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60144253A - 테두리에 배경광을 형성하는 영상 시스템 및 배경광을 형성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테두리에 배경광을 형성하는 영상 시스템 및 배경광을 형성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4253A
KR20160144253A KR1020150080829A KR20150080829A KR20160144253A KR 20160144253 A KR20160144253 A KR 20160144253A KR 1020150080829 A KR1020150080829 A KR 1020150080829A KR 20150080829 A KR20150080829 A KR 20150080829A KR 20160144253 A KR20160144253 A KR 201601442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processing
image
background light
image sensor
processing contro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bandoned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08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우
Original Assignee
김영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우 filed Critical 김영우
Priority to KR10201500808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44253A/ko
Publication of KR201601442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4253A/ko
Abandon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H05B37/0209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크린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영상과 연동하여 테두리에 배경광(Ambient Lighting) 효과를 부여하는 영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스크린에 투사된 특정영역의 광원정보를 확보하는 영상 센서부와, 상기 영상 센서부와 연결되어 광원정보를 보고받고, 이를 토대로 대응하는 색상과 휘도값대로 발광소자를 구동토록 지시하는 신호 처리 제어부와, 상기 신호처리 제어부와 연결되어 지시한 대로 엘이디 램프를 구동시켜 스크린 테두리에 배경광을 형성함으로써, 보다 확장된 느낌의 뷰잉 효과를 제공하면서 종속의 플레폼에서 벗어나 자유롭게 배경광 효과를 부여할 수 있는 영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테두리에 배경광을 형성하는 영상 시스템 및 배경광을 형성하는 방법{System based on the ambient lighting and its method}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패널 혹은 스크린을 통해 보여지고 있는 영상과 연동하여 테두리에 배경광(Ambient Lighting) 형성하여 주는 영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배경광을 통해 보다 확장된 느낌의 뷰잉 효과를 가지면서 종속의 플레폼에서 벗어나 자유롭게 배경광 효과를 부여할 수 있는 영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경광(Ambient Lighting)은 직접적인 광선이 아니라 좌/우/후면에서 빛을 비춰주는 간접 조명이나 혹은 반사되어 비춰지는 간접광을 말하며,
통상 디스플레이장치 테두리에 다수의 조명을 설치하고, 상기 조명들이 디스플레이장치의 영상정보를 복제하여 같이 빛을 발하면서, 간접광 또는 반사광에 의해 자연스럽게 빛이 주변으로 퍼지면서 눈의 피로도를 낮추면서 확장된 뷰잉환경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배경광 시스템은 2002년 Philip ASA Lab에서 최초로 개발하여 "Ambilight TV"라는 상품명으로 판매되고 있고
특히 영상 저장장치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복제한 후 배경광 재생장치가 복제된 데이터를 이용해 모니터 주변 주변에 배경광을 형성하여 주거나,
혹은 재생장치가 영상 시그널을 출력할 때 분배기를 이용하여 동일한 영상정보를 받은 후, 이를 토대로 배경광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되어 있다.
참고로 이러한 배경광 시스템은 간접광 또는 반사광에 의해 빛이 모니터 주변으로 퍼지면서 보다 확장된 뷰잉(Viewing) 효과를 제공하게 됨에 따라,
하나의 상영관을 여러개의 공간으로 구획한 후 각각의 구획된 공간에 스크린과 좌석을 배치한 멀티플렉스 상영관이나, 많은 사람들이 모이는 공연장 혹은 광장 등과 같은 곳에 설치되어,
보다 많은 사람들에게 대화면의 영상이 보여지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공연장 혹은 상영관의 스크린이나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보여지는 영상은,
미국 할리우드의 7대 메이져 스튜디오에 의해 구성된 DCI(Digital Cinema Initiative) 규격 또는 지정된 영상 규격에 따라 컨텐츠 재생이 이루어지게 됨에 따라. .
종래의 배경광시스템이 스크린이나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보여지고 있는 영상과 어울어진 상태로 외측으로 확장된 빛을 조사하여 주기 위해서는,
영상 저장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원본 영상을 복사하면서 이에 대한 권한을 저작권자와 협의하여 부여받아야만 하고,
특히 재생장치가 DCI(Digital Cinema Initiative) 규격 및 영상 포멧이나 규격에 따라 처리되는 영상을 확인하고 출력해 주어야지만 하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의 배경광 시스템은 DCI 규격 및 영상 규격에 종속된 플렛폼으로 배경광 시스템을 구축할 수 밖에 없는 한계가 있고,
원복 영상의 복사와 사용에 따라 저작자에게 로얄티를 지불해야지만 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특허문허 1) WO2004-006570 (공개일자:2004.01.15)
이에 본 발명에서는 스크린이나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표출되는 영상과 연동하여 확장된 느낌의 배경광 효과를 부여하는 한편,
상기 배경광 효과를 부여할 때 종속된 플렛폼에서 벗어나 자유롭게 배경광 효과를 부여하면서 차별화된 경쟁력을 가지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영상기가 스크린에 영상을 투사할 때 혹은 디스플레이 패널이 특정 영상을 표출할 때, 상기 스크린 혹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테두리 영역에 형성되어 영상의 광원정보를 확보하는 영상 센서부와,
일측은 복수개의 영상 센서부와 연결되어 있고 타측은 복수개의 배경광형성부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영상 센서부를 통해 보고 받은 광원정보를 분석하여 색상과 휘도를 확보하고 각각의 영상 센서부에 대응하는 배경광형성부를 분석된 휘도값과 색상값 대로 구동토록 지시하는 신호 처리 제어부와,
상기 신호처리 제어부의 지시명령을 받아 들여 하나 이상의 발광소자를 구동시켜 스크린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테두리 외측으로 빛을 조사하여 배경광을 형성하는 배경광형성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영상 시스템이다.
