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60144956A - 조명 장치, 및, 이 조명 장치가 장착되어 이루어지는 액자 - Google Patents

조명 장치, 및, 이 조명 장치가 장착되어 이루어지는 액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4956A
KR20160144956A KR1020167020154A KR20167020154A KR20160144956A KR 20160144956 A KR20160144956 A KR 20160144956A KR 1020167020154 A KR1020167020154 A KR 1020167020154A KR 20167020154 A KR20167020154 A KR 20167020154A KR 20160144956 A KR20160144956 A KR 201601449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llumination
predetermined time
lamp
control
turn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0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즈오 나카노
Original Assignee
유겐가이샤 에이지 잉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겐가이샤 에이지 잉크 filed Critical 유겐가이샤 에이지 잉크
Priority to KR10202170303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5027B1/ko
Publication of KR201601449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4956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24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F21V33/0028Decorative household equipment, e.g. plant holders or food dummies
    • F21V33/0032Paintings, pictures or photographs; Fram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1/0616Ornamental frames, e.g. with illumination, speakers or decorative features
    • A47G1/0622Ornamental frames, e.g. with illumination, speakers or decorative features with illumination
    • H05B37/0236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05B47/11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by determining the presence or movement of objects or living beings
    • H05B47/12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by determining the presence or movement of objects or living beings by detecting audible soun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55Coordinated control of two or more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30Lighting for domestic or personal use
    • F21W2131/304Lighting for domestic or personal use for pictur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10/00Aspects or methods of musical processing having intrinsic musical character, i.e. involving musical theory or musical parameters or relying on musical knowledge, as applied in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10/031Musical analysis, i.e. isolation, extraction or identification of musical elements or musical parameters from a raw acoustic signal or from an encoded audio signal
    • G10H2210/046Musical analysis, i.e. isolation, extraction or identification of musical elements or musical parameters from a raw acoustic signal or from an encoded audio signal for differentiation between music and non-music signals, based on the identification of musical parameters, e.g. based on tempo detect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10/00Aspects or methods of musical processing having intrinsic musical character, i.e. involving musical theory or musical parameters or relying on musical knowledge, as applied in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10/031Musical analysis, i.e. isolation, extraction or identification of musical elements or musical parameters from a raw acoustic signal or from an encoded audio signal
    • G10H2210/051Musical analysis, i.e. isolation, extraction or identification of musical elements or musical parameters from a raw acoustic signal or from an encoded audio signal for extraction or detection of onsets of musical sounds or notes, i.e. note attack timing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005Non-interactive screen display of musical or status data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155User input interfaces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20/405Beam sensing or control, i.e. input interfaces involving substantially immaterial beams, radiation, or fields of any nature, used, e.g. as a switch as in a light barrier, or as a control device, e.g. using the theremin electric field sensing principle
    • G10H2220/411Light beam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50/00Aspects of algorithms or signal processing methods without intrinsic musical character, yet specifically adapted for or used in electrophonic musical processing
    • G10H2250/131Mathematical functions for musical analysis, processing, synthesis or composition
    • G10H2250/215Transforms, i.e. mathematical transforms into domains appropriate for musical signal processing, coding or compression
    • G10H2250/235Fourier transform; Discrete Fourier Transform [DFT]; Fast Fourier Transform [FFT]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5/00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 G10L25/03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extracted parameters
    • G10L25/18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extracted parameters the extracted parameters being spectral information of each sub-band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5/00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 G10L25/78Detection of presence or absence of voice sign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Multimedia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 Supplying Of Containers To The Packaging Station (AREA)
  • Securing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Or The Lik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현장감이 풍부한 음원으로 회화 등의 감상을 즐기고 싶다는 감상자의 요망에 충분히 응할 수 있는 조명 장치, 및, 이 조명 장치가 장착되어 이루어지는 액자를 제공한다.
조명 장치는, 음성 신호를 외부로부터 수신 가능한 신호 수신부(50)와, 음성 신호 내에서 연속되는 협화음을 연주곡으로서 추출 가능한 연주곡 추출부(60)와, 연주곡 추출부(60)의 추출 결과에 따라, 연주곡의 연주 개시/연주 종료를 검출 가능한 연주 상태 검출부(70)와, 자외선을 조사 가능한 제1 조명등과, 백색광을 조사 가능한 제2 조명등과, 제1 조명등의 점등/소등을 제어함과 함께, 제2 조명등의 점등/소등 그리고 조도를 제어 가능한 조명 제어부(23)를 구비하고, 연주 개시의 검출에 응답하여 제1 및 제2 조명등을 점등시킴과 함께, 연주 종료의 검출에 응답하여 제1 및 상기 제2 조명등을 소등시킨다.

