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7966A - 측면 터치 조합을 이용한 스마트 디바이스 조작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측면 터치 조합을 이용한 스마트 디바이스 조작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07966A KR20170007966A KR1020150099082A KR20150099082A KR20170007966A KR 20170007966 A KR20170007966 A KR 20170007966A KR 1020150099082 A KR1020150099082 A KR 1020150099082A KR 20150099082 A KR20150099082 A KR 20150099082A KR 20170007966 A KR20170007966 A KR 2017000796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mart device
- touch
- input means
- auxiliary input
- touch scree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44
- 239000003607 modifi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4091 pann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1017 operat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0707 wrist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13 cellula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90 computer pro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99 initia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502 supplemen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3—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3
- G06F2203/0339—Touch strips, e.g. orthogonal touch strips to control cursor movement or scrolling; single touch strip to adjust parameter or to implement a row of soft key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8—Several contacts: gestures triggering a specific function, e.g. scrolling, zooming, right-click, when the user establishes several contacts with the surface simultaneously; e.g. using several fingers or a combination of fingers and p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스마트워치의 측면 조작이 가능한 입력 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스마트워치의 측면 터치 감지를 위한 광학식 센서를 간소화 한 회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스마트워치의 터치스크린과 측면을 이용한 입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스마트워치의 측면 조작을 이용한 대상 제어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Claims (18)
- 스마트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조작을 위한 입력 장치로서,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와 결합된 터치스크린; 및
상기 터치스크린이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복수의 측면까지 연장되거나 상기 복수의 측면에 별도의 터치 감지 센서가 구성됨으로써 상기 측면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보조 입력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및 상기 보조 입력 수단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디텍트 된 터치 결과가 상기 조작을 위한 입력 신호로 인식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는 사각형 형태로 상/하/좌/우 4개의 측면을 구분하는 디바이스이며,
상기 보조 입력 수단은 상기 4개의 측면에 각각 구성되어 상기 측면 각각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입력 수단에 의해 디텍트 된 터치 결과가 상기 4개의 측면에 대응되는 직교 좌표계의 좌표 값으로 입력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는 상기 터치스크린과 적어도 하나의 보조 입력 수단에 의해 디텍트 된 터치 조합, 혹은 둘 이상의 보조 입력 수단에 의해 디텍트 된 터치 조합을 상기 입력 신호로 인식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입력 수단은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화면에 대한 x축 좌표 값과 y축 좌표 값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용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입력 수단은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대상을 x축 방향과 y축 방향 중 적어도 하나로 이동(panning)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용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입력 수단은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대상의 확대(zoom in)와 축소(zoom out)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용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입력 수단은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한 입력을 변경하기 위한 변경자 키(modifier key)로 이용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입력 수단은 상기 디스플레이에 메뉴 목록을 표시하기 위한 수단 또는 상기 메뉴 목록 중 상기 측면에 대응되어 배치된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용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 스마트 디바이스의 조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는,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조작을 위한 입력 장치로서,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와 결합된 터치스크린; 및
상기 터치스크린이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복수의 측면까지 연장되거나 상기 복수의 측면에 별도의 터치 감지 센서가 구성됨으로써 상기 측면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보조 입력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조작 방법은,
상기 터치스크린 및 상기 보조 입력 수단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디텍트 된 터치 결과를 상기 조작을 위한 입력 신호로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터치 결과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의 조작 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는 사각형 형태로 상/하/좌/우 4개의 측면을 구분하는 디바이스이며,
상기 보조 입력 수단은 상기 4개의 측면에 각각 구성되어 상기 측면 각각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고,
상기 보조 입력 수단에 의해 디텍트 된 터치 결과가 상기 4개의 측면에 대응되는 직교 좌표계의 좌표 값으로 입력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의 조작 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스크린과 적어도 하나의 보조 입력 수단에 의해 디텍트 된 터치 조합, 혹은 둘 이상의 보조 입력 수단에 의해 디텍트 된 터치 조합을 인식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의 조작 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보조 입력 수단에 의해 디텍트 된 터치 결과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화면에 대한 x축 좌표 값과 y축 좌표 값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입력 신호로 인식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의 조작 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보조 입력 수단에 의해 디텍트 된 터치 결과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대상을 x축 방향과 y축 방향 중 적어도 하나로 이동(panning)하기 위한 입력 신호로 인식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의 조작 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보조 입력 수단에 의해 디텍트 된 터치 결과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대상의 확대(zoom in)와 축소(zoom out)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기 위한 입력 신호로 인식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의 조작 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보조 입력 수단에 의해 디텍트 된 터치 결과를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디텍트 된 터치 결과에 따른 입력 신호를 변경하기 위한 변경자 키(modifier key) 신호로 인식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의 조작 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보조 입력 수단에 의해 디텍트 된 터치 결과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메뉴 목록을 표시하기 위한 입력 신호 또는 상기 메뉴 목록 중 상기 측면에 대응되어 배치된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입력 신호로 인식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의 조작 방법. -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동작하는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는,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조작을 위한 입력 장치로서,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와 결합된 터치스크린; 및
