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5330A - 평형 로프 텐셔닝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 Google Patents
평형 로프 텐셔닝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135330A KR20160135330A KR1020167029190A KR20167029190A KR20160135330A KR 20160135330 A KR20160135330 A KR 20160135330A KR 1020167029190 A KR1020167029190 A KR 1020167029190A KR 20167029190 A KR20167029190 A KR 20167029190A KR 20160135330 A KR20160135330 A KR 2016013533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unterweight
- rope
- car
- roller
- shaf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 B66B7/10—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for equalising rope or cable tens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7/00—Hoistway equipment
- B66B17/12—Counterpois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엘리베이터 캡 (101) 과 샤프트-측 카운터웨이트 가이드 (140) 를 따라서 이동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카운터웨이트 (102) 를 구비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00) 에 관한 것으로, 상기 엘리베이터 캡 (101) 과 상기 카운터웨이트 (102) 는 평형 로프 텐셔닝 디바이스 (120) 에 의해 텐셔닝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평형 로프 (110) 에 의해 상호연결된다. 상기 평형 로프 텐셔닝 디바이스 (120) 는 샤프트-측 카운터웨이트 가이드 상에 탑재되어 상기 샤프트-측 카운터웨이트 가이드를 따라서 이동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텐셔닝 롤 (128) 을 구비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평형 로프 텐셔닝 장치를 구비하는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견인 리프트들 또는 견인-시브 (traction-sheave) 리프트들에서 평형 로프들의 사용은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종류의 평형 로프들은 리프트의 작동 동안 카의 상이한 위치들에서 서스펜션 케이블의 고유 중량으로 인해 발생하는 가변적인 힘들의 중량 보상을 제공한다.
평형 로프 텐셔닝 장치들은 이와 관련하여 공지되어 있고, 또한 평형 로프의 텐셔닝을 제공하며, 그 결과 로프의 진동은 낮게 유지될 수 있고, 카운터웨이트 또는 리프트 캡의 점핑 (jumping) 은 최소화되거나 전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이 문헌에서 사용되는 용어 "평형 로프" 는 모든 유형들의 보상 로프들, 보상 체인들, 벨트들 또는 유사한 구조체들을 포함하도록 되어 있다.
EP 1 142 815 B1 은 샤프트에서 이동하는 리프트의 카운터웨이트와 카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평형 로프의 텐셔닝 장치를 구비하는 리프트를 개시하고, 텐셔닝 장치는 두 개의 텐셔닝 롤러들을 구비하며, 두 개의 텐셔닝 롤러들은 수직 및 수평에 관하여 오프셋 방식으로 배열된다.
기재된 디자인은 카 아래의 상당한 설치 공간을 요구하고, 그 결과로 대응하는 샤프트 피트 깊이가 요구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라, 평형 로프 텐셔닝 장치를 위해 더 콤팩트 (compact) 한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특허 청구항 1 의 특징들을 갖는 리프트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사용된 평형 로프 텐셔닝 장치는, 상기 평형 로프 텐셔닝 장치가 어떤 경우에 제공되는 샤프트-측 카운터웨이트 가이드를 따라서 이동될 수 있도록 디자인되는 텐셔닝 롤러를 구비한다는 점에서 구별된다. 그러므로, 카운터웨이트 가이드는 평형 로프 텐셔닝 장치에 대한 가이드로서 추가로 사용된다. 종래 기술에서 사용되고 카 아래에 위치된 평형 로프 텐셔닝 장치는 본 발명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는 카 아래의 샤프트 공간의 활용에 관하여 더 큰 정도의 유연성을 제공한다.
용어 "샤프트-측 카운터웨이트 가이드" 는, 특히 샤프트의 길이를 따라서 카운터웨이트를 안내하기 위한 장치의 컴포넌트들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상기 컴포넌트들은 이동될 수 없으며 리프트 샤프트 내에 체결된다. 예를 들어, 이러한 종류의 "샤프트-측 카운터웨이트 가이드" 는 카운터웨이트 프레임 (이동될 수 있음) 상에 형성되는 롤러 가이드들 또는 가이드 슈우들 (guide shoes) 과 상호 작용한다. 샤프트-측 카운터웨이트 가이드는 특히 가이드 레일들을 포함하고, 특히 두 개의 레일들을 구비하며, 상기 레일들은 평행하게 작동하고 또한 상기 레일들 사이에 평형 로프 텐셔닝 장치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공되거나 배열된다.
