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60129499A - Kiosk of sharing screen with mobile terminal device, and screen sharing system of kiosk - Google Patents

Kiosk of sharing screen with mobile terminal device, and screen sharing system of kios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9499A
KR20160129499A KR1020150061737A KR20150061737A KR20160129499A KR 20160129499 A KR20160129499 A KR 20160129499A KR 1020150061737 A KR1020150061737 A KR 1020150061737A KR 20150061737 A KR20150061737 A KR 20150061737A KR 20160129499 A KR20160129499 A KR 201601294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url
shar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17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선민
Original Assignee
뉴21커뮤니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뉴21커뮤니티(주) filed Critical 뉴21커뮤니티(주)
Priority to KR10201500617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29499A/en
Publication of KR201601294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9499A/en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5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involving copying of the display data of a local workstation or window to a remote workstation or window so that an actual copy of the data is displayed simultaneously on two or more displays, e.g. tele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H04L67/2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키오스크는 현재 표시되는 화면을 이동통신 단말기와 공유하기 위한 공유 설정 메뉴가 화면의 일부에 표시되는 터치 스크린, 키오스크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및 이동 통신망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유 설정 메뉴가 터치되면, 공유 설정 화면이 팝업(pop up) 창을 통해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공유 설정 화면에 입력된 번호에 해당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현재 표시되는 화면 정보를,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전송하여 공유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현재 표시되고 있는 키오스크의 화면을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 등의 이동통신 단말기와 공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에 기여하는 효과가 있다. The kiosk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ouch screen in which a sharing setting menu for sharing a currently displayed screen wit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displayed on a part of a screen,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kiosk, and a controller for communicating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Wherein the control unit causes the sharing setting screen to be displayed through a pop-up window when the sharing setting menu is touched, and displays the shared setting screen 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number input on the sharing setting screen Screen information to be displayed is transmit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and is sha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creen of a currently displayed kiosk can be shared wit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a tablet PC, and a notebook, thereby contributing to the convenience of the user.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와 화면을 공유하는 키오스크 및 키오스크 화면 공유 시스템 {Kiosk of sharing screen with mobile terminal device, and screen sharing system of kiosk}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iosk and a screen sharing system for sharing a screen wit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키오스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키오스크에 표시되는화면을 이동통신 단말기와 공유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iosk,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chnique for sharing a screen displayed on a kiosk wit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키오스크는 정부기관이나 지방자치단체, 은행, 백화점, 전시장 등 공공장소에 설치된 무인 정보단말기로 동적 교통정보 및 대중교통정보, 경로 안내, 요금 카드 배포, 예약 업무, 각종 전화번호 및 주소 안내 정보제공, 행정절차나 상품정보, 시설물의 이용방법 등을 제공함. 터치스크린과 사운드, 그래픽, 통신카드 등 첨단 멀티미디어 기기를 활용하여 음성서비스, 동영상 구현 등 이용자에게 효율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무인 종합정보안내시스템이다.Kiosks are unmanned information terminals installed in public places such as government offices, municipalities, banks, department stores and exhibition halls. They provide dynamic traffic information and public transportation information, route guidance, fare card distribution, reservation service, Provides administrative procedures, product information, and how to use facilities. It is an unmanned comprehensive information guidance system that provides efficient information to users such as voice service and video implementation by utilizing advanced multimedia devices such as touch screen, sound, graphic and communication card.

전형적으로 키오스크는 일반적인 장소, 공공장소에 설치되어, 사용자 혹은 클라이언트가 액세스하면, 서비스 제공자가 이들 사용자 또는 클라이언트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되어 있는 기계이다. 통상, 이러한 서비스는 "셀프-서비스"로서, 서비스 제공자가 클라이언트에게 특별히 시중드는 사람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클라이언트 스스로 처리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서비스는 반복적이고, 단순하며, 특정한 작업인 경향이 있는데, 예를 들면, 1) 정보 제공 작업이나 2) 어떤 간단한 상거래 행위(transactions)(예컨대, 컨텐츠를 구입하고, 티켓을 구입하고, 현금을 받고, 백화점의 층별 안내도를 검토하는 등)를 행하는 것을 들 수 있다.Typically, a kiosk is a machine that is installed in a common place, a public place, and where a user or client accesses the service provider to service those users or clients. Typically, this service is a "self-service" in which the service provider does not provide a client specifically to the client, but rather the client itself. Thus, these services tend to be repetitive, simple, and specific tasks, such as: 1) information delivery operations and 2) some simple commerce transactions (e.g., purchasing content, purchasing tickets, Receiving cash, and reviewing floor guide maps of department stores, etc.).

