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0602A - Infants' vocal development evaluation device, and system and method of auditory rehabilitation for infants - Google Patents
Infants' vocal development evaluation device, and system and method of auditory rehabilitation for infant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10602A KR20170010602A KR1020150102447A KR20150102447A KR20170010602A KR 20170010602 A KR20170010602 A KR 20170010602A KR 1020150102447 A KR1020150102447 A KR 1020150102447A KR 20150102447 A KR20150102447 A KR 20150102447A KR 20170010602 A KR20170010602 A KR 2017001060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vocal
- infants
- analyzing
- voic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2—Audiometering
- A61B5/121—Audiometering evaluating hearing capacity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09—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deaf pers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4—Constructional details of apparatus
- A61B2560/0487—Special user inputs or interfaces
- A61B2560/0493—Special user inputs or interfaces controlled by voi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Multimedia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유아의 발성 발달 검사 장치, 및 영유아의 청능 재활 시스템과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영유아의 발성 발달 검사 장치는, 영유아의 발성 단계에 따른 발성 종류를 제공하는 발성 종류 제공부와, 영유아의 월령 구간에 따라 발성 종류 제공부에서 제공된 발성 단계의 발화 수 및 비율을 분석하는 발성 단계 분석부와, 월령 구간에서 발성 단계의 발성 종류의 비율을 분석하는 발성 종류 분석부와, 및 발성 단계 분석부와 발성 종류 분석부에서 산출된 값들을 종합하여 영유아의 발성 발달 단계를 평가하는 종합 평가부를 포함함으로써, 영유아의 청력손실이 확인된 경우 청각 디바이스의 도움을 받아 빠르게 청능 훈련을 받을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ocal developmental examination apparatus for infants and young children, and a system and method for auditory rehabilitation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wherein the vocal developmental examination apparatus for infants and young children includes a vocal categorization apparatus for providing vocalization types according to vocalization stages of infants, A voicing step analyzing section for analyzing the number of utterances and the ratio of the uttering step provided in the utterance type providing section according to the lunar period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a voicing type analyzing section for analyzing the ratio of the voicing type in the voicing step in the lunar period; By incorporating the values calculated by the step analysis unit and the voicing type analysis unit and including the comprehensive evaluation unit for evaluating the developmental stage of infants and children, if the hearing loss of infants is confirmed, .
Description
본 발명은 영유아의 발성 발달 검사 장치, 및 영유아의 청능 재활 시스템과 방법에 관한 것으로, 영유아의 발성 발달을 정확하고 신뢰성 높게 평가함으로써, 특히 청각장애 영유아의 초기 의사소통 발달을 촉진하기 위한 영유아의 발성 발달 검사 장치, 및 영유아의 청능 재활 시스템과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ocal developmental test apparatus for infants and young children, and a system and method for auditory rehabilitation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by accurately and reliably evaluating the vocal development of infants and toddlers, Developmental testing apparatus, and a system and method for auditory rehabilitation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인간의 의사소통을 위한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요소가 대화이다. 대화는 타인의 의사가 담긴 말(단어나 문장)을 듣고 자신의 의사를 담은 말(단어나 문장)을 전달하는 것을 의미한다. 대화에서 자신의 의사를 담은 말을 하기 위해서는 타인의 의사가 담긴 말을 듣고 이해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효율적으로 대화를 하기 위해서는 듣기 능력이 필수적이다.The most basic and important element for human communication is dialogue. Dialogue means listening to the words (words or sentences) of another person's doctor and delivering the words (words or sentences) of his / her own doctors. In order to say what you say in the conversation, it is necessary to listen to and understand what others say. Therefore, listening ability is essential for effective conversation.
생후 1년 동안 영유아는 월령이 증가함에 따라 인지언어적인 측면과 말 산출 기관의 해부생리적인 측면에서 점진적인 발달을 이루어가면서 초기 발성(vocalization)도 생리적인 소리에서 여러 가지 자음과 모음이 포함된 복잡한 형태의 옹알이로 발전해 나아간다. 즉, 만 1세 미만의 영유아는 울음, 가성적 울음, 쿠잉, 옹알이와 같은 구어 발달의 단계를 거치면서 다양한 발성을 통해 타인과 의사소통을 하며, 또한 무의미적 발성에서 점차 의미적 발성으로 발달하여 모국어의 음운체계를 습득한다.During the first year of life, infants develop gradually in terms of cognitive linguistic aspects and the anatomical physiological aspects of the utterance organization as the age increases, and vocalization is also a complex form including physiological sounds and various consonants and vowels It grows out of the gnarly. In other words, infants younger than one year of age communicate with others through various voices through the stages of spoken language development such as crying, crying, coughing, and gnawing, and gradually develops from meaningless vocalization to meaningful vocalization Learn phonological system of native language.
이러한 영유아의 말소리 인지 단계는 청각장애 영유아의 경우도 따라야 하는 과정으로 청각장애 영유아의 청능 재활에 단계적이고 체계적으로 포함되어야 할 부분이다. 청각장애 영유아도 정상 영유아와 비슷한 발성 발달 과정을 거친다고 생각할 때 청각장애 영유아의 재활에 포함되어야 할 목록과 단계로 기준을 정하여 조기재활의 계획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The stage of speech recognition of infants and toddlers is a process that should be followed in the case of deaf and hearing impaired children. It should be included step by step and systematically in hearing rehabilitation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with hearing impairment. When deaf children are considered to have similar vocal developmental processes to those of normal infant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plan for early rehabilitation by establishing a list and stage to be included in the rehabilitation of deaf children.
