 크기 대비 가로 방향 크기가 상대적으로 큰 구조로 적층 및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2] The battery module of claim 1, wherein the battery cell stacks are stacked and arranged in a structure having a relatively large siz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플레이트 수납부는 전극단자들이 대면하는 셀 프레임 상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The battery modul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erminal plate housing part is formed on a cell frame on which the electrode terminals fa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플레이트 수납부는 단자 플레이트를 지면에 대해 상부로부터 삽입할 수 있도록 상단 개방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The battery modul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erminal plate receiving portion has a top opening structure so that the terminal plate can be inserted into the terminal plate from abov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플레이트 수납부는 상단이 개방된 상태로 단자 플레이트의 두께에 대응하는 슬릿(slit) 형상으로 셀 프레임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The battery module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terminal plate housing part is formed in the cell frame in a slit shape corresponding to a thickness of the terminal plate in a state that an upper end thereof is open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단자에 대한 용접을 위해 단자 플레이트의 일면의 적어도 일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단자 플레이트 수납부의 형상에 대응하는 용접용 개구가 셀 프레임의 외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The battery modul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welding opening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terminal plate housing portion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ell frame so that at least a part of one surface of the terminal plate is exposed to the outside for welding to the electrode terminal Wherein the battery module comprises: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용 개구는 단자 플레이트의 외주 형상에 대응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The battery module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welding opening has a structure corresponding to an outer shape of the terminal plat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용 개구는 단자 플레이트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단자 플레이트의 외주를 감싸는 연장 고정부가 단자 플레이트의 내측 단부를 따라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The battery module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welding opening is formed along an inner end of the terminal plate so as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terminal plate so as to prevent the terminal plate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terminal plate.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용 개구의 내주 폭은 대응 부위에서 단자 플레이트의 외주 폭보다 연장 고정부의 크기만큼 상대적으로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The battery module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the inner circumferential width of the welding opening is relatively smaller than the outer circumferential width of the terminal plate at the corresponding portion.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 고정부는 용접용 개구의 내주 폭을 기준으로 1% 내지 30%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The battery module according to claim 10, wherein the extending portion has a size of 1% to 30% based on an inner peripheral width of the opening for weld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셀 프레임들은, 전지셀 적층체의 일측 단부가 장착되는 제 1 셀 프레임과, 타측 단부가 장착되는 제 2 셀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제 1 셀 프레임과 제 2 셀 프레임은 체결부재에 의해 상호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The battery pack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ell frames comprise a first cell frame on which one end of the battery cell stack is mounted and a second cell frame on which the other end is mounted,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a fastening member.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셀 프레임과 제 2 셀 프레임 각각은 전지셀들의 일측 단부 및 타측 단부 각각에 대응하는 형상의 전지셀 수납부가 내측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지셀들의 전극단자가 노출되기 위한 개구들이 외면에 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The battery cell of claim 12, wherein each of the first cell frame and the second cell frame is formed with a battery cell receiving part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battery cells, Wherein the openings are perforated on the outer surface.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셀 프레임 및 제 2 셀 프레임 각각의 전지셀 수납부들 사이에는 냉매가 유동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관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The battery module according to claim 13, wherein at least one through-hole through which refrigerant can flow is formed between the battery cell receivers of each of the first cell frame and the second cell frame.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플레이트에는 셀 프레임의 관통로에 대응하는 형상의 관통구가 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15. The battery module according to claim 14, wherein the terminal plate is formed with a through-hole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through-passage of the cell fram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플레이트들은, 단자 플레이트 삽입부에 장착된 상태로, 전지셀들의 전극단자들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The battery modul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erminal plates are connected to the electrode terminals of the battery cells while being mounted on the terminal plate inserting portion.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플레이트들은 적어도 둘 이상의 상기 전지셀들을 직렬, 또는 직렬 및 병렬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The battery module according to claim 16, wherein the terminal plates connect at least two of the battery cells in series, or in series and in paralle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플레이트는,
상기 전지셀들의 전극단자에 접촉되고 장방형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는 단자 연결부; 및
상기 단자 연결부의 일변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고, 셀 프레임의 상단에서 BMS 방향으로 수직 절곡된 상태로 BMS에 연결되는 BMS 연결부;
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The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1,
A terminal connection portion contacting the electrode terminals of the battery cells and having a rectangular shape; And
