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6691A - 와이어 길이조절 및 접이구조를 통해 크기 조절이 가능한 구이용 석쇠 - Google Patents
와이어 길이조절 및 접이구조를 통해 크기 조절이 가능한 구이용 석쇠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136691A KR20160136691A KR1020150070572A KR20150070572A KR20160136691A KR 20160136691 A KR20160136691 A KR 20160136691A KR 1020150070572 A KR1020150070572 A KR 1020150070572A KR 20150070572 A KR20150070572 A KR 20150070572A KR 20160136691 A KR20160136691 A KR 2016013669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r
- frame
- frame bar
- grill
- length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94—Broiling r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이어 길이조절 및 접이구조를 통해 크기 조절이 가능한 구이용 석쇠에 관한 것으로, 석쇠 전체적인 크기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미 사용시 휴대와 보관할 때 공간소모율을 최소화하여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도록 하고, 구이부의 면적을 사용되는 화구의 면적에 적합한 크기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이효과가 향상되도록 함은 물론, 구이 과정에서 구이부가 불필요하게 많은 공간을 차지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발명이다.
그리고 사용 후 석쇠 전체 크기를 축소시키는 과정에서 작은 힘으로도 손쉽게 반자동 형태로 축소되도록 함에 따라 사용자가 최소의 힘을 들이고도 석쇠의 크기조절이 손쉽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발명이다.
또한 사용 후 세척하는 과정에서 세척 전에 각 받침와이어 표면에 묻어 있는 기름때를 1차적으로 어느정도 제거한 후 세척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세척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발명이다.
미 사용시 휴대와 보관할 때 공간소모율을 최소화하여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도록 하고, 구이부의 면적을 사용되는 화구의 면적에 적합한 크기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이효과가 향상되도록 함은 물론, 구이 과정에서 구이부가 불필요하게 많은 공간을 차지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발명이다.
그리고 사용 후 석쇠 전체 크기를 축소시키는 과정에서 작은 힘으로도 손쉽게 반자동 형태로 축소되도록 함에 따라 사용자가 최소의 힘을 들이고도 석쇠의 크기조절이 손쉽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발명이다.
또한 사용 후 세척하는 과정에서 세척 전에 각 받침와이어 표면에 묻어 있는 기름때를 1차적으로 어느정도 제거한 후 세척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세척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발명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고기나 생선 등의 직화구이 용도로 사용되는 구이용 석쇠에 관한 것으로, 석쇠테두리 간의 간격조절이 가능하고 양 테두리 간 간격조절 과정에서 각 받침와이어의 길이도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도록 하여 미 사용시 석쇠 자체 부피를 최소화 할 수 있음에 따라, 보관이나 휴대가 용이하고 사용되는 화구의 면적에 따라 그에 적합한 크기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화구에 적용 가능하여 적용가능 범위가 극대화될 수 있도록 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캠핑 및 음식점 등에서 생선이나 육류의 직화구이 조리 시 구이용 석쇠를 많이 이용한다.
일반적인 구이용 석쇠는 금속재질의 테두리 프레임이 원이나 사각 링 형태를 이루며 형성되고, 테두리 프레임에 의해 둘러싸여 형성된 내부공간에는 철사 형태의 받침와이어가 간격을 두고 수평 상태로 배열된 상태에서 각 받침와이어의 양단부는 테두리 프레임 양 내측면에 고정된 구조로 구이부를 이루고, 구이부 중 테두리 프레임 일측지점에 손잡이가 일체로 돌출 연결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 상태에서 육류나 생선 등의 구이대상물을 받침와이어 상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석쇠의 하부면, 즉 받침와이어의 하부를 화구 상에 위치시킴에 따라 화구의 열기와 화염이 각 받침와이어 사이 공간을 통해 구이대상물 표면에 전달되어 구이가 이루어지는 방식이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구이용 석쇠는 모두 테두리 프레임의 구조 및 형상이 고정화되어 있어 항시 전체 형상이 그대로 유지된다.
따라서 사용 후 이 상태로 보관해야 하므로, 형상의 특성 상 구이부가 차지하는 면적이 크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보관 시 공간소비율이 너무 큰 단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캠핑 등을 위해 휴대 시에도 공간을 많이 소비할 수밖에 없어 휴대가 쉽지 않은 단점도 있다.
