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70001902U - 제빵기 - Google Patents

제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1902U
KR20170001902U KR2020150007612U KR20150007612U KR20170001902U KR 20170001902 U KR20170001902 U KR 20170001902U KR 2020150007612 U KR2020150007612 U KR 2020150007612U KR 20150007612 U KR20150007612 U KR 20150007612U KR 20170001902 U KR20170001902 U KR 2017000190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bread
bar
heating
knead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76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웅섭
Original Assignee
최웅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웅섭 filed Critical 최웅섭
Priority to KR20201500076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1902U/ko
Publication of KR2017000190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1902U/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BBAKERS' OVENS; MACHINES OR EQUIPMENT FOR BAKING
    • A21B1/00Bakers' ovens
    • A21B1/42Bakers' ovens characterised by the baking surfaces moving during the baking
    • A21B1/46Bakers' ovens characterised by the baking surfaces moving during the baking with surfaces suspended from an endless conveyor or a revolving wheel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BBAKERS' OVENS; MACHINES OR EQUIPMENT FOR BAKING
    • A21B1/00Bakers' ovens
    • A21B1/02Bakers' ovens characterised by the heat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BBAKERS' OVENS; MACHINES OR EQUIPMENT FOR BAKING
    • A21B1/00Bakers' ovens
    • A21B1/40Bakers' oven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regulating the temperatur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제빵기에 관한 것으로, 내부 공간을 갖는 본체; 상기 본체의 양 측면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반죽을 외면에 감아둘 수 있는 제빵 롤러부; 상기 본체 내부를 가열시키는 가열부; 상기 본체의 전면에 타이머, 온도, 전원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마련하여 제빵 롤러부에 빵 또는 과자 등을 중공의 도넛 형태로 구울 수 있고, 복수의 제빵 롤러부에 의해 일시에 다수의 빵 및 과자를 구울 수 있으며, 빵 또는 과자를 중공의 형태로 구울 수 있어 고객에게 다양한 형태의 빵 또는 과자를 구울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제빵기{Bread Maker}
본 고안은 제빵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롤러에 반죽을 감아 빵을 구울 수 있는 제빵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과 제빵기는 과자나 빵 등의 생산되는 제품에 따라 소정의 형상과 모양으로 가공된 원재료를 제품의 특성에 따라 적정한 온도 및 습도를 유지시켜 준 상태에서 원재료인 반죽이 균일하게 구워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최근 서구화되어 가는 식생활에 따라 과자나 빵의 소비량이 증가하고, 소비자의 입맛에 대한 변별력이 높아져 고품질의 맛과 색깔 그리고 대량생산을 위해서는 자동화된 제과 제빵기술을 필요로 하고 있다.
이에 맞추어서 제과 제빵 조건을 설정하는 오븐 내의 히터 가열온도 및 가열 시간과 같은 여러 조건들이 프로그램화되어 있으나, 이는 오븐 내부의 사정에 따라 예를 들면, 오븐의 도어 쪽과 깊숙한 안쪽 부분의 온도 차이에 따라 과자나 빵이 구워지는 품질이 좌우되고 있다.
즉, 히터의 위치에 따라 빵에 부분적으로 미치게 되는 열량을 조절할 수 없으므로, 과자나 빵을 구워내기 위해서는 반죽물을 얹은 팬을 과자나 빵이 구워지는 상태에 따라 도어의 문을 열고 인위적으로 여러 번 좌우로 돌려놓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팬을 돌려놓는 시간을 맞추지 못한 경우에는 과자나 빵이 고르게 구워지지 못하기 때문에 상품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일반적으로 제과 제빵기는 히터를 가열하여 과자나 빵의 반죽을 구워내는 전력 소모가 많은 기기로서, 상기와 같은 종래 제과 제빵기는 가열 도중 팬을 돌리기 위해 도어를 자주 열고 닫음으로 인해서 전력이 더욱 소모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회전식 제빵기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1에 따른 회전식 제빵기에는 팬 거치대을 회전시키면서 과자나 빵을 제조하는 회전식 제빵기에 있어서, 하우징의 전방 일측에 구비되어서 전원 온(on) 또는 오프(off), 설정온도, 가열시간, 열 공급, 및 회전 온/오프를 제어하는 장치의 여러 조건들을 설정 및 변경하고, 상기 조건을 기억시키기 위한 프로그램과 조작부가 