본 발명은 영상 센서부가 스크린에 투사된 영상의 광원정보를 확보하고, 이를 토대로 신호 처리 제어부가 색상과 휘도를 결정하고, 배경광형성부가 결정된 색상과 휘도값 대로 테두리에 배경광을 형성함으로써,
스크린 혹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테두리 밖으로 퍼져 나가는 배경광에 의해 눈의 피로도를 낮춰주면서 보다 확장된 느낌의 뷰잉환경을 가질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배경광 구현시 해외 영화 제작사의 DCI(Digital Cinema Initiative) 규격이나 영상 규격이나 플렛폼에 따르지 않더라도 스크린 또는 패널 주변에 배경광 효과를 부여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본 발명은 각각의 상영관이나 공연장 혹은 무대의 크기에 따라 스크린의 크기를 변화시켜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변화된 스크린에 맞게 배경광 시스템을 구현해 줄 수 있게 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시스템의 사시도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시스템의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시스템의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시스템의 영상 센서부의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영상 시스템의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시스템의 배경광형성부의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시스템의 순서도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도 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시스템의 모습을 간략하게 보여주는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시스템의 사용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스크린(1) 테두리에 상하방향으로 혹은 좌우방향으로 길게 고정 프레임(4)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 프레임(4)의 외측에는 상하방향 혹은 좌우방향으로 길게 안쪽으로 내입된 수용부(16)와 내입부(34)를 형성하는 한편, 상기 수용부(16) 안쪽에는 복수개의 영상 센서부(10)를 일렬로 나란히 고정 설치하고, 내입부(34) 안쪽에도 복수개의 배경광형성부(30)를 일렬로 나란히 고정 설치한다.
그리고 이러한 고정프레임(4) 내측에는 일측과 타측에 커넥터(21,22)가 형성되어 있는 신호처리제어부(20)를 설치하고, 상기 커넥터(21,22)에 내입부(34)와 수용부(16) 안쪽에 설치되어 있는 영상 센서부(10)와 배경광형성부(30)를 케이블로 연결하여,
상기 스크린(1)에 컨텐츠 영상(1a)이 투사되었을 때 혹은 디스플레이 패널이 특정 영상을 표출하였을 때,
복수개의 영상 센서부(10)가 테두리 영역에 투사된 영상의 광원정보를 확보하여 신호처리 제어부(20)로 보고하고, 상기 신호처리 제어부(20)는 각각의 영상 센서부(10)를 통해 보고받은 광원정보를 기반으로 대응하는 색상값과 휘도를 확인한 후, 이때 인식된 색상과 휘도값 대로 각각의 영상 센서부에 대응하는 배경광형성부(30)를 컨트롤함으로써,
스크린 혹은 디스플레이 패널(이하 스크린이라고 통칭함)을 통해 보여지고 있는 영상과 연결되는 배경광을 스크린 혹은 디스플레이 패널 주변에 형성하여 보다 더 넓어진 뷰잉환경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본 발명은 영상센서부를 통해 확보된 광원정보를 토대로 배경광을 형성하면서 DCI(Digital Cinema Initiative) 규격이나 지정된 영상 포멧을 따르지 않더라도 스크린(1)주변에 배경광을 자유롭게 형성하여 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참고로 이때의 고정 프레임(4)이 설치되는 장소는 공연장이나 상영관 등으로 특정 장소나 무대로 한정하지는 않으며, 상기 고정 프레임은 스크린(1) 테두리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하나의 프레임일 수도 있지만, 모듈화되어 복수 개의 고정 프레임을 스크린(1) 테두리에 설치하고, 각각의 고정프레임을 연결하면서, 스크린(1) 테두리에 배경광을 형성하여 주는 것일 수도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복수 개의 고정 프레임 중 어느 하나는, 가운데 절곡부나 혹은 만곡부를 형성하고, 상기 스크린(1)의 모서리에 고정 설치되어 지는 것일 수도 있다.
