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4269A - Apparatus and method for fall-down detection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fall-down detec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04269A KR20170004269A KR1020150094386A KR20150094386A KR20170004269A KR 20170004269 A KR20170004269 A KR 20170004269A KR 1020150094386 A KR1020150094386 A KR 1020150094386A KR 20150094386 A KR20150094386 A KR 20150094386A KR 20170004269 A KR20170004269 A KR 2017000426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all
- acceleration
- information
- data
- us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32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5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0000006399 behavior Effects 0.000 description 19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542 behaviou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90 computer pro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066 decision tre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191 jump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801 machine lear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46—Sensor means for detecting worn on the body to detect changes of posture, e.g. a fall, inclination, acceleration, gait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5/00—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9—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he exact location of child or item using a navigation satellite system, e.g. GP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07—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based on behaviour analysis
- G08B21/0423—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based on behaviour analysis detecting deviation from an expected pattern of behaviour or schedule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69—Presence detectors to detect unsafe condition, e.g. infrared sensor, microphone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2—Manually actuated calamity alarm transmitting arrangements emergency non-personal manually actuated alarm, activators, e.g. details of alarm push buttons mounted on an infrastruct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sychiatry (AREA)
- Psycholog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인이나 거동이 불편한 보행자 등을 대상으로 실생활에서 자주 발생하는 낙상사고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이를 낙상 제어 서버로 통보하여 낙상으로 인한 2차 사고에 적극적으로 대비하기 위한 낙상 감지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가속도 및 기울기 정보를 감지하는 가속도 센서, 상기 가속도 센서에서 추출되는 가속도 및 기울기 정보를 이용해 특정 행위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행위들의 연속된 패턴을 분석하여 낙상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낙상이 결정되면 지정된 곳으로 낙상 발생을 통지하는 통신부로 구성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all detec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a fall accident frequently occurred in real life in an elderly person or a pedestrian who is inconvenient in motion and reporting it to a fall control server to positively prepare for a second accident caused by a fall An acceleration sensor that detects acceleration and tilt information of a user, a specific action is determined using acceleration and tilt information extracted from the acceleration sensor, and a continuous pattern of the determined actions is analyzed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o fall And a communication unit for notifying occurrence of a fall to a designated place when a fall is determined by the control unit and the control unit.
Description
본 발명은 낙상 감지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노인이나 거동이 불편한 보행자 등을 대상으로 실생활에서 자주 발생하는 낙상사고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이를 낙상 제어 서버로 통보하여 낙상으로 인한 2차 사고에 적극적으로 대비하기 위한 낙상 감지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all detection apparatus and a method thereof.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all detection apparatus and a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fall detection apparatus and a method thereof that detect fall accidents occurring frequently in real life for an elderly person or an uncomfortable pedestria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all detection apparatus and a method thereof for positively preparing for a car accident.
고령화 사회로 급속하게 진행함에 따라, 노인 분들이나 거동이 불편한 보행자 등이 안심하고 일상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다양한 건강관리(healthcare) 서비스들이 등장하고 있다.As the society rapidly progresses into an aging society, a variety of healthcare services are emerging that help elderly people and pedestrians who are uncomfortable to run their daily life with peace of mind.
특히, 독거 노인과 같이 혼자 생활하는 노인들은 일반 젊은 사람들에 비해 낙상으로 인한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므로, 이러한 독거 노인과 같이 혼자 생활하는 시간이 많은 노인들을 대상으로 낙상에 대비할 수 있는 다양한 낙상 구조 서비스가 각광을 받고 있고,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Especially, the elderly who live alone like the elderly living alone often have accidents caused by falls because they have more time to live alone like elderly living alone. Therefore, various fall relief services Has been in the limelight, and research on this has been actively proceeding.
하지만, 낙상 구조를 위한 종래 기술은 센서와 휴대폰이 분리되어 있고 무선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므로 배터리 소모의 증가, 낙상 감지 오류의 증가, 오류 감지에 대한 필터링 효율 감소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고, 또한, 낙상 여부를 감지하기 위해 순간적인 데이터 변화량에 크게 의존해 낙상을 감지하였으므로 낙상과 유사한 센서값을 갖는 행위(사용자가 센서를 착용 또는 빼는 행위, 손으로 흔드는 행위, 뛰는 행위 및 부딪히는 행위)를 하는 경우에 이를 낙상으로 판단하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technology for the fall structure has problems such as an increase in battery consumption, an increase in fall detection error, and a reduction in filtering efficiency for error detection since the sensor and the mobile phone are separated and transmit data wirelessly. (A user wearing or pulling a sensor, shaking with a hand, jumping or hitting a sensor), which is similar to a fall sensor, There is a problem of judging by falling.
