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0099U - Lining of the helmet - Google Patents
Lining of the helme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00099U KR20170000099U KR2020160007362U KR20160007362U KR20170000099U KR 20170000099 U KR20170000099 U KR 20170000099U KR 2020160007362 U KR2020160007362 U KR 2020160007362U KR 20160007362 U KR20160007362 U KR 20160007362U KR 20170000099 U KR20170000099 U KR 20170000099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lip
- clip body
- safety
- present
- helme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0—Linings
- A42B3/12—Cushioning devices
- A42B3/125—Cushioning devices with a padded structure, e.g. foam
- A42B3/127—Cushioning devices with a padded structure, e.g. foam with removable or adjustable pads
-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C—MANUFACTURING OR TRIMMING HEAD COVERINGS, e.g. HATS
- A42C5/00—Fittings or trimmings for hats, e.g. hat-bands
- A42C5/02—Sweat-bands
-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용 내피는, 안전모에 부착하여 이마에 흐르는 땀을 흡수하도록 하여 땀이 사용자의 눈 쪽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으로써, 안전모의 제조사에 관계없이, 특히 안전모에 구비된 쿠션의 위치와 상관 없이 내피를 안전모에 쉽고 신속하게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전모용 내피에 관한 것이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fety innerwear is attached to the safety cap so as to absorb the sweat flowing in the forehead, thereby preventing the sweat from flowing toward the user's eyes. Thus, regardless of the manufacturer of the safety cap,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ner skin for a safety eyelash which can easily and quickly attach and detach an inner skin to a safety helmet regardless of the position of the cushion.
Description
본 고안은 안전모를 착용한 상태에서 이마에 흐르는 땀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전모용 내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ty endodermic skin which is capable of absorbing perspiration in the forehead while wearing a safety helmet.
일반적으로 안전모는 산업 현장에서 사고의 위험으로부터 머리를 보호하기 위하여 착용할 수 있다.In general, helmets can be worn to protect the head from accidental hazards in the industrial field.
산업 현장에서 작업자는 땀을 흘릴 수 있고, 특히 머리 부분에서 땀이 나올 경우에 그러한 땀이 이마를 지나 눈가로 흘러 내릴 수 있는데, 이러한 땀은 작업자에게 불쾌감을 주고 작업에 방해될 수 있다.In an industrial setting, a worker can sweat, especially when sweating on the head, such sweat can flow past the forehead and into the eyes, which can be uncomfortable and disturbing to the worker.
따라서 이마에 흐르는 땀을 흡수하기 위하여 안전모의 내부에 내피를 구비하는 기술이 알려져 잇다.Therefore, there is known a technique in which an endothelium is provided inside a safety helmet to absorb sweat flowing in the forehead.
종래에 알려진 안전모용 내피에 기술로써 안전모의 내부에 내피를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이 제안되었다. 예를 들면, 내피의 가장자리에 날개 모양으로 덧붙여 구비된 결착부가 구비되고, 안전모의 내부에 구비된 헤드 프레임에 결착부가 감싸도록 구성된다.There has been proposed a configuration for fixing the endothelium inside the helmet using a technique known in the prior art. For example, a binding portion provided at the edge of the endothelium in a wing shape is provided, and the binding portion is wrapped around a head frame provided inside the helmet.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안전모용 내피에 관한 기술은 내피를 교체함에 불편함이 있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내피를 헤드 프레임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결착부를 감싸도록 하여야 하는 작업을 하여야 하는데, 헤드 프레임과 안전모의 사이의 공간이 매우 좁아 결착부를 끼워 넣는 과정이 매우 번거롭고 작업 현장에서 내피를 분리하거나 부착하는 것은 매우 불편하였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technique relating to the inner skin for the safety mans is inconvenient for replacing the inner skin. More specifically, it is necessary to wrap the binding part in order to fix the inner part to the head frame. Since the space between the head frame and the helmet is very narrow, the process of fitting the binding part is very troublesome. It was very inconvenient to separate or attach.
