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60146165A - 중공문짝의 조립방법 및 이에 따라 조립되는 중공문짝 - Google Patents

중공문짝의 조립방법 및 이에 따라 조립되는 중공문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6165A
KR20160146165A KR1020150082910A KR20150082910A KR20160146165A KR 20160146165 A KR20160146165 A KR 20160146165A KR 1020150082910 A KR1020150082910 A KR 1020150082910A KR 20150082910 A KR20150082910 A KR 20150082910A KR 20160146165 A KR20160146165 A KR 201601461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plate
fixture
vertical
bar
cross ba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2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대성
Original Assignee
이대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대성 filed Critical 이대성
Priority to KR10201500829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46165A/ko
Publication of KR201601461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6165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72Door leaves consisting of frame and panels, e.g. of raised panel type
    • E06B3/725Door leaves consisting of frame and panels, e.g. of raised panel type with separate hollow frames, e.g. foam-filled
    • E06B3/726Door leaves consisting of frame and panels, e.g. of raised panel type with separate hollow frames, e.g. foam-filled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6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공문짝의 조립방법 및 이에 따라 조립되는 중공문짝에 관한 것으로, 이 조립방법은 한 쌍의 가로대(3) 및 세로대(5), 유리판(7), 및 한 쌍의 가로대 및 세로대 고정물(8,9)을 준비하는 준비단계(S10); 상기 가로대(3)의 상기 끼움홈(15)에 상기 가로대 고정물(8)을 삽입하고, 상기 세로대(5)의 상기 끼움홈(15)에 상기 세로대 고정물(9)을 삽입하여 부착하는 고정물 부착단계(S20); 상기 한 쌍의 가로대(3) 중 어느 하나의 좌우측단에 상기 세로대 고정물(9)이 부착된 상기 한 쌍의 세로대(5)를 각각 결합하여, 위 또는 아래로 열린 직사각형 형태의 중간문짝(1)을 형성하는 선조립단계(S30); 상기 중간문짝(1)의 상단 또는 하단 개방단(23)을 통해 상기 유리판(7)을 끼워넣어, 상기 유리창 공간(S)에 상기 유리판(7)을 조립하는 유리판 조립단계(S40); 및 상기 개방단(23)에, 상기 한 쌍의 가로대(3) 중 다른 하나를 결합하는 마감단계(S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따라서 선조립된 중간문짝에 유리판을 끼우고 나서 마지막으로 중간문짝의 하단의 개방단에 나머지 가로대를 끼워 문짝의 조립을 완성하고 있으므로, 지지홈의 오목한 구조에 의해서 유리판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도, 유리판을 보다 편리하게 조립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중공문짝의 조립방법 및 이에 따라 조립되는 중공문짝{Hollow Door Assembling Method And Hollow Door Assembled Thereby}
본 발명은 중공문짝의 조립방법 및 이에 따라 조립되는 중공문짝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금속 판재로 이루어진 속이 빈 가로대 및 세로대를 연결하고, 연결된 가로대와 세로대에 의해 형성되는 유리창 공간에 유리판을 끼워넣어 유리창이 있는 중공문짝을 조립하는 방법 및 이 방법에 따라 조립되는 중공문짝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수요가 증대되고 있는 중공문짝은 금속 박판재를 통상 직사각형 기둥 모양으로 이어 붙인 또는 압출에 의해 뽑아낸 중공블럭을 가로대와 세로대로 조립하여 제작되는 바, 가로대를 상하로 배치하고 세로대를 좌우로 배치할 때 중간에 발생하는 사각 공간에 유리판 등 투명 또는 반투명한 판재를 끼움으로써 일종의 창을 만드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에 따라 종래의 중공문짝은 도 1에 101로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대(120)와 세로대(130)를 조립하는 과정에서 가로대(120)와 세로대(130) 중앙의 유리창 공간에 유리판(140)을 끼우고, 쫄대와 같은 고정물(105)을 유리판(140) 모서리 좌우에 부착하여 유리판(105)을 지지하도록 되어 있는 바, 이를 위해 가로대(120) 또는 세로대(130)의 내측 모서리면에는 가로대(120) 또는 세로대(130)의 외판(111)과 이들 외판(111)을 잇는 내력판(113)에 의해 형성된 끼움홈(103)에 받이대(151)를 끼워넣음으로써, 유리판(140)에 대한 가로대(120) 또는 세로대(130)의 지지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한편, 가로대(120) 또는 세로대(130)에 고정물(105)의 부착이나 고정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었다.