처리될 작업은 사전 프로그램 및 사전 결정될 필요가 있으며, 셀프 서비스여야 한다. 그러므로, 키오스크 설계는 융통성이 없고 특정 사용자에게 특별히 맞춰진 도움은 제공하지 않는다.The work to be processed needs to be preprogrammed and pre-determined and self-service. Therefore, the kiosk design is inflexible and does not provide specific assistance to specific users.

일반적으로 이러한 상거래 행위는 어떤 장치를 이용하도록 되어 있는데, 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모니터, 카드 판독기, 티켓 프린터, 레이저 프린터, 현금 지급기(cash dispenser) 등을 이용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장치는 통상적으로 해당 키오스크에서 융통성없이 설계되어 있는 사전 정의된 작업에만 전용되도록 되므로, 다른 용도로 이용될 수 없다.In general, this commerce activity is intended to use any device, for example, one or more monitors, a card reader, a ticket printer, a laser printer, a cash dispenser, and the like. These devices are typically dedicated to predefined tasks that are designed without flexibility in the kiosk, and therefore can not be used for other purposes.

키오스크의 이점은 그 편리성과 신뢰성을 들 수 있다. 키오스크는 인간 조작자가 기준 노동시간 내내 그런 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필요치 않으므로, 운영비용을 절약할 수 있으며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The benefits of kiosks are their convenience and reliability. Kiosks can save operating costs and increase productivity because human operators do not need to perform such tasks throughout the standard labor hours.

종래의 몇몇 키오스크는 예컨대 ATM 기계, 항공 티켓 무인 판매기 등과 같이 네트워크에 접속된다. 또한 쇼핑몰(shopping malls)의 정보 제공 키오스크같은 독립형 키오스크도 있다.Some conventional kiosks are connected to the network, such as ATM machines, airline ticket vending machines, and the like. There are also standalone kiosks, such as information kiosks for shopping malls.

종래 기술에는 은행원과 사용자/클라이언트 사이에 접속을 형성하려고 시도하는 은행 업무 관련 화상 회의 기능을 갖는 키오스크도 있다. 이것은 전통적인 유형의 키오스크에 화상 회의 시스템을 단순히 부가함으로써 이루어진다.The prior art also has a kiosk with banking-related video conferencing capabilities that attempts to establish a connection between a banker and a user / client. This is accomplished by simply adding a video conferencing system to a traditional type of kiosk.

기존 키오스크에서는 단방향 정보를 제공했으나, 최근에는 터치나 모션을 위해서 원하는 화면을 직접 선택하는 쌍방향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In existing kiosks, unidirectional information was provided, but recently, interactive information for directly selecting a desired screen for touch or motion has been provided.

최근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 등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이 보편화되어 있는데, 종래에는 키오스크에 표시되는 화면을, 개인이 소지하고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공유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지 않다.
Recently, the us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including smart phones, tablet PCs, notebooks, and the like has become commonplace. In the past, there has not been proposed a technique of sharing a screen displayed on a kiosk wit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ossessed by an individual.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0-0075844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0-007584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현재 표시되고 있는 키오스크의 화면을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 등의 이동통신 단말기와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키오스크 및 키오스크 화면 공유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kiosk and kiosk screen sharing system that enables a screen of a currently displayed kiosk to be shared with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such as a smart phone, a tablet PC, and a notebook computer. It has its purpose.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키오스크는 현재 표시되는 화면을 이동통신 단말기와 공유하기 위한 공유 설정 메뉴가 화면의 일부에 표시되는 터치 스크린, 키오스크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및 이동 통신망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유 설정 메뉴가 터치되면, 공유 설정 화면이 팝업(pop up) 창을 통해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공유 설정 화면에 입력된 번호에 해당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현재 표시되는 화면 정보를,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전송하여 공유하도록 한다. To achieve these and other advantages and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embodied and broadly described herein, there is provided a kiosk system including a touch screen on which a shared setting menu for sharing a currently displayed screen wit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displayed on a screen,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overall operation of the kiosk, And a communication module for communicating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shared setting screen, wherein when the shared setting menu is touched, the sharing setting screen is displayed through a pop-up window, The screen information currently displayed on the correspond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transmit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and is shared.

