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60132757A - A container cap with function of anti-missing and anti-idle stopper - Google Patents

A container cap with function of anti-missing and anti-idle stopp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2757A
KR20160132757A KR1020160020894A KR20160020894A KR20160132757A KR 20160132757 A KR20160132757 A KR 20160132757A KR 1020160020894 A KR1020160020894 A KR 1020160020894A KR 20160020894 A KR20160020894 A KR 20160020894A KR 20160132757 A KR20160132757 A KR 201601327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stopper
spout
ring
hinge por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08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백영자
Original Assignee
성보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보연 filed Critical 성보연
Priority to PCT/KR2016/004860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6182305A1/en
Priority to TW105114549A priority patent/TW201704106A/en
Publication of KR201601327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2757A/en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B65D41/3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9/00Arrangements or devices for preventing refilling of containers
    • B65D49/12Arrangements or devices for preventing refilling of containers by destroying, in the act of opening the container, an integral portion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5/00Accessories for container 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5/16Devices preventing loss of removable closure members
    • B65D2101/0023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401/00Tamper-indicating means
    • B65D2401/15Tearable part of the clo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의 개봉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면서 음료용기의 개방시에 마개의 이탈 방지와 매달린 마개의 자유회전을 방지토록 하는 분실 및 자유회전 방지기능을 갖는 용기 마개에 관한 것으로서, 그 특징적인 구성은, 용기의 주둥이와 나사체결에 따라 주둥이의 개구를 개폐하는 마개본체와, 상기 마개본체의 하부에 일측의 힌지부와 복수의 브릿지로 연결하고, 상기 힌지부 하측에 절개슬릿을 갖는 표시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분실 및 자유회전 방지기능을 갖는 용기 마개에 있어서, 상기 표시링은 둘레 중 일부 구간의 중간 부위가 연속하며 내측으로 오목하게 꺾인 형상으로 굴곡지고, 내측으로 돌출한 형상을 이루는 굴곡진 부위의 내측 단부면은 대응하는 주둥이의 측벽에 탄력적으로 밀착하며, 굴곡진 부위의 외측 측면은 내측 단부면을 중심으로 양측이 상호 마주보게 접힌 형상을 이루며, 굴곡진 부위는 외력에 대응하여 접힌 형상이 탄력적으로 벌어지는 탄발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iner stopper capable of preventing the detachment of the stopper when the beverage container is opened and preventing free rotation of the stopper stopper while allowing the container to be opened or closed, A display ring which is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stopper body by a plurality of bridges and a hinge portion on one side and which has an incision slit on the lower side of the hinge portion, Wherein the indication ring is bent in a concavely curved shape in which the intermediate portion of a part of the circumference is continuous and inwardly curved and has a curved portion that is inwardly protruding in shape And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bent portion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end surface Both sides are folded toward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center, and the bent portion is formed by forming an elastic portion in which a folded shape is elastically opened corresponding to an external force.

Description

분실 및 자유회전 방지기능을 갖는 용기 마개{A CONTAINER CAP WITH FUNCTION OF ANTI-MISSING AND ANTI-IDLE STOPPER}A CONTAINER CAP WITH FUNCTION OF ANTI-MISSING AND ANTI-IDLE STOPPER "

본 발명은 분실 및 자유회전 방지기능을 갖는 용기 마개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용기의 개봉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면서 음료용기의 개방시에 마개의 이탈 방지와 매달린 마개의 자유회전을 방지토록 하는 분실 및 자유회전 방지기능을 갖는 용기 마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iner stopper having a function of preventing loss and free rotation.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iner stopper for preventing the release of the stopper when the beverage container is opened and the free rotation of the stopper And a container stopper having a free rotation preventing function.

일반적으로 생수를 비롯한 식음료나 오일, 도료, 화학약품 등의 액상물질을 수용하는 용기는 액상물질의 출입이 있도록 한 주둥이를 형성하고 있다.Generally, bottles containing drinking water, food and beverages, liquids such as oil, paints, and chemicals are formed into a snout so that liquid substances can flow in and out.

또한, 상술한 주둥이에는 액상물질의 출입을 제한하기 위해 주둥이의 개구를 개폐하는 마개의 설치가 이루어진다.In addition, in the above-described spout, a cap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of the spout is provided in order to restrict the entry and exit of the liquid material.

용기 주둥이와 용기 마개의 일반적인 결합 구조는, 돌출한 주둥이의 외주면(E/S)에 수나사(M/S)를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여 덮는 마개의 내주면(I/S)에 암나사(F/S)를 형성하여 이들 상호 간의 나사 결합 또는 결합 해제의 관계로 이루어진다.A general coupling structure of the container spout and the container stopper is such that a male screw (M / S)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E / S) of the protruded spigot and a female screw (F / S)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So that they are screwed or disengaged from each other.

최근에 개발이 이루어진 용기 마개는, 용기로부터 분리한 경우에 주변으로부터의 오염 가능성과 분실의 우려가 있었던 것을 해소하기 위하여, 용기의 주둥이를 개방한 이후에도 용기의 주둥이와 연결한 상태에 있도록 한다.The recently developed container stopper is connected to the spout of the container even after opening the spout of the container in order to eliminate the possibility of contamination from the surroundings and the possibility of loss when the container is separated from the container.

이에 대하여 예시하자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25850호(포장용기 마개: 이하, '선행기술1'이라 함)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38894호(포장용기 마개: 이하, '선행기술2'라 함)를 들 수 있다.For example,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325850 (packaging container stopp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1") and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038894 (packaging container stopp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2 Quot;). ≪ / RTI >

위의 선행기술1, 2에 따른 용기 마개(10)는, 도 1과 도 2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천장부(12)와 원통형인 나사측벽부(14)를 포함한 마개본체(16)와 마개본체(16)의 하부에 이격 위치한 표시링(18)이 방사상 배치의 복수 브릿지(20)와 일측의 힌지부(22)를 통해 일체로 연결한 상태에 있도록 한 것이다.1 and 2, the container stopper 10 according to the above prior arts 1 and 2 includes a stopper body 16 including a ceiling portion 12 and a cylindrical screw side wall portion 14, The display ring 18 spaced apart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base 16 is integrally connected through a plurality of radially arranged bridges 20 and a hinge portion 22 on one side.

또한, 힌지부(22) 하부의 표시링(18) 부위 중 상하 폭 방향 중간 부위에는 가로 방향 구간에 절개슬릿(24)을 형성하고, 절개슬릿(24) 아래의 내벽 둘레에는 회전방지날개(30)를 돌출 형성하고 있다.An incision slit 24 is formed in a transverse direction section in an upper and lower width direction middle portion of a portion of the indication ring 18 below the hinge portion 22 and a rotation preventing blade 30 As shown in Fig.

이로부터 마개본체(16)를 회전시켜 용기(B)의 주둥이(N)를 개봉할 때에는, 표시링(18)이 상승하지 않아 브릿지(20)가 파단되어 개봉이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게 한 것이다.The indicator ring 18 is not raised and the bridge 20 is broken when the spout N of the container B is opened by rotating the stopper body 16 from this point.

이때, 절개슬릿(24)은 용기(B)의 주둥이(N)로부터 마개본체(16)가 승강할 때에 벌어짐으로써 힌지부(22)를 통한 표시링(18)과 마개본체(16)의 연결 상태를 유지토록 한다.At this time, the cutting slit 24 is opened when the stopper body 16 is lifted and lowered from the spout N of the container B so that the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indication ring 18 and the stopper body 16 through the hinge portion 22 .

또한, 선행기술1, 2는 힌지부(22) 양측에 마개본체(16) 및 표시링(18) 부위에 이르는 절개한 형상의 트임부(26)와, 힌지부(22)의 상하 방향 중간 부위를 따라 마개본체(16) 및 표시링(18)의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두께가 얇아지게 단차부(28)를 형성한 용기 마개를 제안하였다.The prior arts 1 and 2 have a cut-away portion 26 on both sides of the hinge portion 22 leading to the portion of the stopper body 16 and the indication ring 18, The step portion 28 is formed so as to be thinner in the outward direction from the inside of the stopper body 16 and the indication ring 18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그러나, 선행기술1, 2에 따른 종래의 용기 마개는, 마개본체(16)와 표시링(18)을 연결하는 힌지부(22) 중 단차부(28)의 가로방향 양측 부위가 외측으로 도드라져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container stopper according to the prior arts 1 and 2, both side portions of the step portion 28 of the hinge portion 22 connecting the stopper body 16 and the display ring 18 are pushed outward have.

이렇게 도드라진 단차부(28)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때에 걸리적거림 등 불편함을 초래할 뿐 아니라, 용기 마개(10)가 강한 힘으로 체결되었거나 이들 사이에 있는 내용물이 굳어 있는 상태인 경우에, 무리한 힘으로 개방을 시도하면 사용자의 손이 도드라진 단차부(28)에 걸려 부상당할 위험이 있다.The stepped portion 28 is not only inconvenient when the user holds the container by his hand, but also causes the container stopper 10 to be fastened with a strong force or in a state where the contents between the container stopper 10 and the container stopper 10 are stiff. There is a risk that the user's hand will be caught by the stepped portion 28 and be injured.