이와 같이,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도면 상 유리판(140)의 좌우에 밀착되는 2 개의 고정물(105)에 의해 유리판(140)을 고정, 지지하기 위해서는 먼저, 움홈(103)에 끼워져 있는 받이대(151) 위에 정렬하여 올린 한 쪽 고정물(105)을 체결핀(115) 등과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박아 고정한다. 그 다음, 고정된 한 쪽 고정물(105)이 밑으로 가도록 문짝을 누이고 이 한 쪽 고정물(105) 위에 유리판(140)을 얹는다. 그리고 나서, 한 쪽 고정물(105)과 대응하도록 반대쪽에서 유리판(140) 위에 다른 쪽 고정물(105)을 올린 뒤 다른 쪽 고정물(105)을 받이대(151)에 마찬가지로 체결핀(115) 등에 의해 박아 고정하면, 유리판(140)을 끼우기 위한 일련의 조립 작업이 완료된다.
그런데, 위와 같이 받이대(151) 위에 고정물(105)을 올려놓고 체결핀(115)과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받이대(151)에 고정물(105)을 고정시키는 조립 작업은 고정물(105)과 받이대(151)가 공히 길고 가늘기 때문에, 매우 까다롭고 번거로운 작업이 되며, 따라서 작업공수나 시간이 증대되어 작업 효율성을 크게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길고 가느다란 고정물(105)을 길고 가느다란 받이대(151) 위에 올려놓고 체결핀(115)과 같은 체결수단을 박아 고정하는 과정에서 고정물(105)과 받이대(151) 사이에 오정렬이 발생하여 유리판(140) 더 나아가, 문짝(110) 전체의 조립 품질 저하를 가져오는 문제점도 있었다.
아울러, 받이대(151) 위에 고정물(105)을 부착하기 위해 사용되는 체결핀(115)의 핀두가 고정물(105) 외부로 노출되므로, 문짝(110) 앞뒷면 모두의 외관이 체결핀(115)으로 훼손되는 미관 상의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중공문짝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가로대와 세로대의 끼움홈에 끼워지는 가로대 및 세로대 고정물이 유리판을 지지하는 지지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유리판의 조립 작업은 물론, 더 나아가 문짝의 조립 작업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가로대 및 세로대 고정물의 유리판 지지구조를 개선함에 있어 조립을 준비하는 단계에서 가로대 및 세로대 고정물의 지지구조를 개선할 뿐 아니라, 문짝 조립 후 외부로 드러나는 가로대 및 세로대 고정물의 노출 부분을 더욱 미적으로 처리함으로써, 문짝의 구조적, 미적 성능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내측 모서리면에 끼움홈이 각각 형성된 한 쌍의 가로대 및 세로대, 상기 가로대 및 세로대에 의해 형성되는 중앙의 유리창 공간에 끼워지는 유리판, 및 상기 끼움홈에 삽입되어 상기 유리판의 모서리를 각각 지지하는 한 쌍의 가로대 및 세로대 고정물을 준비하는 준비단계; 상기 준비단계에서 준비된 상기 가로대의 상기 끼움홈에 상기 가로대 고정물을 삽입하고, 상기 세로대의 상기 끼움홈에 상기 세로대 고정물을 삽입하여 부착하는 고정물 부착단계; 상기 고정물 부착단계에서 상기 가로대 고정물이 부착된 상기 한 쌍의 가로대 중 어느 하나의 좌우측단에 상기 세로대 고정물이 부착된 상기 한 쌍의 세로대를 각각 결합하여, 위 또는 아래로 열린 직사각형 형태의 중간문짝을 형성하는 선조립단계; 상기 선조립단계에서 형성된 상기 중간문짝의 상단 또는 하단 개방단을 통해 상기 유리판을 끼워넣어, 상기 유리창 공간에 상기 유리판을 조립하는 유리판 조립단계; 및 상기 유리판 조립단계에서 상기 유리판이 조립된 상기 중간문짝의 상기 개방단에, 상기 가로대 고정물이 부착된 