따라서, 본원발명은 낙상 여부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 현재 측정되는 데이터를 이용해 실시간으로 낙상 여부를 판단하기보다 낙상으로 판단되는 측정 데이터뿐만 아니라 그 이후의 행위를 함께 판단하여 낙상과 그 유사한 행위를 정확하게 분리하여 판단할 수 있는 낙상 감지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ccordingly, in order to accurately measure whether or not a fall occurs, rather than determining whether a fall occurs in real time using data currently measured, it is necessary to accurately determine fall and similar actions by determining not only measurement data determined as a fall, And to provide a fall detection apparatus and a method that can be judged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또한, 본원발명은 낙상이 감지되면 일체로 구비된 통신 수단을 이용해 보호자나 응급 센터 등에 통보하여 낙상으로 발생할 수 있는 2 차 피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낙상 감지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all detection apparatus and method capable of preventing a secondary damage that may be caused by a fall by informing a guardian or an emergency center using communication means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fall detection unit do.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낙상 감지 장치는 가속도 및 기울기 정보를 감지하는 가속도 센서, 상기 가속도 센서에서 추출되는 가속도 및 기울기 정보를 이용해 특정 행위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행위들의 연속된 패턴을 분석하여 낙상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낙상이 결정되면 낙상 발생 정보를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fall sens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cceleration sensor for sensing acceleration and tilt information, a specific action is determined using acceleration and tilt information extracted from the acceleration sensor, And a communicator for transmitting fall occurrence information when the fall is determined by the controller.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속도 센서에서 추출된 가속도 및 기울기 정보를 데이터큐에 저장하고,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으로 상기 데이터큐에서 일정 데이터를 불러와 행위판단을 한 후에 행위 큐에 저장하고,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으로 행위 큐로부터 일정 개수의 행위 값을 가져와 미리 정의된 행위열 패턴과 비교하여 낙상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상기 가속도 센서는 3 축 가속도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may store the acceleration and slope information extracted from the acceleration sensor in a data queue, store the data in the data queue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and store the data in an action queue. A predetermined number of action values are fetched from the action queue at intervals and compared with a predefined action column pattern to decide whether to fall. In this case, the acceleration sensor may be a three-axis acceleration sensor.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낙상 감지 장치는 현재 위치 정보를 감지하는 GPS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현재 위치 정보를 낙상 발생 통지와 같이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송한다.
Further, the fall s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GPS unit for detecting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and the controller transmits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s a fall occurrence notification.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낙상 감지 장치는 상기 제어부에서 낙상이 결정되면 낙상 여부 확인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사용자에 의해 낙상이 없음을 확인하는 신호를 입력하는 버튼부를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버튼부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긴급 상황을 알리는 신호를 입력하는 긴급버튼을 더 포함한다.
Meanwhile, the fall s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a fall determination signal when the fall is determined by the control unit, and a button unit for inputting a signal for confirming absence of fall by the user. In this case, the button unit further includes a emergency button for inputting a signal indicating an emergency by the user.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낙상 감지 방법은 가속도 및 기울기 정보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가속도 및 기울기 정보를 이용해 특정 행위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된 행위들의 연속된 패턴을 분석하여 낙상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낙상 여부의 결정에 따라 낙상 발생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all detection method comprising: detecting acceleration and tilt information; determining a specific behavior using the sensed acceleration and tilt information; Determining whether or not to fall, and transmitting fall occurrenc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of whether to fall or not.
이때, 현재 위치 정보를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detecting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또한, 상기 특정 행위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가속도 및 기울기 정보를 데이터큐에 저장하는 단계,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으로 일정 개수의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큐에서 불러오는 단계 및 상기 불러온 데이터를 이용해 특정 행위를 판단하여 행위 큐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The step of determining the specific action may include storing the acceleration and tilt information in a data queue, loading a predetermined number of data in the data queue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and determining a specific action using the loaded data And storing it in an action queue.
또한, 상기 낙상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으로 행위큐로부터 일정 개수의 행위 값을 가져와 미리 정의된 행위열 패턴과 비교하여 낙상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to fall includes determining a predetermined number of behavior values from an action queue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and comparing the behavior values with a predefined behavioral pattern to determine whether to fall.
