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0642A - 조명기구의 전원공급 커넥터 - Google Patents
조명기구의 전원공급 커넥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10642A KR20170010642A KR1020150102544A KR20150102544A KR20170010642A KR 20170010642 A KR20170010642 A KR 20170010642A KR 1020150102544 A KR1020150102544 A KR 1020150102544A KR 20150102544 A KR20150102544 A KR 20150102544A KR 20170010642 A KR20170010642 A KR 2017001064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wer supply
- connector
- power
- rail groove
- coupl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14—Rails or bus-bars constructed so that the counterparts can be connected thereto at any point along their length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14—Rails or bus-bars constructed so that the counterparts can be connected thereto at any point along their length
- H01R25/145—Details, e.g. end pieces or joints
Landscapes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조명기구의 전원공급 커넥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조명기구의 전원공급 커넥터는, 조명기구가 배치되는 대상물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 되며, 외부 전원과 연결되는 한 쌍의 전극이 구비된 베이스 전원 바디; 및 베이스 전원 바디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 되며, 한 쌍의 전극과 연결되어 조명기구로 전원을 공급하는 2 이상의 전원 커넥터를 포함하고, 베이스 전원 바디에는 길이 방향으로 레일홈이 마련되고, 2 이상의 전원 커텍터에는, 베이스 전원 바디 방향으로 돌출되어 결합 시 레일홈으로 삽입되는 돌출 로드와, 돌출 로드의 단부에 돌출 로드보다 큰 사이즈로 마련되는 체결 플랜지가 구비되고, 체결 플랜지는 레일홈보다 넓은 면적으로 마련되어 체결 플랜지를 레일홈의 길이 방향으로 먼저 삽입시킨 후 회전시켜야 레일홈에 2 이상의 전원 커넥터가 베이스 전원 바디에 결합 되며, 2 이상의 전원 커넥터는 레일홈에서 간격 조절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조명 기구의 전원공급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명기구의 위치에 대응되게 전원 커넥터의 간격 조절이 가능한 조명기구의 전원공급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원공급용 커넥터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과, 전원과 연결되는 콘센트형 접속단자와, 전원 공급이 필요한 각종 기기에 결합 되는 플러그형 접속단자로 구성되며, 전원은 콘센트형 접속단자와 전선을 통해서 플러그형 전원 단자에 결합된 기기로 공급된다.
특히 형광 램프가 장착되는 조명기기에서는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조명기기를 통해서 다른 조명기기로 전원을 공급하는 조명기기의 전원공급용 커넥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전원공급용 커넥터는 매장에 비치되어 상품을 진열하는 진열대에 사용되고 있다. 이 진열대에는 형광 램프가 장착된 조명기구가 마련되고, 이 조명기구는 서로 다른 위치에 복수로 마련된다.
상품 진열대에는 다양한 상품이 진열되고, 이러한 상품의 외관이 부각되어 보이도록 조명기구의 설치 위치도 고려해야 한다.
또한 상품 진열대에 다른 상품을 진열하는 경우 진열되는 상품의 특성에 맞게 조명기구의 설치 위치도 변경할 필요가 있다. 이전의 전원공급용 커넥터는 설치 위치가 가변 되지 않도록 마련되어 불편한 점이 있으므로 이에 대한 개선책이 요구된다.