상기 한 쌍의 가로대 중 다른 하나를 결합하는 마감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중공문짝의 조립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준비단계는, 상기 끼움홈에 정합되도록 각형으로 된 봉체를 가공하여, 상기 가로대 고정물로 사용할 단봉체와 상기 세로대 고정물로 사용할 장봉체로 절단하되, 상기 단봉체와 상기 장봉체의 양단에 등각의 접촉면이 형성되도록 상기 봉체를 45도 각도로 비스듬히 절단하는 고정물 절단단계; 상기 가로대 및 세로대 고정물이 상기 끼움홈에 삽입된 때 노출되는 부분의 표면에 외피를 입히는 고정물 피복단계; 및 상기 고정물 피복단계에서 외피로 피복된 상기 가로대 및 세로대 고정물의 상기 유리창 공간을 향한 내측면에 상기 유리판을 끼워 지지하는 지지홈을 가공하는 고정물 가공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중간에 유리창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하로 쌍을 이루어 배치되고, 내측 모서리면에 끼움홈이 형성된 가로대; 상기 가로대와 함께 중간에 상기 유리창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가로대의 좌우에 쌍을 이루어 배치되고, 내측 모서리면에 끼움홈이 형성된 세로대; 상기 유리창 공간에 끼워지는 유리판; 상기 가로대의 상기 끼움홈에 삽입되어, 상기 유리판의 모서리를 지지하는 가로대 고정물; 및 상기 세로대의 상기 끼움홈에 삽입되어, 상기 유리판의 모서리를 지지하는 세로대 고정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각각의 상기 가로대 및 세로대 고정물은, 이웃한 상기 세로대 고정물 또는 상기 가로대 고정물과 각각 직교 상태로 접촉하는 접촉면이 45도 각도로 비스듬히 절단된 사각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상기 유리창 공간을 향한 내측면에 오목하게 가공되어, 상기 유리판을 끼워 지지하는 지지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중공문짝을 제공한다.
또한, 각각의 상기 가로대 및 세로대 고정물은 상기 끼움홈에 삽입된 때 노출되는 상기 몸체의 표면에 피복되는 외피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의 중공문짝의 조립방법 및 이에 따라 조립되는 중공문짝에 따르면, 준비단계에서 가로대와 세로대의 끼움홈에 끼워지는 가로대 및 세로대 고정물에 지지홈을 가공하여, 이 지지홈에 의해 유리판을 지지하므로, 유리판의 조립 작업을 보다 편리하게 할 수 있고, 유리판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하나의 가로대와 두 개의 세로대를 중간문짝 형태로 즉, 아래로 개방된 직사각형 형태로 선조립한 뒤, 중간문짝에 유리판을 끼우고 나서 마지막으로 중간문짝의 하단부분에 나머지 가로대를 끼움으로써 문짝의 조립을 완성하고 있으므로, 지지홈의 오목한 구조에도 불구하고 유리판을 보다 편리하고, 안정적으로 조립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가로대 및 세로대 고정물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조립 후 가로대 또는 세로대 끼움홈 밖으로 노출되는 고정물 몸체 부분을 다양한 무늬를 갖는 외피로 피복하고 있으므로, 가로대 및 세로대 고정물 더 나아가, 문짝의 외관을 더욱 미려하게 만들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중공문짝의 유리판 고정구조를 도시한 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공문짝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 부분 확대도.
