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60134004A - 차량내부 미세먼지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차량내부 미세먼지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4004A
KR20160134004A KR1020150067347A KR20150067347A KR20160134004A KR 20160134004 A KR20160134004 A KR 20160134004A KR 1020150067347 A KR1020150067347 A KR 1020150067347A KR 20150067347 A KR20150067347 A KR 20150067347A KR 20160134004 A KR20160134004 A KR 201601340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e dust
volatile organic
organic compound
concentration
reference valu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7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만수
Original Assignee
황만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만수 filed Critical 황만수
Priority to KR10201500673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34004A/ko
Priority to PCT/KR2016/004050 priority patent/WO2016182218A1/ko
Publication of KR201601340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4004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2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 G01N1/2226Sampling from a closed space, e.g. food package, head spa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2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 G01N1/24Suction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6Investigating concentration of particle suspens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01N33/0009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 G01N33/0027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 G01N33/0036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specially adapted to detect a particular component
    • G01N33/0047Organic compoun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2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 G01N1/24Suction devices
    • G01N2001/245Fa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thology (AREA)
  • Immu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 미세먼지의 농도를 측정하고, 미세먼지의 농도와 대응하는 미세먼지 농도정보를 생성하는 미세먼지 측정부; 미세먼지 측정부로부터 미세먼지 농도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미세먼지 농도정보를 수치화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미세먼지 측정장치 본체에 구비되는 스피커; 미세먼지 측정부와 연동하며, 미세먼지 농도정보를 입력받아 미세먼지 농도정보가 기설정된 미세먼지 농도기준값보다 증가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에 위험을 알리는 경고표시를 출력시키고, 스피커를 통해 경고알람을 출력하는 미세먼지 경고부; 미세먼지의 농도에 따라 색상을 발광 또는 점멸하는 발광부; 차량 내부의 공기에 잔존하는 휘발성유기화합물의 농도를 측정하여, 휘발성유기화합물 농도정보를 생성하는 휘발성유기화합물 측정부; 휘발성유기화합물 농도정보를 입력받아 미세먼지 농도정보가 기설정된 휘발성유기화합물 농도기준값보다 증가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에 위험을 알리는 경고표시를 출력시키고, 스피커를 통해 경고알람을 출력하는 휘발성유기화합물 경고부; 본체의 타단에 형성되며, 차량의 전원을 본체에 공급해주는 시거잭;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휴대용 단말기를 충전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USB단자; 및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본체의 측부에 각각 구비되는 공기흡입구 및 공기배출구를 통하여 각각 공기를 흡입하고 배출하는 흡입팬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차량내부 미세먼지 측정장치{SUSPENDED PARTICUATES MEASURING APPARATUS IN VEHICHLES}
본 발명은 차량내부의 미세먼지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미세먼지 및 휘발성유기화합물의 농도를 측정하여 이를 디스플레이부 및 경고부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경고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미세먼지(Particulate Matter, PM 또는 분진)이란 아황산가스, 질소 산화물, 납, 오존, 일산화 탄소 등과 함께 수많은 대기오염물질을 포함하는 대기오염 물질로 자동차, 공장 등에서 발생하여 대기중 장기간 떠다니는 입경 10㎛ 이하의 미세한 먼지를 말한다.
미세 먼지의 입자가 2.5㎛ 이하인 경우는 PM2.5라고 쓰며 '초미세먼지' 또는 '극미세먼지' 라고 부른다. 학술적으로는 에어로졸(aerosol)이라고 부른다. 미세먼지(fine particles) 는 부유분진(Suspended particles), 입자상물질(Particulate matter) 등으로도 불리며 명칭에 따라 약간씩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다. 입자상물질은 공기역학적 입경(지름)이 10nm에서 100㎛ 정도이며, 이보다 입경이 큰 경우는 중력에 의한 침강효과로 대기중 체류시간이 아주 짧다.
국내외는 산업가속화에 따라 봄철과 같은 시기에는 대규모의 미세먼지가 국내에 들어오게 된다. 미세먼지는 황산염, 질산염, 탄소 및, 중금속등으로 이루어져 호홉기를 통해 들어오는 경우, 감기 바이러스를 20배 이상 증가시키고, 만세 폐질환이나 천식등을 유발시키며, 기도나 폐뿐만 아니라 뇌와 같은 신체 기관에도 유입되어 신경전달물질에 해를 가함으로써 우울증을 유발시키기도 한다.
이와 같은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는 미세먼지의 대처방법으로는 보통, 황사전용 마스크를 착용하거나, 실내의 경우 공기청정기를 가동시켜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방법이 대부분이다. 대부분의 서민들은 미세먼지의 위험성을 크게 신경쓰지 않고 있으며, 미세먼지에 대한 대처방법으로 미세먼지가 너무 심해 호홉에 불편함을 느낄정도가 된 경우에만 마스크를 쓰거나 공기청정기를 가동시키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특히 미세먼지는 호홉에 불편한 정도가 아닌 경우라도 장기간 흡입하게 되면, 상기한 바와 같은 호홉기 질환 및 우울증을 유발하게 된다.
