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70002376A - Foundation garment - Google Patents

Foundation gar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2376A
KR20170002376A KR1020167027187A KR20167027187A KR20170002376A KR 20170002376 A KR20170002376 A KR 20170002376A KR 1020167027187 A KR1020167027187 A KR 1020167027187A KR 20167027187 A KR20167027187 A KR 20167027187A KR 20170002376 A KR20170002376 A KR 201700023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ist
wearer
main body
pressing
circumferential direc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718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유키 카쿠타니
마사요 이노우에
아이 야마모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와코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와코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와코르
Publication of KR201700023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2376A/en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1/00Corsets or girdl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1/00Corsets or girdles
    • A41C1/003Panty-girdl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1/00Corsets or girdles
    • A41C1/02Elastic corse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1/00Corsets or girdles
    • A41C1/12Component part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2Underw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rsets Or Brassieres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 Undergarments, Swaddling Clothes, Handkerchiefs Or Underwear Materials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보텀 의류(1)에서는 착용자에게 착압을 부여하는 누름부(21)가 웨이스트부(11)의 상측에 배치되어 있다. 누름부(21)에서는 본체부(2) 앞측에 위치하는 제 1 부분(22)의 둘레 방향의 신장률이 가장 낮게 되어 있는 한편, 본체부(2)의 뒷측에 위치하는 제 3 부분(24)의 둘레 방향의 신장률이 가장 높게 되어 있다. 또한, 누름부(21)에서는 본체부(2)의 옆측에 위치하는 제 2 부분(23)의 굽힘 강성이 가장 높게 되어 있다.In the bottom garment 1, a pressing portion 21 for giving a pressure to the wearer is disposed above the waist portion 11. As shown in Fig. The pressing portion 21 has the lowest extension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irst portion 22 located at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2 and the lowest portion of the third portion 24 located at the rear 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2 The elongation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the highest. In the pressing portion 21, the bending rigidity of the second portion 23 located on the 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2 is the highest.

Description

보텀 의류{FOUNDATION GARMENT}{FOUNDATION GARMENT}

본 발명은 보텀 의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ttom garment.

종래, 웨이스트 주위를 중심으로 착용자의 체형을 보정하는 보텀 의류가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보텀 의류는 일반적으로 강한 착압을 착용자의 웨이스트 주위에 부여하여, 복부부터 허리부 근처를 압박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었다. 그래서, 웨이스트 주위의 착용감을 확보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거들에서는 복부 압박변 양옆에 주된 옷감보다 신축성이 높은 역삼각형상의 신축성 편지(編地)편을 배치하고 있다. 또한, 예를 들면 특허문헌 2에 기재된 거들에서는 웨이스트부 주위에 신축 벨트를 배치하고, 신축 벨트의 양옆부를 전후부보다 폭을 넓게 함과 아울러 신장도를 낮게 하고 있다.BACKGROUND ART [0002] Conventionally, a bottom garment for correcting a wearer's body shape around a waist is known. Such a bottom garment generally has a structure in which a strong pressure is applied around the waist of the wearer to press the waist from the abdomen. As a structure for securing a feeling of fit around the waist, for example, in the girdle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a stretchable letter (knitted fabric) piece in an inverted triangle shape having higher elasticity than the main fabric is arranged on both sides of the abdomen pressing side. Further, for example, in the girdle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2, a stretchable belt is arranged around the waist portion, both sides of the stretchable belt are wider than the front and rear portions, and the stretchability is lowered.

일본 특허 제 4386992호 공보Japanese Patent No. 4386992 일본 실용신안등록 제 3123552호 공보Japanese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3123552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보텀 의류에서는 착용 후에 일상의 동작을 행했을 때에 웨이스트 주위에 옷매무새가 흐트러지는 일이 발생할 경우가 있다. 웨이스트 주위의 옷매무새가 흐트러짐에 의해 보텀 의류의 웨이스트부에 뭉침이나 꺾임이 발생하면, 웨이스트부에 착용자의 군살이 올라가서 바디 라인이 무너져버릴 우려가 있다. 특히, 강한 착압을 착용자의 웨이스트 주위에 부여하는 종래의 보텀 의류에서는 웨이스트부가 착용자의 군살에 파고들기 쉬워, 웨이스트 주위에 단차가 생긴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bottom garment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 case where the garment is scattered around the waist when the daily operation is performed after wearing. If the garment of the clothes around the waist is disturbed and the waste portion of the bottom garment is clumped or ben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body line is collapsed due to clogging of the wearer on the waist portion. Particularly, in the conventional bottom garment, in which a strong pressure is applied around the waist of the wearer, the waist portion tends to dig into the wearer's skin and a problem may arise that a step is formed around the waist.

이 점에 대해, 보텀 의류의 웨이스트 길이를 길게 해서 하이웨이스트형으로 하면, 웨이스트 주위의 옷매무새 흐트러짐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단순히 웨이스트 길이를 길게 하면, 보텀 의류가 대형화해서 디자인상의 제한을 받기 쉬워져 착탈 용이성도 저하해 버리는 것이 생각된다.With respect to this point, if the waist length of the bottom garment is made longer to make the cloth high-waist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garment fretting around the waist. However, if the waist length is simply made longer, the bottom garment becomes larger, which tends to limit the design, and the ease of attaching and detaching will be lowered.

