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1022A - Button Type Plug Receptacle - Google Patents
Button Type Plug Receptac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01022A KR20170001022A KR1020150090350A KR20150090350A KR20170001022A KR 20170001022 A KR20170001022 A KR 20170001022A KR 1020150090350 A KR1020150090350 A KR 1020150090350A KR 20150090350 A KR20150090350 A KR 20150090350A KR 20170001022 A KR20170001022 A KR 2017000102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se
- connection port
- link
- button
- plu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3—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3—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 H01R13/63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by mechanical pressure, e.g. spring force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전방을 향하여 형성된 제 1 회전축과 상측부에 제 1 회전축에 연결되는 누름 버튼을 갖는 제 1 케이스; 제 1 케이스의 전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한 쌍의 단자핀을 가지는 플러그를 삽입하기 위한 접속구가 형성되는 제 2 케이스; 제 1 케이스의 후면에 부착되어 제 1 케이스를 벽체 내에 고정 설치하기 위한 브라켓; 및 제 2 케이스의 전면 테두리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는 덮개; 를 포함하며, 누름 버튼을 누르게 되면 접속구를 후면으로 밀어서 플러그를 접속구로부터 분리시키는 버튼식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A first case having a front face opened and having a first rotation shaft formed inside toward the front and a push button connected to the first rotation shaft at an upper side; A second case detachably mounted on a front surface of the first case and having a connection port for inserting a plug having a pair of terminal pins; A bracket attached to a rear surface of the first case for fixing the first case to the wall; And a cover detachably fitted to a front edge of the second case; And a button-type receptacle that pushes the connection port to the rear surface when the push button is pressed to separate the plug from the connection port.
Description
본 발명은 버튼식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벽체에 매립되어 설치되는 매립형 콘센트의 접속구에 끼워진 플러그의 단자핀을 제 1 케이스의 누름 버튼을 누름으로써 접속구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으며, 어린이들의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버튼식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tton-type recepta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button-type receptacle, which can easily separate a terminal pin of a plug inserted into a connection port of a flush-type receptacle embedded in a wall from a connection port by pressing a push button of the first cas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tton-type outlet capable of preventing a safety accident of a battery.
일반적으로 매립형 콘센트는 벽체 내에 매립되어 옥외로부터 공급되는 전기공급원과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고, 공급받은 전원을 각 플러그를 통하여 실내의 각 목적지에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최근에는 플러그의 삽입 및 인출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하기 위한 매립형 콘센트가 제안되고 있다. In general, a flush-type socket-outlet is embedded in a wall, connected to an electric power source supplied from the outside to supply power, and supplies the supplied power to each destination in the room through each plug. In recent years, A flush-type outlet has been proposed.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매립형 콘센트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매립형 콘센트는 외부전원이 공급되는 전원부(4)와 플러그를 안착하기 위해 소정의 위치에 접속구가 하나이상 구비된 콘센트 본체(3)와 콘센트 본체(3) 상측에 안착되며 콘센트의 미관을 좋게 하는 제 1 및 2 덮개(1,2)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일반적인 매립형 콘센트에 플러그를 꼽아 공급되는 전원을 각각의 전기기구에서 사용할 수가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매립형 콘센트는 전기기구의 플러그를 계속 꼽아 놓게 되면 전기기구를 사용 하지 않더라도 전기기구의 암전류 성분에 의해 전류소모가 발생한다. 따라서 전류소모를 막기 위해서는 전기기구의 플러그를 매립형 콘센트에서 뽑아야 한다. 그런데 전기기구를 사용한 후 플러그를 뽑을 때 부주의에 의한 감전사고의 위험이 있을 수 있고 항상 플러그를 뽑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며, 접속구가 그대로 방치되어 어린이나 유아 등의 부주의에 의해 감전사고의 위험이 있을 수가 있다. 이에 따라 접속구와 플러그를 분리할 수 있는 버튼식 콘센트의 필요성이 커졌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flush-type socket-outlet. 1, a conventional flush-type socket-outlet includes a