전술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조명기구의 위치에 대응되게 전원 커넥터의 간격 조절이 가능하며, 결합 된 상태를 안정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조명기구의 전원공급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조명기구가 배치되는 대상물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 되며, 외부 전원과 연결되는 한 쌍의 전극이 구비된 베이스 전원 바디; 및 상기 베이스 전원 바디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 되며, 상기 한 쌍의 전극과 연결되어 상기 조명기구로 전원을 공급하는 2 이상의 전원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전원 바디에는 길이 방향으로 레일홈이 마련되고, 상기 2 이상의 전원 커텍터에는, 상기 베이스 전원 바디 방향으로 돌출되어 결합 시 상기 레일홈으로 삽입되는 돌출 로드와, 상기 돌출 로드의 단부에 상기 돌출 로드보다 큰 사이즈로 마련되는 체결 플랜지가 구비되고, 상기 체결 플랜지는 상기 레일홈보다 넓은 면적으로 마련되어 상기 체결 플랜지를 상기 레일홈의 길이 방향으로 먼저 삽입시킨 후 회전시켜야 상기 레일홈에 상기 2 이상의 전원 커넥터가 상기 베이스 전원 바디에 결합 되며, 상기 2 이상의 전원 커넥터는 상기 레일홈상에서 간격 조절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구의 전원공급 커넥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2 이상의 전원 커넥터는, 상기 돌출 로드와, 상기 체결 플랜지와, 상기 체결 플랜지에 마련되어 상기 한 쌍의 전극과 연결되는 한 쌍의 전원 단자가 구비된 커넥터 바디; 상기 커넥터 바디에 마련되어 상기 한 쌍의 전원 단자와 연결되는 전선 케이블; 및 상기 전선 케이블의 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조명기구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 되는 커넥터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전원 단자는 상기 체결 플랜지의 가장자리로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바디는, 상기 레일홈과 마주보는 면에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마련되는 스토퍼 돌기; 및 상기 커넥터 바디의 가장자리에 마련되어 상기 커넥터 바디의 회전 방향을 가이딩 하는 탈착 가이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전원 바디는, 상기 체결 플랜지의 가장 자리가 걸리는 단차 공간부가 마련된 상기 레일홈; 상기 레일홈의 양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끼움 맞춤 결합 되는 마감캡; 및 상기 한 쌍의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2 이상의 전원 커넥터가 베이스 전원 바디에 마련된 레일홈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 되고, 레일홈이 베이스 전원 바디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마련되므로 2 이상의 전원 커넥터 상호 간의 간격 조절이 가능하여 조명기구의 설치 위치를 편리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체결 플랜지가 레일홈 보다 넓은 면적으로 마련되어 레일홈의 길이 방향으로 먼저 삽입시킨 후 회전시켜야 레일홈에 2 이상의 전원 커넥터가 베이스 전원 바디에 결합 되므로 전원 커넥터의 결합 된 상태를 안정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의 전원공급 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원 커넥터 영역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커넥터 바디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마감캡이 레일홈으로부터 분리된 것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전원 커넥터를 베이스 전원 바디에 결합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의 사용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원 커넥터 영역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커넥터 바디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마감캡이 레일홈으로부터 분리된 것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전원 커넥터를 베이스 전원 바디에 결합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의 사용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의 전원공급 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원 커넥터 영역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커넥터 바디의 저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마감캡이 레일홈으로부터 분리된 것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전원 커넥터를 베이스 전원 바디에 결합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의 전원공급 커넥터(1)는, 조명기구(L)가 배치되는 진열대 등의 대상물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 되며 외부 전원과 연결되는 한 쌍의 전극(130)이 구비된 베이스 전원 바디(100)와, 베이스 전원 바디(1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 되며 한 쌍의 전극(130)과 연결되어 조명기구(L)로 전원을 공급하는 2 이상의 전원 커넥터(200)를 구비한다.
베이스 전원 바디(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방향으로 길게 마련되며, 상품을 진열하는 진열장 등에 탈착 가능하게 나사 또는 접착 부재를 이용하여 결합 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베이스 전원 바디(100)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전원 바디(10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레일홈(110)이 마련되고, 이 레일홈(110)의 양단부는 개방되어 있어, 마감캡(120)이 탈착 가능하게 끼움 맞춤 결합 될 수 있다.
또한 레일홈(110)의 양 가장자리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차 공간부(111)가 마련된다. 본 실시 예에서 단차 공간부(111)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전극(130)이 결합 되며, 전극(130)이 결합 되고 남은 공간에는 커넥터 바디(210)의 체결 플랜지(211a)와 전원 단자(212)가 삽입 결합 된다.
본 실시 예에서 전극(130)은 단차 공간부(111)에 억지 끼움 맞춤 방식으로 결합 될 수 있고, 전극(130)은 외부의 전원 공급부(미도시)에 연결되어 전기를 공급받고 공급받은 전기는 전극(130)에 접촉되는 전원 단자(212)로 공급된다. 전원 단자(212)는 커넥터 단자(2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커넥터 단자(230)는 조명기구(L)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므로 베이스 전원 바디(100)의 전극(130)으로 공급되는 전기는 최종적으로 조명기구(L)로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마감캡(12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전원 바디(100)의 양단부에 결합 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마감캡(120)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 돌출부(121)가 마련된다. 이 경사 돌출부(121)는 전극(130)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경사가 낮아지게 마련될 수 있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감캡(120)의 평평한 상면부에 여유 공간이 있도록 마련된다.
따라서 마감캡(120)은 경사 돌출부(121)가 마련되지 않은 영역을 통해 베이스 전원 바디(100)의 단차 공간부(111)에 삽입되어 끼움 맞춤 방식으로 결합 될 수 있다.
