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7324A - 콘크리트 카펫 복합체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콘크리트 카펫 복합체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카펫 복합체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콘크리트 카펫 복합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127324A KR20160127324A KR1020160050643A KR20160050643A KR20160127324A KR 20160127324 A KR20160127324 A KR 20160127324A KR 1020160050643 A KR1020160050643 A KR 1020160050643A KR 20160050643 A KR20160050643 A KR 20160050643A KR 20160127324 A KR20160127324 A KR 2016012732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ayer
- concrete
- fiber
- bottom layer
- powd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4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8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9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9000011812 mixed powd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9
- 239000004745 nonwoven fabric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1 polypropyl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29920001903 high density polyethyl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4700 high-density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4570 mortar (masonry)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20000728 polyest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4078 waterproof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9941 weav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927 fu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940 knit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VNWKTOKETHGBQD-UHFFFAOYSA-N methane Chemical compound C VNWKTOKETHGBQ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994 synthetic fi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8733 Citrus aurantifoli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941 Tilia x europa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49 activ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2 add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75 alt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40 benton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278 benton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SVPXDRXYRYOSEX-UHFFFAOYSA-N bentoquatam Chemical compound O.O=[Si]=O.O=[Al]O[Al]=O SVPXDRXYRYOSE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30 bind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988 bone and bon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40 gyps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02 gyps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677 hydrat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8 knea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1 lim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20 moistur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45 natural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56 p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12 rapid soli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958 se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11 soli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23 soli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728 strength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00 void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56 wollaston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82 wollaston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a layer of water-setting substance, e.g. concrete, plaster, asbestos cement, or like builders' material
- B32B13/1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a layer of water-setting substance, e.g. concrete, plaster, asbestos cement, or like builders' material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3/00—Foundations for pavings