한편, 선행기술1, 2에 있어서, 용기 마개(10)는 상하 방향으로 직경이 다른 형상을 이루고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ior arts 1 and 2, the container stopper 10 has a different diameter in the vertical direction.

특히, 나사측벽부(14) 아래 부위는, 하나 이상의 단(段)을 이룸과 동시에 표시링(18)의 하단부까지 내외 직경을 점차 확장시킨 테이퍼 형상을 이루고, 전체적으로 볼 때에 상부가 하부에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좁은 상협하광(上狹下廣)의 형상을 갖는다.Particularly, the portion below the screw side wall portion 14 forms one or more stages and forms a tapered shape in which the inner and outer diameters gradually extend to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display ring 18, It has the shape of a relatively narrow cold water (上 狹 下 下 廣).

이와 같이 용기 마개(10)가 상협하광의 구조를 이루는 이유는, 용기(B)의 주둥이(N)에 형성한 수나사(M/S)의 나사산 돌출 길이(d)보다 그 아래의 걸림턱(C)이 추가 돌출길이(d')로 더 돌출해 있기 때문이다.The reason why the container stopper 10 has the structure of the counterclockwise light is that the engagement protrusion C (hereinafter referred to as " C ") below the thread protrusion length d of the male screw M / S formed in the spout N of the container B Is further projected to the additional protrusion length d '.

여기서, 수나사(M/S)보다 그 아래의 걸림턱(C)을 추가로 더 돌출(d') 형성한 이유는, 용기(B)의 주둥이(N)를 개봉할 때에, 그 개봉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브릿지(20)가 파단될 수 있도록 표시링(18)을 더욱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Here, the reason why the latching jaw C under the male screw M / S is further protruded d 'is that when the spout N of the container B is opened, So that the display ring 18 can be more firmly fixed so that the bridge 20 can be broken.

또한, 용기 마개(10)가 상협하광의 구조를 이루는 다른 이유는, 도 3b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회전방지날개(30)가 주둥이(N)의 외주면에 휘어진 형상으로 탄력적으로 접촉하기 위하여 회전방지날개(30)의 길이를 걸림턱(C)의 외측 가장자리에서 주둥이(N) 외주면까지의 간격 이상으로 형성해야 하기 때문이다.Another reason why the container stopper 10 forms the structure of the counterclockwise light is that as shown in FIG. 3B, in order for the rotation preventing blade 30 to elastically contact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pout N in a bent shape, This is because the length of the blade 30 must be greater than the distance from the outer edge of the latching jaw C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pout N. [

그리고, 용기 마개(10)가 상협하광의 구조를 이루는 또 다른 이유는, 용기(B)의 주둥이(N)에 대해 용기 마개(10)를 강제 결합할 때에, 표시링(18)의 내벽과 걸림턱(C)의 가장자리 사이로 회전방지날개(30)가 파손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탄력적으로 구부러져 통과할 수 있는 여유 공간(D')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Another reason that the container stopper 10 has a structure of a counterclockwise light is that when the container stopper 10 is forcedly engaged with the spout N of the container B,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clearance space D 'between the edges of the jaw C so that the rotation preventing blade 30 can bend and pass through within a range in which the rotation preventing blade 30 is not damaged.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협하광 구조에서 하부의 직경을 불필요하게 확대 형성한 용기 마개(10)의 문제점을 정리하면, As described above, the problem of the container stopper 10 in which the diameter of the lower portion is unnecessarily enlarged in the vertically lowering light structure is summarized,

첫째, 용기 마개(10) 하부의 내외 직경을 불필요하게 확대 형성한 것은 재료의 낭비가 있다는 점, First, the inner and outer diameters of the lower portion of the container stopper 10 are unnecessarily enlarged because there is waste of material,

둘째, 마개본체(16)에 비교하여 직경이 넓은 그 하측 부위는, 모멘트가 크게 작용하여 운반이나 적재 보관시에 자중 또는 외력에 의해 형상이 찌그러지는 손상 내지 파손의 위험이 있다는 점,Second, there is a risk that the lower portion of the larger diameter portion as compared with the stopper body 16 has a large moment, and may be damaged or destroyed due to its own weight or external force during transportation or storage,

셋째, 외력에 의해 형상이 찌그러진 경우, 용기 마개(10) 공급장치인 피더(feeder)(도시 안됨)를 통해 생산라인으로 공급되는 과정에서, 다이(die)로 고정한 용기(B)의 주둥이(N)에 용기 마개(10)를 끼워 넣기 위한 홀더(H)에 대응한 정렬 불량(센터링 불량) 등 취급 불량을 초래하고, 이는 생산의 정상적인 작동을 저해한다는 점, Thirdly, in the process of being supplied to the production line through a feeder (not shown) which is a feeding device of the container stopper 10, the spout N of the container B fixed by a die, (Centering failure) corresponding to the holder H for inserting the container cap 10 into the container holder 10,

넷째, 용기 마개(10)의 내외 직경을 불필요하게 확대 형성한 것은 상기 피더에서 차지하는 간격이 넓고, 그에 따른 공급속도의 지연 및 또 그에 따른 설비 규모의 확대를 필요로 한다는 점, Fourthly, the inner and outer diameters of the container stopper 10 are unnecessarily enlarged because the interval occupied by the feeder is wide, the feed speed is accordingly delayed,

다섯째, 용기 마개(10) 하부의 내외 직경을 확대 형성하기 위한 회전방지날개(30)는, 선행기술2와 도 4a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금형 중 해당 부위의 코어(C/B, C/B')를 분리 가능한 이중구조로 형성할 것과 강제추출하는 과정에서 언더컷을 이루어 추출이 어려운 구조를 이루고 있어, 금형의 복잡화는 물론 금형의 수명 저하 및 생산속도 지연 등의 문제를 초래한다는 점, Fifthly, the anti-rotation blades 30 for enlarging the inner and outer diameters of the lower portion of the container stopper 10 are form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prior art 2 and FIGS. 4A to 5, C / B ')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a separable structure, and undercuts are formed in the process of forcible extraction, making the structure difficult to extract, which leads to complication of the mold, deterioration of the life of the mold, ,

여섯째, 금형으로부터 추출이 이루어진 회전방지날개(30)는, 추출 과정에 의해 손상 내지 파손의 우려가 있다는 점, Sixth, the anti-rotation blades 30, which are extracted from the mold, are subject to damage or breakage due to the extraction process,

일곱째, 회전방지날개(30)는, 추출 과정에서, 하측 방향으로 꺾인 형상을 유지하는데, 그 꺾인 정도가 정도 이상일 경우에, 그 하단부가 용기(B)에 대한 조립과정에서 주둥이(N)의 상단 또는 측벽과 수나사(M/S)에 걸려 다시 손상 내지 파손되어 결합 불량을 초래하는 문제와, 이를 방지하기 위해 시행하고 있는 방법은, 금형으로부터 추출한 용기 마개(10)에 대하여 작업자가 회전방지날개(30)를 상측 마개본체(16) 방향으로 일차적으로 꺾은 후 납품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는 점 등이 있다.
Seventh, the anti-rotation vane 30 keeps its downwardly bent shape during the extraction process. When the degree of breakag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degree, the lower end of the anti- Or the side wall and the male screw (M / S) so as to be re-damaged or damaged, resulting in poor bonding, and a method which is carried out in order to prevent this, 30 in the direction of the upper stopper main body 16, and then there is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deliver them.

한편, 선행기술 1, 2에 있어서, 용기 마개(10)의 구조적 특징은, 용기(B)의 주둥이(N)와 결합한 상태에서, 표시링(18)의 하단과 용기(B)의 주둥이(N)에 형성된 지지턱(S/C) 사이에 상하 방향 유격을 이루고 있다.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container stopper 10 in the prior arts 1 and 2 are that the lower end of the indication ring 18 and the spout N of the container B are in contact with the spout N of the container B, And a support jaw S / C formed on the support shafts S and C, respectively.

이렇게 표시링(18)의 하단과 지지턱(S/C) 사이에 유격을 갖도록 한 것은, 다이(die)에 고정된 용기(B)의 주둥이(N)에 대하여 용기 마개(10)를 강제 결합시키도록 함에 있어서, 회전방지날개(30)의 끝단 부위가 걸림턱(C)을 충분히 통과할 수 있도록 여유 공차(D-D':L/N)를 둔 때문이다.The clearance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indication ring 18 and the support step S / C is such that the container stopper 10 is forcedly engaged with the spout N of the container B fixed to the die, (D-D ': L / N) so that the end portion of the anti-rotation vane 30 can pass through the latching jaws C sufficiently.

