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60142116A - 감김각 조정이 가능한 원사 권취 장치 - Google Patents

감김각 조정이 가능한 원사 권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2116A
KR20160142116A KR1020150078060A KR20150078060A KR20160142116A KR 20160142116 A KR20160142116 A KR 20160142116A KR 1020150078060 A KR1020150078060 A KR 1020150078060A KR 20150078060 A KR20150078060 A KR 20150078060A KR 20160142116 A KR20160142116 A KR 201601421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bbin
yarn
winding
angle
traverse guid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8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9284B1 (ko
Inventor
손의원
김경태
유승완
선종표
Original Assignee
일진에이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진에이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일진에이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780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9284B1/ko
Priority to JP2015169463A priority patent/JP2016222458A/ja
Priority to CN201510679997.2A priority patent/CN106219319A/zh
Publication of KR20160142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21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92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928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4/00Winding, coiling, or depositing filamentary material
    • B65H54/02Winding and traversing material on to reels, bobbins, tubes, or like package cores or formers
    • B65H54/28Traversing devices; Package-shaping arrangements

Landscapes

  • Winding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사가 트래버스 가이드로부터 보빈에 감기는 감김각을 조정함으로써, 이고 현상, 벌지 현상, 측면 요철 현상 및 리본 현상을 방지하고 케이크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감김각 조정이 가능한 원사 권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례로, 보빈에 공급되는 원사를 횡방향으로 트래버스 하는 트래버스 가이드와, 상기 트래버스 가이드의 이동 속도를 제어하는 속도 제어부를 갖는 트래버스부; 상기 트래버스부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원사를 보빈으로 인도하고 상기 보빈을 가압하는 가압 롤러; 및 상기 가압 롤러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보빈에 결합되는 보빈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속도 제어부는 상기 트래버스 가이드의 이동 속도를 제어하여 상기 원사가 트래버스 가이드로부터 상기 보빈에 감기는 감김각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김각 조정이 가능한 원사 권취 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감김각 조정이 가능한 원사 권취 장치{Yarn winder for adjusting helix angle}
본 발명은 감김각 조정이 가능한 원사 권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사를 권취함에 있어서, 그 형상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는 트래버스 장치에 의한 권폭이다. 이러한 권폭의 넓고 좁음에 따라 권취형상이 달라지며, 후공정의 필요에 따라서 치즈 형상, 코니컬 형상 등 여러가지 형상으로 권취된다.
상기 권폭의 넓고 좁음은 기본적으로 트래버스 장치에 의해서 결정되어 지며, 상기 트래버스 장치는 캠 장치에 의한 방법, 날개 모양의 장치를 이용한 방법 등 다양하게 제시되어 있다. 상기 트래버스 장치에 의해서 결정된 권폭은 일정한 권폭, 주기적으로 변동되는 권폭, 경우에 따라서 변동되는 권폭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권폭조정은 권취형상을 좋도록 하는 것뿐만 아니라, 후공정에서 실을 풀어내는 해사공정의 불량을 없애고, 다양한 종류의 실을 좋은 품질로 감을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이러한 권폭조정 기법들은 권취형상에서 중요하게 다루는 이고와 벌지를 개선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좋은 형상을 가지고 후공정의 불량을 없애는 케이크를 생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원사가 트래버스 가이드로부터 보빈에 감기는 감김각을 조정함으로써, 이고 현상, 벌지 현상, 측면 요철 현상 및 리본 현상을 방지하고 케이크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감김각 조정이 가능한 원사 