상기 공유 설정 메뉴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일 수 있다. 이때, URL은 URL 단축(URL shortening) 기술을 통해 단축된 URL이고, 상기 단축된 URL은 질의어가 없이 경로만 있는 간단한 구조의 URL인 간편 URL(clean URL)로 구현될 수 있다. The shared setting menu may be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At this time, the URL is a shortened URL through a URL shortening technique, and the shortened URL can be implemented as a simple URL, which is a URL having a simple structure without a query word.

상기 공유 설정 화면에는 QR 코드(Quick Response Code)가 표시되어 있으며,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해 상기 QR 코드가 스캔(scan)되면,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에 현재 표시되는 화면 정보가 공유되도록 한다. A QR code (Quick Response Code) is displayed on the sharing setting screen. When the QR code is scann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creen information currently displayed 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shared.

또한, 상기 공유 설정 화면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번호를 입력하여 SMS(short message service)를 전송할 수 있는 SMS 입력창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해당 SMS 입력창에 입력된 번호에 해당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로 현재 표시되는 화면 정보가 표시되도록 하는 인식 코드를 SMS로 전송할 수 있다. In addition, an SMS input window for inputting the numb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ransmitting a short message service (SMS) is provided on the sharing setting screen, and the control unit transmits the short message servic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number input in the corresponding SMS input window A recognition code for displaying displayed screen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by SMS.

또한, 상기 공유 설정 화면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번호를 입력하여 미리 정해진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푸시(push)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는 푸시 입력창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해당 푸시 입력창에 입력된 번호에 해당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로 현재 표시되는 화면 정보가 표시되도록 하는 인식 코드를 푸시 메시지로 전송할 수 있다. Also, the sharing setting screen may include a push input window for inputting a numb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ransmitting a push message through a predetermined application, and the control unit may include a push input window corresponding to the number input in the corresponding push input window, It is possible to transmit a recognition code for displaying screen information currently displayed on the communication terminal as a push message.

또한, 상기 공유 설정 화면에는 간편 URL을 입력하여 해당 화면으로 바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간편 URL 입력창이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간편 URL 입력창에는 숫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간편 URL 입력창에 숫자가 입력되면, 입력된 숫자에 해당하는 화면으로 바로 이동할 수 있다. In addition, a simple URL input window may be provided on the sharing setting screen to allow a user to input a simple URL and directly jump to the corresponding screen. At this time, the simple URL input window is capable of inputting a number, and when the number is inputted into the simple URL input window, the controller can directly go to the screen corresponding to the inputted numb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 화면 공유 시스템은 현재 표시되는 화면을 이동통신 단말기와 공유하기 위한 공유 설정 메뉴가 화면의 일부에 표시되는 터치 스크린, 키오스크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및 이동 통신망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키오스크 및 이동 통신망을 통해 상기 키오스크로부터 현재 표시되는 화면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키오스크에 표시되는 화면을 공유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유 설정 메뉴가 터치되면, 공유 설정 화면이 팝업(pop up) 창을 통해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공유 설정 화면에 입력된 번호에 해당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현재 표시되는 화면 정보를,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전송하여 공유하도록 한다. The kiosk screen sha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ouch screen in which a sharing setting menu for sharing a currently displayed screen wit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displayed on a part of a screen,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overall operation of the kiosk,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receiving screen information currently displayed from the kiosk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sharing a screen displayed on the kiosk, When the sharing setting menu is touched, the sharing setting screen is displayed through a pop-up window and the screen information currently displayed 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number input on the sharing setting screen is displayed on the communication module So that they can be shared.