Description

조명 장치, 및, 이 조명 장치가 장착되어 이루어지는 액자 {Lighting device and frame with said lighting device attached thereto}
본 발명은, 회화나 포스터, 또는, 그 복제품(이하, 회화 등이라고 한다)을 조사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조명 장치에 관한 기술 분야 및 이러한 조명 장치가 장착된 액자에 관한 기술 분야에 속하는 것이다.
종래에, 자외선에 의해 발광 또는 반사되는 특수한 도료를 사용하여, 예를 들어 주간의 풍경과 야간의 풍경을 동시에 표현한 회화 등을 조명하기 위한 조명 장치가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이 종류의 조명 장치에서는, 주간의 풍경과 야간의 풍경의 차이가 충분히 표현되도록 배려되어 있다. 또한, 이 종류의 조명 장치는, 주간의 풍경으로부터 야간의 풍경으로 서서히 변화하는 자연의 변화에 대응한 상태에서 회화 등의 감상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며, 회화 등의 감상자에 대하여 현장감을 자아낼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JP 2880476 B
그런데 회화 등의 감상자 중에는, 회화 등에 상응한 연주곡을 들으면서 회화 등의 감상을 즐기고 싶다고 바라는 자, 또는, 마음에 드는 연주곡을 들으면서 회화 등의 감상을 즐기고 싶다고 바라는 자가 존재한다. 즉, 회화 등의 감상자 중에는, 연주곡을 들으면서 현장감이 풍부한 음원으로 회화 등의 감상을 즐기고 싶다고 바라는 자가 존재한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조명 장치에서는, 자연의 변화에 대응한 상태에서 회화 등의 감상을 즐기고 싶다는 감상자의 요망에 응할 수는 있어도, 연주곡을 들으면서 현장감이 풍부한 음원으로 회화 등의 감상을 즐기고 싶다는 감상자의 요망에 충분히 응할 수는 없었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현장감이 풍부한 음원으로 회화 등의 감상을 즐기고 싶다는 감상자의 요망에 충분히 응할 수 있는 조명 장치, 및, 이 조명 장치가 장착되어 이루어지는 액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1) 본 발명의 조명 장치는, 음성 신호를 외부로부터 수신 가능한 신호 수신부와, 상기 음성 신호 내에서 연속되는 협화음을 연주곡으로서 추출 가능한 연주곡 추출부와, 상기 연주곡 추출부의 추출 결과에 따라, 상기 연주곡의 연주 개시/연주 종료를 검출 가능한 연주 상태 검출부와, 자외선을 조사 가능한 제1 조명등과, 백색광을 조사 가능한 제2 조명등과, 상기 제1 조명등의 점등/소등을 제어함과 함께, 상기 제2 조명등의 점등/소등 그리고 조도를 제어 가능한 조명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조명 제어부가, 상기 제2 조명등에 대해서는, 소등 상태에서 미리 설정된 제1 소정 시간 내에 있어서 서서히 조도를 증대시키고, 상기 제1 소정 시간에 이어지는 미리 설정된 제2 소정 시간 내에 있어서 최대 조도를 유지시키고, 상기 제2 소정 시간에 이어지는 미리 설정된 제3 소정 시간 내에 있어서 서서히 조도를 감소시키고, 상기 제3 소정 시간에 이어지는 미리 설정된 제4 소정 시간 내에 있어서 소등 상태를 유지시키는 패턴을 반복하는 제어를 행하고, 상기 제1 조명등에 대해서는, 상기 제2 조명등이 점등되어 있는 동안의 미리 설정된 제5 소정 시간 내에 있어서 소등시키고, 상기 제2 조명등이 소등되어 있는 동안을 포함하는 미리 설정된 제6 소정 시간 내에 있어서 점등시키는 패턴을 반복하는 제어를 행함과 함께, 상기 연주 상태 검출부에서의 상기 연주 개시의 검출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및 상기 제2 조명등을 점등시킴과 함께, 상기 연주 상태 검출부에서의 상기 연주 종료의 검출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및 상기 제2 조명등을 소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여기에서의 "음성 신호"란, 연주곡에 잡음이 부가된 신호를 말하는 것이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음성 신호 내에서 연속되는 협화음이 연주곡목의 음색으로서 상기 연주곡 추출부에서 추출되지만, 상기 음성 신호 내에 있는 불연속의 불협화음은, 사람이 걷는 소리 또는 환경음 등인 것으로 상기 연주곡 추출부에서의 추출은 행하여지지 않는다.
상기 (1)의 구성에 의하면, 백색광을 조사 가능한 제2 조명등이 경시적으로 조도를 증대 및 감소시키는 소정의 제어 패턴을 복원함과 함께, 이 제2 조명등이 점등되어 있는 동안의 소정의 시간 내에 있어서는, 자외선을 조사 가능한 제1 조명등이 소등된다. 그러므로 이 조명 장치 등은, 자외선의 조사에 의해 발광 또는 자외선을 반사하는 특수한 도료가 부분적으로 도포된 회화 등에 대하여 사용됨으로써, 상기 회화 등에서의 표현의 변화를 매우 높은 현장감 및 큰 의외성을 가지고 관찰자에게 인식시킬 수 있고, 나아가서는, 관찰자에게 큰 릴랙세이션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1)의 구성에 의하면, 조명 제어부가, 연주 상태 검출부에서의 연주 개시의 검출에 응답하여 제1 및 제2 조명등을 점등시킴과 함께, 연주 상태 검출부에서의 연주 종료의 검출에 응답하여 제1 및 제2 조명등을 소등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연주곡을 들으면서 현장감이 풍부한 음원으로 회화 등의 감상을 즐기고 싶다는 감상자의 종래로부터의 요망에 충분히 응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감상자는, 상기 회화 등을 감상하면서 연주곡을 들음으로써, 한층 더 큰 릴랙세이션을 얻을 수 있다.
(2) 상기 (1)의 조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주곡 추출부는, 상기 음성 신호의 데이터에 푸리에 변환을 적용하여 주파수 데이터를 생성 가능한 데이터 변환부와, 상기 연속되는 협화음에 대응하는 특정 대역의 데이터를 상기 주파수 데이터로부터 추출 가능한 대역 추출부와, 상기 대역 추출부에서의 상기 특정 대역의 데이터의 추출에 응답하여, 상기 음성 신호 내에 상기 연주곡이 있다고 판단하는 연주곡 유무 판단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2)의 구성에 의하면, 연속되는 협화음에 대응하는 특정 대역의 데이터를 주파수 데이터로부터 추출 가능한 대역 추출부를 구비하기 때문에, 연주곡 유무 판단부는, 대역 추출부의 추출 결과를 보는 것만으로, 음성 신호 내에서의 연주곡의 유무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3) 상기 (2)의 조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주 상태 검출부는, 상기 연주곡 유무 판단부에서 상기 음성 신호 내에 상기 연주곡이 있다고 판단되었을 때는, 상기 연주 개시를 검출하고, 상기 대역 추출부에서 상기 특정 대역의 데이터가 추출되지 않는 상태가 미리 정해진 시간만큼 계속되었을 때는, 상기 연주 종료를 검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3)의 구성에 의하면, 연주 상태 검출부는, 연주곡 유무 판단부/대역 추출부의 각 출력에 따라, 연주 개시/연주 종료를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다.
(4) 상기 (1)∼(3)의 조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명 제어부는, 복수의 제어 패턴이 기억되어 이루어지는 기억 장치를 구비하고, 이들 복수의 제어 패턴의 선택 중 어느 하나의 제어 패턴을 선택하여, 선택된 하나의 제어 패턴에 따른 제어를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4)의 구성에 의하면, 복수의 제어 패턴이 기억되어 이루어지는 기억 장치를 구비하기 때문에, 이들 복수의 제어 패턴 중 어느 하나의 제어 패턴을 선택하여, 선택된 하나의 제어 패턴에 따른 제어를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져, 한 장의 회화 등의 경시적인 변화의 베리에이션을 넓힐 수 있다.
(5) 상기 (1)∼(4)의 조명 장치에 있어서, 조작 신호를 발신하는 송신 장치와, 상기 송신 장치로부터의 조작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조명 제어부에 공급하는 수신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조명 제어부는, 상기 조작 신호에 따라, 제어 패턴의 선택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5)의 구성에 의하면, 송신 장치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제어 패턴을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회화 등으로부터 떨어진 소파로부터의 조작에 의해, 임의의 제어 패턴을 선택 조작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한 것으로 할 수 있다.
