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70000756U - 안경다리 - Google Patents

안경다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0756U
KR20170000756U KR2020150005564U KR20150005564U KR20170000756U KR 20170000756 U KR20170000756 U KR 20170000756U KR 2020150005564 U KR2020150005564 U KR 2020150005564U KR 20150005564 U KR20150005564 U KR 20150005564U KR 20170000756 U KR20170000756 U KR 2017000075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 member
pin
mounting groove
hole
groov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55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현도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로디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로디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로디프
Priority to KR20201500055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0756U/ko
Publication of KR2017000075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0756U/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3/00Assembling; Repairing; Cleaning
    • G02C13/001Assembling; Repairing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 G02C5/143Side-members having special ear pie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안경다리에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보조귀걸이를 설치하여 귀의 형태나 위치 등에 따라 보조귀걸이의 각도를 적합하게 하향조절하여 안경을 편안하고도 안정되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하는 안경다리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른 안경다리는, 후단에 결속편(12)이 후방으로 연장부설되는 전측다리부재(10)와, 전단부의 내면에 전단이 개방되게 후방으로 함몰형성되어 상기 결속편을 억지 끼워맞춤하는 결속홈(21)과 중간으로부터 후단사이가 "
Figure utm00004
"형태로 되는 지지부(22)와 상기 중간에 천공되는 힌지공(23)과 상기 중간의 내면에 후단이 개방되게 전방으로 함몰형성되는 장착홈(24)을 구비하는 후측다리부재(20)와, 전단부에 상기 힌지공과 연통하게 천공되는 핀공(31)과 전단면에 일정간격으로 돌출되는 래칫기어치(32)들과 상기 힌지공과 핀공을 관통하게 축결합하는 힌지핀(33)을 구비하는 보조다리부재(30) 및 상기 장착홈에 장착하는 코일스프링(41)과 상기 장착홈에 삽입되어 코일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후방으로 밀리게 설치되는 멈춤핀(42)과 상기 멈춤핀의 후편 중간에 래칫기어치들 중 어느 하나와 맞물리게 요입형성되는 멈춤홈(43)을 구비하는 멈춤부재(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안경다리{Eyeglass temples}
본 고안은 안경다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안경다리에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보조다리부재를 설치하여 귀의 형태나 위치 등에 따라 보조다리부재의 각도를 적합하게 하향조절하여 안경을 편안하고도 안정되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하는 안경다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경은 안경다리의 단부를 보편적인 기준에 따라 소정의 각도로 하향하게 굽혀서 형성되는 귀걸이를 귀에 걸어 착용하게 되어 있는데, 이렇게 귀걸이가 굽히는 각도는 평균적인 형상으로 모든 사람에 적용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지만 사람마다 귀의 형태나 위치 등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귀걸이가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아 착용시 부자연스럽고 불편하게 되는 등의 폐단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이러한 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일측단이 안경테에 절첩가능케 고정되며 타측단에는 중심에 결착공이 형성된 장착부가 형성된 대략 직선형의 다리대와, 상기 장착부에 장착수용되어 선회가능케 고정되며 통공의 내주면에 요철이 형성되는 