또한, 차량의 내부의 경우에는 자동차의 기능 중에서 별도로 차량 내부의 미세먼지의 농도를 알려주는 별도의 장치가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특히, 차량 실내는 차량의 엔지등의 기관으로부터 미세먼지가 들어오거나 차량의 운행중에 차량의 외부에서 미세먼지가 유입되는 경우에 이를 별도로 알려주는 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 내부의 미세먼지의 농도 또는 휘발성유기화화합물의 농도를 측정하여 이를 차량 내부의 사용자에게 알려주거나 경고할 수 있는 미세먼지 측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미세먼지 농도의 정도를 표시하는 방법으로서 사용자가 시각적 또는 청각적 방법에 의하여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미세먼지의 위험의 정도를 색깔을 달리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본체; 상기 본체의 내측에 구비되며, 차량 내부의 공기 중에 있는 미세먼지의 농도를 측정하고, 미세먼지의 농도와 대응하는 미세먼지 농도정보를 생성하는 미세먼지 측정부; 상기 본체의 일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미세먼지 측정부로부터 상기 미세먼지 농도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미세먼지 농도정보를 수치화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미세먼지 측정장치 본체에 구비되는 ON/Off스위치가 구비된 스피커; 상기 미세먼지 측정부와 연동하며, 상기 미세먼지 농도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미세먼지 농도정보가 기설정된 미세먼지 농도기준값보다 증가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위험을 알리는 경고표시를 출력시키고, 상기 스피커를 통해 경고알람을 출력하는 미세먼지 경고부; 상기 미세먼지 경고부와 연동하여 미세먼지의 농도에 따라 색상을 발광 또는 점멸하는 발광부; 차량 내부의 공기에 잔존하는 휘발성유기화합물의 농도를 측정하여, 휘발성유기화합물 농도정보를 생성하는 휘발성유기화합물 측정부; 상기 휘발성유기화합물 측정부와 연동하며, 상기 휘발성유기화합물 농도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미세먼지 농도정보가 기설정된 휘발성유기화합물 농도기준값보다 증가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위험을 알리는 경고표시를 출력시키고, 상기 스피커를 통해 경고알람을 출력하는 휘발성유기화합물 경고부; 상기 본체의 타단에 형성되며, 차량의 전원을 상기 본체에 공급해주는 시거잭; 상기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휴대용 단말기를 충전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USB단자 및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의 측부에 각각 구비되는 공기흡입구 및 공기배출구를 통하여 각각 공기를 흡입하고 배출하는 흡입팬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본체 및 상기 시거잭의 사이에는 형성되는 힌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시거잭을 차량의 시거잭 단자에 꼽은 상태에서 상기 본체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미세먼지 경고부는 상기 미세먼지 농도기준값을 제1미세먼지 농도기준값과 제2미세먼지 농도기준값을 포함하도록 설정하되, 상기 제2미세먼지 농도기준값을 상기 제1미세먼지 농도기준값보다 높은 수치로 설정하고, 상기 미세먼지 농도정보가 상기 제1미세먼지 농도기준값 미만인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300)를 통해 미세먼지양호표시를 출력하고, 상기 미세먼지 농도정보가 상기 제1미세먼지 농도기준값과 상기 제2미세먼지 농도기준값 사이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300)를 통해 미세먼지나쁨표시를 출력하고, 상기 미세먼지 농도정보가 상기 제2미세먼지 농도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미세먼지위험표시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미세먼지 경고부는 상기 미세먼지 양호표시의 출력시에 상기 발광부가 점등되도록 제1점등신호를 출력하되, 상기 발광부가 제1색상으로 발광되도록 하고, 상기 미세먼지 나쁨표시의 출력시에 상기 발광부가 점등되도록 제2점등신호를 출력하되, 상기 발광부가 제2색상으로 발광되도록 하며, 상기 미세먼지 위험표시의 출력시에 상기 발광부 점등되도록 제3점등신호를 출력하되, 상기 발광부가 제3색상으로 발광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발광부는 미세먼지 농도가 150 ㎍/㎥ 이상인 경우에는 점멸하고, 미세먼지 농도가 80 ~ 150 ㎍/㎥ 인 경우에는 빨간색으로 발광하고, 미세먼지 농도가 30 ~ 80 ㎍/㎥ 인 경우에는 황색으로 발광하며, 미세먼지 농노가 0 ~ 30 ㎍/㎥ 인 경우에는 녹색으로 발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휘발성유기화합물 측정부는 상기 휘발성유기화합물 농도기준값을 제1휘발성유기화합물 농도기준값과 제2휘발성유기화합물 농도기준값을 포함하도록 설정하되, 상기 제2휘발성유기화합물 농도기준값을 상기 제1휘발성유기화합물 농도기준값보다 높은 수치로 설정하고, 상기 휘발성유기화합물 농도정보가 상기 