상기 공유 설정 메뉴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일 수 있다. 이때, URL은 URL 단축(URL shortening) 기술을 통해 단축된 URL이고, 상기 단축된 URL은 질의어가 없이 경로만 있는 간단한 구조의 URL인 간편 URL(clean URL)로 구현될 수 있다. The shared setting menu may be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At this time, the URL is a shortened URL through a URL shortening technique, and the shortened URL can be implemented as a simple URL, which is a URL having a simple structure without a query word.

상기 공유 설정 화면에는 QR 코드(Quick Response Code)가 표시되어 있으며,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해 상기 QR 코드가 스캔(scan)되면,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에 현재 표시되는 화면 정보가 공유되도록 한다. A QR code (Quick Response Code) is displayed on the sharing setting screen. When the QR code is scann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creen information currently displayed 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shared.

또한, 상기 공유 설정 화면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번호를 입력하여 SMS(short message service)를 전송할 수 있는 SMS 입력창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해당 SMS 입력창에 입력된 번호에 해당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로 현재 표시되는 화면 정보가 표시되도록 하는 인식 코드를 SMS로 전송할 수 있다. In addition, an SMS input window for inputting the numb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ransmitting a short message service (SMS) is provided on the sharing setting screen, and the control unit transmits the short message servic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number input in the corresponding SMS input window A recognition code for displaying displayed screen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by SMS.

또한, 상기 공유 설정 화면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번호를 입력하여 미리 정해진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푸시(push)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는 푸시 입력창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해당 푸시 입력창에 입력된 번호에 해당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로 현재 표시되는 화면 정보가 표시되도록 하는 인식 코드를 푸시 메시지로 전송할 수 있다. Also, the sharing setting screen may include a push input window for inputting a numb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ransmitting a push message through a predetermined application, and the control unit may include a push input window corresponding to the number input in the corresponding push input window, It is possible to transmit a recognition code for displaying screen information currently displayed on the communication terminal as a push message.

또한, 상기 공유 설정 화면에는 간편 URL을 입력하여 해당 화면으로 바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간편 URL 입력창이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간편 URL 입력창에는 숫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간편 URL 입력창에 숫자가 입력되면, 입력된 숫자에 해당하는 화면으로 바로 이동할 수 있다.
In addition, a simple URL input window may be provided on the sharing setting screen to allow a user to input a simple URL and directly jump to the corresponding screen. At this time, the simple URL input window is capable of inputting a number, and when the number is inputted into the simple URL input window, the controller can directly go to the screen corresponding to the inputted number.

본 발명에 의하면, 현재 표시되고 있는 키오스크의 화면을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 등의 이동통신 단말기와 공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에 기여하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creen of a currently displayed kiosk can be shared wit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a tablet PC, and a notebook, thereby contributing to the convenience of the user.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키오스크에 표시되는 화면을 이동통신 단말기와 공유함으로써, 스마트폰의 대중화와 맞물려 홍보 효과가 극대화될 것을 기대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aring of a screen displayed on a kiosk wit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expected to maximize the publicity effect in conjunction with popularization of a smart phon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 화면 공유 시스템을 간략하게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 화면예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에서 공유 설정 화면예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FIG. 1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 kiosk screen sha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 and 3 are examples of a kiosk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ample of a sharing setting screen in a kios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kios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While the invention is susceptible to various modifications and alternative forms,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are shown by way of example in the drawings and will herein be described in detail.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used only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there is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갖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overly formal sense unless express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explana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 화면 공유 시스템을 간략하게 보여주는 도면이다. FIG. 1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 kiosk screen sha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키오스크 화면 공유 시스템은 키오스크(100) 및 이동통신 단말기(20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the kiosk screen shar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kiosk 100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kios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키오스크(100)는 터치 스크린(110), 제어부(120) 및 통신 모듈(1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Referring to FIG. 5, the kiosk 100 includes a touch screen 110, a controller 120, and a communication module 130.

터치 스크린(110)은 현재 표시되는 화면을 이동통신 단말기(200)와 공유하기 위한 공유 설정 메뉴가 화면의 일부에 표시된다. The touch screen 110 displays a sharing setting menu for sharing the currently displayed screen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on a part of the screen.