본 발명의 추가의 유리한 개선들은 종속 청구항들의 주제이다.
평형 로프 텐셔닝 장치는 텐셔닝 롤러가 카운터웨이트와 무관하게 수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디자인되는 것이 유리하다.
바람직하게, 카운터웨이트의 이동 경로 아래에서 평형 로프 텐셔닝 장치의, 이동될 수 있는 텐셔닝 롤러는 샤프트-측 카운터웨이트 가이드 또는 상기 샤프트-측 카운터웨이트 가이드의 가이드 레일들 상에서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조치에 의해, 카운터웨이트의 실제 이동 경로보다 더 긴 샤프트-측 카운터웨이트 가이드가 최적의 방식으로 활용될 수 있다.
평형 로프 텐셔닝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로 고정된 롤러를 유리하게는 구비한다. 예를 들어, 이러한 롤러는 샤프트-측 카운터웨이트 가이드 상에 그렇지 않으면 리프트 샤프트의 다른 적합한 위치에 형성된다. 이러한 종류의 추가의 롤러들은 평형 로프를 안정시키기 위해 그렇지 않으면 평형 로프를 편향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평형 로프 텐셔닝 장치는 텐셔닝 매스로 디자인된다. 이러한 텐셔닝 매스는, 상기 텐셔닝 매스가 샤프트-측 카운터웨이트 가이드를 따라서 이동될 수 있는 텐셔닝 롤러와 함께 이동될 수 있도록 유리하게는 디자인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사용된 평형 로프 텐셔닝 장치는 특히 상기 평형 로프 텐셔닝 장치가 캡의 돌출 영역 외측에 전체적으로 배열되는 일 텐셔닝 추와 일 텐셔닝 롤러를 구비하도록 디자인된다.
평형 로프가 1:1 서스펜션 비율을 이용하여 카운터웨이트 상의 서스펜션 지점에 그리고 카 상의 서스펜션 지점에 체결되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고 입증되었다. 설명된 예시적인 실시형태들 (이하 참조) 은 이러한 종류의 1:1 서스펜션 비율에 관한 것이다.
특히 바람직하게, 평형 로프는 카운터웨이트 상의 두 개의 서스펜션 지점들에 체결되고, 상기 평형 로프는 제 1 서스펜션 지점으로부터 카로 안내되고, 또한 원래대로 카로부터 카운터웨이트 상의 제 2 서스펜션 지점으로 안내된다.
반대로, 평형 로프가 카 상의 두 개의 서스펜션 지점들에 체결되는 것이 또한 가능하고, 상기 평형 로프는 제 1 서스펜션 지점으로부터 카운터웨이트로 안내되고, 또한 원래대로 카운터웨이트로부터 카 상의 제 2 서스펜션 지점으로 안내된다.
언급된 특징들과 후속하는 텍스트에 기재된 것들은,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남 없이, 각각 나타낸 조합들로 그리고 다른 조합들로 또는 그들 자체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 은 측면으로부터 본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개략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섹션 라인 A-A 를 따르는 두 개의 레일들을 구비하는 카운터웨이트 가이드의 평면도를 도시하고, 상기 카운터웨이트의 윤곽은 명확성의 이유로 추가로 도시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 시스템의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카운터웨이트 가이드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4 는 도 2 의 도면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도 3 에 따른 카운터웨이트 가이드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2 는 도 1 의 섹션 라인 A-A 를 따르는 두 개의 레일들을 구비하는 카운터웨이트 가이드의 평면도를 도시하고, 상기 카운터웨이트의 윤곽은 명확성의 이유로 추가로 도시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 시스템의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카운터웨이트 가이드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4 는 도 2 의 도면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도 3 에 따른 카운터웨이트 가이드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1 에서, 샤프트 (160) 내에 형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 시스템의 제 1 바람직한 실시형태가 전체적으로 100 으로 지정되어 있다. 리프트 시스템 (100) 은 서스펜션 케이블 (103) 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카운터웨이트 (102) 와 카 (101) 를 구비한다. 카 (101) 는 리프트 (98) 와 카 프레임 (99) 을 구비한다. 서스펜션 케이블 (103) 은 견인 시브 (104) 와 추가의 편향 롤러 (105) 에 의해 안내된다. 카 (101) 는, 예를 들어, 대응하는 가이드 레일들을 구비하는 샤프트-측 카 가이드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음) 상에서 이동될 수 있고, 카운터웨이트 (102) 는 샤프트-측 카운터웨이트 가이드 (140) 상에서 이동될 수 있다.
