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60148776A - Taking-off device of capsule in coffee vending machine - Google Patents

Taking-off device of capsule in coffee vending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8776A
KR20160148776A KR1020150085125A KR20150085125A KR20160148776A KR 20160148776 A KR20160148776 A KR 20160148776A KR 1020150085125 A KR1020150085125 A KR 1020150085125A KR 20150085125 A KR20150085125 A KR 20150085125A KR 20160148776 A KR20160148776 A KR 201601487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ffee
capsule
coffee capsule
waste
pl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512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종록
박재필
김성업
박대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화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화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화수
Priority to KR10201500851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48776A/en
Publication of KR201601487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8776A/en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3/0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 G07F13/1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associated dispensing of containers, e.g. cups or other articl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0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 G07F11/1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two or more magazines having a common delivery chut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46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movabl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 G07F11/48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movabl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th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e.g. magazine, being pivotally mount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피캡슐(Cs)을 다단으로 적재 공급하는 커피캡슐적재부(800)와, 이 커피캡슐적재부(800)로부터 공급되는 커피캡슐(Cs)을 안착시켜 원하는 위치로 이송하는 커피캡슐이송부(850)와, 이 커피캡슐이송부(850)를 통해 이송된 커피캡슐(Cs)로부터 커피원액을 추출하기 위한 커피원액추출부(870) 및 이들을 제어하는 제어부로서, 커피원액추출부(870)의 측부하단에는 커피원액을 추출하고 남은 폐커피캡슐(Cs1)을 이동슬라이드(851)의 커피캡슐홀더(852)를 통해 기설정된 위치로 이동시킨 후 커피캡슐홀더(852)로부터 폐커피캡슐(Cs1)을 밑에서 상부로 밀어서 분리할 수 있도록 승하강밀대가 형성하여 캡슐수거통로관(881)에 투입함에 따라 설치판(801) 저면쪽으로 자유낙하시켜 수거할 수 있는 폐커피캡슐수거부(880)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 원두커피 자동판매기의 캡슐 수거장치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coffee capsule loading part 800 for loading and feeding a coffee capsule Cs in multiple stages and a coffee capsule for loading and transferring a coffee capsule Cs supplied from the coffee capsule loading part 800 to a desired position A coffee stock solution extracting section 870 for extracting a coffee stock solution from the coffee capsules Cs transferred through the transfer section 850 and a control section for controlling these components, And the remaining coffee beans Cs1 are mov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through the coffee capsule holder 852 of the moving slide 851. The coffee beans are then discharged from the coffee capsule holder 852 to the waste coffee capsule Cs1 from the bottom to the top of the mounting plate 801 to be separated from the bottom of the mounting plate 801 as it is put into the tube 881 by the capsule recepta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capsule coffee bean automatic A capsule collection device for tying.

Description

캡슐 원두커피 자동판매기의 캡슐 수거장치{Taking-off device of capsule in coffee vending machin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ffee beverage dispenser,

본 발명은 캡슐 원두커피 자동판매기의 캡슐 수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캡슐로 만들어진 원두커피를 자동판매기에 의하여 판매할 수 있는 캡슐 원두커피 자동판매기의 캡슐 수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psule collecting device for a capsule bean coffee machi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apsule collecting device for a coffee bean coffee dispenser capable of selling a coffee bean coffee by an automatic vending machine.

주지하는 바와 같이 원두커피는 인스턴트 커피에 비하여 맛과 향이 뛰어나고 카페인의 함량이 적은 장점이 있으나, 원두커피를 음용하기 위해서는 볶은 원두를 별도의 분쇄기를 이용하여 분말상태로 분쇄한 다음, 이를 추출기에 투입하여 커피액을 우려내 추출함으로써 원두커피를 음용할 수 있으므로 많은 노력과 시간이 필요하고 번거로운 문제점들이 있었다.As is known, coffee beans are superior to instant coffee in flavor and aroma and have a low content of caffeine. To drink coffee beans, roasted beans are pulverized into powders using a separate crusher, and then introduced into an extractor Therefore, coffee beans can be consumed by extracting the coffee beans with concern, which requires a lot of effort and time and troublesome problems.

이에 최근 원두커피를 판매하는 커피 전문점이 우후죽순 형태로 생겨나고 있는 실정이고, 이러한 커피 전문점에서 판매되고 있는 다양한 종류의 원두커피는 커피 고유의 맛과 향을 느낄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는 반면에, 인스턴트 커피에 비해 상대적으로 매우 비싼 관계로, 경제적 부담을 초래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Recently, coffee specialty shops selling coffee beans have emerged in the form of bamboo shoots. Various kinds of coffee beans sold in such coffee shops have the advantage of feeling the unique taste and aroma of coffee, It is relatively expensive compared to instant coffee, which has the disadvantage of causing economic burden.

특히, 전술한 바와 같이 원두커피는 원두의 종류나 분쇄한 입자의 크기에 따라 각기 다른 맛과 향을 갖게 되므로 인스턴트 커피에 비해 다양한 맛과 향을 즐길 수 있지만, 원두커피의 조리과정이 다소 복잡하고,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한편, 전용의 커피추출기구를 필요로 함으로써 커피의 음용에 많은 불편이 따르기 때문에 주로 커피 전문점을 통해 원두커피가 판매되거나 가정에서 커피추출기구를 구비하여 음용하고 있는 실정이었다.In particular, as described above, coffee beans have different flavors and aromas depending on the type of bean and the size of the ground particles, so that they can enjoy various flavors and aromas compared to instant coffee. However, the cooking process of coffee beans is somewhat complicated It takes much time, and since it requires a dedicated coffee extracting apparatus, it causes many inconveniences in the drinking of coffee. Therefore, coffee beans are mainly sold through coffee shops, and coffee beans are provided at home.

이에, 최근 원두커피를 캡슐 형태로 제조하여 자동으로 판매할 수 있는 자동판매기에 대한 연구 개발이 이루어지면서 캡슐 원두커피 자동판매기에 대한 기술이 개시되고 있는 실정이다.Recently, a technology for a capsule coffee bean automatic vending machine has been disclosed as a research and development of a vending machine capable of automatically selling coffee beans in the form of a capsule.

예를 들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303829호(2013.9.5. 공고)에는 캡슐 원두커피 즉석 자동판매기가 개시되어 있다.For example,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303829 (published on September 5, 2013) discloses an automatic coffee machine for capsule coffee beans.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등록특허공보 제1303829호에 개시된 캡슐 원두커피 즉석 자동판매기는 다수개의 원두커피캡슐(70)을 보관하는 캡슐보관박스(60)와, 캡슐보관박스(60)로부터 배출되는 원두커피캡슐(70) 및 컵(59)을 지지하는 캡슐지지체(50)와, 캡슐지지체(50)를 승하강하는 승강기구(80)와, 온수가 보관되는 압착물통(30) 및 여기에 온수를 공급하는 온수탱크(40)을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 the capsule bean dispensing machine disclosed in the above-mentioned Japanese Patent No. 1303829 includes a capsule storage box 60 for storing a plurality of coffee beans capsules 70, A capsule supporting body 50 for supporting the coffee beans capsule 70 and the cup 59 to be discharged, an elevating mechanism 80 for raising and lowering the capsule supporting body 50, a pressurizing bucket 30 for storing hot water, And a hot water tank (40) for supplying hot water to the hot water tank (40).

이와 같이 구성된 캡슐 원두커피 즉석 자동판매기는 캡슐지지체(50)로 공급된 원두커피캡슐(70)로부터 원두커피를 추출하기 위하여 캡슐지지체(50)가 상승하고, 원두커피의 추출이 완료되면 캡슐지지체(50)가 하강하는 구조를 갖고 있으나, 추출된 원두커피가 컵(59)에 보관된 상태에서 캡슐지지체(50)의 하강이 이루어지는 바, 캡슐지지체(50)가 하강하는 과정 그리고 캡슐지지체(50)의 하강이 완료되는 시점에서 발생되는 충격으로 인하여 컵(59)내의 원두커피가 컵(59)의 바깥으로 흘러넘치게 되며, 이로 인하여 캡슐지지체(50)가 쉽게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었다.The capsule bean dispenser is constructed such that the capsule support body 50 rises for extracting the coffee beans from the bean coffee capsule 70 supplied to the capsule supporter 50. When the extraction of the coffee beans is completed, The capsule support body 50 is lowered while the extracted coffee beans are stored in the cup 59. The process of descending the capsule support body 50 and the descending process of the capsule support body 50, The coffee beans in the cup 59 flow over the cup 59 due to an impact generated at the time when the descent of the capsule support 50 is completed.

또한, 캡슐보관박스(60)로부터 배출되는 원두커피캡슐(70)은 안내구(67)를 통하여 캡슐지지체(50)의 상단부에 형성된 캡슐걸림턱(53)에 놓이는 방식으로, 경사진 안내구(67)를 타고 원두커피캡슐(70)이 이동하는 과정에서 원두커피캡슐(70)의 자세가 흐트러질 경우, 캡슐지지체(50)의 상단부에 원두커피캡슐(70)이 안정적으로 안착되지 못하게 되므로, 원두커피의 추출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The bean coffee capsule 70 discharged from the capsule storage box 60 is placed on the capsule holding jaw 53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capsule support body 50 through the guide hole 67, The coffee beans capsule 70 can not be stably mounted on the upper end of the capsule support body 50 when the bean coffee capsule 70 is disturbed in the course of the movement of the bean coffee capsule 70 by the us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xtraction of the coffee beans can not be performed smoothly.

그리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418505호(2014.7.17. 공고)에는 원두커피 자동판매기가 개시되어 있다.In additio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418505 (published on July 17, 2014) discloses a coffee bean dispenser.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등록특허공보 제1418505호에 개시된 원두커피 자동판매기는, 소정의 온도로 가열된 물을 보관하는 온수공급부(100)와, 다수개의 컵을 보관하며, 보관된 컵을 하나씩 배출하는컵적재부(200)와, 다수개의 커피캡슐이 보관하며, 보관된 커피캡슐을 하나씩 배출하는 커피캡슐 적재부(300)와, 상기 커피캡슐 적재부(300)로부터 배출되는 커피캡슐을 요구되는 위치로 운반하여 원두커피를 추출하는 구동부(400)와, 상기 온수공급부(100)와 컵적재부(200) 및 커피캡슐 적재부(300) 그리고 구동부(400)를 수용하는 케이스(500)와, 상기 온수공급부(100)와 컵적재부(200) 및 커피캡슐 적재부(300) 그리고 구동부(400)를 제어하는제어부(60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As shown in FIG. 1, the coffee beverage dispenser disclosed in the aforementioned Japanese Patent No. 1418505 includes a hot water supply unit 100 for storing water heated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a plurality of cups, A coffee capping unit 300 for storing a plurality of coffee capsules and discharging the stored coffee capsules one by one; a coffee capping unit 300 for discharging the coffee capsules 300 discharged from the coffee capsule loading unit 300; A case 500 for receiving the hot water supply unit 100, the cup loading unit 200, the coffee capsule loading unit 300, and the driving unit 400; And a control unit 600 for controlling the hot water supply unit 100, the cup loading unit 200, the coffee capsule loading unit 300, and the driving unit 400.

그리고, 상기와 같은 구성에 더하여 컵뚜껑을 저장하여 두고 제어부(600)의 신호에 의해 하나씩 배출하는 컵뚜껑 적재부(700)와, 시럽과 같은 첨가물이 저장된 캡슐을 저장하여 두고 제어부(600)의 신호에 의해 하나씩 배출하는 첨가물 적재부(미도시됨)와, 빨대를 적재하고 두고 제어부(600)의 신호에 의해 하나씩 배출하는 빨대 적재부(미도시됨)가 더 포함될 수 있는 것으로 기술되어 있다.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 cup lid loading unit 700 for storing a cup lid and discharging the cup lid one by one according to a signal from the controller 600, and a capsule storing an additive such as syrup, (Not shown) for discharging one by one by a signal, and a straw loading unit (not shown) for loading the straw and discharging the straw one by one according to a signal from the controller 600. [

그러나, 상기 등록특허공보 제1418505호에 개시된 원두커피 자동판매기는 원두커피를 압착하는 기술과 물을 공급하는 구성이 별도로 구성되어, 원두커피의 추출을 위한 온수와, 추출된 원두커피의 희석을 위하여 컵으로 공급되는 온수가 저장되는 온수탱크를 각각 구성함으로써, 원두커피 맛을 위해 사용자가 일일이 물의 량을 선택 조작하여야 하는 문제가 발생하였고, 커피캡슐을 커피캡슐적재부로부터 이동홀더에 옮기기 위하여 아주 정교한 기계적 설비가 필요하고, 이의 오차가 발생할 경우에는 이동 시에 커피캡슐의 안착이 불안정하여 떨어지는 경우가 있어 커피캡슐이 옮겨지지 않는 문제가 있었고, 커피캡슐의 종류에 따라 사용이 불가능한 문제가 발생하였던 것이다.
However, the coffee bean dispenser disclosed in the above-mentioned Japanese Patent No. 1418505 includes a technique of squeezing the coffee beans and a constitution of supplying water separately, so that hot water for extracting the coffee beans and diluted coffee beans The hot water tank in which the hot water supplied to the cup is stored is individually constituted.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ser has to select and operate the amount of water for the taste of the coffee beans, and a very sophisticated Mechanical equipment is required, and if there is an error, the settlement of the coffee capsules may be unstable due to the falling of the coffee capsules when they are moved, so that the coffee capsules may not be transferred and problems may occur depending on the types of coffee capsules .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303829호(2013.9.5. 공고, 명칭: 캡슐 원두커피 즉석 자동판매기)Korean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303829 (Announcement of May 5, 2013: Capsule Coffee Bean Automatic Vending Machine)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418505호(2014.7.17. 공고, 명칭: 원두커피 자동판매기)Korean Registered Patent No. 1418505 (Name: Coffee Bean Vending Machine, Apr. 17, 2014)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개시된 문제점을 보완 개선하기 위하여 연구 개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커피캡슐적재부로부터 배출되는 커피캡슐을 이동슬라이드의 커피캡슐홀더 내에 수용 안착함에 있어서 매우 안정적으로 수용할 수 있고, 상기 이동슬라이드를 통해 요구되는 위치로 안정적으로 운반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정된 작동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캡슐 원두커피 자동판매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ffee capsule holder for receiving a coffee capsule, which is discharged from a coffee capsule mounting par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apsule coffee beverage dispenser which can stably receive coffee beans and can stably transport coffee beans to a desired position through the moving slides to provide a stable operating environment.

특히, 본 발명은 이동슬라이드의 왕복 수평이동을 설계함에 있어서 구조적 설계가 복잡하지 않으면서도 수월하고 안정적으로 구현할 수 있도록 다양한 이동수단을 적용할 수 있는 캡슐 원두커피 자동판매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In particula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apsule coffee beverage dispenser capable of applying a variety of moving means so that the reciprocating horizontal movement of the moving slide can be easily and stably implemented without complicating the structural design .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커피원액추출부에서 커피원액을 추출함에 있어서, 종래와 같이 커피원액을 추출하여 종이컵에 배출되도록 하고 별도의 온수를 종이컵에 타서 추출된 커피원액을 희석하는 것이 아니라 커피캡슐 자체에 온수를 함께 공급하여 커피캡슐을 통과하면서 온수가 공급되게 하여 커피캡슐 속에 있는 원두커피와 함께 종이컵에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원두커피 맛을 위해 사용자가 일일이 물의 량을 선택 조작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는 캡슐 원두커피 자동판매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extracting a coffee stock solution from a coffee stock solution extracting unit, extracting the coffee stock solution into a paper cup, Hot water is supplied to the capsule itself to supply hot water while passing through the coffee capsules so as to be discharged to the paper cup together with the coffee beans in the coffee capsules so that the user has to select and manipulate the amount of water for the taste of the coffee beans And to provide a capsule bean coffee vending machine which can solve the problem.

또,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커피캡슐로부터 커피원액이 추출된 후 남겨진 폐커피캡슐을 일정 위치로 이동시켜 수거할 수 있는 폐커피캡슐수거부를 갖춤으로써, 미리 준비된 수거통에 폐커피캡슐을 깨끗하고 안정적으로 수거할 수 있어 캡슐 커피 자동판매기를 관리 및 청결 상태를 유지하는 데 매우 수월한 캡슐 원두커피 자동판매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aste coffee capsule disposer capable of collecting waste coffee capsules after the coffee coffee beans are extracted from the coffee capsules by moving the waste coffee capsules to a predetermined position, And to provide a capsule bean coffee dispenser that is easy to manage and maintain the capsule coffee vending machine because it can be picked up cleanly and stably.