또한, 안전모와 헤드 프레임의 사이에는 쿠션이 구비된다. 상기 쿠션은 외부로부터 안전모의 외부에 충격이 가해졌을 때에 그 충격이 완화하거나 흡수하도록 하고, 충격이 헤드 프레임을 경유하여 사람의 머리에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A cushion is provided between the helmet and the head frame. The cushion serves to relieve or absorb the impact when an impact is applied to the outside of the helmet from the outside, thereby preventing the impact from being applied to the head of the person via the head frame.
그런데 상기 쿠션은 안전모의 제조사마다 위치나 크기를 제각각 제조할 수 있지만, 내피의 결착부는 다양한 안전모의 제품에 각각 대응하도록 제공되지 않을 수 있고, 특히 결착부가 상기 쿠션의 위치와 겹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에 내피를 안전모에 장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Although the cushion can be manufactured in various positions and sizes for each manufacturer of the helmet, the binding portion of the endcap may not be provided to correspond to various products of the helmet, and in particular, when the binding portion is disposed at a position overlapping the position of the cush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ndothelium can not be attached to the helmet.
특히, 내피는 작업자의 위생과 관련이 깊은 것으로써, 작업자의 땀으로 오염될 수 있으며, 특히 이마가 닿는 부분에서 땀이 포화 상태로 흡수되기 전에 교체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불편함 때문에 내피를 교체하지 않고 위생이 불결함을 감수하면서 안전모를 착용하는 문제점이 있다.Particularly, the endothelium is deeply related to the hygiene of the worker, and may be contaminated by the sweat of the operator. Particularly, it is preferable to replace the sweat before the sweat is absorbed in the saturated state at the portion where the forehead touches. However, There is a problem of wearing a helmet while taking care that the hygiene is impure without replacing the endothelium.
따라서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안전모용 내피를 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고, 안전모의 제조사가 다르거나 안전모 쿠션의 배치 위치가 다르더라도 안전모용 내피를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전모용 내피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afety inner cap which can easily replace the inner cap of the safety cap, and can mount the inner cap of the cap even if the position of the cap is different or the manufacturer of the cap is different. There is a purpose.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용 내피는, 사용자의 이마에 닿는 위치에 이마 접촉부(12)가 배치되는 머리받침 내피(10); 상기 이마 접촉부(12)에 구비되는 벨크로 테이프(14); 상기 벨크로 테이프(14)에 탈부착 되고, 결착 홀(22)이 형성된 플레이트(20); 및 상기 결착 홀(22)에 결착되고, 안전모(50)의 헤드 프레임(60)에 결착되는 클립(30);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afety mattress inner skin comprising: a headrest inner skin (10) having a forehead contact portion (12) disposed at a position in contact with a forehead of a user; A Velcro tape (14) provided on the forehead contact part (12); A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용 내피는, 상기 결착 홀(22)이 복수로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the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용 내피의 상기 클립(30)은, 제1 클립 바디(32)와 제2 클립 바디(36)가 연결되는 연결부(34); 및 상기 제1 클립(32)의 배면에서 갈고리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결착부(22)에 삽입되어 결착되는 제1, 2 삽입부(41, 42);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클립 바디(32)와 상기 제2 클립 바디(36)의 사이에 상기 헤드 프레임(60)이 삽입되는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용 내피는, 상기 제1 클립 바디(32)는 상기 제1 클립 바디(32)의 중간부분이 상기 제1 클립 바디(36)를 향하는 쪽으로 볼록하고, 상기 제1 클립 바디(32)의 제1 단부(33)는 상기 제1 클립 바디(36)와 반대 방향 쪽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The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용 내피는 안전모의 제조사에 관계 없이, 특히 안전모의 쿠션 위치와 상관없이 내피를 안전모에 장착이 가능하고, 내피를 교체하고자 할 때에 신속하고 편리하게 교체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The endothelial fascia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can be attached to the helmet regardless of the position of the cushion of the helmet, irrespective of the manufacturer of the helmet,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replaced.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용 내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용 내피에서 클립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안전모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ndothelial fascia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clip in the safety net inner ski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helmet.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ow to accomplish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고안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크기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re provided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with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specific examples are omitt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functions or component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not necessarily drawn to scale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design, but may be exaggerated in size of some of the components.