본 발명은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체형 보정 효과와 착탈 용이성을 충분하게 확보하면서 착용시의 옷매무새가 흐트러지는 것을 억제하여 바디 라인을 유지할 수 있는 보텀 의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ottom garment capable of maintaining a body line while suppressing disturbance of garment hitting at the time of wearing while sufficiently securing the body-type correcting effect and detachability.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해서,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한 보텀 의류는 웨이스트부를 갖는 본체부와, 웨이스트부의 상측에서 웨이스트부의 둘레 방향을 따라 배치된 누름부를 구비하고, 누름부는 본체부 앞측에 위치하는 제 1 부분과, 본체부의 옆측에 위치하는 제 2 부분과, 본체부의 뒷측에 위치하는 제 3 부분을 갖고, 제 1 부분의 둘레 방향의 신장률을 A1, 제 2 부분의 둘레 방향의 신장률을 A2, 제 3 부분의 둘레 방향의 신장률을 A3이라고 했을 경우에 A1<A2<A3의 관계를 만족시키고, 제 1 부분의 폭 방향의 굽힘 강성을 B1, 제 2 부분의 폭 방향의 굽힘 강성을 B2, 제 3 부분의 폭 방향의 굽힘 강성을 B3이라고 했을 경우에 B1<B2이고 B3<B2의 관계를 만족시킨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bottom garment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portion having a waist portion and a pressing portion dispos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waist portion from above the waist portion, A second portion located on the 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a third portion located on the rear 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wherein the first portion has a circumferential extension ratio A1, the second portion has a circumferential extension ratio A2, The bending rigidity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rst portion is B1, the bending rigidity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econd portion is B2, and the bending rigidity of the third portion is A3. And the bending rigidity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portion is B3, the relation of B1 < B2 and B3 < B2 is satisfied.

이 보텀 의류에서는 착용자에게 착압을 부여하는 누름부가 웨이스트부의 상측에 배치되어 있다. 누름부에서는 본체부 앞측에 위치하는 제 1 부분의 둘레 방향의 신장률이 가장 낮게 되어 있어, 착용자의 복부 주변을 확실히 압박해서 체형 보정 효과를 발휘하는 한편, 본체부의 뒷측에 위치하는 제 3 부분의 둘레 방향의 신장률이 가장 높게 되어 있어, 착탈 용이성과 착용자의 운동에 대한 추종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누름부에서는 본체부의 옆측에 위치하는 제 2 부분의 굽힘 강성이 가장 높게 되어 있어, 착용자가 일상의 동작을 행했을 때에 제 2 부분이 외측으로 구부러져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보텀 의류에서는 체형 보정 효과와 착탈 용이성을 충분하게 확보하면서, 착용시의 옷매무새의 흐트러짐을 억제해서 바디 라인을 유지할 수 있다.In this bottom garment, a pressing portion for giving a pressure to the wearer is disposed above the waist portion. In the pressing portion, the elongation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irst portion positioned on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is the lowest, so that the effect of correcting the shape of the wearer's abdomen is reliably exerted, while the peripheral portion of the third portion So that the ease of detachment and follow-up of the wearer's motion can be ensured. Further, the bending rigidity of the second portion positioned on the side of the body portion is the highest in the pressing portion,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econd portion from bending outward when the wearer performs the normal operation. Therefore, in this bottom garment, the body line can be maintained by suppressing disturbance of the dressing at the time of wearing while sufficiently securing the body-type correction effect and detachability.

또한, 제 2 부분은 본체부의 옆 중심을 넘어서 뒷측까지 연장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착용자가 운동했을 때에 제 2 부분이 외측으로 구부러져 버리는 것을 한층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The second portion may extend beyond the lateral center of the body portion to the rear side.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more reliably prevent the second portion from bending outwardly when the wearer moves.

또한, 제 1 부분과 제 2 부분이 연속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착용자가 운동했을 때에 제 2 부분이 외측으로 구부러져 버리는 것을 한층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Further, the first portion and the second portion may be continuous.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more reliably prevent the second portion from bending outwardly when the wearer moves.

또한, 제 2 부분과 제 3 부분이 연속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제 3 부분에 의한 착용자의 운동에 대한 추종성을 한층 효과적으로 발휘시킬 수 있다.Further, the second portion and the third portion may be continuous. In this case, the followability of the wearer's motion by the third portion can be more effectively exerted.

(발명의 효과)(Effects of the Invention)

이 보텀 의류에 의하면, 체형 보정 효과와 착탈 용이성을 충분히 확보하면서, 착용시의 옷매무새의 흐트러짐을 억제하여 바디 라인을 유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bottom garment,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body line while suppressing disturbance of the garment appearance at the time of worn while sufficiently securing the body-type correction effect and detachability.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보텀 의류의 일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보텀 의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보텀 의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낸 보텀 의류의 배면도이다.
도 5는 누름부의 제 2 부분을 잘라내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누름부의 제 2 부분의 단면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7은 누름부의 제 3 부분의 단면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8의 (a)는 변형예에 의한 제 2 부분의 단면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며, (b)는 변형예에 의한 제 3 부분의 단면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one embodiment of a bottom gar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view of the bottom garment shown in Fig.
Figure 3 is a side view of the bottom garment shown in Figure 1;
4 is a rear view of the bottom garment shown in Fig.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econd part of the pressing part cut away. Fig.
6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ectional configuration of a second portion of the pressing portion;
7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ectional configuration of a third portion of the pressing portion;
FIG. 8A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ectional configuration of a second part according to a modification, and FIG. 8B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ectional configuration of a third part according to a modification. FIG.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한 보텀 의류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bottom garment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보텀 의류의 일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보텀 의류의 정면도이고, 도 3은 그 측면도이며, 도 4는 그 배면도이다. 도 1~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한 보텀 의류(1)는 예를 들면, 여성용의 거들로서 구성되어, 착용자의 웨이스트 주변의 바디 라인을 보정하는 체형 보정 기능을 갖고 있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bottom gar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view of the bottom garment shown in Fig. 1, Fig. 3 is a side view thereof, and Fig. 4 is a rear view thereof. As shown in Figs. 1 to 4, the bottom garment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stituted, for example, as a female girdle, and has a body shape correcting function for correcting a body line around the wearer's waist.