상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본 발명은 영유아의 발성 발달을 정확하고 신뢰성 높게 평가함으로써, 특히 청각장애 영유아의 초기 의사소통 발달을 촉진하기 위한 영유아의 발성 발달 검사 장치, 및 영유아의 청능 재활 시스템과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evice for verifying the development of infants and todevelopment of early communication of babies with hearing impairment by accurately and reliably evaluating the development of babies' speech development, And a method thereof.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의 발성 발달 검사 장치는, 영유아의 발성 단계에 따른 발성 종류를 제공하는 발성 종류 제공부와, 영유아의 월령 구간에 따라 상기 발성 종류 제공부에서 제공된 발성 단계의 발화 수 및 비율을 분석하는 발성 단계 분석부와, 상기 월령 구간에서 상기 발성 단계의 발성 종류의 비율을 분석하는 발성 종류 분석부와, 및 상기 발성 단계 분석부와 상기 발성 종류 분석부에서 산출된 값들을 종합하여 영유아의 발성 발달 단계를 평가하는 종합 평가부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inspecting a vocal developmental test of a baby, comprising: a vocal categorizer for providing vocal categorization according to a vocal stage of an infant; A voicing step analyzing unit for analyzing the number and rate of utterances of the voicing step provided in the voicing step; a voicing type analyzing unit for analyzing a ratio of the voicing type of the voicing step in the moon period; And a comprehensive evaluation unit for evaluating the phonological development stage of the infant can be provided by synthesizing the values calculated by the category analysis unit.
영유아의 발성 발달 검사 장치는, 음소 산출 빈도를 확인하여 모음의 산출 빈도수와 비율을 분석하는 모음 산출 분석부와, 초성 및 종성의 자음 산출을 분석하여 조음 위치와 조음 방법에 따라 각각 자음을 분류하는 자음 산출 분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종합 평가부는 상기 모음 산출 분석부와 상기 자음 산출 분석부에서 산출된 값들을 더 포함하여 영유아의 발성 발달 단계를 평가할 수 있다.The vocal developmental test apparatus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includes a vowel calculation analyzing unit for analyzing the frequency and ratio of vowel calculation by confirming the frequency of phoneme calculation and analyzing the consonant calculation of the vowel and consonant to classify consonants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articulation and the method of articulation And the overall evaluation unit may further include the values calculated by the vowel calculation analyzer and the consonant calculation analyzer to evaluate the vocal development stage of the infant.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의 청능 재활 시스템은, 위에 기재된 영유아의 발성 발달 검사 장치와, 청각장애 영유아의 청각을 보조하기 위해 증폭도와 주파수 파라미터의 조정이 가능한 청각 보조 유닛과, 및 상기 발성 발달 검사 장치의 검사 결과에 따라 상기 청각 보조 유닛의 증폭도와 주파수 파라미터를 조정하는 제어 처리 유닛을 제공함으로써, 상술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The auditory rehabilitation system for infants and young childre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uditory developmental test apparatus for infants and children described above, a hearing aid unit capable of adjusting amplification and frequency parameters to assist hearing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with hearing impairment, The above object can be achieved by providing a control processing unit for adjusting the amplification degree and the frequency parameter of the hearing aid unit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examination of the developmental examination apparatus.
영유아의 청능 재활 시스템은 영유아의 월령 구간에 따라 발성 단계와 관련된 의성어 또는 동물이나 물체의 명칭으로 모델링하여 짧고 재미있게 자극을 제시함으로 발성 훈련을 제공하는 발성 훈련부를 구비한 훈련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uditory rehabilitation system of the infants and young children may further include a training unit having a vocal training unit for modeling the vocal tract or the name of an animal or an object related to the vocalization stage according to the ages of infants and to provide vocal training by presenting stimulation in a short and interesting manner .
본 발명의 또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의 청능 재활 방법은, 영유아의 발성 단계에 따른 발성 종류를 제공하는 발성 종류 제공 단계와, 영유아의 월령 구간에 따라 상기 발성 종류 단계에서 제공된 발성 단계를 이용하여 발화 수 및 비율을 분석하는 발성 단계 분석 단계와, 상기 월령 구간에서 상기 발성 단계의 발성 종류의 비율을 분석하는 발성 종류 분석 단계와, 및 상기 발성 단계 분석 단계와 상기 발성 종류 분석 단계에서 산출된 값들을 종합하여 영유아의 발성 발달 단계를 평가하는 종합 평가 단계를 제공함으로써, 상술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auditory rehabilitation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providing a vocalization kind according to a vocalization stage of an infant; And analyzing a ratio of the vocalization type of the vocalization phase in the lunar phase interval; and analyzing the values calculated in the vocalization phase analysis step and the vocalization type analysis step Thus, the above object can be achieved by providing a comprehensive evaluation step for evaluating the developmental stage of the infant ' s utterance.
상술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영유아의 청력손실이 확인된 경우 청각 디바이스의 도움을 받아 빠르게 청능 훈련을 받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hen the hearing loss of the infant is confirmed, the present invention can quickly receive the auditory training with the aid of the auditory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의 발성 발달 검사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의 청능 재활 시스템의 블록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발성 훈련부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어음 인지 훈련부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5는 한국어 자음과 모음의 주파수 특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각장애 영유아를 위한 청능 재활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vocal developmental test apparatus for infants and young childr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an auditory rehabilitation system for infants and young childre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peech training unit shown in FIG. 2 in more detail.
FIG. 4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peech recognition / training section shown in FIG. 2 in more detail,
5 is a diagram showing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Korean consonants and vowels.