- E01C3/04—Foundations produced by soil stabilisation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3/00—Foundations for pavings
- E01C3/06—Methods or arrangements for protecting foundations from destructive influences of moisture, frost or vibration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2—Making or lining canal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카펫 복합체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콘크리트 카펫 복합체에 관한 것으로, 콘크리트 혼합 분말을 미리 준비하는 분말 준비 단계와; 상기 바닥층(1)의 일측 상부에 콘크리트 혼합 분말의 공급구(5)를 설치하여, 상기 공급구를 통하여 상기 콘크리트 혼합 분말을 상기 바닥층(1)에 고르게 분포되게 공급하여 상기 바닥층(1)의 상면에 콘크리트 혼합 분말층(2)을 형성하는 콘크리트 혼합분말 공급단계와; 바닥층(1)을 이동시키면서, 상기 콘크리트 혼합분말층(2)의 위에 섬유층(3)을 입히는 섬유층 입힘 단계와; 이동중인 상기 바닥층(1)과, 콘크리트 혼합분말층(2)과, 섬유층(3)에 대하여 상기 섬유층(3)의 상측에서 다수의 바늘이 상기 섬유층(3)을 찔러 상기 바닥층(1)에 도달하게 한 후에 빼내는 것에 의하여, 상기 섬유층(3)의 섬유사의 일부가 상기 섬유층(3)과 상기 바닥층(1)을 연결시키는 연결 섬유사로 형성시키는 연결섬유사 형성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수분에 의하여 고속으로 응고되어 정해진 형태로 콘크리트 층이 형성되게 하는 콘크리트 카펫 복합체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콘크리트 카펫 복합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보호경사면, 수로, 교량, 도로공사 등 분야에 적용되는 콘크리트 카펫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분에 의해 빠른 속도로 응고되는 콘크리트 카펫 복합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보호경사면, 수로, 교량, 도로공사 등 공사를 시공하는 경우에, 통상적으로 토사의 공사를 마친 이후에 토목공사천 및 토공필름 등 여과성, 방수성, 강화 성능을 가진 토공합성 재료로 설치한다. 그리고, 시공 기초에서는 콘크리트가 시공된다. 그러나, 이 시공에는 대량의 인력, 자원 및 시간을 낭비하면서 환경에 대해 파괴 및 오염시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인력과 자원을 절약하고 비용을 최소화하고 공사 기간을 단축하는 방안의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이와 같은 기술적 배경 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카펫 복합체는 토공 재료와 혼합 콘크리트 기술의 장점을 결합하고, 특수한 방직 기술을 이용하는 것에 의하여, 신속하게 시공할 수 있고, 고속으로 응고되며, 환경을 보호하고, 비용을 극소화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원하는 형태로 콘크리트 층을 짧은 시간 내에 형성할 수 있는 콘크리트 카펫 복합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빠른 속도로 응고되어 정해진 형태로 콘크리트 층을 형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무엇보다도, 본 발명은, 특수한 방직 기술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혼합 분말층이 바닥층과 섬유층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게 함으로써, 경사진 장소 등 다양한 시공 위치에 고속으로 응고되어 균일한 두께로 콘크리트층을 형성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바닥층(1)과; 상기 바닥층(1) 위에 미리 제조되어 분포되는 콘크리트 혼합 분말층(2)과; 상기 혼합 분말층을 덮는 섬유층(3)과; 상기 섬유층(3)의 바깥에서 상기 바닥층(1)에 이르는 깊이로 바늘로 찔렀다가 빼는 것에 의하여, 상기 섬유층(3)으로부터의 섬유가 상기 바닥층(1)과 연결되는 연결 섬유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카펫 복합체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섬유층(3)의 표면에 접합되거나 열용착된 방수 필름(4)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수 필름(4)은 PVC/HDPE 계열의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바닥층(1)은 폴리프로필렌 계열의 섬유사로 이루어진 부직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엇보다도, 상기 섬유층(3)은 미세 섬유사로 이루어진 비직물 형태의 부직포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바늘에 의한 방직 기술에 의하여 연결 섬유사를 정확하게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섬유층(3)은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계열의 섬유사와, 폴리에스터 계열의 섬유사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비직물 섬유층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섬유층에는 상기 바늘이 통과한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바늘에 의하여 형성된 상기 연결 섬유사에 의하여 상기 콘크리트 혼합 분말이 유동하는 것이 억제된다.