제어부(120)는 키오스크(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The control unit 12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kiosk 100.

통신 모듈(130)은 이동 통신망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200)와 통신한다. The communication module 130 communicates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본 발명에서 제어부(120)는 공유 설정 메뉴가 터치되면, 공유 설정 화면이 팝업(pop up) 창을 통해 표시되도록 하고, 공유 설정 화면에 입력된 번호에 해당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현재 표시되는 화면 정보를, 통신 모듈(130)을 통해 전송하여 공유하도록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haring setting menu is touched, the control unit 120 causes the sharing setting screen to be displayed through a pop-up window, and displays the screen information currently displayed 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number input on the sharing setting screen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130 and share it.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이동통신 단말기(200)는 이동 통신망을 통해 키오스크(100)로부터 현재 표시되는 화면 정보를 수신하고, 키오스크(100)에 표시되는 화면을 공유한다. 1 and 5,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receives screen information currently displayed from the kiosk 100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shares a screen displayed on the kiosk 100.

본 발명에서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이동 통신망을 통해 통신 가능한 단말기를 총칭하는 용어로서,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 등을 포함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a term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terminal capable of communicating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includes a smart phone, a tablet PC, a notebook, and the like.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 화면예이다. 2 and 3 are examples of a kiosk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키오스크의 화면의 일부에 공유 설정 메뉴(210, 310)가 표시되어 있다. As shown in FIGS. 2 and 3, in the present invention, shared setting menus 210 and 310 are displayed on a part of the screen of the kiosk.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공유 설정 메뉴(210, 310)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일 수 있다. 이때, URL은 URL 단축(URL shortening) 기술을 통해 단축된 URL일 수 있으며, 단축된 URL은 질의어가 없이 경로만 있는 간단한 구조의 URL인 간편 URL(clean URL)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ared settings menu 210, 310 may be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 this case, the URL may be a shortened URL through a URL shortening technique, and the shortened URL may be a simple URL, which is a simple structure URL having only a path without a query word.

도 2 및 도 3의 실시예에서 공유 설정 메뉴(210, 310)는 간편 URL로서, "MDO.kr/256", "MDO.kr/257"로 표시되어 있따. In the embodiment of FIGS. 2 and 3, the sharing setting menus 210 and 310 are indicated as "MDO.kr/256", "MDO.kr/257" as simple URLs.

사용자가 키오스크(100)의 화면에서 공유 설정 메뉴(210, 310)를 터치하면, 해당 화면에 대한 화면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공유 설정 화면이 팝업 창을 통해 표시된다. When the user touches the sharing setting menus 210 and 310 on the screen of the kiosk 100, a sharing setting screen for sharing screen information about the corresponding screen is displayed through a pop-up window.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에서 공유 설정 화면예이다. 4 is an example of a sharing setting screen in a kios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공유 설정 화면(400)에는 QR 코드(Quick Response Code)(420)가 표시되어 있으며, 이동통신 단말기(200)에 의해 QR 코드가 스캔(scan)되면,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에 현재 표시되는 화면 정보가 공유되도록 한다. Referring to FIG. 4, a QR code 420 is displayed on the sharing setting screen 400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QR code is scann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The screen information currently displayed 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shared.

또한, 공유 설정 화면(400)에는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번호를 입력하여 SMS(short message service)를 전송할 수 있는 SMS 입력창(430)이 마련되어 있으며, 제어부(120)는 해당 SMS 입력창(430)에 입력된 번호에 해당하는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현재 표시되는 화면 정보가 표시되도록 하는 인식 코드를 SMS로 전송한다. In addition, the sharing setting screen 400 is provided with an SMS input window 430 for inputting the numb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and transmitting a short message service (SMS) 430 transmits the recognition code for displaying the screen information currently displayed 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corresponding to the number input through the SMS.

또한, 공유 설정 화면(400)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번호를 입력하여 미리 정해진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푸시(push)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는 푸시 입력창(440)이 마련되어 있으며, 제어부(120)는 해당 푸시 입력창(440)에 입력된 번호에 해당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로 현재 표시되는 화면 정보가 표시되도록 하는 인식 코드를 푸시 메시지로 전송할 수 있다. A push input window 440 is provided on the sharing setting screen 400 to allow a user to input a numb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ransmit a push message through a predetermined application. The display information currently displayed 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number input in the push button 440 may be displayed as a push message.