한편, 도 2에는 종래의 주택용 콘센트 원터치 분리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분리장치(5)는 콘센트의 일측에 설치되는 버튼(6)과, 콘센트의 내측에 설치되어 버튼(6)에 의해 회동하는 레버부재(7)와, 레버부재(7)에 의해 콘센트에 형성되는 관통공(8)으로 돌출되어 플러그(PG)의 몸체를 밀어주는 밀대(9)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분리장치(5)는 플러그(PG)를 분리시킬 때에 밀대(9)가 플러그(PG)의 몸체의 정중앙을, 즉, 밀대(9)가 한 곳만을 밀도록 되어 있으므로 버튼(6)의 가압력이 제대로 전달되지 않아서 플러그(PG)가 콘센트에서 쉽게 분리되지 않고, 무리한 힘을 가하게 되면 버튼(6)이나 레버부재(7)와 같은 구성품이 파손될 우려가 있다. 더욱이, 위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콘센트는 멀티탭형 콘센트로서, 위의 콘센트는 벽체에 매립되어 설치되는 매립형 콘센트에는 적용할 수 없는 문제점도 있다. On the other hand, FIG. 2 discloses a conventional one-touch outlet apparatus for a house outlet. 2, the
또한, 버튼(6)을 누르기 위해서는 허리를 숙여서 버튼을 눌러야 되는 불편이 있으며, 이에 따라 허리가 불편한 허리 질환 환자 또는 노인들이 실질적으로 많이 사용하지는 않았다. 또한, 버튼식이라고 하더라도 접속구가 아이들의 안전 사고를 방지하기에는 부족한 면이 있다. 버튼(6)을 누른다고 하더라도 접속구가 벽체 내로 들어가는 구조가 아니기 때문에 이물질에 노출되기가 쉬운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re is an inconvenience that the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부에 버튼을 설치하거나 또는 하부에 발로 누를 수 있는 누름 페달을 형성하였으며, 잠금 버튼을 형성하여 안전 사고를 예방하는 버튼식 콘센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utton-type outlet that prevents the occurrence of a safety accident by forming a push button on the upper part or by pressing a foot on the lower part, .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전방을 향하여 형성된 제 1 회전축과 상측부에 상기 제 1 회전축에 연결되는 누름 버튼을 갖는 제 1 케이스; 상기 제 1 케이스의 전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한 쌍의 단자핀을 가지는 플러그를 삽입하기 위한 접속구가 형성되는 제 2 케이스; 및 상기 제 2 케이스의 전면 테두리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는 덮개; 를 포함하며, 상기 누름 버튼을 누르게 되면 상기 접속구를 후면으로 밀어서 상기 플러그를 상기 접속구로부터 분리시키는 버튼식 콘센트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a first case having a front face opened and having a first rotation shaft formed inside toward the front and a push button connected to the first rotation shaft at an upper side; A second case detachably mounted on a front surface of the first case and having a connection port for inserting a plug having a pair of terminal pins; And a cover detachably fitted on a front edge of the second case; Wherein the push button is pushed to push the connection port back to separate the plug from the connection port.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속구 후면에는 후방을 향하여 연장된 슬라이딩 부재가 결합되며 상기 슬라이딩 부재는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에 밀착되되,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를 따라 앞뒤로 슬라이딩 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Preferably, a rearwardly extending sliding member is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connection port, and the sliding member is closely attached to the sliding guide, and may be slidable back and forth along the sliding guide.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 후면에는 제 1 링크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링크 일단에는 제 1 회전축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된 제 2 링크의 일단이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 2 링크의 타단에는 상기 누름 버튼의 하부면과 결합된 제 3 링크의 일단이 결합되어 상기 누름 버튼을 누르게 되면 상기 접속구가 후방을 향하여 이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Preferably, the first link is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sliding member, and one end of the second link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first link so as to be rotatable about the first rotation axis, One end of the third link coupled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push button is engaged and the connection port can be formed to move rearward when the push button is pressed.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케이스에는 잠금 버튼이 형성되며, 상기 잠금 버튼을 누르게 되면 상기 접속구가 전방을 향하여 슬라이딩을 저지 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Preferably, the second case is formed with a lock button, and when the lock button is pressed, the connection port is prevented from sliding forward.