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60147850A - 액체 이산화탄소를 사용하는 열교환 장치를 가진 자냉식 음료용기 - Google Patents

액체 이산화탄소를 사용하는 열교환 장치를 가진 자냉식 음료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7850A
KR20160147850A KR1020167032216A KR20167032216A KR20160147850A KR 20160147850 A KR20160147850 A KR 20160147850A KR 1020167032216 A KR1020167032216 A KR 1020167032216A KR 20167032216 A KR20167032216 A KR 20167032216A KR 20160147850 A KR20160147850 A KR 201601478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carbon dioxide
beverage
food
contain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2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크 실린스
Original Assignee
조셉 컴퍼니 인터내셔널,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셉 컴퍼니 인터내셔널, 인크. filed Critical 조셉 컴퍼니 인터내셔널, 인크.
Publication of KR201601478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7850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2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 F16K17/14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with fracturing member
    • F16K17/16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with fracturing member with fracturing diaphragm ; Rupture disc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4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with a fracturing member, e.g. fracturing diaphragm, glass, fusible joint
    • F16K17/403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with a fracturing member, e.g. fracturing diaphragm, glass, fusible joint with a fracturing valve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1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cryogenic fluid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00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 F25D3/10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using liquefied gases, e.g. liquid air
    • F25D3/107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using liquefied gases, e.g. liquid air portable, i.e. adapted to be carried person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1/00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 F25D31/006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oling receptacles, e.g. tanks
    • F25D31/007Bottles or c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5/00Devices using endothermic chemical reactions, e.g. using frigorific mixtures
    • F25D5/02Devices using endothermic chemical reactions, e.g. using frigorific mixtures portable, i.e. adapted to be carried person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31/00Details or arrangements of 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31/80Type of cooled receptacles
    • F25D2331/805C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 Package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Abstract

음식 또는 음료와 접촉하도록 용기 내부에 고정된 열교환 장치를 가진 음식 또는 음료 용기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 장치는 액체 이산화탄소로 채워지며, 활성화되면 액체 이산화탄소가 제한 오리피스를 통해 바로 액상에서 기상으로 변할 수 있게하는 밸브를 가지고, 이는 열교환 장치로부터 액체 이산화탄소가 완전히 사용될 때까지 열교환 장치 내의 잔여 이산화탄소를 액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액체 이산화탄소를 사용하는 열교환 장치를 가진 자냉식 음료용기{SELF-COOLING BEVERAGE CONTAINER HAVING A HEAT EXCHANGE UNIT USING LIQUID CARBON DIOXIDE}
관련특허출원
본 출원은 2014년 4월 30일에 출원된 미국 가특허출원 제61/986,422호, 및 2014년 6월 19일에 출원된 미국 가특허출원 제62/014,556호를 우선권 주장한 출원이며, 본 출원인은 그에 따른 첫 출원일자의 이익을 주장한다.
기술분야
본 발명은 대체로 음식 또는 음료와 접촉하며, 작동시키면 음식 또는 음료의 온도를 바꿀 수 있는 외부 표면을 가진 액체 이산화탄소를 사용하는 열교환 장치를 포함한, 음식 또는 음료를 담는 용기와 관련된다.
음식 또는 음료의 온도를 요구만 있으면 언제든지(on demand) 바꾸는 목적의 음식 또는 음료 용기와 같은 용기 안에 수용될 수 있는, 간단하고, 효과적이며 안전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오랫동안 바람직하였다.
많은 경우에, 예를 들어 캠핑, 해변, 뱃놀이, 낚시 또는 그와 같이 얼음 또는 냉장하는 곳을 쉽게 구할 수 없는 곳에 있을 때, 마시기 전에 냉각될 수 있는 음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과거에는 음료를 원하는 대로 마시기 위해서는 아이스박스 또는 그와 같이 얼음을 담은 것 및 음료를 위한 용기를 챙겨가야만 했다. 그러한 아이스박스 이용은 번거롭고, 많은 공간을 차지하며 굉장히 한정된 시간 동안만 유지되고 그 후에는 다시 얼음을 넣어야한다. 그리고 사용 중에도 얼음이 녹으며 생긴 물을 이따금 빼줘야한다.