이러한 여유 공차(L/N)는 용기(B)의 주둥이(N)에 대하여 표시링(18)이 마개본체(16)의 개봉 이후 그 개폐 여부와 상관없이 삐뚤어진 상태로 존재할 수 있어 미관상 깔끔한 형상을 유지하지 못한다.
This clearance tolerance L / N can exist in a crooked state regardless of whether the indication ring 18 is opened or closed after the opening of the stopper body 16 with respect to the spout N of the container B, I can not keep it.

한편, 선행기술1, 2를 포함한 일반적인 용기(B)와 용기 마개(10)는, 용기(B)와 더불어 액상물질의 소진 이후에 재활용 과정을 거친다.On the other hand, the conventional container B including the prior arts 1 and 2 and the container stopper 10 are recycled after the consumption of the liquid material together with the container B.

이때, 용기(B)는 대체로 PET(Polyethylene phthalate) 재질의 것이 많고, 또 용기 마개(10)는 대체로 PP(polypropylene) 또는 PE(polyethylene) 재질의 것이 많다.At this time, the container (B) is generally made of PET (polyethylene phthalate), and the container stopper (10) is generally made of polypropylene (PP) or polyethylene (PE).

이와 같이, 용기(B)와 용기 마개(N)는 서로 다른 재질의 것이 사용되며, 이에 대하여 위의 재활용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각기 다른 재질을 각각의 재질로 구분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As described above, the container B and the container stopper N are made of different materials, and in order to improve the recycling efficiency, it is preferable that different materials can b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하지만, 일반적인 용기 마개(10)에 있어서, 표시링(18) 부위는, 마개본체(16) 부위와 완전히 분리되어 용기(B)와 함께 재활용 과정을 거칠 수 있고, 이때 재활용되는 재질은 물성이 변하는 문제가 있다.However, in the general container cap 10, the display ring 18 is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portion of the stopper body 16 and can be recycled together with the container B. At this time, there is a problem.

이로부터 재활용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사용자 또는 별도의 작업자로 하여금 용기(B)로부터 표시링(18)를 분리하는 작업을 필요로 한다.In order to increase the recycling efficiency from this, it is necessary for the user or another operator to separate the indication ring 18 from the container B.

더욱이, 선행기술1, 2의 경우에는, 용기(B)에 대하여 표시링(18)을 포함한 용기 마개(10) 전체가 용기(B)에 매달려 있고, 이 역시 칼 또는 니퍼(nipper) 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표시링(18)을 절단하는 것으로 용기(B)로부터 용기 마개(10)를 분리하는 별도의 작업을 필요로 한다.Furthermore, in the case of the prior arts 1 and 2, the entire container stopper 10 including the display ring 18 is suspended from the container B with respect to the container B, which is also a tool such as a knife or a nipper A separate operation of separating the container stopper 10 from the container B by cutting the indication ring 18 by using the presser ring 18 is required.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25850호(2013.11.06. 공고)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325850 (issued on November 11, 2013)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38894호(2011.06.02. 공고)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038894 (issued on June 2, 2011)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첫째, 사용자가 파지하는 부위에 사용자의 손을 손상시키는 돌출부의 형성을 방지하여, 사용의 불편과 사용자 손의 손상 가능성을 방지함,First, it prevents the formation of protrusions that damage the user's hands in the area gripped by the user, thereby preventing the inconvenience of use and the possibility of damage to the user's hand,

둘째, 사이즈를 줄여 소재비 절감과 제품의 손상 가능성 줄임과 생산성 향상 및 용기 마개의 제작과 용기에 대한 결합을 포함하여 불량률을 줄이도록 함,Second, by reducing the siz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material cost, reduce the possibility of damage to the product, improve the productivity and reduce the defective rate, including combining the container stopper and container,

셋째, 구조를 단순화하여 금형의 제작비용과 부대비용의 절감 및 금형의 수명을 연장함,Third, by simplifying the structur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and the incidental cost of the mold, prolong the life of the mold,

넷째, 표시링은 용기(B)의 주중이에 대하여 깔끔한 형태로 유지되게 함,Fourth, the indicator ring is kept in a clean form against the middle of the container B,

다섯째, 용기의 주둥이에 표시링까지 마개 본체와 함께 분리할 수 있게 하여 재활용 효율을 높이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Fifth,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recycling by allowing the container to be separated from the spout of the container together with the cap body up to the indication ring.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실 및 자유회전 방지기능을 갖는 용기 마개의 특징적인 구성은, 용기의 주둥이와 나사체결로 주둥이의 개구를 개폐하는 마개본체와, 상기 마개본체의 하부에 일측의 힌지부와 복수의 브릿지로 연결하고, 상기 힌지부 하측에 절개슬릿을 갖는 표시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분실 및 자유회전 방지기능을 갖는 용기 마개에 있어서, 상기 표시링은 둘레 중 적어도 일부 구간에서 두께가 내측과 외측으로 연속하여 굽어 둘레의 내측으로 굴곡져 돌출한 형상을 이루는 탄발부를 하나 이상 형성한 것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탄발부 중 내측으로 돌출한 단부는 대응하는 주둥이의 측벽에 탄력적으로 밀착하는 밀착면을 이루며, 상기 탄발부 중 상기 밀착면을 중심으로 한 상호 마주보게 접힌 형상을 이루는 양측 부위는 외력에 대응하여 탄력적으로 벌어지게 한 것으로 이루어진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tainer stopper having a function of preventing loss and free rotation, comprising: a stopper body that opens and closes an opening of a spout by screwing the spout of the container with the stopper; And a display ring having a cutting slit at a lower side of the hinge and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display ring by a plurality of bridges, Wherein at least one of the resilient portions is bent and protruded inwardly inwardly and continuously from the inner side to the outer side in a certain section, and the end portion protruding inward of the resilient portion is formed on the side wall of the corresponding spigot And a plurality of elastic members which form a close contact surface that elastically comes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two side portions are made to expand in response to an external force.

또한, 상기 탄발부의 상부는 외측에서 내측의 밀착면 상단까지 하향의 제 1 경사면을 이루고, 상기 탄발부의 하부는, 외측에서 내측의 밀착면 하단까지 상향의 제 2 경사면을 갖도록 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upper portion of the elastic portion may have a first inclined face downward from the outer side to the upper end of the inner side close contact surface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elastic portion may have a second inclined surface upward from the outer side to the inner side of the close contact surface.

그리고, 상기 탄발부의 제 1 경사면 상단에서 상기 표시링의 하단부까지의 상하 폭 방향 간격은, 용기의 주둥이에 형성된 걸림턱의 저면에서 지지턱의 상면까지의 간격 대비 0.5~ 1.5㎜ 범위 내에서 넓게 형성하고, 상기 제 1 경사면의 상단에서 하단까지의 높이는 0.7~2㎜ 범위에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The vertical widthwise distance from the upper end of the first inclined surface of the elastic part to the lower end of the display ring is wider within a range of 0.5 to 1.5 mm with respect to the interval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engaging step formed on the spout of the container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step And the height from the upper end to the lower end of the first inclined surface is in the range of 0.7 to 2 mm.

더불어, 상기 탄발부는 상기 표시링 둘레를 따라 복수 구간에 형성하고, 각 구간의 상기 표시링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 배치를 이루거나 상기 표시링의 둘레를 따라 상호 등간격 배치를 이루도록 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elastic portion is formed in a plurality of sections along the periphery of the display ring,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display ring in each section, or equally spac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display ring Do.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실 및 자유회전 방지기능을 갖는 용기 마개의 특징적인 구성은, 용기의 주둥이와 나사체결로 주둥이의 개구를 개폐하는 마개본체와, 상기 마개본체의 하부에 일측의 힌지부와 복수의 브릿지로 연결이 이루어지고, 상기 힌지부 하측에 절개슬릿을 갖는 표시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분실 및 자유회전 방지기능을 갖는 용기 마개에 있어서, 상기 표시링은 내면 둘레를 따라 돌출한 내경이 주둥이에 형성한 걸림턱의 외경보다 0.3~0.6㎜ 이하인 환형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환형돌기의 저면은 그 내측 끝단에서 내경이 점차 확장되는 테이퍼면을 갖도록 하며, 상기 환형돌기의 상면에서 상기 표시링의 하단까지의 폭 방향 간격은 주둥이에 형성한 걸림턱의 저면에서 지지턱의 상면 사이의 간격에서 0.3~0.6㎜ 범위까지 더 넓게 형성한 것으로 이루어진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tainer stopper having a function of preventing loss and free rotation, comprising: a stopper body for opening and closing an opening of a spout by screwing the spout of the container; The container stoppe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further comprising a display ring having an incision slit at a lower side of the hinge portion and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topper body by a plurality of bridges, Wherein an annular protrusion having an inner diameter protruding along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is 0.3 to 0.6 mm or less than an outer diameter of a protruding protrusion formed on a spout, the bottom surface of the annular protrusion having a tapered surface gradually expanding in inner diameter at its inner end, The widthwise distanc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annular projection to the lower end of the indicator ring is set to be shorter than the interval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engaging jaw formed on the spout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ing jaw Stand consists of a wider, formed up to 0.3 ~ 0.6㎜ range.