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링크의 일단부는 꺽이도록 형성되어 상기 누름 버튼을 누를 때 힘 전달이 용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Also, preferably, one end of the second link is formed to be bent so that force transmission is facilitated when the push button is presse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전방을 향하여 형성된 제 1 회전축과 하측부에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는 누름 버튼을 갖는 제 1 케이스; 상기 제 1 케이스의 전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한 쌍의 단자핀을 가지는 플러그를 삽입하기 위한 접속구가 형성되는 제 2 케이스; 및 상기 제 2 케이스의 전면 테두리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는 덮개; 를 포함하며, 상기 누름 페달을 누르게 되면 상기 접속구를 후면으로 밀어서 상기 플러그를 상기 접속구로부터 분리시키는 버튼식 콘센트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a first case having a front face opened and having a first rotation shaft formed inside toward the front and a push button connected to the rotation shaft at a lower side; A second case detachably mounted on a front surface of the first case and having a connection port for inserting a plug having a pair of terminal pins; And a cover detachably fitted on a front edge of the second case; And the pushing pedal is pushed to push the connection port back to separate the plug from the connection port.
바람직하게는, 상기 누름 페달은 일측 상부면에는 제 2 회전축이 형성되며 타측 상부면에는 탄성체가 형성되는 베이스 프레임; 및 상기 제 2 회전축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단부는 상기 제 1 회전축을 향하여 절곡되는 제 4 링크; 를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pressing pedal includes a base frame having a first rotating shaft formed on one upper surface thereof and an elastic body formed on a second upper surface thereof. And a fourth link rotatably coupled to the second rotation shaft, the one end of the fourth link being bent toward the first rotation axis; . ≪ / RTI >
본 발명은 상부 또는 하부에 버튼을 형성하여 버튼을 누르면 접속구가 벽체 내로 이동하여 자동으로 플러그와 분리되도록 형성하였으며, 잠금 버튼을 형성하여 벽체 내로 이동한 접속구가 전방으로 돌출되지 않게 유지할 수 있도록 형성하여 안전 사고를 예방하도록 하였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utton is formed on the upper or lower part so that when the button is pressed, the connection port is moved into the wall and is automatically separated from the plug, and the connection port moved into the wall is formed so as not to protrude forward To prevent safety accidents.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매립형 콘센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일반적인 버튼식 분리형 콘센트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버튼식 콘센트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버튼식 콘센트의 누름 버튼을 누르기 전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버튼식 콘센트의 누름 버튼을 누른 후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버튼식 콘센트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튼식 콘센트의 누름 페달을 누르기 전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튼식 콘센트의 누름 페달을 누른 후의 단면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튼식 콘센트의 정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conventional flush-type socket-outlet.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button type detachable socket-outlet.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utton-type out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utton-type outlet before the push button is press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button-type outlet after depression of a push butt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ront view of a button-type out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button-type outlet before depression of a pressing ped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utton-type outlet after depressing the pressing ped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ront view of a button-type outl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또한, 이하 명세서 전체를 통해 버튼식 콘센트에서 사용자를 향하는 방향을 "전방"이라 정의하면, 벽체를 향하는 방향을 "후방"이라 정의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Further, when the direction from the button-type outlet to the user is defined as "forward" through the entire specification, the direction toward the wall is defined as "rear ".