도 4는 도 2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가로대 또는 세로대의 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공문짝 조립방법 중 준비단계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동 조립방법 중 고정물 부착단계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동 조립방법 중 선조립단계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동 조립방법 중 유리판 조립단계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동 조립방법 중 마감단계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공문짝을 첨부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중공문짝은 도 2에 도면부호 1로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가로대(3), 세로대(5), 유리판(7), 가로대 고정물(8), 및 세로대 고정물(9)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먼저 상기 가로대(3)는 문짝(1)의 상하부를 이루는 횡부재로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짝(1)의 상하로 쌍을 이루어 배치되며, 중간에 유리창 공간(S)을 형성한다. 이때, 가로대(3)는 외체를 이루는 직사각형 판체로 된 외판(11)과, 중공 상태인 가로대(3)의 내부에서 외판(11) 사이를 연결하는 내력판(13)으로 이루어지며, 가로대 고정물(8)을 내측 모서리면 안쪽으로 삽입할 수 있도록,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홈(15)이 단면 ㄷ자 형태로 오목하게 형성되며, 따라서 가로대(3)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H자 모양의 횡단면 형상을 갖는다.
상기 세로대(5)는 문짝(1)의 좌우측부를 이루는 종부재로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짝(1)의 좌우로 쌍을 이루어 배치되며, 가로대(3)와 함께 중간에 유리창 공간(S)을 형성한다. 또한, 가로대(3)와 마찬가지로 외판(11)과 내력판(13)으로 이루어지며,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끼움홈(15)이 단면 ㄷ자 형태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가로대(3)와 마찬가지로 H자 모양의 횡단면 형상을 갖는다.
상기 유리판(7)은 유리 등과 같은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의 사각 판재로서,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대(3)와 세로대(20)에 의해 형성되는 문짝(1) 중앙의 유리창 공간(S)에 가로대 및 세로대 고정물(8,9)을 통해 끼워진다.
상기 가로대 고정물(8)은 가로대(3)의 끼움홈(15)에 끼워져 유리판(7)을 지지하는 수단으로서,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대 고정물(8)과 함께 문짝(1) 중앙의 유리창 공간(S)에 유리판(7)을 끼울 수 있도록 유리판(7) 모서리를 지지하며, 예컨대, 도 5에 도시된 체결핀(21)과 같은 다양한 체결수단에 의해 끼움홈(15)에 부착된다.
이를 위해, 가로대 고정물(8)은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81)와 지지홈(83)으로 이루어지는 바, 상기 몸체(81)는 도 4 및 도 5에 확대 도시된 것처럼, 끼움홈(15)에 끼워맞춤되는 직사각형의 봉체로서, 끼움홈(15)에 정합되도록 직사각형의 단면 형상을 가진다. 또, 몸체(81)는 직교 상태로 접촉하는 이웃한 세로대 고정물(9)과 등각의 접촉면(85)을 이루도록, 양단이 45도 각도로 비스듬히 절단된다. 또한, 상기 지지홈(83)은 가로대 고정물(8)에 유리판(7)을 끼워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지지수단으로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유리창 공간(S)을 향한 몸체(81)의 내측면에 오목하게 가공되어, 유리판(7)의 모서리 부분을 끼우도록 되어 있다.
더욱이, 가로대 고정물(8)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대(3)의 끼움홈(15)에 삽입된 때, 유리창 공간(S)을 향해 돌출되도록 끼움홈(15)의 깊이보다 높이가 더 길게 되어 있으며, 끼움홈(15) 밖으로 노출된 몸체(81) 부분의 표면에 외피(87)가 피복된다. 이때, 외피(87)는 달리 도시하지 않았지만, 다양한 형태의 무늬를 가지므로, 가로대 고정물(8) 더 나아가, 문짝(1)의 외관을 더욱 미려하게 한다.