(6) 상기 (1)∼(5)의 조명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발광색으로 발광하는 표시등을 구비하고, 상기 표시등은,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어 패턴에 따라, 각 제어 패턴에 대응한 발광색으로 발광하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6)의 구성에 의하면, 선택된 각 제어 패턴에 대응하여 발광색이 발광되는 표시등에 의해, 현재의 제어 패턴을 눈으로 볼 수 있다.
(7) 상기 (1)∼(6)의 조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조명등은, 자외선등, 및 자외선 LED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7)의 구성에 의하면, 조명 장치의 사용 상황에 따라, 상기 제1 조명등을, 자외선등, 및 자외선 LED 중 어느 하나로부터 선택하여 구성할 수 있다.
(8) 상기 (1)∼(7)의 조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조명등은, 백열등, 및 백색 LED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8)의 구성에 의하면, 조명 장치의 사용 상황에 따라, 상기 제2 조명등을, 백열등, 및 백색 LED 중 어느 하나로부터 선택하여 구성할 수 있다.
(9) 본 발명의 액자는, 상기 (1)∼(8)의 조명 장치 중 어느 하나의 조명 장치가 장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9)의 구성에 의하면, 상기 (1)∼(8)의 조명 장치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조명 장치, 및, 이 조명 장치가 장착되어 이루어지는 액자에 의하면, 연주곡을 들으면서 현장감이 풍부한 음원으로 회화 등의 감상을 즐기고 싶다는 감상자의 요망에 충분히 응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감상자는, 상기 회화 등을 감상하면서 연주곡을 들음으로써, 한층 더 큰 릴랙세이션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장치가 액자에 장착된 상태와, 백열등의 조도가 최대인 상태에서의 회화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조명 장치에 대하여 사용되는 리모컨 발신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조명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4는 조명 장치에서의 제어 회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제어 회로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조명 장치에서의 제어 회로의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7은 루틴 처리에서의 제어 회로의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8은 자외선등 및 백열등의 조도의 경시적 변화의 일례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는 도 8에 나타내는 제어 패턴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장치가 액자에 장착된 상태와, 백열등이 소등된 상태에서의 회화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장치, 및, 이 조명 장치가 장착되어 이루어지는 액자의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조명 장치(1)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외선에 의해 발광 또는 자외선을 반사하는 특수한 도료를 일부에 사용하여, 그려진 회화(P)를 유지한 액자(F)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것이다. 이 실시형태에서 나타내는 회화(P)는, 해안의 풍경을 그린 것으로, 태양, 산, 바다, 야자수 등이, 종래 사용되고 있는 통상의 도료에 의해 그려져 있음과 함께, 상기 태양을 나타내는 원 형상의 도형(P1) 안에는, 상기 특수한 도료에 의해, 초승달 형상의 도형(P2)이 그려져 있다. 또한 회화(P)에 있어서는, 상기 특수한 도료에 의해 등대의 빛을 나타내는 도형(P3) 및 상기 초승달로부터의 달빛이 해면에 반사된 도형(P4)이 그려져 있다. 또한, 이들 특수한 도료에 의해 그려진 각 도형(P2, P3, 및, P4)은, 도 1 중에 있어서 파선으로 나타낸다.
그리고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조명 장치(1)는, 상기 액자(F)의 상면에 재치 고정되는 장치 본체(2)와, 이 장치 본체(2)의 좌측에 기단이 고정된 제1 아암(3)과, 상기 장치 본체(2)의 우측에 기단이 고정된 제2 아암(4)과, 상기 제1 및 제2 아암(3, 4)의 선단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이루어지는 조명부(5)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장치 본체(2)는, 후술하는 제1 및 제2 조명등을 점등 또는 소등하는 조명 제어부가 되는 제어 회로(23)(도 4 참조)를 내장하고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아암(3, 4)은, 각각 원호 형상으로 성형되어, 내부는 공동으로 되어 있음과 함께, 이들 공동으로 된 제1 및 제2 아암(3, 4) 내에는, 도시하지 않은 리드선이 배선되어 있다. 또한, 이 리드선은, 상기 제어 회로(23)(도 4 참조)와, 조명부(5) 내에 설치된 제1 조명등으로서의 자외선등(블랙라이트)(15)(도 3 참조) 및 제2 조명등으로서의 제1 백열등(16)∼제4 백열등(19)(도 3 참조)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아암(3, 4)의 선단 부분에 장착된 조명부(5)는, 금속 또는 합성 수지 등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며, 두 개의 원호 형상부(6a, 6b)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갓부(6)를 가지고 있다. 이 갓부(6) 내에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갓부(6)의 전방 내측면에 나사(7)를 개재하여(즉, 매개로) 고정된 가늘고 긴 전측 장착 부재(8)와, 이 갓부(6)의 후방 내측면에 나사(7)를 개재하여 고정되어 상기 전측 장착 부재(8)와 평행한 가늘고 긴 후측 장착 부재(9)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전측 장착 부재(8) 및 후측 장착 부재(9)의 좌우 양단측에는, 나사(10)를 개재하여, 좌우의 폐색판(11, 12)이 고정되어 있다. 이들 좌우의 폐색판(11,12)의 이면측에는, 접속 단자를 갖는 한 쌍의 커넥터(13, 14)가 고정되어 있다. 이들의 커넥터(13, 14)에는, 제1 조명등으로서의 자외선등(15)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전측 장착 부재(8)의 후측면에는, 상기 제1 백열등(16)∼제4 백열등(19)이 직선 형상으로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이 조명 장치(1)에 있어서는, 상기 자외선등(15) 및 상기 각 백열등(16∼19)은, 상기 장치 본체(2)에 내장된 제어 회로에 의해 제어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제어 회로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CPU(Central Processing Unit)(23)를 가져 이루어지는 것이며, 메인 스위치(21)를 개재하여 상용 전원(20)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 회로(22)에 의해, 동작 전원이 공급된다. 또한, 상기 CPU(23)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기억 장치(메모리)인 기억부가 설치되고, 제1 드라이버 회로(24)∼제4 드라이버 회로(27)를 개재하여, 상기 각 백열등(16∼19)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자외선등(15)은, 상기 상용 전원(20)에 대하여, 상기 메인 스위치(21) 및 스위칭 소자(30)를 개재하여 접속되어 있다. 이 스위칭 소자(30)는, 상기 CPU(23)에 의해 제어된다.
또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CPU(23)에는, 수신 장치로서의 리모트 컨트롤러 수신부(28)가 접속되어 있다. 이 리모트 컨트롤러 수신부(28)는, 송신 장치가 되는 리모트 컨트롤러 발신부(29)로부터 발신되는 조작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CPU(23)에 공급한다. 이 CPU(23)는, 상기 조작 신호에 따라, 후술하는 각종 설정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CPU(23)에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신호 수신부(50)가 접속되어 있다. 이 신호 수신부(50)는, 연주곡에 잡음이 부가된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외부로부터 집음 마이크(도시하지 않음)를 개재하여 수신하고, 디지털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CPU(23)에 공급한다.
