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8488A - Boom swing structure of high place works vehicles - Google Patents
Boom swing structure of high place works vehicle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148488A KR20160148488A KR1020160164904A KR20160164904A KR20160148488A KR 20160148488 A KR20160148488 A KR 20160148488A KR 1020160164904 A KR1020160164904 A KR 1020160164904A KR 20160164904 A KR20160164904 A KR 20160164904A KR 20160148488 A KR20160148488 A KR 2016014848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oom
- frame
- cylinder
- piston rod
- work vehic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5000013399 edible fru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9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138 pru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3 responsiven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44000141359 Malus pumil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20324 Pyr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016 app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306 harve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420 orchar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017 pear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52 repet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66F11/044—Working platforms suspended from booms
- B66F11/046—Working platforms suspended from booms of the telescoping type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6/00—Picking of fruits, vegetables, hops, or the like; 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 A01D46/24—Devices for picking apples or like frui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 B66F2700/09—Other lif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업용 고소작업차량의 붐대 선회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에 상향 돌출되게 형성되는 붐지지대와, 붐지지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프레임과, 고정프레임에 결합되어 상하로 펼쳐지거나 접히면서 신축되는 붐대를 포함하는 농업용 고소작업차량의 붐대 선회구조에 있어서, 그 상면에 붐대의 고정프레임이 결합 고정되고 붐지지대에 베어링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프레임이 구비되고, 회전프레임과 붐지지대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실린더 및 피스톤로드가 구비되어, 실린더에서 피스톤로드가 출입됨에 따라 붐지지대에서 회전프레임을 회전시켜 붐대를 회전시키는 농업용 고소작업차량의 붐대 선회구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om pivot structure of an agricultural high work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boom pivot structure for an agricultural high work vehicle, which comprises a boom support member protruding upward from a main body, a fixed frame rotatably coupled to the boom support member, The boom pivot structure of the agricultural heavy duty working vehicle includes a boom frame having a boom frame fixed to the boom frame and a rotatable frame rotatably coupled to the boom frame through bearings, The boom pivot structure of the agricultural high-demand work vehicle is provided with a cylinder and a piston rod rotatably coupled to the boom support so as to rotate the boom frame by rotating the boom support frame as the piston rod moves in and out of the cylinder.
Description
본 발명은 농업용 고소작업차량의 붐대 선회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소작업차량에 구비되어 작업 버킷을 리프팅 및 회전시키는 붐대의 선회구조를 과수 농가에 맞는 구조로 개선한 농업용 고소작업차량의 붐대 선회구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일반적으로, 사과, 배 등을 재배하는 과수원 등에서는 가지치기, 과실 수확 등을 위하여 높은 위치에서 작업을 해야 하며 이러한 높은 위치에서의 작업에 고소 작업 수단을 필요로 한다.Generally, in orchards where apples, pears, etc. are grown, they must work at high positions for pruning and fruit harvesting.
이러한 고소 작업 수단은 이동을 하지 않는 것도 있을 수 있지만, 이동을 할 수 있는 것이 보다 효율적이므로 이동하는 고소 작업 수단이 사용되고 있다.Such a high-level work means may not be moved, but a moving high-level work means is used because it is more efficient to move.
이러한 이동형 고소 작업 수단으로는 고소작업차량을 일례로 들 수 있고, 고소작업차량에는 작업자가 탑승하는 작업 버킷을 승강시키는 붐대가 구비된다.The mobile type elevating means may be a high elevating working vehicle, for example, and the elevating work vehicle may be provided with a boom bar for elevating and lowering the work bucket on which the worker is to ride.
한편, 이러한 고소작업차량은 한국 등록특허 제10-1436518호(이하 '선행기술문헌'이라 한다)에서 제안된 바 있다.Meanwhile, such a high-performance work vehicle has been proposed in Korean Patent No. 10-1436518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document").