한편, 상기 낙상 감지 방법은 상기 낙상 여부 결정에 관한 알림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낙상 결정에 관한 알림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사용자의 버튼 입력을 통해 낙상 결정을 취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The fall detection method may further include outputting a notification signal regarding the fall determination and canceling the fall determination through a button input by the user in response to the notification signal regarding the fall determination.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낙상 감지 장치 및 방법은 노인이나 거동이 불편한 사람들에게서 발생하는 낙상을 신속하게 감지하여 이를 통보함으로써 낙상으로 인한 불의의 사고에 적극적으로 대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fall detection apparatus and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capable of promptly detecting a fall occurring in an elderly person or an inconvenient person and informing it of a fall, thereby positively preparing for unexpected accident caused by a fall.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낙상 감지 장치 및 방법은 낙상 이후의 행위를 낙상 감지에 이용함으로써 낙상 발생 여부를 정확하게 감지하여, 감지 오류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a f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accurately detect whether or not a fall occurs by using an after-fall behavior for falling detection, and solve various problems that may occur in a detection error.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낙상 감지 장치 및 방법은 잘못된 낙상 감지에 대하여 사용자가 취소할 수 있는 기능 및 수동으로 위급 상황을 알릴 수 있는 기능을 통해 낙상 오류의 실수를 줄이고 위급상황에 대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fall detection apparatus and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a mistake of a falling error and prepare for an emergency situation through a function that can be canceled by a user for false fall detection and a function for manually informing an emergency situation have.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낙상 감지가 이루어지는 시스템의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낙상 감지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3축 가속도 센서의 데이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는 도 3의 데이터를 LPF(Low Pass Filter)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는 도 3의 데이터를 HPF(High Pass Filter)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낙상 감지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낙상 제어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은 본 발명에 의한 낙상 제어 서버의 동작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 1 is a view showing a concept of a system for detecting fal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fall de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showing data of a three-axis acceleration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showing the result of LPF (Low Pass Filter) of the data of FIG.
5 is a diagram showing the result of HPF (High Pass Filter) of the data of FIG.
6 is a view showing a fall dete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fall control ser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chart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fall control ser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낙상 감지가 이루어지는 시스템의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 1 is a view showing a concept of a system for detecting fal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낙상을 감지하고, 낙상으로 발생할 수 있는 2 차 피해를 막기 위해 위급 상황을 의사, 응급센터 및 가족 등에게 알려주기 위해,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장착되어 낙상 여부를 감지하는 낙상 감지 장치(10) 및 낙상 발생 여부를 수신하고 이를 제 3 자 등에 통지하는 낙상 제어 서버(30)를 무선 통신(20)으로 연결되도록 구비한다. In order to detect a fall and inform the doctor, emergency center and family members of an emergency in order to prevent secondary damage that may occur in a fall,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도 1에서는 사용자의 낙상을 감지하는 낙상 감지 장치(10)가 사용자의 허리에 장착되는 경우의 예를 든다.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가속도, 기울기 및 현재 위치정보를 이용해 낙상 여부를 결정하고, 낙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무선 통신(20)을 통해 낙상 제어 서버(30)에 이를 통지한다. 낙상 제어 서버(30)가 낙상 발생을 수신하면, 낙상이 발생한 사용자에 대해 미리 설정된 곳으로 이를 통지한다. 이때, 낙상이 발생한 사용자를 위해 미리 설정할 수 있는 곳은 가족들의 연락처, 지정 병원 및 의사, 응급 센터 등이 될 수 있다. 1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a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낙상 감지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2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fall de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의한 낙상 감지 장치(10)는 가속도 센서(110), GPS부(120), 제어부(130), 마이크/스피커(140)와 같은 입출력장치, 버튼부(150) 및 통신부(160)를 포함한다. 낙상 감지 장치(10)의 각각의 구성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The