앞서 말한 것의 결과로, 음식 또는 음료를 수용하고, 또한 작동시키면 그 안에 담긴 음식 또는 음료를 냉각시킬 열교환 장치도 그 안에 수용하는 용기를 제공하려는 수차례의 시도가 있었다. 그러한 선행기술의 장치의 열교환 장치는 냉각제(refrigerant material)를 대게 압력하에 수용했고 냉각제가 방출되었을 때 주위의 음식 또는 음료로부터 열을 흡수함으로써 이를 섭취하기 전에 냉각시켰다. 선행기술의 열교환 장치(heat exchange unit: HEU)에 사용된 냉각제는 수소화불화탄소, 암모니아, 액체질소, 이산화탄소, 및 액체 이산화탄소와 같은 압력하의 가스를 포함하였다. 압력하에서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압축된(compacted) 탄소 입자를 사용하는 시스템도 개발되었었다. 밸브를 여는 것으로 HEU가 대기에 노출될 때, 이산화탄소 가스가 탈착하고 용기 안의 음식 또는 음료를 냉각한다. 이러한 시스템의 예는 미국특허 7,185,511, 6,125,649 및 5,692,381에 기재되어 있다. 기체 또는 액체 형태의 이산화탄소를 포함하는 선행기술 특허의 예는 미국특허 3373581; 4688395; 및 4669273에 기재되어 있다. 선행기술에 기술된 바와 같은 그러한 열교환 장치를 사용하는 용기는 제조사에게 복잡하고 어려우며, 그렇기 때문에 큰 비용이 들게 하여, 그러한 선행기술의 자냉식 음료 용기를 상업적인 매력이 없게 한다. 그리고 또한, 액체 이산화탄소가 사용된 것에서는, 액체 이산화탄소 방출은 액체 이산화탄소에서 고체 상태로의 전환을 야기하고, 이는 음식 및 음료의 제한된 온도 강하만 제공한다. 앞서 말한 것의 결과로, 음식 또는 음료를 위한 간단하고, 조립하기 쉬우며 효율적인 자냉식 시스템이 필요하게 되었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음식 또는 음료를 담는 조립체(assembly)는 음식 또는 음료를 받아들이고 그리고 뚜껑 및 바닥을 가지고, 바닥은 그를 통해 구멍(opening)을 나타내는, 바깥 용기(outer container); 및 액체 이산화탄소(CO2)로 채워지고 그리고 상기 구멍에서 상기 바깥 용기에 고정되도록 조정된 금속으로 된 내부 용기(inner container)를 포함한 열교환 장치(heat exchange unit(HEU))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HEU에 고정된, 활성화시켰을 때 불균형(dis-equilibrium)을 생성해 액체 CO2가 액상에서 기상으로 직접 변하게 하도록 하되 그와 동시에 HEU 내의 CO2를 액상으로 유지시키는 제한 오리피스를 제공하기 위한 밸브 수단을 더 포함한다.
도 1은 CO2가 고체, 액체, 기체 및 초임계 유체일 때의 압력 및 온도를 보여주는 이산화탄소의 상평형도이다;
도 2는 닫힌 상태에서 제한 오리피스(restricted orifice)를 제공하는 밸브의 하나의 구체예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3a는 도 2의 밸브가 열린 상태일 때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밸브의 확대된 부분도이다;
도 4는 제한 오리피스를 제공하는 밸브 시스템의 다른 구체예를 도시한다;
도 5는 밸브 시스템의 다른 구체예를 도시한다;
도 6은 밸브 시스템의 또 다른 구체예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원리대로 만들어진 자냉식 음료 용기의 하나의 구체예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일부의 원형 8-8안에 도시된 부분을 더 상세하게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구조에 사용된 부가장치 어댑터의 투시도이다; 그리고
도 10은 본 발명의 몰딩된(molded) 플라스틱 밸브 요소를 도시하는 투시도이다.
