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5346A - A holder type safety guide device for a toilet bowl - Google Patents
A holder type safety guide device for a toilet bow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145346A KR20160145346A KR1020150081791A KR20150081791A KR20160145346A KR 20160145346 A KR20160145346 A KR 20160145346A KR 1020150081791 A KR1020150081791 A KR 1020150081791A KR 20150081791 A KR20150081791 A KR 20150081791A KR 20160145346 A KR20160145346 A KR 2016014534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holder
- holder frame
- wall
- us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30000000452 restrain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10000001015 abdomen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abstract 1
- 125000002066 L-histidyl group Chemical group [H]N1C([H])=NC(C([H])([H])[C@](C(=O)[*])([H])N([H])[H])=C1[H]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6010021639 Incontinenc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12 protecto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84 res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7/00—Other equipment, e.g. separate apparatus for deodorising, disinfecting or cleaning devices without flushing for toilet bowls, seats or covers; Holders for toilet brushes
- A47K17/02—Body supports, other than seats, for closets, e.g. handles, back-rests, foot-rests; Accessories for closets, e.g. reading tabl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7/00—Other equipment, e.g. separate apparatus for deodorising, disinfecting or cleaning devices without flushing for toilet bowls, seats or covers; Holders for toilet brushes
- A47K17/02—Body supports, other than seats, for closets, e.g. handles, back-rests, foot-rests; Accessories for closets, e.g. reading tables
- A47K17/022—Wall mounted grab bars or handles, with or without support on the floor
- A47K17/024—Wall mounted grab bars or handles, with or without support on the floor pivotally mounted on the wall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7/00—Other equipment, e.g. separate apparatus for deodorising, disinfecting or cleaning devices without flushing for toilet bowls, seats or covers; Holders for toilet brushes
- A47K17/02—Body supports, other than seats, for closets, e.g. handles, back-rests, foot-rests; Accessories for closets, e.g. reading tables
- A47K17/026—Armrests mounted on or around the toil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 부착식 좌변기의 안전 보호대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벽 부착식 좌변기 안전 보호대는 좌변기의 후방 벽체에 일정한 높이 돌출된 상태로 설치되도록 형성된 프레임 유닛과, 좌변기에 착석한 사용자를 홀딩하여 구속하도록 프레임 유닛에 회동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는 홀더 프레임을 포함하는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환자나 장애인 및 노약자 등과 같이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들이 홀더 프레임에 신체를 의탁한 채로 안전하게 보호된 상태에서 자립적으로 착석하여 용변을 볼 수 있으므로, 대폭 향상된 안전성과 실용성 및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간편하게 시설할 할 수 있으므로 높은 경제성을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safety protection substitution of a wall-mounted toilet seat. The wall-mounted toilet seat safety guar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 frame unit formed to be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height protruding from a rear wall of a left-hand side of a toilet, a holder frame rotatably installed on the frame unit for holding and restraining a user seated at the left-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users who are inconvenienced such as patients,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elderly persons can sit in the holder frame safely while being safely protected from the body, so that they can be seated independently. Therefore, the safety, practicality and convenience Not only can it be provided, but also can be easily installed, so that it has high economical efficiency.
Description
본 발명은 좌변기의 안전 보호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환자나 장애인 및 노약자 등의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들의 안전과 보호를 위한 부대시설로 제공할 수 있는 안전 보호대에 관한 것이며, 특히 좌변기의 후방 벽체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신체를 의탁한 상태로 용무를 볼 수 있도록 홀딩시켜 주는 벽 부착식 좌변기 안전 보호대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ty guard of a left-hand sid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afety guard that can be provided as an auxiliary facility for safety and protection of users who are inconvenienced by patients, So as to allow the user to hold his / her body in a state in which the body is in a state of trust.