상기 터치스크린이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복수의 측면까지 연장되거나 상기 복수의 측면에 별도의 터치 감지 센서가 구성됨으로써 상기 측면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보조 입력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터치스크린 및 상기 보조 입력 수단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디텍트 된 터치 결과를 상기 조작을 위한 입력 신호로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터치 결과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99082A KR20170007966A (ko) | 2015-07-13 | 2015-07-13 | 측면 터치 조합을 이용한 스마트 디바이스 조작 방법 및 장치 |
US14/964,082 US20170017389A1 (en) | 2015-07-13 | 2015-12-09 | Method and apparatus for smart device manipulation utilizing sides of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99082A KR20170007966A (ko) | 2015-07-13 | 2015-07-13 | 측면 터치 조합을 이용한 스마트 디바이스 조작 방법 및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07966A true KR20170007966A (ko) | 2017-01-23 |
Family
ID=57775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99082A Ceased KR20170007966A (ko) | 2015-07-13 | 2015-07-13 | 측면 터치 조합을 이용한 스마트 디바이스 조작 방법 및 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20170017389A1 (ko) |
KR (1) | KR20170007966A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572147B2 (en) * | 2016-03-28 | 2020-02-25 |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 Enabling perimeter-based user interactions with a user device |
CN114510302B (zh) * | 2020-10-27 | 2024-11-29 | 华为技术有限公司 | 索引显示方法及可穿戴设备 |
WO2023287583A2 (en) * | 2021-07-12 | 2023-01-19 | Termson Management Llc | Interactive routing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477313B2 (en) * | 2012-11-20 | 2016-10-25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User gesture input to wearable electronic device involving outward-facing sensor of device |
JP5874625B2 (ja) * | 2012-12-20 | 2016-03-02 |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 入力装置、入力操作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並びに電子機器 |
KR102189451B1 (ko) * | 2013-12-27 | 2020-12-14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전자 기기 |
-
2015
- 2015-07-13 KR KR1020150099082A patent/KR20170007966A/ko not_active Ceased
- 2015-12-09 US US14/964,082 patent/US20170017389A1/en not_active Abandon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70017389A1 (en) | 2017-01-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712938B2 (en) | Portable device and screen display method of portable device | |
KR101463540B1 (ko) | 휴대용 전자 기기를 이용한 3차원 가상 커서 제어 방법 | |
US11003328B2 (en) | Touch input method through edge screen, and electronic device | |
US20140282159A1 (en)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creen display using temperature and humidity | |
KR20160128739A (ko)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 |
EP3023865B1 (en) | Portable terminal having display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 |
US8994678B2 (en) | Techniques for programmable button on bezel of mobile terminal | |
KR20180081133A (ko) | 신속한 스크린 분할 방법 및 장치, 전자 디바이스,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및 저장 매체 | |
KR102161450B1 (ko) | 휴대형 전자장치의 객체 표시 방법 및 그에 관한 장치 | |
KR20110093098A (ko) | 휴대 단말기의 화면 표시 방법 및 장치 | |
US10331340B2 (en) | Device and method for receiving character input through the same | |
TWI686728B (zh) | 熱區調整方法和裝置、用戶端 | |
KR102381051B1 (ko) | 키패드를 표시하는 전자장치 및 그의 키패드 표시 방법 | |
US20150370786A1 (en) | Device and method for automatic translation | |
US20150042584A1 (en)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editing object using touch input | |
EP2998838A1 (en) |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US9665232B2 (en) | Information-processing device, storage medium, information-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processing system for enlarging or reducing an image displayed on a display device | |
US20230236673A1 (en) | Non-standard keyboard input system | |
KR102255087B1 (ko) |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 |
KR20170007966A (ko) | 측면 터치 조합을 이용한 스마트 디바이스 조작 방법 및 장치 | |
US9235338B1 (en) | Pan and zoom gesture detection in a multiple touch display | |
KR20150025105A (ko) | 전자 장치에서 입력 기능 운영 방법 및 장치 | |
US9582078B1 (en) | Integrated touchless joystick-type controller | |
KR20170124593A (ko) | 지능형 상호작용 방법, 장비 및 시스템 | |
US9886167B2 (en) |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71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5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6111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6051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6111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6062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X0601 |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4S01D Patent event date: 2017032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6120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6111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6062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X06013S01I Patent event date: 201605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