결합부와 결합부로부터 대략 직선형으로 연장되는 걸이부로 되는 귀걸이부재와, 일측에 형성된 걸림판부와 이 걸림판부로부터 연장되어 길이방향으로 중심부가 절개된 몸통부와 이 몸통부에 다리대의 결착공과 귀걸이부재의 통공에 각각 형성된 요철들과 결합되어 클릭감을 부여하도록 그 외주연을 따라 일주하며 요철이 형성된 고정핀과, 상기 걸이부를 씌워주게 결합되어 귀에 걸었을 때 편안함과 부드러움을 부여하게 되는 고무재질의 커버로 구성되는 귀걸이부의 각도조절이 자유로운 안경다리(공개실용신안 제2000-0019515호)가 제안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귀걸이부의 각도조절이 자유로운 안경다리는 다리대에서 귀걸이부를 분리하여 각도조절되게 결합하여 귀에 걸착되는 귀걸이부의 각도를 귀의 형태나 위치에 적합하게 조절하여 모든 사람에게 가장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다고 되어 있으나, 다리대의 결착공과 귀걸이부재의 통공 내면과 고정핀의 몸통부 외면에 서로 결합되는 요철을 형성하여 귀걸이부재의 각도조절시 클릭감을 주도록 한 것이므로, 각도조절된 상태가 임의로 변동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요철들이 서로 확실하게 맞물릴 수 있도록 그 높낮이를 크게 하여야 함과 동시에 고정핀의 걸림턱이 결착공과 통공을 통과하게 결합할 때와 각도조절을 위해 귀걸이부재를 회전시킬 때마다 요철들이 서로 순조롭게 교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고정핀의 절개부에 의해 절개된 몸통부의 탄성 변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절개부의 간격을 충분히 벌려주어야 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결착공과 통공 및 몸통부의 지름은 물론 이들의 좌우 폭과 절개부의 폭도 모두 크게 하여야 하였다.
이에 따라, 결합부분의 부피가 다리대와 귀걸이부재들 보다 크게 되어 안경다리의 외관이 전체적으로 불균형을 이루게 되어 미감의 손상이 초래되었기 때문에 상품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은 물론 착용하였을 때에는 상대적으로 부피가 크고 무거운 결합부분이 귀에 걸쳐지게 됨과 동시에 접촉하는 부분의 피부를 압박하게 되므로 착용감이 매우 불량하고 심한 경우에는 접촉성 피부염 등이 유발되는 등의 문제점들도 있다.
본 고안은 종래의 이러한 점들을 감안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구조가 간단함과 동시에 중량이 가볍고 귀의 형태나 위치 등에 구애됨이 없이 누구나 안경을 편안하고도 안정되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외관이 미려하여 상품성이 대폭적으로 향상됨은 물론 착용감도 매우 양호하게 되는 안경다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후단에 결속편이 후방으로 연장부설되는 전측다리부재와, 전단부의 내면에 전단이 개방되게 후방으로 함몰형성되어 상기 결속편을 억지 끼워맞춤하는 결속홈과 중간으로부터 후단사이가 "
Figure utm00001
"형태로 되는 지지부와 상기 중간에 천공되는 힌지공과 상기 중간의 내면에 후단이 개방되게 전방으로 함몰형성되는 장착홈을 구비하는 후측다리부재와, 전단부에 상기 힌지공과 연통하게 천공되는 핀공과 전단면에 일정간격으로 돌출되는 래칫기어치들과 상기 힌지공과 핀공을 관통하게 축결합하는 힌지핀을 구비하는 보조다리부재와, 상기 장착홈에 장착하는 코일스프링과 상기 장착홈에 삽입되어 코일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후방으로 밀리게 설치되는 멈춤핀과 상기 멈춤핀의 후편 중간에 래칫기어치들 중 어느 하나와 맞물리게 요입형성되는 멈춤홈을 구비하는 멈춤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안경다리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안경다리는, 그 구조가 매우 간단하고 중량이 가볍게 됨과 동시에 멈춤부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장착설치되는 것이어서 안경다리의 외관이 매우 미려하게 되어 상품성을 크게 향상시켜 줌은 물론 귀의 형태나 위치 등에 구애됨이 없이 누구나 안경을 편안하고도 안정되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안경다리가 적용된 안경의 일 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안경다리를 발췌하여 일부절취 분리 확대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안경다리를 조립하여 확대한 단면도
도 4는 도 3에서 보조다리부재의 각도를 조절한 일 예를 보인 단면도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안경다리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안경다리가 적용된 안경의 일 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안경다리를 발췌하여 일부절취 분리 확대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안경다리를 조립하여 확대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보조다리부재의 각도를 조절한 일 예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4의 본 고안에 따른 안경다리는, 전측다리부재(10)·후측다리부재(20)·보조다리부재(30) 및 멈춤부재(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측다리부재(10)는, 전단을 안경테(11)의 양단부에 각각 힌지 결합하고 후단에는 결속편(12)이 후방으로 연장부설된다.