무엇보다도 중량 보상의 목적을 위해, 카 (101) 와 카운터웨이트 (102) 가 또한 평형 로프 (110) 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이 경우, 평형 로프 (110) 는 평형 로프 텐셔닝 장치 (전반적으로 120 으로 지정됨) 와 추가의 롤러들 (122, 130) 에 의해 안내된다. 카 측 상에, 평형 로프 (110) 가 카 (101) 의 카 프레임 (99) 의 제 1 서스펜션 지점 (99a) 에 체결된다.
카운터웨이트 측 상에, 평형 로프 (110) 가 카운터웨이트 (102) 의 카운터웨이트 프레임 (102b) 의 제 2 서스펜션 지점 (102a) 에 고정된다.
평형 로프 텐셔닝 장치 (120) 는 샤프트에서 고정되거나 이동될 수 없고 또한 축 (미도시) 주위에서 회전될 수 있는 제 1 롤러 (126) 구비하고, 또한 샤프트에서 수직으로 이동될 수 있거나 축 (마찬가지로 미도시) 주위에서 회전될 수 있는 제 2 롤러 (128) 를 구비한다. 각각의 축들 주위에서 회전될 수 있는 추가의 편향 롤러들 (122, 130) 은 서스펜션 지점 (99a) 을 향해 평형 로프 텐셔닝 장치 아래의 평형 로프 (110) 를 편향시키는 역할을 한다.
평형 로프 텐셔닝 장치 (120) 는 특히 도 2 내지 도 4 를 참조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 시스템의 제 1 바람직한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도 1 및 도 2 는, 카운터웨이트 (102) 가 두 개의 레일들 (141, 142) 을 구비하는 샤프트-측 카운터웨이트 가이드 (140) 상에서 이동될 수 있도록 디자인되는 것을 보여준다. 언급한 대로, 평형 로프 텐셔닝 장치 (120) 는 레일들 (141, 142) 에 체결되는 지지부 (127) 상에 바람직하게 탑재되는 제 1 고정 롤러 (126) 를 구비하고, 또한 수직으로 이동가능한 텐셔닝 롤러 (128) 를 구비한다.
텐셔닝 롤러 (128) 는 적합한 치수의 텐셔닝 매스 (158) 에 연결된다. 텐셔닝 롤러는 적합한 가이드들 (150) 이 유리하게 제공되는 텐셔닝 매스와 함께 레일들 (141, 142) 상에 탑재된다. 그 결과, 텐셔닝 롤러 (128) 는 그에 맞춰 샤프트-측 카운터웨이트 가이드 (140) 를 수직으로 이동될 수 있다. 텐셔닝 롤러는 종래 기술에 대응하는 댐퍼 디바이스 (미도시) 가 제공되어 있다. 상기 댐퍼 디바이스는 고정 롤러 (126) 의 지지부 (127) 에 대향하여 또는 카운터웨이트 레일들 (141, 142) 상에 또는 샤프트 벽 상에 탑재되는 추가의 지지부에 대향하여 지지된다.