가속도 센서(110)는 가속도 정보와 기울기 정보를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가속도 센서가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3 축 가속도 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3 축 가속도 센서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3 축 가속도 정보 및 기울기 정보를 센싱한다. The
GPS부(120)는 낙상 감지 장치(10)의 현재 위치 정보를 감지한다. GPS부(120)에 의해 감지된 현재 위치 정보는 낙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이 되는 경우에 낙상 정보와 같이 통신부(160)를 통해 낙상 제어 서버(30)를 통해 가족 등에게 전달된다. The
제어부(130)는 가속도 센서(110)로부터 감지된 가속도 정보와 기울기 정보를 이용해 낙상 행위가 발생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스피커(140)를 통해 사용자에게 낙상 발생을 최종 확인하고, 통신부를 통해 낙상 제어 서버(30)에 사용자의 낙상을 통지하여 최종적으로 가족, 의사, 응급 센터 등에 낙상에 의한 위급 상황을 메시지를 전달한다. The
이러한 제어부(130)는 가속도 정보 추출부(131), 낙상 행위 판단부(132), 위치 정보 추출부(133), 낙상 결정부(134) 및 입/출력 처리부(135)를 포함한다. The
가속도 정보 추출부(131)은 3 축 가속도 센서와 같은 가속도 센서(110)에 의해 감지된 사용자의 가속도 및 기울기 정보를 추출한다. 일반적으로 3 축 가속도 센서는 가속도 값에는 보행이나 행동 중 가감속에 의한 운동가속도 성분과 경사에 의한 중력가속도 성분을 모두 포함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신호(raw data)를 측정한다. The acceleration
이때, 운동 가속도 성분은 주파수 영역에서 고주파 성분에 위치하고, 중력가속도 성분은 저주파 성분에 위치함으로, 가속도 정보 추출부(131)는 HPF(High Pass Filter)를 이용해 운동 가속도 값(Ax, Ay, Az)하고, LPF(Low Pass Filter)를 이용해 중력가속도 값(Tx, Ty, Tz)을 추출한다. 예를 들어, 도 4는 LPF(Low Pass Filter)를 이용해 도 3으로부터 중력가속도 성분을 추출한 신호를 나타내고, 도 5 는 HPF(High Pass Filter)를 이용해 도 3으로부터 운동 가속도 성분을 추출한 신호를 나타낸다. At this time, since the motion acceleration component is located in the high frequency component in the frequency domain and the gravity acceleration component is located in the low frequency component, the acceleration
낙상 행위 판단부(132)는 가속도 정보 추출부(131)로부터 추출되는 가속도 및 기울기 정보를 이용해 일정 간격으로 낙상 여부를 판단한다. 낙상 행위 판단부(132)에서 낙상 행위를 판단하는 방법은 도 6의 낙상 감지 알고리즘에 의해 이루어진다. The
먼저, 가속도 센서(110)는 계속적으로 사용자의 가속도 및 기울기 정보를 측정한다.(S610)First, the
가속도 센서(110)가 가속도 및 기울기를 감지하면, 가속도 정보 추출부(131)는 정해진 시간 간격(예를 들어, 100ms)으로 가속도 정보 추출부(131)를 통해 가속도 및 기울기 정보를 추출하여 데이터큐(미도시)에 저장한다. 여기서, 가속도 정보는 운동 가속도 성분 및 중력 가속도 성분으로 추출되어 저장된다.(S620)When the
낙상 행위 판단부(132)는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예를 들어, 200ms)으로 데이터큐에 저장된 일정 개수(예를 들어, 20개)의 데이터를 이용해 행위판단을 하여 행위큐(미도시)에 저장한다.(S630) 구체적으로, 낙상 행위 판단부(132)는 데이터큐로부터 가져온 데이터를 분석하여 그 데이터에 대응하는 행위를 판단한다.The falling
이때 행위 판단은 데이터큐에 저장된 20개의 데이터를 이용해 이루어지는데, 20개 데이터의 x,y,z축에 해당하는 기울기와 가속도 값들, 이 값들의 정해진 임계값 초과 여부, 각 축에 해당하는 기울기와 가속도의 이전/이후 시간 변화량, 이 변화량들의 임계값 초과 여부 등이 이용된다. 이때 시간 변화량이란 현재 시점의 기울기/가속도에 상대적인 이전/이후의 값들의 변화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현재시점의 가속도가 10이고 이전 3개의 가속도가 1,3,6 이며, 이후 3개의 가속도가 4,1,0 이라고 하자. 이때 이전의 시간 변화량은 각 시점에서 이전 시간의 가속도차들(3-1=2, 6-3=3, 10-6=4)의 가중합계(2*A1+3*A2+4*A3)이고, 이후 시간 변화량은 각 시점에서 가속도차들(10-4=6,4-1=3,1-0=1)의 가중합계(6*B1+3*B2+1*B3)가 된다. 가중합계에서 가중치 A,B들은 현재시점에서 멀어질수록 가중치가 작아지는 값으로 현재시점과의 시간차이에 반비례하는데, 반복실험을 통해 최적의 값을 할당한다. 입력된 데이터에서 행위를 판단하기 위한 결정 모델은 널리 사용되는 기계학습기법인 의사결정트리 방법을 이용해 구성한다.At this time, the action judgment is performed by using 20 data stored in the data queue, and the inclination and acceleration values corresponding to the x, y and z axes of the 20 data, whether or not these values exceed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A change amount of time before / after the acceleration, whether or not the change amount exceeds a threshold value, and the like are used. In this case, the time variation means a change in values before / after relative to the current tilt / acceleration. For example, assume that the acceleration at the current point is 10, the previous three accelerations are 1, 3, and 6, and the subsequent three accelerations are 4, 1, 0. (2 * A1 + 3 * A2 + 4 * A3) of the acceleration differences of the previous time (3-1 = 2, 6-3 = 3, 10-6 = 4) at each time point, (6 * B1 + 3 * B2 + 1 * B3) of the acceleration differences (10-4 = 6,4-1 = 3,1-0 = 1) at each time point. The weights A and B in the weighted sum are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time difference from the current time point, which is the weighted value that decreases as the distance from the current point increases. The decision model for judging the behavior in the input data is constructed using the decision tree method which is a widely used machine learning machine.