또한 구이부 중 구이대상물이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각 받침와이어가 항시 외부에 노출되는 형태이므로, 보관이나 휴대 과정에서 이물질이 받침와이어 표면에 묻을 가능성도 크므로, 위생상 좋지 않은 단점도 갖는다.
또한 구이부의 면적이 항시 일정하기 때문에, 만약 화구의 면적이 상대적으로 작아 구이부의 면적이 화구면적에 비해 불필요하게 클 경우, 구이대상물이 구이부 테두리 부근에 위치한 구이대상물은 잘 익지 않을 뿐만 아니라, 석쇠 전체적으로 화구 상에 안정적으로 위치되기 어려우며, 구이부 테두리가 화구 주변으로 불필요하게 많이 돌출되어 사용자 등의 이동 시 원치않게 부딪힐 가능성도 크다.
이 외에 기존 석쇠는 사용 후 각 받침와이어 표면에 묻어 있는 기름때를 일일이 손으로 닦아내야 하는데, 각 받침와이어가 철사 형태이고 상호 촘촘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기름때가 잔뜩 묻어 있는 상태에서 깨끗하게 닦아내기 쉽지 않은 단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석쇠가 갖는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석쇠 전체적인 크기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미 사용시 휴대와 보관할 때 공간소모율을 최소화하여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도록 하고,
구이부의 면적을 사용되는 화구의 면적에 적합한 크기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이효과가 향상되도록 함은 물론, 구이 과정에서 구이부가 불필요하게 많은 공간을 차지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구이용 석쇠를 제공하고자 한다.
그리고 사용 후 석쇠 전체 크기를 축소시키는 과정에서 작은 힘으로도 손쉽게 반자동 형태로 축소되도록 함에 따라 사용자가 최소의 힘을 들이고도 석쇠의 크기조절이 손쉽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구이용 석쇠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사용 후 세척하는 과정에서 세척 전에 각 받침와이어 표면에 묻어 있는 기름때를 1차적으로 어느정도 제거한 후 세척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세척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구이용 석쇠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해결과제의 해결을 위한 본 발명은,
금속재질의 바아 형태이고 내부에는 수용공간이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면 중 상기 각 수용공간과 마주하는 지점에는 와이어 통과홀이 형성되어 있는 제1테두리바아, 상기 제1테두리바아와 동일한 길이를 갖는 바아 형태이고 제1테두리바아와 전후 간격을 두고 마주하며 수평 상태로 위치하는 제2테두리바아, 상기 제1테두리바아와 제2테두리바아 사이 중 일측 단부 사이에 위치하고 복수개의 제1관이 다중관 형태를 이루며 전체적으로 텔레스코픽 구조로 상기 각 제1관이 전후 직선이동하여 전후 길이조절이 다단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단부는 상기 제1테두리바아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고 타단부는 상기 제2테두리바아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제1길이가변바아, 상기 제1테두리바아와 제2테두리바아 사이 중 상기 제1길이가변바아와 대칭되는 쪽 단부 사이에 위치하고 복수개의 제2관이 다중관 형태를 이루며 전체적으로 텔레스코픽 구조로 상기 각 제2관이 전후 직선이동하여 전후 길이조절이 다단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단부는 상기 제1테두리바아에 일체로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2테두리바아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제2길이가변바아, 상기 제1테두리바아의 각 수용공간마다 설치되어 있는 태엽부재, 상기 제1테두리바아와 제2테두리바아 사이에 위치하고 전체적으로 금속재 와이어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호 수평 상태를 이루며 간격을 두고 좌우 배치되어 있으며 각 일단부는 상기 제1테두리바아의 와이어 통과홀을 관통하여 상기 태엽부재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개의 받침 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2테두리바아를 이동시켜 제1이동바아와의 간격을 늘리는 과정에서 상기 제1, 2길이가변바아의 각 제1, 2관이 직선이동하여 길이가 증가 되고 상기 각 받침와이어가 상기 제2테두리바아에 의해 당겨지는 