한편,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다른 한편,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nd are incorporated in and constitute a part of this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용 내피에 대해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safety mousse inner ski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첨부도면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용 내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용 내피에서 클립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안전모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safety mousse inner sk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clip in the safety net inner ski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helmet.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용 내피는, 머리받침 내피(10), 플레이트(20) 및 클립(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endoscopic endothelial fascia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the
상기 머리받침 내피(10)는 사용자의 이마에 닿는 위치에 이마 접촉부(12)가 배치될 수 있다. 머리에 씌워지는 부분은 망사 형태로 제공되어 통기가 확보될 수 있고, 상기 이마 접촉부(12)는 일반적인 수건과 유사한 섬유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The
상기 벨크로 테이프(14)는 상기 이마 접촉부(12)에 봉제 되어 고정될 수 있다.The Velcro
상기 플레이트(20)는 상기 벨크로 테이프(14)에 탈부착될 수 있는 벨크로 테이프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벨크로 테이프는 알려진 기술을 이용한 것으로써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또한, 상기 플레이트(20)에는 결착 홀(2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착 홀(22)은 2개가 1개 조를 이룰 수 있고, 1개 조의 결착 홀(22)은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상기 클립(30)은 상기 결착 홀(22)에 결착될 될 수 있고, 안전모(50)의 헤드 프레임(60)에 결착될 수 있다.The
즉, 상기 플레이트(20)와 상기 클립(30)이 결착된 상태에서 상기 클립(30)을 상기 안전모(50)의 헤드 프레임(60)에 장착할 수 있고, 상기 플레이트(20)에는 머리받침 내피(10)를 부착시킬 수 있다.That is, the
그리고 머리받침 내피(10)는 사용자의 의지에 따라 상기 벨크로 테이프(14)를 분리시키거나 부착시킴으로써 탈부착이 가능할 수 있다.The headrest endotheliquid 10 may be detachable by separating or attaching the Velcro
즉,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용 내피는 클립(30)을 헤드 프레임(60)에 장착시킬 수 있고, 특히 클립(30)이 헤드 프레임(60)에 장착되는 위치는 임의의 위치로써 특정한 위치로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That is, the safety damper inner ski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ount the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용 내피는 내피를 사용자가 선호하는 임의의 위치에 용이하게 부착시킬 수 이점이 있다.Therefore, the endosseous endothelial fascia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that the endothelium can be easily attached to an arbitrary position preferred by the user.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용 내피는 내피를 탈부착할 때에 벨크로 테이프(14)를 분리하도록 함으로써 탈부착이 용이한 이점이 있으며, 특히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용 내피는 종래의 기술에서 결착부를 헤드 프레임에 끼워 넣어 감싸도록 하는 구성을 배제함으로써, 종래의 기술에 비교하여 내피의 교체가 더욱 용이하고 신속하게 교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fety moth inner skin has advantages in that it is easy to attach and detach by separating the
한편으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용 내피는, 상기 결착 홀(22)이 복수로 제공될 수 있다. 이로써 내피에서 클립(30)의 결착 위치를 임으로 조절할 수 있고, 특히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안전모(50)에서 쿠션(70)과 간섭 되지 않는 위치에 클립(30)을 결착 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end plate for the safety mask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the