더불어, 본 발명은 어떠한 종류의 커피캡슐이라도 간단한 변경에 의하여 이를 사용 가능하게 적용할 수 있는 캡슐 원두커피 자동판매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In addi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apsule coffee beverage automatic vending machine which can be applied to any kind of coffee capsule by simple modification.

본 발명은 커피캡슐(Cs)을 다단으로 적재 공급하는 커피캡슐적재부(800)와, 이 커피캡슐적재부(800)로부터 공급되는 커피캡슐(Cs)을 안착시켜 원하는 위치로 이송하는 커피캡슐이송부(850)와, 이 커피캡슐이송부(850)를 통해 이송된 커피캡슐(Cs)로부터 커피원액을 추출하기 위한 커피원액추출부(870) 및 이들을 제어하는 제어부로서, 커피원액추출부(870)의 측부하단에는 커피원액을 추출하고 남은 폐커피캡슐(Cs1)을 이동슬라이드(851)의 커피캡슐홀더(852)를 통해 기설정된 위치로 이동시킨 후 커피캡슐홀더(852)로부터 폐커피캡슐(Cs1)을 밑에서 상부로 밀어서 분리할 수 있도록 승하강밀대가 형성하여 캡슐수거통로관(881)에 투입함에 따라 설치판(801) 저면쪽으로 자유낙하시켜 수거할 수 있는 폐커피캡슐수거부(880)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 원두커피 자동판매기의 캡슐 수거장치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coffee capsule loading part 800 for loading and feeding a coffee capsule Cs in multiple stages and a coffee capsule for loading and transferring a coffee capsule Cs supplied from the coffee capsule loading part 800 to a desired position A coffee stock solution extracting section 870 for extracting a coffee stock solution from the coffee capsules Cs transferred through the transfer section 850 and a control section for controlling these components, And the remaining coffee beans Cs1 are mov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through the coffee capsule holder 852 of the moving slide 851. The coffee beans are then discharged from the coffee capsule holder 852 to the waste coffee capsule Cs1 from the bottom to the top of the mounting plate 801 to be separated from the bottom of the mounting plate 801 as it is put into the tube 881 by the capsule recepta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capsule coffee bean automatic A capsule collection device for tying.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승하강밀대는 캡슐들림봉(885b)이 모터(882)의 모터축(885a)에 형성된 모터축피니언(885aa)과 캡슐들림봉랙(885bb)에 의하여 폐커피캡슐(Cs1)을 캡슐안착끝단부(885d) 위에 들어올려 상부 폐커피캡슐투입구(808)의 가이드날개판(881a) 일측에 형성된 모터(882a)와 그 모터축(882b)에 형성된 회전날개(882c)의 회전에 의하여 캡슐수거통로관(881)쪽으로 폐커피캡슐(Cs1)에 타격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 원두커피 자동판매기의 캡슐 수거장치이다.The lifting and lowering ba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apsule lifting rod 885b is driven by the motor shaft pinion 885aa formed on the motor shaft 885a of the motor 882 and the capsule lifting bar 885bb, Is lifted up onto the capsule seating end 885d to rotate the motor 882a formed on one side of the guide blade plate 881a of the upper waste coffee capsule inlet 808 and the rotation vane 882c formed on the motor shaft 882b The capsule coffee beverage dispense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wherein the waste coffee beverage capsule (Cs1) is blown toward the pipe (881) by a capsule receptacle.

또한, 상기 폐커피캡슐수거부(880)에는, 커피캡슐(Cs1)을 밑에서 밀어주기 위해 설치판(801)에 관통 형성된 밀대가이드장공(806)을 통해서 설치판(801)의 저면쪽에서 상면쪽으로 관통되는 구조로 승하강 직선운동이 가능하게 배치된 승하강밀대(885)와, 상기 승하강밀대(885)의 승하강 직선운동에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밀대구동모터(882)와, 상기 밀대구동모터(882)와 승하강밀대(885)사이를 연결하여 밀대구동모터(882)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켜주는 로드캠(884)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 원두커피 자동판매기의 캡슐 수거장치이다.The waste coffee capsule receiving portion 880 is provided with a through hole 806 which penetrates from the bottom side to the top side of the mounting plate 801 through a pushing guide slot 806 formed in the mounting plate 801 in order to push the coffee capsule Cs1 from below, A pushing and lowering rod 885 arranged so as to be able to move upward and downward linearly with a structure in which the pushing and lowering rod 885 is movable, (884) of the capsule coffee beverage dispenser (882) is connected to the ascending / descending rod (885) to convert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pushing drive motor (882) into a linear movement Device.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승하강밀대에 형성된 캡슐들림봉(885b)의 상단에는 캡슐안착조절캡(885e)의 가장자리에 측벽(885f)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 원두커피 자동판매기의 캡슐 수거장치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sidewall 885f is formed at the edge of the capsule placement adjusting cap 885e at the upper end of the capsule lifting rod 885b formed in the lifting and lowering bar. to be.

본 발명에 따르면, 커피캡슐적재부로부터 배출되는 커피캡슐을 이동슬라이드의 커피캡슐홀더 내에 수용 안착함에 있어서, 매우 안정적으로 수용할 수 있고, 상기 이동슬라이드를 통해 요구되는 위치로 안정적으로 운반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정된 작동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accommodate a coffee capsule discharged from a coffee capsule loading part in a coffee capsule holder of a moving slide, it is very stable and can be stably transported to a required position through the moving slide Thereby providing a stable operating environment.

특히, 본 발명은 이동슬라이드의 왕복 수평이동을 설계함에 있어서, 구조적 설계가 복잡하지 않으면서도 수월하고 안정적으로 구현할 수 있도록 다양한 이동수단을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다.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that various moving means can be applied in designing the reciprocating horizontal movement of the moving slide, so that the structural design can be implemented easily and stably without complica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커피원액추출부에서 커피원액을 추출함에 있어서, 종래와 같이 커피원액을 추출하여 종이컵에 배출되도록 하고 별도의 온수를 종이컵에 타서 추출된 커피원액을 희석하는 것이 아니라 커피캡슐 자체에 온수를 함께 공급하여 커피캡슐을 통과하면서 온수가 공급되게 하여 커피캡슐 속에 있는 원두커피와 함께 종이컵에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원두커피 맛을 위해 사용자가 일일이 물의 량을 선택 조작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extracting the coffee stock solution from the coffee stock solution extracting section, the coffee stock solution is extracted and discharged to the paper cup as in the conventional method, The hot water is supplied to the coffee cup itself, and hot water is supplied through the coffee capsule to be discharged to the paper cup together with the coffee beans in the coffee capsule, thereby eliminating the need for the user to individually manipulate the amount of water for the taste of the coffee beans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do.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커피캡슐로부터 커피원액이 추출된 후 남겨진 폐커피캡슐을 일정 위치로 이동시켜 수거할 수 있는 폐커피캡슐수거부를 갖춤으로써, 미리 준비된 수거통에 폐커피캡슐을 깨끗하고 안정적으로 수거할 수 있어 캡슐 커피 자동판매기를 관리 및 청결 상태를 유지하는 데 있어서 매우 수월하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having the waste coffee capsule rejection that can be collected by moving the waste coffee capsules left after the coffee stock solution is extracted from the coffee capsules to a predetermined position, the waste coffee capsules can be cleanly and stably So that it is very easy to manage and maintain the capsule coffee machine.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르면, 어떠한 종류의 커피캡슐이라도 간단한 변경에 의하여 이를 사용 가능하게 적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y kind of coffee capsule has the advantage that it can be applied by simple modification.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등록특허공보 제1303829호에 개시된 원두커피를 추출하기 직전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등록특허공보 제1418505호에 개시된 원두커피 자동판매기의 내부 구조를 보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캡슐 원두커피 자동판매기의 커피캡슐적재부, 커피캡슐이송부, 커피원액추출부의 배치관계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캡슐 원두커피 자동판매기의 커피캡슐적재부, 커피캡슐이송부, 커피원액추출부의 배치관계를 설치판 저면쪽을 중심으로 바라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 3에 도시된 사시도를 정면쪽에서 바라본 상태에서 일부 구성요소들을 도시 생략한 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 3에 도시된 사시도를 배면쪽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배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캡슐 원두커피 자동판매기에 적용되는 커피캡슐적재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커피원액추출부의 구성과 함께 이동슬라이드의 커피캡슐홀더와의 배치관계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커피원액추출부와 이동슬라이드의 커피캡슐홀더와의 결합관계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캡슐 원두커피 자동판매기에 적용되는 폐커피캡슐수거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커피캡슐이 커피캡슐적재부에서 이동슬라이드의 커피캡슐홀더에 공급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용상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커피원액추출부에서 커피캡슐로부터 커피원액을 추출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용상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폐커피캡슐수거부에서 폐커피캡슐을 수거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용상태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커피캡슐이송부에서 왕복이송수단의 변형된 일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폐커피캡슐을 수거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용상태도.
도 17(a)(b)는 본 발명의 커피원액추출부가 가압받침대의 받침촉(878a)에 의하여 캡슐이 개봉되는 소리가 나는 상태를 설명하는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커피캡슐적재부에 적재되는 커피캡슐의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구성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커피캡슐적재부에 적재되는 커피캡슐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구성도.
도 20(a)(b)는 본 발명에 따른 커피캡슐적재부에 적재되는 커피캡슐의 다양한 저변형태를 수용할 수 있는 받침대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구성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before the extraction of coffee beans according to a conventional art disclosed in JP-A-1303829.
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a coffee bean dispenser disclosed in the prior art publication No. 1418505. FIG.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lacement relationship of a coffee capsule loading portion, a coffee capsule sending portion, and a coffee liquid extracting portion of a capsule bean coffee vend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apsule coffee bean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the bottom of the installation plate, showing the arrangement relationship of the coffee capsule mounting portion, the coffee capsule sending portion, and the coffee extract portion.
FIG. 5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art of components in a state where the perspective view shown in FIG. 3 is viewed from a front si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rear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erspective view shown in Fig. 3 is viewed from the back si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offee capsule loading part applied to a capsule coffee bean dispens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8 and FIG. 9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arrangement of the coffee stock solution extract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rrangement relationship with the coffee capsule holder of the transfer slide.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a coffee stock solution holder of a moving slide and a coffee stock solution extract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rejecting a waste coffee capsule applied to a capsule coffee bean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12 is a state of use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ffee caps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ed to a coffee capsule holder of a moving slide in a coffee capsule loading part. Fig.
13 is a usage chart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ffee stock solution is extracted from a coffee capsule in a coffee stock solution extract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state of use showing the condition for collecting waste coffee capsules from waste coffee capsule rej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ified embodiment of a reciprocating conveying means in a coffee capsule conveying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use state diagram showing a condition for collecting waste coffee capsule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a) and 17 (b) are perspective views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capsule raw liquid extracting s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kes a sound when the capsule is opened by the support point 878a of the pressure pedestal.
Fig. 18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coffee capsule loaded in a coffee capsule loading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9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coffee capsule loaded in a coffee capsule loading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0 (a) and 20 (b) are schematic views showing a pedestal capable of accommodating various base shapes of a coffee capsule loaded in a coffee capsule mounting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성을 위해 과장되거나 생략될 수 있으며, 도면에 병기된 도면부호에 따라 부여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In order to explain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cknesses of the lines and the siz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attached drawings may be exaggerated or omit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description, Terms to be given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특히, 본 발명이 적용되는 캡슐 원두커피 자동판매기는, 통상의 캡슐 원두커피 자동판매기에서 갖추어야할 기본적인 구성 중 자동판매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케이스, 온수공급부, 컵적재부, 구동부, 제어부 등을 비롯한 부가적인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도시 생략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그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In particular, the capsule coffee beverage dispensing machin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ncludes a main body case, a hot water supply section, a cup mounting section, a driving section, a control section, and the like, which form the appearance of the automatic vending machine, The additional constituent elements are not shown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다만, 본 발명은 캡슐 원두커피 자동판매기에서 커피캡슐(Cs)로부터 원두커피 원액을 자동으로 추출하여 판매하고자 함에 있어서, 커피캡슐적재부(800)로부터 적재 공급되는 커피캡슐(Cs)을 커피캡슐이송부(850)를 이용하여 기설정된 원하는 위치까지 이송시켜 커피원액추출부(870)에서 커피캡슐(Cs)로부터 커피원액을 추출한 다음, 커피원액이 추출되고 남은 폐커피캡슐(Cs1)을 커피캡슐이송부(850)를 통해서 폐커피캡슐수거부(880)로 이송시켜 폐커피캡슐(Cs1)을 수거하는 과정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구성요소들을 중심으로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함과 아울러,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만 핵심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However, in order to automatically extract and sell the beverage coffee beverage from the coffee beans Cs in the capsule coffee bean automatic vending machine, the coffee beans Cs loaded and supplied from the coffee capsule loading unit 800 may be dispensed from the coffee beans The coffee concentrate is extracted from the coffee capsule Cs by the coffee concentrate extracting unit 870 and then the remaining coffee concentrate Cs1 is extracted from the coffee capsule And the waste coffee capsule Cs1 is transferred to the waste coffee capsule rejection unit 880 through the transfer unit 850 to automatically collect the waste coffee capsule Cs1. In addition, We will only focus on the elements.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캡슐 원두커피 자동판매기는, 커피캡슐(Cs)을 다단으로 적재 공급하는 커피캡슐적재부(800)와, 이 커피캡슐적재부(800)로부터 공급되는 커피캡슐(Cs)을 안착시켜 원하는 위치로 이송하는 커피캡슐이송부(850)와, 이 커피캡슐이송부(850)를 통해 이송된 커피캡슐(Cs)로부터 커피원액을 추출하기 위한 커피원액추출부(870)와, 이 커피원액추출부(870)를 통해 커피캡슐(Cs)로부터 커피원액이 추출된 후 남겨진 폐커피캡슐(Cs1)을 일정 위치로 이동시켜 수거하는 폐커피캡슐수거부(88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3 to 6, the capsule coffee beverage dispens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ffee capsule loading unit 800 for loading and supplying the coffee capsules Cs in multiple stages, A coffee capsule transferring portion 850 for transferring the supplied coffee capsule Cs to a desired position and a coffee grounding portion 850 for extracting the coffee stock solution Cs from the coffee capsule Cs transferred through the transfer portion 850, A waste coffee capsule rejecting unit 870 for collecting waste coffee capsules Cs1 remaining after the coffee raw material liquid is extracted from the coffee capsules Cs through the coffee raw stock extracting unit 870, 880).

여기서, 상기 커피캡슐적재부(800)는, 커피캡슐(Cs)을 다단으로 적재하여 순차적으로 하나씩 공급하는 부위로써, 판상구조를 갖는 설치판(801)의 일측면에 위치한 받침대(802) 상부에 배치된다.The coffee capsule loading unit 800 is a unit for loading the coffee capsules Cs in a plurality of stages and sequentially feeding the coffee capsules Cs one by one. The coffee capsules 800 are stacked on top of a pedestal 802 located on one side of the installation plate 801 having a plate- .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피캡슐적재부(800)는, 커피캡슐(Cs)을 수용 적재하는 다수의 원통형 커피캡슐카트리지(810)와, 상기 커피캡슐카트리지(810)를 원형으로 배치하여 지지한 상태로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프레임(820)과, 상기 회전프레임(820)의 하부에 배치되어 하나의 커피캡슐(Cs)을 배출할 수 있는 커피캡슐배출구(831)를 가지고 받침대(802)상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원판(830)과, 상기 회전프레임(820)을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회전구동유닛(840)으로 구성되어 있다.7, the coffee capsule mounting portion 800 includes a plurality of cylindrical coffee capsule cartridges 810 for receiving and storing coffee capsules Cs, and a plurality of cylindrical coffee capsule cartridges 810 for circularly arranging the coffee capsule cartridges 810 And a coffee capsule outlet 831 disposed below the rotating frame 820 and capable of ejecting one coffee capsule Cs, And a rotation driving unit 840 for providing a driving force for rotating the rotating frame 820. The rotation driving unit 840 rotates the rotating frame 820. The rotation driving unit 840 rotates the rotating frame 820,

상기 커피캡슐카트리지(810)는 다수개의 커피캡슐(Cs)을 한 줄로 다단 적층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원통형의 구조로 이루어지고, 커피캡슐카트리지(810)의 상부로 커피캡슐(Cs)을 투입하여 적재함과 아울러, 하부로 커피캡슐(Cs)을 하나씩 순차적으로 배출할 수 있는 구조를 갖고 있으며, 다수개의 커피캡슐카트리지(810)는 회전프레임(820)상에 원형의 배열구조로 배치된다.The coffee capsule cartridge 810 has a cylindrical structure so that a plurality of coffee capsules Cs can be stacked in a multi-layered manner and stored. The coffee capsule C8 is inserted in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ffee capsule cartridge 810, The plurality of coffee capsule cartridges 810 are arranged in a circular arrangement on the rotary frame 820. The coffee capsules 810 are arranged in a circular arrangement on the rotary frame 820. [

상기 회전프레임(820)은 다수개의 커피캡슐카트리지(810)를 끼움 결합하여 지지한 상태에서 커피캡슐(Cs)을 적재한 다음, 하나의 커피캡슐(Cs)을 배출하고자 할 때 커피캡슐(Cs)이 적재된 커피캡슐카트리지(810)를 선택적으로 고정원판(830)상의 커피캡슐배출구(831)쪽으로 회동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는 부위이다.The rotation frame 820 is form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coffee capsule cartridges 810 and supporting the coffee capsules Cs in a state where the coffee beans Cs are stacked, And selectively rotates the loaded coffee capsule cartridge 810 toward the coffee capsule outlet 831 on the fixed plate 830.