본 발명인 버튼식 콘센트는 벽체에 매립되어 형성되는 것으로써 제 1 케이스, 제 2 케이스 및 덮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버튼식 콘센트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The button-type socket out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y being embedded in a wall, and can include a first case, a second case, and a cover.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utton-type out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 1 케이스The first case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버튼식 콘센트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버튼식 콘센트의 누름 버튼을 누르기 전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버튼식 콘센트의 누름 버튼을 누른 후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버튼식 콘센트의 정면도이다. 도 3 내지 6을 참조하면, 제 1 케이스(110)의 후면은 벽체에 매립되도록 형성되며, 전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후방은 일부를 제외하고 밀폐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설치되는 장소에 따라 배선을 다르게 할 수 있으므로 전선이 제 1 케이스(110)의 후면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 1 케이스(110)의 후면에는 제 1 회전축(112)이 형성될 수 있다. 제 1 회전축(112)은 전방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 1 케이스(110)의 상부면에는 누름 버튼(120)이 형성될 수 있다. 누름 버튼(120)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제 1 케이스(110)의 상부면에는 누름 버튼(120)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누름 버튼(120)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홀(122)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홀(122)과 누름 버튼(120)을 밀착하여 형성되어 틈새로 이물질이 들어가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되,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고정되지는 않게 형성될 수 있다.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utton-type out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utton-type outlet before the push button is press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button-type outlet after depression of a push butt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ront view of a button-type out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to 6, the rear surface of the
한편, 후술하는 슬라이딩 가이드(146)를 따라 앞뒤로 이동하도록 형성되는 접속구(160)가 형성될 수 있다. 접속구(160)에는 플러그 단자가 삽입되어 통전될 수 있도록 플러그 단자 안착홈(162)이 형성되어 있으며, 접속구(160)의 후면은 전원 공급 장치(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접속구(160)의 후면에는 슬라이딩 부재(114)가 결합될 수 있다. 슬라이딩 부재(114) 및 접속구(160)는 후술하는 슬라이딩 가이드(146)와 밀착하여 형성되어 틈새로 이물질이 들어가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되, 앞뒤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고정되지는 않게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접속구(160)가 슬라이딩하여 벽체로 삽입되는 거리는 누름 버튼(120)을 눌렀을 때 플러그 단자와 접속구(160)의 안착홈(162)이 분리될 수 있는 정도의 거리로 형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
또한, 슬라이딩 부재(114)의 후면에는 벽체 방향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제 1 링크(130)의 일단이 결합될 수 있다. 제 1 링크(130)는 슬라이딩 부재(114)와 수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 1 링크(130)는 제 1 케이스(110)의 내부 공간을 줄이기 위하여 슬라이딩 부재(114)보다 단면을 더 얇게 형성할 수 있으며, 얇은 봉 부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 링크(130)를 통하여 누름 버튼(120)을 통하여 전달되는 힘 전달을 견딜 수 있을 정도의 강성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 1 링크(130)의 타단은 제 2 링크(132)의 일단과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 1 링크(130) 및 제 2 링크(132)는 힌지 내지 핀 부재로 회동 가능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 2 링크(132)의 중간은 제 1 회전축(112)에 결합될 수 있다. 제 1 회전축(112)은 제 2 링크(132)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전방을 향하여 돌출된 한 쌍의 측벽을 형성할 수 있으며, 한 쌍의 측벽에는 제 2 링크(132)의 중간부를 관통하여 결합할 수 있도록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제 2 링크(132)의 타단은 누름 버튼(120)의 힘 전달이 용이하도록 수평 방향으로 절곡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2 링크(132)의 타단은 누름 버튼(120)과 연결되는 제 3 링크(134)의 일단과 결합될 수 있다. 제 3 링크(134)의 타단은 누름 버튼(120)의 하부면과 결합되며, 누름 버튼(120)을 아래 방향으로 눌렀을 때 힘을 제 2 링크(132)로 전달해주는 역할을 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One end of the
제 2 케이스The second case
제 2 케이스(140)는 앞뒤로 이동 가능한 접속구(160) 및 접속구(160)의 앞뒤 이동의 경로를 형성해주는 접속구 가이드부(144)가 형성될 수 있다. 접속구(160)는 원형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전방을 향하여 플러그 안착홈(162)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접속구(160)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원통형으로 형성된 접속구(160)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도록 접속구의 가이드부(144)는 접속구(160)보다 직경을 크게 하되, 밀착하여 접속구(160)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는 원통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접속구의 가이드부(144)의 상부면에는 잠금 버튼(142)이 관통할 수 있도록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덮개(150)는 제 2 케이스(140)를 감싸도록 형성할 수 있으며, 미관을 위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 1 케이스(110)의 후방측은 벽체에 매립되므로 전방에 돌출된 부분을 마감처리하기 위하여 형성될 수 있다.