그리고 상기 각 백열등(16∼19)은, 상기 CPU(23) 및 상기 각 드라이버 회로(24∼27)에 의해, 점등(온) 및 소등(오프)을 반복하도록 제어된다(도 8(a)∼도 8(c)의 그래프 참조).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드라이버 회로(24∼27)는, 베이스 단자를 상기 CPU(23)에 접속된 NPN형의 제어 트랜지스터(24a)와, 베이스 단자를 상기 제어 트랜지스터(24a)의 컬렉터 단자에 접속된 PNP형의 드라이버 트랜지스터(24b)로 구성되어 있다. 제어 트랜지스터(24a)의 에미터 단자는, 접지되어 있다. 또한, 드라이버 트랜지스터(24b)의 에미터 단자에는, 전원 전압(Ve)이 공급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각 백열등(16∼19)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스단이 상기 드라이버 트랜지스터(24b)의 컬렉터 단자에 접속되고, 마이너스단은 접지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CPU(23)에는, 기억 장치(메모리)인 기억부(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이 기억부에는, 미리, 예를 들면 도 8(a)∼도 8(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간 경과에 대응된 상기 자외선등(15) 및 상기 각 백열등(16∼19)의 조도값, 즉, 제어 패턴이 제1∼제3 제어 패턴으로서 기억되어 있다. 또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 발신부(29)에는, 제1 스위치(31)∼제3 스위치(3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1 스위치(31)는, 상기 CPU(23)의 동작을 개시 및 정지시키기 위한 조작 신호를 발신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2 스위치(32)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서서히 조도가 증대하거나 또는 감소하고 있는 각 백열등(16∼19) 및 점등 또는 소등하고 있는 자외선등(15)을, 그 시점에서의 조도로 유지되도록 정지시킴과 함께, 그 정지 상태를 해제하는 조작 신호를 발신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3 스위치(33)는,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상기 각 백열등(16∼19) 및 상기 자외선등(15)의 점등 및 소등의 타이밍에 관한 복수의 제어 패턴으로부터, 특정한 제어 패턴을 선택하는 조작 신호를 발신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 발신부(29)에는, 상기 조명 장치(1)에 있어서, 회로의 단락 등에 의해 소정의 동작이 행하여지지 않게 된 경우에 그 취지를 표시하는 에러 램프(3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조명 장치(1)에 있어서는, 상기 CPU(23)가 동작 상태인 것, 및, 상기 각 백열등(16∼19) 및 자외선등(15)이 그 시점에서의 조도로 유지되어 있는 것을, 점등 및 소등 상태에 따라 표시하는 표시등인 제1 램프(35)가 설치되어 있다(도 1 참조). 즉, 이 제1 램프(35)는,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 발신부(29)에 설치된 제2 스위치(32)의 조작에 의해, 상기 각 백열등(16∼19) 및 자외선등(15)이 그 시점에서의 조도로 유지되어 있는 경우(정지 상태)에는 점등하고, 상기 정지 상태가 해제된 경우에는, 소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조명 장치(1)에는, 상기 제1 램프(35)와 나란하게,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램프(36)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제2 램프(36)는,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 발신부(29)에 설치된 제3 스위치(33)에 의해, 현재 선택되어 있는 제어 패턴이 어느 제어 패턴인지를 발광색에 의해 나타내는 것이며, 본 발명을 구성하는 표시등이다. 그리고 이 제2 램프(36)는, 예를 들면 제1 제어 패턴이 선택되어 있는 경우에는 적색으로, 제2 제어 패턴이 선택되어 있는 경우에는 녹색으로, 제3 제어 패턴이 선택되어 있는 경우에는 주황색(오렌지색)으로 점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조명 장치(1)에 설치되는 제1 램프(35) 및 제2 램프(36)는, 상기 액자(F)의 프레임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어도 된다.
도 5는, 상기 CPU(23)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CPU(23)는, 연주곡 추출부(60)와, 연주 상태 검출부(70)를 구비한다. 연주곡 추출부(60)는, 신호 수신부(50)에서 디지털 변환된 디지털 음성 신호 내에서 연속되는 협화음(이하, 연속음이라고도 한다)을 연주곡으로서 추출하는 것이며, 데이터 변환부로서의 고속 푸리에 변환기(이하, FFT 라고도 한다)(61), 대역 추출부(62), 및, 연주곡 유무 판단부(63)를 구비한다. FFT(Fast Fourier Transform)(61)는, 신호 수신부(50)로부터 상기 디지털 음성 신호를 수신하고, 이 디지털 음성 신호에 푸리에 변환을 적용하여 주파수 데이터를 생성한다. 대역 추출부(62)는, 상기 연속음에 대응하는 특정 대역의 데이터를 상기 주파수 데이터로부터 추출한다. 여기서, 특정 대역으로서는, 사람의 가청 영역을 들 수 있다. 사람의 가청 영역으로서는, 예를 들면 피아노가 내는 음의 범위 내인, 27.5[㎐]∼4186[㎐]의 주파수 대역을 들 수 있지만, 사람이 들을 수 있는 주파수 대역이면, 27.5[㎐]∼4186[㎐]의 주파수 대역에 한정되지 않는다. 연주곡 유무 판단부(63)는, 상기 대역 추출부(62)에서의 상기 특정 대역의 데이터의 추출에 응답하여, 상기 디지털 음성 신호 내에 상기 연주곡이 있다고 판단한다. 연주 상태 검출부(70)는, 상기 연주곡 유무 판단부(63)에서 상기 디지털 음성 신호 내에 상기 연주곡이 있다고 판단되었을 때는, 상기 연주곡의 연주 개시를 검출한다. 한편, 연주 상태 검출부(70)는, 상기 대역 추출부(62)에서 상기 특정 대역의 데이터가 추출되지 않는 상태가 미리 정해진 시간만큼 계속되었을 때는, 상기 연주곡의 연주 종료를 검출한다. 여기서, 미리 정해진 시간은, 예를 들어 3[sec.]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CPU(23)는, 상기 연주곡의 연주 개시의 검출과 동시에 자외선등(15) 및 각 백열등(16∼19)을 점등시킴과 함께, 상기 연주곡의 연주 종료의 검출과 동시에 자외선등(15) 및 각 백열등(16∼19)을 소등시킨다. 또한, 소등의 타이밍은, 연주 종료와 동시에 한하지 않고, 연주 종료 후로부터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시점에서 소등이 가능하다. 또한 연주 종료보다 소정의 시간만큼 전의 시점에서도 소등이 가능하다.
도 6은, 상기 조명 장치에서의 제어 회로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조명 장치(1)에 있어서는, 상기 메인 스위치(21)가 투입(온) 조작되면, 상기 CPU(23)는, 단계 S1에서 동작을 개시하고, 단계 S2에서, 상기 제1 스위치(31)가 조작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스위치(31)의 조작이 없으면, 이 단계 S2에서 멈추고, 제1 스위치(31)의 조작이 있으면, 단계 S3으로 진행한다. 이 단계 S3에서는, 처리는 루틴 처리 1(도 7 참조)로 이행한다. 그리고 이 루틴 처리 1의 종료 후, 처리는 단계 S4로 진행한다. 이 단계 S4에서는, 상기 CPU(23)가, 상기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초기 조건에 따라 점등 동작을 실행한다. 그리고 단계 S5에서는, 상기 제2 스위치(32)에 의해 제어 패턴을 실행하는 것이 선택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 제어 패턴을 실행하는 것이 선택되어 있지 않으면, 처리는 단계 S10으로 진행하고, 제어 패턴을 실행하는 것이 선택되어 있으면, 처리는 단계 S6으로 진행한다. 이 단계 S6에서는, CPU(23)는, 어떤 제어 패턴이 선택되어 있는지를 판별하여, 제1 제어 패턴이 선택되어 있으면 단계 S7로 진행하고, 제2 제어 패턴이 선택되어 있으면 단계 S8로 진행하고, 제3 제어 패턴이 선택되어 있으면 단계 S9로 진행한다. 단계 S7에서는, 제1 제어 패턴의 데이터를 상기 기억부로부터 취득하여 실행하고, 상기 단계 S10으로 진행한다. 또한, 단계 S8에서는, 제2 제어 패턴의 데이터를 상기 기억부로부터 취득하여 실행하고, 상기 단계 S10으로 진행한다. 단계 S9에서는, 제3 제어 패턴의 데이터를 상기 기억부로부터 취득하여 실행하고, 상기 단계 S10으로 진행한다. 그리고 단계 S10에서는, 현재의 점등 상태를 초기 조건으로서 상기 기억부에 기억시켜, 단계 S11로 진행하여 리턴한다.