선행기술문헌에 개시된 고소작업차량은, 이동 및 정지수단을 갖는 본체와, 본체에서 상하로 승강되고 작업자가 탑승하는 작업 버킷과, 작업 버킷을 회전시키는 회전유닛 등을 포함한다.The high work vehicle disclosed in the prior art document includes a main body having moving and stopping means, a work bucket lifted up and down from the main body and carried by an operator, and a rotating unit for rotating the work bucket.
특히, 붐 타입 고소작업차량의 본체에는 무한궤도의 주행륜을 가진 본체 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붐지지대, 붐지지대에서 상하로 펼쳐지거나 접히면서 그 길이가 신축되고 그 선단부에는 작업 버킷이 구비되어 있는 붐대가 구비된다.Particularly, the boom type high-lift work vehicle is provided with a boom support which is rotatably installed on a main body having a running wheel of an infinite track, a length of which is expanded or contracted up and down in a boom support, Is provided.
그리고, 본체에는 붐지지대를 좌우로 회전시키는 회전유닛이 구비되고, 회전유닛은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붐지지대가 결합 고정되는 수직회전축과, 수직회전축에 결합되어 함께 회전되는 구동스프로킷과, 구동스프로킷의 치형부에 결합되어 구비되는 구동체인과, 구동체인의 양단부가 각각 연결되어 구동체인을 밀고 당기는 동작으로 이동시켜 구동스프로킷 및 수직회전축과 더불어 붐지지대를 회전시키는 회전구동용 실린더가 구비된다.The main body is provided with a rotation unit that rotates the boom support to the left and right. The rotation unit includes a vertical rotation shaft rotatably mounted on the main body and fixed to the boom support, a drive sprocket coupled to the vertical rotation shaft and rotated together, And a rotary drive cylinder for rotating the boom support together with the drive sprocket and the vertical rotary shaft by moving the drive chain by pushing and pulling the drive chain are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drive chain.
따라서, 양측의 회전구동용 실린더에 의해 구동체인이 당겨지거나 밀리면서 이동되고, 이에 결합된 구동스프로킷이 구동체인에 의해 회전됨에 따라 붐지지대가 수직회전축과 같이 회전되어 작업 버킷을 회전시키게 된다.Accordingly, as the drive chain is pulled or pushed by the rotary drive cylinders on both sides and the drive sprocket coupled thereto is rotated by the drive chain, the boom support is rotated as the vertical rotation axis to rotate the operation bucket.
하지만, 선행기술문헌에 개시된 고소작업차량은, 구동스프로킷의 치형부에 결합된 구동체인이 그 양단부에 각각 연결된 회전구동용 실린더의 연동작동에 의해 이동되는데, 이때 양 회전구동용 실린더의 연동작동 즉 일측의 실린더에서 구동체인을 당기면 타측의 실린더에서는 구동체인을 미는 작동이 동시에 정확히 이루어져야만 구동체인이 이동되어 붐대가 회전되므로 붐대를 회전시킴에 있어 양 실린더 간의 행정을 정밀하게 맞춰 조절하는 등의 불필요한 정밀 작업이 요구되고, 이로 인해 제작이 더디게 이루어져 생산성이 저하되며, 양 실린더의 연동작동으로 인해 붐대의 신속한 응답성을 기대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However, in the high-performance working vehicle disclosed in the prior art document, the driving chain coupled to the teeth of the driving sprocket is moved by the interlocking operation of the rotary driving cylinders connected to the both ends of the driving chain, When the drive chain is pulled from one cylinder, the operation of pushing the drive chain at the other cylinder must be performed exactly at the same time, so that the drive chain is moved and the boom is rotated. Therefore, unnecessary operations such as precisely adjusting the stroke between the two cylinders It is difficult to expect rapid response of the boom zone due to interlocking operation of both cylinders.