낙상 행위 판단부(132)에 의해 행위큐에 저장된 행위판단 정보는 일정 시간 간격(예를 들어, 200ms)의 임시 행위에 대한 정보이고, 낙상 여부에 대한 최종적인 판단은 아니다. 이러한 임시 행위에는 예를 들어, 앉기, 눕기, 걷기, 뛰기, 서있기, 앉아있기, 누워있기, 일어나기, 넘어지기 등이 있다. The action judgment information stored in the action queue by the fall
낙상 여부에 대한 최종적인 판단은 행위큐에 저장된 행위들의 연속된 패턴을 분석하여 판단하게 된다.(S640) 이를 위해 정해진 시간 간격(예를 들어, 1000ms)으로 행위큐에서 일정 개수(예를 들어, 10개)의 행위 값을 가져다가 미리 정의한 행위 열 패턴과 비교하여 낙상을 최종 판정한다. The final decision as to whether or not the fall occurs is determined by analyzing the continuous pattern of the actions stored in the action queue. (S640) To this end, a certain number of actions in the action queue (for example, 10), and finally determines the fall by comparison with a predefined behavior pattern.
이러한 낙상 여부에 대한 최종 판단과정은 실시간적으로 현재 시점의 낙상을 판단하기 보단 정해진 시간 동안 판단을 보류한 후, 낙상 이후의 행위를 함께 판단하여 낙상 판단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The final judgment process of the fall or not can be made more reliable than the judgment of the fall of the present time in real time.
미리 정의한 행위열의 예는, (*, 넘어지기, ?, 누워있기, 누워있기), (*, 넘어지기, ?, ?, 누워있기, 누어있기)등과 같이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이때 '*'는 임의의 행위가 개수에 상관없이 발생하는 패턴을 의미하고, ?는 임의의 행위가 한번 발생하는 패턴을 의미한다.Examples of predefined action rows can be set in various ways, such as (*, falling,?, Lying, lying), (*, falling,?,?, Lying, lying). In this case, '*' means a pattern in which an arbitrary action occurs irrespective of the number, and? Denotes a pattern in which an arbitrary action occurs once.
예를 들어, (걷기, 걷기, 넘어지기, 걷기, 걷기) 와 같은 패턴의 행위열이 있을 때, 넘어지기 행위 발생했지만 전후에 걷기 행위가 있으므로 걷는 중에 일시적인 오류 또는 충격으로 비정상적인 패턴의 넘어지기가 나타났지만, 걷기 행위는 계속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런 경우는 넘어지기(낙상)가 발생했지만, 낙상으로 인식하지 않고 넘어지기 행위를 무시하고 넘어간다. 다른 예로, (걷기, 넘어지기, 앉기, 누워있기, 누워있기)와 같은 패턴의 행위열이 있을 때, 넘어지기 행위 이후에 '앉기' 행위가 있지만, 그 이후에 누워있기 행위가 연속적으로 나오므로, 낙상으로 판정하게 된다.For example, when there is a pattern of behavior such as walking (walking, walking, falling, walking, walking), there is an overturning behavior, However,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walking action continues. In such a case, a fall (fall) occurred, but the fall is ignored and the fall is ignored. Another example is that when there is a row of patterns such as (walking, falling, sitting, lying, lying), there is a 'sitting' after the falling, , And falls.
낙상 행위 판단부(132)의 행위 패턴의 비교에 의해 낙상으로 최종 판단되면, 낙상 발생 정보를 낙상 결정부(134)에 전달한다. When the fall behavior is finally determined by comparing the behavior pattern of the
또한, 위치 정보 추출부(133)는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예를 들어, 1 sec)으로 GPS부(120)로부터 낙상 감지 장치(10)의 현재 위치정보 즉, 사용자의 현재 위치 정보를 추출하여 위치정보를 메모리에 저장(미도시)한다. The position
낙상 결정부(134)는 낙상이 발생하면, 입/출력 처리부(135)를 통해 스피커(140)로 낙상 발생에 관한 알람이 발생하도록 한다. 낙상 결정부(134)는 알람이 발생한 후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도 버튼부(150)의 OK 버튼(152)에 의한 신호가 전달되지 않으면, 사용자에게 낙상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하여 통신부(160)를 통해 낙상 제어 서버(30)로 사용자의 낙상 정보를 전송한다. 여기서 전송되는 낙상 정보는 위치 정보 추출부(133)에 의해 메모리에 저장된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포함한다. When falling occurs, the
하지만, 사용자가 OK 버튼(152)을 눌러 신호를 전달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위급한 낙상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낙상 결정부(134)는 낙상 제어 서버(30)에 사용자의 낙상 정보를 전송하지 않는다. However, when the user presses the
낙상 제어 서버(30)는 사용자의 낙상 정보를 낙상 감지 장치(10)로부터 수신하면, 낙상 여부를 다시 한번 확인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전화를 걸고, 마이크/스피커(140)를 통해 전화 수신음이 출력된다. 이때 사용자가 OK 버튼(152)을 누르면, 그 신호는 입/출력 처리부(135)를 통해 낙상 결정부(134)로 전달되고, 낙상 결정부(134)는 전달된 사용자의 OK 버튼에 의한 신호에 따라 낙상 경고 상태를 취소하고, 동시에 알람 및 벨소리 등을 중단시킨다. When the
하지만, 사용자가 낙상 제어 서버(30)로부터 걸려온 전화에 대하여 OK 버튼을 누르지 않은 경우에는 최종적으로 그 사용자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가족, 의사, 응급 센터 등에 위급상황을 알리는 감지 메시지를 전달한다. However, if the user has not pressed the OK button for the incoming call from the