즉, 상기 회전프레임(820)은 커피캡슐카트리지(810)를 끼움 삽입할 수 있게 형성된 다수개의 카트리지삽입공(825)을 가지고 상하로 서로 이격되게 각각 배치된 상태로 회전구동유닛(840)의 회전축(843)에 연결된 3개의 원판형 지지플레이트(821,822,823)와, 이렇게 상호 이격 배치되는 3개의 원판형 지지플레이트(821,822,823)의 가장자리면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수직하게 연결 지지됨에 따라 3개의 원판형 지지플레이트(821,822,823)를 서로 결속시켜 주는 다수개의 연결봉(824)으로 구성됨으로써, 상기 회전프레임(820)이 다수개의 커피캡슐카트리지(810)를 카트리지삽입공(825)에 끼움 결합하여 지지 고정한 상태에서 회전구동유닛(840)의 회전축(843)에 의해 커피캡슐카트리지(810)와 함께 회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That is, the rotation frame 820 has a plurality of cartridge insertion holes 825 formed therein for inserting the coffee capsule cartridge 810, Shaped support plates 821, 822, and 823 connected to the disk-shaped support plates 843, and three disk-shaped support plates 821, 822, 823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plurality of connecting rods 824 for connecting the plates 821, 822 and 823 to each other so that the rotating frame 820 rotates in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coffee capsule cartridges 810 are inserted into the cartridge insertion holes 825, And is rotatable together with the coffee capsule cartridge 810 by the rotation shaft 843 of the drive unit 840.

이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카트리지삽입공(825)이 3개의 원판형 지지플레이트(821,822,823)의 가장자리면을 따라 원형 구조로 각각 8개씩 상하로 동일직선 상에 각각 대응 형성됨으로써, 8개의 커피캡슐카트리지(810)를 회전프레임(820)상에 끼움 삽입하여 장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At this time, 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rtridge insertion holes 825 are formed in a circular structure along the edge surfaces of the three disk-shaped supporting plates 821, 822, and 823, The capsule cartridge 810 can be inserted and inserted into the rotary frame 820. [

특히,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3개의 원판형 지지플레이트(821, 822,823) 중 최상단쪽에 위치한 원판형 지지플레이트(821)는 커피캡슐카트리지(810)의 중간쯤을 지지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게 되고, 최하단에 위치한 원판형 지지플레이트(823)는 고정원판(830)과 약간의 간격을 두고 커피캡슐카트리지(810)의 최하단 쪽을 지지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게 되며, 상기 3개의 원판형 지지플레이트(821,822,823) 중 중간에 위치한 원판형 지지플레이트(822)는 최하단 원판형 지지플레이트(823)에서 약간 이격된 위쪽에서 커피캡슐카트리지(810)의 하단 부위쪽을 지지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7, the disk-shaped supporting plate 821 located at the uppermost one of the three disk-shaped supporting plates 821, 822, and 823 is positioned at a position capable of supporting the middle portion of the coffee capsule cartridge 810 And the disk-shaped supporting plate 823 located at the lowermost end is disposed at a position capable of supporting the lowermost end of the coffee capsule cartridge 810 with a slight gap from the fixed disk 830, The disk-shaped supporting plate 822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plate-shaped supporting plates 821, 822, and 823 is disposed so as to support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coffee capsule cartridge 810 at a slightly spaced upper side from the lowermost disk-shaped supporting plate 823 .

이처럼, 상기 3개의 원판형 지지플레이트(821,822,823) 중 최상단쪽 원판형 지지플레이트(821)로 커피캡슐카트리지(810)의 중간쯤을 지지함과 동시에, 나머지 2개의 원판형 지지플레이트(822,823)로 커피캡슐카트리지(810)의 최하단과 하단 부위쪽을 약간의 이격을 두고 각각 지지 고정함으로써, 상기 회전프레임(820)이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당한 높이를 갖고 수직하게 장착되는 커피캡슐카트리지(810)를 회동 중에도 흔들림없이 보다 견고하게 지지 고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 uppermost disk-shaped supporting plate 821 of the three disk-shaped supporting plates 821, 822, and 823 supports the middle portion of the coffee capsule cartridge 810 and the other two disk-shaped supporting plates 822, The coffee capsule cartridge 810, which is vertically mounted with a considerable height in the course of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frame 820, So that it can be more firmly supported and fixed without shaking.

또한, 상기 회전프레임(820)의 회전은 하나의 커피캡슐카트리지(810)에 적재된 커피캡슐(Cs)이 모두 배출되어 소진된 것이 감지되었을 때마다 커피캡슐(Cs)이 적재되어 있는 다른 커피캡슐카트리지(810)를 순차적으로 고정원판(830)상의 커피캡슐배출구(831)쪽으로 이동시키고자 할 때 이루어지게 된다.The rotation of the rotating frame 820 may be performed by rotating the rotation frame 820 such that when the coffee capsules Cs loaded in one coffee capsule cartridge 810 are all discharged and exhausted, When the cartridge 810 is sequentially moved toward the coffee capsule outlet 831 on the stationary disk 830. [

상기 커피캡슐카트리지(810)의 하단 개구면이 커피캡슐배출구(831)에 정확하게 일치되면, 커피캡슐카트리지(810) 내에 적재된 커피캡슐(Cs)은 자유낙하를 통해서 자연스럽게 하나씩 배출된다.When the lower opening surface of the coffee capsule cartridge 810 is exactly aligned with the coffee capsule outlet 831, the coffee capsules Cs loaded in the coffee capsule cartridge 810 are naturally discharged one by one through the free fall.

이렇게 커피캡슐(Cs)이 커피캡슐배출구(831)를 통해 하나씩 자유 낙하하게 되면, 커피캡슐(Cs)로부터 커피원액을 추출할 필요(즉, 원두커피 판매 시)가 있는 경우에는 후술하는 커피캡슐이송부(850)의 이동슬라이드(851)에 구비된 커피캡슐홀더(852)에 하나의 커피캡슐(Cs)이 안착된 상태로 커피원액을 추출할 수 있는 커피원액추출부(870)쪽으로 이송되게 되고, 커피원액추출부(870)에서 커피캡슐(Cs)로부터 커피원액을 추출하는 동안 후순위로 자유낙하된 커피캡슐(Cs)은 커피캡슐배출구(831) 직하방에 위치한 이동슬라이드(851)의 상단면 일측 고정된 위치에 안착된 상태로 정지되면서 더 이상 자유낙하가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When the coffee capsules Cs fall freely one by one through the coffee capsule outlet 831 and there is a need to extract the coffee stock solution from the coffee capsules Cs (that is, when selling coffee beans), the coffee capsules A single coffee capsule Cs is placed on the coffee capsule holder 852 provided on the moving slide 851 of the transfer unit 850 and transferred to the coffee stock solution extracting unit 870 capable of extracting the coffee stock solution The coffee capsule Cs freely dropped in the subordinate position during the extraction of the coffee stock solution from the coffee capsule Cs in the coffee stock solution extracting section 870 is transferred to the upper end of the moving slide 851 located right below the coffee capsule outlet 831, It is stopped in a state where it is seated at one fixed position and no more free fall is made.

그리고, 원두커피 재판매에 따라 후순위 차례의 커피캡슐(Cs)의 이송이 필요하게 되면, 상기 자유낙하되어 후순위 차례를 기다리며 이동슬라이드(851)의 상단면 일측에 안착되어 있던 커피캡슐(Cs)은 이동슬라이드(851)의 왕복 이동에 따른 커피캡슐배출구(831)의 하방에 정확하게 정렬되는 위치로 커피캡슐홀더(852)이 이동되어 옴에 따라 자연스럽게 커피캡슐홀더(852)내에 안착된 후 커피원액추출부(870)쪽으로 이송되게 되며, 원두커피를 판매하는 동안 상기와 같은 작동 과정은 반복적이고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When the coffee capsule Cs is required to be transferred according to the resale of the coffee beans, the coffee capsule Cs, which is seated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moving slide 851, The coffee capsule holder 852 is naturally positioned in the coffee capsule holder 852 as the coffee capsule holder 852 moves to a position where it is accurately aligned below the coffee capsule outlet 831 due to the reciprocal movement of the slide 851, 870), and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process is repeatedly and continuously performed while selling the coffee beans.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고정원판(830)상의 커피캡슐배출구(831)쪽에는 커피캡슐(Cs)의 배출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도시안됨)를 마련함으로써, 상기 커피캡슐배출구(831)쪽에 위치한 커피캡슐카트리지(810)내 적재된 커피캡슐(Cs)의 소진 상태를 감지할 수 있으며, 상기 감지센서에서 커피캡슐카트리지(810)내의 커피캡슐(Cs)이 모두 소진된 것으로 감지되면, 도시되지 않은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후술하는 회전구동유닛(840)의 회전구동모터(841)를 구동 제어하여 회전프레임(820)을 일정각도 회전시켜 커피캡슐(Cs)이 적재되어 있는 다른 커피캡슐카트리지(810)를 커피캡슐배출구(831)쪽으로 이동 회전시키게 된다.Although not shown, a sensor (not shown) for detecting the discharge state of the coffee capsule Cs is provided at the coffee capsule outlet 831 on the stationary disk 830 so that the coffee capsule outlet 831 When the coffee capsule Cs in the coffee capsule cartridge 810 is sensed to be exhausted, it is determined that the coffee capsule Cs in the coffee capsule cartridge 810 is exhausted, And controls the rotation drive motor 841 of the rotation drive unit 840 to rotate the rotation frame 820 at a predetermined angle in accordance with a control signal of a control unit (not shown) to generate another coffee capsule Cs The cartridge 810 is moved to the coffee capsule outlet 831 and rotated.

상기와 같이 하나의 커피캡슐카트리지(810)내 적재된 커피캡슐(Cs)의 소진 여부를 감지하여 회전프레임(820)의 회전을 통해서 순차적으로 다수개의 커피캡슐카트리지(810)를 커피캡슐배출구(831)쪽으로 회전 이동시키는 구동 제어는 모든 커피캡슐카트리지(810)에 적재된 커피캡슐(Cs)이 모두 소진될 때까지 순차적이고 반복적으로 이루어지게 됨은 당연하다.A plurality of coffee capsule cartridges 810 are sequentially connected to the coffee capsule discharging port 831 through rotation of the rotating frame 820 by sensing whether the coffee cup Cs loaded in the one coffee capsule cartridge 810 is exhausted, ) Is naturally and sequentially performed until all the coffee capsules Cs loaded on all the coffee capsule cartridges 810 are exhausted.

그리고, 상기와 같이 커피캡슐카트리지(810)의 하단 개구면이 커피캡슐배출구(831)에 정확하게 일치된 상태에서 커피캡슐카트리지(810)내 적재된 커피캡슐(Cs)이 다 소진되지 않아 커피캡슐(Cs)의 자유낙하가 이루어지는 동안에는 하나의 커피캡슐(Cs)이 이동슬라이드(851)의 상단면 일측에 안착된 상태로 회전프레임(820)의 최하단쪽 2개의 지지플레이트(822,823)와 고정원판(830) 사이에 걸쳐 위치하고 있는 관계로, 회전프레임(820)의 회전은 불가능하게 된다.When the lower opening of the coffee capsule cartridge 810 is exactly aligned with the coffee capsule outlet 831 as described above, the coffee capsule Cs loaded in the coffee capsule cartridge 810 is not exhausted, The two lower support plates 822 and 823 of the rotary frame 820 and the fixed circular plate 830 are moved in the state where one coffee capsule Cs is seated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moving slide 851 ,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frame 820 becomes impossible.

한편, 상기 회전프레임(820)의 구성을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수개의 커피캡슐카트리지(810)를 지지 결합한 상태에서 커피캡슐카트리지(810)의 상부로 커피캡슐(Cs)을 투입하고, 각 커피캡슐카트리지(810)의 하부로 커피캡슐(Cs)을 배출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면, 그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구조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configuration of the rotation frame 820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nd a coffee capsule Cs may be inserted in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ffee capsule cartridge 810 while a plurality of coffee capsule cartridges 810 are supported and supported And the coffee capsules Cs can be discharged to the lower portion of each of the coffee capsule cartridges 810.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structure and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structures.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구동유닛(840)은 회전프레임(820)을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부위로써, 구동력을 발생하는 회전구동모터(841)와, 이 회전구동모터(841)에 연결된 회전기어박스(842)를 통해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회전축(843)과, 상기 회전축(843)의 반대쪽에 설치되어 회전축(843)의 회전량을 감지할 수 있는 회동감지판(844)와, 상기 회동감지판(844)와 접촉하여 회전축(843)의 회전량을 제어하는 복수의 회전제어센서(845,846)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7, the rotation drive unit 840 includes a rotation drive motor 841 for generating a drive force and a rotation drive motor 841 for generating a drive force for rotating the rotation frame 820, A rotation sensing plate 844 install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rotation axis 843 and capable of sensing the rotation amount of the rotation axis 843; And a plurality of rotation control sensors 845 and 846 for controlling the rotation amount of the rotation shaft 843 in contact with the rotation detection plate 844.

그리고, 상기 회전구동모터(841) 및 회전기어박스(842)는 받침대(802) 저면에 고정브라켓트(847)를 매개로 고정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843)은 고정원판(830)의 관통공(832)을 관통하여 원판형 지지플레이트(821,822,823)의 중앙부위에 수직하게 관통 연결되는 배치 구조를 갖는다.The rotary drive motor 841 and the rotary gear box 842 are fixed to the bottom of the pedestal 802 through a fixing bracket 847. The rotary shaft 843 is fixed to the through hole 832, and is vertically penetrated and connected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disk-shaped supporting plates 821, 822, 823.

상기 커피캡슐이송부(850)는 커피캡슐(Cs)을 원하는 위치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하는 부위이다.The coffee capsule sending portion 850 is a portion serving to transfer the coffee capsule Cs to a desired position.

상기 커피캡슐이송부(850)는, 커피캡슐(Cs)을 안착시킬 수 있는 커피캡슐홀더(852)가 일측에 구비됨과 아울러 복수의 슬라이드축(856)을 따라 왕복 이동이 가능한 이동슬라이드(851)와, 상기 이동슬라이드(851)의 왕복 수평이동에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왕복이송수단(853)과, 상기 이동슬라이드(851)의 기 설정된 이동위치(즉, 정렬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다수의 제1,2,3 위치감지센서(861,862,863)를 갖춘 감지부(64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The coffee capsule sending unit 850 includes a coffee cup holder 852 capable of placing a coffee capsule Cs on one side and a moving slide 851 capable of reciprocating along a plurality of slide shafts 856. [ A reciprocating conveying means 853 for providing a driving force necessary for reciprocating horizontal movement of the moving slide 851 and a plurality of reciprocating means 853 for sensing a predetermined moving position of the moving slide 851 And a sensing unit 640 having first, second and third position sensing sensors 861, 862, and 863.