또한 마감캡(120)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홀(122)이 마련되고, 본 실시 예는 체결홀(122)에 나사를 체결시키고, 이 나사가 베이스 전원 바디(100)를 관통하도록 하여 베이스 전원 바디(100)를 진열대의 벽체에 결합시킬 수도 있다.
전원 커넥터(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전원 바디(100)에 결합 되어 베이스 전원 바디(100)의 전극(130)으로 공급되는 전기를 조명기구(L)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 전원 커넥터(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전원 바디(100)의 레일홈(110)에 결합 되며 전극(130)과 접촉되는 커넥터 바디(210)와, 커넥터 바디(210)에 마련되며 커넥터 바디(2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선(220)과, 전선(220)의 단부에 마련되어 조명기구(L)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 되는 커넥터 단자(230)를 포함한다.
전원 커넥터(200)의 커넥터 바디(210)는, 레일홈(110)에 결합 된 경우 베이스 전원 바디(100)의 전극(1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레일홈(110)에 결합이 해제된 경우 전극(130)과의 전기 연결이 차단된다.
본 실시 예에서 커넥터 바디(210)의 저면부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 플랜지(211a)를 갖는 돌출 로드(211)가 마련되고, 돌출 로드(211)는 레일홈(110)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며 체결 플랜지(211a)는 돌출 로드(211)보다 큰 사이즈로 마련된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체결 플랜지(211a)의 폭(커넥터 바디(210)의 길이 방향에 수직 되는 방향의 길이)은 레일홈(110)의 폭 보다 크게 마련된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바디(210)를 레일홈(110)에 수직 되게 배치한 후 도 5를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야 레일홈(11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커넥터 바디(210)가 레일홈(110)에 결합 된 후 커넥터 바디(210)를 시계 방향으로 의도적으로 회전시키지 않는 한 커넥터 바디(210)가 이탈되지 않으므로 결합 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체결 플랜지(211a)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한 쌍의 전원 단자(212)가 마련되고, 이 한 쌍의 전원 단자(212)는 커넥터 바디(210)가 레일홈(110)에 결합 되면 베이스 전원 바디(100)의 전극(130)과 접촉된다. 따라서 전극(130)으로 공급되는 전기는 한 쌍의 전원 단자(212)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커넥터 바디(210)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 돌기(213)와 탈착 가이더(214)가 마련된다.
스토퍼 돌기(21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착 가이더(214) 방향으로 경사가 높아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토퍼 돌기(213)를 경사지게 마련하면 커넥터 바디(210)가 레일홈(110)에 결합 된 후 스토퍼 돌기(213)가 레일홈(110)의 상측부 벽에 걸림 지지 되므로, 커넥터 바디(210)를 들어올리지 않는 한 커넥터 바디(210)는 분리되지 않으므로 결합 상태를 견고히 유지할 수 있다.
탈착 가이더(214)는, 커넥터 바디(210)의 회전 방향을 알려주는 것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바디(210)가 베이스 전원 바디(100)에 결합 된 경우 베이스 전원 바디(100)의 외벽에 위치된다.
따라서 커넥터 바디(210)를 레일홈(110)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들어올린 후 회전시키는 경우 탈착 가이더(214) 방향으로 커넥터 바디(210)를 회전시켜야 커넥터 바디(21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즉 탈착 가이더(214)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커넥터 바디(210)를 탈착 가이더(214) 방향으로 회전해야 하는 것으로 사용자는 인지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의미에서 커넥터 바디(210)의 탈착을 가이드 하는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전원 커넥터(200)의 전선(220)과 커넥터 단자(230)는 공지된 것으로 전선(220)의 내부 케이블은 전원 단자(2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커넥터 단자(230)는 조명기구(L)에 끼움 맞춤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도 6은 본 실시예의 사용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도 6을 참고하여 본 실시 예의 사용 상태를 간략히 설명한다.