후측다리부재(20)는, 전단부의 내면에 전단이 개방되게 후방으로 함몰형성되어 결속편(12)을 억지 끼워맞춤하는 결속홈(21)과, 중간으로부터 후단사이가 호형으로 하향연장되는 "
Figure utm00002
" 형태의 지지부(22)와, 상기 중간에 지지부의 내·외편을 관통하게 천공되는 힌지공(23)과, 상기 중간의 단면에 후단이 개방되게 전방으로 함몰형성되는 장착홈(24)을 구비하여 된다.
보조다리부재(30)는, 전단의 하면으로부터 후단 일부분을 제외한 부분이 지지부(22)에 삽입되는 호형으로 되며, 전단부에 힌지공(23)과 연통하게 천공되는 핀공(31)과, 상기 핀공을 중심으로 하는 곡면으로 되는 전단면에 일정간격으로 돌출되는 수개의 래칫기어치(32)와, 서로 연통하는 상기 힌지공과 핀공을 관통하게 축결합하는 힌지핀(33)을 구비하여 된다.
멈춤부재(40)는, 개방된 후단을 통해 장착홈(24)에 장착하는 코일스프링(41)과, 전단부가 상기 장착홈에 삽입되어 코일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후방으로 밀리게 설치되는 멈춤핀(42)과, 상기 멈춤핀의 후단편 후면 중간에 래칫기어치(32)들 중 어느 하나와 맞물리게 요입형성되는 멈춤홈(43)을 구비하여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안경다리는, 전측다리부재(10)는 전단을 안경테(11)의 양단부에 각각 힌지결합하고, 지지부(22)에 삽입되게 보조다리부재(30)를 힌지핀(33)으로 회동하게 축결합한 후측다리부재(20)의 결속홈(21)과 상기 전측다리부재의 결속편(12)을 억지 끼워맞춤하면 조립이 완료된다.
이렇게 조립된 안경을 보조다리부재(30)가 후측다리부재(20)의 지지부(22)에 완전히 삽입되어 있는 상태로 착용하였을 때, 상기 후측다리부재가 귀에 걸쳐지거나 귀 상측의 머리부분에 밀착되어 안경이 흘러내리지 않으면 그대로 착용하여도 된다.
이때, 멈춤홈(43)에는 보조다리부재(30)의 전단면에 돌출되어 있는 래칫기어치(32)들 중 제일 상단의 래칫기어치가 맞물려 있게 된다.
그러나, 귀의 형태나 위치 등의 차이에 따라 착용한 안경이 흘러내리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한 손으로는 후측다리부재(20)나 지지부(22)를 잡고 다른 손으로는 상기 지지부에 삽입되어 있지 않은 보조다리부재(30)의 후단이나 하면 후측을 잡아당기면 상기 보조다리부재가 힌지핀(33)을 축으로 하여 후측부가 정회동하여 지지부로부터 나와 하향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보조다리부재(30)의 후측부가 하향하게 되는 정도를 조절하여 착용을 하면, 후측다리부재(20)가 귀에 걸쳐지지않아도 상기 보조다리부재가 걸쳐지기 때문에 안경을 편안하고 안정되게 착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보조다리부재(30)의 후측부를 필요이상으로 하향시켰을 때에는 상기 보조다리부재를 역 회동시켜 주면된다.
이렇게 보조다리부재(30)를 정·역회동시켜 주면, 상기 보조다리부재의 전단면에 돌출되어 있는 수개의 래칫기어치(32)들이 순차적으로 멈춤홈(43)에 맞물렸다 벗어나는 동작을 하게 된다.
이때, 래칫기어치(32)들이 멈춤홈(43)에 맞물렸다 벗어나는 동작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은, 멈춤핀(42)이 코일스프링(41)의 탄성에 의해 후방으로 밀려있는 상태에서 돌출된 상기 래칫기어치가 멈춤홈에서 벗어나게 될 때에는 래칫기어치가 멈춤핀을 전방으로 밀어주게 되므로 코일스프링이 압축되면서 벗어나게 되는 것이며, 하나의 래칫기어치가 멈춤홈에서 완전히 벗어난 후 다음 래칫기어치가 멈춤홈에 위치하게 되면 멈춤핀을 전방으로 밀어주지 않게 되어 압축되었던 코일스프링의 탄성이 작용하여 멈춤핀을 후방으로 밀어주기 때문에 맞물렸다 벗어나는 동작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러한 동작에 의해 보조다리부재(30)를 정·역회동시켜줄 때마다 래칫기어치(32)의 간격에 의해 보조다리부재(30)의 정·역회동 정도의 조절은 물론 조절된 상태에서 고정되어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사용하는 본 고안에 따른 안경다리는, 그 구조가 매우 간단하고 중량이 가볍고 멈춤부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장착설치되는 것임은 물론 전측다리부재(10)와 후측다리부재(20) 및 보조다리부재(30)의 색상도 달리할 수 있어 안경다리의 미관도 매우 미려하게 되어 상품성을 크게 향상시켜 줌과 동시에 귀의 형태나 위치 등에 구애됨이 없이 누구나 안경을 편안하고도 안정되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10 : 전측다리부재 12 : 결속편
20 : 후측다리부재 21 : 결속홈
22 : 지지부 23 : 힌지공
24 : 장착홈 30 : 보조다리부재
31 : 핀공 32 : 래칫기어치
33 : 힌지핀 40 : 멈춤부재
41 : 코일스프링 42 : 멈춤핀
43 : 멈춤홈