제1휘발성유기화합물 농도기준값 미만인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휘발성유기화합물 양호표시를 출력하고, 상기 휘발성유기화합물 농도정보가 상기 제1휘발성유기화합물 농도기준값과 상기 제2휘발성유기화합물 농도기준값 사이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휘발성유기화합물 나쁨표시를 출력하고, 상기 휘발성유기화합물 농도정보가 상기 제2휘발성유기화합물 농도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휘발성유기화합물 위험표시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휘발성유기화합물 경고부는 상기 발광부와 연동하여 경우에 따라 여러 색상을 발광시키며, 상기 휘발성유기화합물 경고부는 상기 휘발성유기화합물 양호표시의 출력시에 상기 발광부가 점등되도록 제1점등신호를 출력하되, 상기 발광부가 제1색상으로 발광되도록 하고, 상기 휘발성유기화합물 나쁨표시의 출력시에 상기 발광부가 점등되도록 제2점등신호를 출력하되, 상기 발광부가 제2색상으로 발광되도록 하며, 상기 휘발성유기화합물 위험표시의 출력시에 상기 발광부가 점등되도록 제3점등신호를 출력하되, 상기 발광부가 제3색상으로 발광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미세먼지 측정부는 상기 미세먼지 농도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시에 수치화하여 출력함과 동시에 미세먼지 농도와 비례하는 레벨미터를 출력하여 공기의 청정도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실시로 차량 내부의 미세먼지의 농도 또는 휘발성유기화화합물의 농도를 측정하여 이를 차량 내부의 사용자에게 알려주거나 경고할 수 있는 미세먼지 측정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로 미세먼지 농도의 정도를 표시하는 방법으로서 사용자가 시각적 또는 청각적 방법에 의하여 인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로 미세먼지의 위험의 정도를 색깔을 달리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부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구성도,
도 4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순서도,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작동도,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에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발명인 차량내부 미세먼지 측정장치(10)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본체(100), 상기 본체(100)의 내측에 구비되며, 차량 내부의 공기 중에 있는 미세먼지의 농도를 측정하고 상기 미세먼지의 농도와 대응하는 미세먼지 농도정보를 생성하는 미세먼지 측정부(200), 상기 본체(100)의 일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미세먼지 측정부(200)로부터 상기 미세먼지 농도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미세먼지 농도정보를 수치화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300), 상기 본체(100)에 구비되는 ON/Off스위치가 구비된 스피커(400), 상기 미세먼지 측정부(200)와 연동하며, 상기 미세먼지 농도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미세먼지 농도정보가 기설정된 미세먼지 농도기준값보다 증가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300)에 위험을 알리는 경고표시를 출력시키고, 상기 스피커를 통해 경고알람을 출력하는 미세먼지 경고부(500), 상기 미세먼지 경고부(500)와 연동하여 미세먼지의 농도에 따라 색상을 발광 또는 점멸하는 발광부(600), 차량 내부의 공기에 잔존하는 휘발성유기화합물의 농도를 측정하여, 휘발성유기화합물 농도정보를 생성하는 휘발성유기화합물 측정부(700), 상기 휘발성유기화합물 측정부(700)와 연동하며 상기 휘발성유기화합물 농도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미세먼지 농도정보가 기설정된 휘발성유기화합물 농도기준값보다 증가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300)에 위험을 알리는 경고표시를 출력시키고, 상기 스피커(400)를 통해 경고알람을 출력하는 휘발성유기화합물 경고부(800), 상기 본체(100)의 타단에 형성되며, 차량의 전원을 상기 본체(10)에 공급해주는 시거잭(900), 상기 본체(100)의 일측에 구비되어 휴대용 단말기를 충전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USB단자(1000) 및 상기 본체의 내부(100)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의 측부에 각각 구비되는 공기흡입구(1120) 및 공기배출구(1140)를 통하여 각각 공기를 흡입하고 배출하는 흡입팬(1100)으로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다.
상기 미세먼지 측정부(200)는 상기 흡입팬(1100)에 의해 상기 본체(100)의 측부에 구비되는 상기 공기흡입구(1120)를 통해 상기 본체(100)의 내부로 흡입되는 차량 내부의 공기중에 있는 미세먼지의 농도를 측정하고 상기 미세먼지의 농도와 대응하는 미세먼지 농도정보를 생성하는 장치이다.