The
잠금 버튼Lock button
잠금 버튼(142)은 제 1 케이스(110)의 상부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누름 버튼(120)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잠금 버튼(142)은 누름 버튼(120)을 누름으로써 후방으로 이동한 접속구(160)가 전방으로 이동할 수 없도록 막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잠금 버튼(142)을 형성함으로써 어린 아이들이 접속구(160)에 손을 집어 넣거나, 이물질을 집어 넣어서 발생하는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이 때, 잠금 버튼(142)은 제 1 케이스(110)의 상부면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 1 케이스(110) 및 제 2 케이스(140)의 접속구의 가이드부(144)까지 관통하여 접속구(160)가 전방을 향하여 이동할 수 없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 1 케이스(110)와 제 2 케이스(140) 사이에는 탄성체(143)를 잠금 버튼(142)을 감싸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잠금 버튼(142)을 한번 누르게 되면 접속구(160)의 전방으로 이동을 막게 되며, 다시 한번 누르게 되면 잠금 버튼(142)이 위로 올라오도록 형성되어 접속구(160)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누름 페달Push pedal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튼식 콘센트의 누름 페달을 누르기 전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튼식 콘센트의 누름 페달을 누른 후의 단면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튼식 콘센트의 정면도이다. 도 7 내지 9를 참조하면, 허리 질환이 있는 환자나 노인들이 잠금 버튼을 누르는 것은 허리를 숙여야 하기 때문에 허리에 무리가 갈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이에 따라 발로 누름 페달(220)을 밟음으로써 접속구(260)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도록 형성할 수 있다. 누름 페달(220)은 제 2 회전축(213)이 형성된 베이스 프레임(212) 및 제 2 회전축(213)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 4 링크(236)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회전축(213)은 베이스 프레임(212)의 중간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전방측에만 탄성체(243)가 형성되어 제 4 링크(236)를 발로 누르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제 4 링크(236)는 "ㄱ"자 형상으로 절곡될 수 있으며, 절곡되어 수직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 케이스(210)의 하부면을 관통하여 제 2 회전축(213)에 형성된 제 5 링크(232)에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누름 페달(220)을 밟게 되면 누름 페달(220)의 반대편에 형성된 제 4 링크(236)의 절곡부가 상측 방향을 향하여 이동하며, 제 2 회전축(213)에 결합된 제 5 링크(232)는 후방을 향하여 이동할 수 있다. 이 때, 제 5 링크(232)가 후방을 향하여 이동함에 따라 제 5 링크(232)와 연결된 슬라이딩 부재(214) 역시 후방으로 이동하여 접속구(260)가 후방을 향하여 이동할 수 있다.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button-type outlet before depression of a pressing ped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utton-type outlet after depressing the pressing ped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ront view of a button-type outl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S. 7 to 9, when a patient or an elderly patient having a back disease presses the lock button, the user may have to fall down on his or her waist. The description of the same configuration as that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Referring to FIG. 6, it is possible to form the
1: 제 1 덮개
2: 제 2 덮개
3: 콘센트 본체
4: 전원부
5: 분리장치
6: 버튼
7: 레버부재
9: 밀대
110: 제 1 케이스
112: 제 1 회전축
114: 슬라이딩 부재
120: 누름 버튼
122: 가이드 홀
130: 제 1 링크
132: 제 2 링크
134: 제 3 링크
140: 제 2 케이스
142: 잠금 버튼
143: 탄성체
144: 접속구 가이드부
146: 슬라이딩 가이드
150: 덮개
160: 접속구
162: 안착홈
210: 제 1 케이스
212: 제 1 회전축
213: 제 2 회전축
214: 슬라이딩 부재
220: 누름 페달
222: 가이드 홀
230: 제 1 링크
232: 제 5 링크
236: 제 4 링크
240: 제 2 케이스
242: 잠금 버튼
243: 탄성체
244: 접속구 가이드부
246: 슬라이딩 가이드
250: 덮개
260: 베이스 프레임1: first cover 2: second cover
3: receptacle main body 4: power source part
5: Separator 6: Button