그리고 이러한 고정 프레임의 내입부(34)와 수용부(16) 안쪽에 설치되어 있는 영상 센서부(10)와 배경광형성부(30)는, 동일한 숫자와 간격을 유지한 채 이웃한 상태로 대응되게 설치되어 있지만,
실시 예에 따라서는 하나의 고정 프레임에 하나의 영상 센서부(10)를 설치하고 복수개의 배경광형성부(30)를 수용부(16) 안쪽에 설치하여 하나의 영상 센서부(10)를 통해 확보된 특정 영역의 광원정보를 토대로 복수개의 배경광형성부(30)가 일체로 혹은 개별적으로 동작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고정 프레임은 실시 예에 따라 내입부가 형성되어 있는 고정 프레임과 수용부가 형성되어 있는 고정프레임으로 나누어져 있고, 각각의 고정프레임의 영상센서부와 배경광형성부가 신호처리제어부의 커넥터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의 고정프레임은 무대의 크기 및 형태에 따라 영상 센서부가 형성되어 있는 고정프레임을 무대 또는 상영관이나 공연장의 일측 벽면에 설치하여 영상센서부가 스크린에 반사된 광원정보를 확보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며,
때에 따라서는 영상물이 표출되는 스크린이나 디스플레이 패널의 위치에 따라 배경광형성부가 설치되어 있는 각각의 고정프레임의 각도나 위치를 달리하여 설치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고정프레임은 탈부착이 가능하며, 실시 예에 따라서는 신호처리제어부가 배경광 패턴을 모두 저장하게 되면 일측 커넥터에 연결되어 있는 영상센서부의 케이블을 분리한 후 배경광형성부가 설치되어 있는 고정프레임만 이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수용부(16)와 내입부(34)는, 하나의 내입부(34)와 수용부(16)를 형성하고, 상기 내입부(34)와 수용부(16)에 결합홀을 형성하여 복수개의 영상 센서부(10) 및 배경광형성부(30)이 각각의 결합홀에 안착되어 있도록 할 수도 있자만,
실시 예에 따라서는 복수개의 내입부(34)와 수용부(16)를 형성하고, 각각의 내입부(34)와 수용부(16)에 하나 씩의 영상 센서부(10)와 배경광형성부(30)를 설치하여, 주변의 간섭을 최소화한 상태로 영상 센서부(10)와 배경광형성부(30)를 설치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수용부와 내입부는, 실시 예에 따라서 고정 프레임의 외벽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개구부에 영상 센서부(10)와 배경광형성부(30)가 내입되어 오픈된 개구부를 막으면서 고정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참고로 도 4는 본 발명의 영상 센서부(10)의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영상 센서부(10)는 영상기나 빔 프로젝터가 스크린(1)에 특정 영상을 투사할 때, 혹은 디스플레이 패널이 특정 영상을 표출할 때,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테두리 영역에서 발광한 빛의 광원정보 혹은 상기 스크린의 테두리 영역에 투사된 광원정보를 확보하여, 어떠한 색상과 휘도값을 포함하고 있는지 신호처리 제어부(20)로 보고하는 장치이다.
그리고 이러한 영상 센서부(10)는 수용부(16)의 내측 벽면에 반사체를 형성하거나 혹은 별도로 원형이나 다각형의 반사갓을 형성하고, 상기 반사갓 내측 중앙에 투사된 영상의 빛을 한곳으로 모으기 위한 집광렌즈(11)를 설치하는 한편, 상기 집광렌즈(11) 후단에는 상기 집광렌즈(11)와 이격된 거리를 두고 영상입력센서(12)와 영상 컨트롤러(13)를 설치하여,
특정영역에 투사된 빛이 반사갓과 집광렌즈(11)에 의해 영상입력센서(12)로 모아지게 되면 색상 및 휘도 값을 포함하는 광원정보를 생성하고, 이때 생성된 광원정보를 디지털의 정보로 변환하여, 상기 영상 컨트롤러(13)에서 신호처리 제어부(20)로 보고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상기 영상 센서부(10)는 수용부(16) 안쪽에 움직임이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을 수 있지만,
각각의 상영관이나 무대 혹은 공연장에 설치되어 있는 영상기나 빔 프로젝터의 위치가, 서로 다름에 따라 스크린(1)에 투사되는 영상의 빛도 그 각도가 서로 달라지게 됨으로,
반사갓의 일측과 타측에 상하방향으로 혹은 좌우방향으로 각도조절축(14)을 형성하고, 상기 각도조절축(14)이 모터(15) 구동에 의해 회전하면서, 영상 센서부(10)가 상하방향으로 혹은 좌우방향으로 위치 조정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참고로, 이때의 영상 센서부(10)는 실시 예에 따라 스크린(1)에 반사된 영상의 광원정보를 확보할 수도 있다. 즉, 천정이나 바닥, 혹은 벽면에 내입부(34)를 형성하고, 상기 내입부(34) 안쪽에 영상 센서부(10)를 형성하여 스크린(1)에 반사된 영상의 광원정보가 천정이나 바닥 혹은 벽면의 내입부(34) 안쪽에 위치한 영상 센서부(10)로 모아져서, 상기 신호처리 제어부(20)로 전달되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신호처리 제어부(20)는, 복수개의 영상 센서부(10)와 연결되어 광원정보를 보고받고, 이때 보고받은 광원정보를 분석하여 색상 및 휘도값을 결정하고, 각각의 영상 센서부(10)에 대응하는 배경광형성부를 컨트롤하여 결정된 휘도값과 색상값 대로 배경광을 형성하도록 지시한다.