내장된 제어부; 상기 하우징 전방부에는 내부를 투시할 수 있는 투시창이 이중으로 형성되고, 일측이 힌지로 회동되는 도어부; 과자 또는 빵을 구워내는 소성실; 상기 소성실의 정중앙부에는 각각이 쌍으로 이루어진 세 개의 송풍기와 히터를 구비하고, 상기 정중앙부의 양 옆에 두 개의 히터를 구비하여서 상기 소성실 내부로 열을 공급하는 열 공급부; 상기 소성실 내부로 증기를 공급하는 증기 공급부재; 및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되어서 상기 소성실 내 회전테이블을 회동시키는 구동부가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387038호(2005년 6월 7일 등록)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제빵기는 팬 거치대에 다수의 빵 또는 제과를 구울 수 있는 이점은 있으나, 사용자가 원하는 롤 형태의 빵 또는 과자를 구울 수 없고, 원통 형상의 빵 또는 과자를 구울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빵을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구울 수 있는 제빵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롤의 외주연부에 반죽을 감아 빵을 구울 수 있는 제빵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제빵기는 내부 공간을 갖는 본체; 상기 본체의 양 측면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반죽을 외면에 감아둘 수 있는 제빵 롤러부; 상기 본체 내부를 가열시키는 가열부; 상기 본체의 전면에 타이머, 온도, 전원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는 일측으로 개방되는 도어; 상기 본체의 일 측면에 상기 제빵 롤러부가 회전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모터; 상기 모터와 대향되는 타 측면에 상기 제빵 롤러부가 출입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안내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열부는 상기 본체의 상면 및 본체의 양 측면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가열부는 상기 제어부의 설정에 의해 가열 시간 및 가열 온도가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빵 롤러부는 상기 모터의 일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제1 바; 상기 제1 바에 연장되며, 반죽이 감기도록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반죽 감김부; 상기 반죽 감김부에 연장되며, 상기 안내홈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바; 상기 반죽 감김부를 상기 본체의 외부로 꺼낼 수 있도록 상기 제2 바에 연장 형성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에는 상기 가열부에서 발생된 고온의 열원이 배출되도록 배기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제빵기에 의하면, 제빵 롤러부에 빵 또는 과자 등을 중공의 도넛 형태로 구울 수 있고, 복수의 제빵 롤러부에 의해 일시에 다수의 빵 및 과자를 구울 수 있으며, 빵 또는 과자를 중공의 형태로 구울 수 있어 고객에게 다양한 형태의 빵 또는 과자를 구울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제빵기의 입체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제빵기의 정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제빵기의 측단면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제빵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제빵기의 입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제빵기의 정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제빵기의 측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제빵기는 내부 공간을 갖는 본체(10); 상기 본체(10)의 양 측면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반죽을 외면에 감아둘 수 있는 제빵 롤러부(20); 상기 본체(10) 내부를 가열시키는 가열부(30), 상기 본체(10)의 전면에 타이머, 온도, 전원을 제어하는 제어부(4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0)는 일정 두께를 갖는 판재에 의해 내부공간(11)을 갖도록 형성된다. 즉, 본체(10)는 내부공간(11)을 갖는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 본체(10)에는 내부공간(11)을 개폐시키는 도어(12)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도어(12)는 본체(10)의 전면에 설치되며, 도어(12)는 본체(10)의 전면 하부에 설치된 경첩(13)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도어(12)는 본체(10) 하부에 설치된 경첩(13)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나, 도어(12)는 필요에 따라 본체(10)의 전면 왼쪽 또는 상부를 중심으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체(10)의 일 측면에는 제빵 롤러부(2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모터(14)가 설치된다. 상기 모터(14)는 인가된 전원에 의해 회전되는 것으로, 모터(14)의 일측은 제빵 롤러부(20)의 제1 바(21)가 분리 또는 결합 가능하게 형성된다.