본원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낙상 감지 장치(10)는 자동적인 낙상 감지 외에 사용자가 위급한 상황을 알리고자 하는 경우에는 긴급버튼(151)을 통해 수동으로 위급상황을 알리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자가 긴급버튼(151)을 누르면 입/출력 처리부(135)를 통해 낙상 결정부(134)로 전달되고, 낙상 결정부(134)는 위급 신호를 통신부(160)를 통해 낙상 제어 서버(30)에 위급 신호를 전달한다. 이때, 낙상 제어 서버(30)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그 사용자에 대하여 설정된 가족 등에게 위급 상황 메시지를 수동으로 전달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automatic fall detection, the
다만, 수동으로 위급 상황을 알리는 경우에 낙상 결정부(134)는 낙상을 최종 결정하는 것과 같이 입/출력 처리부(135)를 통해 마이크/스피커(140)로 알람 경보 소리를 출력하고, OK 버튼(152) 신호에 의해 이를 해제하는 방식이나, 낙상 제어 서버(30)가 다시 낙상 감지 장치(10)로 전화를 걸어 OK 버튼(152) 신호에 따라 위급 상황을 해지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상기에서 설명한 방법과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다. However, in case of manually informing the emergency situation, the
낙상 감지 장치(10)는 WCDMA, GSM 및 CDMA 등의 무선 모뎀기능을 포함하는 통신부를 구비하여 낙상 제어 서버(30)와 통신을 수행한다.
The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낙상 제어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7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fall control ser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낙상 감지 장치(10)로부터 전달된 낙상 발생 신호에 따라 낙상 제어 서버(30)는 낙상 등의 위험을 미리 설정된 가족, 의사, 응급 센터 등에 전달한다. In response to the fall occurrenc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이러한, 낙상 제어 서버(30)는 낙상 정보 수신부(310), 사용자 확인부(320), 낙상 정보 데이터 베이스(330) 및 낙상 통보부(340)를 포함한다. The
낙상 정보 수신부(310)는 낙상 감지 장치(10)로부터 낙상 정보를 수신한다. 수신되는 낙상 정보는 사용자의 최종 낙상 발생 정보, 사용자의 현재 위치 정보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포함한다. The fall
사용자 확인부(320)는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이용해 낙상 정보 데이터 베이스(330)를 검색하여 사용자의 신원을 확인한다. The
낙상 정보 데이터 베이스(330)는 사용자 개인정보 즉, 사용자 개인번호별 인적상항 정보, 건강 정보 및 낙상 시 통보 연락처 등의 정보를 저장한다. The
낙상 통보부(340)는 사용자 확인부(320)에 의해 사용자가 확인되면 대응하는 낙상 시 통보 연락처로 낙상 사실을 통보한다.
The
도 8 은 본 발명에 의한 낙상 제어 서버의 동작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낙상 제어 서버(30)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 예는 전술한 바와 같으므로 여기서는 그 동작 과정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8 is a flowchart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fall control ser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pecific embodiment of the
먼저, 낙상 감지 장치(10)로부터 낙상 정보 및 낙상 부가 정보를 수신한다.(S810) 여기서, 낙상 정보 및 낙상 부가 정보는 사용자의 낙상 발생 정보, 사용자 개인 정보 등을 포함한다. First, fall information and fall-down information are received from the fall detection device 10 (S810). Here, the fall information and fall-down information include a fall occurrence information of a user, user personal information, and the like.
낙상 정보 등이 수신되면, 수신된 낙상 정보의 사용자 개인보호를 이용해 낙상 정보 데이터 베이스를 검색하여 사용자의 신원을 확인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낙상 시 통보 연락처를 검색한다.(S810) When the fall information is received, the fall information database is searched using the personal protection of the received fall information, the identity of the user is confirmed, and at the same time, the alert contact is searched for at the user's fall (S810)
마지막으로 상기 확인된 사용자 부가정보의 낙상시 통보 연락처로 낙상 사실을 통보한다.(S830) Finally, in step S830, the user is notified of the dropping of the user information by the notified contact information.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작성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는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성된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정보저장매체)에 저장되고, 컴퓨터에 의하여 판독되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방법을 구현한다. 그리고 상기 기록매체는 컴퓨터가 판독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기록매체를 포함한다.Meanwhile,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can be written in a computer program. And the code and code segments constituting the program can be easily deduced by a computer programmer in the field. In addition, the created program is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formation storage medium), and is read and executed by a computer to implement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types of recording media readable by a computer.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rawings.