참고로, 신호처리 제어부(20)는 프레임 안쪽에 내장되는 임베디드 보드나 안드로이드 보드이며, 실시 예에 따라서는 별도로 상영관이나 공연장에 설치되어 있는 영상 시스템의 서버이거나 콘솔로, 영상센서부를 통해 확보된 정보를 토대로 배경광 패턴을 형성하고 주변 환경에 따라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배경광 패턴을 호출하여 편집 가공하거나 재활용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신호처리 제어부(20)는 각각의 영상 센서부(10)에 대응하는 배경광형성부(30)의 위치 함께 색상값 및 위도값을 테이블화하고 있는 메모리(23)와,
상기 영상 센서부(10)를 통해 광원정보를 보고받았을 때, 상기 메모리(23)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호출하여 색상과 휘도 값을 인식하고, 인식된 색상과 휘도값 대로 배경광형성부의 구동을 지시하는 MCU(24)와,
상기 MCU(24)를 중심으로 일측과 타측에 복수개의 영상 센서부(10) 및 배경광형성부(30)와 연결되는 커넥터(21,22)와,
외부에 위치한 컨트롤러와 유선 또는 무선 연결되어 컨트롤명령을 전송받는 인터페이스(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의 신호처리제어부는 각각의 영상센서부를 통해 확보된 휘도값 및 색상값을 순차적으로 저장하여 배경광 패턴을 형성하고, 이때 형성된 배경광패턴을 저장부에 저장하고 있다가 상기 신호처리제어부가 호출하였을 때 상기 배경광패턴의 색상값과 휘도값이 로드되면서 각각의 배경광형성부를 지정된 색상과 휘도값 대로 동작하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다.
즉, 신호처리제어부는 처음 구동시 영상센서부를 통해 휘도값 및 색상값을 확보하고, 상기 신호처리제어부가 배경광 패턴을 형성하게 되면, 이후 부터는 동일 영상 재생시 영상센서부를 분리하더라도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배경광 패턴을 호출하여 동일하게 배경광을 형성하여 줄 수도 있는 것이다.
참고로, 상기 MCU(24)는 메모리(23)에 테이블화되어 있는 색상값과 휘도값을 토대로 광원정보에 대응하는 색상값과 휘도값을 인식할 수 있지만, 디지털화되어 있는 광원정보로부터 직접 색상값과 휘도값을 추출하고, 이때 추출된 색상값과 휘도값으로 발광소자(31)를 구동토록 지시하는 지시명령을 생성할 수도 있다.
더불어 상기 신호처리 제어부(20)는 실시 예에 따라 영상 센서부(10)의 모터를 구동시켜 위치 조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동부(2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러한 신호처리 제어부(20)는, 실시 예에 따라 스크린(1) 상에 특정 영상을 디스플레이 할 때, 특정 배경광형성부(30)를 움직여, 스크린(1)에 투사된 영상과 함께 스크린(1) 밖으로 확장되는 연결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여, 입체감 있게 영상을 표출하여 줄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신호처리 제어부(20)는, 실시 예에 따라 프레임 일측에 회전축(3)을 형성하고, 상기 회전축(3)에 외측 스크린(2)이 감겨져 고정되어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회전축의 감김과 풀림 동작에 의해 중앙에 위치한 스크린(1)의 크기가 확장되거나 혹은 축소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때의 회전축은 실시 예에 따라 공연장이나 상영관의 일측 벽면에 설치되어 스크린의 크기를 조절할 수도 있고, 실시 예에 따라서는 자바라 방식이나 절첩되는 방식에 의해 스크린의 크기를 조정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신호처리 제어부(20)는, 실시 예에 따라 고정 프레임에 주변의 밝기를 감지하는 센서(40)를 설치하고, 이를 신호처리 제어부(20)와 연결하여, 암전시에만 배경광을 형성하여 불필요한 동작을 최소화하도록 하거나 밝기에 맞춰 자동으로 발광소자(31)의 휘도값이 조정되어 지도록 함으로써, 전력이 낭비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도 있다.
더불어 상기 신호처리 제어부(20)는 실시 예에 따라 고정 프레임 일측에 온도센서(40)를 설치하여, 주변의 온도 변화에 따라 휘도나 색상이 밝거나 혹은 어둡게 배경광을 형성함으로써, 주변 밝기나 환경에 따라 반응하는 배경광을 구현하여 줄 수도 있는 것이다.
즉, 간단하게 예를 들면, 재생되는 영상이 겨울철인 경우 주변 배경을 차가운 색 계통의 배경광을 형성하여 확장된 느낌을 부여하거나 혹은 반대로 붉은 색 계통의 배경광을 형성하여 내측에 재생되는 특정 영상을 강조하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때 배경광형성부가 지정된 범위 안쪽에서 드라이빙되어지면서 내측에서 재생되는 영상과 함께 외측의 배경광이 흔들리면서, 바람이 부는 효과나 화면이 흔들리는 듯한 효과 혹은 불안한 심리를 표현하는 등의 효과를 부여할 수도 있는 것이다.