상기 세로대 고정물(9)은 세로대(5)의 끼움홈(15)에 끼워져 유리판(7)을 지지하는 수단으로서, 가로대 고정물(8)과 마찬가지로 문짝(1) 중앙의 유리창 공간(S)에 유리판(7)을 끼울 수 있도록 유리판(7) 모서리를 지지한다. 다만, 세로대 고정물(9)은 위에서 설명한 가로대 고정물(8)과 배치방향이 90도 다르고, 길이가 긴 것만을 제외하면, 가로대 고정물(8)과 동일하므로, 더 이상의 부가 설명은 생략한다.
이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중공문짝의 조립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중공문짝 조립방법은 도 6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준비단계(S10), 고정물 부착단계(S20), 선조립단계(S30), 유리판 조립단계(S40), 및 마감단계(S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먼저 상기 준비단계(S10)는 위와 같은 중공문짝(1)을 조립하는 데 필요한 부품들을 모두 준비하는 단계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모서리면에 끼움홈(15)이 형성된 가로대(3) 및 세로대(5)는 물론, 가로대(3)와 세로대(5) 중앙의 유리창 공간(S)에 유리판(7)을 거치하여 지지하기 위해 끼움홈(15)에 삽입되는 가로대 및 세로대 고정물(8,9)을 각각 준비한다. 이때, 가로대(3)와 세로대(5)는 알루미늄 등의 연성 금속을 압출하여 제작한 것을 채용할 수 있으며, 가로대 및 세로대 고정물(8,9)은 목재나 합성수지 등 가공이 용이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들 재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준비단계(S10)에서는 가로대 및 세로대 고정물(8,9)에 대한 사전 가공이 수행되는 바, 이 준비단계(S10)는 다시 고정물 절단단계(S11), 고정물 피복단계(S12), 및 고정물 가공단계(S13)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먼저 상기 고정물 절단단계(S11)는 가로대 및 세로대 고정물(8,9)로 제작될 기초부재를 가공하는 단계로서, 도 6의 좌측에 도시된 것처럼, 가로대(3) 및 세로대(5)의 끼움홈(15)에 정합되도록 각형으로 된 봉체를 가공한다. 그 다음, 각형 봉체를 절단하여 상대적으로 짧은 단봉체(8-1) 두 개와, 상대적으로 긴 장봉체(9-1) 두 개를 절단하는데, 당연히 단봉체(8-1)는 가로대 고정물(8), 장봉체(9-1)는 세로대 고정물(9)을 제작하는 데 사용된다. 이때, 봉체를 절단하는 절단각도를 봉체의 축선에 대해 45도로 비스듬히 유지함으로써, 단봉체(8-1)와 장봉체(9-1) 공히 양단에 등각의 접촉면(85)이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고정물 피복단계(S12)는 가로대 및 세로대 고정물(8,9)의 노출면에 외피(87)를 입히는 단계로서, 도 6의 중간에 도시된 것처럼, 위 고정물 절단단계(S11)에서 절단된 단봉체(8-1)와 장봉체(9-1) 표면에 외피(87)를 입힌다. 이때, 외피(87)는 가로대 및 세로대 고정물(8,9)이 가로대(3) 및 세로대(5)의 끼움홈(15)에 삽입된 때 외부로 노출되는 몸체(81) 부분의 표면을 덮는 바, 접착 등 다양한 방식으로 표면에 부착되며, 자체로 다양한 무늬를 가지고 있어 가로대 및 세로대 고정물(8,9)을 장식하므로, 조립 후 문짝(1)의 외관으로부터 느끼는 미감을 더욱 향상시킨다.
