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6647A - Rear wheel steering and parking brake integrated system for a vehicle - Google Patents
Rear wheel steering and parking brake integrated system for a vehic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136647A KR20160136647A KR1020150070456A KR20150070456A KR20160136647A KR 20160136647 A KR20160136647 A KR 20160136647A KR 1020150070456 A KR1020150070456 A KR 1020150070456A KR 20150070456 A KR20150070456 A KR 20150070456A KR 20160136647 A KR20160136647 A KR 2016013664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rking brake
- rear wheel
- vehicle
- unit
- wheel steer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0354 integ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7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6—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fluid, i.e. using a pressurised fluid for most or all the force required for steering a vehicle
- B62D5/2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fluid, i.e. using a pressurised fluid for most or all the force required for steering a vehicle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 of steering gear or particular applica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0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 F16H1/1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 F16H1/16—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comprising worm and worm-wheel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16H25/20—Screw mechanisms
- F16H25/2018—Screw mechanisms with both screw and nut being driven, i.e. screw and nut are both rot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 Steering-Linkage Mechanisms And Four-Wheel Steering (AREA)
- Steering Control In Accordance With Driving Condition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하나의 엑츄에이터를 사용하여 차량의 후륜조향 기능과 주차 브레이크 기능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도록 한 차량의 후륜조향 및 주차브레이크 통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ar wheel steering and parking brake integrated system of a vehicle that can simultaneously implement a rear wheel steering function and a parking brake function of a vehicle by using one actuator.
일반적으로 차량에 적용되는 조향장치는 대부분 전륜(Front Wheel)을 통해 조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이 경우 고속 주행을 하면서 선회를 하면 원심력 즉, 선회하는 속도에 비례하고 선회하는 반경에 반비례하는 크기의 힘이 선회 외측으로 작용함으로써, 운전자는 감속 또는 선회 반경을 크게 하여야만 한다.Generally, the steering apparatus applied to a vehicle is configured to be able to steer through a front wheel in most cases. In this case, when turning at high speed, the centrifugal force is proportional to the turning speed and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turning radius As the magnitude of force acts on the outside of the turn, the driver must increase the deceleration or turning radius.
이처럼 차량의 선회 주행시 감속 또는 선회 반경을 크게 하는 것은 효과적인 주행이 되지 못하기 때문에 최근에는 차량의 선회 주행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전륜 이외에 후륜(Rear Wheel)에도 조향장치를 부설하는 기술이 개발되어 일부 차량에는 이러한 기술이 적용되고 있다.In order to improve the turning performance of the vehicle, a technique for laying a steering device on rear wheels in addition to the front wheels has been developed in recent years because increasing the deceleration or turning radius during turning of the vehicle is not effective. This technology is applied to some vehicles.
그리고, 이러한 후륜조향 차량의 경우에는 전륜조향에서 구비되는 컬럼(column)이나 조향휠(steering wheel)이 없기 때문에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차량 내에서 호스트 컴퓨터 없이 마이크로 콘트롤러나 장치들이 서로 통신하기 위해 설계된 표준 통신 규격)과 같은 통신 방법을 이용하여 차량의 주행 상황에 따라서 리드스크류 또는 볼스크류 및 모터를 제어함으로써 차량의 후륜 조향을 제어하게 된다.In the case of such a rear wheel steering vehicle, since there is no column or steering wheel provided in the front wheel steering, CAN (Controller Area Network) communication (communication between the microcontroller or devices without a host computer in the vehicle The control of the rear screw of the vehicle is controlled by controlling the lead screw or the ball screw and the motor in accordance with the running condition of the vehicle.
예를 들어, 차량이 저속일 경우에는 후륜 조향각을 전륜 조향각에 대해서 반대방향으로 제어하여 차량의 회전반경을 축소시키고, 차량이 고속일 경우에는 후륜 조향각을 전륜 조향각과 같은 방향으로 제어함으로써 차량 주행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도록 되어 있다.For example, when the vehicle is at a low speed, the rear wheel steering angle is controll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front wheel steering angle to reduce the turning radius of the vehicle. When the vehicle is at high speed, the rear wheel steering angle is controll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front wheel steering angle, So as to improve stability.