A BMS connection part formed to extend from one side of the terminal connection part and connected to the BMS in a state of being vertically bent in a BMS direction from an upper end of the cell frame;
The battery module comprising: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셀 프레임의 상단에는, BMS 연결부의 절곡을 가이드 하고 고정할 수 있도록, BMS 연결부에 대응하는 형상의 만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The battery module according to claim 18, wherein a depressed groove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BMS connection part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cell frame so as to guide and fix the bending of the BMS connection part. 제 1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전지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A battery pack comprising the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9. 제 20 항에 따른 전지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디바이스.A device according to claim 20, comprising a battery pack.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전기 자전거,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또는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22. The device of claim 21, wherein the device is an electric bicycle, an electric vehicle, a hybrid electric vehicle, or a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KR1020150104266A 2015-07-23 2015-07-23 Battery Module for Structure of Easy Insertion and Mounting of Terminal Plate Active KR10206691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4266A KR102066913B1 (en) 2015-07-23 2015-07-23 Battery Module for Structure of Easy Insertion and Mounting of Terminal Pla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4266A KR102066913B1 (en) 2015-07-23 2015-07-23 Battery Module for Structure of Easy Insertion and Mounting of Terminal Plat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1518A true KR20170011518A (en) 2017-02-02
KR102066913B1 KR102066913B1 (en) 2020-02-11

Family

ID=58151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4266A Active KR102066913B1 (en) 2015-07-23 2015-07-23 Battery Module for Structure of Easy Insertion and Mounting of Terminal Plat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6913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64800B2 (en) 2017-10-02 2020-05-26 Andrew Lee Parcel delivery system and method
US12244033B2 (en) 2020-01-08 2025-03-04 Lg Energy Solution, Ltd. Battery pack, electronic device and vehicl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16366A (en) * 2010-03-31 2011-10-27 Sanyo Electric Co Ltd Battery pack
JP2014139867A (en) * 2011-05-10 2014-07-31 Sanyo Electric Co Ltd Battery pack
KR20150066960A (en) * 2013-12-09 2015-06-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Battery Module
KR20150076913A (en) * 2013-12-27 2015-07-07 주식회사 엘지화학 Battery Module Assembly Including Sub-Modules Insid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16366A (en) * 2010-03-31 2011-10-27 Sanyo Electric Co Ltd Battery pack
JP2014139867A (en) * 2011-05-10 2014-07-31 Sanyo Electric Co Ltd Battery pack
KR20150066960A (en) * 2013-12-09 2015-06-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Battery Module
KR20150076913A (en) * 2013-12-27 2015-07-07 주식회사 엘지화학 Battery Module Assembly Including Sub-Modules Insid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64800B2 (en) 2017-10-02 2020-05-26 Andrew Lee Parcel delivery system and method
US12244033B2 (en) 2020-01-08 2025-03-04 Lg Energy Solution, Ltd. Battery pack, electronic device and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6913B1 (en) 2020-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47389B2 (en) Cartridge frame with connectors for battery pack
KR101913786B1 (en) Battery Module for Direct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Terminal Plate and Battery Management System
JP5357853B2 (en) Battery module
US10625619B2 (en) Battery module, battery pack comprising battery module, and vehicle comprising battery pack
EP1812982B1 (en) Secondary battery pack having configuration of alternative orientation
US9997758B2 (en) Battery module having bus bar assembly and battery pack comprising the same
EP3848994A1 (en) Battery pack including battery pack frame capable of preventing welding failure, and press jig for manufacturing same
US11158895B2 (en) Battery module, battery pack including battery module, and vehicle including battery pack
EP2765632A1 (en) Battery module assembly having improved reliability and medium or large-sized battery pack including same
KR20060072922A (en) Battery cartridge of novel structure and open battery module containing it
JP5423067B2 (en) Battery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50031861A (en) Battery module
US20140356664A1 (en) Battery module
KR20120074425A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employed with the same
KR101797693B1 (en) Battery Pack Prepared Using Electrical Connecting Member for Battery Cell with Contact Bending Part
KR20190009340A (en) Battery module with cover assembly
KR101609232B1 (en) Battery Module Comprising Cartridge Having Coolant Flow Channel
KR20210094369A (en) Cell module assembl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160052018A (en) Battery Module Having Mounting Means of Bus Bar and External Input-Output Terminal
KR101810657B1 (en) Cartridge Having Fixing Bracket and Battery Module and Pack Including the Same
KR102389694B1 (en) Method For Battery Module Having Bead Formed at Frame Structure and Battery Module Using the Same
KR20170011518A (en) Battery Module for Structure of Easy Insertion and Mounting of Terminal Plate
KR101774017B1 (en) Cartridge for secondary battery and battery module including the same
KR101671483B1 (en) Battery Module having Cartridge Stacking Structure with Coolant Flow Channel
KR101717199B1 (en) Battery Cell Having Connecting Protrusion for Voltage Sensing and Battery Module Compri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72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012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5072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4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1029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1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1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2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2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