보텀 의류(1)는 착용 상태에 있어서, 예를 들면 착용자의 복부, 허리부, 가랑이부, 둔부, 및 대퇴부를 덮도록 형성된 본체부(2)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부(2)는 예를 들면, 착용자의 웨이스트 라인(허리가 가장 잘록한 부분)에 대응하는 웨이스트부(11)와, 착용자의 다리부를 통과시키는 좌우의 옷자락부(12)와, 착용자의 가랑이 사이에 대응하는 가랑이부(13)를 갖고 있다.The bottom garment 1 is provided with a main body portion 2 formed to cover, for example, the wearer's abdomen, waist, crotch, buttocks, and thighs in a wear state. The main body portion 2 includes, for example, a waist portion 11 corresponding to a waist line of the wearer (the portion where the waist is most constricted), right and left hem portions 12 through which the leg portion of the wearer passes, And a crotch part 13 corresponding to the crotch part 13.

또한, 본체부(2) 앞측에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착용자의 복부로부터 가랑이부에 걸쳐서 할당되는 프론트부(14)가 형성되고, 본체부(2)의 웨이스트부(11) 주위에는 프론트부(14)의 양옆으로부터 본체부(2)의 뒤 중심(B)(도 4 참조) 위치에 걸쳐 상변부(15)가 형성되어 있다. 프론트부(14)는 예를 들면, 본체부(2) 앞 중심(A)의 위치를 중심으로 해서 웨이스트부(11)로부터 가랑이부(13)에 걸쳐서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프론트부(14)의 상측은 웨이스트부(11)로부터 상변부(15)의 하단 부근에 걸쳐서 좌우 폭이 점점 넓어져, 상변부(15) 하단의 약간 하측에서 최대폭으로 되어 있다. 프론트부(14)의 하측은 좌우 폭이 점점 좁아지고, 프론트부(14)의 하단은 가랑이부(13)의 좌우 폭과 대략 동일하게 가랑이부(13)에 연결되어 있다.2, a front portion 14 allocated from the abdomen to the crotch portion of the wearer is formed and a waist portion 11 around the waist portion 11 of the body portion 2 is provided, An upper portion 15 is formed from both sides of the front portion 14 to the rear center B of the body portion 2 (see FIG. 4). The front portion 14 is arrang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waist portion 11 from the waist portion 11 to the crotch portion 13 with the position of the center A in front of the main body portion 2 as the center. The width of the upper portion of the front portion 14 is gradually widened from the waist portion 11 to the vicinity of the lower end of the upper portion 15 and becomes the maximum width slightly below the lower end of the upper portion 15. [ The lower end of the front portion 14 is connected to the crotch portion 13 in substantially the same width as the width of the crotch portion 13. The width of the front portion 14 is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front portion 14,

상변부(15)는 웨이스트부(11) 주위에 띠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상변부(15)의 하단측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부(2)의 측면측에서 보았을 경우에 상방으로 볼록해지도록 완만하게 만곡하고 있고, 좌우의 상변부(15, 15)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부(2)의 뒤 중심(B)의 위치에서 서로 연결되어 있다. 상변부(15)의 이면측(착용자의 피부측)에는,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변부(15)와 대략 같은 형상의 덧댐천(16)이 배치되어 있다.The upper portion 15 is arranged in a band around the waste portion 11. [ As shown in Fig. 3,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upper side portion 15 is curved so as to be convex upward when viewed from the 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2. The upper side portions 15, And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t the position of the rear center B of the main body portion 2 as shown in Fig. As shown in Fig. 1, for example, an overlying cloth 16 having substantially the same shape as that of the upper side portion 15 is disposed on the back side of the upper side portion 15 (on the skin side of the wearer).

프론트부(14)는 착용자의 복부를 압박해서 단단히 조이는 부분으로, 예를 들면 원웨이 새틴 파워넷, 원웨이 러셀 등의 소재에 의해 형성되고, 적어도 좌우 방향의 비(난)신축성을 갖고 있다. 또한, 가랑이부(13)는 예를 들면 더블 러셀, 울리 파워넷, 천축 등의 소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변부(15)는 착탈 용이성 등을 확보하는 관점에서, 예를 들면 투웨이 새틴 파워넷, 파워넷 등의 신축성을 갖는 소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덧댐천(16)은 예를 들면 파워넷, 투웨이 새틴 파워넷 등의 신축성을 갖는 소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본체부(2) 중, 프론트부(14), 가랑이부(13), 상변부(15), 및 프론트부(14)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착탈 용이성이나 밀착성 등을 확보하는 관점에서, 예를 들면 투웨이 러셀, 투웨이 트리콧, 파워넷 등의 신축성을 갖는 소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The front portion 14 is a portion for tightening and tightening the abdomen of the wearer, for example, made of a material such as a one-way satin power net or a one-way russel, and has at least a left-right non-stretchability. The crotch part 13 is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a double russel, a woolly power net or a sheath. On the other hand, the upper portion 15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such as two-way satin power net or power net from the viewpoint of securing ease of attachment and detachment. The overlapped cloth 16 is formed of a stretchable material such as, for example, PowerNet or Two Way Satin Powernet. From the viewpoint of ensuring ease of attachment and detachment and adhesion, the remaining portions of the main body portion 2 excluding the front portion 14, the crotch portion 13, the upper side portion 15 and the front portion 14 are, for example, Two-way russel, two-way tricot, power net, and the like.