도 1에 대하여 더 자세히 설명하면, 이산화탄소의 상평형도를 제시한다. 도 1에 제시된 대로, 이산화탄소는 고체상, 액체상 또는 증기 또는 기체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원리에 부합되게, 이산화탄소가 액체상으로 유지되고, 열교환 장치가 용기 안의 음식 또는 음료의 온도를 낮추기 위해 사용되고 있을 때 드라이아이스가 형성되는 고체상이 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것이 대단히 중요하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평형도의 삼중점은 세 가지 물질의 상태(기상, 액상 및 고상)가 공존하는 지점에 있다. 임계점은 상평형도에서 물질이, 이 경우엔 이산화탄소가, 액상 및 기상 사이에서 구분이 되지 않는 지점이다. 기화(또는 응결) 곡선은 상기 상평형도에서 곡선(10)이고, 이는 액상 및 증기 또는 기상 사이의 전이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평형도는 압력, 일반적으로 기압 대 온도로, 이 경우엔 섭씨로, 도시된다. 선은 두 상(相)이 평형 상태에 있을 수 있는 압력 및 온도를 겸비한 것(combination)을 나타낸다. 다르게 말하자면, 이 선들은 상변화점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서, 상기 열교환 장치는 이산화탄소가 액상으로 존재하는 온도 및 압력의 이산화탄소로 채워진다. 상기 열교환 장치는 상기 열교환 장치를 둘러싼 용기 안의 음식 또는 음료를 냉각시키고자 할 때까지 상기 열교환 장치 안에서 액상이 평형상태로 유지되도록 밀폐된다. 그때가 되면, 불균형(dis-equilibrium)이 생겨 액체 이산화탄소가 증기 또는 기체가 되는 것이 허용되지만 그와 동시에 열교환 장치 내에 남은 이산화탄소가 전부 액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열교환 장치 내의 압력이 유지되는 것이 중요하다. 하기에 더 상세히 기술되지만, 이는 액체 이산화탄소가 액상에서 기상으로 변하도록 통로(path)을 제공하고, 모든 액체 이산화탄소가 액상에서 기상으로 변하고 제한 오리피스를 거쳐 대기로 배기되고, 그렇게 함으로써 열교환 장치 내의 액체 이산화탄소가 완전히 대기로 배기될 때까지 열교환 장치 내의 잔여 이산화탄소가 액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열교환 장치 내의 압력이 유지되도록 압력 강하가 있는 제한 오리피스를 거쳐 대기로 배기시키는 것으로 이룰 수 있다.
도 2에 대하여 더 자세히 말하자면, HEU(열교환 장치) 내의 CO2를 액상으로 유지하고 그와 동시에 액체 CO2가 액상에서 기상으로 변하고 HEU로부터 배기될 수 있도록 불균형을 생성하는데에 필요한 제한 오리피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 열교환 장치(11)에 고정된 밸브 메커니즘의 하나의 구체예를 가진 열교환 장치(11)의 도식적인 형태를 제시한다. 상기 밸브는 압력하의 액체 CO2가 HEU(11)을 평형 상태까지 채우기 위해 주입될 수 있는 구멍(15)을 정의(define)한다. 도 2에 도시된대로, 상기 밸브 메커니즘은 제1 단부(12) 및 제2 단부(14)를 갖는다. 상기 제1 단부(12)는 16에 도시된 대로 폭이 좁아지며 끝나고 밸브 시이트(seat)(20)에 완전히 안착되면(seated) HEU의 내부를 밀폐하여 액체 CO2가 새는 것을 방지하고, 따라서 액상으로 유지되게하는 표면(18)을 가졌다. 이는 상기 밸브 메커니즘의 제2 단부(14)에 고정된 활성화 휠(wheel)(24)을 돌리면 표면(18)이 아래쪽으로 움직여 밸브 시이트(20)와 밀폐되도록 맞물리지만, 활성화 휠(24)을 반대방향으로 돌리면 표면(18)이 밸브 시이트(20)와 멀어져 액체 CO2가 액상에서 기상으로 변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하게 하는 나삿니(22)를 제공하는 것으로 이룰 수 있다.