그리고, 구동스프로킷과 결합된 구동체인이 반복적인 작동에 의해 처짐이 발생될 수 있고, 이러한 처짐으로 인해 구동체인이 구동스프로킷에 헐거운 상태로 결합되므로 오작동될 수 있으며, 더 나아가서는 구동체인이 손상 또는 파손되어 작동 불능상태가 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Then, the drive chain combined with the drive sprocket can be deflected by repetitive operation, and this deflection can cause malfunction due to loosely coupled drive chain to the drive sprocket, and furthermore, There is a problem that it may break and become inoperabl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붐 타입 고소작업차량 및 이에 대한 기술은 아래의 선행기술문헌에 자세히 기재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boom-type high-performance work vehicle and the technology described above are described in detail in the following prior art documents, so tha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심플한 구조로 붐대를 신속하게 회전시켜 응답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농업용 고소작업차량의 붐대 선회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oom pivot structure of a high-altitude working vehicle for agricultural use in which a boom bar can be quickly rotated with a simple structure, There is a purpose.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붐대의 고정프레임이 결합 고정되는 회전프레임을 실린더가 직접 회전시킴으로써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농업용 고소작업차량의 붐대 선회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oom pivot structure of an agricultural high work vehicle in which a cylinder is directly rotated to prevent a malfunction from occurring in a rotary frame to which a fixed frame of a boom bar is fixedly engaged.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고소작업차량의 붐대 선회구조는, 본체에 상향 돌출되게 형성되는 붐지지대와, 붐지지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프레임과, 고정프레임에 결합되어 상하로 펼쳐지거나 접히면서 신축되는 붐대를 포함하는 농업용 고소작업차량의 붐대 선회구조에 있어서, 그 상면에 붐대의 고정프레임이 결합 고정되고 붐지지대에 베어링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프레임이 구비되고, 회전프레임과 붐지지대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실린더 및 피스톤로드가 구비되어, 실린더에서 피스톤로드가 출입됨에 따라 붐지지대에서 회전프레임을 회전시켜 붐대를 회전시키는 것을 포함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oom pivot structure for an agricultural high work vehicle comprising a boom support which is formed to protrude upward from a main body, a fixed frame rotatably coupled to the boom support, The boom pivot structure of an agricultural heavy duty working vehicle includes a boom frame fixedly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boom frame and a rotating frame rotatably coupled to the boom support via a bearing, And a cylinder and a piston rod rotatably coupled to the rotary frame and the boom support, respectively, and rotating the boom frame by rotating the rotary frame at the boom support as the piston rod is taken in and out of the cylinder.
그리고, 회전프레임에는 일방향으로 돌출되는 연결프레임이 형성되고, 연결프레임과 붐지지대에는 실린더와 피스톤로드가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구비되며, 연결프레임은 붐대와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붐대와 같이 회전될 수 있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The connection frame and the boom support are rotatably coupled to the cylinder and the piston rod. The connection frame is protrud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boom frame and is rotated as the boom frame. .
또한, 붐지지대에는 고정판이 고정되게 구비되고, 고정판에는 외향 돌출되는 캠부가 형성되며, 캠부에는 실린더 또는 피스톤로드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고정판의 캠부에는 고정핀이 결합 고정되고, 이 고정핀에는 결합부싱이 회전가능하게 삽입되어 결합되며, 이 결합부싱에는 실린더 또는 피스톤로드가 연결되게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fixed plate is fixed to the boom support, a projecting cam portion is formed on the fixed plate, a cylinder or a piston rod can be rotatably coupled to the cam portion, a fixed pin is fixedly coupled to the cam portion of the fixed plate, A coupling bushing is rotatably inserted and coupled to the pin, and the coupling bushing can be formed with a cylinder or a piston rod connected thereto.