항목 정보 구분 예시 배경광
기상정보(온도)
겨울 붉은 색 계열의 배경광
여름 파란색 혹은 흰색 계열의 배경광
기상정보(바람) 바람이 부는 경우 무빙 기능을 이용해 흔드리는 효과
시간(낮/밤)
낮인 경우 선명한 색 위주의 배경광
밤인 경우 어둡고 은은하게 퍼지는 배경광
음향 음량이 높은 경우 내측의 영상보다 밝은 배경광
또한, 본 발명에서는 실시 예에 따라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내측에 위치한 영상과 함께 특정 부위에만 배경광을 길게 또는 짧게 형성하여 색의 흐름 및 방향성을 부여하여 할 수도 있는 것이다.
참고로,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경광형성부(30)의 모습을 보여주는 것으로,
이를 참조하여 배경광형성부(30)를 설명하면, 상기 배경광형성부(30)는 내입부(34) 안쪽에 안치되어 있는 보드에, 하나 이상의 발광소자(31)를 고정설치하고, 상기 보드 후단에는 신호처리 제어부(20)가 생성한 지시명령을 받아 발광소자(31)를 지시받은 색상과 휘도 대로 발광소자(31)를 구동하여 주기 위한 구동 드라이버(35)를 설치하여, 스크린 주변에 빛을 조사하여 주도록 되어 있다.
이때 내입부(34)의 벽면에는 지정된 범위 안쪽에서 빛이 조사되도록 반사갓이 형성되어 있고, 실시 예에 따라서는 상기 보드 후단에 2축모터(32) 및 모터 드라이브 컨트롤러(33)를 설치하여 상기 보드를 움직여 위치를 조정해 가면서 배경광을 형성하여 줄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의 동작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컨트롤러의 버튼 조작에 따라 컨트롤명령을 생성하고, 상기 컨트롤명령을 신호처리 제어부(20)에 전달하게 되면, (S101)
상기 신호처리 제어부(20)는 초기에 설정된 상태 대로 영상 센서부(10)와 배경광형성부(30)를 동작하여 주거나, 혹은 대기상태에 놓여 있게 된다.(S102, S103)
이때, 상영관에 설치되어 있는 영사기가 동작하여 컨텐츠 영상을 스크린에 뿌려주게 되면,
상기 스크린 테두리에 설치되어 있는 영상 센서부(10)가 각각의 영역 별로 색상 및 휘도값을 포함하는 광원정보를 확보하게 된다.(S105)
참고로, 본 발명에서는 상영관이 어두어져 암전되게 되면, 밝기감지센서가 이러한 사실을 신호처리 제어부(20)로 전달하여 영상 센서부(10)가 색상 및 휘도값을 포함하는 광원정보를 확보하도록 한다.(S104)
참고로 상기 영상 센서부(10)는 특정 영역에 빛이 조사되게 되면 조사된 빛의 색상과 휘도값을 포함하는 광원정보를 디지털로 변환한 후, 영상 컨트롤러(13)에 의해 신호처리제어부로 보고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신호처리 제어부(20)는 보고받은 광원정보를 분석하여 대응하는 발광소자(31)가 어떻한 색상과 휘도값으로 동작할 것인지 결정하고, (S107, S108)
정해진 색상과 휘도값으로 동작하도록 지시하는 지시명령을 생성하고, (S109) 해당 배경광형성부(30)로 전송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지시명령을 받은 배경광형성부는, 구동 드라이버(35)에 의해 내입부(34) 안쪽에 설치되어 있는 발광소자(31)가 동작하면서 (S110)
특정 영역에 투사된 영상의 색상과 동일한 색상의 혹은 유사한 색상의 빛이 스크린 주변에 뿌려지면서 배경광을 형성하여 주게 되는 것이다.(S111)
이때, 신호처리 제어부(20)는 각각의 영상센서부를 통해 확보된 휘도값과 색상값을 순차적으로 저장하여 배경광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영상센서부가 분리되었을 때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배경광 패턴을 홀출하여 로드된 색상값과 휘도값대로 각각의 배경광형성부가 배경광을 형성하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컨트롤러의 조작에 따라 컨트롤 명령을 생성하고, 상기 컨트롤명령을 신호처리제어부의 인터페이스가 받게 되면,
상기 신호처리제어부는 영상 센서부(10) 또는 배경광형성부(30)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지시명령을 생성하고,
이때 생성된 지시명령을 영상 센서부(10) 또는 배경광형성부(30)는 설정된 대로 모터(32)를 구동시켜 위치를 조정하여 주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컨트롤러의 조작에 따라 스크린 조정을 위한 컨트롤 명령을 생성하고, 이를 신호처리 제어부(20)로 전달하게 되면,
상기 신호처리 제어부(20)는 전송받은 컨트롤명령을 분석하고, 회전축(3)을 지정된 회전수 만큼 회전 시켜 주기 위한 지시명령을 생성한다.