또한, 상기 환형돌기 상부의 상기 표시링의 내벽 둘레에는, 상기 환형돌기의 상면이 상기 걸림턱의 저면에 밀착하는 상태에서, 대응하는 상기 걸림턱의 외측 단부와 접촉하는 마찰돌기를 그 둘레를 따라 하나 이상 형성한 것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표시링의 내벽에서 상기 마찰돌기의 돌출 길이는 상기 표시링의 내벽에서 상기 환형돌기의 돌출 길이 미만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a state in which the upper surface of the annular projection closely contacts the bottom surface of the engagement protrusion, a friction protrusion that contacts the outer end of the corresponding engagement protrusion is formed around the inner wall of the annular projection on the annular protrusion And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rubbing protrusion on the inner wall of the indication ring is formed to be less than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annular ridge on the inner wall of the indication ring.

한편, 상기 일 실시예와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표시링은 하단 부위 둘레를 따라 간격을 두고 하단에서 상측으로 깊이를 갖는 절개홈을 하나 이상 형성하고, 상기 절개홈 깊이에 대응하는 상기 표시부의 하단 부위는 하단 방향으로 굵기가 점차 얇으며 외측으로 벌어진 형상의 스커트부를 형성한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ring may have at least one incision groove having a depth from the lower end to the upper side with an interval along the periphery of the lower end region, and a lower end of the display unit corresponding to the incision depth The portion may be formed such that the thickness is gradually thinner in the lower end direction and the skirt portion of the outwardly opened shape is formed.

또한, 상기 힌지부는 상하 방향의 중간 부위를 따라 상기 마개본체가 상기 표시링을 기준으로 꺾이는 부위이고, 상기 마개본체의 외측 측벽 표면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점차 오목한 형상을 이루어 상기 마개본체가 상기 표시링을 기준으로 꺾임을 유도하는 꺾임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hinge portion is a portion where the stopper body is bent with respect to the indication ring along an intermediate por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gradually becomes concave inward from the outer side wall surface of the stopper body, And a bending portion for guiding bending can be formed as a reference.

그리고, 상기 힌지부는, 상기 꺾임부의 가로 방향 중심 부위에, 세로로 걸쳐지는 막대 형상을 가지며, 상기 꺾임부를 중심으로 한 상부가 상기 힌지부와 일체로 연결한 상태에 있고, 양측 부위와 상기 꺾임부를 중심으로 한 하부로 이어지는 부위까지 내외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 1 트임부에 의해 분리된 가요성 지지편을 더 구비하고, 상기 가요성 지지편은 상기 마개본체가 용기 주둥이를 폐쇄한 체결 상태에서 하단부가 하측으로 향하고, 상기 마개본체가 용기 주둥이를 개방하는 과정에서 그 개방 각도에 따라 하단부가 탄력적으로 휘어지는 과정을 거쳐 상기 꺾임부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용기 주둥이의 측벽에 하단부의 외면이 탄력적으로 접촉하는 것으로 지지를 받음으로써 상기 용기 주둥이에 대하여 상기 마개본체의 개방한 상태가 유지되게 함이 바람직하다.The hinge portion has a bar shape extending vertically at the central portion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bending portion and the upper portion with the bending portion as a center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hinge portion and the both side portions and the bending portion And a flexible tongue piece separated by a first tongue portion penetrating inward and outward to a central portion extending to a lower portion centered on the tongue portion, wherein the flexible tongue portion has a lower end portion in a fastened state in which the cap body is closed The lower end portion is elastically bent according to the opening angle in the process of the container main body opening the container spout so that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end portion elastically contacts the side wall of the container spout locat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folding portion So that the open state of the cap body is maintained with respect to the spout of the container. .

더불어, 가요성 지지편은, 상기 꺾임부 아래의 하단 부위가 상부보다 점차 얇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flexible supporting piece under the bending portion is formed to be gradually thinner than the upper portion.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르면, 힌지부가 마개본체와 표시링을 포함한 용기 마개의 측벽으로부터 내측으로 함몰된 형상을 이룸에 따라, 이를 잡아 회전시켜 주둥이를 개방하고자 할 때에, 사용자 손의 손상 가능성을 방지함으로써 안전한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hinge portion is shaped inwardly from the side wall of the container stopper including the stopper main body and the indicator ring, when the snout is to be opened by rotating the stopper, There is a safe effect.

또한, 본 발명의 제 1, 2 실시예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자연 상태에서 탄발부가 탄성적으로 오므려지는 관계를 통해 자유회전을 방지토록 하거나, 지지날개를 대신하여 걸림턱과 지지턱 사이의 탄성적 복원력으로 자유회전을 방지토록 함으로써 용기 마개의 외경에 따른 전체적인 사이즈를 줄이고, 그에 따른 소재비의 절감과 생산성 향상 및 불량률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Further, as is apparent from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free rotation through a relationship in which the elastic portion is elastically held in a natural state, or to prevent free rotation between the engagement jaw and the support jaw So tha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overall size of the container stopper according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container stopper, thereby reducing the material cost, improving the productivity, and reducing the defect rate.

그리고,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서 힌지부를 내측에서 외측으로 깊이를 갖도록 한 것을 대신하여 외측의 브릿지 형성을 위한 슬라이딩 코어를 함께 이용할 수 있도록 한 것과 제 1 실시예에서 탄발부의 탄력적 변형관계를 통해 추출이 용이한 관계 및 환형돌기의 돌출 길이를 짧게 형성한 것 등을 통해 금형의 단순화와 그에 따른 제작비용의 절감 및 금형의 수명을 연장하는 효과가 있다.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use a sliding core for forming an outer bridging joint instead of having the hinge portion having a depth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and in the first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simplify the mold and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and extend the life of the mold through the easy extraction relationship and the shorter protrusion length of the annular protrusion.

더불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경우에는, 표시링에 형성한 주름부를 통해 용기의 주둥이로부터 표시링까지 완전 분리가 가능하게 됨에 따라 용기와 용기 마개가 각기 다른 재질인 것에서 분리 수거가 이루어지기 용이하여 재활용률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container and the container stopper are made of different materials as the container can be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spout of the container through the wrinkle portion formed in the display ring, Thereby increasing the recycling rate.

도 1과 도 2는, 종래 기술의 각 실시예에 따른 분실 및 자유회전 방지기능을 갖는 용기 마개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a 내지 도 3b는, 생산과정에서 용기 주둥이에 대한 종래 기술에 따른 용기 마개의 결합과정 및 그에 따른 구성의 조건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5는 종래 기술의 용기 마개를 생산하기 위한 금형과 금형으로부터 용기 마개의 추출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실 및 자유회전 방지기능을 갖는 용기 마개를 나타낸 부분 확대 단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탄발부와 힌지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부분 절취 사시도이다.
도 8a와 도 8b는 도 6의 탄발부의 작동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평명상태의 계통도이다.
도 9는 용기의 주둥이에 대하여 탄발부를 포함한 용기 마개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6에 도시한 탄발부의 변형 실시예를 나타낸 평명상태 계통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실 및 자유회전 방지기능을 갖는 용기 마개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1 and 2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tainer stopper having a function of preventing loss and free rotation according to each embodiment of the prior art.
FIGS. 3A and 3B are cross-sectional views for explaining the joining process of the container stopp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with respect to the container spout in the production process and the conditions of the configuration thereof.
4A to 5 are cross-sectional views for explaining the extraction relationship between a mold for producing a container cap of the prior art and a container cap from a mold.
6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tainer stopper having a function of preventing loss and free ro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elastic part and the hinge part of FIG. 6;
8A and 8B are schematic diagrams of a flat state for explaining the operating relationship of the reel unit of FIG.
9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engagement state of the container stopper including the reed portion with respect to the spout of the container.
Fig. 10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rewinding portion shown in Fig. 6. Fig.
11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tainer stopper having a function of preventing loss and free rot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될 것이 아니라,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The terms and words used in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to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but the inventor shall appropriately interpret the concept of the term appropriately in order to describe its own invention in the best way. Quot; and " can be defined " in accordance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귀속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In addition,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no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Therefore, at the time of fil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various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that may be substituted ar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그 설치가 이루어지는 용기가 세워진 상태 즉, 용기의 주둥이가 상측에 있도록 한 상태를 기준으로 하고, 내측의 표현은 해당 높이에서 용기 내부의 중심 방향 또는 그 방향에 있는 부위를 지칭하는 것으로 하며, 외측은 내측의 반대 방향 또는 그 방향에 있는 부위를 지칭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ssumed that the container in which the container is installed is in a standing state, that is, a state in which the spout of the container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And the outer side refers to the opposite side of the inner side or a portion in the opposite direc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분실 및 자유회전 방지기능을 갖는 용기 마개(40)는, 도 6 내지 도 11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종래 기술과 마찬가지로 용기(B)의 주둥이(N)와 나사체결로 주둥이(N)의 개구를 개폐하는 마개본체(42)와, 마개본체(42)의 하부에 일측의 힌지부(44)와 복수의 브릿지(46)로 연결한 표시링(48)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s. 6 to 11, the container stopper 40 having the lost and free rotation preven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spout N of the container B and the spout N And a display ring 48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topper body 42 by a hinge portion 44 at one side and a plurality of bridges 46. As shown in FIG.

