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60145384A - Attendance and absenc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Attendance and absenc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5384A
KR20160145384A KR1020150081930A KR20150081930A KR20160145384A KR 20160145384 A KR20160145384 A KR 20160145384A KR 1020150081930 A KR1020150081930 A KR 1020150081930A KR 20150081930 A KR20150081930 A KR 20150081930A KR 20160145384 A KR20160145384 A KR 201601453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ttendance
authentication code
lecture
inform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193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재열
Original Assignee
클래스베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클래스베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클래스베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819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45384A/en
Publication of KR201601453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5384A/en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출결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출결관리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현재 참여중인 강의의 출석체크를 위한 인증코드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된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출석정보를 출결관리서버로 전송하는 수강자 단말, 상기 출석정보에 포함된 인증코드 및 수강자 정보에 근거하여 인증을 수행하고, 그 인증결과에 따라 해당 수강자의 출결상태를 체크하는 출결관리서버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attendanc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attendance management system and a attendance management system that receive a confirmation code for checking presence attendance of a current lecture through an attendance management application and transmit attendance information including the entered authorization code to a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And an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that performs authentication based on the terminal, the authentication code included in the attendance information, and the attendee information, and checks attendance status of the attendant according to the authentication result.

Description

출결관리 시스템 및 방법{ATTENDANCE AND ABSENC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EREOF}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ttendance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출결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강자가 자신의 단말장치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스스로 출석체크를 하는 출결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ttendanc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attendanc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in which a student attends an attendance check by himself / herself using an application installed in his / her terminal device.

학습 효율 향상을 위한 여러 강의 지원 시스템이 연구되고 있다. 이 가운데서도 출석 처리 및 관리의 전체 프로세스를 자동화하기 위한 출결 시스템 연구는 중요한 이슈 중 하나이다.Several lecture support systems are being studied to improve learning efficiency. Among them, attendance system research to automate the entire process of attendance processing and management is one of the important issues.

이에 따라 최근 RFID, 레이블, 카드 등의 자동인식 기술과 지문인식, 얼굴인식 등 생체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수강생들의 출결을 자동으로 관리하고자 하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자동출결 시스템의 구축을 위해서 RFID 리더기, 지문인식기 등 고가의 장비가 요구되어 초기 구축비용이 가중되는 문제점과 카드 대여 및 사진을 이용한 대리 출석으로 인한 관리상의 문제점이 발견되고 있다.Recently, researches are being conducted to automatically manage the attendance of students using biometric technology such as RFID, label, card, and fingerprint recognition and face recognition. However, in order to construct such an automated attendance system, expensive equipment such as an RFID reader and a fingerprint reader are required, and the initial installation cost is increased, and a problem of management due to substitute attendance using a card rental and a photograph is found.

한편, 현재 스마트폰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출결을 관리하는 방식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폰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방식은 강사가 학생을 확인한 후 학생의 이름을 터치하여 출결통보를 하는 방식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Meanwhile, a method of managing attendance using applications of a smart phone is widely used. The method of using the application of this smartphone is mainly used when the instructor confirms the student and touches the name of the student to notify the attendance.

그러나, 스마트폰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방식에서 학생이 수십명 이상으로 많은 경우 강사가 일일이 학생을 확인하여 출석체크를 해야 하므로, 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다.
However, there are drawbacks that it takes a lot of time because the instructor checks the student every time the student uses dozens or more students in the smartphone application.

선행기술1: 한국등록특허 제1340619호: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위치기반 출석체크 시스템 및 방법Prior Art 1: Korean Patent No. 1340619: Location-Based Attendance Checking System and Method Using Near Field Wireless Communication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수강자가 단말장치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스스로 출석체크를 할 수 있는 출결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ttendanc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at enables attendees to check attendance by themselves using an application installed in a terminal devic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강의실에 입실하지 않고 출석을 체크하는 수강생들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출결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ttendanc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at can prevent attendance of attendance checkers from occurring in a classroom without entering the classroom.

한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기술적 과제가 포함될 수 있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s claimed.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출결관리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현재 참여중인 강의의 출석체크를 위한 인증코드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된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출석정보를 출결관리서버로 전송하는 수강자 단말, 상기 출석정보에 포함된 인증코드 및 수강자 정보에 근거하여 인증을 수행하고, 그 인증결과에 따라 해당 수강자의 출결상태를 체크하는 출결관리서버를 포함하는 출결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for receiving attendance information for attendance checking of a currently participating lecture through an attendance management application, There is provided an attendance management system including an attendance terminal to transmit, an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to perform an authentication based on the authentication code and the attende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attendance information, and to check attendance status of the attendance person according to the authentication result.

상기 출결관리 시스템은 상기 출결관리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현재 진행중인 강의의 출석부 명령이 선택된 경우, 강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출석부 요청 신호를 상기 출결관리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출결관리서버로부터 수강자들의 출결상태가 표시된 출석부를 수신하는 강의자 단말을 더 포함하되, 상기 출석부는 수강자들의 출결상태는 물론, 각 수강자 또는 수강자의 보호자 연락처를 포함할 수 있다. Wherein the attendance management system transmits an attendance section request signal including the lectur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when the lecture attendance command of the current lecture is selected through the attendance management application, The attendance unit may include not only attendance status of attendance attendants but also attendance information of each attendant or a student attendant.

상기 강의자 단말은 기 설정된 일정 시간 간격으로 인증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인증코드를 수강자 단말 또는 출결관리서버로 전송하되, 상기 강의자 단말은 해당 강의실을 커버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수강자 단말로 인증코드를 전송할 수 있다. The lecture terminal generates an authentication code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and transmits the generated authentication code to the lecture terminal or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The lecture terminal transmits the authentication code to the lecture terminal through a local wireless communication You can transfer the code.

상기 인증코드는 강의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인증코드, 강의자가 알린 인증코드, 기 설정된 표시장치에 디스플레이된 인증코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인증코드는 유효기간이 설정될 수 있다. The authentication code includes at least one of an authentication code transmitted from the lecturer terminal, an authentication code informed by the lecturer, and an authentication code displayed on a predetermined display device, and the validity period of the authentication code may be set.