본 발명의 농업용 고소작업차량의 붐대 선회구조에 따르면, 실린더에서 피스톤로드가 출입됨에 따라 본체의 붐지지대를 축으로 붐대의 고정프레임이 회전되면서 붐대를 회전시키게 됨으로써 심플한 구조로 붐대를 신속하게 회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boom pivot structure of the agricultural high work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piston rod moves in and out of the cylinder, the boom frame is rotated while the fixed frame of the boom frame is rotated around the boom support frame of the main body, thereby quickly rotating the boom frame with a simple structur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실린더와 피스톤로드가 본체의 붐지지대와 붐대의 고정프레임에 각각 연결되어 실린더에서 출입되는 피스톤로드가 직접 붐대의 고정프레임을 회전시킴으로써 붐대의 응답성이 향상되는 한편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ylinder and the piston rod are connected to the boom support of the main body and the fixed frame of the boom frame, respectively, so that the piston rod directly from the cylinder rotates the stationary frame of the boom frame to improve the responsiveness of the boom fram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prevent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고소작업차량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고소작업차량과 붐대의 분리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고소작업차량의 붐대 선회구조를 보인 분리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고소작업차량의 붐대 선회구조를 보인 결합 단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고소작업차량의 최대 선회상태를 보인 도면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high-altitude working vehicle for agricul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the separation between the agricultural high work vehicle and the boom b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showing a boom pivot structure of an agricultural high work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assembl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boom pivot structure of an agricultural high work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A and 5B are views showing the maximum turning state of the agricultural high work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고소작업차량의 붐대 선회구조를 도시한 도면들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view showing a boom pivot structure of an agricultural high work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차량(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행 가능한 무한궤도의 주행륜(111)이 양측부에 각각 구비되어 있는 본체(110)와, 본체(110)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본체(110)에 구비되어 상하로 펼쳐지거나 접히면서 그 길이가 신축되는 붐대(120)와, 붐대(120)의 선단부에 구비되어 작업자가 탑승할 수 있는 작업 버킷(121)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a high-
그리고, 붐대(120)는 텔레스코프(telescope) 방식으로 길이가 신축되고, 작업 버킷(121) 반대편의 후단부에는 후술될 본체(110)의 붐지지대(2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판상의 고정프레임(130)이 구비된다.The
이와 같이 구비되는 고정프레임(130)의 상면에는 붐대(120)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붐대(120)는 고정프레임(130) 상에서 관절동작과 같이 펼쳐지거나 접힐 수 있도록 구비된다.The boom table 12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한편, 상기와 같은 붐대(120)와 본체(110) 사이에는 회전유닛(200)이 구비되고, 이 회전유닛(200)에 의해 붐대(120)는 본체(110) 상에서 선회할 수 있게 된다.A
특히, 회전유닛(200)에 의해 회전되는 붐대(120)는 본체(110) 상에서 360도를 선회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고소작업차량(100)이 과수 농가 등지에서 농업용으로 사용되는 작업의 특성상, 붐대(120)의 선회각도를 120∼150도(이하 "120도"로 통칭한다)로만 회전시키도록 한 것이다.Particularly, although the