권취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감김각 조정이 가능한 원사 권취 장치는 보빈에 공급되는 원사를 횡방향으로 트래버스 하는 트래버스 가이드와, 상기 트래버스 가이드의 이동 속도를 제어하는 속도 제어부를 갖는 트래버스부; 상기 트래버스부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원사를 보빈으로 인도하고 상기 보빈을 가압하는 가압 롤러; 및 상기 가압 롤러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보빈에 결합되는 보빈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속도 제어부는 상기 트래버스 가이드의 이동 속도를 제어하여 상기 원사가 트래버스 가이드로부터 상기 보빈에 감기는 감김각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속도 제어부가 상기 트래버스 가이드의 이동 속도를 빠르게 하면 상기 감김각이 커져 상기 보빈에 권취되는 원사의 권폭이 줄어들고, 상기 속도 제어부가 상기 트래버스 가이드의 이동 속도를 느리게 하면 상기 감김각이 작아져 상기 보빈에 권취되는 원사의 권폭이 늘어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김각은 상기 원사가 상기 보빈에 권취되는 시간에 따라 다르게 조정되며, 기본 패턴에 제 1 보조 패턴 및 제 2 보조 패턴을 합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보조 패턴은 상기 감김각이 제 1 시간동안 0에서 목표 감김각까지 올라갔다가 0으로 내려오는 형태가 주기를 갖고 반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보조 패턴은 상기 목표 감김각에서 일정 시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보조 패턴의 주기는 시간에 따라 변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보조 패턴의 목표 감김각은 시간에 따라 변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보조 패턴은 상기 감김각이 0을 중심으로 제 1 감김각에서 제 2 감김각까지 올라갔다가 내려오는 형태가 지속적으로 반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김각 조정이 가능한 원사 권치 장치는 트래버스 가이드의 이동 속도를 제어함으로써, 원사가 트래버스 가이드로부터 보빈에 감기는 감김각을 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감김각 조정이 가능한 원사 권취 장치는 상기 감김각을 조정하여 보빈에 권취되는 원사의 권폭을 조정함으로써, 이고 현상, 벌지 현상, 측면 요철 현상 및 리본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김각 조정이 가능한 원사 권취 장치를 도시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김각 조정이 가능한 원사 권취 장치를 도시한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3은 트래버스 가이드의 이동폭과 보빈에 권취되는 원사의 권폭에 따른 감김각의 크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감김각과 권폭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5a 내지 도 5d는 원사의 권취 시간에 따른 감김각의 크기를 결정하는 패턴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6은 도 5b에 도시된 제 1 보조 패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구성 및 동작을 갖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김각 조정이 가능한 원사 권취 장치를 도시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김각 조정이 가능한 원사 권취 장치를 도시한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3은 트래버스 가이드의 이동폭과 보빈에 권취되는 원사의 권폭에 따른 감김각의 크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감김각과 권폭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김각 조정이 가능한 원사 권취 장치(100)는 트래버스부(110), 가압 롤러(120) 및 보빈 홀더(1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김각 조정이 가능한 원사 권취 장치(100)는 원사를 보빈 홀더(130)에 결합된 보빈(131)에 귄취하는 장치이다.
상기 트래버스부(110)는 상기 보빈(131)에 공급되는 원사를 횡방향으로 트래버스하는 트래버스 가이드(111)와 상기 트래버스 가이드(111)의 이동 속도를 제어하는 속도 제어부(112)를 갖는다. 상기 트래버스 가이드(111)가 횡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면, 상기 원사는 소정의 권폭을 가지며 보빈(131)에 권취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트래버스 가이드(111)가 왕복 운동하는 트래버스 폭과 보빈(131)에 권취되는 원사의 실제 권폭은 상이하다. 이는, 트래버스 폭이 실제 원사가 감기는 보빈(131)의 권폭까지 전해지는 동안 감김각(helix angle)(A)과 감쇠율에 의해 변하기 때문이다. 여기서, 감쇠율은 원사의 관성 및 텐션, 자유장의 크기, 원사와 접촉하는 부위의 마찰력, 접촉 압력 등의 함수에 의해 결정된다. 본 발명에서는 감쇠율이 일정한 것으로 가정한다. 또한, 상기 감김각(A)은 트래버스 가이드(111)의 왕복 운동으로 인하여 원사가 보빈(131)에 권취되는 각도를 말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감김각(A)은 케이크 외경의 선속도와 트래버스 가이드의 횡방향 선속도가 이루는 각도이다.