여기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왕복이송수단(853)은 왕복이송모터(854)와, 상기 이동슬라이드(851)의 일측면에 돌출 구비된 가이드보스(851d)에 관통되게 나사 결합됨과 아울러 왕복이송모터(854)의 구동력을 받아 나사 회전을 통해 이동슬라이드(851)를 왕복 이동시키는 이송나사축(855)을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iprocating conveying means 853 includes a reciprocating conveying motor 854 and a guide boss 851d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moving slide 851, And a feed screw shaft 855 for receiving the driving force of the reciprocating feed motor 854 and reciprocating the moving slide 851 through screw rotation.

도 8 및 도 9에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슬라이드(851)는 좌우 폭이 두께에 비해 상대적으로 약간 길게 형성됨과 아울러 좌우 폭에 비해 길이방향으로 상대적 매우 길게 형성된 대략 직사각의 중공구조를 갖는 육면체 구조의 부재로써, 상기 이동슬라이드(851)의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축공(851a)이 관통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이동슬라이드(851)의 일측 상면쪽에는 커피캡슐홀더(852)를 삽입 안착시킬 수 있는 요홈 형태로 단차진 홀더안착공(851b)이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이 홀더안착공(851b)의 저면쪽 부위에 홀더안착공(851b) 전체를 포함한 상태로 이동슬라이드(851)의 일측면으로 개구된 사각 구조의 슬라이드홈(851c)이 형성된 구조를 갖고 있다.8 and 9, the moving slide 851 is formed to have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with a relatively long width relative to the thickness and a relatively long length relative to the left and right width, A plurality of shaft holes 851a ar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oving slide 851 and a coffee capsule holder 852 is inserted and fixed on one side of the upper side of the moving slide 851, And a stepped hole 851b is formed through the stepped hole 851b so as to have a recessed shape for allowing the holder 851b to be inserted into the hole 851b. And has a structure in which a slide groove 851c having a square structure opened to the side is formed.

상기 커피캡슐홀더(852)는 상단 가장자리선을 따라 원형의 플랜지부(852b)가 형성됨과 아울러 이 플랜지부(852b)의 중심에 커피캡슐(852b)보다 약간 큰 직경을 가지고 있어 커피캡슐(Cs)을 안착시킬 수 있는 홀더공(852a)이 하향 돌출되게 형성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The coffee capsule holder 852 has a circular flange portion 852b formed along the upper edge line and a diameter slightly larger than the coffee capsule 852b at the center of the flange portion 852b, And a holder hole 852a capable of placing the holder 852a protruded downward.

이때, 상기 커피캡슐홀더(852)는 이동슬라이드(851)의 홀더안착공(851b)내에 체결구(857)를 매개로 상하 슬라이드 가능하게 안착 조립되고, 커피캡슐홀더(852)의 플랜지부(852b)와 홀더안착공(851b)의 단차면 사이에는 스프링부재(858)가 삽입 장착되는 구조를 갖는다.The coffee capsule holder 852 is vertically slidably received and assembled in the holder opening 851b of the slide slide 851 via a fastener 857 so that the flange 852b of the coffee capsule holder 852 And a stepped surface of the holder in-hole 851b.

상기와 같이 커피캡슐홀더(852)와 홀더안착공(851b)사이에 스프링부재(858)가 구비됨으로써, 커피캡슐(Cs)에서 커피원액을 추출하는 과정에서 후술하는 커피원액추출부(870)의 가압판(872)에 의해 커피캡슐(Cs)의 상단밀봉면(890)을 뚫고 온수를 공급하는 작업을 수행하게 될 때, 상기 가압판(872)의 가압력으로 인해 커피캡슐홀더(852) 및 커피캡슐(Cs)이 약간씩(예를 들어, 대략 4㎜정도) 하향으로 미끄러지듯 밀리게 되고, 이렇게 커피캡슐홀더(852) 및 커피캡슐(Cs)이 하향으로 밀리게 될 때 스프링부재(858)가 눌리면서 탄성 복원력을 갖게 되고, 가압판(872)의 가압력이 해제되었을 때 스프링부재(858)의 탄성 복원력으로 인해 커피캡슐홀더(852) 및 커피원액이 추출되고 남은 폐커피캡슐(Cs1)이 초기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A spring member 858 is provided between the coffee capsule holder 852 and the holder inner opening 851b as described above so that the coffee beverage liquid is extracted from the coffee beverage Cs The pressing force of the pressure plate 872 causes the coffee capsule holder 852 and the coffee capsule (not shown) to pressurize the coffee capsule Cs by the pressure plate 872, Cs is slid down slightly (for example, about 4 mm), and when the coffee capsule holder 852 and the coffee capsule Cs are pushed downward, the spring member 858 is pushed The coffee capsule holder 852 and the coffee stock solution are extracted due to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member 858 when the pressing force of the pressure plate 872 is released and the remaining waste coffee capsule Cs1 returns to the initial position .

그리고, 상기 복수의 슬라이드축(856)은 이동슬라이드(851)에 구비된 축공(851a)에 관통 삽입되어 이동슬라이드(851)를 지지한 상태에서 왕복이동을 안내할 수 있도록 설치판(801)의 양측면에 수직하게 대향 설치된 측면설치판(803,804)사이에 일정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수평 배치된 상태로 슬라이드축(856)의 양단이 측면설치판(803,804)에 고정 결합되는 구조를 갖고 있다.The plurality of slide shafts 856 are inserted into the shaft holes 851a provided in the slide slider 851 to guide the reciprocating movement in a state of supporting the slide slider 851, And both ends of the slide shaft 856 are fixedly coupled to the side mounting plates 803 and 804 in a state of being horizontally arranged in parallel to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between the side mounting plates 803 and 804 vertically opposed to the both side surfaces.

상기 이송나사축(855)은 슬라이드축(856)의 일측면에 나란하게 수평 배치되어 이동슬라이드(851)의 일측면에 돌출 구비된 가이드보스(851d)에 나사결합 상태로 관통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이송나사축(855)의 양단이 측면설치판(803,804)에 회전 가능한 베어링 구조로 체결 조립되고, 이 이송나사축(855)의 일측 측면설치판(803)에 이송나사축(855)과 연결된 왕복이송모터(854)가 고정 배치되는 구조를 갖고 있다.The feed screw shaft 855 is horizontally disposed in parallel to one side of the slide shaft 856 and is threadedly coupled to a guide boss 851d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slide 851, The both side ends of the feed screw shaft 855 are fastened and assembled to the side attachment plates 803 and 804 in a rotatable bearing structure and the one side mounting plate 803 of the feed screw shaft 855 is reciprocally connected to the feed screw shaft 855, And a feed motor 854 is fixedly arranged.

이때, 상기 왕복이송모터(854)는 정역회전이 가능한 전동모터이다.At this time, the reciprocating feed motor 854 is an electric motor capable of normal / reverse rotation.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감지부(860)는 이송나사축(855)의 하방을 따라 일정 길이로 배치된 판상 구조의 브라켓트판(864)과, 이 브라켓트판(864)상에 일정간격을 두고 고정 배치된 3개의 제1,2,3위치감지센서(861,862, 863)를 포함하는 구성를 갖고 있다.3 and 4, the sensing unit 860 includes a plate-shaped bracket plate 864 disposed along the lower side of the feed screw shaft 855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3, and 3 position sensing sensors 861, 862, and 863 fixedly dispos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이때, 상기 제1위치감지센서(861)는 이동슬라이드(851)의 커피캡슐홀더(852)로 커피캡슐(Cs)을 이송시킬 때 커피캡슐(Cs)을 커피원액추출부(870)의 하방에 정확하게 정렬시킬 수 있도록 이동슬라이드(851)의 이동에 따른 정렬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이고, 상기 제2위치감지센서(862)는 커피원액추출부(870)에서 커피캡슐(Cs)로부터 커피원액을 추출하고 난 다음 폐기되는 폐커피캡슐(Cs1)을 이동슬라이드(851)의 커피캡슐홀더(852)로 이송시켜 폐커피캡슐수거부(880)에 정확하게 정렬시킬 수 있도록 이동슬라이드(851)의 이동에 따른 정렬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이며, 상기 제3위치감지센서(863)는 이동슬라이드(851)의 커피캡슐홀더(852)를 커피캡슐적재부(800)의 커피캡슐배출구(831) 하방에 정확하게 정렬시켜 커피캡슐배출구(831)를 통해 자유낙하되는 커피캡슐(Cs)을 커피캡슐홀더(852)에 안착시킬 수 있도록 이동슬라이드(851)의 이동에 따른 정렬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이다.The first position detecting sensor 861 detects the position of the coffee capsule Cs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offee stock solution extracting portion 870 when the coffee capsule Cs is transferred to the coffee capsule holder 852 of the moving slide 851. [ And the second position sensing sensor 862 senses an alignment position of the movement slide 851 in order to accurately align the coffee suspension Cs and extracts the coffee stock solution from the coffee capsule Cs at the coffee stock solution extracting section 870 And then transferred to the coffee capsule holder 852 of the transfer slide 851 to be precisely aligned with the waste coffee capsule rejection 880 after the waste coffee capsule Cs1 is discarded The third position sensing sensor 863 accurately aligns the coffee capsule holder 852 of the moving slide 851 below the coffee capsule outlet 831 of the coffee capsule stacking portion 800 The coffee capsule Cs, which falls freely through the coffee capsule outlet 831, And a sensor for sensing an alignment position of the moving slide 851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moving slide 851 so as to be seated on the holder 852.

그리고, 상기 이동슬라이드(851)의 이동에 따른 정렬 위치를 제1,2,3 위치감지센서(861,862,863)로 각각 감지하는 방식은 이동슬라이드(851)의 일측면에 돌출 구비된 가이드보스(851d)의 저면에 마련된 접점판(851e)과 제1,2,3 위치감지센서(861,862,863)에 각각 구비된 접지점이 서로 접촉함으로써, 이동슬라이드(851)의 이동에 따른 정확한 정렬 위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method of sensing the alignment position of the moving slide 851 by the first, second, and third position sensing sensors 861, 862, and 863 includes a guide boss 851d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movement slide 851, And the first and second and third position sensors 861, 862 and 863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ovable slide 851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o detect an accurate alignment position due to the movement of the slide slide 851 .

한편, 상기 커피원액추출부(870)는 설치판(801)의 일측 상단면에 마련된 추출부설치케이스(871) 내에 배치되어 커피캡슐이송부(850)를 통해 이송된 커피캡슐(Cs)로부터 커피원액을 추출할 수 있는 부위로써, 상기 커피캡슐(Cs)의 상단밀봉면(890)을 뚫고 온수를 커피캡슐(Cs) 내부로 공급함과 아울러 커피캡슐(Cs)의 저면을 뚫어 공급된 온수를 통해서 커피원액을 추출하여 자유낙하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The coffee stock solution extracting section 870 is disposed in the extracting section mounting case 871 provided on the upper end surface of one side of the mounting plate 801. The coffee extracting section 870 extracts coffee from the coffee capsules Cs transferred through the sending section 850, The hot water is poured through the upper sealing surface 890 of the coffee capsule Cs and the hot water is supplied into the coffee capsule Cs and the bottom of the coffee capsule Cs is pierced through hot water supplied The coffee beverage is extracted and freely dropped.

이를 위해,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피원액추출부(870)는, 크게 추출부설치케이스(871), 가압판(872), 가압받침대(878), 가압커버부재(873), 승하강축(874), 승하강모터(875), 승하강감지판(877), 승하강감지센서(879)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8 to 10, the coffee stock solution extracting section 870 mainly includes an extraction section installation case 871, a pressure plate 872, a pressure pedestal 878, a pressure cover member 873, A descending acceleration sensor 874, an ascending / descending motor 875, an ascending / descending acceleration sensor 877, and an ascending / descending acceleration sensor 879. [

여기서, 상기 추출부설치케이스(871)는 설치판(801)의 일측 상단면에 대략 디귿자 형태의 블록구조로 세워져 커피원액추출부(870)의 구성요소들을 지지 고정하여 보호하는 외관 케이스로써, 상기 추출부설치케이스(871)의 상단면에 승하강모터(875) 및 승하강기어박스(876)가 고정 배치되고, 추출부설치케이스(871)의 내측면 중앙 부위에 분할판(871a)이 수직하게 설치 구비되며, 이 분할판(871a)의 전면쪽에는 아래부터 가압판(872), 가압커버부재(873) 및 승하강감지판(877), 승하강축(874)이 순차적으로 연결 배치되어 추출부설치케이스(871)의 상단면에 위치한 승하강기어박스(876) 및 승하강모터(875)와 관통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The extraction unit installation case 871 is an outer appearance case for supporting and securing components of the coffee extracting unit 870 by being formed in a substantially diagonal block structure on one upper end surface of the installation plate 801, Descending motor 875 and an ascending and descending gear box 876 are fixedly arranged on the upper end face of the extracting part mounting case 871 and a partition plate 871a is arranged perpendicular A pressurizing plate 872, a pressurizing cover member 873, an ascending / descending detecting plate 877 and a descending descent shaft 874 are sequentially connected to the front side of the dividing plate 871a, Down gear box 876 and the up-and-down motor 875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ounting case 871.

그리고,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추출부설치케이스(871) 내측의 분할판(871a) 후방면에는 복수의 승하강감지센서(879)가 좌우로 나란하게 쌍을 이루고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가압커버부재(873)의 상단면에 고정 배치된 승하강감지판(877)에는 승하강감지대(877a)가 수평하게 고정 배치되고, 이 승하강감지대(877a)의 끝단이 분할판(871a)에 형성된 승하강장공(871b)을 관통하여 복수의 승하강감지센서(879)사이에 배치되어 승하강감지센서(879)와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6 to 9, a plurality of ascending / descending detection sensors 879 are arrang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partition plate 871a inside the extracting unit mounting case 871 so as to be paired horizontally A rising / falling detection belt 877a is horizontally fixedly arranged on a rising / falling detection plate 877 fixedly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ressure cover member 873, and an end of the rising / falling detection belt 877a is divided Descending sensor 879 through the ascending / descending tension hole 871b formed on the plate 871a and is arranged to be in contact with the ascending / descending sensor 879. [

따라서, 상기 커피원액추출부(870)에서 커피원액을 추출하기 위해 승하강모터(875)의 구동에 의한 승하강축(874)이 회전하여 가압커버부재(873) 및 가압판(872)이 일체로 나선 회전에 의해 하강하여 커피캡슐(Cs)에 가압 작동시, 상기 가압커버부재(873)상에 고정 조립된 승하강감지판(877)이 승하강됨에 따라 승하강감지대(877a)가 연동되어 승하강감지센서(879)에서 승하강감지대(877a)의 승하강 상태를 감지함으로써, 커피원액추출부(870)의 승하강 상태를 감지하여 가압상태(혹은, 승하강 위치)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in order to extract the coffee stock solution from the coffee stock solution extracting section 870,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axis 874 driven by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motor 875 is rotated so that the pressurizing cover member 873 and the pressing plate 872 are integrally spirally wound When the coffee capsule Cs is lowered by rotation, the rising and falling detection plate 877 fixedly assembled on the pressurizing cover member 873 ascends and descends, It is possible to detect the rising / falling state of the coffee stock solution extracting section 870 and to control the pressurized state (or the rising / falling position) by sensing the rising / falling state of the ascending / descending detection belt 877a in the descent detection sensor 879 do.

이때, 상기 가압판(872)은 커피캡슐(Cs)의 상단밀봉면(890)을 가압하여 구멍을 뚫고 온수를 공급해 줄 수 있는 부위로써, 상기 가압판(872)의 저면에는 다수의 개봉칼날(872a)이 배치됨과 아울러 가압판(872)의 일측면에는 가압판(872)의 내측면을 통해 커피캡슐(Cs)로 온수를 제공할 수 있게 온수공급호스(도시안됨)와 연결되는 호스연결구(872b)가 구비되어 있다.At this time, the pressure plate 872 presses the upper sealing surface 890 of the coffee capsule Cs to pierce the holes to supply hot water. A plurality of opening blades 872a ar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pressure plate 872, And a hose connector 872b connected to the hot water supply hose (not shown) to provide hot water to the coffee capsule Cs through the inner surface of the pressure plate 872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pressure plate 872 .

따라서, 상기 가압판(872)의 호스연결구(872b)에는 도시되지 않은 온수공급부(즉, 온수탱크)에 온수공급호스(도시안됨)로 연결됨으로써, 커피원액 추출 작업시 커피캡슐(Cs) 내부에 제공할 온수를 공급받을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the hose connection port 872b of the pressure plate 872 is connected to a hot water supply unit (i.e., hot water tank) not shown in the figure through a hot water supply hose (not shown), thereby being provided inside the coffee capsule Cs You can get hot water to do.