이와 같이 붐대(120)가 본체(110) 상에서 120도로만 선회되어도 과수 농가에서는 충분한 작업반경을 갖게 되므로 본 발명에서의 고소작업차량(100)은 붐대(120)가 120도의 선회각도로만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Since the fruit farm has a sufficient working radius even if the
한편, 상기와 같이 붐대(120)를 120도로 선회시키는 회전유닛(200)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의 상면 중앙부에는 붐지지대(210)가 상향 돌출되게 형성되고, 붐지지대(210)의 상면 중앙부에는 힌지축(220)이 상향 돌출되게 구비된다.2 to 4, the boom support 210 protrudes upward from a central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그리고, 힌지축(220)과 붐지지대(210)의 경계부 즉 붐지지대(210)의 상면에는 고정판(230)이 힌지축(220)에 끼워진 상태로 고정되고, 고정판(230)의 일측부에는 외향 돌출되는 캠부(231)가 형성되어, 고정판(230)은 캠 형상으로 형성된다.A
특히, 상기와 같이 고정판(230)에서 돌출된 캠부(231)에 후술될 연결프레임(270)에 각각 연결되는 실린더(280)와 피스톤로드(281)는 도 5a에서와 같이 붐대(120)와 본체(110)가 일직선으로 평행하게 위치된 상태에서 붐대(120)에 대해 경사지게 구비됨으로써 실린더(280)와 피스톤로드(281)가 도 5b에서와 같이 붐대(120)를 좌후로 회전시킬 수 있는 선회각을 가질 수 있게 된다.5A, the
이와 같이 형성되는 고정판(230)의 캠부(231)에는 고정핀(240)이 상향 돌출되어 고정되고, 고정핀(240)에는 후술될 결합부싱(290)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구비된다.The
한편, 붐대(120)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프레임(130)은 그 하면에 회전프레임(260)이 결합 고정되고, 회전프레임(260)은 붐지지대(210)의 힌지축(220)에 베어링(250)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구비된다.The
이와 같은 회전프레임(260)은 중공관으로 붐지지대(210)의 힌지축(220)에 끼워져 결합되는 원통부(261)와, 원통부(261) 위에 일체로 형성되어 붐대(120)의 고정프레임(130)이 결합 고정되는 평판부(262)를 포함한다.The
특히, 원통부(261)는 그 내부로 삽입되는 힌지축(220)과의 사이에 다수의 베어링(250)을 개재한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평판부(262)는 그 중앙부에 원통부(261)와 연통되는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어, 베어링(250)을 유지보수할 수 있게 된다.Particularly, the
한편, 상기와 같은 평판부(262)의 상면에는 회전프레임(260)의 원통부(261)와 힌지축(220) 사이에 구비된 베어링(250)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평판부(262)의 관통구멍을 덮어 가리는 덮개판(263)이 볼팅되어 결합된다.The upper surface of the
이와 같이 구비되는 회전프레임(260)과 고정판(230) 사이에는 고정판(230)에서 회전프레임(260)을 정.역회전시키는 실린더(280)가 구비되고, 실린더(280)에는 그 내부로 유압 또는 공압이 공급됨에 따라 출입되는 피스톤로드(281)가 구비된다.A
이와 같은 실린더(280)는 그 일단부가 고정판(230)의 캠부(231) 또는 회전프레임(26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피스톤로드(281)의 일단부는 실린더(280)와는 반대로 회전프레임(260) 또는 고정판(230)의 캠부(23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One end of the
한편, 회전프레임(260)과 고정판(230)의 캠부(231)에 각각 결합된 실린더(280)와 피스톤로드(281)는 실린더(280)에서 출입되는 피스톤로드(281)의 행정이 짧은 관계로 작동시 큰 부하가 작용할 뿐 아니라 붐대(120)의 충분한 선회각도를 만족하지 못하게 된다.The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회전프레임(260)의 원통부(261) 외측면에서 일방향으로 돌출되는 연결프레임(270)이 일체로 형성되고, 연결프레임(270)의 단부에는 실린더(280) 또는 피스톤로드(281)의 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The connecting
한편, 상기와 같은 연결프레임(270)은 회전프레임(260)의 원통부(261)에서 일방향으로 돌출되되, 가장 바람직하게는 연결프레임(270)이 붐대(120)와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것이 좋다.The
이는, 연결프레임(270)을 붐대(120)의 하부에서 본체(110)와 수평한 상태로 붐대(120)와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되게 구비함으로써, 붐대(120) 하부의 본체(110)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고, 연결프레임(270)이 붐대(120)보다 짧게 돌출되므로 붐대(120)와 같이 회전되는 연결프레임(270)의 선회작동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This is because the connecting
즉, 붐대(120) 하부의 본체(110)에는 선회하는 붐대(120)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공간이 충분히 확보된 상태인데, 이 공간에 붐대(120)와 같이 회전되는 연결프레임(270)을 돌출되게 구비하므로 붐대(120)와 같이 연결프레임(270)이 선회하여도 주변 부품과의 간섭을 피할 수 있고, 충돌 등과 같은 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at is, a space for avoiding interference with the