한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르면, 본 발명은, 콘크리트 혼합 분말을 미리 준비하는 분말 준비 단계와; 상기 바닥층(1)의 일측 상부에 콘크리트 혼합 분말의 공급구(5)를 설치하여, 상기 공급구를 통하여 상기 콘크리트 혼합 분말을 상기 바닥층(1)에 고르게 분포되게 공급하여 상기 바닥층(1)의 상면에 콘크리트 혼합 분말층(2)을 형성하는 콘크리트 혼합분말 공급단계와; 바닥층(1)을 이동시키면서, 상기 콘크리트 혼합분말층(2)의 위에 섬유층(3)을 입히는 섬유층 입힘 단계와; 이동중인 상기 바닥층(1)과, 콘크리트 혼합분말층(2)과, 섬유층(3)에 대하여 상기 섬유층(3)의 상측에서 다수의 바늘이 상기 섬유층(3)을 찔러 상기 바닥층(1)에 도달하게 한 후에 빼내는 것에 의하여, 상기 섬유층(3)의 섬유사의 일부가 상기 섬유층(3)과 상기 바닥층(1)을 연결시키는 연결 섬유사로 형성시키는 연결섬유사 형성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카펫 복합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섬유층(3)은 미세 섬유사로 이루어진 비직물 형태의 부직포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콘크리트 혼합 분말은 몰탈이 혼합되어 수분에 의해 고속 응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섬유층(3)의 상면에 방수 필름(4)을 부착하는 방수필름 부착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콘크리트 카펫 복합체를 시공 위치에 펼친 상태에서 수분을 공급하면, 수분이 콘크리트 혼합 분말에 골고루 침투되면서 균일한 콘크리트 층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은, 빠른 속도로 응고하고 정해진 모형이 되도록 콘크리트 카펫 복합체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 카펫 복합체의 구조는 콘크리트 카펫의 바닥포층과 부직포층을 포함하고 있다. 바닥포층과 부직포층 사이에 미리 만든 콘크리트 혼합 분말이 설치되며, 바닥포층와 부직포층의 사잇 공간은 바늘로 찌르거나 봉제 편직 기술을 이용하여 섬유사들로 연결된다. 그리고 부직포의 표면을 열용합 또는 접착 방식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식으로 PVC/HDPE 재질의 방수토공필름과 일체로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보통 콘크리트보다 압축강도와 휨강도가 더 강하며 사용 수명이 더 긴 콘크리트 층을 형성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카펫 복합체는 스스로 양생, 보습, 보온 기능이 있는 콘크리트 혼합 분말을 포함하므로, 인공적으로 보양하는 것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카펫 복합체는 즉시 시공 가능하며, 수분에 반죽하는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즉, 콘크리트 층을 시공하는 경우에 물을 콘크리트 카펫 복합체에 뿌려주기면 하면 신속하게 응고하여 정해진 형태로 콘크리트 층을 형성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콘크리트를 혼합할 때에 발생되는 분진오염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카펫 복합체는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으며 시공을 신속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카펫 복합체는 토공 합성 재료에 부합하는 여과, 방수, 강도 강화, 방염 및 고성능 분말 콘크리트 기술과 결합하여 복잡한 시공과정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시공이 단순해지고 공사비용을 절감하면서 시공품질을 보장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카펫 복합체의 분리구조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카펫 복합체의 제조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카펫 복합체의 경화된 상태의 촬영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카펫 복합체의 제조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카펫 복합체의 경화된 상태의 촬영 사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이러한 규칙 하에서 다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카펫 복합체의 분리구조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카펫 복합체의 제조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술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카펫 복합체는 바닥포층(1)과 섬유층(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섬유층(3)은 직물제와 비직물제 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바늘에 의한 편직 기술에 의하여 후술하는 연결 섬유사를 보다 확실하게 생성하기 위해서는 부직포와 같은 비직물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닥포층(1)도 섬유층(3)과 마찬가지로 직물제와 비직물제 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바늘에 의한 편직 기술에 의하여 연결 섬유사를 보다 확실하게 생성하기 위하여 부직포와 같은 비직물제로 형성될 수 있다.
바닥포층(1)과 섬유층(4)의 사이에 미리 만든 콘크리트 혼합 분말층(2)이 설치되며, 섬유층(4)와 바닥포층(1)의 가장자리와 중앙부에는 바늘로 찌르거나 봉제 편직기술을 이용하여 섬유층(4)으로부터의 미세 섬유사들이 섬유층(4)과 바닥포층(1)을 연결한다. 그리고 섬유층(4)의 표면에는 열용합되거나 접착제에 의하거나 이들의 조합에 의해 PVC/HDPE 재질의 방수 토공 필름(4)이 부착된다.
콘크리트 카펫 복합체의 바닥포층(1)는 폴리프로필렌 계열의 단섬유로 이루어진 부직포로 형성될 수 있으며, 폴리프로필렌 계열의 섬유가 뜨게질된 형태(knitted fabric)로 형성될 수도 있다.
섬유층(4)은 천을 짜는 형태의 섬유층으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섬유층(4)은 폴리프로필린(Polypropylene) 계열의 섬유사(fiber)나 폴리에스터(polyester) 계열의 섬유사(filament)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비직물 섬유층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섬유층(4)은 부직포 형태로 형성된 부직포층일 수 있다.
섬유층(4)에는 여러개의 작은 구멍이 형성된다. 이 구멍의 크기는 미리 제조되어 섬유층(4)의 아래에 분포되는 콘크리트 혼합 분말이 나오지 못하는 크기로 형성된다. 그리고, 콘크리트 혼합 분말은 수분에 의하여 경화될 때에 섬유층(4)과 잘 용합되는 성질이 있는 것으로 정해진다.
이하, 도2를 참조하여, 고속으로 응고되고 정해진 형태(모형)가 되게 하는 콘크리트 카펫 복합체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단계 1: 몰탈과 골고루 혼합된 콘크리트 혼합 분말을 제조한다. 이 때, 콘크리트 혼합 분말의 모든 재료는 충분히 섞이도록 한다.
단계 2: 바늘로 찌르는 기구(6)가 구비된 컨베이어나 그에 상응하는 설비에 바닥포층(1)을 위치시키고, 컨베이어를 회전시키면서 바닥포층(1)을 운송한다.