안전모(50)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에 헤드 프레임(60)이 구비되고, 헤드 프레임(60)과 안전모(50)의 내부표면 사이에는 다수의 쿠션(70)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쿠션(70)의 위치와 크기는 안전모(50)의 제조사마다 다를 수 있다.3, the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용 내피는 안전모(50)에 구비된 쿠션(70)의 위치에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고, 클립(30)을 헤드 프레임(60)에 장착할 때에 장착 위치에 대하여 유연성을 가질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다른 한편으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용 내피의 상기 클립(30)은, 제1, 2 클립 바디(32, 36), 연결부(34) 및 제1, 2 삽입부(41, 4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상기 제1 클립 바디(32)와 상기 제2 클립 바디(36)는 연결부(34)에 의해 연결되는 구성이다. 즉, 상기 제1 클립 바디(32)의 제1 단부(33)와 상기 제2 클립 바디(36)의 제2 단부(37)가 벌어진 형태로 제공될 수 있고, 벌어지는 틈 사이로 헤드 프레임(60)의 일부가 삽입되어 결착될 수 있다.The first clip body (32) and the second clip body (36) are connected by a connecting portion (34). That is, the
상기 제1, 2 삽입부(41, 42)는 상기 제1 클립(32)의 배면에서 갈고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1, 2 삽입부(41, 42)는 1개 조의 결착 홀(22)에 결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삽입부(41)와 상기 제2 삽입부(42)가 제공됨으로써 클립(30)이 상기 플레이트(20)에 더욱 단단하게 고정될 수 있다.The first and
또한, 상기 제1 삽입부(41,)와 상기 제2 삽입부(42)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갈고리 형상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이로써 클립(30)이 상기 플레이트(20)에 결착되었을 때에, 클립(30)이 플레이트(20)로부터 분리되는 것에 대하여 더욱 강한 힘으로 분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 다른 한편으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용 내피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 클립 바디(32)는 상기 제1 클립 바디(32)의 중간부분이 상기 제1 클립 바디(36)를 향하는 쪽으로 볼록하고, 상기 제1 클립 바디(32)의 제1 단부(33)는 상기 제1 클립 바디(36)와 반대 방향 쪽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2, the
이로써, 상기 플레이트(20)에 상기 클립(30)이 결착되었을 때에, 플레이트(20)의 일부는 이마 접촉부(12)의 일부가 사용자의 이마 쪽으로 돌출되는 형상을 이루도록 작용을 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가 안전모(50)에 내피를 부착하여 착용하였을 때에 사용자의 이마에 이마 접촉부(12)가 밀착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나아가 땀이 흘러내리는 것을 좀 더 강하게 억제할 수 있다.Thus, when the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will be.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고안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erefore,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to be considere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which is defined by the claims which follow and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용 내피는 안전모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이마에 흐르는 땀이 사용자의 눈쪽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The safety endodermic ski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to prevent sweat running on the user's forehead from flowing down toward the user's eye by being mounted on the safety cap.
10: 머리받침 내피
12: 이마 접촉부
14: 벨크로 테이프
20: 플레이트
22: 결착 홀
30: 클립
32, 36: 제1 클립 바디
33, 37: 제1, 2 단부
34: 연결부
41, 42: 제1, 2 삽입부
50: 안전모
60: 헤드 프레임
70: 쿠션10: headrest endothelium 12: forehead contact
14: Velcro tape
20: Plate 22: Bonding hole
30:
33, 37: first and second end portions 34:
41, 42: first and second insertion portions
50: hardhat 60: head frame
70: Cushion
Claims (4)
상기 이마 접촉부(12)에 구비되는 벨크로 테이프(14);
상기 벨크로 테이프(14)에 탈부착 되고, 결착 홀(22)이 형성된 플레이트(20); 및
상기 결착 홀(22)에 결착되고, 안전모(50)의 헤드 프레임(60)에 결착되는 클립(30);
을 포함하는 안전모용 내피.
A headrest inner skin 10 in which a forehead contact portion 12 is disposed at a position in contact with the forehead of the user;
A Velcro tape (14) provided on the forehead contact part (12);
A plate 20 detachably attached to the Velcro tape 14 and having a binding hole 22 formed therein; And
A clip 30 attached to the binding hole 22 and engaged with the head frame 60 of the helmet 50;
Wherein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surface is substantially flat.
상기 결착 홀(22)이 복수로 제공되는 것을 포함하는 안전모용 내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plurality of said binding holes (22) are provided.