즉, 모터(14)의 회전축(14a)은 제1 바(21)가 끼워질 수 있는 중공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데, 중공은 대략 일(一)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바(21)에는 중공에 대응되는 돌기부(21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10)의 타 측면에는 제빵 롤러부(20)를 장착할 수 있는 안내홈부(15)가 형성된다. 이러한 안내홈부(15)는 수평으로 형성되거나 제빵 롤러부(20)가 보다 안정되게 장착되도록 측면에서 보았을 때 'ㄱ'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체(10)의 상면에는 내부공간(11)의 열원이 배출되도록 다수의 배기구(16)가 설치된다.
상기 제빵 롤러부(20)는 제빵을 만들기 위한 반죽을 감은 상태에서 회전되는 것으로, 상기 제빵 롤러부(20)는 상기 모터(14)의 일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제1 바(21); 상기 제1 바(21)에 연장되며, 반죽이 감기도록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반죽 감김부(22); 상기 반죽 감김부(22)에 연장되며, 상기 안내홈부(15)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바(23); 상기 반죽 감김부(22)를 상기 본체(10)의 외부로 꺼낼 수 있도록 상기 제2 바(23)에 연장 형성되는 손잡이(24);를 포함한다.
상기 제빵 롤러(20)는 모터(14)에 분리 또는 결합되도록 일정 길이를 갖는 제1 바(21)가 형성되며, 제1 바(21)의 일단에는 모터(14)의 회전축(14a)에 결합되도록 일(一)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돌기부(21a)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제1 바(21)의 일측에는 일정 직경을 갖는 원통형으로 반죽 감김부(22)가 형성된다. 상기 반죽 감김부(22)는 제1 바(21)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이루어지며, 그 외면에 반죽이 양호하게 감기도록 매끈한 표면 또는 울퉁불통한 표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반죽 감김부(22)의 타측에는 제1 바(21)와 같은 제2 바(23)가 형성되며, 제2 바(23)의 끝단에는 반죽 감김부(22)를 본체(10)의 외부로 꺼낼 수 있도록 손잡이(24)가 형성된다.
이러한 제빵 롤러부(20)는 제1 바(21), 반죽 감김부(22), 제2 바(23) 및 손잡이(24)가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손잡이(24)는 필요에 따라 분리 또는 결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손잡이(24)는 고온의 열이 전달되지 않도록 합성수지, 목재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에서와 같이, 가열부(30)는 본체(10)의 내부공간(11)을 소정 온도로 가열시킬 수 있도록 인가된 전원에 의해 가열되는 열선 또는 석영관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가열부(30)는 본체(10)의 저면, 양 측면, 상면 및 배면에 각각 설치되어 본체(10)의 내부공간(11)을 소정의 온도로 가열되게 한다. 상기 가열부(30)는 내부공간(11)의 온도를 동일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본체(10) 내부의 상면, 저면, 양 측면에 각각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다.
상기 제어부(40)는 내부공간(11)을 소정의 온도로 유지시킴은 물론 가열 시간을 설정 및 제어하는 것으로, 제어부(40)는 외부로부터 전원의 인가를 제어하는 전원 스위치(41), 내부공간(11)의 온도를 설정하는 온도 스위치(42) 및 가열부(30)의 가열 시간을 설정하는 타이머(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 스위치(41)는 가열부(30)에 전원을 인가되도록 하며, 온도 스위치(42)는 가열부(30)에 의해 내부공간(11)의 가열 온도를 설정하고, 타이머(43)는 가열부(30)의 가열 시간을 설정하게 된다.
한편 제어부(40)는 내부공간(11)을 설정된 온도로 제어할 수 있도록 내부공간(11)에 온도센서(44)가 설치됨은 물론이다.
다음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제빵기의 결합관계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제빵기는 원통형의 반죽 감김부(22) 외면에 반죽을 부착시켜 빵 또는 과자 등을 굽는 것으로, 빵 또는 과자 등을 구울 수 있도록 소정의 크기를 갖는 본체(10)를 형성한다. 상기 본체(10)는 빵 등을 구울 수 있는 제빵 롤러부(20)가 설치되는 내부공간(11)을 형성한다.
상기 본체(10)의 전면에는 제빵 롤러부(20)를 장착할 수 있도록 도어(12)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며, 도어(12)는 내부를 들여다 볼 수 있도록 투명한 유리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도어(12)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손잡이(12a)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도어(12)는 경첩(13)을 중심으로 개폐 가능하게 설치하며, 도어(12)는 경첩(13)을 본체(10)의 전면 하부, 본체(10)의 전면 일측 또는 본체(10)의 전면 상부에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본체(10)의 일면에는 제빵 롤러부(20)를 회전시키는 모터(14)를 설치하며, 모터(14)의 회전축(14a)은 제빵 롤러부(20)가 결합되도록 일(一)자 형상의 중공으로 형성한다.
또한 본체(10)의 타면에는 제빵 롤러부(20)를 장착할 수 있도록 안내홈부(15)를 형성한다. 상기 안내홈부(15)는 본체(10)의 중앙을 향해 일(一)자 형상으로 형성하거나 제빵 롤러부(20)가 보다 안정되게 장착되도록 'ㄱ'자 형상으로 형성한다.
