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70002735U - 간편 마늘다지기 식도 - Google Patents

간편 마늘다지기 식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2735U
KR20170002735U KR2020170003787U KR20170003787U KR20170002735U KR 20170002735 U KR20170002735 U KR 20170002735U KR 2020170003787 U KR2020170003787 U KR 2020170003787U KR 20170003787 U KR20170003787 U KR 20170003787U KR 20170002735 U KR20170002735 U KR 2017000273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rlic
knife
chopping
knife body
hole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37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현식
Original Assignee
박현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현식 filed Critical 박현식
Priority to KR20201700037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2735U/ko
Publication of KR2017000273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2735U/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1/00Hand knives combined with other implements, e.g. with corkscrew, with scissors, with writing implement
    • B26B11/006Several functions combined in the bla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2/00Coffee mills; Spice mills
    • A47J42/32Coffee mills; Spice mills with other grinding or pulverising members
    • A47J42/34Coffee mills; Spice mills with other grinding or pulverising members hand driv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3/00Hand knives with fixed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9/00Blades for hand kn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Knives (AREA)

Abstract

본 고안품은 간편 마늘다지기 식도로서 기존의 마늘다지기가 가지고 있는 불편함을 해소하고자 고안하였다. 본 간편 마늘다지기 식도는 칼의 표면에 마늘다짐홀(구멍)을 원형이나 오각 또는 육각의 벌집모양의 홀(구멍)을 뚫어 가공한다.