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auditory rehabilitation for a hearing-impaired infa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영유아의 발성 발달 검사 장치, 및 영유아의 청능 재활 시스템과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참고로, 아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용어들은 각각의 구성 요소들의 기능을 고려하여 명명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an apparatus and method for audibly detecting development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and a method of auditory rehabilitation of infants and childr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의 발성 발달 검사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vocal developmental test apparatus for infants and young childr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유아의 발성 발달 검사 장치는 발성 종류 제공부(110), 발성 단계 분석부(120), 발성 종류 분석부(130), 모음 산출 분석부(140), 자음 산출 분석부(150) 및 종합 평가부(160)를 포함한다.1, the vocal developmental examination apparatus for infants and young children includes a
발성 종류 제공부(110)는 발성 단계에 따른 발성 종류의 기준을 제공하는 것으로, 발성 단계에 다른 이들 발성 종류가 표 1에 도시되어 있다. The
위의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성 종류 제공부(110)에서 제공하는 단계는 5단계로, 1단계는 1 ~ 2개월의 영유아로 반사적 발성 단계이며, 2단계는 1 ~ 4개월의 영유아로 발성 조절 단계이며, 3단계는 3 ~ 8개월의 영유아로 확장 단계이며, 4단계는 5 ~ 10개월의 영유아로 기본 음절 단계이며, 5단계는 9 ~ 18개월의 영유아로 상위 음절 단계 또는 발전된 음절 단계이다.As shown in Table 1 above, the steps provided by the vocalizing
발성 단계 분석부(120)는 월령 구간에 따른 발성 단계의 발화 수와 비율을 분석한다. 여기서 월령 구간은 1~2, 3~5, 6~8, 9~12, 13~15 및 16~18로 구분할 수 있다. 발성 종류 분석부(130)는 상기의 월령 구간에서 각 단계의 발성 종류의 비율을 분석한다. 예를 들어, 1단계의 발성 종류인 생리적인 소리(vegetative, VEG), 울음(crying Sound, CR), 불완전공명핵(quasi-reconant nuclei, Q) 및 Q2의 비율을 산출한다.The utterance
모음 산출 분석부(140)는 음소 산출 빈도를 확인하여 모음의 산출 빈도수와 비율을 분석한다. 1~2개월의 영유아는 완전한 모음으로 분류되기 어려우므로 제외할 수 있다. The vowel
모음은 모음의 산출연령과 빈도에 의거하여 핵심모음, /ㅣ/, /ㅏ/, /ㅡ/, /ㅔ/,/ㅓ/ 등을 의성어, 예를 들어, 삐뽀삐뽀, 맘마, 음메, 빵빵 또는 멍멍 등을 이용하여 모델링을 할 수 있다. 모음은 크게 단모음과 이중모음으로 나뉜다. 단모음이란 소리를 낼 때 입술이나 혀가 움직이지 않는 모음을 말하고, /ㅏ/, /ㅐ/, /ㅓ/, /ㅔ/, /ㅗ/, /ㅚ/, /ㅜ/, /ㅟ/, /ㅡ/, /ㅣ/가 이에 속한다. 이중 모음이란 소리를 낼 때, 입술이나 혀가 움직이는 모음을 말하며, /ㅑ/, /ㅕ/, /ㅛ/, /ㅠ/, /ㅒ/, /ㅖ/, /ㅘ/, /ㅝ/, /ㅙ/, /ㅞ/, /ㅢ/가 이에 속한다. 단모음은 다시, 발성이 되는 시점의 혀의 위치에 따라 전설모음인 /ㅐ/, /ㅔ/, /ㅚ/, /ㅟ/, /ㅣ/와 중설모음인 /ㅏ/, /ㅓ/, /ㅡ/와 후설모음인 /ㅗ/, /ㅜ/로 나뉘고, 입술 모양에 따라 원순모음인 /ㅗ/, /ㅚ/, /ㅜ/, /ㅟ/와 평순모음인 /ㅏ/, /ㅐ/, /ㅓ/, /ㅔ/, /ㅡ/, /ㅣ/로 나뉘며, 혀의 높이에 따라 고모음인 /ㅜ/, /ㅟ/, /ㅡ/, /ㅣ/와, 중모음인 /ㅓ/, /ㅔ/, /ㅗ/, /ㅚ/, 저모음인/ㅏ/, /ㅐ/로 나뉜다.A vowel is a collection of vowels based on the age and frequency of vowels, such as a key vowel, / ㅣ /, / a /, / ㅡ /, / ㅔ /, / The modeling can be done using a bird. Vowels are broadly divided into short vowels and double vowels. A short vowel refers to a vowel that does not move lips or tongues when making a sound, and / vowel / vowel /, vowel / vowel / vowel / vowel / It belongs to ㅡ /, / ㅣ /. A vowel is a vowel with a lips or tongue moving when it makes a sound, and / vowel, / vowel, vowel, vowel, vowel, vowel, vowel, ㅙ /, / ㅞ /, and / ㅢ /. Again, the short vowels are again voic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tongue at the point of vocalization, and the vowels / /, /, /, / /, and / And / / /, and / / /,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lips, and / / /, / ㅐ /, and /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tongue, the vowels / / / / / /, / / / / / /, and the middle chord / / ㅓ /, / ㅔ /, / ㅗ /, / ㅚ /, and the lower vowel / a /, / ㅐ /.
자음 산출 분석부(150)는 초성 및 종성의 자음 산출을 분석하여 조음 위치와 조음 방법에 따라 각각 분류한다. The
자음은 조음방법에 따라 파열음, 파찰음, 마찰음, 비음, 유음으로 나뉘며, 파열음에는 /ㄱ/, /ㄲ/, /ㄷ/, /ㄸ/, /ㅂ/, /ㅃ/, /ㅋ/, /ㅌ/, /ㅍ/, 파찰음에는 /ㅈ/, /ㅉ/, /ㅊ/, 마찰음에는 /ㅅ/, /ㅆ/, /ㅎ/, 비음에는 /ㄴ/, /ㅁ/, /ㅇ/, 유음에는 /ㄹ/이 속한다. 또한, 조음위치에 따라 양순음, 치조음, 경구개음, 연구개음, 후음으로 나뉘는데, 양순음에는 /ㅁ/, /ㅂ/, /ㅃ/, /ㅍ/, 치조음에는 /ㄴ/, /ㄷ/, /ㄹ/, /ㄸ/, /ㅌ/, /ㅅ/, /ㅆ/, 경구개음에는 /ㅈ/, /ㅉ/, /ㅊ/, 연구개음에는 /ㄱ/, /ㄲ/, /ㅇ/, /ㅋ/, 후음에는 /ㅎ/이 속한다. 3~5개월 월령 구간에서 /ㄱ/, /ㅁ/, /ㅂ/, /ㅇ/, /ㅎ/, 6~8개월 월령 구간에서 /ㄷ/, /ㄸ/, /ㅃ/, 9~12개월 월령 구간에서는 /ㄴ/, /ㅈ/, 13~15개월에 /ㄲ/, /ㅌ/, /ㅍ/가 나타났으며, 16~18개월 월령구간에서는 /ㄹ/, /ㅅ/, /ㅆ/, /ㅊ/, /ㅋ/과 같은 다양한 자음들이 산출되기 시작하므로 그에 따른 순위로 자음 발성 모델링을 통하여 자음(consoanant, C)과 모음(vowel, V)조합의 CV 혹은 CVCV로 구성된 표준음절이나 VC 혹은 CVC로 구성된 상위음절등을 모델링할 수 있다. Consonants are divided into plosive sounds, phonemes, fricatives, nasal sounds, and voices according to the method of articulation, and the plosive sounds include / / /, / ㄲ /, / /, ㄸ /, / / /, ㅃ /, / / / / /, /, /, / / /, / / /, / / / / For the fricatives, / / for the fricatives, / for the nonsense / D / belongs.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articulation, it is divided into two parts, ie, chin, chin, pitch, and hin, and the chin is composed of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Hh / belongs. In the 3 to 5 month age range, / /, /, /, / /, /, /, /, / In the age range of 16 ~ 18 months, / / / / / / / /, / / /, / / /, / , Vowel, and vowel (CV) or consonant vowel (V) through the consonant utterance modeling in order of the number of consonants such as / Or an upper syllable composed of CVC.