본 발명에서 공유 설정 화면(400)에는 간편 URL을 입력하여 해당 화면으로 바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간편 URL 입력창(410)이 마련되어 있다. 이때, 간편 URL 입력창(410)에는 숫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제어부(120)는 간편 URL 입력창(410)에 숫자가 입력되면, 입력된 숫자에 해당하는 화면으로 바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haring setting screen 400 is provided with a simple URL input window 410 for entering a simple URL and directly moving to the corresponding screen. At this time, numerals can be entered in the simple URL input window 410, and when the numerals are inputted into the simple URL input window 410, the control unit 120 can directly move to the screen corresponding to the inputted numerals have.

도 4의 실시예에서, 간편 URL 입력창(410)에는 "MD5.kr/( )"로 표시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간편 URL 입력창(410)에 숫자를 입력하면, 입력된 숫자에 해당하는 화면으로 바로 이동하게 된다. 4, "MD5.kr / ()" is displayed in the simple URL input window 410. When the user inputs a number into the simple URL input window 410, .

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200)에 공유된 화면을 키오스크(100)에서 디스플레이하도록 하고자 할 때, 간편 URL 입력창(410)에 해당 페이지 번호를 입력하여 해당 화면으로 바로 이동하도록 하는 것이다.
For example, when a screen shar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is to be displayed on the kiosk 100, the corresponding page number is input to the simple URL input window 410 to directly move to the corresponding screen.

이상 본 발명을 몇 가지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제시된 권리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화와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several preferred embodiments, these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0 키오스크 200 이동통신 단말기
110 터치 스크린 120 제어부
130 통신 모듈
100 kiosk 200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touch screen 120 control unit
130 communication module

Claims (18)