상기 속도 제어부(112)는 상기 트래버스 가이드(111)의 이동 속도를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트래버스 가이드(111)의 이동 속도는 감김각(A)에 영향을 미친다. 상기 속도 제어부(112)가 트래버스 가이드(111)의 이동 속도를 빠르게 하면 감김각(A)이 커지고, 상기 속도 제어부(112)가 트래버스 가이드(111)의 이동 속도를 느리게 하면 감김각(A)이 작아진다. 이때, 트래버스 가이드(111)가 왕복 운동하는 트래버스 폭은 고정된 것으로 가정한다. 또한, 상기 감김각(A)은 보빈(131)에 권취되는 원사의 권폭에 영향을 미친다. 도 3에서 감쇠율이 일정한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김각(A)과 보빈(131)에 권취되는 원사의 권폭은 서로 반비례한다. 즉, 감김각(A)이 커지면 보빈(131)에 권취되는 원사의 권폭이 줄어들고, 감김각(A)이 작아지면 보빈(131)에 권취되는 원사의 권폭이 늘어난다. 결과적으로, 상기 속도 제어부(112)는 트래버스 가이드(111)의 이동 속도를 제어함으로써, 보빈(131)에 권취되는 원사의 권폭을 조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가압 롤러(120)는 상기 트래버스부(110)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트래버스부(110)를 통해 공급되는 원사를 보빈(131)으로 인도한다. 또한, 상기 가압 롤러(120)는 보빈 홀더(130)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원사가 보빈(131)에 감길 때 상기 보빈(131)을 가압하여 원사가 보빈(131)에 안정적으로 감기게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가압 롤러(120)는 상기 보빈(131)에 접촉되며, 상기 보빈(131)에 원사가 감길 때 같이 회전하면서 보빈(131)을 가압한다.
상기 보빈 홀더(130)는 상기 가압 롤러(120)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원사가 권취되는 보빈(131)을 지지한다. 즉, 상기 보빈 홀더(130)에는 보빈(131)이 결합된다. 상기 보빈 홀더(130)가 모터 등에 의해 소정의 속도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보빈(131)에 원사가 권취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원사 권취 장치(100)의 동작을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원사는 보빈 홀더(130)에 설치된 보빈(131)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보빈(131)에 권취된다. 이때, 상기 원사는 트래버스부(110)의 트래버스 가이드(111)에 의해 횡방향으로 왕복 운동됨으로써, 상기 보빈(131)에 소정 권폭을 가지며 권취된다. 또한, 속도 제어부(112)는 상기 트래버스 가이드(111)의 이동 속도를 제어함으로써, 보빈(131)에 권취되는 원사의 권폭을 조절한다. 물론, 이때 상기 가압 롤러(120)는 상기 보빈(131)을 일정한 힘으로 가압함으로써, 상기 원사가 상기 보빈(131)에 촘촘하게 권취되도록 한다. 또한, 보빈 홀더(130)와 가압 롤러(120)는 속도 센서(미도시)에 의해 회전 속도가 제어된다.
한편, 상기 원사는 트래버스 가이드(111)의 운전방향이 바뀔 때 보빈(131)의 양쪽 끝단에 머무르는 시간이 상대적으로 길기 때문에, 상기 보빈(131)의 양쪽 끝단의 권취 두께가 상대적으로 두꺼워지는 이고(saddle)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사는 상기 보빈(131)에 권취되는 과정에서 권폭의 변화나 권취된 원사의 수축력 등에 의해서 측면으로 벌어지는 벌지(bulge) 현상이나, 케이크의 측면이 튀어나오거나 미세하게 무너지는 측면 요철 현상 및 원사가 같은 위치에 반복적으로 감기는 리본 현상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원사 권취 장치(100)는 트래버스 가이드(111)의 속도를 제어하여 감김각(A)을 조정함으로써, 보빈(131)에 권취되는 원사의 권폭을 조정하여 이고 현상, 벌지 현상, 측면 요철 현상 및 리본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보빈(131)에 형성되는 케이크의 형상이 우수하게 형성된다. 여기서, 케이크는 보빈(131)에 원사가 권취된 상태를 말한다. 이에 따라, 각종 원단을 제조하기 위한 해사(解絲)시에 원사의 장력이 일정해짐으로써, 염색 등의 후공정이 원활히 수행된다.