과정에서 상기 각 태엽부재가 인장됨과 동시에 반대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1,2 가변길이바아의 각 제1, 2관의 전후측 단부에는 걸림편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2관이 직선이동하여 전체 길이가 증가 되는 과정에서 특정 제1, 2관의 후측단부에 형성된 걸림편이 타 제1 ,2관 전측단부의 걸림편과 분리 가능하도록 걸림이 이루어짐에 따라 길이조절 상태가 유지되며, 상기 상호 걸려 있는 각 제1걸림편의 걸림을 해제하는 순간 상기 각 받침와이어는 상기 태엽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태엽부재에 감기면서 상기 제2테두리바아를 제1테두리바아 쪽으로 잡아당김에 따라 상기 제1, 2테두리바아 간의 간격이 자동으로 좁혀지게 되고, 이 과정에서 상기 제1, 2가변길이바아의 길이가 축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2테두리바아의 중간 지점은 분할되어 있고 상기 분할지점에는 각각 제1, 2힌지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2테두리바아는 상기 제1, 2힌지부를 중심으로 좌우 절첩구조를 갖고, 상기 제1테두리바아의 외측면에 연결되어 돌출 형성되어 있되 연결지점에 형성된 제3힌지부를 중심으로 절첩이 가능한 접이식 손잡이 및 상기 각 와이어 통과홀 입구 테두리 주변에 형성되어 있으며 단부가 상기 각 와이어 둘레면에 접촉되어 있는 이물질제거편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각 받침와이어가 상기 태엽부재에 감겨지는 과정에서 상기 와이어 통과홀을 통과할 때 표면에 묻어 있는 이물질이 상기 이물질제거편에 의해 쓸려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해결수단을 갖는 본 발명은,
사용자가 제2테두리바아를 후측으로 잡아당기는 과정에서 제1, 2길이가변바아가 텔레스코픽 구조에 의해 길이가 늘어나고, 각 받침와이어가 제2테두리바아에 의해 당겨지는 과정에서 태엽부재가 인장됨에 따라 항시 팽팽한 상태를 유지한 상태로 원활하게 당겨지짐에 따라 적적 면적의 구이부를 구성하게 되고,
사용 후 각 제1, 2길이가변바아의 걸림편 간 걸림을 해제시키면 태엽부재의 탄성력에 각 받침와이어가 태엽부재에 감겨지면서 제2테두리바아를 제1테두리바아 쪽으로 당김에 따라 제1, 2테두리바아 간 간격이 좁혀지게 되고, 이 과정에서 제1, 2길이가변바아는 텔레스코픽 구조에 의해 원활하게 길이가 축소됨에 따라,
구이부의 전체 면적 및 크기가 축소되므로, 보관이나 휴대 시 공간소모율이 최소화되어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하다.
또한 제1, 2테두리바아 간 간격이 조절되는 과정에서 제1, 2길이가변바아가 텔레스코픽구조에 의해 다단 형태로 길이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제1, 2테두리바아 간 간격을 사용자가 원하는 수준으로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화구의 면적에 따라 그에 맞게 제1, 2테두리바아 간의 간격을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음식의 구이효율이 향상됨은 물론, 제1, 2테두리바아 가 화구 주변에 불필요하게 튀어나와 주변과의 원치 않는 충돌 현상도 방지된다.
그리고 제1, 2길이가변바아의 각 걸림편 간 걸림이 해제됨과 동시에 태엽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각 받침와이어가 자동으로 각 태엽부재에 감기면서 제2테두리바아와 제1테두리바아 간 간격이 자동으로 좁혀질 수 있으므로, 구이부의 면적 및 크기 축소과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어 편리하다.
또한 절첩식 손잡이도 접이구조를 가짐에 따라 구이용 석쇠 전체적인 면적 및 크기가 더욱 축소될 수 있다.
그리고 각 받침와이어가 태엽부재에 자동으로 감겨질 때 와이어 통과홀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각 받침와이어 표면에 묻어 있던 기름때 등의 이물질이 이물질제거편에 의해 자동으로 쓸려 1차적으로 제거되기 때문에, 이 상태에서 세척할 경우 받침와이어 표면의 이물질 세척효율이 향상된다.
도1은 전체 사시도
도2는 전체 평면도
도3은 태엽부재와 받침와이어 간 연결구조를 나타낸 일부 확대 단면도
도4는 구이부 전체 면적이 축소된 상태의 평면도
도5는 제1, 2테두리바아가 각각 제1, 2힌지부에 의해 절첩된 상태의 평면도
도6은 접이식 손잡이가 제3힌지부에 의해 절첩된 상태의 평면도
도2는 전체 평면도
도3은 태엽부재와 받침와이어 간 연결구조를 나타낸 일부 확대 단면도
도4는 구이부 전체 면적이 축소된 상태의 평면도
도5는 제1, 2테두리바아가 각각 제1, 2힌지부에 의해 절첩된 상태의 평면도
도6은 접이식 손잡이가 제3힌지부에 의해 절첩된 상태의 평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이부(1)와 접이식 손잡이(14)로 크게 구성된다.