도 1 을 참조하여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평형 로프 (110) 는 카운터웨이트 (102) 의 프레임 (102b) 의 서스펜션 지점 (102a) 에 체결된다. 이러한 서스펜션 지점 (102a) 은 카운터웨이트 (102) 의 또는 프레임 (102b) 의 바닥면 중심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우선, 평형 로프 (110) 는 이러한 서스펜션 지점 (102a) 으로부터 롤러 (126) 를 지나 (상기 롤러와의 접촉을 형성하지 않음) 텐셔닝 롤러 (128) 까지 수직으로 하향 연장한다. 그런 다음 상기 평형 로프는 텐셔닝 롤러 (128) 주위로 안내되고, 다시 롤러 (126) 로 수직으로 상향 안내되어, 상기 롤러 (126) 주위로 안내되고, 그런 다음 예를 들어 수평 방향으로 평형 로프가 편향되는 롤러 (130) 로 다시 수직으로 하향 안내된다. 평형 로프 (110) 의 추가의 프로파일, 즉 가능하게는 도 1 에 도시된 추가의 롤러 (122) 에 의해 카 프레임 (99) 상의 서스펜션 지점 (99a) 까지의 평형 로프 (110) 의 추가의 프로파일은 도 1 에 도시되어 있지만, 도 2 에 도시되지 않는다.
카운터웨이트 (102) 로부터 텐셔닝 롤러 (128) 까지 작동하는 로프가 고정 롤러 (126) 를 지나 안내될 수 있도록 그리고 고정 롤러 (126) 로부터 편향 롤러 (130) 까지 작동하는 로프 (110) 가 텐셔닝 롤러 (128) 를 지나 안내될 수 있도록, 텐셔닝 롤러 (128) 와 고정 롤러 (126) 가 서로에 관하여 경사진다. 대안으로서, 경사진 위치는, 그루브 프로파일들을 적절하게 디자인하고 또한 두 개의 롤러들을 방사상으로 오프셋함으로써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평형 로프 텐셔닝 장치 (120) 는, 수평 평면 상의 수직 돌출부에서, 평형 로프 텐셔닝 장치 (120) 가 카 (101) 의 돌출 영역 외측에 완전히 위치결정될 수 있다는 점에서 구분되고, 이는 특히 얕은 샤프트 홈 깊이들에 유리하다. 예를 들어, 도 2 는 롤러 (126) 와 텐셔닝 롤러 (128) 가 카운터웨이트 (102) 의 돌출 영역에 실질적으로 완전히 놓인다는 것을 도시한다.
전반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평형 로프 텐셔닝 장치가 사용될 때에, 더 얕은 샤프트 홈 깊이가 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종류의 리프트 시스템들에서, 카운터웨이트가 샤프트-측 카운터웨이트 가이드의 또는 카운터웨이트 트랙의 전체 길이에 걸쳐 이동되지 않기 때문에, 수개의 카들이 일 샤프트 내에서 (서로에 의존하여 또는 서로 무관하게) 이동하는 리프트 시스템들이 특히 유리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평형 로프 텐셔닝 장치는 싱글 리프트들에 대해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특정 이점들은 비교적 넓은 카운터웨이트들로 달성될 수 있고, 따라서 비교적 넓은 롤러들 (특히 텐셔닝 롤러들) 이 카운터웨이트의 돌출부 내에 완전히 위치결정될 수 있다.
텐셔닝 롤러 (128) 및 롤러 (126) 와 관련하여 편향 롤러 (130) 의 위치는 한 번 더 도 2 를 참조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2 에 따른 실시형태에서, 두 개의 편향 롤러들 (130, 122) 은 카 프레임 (99) 의 서스펜션 지점 (99a) 으로 평형 로프를 안내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하지만, 롤러 (130) 는 또한 텐셔닝 롤러 (128) 에 관하여 적합한 각도로 배열될 수 있어서, 편향 롤러 (130) 의 대응 크기가 주어지면, 평형 로프 (110) 가 단지 롤러 (130) 에 의해 카 프레임 (99) 상의 서스펜션 지점 (99a) 으로 편향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 시스템의 제 2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도 1 및 도 2 를 참조하여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동일한 또는 유사한 컴포넌트들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들이 제공되고, 다시 상세하게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제 1 예에서, 이러한 제 2 실시형태는 평형 로프 (110) 가 카운터웨이트 (102) 의 바닥면 상의 제 1 서스펜션 지점 (102) 에 대해 중심맞춤식으로 (centrally) 체결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측면을 향해 체결된다는 점에서 제 1 실시형태와는 상이하다.