도 7은, 상기 루틴 처리 1에서의 제어 회로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루틴 처리 1에 있어서는, 상기 CPU(23)는, 단계 T1에서 동작을 개시하고, 단계 T2에서, FFT(61)에서 상기 디지털 음성 신호가 수신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 그리고 상기 디지털 음성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이 단계 T2에서 멈추고, 상기 디지털 음성 신호가 수신되면, 단계 T3으로 진행한다. 이 단계 T3에서는, 상기 FFT(61)가, 상기 디지털 음성 신호에 푸리에 변환을 적용하여 주파수 데이터를 생성한다. 그리고 단계 T4에서는, 상기 CPU(23)가, 대역 추출부(62)에서 주파수 데이터로부터 상기 특정 대역의 데이터가 추출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 상기 특정 대역의 데이터가 추출되어 있으면, 상기 디지털 음성 신호 내에 상기 연주곡이 있다고 판단되어, 처리는 단계 T8로 진행하고, 상기 특정 대역의 데이터가 추출되어 있지 않으면, 처리는 단계 T5로 진행한다. 이 단계 T5에서는, 상기 연주 상태 검출부(70)가, 상기 특정 대역의 데이터가 추출되지 않는 상태가 미리 정해진 시간 (3[sec.])만큼 계속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 미리 정해진 시간만큼 계속되고 있지 않으면, 처리는 단계 T5를 반복하고, 미리 정해진 시간만큼 계속되고 있으면, 처리는 단계 T6으로 진행한다. 이 단계 T6에서는, 상기 연주 상태 검출부(70)가, 상기 연주곡의 연주 종료를 검출하고, 처리는 단계 T7로 진행한다. 이 단계 T7에서는, 상기 CPU(23)가, 상기 각 백열등(16∼19) 및 자외선등(15)을 소등시킨다. 그리고 단계 T8에서는, 상기 연주 상태 검출부(70)가, 상기 연주곡의 연주 개시를 검출하여, 상기 루틴 처리 1이 종료되고, 처리는 단계 T9로 진행된 후, 도 6에 나타내는 단계 S4로 이행한다.
도 8은, 자외선등 및 백열등의 조도의 경시적 변화의 일례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a)는, 제1 제어 패턴의 실행 시에서의 경시적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도 8(b)는, 제2 제어 패턴의 실행 시에서의 경시적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도 8(c)는, 제3 제어 패턴의 실행 시에서의 경시적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이 조명 장치(1)에 있어서는, 상기 메인 스위치(21)를 투입(온) 조작하여 전원 회로(22)를 동작시킴과 함께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 발신부(29)의 제1 스위치(31)를 조작하면, 제1 제어 패턴의 실행 시에는, 도 8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정 시간(이 예에서는 20[sec.]) 경과 후에, 각 백열등(16∼19)은, 온 상태가 되고(점등되고), 제1 소정 시간 (a)(이 예에서는 20[sec.]) 내에 서서히 조도가 증대되어 피크에 도달한다. 그리고 각 백열등(16∼19)은, 이 피크에 도달한 시간으로부터 제2 소정 시간 (b)(이 예에서는 25[sec.]) 경과하면, 제3 소정 시간 (c)(이 예에서는 20[sec.]) 내에 서서히 조도가 감소하여 오프 상태가 되고(소등되고), 제4 소정 시간 (d)(이 예에서는 20[sec.]) 경과하면 온 상태가 되고, 이것이 반복되도록 제어된다.
또한 이 제1 제어 패턴에 있어서, 도 8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자외선등(15)은, 상기 각 백열등(16∼19)이 점등되어 있는 동안의 미리 설정된 제5 소정 시간(제1 소정 시간 (a)의 1/2 경과 시부터, 제3 소정 시간 (c)의 1/2 경과 시까지의 시간: 이 예에서는 45[sec.]) 내에 있어서 소등되고, 상기 각 백열등(16∼19)이 소등되어 있는 동안을 포함하는 미리 설정된 제6 소정 시간 (f)(제3 소정 시간 (c)의 1/2 경과 시부터, 다음 제어 패턴의 제1 소정 시간 (a)의 1/2 경과 시까지의 시간: 이 예에서는 40[sec.]) 내에 있어서 점등시키는 제어 패턴을 반복하도록 제어된다.
또한 이 조명 장치(1)에 있어서는, 상기 메인 스위치(21)를 투입(온) 조작하여 전원 회로(22)를 작동시킴과 함께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 발신부(29)의 제1 스위치(31)를 조작하면, 제2 제어 패턴의 실행 시에는, 도 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정 시간(이 예에서는 50[sec.]) 경과 후에, 각 백열등(16∼19)은, 온 상태가 되고(점등되고), 제1 소정 시간 (a)(이 예에서는 30[sec.]) 내에 서서히 조도가 증대되어 피크에 도달한다. 그리고 각 백열등(16∼19)은, 이 피크에 도달한 시간으로부터 제2 소정 시간(b)(이 예에서는 35[sec.]) 경과하면, 제3 소정 시간 (c)(이 예에서는 30[sec.]) 내에 서서히 조도가 감소하여 오프 상태가 되고(소등되고), 제4 소정 시간(d)(이 예에서는 50[sec.]) 경과하면, 온 상태가 되고, 이것이 반복되도록 제어되어 있다.
또한 이 제2 제어 패턴에 있어서, 도 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자외선등(15)은, 상기 각 백열등(16∼19)이 점등되어 있는 동안의 미리 설정된 제5 소정 시간(e)(제1 소정 시간 (a)의 1/2 경과 시부터, 제3 소정 시간 (c)의 1/2 경과 시까지의 시간: 이 예에서는 65[sec.]) 내에 있어서 소등되고, 상기 각 백열등(16∼19)이 소등되어 있는 시간을 포함하는 미리 설정된 제6 소정 시간 (f)(제3 소정 시간 (c)의 1/2 경과 시부터, 다음 제어 패턴의 제1 소정 시간 (a)의 1/2 경과 시까지의 시간: 이 예에서는 80[sec.]) 내에 있어서 점등시키는 제어 패턴을 반복하도록 제어된다.
그리고 이 조명 장치(1)에 있어서는, 상기 메인 스위치(21)를 투입(온) 조작하여 전원 회로(22)를 작동시킴과 함께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 발신부(29)의 제1 스위치(31)를 조작하면, 제3 제어 패턴의 실행 시에는, 도 8(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정 시간(이 예에서는 100[sec.]) 경과 후에, 각 백열등(16∼19)은, 온 상태가 되고(점등되고), 제1 소정 시간 (a)(이 예에서는 60[sec.]) 내에 서서히 조도가 증대되어 피크에 도달한다. 그리고 각 백열등(16∼19)은, 이 피크에 도달한 시간으로부터 제2 소정 시간(b)(이 예에서는 40[sec.]) 경과하면, 제3 소정 시간 (c)(이 예에서는 60[sec.]) 내에 서서히 조도가 감소하여 오프 상태가 되고(소등되고), 제4 소정 시간(d)(이 예에서는 100[sec.]) 경과하면, 온 상태가 되고, 이것이 반복되도록 제어되어 있다.
또한 이 제3 제어 패턴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등(15)은, 도 8(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각 백열등(16∼19)이 점등되어 있는 동안의 미리 설정된 제5 소정 시간(e)(제1 소정 시간 (a)의 1/2 경과 시부터, 제3 소정 시간 (c)의 1/2 경과 시까지의 시간: 이 예에서는 100[sec.]) 내에 있어서 소등되고, 상기 각 백열등(16∼19)이 소등되어 있는 시간을 포함하는 미리 설정된 제6 소정 시간 (f)(제3 소정 시간 (c)의 1/2 경과 시부터, 다음 제어 패턴의 제1 소정 시간 (a)의 1/2 경과 시까지의 시간: 이 예에서는 160[sec.]) 내에 있어서 점등시키는 제어 패턴을 반복하도록 제어된다.
또한, 상기 자외선등(15)이 소등되어 있는 시간(제5 소정 시간e)은, 상술한 바와 같이, 각 백열등(16∼19)이 조도의 피크를 유지하는 시간, 즉, 제2 소정 시간 b보다 오래 제어되어 있는 경우이어도 되지만, 도 9(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제2 소정 시간 b에 일치하여도 되고, 혹은, 도 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제2 소정 시간 b보다 짧게 제어되어 있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자외선등(15)의 조도는, 상기 각 백열등(16∼19)의 조도의 피크에 대하여, 높게 제어되거나, 또한 동일하게 제어되거나, 나아가서는, 낮게 제어되어도 된다.