구이부(1)는 육류나 생선 등의 구이대상물이 놓여진 상태로 화구 상에 위치되어 구이대상물의 직화구이가 이루어지는 구성요소로써, 제1테두리바아(2)와 제2테두리바아(5), 태엽부재(9), 제1길이가변바아(6), 제2길이가변바아(13), 받침와이어(11)로 구성된다.
그 중 제1테두리바아(2)는 후술하는 제2테두리바아(5)와 제1길이가변바아(6) 및 제2길이가변바아(13)와 더불어 구이부(1)의 테두리 구조체 역할과 동시에 후술하는 태엽부재(9)의 설치기능을 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일정길이를 갖는 금속재질의 바아(bar) 형태이다.
제1테두리바아(2)의 내부에는 후술하는 태엽부재(9)의 설치를 위한 수용공간(3)이 제1테두리바아(2)의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그리고 제1테두리바아(2)의 일측 테두리면 중 각 수용공간(3)과 전후 마주하는 지점에는 후술하는 받침와이어(11)의 인출 및 인입 시 통로 역할을 하기 위한 와이어 통과홀(4)이 간격을 두고 배열 형성된다.
제1테두리바아(2)는 전체적으로 하나의 바아 구조가 아니라 중간지점을 중심으로 좌우 분할된 구조이고, 이때 분할 지점에는 제1힌지부(15)가 형성됨에 따라 제1테두리바아(2)는 제1힌지부(15)를 중심으로 접혀져 상호 중첩되는 접이 구조를 갖는다.
제2테두리바아(5)는 제1테두리바아(2)와 더불어 구이부(1)의 테두리 구조체 역할과 동시에 후술할 받침와이어(11)의 지지체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제1테두리바아(2)와 동일한 길이를 갖는 금속재질의 바아 형태이고 제1테두리바아(2)와 전후 마주한 상태에서 전후 간격을 두고 수평 상태로 위치된다.
제2테두리바아(5)도 제1테두리바아(2)와 마찬가지로 전체적으로 하나의 바아 구조가 아니라 중간지점을 중심으로 좌우 분할된 구조이고, 분할 지점에는 제2힌지부(16)가 형성됨에 따라 제2테두리바아(5)는 제2힌지부(16)를 중심으로 접혀져 상호 중첩되는 접이 구조를 갖는다.
제1길이가변바아(6)는 제1, 2테두리바아(2)(5) 및 후술하는 제2길이가변바아(13)와 더불어 구이부(1)의 테두리 지지체 역할과 동시에 제1, 2테두리바아(2)(5) 간 연결기능 및 제1, 2테두리바아(2)(5) 간 간격조절 시 이동 경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복수개의 제1관(7)이 동심을 이루며 위치되는 다중관 형태이고 전체적으로 텔레스코픽(telescopic) 구조를 가짐에 따라 각 제1관(7)이 전후 직선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호 인출 및 인입되어 전체 길이가 전후 조절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이때 도1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제1관(7)의 전측단부와 후측단부에는 각각 걸림편(8)이 형성되고 각 제1관(7)이 인출되어 전체 길이가 늘어나는 과정에서 특정 제1관(7)의 걸림편(8)이 타 제1관의 걸림편에 걸림에 따라 더 이상의 인출이 방지됨과 동시에 원치않게 반대방향으로 이동하여 타 제1관에 인입되는 현상이 차단되어 길이의 증가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또한 텔레스코픽 구조를 갖고 각 제1관(7)마다 걸림편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체적인 길이조절이 특정 길이씩 다단 형태로 조절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제1길이가변바아(6)는 제1, 2테두리바아(2)(5) 사이 중 일측 단부 사이 지점에 위치된 상태에서 전측단부는 제1테두리바아(2) 중 와이어 통과홀(4)이 형성된 면에 일체로 연결되고, 후측단부는 제2테두리바아(5) 중 제1테두리바아(2)와 마주하는 면에 일체로 연결된다.