이와 같은 후륜조향장치는 초창기에는 유압 장치에 의하여 구동되었으나 경량화, 장치의 단순화, 제어의 유연성 향상을 위하여 최근에는 모터가 구동기로 사용된다.Such a rear wheel steering apparatus was driven by a hydraulic device in the early stage, but recently, a motor is used as a driver in order to reduce the weight, simplify the apparatus and improve the flexibility of the control.
즉, 종래의 후륜조향장치는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너트에 리드스크류 또는 볼스크류 등과 같은 구동축이 나사 결합되고, 너트가 회전되어 구동축이 직선 이동을 함으로서 상기 구동축과 링크 연결된 후륜의 방향이 조절된다.That is, in the conventional rear wheel steering apparatus, a driving shaft such as a lead screw, a ball screw, or the like is screwed to a nut rotated by a motor, and the driving shaft is linearly moved by rotating the nut, so that the direction of the rear wheel linked to the driving shaft is adjusted.
한편, 상기와 같은 후륜조향장치를 탑재한 차량에는 차량을 주차시킬 때 주차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차량의 후륜을 제동할 수 있도록 주차브레이크가 구비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a vehicle equipped with such rear wheel steering apparatus is provided with a parking brake for braking the rear wheel of the vehicle so as to maintain the parking state when parking the vehicle.
특히, 최근에는 운전자의 편의성 향상을 위해 주차 브레이크의 구동을 전자적으로 제어하는 전자식 주차브레이크(Electronic Parking Brake ; EPB)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In particular, in recent years, an electronic parking brake (EPB), which electronically controls driving of a parking brake, has been widely used to improve the driver's convenience.
이러한 전자식 주차브레이크는 전자제어장치가 각종 센서로부터 감지신호를 입력받은 후 이를 토대로 모터를 구동시켜,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케이블이 당겨지거나 풀려지도록 함으로써 후륜에 제동력을 발생시키거나 해제시키도록 한다.The electronic parking brake is configured such that the electronic control device receives a detection signal from various sensors and then drives the motor based on the detection signal to cause the cable to be pulled or released by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so as to generate or release the braking force to the rear wheel.
그러나, 상기와 같은 전자식 주차브레이크가 적용된 후륜조향이 가능한 차량에서는 후륜조향장치의 구동을 위한 모터와 전자식 주차브레이크의 구동을 위한 모터가 개별적으로 구비되어 각각의 모터가 ECU를 통해 제어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었기 때문에 설치 부품수의 증가로 인한 비용 증가와 차량의 중량 증가를 가져오고, 특히 차량의 구조를 고려할 때 차량 내부의 레이아웃 측면에서 불리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0004] However, in a vehicle capable of steering the rear wheels to which the electronic parking brake is applied as described above, a motor for driving the rear wheel steering apparatus and a motor for driving the electronic parking brake are separately provid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ost increases due to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parts to be installed and the weight of the vehicle is increased and the layout of the vehicle is inevitably disadvantageous in consideration of the structure of the vehicle.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자식 주차브레이크(EPB)가 탑재된 후륜조향이 가능한 차량에 있어서 하나의 모터를 사용하여 차량의 후륜조향 기능과 주차 브레이크 기능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차량 내에 설치 부품수를 최소화하여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고 중량을 감소시켜 차량의 연비 향상을 도모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차량 내부의 설계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의 후륜조향 및 주차브레이크 통합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ehicle capable of steering a rear wheel on which an electronic parking brake EPB is mounted, The rear wheel steering function and the parking brake function can be implemented at the same time, so that the number of parts to be installed in the vehicle can be minimized to reduce the cost, the weight can be reduced to improve the fuel efficiency of the vehicl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tegrated rear-wheel steering and parking brake system for a vehicle.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후륜조향 및 주차브레이크 통합 시스템은, 차량의 후륜 조향을 담당하는 후륜조향유닛과, 차량의 주차시 작동되는 주차브레이크유닛과, 상기 후륜조향유닛 또는 주차브레이크유닛과 선택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후륜조향유닛 또는 주차브레이크유닛을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모터유닛과, 상기 후륜조향유닛 또는 주차브레이크유닛과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모터유닛의 위치를 가변시켜 주는 솔레노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ear wheel steering and parking brake integrating system for a vehicle, comprising: a rear wheel steering unit for steering rear wheels of a vehicle; a parking brake unit operated when the vehicle is parked; Or a solenoid which is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parking brake unit and selectively drives the rear wheel steering unit or the parking brake unit and a solenoid which varies the position of the motor unit so as to be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rear wheel steering unit or the parking brake unit .