근래에 들어 생활수준의 향상과 현대화에 따라 각 가정의 화장실은 물론 공공시설의 화장실에도 수세식(水洗式) 좌변기의 보급이 확대되고 있다. 이와 같은 좌변기는 걸터앉아서 용변을 볼 수 있도록 시설됨에 따라 기존의 재래식 변기 사용에 대한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동시에 회장실의 청결유지가 보다 용이한 편의성과 위생성을 제공한다.Recently, as the standard of living has been improved and modernized, the spread of toilet flush toilet has been extended to restrooms of public homes as well as homes. Such a toilet seat can be installed to sit on the floor and allow the user to view the toilet, thereby eliminating the inconvenience of using the conventional toilet bowl and providing easier convenience and hygiene of the chair room.
그러나, 좌변기를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신체 거동이 부자유스러운 환자나 장애인 및 하체 근력이 약한 노약자들에게는 항상 타인의 도움을 받아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하고 있다. 특히, 좌변기에 착좌하거나 기립할 때 지탱하는 힘이 부족함에 따라 균형을 잃고 미끄러져 안전사고가 발생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However, even when the left side lid is used, there is an inconvenience that the patient should always be assisted by other persons who are in need of physical movement, weak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weak persons with weak leg strength. In particular, there is a case in which a safety accident occurs due to a lack of balance due to a lack of supporting force when seating or standing in a left side lid.
한편, 기존 좌변기의 경우 손잡이나 팔걸이 등을 부가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안전장치로 이용하는 경우가 있으나, 통상적으로 좌변기에서 앉아서 용무를 볼 때 사용자는 후방의 수세용 물통 벽에 등을 기대고 앉아서 용무를 보게 되므로, 신체 거동이 부자유스러운 중증의 환자나 장애인 및 하체 근력이 약한 노약자들의 경우 죄우 및 전방으로 몸을 의탁하기가 어려워 용변시에도 도우미가 바로 옆에서 몸을 부축해야 하는 경우가 다반사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toilet seat, a handle or an armrest is added to prevent a safety accident. However, when sitting on the toilet seat, the user usually sits back against the wall of the water container Therefore, it is common for the assistant and the assistant to support the body in the side of the body when it is difficult for the patient and the handicapped and the elderly who are weak in body strength to have difficulty to move to the front side.
따라서, 노약자나 환자 및 장애인들에게는 물론이고 고령화시대에 대응하여 고령의 노인세대가 좌변기에서 용무를 볼 때 혼자서도 안전하게 보호된 상태로 용부를 볼 수 있도록 보조해주기 위한 안전장치 등의 부대시설이 설치가 시급하게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이 점증하고 있다.Therefore, in addition to the elderly, patients and disabled people, and in the age of aging, an elderly elderly household is equipped with additional facilities such as a safety device for assisting the elderly person in the room to safely protect himself or herself There is a growing need to be done urgently.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배경하에서 도출된 것으로서, 상술한 배경 기술의 문제점은 본 출원인이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내용으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지된 내용이라 할 수는 없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technical background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background art described above, It can not be said to have been publicly known to the general public before.
(특허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01874호(Patent Document 1)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301874
(특허문헌 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65556호(Patent Document 2)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965556
(특허문헌 3)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29804호(Patent Document 3)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0-0029804
(특허문헌 4)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13431호(Patent Document 4)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313431
(특허문헌 5)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1-0002978호(Patent Document 5)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11-0002978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좌변기가 지니고 있는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목적은 환자나 장애인 및 노약자 등의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들의 안전과 보호를 위한 부대시설로 제공되는 벽 부착식 좌변기 안전 보호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inherent in the conventional toilet seat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uxiliary facility for safety and protection of users who are inconvenienced by patients, To provide a wall-mounted toilet seat safety guar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좌변기 후방 벽체에 간편하고 경제적인 시설물로 제공할 수 있는 벽 부착식 좌변기 안전 보호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ll-mounted toilet seat safety guard which can be provided as a simple and economical facility to a left-rear rear wall.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중증의 환자나 장애인 등의 신체부자유자를 안전하게 보호한 상태에서 자립적인 착석 용변이 가능하도록 보조해 줄 수 있는 벽 부착식 좌변기 안전 보호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all-mounted toilet seat safety guard which can assist an independent seat occupant while safely protecting a physical incontinence such as a serious patient or a disabled person.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벽 부착식 좌변기 안전 보호대는, 좌변기의 후방 벽체에 일정한 높이 돌출된 상태로 설치되도록 형성된 프레임 유닛과; 상기 좌변기에 착석한 사용자를 홀딩하여 구속하도록 상기 프레임 유닛에 회동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는 홀더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all-mounted toilet seat safety guard comprising: a frame unit configured to be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height protruding from a rear wall of a left side; And a holder frame rotatably mounted on the frame unit for holding and restraining a user seated at the left side of the frame.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 유닛은 상기 좌변기의 후방 벽체에 대해 일정한 높이 돌출된 상태로 설치되도록 형성된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양측단부에 각각 돌출되도록 구비된 1쌍의 플랜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rame unit includes a base frame configured to be installed with a predetermined height protruded from the rear wall of the left side lid, and a pair of flange portions projected from both side ends of the base frame, respectively do.