제2길이가변바아(13)는 제1길이가변바아(6) 및 제1, 2테두리바아(2)(5)와 더불어 구이부(1)의 테두리 지지체 역할과 동시에 제1길이가변바아(6)와 함께 제1, 2테두리바아(2)(5) 간 연결기능 및 제1, 2테두리바아(2)(5) 간 간격조절 시 이동 경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제1길이가변바아(6)와 동일한 구조, 즉 복수개의 제2관(18)이 동심을 이루며 위치되는 다중관 형태이고 전체적으로 텔레스코픽(telescopic) 구조를 가짐에 따라 각 제2관(18)이 전후 직선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호 인출 및 인입되어 전체 길이가 전후 조절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이때 각 제2관(18)의 전측단부와 후측단부에도 각각 걸림편(8)이 형성되고 각 제2관(18)이 인출되어 전체 길이가 늘어나는 과정에서 특정 제2관(18)의 걸림편(8)이 타 제2관의 걸림편에 걸림에 따라 더 이상의 인출이 방지됨과 동시에 원치않게 반대방향으로 이동하여 타 제2관에 인입되는 현상이 차단되어 길이의 증가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또한 텔레스코픽 구조를 갖고 각 제2관(18)마다 걸림편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체적인 길이조절이 특정 길이씩 다단 형태로 조절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제2길이가변바아(13)는 제1, 2테두리바아(2)(5) 사이 중 제1길이가변바아(6)가 위치하는 지점과 반대되는 쪽 단부 사이에 위치된 상태에서 전측단부는 제1테두리바아(2) 중 와이어 통과홀(4)이 형성된 면에 일체로 연결되고, 후측단부는 제2테두리바아(5) 중 제1테두리바아(2)와 마주하는 면에 일체로 연결된다.
구이부(1)는 제1, 2테두리바아(2)(5)와 제1, 2길이가변바아(6)(13) 간 연결구조에 의해 전체적으로 사각 링 형태를 띤다.
태엽부재(9)는 제1, 2테두리바아(2)(5) 간 간격 조절과정에서 후술하는 받침와이어(11)의 풀림과 자동감김 기능을 하여, 전체적으로 구이부(1) 전체의 자동 면적 축소를 위한 구동원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일반적인 나선형태로 감겨있는 밴드 형태이고 제1테두리바아(2)의 각 수용공간(3) 내부에 위치된다.
이 상태에서 태엽부재(9)의 중심부에는 회전축(10)의 하단부가 연결되어 세워진 형태로 설치됨에 따라 회전축(10)이 일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태엽부재(9)는 감기면서 인장됨과 동시에 반대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한다.
받침와이어(11)는 구이부(1) 중 구이대상물이 실제 놓여져 구이가 이루어지는 부분으로, 가느다란 철사 구조로 이루어지고 제1테두리바아(2)와 제2테두리바아(5) 사이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호 수평을 이루며 간격을 두고 제1, 2테두리바아(2)(5)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 형성된다.
이 상태에서 각 받침와이어(11)의 전측단부는 제1테두리바아(2)의 각 와이어 통과홀(4)을 관통한 뒤 회전축(10)에 감겨 있고 후측단부는 제2테두리바아(5) 중 제1테두리바아(2)와 마주하는 면에 고정 연결된다.
접이식 손잡이(14)는 구이용 석쇠의 전체 손잡이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일단부가 제1테두리바아(2)의 외측면에 연결된 상태로 돌출 형성되고, 이때 접이식 손잡이(14)와 제1테두리바아(2) 간 연결지점에는 제3힌지부(17)가 형성되며, 접이식 손잡이(14)는 제3힌지부(17)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접이 구조를 갖는다.
마지막으로 이물질 제거편(12)은 사용 후 세척 전 각 받침와이어(11) 표면에 묻어 있는 기름때 등의 이물질을 1차적으로 긁어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관 형태고 일단부가 제1테두리바아(2)의 각 와이어 통과홀(4)과 동심을 이루도록 연결된 상태에서 제2테두리바아(5)를 향해 돌출 형성되며 받침와이어(11)의 둘레면을 둘러싼 형태 즉 받침와이어(11)가 각 이물질 제거편(12)을 관통한 후 와이어 통과홀(4)에 삽입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때 이물질 제거편(12)중 타단부는 내경이 거의 받침와이어(11)의 지름과 동일하도록 하여 상호 거의 접촉될 정도가 되도록 한다.