상기 수강자 단말은 기 설정된 강의실 영역에 진입한 경우, 상기 출결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실행하여, 해당 강의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현재 참여중인 강의의 출석체크를 위한 인증코드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출석정보를 상기 출결관리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When the attendance terminal enters the preset classroom area, the attendance management application is automatically executed to display the corresponding lecture information, and when an authentication code for check attendance of the current lecture is input, To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상기 출결관리서버는 상기 인증코드의 유효 여부를 판단하고, 유효한 경우 현재 시간을 지각기준과 비교하여 지각 여부를 판단하며, 그 판단결과에 따라 출석 또는 지각 처리하고, 상기 인증코드가 유효하지 않거나 출석정보가 수신되지 않은 수강자를 결석 처리하며, 출결상태 알림이 설정된 수강자의 경우 보호자 단말로 출결상태를 전송할 수 있다. Wherein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judges whether the authentication code is valid, compares the current time with the perceptual criterion if it is valid, judges whether or not it is perceived, performs attendance or perception processing according to the judgment result, The student who has not received the information can be absent. In the case of the attendee who has set the attendance status notification, the attendance status can be transmitted to the guardian terminal.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수강자 단말이 강의의 출결을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출결관리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 참여중인 강의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강의정보에서 출석체크가 선택된 경우, 인증코드 입력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인증코드 입력 화면에서 인증코드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받은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출석정보를 출결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출결관리 방법이 제공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aging attendance of a lecture terminal by a learner terminal, comprising the steps of: displaying participating lecture information when attendance management application is executed; when attendance check is selected in the lecture information, Displaying an input screen, receiving an authentication code from the authentication code input screen, and transmitting attendance information including the received authentication code to a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출결관리서버가 강의 수강자들의 출결을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인증코드 및 수강자 정보를 포함하는 출석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인증코드의 유효 여부를 판단하고, 유효한 경우 현재 시간을 지각기준과 비교하여 지각 여부를 판단하며, 그 판단결과에 따라 출석 또는 지각 처리하고, 상기 인증코드가 유효하지 않거나 출석정보가 수신되지 않은 수강자를 결석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출결관리 방법이 제공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aging attendance of attendees of a lecture attendance server, comprising: (a) receiving attendance information including an authentication code and attendee information; (b) And if it is valid, compares the current time with the perception criterion to determine whether or not it is perceived, and performs attendance or perception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and if the authentication code is not valid or the attendance information is not received, A method of managing attendance including a step is provided.

상기 (b) 단계 이후, 출결상태 알림이 설정된 수강자의 경우, 보호자 단말로 출결상태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step (b)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attendance status to the guardian terminal in the case of the attendee having the attendance status notification set.

또한, 상기 (b) 단계 이후, 강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출석부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강의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강의를 수강하는 수강자들의 출결상태가 표시된 출석부를 해당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f the attendance part request signal including the lectur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after the step (b),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attendance part indicating attendance status of the lectures corresponding to the lectur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corresponding terminal .

한편, 이상에 살핀 상기 '출결관리 시스템 및 방법'은,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된 뒤에 전자 장치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거나, 프로그램 다운로드 관리 장치(서버 등)를 통해 배포될 수 있다.
Meanwhile, the above-mentioned 'attendanc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can be recorded in a recording medium readable from an electronic device after being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program, or distributed via a program download management device (server or the like).

본 발명에 따르면, 수강자가 단말장치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스스로 출석체크를 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tudent can check attendance by himself / herself using an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terminal device.

또한, 수시로 변동하는 인증코드의 제공으로 인해, 강의실에 입실하지 않고 출석을 체크하는 수강생들이 발생하지 않은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authentication codes vary from time to time, there is an effect that students who check attendance without entering the classroom do not occu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결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출결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결관리서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강자가 출석 체크를 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의정보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강자가 출석 체크를 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결관리서버가 수강자의 출결을 처리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의자에게 출석부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의정보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석부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FIG.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ttendanc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 attendanc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termin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a student attendance che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lecture information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a student attendance che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by which a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cesses attendance of a student attending a lecture.
9 is a view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an attendance part to a lectur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lecture information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attendance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출결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설명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된 도면에 표현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쉽게 설명하기 위해 도식화된 도면으로 실제로 구현되는 형태와 상이할 수 있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attendanc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underst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the matters described in the attached drawings may be different from those actually implemented by the schematic drawings to easily describ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이하에서 표현되는 각 구성부는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예일 뿐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구현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구성부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부는 순전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구성만으로 구현될 수도 있지만, 동일 기능을 수행하는 다양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하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둘 이상의 구성부들이 함께 구현될 수도 있다. In the meantime, each constituent unit described below is only an example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Thus, in other implement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other components may be us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each component may be implemented solely by hardware or software configuration, but may be implemented by a combination of various hardware and software configurations performing the same function. Also, two or more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together by one hardware or software.

또한, 어떤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는 표현은, '개방형'의 표현으로서 해당 구성요소들이 존재하는 것을 단순히 지칭할 뿐이며, 추가적인 구성요소들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Also, the expression " comprising " is intended to merely denote that such elements are present as an expression of " open ", and should not be understood to exclude additional ele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결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FIG.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ttendanc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출결관리 시스템은 복수의 수강자 단말(100), 강의자 단말(200), 출결관리서버(300)를 포함하고, 수강자 단말(100), 강의자 단말(200), 출결관리서버(300)는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고, 통신망은 근거리 통신망, 유선 통신망, 무선 통신망 등을 포함할 수 있다.1, the attendance management system includes a plurality of attendance terminals 100, a lecturer terminal 200, and a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300, and includes a lecturer terminal 100, a lecturer terminal 200, 300 may be connected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communication network may include a local area network, a wired communication network,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수강자 단말(100)은 출결관리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현재 참여중인 강의의 출석체크를 위한 인증코드를 입력받고, 입력된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출석정보를 출결관리서버(300)로 전송한다. 여기서, 인증코드는 강의자가 출석체크를 위해 불러주는 코드로, 예컨대, 숫자, 문자 등의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인증코드는 강의자 단말(200)에서 생성되어 강의자 단말(200)로부터 전송된 인증코드, 출결관리서버(300)에서 생성되어 강의자 단말(200)로부터 전송 또는 강의자가 불러주는 인증코드 등 다양한 방법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인증코드는 유효기간이 설정되어 있어, 출석자가 강의에 출석하지 않은 다른 수강자에게 인증코드를 전송하여 출석을 시도하여도 출석체크가 되지 않는다. 출석정보는 인증코드, 수강자 식별정보, 강의 식별정보 등을 포함하고, 수강자 식별정보는 수강자 단말식별정보, 수강자 ID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participant terminal 100 receives an authentication code for checking presence attendance of a currently participating lecture through the attendance management application and transmits the attendance information including the entered authentication code to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300. [ Here, the authentication code is a code that the lecturer calls to check attendance, and may be various forms such as numbers, letters, and the like. The authentication code may be generated by various methods such as an authentication code generated at the lecturer terminal 200 and transmitted from the lecturer terminal 200, an authentication code generated at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300 and transmitted from the lecturer terminal 200, Lt; / RTI > Such an authentication code has an expiration date set so that attendees can not check attendance even if they try to attend by sending an authentication code to another attendee who has not attended the lecture. Attendance information includes an authentication code, lectur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lectur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like, and the lectur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lecturer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a lecturer ID, and the like.