이러한 실시형태는 평형 로프 (110) 가 초기에 제 1 실시형태에서와 같이 카운터웨이트 (102) 의 서스펜션 지점 (102a) 으로부터 고정 롤러 (126) 를 통해 텐셔닝 롤러 (128) 와 편향 롤러 (130; 또한 가능하게는 추가의 편향 롤러들) 를 통해 카 프레임 (99) 으로 안내된다는 점에서 제 1 실시형태와는 상이하다. 평형 로프의 서스펜션 또는 카 프레임-측 가이드는 도 3 에 도시되지 않는다.
이러한 실시형태에 따라, 평형 로프 (110) 는 카 프레임의 서스펜션 지점에 고정되지 않는다. 대신에 상기 평형 로프는 특정 루프-스루 (looped-through) 된 카 프레임에서 편향되고,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추가의 편향 롤러 (230) 를 통해 카운터웨이트로 복귀된다. 카운터웨이트 (102) 에서, 복귀된 평형 로프 (110) 는 그의 제 2 단부에 의해 추가의 서스펜션 지점 (202a) 에 체결되고, 상기 서스펜션 지점 (202a) 은 카운터웨이트 (102) 의 바닥면 상에서 마찬가지로 중심맞춤식으로 위치결정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이러한 실시형태에 따라, 서스펜션 지점들 (102a, 202a) 은 카운터웨이트 프레임의 또는 카운터웨이트의 바닥면 상에 중심을 벗어나서 각각 형성된다. 이러한 로프 안내 또는 서스펜션은 카운터웨이트 (102)(또는 제 1 서스펜션 지점 (102a)) 과 편향 롤러 (130; 후속하는 텍스트에서는 평형 로프 구역 (110a) 이라 함) 사이에서 작동하는 평형 로프 (110) 의 일부와 편향 롤러 (230) 와 카운터웨이트 (102) 또는 제 2 서스펜션 지점 (202a; 후속하는 텍스트에서 평형 로프 구역 (110b) 이라 함) 사이에서 작동하는 평형 로프 구역 사이의 길이 보상을 허용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텐셔닝 장치 (120) 는 카운터웨이트 (102) 로 복귀되는 이러한 종류의 평형 로프 (110) 를 텐셔닝하는데 적합하다.
대안으로서, 평형 로프 (110) 는, 예를 들어, 카 프레임 (99a) 상의 서스펜션 지점 (99a) 으로부터 카운터웨이트로 안내될 수 있고, 또한 전술한 방식과 유사하게 상기 카운터웨이트로부터 카 프레임으로 복귀된다.
이 경우에, 평형 로프 (110) 는 평형 로프 구역들 (110a 및 110b) 사이의 길이 보상이 가능하도록 카운터웨이트에 체결된다. 마찬가지로 이러한 방식에서, 평형 로프는 카운터웨이트 상의 서스펜션 지점에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특정 루프-스루된 카운터웨이트 (102) 에서 편향되고, 또한 적어도 하나의 추가의 편향 롤러를 통해 카 프레임으로 복귀된다. 복귀된 평형 로프는 카 프레임 상의 추가의 서스펜션 지점에 체결된다.
카운터웨이트 아래의 버퍼의 배열체는 평형 로프 텐셔닝 장치의 전술한 디자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카운터웨이트 버퍼는 평형 로프 텐셔닝 장치 위에 또는 옆에 배열될 수 있고 또한 각각의 경우에 이용가능한 공간에 의존한다.