Claims (1)

  1. 전단은 안경테의 양단부에 각각 힌지 결합하며, 후단에 결속편(12)이 후방으로 연장부설되는 전측다리부재(10)와;
    전단부의 내면에 전단이 개방되게 후방으로 함몰형성되어 상기 결속편(12)을 억지 끼워맞춤하는 결속홈(21)과, 중간으로부터 후단사이가 "
    Figure utm00003
    "형태로 되는 지지부(22)와, 상기 중간에 지지부(22)의 내·외편을 관통하게 천공되는 힌지공(23)과, 상기 중간의 단면에 후단이 개방되게 전방으로 함몰형성되는 장착홈(24)을 구비하는 후측다리부재(20)와;
    전단의 하면으로부터 후단 일부분을 제외한 부분이 지지부(22)에 삽입되며, 전단부에 상기 힌지공(23)과 연통하게 천공되는 핀공(31)과, 상기 핀공(31)을 중심으로 하는 곡면으로 되는 전단면에 일정간격으로 돌출되는 래칫기어치(32)들과, 상기 힌지공(23)과 핀공(31)을 관통하게 축결합하는 힌지핀(33)을 구비하는 보조다리부재(30); 및
    개방된 후단을 통해 상기 장착홈(24)에 장착하는 코일스프링(41)과, 상기 장착홈(24)에 삽입되어 코일스프링(41)의 탄성에 의해 후방으로 밀리게 설치되는 멈춤핀(42)과, 상기 멈춤핀(42)의 후단편 후면 중간에 래칫기어치(32)들 중 어느 하나와 맞물리게 요입형성되는 멈춤홈(43)을 구비하는 멈춤부재(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다리.
KR2020150005564U 2015-08-20 2015-08-20 안경다리 Ceased KR2017000075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5564U KR20170000756U (ko) 2015-08-20 2015-08-20 안경다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5564U KR20170000756U (ko) 2015-08-20 2015-08-20 안경다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756U true KR20170000756U (ko) 2017-03-02

Family

ID=58412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5564U Ceased KR20170000756U (ko) 2015-08-20 2015-08-20 안경다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0756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75984A (zh) * 2019-05-16 2019-07-05 歌尔科技有限公司 镜腿阻尼机构及ar眼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75984A (zh) * 2019-05-16 2019-07-05 歌尔科技有限公司 镜腿阻尼机构及ar眼镜
CN109975984B (zh) * 2019-05-16 2021-06-22 歌尔光学科技有限公司 镜腿阻尼机构及ar眼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29245B2 (en) Earpiece-less eyeglass apparatus and strap attachment mechanism
CN102144183A (zh) 用于不具有突出上鼻支撑的面部的眼镜组件
US9028061B2 (en) Adjustable nose pad structure
CN112415770A (zh) 一种眼镜腿
KR20200001172U (ko) 무게중심의 이동이 가능한 안경다리
KR101942089B1 (ko) 범용 보조안경
KR20170000756U (ko) 안경다리
KR200483685Y1 (ko) 안경다리
CN213457569U (zh) 一种眼镜腿
KR102495079B1 (ko) 안경다리
KR20190064744A (ko) 안경 다리 길이 조절장치
JP3300777B2 (ja) 顔面防具用メガネ
KR101088026B1 (ko) 보호안경의 다리 각도 조절구조
KR20160003557U (ko) 안경테
CN218213653U (zh) 一种便于拆卸的眼镜架及眼镜
KR102562601B1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코패드를 구비한 안경
KR20090005955U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안경용 탈부착식 코 받침대
CN209911680U (zh) 具有镜腿弯度调节功能的眼镜
CN220872796U (zh) 眼镜镜脚的长度可调节结构及其应用的眼镜
CN110673356B (zh) 一种具有罩杯的眼镜装置
KR101488791B1 (ko) 클립안경
CN204065577U (zh) 一种防滑脱眼镜
CN218099827U (zh) 无鼻托眼镜
CN213149399U (zh) 眼镜结构
KR101530988B1 (ko) 길이 조절이 가능한 블럭 안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50820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60818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U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E06011S01D

Patent event date: 20170228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1417;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U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code: UJ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323

Patent event code: UJ02011S01I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228

Appeal identifier: 2017101001417

Request date: 20170323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1417;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0323

Effective date: 20181022

U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date: 20181022

Patent event code: UJ13011S01D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identifier: 2017101001417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181022

Request date: 20170323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US0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20170323

Decision date: 20181022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81108

S601 Decision to reject again after remand of revocation
US0601 Decision to reject again after remand of revoc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131

Patent event code: US06013S01D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1108

Patent event code: US06012S01I

Comment text: Notice of Trial Decision (Remand of Revo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023

Patent event code: US06011S01I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818

Patent event code: US06012S01I

Request date: 20170323

Decision date: 20181022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