이때, 차량의 정상 주행시 모터유닛과 후륜조향유닛이 상호 맞물려 상기 후륜조향유닛을 통해 정상적인 후륜조향이 가능하도록 구동되는 한편, 차량의 주차시 솔레노이드의 작동에 의해 상기 모터유닛이 주차브레이크유닛과 맞물려 주차브레이크가 작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motor unit and the rear wheel steering unit ar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during normal traveling of the vehicle, so that normal rear wheel steering is possible through the rear wheel steering unit, while the motor unit is engaged with the parking brake unit by the operation of the solenoid The brakes can be configured to operat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후륜조향 및 주차브레이크 통합시스템에는 모터유닛 측에 설치되는 윔휠과, 상기 윔휠과 맞물려 회전되도록 후륜조향유닛 측에 설치되는 제1웜너트와, 주차브레이크유닛 측에 설치되며 상기 웜휠과 맞물려 회전되는 제2웜너트가 구비될 수 있다.In the rear wheel steering and parking brake integrated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worm wheel mounted on the motor unit side, a first worm nut mounted on the rear wheel steering unit side to rotate in engagement with the worm wheel, And a second worm nut which rotates in engagement with the worm wheel.
이때, 상기 솔레노이드에는 진퇴운동이 가능한 구동축이 구비되며, 상기 구동축은 모터유닛 측에 구비된 모터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축의 진퇴운동에 의해 모터의 위치가 가변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solenoid is provided with a drive shaft capable of moving forward and backward, and the drive shaft is connected to a motor provided on the motor unit side, so that the position of the motor can be changed by moving the drive shaft back and forth.
본 발명에 의한 후륜조향 및 주차브레이크 통합시스템의 구조에 따르면, 전자식 주차브레이크가 탑재된 후륜조향이 가능한 차량에 있어서, 하나의 모터를 사용하여 차량의 후륜조향 기능과 주차 브레이크 기능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 내에 설치 부품수를 최소화하여 차량의 생산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고, 차량의 중량을 감소시켜 차량의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설치 부품수의 감소에 따라 차량 내부의 설계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rear wheel steering and parking brake integrat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vehicle capable of rear wheel steering equipped with an electronic parking brake, it is possible to simultaneously implement the rear wheel steering function and the parking brake function of the vehicle by using one motor Thereby minimizing the number of parts to be installed in the vehicle, thereby reducing the production cost of the vehicle and reducing the weight of the vehicle, thereby improving the fuel economy of the vehicle. 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degree of freedom in designing the interior of the vehicle can be improved as the number of parts to be installed decrease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후륜조향 및 주차브레이크 통합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차량의 주행에 따른 후륜조향장치 작동시 모터유닛이 후륜조향유닛에 연결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작동 상태도.
도 3은 차량의 정차 중 주차브레이크 작동시 모터유닛이 주차브레이크유닛에 연결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작동 상태도.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rear wheel steering and parking brake integr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n operational state showing a state in which a motor unit is connected to a rear wheel steering unit when a rear wheel steering apparatus is operated according to the running of a vehicle. Fig.