수강자는 자신의 단말(100)에 설치된 출결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스스로 출석체크를 할 수 있다. 즉, 수강자는 인증코드를 제한된 시간(유효기간) 내에 입력함으로써, 출석 체크를 스스로 할 수 있다. The attendance person can check attendance by himself / herself using the attendance management application installed in his or her terminal 100. [ That is, the student can enter the authentication code within a limited time (valid period), thereby making the attendance check himself.

수강자 단말(100)은 출결관리 애플리케이션을 구비하는 단말로서, 강의실에 참석하는 구성원(예: 학생)들이 소지하는 핸드폰 및 스마트폰 등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수강자 단말(100)은 통신 기능 또는 근거리 통신 기능을 탑재한 사용자 장치라면 어느 것이라도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노트북, 무선통신 단말, 스마트폰(Smart phone), PMP(Portable 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타블렛 PC(Tablet PC), 셋탑박스(Set-top box), 스마트 TV 등 다양한 장치가 될 수 있다.The learner terminal 100 may be a terminal having a attendance management application, such as a cell phone and a smart phone possessed by members (e.g., students) attending the lecture hall. That is, the student attending terminal 100 can be applied to any user apparatus equipped with a communication function or a local communication function. For example, a notebook computer,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 smart phone, a portable media player (PMP),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tablet PC, a set- It can be a variety of devices.

수강자 단말(100)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도 3을 참조하기로 한다.A mor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tudent attending terminal 100 will be made with reference to FIG.

강의자 단말(200)은 출결관리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현재 진행중인 강의의 출석부가 요청되면, 강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출석부 요청 신호를 출결관리서버(300)로 전송하고, 출결관리서버(300)로부터 수강자들의 출결상태가 표시된 출석부를 수신한다. 출석부는 수강자들의 출결상태는 물론, 각 수강자 또는 수강자의 보호자 연락처를 포함할 수 있고, 출결상태는 출석, 지각, 결석 등일 수 있다. The lecturer terminal 200 transmits an attendance part request signal including the lectur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300 when the lecture attendance part of the present lecture is requested through the attendance management application, And receives an attendance portion whose status is indicated. The attendance part may include the attendance status of the attendees, as well as the contact information of each attendant or attendant, and the attendance status may be attendance, perception, absence, and the like.

또한, 강의자 단말(200)은 기 설정된 일정 시간 간격으로 인증코드를 생성하고, 생성된 인증코드를 수강자 단말(100) 또는 출결관리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Also, the lecturer terminal 200 can generate an authentication code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and can transmit the generated authentication code to the learner terminal 100 or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300.

강의자 단말(200)은 강의를 하는 강의자가 소지하는 장치로, 통신 기능 및 근거리 통시 기능을 탑재한 사용자 장치라면 어느 것이라도 적용될 수 있다. The lecturer terminal 200 can be applied to any user apparatus that is equipped with a communication function and a short-distance communication function by a lecturer.

출결관리서버(300)는 수강자 단말(100)로부터 출석정보가 수신된 경우, 출석정보에 포함된 인증코드 및 수강자 정보에 근거하여 인증을 수행하고, 그 인증결과에 따라 해당 수강자의 출결상태를 표시한다. When the attendance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attendance terminal 100,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300 performs authentication based on the authentication code and the attendance pers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attendance information, and displays the attending state of the attending attendant according to the authentication result do.

즉, 출결관리서버(300)는 수강자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수강자가 강의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강의의 수강자가 맞는지 판단하고, 수강자가 맞으면 인증코드의 유효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출결관리서버(300)는 해당 강의에서 제공된 인증코드가 맞는지를 판단하고, 맞으면 인증코드가 유효기간내에 입력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며, 유효기간내에 입력되었으면, 인증코드가 유효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That is,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300 judges whether or not the attendance person corresponding to the attendance pers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the attendance person of the lecture corresponding to the lectur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judges whether the authentication code is valid if the attendance person is correct. At this time,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300 determines whether the authentication code provided in the lecture is correct, and if so,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authentication code is entered within the valid period. If the authentication code is input within the valid period, have.

출결관리서버(300)는 인증코드가 유효하면, 현재 시간을 기 설정된 지각기준과 비교하여 지각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결과에 따라 출석 또는 지각 처리한다. 또한, 출결관리서버(300)는 인증코드가 유효하지 않거나 출석정보가 수신되지 않은 수강자를 결석 처리한다. If the authentication code is valid,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300 compares the current time with a preset perceptual criterion to determine whether or not it is perceived, and performs attendance or perception processing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Also,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300 processes absence of the attendance person whose authentication code is invalid or attendance information is not received.

또한, 출결관리서버(300)는 출결상태 알림이 설정된 수강자의 경우 보호자 단말로 출결상태를 전송한다. In addition,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300 transmits the attendance status to the guardian terminal in the case of the student attending to the attendance status notification.

한편, 출결관리서버(300)는 단일의 연산 장치로 구현되거나 둘 이상의 연산 장치가 서로 연결된 집합 장치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출결관리서버(300)는 단일의 서버로 구현되거나 둘 이상의 서버가 연결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300 may be implemented as a single computing device or in the form of an aggregate device in which two or more computing devices are interconnected. For example,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300 may be implemented as a single server, or two or more servers may be connected.

이러한 출결관리서버(3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4를 참조하기로 한다. A detailed description of this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300 will be given with reference to FIG.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수강자 단말(100)은 기 설정된 강의실 영역에 진입한 경우, 출결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실행하여, 해당 강의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현재 참여중인 강의의 출석체크를 위한 인증코드가 입력되면, 입력된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출석정보를 출결관리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articipant terminal 100 enters the predetermined classroom area, the attendance terminal application automatically executes the attendance management application, displays the corresponding lecture information, and authenticates When the code is input, attendance information including the input authentication code can be transmitted to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300. [

이때, 강의자 단말(200)은 기 설정된 일정 주기로 인증코드를 생성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수강자 단말들(100)로 전송한다. 인증코드는 유효기간이 설정되어 있고, 강의자 단말(200)은 일정 주기로 인증코드를 변경하여 수강자 단말(100)로 전송한다.
At this time, the lecturer terminal 200 generates an authentication code at a predetermined period and transmits the authentication code to the learner terminals 100 through short-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The validity period is set in the authentication code, and the lecturer terminal 200 changes the authentication code at regular intervals and transmits it to the learner terminal 100.

한편, 본 발명은 대형 강연장, 대학, 공연장 등에서 방명록을 작성하지 않고도 단말장치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스스로 출석체크를 함으로써, 수백명이 참여하는 공연장, 강연장에서 매우 편리하다. 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very convenient in a performance hall or a lecture hall where hundreds of people participate in a large lecture hall, a university, a performance hall, etc., by checking attendance by themselves using an application installed in a terminal device without creating a guest book.