또한, 상술한 표시링(48)은 힌지부(44)의 하측 부위를 포함하여 절개슬릿(50)을 형성하고 있다.In addition, the above-mentioned display ring 48 includes the lower side portion of the hinge portion 44 to form the cutting slit 50. [

여기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특징을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the feature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실 및 자유회전 방지기능을 갖는 용기 마개(40a)는 합성수지를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로 제작한 것으로서, 도 6 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링(48a)의 형성에 있어서, 표시링(48a)이 이루는 둘레 중 적어도 일부 구간에서 평면상의 두께가 1차로 내측으로 굴곡시키고, 굴곡에 의해 내측의 이미 설정한 위치의 단부에서 연이어 다시 외측의 표시링(48a) 둘레 위치로 이어지게 2차로 굴곡시켜 1차와 2차로 굴곡진 부위가 표시링(48a)의 둘레에서 내특으로 돌출한 형상을 이루는 탄발부(52)를 하나 이상 형성한 것으로 이루어진다.6 to 10, the container stopper 40a having a function of preventing loss and free ro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grally formed by injection molding of synthetic resin, The thickness of the planar surface is first bent inward at least in a section of the circumference defined by the indication ring 48a and the outward indication ring 48a is continuously formed at the end of the inner predetermined position by bending, And one or more resilient portions 52 bent in a second direction so as to lead to the circumferential position and having a first and second bent portions protruding inwardly from the periphery of the indicating ring 48a are formed.

이러한 탄발부(52)의 형상에 대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면상에서 일정한 두께가 원호 형상의 둘레를 이루고, 둘레 중 이미 설정한 위치에서 둘레를 이루는 두께가 1차로 내측 방향으로 굽은 뒤 이미 설정한 위치(용기(B)의 주둥이(N)의 외주면(E/S)과 맞닿는 이상의 내측 위치에서 2차로 다시 외측인 둘레 방향으로 연속하여 굽은 형상을 이룬다.As shown in FIG. 7, the shape of the elastic portion 52 is a circular arc having a constant thickness on the plane, and the thickness of the circumferential por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circumference is a first order And bends continuously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hich is secondarily outwardly again at an inner position beyond the predetermined positi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E / S of the spout N of the container B).

이에 따라 탄발부(52)는 표시링(48)의 둘레 중 이미 설정한 일부의 구간에서 표시링(48)의 둘레 형상을 대신하여 내측으로 오목하게 굽은 형상을 이룬다.The reel unit 52 has a concave curved shape inward instead of the circumferential shape of the indication ring 48 in a part of the periphery of the indication ring 48 that has already been set.

즉, 탄발부(52)의 길이 방향 양단은 표시링(48)의 둘레 중 이미 설정한 일부 구간의 양단과 연결한 상태이고, 탄발부(52)의 중간 부위는 내측으로 표시링(48)이 이루는 둘레의 내측으로 굴곡져 돌출한 형상을 이룬다.That is,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lastic part 52 are connected to both ends of a predetermined section of the periphery of the indication ring 48, and the intermediate part of the elastic part 52 is inwardly displaced by the indication ring 48 And bends and protrudes inwardly of the perimeter.

또한, 탄발부(52) 중 주둥이(N)의 외주면(E/S)에 대응하는 부위는, 사출 성형한 상태(외력을 배제한 상태)에서 이미 정해진 주둥이(N)의 측벽 즉, 외주면(E/S) 위치보다 더 내측에 위치한다.The portion of the reed 52 corresponding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E / S of the spout N is formed on the sidewall of the spout N determined in the injection molding state (excluding the external force) S) position.

이에 따라 탄발부(52) 중 내측으로 돌출한 단부는 대응하는 주둥이(N)의 측벽에 탄력적으로 밀착하는 밀착면(54)을 이룬다.As a result, the inwardly protruding end portion of the elastic part 52 forms a close contact surface 54 that elastically adheres to the side wall of the corresponding spout N.

그리고, 탄발부(52) 중 밀착면(54)을 중심으로 하여 양측이 상호 간격을 두고 마주보게 접힌 형상을 이루는 부위는, 도 8a와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력에 대응하여 탄력적으로 벌어질 수 있도록 하고 있다.As shown in Figs. 8A and 8B, the portions of the elastic portion 52, which are folded toward each other at the mutually spaced sides with the contact surface 54 as a center, And so on.

여기서, 탄발부(52)는 복수의 구간에 형성할 수 있고, 이때 용기 마개(40a)의 내부 중심을 기준으로 상호 대칭인 위치에 상호 마주보는 쌍으로 배치할 수 있고, 또는 용기 마개(40a)의 내부 중심을 기준으로 표시링(48) 둘레의 원주를 따라 균등한 각도로 배치할 수 있다.Here, the elastic part 52 may be formed in a plurality of sections. In this case, the elastic part 40 may be disposed in mutually opposing positions at mutually symmetrical positions with respect to the inner center of the container stopper 40a. Alternatively, At an equal angle along the circumference around the indicating ring 48 with respect to the inner center of the display ring 48. [

이에 더하여 상술한 탄발부(52)의 배치에 따는 탄발부(52)의 밀착면(54)들이 이루는 내경은, 사출 성형 이후 용기(B)의 주둥이(N)에 장착하지 않은 상태에 있을 때에, 대응하는 주둥이(N)의 외주면(E/S) 직경보다 작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inner diameter of the contact surfaces 54 of the resilient portion 52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f the resilient portions 52 described above, when not in the spout N of the container B after the injection molding, (E / S) of the corresponding spout (N).

이에 따라 용기(B)의 주둥이(N)에 용기 마개(40a)를 장착한 상태에서 탄발부(52)의 밀착면(54)은 대응하는 위치의 주둥이(N)의 외주면(E/S)에 탄력적으로 밀착하여 용기 마개(40a)의 회전을 방지하는 마찰력을 제공한다.The sealing surface 54 of the elastic part 52 is pressed against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E / S of the spout N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with the container stopper 40a mounted on the spout N of the container B So as to provide a frictional force to prevent rotation of the container cap 40a.

이렇게 용기(B)의 주둥이(N)에 용기 마개(40a)를 장착한 상태에서, 탄발부(52)의 밀착면(54)을 중심으로 한 양측 부위는 사출 성형에 의해 제조된 성형 상태보다는 더 벌어진 상태에 있음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In the state where the container stopper 40a is mounted on the spout N of the container B in this way, both sides of the elastic part 52 of the elastic part 52 around the contact surface 54 are more in the molded state It is natural that it is in the open state.

또한, 탄발부(52) 중 표시링(48) 둘레의 내측에 위치한 상부는 외측에서 내측의 밀착면(54) 상단까지 하향의 제 1 경사면(56)을 이루고, 표시링(48) 둘레의 내측에 위치한 탄발부(52)의 하부는 외측에서 내측의 밀착면(54) 하단까지 상향의 제 2 경사면(58)을 갖도록 함이 바람직하다.The upper portion of the reed 52 which is located on the inner side of the indication ring 48 has a first inclined face 56 downward from the outer side to the upper end of the inner side contact face 54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elastic portion 52 located inside the periphery of the indication ring 48 has a second inclined surface 58 upward from the outer side to the inner side of the contact surface 54. [

여기서, 상술한 제 1 경사면(56)은 탄발부(52)가 사출 성형시에 금형 내의 대응하는 코어(도시 안됨) 부위로부터 추출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언더컷(내측으로 돌출한 부위)으로 작용하는 탄발부(52)의 상부가 제 1 경사면(56)이 갖는 경사를 따라 빗겨져 코어의 위치로부터 벗어나게 하기 위한 것이다.The first inclined surface 56 described above is provided for facilitating the extraction of the elastic part 52 from the corresponding core (not shown) part in the mold at the time of injection molding, more specifically, an undercut The upper portion of the elastic part 52 serving as the first inclined surface 56 is deflected along the inclination of the first inclined surface 56 to deviate from the position of the core.

또한, 제 2 경사면(58)은 용기(B)의 주둥이(N)에 대하여 용기 마개(40a)를 결합시키고자 할 때에, 용기(B)의 주둥이(N) 부위가 용기 마개(40a)의 내측으로 원활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The second inclined surface 58 is formed in such a manner that when the container stopper 40a is to be engaged with the spout N of the container B the portion of the spout N of the container B is located inside the container stopper 40a So that it can be smoothly fitted into the body.