3 is an operating state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otor unit is connected to the parking brake unit when the parking brake is operated during stopping of the vehicl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후륜조향 및 주차브레이크 통합 시스템에 대한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a rear wheel steering and parking brake integrated system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후륜조향 및 주차브레이크 통합 시스템의 전체구성을 보여주는 구성도이다.BRIEF DESCRIPTION OF DRAWINGS FIG.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rear wheel steering and parking brake integration system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후륜조향 및 주차브레이크 통합 시스템은, 차량의 후륜조향을 위해 구비되는 후륜조향유닛(100)과, 차량의 주차브레이크 작동을 위해 구비되는 주차브레이크유닛(200)과, 상기 후륜조향유닛(100) 또는 주차브레이크유닛(200)과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차량의 후륜조향 또는 주차브레이크를 구동하는 모터유닛(300)과, 상기 모터유닛(300)이 후륜조향유닛(100) 또는 주차브레이크유닛(200)과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모터유닛(300)의 연결위치를 가변시켜 주는 솔레노이드(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1, the rear wheel steering and parking brake integr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ar
후륜조향유닛(100)은 차량의 후륜조향을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 차량의 좌우 후륜 측과 연결된 링크(160)와 연결되어 길이방향으로 왕복운동 하는 볼스크류(140)와, 상기 볼스크류(140)와 맞물려 회전운동을 하는 제1웜너트(120)를 구비한다.The rear
제1웜너트(120)는 외주면에 나사 모양의 웜(worm)이 형성되어 모터(320)에 결합된 웜휠(worm wheel;340)과 상호 맞물리게 되고, 상기 제1웜너트(120)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볼스크류(140)와 상호 맞물리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볼스크류(140)와 맞물리는 상기 제1웜너트(120)의 나사산 부분에는 다수의 볼이 개재되어 제1웜너트(120)의 회전시 구름마찰을 유도하게 된다.The
이러한 제1웜너트(120)는 모터유닛(300)에 구비되는 모터(320)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상기 제1웜너트(120)의 회전에 따라 이와 맞물린 볼스크류(140)가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이동함으로써 링크(160)와 연결된 후륜의 조향 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The
이때, 상기 후륜조향유닛(100)은 차량이 주행 모드로 유지되는 평상시 모터유닛(300)과 지속적인 연결상태로 유지되어 차량의 주행 상태에 요구되는 정상적인 후륜 조향이 이루어지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rear-
즉, 차량의 주행 중에 ECU가 차속과, 회전반경 등을 감지하여 차량이 급회전을 하고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ECU가 모터유닛(300)에 구비된 모터(320)를 작동시켜 후륜조향유닛(100)을 구동함으로써 후륜조향이 이루어지게 된다.That is,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is running at a high speed while the vehicle is running, the ECU senses the vehicle speed and turning radius, and the ECU operates the
한편, 주차브레이크유닛(200)은 차량의 주차시 후륜을 제동하여 차량이 주차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On the other hand, the
상기 주차브레이크유닛(200)으로는 자동으로 주차브레이크의 작동 및 해제를 가능토록 하는 전자식 주차브레이크(Eletronic parking brake; EPB)가 적용된다.The
상기 전자식 주차브레이크(EPB)는 차량에 설치된 각종 센서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ECU를 통해 입력받아 이를 토대로 모터유닛(300)을 구동시켜, 상기 모터유닛(300)의 구동력에 의해 케이블(250)이 당겨지거나 풀려지도록 함으로써 좌우 후륜에 제동력이 발생되거나 해제되도록 한다.The electronic parking brake (EPB) receives a signal sensed by various sensors installed in the vehicle through an ECU and drives the