끝으로, 상기 고정물 가공단계(S13)는 가로대 및 세로대 고정물(8,9)에 지지홈(83)을 가공하는 단계로서, 도 6의 우측에 도시된 것처럼, 위 고정물 피복단계(S12)에서 외피(87)로 피복된 가로대 및 세로대 고정물(8,9)을 가로대(3) 또는 세로대(5)의 끼움홈(15)에 삽입하여, 부착하기 전에 가로대 및 세로대 고정물(8,9) 몸체(81)의 유리창 공간(S)을 향하여 외부로 노출된 내측면에 지지홈(83)을 가공하여, 유리판(7)을 끼워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고정물 부착단계(S20)는 가로대(3)에 가로대 고정물(8)을, 세로대(5)에 세로대 고정물(9)을 각각 삽입, 부착하는 단계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 준비단계(S10)에서 준비된 가로대(3) 및 세로대(5)의 끼움홈(15)에 가로대 고정물(8)과 세로대 고정물(9)을 각각 삽입하여,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가로대(3) 및 세로대(5)와 일체로 부착한다. 이때, 가로대 및 세로대 고정물(8,9)은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체결핀(21)과 같은 체결수단으로 끼움홈(15)에 부착되는 바, 체결핀(21)은 조립 후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가로대 및 세로대 고정물(8,9)의 지지홈(83) 바닥면을 통해 가로대(3)와 세로대(5)의 내력판(13)에 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선조립단계(S30)는 가로대(3)와 세로대(5)를 상하좌우 4방향으로 완전히 조립하기 전에 유리판(7)을 유리창 공간(S)에 끼울 수 있도록 가로대(3) 하나와 세로대(5) 둘을 우선하여 조립하는 단계로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 고정물 부착단계(S20)에서 가로대 고정물(8)이 부착된 상하 한 쌍의 가로대(3) 중 어느 한 쪽 가로대(3) 예컨대, 도시된 것처럼 상부 가로대(3)의 좌우측단에 마찬가지로 세로대 고정물(9)이 부착된 좌우 한 쌍의 세로대(5)를 각각 결합한다. 이때, 가로대(3)는 양측단이 세로대(5)의 끼움홈(15)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바, 다양한 결합 방식에 의해 고정이 가능하지만, 예컨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대(5)의 내력판(13)과 외판(11) 중단에 일렬로 관통된 통공(17)을 통해, 가로대(3) 내력판(13)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체결홈(19)에 스크류 등을 박아 넣음으로써 간단히 세로대(5)와 결합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부 가로대(3)와 좌우의 세로대(5)는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아래로 열린 직사각형 형태의 중간문짝(1-1)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유리판 조립단계(S40)는 중간 조립 상태인 중간문짝(1)에 유리판(7)을 결합하는 단계로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 선조립단계(S30)에서 형성된 예컨대, 아래로 개방된 직사각형 형태의 중간문짝(1) 하단의 개방단(23)을 통해 중간문짝(1)의 유리창 공간(S)에 유리판(7)을 끼워넣어 중간문짝(1)과 유리판(7)을 조립한다. 이때, 유리판(7)은 좌우측단 모서리가 세로대 고정물(9)의 지지홈(83)을 따라 끼워져 들어가 상단 모서리가 가로대 고정물(8)의 지지홈(83)에 끼워지면서 조립이 완료된다.
상기 마감단계(S50)는 문짝(1)의 조립을 최종적으로 마감하는 단계로서,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위 고정물 부착단계(S20)에서 가로대 고정물(8)이 부착된 한 쌍의 가로대(3) 중 나머지 다른 하나의 하부 가로대(3)를 위 유리판 조립단계(S40)에서 유리판(7)이 조립된 중간문짝(1) 하단의 개방단(23)에 결합한다. 이때, 하부 가로대(3)는 상부 가로대(3)와 마찬가지로 세로대(5)의 끼움홈(15)에 끼워진 뒤, 가로대 고정물(8)의 지지홈(83)이 유리판(7) 하단 모서리에 삽입된다. 또한, 하부 가로대(3)는 세로대(5)의 내력판(13)과 외판(11) 중단에 일렬로 관통된 통공(17)을 통해 가로대(3) 내력판(13)의 체결홈(19)에 체결되는 스크류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세로대(5) 하부에 결합됨으로써 최종적으로 문짝(1)의 조립을 완성하게 된다.