상기 미세먼지 측정부(200)는 임팩터방식을 이용한 광산란 흡입도장치로써 미세먼지 농도정보를 3초마다 샘플링하여 즉각적으로 현재 공기중에 있는 미세먼지의 농도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미세먼지 측정부(200)의 구성은 실시조건에 따라 광투과 방식, 레이저광원을 이용한 습식방식, 광산란 방식, 정전위 방식 등의 실시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하여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디스플레이부(300)는 상기 미세먼지 측정부(200)와 연동하여 작동도록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부(300)는 상기 미세먼지 측정부(200)로부터 미세먼지 농도정보를 입력받아 미세먼지 농도정보를 수치화하여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300)의 화면구성은 첨부된 도 2와 같이 경고표시(310), 미세먼지 농도정보(320), 휘발성유기화합물 농도정보(330), 공기청정도 레벨미터(340), 배터리충전정보(도면번호 미표시)으로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디스플레이부(300)의 구성은 실시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도 2와 같이 상기 경고부(600)를 디스플레이부의 테두리에 구비하여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피커(400)는 상기 본체(100)에 구비되도록 실시하되 도 1 과 같이 ON/Off스위치(410)를 구비하여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ON/OFF스위치(410)를 구비하여 실시조건에 따라 경고알람의 소리가 들리거나 들리지 않도록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스피커(400)는 디스플레이부(300)의 주변에 배치된다. 이러한 스피커(400)는 도 3과 같이 상기 미세먼지 경고부(500) 및 상기 휘발성유기화합물 경고부(800)와 연동하여 경고를 한다. 그리고 상기 스피커(400)의 경고음은 도 1과 별도의 스피커홀의 구성없이 상기 공기흡입구(1120) 또는 공기배출구(1140)을 통하여 들리도록 구성하여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실시조건에 따라서는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별도의 스피커홀을 마련하여 실시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미세먼지 경고부(500)는 미세먼지 측정부(200)와 연동하여 작동한다. 상세하게는 상기 미세먼지 경고부(500)는 상기 미세먼지 측정부(200)로부터 미세먼지 농도정보를 입력받아 미세먼지 농도정보가 기설정된 미세먼지 농도기준값보다 증가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300)에 의해 위험을 알리는 경고표시(310)를 출력시키고 상기 스피커(400)를 통해 경고알람음을 출력하게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경고알람음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0)의 외측에 구비되는 상기 ON/FF스위치(410)가 턴온(turn on)되는 경우 구동하고 턴 오프(turn off)되는 경우 정지되도록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인 차량내부 미세먼지 측정장치(10)는 첨부된 도 3과 같이 상기 미세먼지 경고부(500)가 상기 흡입팬(1100)에 의해 유입된 차량내부의 공기의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하여 미세먼지 농도정보를 생성하고, 미세먼지 농도정보가 기설정된 미세먼지 농도기준값보다 증가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300)에 의해 위험을 알리는 경고표시(310)를 출력하여 시각적으로 보여준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상기 스피커(400)를 통해 경고알람음을 출력시킴으로써 청각적으로 미세먼지에 대한 경고를 차량내부의 사용자등에게 알릴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차량의 내부에 있는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300)의 상기 경고표시(310)를 통해 시각적으로 미세먼지의 경보상황을 알 수 있는 동시에 경고알람음을 통해 청각적으로도 미세먼지의 경보상황을 알 수 있기 때문에 그에 따라 미세먼지에 대한 대처를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내부 미세먼지 측정장치(10)는 상기 미세먼지 경고부(500)가 미세먼지 농도기준값을 제1미세먼지 농도기준값과 제2미세먼지 농도기준값을 포함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제2미세먼지 농도기준값은 제1미세먼지 농도기준값보다 높은 수치로 설정되는 되는데, 예를 들어, 제2미세먼지 농도기준값은 입자크기 PM-2.5를 기준으로 150 ㎍/㎥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제1미세먼지 농도기준값은 40 ㎍/㎥으로 설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러한 미세먼저 농도기준값은 실시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미세먼지 경고부(500)는 미세먼지 농도정보가 제1미세먼지 농도기준값 미만인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300)의 상기 경고표시(310)를 통해 미세먼지 양호표시를 출력하도록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미세먼지 경고부(500)는 차량내부의 미세먼지 농도정보가 제1미세먼지 농도기준값과 제2미세먼지 농도기준값 사이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300)를 통해 미세먼지 나쁨표시를 출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미세먼지 경고부(500)는 미세먼지 농도정보가 제2미세먼지 농도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300)를 