상기와 같이 회전프레임(260)의 원통부(261)에서 돌출되는 연결프레임(270)에 의해 실린더(280)와 피스톤로드(281)는 충분한 이동거리의 행정을 가질 수 있게 되므로 실린더(280)의 작동시 부하를 저감시킬 수 있고, 붐대(120)가 좌우로 회전할 수 있는 충분한 선회각도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The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실린더(280)의 일단부는 연결프레임(27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피스톤로드(281)의 일단부는 고정판(230) 캠부(231)의 고정핀(24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일례로 예시하여 설명하나, 이에 국한되거나 한정되지 아니함은 물론 전술한 구성과 반대로 설치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One end of the
그리고, 고정판(230) 캠부(231)의 고정핀(240)에 결합되는 피스톤로드(281)의 선단부에는 결합부싱(290)이 형성되고, 이 결합부싱(290)은 고정핀(240)에 삽입되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A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차량(100)은 본체(110)에 구비되는 하나의 실린더(280)만으로 붐대(120)를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회전유닛(200)의 구조가 심플하게 구성될 뿐 아니라 실린더(280)에서 출입되는 피스톤로드(281)에 의해 붐대(120)가 즉각 회전되므로 신속한 응답성을 갖게 된다.Therefore, the
게다가,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차량(100)은 본체(110) 상에서 붐대(120)가 도 5a 및 도 5b에서와 같이, 전방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로 각각 60도씩 회전되게 구성되고, 본체(110)에서 붐대(120)를 회전시키는 실린더(280)가 붐대(120) 하부에 구비됨으로써 고소작업차량(100)의 콤팩트하고 심플한 구조로 제작할 수 있게 된다.5A and FIG. 5B, the elevating
또한, 붐대(120)가 120도로만 선회되게 구비됨으로써 붐대(120)가 선회하지 않는 본체(110) 후방부에는 주행 모터나 컨트롤판넬 등을 수직하게 세워 구비할 수 있으므로 본체(11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구성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Since the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차량은 과수 농가에서 주로 농업용으로 사용되는 고소작업차량(100)으로, 과수 농가의 작업 특성상 작업 버킷(121)이 구비된 붐대(120)는 본체(110) 상에서 120도만 회전되도록 구성된다.The flooded
이와 같이 과수 농가에서 사용되는 고소작업차량(100)은 작업 버킷(121)에 작업자가 탑승한 상태로 양편의 과수 나무 사이를 이동하면서 붐대(120)를 이용하여 작업 버킷(121)을 좌우 양편으로 회전시켜 과수의 가지치기나 과수에서 과실을 수확하는 작업을 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high-
한편, 상기와 같은 붐대(120)의 회전작동은 실린더(280)에서 출입되는 피스톤로드(281)에 의해 신속하게 응답하여 작동된다.On the other hand, the rotational operation of the
즉, 도 5a에서와 같이, 붐대(120) 하부에 구비된 연결프레임(27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실린더(280)에서 피스톤로드(281)가 인출되면, 실린더(280)와 피스톤로드(281)가 각각 연결프레임(270)과 고정판(230) 캠부(231)의 고정핀(240) 상에서 회전되면서 피스톤로드(281)가 인출되어 그 길이가 신장되면서 붐대(120)를 도 5b의 점선과 같이 밀어내 고소작업차량(100)의 좌측으로 회전시키게 된다.5A, when the
반대로, 피스톤로드(281)가 실린더(280) 내로 삽입되면, 실린더(280)와 피스톤로드(281)가 각각 연결프레임(270)과 고정판(230) 캠부(231)의 고정핀(240) 상에서 역회전되면서 피스톤로드(281)가 실린더(280) 내로 삽입되어 그 길이가 축소되면서 붐대(120)를 도 5b의 실선과 같이 당겨 고소작업차량(100)의 우측으로 회전시키게 된다.Conversely, when the
따라서, 상기와 같이 피스톤로드(281)가 실린더(280)에서 출입됨과 동시에 붐대(120)가 즉시 회전됨으로써 붐대(120)의 응답성이 향상되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as described above, the
게다가, 상기와 같이 붐대(120)를 회전시키는 구동원이 하나의 실린더(280)와 피스톤로드(281)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회전유닛(200)의 구조를 심플하게 구성할 수 있고, 고소작업차량(100)의 소형화를 이룰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drive source for rotating the
그리고, 실린더(280)와 피스톤로드(281)가 각각 연결프레임(270)과 고정판(230) 캠부(231)의 고정핀(240)에 직접 연결되어 작동됨으로써 붐대(120)를 회전시킴에 있어 오작동률이 낮고, 붐대(120)의 응답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The
또한, 실린더(280)와 피스톤로드(281)가 각각 회전프레임(260)에서 돌출된 연결프레임(270)과 고정판(230) 캠부(231)의 고정핀(240)에 연결되어 경사진 상태로 구비됨으로써 붐대(120)를 충분히 좌우로 회전시킬 수 있는 선회각을 가질 수 있게 된다.The