1 : 중공문짝 1-1 : 중간문짝
3 : 가로대 5 : 세로대
7 : 유리판 8 : 가로대 고정물
9 : 세로대 고정물 11 : 외판
13 : 내력판 15 : 끼움홈
21 : 체결핀 81 : 몸체
83 : 지지홈 85 : 접촉면
87 : 외피 S : 유리창 공간

Claims (4)

  1. 내측 모서리면에 끼움홈(15)이 각각 형성된 한 쌍의 가로대(3) 및 세로대(5), 상기 가로대(3) 및 세로대(5)에 의해 형성되는 중앙의 유리창 공간(S)에 끼워지는 유리판(7), 및 상기 끼움홈(15)에 삽입되어 상기 유리판(7)의 모서리를 각각 지지하는 한 쌍의 가로대 및 세로대 고정물(8,9)을 준비하는 준비단계(S10);
    상기 준비단계(S10)에서 준비된 상기 가로대(3)의 상기 끼움홈(15)에 상기 가로대 고정물(8)을 삽입하고, 상기 세로대(5)의 상기 끼움홈(15)에 상기 세로대 고정물(9)을 삽입하여 부착하는 고정물 부착단계(S20);
    상기 고정물 부착단계(S20)에서 상기 가로대 고정물(8)이 부착된 상기 한 쌍의 가로대(3) 중 어느 하나의 좌우측단에 상기 세로대 고정물(9)이 부착된 상기 한 쌍의 세로대(5)를 각각 결합하여, 위 또는 아래로 열린 직사각형 형태의 중간문짝(1)을 형성하는 선조립단계(S30);
    상기 선조립단계(S30)에서 형성된 상기 중간문짝(1)의 상단 또는 하단 개방단(23)을 통해 상기 유리판(7)을 끼워넣어, 상기 유리창 공간(S)에 상기 유리판(7)을 조립하는 유리판 조립단계(S40); 및
    상기 유리판 조립단계(S40)에서 상기 유리판(7)이 조립된 상기 중간문짝(1)의 상기 개방단(23)에, 상기 가로대 고정물(8)이 부착된 상기 한 쌍의 가로대(3) 중 다른 하나를 결합하는 마감단계(S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문짝의 조립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준비단계(S10)는,
    상기 끼움홈(15)에 정합되도록 각형으로 된 봉체를 가공하여, 상기 가로대 고정물(8)로 사용할 단봉체(8-1)와 상기 세로대 고정물(9)로 사용할 장봉체(9-1)로 절단하되, 상기 단봉체(8-1)와 상기 장봉체(9-1)의 양단에 등각의 접촉면(85)이 형성되도록 상기 봉체를 45도 각도로 비스듬히 절단하는 고정물 절단단계(S11);
    상기 가로대 및 세로대 고정물(8,9)이 상기 끼움홈(15)에 삽입된 때 노출되는 부분의 표면에 외피(87)를 입히는 고정물 피복단계(S12); 및
    상기 고정물 피복단계(S12)에서 외피(87)로 피복된 상기 가로대 및 세로대 고정물(8,9)의 상기 유리창 공간(S)을 향한 내측면에 상기 유리판(7)을 끼워 지지하는 지지홈(83)을 가공하는 고정물 가공단계(S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문짝의 조립방법.