단계 3: 바닥포층(1)의 한쪽 위에 콘크리트 혼합 분말을 공급하는 공급구(5)가 설치되어, 오거(Auger) 설비로 바닥포층(1)을 이동시키면서 바닥포층(1) 상의 콘크리트 혼합분말이 골고루 펼쳐지게 하여 콘크리트 혼합분말층(2)을 바닥포층(1)의 위에 형성한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섬유층(3)과 콘크리트 혼합분말층(2)을 찌르는 바늘 설비는 다수의 바늘이 장착된 설비를 개량하여 제작될 수 있으며, 여기서의 바늘에 오거 재료 전송을 위한 공급 설비와 부조 재료 설비를 추가하여 제작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이 구성에 두꺼운 벤토나이트(bentonite) 방수포의 바늘 찌름 설비를 개량하면서, 밀봉 뚜껑과 열용합 설비를 추가하면, 단계 5에서의 복합 토공 필름(4)을 부착하는 장치를 제작할 수 있다.
단계 4: 그리고 나서, 바닥포층(1)의 위에 펼쳐진 콘크리트 혼합 분말층(2)의 위에 섬유층(3)을 깔아 위치시킨다. 섬유층(4)과 바닥포층(1)의 사이는 바늘을 찌르는 방식으로 섬유층(4)으로부터 연결 섬유사가 나오는 형태로 연결된다.
즉, 다수의 바늘이 한번에 정해진 영역에 걸쳐 섬유층(3)을 관통하여 바닥포층(1)까지 도달하도록 한 상태에서, 순간적으로 바늘을 섬유층(3)의 바깥으로 빼내면, 섬유층(3)의 섬유사가 바늘을 따라 바닥포층(1)까지 이동하면서 순간적으로 바닥포층(1)과 엉키면서, 섬유층(3)과 바닥포층(1)의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섬유사를 형성하게 된다. 이에 따라, 콘크리트 혼합 분말은 바닥포층(1)과 섬유층(3)의 사이에서 제 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미리 만들어놓은 콘크리트 혼합 분말층(2)은 섬유층(4)과 바닥포층(1)의 사이에서 확실하게 제위치를 유지하며 콘크리트 형태로 경화될 때에 그 형태가 정해진다.
단계 5: 섬유층(4)의 표면에 섬유층(4)의 이동 방향으로 열용접되거나 접착제에 의하여 PVC/HDPE 재질의 방수 토공 필름(4)이 부착되어, 함께 복합체를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제작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카펫 복합체는, 콘크리트 혼합 분말층(2)에 수분이 공급되어 경화되기 이전에는 섬유층(4)과 바닥포층(1)의 사이에 콘크리트 혼합 분말층(2)이 분말 상태로 있으므로 쉽게 접을 수 있으므로 이동이 간편하며, 시공하고자 하는 장소에 콘크리트 카펫 복합체를 깔아두고 수분을 공급하여 콘크리트 혼합 분말층(2)을 경화시키는 것에 의하여, 원하는 장소에 간편하고 신속하게 콘크리트 층을 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분에 의하여 경화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카펫 복합체의 단면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바늘을 찌르는 도구(6)에 의하여 섬유층(4)과 바닥포층(1)의 사이에 연결 섬유사가 연결 형성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콘크리트 카펫 복합체가 다양한 장소(예를 들어, 경사진 장소)에 설치되더라도 콘크리트 혼합 분말이 균일하게 배치되어 균일한 두께의 콘크리트 층을 형성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단계 4에서 전술한 바닥포층(1)과 미리 만든 콘크리트 혼합 분말층(2)의 사이에 바늘로 찌른 방식의 제작을 통해서 제작할 때 그 사이에 연결 섬유사를 생성한다.