물론, 상기 가압판(872)의 저면에 개봉칼날(872a)을 구비할 필요가 없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Of course, it may not be necessary to provide the opening blade 872a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pressure plate 872. [

예를 들어, 본 발명에 적용되는 커피캡슐(Cs)의 종류 중에 상단밀봉면(890)에 구멍을 뚫지 않아도 온수가 커피캡슐(Cs) 내부로 유입될 수 있는 타입(혹은, 제품)의 커피캡슐(Cs)인 경우에는 상단밀봉면(890)에 구멍을 뚫어 줄 필요가 없기 때문에 가압판(872)의 저면에 개봉칼날(872a)을 구비할 필요가 없음은 당연하다.For example, a coffee capsule (Cs) of the type (or product) in which hot water can be introduced into the coffee capsule (Cs) without piercing the upper sealing surface (890) It is not necessary to provide the opening blade 872a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pressure plate 872 since it is not necessary to drill a hole in the upper sealing surface 890. [

그리고,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판(872)의 저면에는 개봉칼날(872a)을 중심으로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진 실리콘밀봉고무가 테두리 형태로 결합되어 있고, 이 실리콘밀봉고무에는 실리콘 재질의 실리콘밀봉압착부(872c)가 안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가압판(872)의 저면쪽으로 온수가 공급되면서 압력이 가해질 때, 온수가 실리콘밀봉압착부(872c)로 인해 밖으로 새지 않도록 되어 있다.9 and 10, a silicone sealing rubber made of a silicone material is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pressure plate 872 in the shape of a rim around the opening knife 872a, The silicon sealing pressure bonding portion 872c made of a material is inclined inward so that hot water is not leaked out by the silicone sealing pressure bonding portion 872c when pressure is applied while hot water is suppli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pressure plate 872. [

상기 가압받침대(878)는 커피원액을 추출할 때, 커피캡슐(Cs)의 저면에 강제적으로 구멍을 뚫어 줄 필요가 있는 경우 사용되는 부재로써, 상기 가압받침대(878)는 커피캡슐(Cs)의 저면쪽을 받쳐주면서 커피캡슐(Cs)로부터 추출된 커피원액이 설치판(801) 저면쪽을 거쳐 하방으로 떨어질 수 있게 안내하는 통로 역할을 하게 된다.The pressing pedestal 878 is a member used when it is necessary to forcibly bore a hole in the bottom of the coffee capsule Cs when extracting the coffee ground liquid. And serves as a path for guiding the coffee stock solution extracted from the coffee capsule Cs to fall downward through the bottom of the mounting plate 801 while supporting the bottom.

즉, 상기 가압받침대(878)는 가압판(872)에 대향되게 커피캡슐(Cs)의 저면쪽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커피캡슐(Cs)이 가압판(872)에 의해 가압되어 대략 4㎜정도 하향되게 밀리게 될 때, 커피캡슐(Cs)의 저면과 접촉하여 커피캡슐(Cs)의 저면에 구멍을 뚫어주어 가압판(872)을 통해 공급된 온수에 의해 추출되는 커피원액을 자유낙하되도록 안내하는 통로 역할을 하는 것이다.That is, the pressure pedestal 878 is located on the bottom side of the coffee capsule Cs opposite to the pressure plate 872, and the coffee capsule Cs is pressed by the pressure plate 872, A hole is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ffee capsule Cs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coffee capsule Cs to serve as a path for guiding the coffee raw material liquid extracted by the hot water supplied through the pressure plate 872 to free fall .

이를 위해, 상기 가압받침대(878)의 상단 정중앙에는 구멍을 뚫어 줄 수 있는 뾰족한 구조의 받침촉(878a)이 수직하게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받침촉(878a)의 중앙에는 커피원액이 배출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받침촉(878a)의 주변인 가압받침대(878)의 상면에는 받침촉(878a) 중앙의 관통공을 통해 커피원액이 빠져나가지 못하고 받침촉(878a)의 외주면을 따라 흘러 내려오는 커피원액을 배출할 수 있는 통공(878b)이 형성되어 있다.A support point 878a having a pointed structure capable of drilling a hole is vertically protruded from the center of the upper end of the pressing pedestal 878. The center of the support point 878a is provided with a through- The coffee bean liquid does not escape through the through hole at the center of the supporting needle 878a and flows down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upporting needle 878a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ressing pedestal 878 which is the periphery of the supporting needle 878a There is formed a through hole 878b through which the coffee stock solution can be discharged.

즉, 상기 받침촉(878a)으로 커피캡슐(Cs)의 저면에 구멍을 뚫게 될 때, 커피캡슐(Cs)의 저면에 형성된 구멍과 받침촉(878a) 사이에 구조적으로 미세한 간극이 형성되게 되고, 이 간극을 통해서 커피원액이 받침촉(878a)의 외주면을 따라 흘러 내려오게 되며, 이렇게 흘러 내려온 커피원액은 가압받침대(878)의 상면에 형성된 통공(878b)을 통해 하방으로 배출되게 되는 것이다.That is, when a hole is made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ffee capsule Cs by the support point 878a, a structurally fine gap is formed between the hole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ffee capsule Cs and the support point 878a, Through this gap, the coffee stock solution flows down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point 878a, and the coffee stock solution flowing downward is discharged downward through the through hole 878b form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pressing pedestal 878.

또한, 상기 가압받침대(878)의 저면은 설치판(801)에 관통 형성된 커피원액배출공(805)과 연통되어 있다.The bottom surface of the pressing pedestal 878 is in communication with a coffee-liquid-discharging hole 805 formed in the mounting plate 801.

이때, 상기 커피캡슐(Cs)의 종류에 따라 커피캡슐(Cs)의 저면에 커피원액을 배출하기 위해 강제적으로 구멍을 뚫어 줄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가압받침대(878)를 갖출 필요가 없는 경우도 있다.At this time,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coffee capsules Cs, it may not be necessary to provide the pressurizing pedestal 878 if it is not necessary to forcibly bore holes for discharging the coffee stock solution to the bottom of the coffee capsules Cs .

예를 들어,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피캡슐(Cs)의 종류 중에는 커피캡슐(Cs)을 제조할 때, 커피캡슐(Cs)의 저면에 다수의 미세통공(891b)이 형성되고, 이 미세통공(891b)은 액체상태의 커피원액이 빠져나올 수 있는 부직포(도시생략) 등으로 막혀 있는 구조로 제조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19, among the kinds of coffee capsules Cs, when the coffee capsules Cs are produced, a large number of micropores 891b ar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ffee capsules Cs, The micro-perforations 891b may be made of a structure in which the liquid coffee-based liquid is clogged with a non-woven fabric (not shown) or the like.

즉, 상기와 같은 종류의 커피캡슐(Cs)의 경우, 평상시에는 커피캡슐(Cs) 내부에 원두커피를 수용한 상태에서 미세통공(891b)이 부직포로 인해서 폐쇄되어 있어 원투커피 알갱이가 빠져나오지 않게 되고, 커피원액을 추출할 때에는 커피캡슐(Cs) 내부로 뜨거운 온수가 유입됨에 따라 미세통공(Cs)을 막고 있는 부직포를 통과하여 커피원액이 흘러나올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at is, in the case of the coffee capsule Cs of the above-mentioned kind, since the microcavity 891b is closed by the nonwoven fabric in a state where the coffee beans Cs are normally housed in the coffee capsule Cs, When the coffee raw solution is extracted, hot hot water flows into the coffee capsules Cs, so that the coffee raw solution can flow out through the nonwoven fabric covering the micropores Cs.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류의 커피캡슐(Cs)을 사용하는 자동판매기에서는 커피원액을 추출하기 위해 커피캡슐(Cs)의 저면에 강제적으로 구멍을 뚫어 줄 필요가 없기 때문에 가압받침대(878)와 같은 부재를 구비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Therefore, in a vending machine using the above-described coffee capsule (Cs), there is no need to forcibly bore the bottom of the coffee capsule (Cs) for extracting the coffee stock solution, It is not necessary to provide the above.

상기 가압커버부재(873)는 가압판(872)의 상부에서 가압판(872) 전체를 감싸고 고정 결합되고, 가압커버부재(973)의 상측으로 승하강축(874)과 나사 결합을 통해 조립됨으로써, 승하강모터(875)의 회전력을 받아 승하강축(874)이 회전함에 따라 가압커버부재(873)가 나선 회전을 통해 승하강축(874)을 따라 승하강하게 된다.The pressurizing cover member 873 is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pressure plate 872 and is fixedly coupled to the pressurizing cover member 973. The pressurizing cover member 873 is assembled to the upper side of the pressurizing cover member 973 through a screw- As the lifting / lowering shaft 874 rotates by receiv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875, the pressing cover member 873 ascends and descends along the lifting and lowering shaft 874 through spiral rotation.

이때, 상기 승하강모터(875)는 정역회전이 가능한 전동모터이고, 승하강모터(875)의 회전력은 승하강기어박스(876)를 거쳐 승하강축(874)에 전달되며, 승하강모터(875)의 정역회전은 도시되지 않은 제어부의 제어신호를 통해 제어됨은 당연하다.The up / down motor 875 is an electric motor capable of normal / reverse rotation. The rotational force of the up / down motor 875 is transmitted to the up / down shaft 874 via the up / down gear box 876, May be controlled through a control signal of a control unit (not shown).

그리고, 상기 제어부(도시안됨)에서 승하강모터(875)의 정역회전에 필요한 구동 제어신호 및 정지 제어신호는 승하강감지센서(879)에서 감지하는 가압판(872)의 승하강 상태에 따라 기 설정된 프로세스에 의해 제어되게 된다.The drive control signal and the stop control signal necessary for normal and reverse rotation of the up-and-down motor 875 in the control unit (not shown) are set in advance according to the rising and falling state of the pressure plate 872 detected by the rise- And is controlled by a process.

한편, 상기 폐커피캡슐수거부(880)는 커피캡슐적재부(800)와 커피원액추출부(870)사이에 배치되어 커피원액추출부(870)에서 커피원액을 추출하고 남은 폐커피캡슐(Cs1)을 이동슬라이드(851)의 커피캡슐홀더(852)를 통해 기설정된 위치인 캡슐수거통로관(881)쪽으로 이동시킨 후 커피캡슐홀더(852)로부터 폐커피캡슐(Cs1)을 분리하여 캡슐수거통로관(881)을 통해 자유낙하시켜 폐커피캡슐(Cs1)을 수거하는 부위이다.The waste coffee capsule rejection unit 880 is disposed between the coffee capsule loading unit 800 and the coffee stock solution extracting unit 870 to extract the coffee stock solution from the coffee stock solution extracting unit 870, Is moved through the coffee capsule holder 852 of the transporting slide 851 toward the tube 881 by the capsule receptacle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nd then the waste coffee capsule Cs1 is separated from the coffee capsule holder 852, And collects the waste coffee capsules Cs1 by free fall through the pipe 881. [

이를 위해, 도 3 내지 도 6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폐커피캡슐수거부(880)는, 크게 캡슐수거통로관(881), 승하강밀대(885), 밀대구동모터(882)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3 to 6 and 11, the waste coffee capsule rejection 880 includes a pipe 881, a lifting and lowering bar 885, a pushing motor 882, .

여기서, 상기 캡슐수거통로관(881)은 커피캡슐적재부(800)의 받침대(802)와 커피원액추출부(870)의 추출부설치케이스(871)사이에서 설치판(801)을 관통하여 수직하게 세워진 사각의 통로관 구조로 배치되어 있고, 이동슬라이드(851)의 커피캡슐홀더(852)로부터 분리 투입되는 폐커피캡슐(Cs1)을 설치판(801) 아래쪽으로 자유낙하시켜 수거하는 통로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The capsule receptacle pipe 881 penetrates through the mounting plate 801 between the pedestal 802 of the coffee capsule mounting part 800 and the extracting part mounting case 871 of the coffee stock solution extracting part 870, And serves as a passage for collecting the waste coffee capsule Cs1 separated from the coffee capsule holder 852 of the slide slide 851 by dropping it downward under the mounting plate 801 .

이때, 상기 캡슐수거통로관(881)의 상단 개구면은 폐커피캡슐투입구(808)로 형성되고, 캡슐수거통로관(881)의 하단 개구면은 설치판(801)을 관통한 상태로 설치판(801)의 저면에 체결 고정됨에 따라 폐커피캡슐배출구(807)로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upper opening surface of the capillary tube 881 is formed as a waste coffee capsule input port 808, and the lower opening surface of the capillary tube 881 is passed through the installation plate 801, And is formed as a waste coffee capsule outlet 807 by being fastened and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offee cup 801.

상기 캡슐수거통로관(881)의 폐커피캡슐투입구(808) 양측면쪽에는 폐커피캡슐투입구(808)에서 연장 절곡된 형태를 갖는 가이드날개판(881a)이 좌우 대향되게 돌출 형성됨과 아울러, 폐커피캡슐투입구(808)의 전방쪽에는 전단면을 따라 연장 절곡된 형태의 낙하방지판(881b)이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어 있다.A guide blade plate 881a having a shape that is extended from the waste coffee capsule input port 808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waste coffee capsule input port 808 of the pipe 881 to protrude laterally and opposite to each other, On the front side of the capsule inlet 808, a drop prevention plate 881b, which is bent and extended along the front end face, is formed obliquely and protrudingly.

상기 가이드날개판(881a)은 승하강밀대(885)로 폐커피캡슐(Cs1)을 편심되게 밀어서 폐커피캡슐투입구(808)쪽으로 투입할 때 폐커피캡슐투입구(808)의 좌우측 방향으로 벗어나지 못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고, 상기 낙하방지판(881b)은 폐커피캡슐(Cs1)이 폐커피캡슐투입구(808)에 투입되지 못한 상태로 폐커피캡슐투입구(808)의 전방에서 곧바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폐커피캡슐(Cs1)이 낙하방지판(881b)의 경사면을 따라 폐커피캡슐투입구(808)쪽으로 원활하게 투입될 수 있게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When the waste coffee capsule Cs1 is eccentrically pushed by the lifting and lowering push rod 885 toward the waste coffee capsule inlet 808, the guide blade 881a guides the waste coffee capsule inlet 808 in the right and left directions The drop prevention plate 881b prevents the waste coffee capsule Cs1 from falling directly in front of the waste coffee capsule inlet 808 in a state where the waste coffee capsule Cs1 can not be inserted into the waste coffee capsule inlet 808 And at the same time guiding the waste coffee capsule Cs1 smoothly into the waste coffee capsule input port 808 along the inclined surface of the drop prevention plate 881b.

상기 승하강밀대(885)는 설치판(801)에 관통 형성된 밀대가이드장공(806)을 통해서 설치판(801)의 저면쪽에서 상면쪽으로 관통되는 구조로 승하강 직선운동을 할 수 있게 배치됨으로써, 상기 이동슬라이드(851)의 커피캡슐홀더(852)를 통해 이송되어 오는 폐커피캡슐(Cs1)의 저면쪽을 밀어서 캡슐수거통로관(881)의 폐커피캡슐투입구(808)쪽으로 투입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upward and downward pushing rod 885 is arranged to move up and down from the bottom face to the top face of the mounting plate 801 through a pushing guide slot 806 formed through the mounting plate 801, The lower side of the waste coffee capsule Cs1 fed through the coffee capsule holder 852 of the transporting slide 851 is pushed to enter the waste coffee capsule inlet 808 of the pipe 881 through the capsule receptacle .

이때, 상기 설치판(801)의 상면에는 승하강밀대(885)를 관통되게 끼워서 승하강밀대(885)의 승하강 직선운동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안내하는 가이드브라켓트(887)가 설치되어 있다.At this time, a guide bracket 887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ounting plate 801 so as to guide the lifting and lowering rod 885 to keep up and down the linear movement of the lifting and lowering rod 885 by penetrating the lifting and lowering rod 885 .

그리고, 상기 밀대구동모터(882)는 승하강밀대(885)의 승하강 직선운동에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전동모터로써, 상기 밀대구동모터(882)와 승하강밀대(885)사이에는 밀대구동모터(882)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켜주는 로드캠(884)이 매개되어 있고, 이 로드캠(884)의 하단에는 접촉을 통해서 승하강밀대(885)의 승하강 상태를 정확하게 감지하는 밀대위치감지센서(886)가 구비되어 있다.The plunger drive motor 882 is an electric motor that provides a driving force required for linear movement of the lifting and lowering plunger 885. The plunger drive motor 882 is provided between the plunging drive motor 882 and the lifting / A rod cam 884 for converting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rod 882 into a rectilinear motion is mediated. The rod cam 884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rod 884, A position detection sensor 886 is provided.