종합 평가부(160)는 발성 단계 분석부(120), 발성 종류 분석부(130), 모음 산출 분석부(140), 자음 산출 분석부(150)에서 산출된 값들을 종합하여 영유아의 발성 발달 단계를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The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의 청능 재활 시스템의 블록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2 is a block diagram of an auditory rehabilitation system for infants and young childre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유아의 청능 재활 시스템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210), 검사 유닛(220), 저장 유닛(230), 청각 보조 유닛(240), 훈련 유닛(250), 교육 유닛(260) 및 제어 처리 유닛(270)을 포함한다.2, the auditory rehabilitation system for infants and young children includes a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210)은 사용자 입력부(212), 스피커부(214) 및 디스플레이부(216)를 포함한다. The
사용자 입력부(212)는 피검사자의 정보를 입력하고 또한 피검사자가 여러 가지 검사 또는 훈련 상황에 따른 대답 등의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구성이며, 스피커부(214)는 검사 유닛(220)에서의 검사 절차 또는 훈련 유닛(250)에서의 훈련 절차에 따라 소리를 출력하기 위한 구성이며, 그리고 디스플레이부(216)는 진행되는 절차의 정보 및 훈련 유닛(250)에서의 훈련 절차와 연동하여 화면을 표시하는 구성이다.The
검사 유닛(220)은 영유아의 청각 보조 디바이스 착용의 필요 여부를 평가하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영유아의 발성 발달 검사 장치를 발성 발달 검사부(222)로 포함하는 것 이외에도 또한, 청능 훈련에 따른 듣기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순음 청력 검사부(224), 청력 유발 전위 검사부(226) 및 어음 청력 검사부(228)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o including the infant ' s vocal development examination apparatus as shown in Fig. 1 in the vocal
순음 청력 검사부(224)는 소리를 들을 수 있는 능력을 검사하기 위한 것으로, 소정의 주파수들에서 소리를 지각하는 임계치를 검사하기 위한 구성이다. 순음 청력 검사부(224)는, 일반적으로 옥타브 간격의 6개의 주파수들, 즉, 0.25, 0.5, 1, 2, 4, 8 kHz와, 좀 더 자세한 반옥타브 간격의 8개의 주파수들, 즉, 0.25, 0.5, 1, 2, 3, 4, 6, 8 kHz에서 순음 청력의 임계치를 측정할 수 있다.The pure tone
청력 유발 전위 검사부(226)는 청신경의 전기생리적인 활동을 기록을 통해 검사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신생아나 순음 청력 검사를 할 수 없는 나이가 어린 영유아에 이용될 수 있다.The auditory evoked potentials (226) are used to record the electrophysiological activity of the auditory nerve record, and may be used for infants and young children, especially those who are unable to conduct neonatal or pure tone audiometry.
어음 청력 검사부(228)는 말소리를 듣는 능력을 검사하기 위한 것으로, 단어(일음절어, 이음절어) 혹은 문장으로 검사의 자극음을 만들 수 있다. 어음 청력 검사부(228)에는 검사하고자 하는 문장 세트가 마련될 수 있는데, 한국등록특허 제1420057호의 말 인지 검사의 구성이 본 실시예의 일예로 참고될 수 있다. The
저장 유닛(230)은 피검사자의 정보와 함께 검사 유닛(220)의 검사에 따른 피검사자의 듣기 능력 평가가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로, 청각 보조 유닛(240)의 파라미터들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 유무선 인터페이스 등을 통해 훈련 유닛(250)의 훈련 결과 및 교육 유닛(260)의 교육 결과 등이 저장될 수 있다. The
청각 보조 유닛(240)은 영유아의 난청을 해소하기 위해 영유아가 착용하는 보조기기의 유닛으로, 보청기 및 인공 와우 등을 포함한다.
훈련 유닛(250)은 영유아의 청능 훈련을 위한 유닛으로, 특히 영유아가 청각 보조 디바이스를 착용한 경우에 청각 보조 디바이스 착용자의 성공적인 청능 재활을 위해 청능 훈련을 시키기 위한 것으로, 발성 훈련부(252), 어음 인지 훈련부(254) 및 문장 인지 훈련부(256)를 포함한다. The
발성 훈련부(252)는 영유아의 월령 구간에 따라 발성 단계와 관련된 의성어들을 짧고 재미있게 자극을 제시하고 모델링을 유도하는 훈련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발성 훈련부(252)는 1분간 5초마다 12회의 목표 발성을 제시하고 휴지기간을 두어 영유아가 발성을 모방할 기회를 제시하고, 1분간의 모델링을 12회 제시하는 것을 한 세션으로 하루에 적어도 5회의 세션을 놀이와 함께 재미있게 제시한다. 그리고 유도된 모방과 발성이 안정되도록 다음 세션과 다른 날의 재활 세션에서 반복 시행하고 확인하여 발성의 고착화를 유도할 수 있다. The
어음 인지 훈련부(254)는 영유아에게 어음 인지를 훈련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영유아가 청각 보조 디바이스를 착용한 후 어음 인지 훈련을 받기 위한 구성이다. The Speech Cognition Training Unit (254) is intended to train the infant to perceive speech, and in particular, is designed to receive speech training after the infant has worn a hearing aid device.