이때 부정한 방법으로 대리 출석을 하거나, 실제로 교육 현장에 있지 않고 외부에서 자가 출석체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교육 현장에서 강의자는 출석체크를 위한 숫자 등으로 구성된 인증코드를 불러준다. 수강자들은 교육현장에서 불러주는 인증코드를 듣거나 게시된 인증코드를 읽어, 제한된 시간(예컨대, 1분 내외) 안에 입력하는 출석체크를 스스로 한다. 인증코드는 시간이 지나면 다른 인증코드로 자동 변경됨으로 외부의 미출석한 친구에게 인증코드를 몰래 알려주어도 소용이 없게 된다.
At this time, in order to prevent the substitute attendance at the time of the substitute attendance, or not to check the attendance from the outside not in actual education place, the lecturer in the education field calls the authentication code including the number for attendance check. Attendees check their attendance by listening to a certification code called at a training site or by reading a published certification code and inputting it within a limited time (for example, about 1 minute). Since the authentication code is automatically changed to another authentication code over time, it is useless to inform the friend who has not been present outside the authentication code secretly.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출결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2 is a view showing a attendanc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출결관리 시스템은 복수의 수강자 단말(100), 강의자 단말(200), 출결관리서버(300), 표시 장치(400)를 포함하고, 수강자 단말(100), 강의자 단말(200), 출결관리서버(300), 표시 장치(400)는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고, 통신망은 근거리 통신망, 유선 통신망, 무선 통신망 등을 포함할 수 있다.2, the attendance management system includes a plurality of attendance terminals 100, a lecturer terminal 200, a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300, and a display device 400, and includes a learner terminal 100, a lecturer terminal 200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300, and the display device 400 are connected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communication network may include a local area network, a wired communication network,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like.

수강자 단말(100), 출결관리서버(300)는 도 1과 같으므로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 lecturer terminal 100 and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300 are the same as those in Fig. 1, and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강의자 단말(200)은 강의 시간에 기 설정된 일정 주기로 인증코드를 생성하여 수강자 단말(100) 또는 표시장치(400)로 전송한다. 이때, 강의자 단말(200)은 수강자 인증을 위해 출결관리서버(300)로 인증코드를 전송한다. The lecturer terminal 200 generates an authentication code at predetermined lectures at the lecture time and transmits the authentication code to the learner terminal 100 or the display device 400. [ At this time, the lecturer terminal 200 transmits an authentication code to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300 for student attending student identification.

강의자 단말(200)은 강의를 하는 강의자가 소지하는 장치로, 통신 기능 및 근거리 통신 기능을 탑재한 사용자 장치라면 어느 것이라도 적용될 수 있다. The lecturer terminal 200 is a lecturer holding a lecture, and can be applied to any user apparatus equipped with a communication function and a local communication function.

표시장치(400)는 강의자 단말(200)로부터 제공되는 인증코드를 수강자들이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한다. 이러한 표시장치(400)는 외부 스크린, 프로젝터 등 다양한 장치가 될 수 있다.
The display device 400 displays the authentication code provided from the lecturer terminal 200 so that the lecturers can visually confirm the authentication code. Such a display device 400 may be various devices such as an external screen, a projector, and the like.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3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termin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단말장치(100)는 데이터 통신부(110), 근거리 무선 통신부(120), 입력부(130), 출력부(140), 저장부(150), 출석 처리부(160), 제어부(170)를 포함한다. 3, the terminal apparatus 100 includes a data communication unit 110,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20, an input unit 130, an output unit 140, a storage unit 150, an attendance processing unit 160, 170).

데이터 통신부(110)는 다양한 전자 장치들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데이터 통신부(110)는 단말장치(100)와 출결관리서버를 유선 통신망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이러한 연결을 기초로 출석정보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구성이다. The data communication unit 110 is configured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to and from various electronic devices. Specifically, the data communication unit 110 can be connected to the terminal device 100 and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through a wired communication network or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can transmit and receive various data including attendance information based on the connection .

이러한 데이터 통신부(110)는 다양한 유선 통신 모듈 또는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다양한 무선 또는 유선 통신 규격을 통해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통신부(110)는, ITU, IEEE, ISO, IEC 등의 다양한 표준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표준 통신 모듈 이외에도 다양한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The data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various wired communication modules or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s and may transmit or receive data through various wireless or wired communication standards. For example, the data communication unit 110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including various standard communication modules such as ITU, IEEE, ISO, IEC, etc. In addition to the standard communication module, have.

근거리 무선통신부(120)는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으로, 와이파이, 블루투스, 지그비, 광대역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 중 하나가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근거리 무선 통신부(120)는 강의실 내에 위치하는 단말장치들을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시키고, 이러한 연결을 기초로 인증코드를 송수신할 수 있는 구성이다.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20 is configured to perform data communication through a local area network, and one of Wi-Fi, Bluetooth, ZigBee, and wide-are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may be applied.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20 is configured to connect terminal devices located in a classroom through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transmit / receive an authentication code based on the connection.

입력부(130)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구성이다. 이러한 입력부(130)는 특히 인증코드 등을 입력받는데 활용될 수 있다. The input unit 130 is configured to receive information from a user. The input unit 130 may be used for inputting an authentication code or the like.

한편, 입력부(130)는, 키패드, 터치 패널 등의 입력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입력 장치 이외에도 다양한 입력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30)는 출력부(140)와 일체를 이루는 터치 스크린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The input unit 130 may be implemented as an input device such as a keypad or a touch panel, and may be implemented by various input devices other than the input device. Also, the input unit 130 may be implemented as a touch screen integrated with the output unit 140.

출력부(140)는 단말장치(100)의 동작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구성으로, 출결관리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한 다양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출력부(140)는 LCD, LED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The output unit 140 is configured to display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device 100 and can display various information by execution of the attendance management application. The output unit 140 may be implemented through various display devices including an LCD, an LED, and the like.

저장부(150)는 단말 장치(100)의 동작과 관련된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구성이다. 예를 들어, 저장부(150)는 UI를 구현하기 위한 데이터, 데이터 통신부(110)를 통해 전달되는 데이터, 입력부(130)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저장부(150)에는 출결관리 애플리케이션이 저장되어 있다. 이러한 저장부(150)는 다양한 종류의 메모리 소자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The storage unit 150 stores data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device 100. [ For example, the storage unit 150 may store various data including data for implementing the UI, data transmitted through the data communication unit 110, data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130, and the like. In particular, the attendance management application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50. [ The storage unit 150 may be implemented as including various types of memory devices.

출석처리부(160)는 단말장치(100)가 수강자 단말로 사용될 경우와 강의자 단말로 사용될 경우에 따라 다른 동작을 수행한다. The attendance processing unit 160 performs other operations depending on whether the terminal device 100 is used as a lecture terminal or as a lecture terminal.