기체의 이산화탄소가 HEU로부터 대기로 빠져나오도록 하는 상기 제한 오리피스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밸브 메커니즘을 여는 것은 도 3a에 도시되며, 이를 이로써 참조한다. 보이는 바와 같이, 여기서 폭이 좁아지는 부분(16)은 활성화 휠(24)를 돌림으로써 위로, 밸브 시이트(20)로부터 멀어지게 이동하였고, 그럼으로써 기체의 이산화탄소가 화살표(28)가 가리키는 것과 같이 이동할 수 있는 통로(26)를 제공한다. 제한 오리피스(20)는 표면(32) 및 밸브(36)의 에지(34) 사이에 제공되었다. 기체의 이산화탄소는 화살표(38)가 가리키는 대로 제한 오리피스(30)를 지나, 화살표(40)가 가리키는 대로 밸브(36)의 중심부를 지나고 그리고 활성화 휠(24)에 인접하게 제공된 틈(42)을 통해서 바깥으로 이동하여, 따라서 기상의 이산화탄소가 화살표(44)가 가리키는 대로 대기로 나오게 한다. 본 발명이 해당하는 분야의 기술자는 상기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제한 오리피스(30)를 제공함으로써, 압력 강하가 생성되며, 이는 HEU 안에 남은 이산화탄소가 액상으로 유지될 정도로 HEU의 본체(body)에 반영된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참조로, 더 구체적으로는 도 3b에, 도 2 및 3a에 도시된 밸브가 확대된 부분 단면도로 도시되었고 그리고 제한 오리피스(30)가 더 잘 보인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를 위로, 이 경우 나삿니 하나만큼, 12 마이크론 간격으로 움직여 생성된 제한된 오리피스(30)는 밸브 에지(34) 및 표면(32) 사이에 제공된다. 제한 오리피스(30)의 길이는 0.4 밀리미터이고, 그럼으로써 0.0377 큐빅 밀리미터의 환형(環形) 체적(volume)을 제공한다. 프로토타입으로 제작된 구조물에 사용된 199 큐빅 센티미터의 내부 부피 및 250 큐빅 센티미터의 변위(displacement)를 가진 HEU는 250 큐빅 센티미터만큼의 음료를 담은 바깥 용기 내에 배치했고, 100에서 120 그램 사이의 액체 이산화탄소로 채워진 HEU로 고형 CO2 형성 없이 액체 이산화탄소가 완전히 사용될 때까지 1에서 2분 사이에 20°C의 냉각을 제공했다. 다시 말해, 제한 오리피스(30) 전체의 압력 강하가 HEU 내의 CO2를 액상으로 유지시켰고 제한 오리피스(30)를 여는 것으로 생성된 불균형이, 제한 오리피스(30) 및 냉각 효과 생성의 결과로 온도 및 압력의 변화에도, 도 1에 도시된 곡선(10)을 따라 지나(pass along) 액체 CO2에서 기체로의 전이를 야기하게 하였다.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기술자라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밸브가 본 발명의 프로토타입을 구성하고 그에 사용되었지만 HEU 내의 이산화탄소가 액상으로 유지되도록 바람직한 제한 오리피스 및 필수 압력 강하를 만드는데에 다른 메커니즘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제한 오리피스를 생성하고 상기에 기술된 대로 HEU가 작동하게 하는 메커니즘의 하나의 예는 도 4에 도식적인 형태로 제시되었다. 그가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에 기술된 압력 강하를 만들기에 바람직한 크기의 오리피스(44)를 가진 멤버(42)가 있다. 플런저(46)는 오리피스(44) 위에 배치되어있고, 완전히 내려간 상태에서 멤버(42)에 장착되면 오리피스(44)가 닫히고 밀폐된다. 플런저(46)가 화살표(48)가 가리키는 대로 충분한 만큼 위로 이동하였을 때, 바람직한 만큼의 유로(50)가 생성되어, 제한 오리피스는 상기에 기술된 대로의 압력 강하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거리에 따라 정의된다.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기술자라면, 이산화탄소가 액상에서 기상으로 변할 수 있도록 유로를 제공하여 화살표(52)가 가리키는 대로 대기로 나올 수 있도록, 플런저(46)가 화살표(48)가 가리키는 대로 위 또는 아래로 움직여 오리피스(44)를 밀폐 및 개봉할 수 있게 하는 나삿니, 래칫(ratchet) 또는 그와 같은 많은 메커니즘을 알아볼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이 또한 제한 오리피스를 제공하는 다른 메커니즘을 도시하고, 이는 그 안에 충분한 길이의 오리피스(56)를 가진 물질의 바디(body of material)(54)를 포함하고, 오리피스(56)의 지름과 함께 이산화탄소가 대기로의 배기를 위해 액상에서 기상으로 변할 때 유로(58)를 제공하는 것으로, 장치 작동 내내 이산화탄소를 액상으로 유지하기 위한 상기에 기술된 압력 강하를 제공한다. 적절한 플런저 또는 플러그(도시되지 않음)는 시스템이 평형상태로 유지될 때 오리피스(56)를 밀폐하는데 사용될 것이다.