이와 같은 주차브레이크유닛(200)에는 모터(320)의 웜휠(340)과 맞물려 회전되는 제2웜너트(220)와, 상기 제2웜너트(220)의 회전에 따라 직선이동을 하는 볼스크류(240)와, 상기 볼스크류(240)의 직선이동시 이완되거나 당겨지며 주차브레이크를 작동 또는 해제하는 케이블(250)이 구비된다.The
제2웜너트(220)는 후륜조향유닛(100)에 구비된 제1웜너트(120)와 마찬가지로 외주면에 모터(320)의 웜휠(340)과 맞물리게 되는 나사산 형태의 웜(worm)이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볼스크류(240)와 상호 맞물릴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The
이때, 볼스크류(240)와 맞물리는 제2웜너트(220)의 내측 나사산 부분에는 다수의 볼이 개재되어 구름 마찰을 발생시키게 된다.At this time, a plurality of balls are interposed in an inner thread portion of the
그리고, 볼스크류(240)는 제2웜너트(220)의 회전 시 상기 제2웜너트(220)와 맞물린 상태에서 직선운동을 하며 케이블(250)을 당기거나 풀어지도록 하여 주차브레이크(260)를 잠그거나 해제한다.The
따라서, ECU로부터 모터(320)에 구동신호가 입력되면 모터(320)가 회전되고, 상기 모터(320)의 웜휠(340)과 맞물린 제2웜너트(220)가 회전됨에 따라 볼스크류(240)가 직선운동을 하며 상기 볼스크류(240)와 연결된 케이블(250)이 당겨지거나 이완되는 과정을 거쳐 주차브레이크(260)를 작동 또는 해제하게 된다. Accordingly, when the drive signal is inputted from the ECU to the
이때, 상기 주차브레이크유닛(200)에 구비되는 볼스크류(240) 이외에도 보다 높은 정밀도를 구현할 수 있는 나사봉인 리드스크류(lead screw)를 적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a lead screw, which is a screw seal capable of realizing higher precision, may be applied in addition to the
이와 같은 주차브레이크유닛(200)은 차량이 주행상태로 유지되는 평상시에는 모터유닛(300)과 단락 상태로 유지되어 작동되지 않다가, 주차브레이크의 작동이 요구되는 상황이 발생할 경우 솔레노이드(420)의 작동에 의해 모터유닛(300)과 연결됨으로써 상기 모터유닛(300)으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구동되어 주차브레이크(260)를 작동시키게 된다.When the
한편, 모터유닛(300)은 회전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320)와, 상기 모터(320)의 회전축과 결합되는 웜휠(3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상기 웜휠(340)은 차량이 주행상태로 유지되는 평상시 후륜조향유닛(100)에 구비된 제1웜너트(120)와 맞물리게 되어 모터(320)의 회전동력을 후륜조향유닛(100)에 전달하게 되고, 주차브레이크의 작동시에는 상기 제1웜너트(120)로부터 분리된 후 주차브레이크유닛(200)에 구비된 제2웜너트(220)와 맞물려 모터(320)의 회전동력을 주차브레이크유닛(200)에 전달한다.The
한편, 위에서 언급했던 바와 같이, 모터유닛(300)은 차량이 주행상태로 유지되는 평상시 후륜조향유닛(100) 측과 연결상태를 유지하여 차량의 주행 중 후륜조향이 가능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주차브레이크의 작동이 요구되는 상황이 발생할 경우에는 후륜조향유닛(1000) 측으로부터 분리된 후 주차브레이크유닛(200) 측으로 연결됨으로써 주차브레이크(260)의 작동을 가능하게 한다.On the other hand, as mentioned above, the
상기와 같은 각 상황에 다른 상기 모터유닛(300)의 연결위치 변경작업은 솔레노이드(400)의 구동을 통해 가능하게 구현될 수 있다.The connection position changing operation of the
솔레노이드(400)는 모터유닛(300) 전체의 기계적인 움직임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 장치로서, 전류가 솔레노이드(400) 내부의 코일(미도시)에 공급되었을 때 코일 속으로 구동축(420)을 잡아당기는 동작을 통해 모터유닛(300)의 위치를 가변시키도록 한다.The
즉, 상기 솔레노이드(400)에는 전류의 공급 또는 차단에 따라 진퇴운동을 하는 구동축(420)이 구비되고, 상기 구동축(420)의 끝단은 모터(320)의 하우징 외부면에 고정된 구조를 갖는다.That is, the
따라서, 차량에 주차브레이크의 작동이 요구되는 상황이 발생할 경우, ECU로부터 솔레노이드(400)에 구동신호가 인가되면 솔레노이드(400) 내부에서 발생된 자기력에 의해 구동축(420)이 솔레노이드(400) 내부의 코일 속으로 당겨지게 되고, 이러한 구동축(420)의 직선방향 기계적 움직임에 의해 모터유닛(300)의 위치가 가변된다.When a driving signal is applied to the