먼저, 단말장치(100)가 수강자 단말로 사용될 경우, 출석 처리부(160)는 출결관리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현재 참여중인 강의의 출석체크를 위한 인증코드를 입력받고, 입력된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출석정보를 데이터 통신부(110)를 통해 출결관리서버로 전송한다. First, when the terminal device 100 is used as a lecture attendant terminal, the attendance processing unit 160 receives an authentication code for checking presence attendance of a current lecture through an attendance management application and receives attendance information including the input authentication code And transmits it to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through the data communication unit 110.

즉, 출석 처리부(160)는 저장부(150)에 저장된 출결관리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수강자가 현재 참여중인 강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서 강의 정보는 강의명, 강의일자, 강의장소, 강의정원, 출석체크 명령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수강자가 출석체크 명령을 선택하면, 출석 처리부(160)는 인증코드 입력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수강자는 인증코드를 입력한다. 그러면, 출석 처리부(160)는 인증코드, 수강자 식별정보, 강의 식별정보 등을 포함하는 출석정보를 출결관리서버로 전송한다. That is, when the attendance management applic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150 is executed, the attendance processing unit 160 displays the currently participating lecture information of the lecturer. Here, the lecture information may include a lecture name, a lecture date, a lecture location, a teaching lecture, an attendance check command, and the like. When the attendee selects the attendance check command, the attendance processing unit 160 displays the screen for inputting the authentication code, and the attendee inputs the authentication code. Then, the attendance processing unit 160 transmits the attendance information including the authentication code, the student ID information, the lecture ID information, and the like to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수강자는 출결관리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인증코드를 제한된 시간(유효기간) 내에 입력하고, 출석확인을 스스로 할 수 있다.The attendee can enter the authentication code within the limited time (validity period) through the attendance management application and check attendance on his own.

다음으로, 단말장치(100)가 강의자 단말로 사용될 경우, 출석 처리부(160)는 출결관리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현재 진행중인 강의의 출석부 명령이 선택된 경우, 강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출석부 요청 신호를 데이터 통신부(110)를 통해 출결관리서버로 전송하고, 출결관리서버로부터 수강자들의 출결상태가 표시된 출석부를 수신한다. Next, when the terminal device 100 is used as a lecture terminal, the attendance processing unit 160 transmits an attendance unit request signal including lectur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data communication unit 110 To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and receives an attendance part indicating attendance status of attendance attendees from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즉, 출석 처리부(160)는 저장부(150)에 저장된 출결관리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강의자가 현재 진행중인 강의목록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강의 목록정보는 강의명, 출석부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강의자가 출석부 명령을 선택하면, 출석 처리부(160)는 강의 식별정보, 강의자 식별정보 등을 포함하는 출석부 요청 신호를 출결관리서버로 전송하고, 출결관리서버로부터 수강자들의 출결상태가 표시된 출석부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한다. That is, when the attendance management applic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150 is executed, the attendance processing unit 160 displays the list information of the current lecturer. The lecture list information may include lecture names and attendance orders. When the lecturer selects the attendance order command, the attendance processing unit 160 transmits an attendance unit request signal including lecture identification information, lectur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like to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receives an attendance unit indicating attendance statuses of the attending attendants from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Display.

한편, 출석 처리부(160)는 컴퓨팅 장치상에서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각각 구현될 수 있다. 이처럼 출석 처리부(160)는 물리적으로 독립된 각각의 구성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고, 하나의 프로세서 내에서 기능적으로 구분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ttendance processing unit 160 may be implemented by a processor or the like necessary for executing a program on the computing device, respectively. As described above, the attendance processing unit 160 may be implemented by physically independent configurations, or may be implemented in a functionally separated form in one processor.

제어부(170)는 데이터 통신부(110), 근거리 무선 통신부(120), 입력부(130), 출력부(140), 저장부(150), 출석 처리부(160)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100)의 다양한 구성부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이다. The control unit 170 is connected to a variety of terminal devices 100 including a data communication unit 110,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20, an input unit 130, an output unit 140, a storage unit 150, and an attendance processing unit 160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components.

이러한 제어부(170)는 적어도 하나의 연산 장치를 포함할 수 있는데, 여기서 상기 연산 장치는 범용적인 중앙연산장치(CPU), 특정 목적에 적합하게 구현된 프로그래머블 디바이스 소자(CPLD, FPGA), 주문형 반도체 연산장치(ASIC) 또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칩일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70 may include at least one computing unit, which may be a general purpos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programmable device elements (CPLDs, FPGAs) suitably implemented for a particular purpose, Device (ASIC) or a microcontroller chip.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결관리서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4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출결관리서버(300)는 통신부(310), 데이터베이스(320), 출결 관리부(330), 제어부(340)를 포함한다. 4,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300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310, a database 320, a attendance management unit 330, and a control unit 340.

통신부(310)는 다양한 전자 장치들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구성이다. 특히, 통신부(310)는 둘 이상의 장치와 연결될 수 있으며, 출결처리정보, 출석부 등 다양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310 is a structur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th various electronic devices. In particular, the communication unit 310 can be connected to two or more devices, and can transmit and receive various information such as attendance processing information and attendance part.

데이터베이스(320)는 각 강의에 대한 강의명, 강의시간, 담당 강사, 강의 장소, 수강자, 강의 출결 정보 등을 포함하는 강의 관련 정보가 저장된 강의 정보 데이터베이스, 각 강의 수강자들의 신상정보, 단말 식별정보, 수강 신청 정보, 강의 출결 정보 등을 포함하는 수강자 관련 정보가 저장된 수강자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다.The database 320 includes a lecture information database in which lecture related information including lecture name, lecture time, lecturer, lecture location, lecturer attendance information, lecture attendance information, and the like are stored for each lecture, personal information of each lecture attendee, And attendee information database including attendee-related information including application information, lecture attendance information, and the like.

출결 관리부(330)는 통신부(310)를 통해 출석정보가 수신되면, 출석정보에 포함된 인증코드, 수강자 식별정보, 강의 식별정보에 근거하여 인증을 수행하고, 그 인증결과에 따라 해당 수강자의 출결상태를 표시한다.When attendance information is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310, the attendance management unit 330 performs authentication based on the authentication code, the attendance pers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lectur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attendance information, and according to the authentication result, State.