통해 미세먼지 위험표시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경보표시(310)에 출력되는 미세먼지 양호표시, 미세먼지 나쁨표시 및, 미세먼지 위험표시는 상기 디스플레이부(300)에 다양한 아이콘이나 문자 등의 형태로 출력되도록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차량의 내부에 있는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3)를 통해 미세먼지 양호상태, 미세먼지 나쁨상태 및 미세먼지 위험상태를 알 수 있기 때문에, 미세먼지의 농도 정도에 따라 각 상황에 맞는 대처를 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상기 발광부(600)는 상기 미세먼지 경고부(500)와 연동하여 미세먼지의 농도에 따라 발광하거나 점멸하도록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을 실시함에는 미세먼지 양호상태, 미세먼지 나쁨상태 및 미세먼지 위험상태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발광부(600)는 상기 미세먼지 경고부(5)와 연동하여 경우에 따라 여러 색상을 발광시키도록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첨부된 도 4a와 같이 상기 미세먼지 경고부(500)는 미세먼지 양호표시의 출력시에는 상기 발광부(600)가 점등되도록 제1점등신호를 출력하되 상기 발광부(600)가 제1색상으로 발광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제1색상의 예로서제1색상은 녹색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발광부(600)는 미세먼지 나쁨표시의 출력시에 발광부(600)가 점등되도록 제2점등신호를 출력하되 발광부(600)가 제2색상으로 발광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제2색상의 예로서 제2색상은 노란색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발광부(600)는 미세먼지 위험표시의 출력시에 상기 발광부(600)가 점등되도록 제3점등신호를 출력하되 발광부(600)가 제3색상으로 발광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제3색상의 예로서 제3색상은 적색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차량내부에 있는 사용자는 제1색상으로 발광되는 발광부(600)를 통한 미세먼지 양호상태와 제2색상으로 발광되는 발광부(600)를 통한 미세먼지 위험상태 및 제3색상으로 발광되는 발광부(600)를 통한 미세먼지 위험상태를 색상만으로 알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경우 미세먼지 측정부(200)는 상기 미세먼지 농도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300)에 출력시에 수치화하여 출력함과 동시에 미세먼지 농도와 비례하는 레벨미터(340)를 출력하여 공기의 청정도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공기청정기가 정상적으로 구동하는지 점검하거나 필터를 교체할 시기가 되었는지를 판단하여 미세먼지에 대한 대책을 수립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내부 미세먼지 측정장치(10)는 미세먼지 측정부(200)가 미세먼지 정보를 출력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실시조건에 따라서는 온도센서를 구비하여 이와 연동하여 주변 온도를 디스플레이부(3)에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용이하게 온도정보를 알 수 있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실시조건에 따라서는 상기 발광부(600)는 도 4b와 같이 상기 미세농노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차량내부의 미세먼지 농도가 150 ㎍/㎥ 이상인 경우에는 점멸하도록 하고 미세먼지 농도가 80 ~ 150 ㎍/㎥ 인 경우에는 빨간색으로 발광하고, 미세먼지 농도가 30 ~ 80 ㎍/㎥ 인 경우에는 황색으로 발광하며, 미세먼지 농노가 0 ~ 30 ㎍/㎥ 인 경우에는 녹색으로 발광하도록 구성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즉, 기준이 되는 농도값을 미리 설정하여 상기 발광부가 점멸하거나 전술한 바와 같이 미세먼지 농도에 따라 다양한 색으로 발광하도록 하여 차량 내부의 사용자에게 이를 알릴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휘발성유기화합물 측정부(700)는 차량 내부의 공기에 잔존하는 휘발성유기화합물의 농도를 측정하여 휘발성유기화합물 농도정보를 생성하도록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휘발성유기화합물은 액체연료, 파라핀, 올레핀, 톨루엔, 벤젠, 에틸벤벤, 자일렐, 스틸렌 및, 방향족화합물등을 선택적으로 포함하는 건축재료, 세탁용제, 페인트, 살충제등에서 유출되는 기체상 물질이다. 이러한 휘발성유기화합물을 측정하는 휘발성유기화합물 측정부(700)는 백금히터 위에 얇은 화학물질의 필름을 입히고 이를 히터로 가열하여 필름위의 화학물질이 활성화시키고, 활성화된 휘발성유기화합물의 가스량에 따라 저항치가 가변되어 휘발성유기화합물 농도정보를 생성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 측정 센서 또는 열탈착된 기체를 기체크로마토그래프로 분석하여 휘발성유기화합물 농도정보를 생성하는 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다. 