그리고, 탄발부(52)의 제 1 경사면(56) 상단에서 표시링(48)의 하단부까지의 상하 폭 방향 간격은, 용기(B)의 주둥이(N)에 형성된 걸림턱(C)의 저면에서 지지턱(S/C)의 상면까지의 간격 대비 0.5~ 1.5㎜ 범위 내에서 넓게 형성함이 바람직하고, 제 1 경사면(56)의 상단 위치에서 하단 위치(밀착면(54)의 상단)까지 높이는 0.7~2㎜ 범위에 있도록 하여 용기(B)의 주둥이(N)에 대한 용기 마개(40a)의 체결시에 탄발부(52)가 걸림턱(C)을 통과하기 용이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The vertical widthwise distance from the upper end of the first inclined surface 56 of the elastic part 52 to the lower end of the indicator ring 48 is set to be shorter than the distance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engagement step C formed in the spout N of the container B The height of the first inclined surface 56 from the upper end position to the lower end position (the upper end of the contact surface 54) is preferably set to be wide within a range of 0.5 to 1.5 mm with respect to the interval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step S / So that the elastic portion 52 can easily pass through the latching jaw C when the container stopper 40a is fastened to the spout N of the container B.

이때, 표시링(48)은 하단 부위 둘레를 따라 간격을 두고 하단에서 상측으로 깊이를 갖는 절개홈(60)을 하나 이상 형성하고, 표시링(48)의 하단 부위에서 절개홈(60) 깊이에 이르는 부위는 하단 방향으로 굵기가 점차 얇은 형상을 이루며 외측으로 벌어진 형상의 스커트부(62)를 형성토록 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at least one incision groove 60 having a depth from the lower end to the upper side is formed at an interval along the lower end circumference of the indication ring 48, and at a depth of the incision groove 60 at the lower end of the indication ring 48 It is preferable to form the skirt portion 62 having a shape that gradually becomes thinner in the lower end direction and has a shape that opens outward.

이에 더하여 상술한 힌지부(44)의 하측과 절개슬릿(50) 사이의 표시링(48) 부위에는 힌지부(44)의 회동에 따른 파단 가능성을 보완하기 위한 덧살부(64)를 더 형성토록 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a portion of the indication ring 48 between the lower side of the hinge portion 44 and the cutting slit 50 is further provided with a piercing portion 64 for supplementing the possibility of breakage due to the rotation of the hinge portion 44 .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마개(40a)는, 제조 과정 중 그 추출과정에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빼기구배(θ)와 탄발부(52)를 포함한 표시링(48)이 제 1 경사면(56)에 의해 자연스럽게 벌어지면서 추출이 이루어짐으로써 금형의 단순화를 이룰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ontainer stopper 40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during the extraction process of the container stopper 40a, the container stopper 40a includes a subtraction gradient &thetas; The display ring 48 is naturally opened by the first inclined surface 56 and extraction is performed, thereby simplifying the mold.

또한, 용기(B)의 주둥이(N)에 대하여 결합하는 과정에서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발부(52)의 제 2 경사면(58)이 상측으로 위치할수록 좁아지는 형상을 이룸에 따라 주둥이(N)의 상단에 대응하여 안내가 이루어져 불필요한 작업자의 수작업을 방지할 수 있고, 탄발부(52)의 벌어짐으로 인해 그 결합까지의 압력을 낮출 수 있으며, 빼기구배(θ)를 제외한 용기 마개(40a)의 측벽 외관을 추가 확장 부위를 배제한 원통형으로 형성함으로써 직경 축소에 따른 소재비 절감과 위의 결합공정을 포함한 생산공정에서의 불량률 및 생산속도를 향상시키는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9, the second inclined surface 58 of the elastic part 52 has a shape that becomes narrower as it is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as shown in Fig. 9, in the process of engaging with the spout N of the container B,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manual operation of the unnecessary operator and to lower the pressure up to the engagement due to the widening of the elastic part 52. In addition, The outer wall of the sidewall 40a is formed into a cylindrical shape excluding the further extended portion, thereby reducing the material cost due to the reduction in diameter and improving the defect rate and production speed in the production process including the bonding process.

그리고, 표시링(48)의 상하 폭 간격 즉, 탄발부(52)의 제 1 경사면(56)의 상단에서 스커트부(62)를 포함한 표시링(48)의 하단까지의 간격이 걸림턱(C)과 지지턱(S/C) 사이의 간격보다 더 넓게 형성됨으로써 주둥이(N)의 외주면(E/S)에 대한 탄발부(52)의 밀착에 따른 압력과 더불어 걸림턱(C)과 지지턱(S/C) 사이에 대한 상하 방향으로의 압력이 존재함에 따라 힌지부(44)에 매달린 용기 마개(40a)의 자유 회전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The interval between the upper and lower widths of the display ring 48, that is, the distance from the upper end of the first inclined surface 56 of the elastic part 52 to the lower end of the display ring 48 including the skirt part 62, C and the supporting jaw S / C so that the pressure applied to the urging portion 52 by the urging force of the urging portion 52 against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E / S of the spout N, There is an effect that free rotation of the container stopper 40a suspended from the hinge portion 44 is prevented due to the presence of the pressure in the vertical direction between the container stopper S /

더불어, 표시링(48)의 상하 방향 폭은, 걸림턱(C)과 지지턱(S/C) 사이에 안정적인 지지를 이룸에 따라 용기(B)의 주둥이(N)에 대응하는 수평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외형적으로도 깔끔한 형상을 이룬다.
In addition, the vertical width of the indicating ring 48 is maintained in a horizontal state corresponding to the spout N of the container B as the stable support is provided between the engaging jaw C and the supporting jaw S / C So that it is neatly shaped.

한편,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분실 및 자유회전 방지기능을 갖는 용기 마개(40b)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링(80)은 내면 둘레를 따라 돌출한 내경이 주둥이에 형성한 걸림턱(C)의 외경보다 0.3~0.6㎜ 이하인 환형돌기(82)를 형성하고, 환형돌기(82)의 저면은 그 내측 끝단에서 내경이 점차 확장되는 테이퍼면을 이루도록 하며, 환형돌기(82)의 상면에서 표시링(80)의 하단까지의 폭 방향 간격은 주둥이(N)에 형성한 걸림턱(C)의 저면에서 지지턱(S/C)의 상면 사이의 간격보다 0.3~0.6㎜ 범위까지 더 넓게 형성한 것으로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in the container stopper 40b having the lost and free rotation prevent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1, the indication ring 80 has an inner diameter protruding along the inner circumference thereof, The annular projection 82 is formed to have a tapered surface whose inner diameter gradually expands at the inner end of the annular projection 82. The annular projection 82 82 to the lower end of the indicator ring 80 is set to be 0.3 to 0.6 mm or more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engaging step C formed on the spout N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ing step S / To a larger extent.

또한, 환형돌기(82) 상부의 표시링(80)의 내벽 둘레에는, 환형돌기(82)의 상면이 걸림턱(C)의 저면에 밀착하는 상태에서, 대응하는 걸림턱(C)의 외측 단부와 접촉하는 마찰돌기(84)를 그 둘레를 따라 하나 이상 형성한 것으로 이루어지고, 표시링(80)의 내벽에서 마찰돌기(84)의 돌출 길이는 표시링(80)의 내벽에서 환형돌기(82)의 돌출 길이 미만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The upper end of the annular projection 82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engaging jaw C and the outer end of the corresponding engaging jaw C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annular projection 82 on the annular projection 82, And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frictional protrusion 84 on the inner wall of the indication ring 80 is set to be larger than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annular protrusion 82 on the inner wall of the indication ring 80 Of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protrusion.

그리고, 표시링은 하단 부위 둘레를 따라 간격을 두고 하단에서 상측으로 깊이를 갖는 절개홈을 하나 이상 형성하고, 상기 절개홈 깊이에 대응하는 상기 표시부의 하단 부위는 하단 방향으로 굵기가 점차 얇으며 외측으로 벌어진 형상의 스커트부(88)를 형성한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display ring is formed with at least one incision groove having a depth from the lower end to the upper side with an interval along the lower end circumference,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display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incision depth is gradually thinner in the lower end direction, And a skirt portion 88 having a shape which is shaped like a rectangle.

이때 스커트부(88)는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절개홈(86)에 의해 표시링(80) 중 하측 부위가 구분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lower part of the indicating ring 80 can be divided by the cutting groove 86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이러한 스커트부(88)는 앞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커트부(62)의 설명에서와 같이, 걸림턱(C)의 저면과 표시링(80) 하부의 지지턱(S/C)의 상면과 사이 간격에 대하여 환형돌기(82)와 더불어 압력을 부가하고, 그 힘으로 주둥이(N)에 대한 용기 마개(40b)의 자유회전을 방지한다.
The skirt portion 88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engaging jaw C and the supporting jaw S / C on the lower portion of the indicating ring 80, as in the description of the skirt portion 62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ressure is applied together with the annular protrusion 82 with respect to the gap between the upper surface and the gap and the free rotation of the container cap 40b with respect to the spout N is prevented by the force.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형성되는 힌지부(44)는 상하 방향의 중간 부위를 따라 마개본체(42)가 표시링(48, 80)을 기준으로 꺾이는 부위이고, 마개본체(42)의 외측 측벽 표면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점차 오목한 형상을 이루어 마개본체(42)가 표시링(48, 80)을 기준으로 꺾임을 유도하는 꺾임 부위를 형성하여 이루어진다.The hinge portion 44 is formed at a portion where the stopper body 42 is bent with respect to the indication rings 48 and 80 along an intermediate portion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in a manner different from that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nd is formed in a concave shape gradually inward from the side wall surface of the outer side of the cap body 42 to form a bent portion for guiding the bending of the cap body 42 with reference to the indication rings 48 and 80.