다음은 케이크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원사 권취 장치의 감김각을 조정하는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5a 내지 도 5d는 원사의 권취 시간에 따른 감김각의 크기를 결정하는 패턴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6은 도 5b에 도시된 제 1 보조 패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여기서, 사용자는 원사의 권취 시간에 따른 감김각(A)의 크기를 결정하여 속도 제어부(112)에 입력하고, 상기 속도 제어부(112)는 입력된 감김각(A)의 크기에 맞게 트래버스 가이드(111)의 이동 속도를 조절한다. 본 발명에서 권취 시간에 따른 감김각(A)의 크기는 기본 패턴에 제 1 보조 패턴 및 제 2 보조 패턴을 합해서 결정된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시간에 따른 감김각(A)의 크기를 정하여 기본 패턴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상기 기본 패턴은 원사의 권취 시간에 따라 제1구간(S1), 제2구간(S2) 및 제3구간(S3)으로 나뉜다. 상기 감김각(A)은 제1구간(S1)에서 제1기울기(a1)를 가지며, 제2구간(S2)에서 제2기울기(a2)를 가지며, 제3구간(S3)에서 제3기울기(a3)를 가지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1구간(S1)에서 상기 감김각(A)은 기준 감김각(AS)에 도달하도록 제1기울기(a1)를 가지며 점점 커지도록 설정된다. 또한, 상기 제2구간(S2)에서 상기 감김각(A)은 기준 감김각(A0)을 유지하도록 설정된다. 즉, 상기 제2기울기(a2)는 0으로 설정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3구간(S3)에서 상기 감김각(A)은 기준 감김각(AS)에서 제3기울기(a3)를 가지며 점점 작아지도록 설정된다. 여기서, 제1기울기(a1)의 절대값은 제3기울기(a3)의 절대값보다 크게 설정된다(|a1|>|a3|).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원사가 권취되는 구간에 따라 감김각(A)의 기울기를 다르게 설정함으로써, 케이크의 기본적인 벌지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물론, 원사가 권취되는 구간에 상관없이 감김각(A)을 모두 일정하게 설정할 수도 있다. 그러나, 벌지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원사가 권취되는 구간에 따라 감김각(A)의 기울기를 다르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본패턴은 상기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제 1 보조 패턴을 결정한다. 상기 제 1 보조 패턴은 제 1 시간(t1) 동안 감김각(A)이 0에서 목표 감김각(AG)까지 올라갔다가 다시 0으로 내려오는 형태가 반복되는 패턴이다. 여기서, 상기 제 1 보조 패턴은 목표 감김각(AG)에서 일정 시간 동안 유지한 후, 0으로 내려올 수도 있다. 상기 제 1 보조 패턴의 주기는 주기적이거나 비주기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보조 패턴의 주기는 시간에 따라 변동될 수 있다. 여기서, 감김각(A)이 목표 감김각(AG)까지 올라갔다가 내려오는 제 1 시간(t1)은 권폭이 좁아지는 구간에서 원사가 감기는 권밀도를 결정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권밀도를 조정하여 권취시 측면이 튀어나오거나 미세하게 무너지는 측면 요철 현상을 완화시킬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은 상기 제 1 보조 패턴을 반복함으로써 이고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보조 패턴의 목표 감김각(AG)은 고정된 값을 갖는 목표치 고정형으로 설정되거나(도 6의 (a) 참조), 기본 패턴에서 일정한 값(X)만큼 증가하는 목표치 비율형으로 설정되거나(도 6의 (b) 참조), 임의의 값을 갖는 목표치 임의설정형으로 설정될 수 있다(도 6의 (c) 참조). 즉, 목표치 비율형이나 목표치 임의설정형은 목표 감김각(AG)이 시간에 따라 변동되게 설정된다.