한편, 상기와 같은 회전유닛(200)에 의해 본 발명의 고소작업차량(100)에서는 붐대(120)가 120도로만 회전됨으로써 붐대(120)가 선회하지 않는 본체(110) 후방부에는 주행 모터나 컨트롤판넬 등을 수직하게 세워 구비할 수 있으므로 고소작업차량(100)의 본체(110) 외측으로 돌출되는 부분을 최소화하여 고소작업차량(100)의 소형화에 일조를 할 수 있게 된다.In the high-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hat the modification or improvement is possible.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It is intend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over the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is invention provided they come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100 : 고소작업차량
110 : 본체
111 : 주행륜
120 : 붐대
121 : 작업 버킷
130 : 고정프레임
200 : 회전유닛
210 : 붐지지대
220 : 힌지축
230 : 고정판
231 : 캠부
240 : 고정핀
250 : 베어링
260 : 회전프레임
261 : 원통부
262 : 평판부
263 : 덮개판
270 : 연결프레임
280 : 실린더
281 : 피스톤로드
290 : 결합부싱100: a high-altitude working vehicle 110: a main body
111: traveling wheel 120:
121: Operation bucket 130: Fixing frame
200: rotation unit 210: boom support
220: Hinge shaft 230: Fixing plate
231: Cam part 240: Fixing pin
250: Bearing 260: Rotating frame
261: cylindrical portion 262: flat plate portion
263: cover plate 270: connection frame
280: cylinder 281: piston rod
290: Coupling bushing
Claims (5)
그 상면에 붐대의 고정프레임이 결합 고정되고 붐지지대에 베어링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프레임이 구비되고,
회전프레임과 붐지지대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실린더 및 피스톤로드가 구비되어,
실린더에서 피스톤로드가 출입됨에 따라 붐지지대에서 회전프레임을 회전시켜 붐대를 회전시키는 농업용 고소작업차량의 붐대 선회구조.
A boom pivot structure for an agricultural high work vehicle, comprising: a boom support member protruding upward from a main body; a fixed frame rotatably coupled to the boom support member; and a boom member coupled to the fixed frame and extending and contracted ,
A fixed frame of a boom frame is fixedly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om frame, and a rotating frame is rotatably coupled to the boom support via a bearing,
A cylinder and a piston rod rotatably coupled to the rotating frame and the boom support, respectively,
The boom pivot structure of a high-altitude agricultural work vehicle that rotates the swing frame by rotating the swing frame at the boom support as the piston rod enters and exits from the cylinder.
회전프레임에는 일방향으로 돌출되는 연결프레임이 형성되고, 연결프레임과 붐지지대에는 실린더와 피스톤로드가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구비되는 농업용 고소작업차량의 붐대 선회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necting frame and the boom support are respectively provided with a cylinder and a piston rod rotatably coupled to each other in the rotary frame.
연결프레임은 붐대와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붐대와 같이 회전되는 농업용 고소작업차량의 붐대 선회구조.
The method of claim 2,
The connecting frame is protrud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boom frame and is rotated together with the boom frame.
붐지지대에는 고정판이 고정되게 구비되고, 고정판에는 외향 돌출되는 캠부가 형성되며, 캠부에는 실린더 또는 피스톤로드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농업용 고소작업차량의 붐대 선회구조.
The method of claim 2,
A boom pivot structure for an agricultural high-lift work vehicle, wherein a fixed plate is fixed to the boom support, a projecting cam portion is formed on the fixed plate, and a cylinder or a piston ro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cam portion.