7: lever member 9:
110: first case 112: first rotating shaft
114: sliding member 120: push button
122: guide hole 130: first link
132: second link 134: third link
140: second case 142: lock button
143: Elastic body 144:
146: sliding guide 150: cover
160: connection port 162:
210: first case 212: first rotating shaft
213: second rotating shaft 214: sliding member
220: pressing pedal 222: guide hole
230: first link 232: fifth link
236: fourth link 240: second case
242: Lock button 243: Elastic body
244: connection port guide portion 246: sliding guide
250: cover 260: base frame
Claims (7)
상기 제 1 케이스의 전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한 쌍의 단자핀을 가지는 플러그를 삽입하기 위한 접속구가 형성되는 제 2 케이스; 및
상기 제 2 케이스의 전면 테두리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는 덮개; 를 포함하며, 상기 누름 버튼을 누르게 되면 상기 접속구를 후면으로 밀어서 상기 플러그를 상기 접속구로부터 분리시키는 버튼식 콘센트.A first case having a front face opened and having a first rotation shaft formed inside toward the front and a push button connected to the first rotation shaft at an upper side;
A second case detachably mounted on a front surface of the first case and having a connection port for inserting a plug having a pair of terminal pins; And
A cover detachably fitted to a front edge of the second case; Wherein the push button is pushed to push the connection port back to separate the plug from the connection port.
상기 접속구 후면에는 후방을 향하여 연장된 슬라이딩 부재가 결합되며 상기 슬라이딩 부재는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에 밀착되되,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를 따라 앞뒤로 슬라이딩 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식 콘센트.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sliding member extending rearward is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connection port, and the sliding member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liding guide, and is slidable back and forth along the sliding guide.
상기 슬라이딩 부재 후면에는 제 1 링크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링크 일단에는 제 1 회전축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된 제 2 링크의 일단이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 2 링크의 타단에는 상기 누름 버튼의 하부면과 결합된 제 3 링크의 일단이 결합되어 상기 누름 버튼을 누르게 되면 상기 접속구가 후방을 향하여 이동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식 콘센트.3. The method of claim 2,
A first link is coupled to a rear surface of the sliding member and a first link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second link linked to the first rotation shaft so as to be pivotable about the first rotation axis, And the connection port is configured to move toward the rear side when one end of the third link coupled with the push button is pressed.
상기 제 2 케이스에는 잠금 버튼이 형성되며, 상기 잠금 버튼을 누르게 되면 상기 접속구가 전방을 향하여 슬라이딩을 저지 하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식 콘센트.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a locking button is formed on the second case, and when the locking button is pressed, the connection port is formed to prevent sliding forward.
상기 제 2 링크의 일단부는 꺽이도록 형성되어 상기 누름 버튼을 누를 때 힘 전달이 용이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식 콘센트.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one end of the second link is formed to be bent so as to facilitate transmission of force when the push button is pressed.