이로 인해 받침와이어(11)가 태엽부재(9)에 의해 당겨져 이물질 제거편(12)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이물질 제거편(12)의 내경 테두리가 받침와이어(11) 표면의 이물질을 긁어내면서 제거하게 된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사용과정 및 그 과정에서 발생 되는 효과 등을 설명한다.
최초 도1의 상태, 즉 제1테두리바아(2)와 제2테두리바아(5) 간 간격이 최대로 넓혀져 있는 상태에서는, 제1, 2길이가변바아(6)(13)도 최대로 길이가 증가된 상태이며 각 받침와이어(11)도 제2테두리바아(5)에 의해 당겨져 회전축(10) 상에서 거의 모두 풀려진 상태가 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각 태엽부재(9)는 받침와이어(11)가 제2테두리바아(5)에 의해 당겨지는 과정에서 인장됨과 동시에 반대방향으로 탄성력이 발휘된 상태이므로, 각 받침와이어(11)는 항시 팽팽하게 당겨진 상태의 장력을 유지하게 됨은 물론, 받침와이어(11)가 제2테두리바아(5)를 제1테두리바아(2) 쪽으로 항시 잡아당기고 있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제1, 2길이가변바아(6)(13)는 각 제1관(7)과 제2관(18)이 각 걸림편(8)에 의해 걸려진 상태가 되어, 길이가 증가된 상태가 그대로 유지되는데, 따라서 태엽부재(9)의 탄성력에 의해 받침와이어(11)가 제2테두리바아(5)를 항시 제1테두리바아(2) 쪽으로 잡아당기고 있더라도, 제2테두리바아(5)가 원치 않게 제1테두리바아(2) 쪽으로 이동하는 현상이 방지된다.
이 상태로 받침와이어(11) 상에 구이대상물을 올려놓고 직화구이를 하게 되고, 사용이 완료된 후,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손으로 제1, 2길이가변바아(6)(13)의 각 걸림편(8)을 누르면 각 걸림편(8) 간의 걸림이 해제되며, 이로 인해 각 태엽부재(9)의 탄성력에 의해 각 받침와이어(11)가 수용공간(3)으로 당겨지면서 회전축(10)에 감기게 된다.
이 과정에서 제1테두리바아(2)는 받침와이어(11)에 의해 제1테두리바아(2) 쪽을로 당겨져, 결국 제1테두리바아(2)와 제2테두리바아(5) 간 간격이 좁혀지게 되며, 이때 제1, 2길이가변바아(6)(13)는 텔레스코픽 구조에 의해 원활하게 길이가 동시에 축소되므로 제2테두리바아(5)가 원활하게 제1테두리바아(2)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이렇게 받침와이어(11)가 태엽부재(9)에 의해 회전축(10)에 감기는 과정에서, 이물질 제거편(12)을 관통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이물질 제거편의 일단부 내경 테두리가 받침와이어(11) 표면의 이물질을 긁어내는 형태로 제거하게 되므로, 결국 받침와이어(11)가 이물질 제거편(12)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표면의 이물질이 이물질 제거편(12) 단부 상에 모여 쌓이게 되며,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이나 브러시로 쌓여 있는 이물질을 털어내 제거한다.
그 후 다시 제2테두리바아(5)를 후측으로 잡아당겨 제1테두리바아(2)와 간격을 넓혀 고정시킨 뒤, 세척을 하게되는데, 이렇게 구이부의 면적을 축소하는 과정에서 이물질 제거편(12)을 통해 받침와이어 표면에 묻어 있던 기름때 등의 이물질이 1차적으로 제거되고, 이 상태에서 세척작업을 함에 따라, 세척효율이 향상된다.
세척이 완료된 후 위에서 설명한 방법으로 제2테두리바아(5)와 제1테두리바아(2) 간 간격을 좁힘으로써, 구이부(1) 전체 면적이 굉장히 축소되고, 이 상태에서 제1, 2테두리바아(2)(5)를 동시에 제1힌지부(15)와 제2힌지부(16)를 통해 절반으로 접음으로써, 면적이 1/4수준 이하로 축소된다.