문장 인지 훈련부(256)는 영유아에게 문장 인지를 훈련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청각 보조 디바이스 착용자에게 문장 인지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문장 인지 훈련부(256)는 원문장에 다양한 소음(백색 소음, 다화자 소음 등)을 섞어 문장을 들려줌으로써 소음 상황에서도 말소리를 구분하는 능력을 기르게 할 수 있다. The sentence cognition training unit (256) is for training the infant to recognize the sentence, and in particular, to improve the sentence recognition ability to the hearing aid wearer. For this purpose, the sentence recognition / training unit (256) can generate a variety of sounds (white noise, multi-speaker noise, etc.) in the original sentence so as to enhance the ability to distinguish speech even in a noisy situation.
교육 유닛(260)은 청각장애 영유아에게 예를 들어 인공와우가 이식되었을 때 인공와우의 이식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교육하고 또한 영유아 보호자들이 영유아와 의사소통 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교육하기 위한 시청각 영상을 포함한다. 교육 유닛(260)을 통해 영유아과 가족들은 시청각 영상 등을 시청함으로써 인공와우에 대한 만족도 및 재활의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다.The
제어 처리 유닛(270)은 검사 유닛(220)의 검사에 따라 영유아가 청각 보조 유닛(240)을 착용하여야 할 경우 검사 결과에 따라 청각 보조 유닛(240)의 파라미터들을 조정하도록 제어하는 유닛이며, 또한 훈련 유닛(250) 및 교육 유닛(260) 등의 동작을 검사 유닛(220)과 연동하여 처리하기 위한 유닛이다. The
위에서 청각 보조 유닛(240)이 보청기 및 인공 와우 등을 포함하고 있다고 설명한 바와 같이, 도 2의 훈련 유닛(250)과 교육 유닛(260)은 각각 별도의 디바이스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히 훈련 유닛(250)은 컴퓨터 혹은 모바일 디바이스일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발성 훈련부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도시하는 도면이다.3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peech training unit shown in FIG. 2 in more detail.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성 훈련부는 월령별 발성 제시 파트(310), 발성 모델링 파트(320) 및 반복적 훈련 파트(33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vocal training section may include a lunar
월령별 발성 제시 파트(310)는 위에 표 1에 기재된 발성 단계에 따른 발성 종류의 기준에 다른 발성을 제시한다. 발성 모델링 파트는 발성 종류와 관련된 의성어들을 짧고 재미있게 모델링하여 제시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ㅣ/, /ㅏ/, /ㅡ/, /ㅔ/,/ㅓ/ 등의 핵심모음을 강조하기 위해, 삐뽀삐뽀, 맘마, 음메, 빵빵 또는 멍멍 등의 의성어를 제시할 수 있다. 반복적 훈련 파트(330)는 영유아의 월령 구간에 따라 실제로 훈련을 시키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1분간 5초마다 12회의 목표 발성을 제시하고 휴지기간을 두어 영유아가 발성을 모방할 기회를 제시하고, 또한 발성이 고착화 되도록 반복적인 훈련을 제시할 수 있다.The lunar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어음 인지 훈련부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5는 한국어 자음과 모음의 주파수 특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FIG. 4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peech recognition / training unit shown in FIG. 2 in more detail, and FIG. 5 is a diagram showing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Korean consonants and vowels.
어음 인지 훈련부(254)는 영유아에게 어음 인지를 훈련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영유아가 인공와우를 이식받은 후 어음 인지 훈련을 받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해, 어음 인지 훈련부(254)는 어음을 들려주고 들었는지를 훈련하는 탐지(detection) 훈련 파트(410)와, 서로 다른 어음을 들려주고 비교 및 구분하는 변별(discrimination) 훈련 파트(420)와, 그리고 들은 소리를 정확히 듣고 이해했는지를 훈련하는 확인(identification) 훈련 파트(430)와 이해(comprehension) 훈련 파트(440)를 포함한다. The Speech Cognition Training Department (254) is designed to train the infant to perceive speech, and in particular to receive training for infants after they have implanted cochlear implants. To this end, the speech
한국어 자음과 모음의 주파수 특성이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도 5에서 알 수 있듯이, 어음별 주파수 분포가 다르다. 예를 들어, 입 모양 및 발음 위치에 따라 포먼트(formant)의 분포가 달라지는 모음과, 저주파수, 중주파수, 고주파수 대역의 에너지를 갖는 자음으로 구분될 수 있다.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Korean consonants and vowels are shown in Fig. As can be seen from Fig. 5, the distribution of frequencies by note differs. For example, it can be divided into a vowel in which the distribution of the formant varies depending on the mouth shape and the pronunciation position, and a consonant having low frequency, middle frequency, and high frequency band energy.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어음 인지 훈련을 위해, 훈련음으로 19개의 자음(ㄱ, ㄲ, ㅋ, ㄴ, ㄷ, ㄸ, ㅌ, ㄹ, ㅁ, ㅂ, ㅃ, ㅍ, ㅅ, ㅆ, ㅇ, ㅈ, ㅉ, ㅊ, ㅎ)과 21개의 모음(ㅏ, ㅐ, ㅑ, ㅒ, ㅓ, ㅔ, ㅕ, ㅖ, ㅗ, ㅘ, ㅙ, ㅚ, ㅛ, ㅜ, ㅝ, ㅞ, ㅟ, ㅠ, ㅡ, ㅢ, ㅣ)과 7개의 종성자음(ㄱ, ㄴ, ㄹ, ㅁ, ㅂ, ㅅ,ㆁ)과 무종성인 경우까지 8개의 종성을 결합하여 가능한 총 3,129(19 x 21 x 8)개의 단음절어와 어두 초성에 목표 자음 19개가 포함된 매우 다양한 다음절어 단어 목록을 만들 수 있다. 이러한 단어들 중 발달시기에 맞고 해당연령에서 주로 사용되는 단어를 사용한다. Accordingly, for the speech recognition train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ining consonant is composed of 19 consonants (a, ㄲ,,,,, ㄸ, ㄸ, ㄹ, ㅁ,,, ㅃ, ㅍ, ㅅ, ㅆ, ㅉ, ㅊ, ㅎ) and 21 vowels (a, ㅐ, ㅑ, ㅒ, ㅢ, ㅔ, ㅕ, ㅖ, ㅗ, ㅘ, ㅙ, ㅚ, ㅛ, ㅜ, ㅝ, ㅞ, ㅟ, ㅠ, ㅡ, ㅢ , ㅣ) and 7 consonant consonants (ㄱ, ㄴ, ㄷ, ㅁ, ㅅ, ㆁ) and a total of 3,129 (19 x 21 x 8) You can create a very diverse list of diacritical words with 19 target consonants. Among these words, we use words that are appropriate for the developmental stage and are mainly used in the age group.