단계 5에서 PVC/HDPE 소재의 방수토공필름(5)를 부착하는 것은 독립적인 열용접에 의해 행해질 수도 있고, 일반적인 필름을 부착하는 방식에 의해서도 행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혼합분말은 반응성 분만 콘크리트(Reactive Powder Concrete; RPC) 및 자가 콤팩트 콘크리트(Self Compact Concrete, SCC)를 기본 성분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원재료로부터 대부분의 골재(骨料)를 제거하여 보다 높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분말로 형성되면서도, 재료의 경화 속도가 개량되며 고강도를 구현한다. 그리고 규회석, 석고, 석회,혼합제 등 활성재료를 첨가하는 것에 의하여, 콘크리트 혼합 분말은 수분과 접촉하면 신속하게 수화(水化)하되면서, 30분 정도 경과 시에 초기응결하고 2시간 이내에 빠르게 응고하고, 1일이 경과한 상태에서의 강도는 28일 강도의 70-80%정도로 우수하다. 즉, 양생 시간을 크게 줄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배합은 콘크리트의 간극율(隙率)을 크게 줄일 수 있으며, 중간에 형성되는 연결 섬유사 중합체와 콘크리트를 보다 일체로 용합되게 한다. 또한, 이와 같은 배합은 콘크리트의 밀도와 항삼투성(抗渗透性/anti-permeate function)을 높일 수 있으며, 콘크리트가 응고하여 정해진 형태의 모형이 되면 구조가 균일하고 조밀하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 카펫 복합체는 우수한 휨 강도를 구현하면서 유연성이 있으므로 쉽게 부러지지 않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콘크리트의 상측과 하측에 분포한 바닥포층(1)과 섬유층(3) 및 토공 방수 필름(4)은 콘크리트 층(2)을 보호하는 기능과 콘크리트를 포장하는 기능 이외에 콘크리트 층(2)과 일체로 결합하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바닥포층(1)과 섬유층(3) 등으로 이루어진 콘크리트 카펫 복합체는 보호, 방수, 보강의 효능도 갖는다. 자가 콤팩트 콘크리트(Self Compact Concrete, SCC)로 형성되면, 콘크리트 카펫 복합체는 고강도, 압축 강도 및 휨 강성 및 누수 방지 효과도 갖는다. 이와 같이 제작된 콘크리트 카펫 복합체는 수로, 보호경사면, 내구성 천막 지봉, 임시 도로, 석유 천연 가스 파이프 라인 등 시설에 깔아 놓은 후에, 수분을 공급하는 것에 의하여 짧은 시간에 양생되어 경화된 콘크리트 층을 형성하므로, 방수나 누수 방지측면에서 이상적이다.
상기와 같이 제작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카펫 복합체는 5mm 내지 13mm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해외 동종상품과 비교하면 보다 우수한 압축강도와 휨강도를 구현한다는 것이 아래 표1의 시험 결과를 통해 확인하였다.
Ensile Strength (Longitude) | ASTM D 4595 | KN/M | 33 |
Ensile Strength (Latitude) | ASTM D 4595 | KN/M | 28.5 |
Elongation(Longitude) | ASTM D 4595 | % | 18 |
Elongation(Latitude) | ASTM D 4595 | % | 18 |
Compression Strength(Hydrated reaction) | ASTM C 109-02 | Mpa | 60 |
Rupture Strength(Hydrated reaction) | ASTM C 109-02 | Mpa | 6 |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으며, 사상과 원칙 범위 내에서의 본 발명에 대한 모든 수정이나, 치환, 교체, 개량 등에 의한 구성은 모두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포함된다.
1: 바닥층
2: 콘크리트 혼합 분말층
3: 섬유층 4: 방수 필름
5: 공급구 6: 바늘 찌르는 기구
7: 완성된 콘크리트 카펫 복합체
3: 섬유층 4: 방수 필름
5: 공급구 6: 바늘 찌르는 기구
7: 완성된 콘크리트 카펫 복합체
Claims (11)
- 바닥층(1)과;
상기 바닥층(1) 위에 미리 제조되어 분포되는 콘크리트 혼합 분말층(2)과;
상기 혼합 분말층을 덮는 섬유층(3)과;
상기 섬유층(3)의 바깥에서 상기 바닥층(1)에 이르는 깊이로 바늘로 찔렀다가 빼는 것에 의하여, 상기 섬유층(3)으로부터의 섬유가 상기 바닥층(1)과 연결되는 연결 섬유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카펫 복합체.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층(3)의 표면에 접합되거나 열용착된 방수 필름(4)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카펫 복합체.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 필름(4)은 PVC/HDPE 계열의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카펫 복합체.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층(1)은 폴리프로필렌 계열의 섬유사로 이루어진 부직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카펫 복합체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층(3)은 미세 섬유사로 이루어진 비직물 형태의 부직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카펫 복합체.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층(3)은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계열의 섬유사와, 폴리에스터 계열의 섬유사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비직물 섬유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카펫 복합체.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층에는 상기 바늘이 통과한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바늘에 의하여 형성된 상기 연결 섬유사에 의하여 상기 콘크리트 혼합 분말이 유동하는 것이 억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카펫 복합체.