또한, 힌지부(44)는, 꺾임 부위의 가로 방향 중심 부위에, 세로로 걸쳐지는 막대 형상을 가지며, 꺾임 부위를 중심으로 한 상부가 힌지부(44)와 일체로 연결한 상태에 있고, 양측 부위와 꺾임 부위를 중심으로 한 하부로 이어지는 부위까지 내외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 1 트임부(70)에 의해 분리된 가요성 지지편(68)을 더 형성하고 있다.The hinge portion 44 has a bar shape extending vertically in the transverse direction central portion of the folded portion and the upper portion around the folded portion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hinge portion 44, And a flexible tongue 68 separated by a first tongue portion 70 penetrating inward and outward to a portion extending to a lower portion centering on the tongue portion.

이러한 가요성 지지편(68)은 마개본체(42)가 용기(B)의 주둥이(N)를 폐쇄한 체결 상태에서 하단부가 하측으로 향하고, 마개본체(42)가 용기(B) 주둥이(N)를 개방하는 과정에서 그 개방 각도에 따라 하단부가 탄력적으로 휘어지는 과정을 거쳐 꺾임 부위의 상부에 위치하는 용기(B) 주둥이(N)의 측벽 즉, 외주면(E/S)에 하단부의 외면이 탄력적으로 접촉하는 것으로 지지를 받음으로써 용기(B) 주둥이(N)에 대하여 마개본체(42)의 개방한 상태가 유지되게 하는 기능을 한다.This flexible holding piece 68 is formed in such a manner that the stopper body 42 faces downward in the fastened state in which the spout N of the container B is closed and the stopper body 42 contacts the spout N of the container B,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end portion is elastically deformed to the side wall (E / S) of the spout N of the container (B) locat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bent portion through the process of flexing the lower end according to the opening angle And serves to maintain the open state of the cap body 42 with respect to the spout N of the container B by being supported by the contact.

그리고, 가요성 지지편(68)은, 꺾임 부위 아래의 하단 부위가 상부보다 점차 얇게 형성토록 함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flexible support piece 68 below the folded portion is formed to be gradually thinner than the upper portion.

B: 용기 N: 주둥이
M/S: 수나사 F/S: 암나사
C: 걸림턱 I/S: 내주면
E/S: 외주면 S/C: 지지턱
d': 추가 돌출길이 d: 나사산 돌출 길이
D': 여유공간 die: 다이
C/B, C/B': 코어 H: 홀더
L/N: 여유 공차 E/L: 수평선
10, 40: 용기 마개 12: 천장부
14: 나사측벽부 16, 42: 마개본체
18, 48: 표시링 20, 46: 브릿지
22, 44: 힌지부 24, 50: 절개슬릿
26: 트임부 28: 단차부
30: 회전방지날개
B: container N: spout
M / S: male thread F / S: female thread
C: Jaw jaw I / S: Inner circumference
E / S: Outer surface S / C: Support jaw
d ': additional protrusion length d: thread protrusion length
D ': Free space die: Die
C / B, C / B ': Core H: Holder
L / N: Allowable tolerance E / L: Horizontal line
10, 40: container cap 12: ceiling
14: screw side wall portion 16, 42:
18, 48: indication ring 20, 46: bridge
22, 44: hinge portion 24, 50: cutting slit
26: Twisted part 28:
30: anti-rotation wing

Claims (10)

용기의 주둥이와 나사체결로 주둥이의 개구를 개폐하는 마개본체와, 상기 마개본체의 하부에 일측의 힌지부와 복수의 브릿지로 연결하고, 상기 힌지부 하측에 절개슬릿을 갖는 표시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분실 및 자유회전 방지기능을 갖는 용기 마개에 있어서,
상기 표시링은 둘레 중 적어도 일부 구간에서 두께가 내측과 외측으로 연속하여 굽어 둘레의 내측으로 굴곡져 돌출한 형상을 이루는 탄발부를 하나 이상 형성한 것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탄발부 중 내측으로 돌출한 단부는 대응하는 주둥이의 측벽에 탄력적으로 밀착하는 밀착면을 이루며,
상기 탄발부 중 상기 밀착면을 중심으로 한 상호 마주보게 접힌 형상을 이루는 양측 부위는 외력에 대응하여 탄력적으로 벌어지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실 및 자유회전 방지기능을 갖는 용기 마개.
And a display ring which is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topper body by a plurality of bridges and a hinge portion on one side and has an incision slit on the lower side of the hinge portion, In a container stopper having a lost and free rotation prevention function,
Wherein the indication ring comprises at least one resilient portion formed in at least a part of its periphery so as to protrude inwardly inwardly and continuously inward and outwardly in thickness,
The end portion protruding inward of the elastic portion forms a close contact surface that elastically contacts the side wall of the corresponding spout,
Wherein a portion of the elastic part of the elastic part folded in a mutually opposing manner around the contact surface is elastically opened corresponding to an external for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발부의 상부는 외측에서 내측의 밀착면 상단까지 하향의 제 1 경사면을 이루고, 상기 탄발부의 하부는, 외측에서 내측의 밀착면 하단까지 상향의 제 2 경사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실 및 자유회전 방지기능을 갖는 용기 마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upper part of the elastic part has a first inclined face downward from the outer side to the upper side of the inner side close contact surface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elastic portion forms a second inclined surface upward from the outer side to the inner side of the close contact surfac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탄발부의 제 1 경사면 상단에서 상기 표시링의 하단부까지의 상하 폭 방향 간격은, 용기의 주둥이에 형성된 걸림턱의 저면에서 지지턱의 상면까지의 간격 대비 0.5~ 1.5㎜ 범위 내에서 더 넓게 형성하고, 상기 제 1 경사면의 상단에서 하단까지의 높이는 0.7~2㎜ 범위에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실 및 자유회전 방지기능을 갖는 용기 마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gap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first inclined surface of the elastic part and the lower end of the indicator ring is wider within a range of 0.5 to 1.5 mm with respect to the interval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engaging jaw formed in the spout of the container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jaw And the height from the upper end to the lower end of the first inclined surface is in the range of 0.7 to 2 m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발부는 상기 표시링 둘레를 따라 복수 구간에 형성하고, 각 구간의 상기 표시링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 배치를 이루거나 상기 표시링의 둘레를 따라 상호 등간격 배치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실 및 자유회전 방지기능을 갖는 용기 마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lastic portion is formed in a plurality of sections along the periphery of the display ring and is symmetrically arranged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display ring in each section or equally spaced from each other along the periphery of the indicator ring. And a container stopper having a free rotation prevention function.
용기의 주둥이와 나사체결로 주둥이의 개구를 개폐하는 마개본체와, 상기 마개본체의 하부에 일측의 힌지부와 복수의 브릿지로 연결이 이루어지고, 상기 힌지부 하측에 절개슬릿을 갖는 표시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분실 및 자유회전 방지기능을 갖는 용기 마개에 있어서,
상기 표시링은 내면 둘레를 따라 돌출한 내경이 주둥이에 형성한 걸림턱의 외경보다 0.3~0.6㎜ 이하인 환형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환형돌기의 저면은 그 내측 끝단에서 내경이 점차 확장되는 테이퍼면을 갖도록 하며, 상기 환형돌기의 상면에서 상기 표시링의 하단까지의 폭 방향 간격은 주둥이에 형성한 걸림턱의 저면에서 지지턱의 상면 사이의 간격에서 0.3~0.6㎜ 범위까지 더 넓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실 및 자유회전 방지기능을 갖는 용기 마개.
And a display ring having an opening slit on an underside of the hinge portion, wherein the display ring includes a stopper body that opens and closes the opening of the snout by screwing the spout of the container with the screw, and a lower portion of the stopper body is connected to the hinge portion by a plurality of bridges. Wherein the container stopper has a function of preventing loss and free rotation,
Wherein the indication ring has an inner diameter protruding along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an annular protrusion having an inner diameter of 0.3 to 0.6 mm or less than an outer diameter of an engagement protrusion formed on a spout of the annular protrusion, And the widthwise distanc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annular projection to the lower end of the indicator ring is wider from 0.3 to 0.6 mm in the interval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engaging step formed on the spout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ing step. A container stopper with lost and free rotation protection.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돌기 상부의 상기 표시링의 내벽 둘레에는, 상기 환형돌기의 상면이 상기 걸림턱의 저면에 밀착하는 상태에서, 대응하는 상기 걸림턱의 외측 단부와 접촉하는 마찰돌기를 그 둘레를 따라 하나 이상 형성한 것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표시링의 내벽에서 상기 마찰돌기의 돌출 길이는 상기 표시링의 내벽에서 상기 환형돌기의 돌출 길이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실 및 자유회전 방지기능을 갖는 용기 마개.
6. The method of claim 5,
A plurality of engaging protrusions are formed on an inner wall of the annular projection on the upper side of the annular projection in such a manner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annular projection closely contacts the lower surface of the engaging jaw, Wherein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rubbing protrusion on the inner wall of the indicating ring is less than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annular ridge on the inner wall of the indicating ring.
제 1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링은 하단 부위 둘레를 따라 간격을 두고 하단에서 상측으로 깊이를 갖는 절개홈을 하나 이상 형성하고, 상기 절개홈 깊이에 대응하는 상기 표시부의 하단 부위는 하단 방향으로 굵기가 점차 얇으며 외측으로 벌어진 형상의 스커트부를 형성한 것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분실 및 자유회전 방지기능을 갖는 용기 마개.
6.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5,
Wherein the display ring is formed with at least one incision groove having a depth from the lower end to the upper side with an interval along the lower end portion circumference and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display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incision groove depth is gradually thinner in the lower end direction, And a skirt portion of a widened shape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ntainer stopper.
제 1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상하 방향의 중간 부위를 따라 상기 마개본체가 상기 표시링을 기준으로 꺾이는 부위이고, 상기 마개본체의 외측 측벽 표면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점차 오목한 형상을 이루어 상기 마개본체가 상기 표시링을 기준으로 꺾임을 유도하는 꺾임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분실 및 자유회전 방지기능을 갖는 용기 마개.
6.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5,
Wherein the hinge portion is a portion where the stopper main body is folded with respect to the indication ring along an intermediate portion in a vertical direction and gradually becomes concave inward from an outer side wall surface of the stopper main body, And a bending portion for guiding bending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ntainer stopper.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꺾임부의 가로 방향 중심 부위에, 세로로 걸쳐지는 막대 형상을 가지며, 상기 꺾임부를 중심으로 한 상부가 상기 힌지부와 일체로 연결한 상태에 있고, 양측 부위와 상기 꺾임부를 중심으로 한 하부로 이어지는 부위까지 내외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 1 트임부에 의해 분리된 가요성 지지편을 더 구비하고,
상기 가요성 지지편은 상기 마개본체가 용기 주둥이를 폐쇄한 체결 상태에서 하단부가 하측으로 향하고, 상기 마개본체가 용기 주둥이를 개방하는 과정에서 그 개방 각도에 따라 하단부가 탄력적으로 휘어지는 과정을 거쳐 상기 꺾임부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용기 주둥이의 측벽에 하단부의 외면이 탄력적으로 접촉하는 것으로 지지를 받음으로써 상기 용기 주둥이에 대하여 상기 마개본체의 개방한 상태가 유지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실 및 자유회전 방지기능을 갖는 용기 마개.
9. The method of claim 8,
The hinge portion has a bar shape extending vertically at the central portion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bending portion and an upper portion around the bending portion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hinge portion, Further comprising a flexible supporting piece separated by a first twisting portion penetrating inward and outward to a portion leading to a lower portion,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flexible gripping member is bent downward in a state where the cap body is closed and the lower end portion is bent downward according to the opening angle of the cap body in the process of opening the container spout,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end portion is elastically contacted with the side wall of the container spout loc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ontainer to thereby maintain the opened state of the cap body with respect to the spout of the container. Lt; / RTI >
제 9 항에 있어서,
가요성 지지편은, 상기 꺾임부 아래의 하단 부위가 상부보다 점차 얇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실 및 자유회전 방지기능을 갖는 용기 마개.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container stoppe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lower end of the flexible support piece is formed thinner than the upper end of the flexible stopper.
KR1020160020894A 2015-05-11 2016-02-22 A container cap with function of anti-missing and anti-idle stopper Ceased KR20160132757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6/004860 WO2016182305A1 (en) 2015-05-11 2016-05-10 Container lid having function for preventing loss and free rotation thereof
TW105114549A TW201704106A (en) 2015-05-11 2016-05-11 A container cap with function of anti-missing and anti-idle stopp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5612 2015-05-11
KR20150065612 2015-05-11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2431A Division KR20170103737A (en) 2015-05-11 2017-09-04 A container cap with function of anti-missing and anti-idle stopp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2757A true KR20160132757A (en) 2016-11-21