즉, 이 조명 장치(1)는, 상기 메인 스위치(21)를 온 조작하여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 발신부(29)의 제1 스위치(31)를 조작하면, 상기 자외선등(15)이 점등함과 함께, 상기 전원 회로(22)를 개재하여 CPU(23)가 작동하고, 상기 각 백열등(16∼19) 및 자외선등(15)은, 상기 CPU(23)의 기억부 (도시하지 않음)에 기억된 도 8(a)∼(c)에 각각 나타내는 제1∼제3 제어 패턴에 따라, 온 및 오프가 반복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CPU(23)에 의해, 시간 경과에 대응하면서 상기 기억부(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조도값이 읽혀져, 이 CPU(23)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DA 변환기를 개재하여, 상기 제어 트랜지스터(24a)의 베이스 전류의 제어가 행하여진다. 그러면, 드라이버 트랜지스터(24b)의 에미터로부터 컬렉터에 흐르는 전류를 변화시킬 수 있어, 각 백열등(16∼19)에 흐르는 전류값(조도)이 제어된다.
또한, 이와 같이 조도가 제어되어 있는 동안에, 각 백열등(16∼19) 및 자외선등(15)의 조도 변화를 정지시키고, 그 시점에서의 조도를 유지시키고 싶은 경우에는,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 발신부(29)에 설치된 제2 스위치(32)를 조작함으로써 행한다. 그리고 상기 각 백열등(16∼19) 및 자외선등(15)의 조도 변화의 제어 패턴을 변화시킬(선택할) 때에는, 상기 제3 스위치(33)를 조작한다.
이와 같이, 조도가 소정의 제어 패턴으로 변화하는 각 백열등(16∼19) 및 이들 백열등(16∼19)의 조도 변화에 따라 점등/소등 조작되는 자외선등(15)을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장치(1)에 의하면, 상기 자외선등(15)만이 점등하고, 각 백열등(16∼19)이 소등되어 있을 때에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화(P) 전체는, 매우 어둡게 인식된다. 그리고 이 때, 이 자외선등(15)에서의 자외선에 의해 발광 또는 반사되는 특수한 도료가 도포된 초승달 형상의 도형(P2), 등대의 빛을 나타내는 도형(P3), 및, 달빛이 해면에 반사된 부분의 도형(P4)만이, 다른 도료로 도포된 부분보다 빛나게 인식된다. 따라서 이때는, 이 회화(P)는 야간의 풍경으로서 인식된다.
그리고 이 상태로부터 소정 시간 경과하면, 도 8(a)∼(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백열등(16∼19)이 점등하여 서서히 조도가 증대된다. 이와 같이, 각 백열등(16∼19)의 조도가 증대되면, 회화(P) 전체의 밝기가 점차 증대된다. 이 때, 상기 특수한 도료에 의해 도포된 각 도형(P2, P3, P4)은, 서서히 식별할 수 없게 되고, 그 후 상기 자외선등(15)이 소등되어, 상기 각 백열등(16∼19)에서의 조도가 최대가 되면, 각 도형(P2, P3, P4)은 전혀 식별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회화(P) 전체로서는, 주간의 풍경으로서 인식된다.
이와 같이, 상기 조명 장치(1)에 의하면, 자외선이 조사됨으로써 발광 또는 자외선을 반사하는 특수한 도료에 의해 적어도 일부분이 그려진 회화(P)에 사용됨으로써, 그 회화(P)가 나타내는 풍경을, 야간의 풍경, 아침의 풍경, 주간의 풍경, 저녁의 풍경, 및, 야간의 풍경과, 자연의 시간에 따른 변화에 대응하여 서서히 변화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이 조명 장치(1) 및 이 조명 장치가 장착된 액자에 있어서는, 감상자에 대하여 보다 현장감 및 변화의 의외성을 부여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큰 릴랙세이션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명 장치(1)에서는, 상기 CPU(23)가, 상기 연주 상태 검출부(70)에서의 상기 연주 개시의 검출에 응답하여 각 백열등(16∼19) 및 자외선등(15)을 점등시킴과 함께, 상기 연주 상태 검출부(70)에서의 상기 연주 종료의 검출에 응답하여 각 백열등(16∼19) 및 자외선등(15)을 소등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연주곡을 들으면서 현장감이 풍부한 음원으로 회화(P)의 감상을 즐기고 싶다는 감상자의 요망에 충분히 응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감상자는, 상기 회화(P)를 감상하면서 연주곡을 들음으로써, 한층 더 큰 릴랙세이션을 얻을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했지만, 구체적인 구성은, 이들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형태의 설명이 아닌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또한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장치를 구성하는 자외선등으로 이루어지는 제1 조명등과, 백열등으로 이루어지는 제2 조명등을, 각각 제1 및 제2 아암(3, 4)의 선단측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조명부(5)에 설치한 것을 설명했다. 그러나 상기 제1 조명등 및 제2 조명등은, 반드시 상기 조명부(5)에 설치할 필요는 없고, 예를 들면 회화가 고정되는, 도시하지 않은 액자의 좌우 양측에 제1 조명등인 자외선등을 장착하고, 상하 양측에 제2 조명등인 백열등을 장착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제2 조명등은, 4개의 백열등(16∼19)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이 백열등의 개수는, 특히 4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3개 이하, 또는, 5개 이상의 개수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제1 조명등을 자외선등으로 구성함과 함께, 상기 제2 조명등을 백열등으로 구성하는 예에 대하여 서술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제1 조명등을 자외선 LED(Light Emitting Diode)로 구성함과 함께, 상기 제2 조명등을 백색 LED로 구성 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송신 장치가 되는 리모트 컨트롤러 발신부(29)로부터, 수신 장치가 되는 리모트 컨트롤러 수신부(28)에 조작 신호를 발신하여, 각 백열등(16∼19) 및 자외선등(15)의 점등/소등 제어를 행하는 예에 대하여 서술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회화에 관한 정보의 나레이션 기능(해설 기능), 또는, 회화마다 만들어진 시의 낭독 기능을 구비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가능한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여, 송신 장치가 되는 리모트 컨트롤러 발신부를 구성하고, 회화 감상자에 의한 회화의 선택 조작에 따라, 나레이션 기능, 또는, 낭독 기능을 실행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의 "모바일 단말"은, 스마트폰, 휴대전화, 태블릿형 PC(Personal Computer), 혹은,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로 칭해지는 휴대 정보 단말 등을 이용하여 구성 가능하다. "회화에 관한 정보의 나레이션" 또는 "시의 낭독"은, 이어폰 잭(이어폰의 코드를 꽂는 구멍)을 개재하여 모바일 단말에 접속된 헤드폰으로부터의 음성 출력에 의해 실현하여도 되고, 블루투스(Bluetooth)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 규격에 준거한 근거리 무선 통신, 또는, 적외선의 송수신을 이용한 음성 정보의 송수신을 행하여, 송신 장치측의 스피커로부터의 음성 출력에 의해 실현해도 된다. 또한, 나레이션 기능, 또는, 낭독 기능의 온/오프는, 회화 감상자의 판단으로 자유롭게 전환 가능하다. 또한, 나레이션 기능, 또는, 낭독 기능에 동반되는 음성의 강약 또는 스피드에 대해서도 회화 감상자의 판단으로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 나아가서는, 회화를 감상하는 외국인을 배려하여, 다언어로 나레이션 또는 낭독을 실현함으로써, 나레이션 기능, 또는, 낭독 기능의 충실을 도모해도 된다.
1: 조명 장치, 2: 장치 본체,
3, 4: 아암, 5: 조명부,
6: 갓부, 6a, 6b: 원호 형상부,
7, 10: 나사, 8: 전측 장착 부재,
9: 후측 장착 부재, 11: 폐색판,
13: 커넥터, 15: 자외선등(제1 조명 등),
16∼19: 백열등(제2 조명등), 20: 상용 전원,
21: 메인 스위치, 22: 전원 회로,
23: CPU(조명 제어부), 24∼27: 드라이버 회로,
24a: 제어 트랜지스터, 24b: 드라이버 트랜지스터,
28: 리모트 컨트롤러 수신부, 29: 리모트 컨트롤러 발신부,
30: 스위칭 소자, 31∼33: 스위치,
34: 에러 램프, 35, 36: 램프,
50: 신호 수신부, 60: 연주곡 추출부,
61: FFT(데이터 변환부), 62: 대역 추출부,
63: 연주곡 유무 판단부, 70: 연주 상태 검출부.