즉, 후륜조향유닛(100) 측에 맞물려 있던 모터유닛(300)은 상기 솔레노이드(400)의 작동시 구동축(420)에 의한 당기는 힘에 의해 구동에 의해 상기 후륜조향유닛(100) 측으로부터 분리된 후 주차브레이크유닛(200) 측으로 연결되어 맞물리게 된다.That is, the
그리고, 상기 솔레노이드(400) 내부에는 전류의 공급이 차단될 경우 구동축(420)을 원래의 초기 위치로 다시 밀어주도록 하는 탄성부재(스프링)이 구비되어, 주차브레이크의 해제시 상기 탄성부재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구동축(420)이 모터유닛(300)을 다시 원래의 위치로 밀어 모터유닛(300)이 다시 후륜조향유닛(100)과 지속적인 연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Th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의 주행 상황에 따라 솔레노이드(400)를 통해 모터(320)의 연결위치를 선택적으로 변경하여 후륜조향과 주차브레이크 기능을 선택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selectively implement the rear wheel steering and parking brake functions by selectively changing the connecting position of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하나의 구동모터(320)를 사용하여 필요한 상황에 따라 차량의 후륜조향 기능과 주차 브레이크 기능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후륜조향과 주차브레이크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모터를 개별적으로 설치할 필요가 없어서 생산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r wheel steering function and the parking brake function of the vehicle can be implemented simultaneously using one
그리고, 차량 내에 설치 부품수가 줄어듦에 따라 차량의 전체 중량을 감소시켜 차량의 연비향상을 도모할 수 있고, 아울러, 차량 내부의 설계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Further, as the number of parts to be installed in the vehicle is reduced, the total weight of the vehicle can be reduced to improve the fuel efficiency of the vehicle, and the design freedom in the vehicle can be improved.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같은 특정 실시 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Will be possible.
100 : 후륜조향유닛
120 : 볼너트기어
140,240 : 볼스크류
160 : 링크
200 : 주차브레이크유닛
220 : 웜너트기어
260 : 브레이크
300 : 모터유닛
320 : 웜휠
400 : 솔레노이드100: rear wheel steering unit 120: ball nut gear
140, 240: Ball Screw 160: Link
200: Parking brake unit 220: Worm nut gear
260: Brake 300: Motor unit
320: Worm wheel 400: Solenoid
Claims (4)
차량의 주차시 작동되는 주차브레이크유닛(200);
상기 후륜조향유닛(100) 또는 상기 주차브레이크유닛(200)과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모터유닛(300);
상기 후륜조향유닛(100) 또는 상기 주차브레이크유닛(200)과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모터유닛(300)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솔레노이드(4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륜조향 및 주차브레이크 통합 시스템.
A rear wheel steering unit (100) for steering the rear wheels of the vehicle;
A parking brake unit 200 operated upon parking of the vehicle;
A motor unit (300)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rear wheel steering unit (100) or the parking brake unit (200);
A solenoid (400) for varying the position of the motor unit (300) so as to be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rear wheel steering unit (100) or the parking brake unit (200);
And a rear wheel steering and parking brake integrated system of the vehicle.