즉, 출결 관리부(330)는 강의 정보 데이터베이스 또는 수강자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수강자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수강자가 강의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강의의 수강자가 맞는지 판단한다. 해당 강의의 수강자가 맞으면, 출결 관리부(330)는 인증코드의 유효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출결 관리부(330)는 해당 강의에서 제공된 인증코드가 맞는지를 판단하고, 맞으면 인증코드가 유효기간내에 입력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며, 유효기간내에 입력되었으면, 인증코드가 유효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출결 관리부(330)는 인증코드가 유효하면, 현재 시간을 기 설정된 지각기준과 비교하여 지각 여부를 판단한다. 출결관리부(330)는 현재 시간이 지각 기준을 넘지 않았으면 출석처리하고, 지각 기준을 넘었으면 지각 처리한다. 여기서, 지각 기준은 강의 시작 후 경과된 시간으로, 예컨대, 10분 등의 형태일 수 있다. 출결 관리부(330)는 인증코드가 유효하지 않거나 출석정보가 수신되지 않은 수강자를 결석 처리한다. That is, the attendance management unit 330 searches the lecture information database or the lecturer information database to determine whether the lecturer corresponding to the lectur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the lecturer of the lecture corresponding to lectur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f the lecturer of the lecture is correct, the attendance management unit 33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authentication code is valid. At this time, the attendance management unit 330 determines whether the authentication code provided in the lecture is correct, and if so,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authentication code is inputted within the valid period. If the authentication code is input within the valid period, . If the authentication code is valid, the attendance management unit 330 compares the current time with a preset perceptual criterion to determine whether or not it is perceived. The attendance management unit 330 performs attendance processing if the current time does not exceed the perception standard, and perceptually performs processing if the time exceeds the perception standard. Here, the perception criterion may be a time elapsed after the start of the steel, for example, 10 minutes or the like. The attendance management unit 330 processes absentee who is not valid or whose attendance information has not been received.

출결 처리부(330)는 출결처리정보를 강의자 단말 또는 수강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The attendance processing unit 330 can transmit attendance processing information to the lecture terminal or the learner terminal.

또한, 출결관리부(330)는 강의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인증코드를 해당 강의에 적용한다. In addition, the attendance management unit 330 applies the authentication code transmitted from the lecturer terminal to the lecture.

또한, 출결 관리부(330)는 현재 진행중인 강의의 인증코드를 생성하고, 생성된 인증코드를 해당 강의의 강의자 단말 또는 수강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ttendance management unit 330 may generate an authentication code of the current lecture, and may transmit the generated authentication code to the lecture terminal or the learner terminal of the lecture.

또한, 출결 관리부(330)는 강의자 식별정보 및 강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출석부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강의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강의를 수강하는 수강자들의 출결상태가 표시된 출석부를 해당 단말로 전송한다. 이때, 출결 관리부(330)는 강의자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강의자가 상기 강의의 강의자가 맞는지 판단하고, 맞는 경우에 출석부를 제공할 수 있다. When the attendance part request signal including the lectur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lectur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the attendance management part 330 transmits the attendance part indicating the attendance status of the lecturers attending the lecture corresponding to the lectur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corresponding terminal. At this time, the attendance management unit 330 may determine whether the lecturer corresponding to the lecture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tches the lecturer of the lecture, and provide the attendance unit if the lecturer corresponds.

한편, 출결관리부(330)는 컴퓨팅 장치상에서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각각 구현될 수 있다. 이처럼 출결관리부(330)는 물리적으로 독립된 각각의 구성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고, 하나의 프로세서 내에서 기능적으로 구분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attendance management unit 330 can be implemented by a processor or the like, respectively, necessary for executing a program on a computing device. As described above, the attendance management unit 330 may be implemented by each physically independent configuration, or may be implemented in a functionally separated form within one processor.

제어부(340)는 통신부(310), 데이터베이스(320), 출결 관리부(330)를 포함하는 출결관리서버(300)의 다양한 구성부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이다. The control unit 340 controls the operation of various components of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300 including the communication unit 310, the database 320, and the attendance management unit 330.

이러한 제어부(340)는 적어도 하나의 연산 장치를 포함할 수 있는데, 여기서 상기 연산 장치는 범용적인 중앙연산장치(CPU), 특정 목적에 적합하게 구현된 프로그래머블 디바이스 소자(CPLD, FPGA), 주문형 반도체 연산장치(ASIC) 또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칩일 수 있다.
The control unit 340 may include at least one computing unit, which may be a general purpos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programmable device elements (CPLDs, FPGAs) suitably implemented for a particular purpose, Device (ASIC) or a microcontroller chip.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강자가 출석 체크를 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의정보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FIG. 5 is a view showing a method of a attendee checking attend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lecture information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수강자 단말은 출석관리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S502),현재 참여중인 강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S504). 상기 디스플레이된 강의정보는 도 6과 같을 수 있다. 참여중인 강의정보 화면에 대해 도 6을 참조하면, 참여중인 강의정보 화면에는 강의명, 강의일자, 강의장소, 강의 정원, 출석 체크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5, when the attendance management application is executed (S502), the participant terminal displays the currently participating lecture information (S504). The displayed lecture information may be as shown in FIG. Referring to FIG. 6, the participating lecture information screen may include a lecture name, a lecture date, a lecture place, a teaching lecture, and an attendance check command.

수강자가 강의정보 화면에서 출석 체크 명령을 선택하면(S506), 수강자 단말은 인증코드 입력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S508).When the attendance person selects an attendance check command on the lecture information screen (S506), the learner terminal displays the authentication code input screen (S508).

수강자가 인증코드 입력 화면에서 인증코드를 입력하면(S510), 수강자 단말은 강의 식별정보, 수강자 식별정보, 인증코드 등을 포함하는 출석정보를 출결관리서버로 전송한다(S512).When the student enters an authentication code in the authentication code input screen (S510), the student terminal transmits the attendance information including the lectur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student ID information, the authentication code, and the like to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S512).

출결관리서버는 출석정보를 근거로 인증을 수행하고(S514), 인증 결과에 따라 수강자의 출결을 체크한다(S516). 즉, 출결관리서버는 인증된 경우, 수강자의 출석을 체크하고, 인증되지 않은 경우 결석을 체크 및 인증 실패 메시지를 수강자 단말로 전송한다. 인증 실패 메시지를 수신한 수강자는 출석 정보를 다시 입력할 수 있다.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performs authentication based on the attendance information (S514), and checks attendance of the attendee according to the authentication result (S516). That is, when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is authenticated, it checks the attending attendance of the attendance person, and if not authenticated, checks the absence and sends an authentication failure message to the attendance desk terminal. The attendee who has received the authentication failure message can re-enter the attendance information.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강자가 출석 체크를 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a student attendance che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수강자 단말이 강의실 영역에 진입하면(S702), 수강자 단말은 출석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실행한다(S704).Referring to FIG. 7, when the student attending to the lecture terminal enters the classroom area (S702), the student attending terminal automatically executes the attendance management application (S704).

출석관리 애플리케이션이 자동으로 실행되면, 수강자 단말은 해당 강의실에서 진행될 또는 진행되고 있는 강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S706). When the attendance management application is automatically executed, the lecture attendant terminal displays the lecture information to be processed or proceeded in the lecture room (S706).