Claims (9)

  1. 음성 신호를 외부로부터 수신 가능한 신호 수신부와,
    상기 음성 신호 내에서 연속되는 협화음을 연주곡으로서 추출 가능한 연주곡 추출부와,
    상기 연주곡 추출부의 추출 결과에 따라, 상기 연주곡의 연주 개시/연주 종료를 검출 가능한 연주 상태 검출부와,
    자외선을 조사 가능한 제1 조명등과,
    백색광을 조사 가능한 제2 조명등과,
    상기 제1 조명등의 점등/소등을 제어함과 함께, 상기 제2 조명등의 점등/소등 그리고 조도를 제어 가능한 조명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조명 제어부가,
    상기 제2 조명등에 대해서는,
    소등 상태에서 미리 설정된 제1 소정 시간 내에 있어서 서서히 조도를 증대시키고, 상기 제1 소정 시간에 이어지는 미리 설정된 제2 소정 시간 내에 있어서 최대 조도를 유지시키고, 상기 제2 소정 시간에 이어지는 미리 설정된 제3 소정 시간 내에 있어서 서서히 조도를 감소시키고, 상기 제3 소정 시간에 이어지는 미리 설정된 제4 소정 시간 내에 있어서 소등 상태를 유지시키는 패턴을 반복하는 제어를 행하고,
    상기 제1 조명등에 대해서는,
    상기 제2 조명등이 점등되어 있는 동안의 미리 설정된 제5 소정 시간 내에 있어서 소등시키고, 상기 제2 조명등이 소등되어 있는 동안을 포함하는 미리 설정된 제6 소정 시간 내에 있어서 점등시키는 패턴을 반복하는 제어를 행하고,
    상기 연주 상태 검출부에서의 상기 연주 개시의 검출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및 상기 제2 조명등을 점등시킴과 함께,
    상기 연주 상태 검출부에서의 상기 연주 종료의 검출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및 상기 제2 조명등을 소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주곡 추출부가,
    상기 음성 신호의 데이터에 푸리에 변환을 적용하여 주파수 데이터를 생성 가능한 데이터 변환부와,
    상기 연속되는 협화음에 대응하는 특정 대역의 데이터를 상기 주파수 데이터로부터 추출 가능한 대역 추출부와,
    상기 대역 추출부에서의 상기 특정 대역의 데이터의 추출에 응답하여, 상기 음성 신호 내에 상기 연주곡이 있다고 판단하는 연주곡 유무 판단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연주 상태 검출부가,
    상기 연주곡 유무 판단부에서 상기 음성 신호 내에 상기 연주곡이 있다고 판단되었을 때는, 상기 연주 개시를 검출하고,
    상기 대역 추출부에서 상기 특정 대역의 데이터가 추출되지 않는 상태가 미리 정해진 시간만큼 계속되었을 때는, 상기 연주 종료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4.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제어부가,
    복수의 제어 패턴이 기억되어 이루어지는 기억 장치를 구비하고, 이들 복수의 제어 패턴의 선택 중 어느 하나의 제어 패턴을 선택하여, 선택된 하나의 제어 패턴에 따른 제어를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5.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작 신호를 발신하는 송신 장치와,
    상기 송신 장치로부터의 조작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조명 제어부에 공급하는 수신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조명 제어부가,
    상기 조작 신호에 따라, 제어 패턴의 선택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6.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발광색으로 발광하는 표시등을 구비하고,
    상기 표시등은,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어 패턴에 따라, 각 제어 패턴에 대응한 발광색으로 발광하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7.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명등이,
    자외선등, 및, 자외선 LED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8. 청구항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조명등이,
    백열등, 및 백색 LED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9. 청구항 1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조명 장치가 장착되어 이루어지는 액자.
KR1020167020154A 2013-12-24 2014-12-24 조명 장치, 및, 이 조명 장치가 장착되어 이루어지는 액자 Ceased KR201601449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7030330A KR102345027B1 (ko) 2013-12-24 2014-12-24 조명 장치, 및, 이 조명 장치가 장착되어 이루어지는 액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265341 2013-12-24
JP2013265341A JP5667279B1 (ja) 2013-12-24 2013-12-24 照明装置、及び、この照明装置が取り付けられてなる額縁
PCT/JP2014/084173 WO2015098974A1 (ja) 2013-12-24 2014-12-24 照明装置、及び、この照明装置が取り付けられてなる額縁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0330A Division KR102345027B1 (ko) 2013-12-24 2014-12-24 조명 장치, 및, 이 조명 장치가 장착되어 이루어지는 액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4956A true KR20160144956A (ko) 2016-12-19