또한 이 상태에서 접이식 손잡이(14)를 제3힌지부(17)를 통해 회동시켜 제2테두리 하부면 상에 접음으로써 구이용 석쇠 전체 면적 및 크기가 굉장히 축소될 수 있게 된다.
1:구이부
2:제1테두리바아
3:수용공간 4:와이어 통과홀
5:제2테두리바아 6:제1길이가변바아
7:제1관 8:걸림편
9:태엽부재 10:회전축
11:받침와이어 12:이물질 제거편
13:제2길이가변바아 14:접이식 손잡이
15:제1힌지부 16:제2힌지부
17:제3힌지부 18:제2관
3:수용공간 4:와이어 통과홀
5:제2테두리바아 6:제1길이가변바아
7:제1관 8:걸림편
9:태엽부재 10:회전축
11:받침와이어 12:이물질 제거편
13:제2길이가변바아 14:접이식 손잡이
15:제1힌지부 16:제2힌지부
17:제3힌지부 18:제2관
Claims (3)
- 금속재질의 바아 형태이고 내부에는 수용공간이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면 중 상기 각 수용공간과 마주하는 지점에는 와이어 통과홀이 형성되어 있는 제1테두리바아,
상기 제1테두리바아와 동일한 길이를 갖는 바아 형태이고 제1테두리바아와 전후 간격을 두고 마주하며 수평 상태로 위치하는 제2테두리바아,
상기 제1테두리바아와 제2테두리바아 사이 중 일측 단부 사이에 위치하고 복수개의 제1관이 다중관 형태를 이루며 전체적으로 텔레스코픽 구조로 상기 각 제1관이 전후 직선이동하여 전후 길이조절이 다단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단부는 상기 제1테두리바아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고 타단부는 상기 제2테두리바아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제1길이가변바아,
상기 제1테두리바아와 제2테두리바아 사이 중 상기 제1길이가변바아와 대칭되는 쪽 단부 사이에 위치하고 복수개의 제2관이 다중관 형태를 이루며 전체적으로 텔레스코픽 구조로 상기 각 제2관이 전후 직선이동하여 전후 길이조절이 다단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단부는 상기 제1테두리바아에 일체로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2테두리바아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제2길이가변바아,
상기 제1테두리바아의 각 수용공간마다 설치되어 있는 태엽부재,
상기 제1테두리바아와 제2테두리바아 사이에 위치하고 전체적으로 금속재 와이어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호 수평 상태를 이루며 간격을 두고 좌우 배치되어 있으며 각 일단부는 상기 제1테두리바아의 와이어 통과홀을 관통하여 상기 태엽부재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개의 받침 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2테두리바아를 이동시켜 제1이동바아와의 간격을 늘리는 과정에서 상기 제1, 2길이가변바아의 각 제1, 2관이 직선이동하여 길이가 증가 되고 상기 각 받침와이어가 상기 제2테두리바아에 의해 당겨지는 과정에서 상기 각 태엽부재가 인장됨과 동시에 반대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되는
와이어 길이조절 및 접이구조를 통해 크기 조절이 가능한 구이용 석쇠.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가변길이바아의 각 제1, 2관의 전후측 단부에는 걸림편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2관이 직선이동하여 전체 길이가 증가 되는 과정에서 특정 제1, 2관의 후측단부에 형성된 걸림편이 타 제1 ,2관 전측단부의 걸림편과 분리 가능하도록 걸림이 이루어짐에 따라 길이조절 상태가 유지되며,
상기 상호 걸려 있는 각 제1걸림편의 걸림을 해제하는 순간 상기 각 받침와이어는 상기 태엽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태엽부재에 감기면서 상기 제2테두리바아를 제1테두리바아 쪽으로 잡아당김에 따라 상기 제1, 2테두리바아 간의 간격이 자동으로 좁혀지게 되고, 이 과정에서 상기 제1, 2가변길이바아의 길이가 축소되는 면서
와이어 길이조절 및 접이구조를 통해 크기 조절이 가능한 구이용 석쇠.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테두리바아의 중간 지점은 분할되어 있고 상기 분할지점에는 각각 제1, 2힌지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2테두리바아는 상기 제1, 2힌지부를 중심으로 좌우 절첩구조를 갖고,
상기 제1테두리바아의 외측면에 연결되어 돌출 형성되어 있되 연결지점에 형성된 제3힌지부를 중심으로 절첩이 가능한 접이식 손잡이 및
상기 각 와이어 통과홀 입구 테두리 주변에 형성되어 있으며 단부가 상기 각 와이어 둘레면에 접촉되어 있는 이물질제거편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각 받침와이어가 상기 태엽부재에 감겨지는 과정에서 상기 와이어 통과홀을 통과할 때 표면에 묻어 있는 이물질이 상기 이물질제거편에 의해 쓸려 제거되는