상기 제 1 케이스의 전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한 쌍의 단자핀을 가지는 플러그를 삽입하기 위한 접속구가 형성되는 제 2 케이스; 및
상기 제 2 케이스의 전면 테두리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는 덮개; 를 포함하며, 상기 누름 페달을 누르게 되면 상기 접속구를 후면으로 밀어서 상기 플러그를 상기 접속구로부터 분리시키는 버튼식 콘센트.A first case having a front face opened and having a first rotation shaft formed inside toward the front and a push button connected to the rotation shaft at a lower side;
A second case detachably mounted on a front surface of the first case and having a connection port for inserting a plug having a pair of terminal pins; And
A cover detachably fitted to a front edge of the second case; Wherein the pushing pedal pushes the connection port backward to release the plug from the connection port.
상기 누름 페달은 일측 상부면에는 제 2 회전축이 형성되며 타측 상부면에는 탄성체가 형성되는 베이스 프레임; 및
상기 제 2 회전축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단부는 상기 제 1 회전축을 향하여 절곡되는 제 4 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식 콘센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pressing pedal includes a base frame having a first rotating shaft formed on a first upper surface thereof and an elastic body formed on a second upper surface thereof; And
And a fourth link rotatably coupled to the second rotation shaft and having one end bent toward the first rotation axi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90350A KR20170001022A (en) | 2015-06-25 | 2015-06-25 | Button Type Plug Receptac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90350A KR20170001022A (en) | 2015-06-25 | 2015-06-25 | Button Type Plug Receptacl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01022A true KR20170001022A (en) | 2017-01-04 |
Family
ID=57831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90350A Ceased KR20170001022A (en) | 2015-06-25 | 2015-06-25 | Button Type Plug Receptac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70001022A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5051201A (en) * | 2022-06-10 | 2022-09-13 | 杭州航天电子技术有限公司 | Multi-mechanism combined automatic inserting mechanism |
FR3137800A1 (en) * | 2022-07-07 | 2024-01-12 | H.B.F. | ELECTRICAL OUTLET EQUIPPED WITH A PLUG EXTRACTION SYSTEM |
-
2015
- 2015-06-25 KR KR1020150090350A patent/KR20170001022A/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5051201A (en) * | 2022-06-10 | 2022-09-13 | 杭州航天电子技术有限公司 | Multi-mechanism combined automatic inserting mechanism |
FR3137800A1 (en) * | 2022-07-07 | 2024-01-12 | H.B.F. | ELECTRICAL OUTLET EQUIPPED WITH A PLUG EXTRACTION SYSTEM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651348B2 (en) | Electric socket having automatic aperture shutter | |
KR101241246B1 (en) | Safety electric outlet | |
US20110116861A1 (en) | Battery pack locking device | |
CN107157323B (en) | A kind of cup device | |
CN100399638C (en) | Power supply plug of changable pin and with electrical shock protection safety device | |
US11011877B2 (en) | Tamper resistant power receptacle | |
GB2513462A (en) | Cosmetic container | |
CN106137530A (en) | The snap fit structure of the powered air purifying respirator of Auto-changing Shade Welding Mask Made | |
JP6306746B2 (en) | Easy to separate power plug and power plug adapter | |
KR20170001022A (en) | Button Type Plug Receptacle | |
KR101435339B1 (en) | Open-close type safety outlet | |
EP2941988A1 (en) | Detachable handle for cookware | |
WO2020073879A1 (en) | Low-temperature tobacco heating device with ejecting device | |
CN110649425B (en) | Male plug, female socket, charging pile, automatic guiding device and automatic charging wheelchair bed | |
CN204091874U (en) | Connect the quick detach rotating shaft of lavatory lid and closestool body | |
JP3161717U (en) | Connector structure | |
CN217589535U (en) | Rotatable socket device | |
US20150201813A1 (en) | Bath chair | |
KR101565737B1 (en) | One-touch multi tap | |
KR20160088162A (en) | Charging apparatus for electronic cigarette | |
KR101773798B1 (en) | A plug having detachable easy and safety function | |
CN219331323U (en) | Pot body assembly and cooking utensil with same | |
CN203983578U (en) | A kind of socket and socket protecting cover | |
KR101459092B1 (en) | Multi-tap of adsorption | |
KR20090122416A (en) | Two way wearable slipper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62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0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7011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6102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