어음 인지 훈련부(254)는 예를 들어, 자음 ㄱ의 인지가 현저하게 떨어진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ㄱ, ㄲ, ㅋ과 모음을 결합하여 다양하게 훈련함으로써 이들 주파수 대역에 대한 인지 능력을 증가시키도록 프로그램될 수 있다.The speech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각장애 영유아를 위한 청능 재활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auditory rehabilitation for a hearing-impaired infa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검사 유닛(220)은 영유아에 대해 발성 발달 검사와 함께 순음 청력 검사 또는 청력 유발 전위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S602). 제어 처리 유닛(270)은 검사 유닛(220)의 검사 결과에 따라 피검사자가 보청기 등의 청각 보조 디바이스의 착용이 필요한지를 확인하고(S604), 피검사자가 청각 보조 디바이스를 착용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청각 보조 디바이스의 주파수 파라미터와 증폭도를 조정하도록 제어한다(S606). 또한, 교육 유닛(260)은 청각 보조 디바이스 착용자의 청능 재활의 효과 등을 높이기 위해 청각 보조 디바이스 사용법에 대한 부모 교육용 시청각 영상 등을 보여줄 수 있다(S608).The
발성 훈련부(252)는 영유아의 월령 구간에 따라 발성 단계와 관련된 의성어들을 짧고 재미있게 자극을 제시하고 모델링을 유도하는 발성 훈련을 실시한다(S610). 발성 발달 검사부(222)는 발성 훈련 결과를 평가하고 영유아의 월령 구간별 발성 단계를 확인한다(S612). In step S610, the
피검사자가 보청기 등의 청각 보조 디바이스의 착용자이면(S614), 제어 처리 유닛(270)은 검사 유닛(220)의 발성 훈련에 따른 검사 결과에 따라 청각 보조 디바이스의 주파수 파라미터와 증폭도를 조정하도록 제어한다(S616).If the examinee is a wearer of a hearing assistive device such as a hearing aid (S614), the
훈련 유닛(250)의 어음 인지 훈련부(254)는 청각장애를 겪고 있는 영유아에게 어음 인지 훈련을 실시한다(S618). 어음 인지 훈련부(254)는 19개의 자음(ㄱ, ㄲ, ㅋ, ㄴ, ㄷ, ㄸ, ㅌ, ㄹ, ㅁ, ㅂ, ㅃ, ㅍ, ㅅ, ㅆ, ㅇ, ㅈ, ㅉ, ㅊ, ㅎ)과 21개의 모음(ㅏ, ㅐ, ㅑ, ㅒ, ㅓ, ㅔ, ㅕ, ㅖ, ㅗ, ㅘ, ㅙ, ㅚ, ㅛ, ㅜ, ㅝ, ㅞ, ㅟ, ㅠ, ㅡ, ㅢ, ㅣ)과 7개의 종성자음(ㄱ, ㄴ, ㄹ, ㅁ, ㅂ, ㅅ,ㆁ)과 무종성인 경우까지 8개의 종성을 결합하여 가능한 총 3,129(19 x 21 x 8)개의 단음절어와 어두 초성에 목표 자음 19개가 포함된 매우 다양한 다음절어 단어 목록을 만들 수 있다. 이러한 단어들 중 발달시기에 맞고 해당연령에서 주로 사용되는 단어를 훈련음을 포함한다. 또한, 어음 인지 훈련부(254)는 예를 들어, 자음 ㄱ의 인지가 현저하게 떨어진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ㄱ, ㄲ, ㅋ과 다양한 모음을 결합하여 체계적으로 훈련하게 함으로써 이들 주파수 대역의 인지 능력을 향상시키도록 프로그램이 될 수 있다.The speech
검사 유닛(220)은 피검사자의 어음 인지 훈련에 따른 훈련 결과를 검사할 수 있다(S620). 이를 위해, 어음 청력 검사부(228)는 피검사자의 어음 인지 능력을 검사하기 위해, 단어 또는 문장을 이용하여 검사음을 만들어 출력하고 사용자 입력부(212)를 통해 입력된 결과로부터 정답 여부를 확인한다. The
피검사자가 보청기 등의 청각 보조 디바이스의 착용자이면(S622), 제어 처리 유닛(270)은 검사 유닛(220)의 어음 인지 훈련에 따른 검사 결과에 따라 청각 보조 디바이스의 주파수 파라미터와 증폭도를 조정하도록 제어한다(S624).If the examinee is a wearer of a hearing assistive device such as a hearing aid (S622), the
제어 처리 유닛(270)은 검사 유닛(220)의 최종 검사 결과로부터 최종 청각 인지 기능을 평가하고(S626), 지속적 훈련이 필요하면(S628) 발성 훈련을 수행하거나(S610) 또는 어음인지 훈련을 수행할 수 있다(S618).The
110: 발성 종류 제공부
120: 발성 단계 분석부
130: 발성 종류 분석부
140: 모음 산출 분석부
150: 자음 산출 분석부
160: 종합 평가부(160)
210: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
212: 사용자 입력부
214: 스피커부
216: 디스플레이부
220: 검사 유닛
222: 발성 발달 검사부
224: 순음 청력 검사부
226: 청력 유발 전위 검사부
228: 어음 청력 검사부
230: 저장 유닛
240: 청각 보조 유닛
250: 훈련 유닛
252: 발성 훈련부
254: 어음 인지 훈련부
256: 문장 인지 훈련부
260: 교육 유닛
270: 제어 처리 유닛
310: 월령별 발성 제시 파트
320: 발성 모델링 파트
330: 반복적 훈련 파트
410: 탐지 훈련 파트
420: 변별 훈련 파트
430: 확인 훈련 파트
440: 이해 훈련 파트110: vocalization type providing unit 120: vocalization step analyzing unit
130: vocalization type analysis unit 140: vowel calculation analysis unit
150: Consonant calculation section 160: Overall evaluation section 160:
210: user interface unit 212: user input
214: speaker unit 216: display unit
220: inspection unit 222: vocal development inspection unit
224: pure tone auditory check part 226: auditory evoked potential test part
228: Audiogram auditory part 230: Storage unit
240: Hearing aid unit 250: Training unit
252: vocal training unit 254: speech recognition training unit
256: Sentence awareness training unit 260: Training unit
270: control processing unit 310:
320: Speech modeling part 330: Repetitive training part
410: Detection Training Part 420: Discrimination Training Part
430: OK Training Part 440: Understanding Training Part
Claims (7)
영유아의 월령 구간에 따라 상기 발성 종류 제공부에서 제공된 발성 단계의 발화 수 및 비율을 분석하는 발성 단계 분석부와,
상기 월령 구간에서 상기 발성 단계의 발성 종류의 비율을 분석하는 발성 종류 분석부와, 및