Claims (10)
- 적어도 하나의 카 (101) 와 샤프트-측 카운터웨이트 가이드 (140) 상에서 이동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카운터웨이트 (102) 를 구비하는 리프트 시스템 (100) 으로서,
상기 카 (101) 와 상기 카운터웨이트 (102) 는, 평형 로프 텐셔닝 장치 (120) 에 의해 텐셔닝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평형 로프 (110) 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평형 로프 텐셔닝 장치 (120) 는 상기 샤프트-측 카운터웨이트 가이드 상에 탑재되어 상기 샤프트-측 카운터웨이트 가이드를 따라서 이동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텐셔닝 롤러 (128)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시스템 (100).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텐셔닝 롤러 (128) 는 상기 카운터웨이트와 무관하게 수직으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시스템 (100).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터웨이트 (102) 의 이동 경로 아래에 상기 평형 로프 텐셔닝 장치 (120) 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텐셔닝 롤러 (128) 는 상기 샤프트-측 카운터웨이트 가이드 (140) 상에서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시스템 (100). -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평형 로프 텐셔닝 장치 (120) 는 이동될 수 없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의 롤러 (126)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시스템 (100). -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측 카운터웨이트 가이드 (140) 는 두 개의 레일들 (141, 142)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시스템 (100). -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수평 평면 상의 수직 돌출부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텐셔닝 롤러 (128) 는 상기 카 (101) 의 돌출 영역 외측에 완전히 위치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시스템 (100). -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평형 로프 텐셔닝 장치 (120) 는 상기 텐셔닝 롤러 (128) 에 연결되는 텐셔닝 매스 (158; tensioning mass)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시스템 (100). -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평형 로프 (110) 는 1:1 의 서스펜션 비율로 상기 카운터웨이트 상의 서스펜션 지점 (102a) 에 그리고 상기 카 상의 서스펜션 지점 (99a) 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시스템 (100). -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평형 로프 (110) 는 상기 카운터웨이트 상의 두 개의 서스펜션 지점들 (102a, 202a) 에 체결되고, 상기 평형 로프는 제 1 서스펜션 지점 (102a) 으로부터 상기 카로 안내되고, 또한 상기 카로부터 제 2 서스펜션 지점 (202a) 으로 원래대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시스템 (100). -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평형 로프 (110) 는 상기 카 상의 두 개의 서스펜션 지점들에 체결되고, 상기 평형 로프는 제 1 서스펜션 지점으로부터 상기 카운터웨이트로 안내되고, 또한 상기 카운터웨이트로부터 제 2 서스펜션 지점으로 원래대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시스템 (100).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DE102014103951.3 | 2014-03-21 | ||
DE102014103951 | 2014-03-21 | ||
DE102014104047.3A DE102014104047A1 (de) | 2014-03-21 | 2014-03-24 | Aufzug mit Unterseilspannvorrichtung |
DE102014104047.3 | 2014-03-24 | ||
PCT/EP2015/055939 WO2015140302A1 (de) | 2014-03-21 | 2015-03-20 | Aufzug mit unterseilspannvorrichtung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35330A true KR20160135330A (ko) | 2016-11-25 |
Family
ID=54053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7029190A Withdrawn KR20160135330A (ko) | 2014-03-21 | 2015-03-20 | 평형 로프 텐셔닝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1) | US20170144861A1 (ko) |
EP (1) | EP3119713A1 (ko) |
JP (1) | JP2017512735A (ko) |
KR (1) | KR20160135330A (ko) |
CN (1) | CN106132863A (ko) |
DE (1) | DE102014104047A1 (ko) |
WO (1) | WO2015140302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2676915B1 (en) * | 2012-06-22 | 2016-08-10 | Kone Corporation | Elevator |
CN106865383A (zh) * | 2017-03-13 | 2017-06-20 | 天奥电梯(中国)有限公司 | 高速电梯补偿涨紧装置 |
WO2018173954A1 (ja) | 2017-03-23 | 2018-09-27 | 日本ゼオン株式会社 | 重合性化合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重合性組成物、高分子、光学フィルム、光学異方体、偏光板、表示装置、反射防止フィルム、並びに、化合物およびその使用方法 |