이때, 상기 밀대구동모터(882)와 밀대위치감지센서(886)는 설치판(801)의 저면에 고정 부착되는 복수의 절곡진 격자형 판상 구조를 갖는 판상브라켓트(883)상에 고정 설치된다.The plunger drive motor 882 and the plunger position sensor 886 are fixedly mounted on a plate-shaped bracket 883 having a plurality of folded lattice-like plate-like structures fixedly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mounting plate 801.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캡슐 원두커피 자동판매기에서 커피캡슐적재부(800)에 적재된 커피캡슐(Cs)을 이송하여 커피원액을 추출한 후 폐커피캡슐(Cs1)을 수거하는 순차적인 동작과정을 도 12 내지 도 14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간략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In the capsule coffee bean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the coffee capsules Cs loaded on the coffee capsule loading unit 800 are transferred to extract the coffee stock solution, and then the waste coffee capsules Cs1 are collected. The operation process will be brief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of FIGS. 12 to 14. FIG.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캡슐 원두커피 자동판매기에서 원두커피 판매에 따른 도시되지 않은 제어부에 원두커피 판매 제어신호가 입력되게 되면, 상기 커피캡슐이송부(850)의 이동슬라이드(851)에 구비된 커피캡슐홀더(852)가 커피캡슐카트리지(810)의 하방에 위치한 고정원판(830)의 커피캡슐배출구(831)의 직하방에 정확하게 정렬하게 된다.12, when the coffee bean coffee sales control signal is input to a controller (not shown) according to the sales of coffee beans in the capsule coffee bean dispens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ffee capsule holder 852 provided in the coffee capsule cartridge 851 is accurately aligned right below the coffee capsule outlet 831 of the fixed disk 830 located below the coffee capsule cartridge 810.

이에 따라 커피캡슐홀더(852)에는 커피캡슐배출구(831)를 통해 낙하된 커피캡슐(Cs)이 홀더공(852a)에 끼워져 안착되게 된다.The coffee capsule Cs dropped through the coffee capsule outlet 831 is fitted into the holder hole 852a and seated in the coffee capsule holder 852. [

이때, 상기 이동슬라이드(851)의 정렬위치는 감지부(860)의 제3위치감지센서(863)와 이동슬라이드(851)에 구비된 가이드보스(851d)의 접점판(851e)이 서로 접촉하는 위치로 설정되어 있는 관계로, 상기와 같이 커피캡슐홀더(852)가 커피캡슐배출구(831)의 직하방에 항상 정확하게 정렬할 수 있게 된다.The third position sensor 863 of the sensing unit 860 and the contact plate 851e of the guide boss 851d of the moving slide 851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the coffee capsule holder 852 can always be accurately aligned right under the coffee capsule outlet 831 as described above.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제어부의 구동제어를 받은 왕복이송모터(854)의 구동에 의해 이동슬라이드(851)가 이송나사축(855)과의 나사 결합에 의한 나선 회전운동을 통해서 슬라이드축(856)을 따라 수평 이동하게 되고, 이렇게 이동슬라이드(851)가 수평 이동하는 과정에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슬라이드(851)에 구비된 가이드보스(851d)의 접점판(851e)과 감지부(860)의 제1위치감지센서(861)가 접촉하게 되면서 기설정된 이동슬라이드(851)의 이동위치(즉, 정렬위치)를 감지함에 따라 감지신호를 제어부에 보내게 된다.In this state, the movable slide 851 is moved along the slide shaft 856 through the spiral rotational movement by screwing the movable slide 851 with the feed screw shaft 855 by driving the reciprocating feed motor 854, The contact plate 851e of the guide boss 851d of the moving slide 851 and the contact plate 851e of the sensing unit 860 are moved horizontally, The first position detecting sensor 861 touches and detects a moving position (i.e., an alignment position) of the predetermined moving slide 851, and sends a sensing signal to the control unit.

이에 따라 입력된 감지신호에 맞춰 기 설정된 제어부의 제어신호가 출력되어 왕복이송모터(854)의 구동을 정지함으로써, 이동슬라이드(851)의 수평 이동이 멈추게 된다.Accordingly, the control signal of the preset control unit is output in accordance with the input sensed signal, and the driving of the reciprocating feed motor 854 is stopped so that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moving slide 851 is stopped.

이때, 상기 이동슬라이드(851)의 커피캡슐홀더(852) 및 커피캡슐(Cs)은 기설정된 정렬위치에 맞춰서 커피원액추출부(870)의 직하방쪽에 정확하게 정렬되게 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coffee capsule holder 852 and the coffee capsule Cs of the moving slide 851 are aligned exactly to the lower right side of the coffee stock solution extractor 870 according to the predetermined alignment position.

그리고, 상기 제어부에 제어신호에 의해 커피원액추출부(870)가 작동하여 커피캡슐(Cs)로부터 커피원액을 추출하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Then, the control unit sends a control signal to the coffee extract unit 870 to extract the coffee extract from the coffee capsule Cs.

상기 커피원액추출부(870)에서 커피원액을 추출하는 작업을 수행하게 될 때,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상기 커피원액추출부(870)에 의해 커피원액이 추출되는 커피캡슐(Cs)의 직하방에 해당되는 설치판(801)에 형성된 커피원액배출공(805)의 직하방에는 도시되지 않은 컵적재부로부터 종이컵(C)이 인출되어 정렬된 상태로 미리 놓이게 된다.13, when the coffee concentrate extracting unit 870 extracts the coffee concentrate, the coffee concentrate extracting unit 870 extracts the coffee concentrate Cs The paper cup C is pulled out from the cup loading part (not shown) in the lower right portion of the coffee grounding liquid discharging hole 805 formed in the mounting plate 801 corresponding to the right and lower sides of the coffee cup 801.

그리고,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커피원액추출부(870)의 승하강모터(875)가 작동하여 가압커버부재(873) 및 가압판(872)을 하강시켜 커피캡슐(Cs)의 상단밀봉면(890)을 가압하게 된다.Then, in the above state, the up / down motor 875 of the coffee stock solution extracting section 870 is operated to lower the pressurizing cover member 873 and the pressurizing plate 872 so that the upper end sealing surface 890 of the coffee capsule Cs, .

이때, 상기 가압판(872)의 저면에 구비된 개봉칼날(872a)이 커피캡슐(Cs)의 상단밀봉면(890)에 구멍을 뚫게 되고, 이와 동시에 가압판(872)의 호스연결구(872b)에 연결된 온수공급호스(도시안됨)를 통해 도시되지 않은 온수공급부로부터 온수가 공급됨으로써, 커피캡슐(Cs) 내부로 자연스럽게 온수를 공급하여 커피원액을 추출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opening blade 872a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pressure plate 872 punctures the upper end sealing surface 890 of the coffee capsule Cs and at the same time is connected to the hose connecting port 872b of the pressure plate 872 Hot water is supplied from a hot water supply unit (not shown) through a hot water supply hose (not shown), so that hot water is naturally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coffee capsule Cs to extract the coffee solution.

그리고, 상기와 같이 가압판(872)이 커피캡슐(Cs)을 가압하게 될 때, 상기 커피캡슐홀더(851) 및 커피캡슐(Cs)이 가압력에 의해 이동슬라이드(851)의 홀더안착공(851b)내에서 하향되게 약간(예를 들어, 대략 4㎜ 정도) 밀리게 되고, 이로 인해 커피캡슐(Cs)의 저면에 접촉하고 있던 가압받침대(878)의 받침촉(878a)에 의해 커피캡슐(Cs)의 저면에 구멍이 뚫리게 된다.When the pressurizing plate 872 presses the coffee capsule Cs as described above, the coffee capsule holder 851 and the coffee capsule Cs are pressed against the holder inner surface 851b of the moving slide 851 by a pressing force, The coffee capsule Cs is pushed slightly downward (for example, about 4 mm) downward by the support cushion 878a of the pressurizing pedestal 878,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of the coffee capsule Cs, A hole is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그 결과, 상기 커피캡슐(Cs) 내부로 공급된 온수에 의해 추출된 커피원액이 가압받침대(878)의 통공(878b)를 거쳐 커피원액배출공(805)을 통해 자유낙하 상태로 떨어짐으로써, 미리 준비된 종이컵(C)으로 추출된 커피원액이 담겨지게 되는 것이다.As a result, the coffee ground liquid extracted by the hot water supplied into the coffee capsule Cs falls through the through-hole 878b of the pressure pedestal 878 into the free fall state through the coffee ground liquid discharge hole 805, And the coffee stock solution extracted with the prepared paper cup (C) is contained.

한편, 상기와 같이 가압커버부재(873)와 가압판(872)이 하강하게 되면, 가압커버부재(873)의 상면에 일체로 고정 조립된 승하강감지판(877) 및 승하강감지대(877a)가 함께 하강하게 되고, 이렇게 하강하는 승하강감지대(877a)의 끝단과 접촉하고 있는 승하강감지센서(879)에서 하강 상태(즉, 하강 위치)를 감지하게 된다.When the pressure cover member 873 and the pressure plate 872 are lowered as described above, the upward / downward detection plate 877 and the upward / downward movement detection belt 877a integrally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ressure cover member 873, Down sensor 879,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end of the descending ascending / descending detection belt 877a, detects the descending state (i.e., the descending position).

이렇게 감지된 신호에 따라 제어부에서 가압판(872)의 하강 위치를 미세하게 제어함은 물론 가압력을 제어하게 된다.In accordance with the detected signal, the control unit finely controls the lowering position of the pressure plate 872 and controls the pressing force.

그리고, 상기와 같은 추출작업이 일정시간 동작하여 커피원액의 추출이 완료되면, 커피원액이 추출되고 남은 폐커피캡슐(Cs1)을 폐기하기 위한 수거작업을 수행하게 된다.Then, when the extraction operation as described above operates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the extraction of the coffee concentrate is completed, the coffee concentrate is extracted and the collection work for disposing the remaining waste coffee capsule Cs1 is performed.

즉,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피원액의 추출작업이 완료 후,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이동슬라이드(851)가 다시 커피캡슐적재부(800)쪽으로 수평 이동하게 되고, 이때, 상기 이동슬라이드(851)의 커피캡슐홀더(852)내에는 폐커피캡슐(Cs1)이 그대로 안착된 상태로 이동되게 된다.That is, as shown in FIG. 14, after the extraction of the coffee liquid is completed, the moving slide 851 is moved horizontally toward the coffee capsule stacking unit 800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At this time, The waste coffee capsule Cs1 is moved in a state where the waste coffee capsule Cs1 is seated in the coffee capsule holder 852 of the coffee cup holder 851.

그리고, 상기 이동슬라이드(851)가 수평 이동하는 과정에서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슬라이드(851)에 구비된 가이드보스(851d)의 접점판(851e)과 감지부(860)의 제2위치감지센서(862)가 접촉하게 되면서 기설정된 정렬위치인 폐커피캡슐수거부(880)의 앞을 지나가는 이동슬라이드(851)의 이동위치(즉, 정렬위치)를 감지함에 따라 감지신호를 제어부에 보내게 된다.19, the contact plate 851e of the guide boss 851d provided on the moving slide 851 and the contact plate 851e of the sensing portion 860 of the second position The detection sensor 862 senses the movement position (i.e., the alignment position) of the movement slide 851 passing in front of the waste coffee capsule rejection 880, which is the predetermined alignment position, and sends a detection signal to the control unit .

이에 따라 입력된 감지신호에 맞춰 기 설정된 제어부의 제어신호가 출력되어 왕복이송모터(854)의 구동을 정지함으로써, 이동슬라이드(851)의 수평 이동이 폐커피캡슐수거부(880)의 캡슐수거통로관(881) 앞에 정확하게 정렬된 상태로 멈추게 된다.Accordingly,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set in advance in accordance with the input sensed signal is output to stop the driving of the reciprocating feed motor 854, so that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moving slide 851 is transmitted to the capsule receptacle And stops in a precisely aligned state in front of the pipe 881.

그 결과, 상기 이동슬라이드(851)의 커피캡슐홀더(852)내 안착된 폐커피캡슐(Cs1)은 설치판(801)의 저면쪽에서 상면쪽으로 관통되는 구조로 배치된 승하강밀대(885)의 직상방에 위치하게 된다.As a result, the waste coffee capsule Cs1 seated in the coffee capsule holder 852 of the moving slide 851 is lifted upright from the bottom of the mounting plate 801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ifting and lowering bar 885, It is located in the room.

이와 동시에, 상기 폐커피캡슐수거부(880)에서 폐커피캡슐(Cs1)의 수거작업이 수행되게 된다.At the same time, the collection of the waste coffee capsule Cs1 is performed in the waste coffee capsule rejection 880. [

우선, 상기 제어부에서 밀대구동모터(882)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제어신호를 출력하게 되고, 이에 따라 밀대구동모터(882)가 구동하게 된다.First, the control unit outputs a drive control signal for driving the pushing drive motor 882, and thereby the pushing drive motor 882 is driven.

상기와 같이 밀대구동모터(882)가 구동하게 되면, 밀대구동모터(882)의 회전력이 로드캠(884)에 전달되고, 이 로드캠(884)에서 밀대구동모터(882)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면서 로드캠(884)에 연결된 승하강밀대(885)를 승강시키게 된다.When the rod driving motor 882 is driven as described above, the rotational force of the rod driving motor 882 is transmitted to the rod cam 884, and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rod driving motor 882 is rectilinearly And moves up and down the lifting and lowering rod 885 connected to the load cam 884 while converting it into motion.

그리고, 상기와 같이 승하강밀대(885)가 승강하게 되면, 승하강밀대(885)가 가이드브라켓트(887)의 안내를 받아 안정적으로 폐커피캡슐(Cs1)을 저면을 강하게 밀어 올리게 된다.When the lifting and lowering push rod 885 is raised and lowered as described above, the lifting and lowering push rod 885 is guided by the guide bracket 887 and pushes the waste coffee capsule Cs1 firmly against the bottom face.

이에 따라, 상기 폐커피캡슐(Cs1)이 커피캡슐홀더(852)에서 분리되어 솟구쳐 올라 앞쪽에 위치한 캡슐수거통로관(881)의 폐커피캡슐투입구(808)로 투입되고, 이렇게 투입된 폐커피캡슐(Cs1)은 캡슐수거통로관(881)의 내부 통로를 거쳐 폐커피캡슐배출구(807)를 통해서 설치판(801)의 하방으로 자유낙하 상태로 떨어져 배출됨으로써, 미리 준비된 수거통(도시안됨)에 수거되게 된다.Accordingly, the waste coffee capsule Cs1 is separated from the coffee capsule holder 852, and then the coffee beans are poured into the waste coffee capsule inlet 808 of the pipe 881 through the capsule receptacle located at the front of the coffee capsule holder 852, Cs1 is discharged into the capsule receptacle through the inner passage of the pipe 881 and dropped through the waste coffee capsule outlet 807 to the lower side of the mounting plate 801 so as to be collected in a previously prepared receptacle (not shown) do.

이때, 상기 승하강밀대(885)의 승하강에 따른 구동 제어는 로드캠(884)의 이동 변위에 따라 로드캠(884)과 접촉하는 밀대위치감지센서(886)에서 승하강 상태를 감지함으로써, 이 감지신호를 입력받는 제어부를 통해서 이루어지게 된다.At this time, the drive control according to the ascending / descending movement of the ascending / descending rod 885 detects the ascending / descending state of the pushing position sensor 886 which contacts the load cam 884 in accordance with the displacement of the rod cam 884, And a control unit receiving the detection signal.

상기와 같이 폐커피캡슐(Cs1)의 수거 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이동슬라이드(851)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피캡슐적재부(800)쪽으로 수평 이동하여 커피캡슐적재부(800)로부터 공급되는 커피캡슐(Cs)을 이동시킬 수 있는 준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When the collection of the waste coffee capsule Cs1 is completed, the moving slide 851 moves horizontally toward the coffee capsule loading part 800 as shown in FIG. 5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And the coffee capsule Cs supplied from the coffee maker 800 can be moved.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캡슐 원두커피 자동판매기에서는 사용자의 원두커피 구매 신호에 따라 커피캡슐적재부(800)에 적재된 커피캡슐(Cs)을 이송하여 커피원액을 추출한 후 폐커피캡슐(Cs1)을 수거하는 순차적인 동작과정을 반복적으로 자동 수행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capsule bean coffee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ffee beans Cs loaded on the coffee capsule loading unit 800 are transferred according to the user's coffee beans purchase signal to extract the coffee bean liquid, And automatically performs the sequential operation process of collecting the data repeatedly and automatically.