Description

간편 마늘다지기 식도{KNIFE FOR CHOPPING GARLIC}
본 고안은 간편하게 마늘을 다지는 간편 마늘다지기 식도로서 기존의 마늘 다지기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한 목적으로 고안하였다.
기존의 마늘다지기는 마늘다지기 본체에 마늘을 넣고 그 위의 뚜껑을 손잡이를 잡고 강하게 압착하여 마늘을 다지는 방식이어서 마늘을 다진 후에는 마늘 찌꺼기가 끼기 쉬워 세척시 뾰족한 도구로 마늘 찌꺼기를 긁어내는 등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마늘 찌꺼기가 조금이라도 남으면 그곳에 세균이 발생하는 등 비위생적이기도 하다. 그리고 장시간 사용하다 보면 부식이 진행되어 내구성 또한 떨어진다.
본 고안품은 이와 같은 불편함을 해소하고자 칼의 표면에 마늘다지기 구멍을 뚤어 간편하고 빠르고 조용하게 그리고 위생적으로 마늘을 다질 수 있다.
본 고안품은 사용의 편리함을 극대화 시켰다. 따라서 다음 내용에서도 편리함을 강조하였다.
본 고안품은 조리용 식칼로서 조리 중 매우 깔끔하고 간편하게 다른 기구의 필요없이, 오로지 칼 자체만으로 편리하게 마늘을 다지는 기능을 가진 식칼이다. 요리가 가능한 사람이라면 누구나 사용이 가능하며 매우 편리한 기능을 갖고 있는 주방용 식칼이다. 실제로 많은 요리사나 주부들이 요리를 하는 중에 마늘을 다질 때 큰 불편함을 안고 있는 건 사실이다. 그래서 그때그때 다지는 것이 귀찮아서 많은 양의 마늘을 한꺼번에 찧거나 갈아 냉장고에 보관해 놓고 쓴다거나 냉동실에 얼려 놓고 조금씩 뜯어서 쓰고 있는게 현실이다. 그렇다 보니 마늘이 상하거나 색이 갈변하고 맛이나 향 또한 변하는 등 마늘 본연의 맛과 향을 잃어버려 음식조차도 감칠맛을 살릴 수가 없다.
본 고안품이라면 그 불편함을 속 시원히 해결하여 싱싱한 마늘을 그때그때 간편하게 다저서 감칠맛나고 풍미 깊은 요리를 만들 수 있게 해준다. 본 아이디어는 칼의 디자인 또한 다양하게 적용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기존의 마늘 다지기는 마늘을 다지고 난 후에 마늘 찌꺼기가 끼므로 2차적으로 뾰족한 도구를 이용하여 다지기에 낀 마늘 찌꺼기를 긁어내고 다시 행구고 하는 등의 불편함이 있었다.
또는 식도의 손잡이 끝부분으로 마늘을 다지는 방식이었으나 그 또한 소음이 심하여 문제가 발생되기도 했다. 그러나 본 고안품은 그와 같은 마늘다지기가 별도로 필요 없이 칼 자체만으로도 매우 편리하게 마늘을 다질 수 있게 고안되었다.
본 발명품은 가공 과정 또한 간단하다. 레이저나 워터젯 가공을 통해 이미 가공된 식도의 표면에 약 40 ~ 50개의 구멍을 뚫어 가공한다. 식도의 재질은 특수 합금강이나 스텐레스 판넬을 이용한다. 구멍 모양은 원형이나 육각형의 벌집모양을 지그재그로 배열하여 뚫는다.
간편 마늘다지기 식도의 강판은 1.5T 두깨의 특수합금강이나 스텐레스 합금강으로 제작하여야 하되 칼부분과 손잡이(플라스틱으로 제작 금지)를 따로 분류하지 말고 손잡이와 칼부분이 연결된 하나의 완성체로 제작하여야 한다. 장기간 사용시 손잡이 부분의(플라스틱 부분의) 파손을 방지 하기 위함이다. 상기 식도의 마늘 다지기 홀은 칼의 5분의 2지점에 두어 제작하여야 한다. 식도의 사용시 홀에 의한 손가락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 그 가공은 레이저로 하되 표면 연마로 마무리 작업하여 가공한다. 표면 연마는 모래연마나 혹은 전해연마로 할 수 있다. 워터젯 가공은 별도의 표면 연마가 필요 없다.
아래 란에 시제품 및 셈플과 시연장면을 사진으로 명시하였다.
세계에 마늘을 먹지 않는 사람 없고, 마늘이 없는 나라도 없다.
많은 나라의 많은 사람들이 수없이 많은 요리와 메뉴에 마늘을 필수 양념 재료로 사용하고 있다. 본 발명품은 이렇게 수많은 사람들의 불편함을 해소하고자 본 간편 마늘다지기 식도를 고안하였다. 또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음식조리시 칼손잡이로 마늘을 찧거나 또 다른 마늘 다지기 없이, 쓰고 있는 식도만으로 마늘을 곧바로 간단히 다지므로 기존의 마늘 다지기가 가지고 있는 불편함을 해소하고자 본 발명품을 고안하게 되었다.
도면을 사진으로 찍어 올렸다. 도면상에 간단한 설명을 명시 하였다. 본 간편 마늘다지기 식도는 1.5T 나 2T 두깨의 칼 표면에 2.5Ø 또는 3Ø크기의 원형이나 또는 오각형, 육각형의 벌집모양의 40개 ~ 50개의 홀(구멍)을 뚫어 가공한다.
1.5T 나 2T 두깨의 칼 표면에 2.5Ø 또는 3Ø크기의 원형이나 또는 육각형, 오각형의 벌집모양의 구멍 40개 ~ 50개를 레이저나 워터젯 가공을 이용하여 뚫은뒤 표면 연마하여 가공한다. 가공 단가가 약간 비싸긴 하나 워터젯으로도 가공 가능하다.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편 마늘다지기 식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과 사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편 마늘다지기 식도(1000)는 칼본체(100), 슴베(200), 손잡이(300) 및 마늘 통과부(400)를 포함한다.
칼본체(100)는 저면에 칼날부(120)가 형성되어 있고, 소정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칼본체(100)의 두께는 1.5 내지 2T이다.
슴베(200)는 칼본체(100)의 윗부분 후단에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300)에는 슴베(200)가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마늘 통과부(400)는 칼본체(100)의 측면에 형성되며, 칼본체(100)의 모서리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곳에 형성된다. 예를 들면, 마늘 통과부(400)는 칼본체(100)의 모서리로부터 칼본체(100) 길이의 2/5배되는 거리만큼 이격된 곳에 형성될 수 있다.
칼본체(100)의 모서리는 일반적인 칼의 뾰족한 부분(모서리)를 의미할 수 있다.
마늘 통과부(400)는 복수 개의 홀을 포함하고, 복수 개의 홀은 서로 근접하게 배치되어 하나의 그룹을 형성한다. 복수 개의 홀은 원형, 오각형 및 육각형 중 하나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복수 개의 홀의 지름은 2.5 내지 3Ø이고, 복수 개의 홀의 개수는 40 내지 50개이다.
기존 플라스틱으로 제작된 손잡이의 경우 장기간 사용시 파손될 염려가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편 마늘다지기 식도(1000)의 경우 칼본체(100), 슴베(200) 및 손잡이(300)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특수함금강이나 스텐레스 합금강을 이용하여 일체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늘이 마늘 통과부(400)를 통과하는 경우에 마늘이 다져지며, 예를 들면 사용자가 마늘 상에 마늘 통과부(400)를 배치한 후 마늘이 있는 방향으로 마늘 통과부(400)를 밀어주게 되면 마늘이 마늘 통과부(400)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 개의 홀에 의하여 다져지게 된다.
이와 같은 간편 마늘다지기 식도(1000)는 칼본체(100) 측면에 마늘 통과부(400)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마늘을 다지기 위한 별도의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식도 하나만으로도 마늘을 다질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며, 칼본체(100)를 물 또는 행주로 손쉽게 세척할 수 있어 위생적으로 관리하기가 매우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1 - 간편 마늘다지기 식도 개념도.
도2 - 간편 마늘다지기 식도에 적용될 마늘다지기 홀의 구체 설계도.
도3 - 사진1 - 시제품으로 만든 간편 마늘다지기 식도.
도4 - 사진2 - 간편 마늘다지기 식도 시제품과 마늘다지기 샘플(원형 홀과 육각의 벌짚모양 샘플)
도5 - 사진3 - 간편 마늘다지기 식도에 사진과 같이 샘플을 적용시킴.
도6 - 사진4 - 마늘 다지기 시연.
도7 - 사진5 - 마늘 다지기 샘플중 원형홀의 샘플로 여러개의 마늘을 연속 다지기 시연.
도8 - 사진6 - 육각의 벌집모양홀의 샘플로 마늘 다지기 시연.