아울러 본체(10)의 상면에는 가열부(30)에 의해 고온으로 가열된 열원을 배기시킬 수 있는 배기구(16)를 설치한다. 이러한 배기구(16)는 필요에 따라 복수로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제빵 롤러부(20)는 모터(14)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다. 이러한 제빵 롤러부(20)는 제1 바(21)를 일정 길이로 형성하며, 제1 바(21)에는 회전축(14a)에 회전축(14a)에 결합 또는 분리되도록 일(一)자 형상으로 돌기부(21a)를 일체로 형성한다.
상기 제1 바(21)의 일단에는 제1 바(21)에 비하여 직경이 큰 원통형상으로 반죽 감김부(22)를 설치하며, 반죽 감김부(22)의 타단에는 일정 길이를 갖는 제2 바(23)를 설치한다.
아울러 제2 바(23)의 끝단에는 고온으로 가열된 반죽 감김부(22)의 온도에 상관없이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24)를 설치한다.
이러한 손잡이(24)는 고온으로 가열되는 반죽 감김부(22)의 열이 전달되지 않는 합성수지 또는 목재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가열부(30)는 본체(10)의 내면에 복수로 설치되며, 가열부(30)는 인가된 전원에 의해 가열되는 열선 또는 석영관을 사용한다. 상기 가열부(30)는 본체(10)의 내면에 설치되는데, 본체(10)의 저면, 측면, 배면, 상면에 각각 설치하며, 이는 제빵 롤러부(20)의 가열을 보다 신속하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체(10)의 전면에는 빵 또는 과자를 적정한 온도 및 가열 시간 등을 제어하는 제어부(40)를 설치한다.
상기 제어부(40)는 제빵 롤러부(20)에 전원을 인가를 제어하는 전원 스위치(41)를 설치하며, 가열부(30)의 가열 온도를 설정하는 온도 스위치(42)를 설치하고, 제빵 롤러부(20)의 가열 시간을 설정하는 타이머(43)를 설치한다.
아울러 본체(10)의 내부공간(11)에는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온도센서(44)를 설치한다.
이러한 제어부(40)는 굽고자 하는 빵 또는 과자 등의 종류에 따라 각각 달리 설정하며, 굽고자 하는 빵 또는 과자의 종류 등에 따라 온도, 시간 등을 미리 설정할 수도 있다.
즉, 제어부(40)는 빵의 종류, 과자의 종류 등에 따라 사용자가 간편하게 조리할 수 있도록 미리 설정하여 둘 수도 있다.
다음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제빵기의 작동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사용자는 빵 또는 과자에 따라 적절하게 배합된 반죽을 준비한 다음 반죽을 제빵 롤러부(20)의 반죽 감김부(22)에 감아 장착하게 된다. 이때 반죽은 반죽 감김부(22)의 외면을 따라 감기게 되므로, 빵 또는 과자의 최종 형상은 중공의 원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반죽 감김부(22)에 반죽을 감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제빵 롤러부(20)의 제1 바(21)를 모터(14)에 결합한다. 상기 모터(14)와 제1 바(21)는 동일하게 일(一)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제1 바(21)의 돌기부(21a)를 모터(14)의 회전축(14a) 끼움으로써 간편하게 결합된다.
또한 사용자는 모터(14)와 제1 바(21)의 결합이 완료된 상태에서 제2 바(23)를 본체(10)의 안내홈부(15)에 끼워 결합한다. 이러한 제2 바(23)는 원형으로 이루어져 있어 모터(14)의 회전에 따라 동일하게 회전되도록 원형으로 형성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제빵 롤러부(20)가 본체(10)에 장착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제어부(40)의 전원 스위치(41), 온도 스위치(42) 및 타이머(43)를 조절하여 굽고자 하는 빵 또는 과자의 종류에 따라 적절하게 세팅하게 된다.
상기 전원 스위치(41)에 의해 인가된 전원은 모터(14)를 회전시킴은 물론 가열부(30)를 설정된 온도 및 시간 동안 가열된다.
상기 본체(10)의 내부공간(11)은 가열부(30)에 의해 가열되며, 제빵 롤러부(20)의 반죽 감김부(22)에 감겨 있는 반죽은 가열부(30)의 열원에 의해 가열되며, 반죽 감김부(22)에 감겨 있는 반죽은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의 빵 또는 과자 등으로 구워지게 된다.
한편 사용자는 본체(10)에 설치되어 있는 도어(12)를 통해 본체(10) 내부를 들여다 볼 수 있으며, 육안으로 관찰하면서 빵 또는 과자가 구워짐에 따라 제어부(40)를 조작하게 된다.
상기 제빵 롤러부(20)에 감긴 반죽이 구워짐에 따라 사용자는 전원 스위치(41), 온도 스위치(42) 및 타이머(43)를 조작하여 멈추게 할 수 있으며, 구워진 빵 또는 과자를 꺼내기 위하여 도어(12)를 개방하게 된다.
상기 도어(12)가 개방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제빵 롤러부(20)의 손잡이(24)를 잡고서 안내홈부(15)를 따라 제2 바(23)를 본체(10)의 전면으로 꺼내게 된다. 이때 모터(14)의 회전축(14a)과 제1 바(21)의 돌기부(21a)는 손잡이(24)를 잡아당김에 따라 분리된다.
이렇게 모터(14)와 분리된 제빵 롤러부(20)를 분리시켜 본체(10)로부터 이탈시킨 상태에서 반죽 감김부(22)에 구워져 있는 빵 또는 과자를 분리시킨다.
상기 반죽 감김부(22)에서 구워진 빵 또는 과자를 분리시켜 시식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고안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고안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본체 11: 내부공간
12: 도어 13: 경첩
14: 모터 14a: 회전축
15: 안내홈부 16: 배기구
20: 제빵 롤러부 21: 제1 바
21a: 돌기부 22: 반죽 감김부
23: 제2 바 24: 손잡이
30: 가열부 40: 제어부
41: 전원 스위치 42: 온도 스위치
43: 타이머 44: 온도센서