한편, 본 발명의 변형된 여러가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커피캡슐이송부(850)의 왕복이송수단(853)을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various modifi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ffee capsule can carry out various modifications of the reciprocating transporting means 853 of the transfer section 850.

예를 들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슬라이드(851)를 왕복 수평이동시키기 위해 랙(857)과 피니언(857a)으로 구성된 왕복이송수단(853)을 제공할 수도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15,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 reciprocating conveying means 853 composed of a rack 857 and a pinion 857a for reciprocating the conveying slide 851 horizontally.

즉, 상기 왕복이송수단(853)은, 상기 이동슬라이드(851)의 저면에 일체로 형성된 지지블록(857b)상에 설치된 왕복이송모터(854)와, 이 왕복이송모터(854)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피니언(857a)과, 상기 설치판(801) 상면에 배치되어 피니언(857a)과 맞물려 이송슬라이드(851)의 왕복 수평이송을 안내하는 랙(857)으로 이루어진 구성을 갖는다.That is, the reciprocating conveying means 853 includes a reciprocating conveying motor 854 provided on a supporting block 857b integrally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oving slide 851, and a reciprocating conveying motor 854 connected to the reciprocating conveying motor 854, And a rack 857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ounting plate 801 and engaged with the pinion 857a to guide the reciprocating horizontal transport of the transporting slide 851. [

따라서, 상기 피니언(857a)이 왕복이송모터(854)의 구동력을 받아 기어 구동을 통해서 랙(857)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이동슬라이드(851)의 왕복 수평 이동을 정밀하고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pinion 857a is moved along the rack 857 through the gear drive under the driving force of the reciprocating feed motor 854, so that the reciprocating horizontal movement of the moving slide 851 can be performed precisely and stably .

다음은 폐커피캡슐을 제거하는 구성을 설명한다.The following describes a configuration for removing waste coffee capsules.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폐커피캡슐을 수거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용상태도이다.Fig. 16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of collecting waste coffee capsule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폐커피캡슐수거부(880)는 커피캡슐적재부(800) 일측에 배치되어 커피원액추출부(870)에서 커피원액을 추출하고 남은 폐커피캡슐(Cs1)을 캡슐상승기구(880a)에 의하여 수거하는데, 상기 캡슐상승기구(880a) 구성 중 캡슐들림봉(885b)이 모터(882)의 모터축(885a)에 형성된 모터축피니언(885aa)과 캡슐들림봉랙(885bb)에 의하여 폐커피캡슐(Cs1)을 캡슐안착끝단부(885d) 위에 들어올려 상부 폐커피캡슐투입구(808)에서 연장 절곡된 형태를 갖는 가이드날개판(881a)에 형성된 모터(882a)와 그 모터축(882b)에 형성된 회전날개(882c)의 회전에 의하여 캡슐수거통로관(881)쪽으로 폐커피캡슐(Cs1)에 타격을 가하여 캡슐수거통로관(881)을 통해 자유낙하시켜 폐커피캡슐(Cs1)을 수거하는 부위이다.16, the waste coffee capsule rejection unit 880 is disposed at one side of the coffee capsule loading unit 800 to extract the coffee beverage liquid from the coffee liquid extracting unit 870 and remove the remaining waste coffee capsule Cs1 The capsule lifting mechanism 880a collects the capsule lifting mechanism 880a so that the capsule lifting rod 885b of the capsule lifting mechanism 880a rotates the motor shaft pinion 885aa formed on the motor shaft 885a of the motor 882, A motor 882a formed on a guide blade plate 881a having a shape that is extended from the upper waste coffee capsule input port 808 by lifting the waste coffee capsule Cs1 onto the capsule seating end 885d by a cap 885bb,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blade 882c formed on the motor shaft 882b causes the waste coffee capsule Cs1 to be blown toward the pipe 881 by the capsule receptacle 88 and falls freely through the pipe 881 to the capsule receptacle, Cs1).

상기 낙하방지판(881b)은 폐커피캡슐(Cs1)이 폐커피캡슐투입구(808)에 투입되지 못한 상태로 폐커피캡슐투입구(808)의 전방에서 곧바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폐커피캡슐(Cs1)이 낙하방지판(881b)의 경사면을 따라 폐커피캡슐투입구(808)쪽으로 원활하게 투입될 수 있게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The drop prevention plate 881b prevents the waste coffee capsule Cs1 from being dropped directly in front of the waste coffee capsule inlet 808 in a state where the waste coffee capsule Cs1 can not be inserted into the waste coffee capsule inlet 808, Cs1 can be smoothly introduced into the waste coffee capsule input port 808 along the inclined surface of the drop prevention plate 881b.

다음은 커피원액추출부가 가압받침대의 받침촉(878a)에 의하여 개봉소리를 기억소자에 의하여 감지하여 가압여부의 신호를 발생하는 상태를 설명한다.Next,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 state in which the coffee raw material extracting section senses the opening sound by the supporting point 878a of the pressing pedestal by means of the memory element and generates a signal indicating whether or not it is pressurized.

도 17(a)(b)는 본 발명의 커피원액추출부가 가압받침대의 받침촉(878a)에 의하여 캡슐이 개봉되는 소리가 나는 상태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17 (a) and 17 (b) are perspective views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capsule raw liquid extracting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makes a sound when the capsule is opened by the support point 878a of the pressure pedestal.

상기 도 17(a)은 캡슐(Cs)이 캡슐의 가압받침대(878)의 상부에 캡슐이 올려져 있는 순간이고, 도 17(b)는 캡슐에 온수가 가압이 되면서 가압받침대(878)의 받침촉(878a)에 캡슐 저면하판(890a)에 형성된 원형돌출부(890b)의 통공형성박판(890d)이 노치부(890c)에 의하여 박리되는 현상을 보여주고 있다.17 (a) shows the moment when the capsule Cs is plac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ressing pedestal 878 of the capsule. Fig. 17 (b) The hole forming thin plate 890d of the circular protrusion 890b formed in the capsule lower bottom plate 890a is peeled off by the notch 890c at the tip 878a.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판(872)의 저면에는 개봉칼날(872a)을 중심으로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진 실리콘밀봉고무가 테두리 형태로 결합되어 있고, 이 실리콘밀봉고무에는 실리콘 재질의 실리콘밀봉압착부(872c)가 안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가압판(872)의 저면쪽으로 온수가 공급되면서 압력이 가해질 때, 온수가 실리콘밀봉압착부(872c)로 인해 밖으로 새지 않도록 되어 있다.As shown in the figure, a silicon sealing rubber made of a silicone material is coupled in the form of a rim around the opening blade 872a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pressure plate 872. The silicone sealing rubber 872c The hot water is prevented from leaking out due to the silicon hermetically sealed portion 872c when the hot water is suppli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pressure plate 872 and pressure is applied thereto.

상기 가압받침대(878)는 커피원액을 추출할 때, 커피캡슐(Cs)의 저면에 강제적으로 구멍을 뚫어 줄 필요가 있는 경우 사용되는 부재로써, 상기 가압받침대(878)는 커피캡슐(Cs)의 저면쪽을 받쳐주면서 커피캡슐(Cs)로부터 추출된 커피원액이 설치판(801) 저면쪽을 거쳐 하방으로 떨어질 수 있게 안내하는 통로 역할을 하게 된다.The pressing pedestal 878 is a member used when it is necessary to forcibly bore a hole in the bottom of the coffee capsule Cs when extracting the coffee ground liquid. And serves as a path for guiding the coffee stock solution extracted from the coffee capsule Cs to fall downward through the bottom of the mounting plate 801 while supporting the bottom.

즉, 상기 가압받침대(878)는 가압판(872)에 대향되게 커피캡슐(Cs)의 저면쪽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커피캡슐(Cs)이 가압판(872)에 의해 가압되어 대략 4㎜정도 하향되게 밀리게 될 때, 커피캡슐(Cs)의 저면과 접촉하여 커피캡슐(Cs)의 저면에 구멍을 뚫어주어 가압판(872)을 통해 공급된 온수에 의해 추출되는 커피원액을 자유낙하되도록 안내하는 통로 역할을 하는 것이다.That is, the pressure pedestal 878 is located on the bottom side of the coffee capsule Cs opposite to the pressure plate 872, and the coffee capsule Cs is pressed by the pressure plate 872, A hole is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ffee capsule Cs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coffee capsule Cs to serve as a path for guiding the coffee raw material liquid extracted by the hot water supplied through the pressure plate 872 to free fall .

이를 위해, 상기 가압받침대(878)의 상단 정중앙에는 구멍을 뚫어 줄 수 있는 뾰족한 구조의 받침촉(878a)이 수직하게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받침촉(878a)의 중앙에는 커피원액이 배출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받침촉(878a)의 주변인 가압받침대(878)의 상면에는 받침촉(878a) 중앙의 관통공을 통해 커피원액이 빠져나가지 못하고 받침촉(878a)의 외주면을 따라 흘러 내려오는 커피원액을 배출할 수 있는 통공(878b)이 형성되어 있다.A support point 878a having a pointed structure capable of drilling a hole is vertically protruded from the center of the upper end of the pressing pedestal 878. The center of the support point 878a is provided with a through- The coffee bean liquid does not escape through the through hole at the center of the supporting needle 878a and flows down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upporting needle 878a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ressing pedestal 878 which is the periphery of the supporting needle 878a There is formed a through hole 878b through which the coffee stock solution can be discharged.

즉, 상기 받침촉(878a)으로 커피캡슐(Cs)의 저면에 구멍을 뚫게 될 때, 커피캡슐(Cs)의 저면에 형성된 구멍과 받침촉(878a) 사이에 구조적으로 미세한 간극이 형성되게 되고, 이 간극을 통해서 커피원액이 받침촉(878a)의 외주면을 따라 흘러 내려오게 되며, 이렇게 흘러 내려온 커피원액은 가압받침대(878)의 상면에 형성된 통공(878b)을 통해 하방으로 배출되게 되는 것이다.That is, when a hole is made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ffee capsule Cs by the support point 878a, a structurally fine gap is formed between the hole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ffee capsule Cs and the support point 878a, Through this gap, the coffee stock solution flows down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point 878a, and the coffee stock solution flowing downward is discharged downward through the through hole 878b form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pressing pedestal 878.

여기서, 미설명부호 878c는 캡슐의 하면을 밀봉해주는 밀봉테두리이다.Here, the unillustrated reference numeral 878c is a sealing edge for sealing the lower surface of the capsule.

또한, 상기 가압받침대(878)의 저면은 설치판(801)에 관통 형성된 커피원액배출공(805)과 연통되어 있다.The bottom surface of the pressing pedestal 878 is in communication with a coffee-liquid-discharging hole 805 formed in the mounting plate 801.

이때, 상기 커피캡슐(Cs)의 종류에 따라 커피캡슐(Cs)의 저면에 커피원액을 배출하기 위해 강제적으로 구멍을 뚫어 줄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가압받침대(878)를 갖출 필요가 없는 경우도 있다.At this time,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coffee capsules Cs, it may not be necessary to provide the pressurizing pedestal 878 if it is not necessary to forcibly bore holes for discharging the coffee stock solution to the bottom of the coffee capsules Cs .

여기서, 상기 캡슐에의 가압은 승강부재(440)에 의하여 실행되며, 상기 승강부재(440)는 상부에 상하승강수단을 형성하되, 상기 상하승강수단은 상기 승강부재(440)의 상단에 가까이 장공(441)을 형성하여, 여기에 케이스 몸체에 부착되는 측판(443)에 가이드로울러(442a)(442b)를 설치하여 상하작동이 가능하도록 하되, 상하 작동은 상기 승강부재(440)의 측부에 치차(448)를 형성하고, 그 측부에 모터(446)와 감속기어(447)를 이용하여 상하작동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The upper and lower lifting and lowering means are disposed at the upper end of the lifting member 440 so that the upper and lower lifting and lowering means can be slid close to the upper end of the lifting and lowering member 440. [ And the guide rails 442a and 442b are provided on the side plate 443 attached to the case body to allow the upper and lower operations to be performed, And a motor 446 and a reduction gear 447 can be used for the up and down operation.

상기 승강부재(440)의 원활한 작동을 위하여 승강부재의 양 측부에 측판(443)을 이용하여 가이드홈(445)을 형성하여 상하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For smooth operation of the elevating member 440, guide grooves 445 may be formed on both side portions of the elevating member using the side plate 443 so as to be vertically moved.

따라서, 상기 승강부재(440)의 하강에 따라 캡슐(Cs)이 가압받침대(878)에 안착되면서, 상기 받침촉(878a)에 의하여 상기 통공형성박판(890d)이 박리되면서 “탁”하는 소리가 나게 되고, 이를 감지하는 소리기억합성소자가 이의 소리를 기억하게 하여, 이의 소리가 날 경우에는 모터의 구동을 멈추게 하여 내려오던 승강부재(440)를 멈추게 하는 것이다.Accordingly, as the lifting member 440 descends, the capsule Cs is seated on the pressing pedestal 878, and the through-hole forming plate 890d is peeled off by the receiving touch 878a, And the sound-memorizing composite element for sensing the sound causes the sound to be memorized. When the sound is heard, the driving of the motor is stopped to stop the lifting member 440 descending.

물론 이 타임에서 커피원액의 원활한 하강을 위하여 상기 승강부재(440)를 2mm정도 위로 올리게 할 수 있다.Of course, at this time, the lifting member 440 can be raised up to about 2 mm for smooth descent of the coffee liquid.

이후에 캡슐에 압착이 일정시간 가해진 후에 다시 승강부재(440)가 상승함으로써 1회의 압착이 종료하게 되고, 이동슬라이드(851)가 움직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reafter, after the pressing operation of the capsule is performed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elevating member 440 rises again, so that the pressing operation is completed once, and the moving slide 851 can move.

한편, 도 18 및 도 19에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커피캡슐의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Figs. 18 and 19 show embodiments of coffee capsu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즉, 도 18에 도시된 본 발명에 적용되는 커피캡슐(Cs)의 일실시예는, 내부에 원두커피 알갱이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상단밀봉면(890)과, 저면의 캡슐밀봉박판부(891)로 구성되고, 상기 캡슐밀봉박판부(891)의 중앙부위에는 초기에는 막혀 있다가 커피원액 추출과정에서 강제로 구멍을 뚫어 커피원액이 배출되는 추출공(891a)이 형성될 수 있는 부위가 마련되어 있다.That is, one embodiment of the coffee capsule Cs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8 includes an upper sealing surface 890 for providing a space for accommodating coffee beans therein, And an extraction hole 891a is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capsule sealing thin plate portion 891 so as to be initially closed and to forcibly bore a hole in the coffee raw material extraction process to discharge the coffee stock solution There is a place to be.

이때, 상기 추출공(891a)은 가압받침대(878)의 받침촉(878a)에 의하여 캡슐밀봉박판부(891)를 뚫어 사용할 수 있도록 된 구조이다.At this time, the extraction hole 891a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capsule sealing thin plate portion 891 can be pierced by the supporting point 878a of the pressing pedestal 878.

그리고,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피캡슐(Cs)의 다른 실시예는, 내부에 원두커피 알갱이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상단밀봉면(890)과, 저면의 캡슐밀봉박판부(891)로 구성되고, 상기 캡슐밀봉박판부(891)의 전반에 걸쳐 미세통공(891b)이 형성되고, 상기 미세통공(891b)은 평상시에 기 형성된 부직포(도면 생략)를 통해서 막혀 있다가 온수가 공급되어 커피원액이 추출될 때 커피원액이 미세통공(891b)을 통과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19, another embodiment of the coffee capsule Cs includes an upper sealing surface 890 so as to provide a space for accommodating coffee beans therein, The micropores 891b are form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capsule sealing thin plate portion 891. The micropores 891b are normally closed through a nonwoven fabric (not shown) And the coffee stock solution can pass through the micro-holes 891b when the coffee stock solution is extracted.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 도 18에 도시된 커피캡슐(Cs)을 사용할 경우에는, 커피원액추출부(870)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가압받침대(878)에 받침촉(878a)이 형성되는 구조를 필요로 하게 되고, 본 발명에서 도 19에 도시된 커피캡슐(Cs)을 사용할 경우에는, 커피원액추출부(870)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가압받침대(878)가 없어도 캡슐밀봉박판부(891)의 미세통공(891b)을 통해서 막바로 하방으로 커피원액이 흘러 내려갈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ccordingly, when the coffee capsule Cs shown in FIG. 18 i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a structure in which a support point 878a is formed in the pressurizing pedestal 878 in constituting the coffee stock solution extracting section 870 In the case of using the coffee capsule Cs shown in FIG. 19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constituting the coffee stock solution extracting section 870, even if the pressurizing pedestal 878 is not provide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tructure in which the raw coffee liquor can flow down directly through the fine holes 891b.