낙상, 가속도, 위치, 가속도 센서, GPSFall, Acceleration, Position, Accelerometer, GPS
Claims (11)
상기 가속도 센서에서 추출되는 가속도 및 기울기 정보를 이용해 특정 행위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행위들의 연속된 패턴을 분석하여 낙상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 의해 낙상이 결정되면 낙상 발생 정보를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낙상 감지 장치.
An acceleration sensor for sensing acceleration and tilt information;
A controller for determining a specific action using the acceleration and tilt information extracted from the acceleration sensor and analyzing a continuous pattern of the determined actions to determine whether to fall;
And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fall occurrence information when the fall is determined by the control unit.
상기 가속도 센서에서 추출된 가속도 및 기울기 정보를 데이터큐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상 감지 장치.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And stores acceleration and tilt information extracted from the acceleration sensor in a data queue.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으로 상기 데이터큐에서 일정 데이터를 불러와 행위판단을 한 후에 행위 큐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상 감지 장치.
3. The apparatus of claim 2, wherein the control unit
Wherein the predetermined data is retrieved from the data queue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and the data is stored in an action queue after a decision is made.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으로 행위큐로부터 일정 개수의 행위 값을 가져와 미리 정의된 행위열 패턴과 비교하여 낙상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상 감지 장치.
4. The apparatus of claim 3, wherein the control unit
Wherein a predetermined number of behavior values are fetched from the behavior queue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and compared with a predefined behavior pattern to determine whether a fall occurs.
상기 가속도 센서는 3 축 가속도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상 감지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cceleration sensor is a three-axis acceleration sensor.
현재 위치 정보를 감지하는 GPS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현재 위치 정보를 낙상 발생 통지와 같이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상 감지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GPS unit for detecting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Wherein the control unit transmits the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s a fall occurrence notification.
상기 제어부에서 낙상이 결정되면 낙상 여부 확인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사용자에 의해 낙상이 없음을 확인하는 신호를 입력하는 버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상 감지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a fall check signal when a fall is determined in the controller; And
Further comprising a button unit for inputting a signal for confirming no fall by the user.
상기 사용자에 의해 긴급 상황을 알리는 신호를 입력하는 긴급버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상 감지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Further comprising an urgent button for inputting a signal indicating an emergency by the user.
상기 감지된 가속도 및 기울기 정보를 이용해 특정 행위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된 행위들의 연속된 패턴을 분석하여 낙상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낙상 여부의 결정에 따라 낙상 발생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상 감지 방법.
Sensing acceleration and tilt information;
Determining a specific action using the sensed acceleration and slope information;
Analyzing a consecutive pattern of the determined actions to determine whether to fall;
And transmitting fall occurrenc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of the fall or fall.
현재 위치 정보를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상 감지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detecting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상기 가속도 및 기울기 정보를 데이터큐에 저장하는 단계;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으로 일정 개수의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큐에서 불러오는 단계;
상기 불러온 데이터를 이용해 특정 행위를 판단하여 행위 큐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상 감지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Storing the acceleration and tilt information in a data queue;
Loading a predetermined number of data from the data queue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Determining a specific action using the loaded data, and storing the determined action in an action queu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94386A KR20170004269A (en) | 2015-07-01 | 2015-07-01 | Apparatus and method for fall-down detec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94386A KR20170004269A (en) | 2015-07-01 | 2015-07-01 | Apparatus and method for fall-down detection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04269A true KR20170004269A (en) | 2017-01-11 |
Family
ID=57833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94386A Withdrawn KR20170004269A (en) | 2015-07-01 | 2015-07-01 | Apparatus and method for fall-down detecti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70004269A (en) |
Cited B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97091A (en) * | 2017-02-22 | 2018-08-30 | 광주과학기술원 | Apparatus and method for estimating fall risk based on machine learning |
KR102002422B1 (en) * | 2018-03-22 | 2019-07-22 |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 Methods and apparatuses for determining and notifying user emergency situation |