실시조건에 따라 본 발명에서 휘발성유기화합물 측정부(700)의 구성은 다양한 방법에 의해 실시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휘발성유기화합물 측정부(700)는 첨부된 도 5와 같이 기화합물 농도기준값을 제1휘발성유기화합물 농도기준값과 제2휘발성유기화합물 농도기준값을 포함하도록 설정하되, 상기 제2휘발성유기화합물 농도기준값을 상기 제1휘발성유기화합물 농도기준값보다 높은 수치로 설정하고, 상기 휘발성유기화합물 농도정보가 상기 제1휘발성유기화합물 농도기준값 미만인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300)를 통해 휘발성유기화합물 양호표시를 출력하고, 상기 휘발성유기화합물 농도정보가 상기 제1휘발성유기화합물 농도기준값과 상기 제2휘발성유기화합물 농도기준값 사이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300)를 통해 휘발성유기화합물 나쁨표시를 출력하고, 상기 휘발성유기화합물 농도정보가 상기 제2휘발성유기화합물 농도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300)를 통해 휘발성유기화합물 위험표시를 출력하도록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휘발성유기화합물 측정부(700)는 휘발성유기화합물 농도기준값을 제1휘발성유기화합물 농도기준값과 제2휘발성유기화합물 농도기준값을 포함하도록 설정하되, 제2휘발성유기화합물 농도기준값을 제1휘발성유기화합물 농도기준값보다 높은 수치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휘발성유기화합물 농도기준값을 2.0㎍/g-cr으로 설정하고, 제1휘발성유기화합물 농도기준값을 1.0㎍/g-cr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휘발성유기화합물 측정부(70)는 휘발성유기화합물 농도정보가 제1휘발성유기화합물 농도기준값 미만인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300)를 통해 휘발성유기화합물 양호표시를 출력하여 차량 내부의 휘발성유기화합물의 측정농도가 양호한 상태인 것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즉, 휘발성유기화합물 측정부(700)는 휘발성유기화합물 농도정보가 제1휘발성유기화합물 농도기준값과 제2휘발성유기화합물 농도기준값 사이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300)를 통해 휘발성유기화합물 나쁨표시를 출력함으로써, 실내 휘발성유기화합물의 측정농도가 나쁘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휘발성유기화합물 측정부(700)는 휘발성유기화합물 농도정보가 제2휘발성유기화합물 농도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3)를 통해 휘발성유기화합물 위험표시를 출력함으로써 실내 휘발성유기화합물의 측정농도가 위험한 상태인 것을 알릴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300)에 출력되는 휘발성유기화합물 농도정보(330)의 양호표시, 휘발성유기화합물 나쁨표시 및 휘발성유기화합물 위험표시는 상기 디스플레이부(300)에 다양한 아이콘이나 문자 등으로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 내부에 있는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300)를 통해 휘발성유기화합물 농도의 양호상태, 나쁨상태 및 위험상태를 알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휘발성유기화합물 경고부(8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휘발성유기화합물 측정부(700) 및 상기 발광부(600)와 연동하여 경우에 따라 여러 색상을 발광시키도록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휘발성유기화합물 양호표시의 출력시에 상기 발광부(600)가 점등되도록 제1점등신호를 출력하되 상기 발광부(600)가 제1색상으로 발광되도록 하고 상기 휘발성유기화합물 나쁨표시의 출력시에 상기 발광부(600)가 점등되도록 제2점등신호를 출력하되, 상기 발광부(600)가 제2색상으로 발광되도록 하며, 상기 휘발성유기화합물 위험표시의 출력시에 상기 발광부(600)가 점등되도록 제3점등신호를 출력하되, 상기 발광부(600)가 제3색상으로 발광되도록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차량의 내부에 있는 사용자는 제1색상으로 발광되는 상기 발광부(600)를 통한 휘발성유기화합물 양호상태와 제2색상으로 발광되는 발광부(600)를 통한 휘발성유기화합물 위험상태 및 제3색상으로 발광되는 발광부(600)를 통한 휘발성유기화합물 위험상태를 색상만으로 알 수 있기 때문에 그에 따라 휘발성유기화합물의 농도에 따른 대처를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실시함에는 첨부된 도 6 및 도 7과 같이 상기 본체(100) 및 상기 시거잭(900)의 사이에는 형성되는 힌지(92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시거잭(900)을 차량의 시거잭 단자에 꼽은 상태에서 상기 본체(10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실시할 수도 있다. 즉, 힌지(920)의 구성을 통하여 본 발명인 차량내부 미세먼지 측정장치(10)를 차량의 시거잭단자에 꽂은 상태에서 상기 본체(100)를 상기 시거잭(900)으로부터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편리하게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시거잭(9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의 타단에 형성되어 차량으로부터 전원을 상기 본체에 공급해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을 실시는 차량의 내부에서 실시되므로 상기 본체(100)에의 전원공급을 차량의 내부에 구비되는 시거잭단자에 상기 시거잭(900)을 꽂아서 이용하여 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 USB단자(100)는 첨부된 도 1 또는 도 6과 같이 상기 본체(100)의 일측에 구비되어 휴대용 단말기를 충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여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차량에 구비되는 시거잭단자에 본 발명의 시거잭(900)을 꽂은 상태에서도 상기 USB단자(100)를 통하여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PC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를 충전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상을 통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을 당연하다.