이때 생성된 지시명령은 회전축을 컨트롤하기 위한 모터에 인가되고, 상기 모터의 움직에 의해 회전축이 회전하게 되면서 감겨져 있는 스크린(2)이 풀리면서 혹은 반대로 풀려있는 스크린(1)이 감겨지게 되면서 중앙에 위치한 스크린(1)의 사이즈를 조정 할 수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스크린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 주변에 영상 센서부(10) 및 신호처리 제어부(20)와 배경광형성부(30)를 설치하여 스트린 또는 패널 테두리에 배경광을 형성하여 줌으로써,
상기 배경광에 의해 재생되는 영상과 연결되어 확장된 느낌의 뷰잉환경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고,
특히 영상 재생시 DCI(Digital Cinema Initiative) 규격이나 영화 규격을 등에 따르지 않더라도 주변에 배경광을 형성하여 줄 수 있게 되었다.
1.2:스크린 3:회전축
4:고정 프레임
10:영상 센서부 11:집광렌즈
12:영상입력센서 13:영상컨트롤러
14:각도조절축 15:모터
16:수용부
20:신호처리 제어부 21,22:커넥터
23:메모리 24:MCU
25:인터페이스 26:구동부
30:배경광형성부 31:발광소자
32:모터 33:모터 드라이브 컨트롤러
34:내입부 35:구동 드라이버
40:센서

Claims (18)

  1. 영상기가 스크린에 특정영상을 투사할 때 혹은 디스플레이 패널이 특정 영상을 표출할 때,
    상기 스크린 혹은 디스플레이 패널 주변에 형성되어 상기 영상의 광원정보를 확보하는 영상센서부와,
    일측은 복수개의 영상 센서부와 연결되어 있고 타측은 복수개의 배경광형성부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영상 센서부를 통해 보고 받은 광원정보를 분석하여 색상과 휘도를 확보하고 각각의 영상 센서부에 대응하는 각각의 배경광형성부를 분석된 휘도값과 색상값 대로 구동토록 지시하는 신호처리 제어부와,
    상기 신호처리 제어부의 지시명령을 받아 들여 하나 이상의 발광소자를 구동시켜 스크린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테두리 외측으로 상기 스크린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표출되는 영상과 연결되는 배경광을 형성하는 배경광형성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영상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센서부는 신호처리제어부로 부터 분리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상기 신호처리제어부는 영상 센서부를 통해 확보된 색상값과 휘도값을 각각의 배경광형성부 별로 순차적으로 저장하여 배경광 패턴을 형성하고, 이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는 테두리에 배경광을 형성하는 영상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테두리에는 상하방향으로 혹은 좌우방향으로 길게 고정 프레임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프레임의 외측에는 상하방향 혹은 좌우방향으로 길게 안쪽으로 내입된 수용부와 내입부를 형성하는 한편, 상기 수용부 안쪽에는 복수개의 영상 센서부를 일렬로 나란히 고정 설치하고, 내입부 안쪽에도 복수개의 배경광형성부를 일렬로 나란히 고정 설치하고,
    상기 고정프레임 안쪽에 일측과 타측에 커넥터가 형성되어 있는 신호처리제어부를 설치하고, 커넥터에 내입부와 수용부 안쪽에 설치되어 있는 영상 센서부와 배경광형성부를 연결하여 줌으로써,
    상기 스크린에 컨텐츠 영상이 투사되었을 때, 복수개의 영상 센서부가 투사된 영상의 광원정보를 확보하여 신호처리 제어부로 보고하고, 상기 신호처리 제어부는 각각의 영상 센서부를 통해 보고받은 광원정보를 토대로 대응하는 색상과 휘도를 확인하고, 이때 결정된 색상과 휘도값 대로 대응하는 배경광형성부를 구동시켜,
    확장된 뷰잉환경을 제공하면서 영상 재생시 영화 규격에 따르지 않더라도 스크린에 투사된 영상에 대응하는 배경광을 형성하여 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테두리에 배경광을 형성하는 영상 시스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센서부는 스크린에 영상을 투사할 때 특정 영역에 투사된 빛이 집광렌즈로 모아지도록 하기 위한 반사갓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반사갓의 내측 중앙에는 반사갓에 의해 모아진 빛을 한곳으로 모으기 위한 집광렌즈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집광렌즈 후단에는 일정한 거리를 둔 채 영상입력센서와 영상 컨트롤러가 설치되어,
    특정영역에 투사된 빛이 반사갓과 집광렌즈에 의해 영상입력센서로 모아지게 되면 상기 영상입력센서는 색상 및 휘도 값을 포함하는 광원정보를 생성하고, 이때 생성된 광원정보를 디지털 정보로 변환하여 영상 컨트롤러에 의해 신호처리 제어부로 보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테두리에 배경광을 형성하는 영상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센서부는 반사갓의 일측과 타측에 상하방향으로 혹은 좌우방향으로 각도 조절 축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각도 조절 축은 모터 구동에 의해 회전하면서, 영상 센서부가 상하방향으로 혹은 좌우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위치 조정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테두리에 배경광을 형성하는 영상 시스템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 제어부는 각각의 영상 센서부에 대응하는 배경광형성부의 위치 함께 색상값 및 휘도값을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와,
    상기 영상 센서부를 통해 광원정보를 보고받았을 때,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호출하여 색상과 휘도 값을 인식하거나 혹은 디지털화된 광원정보로부터 추출된 색상값과 휘도값을 토대로 발광소자의 구동을 지시하는 MCU와,
    상기 MCU를 중심으로 일측과 타측에 복수개의 영상 센서부와 배경광형성부와 연결되는 컨넥터와,
    외부에 위치한 컨트롤터와 유선 또는 무선 연결되어 컨트롤명령을 전송받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테두리에 배경광을 형성하는 영상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 제어부는 영상 센서부의 모터 또는 배경광형성부의 모터를 구동시켜 위치 조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테두리에 배경광을 형성하는 영상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 제어부는 고정 프레임 일측에 회전축을 형성하고, 상기 회전축에 스크린이 감겨져 고정되어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회전축의 감김과 풀림 동작에 의해 중앙에 위치한 스크린의 크기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테두리에 배경광을 형성하는 영상 시스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 제어부는 주변의 밝기를 감지하는 센서를 설치하고, 상기 센서를 신호처리 제어부에 연결하여, 상영관이나 공연장 혹은 무대가 암전되었을 때에만 상기 신호처리 제어부가 배경광을 형성하거나 혹은 밝기에 따라 발광소자의 휘도값이 조정되어 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테두리에 배경광을 형성하는 영상 시스템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경광형성부는 평판의 보드에 하나 이상의 발광소자를 고정설치하고, 상기 보드 후단에는 상기 발광소자를 구동시켜 불을 밝혀 주기 위한 구동 드라이버를 형성하는 한편, 내입부의 벽면에는 반사체 또는 별도의 반사갓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테두리에 배경광을 형성하는 영상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배경광형성부는 보드 후단에 세로축 혹은 가로축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모터와 함께, 상기 모터를 컨트롤하기 위한 모터 드라이브 컨트롤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테두리에 배경광을 형성하는 영상 시스템