Claims (5)

  1. 내부 공간을 갖는 본체;
    상기 본체의 양 측면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반죽을 외면에 감아둘 수 있는 제빵 롤러부;
    상기 본체 내부를 가열시키는 가열부;
    상기 본체의 전면에 타이머, 온도, 전원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빵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일측으로 개방되는 도어;
    상기 본체의 일 측면에 상기 제빵 롤러부가 회전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모터;
    상기 모터와 대향되는 타 측면에 상기 제빵 롤러부가 출입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안내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빵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는 상기 본체의 상면 및 본체의 양 측면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가열부는 상기 제어부의 설정에 의해 가열 시간 및 가열 온도가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빵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빵 롤러부는 상기 모터의 일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제1 바;
    상기 제1 바에 연장되며, 반죽이 감기도록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반죽 감김부;
    상기 반죽 감김부에 연장되며, 상기 안내홈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바;
    상기 반죽 감김부를 상기 본체의 외부로 꺼낼 수 있도록 상기 제2 바에 연장 형성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빵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상기 가열부에서 발생된 고온의 열원이 배출되도록 배기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빵기.
KR2020150007612U 2015-11-23 2015-11-23 제빵기 Ceased KR2017000190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7612U KR20170001902U (ko) 2015-11-23 2015-11-23 제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7612U KR20170001902U (ko) 2015-11-23 2015-11-23 제빵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902U true KR20170001902U (ko) 2017-05-31