또한, 보텀 의류(1)는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착용자에게 착압을 부여하는 누름부(21)를 갖고 있다. 누름부(21)는 웨이스트부(11)의 상측에서 웨이스트부(11)의 둘레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예를 들면 착용자의 웨이스트 라인으로부터 제 3 요추에 상당하는 높이까지를 덮도록 소정 폭의 띠상을 이루고 있다. 누름부(21)가 제 3 요추에 상당하는 높이까지의 범위를 덮도록 구성되어 있음으로써 착탈의 용이함도 확보하면서, 웨이스트 주위를 광범위하게 보정할 수 있다. 또한, 누름부(21)가 착용자의 늑골에 간섭하는 것도 회피할 수 있어, 착용감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1, the bottom garment 1 has a pressing portion 21 for giving a pressure to the wearer. The pressing portion 21 is dispos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waist portion 11 on the upper side of the waist portion 11. The pressing portion 21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aist portion 11 so as to cover from the waist line of the wearer to the height corresponding to the third lumbar vertebra, . Since the pressing portion 21 covers the range up to the height corresponding to the third lumbar vertebrae, the periphery of the waist can be corrected in a wide range while ensuring easy detachment and detachment. Further, it is also possible to avoid interference of the pressing portion 21 with the frame of the wearer, and the wearing feeling can be improved.

누름부(21)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체부(2) 앞측에 위치하는 제 1 부분(22)(도 2 참조)과, 본체부(2)의 옆측에 위치하는 제 2 부분(23)(도 3 참조)과, 본체부(2)의 뒷측에 위치하는 제 3 부분(24)(도 4 참조)을 갖고 있다. 제 1 부분(22)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부(2) 앞 중심(A)의 위치를 중심으로 해서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고, 프론트부(14)의 상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 1 부분(22)은 예를 들면, 프론트부(14)를 형성하는 소재를 연장시켜 상단을 이면측으로 되접어 꺾음과 아울러, 되접어 꺾은 단부(14a)(도 5 참조)를 재봉부(W1)에 의해 웨이스트부(11)의 위치에 재봉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2) positioned on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2 and a second portion 23 (also shown in Fig. 2) located on the 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2. The pressing portion 21 includes a first portion 22 3), and a third portion 24 (see FIG. 4) located on the rear 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2. 2, the first portion 22 is arrang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position of the center A in front of the main body portion 2 and extends to the upper side of the front portion 14. As shown in Fig. The first portion 22 is formed by, for example, extending the work forming the front portion 14, folding the upper end backward and folding the folded end portion 14a (see Fig. 5) To the position of the waist portion 11. As shown in Fig.

제 2 부분(23)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부분(22)과 제 3 부분(24) 사이에서 상변부(15)의 상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 2 부분(23)의 일단측은 본체부(2) 앞측에서 제 1 부분(22)에 연속되고, 제 2 부분(23)의 타단측은 본체부(2)의 옆 중심(C)을 넘어서 뒷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 제 2 부분(23)의 타단측은 착용 상태에 있어서, 착용자의 뒤 겨드랑이선(옆부의 후단을 지나는 상하의 선)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econd portion 23 extends upward of the upper portion 15 between the first portion 22 and the third portion 24 as shown in Fig. One end side of the second portion 23 is continuous to the first portion 22 from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2 and the other end side of the second portion 23 extends beyond the side center C of the main body portion 2, Is located. It is preferable that the other end side of the second portion 23 is located on the back side line of the wearer (upper and lower lines passing through the rear end of the side portion) in the wearing state.

이 제 2 부분(23)은,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표면측의 상변부(15)를 형성하는 소재의 상단을 덧댐천(16)을 사이에 두고 이면측으로 되접어 꺾음과 아울러, 표면측의 상변부(15)와 덧댐천(16)의 사이에 띠상의 고무 테이프(또는 스트레치 테이프)(25)를 배치하고, 재봉부(W2)에 의해 고무 테이프(25)의 둘레 가장자리부를 상변부(15)의 되접어 꺾은 부분(15a)과 함께 덧댐천(16)에 재봉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5 and 6, for example, the upper portion of the material forming the upper side portion 15 on the front side is folded back to the back side with the overlaid cloth 16 therebetween (Or stretch tape) 25 is disposed between the upper side portion 15 on the front surface side and the overlaid cloth 16 and the rubber tape 25 is stretched by the sewing portion W2, And sewing the circumferential edge portion to the overlaid cloth 16 together with the folded portion 15a of the upper side portion 15.

제 3 부분(24)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본체부(2)의 뒤 중심(B)의 위치를 중심으로 해서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고, 상변부(15)의 상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 3 부분(24)의 일단측은 제 2 부분(23)의 타단측에 연속되고, 제 3 부분(24)의 타단측은 뒤 중심(B)의 위치에서 다른쪽의 제 3 부분(24)의 타단측에 연속되고 있다.4, the third portion 24 is dispos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position of the rear center B of the main body portion 2, for example, and extends toward the upper side of the upper side portion 15 . One end side of the third portion 24 is continuous to the other end side of the second portion 23 and the other end side of the third portion 24 is connected to the third portion 24 of the other side And is continuous on one side.

이 제 3 부분(24)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표면측의 상변부(15)를 형성하는 소재의 상단을 덧댐천(16)의 이면측으로 되접어 꺾음과 아울러, 재봉부(W3)에 의해 되접어 꺾은 부분(15a)의 단부를 웨이스트부(11)의 위치에 있어서 덧댐천(16)에 재봉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누름부(21)에 차지하는 제 3 부분(24)의 범위는, 예를 들면 누름부(21)의 전체 둘레를 100%라고 했을 경우에, 20%~4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7, the third portion 24 is formed by, for example, folding back the upper end of the material forming the upper side portion 15 on the front side toward the back side of the overlying cloth 16, And the end portion of the folded portion 15a is sewn to the overlaid cloth 16 at the position of the waste portion 11 by the folded portion W3. The third portion 24 occupying the pressing portion 21 preferably has a range of about 20% to 40%, for example, when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pressing portion 21 is 100%.