이후의 과정은 도 5에 도시된 S504이후의 과정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 subsequent steps are the same as those in step S504 and subsequent steps shown in FIG. 5, and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결관리서버가 수강자의 출결을 처리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by which a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cesses attendance of a student attending a lecture.

도 8을 참조하면, 출결 관리서버는 수강자 단말로부터 출석정보가 수신되면(S802), 출석정보에 포함된 인증코드의 유효 여부를 판단한다(S804).Referring to FIG. 8, when the attendance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attendance terminal (S802),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determines whether the authorization code included in the attendance information is valid (S804).

S804의 판단결과 인증코드가 유효하면, 출결관리서버는 현재 시간을 지각기준과 비교하여 지각 여부를 판단한다(S806).If it is determined in step S804 that the authentication code is valid,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compares the current time with the perception criterion to determine whether it is perceived (S806).

S806의 판단결과, 지각인 경우 출결관리서버는 해당 수강자를 지각 처리한다(S808).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806, in the event of a tardiness,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perceives the attendant (S808).

그런 후, 출결관리서버는 상기 수강자에게 출결상태 알림이 설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810).Thereafter,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determines whether attendance status notification is set to the attendee (S810).

출결상태 알림이 설정되어 있으면, 출결관리서버는 등록된 보호자 단말과 수강자 단말로 출결상태를 전송한다(S812).If the attendance status notification is set,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transmits the attendance status to the registered guardian terminal and the attendance terminal (S812).

만약, S806의 판단결과 지각이 아니면, 출결관리서버는 수강자를 출석처리하고(S814), S810을 수행한다. If the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806 is not affirmative,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proceeds to attendance (step S814) and performs step S810.

만약, S804의 판단결과 인증코드가 유효하지 않으면, 출결관리서버는 인증코드가 유효하지 않다는 메시지를 수강자 단말로 전송한다(S816).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804 that the authentication code is invalid,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transmits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 authentication code is invalid to the student terminal (S816).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의자에게 출석부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의정보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석부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FIG. 9 is a view showing a method of providing an attendance part to a lectur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lecture information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Fig.

도 9를 참조하면, 강의자 단말은 출결관리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S902), 진행중인 강의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S904). 상기 디스플레이된 강의정보를 도 10과 같은 화면일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강의정보 화면은 강의명, 출석부 명령 등을 포함할 수 있다. 9, when the attendance management application is executed (S902), the lecturer terminal displays the lecture information in progress (S904). The displayed lecture information may be a screen as shown in FIG. Referring to FIG. 10, the lecture information screen may include a lecture name, an attendance order, and the like.

강의자가 출석부 명령을 선택하면(S906), 강의자 단말은 강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출석부 요청 신호를 출결관리서버로 전송한다(S908).If the lecturer selects the attendance part command (S906), the lecturer terminal transmits an attendance part request signal including lectur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S908).

출결관리서버는 강의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강의의 출석부를 강의자 단말로 전송하고(S910), 강의자 단말은 강의를 수강하는 수강자들의 출결상태가 표시된 출석부를 디스플레이한다(S912). 강의자 단말에 디스플레이된 출석부는 도 11과 같다. 도 11을 참조하면, 출석부는 강의 관련 정보 표시 영역, 강의 진행 여부 표시 영역, 수강자 리스트 제공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강의 관련 정보 표시 영역에는 강의명, 강의일자, 강의시간 등이 표시되고, 강의 진행 여부 표시영역에는 휴강, 결강 등이 표시된다. 수강자 리스트 제공 영역에는 해당 강의를 수강하는 수강자들의 출석, 지각, 결석 등의 출결상태가 표시되고, 수강자 또는 보호자에게 직접 연락 가능하도록 전화, 문자 등의 아이콘이 표시된다.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transmits the attendance part of the lecture corresponding to the lectur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lecturer terminal (S910), and the lecturer terminal displays the attendance part indicating the attending status of the lecturers taking the lecture (S912). The attendance part displayed on the lecturer terminal is shown in Fig. Referring to FIG. 11, the attendance unit may include a steel related information display area, a lecture progress display area, and a student attendance list providing area. The lecture related information display area displays lecture name, lecture date, lecture time, and the like. In the attendance list providing area, attendance statuses such as attendance, lateness, absence, etc. of attendees taking the corresponding lecture are displayed, and an icon such as a telephone or a letter is displayed so that the lecturer or the guardian can be directly contacted.

이러한 출결관리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당해 분야의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출결관리 방법에 관한 프로그램은 전자장치가 읽을 수 있는 정보저장매체(Readable Media)에 저장되고, 전자장치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될 수 있다.This attendance management method can be created by a program, and the codes and code segments constituting the program can be easily deduced by a programmer in the field. In addition, the program relating to the attendance management method can be stored in an information storage medium (Readable Media) readable by the electronic apparatus, readable and executed by the electronic apparatus.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Thu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to be considered in all respects only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00 : 수강자 단말 110 : 데이터 통신부
120 : 근거리 무선 통신부 130 : 입력부
140 : 출력부 150 : 저장부
160 : 출석 처리부 170, 340 : 제어부
200 : 강의자 단말 300 : 출결관리서버
310 : 통신부 320 : 데이터베이스
330 : 출결 관리부 400 : 표시장치
100: student attending terminal 110:
120: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30:
140: output unit 150: storage unit
160: Attendance processing unit 170, 340:
200: Lecturer terminal 300: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310 communication unit 320 database
330: Attendance management unit 400: Display device

Claims (10)