고정판의 캠부에는 고정핀이 결합 고정되고, 이 고정핀에는 결합부싱이 회전가능하게 삽입되어 결합되며, 이 결합부싱에는 실린더 또는 피스톤로드가 연결되게 형성되는 농업용 고소작업차량의 붐대 선회구조.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a fixed pin is fixedly coupled to the cam portion of the fixed plate, and an engaging bushing is rotatably inserted and coupled to the fixed pin, wherein a cylinder or a piston rod is connected to the engaging bushing.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64904A KR101741372B1 (en) | 2016-12-06 | 2016-12-06 | Boom swing structure of high place works vehicle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64904A KR101741372B1 (en) | 2016-12-06 | 2016-12-06 | Boom swing structure of high place works vehicle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48488A true KR20160148488A (en) | 2016-12-26 |
KR101741372B1 KR101741372B1 (en) | 2017-05-29 |
Family
ID=57733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64904A Active KR101741372B1 (en) | 2016-12-06 | 2016-12-06 | Boom swing structure of high place works vehicle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41372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56652B1 (en) * | 2017-12-14 | 2018-05-11 | 장진만 | High place works vehicles having twist prevention structure of power cable |
KR20240079807A (en) | 2022-11-29 | 2024-06-05 | 권병환 | High-rise working vehicle for agricultural work using used battery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36518B1 (en) | 2012-11-26 | 2014-09-01 | 주식회사 세웅 | Boom type high-place working apparatus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194005A (en) * | 2003-12-26 | 2005-07-21 | Sasaki Corporation | Agricultural high lift work vehicle |
-
2016
- 2016-12-06 KR KR1020160164904A patent/KR101741372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36518B1 (en) | 2012-11-26 | 2014-09-01 | 주식회사 세웅 | Boom type high-place working apparatus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56652B1 (en) * | 2017-12-14 | 2018-05-11 | 장진만 | High place works vehicles having twist prevention structure of power cable |
KR20240079807A (en) | 2022-11-29 | 2024-06-05 | 권병환 | High-rise working vehicle for agricultural work using used battery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41372B1 (en) | 2017-05-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7986206B (en) | Hybrid arm type aerial working vehicle with multiple degrees of freedom motion | |
CA2476573A1 (en) | Mast construction for a lift truck | |
AU594314B2 (en) | A pedistal support for a drill boom unit | |
WO2016129262A1 (en) | Crawler crane car body weight supporting device | |
KR102619055B1 (en) | Loader lift assembly work apparatus | |
KR101741372B1 (en) | Boom swing structure of high place works vehicles | |
SE421202B (en) | MOBILE LIFT CRANE | |
CN101563976A (en) | Oscillating device for brush breaker | |
KR20130096559A (en) | High-place worktable for agriculture | |
JPS60501189A (en) | Telescopic boom device | |
CN101374755B (en) | A scissor jack | |
EP3097771B1 (en) | Forestry machine | |
ITMO20110048A1 (en) | SELF-PROPELLED OPERATING MACHINE WITH VARIABLE DRAWN AXLE | |
EP1454775B1 (en) | An arrangement for the suspension of wheels in a working machine | |
KR100485818B1 (en) | A vehicle inspecting a bridge | |
KR101776833B1 (en) | Platform rotating apparatus for high place operation car | |
CN107879295A (en) | A kind of luffing device and aerial work platform of Tape movement counterweight | |
CN109987163A (en) | A kind of creeper undercarriage and robot | |
KR101741374B1 (en) | Mounting structure of high place works vehicles | |
KR101856652B1 (en) | High place works vehicles having twist prevention structure of power cable | |
CN207774741U (en) | A kind of luffing device and aerial work platform with mobile counterweight | |
US4759685A (en) | Vehicle for aerial working | |
JP4190811B2 (en) | Aerial work platform | |
WO2001056915A1 (en) | Loader | |
KR200377476Y1 (en) | Out-Trigger for high place works ca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20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6120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2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42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5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05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4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4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51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61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51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51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