상기 발성 단계 분석부와 상기 발성 종류 분석부에서 산출된 값들을 종합하여 영유아의 발성 발달 단계를 평가하는 종합 평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의 발성 발달 검사 장치.A vocal categorizer for providing a vocal categorization according to a vocal stage of an infant,
An utterance phase analyzer for analyzing the utterance number and the utterance rate of the utterance uttered in the utterance type utterer according to the age range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A voicing type analyzing unit for analyzing a ratio of the voicing type of the voicing step in the moon period;
And an overall evaluation unit for evaluating a vocal development stage of the infant by synthesizing the values calculated by the vocalization stage analysis unit and the vocalization type analysis unit.
음소 산출 빈도를 확인하여 모음의 산출 빈도수와 비율을 분석하는 모음 산출 분석부와,
초성 및 종성의 자음 산출을 분석하여 조음 위치와 조음 방법에 따라 각각 자음을 분류하는 자음 산출 분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종합 평가부는 상기 모음 산출 분석부와 상기 자음 산출 분석부에서
산출된 값들을 더 포함하여 영유아의 발성 발달 단계를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의 발성 발달 검사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vowel calculation analyzing unit for analyzing the frequency and the ratio of the vowels by checking the phoneme calculation frequency,
And a consonant calculation section for analyzing the consonant calcul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consonants and classifying the consonants according to an articulation position and an articulation method,
Wherein the comprehensive evaluation unit comprises a vowel calculation analysis unit and a consonant calculation calculation unit
Wherein the step of evaluating the developmental stage of the infant includes the calculated values to evaluate the developmental stage of the infant.
청각장애 영유아의 청각을 보조하기 위해 증폭도와 주파수 파라미터의 조정이 가능한 청각 보조 유닛과, 및
상기 발성 발달 검사 장치의 검사 결과에 따라 상기 청각 보조 유닛의 증폭도와 주파수 파라미터를 조정하는 제어 처리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의 청능 재활 시스템.An infant ' s vocal development examination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or 2,
A hearing aid unit capable of adjusting amplification and frequency parameters to assist hearing impaired infants ' s hearing; and
And a control processing unit for adjusting the amplification degree and the frequency parameter of the hearing aid unit according to the inspection result of the vocal development inspection apparatus.
영유아의 월령 구간에 따라 발성 단계와 관련된 의성어 또는 동물이나 물체의 명칭으로 모델링하여 짧고 재미있게 자극을 제시함으로 발성 훈련을 제공하는 발성 훈련부를 구비한 훈련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의 청능 재활 시스템.The method of claim 3,
Further comprising a training unit provided with a vocal training unit for modeling a simple language or an animal or an object related to the vocalization stage according to a moonlit period of the infant and providing vocal training by presenting stimulation in a short and interesting manner, system.
영유아의 월령 구간에 따라 상기 발성 종류 단계에서 제공된 발성 단계를 이용하여 발화 수 및 비율을 분석하는 발성 단계 분석 단계와,
상기 월령 구간에서 상기 발성 단계의 발성 종류의 비율을 분석하는 발성 종류 분석 단계와, 및
상기 발성 단계 분석 단계와 상기 발성 종류 분석 단계에서 산출된 값들을 종합하여 영유아의 발성 발달 단계를 평가하는 종합 평가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의 청능 재활 방법.A vocalization type providing step of providing a vocalization type according to a vocalization stage of an infant,
A voicing step analyzing step of analyzing the number of utterances and the ratio using the voicing step provided in the voicing type step according to the ages of the infants and young children;
A voicing type analyzing step of analyzing a ratio of the voicing type of the voicing step in the moon period;
And a comprehensive evaluation step of evaluating the phonological development stages of the infant and the child by synthesizing the values calculated in the phonation stage analysis step and the voicing type analysis step.