와이어 길이조절 및 접이구조를 통해 크기 조절이 가능한 구이용 석쇠.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70572A KR20160136691A (ko) | 2015-05-20 | 2015-05-20 | 와이어 길이조절 및 접이구조를 통해 크기 조절이 가능한 구이용 석쇠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70572A KR20160136691A (ko) | 2015-05-20 | 2015-05-20 | 와이어 길이조절 및 접이구조를 통해 크기 조절이 가능한 구이용 석쇠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36691A true KR20160136691A (ko) | 2016-11-30 |
Family
ID=57707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70572A Withdrawn KR20160136691A (ko) | 2015-05-20 | 2015-05-20 | 와이어 길이조절 및 접이구조를 통해 크기 조절이 가능한 구이용 석쇠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60136691A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62854B1 (ko) * | 2017-07-05 | 2018-05-30 | 강현구 | 불판 와이어 이동형 스크래핑 불판 장치 |
KR20200002313U (ko) | 2019-04-12 | 2020-10-21 | 마승환 | 구이용 석쇠 |
KR20240140173A (ko) | 2022-02-10 | 2024-09-24 | 가부시키가이샤 니콘 | 기판 보정 장치, 기판 적층 장치, 기판 처리 시스템, 기판 보정 방법, 기판 처리 방법, 및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
-
2015
- 2015-05-20 KR KR1020150070572A patent/KR20160136691A/ko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62854B1 (ko) * | 2017-07-05 | 2018-05-30 | 강현구 | 불판 와이어 이동형 스크래핑 불판 장치 |
KR20200002313U (ko) | 2019-04-12 | 2020-10-21 | 마승환 | 구이용 석쇠 |
KR20240140173A (ko) | 2022-02-10 | 2024-09-24 | 가부시키가이샤 니콘 | 기판 보정 장치, 기판 적층 장치, 기판 처리 시스템, 기판 보정 방법, 기판 처리 방법, 및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210993B2 (en) | Brush with replaceable twisted-in-wire bristle assembly | |
KR20160136691A (ko) | 와이어 길이조절 및 접이구조를 통해 크기 조절이 가능한 구이용 석쇠 | |
US20170215638A1 (en) | Rotisserie And Grill Cylindrical Tumbler | |
JP6422571B2 (ja) | 水平果汁抽出装置 | |
KR200475082Y1 (ko) | 석쇠장치 | |
MX2011001532A (es) | Desatascador de tambor. | |
EP2564733A1 (en) | Culinary utensil (Corn scraper) | |
US20110232503A1 (en) | Grilling plate | |
US8915526B1 (en) | Grill accessory | |
KR101874249B1 (ko) | 원통형 그릴 | |
US9060641B1 (en) | Grill grate with removable bars | |
US8813968B1 (en) | Wood pellet screen apparatus | |
US10286423B1 (en) | Grill grate cleaning tool and heat shield | |
US7234392B1 (en) | Open flame rotisserie utensil having spiral wiener receptacle | |
KR20140001839U (ko) | 석쇠 | |
CN203709864U (zh) | 一种烤肉机 | |
KR20100059121A (ko) | 숯불구이용 석쇠 | |
RU140922U1 (ru) | Совок | |
KR200427547Y1 (ko) | 로스터용 배기장치의 후드관 높이조절구조 | |
KR200466340Y1 (ko) | 구이용 석쇠 | |
KR102047063B1 (ko) | 회전 석쇠 | |
US10588458B1 (en) | Tool for cleaning cooking grates | |
WO2014154775A1 (fr) | Panier de four | |
KR101709891B1 (ko) | 숯불용 슬라이드 석쇠 | |
FR3017788A1 (fr) | Article de cuisine du type spatule comportant une partie fouet interchangeable pour le brassage des aliments et permettant de connaitre en connaitre en temps reel la temperature du melang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52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