그리고, 상기 홀더 프레임은 고정단이 상기 각 1쌍의 플랜지부의 사이에 힌지 구조로 결합되어 회동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며, 자유단은 상기 좌변기에 대해 선택적으로 근접 및 이격되게 승강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holder frame is installed so that the fixed end thereof is coupled with each of the pair of flange portions by a hinge structure so as to be rotatable, and the free end is provided so as to be selectively moved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left- Do.
상기 홀더 프레임은 단일의 프레임 바아가 대칭형으로 굴곡되도록 성형되어 일측이 개구된 말발굽 형상의 홀더 구조로 형성되며, 자유단을 이루는 끝단부는 상기 좌변기에 착석한 사용자의 복부 주위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holder frame is formed in a holder structure of a horseshoe shape having a single frame bar formed so as to be symmetrically bent so as to be open at one side thereof, and an end portion constituting a free end is formed around the abdomen of the user who is seated at the left side Do.
그리고, 상기 홀더 프레임에는 상기 좌변기에 착석한 사용자의 가슴 주위에 위치하도록 구비되는 지지 프레임이 더 구비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The holder frame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frame disposed around the chest of the user who is seated at the left side.
또한, 상기 지지 프레임은 일단이 상기 홀더 프레임의 일측에 회동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홀더 프레임의 타측에 구비된 결합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The support frame may have a configuration in which one end of the support frame is rotat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holder frame and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frame is detachably coupled to an engagement pin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holder frame.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상기 지지 프레임에는 쿠션 롤러가 더 구비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ing frame may further include a cushion roller.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홀더 프레임은 고정단이 연결축에 의해 연결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 유닛에 구비된 구동부에 의해 회동하여 승강 구동하도록 제어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lder frame is installed such that the fixed ends thereof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connecting shaft, and is rotatable by the driving unit provided in the frame unit to be controlled to be elevated and lowered.
상기 구동부는, 상기 프레임 유닛에 설치되는 구동모터와, 그 구동모터의 출력축단에 구비된 피니언과, 상기 홀더 프레임의 연결축단에 구비된 종동기어 및 상기 피니언과 종동기어를 연결하도록 설치된 벨트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The drive unit includes a drive motor provided in the frame unit, a pinion provided at an output shaft end of the drive motor, a driven gear provided at a connection shaft end of the holder frame, and a belt member provided to connect the pinion and the driven gear And the like.