상기 클립(30)은,
제1 클립 바디(32)와 제2 클립 바디(36)가 연결되는 연결부(34); 및
상기 제1 클립(32)의 배면에서 갈고리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결착부(22)에 삽입되어 결착되는 제1, 2 삽입부(41, 42);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클립 바디(32)와 상기 제2 클립 바디(36)의 사이에 상기 헤드 프레임(60)이 삽입되는 것을 포함하는 안전모용 내피.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lip (30)
A connecting portion 34 to which the first clip body 32 and the second clip body 36 are connected; And
And first and second insertion portions (41, 42) formed in the shape of a hook at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clip (32) and inserted and fixed to the binding portion (22)
Wherein the head frame (60) is inserted between the first clip body (32) and the second clip body (36).
상기 제1 클립 바디(32)는 상기 제1 클립 바디(32)의 중간부분이 상기 제1 클립 바디(36)를 향하는 쪽으로 볼록하고, 상기 제1 클립 바디(32)의 제1 단부(33)는 상기 제1 클립 바디(36)와 반대 방향 쪽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제공되는 것을 포함하는 안전모용 내피.The method of claim 3,
The first clip body 32 is formed such that a middle portion of the first clip body 32 is convex toward the first clip body 36 and a first end 33 of the first clip body 32 is convex, Is provided in a convex shap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clip body (36).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60007362U KR20170000099U (en) | 2016-12-19 | 2016-12-19 | Lining of the helme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60007362U KR20170000099U (en) | 2016-12-19 | 2016-12-19 | Lining of the helme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00099U true KR20170000099U (en) | 2017-01-06 |
Family
ID=57797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60007362U Ceased KR20170000099U (en) | 2016-12-19 | 2016-12-19 | Lining of the helme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70000099U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22951A (en) | 2019-08-21 | 2021-03-04 | 주식회사 라온와이즈 | Safety cap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62737Y1 (en) | 2011-05-20 | 2012-09-26 | 정종오 | Inner layer of safety cap |
-
2016
- 2016-12-19 KR KR2020160007362U patent/KR20170000099U/en not_active Ceas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62737Y1 (en) | 2011-05-20 | 2012-09-26 | 정종오 | Inner layer of safety cap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22951A (en) | 2019-08-21 | 2021-03-04 | 주식회사 라온와이즈 | Safety cap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875488A (en) | Headgear with ponytail pull-through | |
US20080216214A1 (en) | Multi-function headband | |
US9095182B1 (en) | Anti-chafing chin strap accessory | |
US20050028250A1 (en) | Ear muff | |
KR101532972B1 (en) | Helmet with easy lid fastening | |
US20130298318A1 (en) | Eye Protection for Equestrian Use | |
JPH11206896A (en) | Face mask with wearing bands and its manufacturing | |
KR20170000099U (en) | Lining of the helmet | |
JP5650493B2 (en) | Retrofit chin strap attachment device to attach to a head covering such as a shade | |
KR102317939B1 (en) | Band for wearing mask | |
KR200478357Y1 (en) | Mask | |
KR20140003967U (en) | Sleep shade | |
KR200479141Y1 (en) | Safety helmet | |
KR200462737Y1 (en) | Inner layer of safety cap | |
JP2001336020A (en) | Helmet with inner cap | |
KR101230446B1 (en) | Built-in liner cap with attachment for helmet | |
KR200444807Y1 (en) | Safety Headrests Endothelial | |
JP2006070409A (en) | Hat | |
KR200455017Y1 (en) | Safety Headrests Endothelial | |
KR20160011335A (en) | Air space in the neck anti wrinkle Beauty Equipment | |
JP2012072527A (en) | Head protector | |
JP3194707U (en) | Sanitary mask | |
US10016305B2 (en) | Clip-on earmuff and kit | |
JP3095569U (en) | Work helmet cap | |
US20240423311A1 (en) | Protective Headgear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61219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90725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219 Patent event code: UA02011R01I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200714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200806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U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E06011S01D Patent event date: 202010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