Family

ID=5753788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0894A Ceased KR20160132757A (en) 2015-05-11 2016-02-22 A container cap with function of anti-missing and anti-idle stopper
KR1020170112431A Ceased KR20170103737A (en) 2015-05-11 2017-09-04 A container cap with function of anti-missing and anti-idle stopper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2431A Ceased KR20170103737A (en) 2015-05-11 2017-09-04 A container cap with function of anti-missing and anti-idle stopper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20160132757A (en)
TW (1) TW201704106A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11052A1 (en) * 2016-12-16 2018-06-21 성보연 Container cap for easy waste sorting
CN112384449A (en) * 2018-07-11 2021-02-19 希赛瓶盖系统公司 Twist and flip closure
CN113891839A (en) * 2019-05-16 2022-01-04 凸版印刷株式会社 Cover member, method for producing cover member, and secondary processing die for producing cover member
CN114007952A (en) * 2020-02-24 2022-02-01 萨克米伊莫拉机械合作社合作公司 Lid for closing a container and method for making the lid
CN114174185A (en) * 2019-07-16 2022-03-11 安珍姬 Container lids and containers combined therewith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212020021906U2 (en) 2018-04-26 2021-02-02 Obrist Closures Switzerland Gmbh constructive arrangement applied to container closure
CN111924311B (en) 2019-05-13 2023-02-17 赫斯基注塑系统有限公司 Closure device for a contain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8894B1 (en) 2010-01-28 2011-06-02 주식회사 그린캡 Packaging container
KR101325850B1 (en) 2013-06-09 2013-11-05 권시중 Container cap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8894B1 (en) 2010-01-28 2011-06-02 주식회사 그린캡 Packaging container
KR101325850B1 (en) 2013-06-09 2013-11-05 권시중 Container cap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11052A1 (en) * 2016-12-16 2018-06-21 성보연 Container cap for easy waste sorting
KR101880107B1 (en) * 2016-12-16 2018-07-19 성보연 Container cap easily separate collection
CN112384449A (en) * 2018-07-11 2021-02-19 希赛瓶盖系统公司 Twist and flip closure
US11851247B2 (en) 2018-07-11 2023-12-26 Closure Systems International Inc. Twist and flip closure
CN113891839A (en) * 2019-05-16 2022-01-04 凸版印刷株式会社 Cover member, method for producing cover member, and secondary processing die for producing cover member
CN113891839B (en) * 2019-05-16 2023-11-10 凸版印刷株式会社 Cover member, method for manufacturing cover member, and mold for secondary processing used for manufacturing cover member
CN114174185A (en) * 2019-07-16 2022-03-11 安珍姬 Container lids and containers combined therewith
CN114007952A (en) * 2020-02-24 2022-02-01 萨克米伊莫拉机械合作社合作公司 Lid for closing a container and method for making the lid
CN114007952B (en) * 2020-02-24 2023-08-11 萨克米伊莫拉机械合作社合作公司 Lid for closing a container and method for producing a li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3737A (en) 2017-09-13
TW201704106A (en) 2017-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03737A (en) A container cap with function of anti-missing and anti-idle stopper
KR101880107B1 (en) Container cap easily separate collection
US20230090849A1 (en) Captive closure with stabilised opening angle
US11993436B2 (en) Container closure
BR112019009683B1 (en) ECOLOGICAL MULTIPURPOSE COVER
JP6094078B2 (en) Spout
JPH0419097B2 (en)
US7516861B2 (en) Container main body made of synthetic resin and preforming mold device
JP2018538208A (en) lid
JP2010018290A (en) Container lid of synthetic resin
KR102592793B1 (en) Container lid with a metal body and synthetic resin liner
EP4245499B1 (en) Spout-cap unit, pouch comprising such a spout-cap unit
WO2021074727A1 (en) Tethered plastic closure
JP5171358B2 (en) Dispensing inner stopper
US10562683B2 (en) Stopper for a container neck
JP5113577B2 (en) Dispensing inner stopper
CN113646235A (en) Container lid
JP2009083858A (en) Pet bottle having opening for cutting tamper ring of cap
KR102526934B1 (en) improved eco-friendly plastic bottle caps
WO2007062364A2 (en) Scallop cap closures
EP4491532A1 (en) Connective bottle cap
KR20100054964A (en) Bottle cap
JP5086128B2 (en) Dispensing inner stopper
KR20250014855A (en) Detachable lid of split protruding ring from container
JP2025067264A (en) One-piece type cap structure with opening history band and method for sett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222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6041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6022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041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0222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9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7051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6091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7051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031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4S01D

Patent event date: 2017081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071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7051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031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X06013S01I

Patent event date: 20160912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70904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