  3. 중간에 유리창 공간(S)을 형성하도록 상하로 쌍을 이루어 배치되고, 내측 모서리면에 끼움홈(15)이 형성된 가로대(3);
    상기 가로대(3)와 함께 중간에 상기 유리창 공간(S)을 형성하도록 상기 가로대(3)의 좌우에 쌍을 이루어 배치되고, 내측 모서리면에 끼움홈(15)이 형성된 세로대(5);
    상기 유리창 공간(S)에 끼워지는 유리판(7);
    상기 가로대(3)의 상기 끼움홈(15)에 삽입되어, 상기 유리판(7)의 모서리를 지지하는 가로대 고정물(8); 및
    상기 세로대(5)의 상기 끼움홈(15)에 삽입되어, 상기 유리판(7)의 모서리를 지지하는 세로대 고정물(9);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각각의 상기 가로대 및 세로대 고정물(8,9)은,
    이웃한 상기 세로대 고정물(9) 또는 상기 가로대 고정물(8)과 각각 직교 상태로 접촉하는 접촉면(85)이 45도 각도로 비스듬히 절단된 사각 몸체(81); 및
    상기 몸체(81)의 상기 유리창 공간(S)을 향한 내측면에 오목하게 가공되어, 상기 유리판(7)을 끼워 지지하는 지지홈(8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문짝.
  4. 청구항 3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가로대 및 세로대 고정물(8,9)은 상기 끼움홈(15)에 삽입된 때 노출되는 상기 몸체(81)의 표면에 피복되는 외피(87)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문짝.
KR1020150082910A 2015-06-11 2015-06-11 중공문짝의 조립방법 및 이에 따라 조립되는 중공문짝 Ceased KR201601461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2910A KR20160146165A (ko) 2015-06-11 2015-06-11 중공문짝의 조립방법 및 이에 따라 조립되는 중공문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2910A KR20160146165A (ko) 2015-06-11 2015-06-11 중공문짝의 조립방법 및 이에 따라 조립되는 중공문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6165A true KR20160146165A (ko) 2016-12-21

Family

ID=57734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2910A Ceased KR20160146165A (ko) 2015-06-11 2015-06-11 중공문짝의 조립방법 및 이에 따라 조립되는 중공문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4616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4276Y1 (ko) * 2017-01-09 2017-08-21 노승열 조립식 윈도우 마감 구조를 갖는 도어
KR20190050041A (ko) 2017-11-02 2019-05-10 이대성 도어용 유리판 복합구조물 고정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4276Y1 (ko) * 2017-01-09 2017-08-21 노승열 조립식 윈도우 마감 구조를 갖는 도어
KR20190050041A (ko) 2017-11-02 2019-05-10 이대성 도어용 유리판 복합구조물 고정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459747B (zh) 框架连接件
US20100043268A1 (en) Relating to picture frames
KR20160146165A (ko) 중공문짝의 조립방법 및 이에 따라 조립되는 중공문짝
US20170198480A1 (en) Sheet Fixing Frame
KR101848976B1 (ko) 유리판 복합고정물을 구비한 중공문짝 및 그 조립방법
CN110344731A (zh) 一种门窗的拼角结构
KR100919063B1 (ko)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프레임 조립체
CN100564718C (zh) 一种板式隔墙
KR102357332B1 (ko) 문짝 조립 구조
KR20080099648A (ko) 파티션 연결장치
KR20160148279A (ko) 유리판 복합고정물을 구비한 중공문짝 및 그 조립방법
KR20180057175A (ko) 조립식 프레임 구조
CN214330388U (zh) 一种新型榫接式实木门
BG4227U1 (bg) Алуминиева рамкова конструкция за врати на шкафове
CN205858094U (zh) 一种框料可调节拼接装置
TWI724900B (zh) 浴廁門屏上固定架
KR200360380Y1 (ko) 창틀
CN104235142A (zh) 一种偏心锁紧组件及其空心型材组框方法
CN220521734U (zh) 一种装配式墙板结构
JPH0547257Y2 (ko)
KR101722922B1 (ko) 접합 유리 구조물
CN216768007U (zh) 平面燕尾形斜榫卯连接结构
CN211691233U (zh) 一种室内装饰面板的安装结构
JP2596799Y2 (ja) 複合窓サッシの構造
KR200409344Y1 (ko) 모서리 마감형 금속재 문틀조립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611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6010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5061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6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712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7062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