Family

ID=59021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7612U Ceased KR20170001902U (ko) 2015-11-23 2015-11-23 제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1902U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7038Y1 (ko) 2005-03-18 2005-06-16 대영제과제빵기계공업주식회사 회전식 제빵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7038Y1 (ko) 2005-03-18 2005-06-16 대영제과제빵기계공업주식회사 회전식 제빵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02625B1 (ko) 빵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JP5260421B2 (ja) 蒸し機能付き製パン機
KR101150155B1 (ko) 성형틀 교체가 가능한 빵 구이기
CN203379011U (zh) 竖直电热棒均热型面包机
KR20130062821A (ko) 베이킹 오븐 및 이를 위한 봉형 베이킹틀
KR200436764Y1 (ko) 이동식 피자 화덕
KR20170001902U (ko) 제빵기
JP2012024323A (ja) 蒸し機能付き製パン機
JP2019092995A (ja) 加熱調理器
CN203379007U (zh) 凸轮揉面的面包机
ES2864742T3 (es) Máquina de enrollamiento para masa
KR200387038Y1 (ko) 회전식 제빵기
CN203379013U (zh) 恒温发酵的面包机
JP4668856B2 (ja) 製パン機
KR200330390Y1 (ko) 회전테이블이구비된오븐장치
JP5409146B2 (ja) 蒸し機能付き製パン機
CN203379012U (zh) 斜置电热管的均热型面包机
KR101124661B1 (ko) 카트리지형 제빵기
CN203379003U (zh) 带和面挡板的面包机
CN209546723U (zh) 一种炒琪装置
JP5316323B2 (ja) 蒸し機能付き製パン機
CN203379006U (zh) 多面加热均热式面包机
CN203379004U (zh) 触片发酵控制的面包机
CN210168863U (zh) 一种糕点烘烤机
RU159939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печки из теста полых издели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51123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UA0301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Document of Request for Examination(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0317

Patent event code: UA03012R01D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1123

Patent event code: UA03011R01I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60516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U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E06011S01D

Patent event date: 20160912

AMND Amendment
U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091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6071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UX09012R01I

UX0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111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X06014S01D

Patent event date: 2016101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U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6091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X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6071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U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6051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X06013S01I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6994;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U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code: UJ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212

Patent event code: UJ02011S01I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111

Patent event code: UJ02011S01I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912

Appeal identifier: 2016101006994

Request date: 20161212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6994;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1212

Effective date: 20181023

U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date: 20181023

Patent event code: UJ13011S01D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identifier: 2016101006994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181023

Request date: 20161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