바람직한 제한 오리피스를 제공하기 위한 다른 부가적인 구체예의 구조는 도 6에 도시되며, 이를 이로써 참조한다. 그에 보여진 바와 같이, 그 안에 핀 홀(62)을 가진 막(60)이 제공되었고, 이는 사용자가 용기 내의 음식 또는 음료를 냉각하고자 할 때 활성화시키는 적절한 플런저 또는 다른 메커니즘으로 해낼 수 있다. 오리피스(62)가 생성되었을 때, 상기에 기술된 바와 같이 이상화탄소가 액상에서 기상으로 변하여 대기로 배기될 수 있도록 유로(64)가 제공된다.
도 7에 대하여 더 자세히 설명하면, HEU가 내부에 고정된 음료캔의 하나의 구체예의 완전한 구조의 단면이 도시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HEU(72)의 윗부분(76)에 나삿니에 의해(threadably) 고정된 부가장치 어댑터(74)로 내부에 고정된 HEU(72)를 가진 음료캔(70)이다. 상기 부가장치 어댑터(74)는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삿니(78)에 의해 HEU의 윗부분(76)에 고정된다. 밸브(80)는 부가장치 어댑터(74)의 위에 나삿니로 들어가고, 밸브 위에는 활성화 휠(82)이 고정된다. 상기 활성화 휠(82)은 밸브(80)를 움직여 밸브를 밀폐하거나 또는 개방하여, 상기에 기술된 바와 같이, HEU(72) 내의 액체 이산화탄소가 액상에서 기상으로 변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사용된다. 안전 파열판 조립체(84) 또한 나삿니(86)로 부가장치 어댑터(74)에 나삿니에 의해 고정된다. 방출 밸브 및 상기 안전 파열판 조립체를 가진 상기 부가장치 어댑터는 부가장치 어댑터(74)에 있는 플랜지(92)의 표면(90)(도 9)및 음료캔(70)의 표면(94)으로 형성된 인터페이스(88)에서 음료캔(70)에 고정된다. 잠금(securing) 메커니즘은 접착제(adhesive) 또는 파스너(fastener)일 수 있다.
도 8에 대하여 더 자세히 설명하면, 도 7에 도시된 구조를 더 상세하게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80)는 밸브(80)의 밑부분 사이에 씰(seal)을 생성하고 부가장치 어댑터(74)에 의해 정의된 밸브 시이트(98)에 씰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의 인서트(96)를 포함한다. 활성화 휠(82)을 반시계방향으로 돌렸을 때, 상기 인서트(86)가, 상기에 설명된 액체 이산화탄소가 액상에서 기상으로 변한 후 부가장치 어댑터(74)에 있는 구멍(opening)(100)을 통해 지나가, 밸브(80)의 벽면에 제공된, 그중 하나는 102로 표기된, 구멍들을 지나, 밸브의 위에 부분에 있는 틈(104)을 통해 지나 대기로 나갈 수 있게 하는 제한 오리피스를 제공하는데 충분한 만큼, 밸브 시이트(98)으로부터 이동된다. 파열판 조립체(85)는 도관(106)을 통해 HEU내의 압력에 지속적으로 노출된 판(85)을 포함하고, 이는 압력이 파열판 조립체 내의 경로(108)에 진입하여 파열판 자체와 접촉할 수 있도록 하여, 만약 압력이 바람직하지 않은 정도로 상승하면 파열판이 파열해 원치 않는 압력을 방출할 것이다. 110으로 표시된 플러그는 액체 CO2가 새는 것을 방지하고 그의 압력이 파열판에 맞닿도록(engage) 보장하기 위하여 도관(106) 끝에 용접되어있다. 몰딩된 플라스틱 뚜껑(95)은 완성된 조립체가 판매 또는 그와 같은 것을 위하여 진열되었을 때 안정적이도록 용기(70)의 바닥에 끼워진다(fitted over).
도 9에 대하여 설명하면, 부가장치 어댑터(74)의 투시도가 도시된다. 그에 표시된 바와 같이, 어댑터(74)는 음료캔(70)에 부가장치 어댑터(74)의 고정을 제공하기 위해 음료캔의 아랫면(94)과 맞닿는 윗면(90)을 가진 플랜지(92)를 포함한다. 부가장치 어댑터(74)의 하부 연장부(112)는 도 9에 도시된 대로 나삿니가 있어, 상기에 기술된 대로 부가장치 어댑터가 HEU(72)의 윗 표면(76)에 나삿니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부가장치 어댑터(74)는 제1 구멍(opening)(114)을 나타내고, 이 역시 나삿니가 있는 내부표면을 포함하며 거기에 방출 밸브(80)가 나삿니에 맞춰 끼워진다(threaded). 제2 구멍(116) 역시 부가장치 어댑터(74)의 몸체에 제공되며, 구멍(116)의 내부에 제공된 나삿니를 통해 안전 파열판 조립체(84)를 받아들인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출 밸브 및 안전 파열판의 조립체는 부가장치 어댑터를 열교환 장치(72)의 상단에 고정하기 전에 구축할 수 있다. 이는 장치를 쉽게 상기에 도시된 대로 구축할 수 있게 한다.