Family

ID=5256949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0330A Active KR102345027B1 (ko) 2013-12-24 2014-12-24 조명 장치, 및, 이 조명 장치가 장착되어 이루어지는 액자
KR1020167020154A Ceased KR20160144956A (ko) 2013-12-24 2014-12-24 조명 장치, 및, 이 조명 장치가 장착되어 이루어지는 액자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0330A Active KR102345027B1 (ko) 2013-12-24 2014-12-24 조명 장치, 및, 이 조명 장치가 장착되어 이루어지는 액자

Country Status (21)

Country Link
US (1) US9807854B2 (ko)
EP (1) EP3102004B1 (ko)
JP (1) JP5667279B1 (ko)
KR (2) KR102345027B1 (ko)
CN (1) CN105874885B (ko)
AU (2) AU2014371047A1 (ko)
CY (1) CY1122621T1 (ko)
DK (1) DK3102004T3 (ko)
ES (1) ES2758509T3 (ko)
HR (1) HRP20192272T1 (ko)
HU (1) HUE046472T2 (ko)
IL (1) IL246331B (ko)
MY (1) MY177696A (ko)
PH (1) PH12016501248B1 (ko)
PL (1) PL3102004T3 (ko)
PT (1) PT3102004T (ko)
RS (1) RS59680B1 (ko)
SG (1) SG11201605201YA (ko)
SI (1) SI3102004T1 (ko)
SM (1) SMT201900737T1 (ko)
WO (1) WO201509897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80248B2 (en) 2015-09-02 2019-01-15 ProPhotonix Limited LED lamp with sensing capabilities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29503B2 (ja) * 1995-11-17 1998-11-25 株式会社タイムリーエレガンス 照明装置及びこの照明装置が取り付けられてなる額縁
JP2880476B2 (ja) * 1996-11-28 1999-04-12 株式会社タイムリーエレガンス 照明装置及びこの照明装置が取り付けられてなる額縁
US7228190B2 (en) * 2000-06-21 2007-06-05 Color Kinetics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lighting system in response to an audio input
GB2354602A (en) * 1999-09-07 2001-03-28 Peter Stefan Jones Digital controlling system for electronic lighting devices
JP2006034321A (ja) * 2004-07-22 2006-02-09 Agi:Kk トリックアート額縁
US7451077B1 (en) * 2004-09-23 2008-11-11 Felicia Lindau Acoustic presentation system and method
US7997772B2 (en) * 2007-08-09 2011-08-16 Fasst Products, Llc Flameless candle with multimedia capabilities
US20110089863A1 (en) * 2008-06-16 2011-04-21 Taka International Co. Ltd. Display-use lighting device and display apparatus
JP3150724U (ja) * 2009-03-12 2009-05-28 悦子 開高 立体絵用額縁
JP2010263040A (ja) * 2009-05-01 2010-11-18 Konica Minolta Holdings Inc 照明装置および照明システム
JP5267606B2 (ja) * 2011-03-30 2013-08-21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RP20192272T1 (hr) 2020-03-06
HK1222972A1 (zh) 2017-07-14
KR102345027B1 (ko) 2021-12-29
PH12016501248A1 (en) 2016-08-15
IL246331A0 (en) 2016-08-31
PT3102004T (pt) 2019-12-19
HUE046472T2 (hu) 2020-03-30
SI3102004T1 (sl) 2020-01-31
DK3102004T3 (da) 2020-01-20
PL3102004T3 (pl) 2020-04-30
PH12016501248B1 (en) 2016-08-15
AU2014371047A1 (en) 2016-07-28
RS59680B1 (sr) 2020-01-31
AU2017261532A1 (en) 2017-12-07
US20160323973A1 (en) 2016-11-03
US9807854B2 (en) 2017-10-31
CY1122621T1 (el) 2021-05-05
AU2017261532B9 (en) 2020-03-19
ES2758509T3 (es) 2020-05-05
EP3102004B1 (en) 2019-10-09
SMT201900737T1 (it) 2020-01-14
EP3102004A4 (en) 2017-11-22
JP2015122199A (ja) 2015-07-02
SG11201605201YA (en) 2016-08-30
CN105874885A (zh) 2016-08-17
WO2015098974A1 (ja) 2015-07-02
KR20210120122A (ko) 2021-10-06
CN105874885B (zh) 2019-01-22
IL246331B (en) 2020-06-30
JP5667279B1 (ja) 2015-02-12
AU2017261532B2 (en) 2019-11-21
MY177696A (en) 2020-09-23
EP3102004A1 (en) 2016-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94243B2 (en) Multi-color illumination display apparatus
KR101670741B1 (ko) 조명 장치
CN105704864A (zh) 一种基于音乐内容的氛围照明系统及方法
KR200465111Y1 (ko) 스마트폰 연동 조명스탠드
US20160295668A1 (en) Reproduction device and reproduction method
US9769908B2 (en) Audio reproduction device
US20070132748A1 (en) Screen display with sound lamps
KR20160144956A (ko) 조명 장치, 및, 이 조명 장치가 장착되어 이루어지는 액자
US12085269B1 (en) Projection-based decorative lamp
US10683972B1 (en) Hand held sound lamp simulating real flame
CN207298883U (zh) 一种智能互动led户外灯艺装置
CN104728675A (zh) 识别音律产生光影的led灯
HK1222972B (zh) 照明裝置及安裝有該照明裝置的畫框
CN115134706A (zh) 音频播放设备及阵列、相关方法和介质
CN215453221U (zh) 发光耳机控制系统
JP2005259675A (ja) マザーボードのデジタル音源で冷陰極の発光フリッカーを制御する方法及び装置
CN201526832U (zh) 一种带音乐播放器的新型灯具
KR20070092479A (ko) 음향 감지기능을 갖는 조명장치
CN209705808U (zh) 一种声控电子蜡烛、声控风灯及声控太阳能灯
TWM532636U (zh) 具發光裝置之琴弓
TWM555446U (zh) 聲控燈光裝置
CN206708928U (zh) 一种led铜线灯
CN202720888U (zh) 带节奏显示功能的智能琴盒
TWI283821B (en) Computer input device using sound volume or sound frequency to generate light change and method thereof
KR20020022242A (ko) 스피커용 음레벨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722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070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1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1070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1011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1082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1011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E0801 Dismissal of amendment

Patent event code: PE08012E01D

Comment text: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Patent event date: 20210820

Patent event code: PE08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210811

Patent event code: PE08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210304

Patent event code: PE08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90701

PA0104 Divisional application for internat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for International Patent

Patent event code: PA01041R01D

Patent event date: 202109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