2. The vehicle rear wheel steering and parking brake integrated system of claim 1, wherein the solenoid (400) is operated only when the vehicle is parked and drives the parking brake unit (200) through the motor unit .
상기 모터유닛(300)에 구비되는 윔휠(340)과;
상기 후륜조향유닛(100)에 구비되며 상기 웜휠(340)과 맞물려 회전되는 제1웜너트(120)와;
상기 주차브레이크유닛(200)에 구비되며 상기 웜휠(340)과 맞물려 회전되는 제2웜너트(2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륜조향 및 주차브레이크 통합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worm wheel 340 provided in the motor unit 300;
A first worm nut (120) provided in the rear wheel steering unit (100) and rotated by engaging with the worm wheel (340);
A second worm nut (220) provided on the parking brake unit (200) and rotated by engaging with the worm wheel (340);
And a rear wheel steering and parking brake integrated system of the vehicle.
상기 솔레노이드(400)에는 진퇴운동이 가능한 구동축(420)이 구비되고, 상기 구동축(420)은 상기 모터유닛(300)에 구비된 모터(320)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축(420)의 진퇴운동에 의해 모터(320)의 위치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륜조향 및 주차브레이크 통합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olenoid 400 is provided with a drive shaft 420 capable of moving forward and backward and the drive shaft 420 is connected to a motor 320 provided in the motor unit 300, Wherein the position of the motor (320) is variabl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70456A KR20160136647A (en) | 2015-05-20 | 2015-05-20 | Rear wheel steering and parking brake integrated system for a vehic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70456A KR20160136647A (en) | 2015-05-20 | 2015-05-20 | Rear wheel steering and parking brake integrated system for a vehicl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36647A true KR20160136647A (en) | 2016-11-30 |
Family
ID=57707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70456A Withdrawn KR20160136647A (en) | 2015-05-20 | 2015-05-20 | Rear wheel steering and parking brake integrated system for a vehic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60136647A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43765A (en) * | 2019-10-11 | 2021-04-22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Electro-Mechanical Brake system with suspension control |
-
2015
- 2015-05-20 KR KR1020150070456A patent/KR20160136647A/en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43765A (en) * | 2019-10-11 | 2021-04-22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Electro-Mechanical Brake system with suspension control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8082274B (en) | Steering device for steering using a wire system | |
US10864822B2 (en) | Vehicle drive system | |
KR101004957B1 (en) | 4-wheel drive and 4-wheel steering omnidirectional driving robot system using motor | |
KR101920497B1 (en) | Electric booster | |
CN101758826B (en) | Boosting brake system | |
KR101511437B1 (en) | Electro mechanical brake Apparatus | |
KR100861871B1 (en) | Gear box type active front wheel steering | |
JP6752877B2 (en) | How to brake the vehicle | |
CN110550091A (en) | Steer-by-wire steering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such a system | |
KR20110125135A (en) | Electronically controlled parking brake | |
US9751404B2 (en) | Transfer | |
US20090223752A1 (en) | Disk break apparatus for electromechanical brake system | |
US20130105256A1 (en) | Electric parking brake | |
US12241513B2 (en) | Electric brake for vehicle | |
KR101699070B1 (en) | Device of electro mechanical brake | |
JP6950251B2 (en) | Vehicle drive system | |
JP2010214978A (en) | Steer-by-wire steering device | |
JP2016135642A (en) | Rear wheel steering device | |
KR20160136647A (en) | Rear wheel steering and parking brake integrated system for a vehicle | |
US11623682B2 (en) | Steer-by-wire steering system having a spindle drive | |
KR20090039056A (en) | Car Parking Brake System | |
KR20080109963A (en) | Coaxial Dual Reducer Type Active Front Wheel Steering | |
KR101055974B1 (en) | Electric parking brake | |
US11821479B2 (en) | Electric brake for vehicle | |
JP2020104769A (en) | Parking brake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52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