현재 표시되는 화면을 이동통신 단말기와 공유하기 위한 공유 설정 메뉴가 화면의 일부에 표시되는 터치 스크린;
키오스크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및
이동 통신망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유 설정 메뉴가 터치되면, 공유 설정 화면이 팝업(pop up) 창을 통해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공유 설정 화면에 입력된 번호에 해당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현재 표시되는 화면 정보를,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전송하여 공유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오스크.
A touch screen on which a share setting menu for sharing a currently displayed screen wit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displayed on a part of the screen;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n overall operation of the kiosk; And
And a communication module for communicating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Wherein the control unit causes the sharing setting screen to be displayed through a pop-up window when the sharing setting menu is touched, and displays the screen information currently displayed 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number input on the sharing setting screen, And transmits the same via a communication modul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유 설정 메뉴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키오스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hared setting menu is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URL은 URL 단축(URL shortening) 기술을 통해 단축된 URL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키오스크.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URL is a shortened URL through a URL shortening technique.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단축된 URL은 질의어가 없이 경로만 있는 간단한 구조의 URL인 간편 URL(clean URL)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키오스크.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hortened URL is a simple URL that is a simple structure URL having only a path without a query wor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유 설정 화면에는 QR 코드(Quick Response Code)가 표시되어 있으며,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해 상기 QR 코드가 스캔(scan)되면,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에 현재 표시되는 화면 정보가 공유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오스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QR code (Quick Response Code) is displayed on the sharing setting screen,
And when the QR code is scann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screen information currently displayed 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shar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유 설정 화면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번호를 입력하여 SMS(short message service)를 전송할 수 있는 SMS 입력창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해당 SMS 입력창에 입력된 번호에 해당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로 현재 표시되는 화면 정보가 표시되도록 하는 인식 코드를 SMS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오스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 SMS input window for inputting the numb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ransmitting a short message service (SMS) is provided on the sharing setting screen,
Wherein the control unit transmits the recognition code for displaying the screen information currently displayed 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number entered in the SMS input window to the SM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유 설정 화면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번호를 입력하여 미리 정해진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푸시(push)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는 푸시 입력창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해당 푸시 입력창에 입력된 번호에 해당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로 현재 표시되는 화면 정보가 표시되도록 하는 인식 코드를 푸시 메시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오스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push input window for inputting a numb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ransmitting a push message through a predetermined application is provided on the sharing setting screen,
Wherein the control unit transmits a recognition code for displaying screen information currently displayed 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number input in the corresponding push input window as a push messag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유 설정 화면에는 간편 URL을 입력하여 해당 화면으로 바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간편 URL 입력창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오스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simple URL input window is provided on the sharing setting screen so that a simple URL can be entered and the user can directly jump to the corresponding screen.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간편 URL 입력창에는 숫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간편 URL 입력창에 숫자가 입력되면, 입력된 숫자에 해당하는 화면으로 바로 이동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오스크.
The method of claim 8,
Numbers can be entered in the simple URL input window,
Wherein the controller directly moves to a screen corresponding to the input number when the number is input to the simple URL input window.
현재 표시되는 화면을 이동통신 단말기와 공유하기 위한 공유 설정 메뉴가 화면의 일부에 표시되는 터치 스크린, 키오스크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및 이동 통신망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키오스크; 및
이동 통신망을 통해 상기 키오스크로부터 현재 표시되는 화면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키오스크에 표시되는 화면을 공유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유 설정 메뉴가 터치되면, 공유 설정 화면이 팝업(pop up) 창을 통해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공유 설정 화면에 입력된 번호에 해당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현재 표시되는 화면 정보를,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전송하여 공유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오스크 화면 공유 시스템.
A sharing screen for sharing a currently displayed screen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es a touch screen displayed on a part of the screen,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overall operation of the kiosk, and a communication module for communicating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 kiosk; And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receiving screen information currently displayed from the kiosk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sharing a screen displayed on the kiosk,
Wherein the control unit causes the sharing setting screen to be displayed through a pop-up window when the sharing setting menu is touched, and displays the screen information currently displayed 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number input on the sharing setting screen, And transmits the same via a communication module.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공유 설정 메뉴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키오스크 화면 공유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sharing setting menu is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URL은 URL 단축(URL shortening) 기술을 통해 단축된 URL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키오스크 화면 공유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URL is a shortened URL through a URL shortening technique.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단축된 URL은 질의어가 없이 경로만 있는 간단한 구조의 URL인 간편 URL(clean URL)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키오스크 화면 공유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shortened URL is a simple URL that is a URL having a simple structure without a query word and having only a path.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공유 설정 화면에는 QR 코드(Quick Response Code)가 표시되어 있으며,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해 상기 QR 코드가 스캔(scan)되면,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에 현재 표시되는 화면 정보가 공유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오스크 화면 공유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0,
A QR code (Quick Response Code) is displayed on the sharing setting screen,
When the QR code is scann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creen information currently displayed 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shared.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공유 설정 화면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번호를 입력하여 SMS(short message service)를 전송할 수 있는 SMS 입력창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해당 SMS 입력창에 입력된 번호에 해당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로 현재 표시되는 화면 정보가 표시되도록 하는 인식 코드를 SMS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오스크 화면 공유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0,
An SMS input window for inputting the numb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ransmitting a short message service (SMS) is provided on the sharing setting screen,
Wherein the control unit transmits the recognition code for displaying the screen information currently displayed 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number input in the corresponding SMS input window to the SMS.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공유 설정 화면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번호를 입력하여 미리 정해진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푸시(push)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는 푸시 입력창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해당 푸시 입력창에 입력된 번호에 해당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로 현재 표시되는 화면 정보가 표시되도록 하는 인식 코드를 푸시 메시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오스크 화면 공유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0,
A push input window for inputting a numb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ransmitting a push message through a predetermined application is provided on the sharing setting screen,
Wherein the control unit transmits a recognition code for displaying screen information currently displayed 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number input in the push input window as a push message.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공유 설정 화면에는 간편 URL을 입력하여 해당 화면으로 바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간편 URL 입력창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오스크 화면 공유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sharing setting screen is provided with a simple URL input window for allowing a user to input a simple URL and directly go to the corresponding screen.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간편 URL 입력창에는 숫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간편 URL 입력창에 숫자가 입력되면, 입력된 숫자에 해당하는 화면으로 바로 이동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오스크 화면 공유 시스템.
18. The method of claim 17,
Numbers can be entered in the simple URL input window,
Wherein the controller directly moves to a screen corresponding to the inputted number when the number is input to the simple URL input window.
KR1020150061737A 2015-04-30 2015-04-30 Kiosk of sharing screen with mobile terminal device, and screen sharing system of kiosk Withdrawn KR2016012949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1737A KR20160129499A (en) 2015-04-30 2015-04-30 Kiosk of sharing screen with mobile terminal device, and screen sharing system of kios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1737A KR20160129499A (en) 2015-04-30 2015-04-30 Kiosk of sharing screen with mobile terminal device, and screen sharing system of kios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9499A true KR20160129499A (en) 2016-11-09