10: 차량내부 미세먼지 측정장치
100; 본체
200; 미세먼지 측정부
300; 디스플레이부
310; 경고표시
320; 미세농도정보
330; 휘발성유기화합물 농도정보
340; 레벨미터
400; 스피커
410; ON/OFF스위치
500; 미세먼지 경고부
600; 발광부
700; 휘발성유기화합물 측정부
800; 휘발성유기화합물 경고부
900; 시거잭
920; 힌지
1000; USB단자
1100; 흡입팬
1120; 공기흡입구
1140; 공기배출구

Claims (8)

  1. 본체;
    상기 본체의 내측에 구비되며, 차량 내부의 공기 중에 있는 미세먼지의 농도를 측정하고, 미세먼지의 농도와 대응하는 미세먼지 농도정보를 생성하는 미세먼지 측정부;
    상기 본체의 일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미세먼지 측정부로부터 상기 미세먼지 농도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미세먼지 농도정보를 수치화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ON/Off스위치가 구비된 스피커;
    상기 미세먼지 측정부와 연동하며, 상기 미세먼지 농도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미세먼지 농도정보가 기설정된 미세먼지 농도기준값보다 증가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위험을 알리는 경고표시를 출력시키고 상기 스피커를 통해 경고알람을 출력하는 미세먼지 경고부;
    상기 미세먼지 경고부와 연동하여 미세먼지의 농도에 따라 색상을 발광 또는 점멸하는 발광부;
    차량 내부의 공기에 잔존하는 휘발성유기화합물의 농도를 측정하여 휘발성유기화합물 농도정보를 생성하는 휘발성유기화합물 측정부;
    상기 휘발성유기화합물 측정부와 연동하며, 상기 휘발성유기화합물 농도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미세먼지 농도정보가 기설정된 휘발성유기화합물 농도기준값보다 증가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위험을 알리는 경고표시를 출력시키고, 상기 스피커를 통해 경고알람을 출력하는 휘발성유기화합물 경고부;
    상기 본체의 타단에 형성되며, 차량의 전원을 상기 본체에 공급해주는 시거잭;
    상기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휴대용 단말기를 충전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USB단자; 및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의 측부에 각각 구비되는 공기흡입구 및 공기배출구를 통하여 각각 공기를 흡입하고 배출하는 흡입팬;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내부 미세먼지 측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및 상기 시거잭의 사이에는 형성되는 힌지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시거잭을 차량의 시거잭 단자에 꼽은 상태에서 상기 본체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내부 미세먼지 측정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먼지 경고부는
    상기 미세먼지 농도기준값을 제1미세먼지 농도기준값과 제2미세먼지 농도기준값을 포함하도록 설정하되, 상기 제2미세먼지 농도기준값을 상기 제1미세먼지 농도기준값보다 높은 수치로 설정하고, 상기 미세먼지 농도정보가 상기 제1미세먼지 농도기준값 미만인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미세먼지양호표시를 출력하고, 상기 미세먼지 농도정보가 상기 제1미세먼지 농도기준값과 상기 제2미세먼지 농도기준값 사이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미세먼지나쁨표시를 출력하고, 상기 미세먼지 농도정보가 상기 제2미세먼지 농도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미세먼지위험표시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내부 미세먼지 측정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먼지 경고부는,
    상기 미세먼지 양호표시의 출력시에 상기 발광부가 점등되도록 제1점등신호를 출력하되, 상기 발광부가 제1색상으로 발광되도록 하고, 상기 미세먼지 나쁨표시의 출력시에 상기 발광부 점등되도록 제2점등신호를 출력하되, 상기 발광부가 제2색상으로 발광되도록 하며, 상기 미세먼지 위험표시의 출력시에 상기 발광부가 점등되도록 제3점등신호를 출력하되, 상기 발광부가 제3색상으로 발광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내부 미세먼지 측정장치.
  5.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미세먼지 농도가 150 ㎍/㎥ 이상인 경우에는 점멸하고,
    미세먼지 농도가 80 ~ 150 ㎍/㎥ 인 경우에는 빨간색으로 발광하고,
    미세먼지 농도가 30 ~ 80 ㎍/㎥ 인 경우에는 황색으로 발광하며,
    미세먼지 농노가 0 ~ 30 ㎍/㎥ 인 경우에는 녹색으로 발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내부 미세먼지 측정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휘발성유기화합물 측정부는
    상기 휘발성유기화합물 농도기준값을 제1휘발성유기화합물 농도기준값과 제2휘발성유기화합물 농도기준값을 포함하도록 설정하되, 상기 제2휘발성유기화합물 농도기준값을 상기 제1휘발성유기화합물 농도기준값보다 높은 수치로 설정하고, 상기 휘발성유기화합물 농도정보가 상기 제1휘발성유기화합물 농도기준값 미만인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휘발성유기화합물 양호표시를 출력하고, 상기 휘발성유기화합물 농도정보가 상기 제1휘발성유기화합물 농도기준값과 상기 제2휘발성유기화합물 농도기준값 사이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휘발성유기화합물 나쁨표시를 출력하고, 상기 휘발성유기화합물 농도정보가 상기 제2휘발성유기화합물 농도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휘발성유기화합물 위험표시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내부 미세먼지 측정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휘발성유기화합물 경고부는
    상기 발광부와 연동하여 경우에 따라 여러 색상을 발광시키며, 상기 휘발성유기화합물 경고부는 상기 휘발성유기화합물 양호표시의 출력시에 상기 발광부가 점등되도록 제1점등신호를 출력하되, 상기 발광부가 제1색상으로 발광되도록 하고, 상기 휘발성유기화합물 나쁨표시의 출력시에 상기 발광부가 점등되도록 제2점등신호를 출력하되, 상기 발광부가 제2색상으로 발광되도록 하며, 상기 휘발성유기화합물 위험표시의 출력시에 상기 발광부가 점등되도록 제3점등신호를 출력하되, 상기 발광부가 제3색상으로 발광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내부 미세먼지 측정 장치.