다음으로,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제 2 보조 패턴을 결정한다. 상기 제 2 보조 패턴은 감김각(A)이 0을 중심으로 제 1 감김각(A1)에서 제 2 감김각(A2)까지 올라갔다가 내려오는 형태가 지속적으로 반복되는 패턴이다. 이때, 제 1 감김각(A1)에서 제 2 감김각(A2)까지 변하는 제 2 시간(t2)은 상기 제 1 시간(t1)에 비해 상대적으로 매우 짧은 시간일 수 있다. 물론, 상기 제 1 시간(t1)이 제 2 시간(t2)보다 작거나 동일하다면, 제 1 보조 패턴이 형성된 시간에서 제 2 보조 패턴은 생략될 수 있다. 이러한 제 2 보조 패턴은 감김각에 많은 변동을 부여하여 같은 위치에 반복적으로 감기는 리본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더불어, 상기 제 2 보조 패턴이 제 1 보조 패턴과 함께 사용될 경우, 리본 방지 효과가 더욱 좋아진다.
최종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김각 조정이 가능한 원사 권취 장치(100)에서 원사의 권취 시간에 따른 감김각의 크기는 기본 패턴에 제 1 보조 패턴 및 제 2 보조 패턴을 합한 도 5d에 도시된 패턴과 같이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감김각 조정이 가능한 원사 권취 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원사 권취 장치 110: 트래버스부
111: 트래버스 가이드 112: 속도 제어부
120: 가압 롤러 130: 보빈 홀더
131: 보빈

Claims (8)

  1. 보빈에 공급되는 원사를 횡방향으로 트래버스 하는 트래버스 가이드와, 상기 트래버스 가이드의 이동 속도를 제어하는 속도 제어부를 갖는 트래버스부;
    상기 트래버스부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원사를 보빈으로 인도하고 상기 보빈을 가압하는 가압 롤러; 및
    상기 가압 롤러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보빈에 결합되는 보빈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속도 제어부는 상기 트래버스 가이드의 이동 속도를 제어하여 상기 원사가 트래버스 가이드로부터 상기 보빈에 감기는 감김각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김각 조정이 가능한 원사 권취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속도 제어부가 상기 트래버스 가이드의 이동 속도를 빠르게 하면 상기 감김각이 커져 상기 보빈에 권취되는 원사의 권폭이 줄어들고,
    상기 속도 제어부가 상기 트래버스 가이드의 이동 속도를 느리게 하면 상기 감김각이 작아져 상기 보빈에 권취되는 원사의 권폭이 늘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김각 조정이 가능한 원사 권취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김각은 상기 원사가 상기 보빈에 권취되는 시간에 따라 다르게 조정되며, 기본 패턴에 제 1 보조 패턴 및 제 2 보조 패턴을 합하여 결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김각 조정이 가능한 원사 권취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보조 패턴은 상기 감김각이 제 1 시간동안 0에서 목표 감김각까지 올라갔다가 0으로 내려오는 형태가 주기를 갖고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김각 조정이 가능한 원사 권취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보조 패턴은 상기 목표 감김각에서 일정 시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김각 조정이 가능한 원사 권취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보조 패턴의 주기는 시간에 따라 변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김각 조정이 가능한 원사 권취 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보조 패턴의 목표 감김각은 시간에 따라 변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김각 조정이 가능한 원사 권취 장치.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보조 패턴은 상기 감김각이 0을 중심으로 제 1 감김각에서 제 2 감김각까지 올라갔다가 내려오는 형태가 지속적으로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김각 조정이 가능한 원사 권취 장치.