  12. 컨트롤러의 버튼 조작에 따라 시작을 지시하는 컨트롤명령을 생성하고, 상기 컨트롤명령을 신호처리 제어부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신호처리 제어부는 전송된 컨트롤 명령을 분석하고, 초기에 설정된 상태 대로 영상 센서부와 배경광형성부를 동작하여 주거나, 혹은 상기 신호처리 제어부는 대기상태에 있는 단계와,
    영사기가 동작하게 되면서 컨텐츠 영상을 스크린에 뿌려주는 단계와,
    상기 스크린 테두리에 설치되어 있는 각각의 영상 센서부가 각각의 영역 별로 색상 및 휘도값을 포함하는 광원정보를 확보하는 단계 및, 이를 신호처리제어부로 보고하는 단계와,
    상기 신호처리 제어부는 보고받은 광원정보를 분석하고 대응하는 색상과 휘도값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신호처리 제어부는 결정된 색상과 휘도값 대로 대응하는 배경광형성부가 동작하도록 하는 지시명령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신호처리 제어부는 지시명령을 각각의 영상 센서부에 대응하는 배경광형성부로 지시명령을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배경광형성부는 전송받은 지시명령을 토대로 구동 드라이버에 의해 발광소자가 동작하면서 특정 영역에 투사된 영상의 색상과 동일한 색상의 혹은 유사한 색상의 빛을 스크린 주변에 뿌려지면서 배경광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배경광을 형성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 제어부가 초기에 설정된 상태 대로 영상 센서부와 배경광형성부를 동작하여 주거나, 혹은 대기상태에 있는 단계는,
    어두어져 암전되게 되면, 주변의 밝기를 감지하는 센서가 암전된 사실을 감지하는 단계 및, 이를 신호처리 제어부에 보고하는 단계와,
    상기 신호처리 제어부는 영상 센서부가 색상 및 휘도값을 포함하는 광원정보를 확보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경광을 형성하는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센서부는 광원정보를 확보하는 단계는,
    반사갓을 통해 집광렌즈로 모아진 빛이 상기 집광렌즈에 의해 영상입력센서로 모아지게 되면서 싱기 영상입력센서는 해당 영역의 색상 및 휘도 값을 포함하는 광원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영상입력센서 및 영상 컨트롤로는 생성된 광원정보를 디지털의 정보로 변환하고 이를 신호처리 제어부로 리포팅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배경광을 형성하는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의 조작에 따라 영상 센서부 또는 배경광형성부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지시명령을 생성하고, 이를 신호처리 제어부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신호처리 제어부는 지시명령을 받아 분석하고, 설정된 대로 위치 조정을 위한 지시명령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지시명령을 상기 영상 센서부 또는 배경광형성부로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상기 영상 센서부 또는 배경광형성부는 전송받은 지시명령에 따라 모터를 구동시켜 상하 또는 좌우방향으로 움직여주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배경광을 형성하는 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의 조작에 따라 스크린 조정을 위한 컨트롤 명령을 생성하고, 이를 신호처리 제어부로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신호처리 제어부는 전송받은 컨트롤명령을 분석하고, 회전축을 지정된 회전수 만큼 회전 시켜 주기 위한 지시명령을 생성하고, 상기 지시명령을 회전축의 모터 인가하는 단계 및,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축이 회전하게 되면서 감겨져 있는 스크린이 풀리면서 혹은 풀려있는 스크린이 감겨지게 되면서 중앙에 위치한 스크린의 사이즈가 넓어지거나 축소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배경광을 형성하는 방법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제어부는 영상센서부를 통해 확보된 색상값과 휘도값을 각각의 배경광형성부 별로 순차적으로 저장한 배경광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배경광을 형성하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제어부의 커넥터에 연결되어 있는 영상 센서부가 분리되는 단계와,
    스크린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동일한 영상이 재새되게 될 때, 신호처리제어부는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배경광 패턴을 로드하는 하는 단계와,
    로드된 배경광 패턴의 색상값과 휘도값대로 각각의 배경광형성부를 구동시켜 스크린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 주변에 재생되는 영상과 이어지는 배경광을 형성토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배경광을 형성하는 방법
KR1020150080829A 2015-06-08 2015-06-08 테두리에 배경광을 형성하는 영상 시스템 및 배경광을 형성하는 방법 Abandoned KR201601442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0829A KR20160144253A (ko) 2015-06-08 2015-06-08 테두리에 배경광을 형성하는 영상 시스템 및 배경광을 형성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0829A KR20160144253A (ko) 2015-06-08 2015-06-08 테두리에 배경광을 형성하는 영상 시스템 및 배경광을 형성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4253A true KR20160144253A (ko) 2016-12-16

Family