- 콘크리트 혼합 분말을 미리 준비하는 분말 준비 단계와;
상기 바닥층(1)의 일측 상부에 콘크리트 혼합 분말의 공급구(5)를 설치하여, 상기 공급구를 통하여 상기 콘크리트 혼합 분말을 상기 바닥층(1)에 고르게 분포되게 공급하여 상기 바닥층(1)의 상면에 콘크리트 혼합 분말층(2)을 형성하는 콘크리트 혼합분말 공급단계와;
바닥층(1)을 이동시키면서, 상기 콘크리트 혼합분말층(2)의 위에 섬유층(3)을 입히는 섬유층 입힘 단계와;
이동중인 상기 바닥층(1)과, 콘크리트 혼합분말층(2)과, 섬유층(3)에 대하여 상기 섬유층(3)의 상측에서 다수의 바늘이 상기 섬유층(3)을 찔러 상기 바닥층(1)에 도달하게 한 후에 빼내는 것에 의하여, 상기 섬유층(3)의 섬유사의 일부가 상기 섬유층(3)과 상기 바닥층(1)을 연결시키는 연결 섬유사로 형성시키는 연결섬유사 형성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카펫 복합체의 제조 방법.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층(3)은 미세 섬유사로 이루어진 비직물 형태의 부직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카펫 복합체의 제조 방법.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혼합 분말은 몰탈이 혼합되어 수분에 의해 고속 응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카펫 복합체의 제조 방법.
- 제 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층(3)의 상면에 방수 필름(4)을 부착하는 방수필름 부착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카펫 복합체의 제조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CN201510200290.9A CN104818722A (zh) | 2015-04-26 | 2015-04-26 | 一种快速成型混凝土布的结构及复合方法 |
CN201510200290.9 | 2015-04-26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27324A true KR20160127324A (ko) | 2016-11-03 |
Family
ID=53729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50643A Withdrawn KR20160127324A (ko) | 2015-04-26 | 2016-04-26 | 콘크리트 카펫 복합체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콘크리트 카펫 복합체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20160127324A (ko) |
CN (1) | CN104818722A (ko)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39165A (ko) * | 2019-10-01 | 2021-04-09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터프팅 연결사를 이용한 현장 수화형 보강매트와 그 제작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 방법 |
KR20210082916A (ko) | 2019-12-26 | 2021-07-06 | 전한용 | 현장에서 조립 설치가 가능한 콘크리트 복합매트 |
KR20210115197A (ko) | 2020-03-12 | 2021-09-27 | 전한용 | 시멘트를 구속하는 저장공간을 갖는 현장 수화 콘크리트 매트 |
KR20210118649A (ko) | 2020-03-23 | 2021-10-01 | 주식회사 골든포우 | 보강부재의 손상방지를 위한 패턴 니들펀칭 공정으로 제조된 콘크리트 복합매트 |
KR20210142427A (ko) | 2020-05-18 | 2021-11-25 | 전한용 | 현장에서 설치가 가능한 콘크리트 복합매트 및 그 매트의 제조방법 |
KR20220077632A (ko) | 2020-12-02 | 2022-06-09 | 대윤지오텍 주식회사 | 지지력 보강 현장 수화 콘크리트 매트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85123B1 (ko) * | 2015-09-22 | 2016-01-13 | 주식회사 유시티 | 속경형 폴리머 시멘트가 내장된 방수고화매트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이 적용된 방수고화매트의 제조방법 |
CN106630802A (zh) * | 2016-12-27 | 2017-05-10 | 张学健 | 一种土工合成材料 |
CN206784356U (zh) * | 2017-04-26 | 2017-12-22 | 梁铃婵 | 一种三维水泥基土工复合材料防水垫 |
CN109807172A (zh) * | 2019-01-14 | 2019-05-28 | 湖南高岭环保科技有限公司 | 一种基于水泥毯的农业面源修复系统 |
CN112248216A (zh) * | 2020-09-30 | 2021-01-22 | 阿米乃·麦合木提 | 水泥毯施工辅助机 |
CN114457630B (zh) * | 2022-02-21 | 2024-08-27 | 中铁六局集团有限公司 | 一种用于铁路路基施工中土工膜铺设的设备及其使用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IL66104A0 (en) * | 1981-07-27 | 1982-09-30 | Tesch G H | Preparation of fiber reinforced flat bodies containing a hardenable binder |
US5174231A (en) * | 1990-12-17 | 1992-12-29 | American Colloid Company | Water-barrier of water-swellable clay sandwiched between interconnected layers of flexible fabric needled together using a lubricant |