도 20(a)(b)는 본 발명에 따른 커피캡슐적재부에 적재되는 커피캡슐의 다양한 저변형태를 수용할 수 있는 받침대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구성도이다.20 (a) and 20 (b) are schematic views showing a pedestal capable of accommodating various base shapes of a coffee capsule loaded in a coffee capsule mounting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0(a)는 본 발명의 캡슐이고, 도 20(b)는 타사의 제품에도 안착되는 상태의 사시도이다.Fig. 20 (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apsul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0 (b) is a perspective view in a state of being seated in a product of other company.

여기서, 제품의 종류에 따라서도 본 발명의 상기 캡슐안착조절캡(885e)이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도 20(a)는 본 발명의 캡슐로서 저면에는 원두커피가 압출되는 원형돌출부(890b)가 형성되어 있고, 이를 캡슐상승기구(880a)에 의하여 들 경우에 상기 캡슐안착조절캡(885e)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측벽(885f)에 의하여 캡슐의 저면하판(890a)이 안착되고, 상기 원형돌출부(890b)와 함께 넓은 "U"자형의 홈이 형성된 상기 캡슐안착조절캡(885e)의 바닥에 자연스럽게 안착되는 것을 보여주고 있고, 도 20(b)는 타사의 제품의 경우에는 저면이 작은 원형밑판(890ba)으로 형성되면서 캡슐의 측판(890bc)과는 경사지게 밑면경사판(890bb)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저면의 작은 원형밑판(890ba)을 캡슐상승기구(880a)에 의하여 들 경우에 상기 캡슐안착조절캡(885e)의 측벽(885f)에 의하여 캡슐의 밑면경사판(890ba)이 안착되고, 그 저면인 밑판(890bb)은 넓은 "U"자형의 홈이 형성된 상기 캡슐안착조절캡(885e)의 바닥에 자연스럽게 안착되는 것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20 (a) shows a capsu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circular protrusion 890b (see FIG. 20) in which coffee beans are extruded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apsule holding adjustment cap 885e The lower bottom plate 890a of the capsule is seated by the side wall 885f formed at the edge of the capsule seating adjustment cap 885e when the capsule lifting mechanism 880a is lifted by the capsule lifting mechanism 880a, 20 (b) shows that the capsule holding adjustment cap 885e having a wide U-shaped groove is naturally seated on the bottom of the capsule mounting adjustment cap 885e together with the capsule bottom 890b, Even if the lower bottom plate 890ba is formed as a bottom inclined plate 890bb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side plate 890bc of the capsule while the capsule bottom plate 890ba is lifted by the capsule lifting mechanism 880a, Side wall 885e 885f is sea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apsule bottom plate 890ba and the bottom plate 890bb which is the bottom of the capsule naturally seats on the bottom of the capsule seating adjustment cap 885e having the wide U- will be.

따라서, 캡슐을 제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상기 캡슐안착조절캡(885e)은 캡슐을 캡슐안착부(852)로부터 완전히 제거하는 전단계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in order to remove the capsule, the capsule placement control cap 885e of the present invention plays an important role as a pre-stage for completely removing the capsule from the capsule placement portion 852. [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에 도시하고, 또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특허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800 : 커피캡슐적재부 801 : 설치판
802 : 받침대 803, 804 : 측면설치판
805 : 커피원액배출공 806 : 밀대가이드장공
807 : 폐커피캡슐배출구 808 : 폐커피캡슐투입구
810 : 커피캡슐카트리지 820 : 회전프레임
821,822,823 : 원판형 지지플레이트 824 : 연결봉
825 : 카트리지삽입공 830 : 고정원판
831 : 커피캡슐배출구 832 : 관통공
840 : 회전구동유닛 841 : 회전구동모터
842 : 회전기어박스 843 : 회전축
844 : 회동감지판 845,846 : 회전제어센서
847 : 고정브라켓트 850 : 커피캡슐이송부
851 : 이동슬라이드 851a : 축공
851b : 홀더안착공 851c : 슬라이드홈
851d : 가이드보스 851d : 접점판
852 : 커피캡슐홀더 852a : 홀더공
852b : 플랜지부 853 : 왕복이송수단
853a : 접점판 854 : 왕복이송모터
855 : 이송나사축 856 : 슬라이드축
857 : 랙 857a : 피니언
857b : 지지블록 858 : 이송벨트부
858a : 구동풀리부 858b : 종동풀리부
858c : 고정부 859 : 실린더부
859a : 피스톤축 860 : 감지부
861 : 제1위치감지센서 862 : 제2위치감지센서
863 : 제3위치감지센서 864 : 브라켓트판
870 : 커피원액추출부 871 : 추출부설치케이스
871a : 분할판 871b : 승하강장공
872 : 가압판 872a : 개봉칼날
872b : 호스연결구 872c : 실리콘밀봉압착부
873 : 가압커버부재 874 : 승하강축
875 : 승하강모터 876 : 승하강기어박스
877 : 승하강감지판 877a : 승하강감지대
878 : 가압받침대 878a : 받침촉
878b : 통공 879 : 승하강감지센서
880 : 폐커피캡슐수거부 881 : 캡슐수거통로관
881a : 가이드날개판 881b : 낙하방지판
882 : 밀대구동모터 883 : 판상브라켓트
884 : 로드캠 885 : 승하강밀대
886 : 밀대위치감지센서 887 : 가이드브라켓트
890 : 상단밀봉면 891 : 캡슐밀봉박판부
891a : 추출공 891b : 미세통공
C : 종이컵 Cs : 커피캡슐
Cs1 : 폐커피캡슐
800: coffee capsule mounting part 801: mounting plate
802: pedestal 803, 804: side mounting plate
805: coffee spout 806: slider guide slot
807: waste coffee capsule outlet 808: waste coffee capsule inlet
810: Coffee capsule cartridge 820: Rotating frame
821,822,823: disk-shaped supporting plate 824: connecting rod
825: Cartridge insertion hole 830: Fixed disk
831: coffee capsule outlet 832: through-hole
840: Rotation drive unit 841: Rotation drive motor
842: Rotary gear box 843:
844: Rotation detection plate 845,846: Rotation control sensor
847: fixed bracket 850: coffee capsule is sent
851: Moving slide 851a:
851b: hole in the holder 851c: slide groove
851d: Guide boss 851d: Contact plate
852: coffee capsule holder 852a: holder ball
852b: flange portion 853: reciprocating conveying means
853a: contact plate 854: reciprocating feed motor
855: Feed screw shaft 856: Slide shaft
857: rack 857a: pinion
857b: Support block 858:
858a: drive pulley part 858b: driven pulley part
858c: Fixing portion 859: Cylinder portion
859a: piston shaft 860: sensing part
861: first position detecting sensor 862: second position detecting sensor
863: Third position detection sensor 864: Bracket plate
870: Coffee stock solution extracting part 871: Extraction part mounting case
871a: partition plate 871b:
872: pressure plate 872a: opening blade
872b: Hose connector 872c: Silicone sealing crimping part
873: Pressure cover member 874:
875: Up and down motor 876: Up and down gear box
877: rising / falling detection plate 877a: rising / falling detection plate
878: Pressurizing pedestal 878a:
878b: through hole 879: rising / falling sensor
880: Capable of rejecting waste coffee caps 881: Capsule container
881a: Guide blade plate 881b: Drop prevention plate
882: Ball drive motor 883: Plate Bracket
884: Rod cam 885:
886: Pusher position sensor 887: Guide bracket
890: upper sealing surface 891: capsule sealing thin plate part
891a: extraction hole 891b: fine hole
C: Paper cup Cs: Coffee capsules
Cs1: Waste Coffee Capsule

Claims (4)

커피캡슐(Cs)을 다단으로 적재 공급하는 커피캡슐적재부(800)와, 이 커피캡슐적재부(800)로부터 공급되는 커피캡슐(Cs)을 안착시켜 원하는 위치로 이송하는 커피캡슐이송부(850)와, 이 커피캡슐이송부(850)를 통해 이송된 커피캡슐(Cs)로부터 커피원액을 추출하기 위한 커피원액추출부(870) 및 이들을 제어하는 제어부로서, 커피원액추출부(870)의 측부하단에는 커피원액을 추출하고 남은 폐커피캡슐(Cs1)을 이동슬라이드(851)의 커피캡슐홀더(852)를 통해 기설정된 위치로 이동시킨 후 커피캡슐홀더(852)로부터 폐커피캡슐(Cs1)을 밑에서 상부로 밀어서 분리할 수 있도록 승하강밀대가 형성하여 캡슐수거통로관(881)에 투입함에 따라 설치판(801) 저면쪽으로 자유낙하시켜 수거할 수 있는 폐커피캡슐수거부(880)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 원두커피 자동판매기의 캡슐 수거장치.A coffee capsule loading unit 800 for loading and feeding the coffee capsules Cs in multiple stages and a coffee capsule for loading and transferring the coffee capsules Cs supplied from the coffee capsule loading unit 800 to a desired position are connected to a sending unit 850 A coffee stock solution extracting section 870 for extracting the coffee stock solution Cs from the coffee capsules Cs transferred through the transfer section 850 and a control section for controlling these components, The waste coffee capsule Cs1 is mov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through the coffee capsule holder 852 of the slide slide 851 and then the waste coffee capsule Cs1 is removed from the coffee capsule holder 852 And a waste coffee capsule rejection unit 880 that can be collected by falling down toward the bottom of the installation plate 801 as it is introduced into the pipe 881 by the capsule receptacle, Feature of capsule bean coffee vending machine Schloss collection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밀대는 캡슐들림봉(885b)이 모터(882)의 모터축(885a)에 형성된 모터축피니언(885aa)과 캡슐들림봉랙(885bb)에 의하여 폐커피캡슐(Cs1)을 캡슐안착끝단부(885d) 위에 들어올려 상부 폐커피캡슐투입구(808)의 가이드날개판(881a) 일측에 형성된 모터(882a)와 그 모터축(882b)에 형성된 회전날개(882c)의 회전에 의하여 캡슐수거통로관(881)쪽으로 폐커피캡슐(Cs1)에 타격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 원두커피 자동판매기의 캡슐 수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ifting and lowering bar is configured such that the capsule lifting rod 885b is rotated by the motor shaft pinion 885aa formed on the motor shaft 885a of the motor 882 and the capsule lifting rods 885bb to move the waste coffee capsule Cs1 to the capsule seating end And the rotation of the rotary wing 882c formed on the motor shaft 882b of the motor 882a formed on one side of the guide blade plate 881a of the upper waste coffee capsule input port 808 is lifted up to the capsule receptacle 885d, (881) to the waste coffee capsule (Cs1) by applying a blow to the waste coffee capsule (Cs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폐커피캡슐수거부(880)에는, 커피캡슐(Cs1)을 밑에서 밀어주기 위해 설치판(801)에 관통 형성된 밀대가이드장공(806)을 통해서 설치판(801)의 저면쪽에서 상면쪽으로 관통되는 구조로 승하강 직선운동이 가능하게 배치된 승하강밀대(885)와, 상기 승하강밀대(885)의 승하강 직선운동에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밀대구동모터(882)와, 상기 밀대구동모터(882)와 승하강밀대(885)사이를 연결하여 밀대구동모터(882)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켜주는 로드캠(884)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 원두커피 자동판매기의 캡슐 수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aste coffee capsule rejection 880 is provided with a structure in which the coffee cup Cs1 is pierced from the bottom side to the top side of the mounting plate 801 through a pushing guide elongated hole 806 formed through the mounting plate 801 to push the coffee capsule Cs1 from below A pushing and lowering rod 885 disposed so as to be able to move upward and downward linearly to the pushing and lowering rod 885, a pushing drive motor 882 for providing a driving force required for the upward and downward linear movement of the up and down pushing rod 885, And a rod cam 884 for connecting the lifting and lowering rod 885 to the rod driving motor 882 and converting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rod driving motor 882 into a linear motion.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밀대에 형성된 캡슐들림봉(885b)의 상단에는 캡슐안착조절캡(885e)의 가장자리에 측벽(885f)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 원두커피 자동판매기의 캡슐 수거장치.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nd a sidewall 885f is formed at an edge of the capsule positioning adjustment cap 885e at the upper end of the capsule lifting bar 885b formed on the lifting and lowering bar.
KR1020150085125A 2015-06-16 2015-06-16 Taking-off device of capsule in coffee vending machine Withdrawn KR2016014877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5125A KR20160148776A (en) 2015-06-16 2015-06-16 Taking-off device of capsule in coffee vend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5125A KR20160148776A (en) 2015-06-16 2015-06-16 Taking-off device of capsule in coffee vending machi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8776A true KR20160148776A (en) 2016-12-27

Family

ID=57736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5125A Withdrawn KR20160148776A (en) 2015-06-16 2015-06-16 Taking-off device of capsule in coffee vending mach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48776A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01730A (en) * 2017-08-11 2017-10-27 杨晓莉 A kind of Intelligent cargo cabinet, Vending Machine and its tally method
CN108038971A (en) * 2017-12-14 2018-05-15 广州创立起科技有限公司 A kind of capsule coffee machine
CN111110039A (en) * 2020-01-19 2020-05-08 成都越凡创新科技有限公司 Capsule coffee machine
KR20230001304A (en) * 2021-06-28 2023-01-04 송일섭 Coffee capsule vending machin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3829B1 (en) 2011-09-26 2013-09-05 이지용 Coffee auto-selling device
KR101418505B1 (en) 2013-12-17 2014-07-14 영덕해운 주식회사 Coffee vending machin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3829B1 (en) 2011-09-26 2013-09-05 이지용 Coffee auto-selling device
KR101418505B1 (en) 2013-12-17 2014-07-14 영덕해운 주식회사 Coffee vending machin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01730A (en) * 2017-08-11 2017-10-27 杨晓莉 A kind of Intelligent cargo cabinet, Vending Machine and its tally method
CN108038971A (en) * 2017-12-14 2018-05-15 广州创立起科技有限公司 A kind of capsule coffee machine
CN111110039A (en) * 2020-01-19 2020-05-08 成都越凡创新科技有限公司 Capsule coffee machine
KR20230001304A (en) * 2021-06-28 2023-01-04 송일섭 Coffee capsule vending machin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08204A (en) Coffee vending machine of belt having capsule
US11220397B2 (en) Container for preparation of a beverage and machine for automated filling of the container
EP2612578B1 (en) Package for dosing coffee beans
EP2274210B1 (en) An automatic pod conveyor and brewer assembly for fresh hot beverage
EP3094222B1 (en) Beverage machine cartridge holder
US20180140129A1 (en) Beverage forming apparatus
JP403050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ng and extracting capsules for preparing beverages
US9414710B2 (en) System for preparing a coffee beverage, ground coffee packaging cartridge for use with such a system, method of preparing a beverage by means of said system, and method of supplying ground coffee from said ground coffee packaging cartridge
KR20180040775A (en) Coffee vending machine of rotating plate having capsule
JP4884393B2 (en) Beverage device having a height-adjustable device for controlling the distance between the beverage receiver and the outlet
CN110060419B (en) Coffee capsule vending machine
JP2011522568A (en) Assembly that automatically brews and dispenses hot beverages
JP2008512144A (en) Coffee and tea dispenser with removable pod turret wheel
JP2000316724A (en) Assembly for supplying previously packed coffee vessel to preparation unit of coffee machine
KR20160148776A (en) Taking-off device of capsule in coffee vending machine
KR20160148777A (en) Elevatering device of pressing structure for capsule in coffee vending machine
KR20160148774A (en) Setting system of capsule in coffee vending machine
KR20160148772A (en) Coffee vending machine
KR20160148775A (en) Often device of capsule in coffee vending machine
KR20160148780A (en) Coffee vending machine of rotating plate having capsule
KR20160148778A (en) Transfer device for slide having capsule in coffee vending machine
KR20160148779A (en) Heating device of water for capsule coffee in coffee vending machine
TW201402054A (en) Automatic brewing machine
NL2002720C2 (en) SYSTEM, PACKAGING, APPARATUS AND METHOD FOR DOSING COFFEE BEA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61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