본 발명에 따른 벽 부착식 좌변기 안전 보호대에 따르면, 환자나 장애인 및 노약자 등의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들이 홀더 프레임에 신체를 의탁한 채로 안전하게 보호된 상태에서 자립적으로 착석하여 용변을 볼 수 있으므로, 대폭 향상된 안전성과 편의성 및 실용성을 높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wall-mounted type toilet seat safety gu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rs who are inconvenienced by patients, disabled persons, and elderly people can sit comfortably in a state of being safely protected from the body of the holder frame, Safety, convenience and practicality can be improv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벽 부착식 좌변기 안전 보호대는 좌변기 후방 벽체에 단순 용이하고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부대시설물로 제공할 수 있으므로 경제성과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Further, the wall-mounted toilet seat safety gu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ovided as an auxiliary facility which can be simply and easily installed on the left rear wall, thereby improving the economy and convenien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벽 부착식 좌변기 안전 보호대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벽 부착식 좌변기 안전 보호대의 사용상태를 예시해 보인 개략적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벽 부착식 좌변기 안전 보호대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일부 절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벽 부착식 좌변기 안전 보호대에 구비되는 홀더 프레임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wall-mounted left-hand side safety gu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side view illustrating the use state of a wall-mounted toilet seat safety gu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wall-mounted toilet seat safety guar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holder frame provided in the wall-mounted toilet seat safety gu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벽 부착식 좌변기 안전 보호대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내용과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따른 기술 구성과 그 동작 상태를 이해하기 위한 것이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부분은 생략될 수 있다.Hereinafter, a wall-mounted toilet seat safety gu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for understanding the technical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peration state thereof, and parts that can be easily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be omitted.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벽 부착식 좌변기 안전 보호대(100)는, 욕실이나 화장실에 설치되는 좌변기(10)의 후방 벽체(11)에 설치되는 프레임 유닛(110)과, 상기 좌변기(10)에 착석한 사용자를 홀딩하여 구속하도록 상기 프레임 유닛(110)에 회동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는 홀더 프레임(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1 and 2, a wall-mounted toilet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 유닛(110)은 좌변기(10)의 후방 벽체(11)에 대해 일정한 높이 돌출된 상태로 설치되도록 형성된 베이스 프레임(111)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111)의 양측단부에 각각 돌출되도록 구비된 1쌍의 플랜지부(112)(113)를 포함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기 베이스 프레임(111)과 플랜지부(112)(113)는 일체적으로 형성된 패널 형태의 성형 구조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형상 구조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상기 베이스 프레임(111)은 예를 들어 앵커 볼트 등의 체결구를 이용하여 욕실이나 화장실의 벽체에 고정된 상태로 설치된다. 여기서, 도면의 미설명 참조 부호 111a는 앵커 볼트와 같은 체결구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공(도면부호 없음)이 구비된 결합편을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참조 부호 112a는 상기 홀더 프레임(120)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상승시킨 상태로 세팅해 놓을 때, 자중에 의한 하강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홀더 프레임(12)을 구속하기 위해 플랜지부(112)(113)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스토퍼를 나타낸 것이다.The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상기 홀더 프레임(120)은 도 1 및 도 2에 예시한 바와 같이 단일의 프레임 바아가 대칭형으로 굴곡되도록 성형되어 일측이 개구된 말발굽 형상의 홀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기 홀더 프레임(120)은 고정단이 상기 각 1쌍의 플랜지부(112)(113)의 사이에 힌지(h) 구조로 결합되어 회동 가능한 상태로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홀더 프레임(120)의 회동시 자유단은 좌변기(10)에 대해 선택적으로 근접 및 이격되도록 승강 운동하도록 설치된 구성을 가진다.The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홀더 프레임(120)은 자유단을 이루는 끝단부가 좌변기(10)에 착석한 사용자의 복부 주위에 위치하여 구속하는 상태로 가이드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상기 홀더 프레임(120)은 예를 들면 원형이나 다각형의 바아(bar) 구조체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형상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비록 도면에서는 상기 홀더 프레임(120)이 사각 파이프 구조체의 형상으로 예시하였으나, 그 형상 구조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안전성을 고려하여 원형 바아 구조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lthough the