Claims (1)

  1. 저면에 칼날부가 형성된 소정 형상의 칼본체;
    상기 칼본체의 윗부분 후단에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슴베; 및
    상기 슴베가 끼워져 고정되는 손잡이를 포함하고,
    상기 칼본체의 모서리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상기 칼본체의 측면에 마늘 통과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마늘 통과부는 복수 개의 홀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홀은 서로 근접하게 배치되어 하나의 그룹을 형성하며, 상기 홀의 형상은 원형, 오각형 및 육각형 중 하나의 형상을 가지고 있고,
    상기 칼본체의 두께는 1.5 내지 2T이며, 상기 홀의 지름은 2.5 내지 3Ø이고, 상기 홀의 개수는 40 내지 50개이며,
    상기 칼본체, 상기 슴베 및 상기 손잡이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마늘이 상기 마늘 통과부를 통과하는 경우에 상기 마늘이 다져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편 마늘다지기 식도.
KR2020170003787U 2017-07-20 2017-07-20 간편 마늘다지기 식도 Ceased KR2017000273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3787U KR20170002735U (ko) 2017-07-20 2017-07-20 간편 마늘다지기 식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3787U KR20170002735U (ko) 2017-07-20 2017-07-20 간편 마늘다지기 식도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3370A Division KR20170067017A (ko) 2015-12-07 2015-12-07 간편 마늘다지기 식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735U true KR20170002735U (ko) 2017-07-31

Family

ID=59399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3787U Ceased KR20170002735U (ko) 2017-07-20 2017-07-20 간편 마늘다지기 식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2735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4411A (ko) 2017-09-23 2019-04-02 김상우 자동 칼
CN110625645A (zh) * 2019-09-28 2019-12-31 裴学华 专用剁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4411A (ko) 2017-09-23 2019-04-02 김상우 자동 칼
CN110625645A (zh) * 2019-09-28 2019-12-31 裴学华 专用剁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42118B2 (en) Apparatus designed for the fileting of fish
US8584365B2 (en) Multifunctional knife accessory
US7862408B1 (en) Meat tenderizer with disposable face plates
US3091339A (en) Food cleaner type strainer pan
US1991871A (en) Eating implement
KR20170002735U (ko) 간편 마늘다지기 식도
US20090072464A1 (en) Double-sided cutting board
US20170156526A1 (en) Disposable Relish Spoon
US20060200994A1 (en) Multi-purpose cooking utensil
US3494397A (en) Eggshell cracker
US8495952B2 (en) Skewered food removal device
KR20170067017A (ko) 간편 마늘다지기 식도
US8661958B2 (en) Device for manually perforating a sheet of aluminum foil and a method of use
US11793359B2 (en) Scoop-spatula
KR200426255Y1 (ko) 칼치 털을 뽑는 포크
US5988046A (en) Deep frying and serving implement
KR102577884B1 (ko) 버덕요리용 조리기구
JP3129545U (ja) 調理用漉掬い
US10772338B2 (en) Shelter (TM) seafood multi tool
KR200321839Y1 (ko) 마늘세절기
KR20100003726U (ko) 마늘 절편기
CN101129170A (zh) 换膜式除油瓢
JP3190433U (ja) 調理用ざる
KR20060015229A (ko) 칼갈이와 양념찍기가 부착된 도마
JP3039147U (ja) まな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5 Converted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720

Patent event code: UA01011R05D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Conversion into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Application number text: 1020150173370

Filing date: 20151207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70731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U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E06011S01D

Patent event date: 20171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