상술한 구성에 의해, 누름부(21)의 제 1 부분(22), 제 2 부분(23), 및 제 3 부분(24)은 서로 다른 둘레 방향의 신장률 및 폭 방향의 굽힘 강성을 갖고 있다. 즉, 누름부(21)에서는 제 1 부분(22)의 둘레 방향의 신장률을 A1, 제 2 부분(23)의 둘레 방향의 신장률을 A2, 제 3 부분(24)의 둘레 방향의 신장률을 A3이라고 했을 경우에 A1<A2<A3의 관계를 만족시키게 되어 있다.The first portion 22, the second portion 23 and the third portion 24 of the pressing portion 21 have different elongation ratio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bending rigidity in the width direction. That is, in the pressing portion 21, the extension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irst portion 22 is A1, the extension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econd portion 23 is A2, and the extension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third portion 24 is A3 , The relationship A1 <A2 <A3 is satisfied.

또한, 제 3 부분(24)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변부(15)를 형성하는 소재의 상단을 이면측으로 되접어 꺾음과 아울러, 되접어 꺾은 단부를 웨이스트부(11)의 위치에서 재봉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 3 부분(24)의 신장률은 상변부(15)의 신장률에 비해서 작게 되어 있다.The third portion 24 is formed by folding the upper end of the material forming the upper side portion 15 back to the back side and sewing the folded end portion at the position of the waste portion 11 as described above . Therefore, the elongation percentage of the third portion 24 is smaller than the elongation percentage of the upper portion 15.

또한, 누름부(21)에서는 제 1 부분(22)의 폭 방향의 굽힘 강성을 B1, 제 2 부분(23)의 폭 방향의 굽힘 강성을 B2, 제 3 부분(24)의 폭 방향의 굽힘 강성을 B3이라고 했을 경우에 B1<B2 이고 B3<B2의 관계를 만족시키게 되어 있다. 또한, B1과 B3의 관계에 대해서는 B3<B1으로 되어 있어도 좋고, B1<B3으로 되어 있어도 좋다.The bending rigidity of the first portion 22 in the width direction is B1, the bending rigidity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econd portion 23 is B2, the bending rigidity of the third portion 24 in the width direction B2 < B2 &gt; and B2 < B2 are satisfied. The relation between B1 and B3 may be B3 < B1 or B1 &lt; B3.

제 1 부분(22), 제 2 부분(23), 및 제 3 부분(24)의 둘레 방향의 신장률A1~A3은 예를 들면,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즈 세이사쿠쇼제 오토그래프 AG-I500N을 이용하여 측정했다. 이 신장성 시험을 행할 경우, 제 1 부분(22), 제 2 부분(23),및 제 3 부분(24)을 폭 3㎝로 잘라내고, 집기 간격을 10㎝로 해서 시험기에 셋트하고, 300㎜±20㎜/min의 속도로 22.1N(2.25kgf)까지 하중을 가하여 하중 14.71N(1.5kgf) 부가시의 신장률을 측정한다. 신장률(%)은 원래의 길이를 L0, 하중 부가시의 길이를 L1이라고 했을 경우에, ((L1-L0)/L0)×100으로 산출한다.The elongations A1 to A3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irst portion 22, the second portion 23 and the third portion 24 are measured using Autograph AG-I500N manufactured by Shimadzu Seisakusho Co., did. In this extensibility test, the first portion 22, the second portion 23, and the third portion 24 were cut into 3 cm wide, set in a tester with a collector interval of 10 cm, and set to 300 Apply a load of 22.1N (2.25kgf) at a speed of mm ± 20mm / min and measure the elongation at the load of 14.71N (1.5kgf). The elongation percentage (%) is calculated as ((L1-L0) / L0) x100 when the original length is L0 and the length at the time of the load addition is L1.

본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면 A1=18%, A2=53%, A3=94%로 되어 있다. A1은, 예를 들면 10% 이상 25% 미만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A2는, 예를 들면 25% 이상 75% 미만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A3은, 예를 들면 75% 이상 110% 미만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embodiment, for example, A1 = 18%, A2 = 53%, and A3 = 94%. A1 is preferably 10% or more and less than 25%, for example. A2 is preferably 25% or more and less than 75%, for example. A3 is, for example, preferably 75% or more and less than 110%.

또한, 제 1 부분(22), 제 2 부분(23), 및 제 3 부분(24)의 폭 방향의 굽힘 강성(B1~B3)은 예를 들면, 카토테크 가부시키가이샤제 순굽힘 시험기 KESFB2를 사용하여 굽힘 강성을 나타내는 B값에 의해 측정한다. B값이 클수록 굽힘 강성이 높은 것을 나타낸다. 이 굽힘 강성 시험을 행할 경우, 제 1 부분(22), 제 2 부분(23), 및 제 3 부분(24)의 샘플을 길이 1㎝·폭 3㎝로 잘라내고, 폭 방향으로 1㎝의 간격을 두고 시험기의 척으로 파지한다(유효 시료 1㎝×1㎝). 그리고, 예를 들면 곡률 K=-2.5~+2.5㎝-1의 범위에서 각 샘플의 등속도 곡률의 순 굽힘을 행하고, 그때의 변형 속도를 예를 들면 0.5㎝-1/sec로 해서, 단위길이당의 각 샘플의 굽힘 강성을 측정한다.The bending rigidity B1 to B3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rst portion 22, the second portion 23 and the third portion 24 can be measured using a net bending tester KESFB2 manufactured by KATO TECH CORPORATION And the B value indicating the bending stiffness. The larger the B value, the higher the bending stiffness. In this bending stiffness test, the samples of the first portion 22, the second portion 23 and the third portion 24 were cut into a length of 1 cm and a width of 3 cm, and a gap of 1 cm in the width direction (Effective sample: 1 cm x 1 cm). Then, for example, the uniform velocity curvature of each sample in the range of the curvature K = -2.5 to + 2.5 cm -1 is subjected to net bending, and the strain rate at that time is set to 0.5 cm -1 / sec, Measure the bending stiffness of each sample of sugar.