KR1020150078060A 2015-06-02 2015-06-02 감김각 조정이 가능한 원사 권취 장치 Active KR1016892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8060A KR101689284B1 (ko) 2015-06-02 2015-06-02 감김각 조정이 가능한 원사 권취 장치
JP2015169463A JP2016222458A (ja) 2015-06-02 2015-08-28 ヘリックス角を調整可能な原糸巻取装置
CN201510679997.2A CN106219319A (zh) 2015-06-02 2015-10-19 可调节卷绕角的原纱卷绕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8060A KR101689284B1 (ko) 2015-06-02 2015-06-02 감김각 조정이 가능한 원사 권취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2116A true KR20160142116A (ko) 2016-12-12
KR101689284B1 KR101689284B1 (ko) 2016-12-26

Family

ID=57528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8060A Active KR101689284B1 (ko) 2015-06-02 2015-06-02 감김각 조정이 가능한 원사 권취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16222458A (ko)
KR (1) KR101689284B1 (ko)
CN (1) CN10621931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71826B2 (ja) * 2020-05-22 2023-10-31 島津産機システムズ株式会社 繊維巻取装置
CN116062545B (zh) * 2023-03-02 2024-07-26 中国科学院新疆理化技术研究所 一种自动排线的无机纤维收卷装置及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3305A (ko) * 2009-02-16 2010-08-25 일진에이테크 주식회사 가변 트래버스로 사의 권폭을 조절하는 기능을 갖는 탄성사용 권취기
KR20100093500A (ko) * 2009-02-16 2010-08-25 코마츠 엔티씨 가부시끼가이샤 트래버스 제어방법 및 그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18473A (ja) * 1986-12-08 1988-09-12 バルマーク・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糸を巻取るときにリボン巻きを防止する方法と装置
JP2853011B2 (ja) * 1994-07-18 1999-02-03 東レ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巻取機のトラバース速度制御方法
JP2000185872A (ja) * 1998-12-18 2000-07-04 Toray Eng Co Ltd 糸条巻取機の制御方法
DE10015933B4 (de) * 2000-03-30 2015-09-03 Saurer Germany Gmbh & Co. Kg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Stufenpräzisionswicklung
DE102004052564A1 (de) * 2004-10-29 2006-05-04 Saurer Gmbh & Co. K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treiben einer Arbeitsstelle einer Kreuzspulen herstellenden Textilmaschine
CN101243214A (zh) * 2005-08-17 2008-08-13 欧瑞康纺织有限及两合公司 用于卷绕许多根合成丝线的方法和设备
JP2011157196A (ja) * 2010-02-02 2011-08-18 Murata Machinery Ltd 糸巻取機
JP2012153476A (ja) * 2011-01-25 2012-08-16 Murata Machinery Ltd 糸巻取装置
JP2015081157A (ja) * 2013-10-21 2015-04-27 村田機械株式会社 糸巻取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3305A (ko) * 2009-02-16 2010-08-25 일진에이테크 주식회사 가변 트래버스로 사의 권폭을 조절하는 기능을 갖는 탄성사용 권취기
KR20100093500A (ko) * 2009-02-16 2010-08-25 코마츠 엔티씨 가부시끼가이샤 트래버스 제어방법 및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6222458A (ja) 2016-12-28
KR101689284B1 (ko) 2016-12-26
CN106219319A (zh) 2016-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6571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inding a yarn into a package
US340289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 package of yarn
KR20130114717A (ko) 방사 권취 장치 및 방사 권취 설비
US465902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inding textile yarns
JP4711103B2 (ja) 糸の巻き取り方法とその装置
JPS6139266B2 (ko)
ITMI20120478A1 (it) Dispositivo tendifilo dei filati in avvolgimento
KR101689284B1 (ko) 감김각 조정이 가능한 원사 권취 장치
KR100684087B1 (ko)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실을 감는 방법 및 장치
CN101544322A (zh) 控制横动装置的方法及制造交叉卷绕筒的纺织机
EP4310044A1 (en) Winding unit provided with a thread tensioning device of a yarn, and the related control method
EP3363756B1 (en) Yarn winder
CN116692596A (zh) 一种基于卷装直径预测的筒纱卷绕闭环控制方法
US4266734A (en) Winding device
US5740981A (en) Method of winding a yarn to a cross-wound package
JP2005335954A (ja) 綾巻きボビンを製造する繊維機械の巻き取り装置を運転する方法及び装置
JP4873622B2 (ja) 線材の巻取装置および繰出装置
EP2105400A2 (en) Yarn winding machine and yarn winding method
KR20010114220A (ko) 얀 패키지를 권취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2013532620A (ja) 繊維ボビンを製造する方法並びにこの方法を実施する作業箇所
KR101675813B1 (ko) 보조 가이드를 이용한 권폭조정장치
JP2740254B2 (ja) ワインダ
EP3865442B1 (en) Yarn winder and package production method
EP3950552B1 (en) Yarn winder
CN1934020B (zh) 交叉卷绕筒子及其制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60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6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120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12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12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0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2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2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20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02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