EP2213777A1 (en) * | 2009-01-29 | 2010-08-04 | Concrete Canvas Limited | Impregnated cloth |
US20140304906A1 (en) * | 2013-04-10 | 2014-10-16 | Walter Judson Bennett | Pool Construction Method |
-
2015
- 2015-04-26 CN CN201510200290.9A patent/CN104818722A/zh active Pending
-
2016
- 2016-04-26 KR KR1020160050643A patent/KR20160127324A/ko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39165A (ko) * | 2019-10-01 | 2021-04-09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터프팅 연결사를 이용한 현장 수화형 보강매트와 그 제작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 방법 |
KR20210082916A (ko) | 2019-12-26 | 2021-07-06 | 전한용 | 현장에서 조립 설치가 가능한 콘크리트 복합매트 |
KR20210115197A (ko) | 2020-03-12 | 2021-09-27 | 전한용 | 시멘트를 구속하는 저장공간을 갖는 현장 수화 콘크리트 매트 |
KR20210118649A (ko) | 2020-03-23 | 2021-10-01 | 주식회사 골든포우 | 보강부재의 손상방지를 위한 패턴 니들펀칭 공정으로 제조된 콘크리트 복합매트 |
KR20210142427A (ko) | 2020-05-18 | 2021-11-25 | 전한용 | 현장에서 설치가 가능한 콘크리트 복합매트 및 그 매트의 제조방법 |
KR20220077632A (ko) | 2020-12-02 | 2022-06-09 | 대윤지오텍 주식회사 | 지지력 보강 현장 수화 콘크리트 매트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4818722A (zh) | 2015-08-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60127324A (ko) | 콘크리트 카펫 복합체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콘크리트 카펫 복합체 | |
JP7300176B2 (ja) | 可撓性複合材料 | |
US9163375B2 (en) | Synthetic ground cover system with binding infill for erosion control | |
US9587364B2 (en) | Synthetic ground cover system with impermeable backing and binding infill for erosion control | |
CN108350674A (zh) | 胶凝复合材料垫 | |
US20150352809A1 (en) | Cementitious composite | |
DK2697430T3 (en) | Banesvelle | |
US11045847B2 (en) | Geocomposite covering | |
US20150352804A1 (en) | Cementitious composite | |
CN110650933A (zh) | 胶凝复合材料垫 | |
KR20170121564A (ko) | 콘크리트 카펫 복합체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콘크리트 카펫 복합체 | |
CN216615963U (zh) | 一种地下工程种植顶板 | |
CN206475528U (zh) | 纤维复合材料 | |
WO2008072073A2 (en) | A synthetic turf mat, a synthetic turf structure including the mat, and a manufacturing method of the mat | |
JP4511758B2 (ja) | 土木用遮水シート | |
CN106065592B (zh) | 一种复合型透气防渗土工格室 | |
JPH10325107A (ja) | 小規模舗装復旧工事における舗装補修構造と舗装補修工法 | |
WO2018196495A1 (zh) | 一种三维水泥基土工复合材料防水垫 | |
CN221421891U (zh) | 一种加筋型复合土工膜 | |
KR20210118649A (ko) | 보강부재의 손상방지를 위한 패턴 니들펀칭 공정으로 제조된 콘크리트 복합매트 | |
CA2939913C (en) | Synthetic ground cover system for erosion control | |
RU2825655C1 (ru) |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композиционной геомембраны | |
CN117922147A (zh) | 一种可遇水固化反粘型防水垫层的制备方法 | |
JP2020122329A (ja) | ブロックマット用樹脂シート、ブロックマット、およびブロックマットの製造方法 | |
KR101889527B1 (ko) | 합성수지시트층 일체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 및 그 제조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42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7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C1202 | Submission of document of withdrawal before decision of registration |
Comment text: [Withdrawal of Procedure relating to Patent, etc.] Withdrawal (Abandonment) Patent event code: PC12021R01D Patent event date: 20171016 |
|
WITB |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 |