제 1 부분(22)의 샘플로서는, 예를 들면 프론트부(14)를 구성하는 소재를 2층으로 한 적층체를 사용한다. 제 2 부분(23)의 샘플로서는, 예를 들면 상변부(15)를 구성하는 소재, 고무 테이프(25), 덧댐천(16)을 구성하는 소재, 및 상변부(15)를 구성하는 소재를 이 순서로 적층한 적층체를 사용한다. 제 3 부분(24)의 샘플은, 예를 들면 상변부(15)를 구성하는 소재, 덧댐천(16)을 구성하는 소재, 및 상변부(15)를 구성하는 소재를 이 순서로 적층한 적층체를 사용한다.As a sample of the first portion 22, for example, a laminate comprising two layers of materials constituting the front portion 14 is used. As a sample of the second portion 23, for example, a material constituting the upper side portion 15, a material constituting the rubber tape 25, the overlaid cloth 16, and a material constituting the upper side portion 15 A laminate obtained by laminating in this order is used. The sample of the third portion 24 is formed by stacking a material constituting the upper side portion 15, a material constituting the overlying cloth 16, and a material constituting the upper side portion 15 in this order Use a sieve.

본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면 B1=0.19gf·㎠/㎝, B2=7.29gf·㎠/㎝, B3=0.37gf·㎠/㎝로 되어 있다. B1 및 B3은, 예를 들면 0.1gf·㎠/㎝ 이상 2.0gf·㎠/㎝ 미만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B2는, 예를 들면 2.0gf·㎠/㎝ 이상 12.0gf·㎠/㎝ 미만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5.0gf·㎠/㎝ 이상 9.0gf·㎠/㎝ 미만으로 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In this embodiment, for example, B 1 = 0.19 gf · cm 2 / cm 2, B 2 = 7.29 gf · cm 2 / cm 3, and B 3 = 0.37 gf · cm 2 / cm. B 1 and B 3 are preferably set to, for example, less than 0.1 gf · cm 2 / cm and less than 2.0 gf · cm 2 / cm. B2 is, for example, preferably 2.0 gf · cm 2 / cm or more and less than 12.0 gf · cm 2 / cm, more preferably 5.0 gf · cm 2 / cm or more and less than 9.0 gf · cm 2 / cm.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보텀 의류(1)에서는 착용자에게 착압을 부여하는 누름부(21)가 웨이스트부(11)의 상측에 배치되어 있다. 누름부(21)에서는 본체부(2) 앞측에 위치하는 제 1 부분(22)의 둘레 방향의 신장률이 가장 낮게 되어 있어, 착용자의 복부 주변을 확실히 압박해서 체형 보정 효과를 발휘하는 한편, 본체부(2)의 뒷측에 위치하는 제 3 부분(24)의 둘레 방향의 신장률이 가장 높게 되어 있어, 착탈 용이성과 착용자의 운동에 대한 추종성을 확보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bottom garment 1, the pressing portion 21 for giving the pressure to the wearer is disposed above the waste portion 11. [ The pressing portion 21 has the lowest extension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irst portion 22 located on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2 so as to reliably press the periphery of the abdomen of the wearer to exert the body- The third portion 24 located on the rear side of the body 2 has the highest elongation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so that the ease of attachment and detachment and the ability to follow the wearer's movement can be ensured.

또한, 누름부(21)에서는 본체부(2)의 옆측에 위치하는 제 2 부분(23)의 굽힘 강성이 가장 높게 되어 있어, 착용자가 일상의 동작을 행했을 때에 제 2 부분(23)이 외측으로 구부러져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변부(15)와 덧댐천(16) 사이에 띠상의 고무 테이프(또는 스트레치 테이프)(25)가 배치되어 있고, 제 2 부분(23)이 착용자의 웨이스트 주위를 면으로 압박할 수 있기 때문에, 제 2 부분(23)의 구부러짐을 한층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보텀 의류(1)에서는 체형 보정 효과와 착탈 용이성을 충분히 확보하면서, 착용시의 옷매무새 흐트러짐을 억제하여 바디 라인을 유지할 수 있다.The bending rigidity of the second portion 23 located on the 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2 is the highest in the pressing portion 21 and the second portion 23 is located on the outer side So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it from being bent. 5, a belt-like rubber tape (or stretch tape) 25 is disposed between the upper side portion 15 and the overlaid cloth 16, and the second portion 23 is provided between the upper side portion 15 and the overlaid cloth 16. In this embodiment, The periphery of the waist can be pressed against the surface, so that the bending of the second portion 23 can be reliably prevented. Therefore, in the bottom garment 1,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body line while suppressing disturbance of clothes during wearing while sufficiently securing the body-type correction effect and detachability.

또한, 보텀 의류(1)에서는, 제 2 부분(23)이 본체부(2)의 옆 중심(C)을 넘어서 뒷측까지 연장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 2 부분(23)이 확실하게 착용자의 웨이스트 주위를 압박하게 되고, 착용자가 운동했을 때에 제 2 부분(23)이 외측으로 구부러져 버리는 것을 한층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In the bottom garment 1, the second portion 23 extends beyond the lateral center C of the body portion 2 to the rear side. As a result, the second portion 23 is surely pressed against the wearer's waist and it is possible to more reliably prevent the second portion 23 from bending outwardly when the wearer moves.