ID=57735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0829A Abandoned KR20160144253A (ko) 2015-06-08 2015-06-08 테두리에 배경광을 형성하는 영상 시스템 및 배경광을 형성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44253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6491B1 (ko) * 2018-12-14 2019-11-19 엠트리 주식회사 프레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WO2021210729A1 (ko) * 2020-04-14 2021-10-21 주식회사 이음하나 디지털 컨텐츠 재생 및 동기화된 무선 라이팅 디바이스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338632B1 (ko) * 2021-08-17 2021-12-14 주식회사 시스메이트 감성지능형 저전력 디지털 사이니지
CN113889014A (zh) * 2020-07-02 2022-01-04 苏州佳世达电通有限公司 显示系统及控制方法
WO2023096343A1 (ko) * 2021-11-23 2023-06-0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2048106B2 (en) 2021-07-22 2024-07-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having side surface display panel
WO2024181648A1 (ko) * 2023-02-27 2024-09-06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전자 장치에 표시되는 비디오에 대응하는 다른 비디오를 표시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방법, 및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06570A (ja) 2002-04-25 2004-01-08 Kyocera Corp 電子部品素子の実装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06570A (ja) 2002-04-25 2004-01-08 Kyocera Corp 電子部品素子の実装方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6491B1 (ko) * 2018-12-14 2019-11-19 엠트리 주식회사 프레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WO2021210729A1 (ko) * 2020-04-14 2021-10-21 주식회사 이음하나 디지털 컨텐츠 재생 및 동기화된 무선 라이팅 디바이스 제어 방법 및 장치
CN113889014A (zh) * 2020-07-02 2022-01-04 苏州佳世达电通有限公司 显示系统及控制方法
CN113889014B (zh) * 2020-07-02 2024-03-22 苏州佳世达电通有限公司 显示系统及控制方法
US12048106B2 (en) 2021-07-22 2024-07-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having side surface display panel
KR102338632B1 (ko) * 2021-08-17 2021-12-14 주식회사 시스메이트 감성지능형 저전력 디지털 사이니지
WO2023096343A1 (ko) * 2021-11-23 2023-06-0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24181648A1 (ko) * 2023-02-27 2024-09-06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전자 장치에 표시되는 비디오에 대응하는 다른 비디오를 표시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방법, 및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44253A (ko) 테두리에 배경광을 형성하는 영상 시스템 및 배경광을 형성하는 방법
US12075544B2 (en) Remotely controlled and monitored followspot
US10578954B2 (en) Projector configured to be integrated with a surface
US12010465B2 (en) Projection video display apparatus with variable light adjustment for multiscreen projection mode
US11520216B2 (en) Project with image correction system
US7206023B2 (en) Image projection lighting devices with projection field light intensity uniformity adjustment
JP6334552B2 (ja) ステージパフォーマンスから導かれるデータに基づきアンビエントライティング効果を生成する方法
US763518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a collage from a plurality of stage lights
US20170272716A1 (en) Projection apparatus, projection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CN108291711A (zh) 照明装置
KR101583519B1 (ko) 다중 프로젝터를 이용한 영상 공간 구현 방법 및 그 시스템
JP4650256B2 (ja) 情報提示システム
CN105549309B (zh) 显示装置、显示控制方法
KR102437858B1 (ko)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을 제어하는 군중 제어 시스템
JP6268889B2 (ja) 照明装置
KR102128657B1 (ko) 마이크로 미러 기반의 화상 조명장치
JP2009103905A (ja) プロジェクタ
JP2023075473A (ja) 車両用表示装置
WO2000049813A1 (en) Screen linkage type stereoscopic light system
JP5193134B2 (ja) 表示装置
JP2020020986A (ja) プロジェクター、投射システム、及び、投射方法
JP2016103802A (ja) 映像投影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608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5061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5060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0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MND Amendment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7053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6102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7053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012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7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092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7091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063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053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7012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PC1904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