도 4는 상기 홀더 프레임(120)이 다양한 형태의 형상 구조로 형성된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음을 예시해 보인 것이다.FIG. 4 illustrates an embodiment in which the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홀더 프레임(120)은 회동 구조를 위한 힌지(h)나 고정용 스토퍼(S) 등의 부품을 용이하게 결합하기 위하여 부분적으로 원형 바아나 각형 바아 등을 혼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 유닛(110)과 홀더 프레임(120)은 욕실이나 화장실의 부재시설로 설치되는 점을 고려하여 일정한 강도를 지니는 동시에 습기나 수분에 대한 내식성이 뛰어난 스테인리스 파이프나 공업용 플래스틱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홀더 프레임(120)에는 좌변기(10)에 착석한 사용자의 가슴 주위에 위치하여 구속하는 형태로 가이드하기 위해 구비되는 지지 프레임(121)이 더 구비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상기 지지 프레임(121)은 도 1에 예시해 보인 바와 같이 일단이 상기 홀더 프레임(120)의 일측에 회동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홀더 프레임(120)의 타측에 구비된 결합핀(P)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도면의 미설명 부호 121a는 결합핀(P)에 걸리도록 지지 프레임(121)의 선단부에 형성된 결합홈을 나타낸다.1, one end of th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면으로 예시해 보이지는 않았으나, 상기 지지 프레임(121)은 예를 들어 바아 형태의 프레임이 상기 홀더 프레임(120)을 가로지르도록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not illustrated in the drawing, the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지지 프레임(121)에는 도 3에 예시해 보인 바와 같이 쿠션 롤러(122)가 더 구비되는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기 쿠션 롤러(113)는 상기 홀더 프레임(120)의 하강된 상태로 세팅될 때 좌변기(10)에 착석한 사용자의 가슴 주위가 자연스럽게 밀착되도록 구속하여 안정된 상태로 가이드해 줌으로써, 사용자가 신체를 의지할 수 있도록 지지해 주는 역할과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When the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벽 부착식 좌변기 안전 보호대(100)에 따르면, 환자나 장애인 및 노약자 등의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들이 좌변기(10)에 착석하여 용변을 보게 되는 경우에 있어서 도 2에 예시해 보인 바와 같이 상기 홀더 프레임(120)을 하강시켜 사용자의 신체가 감싸지도록 홀딩시킨 상태에서 용변을 볼 수 있도록 해주게 된다. 이에 따라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가 상기 홀더 프레임(120)에 몸을 의탁한 채로 안전하게 보호된 상태에서 자립적으로 착석하여 용변을 볼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wall-mounted type toilet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홀더 프레임(120)은 상기 프레임 유닛(110)에 구비된 구동부(130)에 의해 회동하게 설치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상기 구동부(130)는 상기 프레임 유닛(110)의 플랜지(112)에 내장되도록 설치되는 정역회전 구동이 가능한 구동모터(131)와, 그 구동모터(131)의 출력축단에 구비된 피니언(132)과, 상기 홀더 프레임(120)의 고정단을 연결하는 회전축(135)과, 그 회전축(135)의 일단에 구비되는 종동기어(134) 및 상기 피니언(132)과 종동기어(134)를 연결하는 벨트부재(13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상기 구동모터(131)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좌변기(10)의 주위 벽체에 설치되는 스위치 패널(140)의 온(on)/오프(off) 조작을 통해 상기 홀더 프레임(120)의 회동을 제어할 수 있다.The
즉, 좌변기(10)의 사용자 또는 보호자가 스위치 패널(140)의 승강 또는 하강버튼 조작을 통해 상기 구동모터(131)를 구동시키면, 구동모터(131)의 출력축단에 구비된 피니언(132)과 벨트부재(133) 및 종동기어(134)에 의한 동력전달 구조를 통하여 홀더 프레임(120)의 회전축(135)이 회전하면서 홀더 프레임(120)의 자유단이 하강 또는 승강하여 좌변기(10)에 착석한 사용자를 홀딩하여 구속하거나 해제하도록 세팅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가 상기 홀더 프레임(120)에 몸을 의탁한 채로 안전하게 보호된 상태에서 자립적으로 착석하여 용변을 볼 수 있게 된다.That is, when the user or the protector of th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예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is to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and such modifications are intende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10 : 프레임 유닛 111 : 베이스 프레임
112, 113 : 플랜지부 120 : 홀더 프레임
121 : 지지 프레임 122 : 쿠션 롤러
130 : 구동부 131 : 구동 모터
132 : 피니어 133 : 벨트부재
134 : 종동기어 135 : 회전축
S : 스토퍼110: frame unit 111: base frame
112, 113: flange portion 120: holder frame
121: support frame 122: cushion roller
130: driving part 131: driving motor
132: Finer 133: Belt member
134: driven gear 135:
S: Stopper
Claims (8)
상기 좌변기에 착석한 사용자를 홀딩하여 구속하도록 상기 프레임 유닛에 회동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는 홀더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부착식 좌변기 안전 보호대.A frame unit configured to be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height protruding from the rear wall of the left side;
And a holder frame rotatably mounted on the frame unit for holding and restraining a user seated at the left-hand side of the frame.