또한, 보텀 의류(1)에서는 제 1 부분(22)과 제 2 부분(23)이 연속되고, 또한 제 2 부분(23)과 제 3 부분(24)이 연속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 2 부분(23)이 신장률이 가장 낮은 제 1 부분(22)에 연속됨으로써, 착용자가 운동했을 때에 제 2 부분(23)이 외측으로 구부러져 버리는 것을 한층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신장률이 가장 높은 제 3 부분(24)과 신장률이 그 다음으로 높은 제 2 부분(23)이 연속됨으로써 제 3 부분(24)에 의한 착용자의 운동에 대한 추종성을 한층 효과적으로 발휘시킬 수 있다.In the bottom garment 1, the first portion 22 and the second portion 23 are continuous, and the second portion 23 and the third portion 24 are continuous. As a result, the second portion 23 is continuous to the first portion 22 having the lowest elongation percentage, whereby it is possible to more reliably prevent the second portion 23 from bending outwardly when the wearer moves. In addition, the third portion 24 having the highest elongation percentage and the second portion 23 having the next highest elongation are continuous, so that the followability of the movement of the wearer with the third portion 24 can be more effectively exhibited.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누름부(21)에 있어서, 제 1 부분(22)과 제 2 부분(23)이 연속된 형태를 예시했지만, 제 1 부분(22) 및 제 2 부분(23)의 작용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둘레 방향의 신장률 또는 폭 방향의 굽힘 강성이 다른 부분이 제 1 부분(22)과 제 2 부분(23) 사이에 개재되어 있어도 좋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 For exampl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first portion 22 and the second portion 23 are continuous in the pressing portion 21, but the first portion 22 and the second portion 23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portion 22 and the second portion 23 in the circumferential extension ratio or in the width direction with different bending rigidity.

또한, 예를 들면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누름부(21)에 있어서, 제 2 부분(23)과 제 3 부분(24)이 연속된 형태를 예시했지만, 제 2 부분(23) 및 제 3 부분(24)의 작용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둘레 방향의 신장률 또는 폭 방향의 굽힘 강성이 다른 부분이 제 2 부분(23)과 제 3 부분(24) 사이에 개재되어 있어도 좋다.Although the second portion 23 and the third portion 24 are continuous in the pressing portion 21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for example, the second portion 23 and the third portion 24 24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second portion 23 and the third portion 24 in the circumferential extension ratio or in the width direction with different bending rigidity.

누름부(21)에 있어서, 제 1 부분(22), 제 2 부분(23), 및 제 3 부분(24)은 폭 방향에 대해서 비(난)신축성을 갖고 있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제 1 부분(22)에 의한 체형 보정 효과, 및 제 2 부분(23)에 의한 옷매무새 흐트러짐의 방지 효과를 강화할 수 있다. 제 3 부분(24)에 대해서는, 둘레 방향의 신축성이 확보되어 있는 한, 착탈 용이성이 저해될 일은 없다.The first portion 22, the second portion 23 and the third portion 24 of the pressing portion 21 may have non-stretchability with respect to the width direction. As a result, the effect of the body part correction by the first part 22 and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clutter of the clothes by the second part 23 can be enhanced. As long as the stretchability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ensured for the third portion 24, the detachability is not hindered.

제 2 부분은, 예를 들면 도 8(a)에 나타내는 제 2 부분(33)과 같이, 예를 들면 표면측의 상변부(15)를 형성하는 소재의 상단을, 덧댐천(16)을 사이에 두고 이면측으로 되접어 꺾음과 아울러, 표면측의 상변부(15)와 덧댐천(16) 사이에 띠상의 고무 테이프(또는 스트레치 테이프)(25)를 배치하고, 재봉부(W2)에 의해 고무 테이프(25)의 둘레 가장자리부를 상변부(15)의 되접어 꺾은 부분(15a) 및 표면측의 상변부(15)와 함께 덧댐천(16)에 재봉함으로써 구성해도 좋다.The upper portion of the material for forming the upper side portion 15 on the front side is used as the second portion 33 as shown in Fig. 8 (a) (Or stretch tape) 25 is disposed between the upper side portion 15 on the front surface side and the overlaid cloth 16 and the rubber tape (or stretch tape) The circumferential edge portion of the tape 25 may be sewn to the overlaid cloth 16 together with the folded portion 15a of the upper side portion 15 and the upper side portion 15 on the front side.

또한, 제 3 부분은 예를 들면, 도 8(b)에 나타내는 제 3 부분(34)과 같이, 예를 들면 표면측의 상변부(15)를 형성하는 소재의 상단을, 덧댐천(16)의 이면측으로 되접어 꺾음과 아울러, 재봉부(W3)에 의해 되접어 꺾은 부분(15a)의 단부를 웨이스트부(11)의 위치에 있어서 표면측의 상변부(15) 및 덧댐천(16)에 재봉함으로써 구성해도 좋다. 제 2 부분(23)과 제 3 부분(34)을 조합해도 좋고, 제 2 부분(33)과 제 3 부분(24)을 조합해도 좋다. 또한, 제 2 부분(33)과 제 3 부분(34)을 조합해도 좋다.The third portion is formed by overlapping the top of the material forming the upper side portion 15 on the front side with the overlaid cloth 16 as in the third portion 34 shown in Fig. The end portion of the folded portion 15a by the sewing portion W3 is folded back toward the upper side portion 15 on the front face side and the overlapping cloth 16 at the position of the waste portion 11 It may be constructed by sewing. The second portion 23 and the third portion 34 may be combined or the second portion 33 and the third portion 24 may be combined. Further, the second portion 33 and the third portion 34 may be combined.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거들을 예시했지만, 본 발명은 파운데이션 의류 이외에도 쇼츠, 팬티스타킹, 레깅스, 스패츠, 타이즈, 스포츠용 타이즈, 수영복, 팬티와 같은 각종 보텀 의류에 적용할 수 있다.Although the girdle is exemplified in the above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bottom garments such as shorts, pantyhose, leggings, pants, tights, sports tights, swimwear, panties as well as foundation clothing.