Family

ID=57529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1737A Withdrawn KR20160129499A (en) 2015-04-30 2015-04-30 Kiosk of sharing screen with mobile terminal device, and screen sharing system of kios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29499A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64322A1 (en) * 2017-03-06 2018-09-13 코아글림 주식회사 Multilingual support smart digital signage system and operation method
KR101949200B1 (en) 2018-07-19 2019-02-18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Kiosk device with internet of light
KR102063298B1 (en) * 2019-04-30 2020-01-07 남혜경 Exhibition booth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KR102506563B1 (en) * 2021-10-22 2023-03-08 (주)인티그리트 System for providing user customized information using autonomous driving device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5844A (en) 1997-03-13 2000-12-26 포만 제프리 엘 Kiosk and server connected to computer network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5844A (en) 1997-03-13 2000-12-26 포만 제프리 엘 Kiosk and server connected to computer network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64322A1 (en) * 2017-03-06 2018-09-13 코아글림 주식회사 Multilingual support smart digital signage system and operation method
KR101949200B1 (en) 2018-07-19 2019-02-18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Kiosk device with internet of light
KR102063298B1 (en) * 2019-04-30 2020-01-07 남혜경 Exhibition booth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KR102506563B1 (en) * 2021-10-22 2023-03-08 (주)인티그리트 System for providing user customized information using autonomous driving devices
WO2023068577A1 (en) * 2021-10-22 2023-04-27 (주)인티그리트 System for providing user-customized information by using autonomous driving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82776B2 (en) User equipment for recognizing object and displaying database matching result, control method thereof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on
WO2020046541A1 (en) Multi-panel, multi-communication video wall and system and method for seamlessly isolating one or more panels for individual user interaction
US10438214B1 (en) System and method for mobile distribution and use of coupons
CN107258071B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rich menu of official account in instant messaging service and recording medium
CN102624697A (en) Medium interaction method based on two-dimensional codes and medium interaction system
WO2014173115A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network communication
CN106133767A (en) There is provided and share Consumer's Experience to support communication
KR20160129499A (en) Kiosk of sharing screen with mobile terminal device, and screen sharing system of kiosk
KR20180104805A (en) System for providing accommodation ser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ystem thereof
US11221722B2 (e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non-transitory recording medium recorded with information providing program, and non-transitory recording medium recorded with user terminal control program
US20150187186A1 (en) Wifi Landing Page for Remote Control of Digital Signs
KR20170098736A (en) Advertising method and system using an online chat room
US20170351470A1 (en) Multi-user display for smart signs
US2016006355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bile Link to Advertising Content
US10097482B2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network communication
KR20210010395A (en) System and method for station information service using augmented reality
US11137892B2 (e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non-transitory recording medium recorded with information providing program, and non-transitory recording medium recorded with user terminal control program
US20050193328A1 (en) Hypertext navigation for shared displays
KR20210105049A (en) Shop Information Service Supply System
US20170169260A1 (en) Ptp interaction association system supporting connection between print books and periodicals product and internet
KR102325375B1 (en) TV-based ordering system, method for ordering using TV-based ordering system and recording mediuim thereof
KR20120093599A (en) Kiosk system based on mobile and management method thereof
CN103365619A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display control method, program, and display device
US20150178774A1 (en) Method and system for targeting advertisements on display devices based on user's nfc based transaction and web browsing activities
CN104581888B (en) Upper net guided system and method based on wireless access poi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43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