  8.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먼지 측정부는 상기 미세먼지 농도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시에 수치화하여 출력함과 동시에 미세먼지 농도와 비례하는 레벨미터를 출력하여 공기의 청정도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내부 미세먼지 측정 장치.
KR1020150067347A 2015-05-14 2015-05-14 차량내부 미세먼지 측정장치 Ceased KR2016013400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7347A KR20160134004A (ko) 2015-05-14 2015-05-14 차량내부 미세먼지 측정장치
PCT/KR2016/004050 WO2016182218A1 (ko) 2015-05-14 2016-04-19 차량내부 미세먼지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7347A KR20160134004A (ko) 2015-05-14 2015-05-14 차량내부 미세먼지 측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4004A true KR20160134004A (ko) 2016-11-23

Family

ID=57248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7347A Ceased KR20160134004A (ko) 2015-05-14 2015-05-14 차량내부 미세먼지 측정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60134004A (ko)
WO (1) WO201618221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55195A (ko) 2022-05-03 2023-11-10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의 공기 오염도 감지장치
KR20230155192A (ko) 2022-05-03 2023-11-10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의 공기 오염도 감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3285Y1 (ko) * 1999-09-20 2000-03-15 신영환 차량용 가스 감지기
US6542831B1 (en) * 2001-04-18 2003-04-01 Desert Research Institute Vehicle particulate sensor system
US20060193610A1 (en) * 2003-07-12 2006-08-31 Jong-Hun Han Aromatic emitting apparatus for using cigarjack
KR20150017416A (ko) * 2013-07-03 2015-02-17 (주)디나로그 자동차용 가스 검출 장치
KR101414858B1 (ko) * 2014-04-29 2014-07-03 황만수 미세먼지 측정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55195A (ko) 2022-05-03 2023-11-10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의 공기 오염도 감지장치
KR20230155192A (ko) 2022-05-03 2023-11-10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의 공기 오염도 감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82218A1 (ko) 2016-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4858B1 (ko) 미세먼지 측정 장치
JPH10507663A (ja) 警報信号を使用する暴露インジケータ
JPH10507664A (ja) 暴露指示装置
US20140284222A1 (en) Detection Of Synergistic And Additive Trace Gases
CN210639150U (zh) 多参数环境空气质量在线监测仪
JP2017527051A (ja) 空気質測定装置と無線端末機とを連動した空気質報知装置及びその空気質報知方法
US2008019636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nd removing airborne impurities within an enclosed chamber
CA2472110A1 (en) Detector with dust filter and airflow monitor
CN110651308A (zh) 用于控制气态污染物的可穿戴设备
KR101738079B1 (ko) 공기정화 기능이 내장된 휴대용 재난 구조기기
US20100225918A1 (en) Portable diesel particulate monitor
KR20190102739A (ko) 차량 선바이저 탈부착식 차량용 공기정화기
TWM523072U (zh) 智慧氣體清淨器
CN101712296A (zh) 汽车室内气体智能监测装置
KR20160134004A (ko) 차량내부 미세먼지 측정장치
CN103815588A (zh) 一种具有污染物浓度测量显示功能的过滤口罩
CN212325489U (zh) 一种新型监测口罩
CN208476735U (zh) 一种双通道粉尘浓度传感器及设备
CN104001559A (zh) 一种可提醒过滤器寿命的生物安全柜
EP3745038A1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ir quality in a closed environment
CN203873049U (zh) 一种具有污染物浓度测量显示功能的过滤口罩
CN203928264U (zh) 自动补风装置
KR102441392B1 (ko) 휴대용 공기살균장치
KR102424846B1 (ko) 스마트센싱 유해가스 정화기
TWM579259U (zh) Indoor air quality monitoring device with control network ser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5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3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7070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7031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