1 : 보텀 의류 2 : 본체부
11 : 웨이스트부 21 : 누름부
22 : 제 1 부분 23, 33 : 제 2 부분
24, 34 : 제 3 부분 C : 옆 중심
1: bottom garment 2: main body part
11: waist portion 21: pressing portion
22: first part 23, 33: second part
24, 34: third part C: lateral center

Claims (4)

웨이스트부를 갖는 본체부와,
상기 웨이스트부의 상측에서 상기 웨이스트부의 둘레 방향을 따라 배치된 누름부를 구비하고,
상기 누름부는
상기 본체부 앞측에 위치하는 제 1 부분과,
상기 본체부의 옆측에 위치하는 제 2 부분과,
상기 본체부의 뒷측에 위치하는 제 3 부분을 갖고,
상기 제 1 부분의 둘레 방향의 신장률을 A1, 상기 제 2 부분의 둘레 방향의 신장률을 A2, 상기 제 3 부분의 둘레 방향의 신장률을 A3이라고 했을 경우에 A1<A2<A3의 관계를 만족시키고,
상기 제 1 부분의 폭 방향의 굽힘 강성을 B1, 상기 제 2 부분의 폭 방향의 굽힘 강성을 B2, 상기 제 3 부분의 폭 방향의 굽힘 강성을 B3이라고 했을 경우에 B1<B2이고 B3<B2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보텀 의류.
A body portion having a waist portion,
And a pressing portion dispos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waist portion from above the waist portion,
The pressing portion
A first portion located on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A second portion located on the side of the main body,
And a third portion located on a rear 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A3 < A2 < A3, where A1 is the elongation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irst portion, A2 is the elongation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econd portion, and A3 is the elongation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third portion.
B2 &gt; and B3 < B2 when the bending rigidity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rst portion is B1, the bending rigidity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econd portion is B2, and the bending rigidity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third portion is B3 Bottom clothing that satisfies the relationship.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부분은 상기 본체부의 옆 중심을 넘어서 뒷측까지 연장되어 있는 보텀 의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second portion extends beyond the lateral center of the body portion to the rear sid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분과 상기 제 2 부분은 연속되어 있는 보텀 의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first portion and the second portion are continuous.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부분과 상기 제 3 부분은 연속되어 있는 보텀 의류.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second portion and the third portion are continuous.
KR1020167027187A 2014-05-07 2015-04-30 Foundation garment Withdrawn KR20170002376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095987 2014-05-07
JP2014095987A JP5850088B2 (en) 2014-05-07 2014-05-07 Bottom clothing
PCT/JP2015/062992 WO2015170661A1 (en) 2014-05-07 2015-04-30 Foundation garm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376A true KR20170002376A (en) 2017-01-06

Family

ID=54392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7187A Withdrawn KR20170002376A (en) 2014-05-07 2015-04-30 Foundation garment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850088B2 (en)
KR (1) KR20170002376A (en)
PH (1) PH12016502198A1 (en)
TW (1) TW201545676A (en)
WO (1) WO2015170661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78010A (en) * 2016-04-28 2018-11-09 株式会社华歌尔 Bottom clothes
US20200170326A1 (en) * 2017-08-22 2020-06-04 Gunze Limited Lower body garm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23552A (en) 1990-08-16 1991-05-27 Kuraray Co Ltd Sanitary material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55756A (en) * 1964-03-16 1966-06-14 Swisstex Company Girdle construction
JPH1060707A (en) * 1996-08-20 1998-03-03 Wacoal Corp Girdle deforming hip-shape into three dimensional one
JP3093300U (en) * 2002-10-08 2003-04-25 ソカイ株式会社 shorts
JP3123552U (en) * 2006-05-09 2006-07-20 トリンプ・インターナショナル・ジャパン株式会社 girdle
JP6092549B2 (en) * 2012-09-04 2017-03-08 グンゼ株式会社 Lower body correction clothin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23552A (en) 1990-08-16 1991-05-27 Kuraray Co Ltd Sanitary materi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545676A (en) 2015-12-16
WO2015170661A1 (en) 2015-11-12
PH12016502198A1 (en) 2017-01-09
JP5850088B2 (en) 2016-02-03
JP2015212445A (en) 2015-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69248B2 (en) Clothing such as shorts or bathing suit
JP4786566B2 (en) Men&#39;s boxer shorts
WO2019235360A1 (en) Swimwear
JP5343685B2 (en) Clothing with crotch
JP5799957B2 (en) Skirt-type correction underwear
WO2017078005A1 (en) Bottom garment
KR20170002376A (en) Foundation garment
JP7328333B2 (en) swimsuit
JP2008274501A (en) Garment having correcting belt
JP5004676B2 (en) Men&#39;s underwear
KR200473901Y1 (en) Correction underwear
JP6232811B2 (en) Bottom clothing
JP6092549B2 (en) Lower body correction clothing
JP6761162B2 (en) Bottom clothing
JP5544657B2 (en) girdle
US12245643B2 (en) Lower body garment providing improved comfort
JP6565423B2 (en) Men&#39;s bottom clothing
JP5651992B2 (en) Bottom clothing
WO2020085091A1 (en) Undergarment
JP2008303518A (en) Girdle free from causing tightness even if making two top of buttocks for strong correction
JP2014088635A (en) Girdle
JP5954499B1 (en) Bottom clothing
JP6643701B2 (en) Makeup clothing
JP3081419U (en) Clothing
JP6268436B2 (en) Bottom cloth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930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