CN109650222B (zh) * | 2018-12-20 | 2020-11-10 | 中国矿业大学 | 一种超深立井多绳摩擦大载重提升协调系统及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D100519A1 (ko) * | 1972-10-04 | 1973-09-20 | ||
US3882968A (en) * | 1973-06-01 | 1975-05-13 | Westinghouse Electric Corp | Elevator system |
FI101373B1 (fi) * | 1993-04-05 | 1998-06-15 | Kone Oy | Järjestely ripustus- ja kompensaatioköysien venymän kompensoimiseksi |
US5509503A (en) * | 1994-05-26 | 1996-04-23 | Otis Elevator Company | Method for reducing rope sway in elevators |
JPH09156850A (ja) * | 1995-12-05 | 1997-06-17 | Mitsubishi Denki Bill Techno Service Kk | エレベーターの制動装置 |
JPH11106160A (ja) * | 1997-10-02 | 1999-04-20 | Toshiba Corp | ロープ式エレベータ |
EP1142815B1 (de) | 2000-03-31 | 2008-12-03 | Inventio Ag | Mechanische Spannvorrichtung für Unterseil eines Aufzugs |
EP1795483A4 (en) * | 2004-09-30 | 2011-08-10 | Mitsubishi Electric Corp | LIFT DEVICE |
CN201321319Y (zh) * | 2008-11-06 | 2009-10-07 | 杭州新马电梯有限公司 | 露天观光电梯补偿装置 |
FI121921B (fi) * | 2009-11-05 | 2011-06-15 | Kone Corp | Menetelmä ja laitteisto hissin köysien heilumisen vähentämiseksi |
CN101798040A (zh) * | 2010-04-01 | 2010-08-11 | 江南嘉捷电梯股份有限公司 | 一种电梯补偿绳的涨紧装置 |
JP2012246116A (ja) * | 2011-05-30 | 2012-12-13 | Mitsubishi Electric Corp | エレベータ装置及びその非常止め試験方法 |
CN202186809U (zh) * | 2011-06-29 | 2012-04-11 | 苏州中威法奥电梯有限公司 | 一种电梯补偿系统 |
-
2014
- 2014-03-24 DE DE102014104047.3A patent/DE102014104047A1/de not_active Ceased
-
2015
- 2015-03-20 EP EP15711173.3A patent/EP3119713A1/de not_active Withdrawn
- 2015-03-20 JP JP2017500428A patent/JP2017512735A/ja not_active Withdrawn
- 2015-03-20 CN CN201580015135.8A patent/CN106132863A/zh active Pending
- 2015-03-20 KR KR1020167029190A patent/KR20160135330A/ko not_active Withdrawn
- 2015-03-20 WO PCT/EP2015/055939 patent/WO2015140302A1/de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5-03-20 US US15/127,333 patent/US20170144861A1/en not_active Abandon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6132863A (zh) | 2016-11-16 |
EP3119713A1 (de) | 2017-01-25 |
WO2015140302A1 (de) | 2015-09-24 |
DE102014104047A1 (de) | 2015-09-24 |
US20170144861A1 (en) | 2017-05-25 |
JP2017512735A (ja) | 2017-05-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651241B2 (en) | Elevator system with two elevator cars | |
KR101208344B1 (ko) | 엘리베이터 | |
US20030159891A1 (en) | Elevator with drive unit mounted in a superior lateral section of the elevator hoistway | |
JP2007331871A (ja) |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 | |
EP2755907B1 (en) | Suspension arrangement and guide shoe arrangement for an elevator | |
EP3722242A2 (en) | Elevator for particularly small elevator shafts | |
KR20160135330A (ko) | 평형 로프 텐셔닝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 |
KR20060058148A (ko) | 엘리베이터 장치 | |
KR20170096150A (ko) | 이동가능한 기계실을 가진 엘리베이터 | |
KR101335800B1 (ko) | 엘리베이터 장치 | |
KR20140053810A (ko) | 리프트 설비 | |
US10450168B2 (en) | Double deck elevator system | |
KR100870389B1 (ko) | 승강기 장치 | |
WO2007074206A1 (en) | Elevator system | |
CN110844754B (zh) | 无框架电梯对重 | |
US11679959B2 (en) | Compensation guide, counterweight screen, elevator and method | |
CN103221624B (zh) | 电梯的轿厢 | |
CN110002319A (zh) | 电梯绳索摇晃限制装置 | |
CN110040601B (zh) | 用于双层电梯的h形框架 | |
KR20180086214A (ko) | 엘리베이터 시스템용 기계 장착 구조체 | |
KR20080055705A (ko) | 승강기 설비 | |
KR101208763B1 (ko) | 엘리베이터 장치 | |
EP3747815A1 (en) | Elevator | |
US10689229B2 (en) | Elevator system suspension member termination | |
KR20160076261A (ko) | 승강기용 보상 시브 부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161019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