KR102038081B1 (en) * | 2018-10-16 | 2019-10-29 | 주식회사 젠다카디언 | Device for detecting fall and rise |
CN110544366A (en) * | 2019-07-31 | 2019-12-06 | 苏州经贸职业技术学院 | Smart Elderly Fall Location and Alarm |
KR102100639B1 (en) * | 2019-05-28 | 2020-04-14 | 주식회사 젠다카디언 | Device for detecting fall and rise |
KR20200114846A (en) * | 2019-03-29 | 2020-10-07 | 주식회사 에스비휴먼텍 | Falldown detecting device |
WO2020230927A1 (en) * | 2019-05-15 | 2020-11-1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Wearabl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KR20210003489A (en) * | 2019-07-02 | 2021-01-12 | 주식회사 엔에스비에스 | Intelligent Mattress Structure |
KR20210049467A (en) * | 2019-10-25 | 2021-05-06 | 롯데정보통신 주식회사 | Fall detection method using smart terminal |
KR20220032662A (en) * | 2020-09-08 | 2022-03-15 | 닥터애니케어 주식회사 | System for providing emergency alarming service using voice message |
KR20220163069A (en) * | 2021-06-02 | 2022-12-09 |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 Hybrid Human Fall Detection Method and System using Wearable Accelerometer and Video-Based Pose Data |
WO2024215177A1 (en) * | 2023-04-12 | 2024-10-17 | 숭실대학교 산학협력단 | Fall detection device and method using fmcw radar |
-
2015
- 2015-07-01 KR KR1020150094386A patent/KR20170004269A/en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97091A (en) * | 2017-02-22 | 2018-08-30 | 광주과학기술원 | Apparatus and method for estimating fall risk based on machine learning |
KR102002422B1 (en) * | 2018-03-22 | 2019-07-22 |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 Methods and apparatuses for determining and notifying user emergency situation |
KR102038081B1 (en) * | 2018-10-16 | 2019-10-29 | 주식회사 젠다카디언 | Device for detecting fall and rise |
KR20200114846A (en) * | 2019-03-29 | 2020-10-07 | 주식회사 에스비휴먼텍 | Falldown detecting device |
WO2020230927A1 (en) * | 2019-05-15 | 2020-11-1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Wearabl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KR102100639B1 (en) * | 2019-05-28 | 2020-04-14 | 주식회사 젠다카디언 | Device for detecting fall and rise |
KR20210003489A (en) * | 2019-07-02 | 2021-01-12 | 주식회사 엔에스비에스 | Intelligent Mattress Structure |
CN110544366A (en) * | 2019-07-31 | 2019-12-06 | 苏州经贸职业技术学院 | Smart Elderly Fall Location and Alarm |
KR20210049467A (en) * | 2019-10-25 | 2021-05-06 | 롯데정보통신 주식회사 | Fall detection method using smart terminal |
KR20220032662A (en) * | 2020-09-08 | 2022-03-15 | 닥터애니케어 주식회사 | System for providing emergency alarming service using voice message |
KR20220163069A (en) * | 2021-06-02 | 2022-12-09 |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 Hybrid Human Fall Detection Method and System using Wearable Accelerometer and Video-Based Pose Data |
WO2024215177A1 (en) * | 2023-04-12 | 2024-10-17 | 숭실대학교 산학협력단 | Fall detection device and method using fmcw radar |
KR20240152031A (en) * | 2023-04-12 | 2024-10-21 |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 Fall detection apparatus and method using FMCW rada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88459B1 (en) | Fall detection device and method | |
KR20170004269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fall-down detection | |
US10485452B2 (en) | Fall detection systems and methods | |
US9959733B2 (en) |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falls | |
Sposaro et al. | iFall: an Android application for fall monitoring and response | |
EP3246888A1 (en) | Paralysis detection and alarming apparatus and processing method thereof | |
KR100929621B1 (en) | Personal emergency alarm system and method | |
CN109407504A (en) | A kind of personal safety detection system and method based on smartwatch | |
EP2704119B1 (en) | Fall detection | |
KR102002422B1 (en) | Methods and apparatuses for determining and notifying user emergency situation | |
JP2010525443A5 (en) | Fall detection system | |
KR101602033B1 (en) | Apparatus for monitoring patients with epilepsy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thereof | |
EP3545824B1 (en) | Method for supporting a user and user device | |
CN101089904A (en) | Method, device and computer product for detecting emergency | |
JP2016526953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the risk of a patient leaving a safe area | |
KR101810783B1 (en) | Sound and Motion Pattern Recognition Based Dangerous Situation Detection and Automatic SOS Request Wearable Device | |
WO2016186160A1 (en) | Image processing system, image processing device, image processing method, and image processing program | |
JP4333603B2 (en) | Fall management server, program, and footwear | |
KR102165513B1 (en) | System for managing patient based on information of biometrics | |
JP2019022592A (en) | Walking assistance device and program | |
CN103021128A (en) | Elderly fall alarm system and method thereof | |
WO2019158954A1 (en) | A wearable alarm device and a method of use thereof | |
Ketabdar et al. | Fall and emergency detection with mobile phones | |
CN119888959A (en) | Fall detection switching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 |
CN111724569B (en) | Alarm method, alarm device and storage mediu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70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