도 10에 대하여 설명하면, 밸브(80)의 PTFE 형태(version)가 투시도로 도시된 것이다. 도 10에 도시된 구조는 가급적이면 PTFE 플라스틱 물질로 본뜨고, 보여진 바와 같이 축소된 지름 부분(118)은 추가 PTFE 인서트(96)을 받아들이기 위하여 제공되고, 밸브(80)의 하단(120)에 제공된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삿니(122)는 밸브를 부가장치 어댑터(74)와 맞물리게 하는데에 사용되는 반면, 나삿니(124)는 활성화 휠(82)이 밸브(80) 위에 고정할 수 있도록 사용된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기술자에게는 널리 알려진 방법으로 고정되고, 제한 오리피스를 통해서 액상에서 기상으로 변할 수 있으며, HEU 내에 남아있는 이산화탄소가 완전히 사용될 때까지 액상으로 유지되도록 압력 강화를 제공함으로써 바깥 용기 내에 담긴 음식 또는 음료의 내용물을 냉각시키도록 액상의 이산화탄소로 채워진 내부 용기를 포함한 열교환 장치를 가진 바깥 용기를 가진 자냉식 음식 또는 음료 용기의 구조를 개시한다.

Claims (12)

  1. 액체 이산화탄소를 사용하는 열교환 장치를 가진 자냉식 음식 또는 음료 용기로서,
    음식 또는 음료를 받아들이기 위한 바깥 용기;
    상기 바깥 용기에 고정되며 상기 바깥 용기 안까지 이어져 바깥 표면이 상기 바깥 용기 내에 받은 음식 또는 음료와 접촉하는 내부 용기를 포함한 열교환 장치;
    액체 이산화탄소가 상기 내부 용기에 주입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내부 용기 내의 액체 이산화탄소가 계속 평형 상태의 액상일 수 있는 압력 및 온도에 유지되게 하는 제1 위치를 가진, 상기 내부 용기에 고정된 밸브;그리고
    상기 밸브를 상기 제1 위치 및 상기 제2 위치로 이동시키는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밸브가 상기 액체 이산화탄소에서 기상으로 변하도록 야기하는 불균형을 생성하고, 제한 오리피스를 통해 대기로 배기되고 그럼으로써 음식 또는 음료를 냉각시키면서 상기 내부 용기의 잔여 이산화탄소는 모두 액상으로 유지하는 상기 제한 오리피스를 정의하는 제2 위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냉식 음식 또는 음료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용기에 고정되어 상기 액체 이산화탄소와 끊임없이 소통하고(in constant communication), 상기 액체 이산화탄소의 압력이 설정값을 초과하면 파열하도록 만들어진 파열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냉식 음식 또는 음료 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용기에 고정되고, 상기 밸브 및 상기 파열판을 가진 부가장치 어댑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냉식 음식 또는 음료 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가 상기 제1 위치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부가장치 어댑터의 제1 표면에 안착하고(seat against), 상기 부가장치 어댑터의 제2 표면과 협력하여 제한 오리피스를 제공하는 몰딩된(molded) 플라스틱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냉식 음식 또는 음료 용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바깥 용기가 구멍을 나타내는 바닥면을 가지고, 상기 부가장치 어댑터가 상기 구멍에 인접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냉식 음식 또는 음료 용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장치 어댑터가 윗 표면을 가진 바깥쪽으로 뻗는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윗 표면이 상기 바깥 용기의 상기 구멍 주위의 바닥면에 안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냉식 음식 또는 음료 용기.