상기 프레임 유닛은 상기 좌변기의 후방 벽체에 대해 일정한 높이 돌출된 상태로 설치되도록 형성된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양측단부에 각각 돌출되도록 구비된 1쌍의 플랜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홀더 프레임은 고정단이 상기 각 1쌍의 플랜지부의 사이에 힌지 구조로 결합되어 회동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며, 자유단은 상기 좌변기에 대해 선택적으로 근접 및 이격되게 승강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부착식 좌변기 안전 보호대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rame unit includes a base frame configured to be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height protruded from the rear wall of the left side lid and a pair of flange portions projected from both side ends of the base frame,
Wherein the holder frame is installed such that the fixed end thereof is rotatably engaged with the pair of flange portions by a hinge structure, and the free end is provided so as to be selectively moved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left- Wall-mounted toilet seat safety guard
상기 홀더 프레임은 단일의 프레임 바아가 대칭형으로 굴곡되도록 성형되어 일측이 개구된 말발굽 형상의 홀더 구조로 형성되며, 자유단을 이루는 끝단부는 상기 좌변기에 착석한 사용자의 복부 주위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부착식 좌변기 안전 보호대3. The method of claim 2,
The holder frame is formed in a holder structure of a horseshoe shape in which a single frame bar is formed so as to be symmetrically bent so as to open at one side thereof and an end portion constituting a free end is formed around the abdomen of the user who is seated at the left side Wall-mounted toilet seat safety guard
상기 홀더 프레임에는 상기 좌변기에 착석한 사용자의 가슴 주위에 위치하도록 구비되는 지지 프레임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부착식 좌변기 안전 보호대.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older frame is further provided with a support frame disposed around the chest of the user who is seated at the left-hand side.
상기 지지 프레임은 일단이 상기 홀더 프레임의 일측에 회동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홀더 프레임의 타측에 구비된 결합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부착식 좌변기 안전 보호대.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one end of the support frame is rotat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holder frame and the other end is detachably coupled to an engagement pin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holder frame.
상기 지지 프레임에는 쿠션 롤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부착식 좌변기 안전 보호대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support frame is further provided with a cushion roller.
상기 홀더 프레임은 고정단이 연결축에 의해 연결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 유닛에 구비된 구동부에 의해 회동하여 승강 구동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부착식 좌변기 안전 보호대.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older frame is installed so that the fixed ends thereof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connecting shaft, and is controlled to be rotated by the driving unit provided to the frame unit to be driven to ascend and descend.