본 실시 예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전원 커넥터(200)가 베이스 전원 바디(1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 되고, 베이스 전원 바디(100)가 길이 방향으로 길게 마련되므로 한 쌍의 전원 커넥터(200)의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조명기구(L)의 위치가 변경되더라도 이에 대응되게 한 쌍의 전원 커넥터(200)의 위치를 변경시켜 조명기구(L)에 전기를 공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2 이상의 전원 커넥터가 베이스 전원 바디에 마련된 레일홈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 되고, 레일홈이 베이스 전원 바디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마련되므로 2 이상의 전원 커넥터 상호 간의 간격 조절이 가능하여 조명기구의 설치 위치를 편리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체결 플랜지가 레일홈 보다 넓은 면적으로 마련되어 레일홈의 길이 방향으로 먼저 삽입시킨 후 회전시켜야 레일홈에 2 이상의 전원 커넥터가 베이스 전원 바디에 결합 되므로 전원 커넥터의 결합 된 상태를 안정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 조명기구의 전원공급 커넥터
100 : 베이스 전원 바디 110 : 레일홈
111 : 단차 공간부 120 : 마감캡
121 : 경사 돌출부 122 : 체결홀
130 : 전극 200 : 전원 커넥터
210 : 커넥터 바디 211 : 돌출 로드
211a : 체결 플랜지 212 : 전원 단자
213 : 스토퍼 돌기 214 : 탈착 가이더
220 : 전선 230 : 커넥터 단자
L : 조명기구
100 : 베이스 전원 바디 110 : 레일홈
111 : 단차 공간부 120 : 마감캡
121 : 경사 돌출부 122 : 체결홀
130 : 전극 200 : 전원 커넥터
210 : 커넥터 바디 211 : 돌출 로드
211a : 체결 플랜지 212 : 전원 단자
213 : 스토퍼 돌기 214 : 탈착 가이더
220 : 전선 230 : 커넥터 단자
L : 조명기구
Claims (1)
- 조명기구의 전원공급 커넥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02544A KR20170010642A (ko) | 2015-07-20 | 2015-07-20 | 조명기구의 전원공급 커넥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02544A KR20170010642A (ko) | 2015-07-20 | 2015-07-20 | 조명기구의 전원공급 커넥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10642A true KR20170010642A (ko) | 2017-02-01 |
Family
ID=58109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02544A Withdrawn KR20170010642A (ko) | 2015-07-20 | 2015-07-20 | 조명기구의 전원공급 커넥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70010642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59189A (ko) * | 2021-05-25 | 2022-12-02 | 주식회사 린노앤파트너스 | 조명 프레임용 전선 커넥터 |
KR20220169763A (ko) * | 2021-06-21 | 2022-12-28 | 최진태 | 전원 공급 키트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12939Y1 (ko) | 2006-01-20 | 2006-04-05 | 주식회사 필룩스 | 조명기기의 전원공급용 커넥터 |
-
2015
- 2015-07-20 KR KR1020150102544A patent/KR20170010642A/ko not_active Withdraw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12939Y1 (ko) | 2006-01-20 | 2006-04-05 | 주식회사 필룩스 | 조명기기의 전원공급용 커넥터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59189A (ko) * | 2021-05-25 | 2022-12-02 | 주식회사 린노앤파트너스 | 조명 프레임용 전선 커넥터 |
KR20220169763A (ko) * | 2021-06-21 | 2022-12-28 | 최진태 | 전원 공급 키트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537274B1 (en) | Modular power and connector system for lighting elements | |
US8220953B1 (en) | Modular power grid illumination system | |
KR101734673B1 (ko) | 레일 조명등 | |
JP2017520101A (ja) | 可動ソケット対応の電源用レールのための装置 | |
JP3157497U (ja) | 直管形led蛍光灯のダクトレールへの取付装置 | |
JP2012134040A (ja) | 陳列棚の照明器具 | |
JP4017588B2 (ja) |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 |
WO2018095144A1 (zh) | 一种支架连接结构及支架 | |
US11378239B2 (en) | Desk lamp | |
CN104776375A (zh) | 汽车及汽车灯具灯泡安装结构 | |
KR20170010642A (ko) | 조명기구의 전원공급 커넥터 | |
JP6414775B2 (ja) | 照明器具及び照明器具のリニューアル方法 | |
KR200480102Y1 (ko) | 조명기구의 전원공급 커넥터 | |
ES2750813T3 (es) | Dispositivo de soporte plano e iluminado | |
US20220273099A1 (en) | Shelf holding structure having attachable and detachable power supply | |
CN204026256U (zh) | 一种日光灯 | |
US20220003366A1 (en) | Dividable led bar and led lighting device including connector for the same | |
JP2014207126A (ja) | コンセント及びプラグ、並びに照明装置 | |
CN204268401U (zh) | 改进的led灯支架及包含该支架的led灯 | |
JP2016058171A (ja) | Led照明器具 | |
JP6414879B2 (ja) | Led照明器具用取り付け具、led照明ユニット、及びled照明器具 | |
KR101195845B1 (ko) | 엘이디 형광등용 소켓 | |
JP6049167B2 (ja) | 照明器具 | |
WO2019029391A1 (zh) | 灯具快速通电连接结构 | |
CN204141354U (zh) | 一种led灯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72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