  7. 제1항에 있어서, 밸브 시이트를 제공하고 상기 내부 용기에 고정된, 제1 구멍을 정의하는 부가장치 어댑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밸브는 제1 및 제2 단부 및 나삿니를 가진 몰딩된 플라스틱 부재이며, 상기 제1 단부는 폭이 좁아진 부분에서 끝나고, 상기 밸브는 상기 부가장치 어댑터의 상기 제1 구멍 내에 나삿니에 의해 받아들여지고, 상기 밸브의 상기 폭이 좁아진 부분이 상기 밸브 시이트에 완전히 안착하였을 때 상기 밸브의 상기 제1 위치를 제공하고, 상기 밸브를 그에 있는 나삿니에 회전시키기 위한 상기 밸브의 제2 단부에 부착된 활성화 휠과, 상기 폭이 좁아진 부분을 상기 밸브 시이트로부터 떨어지게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활성화 휠을 돌렸을 때 상기 제한 오리피스를 형성하는 밸브 시이트를 가진 상기 폭이 좁아진 부분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냉식 음식 또는 음료 용기.
  8. 제7항에 있어서, 몰딩된 플라스틱 인서트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밸브의 상기 폭이 좁아진 부분이 축소된 지름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플라스틱 인서트 부재가 상기 축소된 지름 부분 내에 받아들여지고 상기 밸브가 상기 제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밸브 시이트에 씰을 제공하기 위하여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냉식 음식 또는 음료 용기.
  9. 제8항에 있어서, 파열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부가장치 어댑터가 그에 있는 제2 구멍을 나타내며, 상기 파열판이 상기 제2 구멍 내에 받아들여지고, 상기 파열판이 상기 액체 이산화탄소와 끊임없이 소통하고 상기 액체 이산화탄소의 압력이 설정값을 초과하면 파열하도록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냉식 음식 또는 음료 용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용기는 그 안의 나삿니가 있는 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부가장치 어댑터는 그에 나삿니가 있는 연장부를 가지고, 이는 상기 밸브 및 상기 파열판을 상기 내부 용기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나삿니가 있는 구멍에 나삿니에 의해 받아들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냉식 음식 또는 음료 용기.
  11. 제1항에 있어서, 내부에서 하나의 구멍을 정의하는 부가장치 어댑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밸브가 상기 구멍 내에 받아들여지고, 상기 밸브가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한 오리피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구멍의 적어도 일부분과 협력하는 표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냉식 음식 또는 음료 용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 오리피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밸브 표면 및 상기 구멍의 상기 부분 사이의 거리(오리피스 간격)가 12 마이크론이며 오리피스 길이는 0.4 m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냉식 음식 또는 음료 용기.


KR1020167032216A 2014-04-30 2015-04-29 액체 이산화탄소를 사용하는 열교환 장치를 가진 자냉식 음료용기 Ceased KR2016014785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461986422P 2014-04-30 2014-04-30
US61/986,422 2014-04-30
US201462014556P 2014-06-19 2014-06-19
US62/014,556 2014-06-19
PCT/US2015/028318 WO2015168304A1 (en) 2014-04-30 2015-04-29 Self-cooling beverage container having a heat exchange unit using liquid carbon dioxid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7850A true KR20160147850A (ko) 2016-12-23

Family

ID=54359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2216A Ceased KR20160147850A (ko) 2014-04-30 2015-04-29 액체 이산화탄소를 사용하는 열교환 장치를 가진 자냉식 음료용기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20170184344A1 (ko)
EP (1) EP3137827A4 (ko)
JP (1) JP2017516052A (ko)
KR (1) KR20160147850A (ko)
CN (1) CN106461319A (ko)
AU (1) AU2015253152A1 (ko)
BR (1) BR112016025329A2 (ko)
CA (1) CA2946314A1 (ko)
IL (1) IL248610A0 (ko)
MX (1) MX2016013864A (ko)
PE (1) PE20170216A1 (ko)
RU (1) RU2016147052A (ko)
SG (1) SG11201608975PA (ko)
WO (1) WO201516830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54025A1 (en) 2015-03-20 2016-09-29 Joseph Company International, Inc. Self-cooling food or beverage container having a heat exchange unit using liquid carbon dioxide and having a dual function valve
JP7055755B2 (ja) * 2016-06-13 2022-04-18 ジョセフ カンパニー インターナショナル,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液体二酸化炭素及びひねりトップ作動システムを用いる熱交換ユニットを有する自己冷却飲料容器
WO2018162939A1 (en) 2017-03-10 2018-09-13 Can Launch Limited Pressure regulator valve
KR102233466B1 (ko) * 2018-10-02 2021-03-31 세메스 주식회사 기판 처리 장치 및 이에 적용되는 안전 밸브