음소 산출 빈도를 확인하여 모음의 산출 빈도수와 비율을 분석하는 모음 산출 분석 단계와, 및
초성 및 종성의 자음 산출을 분석하여 조음 위치와 조음 방법에 따라 각각 자음을 분류하는 자음 산출 분석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종합 평가 단계는 상기 모음 산출 분석 단계와 상기 자음 산출 분석 단계에서 산출된 값들을 더 포함하여 영유아의 발성 발달 단계를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의 청능 재활 방법.6. The method of claim 5,
A vowel calculation analysis step of analyzing the frequency and ratio of the vowels by confirming the phoneme calculation frequency, and
And a consonant calculation step of classifying the consonants according to the articulation position and articulation method by analyzing consonant calcul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consonants,
Wherein the comprehensive evaluation step further includes values calculated in the vowel calculation analysis step and the consonant calculation analysis step to evaluate a vocal development stage of the infant.
영유아의 월령 구간에 따라 발성 단계와 관련된 의성어로 모델링하여 짧고 재미있게 자극을 제시함으로 발성 훈련을 제공하는 발성 훈련 단계를 더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의 청능 재활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or 6,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vocal training step of providing vocal training by modeling the vocal tract with respect to the vocalization stage according to the ages of the infant and presenting stimulation in a short and interesting mann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02447A KR20170010602A (en) | 2015-07-20 | 2015-07-20 | Infants' vocal development evaluation device, and system and method of auditory rehabilitation for infant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02447A KR20170010602A (en) | 2015-07-20 | 2015-07-20 | Infants' vocal development evaluation device, and system and method of auditory rehabilitation for infant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10602A true KR20170010602A (en) | 2017-02-01 |
Family
ID=58109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02447A Withdrawn KR20170010602A (en) | 2015-07-20 | 2015-07-20 | Infants' vocal development evaluation device, and system and method of auditory rehabilitation for infant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70010602A (en)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31295B1 (en) * | 2018-06-28 | 2019-10-11 |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 System for measurement of nasal energy change and method thereof |
KR102310542B1 (en) * | 2020-06-23 | 2021-10-07 |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 Apparatus for testing hearing ability using monosyllable and method of the same |
KR20220059621A (en) * | 2020-11-03 | 2022-05-10 |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 Electronic apparatus for performing auditory training with music, method, and computer program |
CN115527403A (en) * | 2022-11-09 | 2022-12-27 | 上海华聆人工耳医疗科技有限公司 | Artificial cochlea-based language training method and device |
KR20230012184A (en) | 2021-07-15 | 2023-01-26 | 장선아 | Hearing test doll |
KR20230107427A (en) | 2022-01-07 | 2023-07-17 | 주식회사 유스바이오글로벌 | Non-face-to-face interactive diagnostic method and device for infant growth and development and health diagnosis function |
KR102668523B1 (en) | 2024-01-04 | 2024-05-22 | 박종혁 |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providing vocal training solution and curriculum based on anatomical data |
-
2015
- 2015-07-20 KR KR1020150102447A patent/KR20170010602A/en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31295B1 (en) * | 2018-06-28 | 2019-10-11 |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 System for measurement of nasal energy change and method thereof |
KR102310542B1 (en) * | 2020-06-23 | 2021-10-07 |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 Apparatus for testing hearing ability using monosyllable and method of the same |
KR20220059621A (en) * | 2020-11-03 | 2022-05-10 |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 Electronic apparatus for performing auditory training with music, method, and computer program |
KR20230012184A (en) | 2021-07-15 | 2023-01-26 | 장선아 | Hearing test doll |
KR20230107427A (en) | 2022-01-07 | 2023-07-17 | 주식회사 유스바이오글로벌 | Non-face-to-face interactive diagnostic method and device for infant growth and development and health diagnosis function |
CN115527403A (en) * | 2022-11-09 | 2022-12-27 | 上海华聆人工耳医疗科技有限公司 | Artificial cochlea-based language training method and device |
KR102668523B1 (en) | 2024-01-04 | 2024-05-22 | 박종혁 |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providing vocal training solution and curriculum based on anatomical data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70010602A (en) | Infants' vocal development evaluation device, and system and method of auditory rehabilitation for infants | |
Kent et al. | Phonetic development in identical twins differing in auditory function | |
ller Kirk et al. | Speech and language results in children with a cochlear implant | |
Van De Velde et al. | Prosody perception and production by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s | |
Fukuda et al. | Language development of a multiply handicapped child after cochlear implantation | |
Zhu et al.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new Mandarin tone identification test | |
Darrow | Music therapy in the treatment of the hearing-impaired | |
Klieve et al. | Perception of prosodic features by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s: is it sufficient for understanding meaning differences in language? | |
Öster | Computer-based speech therapy using visual feedback with focus on children with profound hearing impairments | |
Kunisue et al. | Longitudinal formant analysis after cochlear implantation in school-aged children | |
KR101420057B1 (en) | Speech perception apparatus and speech perception method using it | |
Whetnall | The development of usable (residual) hearing in the deaf child | |
Ferrat et al. | Perception and confusion of speech in Algerian school children wearing hearing aids | |
Sorianello | The contribution of certain acoustic vowel measures to the overall speech intelligibility | |
Pan | Method of Note Cognition of Disabled Children Based on Ecological Cognitive Neuroscience. | |
Boonen | Identifiability and intelligibility of the speech of children with a cochlear implant: A comparison with normally hearing children and children with an acoustic hearing aid | |
Ananthapadmanabha | 6. Application of speech signal processing for assessment and treatment of voice and speech disorders | |
Zhang et al. | Production and perception of emotional intonation among preschool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s | |
MAGIERSKA-KRZYSZTOŃ et al. | Linguistic competence of children with prelingual hearing loss implanted up to the age of two | |
Choi | Speech perception in “bubble” noise: Korean fricatives and affricates by native and non-native korean listeners | |
Ogórkiewicz et al. | A set of speech perception tests for children after cochlear implants–preliminary evaluation | |
Gonzalez | Effects of speech production ability on a measure of speech perception capacity in young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s and their articulation-matched peers | |
Nagaraja et al. | Phonological Development in Hearing-Impaired Malay-Speaking Children. | |
Alighieri et al. | Diagnosis and Treatment of Speech Disorders in Children With a Cleft (Lip and) Palate: A State-Of-The-Art Overview | |
Hamane et al. | The role of oral-motor training in Sound discrimination in the Hearing impaired with assistive equipme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72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