상기 프레임 유닛에 설치되는 정역구동이 가능한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출력축단에 구비된 피니언과;
상기 홀더 프레임의 연결축단에 구비된 종동기어; 및
상기 피니언과 종동기어를 연결하도록 설치된 벨트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부착식 좌변기 안전 보호대.8.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7,
A driving motor provided in the frame unit and capable of forward and reverse driving;
A pinion provided at an output shaft end of the drive motor;
A driven gear provided at a connecting shaft end of the holder frame; And
And a belt member installed to connect the pinion and the driven gear to each oth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81791A KR20160145346A (en) | 2015-06-10 | 2015-06-10 | A holder type safety guide device for a toilet bow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81791A KR20160145346A (en) | 2015-06-10 | 2015-06-10 | A holder type safety guide device for a toilet bowl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45346A true KR20160145346A (en) | 2016-12-20 |
Family
ID=57734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81791A Ceased KR20160145346A (en) | 2015-06-10 | 2015-06-10 | A holder type safety guide device for a toilet bow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60145346A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797737A (en) * | 2018-05-07 | 2018-11-13 | 王治又 | A kind of children special-purpose toilet seat |
KR102452397B1 (en) * | 2022-03-30 | 2022-10-07 | 주식회사 우연애드 | Toilet seat supporter with falling prevention function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13431Y1 (en) | 2003-02-06 | 2003-05-16 | 이승훈 | The armrest for lauatory pan |
KR20100029804A (en) | 2010-02-19 | 2010-03-17 | 신주철 | A safety device for a toilet bowl |
KR100965556B1 (en) | 2009-06-18 | 2010-06-23 | 이성현 | Safety handle for water closet |
KR20110002978U (en) | 2009-09-17 | 2011-03-23 | 장범진 | Wall fixed toillet bowel cushion supportfor disabled |
KR101301874B1 (en) | 2012-05-17 | 2013-08-29 | 홍순진 | Toilet stools with armrest |
-
2015
- 2015-06-10 KR KR1020150081791A patent/KR20160145346A/en not_active Ceased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13431Y1 (en) | 2003-02-06 | 2003-05-16 | 이승훈 | The armrest for lauatory pan |
KR100965556B1 (en) | 2009-06-18 | 2010-06-23 | 이성현 | Safety handle for water closet |
KR20110002978U (en) | 2009-09-17 | 2011-03-23 | 장범진 | Wall fixed toillet bowel cushion supportfor disabled |
KR20100029804A (en) | 2010-02-19 | 2010-03-17 | 신주철 | A safety device for a toilet bowl |
KR101301874B1 (en) | 2012-05-17 | 2013-08-29 | 홍순진 | Toilet stools with armrest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797737A (en) * | 2018-05-07 | 2018-11-13 | 王治又 | A kind of children special-purpose toilet seat |
KR102452397B1 (en) * | 2022-03-30 | 2022-10-07 | 주식회사 우연애드 | Toilet seat supporter with falling prevention function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480100B2 (en) | Shower chair/walker combination | |
JP5497888B2 (en) | Toilet seat for walker | |
KR101013566B1 (en) | Seating and standing aids | |
US20110131720A1 (en) | Wall Mounted Lift Chair | |
KR20170088245A (en) | Bath chair for the elderly or the disabled | |
US20060048296A1 (en) | Lifting toilet seat | |
KR20160145346A (en) | A holder type safety guide device for a toilet bowl | |
JP4434923B2 (en) | Western-style toilet aids | |
JP3825633B2 (en) | Toilet handle rail support | |
WO2013158321A1 (en) | Shower chair/walker combination | |
JP3224115U (en) | Standing assistance chair | |
KR20100029804A (en) | A safety device for a toilet bowl | |
JP2765106B2 (en) | Toilet bowl unit | |
KR20090048769A (en) | Left and right handicapped handle | |
KR200425324Y1 (en) | Bathroom Attachable Folding Chair | |
JPH02111367A (en) | Chair for stool and toilet stool | |
KR102682368B1 (en) | Safety device for preventing falls in the toilet for the socially disadvantaged | |
JP2014012069A (en) | Wheelchair with toilet seat | |
JP7434429B2 (en) | handrail device | |
JP3167780U (en) | Shower chair | |
JPH10127511A (en) | Simple foldable bathtub and foldable bathing chair | |
JPH11262504A (en) | Aid for standing up sitting down | |
JP2788627B2 (en) | Bath aid | |
CA2501171A1 (en) | Safety bath and shower mat | |
JP3083173U (en) | Revolving chair for nursing bath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61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5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6112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6050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