WO2020142817A1 (pt) * 2019-01-07 2020-07-16 Jacome Brandao Fernando Método e aparato de resfriamento à base de gelo seco
EP3935006A1 (en) * 2019-03-05 2022-01-12 Joseph Company International, Inc. Pressurized beverage container system
US20200360875A1 (en) 2019-05-14 2020-11-19 Sodastream Industries Ltd. Carbonation machine and a gas canister for a carbonation machin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14925A (en) * 1991-09-30 1993-06-01 Union Carbide Chemicals & Plastics Technology Corporation Use of liquified compressed gases as a refrigerant to suppress cavitation and compressibility when pumping liquified compressed gases
US5943875A (en) * 1997-12-08 1999-08-31 Envirochill International, Ltd. Self-cooling fluid container with nested refrigerant and fluid chambers
KR100403428B1 (ko) * 2001-02-28 2003-10-30 (주)아이스텍 냉각기능을 갖는 음료용기
US7332238B2 (en) * 2002-09-06 2008-02-19 The Gillette Company Electrochemical cells and systems
JP2006153042A (ja) * 2004-11-25 2006-06-15 Surpass Kogyo Kk 流量調節弁
NL2001047C2 (nl) * 2007-12-04 2009-06-08 Heineken Supply Chain Bv Werkwijze voor het koelen van vloeistof en een vloeistofcontainer voor koelen en afgeven van vloeistof zoals drank.
WO2012095187A1 (en) * 2011-01-14 2012-07-19 Do-Tech Gmbh Self-cooling beverage container
EP2776331A4 (en) * 2011-11-07 2015-06-17 Sodastream Ind Ltd MACHINE INDEPENDENT METAL SAFETY BOTTLE
WO2016154025A1 (en) * 2015-03-20 2016-09-29 Joseph Company International, Inc. Self-cooling food or beverage container having a heat exchange unit using liquid carbon dioxide and having a dual function val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946314A1 (en) 2015-11-05
EP3137827A1 (en) 2017-03-08
US20170184344A1 (en) 2017-06-29
RU2016147052A (ru) 2018-05-30
CN106461319A (zh) 2017-02-22
IL248610A0 (en) 2016-12-29
BR112016025329A2 (pt) 2017-08-15
PE20170216A1 (es) 2017-03-26
SG11201608975PA (en) 2016-11-29
WO2015168304A1 (en) 2015-11-05
AU2015253152A1 (en) 2016-11-17
MX2016013864A (es) 2017-02-02
EP3137827A4 (en) 2017-10-11
JP2017516052A (ja) 2017-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47850A (ko) 액체 이산화탄소를 사용하는 열교환 장치를 가진 자냉식 음료용기
US7069739B2 (en) Device for cooling or heating liquids in a bottle
US4669273A (en) Self-cooling beverage container
JP3176924B2 (ja) 自己冷却式流体容器
CN109564049B (zh) 具有使用液态二氧化碳的热交换单元和扭转顶部激活系统的自冷饮料容器
JP2000512372A (ja) 液体を冷却及び/又はガス化するための装置
CN107614989B (zh) 具有使用液态二氧化碳的热交换单元并具有双功能阀的自冷却食物或饮料容器
US11647864B2 (en) Thermal liquid container system with heat loss prevention lid
KR200491690Y1 (ko) 음료 냉각기
US20230142666A1 (en) Thermal Liquid Container System With Heat Loss Prevention LID
US20210156611A1 (en) Apparatus for cooling liquid stored therein
US20230039707A1 (en) Self-heating or self-cooling system and method
BR112017020079B1 (pt) Recipiente de alimento ou bebida auto-refrigerante que tem uma unidade de troca de calor que usa dióxido de carbono líquido e tem uma válvula de função dupla
JP2016017724A (ja) 飲料水保冷体及び飲料水保冷方法
HK40006727A (en) Self-cooling beverage container having a heat exchange unit using liquid carbon dioxide and a twist top activation system
BR102015021415A2 (pt) Lata para bebidas com câmara embutida de auto- resfriamento.
MXPA00005673A (en) Self-cooling fluid container with nested refrigerant and fluid chambers
TH32268A (th) อุปกรณ์สำหรับหล่อเย็นของเหลวและ/หรือทำให้ของเหลวกลายเป็นไ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118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021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1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1112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1011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