출결관리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현재 참여중인 강의의 출석체크를 위한 인증코드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된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출석정보를 출결관리서버로 전송하는 수강자 단말; 및
상기 출석정보에 포함된 인증코드 및 수강자 정보에 근거하여 인증을 수행하고, 그 인증결과에 따라 해당 수강자의 출결상태를 체크하는 출결관리서버;
를 포함하는 출결관리 시스템.
A learner terminal for inputting an authentication code for checking attendance of a current lecture through a attendance management application and transmitting attendance information including the entered authentication code to a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And
An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for performing the authentication based on the authentication code and the attendanc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attendance information and checking attendance status of the attendance person according to the authentication result;
The attendance management system compri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결관리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현재 진행중인 강의의 출석부 명령이 선택된 경우, 강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출석부 요청 신호를 상기 출결관리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출결관리서버로부터 수강자들의 출결상태가 표시된 출석부를 수신하는 강의자 단말을 더 포함하되,
상기 출석부는 수강자들의 출결상태는 물론, 각 수강자 또는 수강자의 보호자 연락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결관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n an attendance order command of a lecture currently in progress is selected through the attendance management application, transmits an attendance section request signal including lectur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and receives from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an attendance part Further comprising a terminal,
Wherein the attendance unit includes not only attendance status of attendance attendants but also attendance numbers of attendees or guardians of attendee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강의자 단말은 기 설정된 일정 시간 간격으로 인증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인증코드를 수강자 단말 또는 출결관리서버로 전송하되,
상기 강의자 단말은 해당 강의실을 커버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수강자 단말로 인증코드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결관리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lecturer terminal generates an authentication code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and transmits the generated authentication code to a learner terminal or an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Wherein the lecture terminal transmits an authentication code to the lecturer terminal through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overing the lecture roo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코드는 강의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인증코드, 강의자가 알린 인증코드, 기 설정된 표시장치에 디스플레이된 인증코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인증코드는 유효기간이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결관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uthentication code includes at least one of an authentication code transmitted from a lecturer terminal, an authentication code announced by a lecturer, and an authentication code displayed on a predetermined display device,
And the validity period of the authentication code is se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강자 단말은 기 설정된 강의실 영역에 진입한 경우, 상기 출결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실행하여, 해당 강의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현재 참여중인 강의의 출석체크를 위한 인증코드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출석정보를 상기 출결관리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결관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attendance terminal enters the preset classroom area, the attendance management application is automatically executed to display the corresponding lecture information, and when an authentication code for check attendance of the current lecture is inputted, To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attendance information including attendance information including attendance information including attendance information including attendance information of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결관리서버는 상기 인증코드의 유효 여부를 판단하고, 유효한 경우 현재 시간을 지각기준과 비교하여 지각 여부를 판단하며, 그 판단결과에 따라 출석 또는 지각 처리하고, 상기 인증코드가 유효하지 않거나 출석정보가 수신되지 않은 수강자를 결석 처리하며, 출결상태 알림이 설정된 수강자의 경우 보호자 단말로 출결상태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결관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judges whether the authentication code is valid, compares the current time with a perceptual criterion to determine whether it is perceived, and performs attendance or perception processing according to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Wherein attendance of a student who does not receive information is terminated, and attendance status is transmitted to a guardian terminal in the case of a student having a attendance status notification.
수강자 단말이 강의의 출결을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출결관리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 참여중인 강의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강의정보에서 출석체크가 선택된 경우, 인증코드 입력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인증코드 입력 화면에서 인증코드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받은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출석정보를 출결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출결관리 방법.
In a method for a lecturer terminal to manage lecture attendance,
Displaying the participating lecture information when the attendance management application is executed;
Displaying an authentication code input screen when an attendance check is selected in the lecture information and receiving an authentication code from the authentication code input screen;
Transmitting attendance information including the received authentication code to a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 / RTI >
출결관리서버가 강의 수강자들의 출결을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인증코드 및 수강자 정보를 포함하는 출석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인증코드의 유효 여부를 판단하고, 유효한 경우 현재 시간을 지각기준과 비교하여 지각 여부를 판단하며, 그 판단결과에 따라 출석 또는 지각 처리하고, 상기 인증코드가 유효하지 않거나 출석정보가 수신되지 않은 수강자를 결석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출결관리 방법.
A method for a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to manage the attendance of lecture attendants,
(a) receiving attendance information including an authentication code and attendee information;
(b) determining whether the authentication code is valid, comparing the current time with a perceptual criterion to determine whether the authentication code is valid or not, and performing attendance or perceptual processing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and if the authentication code is invalid or attendance information Absent a student who has not been received;
≪ / RTI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 이후,
출결상태 알림이 설정된 수강자의 경우, 보호자 단말로 출결상태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출결관리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After the step (b)
And sending the attendance status to the guardian terminal in the case of a student attending the attendance status notificatio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 이후,
강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출석부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강의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강의를 수강하는 수강자들의 출결상태가 표시된 출석부를 해당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출결관리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After the step (b)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transmitting, to the terminal, an attendance part indicating attendance statuses of attendance attendants taking lectures corresponding to the lecture identification information when an attendance part request signal including lectur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KR1020150081930A 2015-06-10 2015-06-10 Attendance and absenc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ereof Ceased KR2016014538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1930A KR20160145384A (en) 2015-06-10 2015-06-10 Attendance and absenc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1930A KR20160145384A (en) 2015-06-10 2015-06-10 Attendance and absenc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5384A true KR20160145384A (en) 2016-12-20

Family

ID=57734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1930A Ceased KR20160145384A (en) 2015-06-10 2015-06-10 Attendance and absenc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45384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2416B1 (en) * 2019-11-12 2020-09-04 (주)콘텐츠펙토리상상역 Method of civil defense training
KR20210025945A (en) 2019-08-28 2021-03-10 주식회사 아이즈솔 System for intergrated education management based on intelligent image analysis technology and method thereof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0619B1 (en) 2012-02-27 2013-12-11 (주)리베카 System and method for checking attendance using location-based local wireless communica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0619B1 (en) 2012-02-27 2013-12-11 (주)리베카 System and method for checking attendance using location-based local wireless communicatio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5945A (en) 2019-08-28 2021-03-10 주식회사 아이즈솔 System for intergrated education management based on intelligent image analysis technology and method thereof
KR102152416B1 (en) * 2019-11-12 2020-09-04 (주)콘텐츠펙토리상상역 Method of civil defense train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2722B1 (en) Possible with a smartphone attendance check system location
KR20150077739A (en) Preschool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11954748B1 (en) Network based reunification management using portable devices
KR20150102629A (en) Academ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20190274611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al-time Reporting, Interacting, and Updating of Student, Guardian, Teacher, and Administrator Interactions Within a School System
CN113646794A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101754824B1 (en) Attendance management system using smartphones and method for management of attendance
KR20160145384A (en) Attendance and absenc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ereof
AU2015101875B4 (en) Site Attendance Management System
KR101639990B1 (en) Online Education Providing System for University Education
US20190274613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al-time Reporting, Interacting, and Updating of Student Actions Within a School System
KR20150094921A (en) Using a short-range communications capabilities Xidstory attendance app and check how
KR20150007642A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smart device
JP2015191297A (en) Attendance management system with attendance confirmation
US20230045013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facilitating managing student attendance and movement of individuals throughout a school facility
KR20140035727A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class using mobile terminal
KR20140028292A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ttendance and absence based location
JPWO2016067338A1 (en) Questionnaire system and terminal device and program used therefor
Bento et al. An experiment with 3 layers development for IoT with NodeMCU12e+ Nextion
Sweidan et al. SCATAA-CT: smart course attendance tracking android application in classroom teaching
KR101705739B1 (en) System and method of educationg matters based on member type combination
KR101496276B1 (en) Education system using two way communication and method for the same
KR101720973B1 (en) A method for checking attendance using local wireless communication
AU2017227932B2 (en) Checking access authorizations using mobile control devices
KR20140046608A (en) Seat reservation method and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61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7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7012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6071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